KR20190097837A - 하나 이상의 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하나 이상의 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837A
KR20190097837A KR1020180017749A KR20180017749A KR20190097837A KR 20190097837 A KR20190097837 A KR 20190097837A KR 1020180017749 A KR1020180017749 A KR 1020180017749A KR 20180017749 A KR20180017749 A KR 20180017749A KR 20190097837 A KR20190097837 A KR 20190097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terminal
information
server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1153B1 (ko
Inventor
허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니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니테크
Priority to KR1020180017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153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위치 측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GNSS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측정 신호가 입력된 시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핀의 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핀의 번호와 대응되는 제1 핀의 위치를 상기 현재 위치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프장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하나 이상의 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ONE OR MORE PINS IN REAL TIME}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골프장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요즘에 골프는 대중적인 스포츠로 자리 잡았다. 골프장에서, 사람들은 오전, 오후, 야간 등의 스케쥴로 라운딩을 즐길 수 있다. 위해서, 그린 키퍼는 그린 상태에 따라서 핀의 위치를 시시각각 변경할 수 있다. 골프 경기를 하는데 있어서 그린 위의 핀의 위치를 정확히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시시각각 변경되는 핀의 위치가 바로 갱신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위성을 이용하여 핀의 위치를 측정하고, 핀의 위치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핀의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핀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골프장에서의 임의의 지점들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하나 이상의 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은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위치 측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GNSS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측정 신호가 입력된 시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은 상기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핀의 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은 상기 핀의 번호와 대응되는 제1 핀의 위치를 상기 현재 위치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하나 이상의 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은 상기 단말은 서버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통해 제2 핀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단말은 상기 제2 핀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핀까지의 거리 정보 및 상기 제2 핀까지의 방향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은 상기 제2 핀이 위치한 그린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은 상기 제2 핀이 위치한 그린 안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그린 도착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측정 신호는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 생성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제1 핀의 위치 정보 및 제2 핀의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핀의 위치 정보 및 제2 핀의 위치 정보가 상기 제1 핀 및 제2 핀에 가까이 위치하는 리더기들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더기들은 각 리더기의 위치에 대응되는 핀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주변에 위치한 단말들로 단방향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위치 측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이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GNSS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측정 신호가 입력된 시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 상기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핀의 번호를 검색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핀의 번호와 대응되는 제1 핀의 위치를 상기 현재 위치로 갱신하는 갱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은 서버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통해 제2 핀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제2 핀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핀까지의 거리 정보 및 상기 제2 핀까지의 방향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2 핀이 위치한 그린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핀이 위치한 그린 안에 있는 경우, 그린 도착 알람을 발생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측정 신호는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 입력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제1 핀의 위치 정보 및 제2 핀의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 핀의 위치 정보 및 제2 핀의 위치 정보가 상기 제1 핀 및 제2 핀에 가까이 위치하는 리더기들로 각각 전송하는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더기들은 각 리더기의 위치에 대응되는 핀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주변에 위치한 단말들로 단방향으로 전송하도록 구현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위성을 이용하여 핀의 위치를 측정하고, 핀의 위치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보정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핀의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핀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구현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골프장에서의 임의의 지점들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거리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서버, 리더기, 제2 단말 그룹 사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단말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은 제1 단말그룹(100), 서버(200), 리더기(300), 제2 단말그룹(400), 통신망(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제1 단말그룹 또는 제2 단말그룹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 각각(201, 202)은 제1 단말그룹(101, 102), 및/또는 리더기(300)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서버(201) 및 제2 서버(202)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일례로, 서버(201, 202)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제1 단말그룹(101, 102)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말(101)은 서버(201, 202)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그룹(101, 102)이 포함하는 운영체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서버에 접속하여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이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201, 202)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를 제1 단말(101)로 전송할 수 있고, 제1 단말(101)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코드에 따른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단말그룹(101, 102)은 예를 들어 데스크탑 또는 랩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임의의 특정 폼 팩터로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단말(101)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다른 전자 기기 및/또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 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망은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30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시스템은 주변에 단말들로 정해진 패킷을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리더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더기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인접한 제2 단말그룹(401, 402)로 전송할 수 있다.
리더기(300)는 통신 모듈을 통해서 정해진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리더기(300)는 무선 통신, 이동 통신 등의 원거리 통신 방식으로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리더기(300)는 근거리 통신(RFID, NFC, 블루투스, 와이파이, Zigbee 등)을 통해 제2 단말그룹과 통신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패킷은 서버(201, 202)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리더기(300)는 인접한 제2 단말그룹으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제2 단말그룹(401, 402)은 리더기(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단말그룹(401, 402)은 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핀의 위치, 제1 사용자 및 다른 사용자들의 골프 경기 상황 등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0)은 제1 단말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서버와의 통신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100)은 프로세서(110), 통신모듈(120), GPS 모듈(130), 메모리(140), 디스플레이부(150), 센서부(160), 모드설정부(170), 전원입력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 (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단말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14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120)을 통해 메모리(14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201))이 네트워크(50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14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140) 또는 통신 모듈(120)에 의해 프로세서(110)로 제공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4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120)은 네트워크(500)를 통해 제1 단말그룹(100)과 서버(201)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 할 수 있으며, 다른 서버(일례로 서버(202))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0)가 메모리(14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일례로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 요청)이 통신 모듈(12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500)를 통해 서버(201)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201)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120)과 네트워크(500)를 거쳐 제1 단말(101)의 통신 모듈(120)을 통해 제1 단말(101)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20)을 통해 수신된 서버(201)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110)나 메모리(140)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제1 단말(101)이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단말의 모드 정보, 사용자의 골프 경기 상황, 골프장의 홀들의 핀에 대한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예를 들어 터치 인식이 가능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부재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핀의 위치를 측정하는 제1 모드, 임의의 지점의 위치 및 지점들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 모드 중 현재의 동작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현재 골프장에 대한 정보, 현재 경기에 대한 정보(홀의 번호, 해당 홀에서의 핀 위치 정보, 핀까지의 거리, 핀까지의 방향 정보 등)를 제공할 수 있다.
센서부(160)는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60)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진동 감지 센서, 터치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 주변 환경을 센싱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60)는 지면의 기울기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모드 설정부(170)는 버튼식으로 구현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다. 모드 설정부(170)는 단말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모드 설정부(170)는 터치 인식을 감지하는 입출력 장치일 수 있다. 모드 설정부(170)에 대한 입력을 통해, 장치의 동작 모드는 핀의 위치를 입력하는 제1 모드, 임의의 지점 및 거리를 설정하는 제2 모드 중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전원 입력부(180)는 단말 장치의 전원 상태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 입력부(180)에 대한 입력을 통해 장치의 전원이 설정될 수 있다.
단말(100)은 GPS위성과 통신하여, 단말의 위치를 산출하는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은 GPS 모듈을 통해 수신된 위치 정보를 보정하여 더 정확한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위치 정보의 산출 과정은 도 6을 통해 설명하겠다.
메모리(140)는 골프장의 상황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입력부(141)는 디스플레이부(150), 모드 설정부(170) 등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위치 측정부(142)는 입력된 위치 측정 신호에 따라 입력된 지점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측정 신호는 사용자의 음성으로 입력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42)는 GPS 모듈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42)는 GPS 모듈에 의해 수신한 위치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GPS 모듈에 의해 수신된 위치 정보는 위성 궤도 오차, 위성 시계 오차, 위성 바이어스, 전리층 오차, 대류권 오차, 신호 왜곡, 다중 경로 오차, 수신기 오차 등에 의해서 오차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42)는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GNSS 데이터에 기초하여 의사거리를 추출하고 기선거리를 산출한다. 이때, 의사 거리는 GNSS 위성과 단말 간의 거리이고, 기선거리는 각 기준국과 단말 간의 거리이다. 위치 측정부(142)는 복수의 기준국들 각각으로부터 보정치를 수신한다. 복수의 기준국들 각각은, 산출된 보정치를 미리 정해진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식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또는 이동 통신 방식(예컨대, 2, 3, 또는 4 세대 이동통신 방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 측정부(142)는 GNSS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준국들 각각에 상응하는 기선거리를 산출한다.
위치 측정부(142)는 기선 거리에 따라 가변되는 계수값(Pj)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준국들 각각에 상응하는 가중치(wj)를 생성한다. 이때, 계수값(Pj)은 기 설정된 지수 함수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으며, 가중치(wj)는 복수의 기준국들 각각에 상응하는 기선거리에 따른 역거리 가중치에 계수값을 거듭제곱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계수값(Pj)은 기준국과 수신위치 사이의 기선거리 및 수신위치에서의 복수의 기준국들에 대한 모든 기선 거리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가중치(wj)는 산출된 계수값(Pj)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가중치(wj)는 기준국과 수신위치 사이의 기선 거리에 따른 역거리 가중치에 계수값을 거듭제곱하여 생성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42)는 복수의 기준국들 각각으로부터 보정치(Dj)를 수신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42)는 수신된 보정치(Dj)에 생성된 가중치(wj)를 적용하여 수신위치에서의 보정치(Dj)를 생성한다. 위치 측정부(142)는 수신된 보정치(Dj)에 따라 의사 거리를 보정하여 수신 위치에서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신위치에서의 복수의 기준국들에 대한 전체 기선 거리의 평균값을 가중치(wj)를 생성하는데 반영하게 되므로, 가중치가 불필요하게 커지거나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위치 측정부(142)는 정해진 객체와 연동하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측정부(142)는 홀컵 또는 핀과 연동하여, 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42)는 홀컵 또는 핀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홀컵 또는 핀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동거리 측정부(143)는 입력된 거리 측정 신호에 따라 단말의 이동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동거리 측정부(143)는 거리 측정 신호에 입력된 지점을 시작 지점으로 설정하고, 거리 측정 신호에 입력된 이후에 정해진 시간 간격, 예를 들어 5초 간격으로 위치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 정보들의 집합을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이동 경로의 총 길이를 이동 거리로 측정할 수 있다.
이동거리 측정부(143)는 이동 경로의 총 길이가 기 설정된 거리 단위(예를 들어, 100m 등) 마다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거리 측정부(143)는 사용자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여 100m 또는 1 km마다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이동거리 측정부(143)는 이동 경로의 총 길이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목표 거리와 일치하는 순간에 알람을 발생하거나, 이동 경로의 총 길이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목표 거리와 일치하는 지점을 알려주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자의 이동 거리를 주기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최단거리 측정부(144)는 거리 측정 신호에 따라 단말이 이동된 최단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최단거리 측정부(144)는 이동 시작 신호 및 이동 종료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의 초기 위치 및 최종 위치를 각각 산출하고, 초기 위치 및 최종 위치 사이의 최단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소정의 2개 지점 사이의 최단 거리 또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른 이동 거리를 측정하여 제공함으로써, 골프필드에서의 임의의 지점들 사이의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단말은 핀의 위치 등을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각 핀의 위치를 갱신하는 갱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145)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에 따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145)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의 형태는 텍스트 또는 사운드 중 하나 일 수 있다. 정보 제공부(145)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과 대응하여 서버로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회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부(145)는 측정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145)는 홀컵 또는 핀까지의 거리, 홀컵 또는 핀까지의 방향 정보, 홀컵까지의 경사 등과 같은 단순한 측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경사와 관련된 정보는 위치 별로 설정된 경사 정보를 일괄적으로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고 복수의 사용자들의 이동 경로들을 이용하여 지형과 관련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145)는 센서를 통해 획득된 골프장 내의 지형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145)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가 거리의 변화 외에 고도의 변화를 가지는 경우,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이용하여 골프장의 고도 변화를 산출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145)는 풍속, 날씨 정보 등과 같은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145)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외부의 서버 또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인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리더기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145)는 해당 홀에 대한 과거 이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홀에 대한 과거 이력에 대한 정보는 홀에서의 이루어진 플레이에 대한 것으로, 홀에서의 총 타수, 골프 경기에서의 공의 이동 경로, 그린에 올리는 경로 및 힘의 세기, 스윙 자세, 스윙 방법 등을 확률적으로 분석하여 제공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부(145)는 해당 홀의 평균 타수, 스윙 방향에 따른 그린 성공률 정보, 그린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힘의 세기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정보 제공부(145)는 골프장 및 해당 홀에 대한 사용자의 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경기 운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145)는 각 사용자의 골프 능력에 따라 각 사용자가 속하는 사용자 그룹의 홀의 평균 타수, 그린에 올리기까지의 방향 정보, 힘의 세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속하는 사용자 그룹은 골프 능력이 비슷한 사용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사용자의 골프 능력은 수행된 홀의 총 타수 및 평균 타수를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각 사용자의 골프 수행 능력을 고려한 경기 수행에 관련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단말은 핀에 부착된 카메라의 구동을 제어하는 카메라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구동 제어부는 핀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퍼팅에 따른 공의 움직임, 사용자의 스윙 자세를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 구동 제어부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은 단말을 통해서 출력될 수 있다. 타 사용자의 스윙 및 공의 흐름과 관련된 동영상을 제공 받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단말은 사용자가 특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더라도 골프 자세 및 공의 움직임 등을 촬영한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은 골프장의 상황, 특히 핀들의 위치 변화, 핀들의 현재 위치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단말은 핀의 현재 위치를 고려하여 해당 홀의 난이도를 예측하여 해당 홀 내에 있는 제2 단말 그룹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은 이동된 핀의 주변의 그린 상황(경사도 등), 및 핀의 위치에 대한 사용자들의 경기 수행 결과를 기초로 현재 홀의 난이도를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은 각 사용자의 경기 수행 결과를 기초로 각 사용자의 연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팅 성공률이 저조한 사용자에게는 퍼팅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훈련과 관련된 연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비거리가 짧은 사용자에게는 비거리를 높일 수 있는 근력 운동 등의 연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은 핀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핀의 이동 여부에 따라 이동된 핀까지의 거리 정보 및 이동된 핀까지의 방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된 핀이 위치한 그린에 단말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동된 핀이 위치한 그린 안에 있는 경우, 그린 도착 알람을 발생하도록 구현된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된 핀의 현재 위치가 바로 갱신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S110에서는 제1 단말은 제1 핀의 이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제1 핀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제1 핀의 이동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제1 단말은 서버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해 제1 핀의 이동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골프장에 위치한 핀들은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핀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핀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핀은 움직임 감지 신호를 제1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핀으로부터의 움직임 감지 신호에 의해 핀의 최종 위치를 갱신하는 과정까지 수행될 수 있다. 핀의 이동은 핀에 부착된 센서 뿐만 아니라 단말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도 감지될 수 있다. 홀에 위치한 단말들은 핀의 위치가 설정된 것과 다른 경우 핀의 이동을 알리는 신호를 생성하여 서버 또는 리더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제1 단말그룹 또는 제2 단말 그룹 중 하나에 속할 수 있다.
S120에서는 제1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이동 완료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S130에서는 제1 단말은 이동 완료 신호가 입력된 시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측정된 위치를 기준국들로부터 수신한 보정치를 이용하여 측정된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위치를 측정하고 보정하는 과정은 도 2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S140에서는 제1 단말은 측정된 위치로 제1 핀의 위치를 갱신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측정된 위치, 제1 핀}을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제1 핀의 위치를 갱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핀의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에 핀의 위치가 갱신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거리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10에서는 제2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원점 및 측정 거리를 입력 받는다.
S220에서는 제2 단말은 입력된 원점에 대한 위치 변화를 수신할 수 있다. S230에서는 원점에 대한 위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제2 단말은 입력된 원점으로부터의 이동 거리 또는 최단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단말은 이동 거리 또는 최단 거리가 상기 측정 거리와 동일한 경우, 이에 대한 알림을 발생할 수 있다.
S240에서는 제2 단말은 측정된 이동 거리 또는 최단 거리가 입력된 측정 거리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250에서는 제2 단말은 원점으로부터 측정 거리가 되었다는 알림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임의의 지점들 사이의 최단 거리 및 사용자에 의해 이동된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골프 경기, 체육 대회 등과 같이 야외에서 거리를 알고자 하는 경우, 원점 설정 및 거리 측정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2 단말을 통해 그린 위에서의 공에서부터 핀까지의 거리를 매번 측정할 수 있다. 제2 단말은 제1 단말그룹 또는 제2 단말그룹에 속하는 단말을 말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단말에 의해 측정된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들은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 관리 될 수 있다.
S310에서는 제3 단말은 제1 골프장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핀의 현재 위치를 제1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S320에서는 제1 서버는 제1 핀의 현재 위치를 다른 제2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버 및 제2 서버는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는 골프장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는 골프장의 홀들에 대한 정보, 홀들에 포함된 핀의 정보, 각 홀의 핀의 위치 정보, 각 홀의 지형 정보, 각 홀에서의 플레이 정보, 바람에 대한 정보, 온도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제2 서버는 골프장에 대한 정보를 가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버는 골프 플레이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S330에서는 제2 서버는 골프장 내의 각 핀들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서버는 각 핀들의 위치를 필드 이미지 내에서의 대응 위치에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서버는 경기 상황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의 오버랩(overlap) 되는 각 핀들의 위치를 제공하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각 핀들의 위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형식으로 제공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2 서버는 골프 필드와 대응되는 화상 데이터 또는 이미지에 핀과 대응되는 이미지를 중첩시켜 표현할 수 있다.
제2 서버에 의해 생성된 각 핀들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는 제1 단말 그룹 또는 제2 단말 그룹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2 서버에 의해 생성된 각 핀들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는 소정의 데이터 요청에 의해서 전송될 수도 있고, 자동적으로 생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 모자의 캡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은 디스플레이 패널 형태의 출력부 대신에 음성 입력 및 음성 출력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소리를 통해서 데이터를 입력시키고 데이터를 출력시킨다. 단말은 상기의 정보 제공부를 통해 생성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단말은 골프 필드에 대한 정보 외에 사용자의 스윙 템포를 알려주는 사운드를 생성하여 출력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윙 템포에 대한 사운드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홀에서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거나 이전 홀에서 나쁜 경기력을 보여주는 경우에 단말은 스윙 템포에 대한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경기력이 저하될 조건 또는 저하되는 변화가 감지되면, 단말은 각 사용자에게 적합한 스윙 템포에 대한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서버(201), 리더기(300), 제2 단말 그룹(401, 402, 403) 사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서버(201)는 골프장에 있는 하나 이상의 리더기들에 제공되는 데이터 패킷들을 생성한다. 서버(201)는 리더기들과 대응되는 데이터 패킷들을 각각 전송한다. 또는 서버(201)는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리더기는 판독 가능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리더기는 수신한 데이터 패킷을 주변의 단말들, 401, 402, 403에 전달한다. 이때, 리더기는 주변의 단말들을 인지하는 과정 없이 단방향으로 핀에 대한 정보, 골프장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단말(101)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1)은 골프장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901), 홀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902), 핀까지의 거리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903), 위치를 측정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버튼(904), 거리를 측정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버튼(905)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1)은 분할된 하나 이상의 영역들에 각각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되는 각 영역은 정해진 종류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위치 측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GNSS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측정 신호가 입력된 시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핀의 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핀의 번호와 대응되는 제1 핀의 위치를 상기 현재 위치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서버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통해 제2 핀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핀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핀까지의 거리 정보 및 상기 제2 핀까지의 방향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핀이 위치한 그린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핀이 위치한 그린 안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그린 도착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 신호는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 생성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제1 핀의 위치 정보 및 제2 핀의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핀의 위치 정보 및 제2 핀의 위치 정보가 상기 제1 핀 및 제2 핀에 가까이 위치하는 리더기들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들은 각 리더기의 위치에 대응되는 핀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주변에 위치한 단말들로 단방향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
  6. 사용자로부터 위치 측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이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GNSS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측정 신호가 입력된 시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
    상기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핀의 번호를 검색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핀의 번호와 대응되는 제1 핀의 위치를 상기 현재 위치로 갱신하는 갱신부;를 포함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서버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통해 제2 핀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제2 핀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핀까지의 거리 정보 및 상기 제2 핀까지의 방향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2 핀이 위치한 그린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핀이 위치한 그린 안에 있는 경우, 그린 도착 알람을 발생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 신호는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 입력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제1 핀의 위치 정보 및 제2 핀의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 핀의 위치 정보 및 제2 핀의 위치 정보가 상기 제1 핀 및 제2 핀에 가까이 위치하는 리더기들로 각각 전송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9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들은
    각 리더기의 위치에 대응되는 핀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주변에 위치한 단말들로 단방향으로 전송하도록 구현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17749A 2018-02-13 2018-02-13 하나 이상의 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91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749A KR102091153B1 (ko) 2018-02-13 2018-02-13 하나 이상의 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749A KR102091153B1 (ko) 2018-02-13 2018-02-13 하나 이상의 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318A Division KR20200031590A (ko) 2020-03-13 2020-03-13 하나 이상의 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837A true KR20190097837A (ko) 2019-08-21
KR102091153B1 KR102091153B1 (ko) 2020-03-19

Family

ID=67808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749A KR102091153B1 (ko) 2018-02-13 2018-02-13 하나 이상의 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1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5912A (ko) * 2009-04-21 2010-10-29 이관호 골프장 거리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00235A (ko) * 2011-06-22 2013-01-02 (주) 골프존 사용자에 대한 맞춤 연습 환경을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이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서버 및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 연습 환경 제공방법
KR101280870B1 (ko) * 2011-04-13 2013-07-01 미술과조형(주) 골퍼용 핀 거리 음성 출력기
KR101547336B1 (ko) * 2014-05-28 2015-08-25 (주)테슬라시스템 모바일 단말기에 골프 그린의 핀 위치 및 그 주변의 경사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5912A (ko) * 2009-04-21 2010-10-29 이관호 골프장 거리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280870B1 (ko) * 2011-04-13 2013-07-01 미술과조형(주) 골퍼용 핀 거리 음성 출력기
KR20130000235A (ko) * 2011-06-22 2013-01-02 (주) 골프존 사용자에 대한 맞춤 연습 환경을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이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서버 및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 연습 환경 제공방법
KR101547336B1 (ko) * 2014-05-28 2015-08-25 (주)테슬라시스템 모바일 단말기에 골프 그린의 핀 위치 및 그 주변의 경사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153B1 (ko)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566B1 (ko) 로케이션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3차원 로케이션 정보를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187182B2 (en) Sensor fusion for activity identification
US104533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arking availability
US9121711B2 (en) Environmental awareness for improved power consumption and responsiveness in positioning devices
US9197763B2 (en) Overlaying data in an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
US20160192140A1 (en) Methods, apparatuse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viding wireless location service using at least one beacon
KR20160049447A (ko) 지구 자기장을 이용한 동시 로컬리제이션 및 매핑
CN108153320A (zh) 飞行控制方法和支持该方法的电子设备
WO201502561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111813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145689B1 (en) Method and system of pedestrian localization
CN106416396A (zh) 运行位置提供者进程
US10527735B2 (en) Apparatus, method, user terminal apparatus,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easuring position of moving object
JP2021099303A (ja) 粒子フィルタを使用した位置特定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US20140327580A1 (en) Using Measured Angular Coordinates of an Object Relative to a Directional Transceiver
KR101914922B1 (ko) 위치 추정 방법 및 장치
KR102091153B1 (ko) 하나 이상의 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31590A (ko) 하나 이상의 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001083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all location on a sports field
KR102344415B1 (ko) 전자 캐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15099101A (ja) 携帯型測位装置
CN107346010A (zh) 用于定位电子设备所处的区域的方法和装置
US202003807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nd distributing volumetric video
Plangi Real-time Localisation and Tracking System for Navigation Based on Mobile Multi-sensor Fusion
US10349221B1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device processing timeout based loca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