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6684A - 플랜지볼트 전조장치 - Google Patents

플랜지볼트 전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6684A
KR20190096684A KR1020180016416A KR20180016416A KR20190096684A KR 20190096684 A KR20190096684 A KR 20190096684A KR 1020180016416 A KR1020180016416 A KR 1020180016416A KR 20180016416 A KR20180016416 A KR 20180016416A KR 20190096684 A KR20190096684 A KR 20190096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opening
flange bolt
dic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4884B1 (ko
Inventor
박환도
Original Assignee
박환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환도 filed Critical 박환도
Priority to KR1020180016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88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3/00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 B21H3/02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external screw-threads ; Making dies for thread rolling
    • B21H3/06Making by means of profiled members other than rolls, e.g. reciprocating flat dies or jaws, moved longitudinally or curvilinear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9/00Feeding arrangements for rolling machines or apparatus manufacturing article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H9/02Feeding arrangements for rolling machines or apparatus manufacturing article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for screw-roll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지볼트 전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랜지부가 형성된 플랜지볼트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면서 플랜지부가 불량인 제품을 검출하고 이를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하는 플랜지볼트 전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플랜지볼트 전조장치는, 상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플랜지볼트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플랜지볼트 전조장치에 있어서, 플랜지볼트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플랜지볼트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나사형성부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플랜지볼트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플랜지볼트에 형성된 플랜지부가 불량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배출부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플랜지볼트의 플랜지부가 불량으로 감지되면, 상기 개폐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배출부를 폐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랜지볼트 전조장치 { FLANGE BOLT FORM ROLLING APPARATUS }
본 발명은 플랜지볼트 전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랜지부가 형성된 플랜지볼트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면서 플랜지부가 불량인 제품을 검출하고 이를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하는 플랜지볼트 전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조(轉造, component rolling) 가공은, 가공하고자 하는 나사와 동일한 피치(pitch)로 산과 골을 역으로 하여 나사산을 조각한 이동다이스와 고정다이스를 나사 소재의 표면에 압력을 가하면서 소재를 회전시켜 나사산을 성형하는 가공방법이다.
플랜지볼트는 와셔가 붙어 있는 볼트로써, 와셔가 붙어 있어 볼트 머리만으로 조립할 때보다 하중을 더 넓은 면적에 분포시키는 효과가 있다.
플랜지볼트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해, 종래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플랜지볼트를 전조장치에 공급하여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였다.
위와 같은 상기 플랜지볼트에는 와셔 역할을 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플랜지부는 보통 원형과 같은 대칭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간혹 플랜지볼트를 제조할 때 플랜지부가 원형이 아닌 찌그러진 형상을 갖는 불량제품이 제조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플랜지부가 불량인 제품을 검출하지 않게 되면, 불량 플랜지볼트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이를 정상 플랜지볼트와 혼합하여 그대로 배출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02-0074761호 등록특허 제10-117245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플랜지부가 불량인 플랜지볼트를 검출하고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불량 플랜지볼트가 외부로 반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랜지볼트 전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플랜지볼트 전조장치는, 상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플랜지볼트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플랜지볼트 전조장치에 있어서, 플랜지볼트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플랜지볼트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나사형성부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플랜지볼트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플랜지볼트에 형성된 플랜지부가 불량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배출부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플랜지볼트의 플랜지부가 불량으로 감지되면, 상기 개폐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배출부를 폐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형성부는, 고정다이스와; 상기 고정다이스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다이스;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다이스 또는 이동다이스에는 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볼트가 상기 고정다이스와 이동다이스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다이스의 전후 이동에 의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볼트가 상기 고정다이스와 이동다이스 사이에 삽입될 때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고정다이스 및 이동다이스의 상부에 돌출되어 배치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고정다이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다이스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다이스와 이동다이스 사이에서 회전하는 상기 플랜지볼트의 플랜지부를 감지하여 상기 플랜지볼트가 불량인지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이동다이스의 전후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다이스의 상부에 길게 배치되되, 상기 이동다이스에 의한 상기 플랜지볼트의 회전시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감지부에 접촉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랜지부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개폐부재를 작동시킨다.
상기 배출부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측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배출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회전축에 의해 상기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을 회전시키는 개폐작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부가 상기 플랜지부의 불량을 감지하기 전까지 상기 개폐판은 상기 배출부의 하단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감지부가 상기 플랜지부의 불량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작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개폐판이 회전하여 상기 배출부의 하단을 폐쇄하도록 한다.
상기 개폐판이 상기 배출부의 하단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개폐판의 상부는 하부보다 상기 배출부의 상단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개폐판의 상하방향 중심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자유상태에서 상기 개폐판은 상부가 상기 배출부의 상단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개폐판의 하부를 통해 상기 배출부의 하단이 개방된다.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측벽의 바깥쪽에서 회전레버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개폐작동부는, 상기 배출부의 측벽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전동실린더와; 상기 전동실린더를 상기 회전레버에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전동실린더가 후퇴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된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상기 개폐판이 회전하여 상기 배출부의 하단을 폐쇄시킨다.
상기 회전레버는 상기 회전축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동실린더의 후퇴시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변형되면서 신장되고, 탄성변형된 상기 연결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레버가 잡아당겨지면서 상기 회전축 및 개폐판이 회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플랜지볼트 전조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플랜지부가 불량인 플랜지볼트를 검출하고 배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량 플랜지볼트가 외부로 반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볼트 전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볼트 전조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볼트 전조장치의 측단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볼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볼트 전조장치에서 플랜지부가 정상인 경우와 불량인 경우를 비교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재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의 플랜지볼트 전조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플랜지부(71)가 형성된 플랜지볼트(70)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장치로써,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부(10)와, 나사형성부(20)와, 배출부(30)와, 감지부(40)와, 개폐부재(50)와, 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부(10)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미리 제작된 플랜지볼트(70)를 공급한다.
상기 나사형성부(20)는 상기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상기 플랜지볼트(70)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한다.
상기 나사형성부(20)는, 고정다이스(21)와 이동다이스(2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다이스(21)와 이동다이스(22)는 상호 대면하고 있고, 상기 이동다이스(22)는 상기 고정다이스(21)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고정다이스(21) 및/또는 이동다이스(22)에는 사선방향으로 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볼트(70)가 상기 고정다이스(21)와 이동다이스(22)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다이스(22)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플랜지볼트(70)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볼트(70)가 상기 고정다이스(21)와 이동다이스(22) 사이에 삽입되어 나사산을 형성될 때, 상기 플랜지부(71)는 상기 고정다이스(21) 및 이동다이스(22)의 상부에 돌출되어 배치된다.
상기 배출부(30)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나사형성부(20)에 의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플랜지볼트(70)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배출부(30)의 하단에는 별도의 수납용기 등이 배치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플랜지볼트(70)가 수납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배출부(30)는, 바닥면(31)과, 상기 바닥면(31)의 양측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측벽(32)으로 이루어져, 상기 배출부(30)는 대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감지부(40)는 상기 플랜지볼트(70)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부(71)가 불량인지 여부를 감지한다.
이러한 상기 감지부(40)는 상기 고정다이스(21)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다이스(22)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다이스(21)와 이동다이스(22) 사이에서 회전하는 상기 플랜지볼트(70)의 플랜지부(71)를 감지하여 상기 플랜지볼트(70)가 불량인지 아닌지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감지부(4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다이스(22)의 전후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다이스(21)의 상부에서 길게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다이스(22)와 대면하는 상기 고정다이스(21)의 일면과 상기 감지부(40) 사이의 거리는, 정상 플랜지볼트(70)의 플랜지부(71)의 반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볼트(70)에 형성된 플랜지부(71)가 원형이 아닌 어느 한쪽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게 되면, 상기 이동다이스(22)의 전후 이동시 회전하는 상기 플랜지부(71)가 상기 감지부(40)를 터치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감지부(40)는 상기 플랜지볼트(70)의 플랜지부(71)가 불량임을 감지하게 하게 된다.
상기 개폐부재(50)는 상기 배출부(30)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부(30)를 개폐한다.
이러한 상기 개폐부재(50)는, 개폐판(51)과 회전축(52)과 개폐작동부(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판(51)은 상기 배출부(30)의 하단에 배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배출부(30)의 하단을 개폐한다.
상기 회전축(52)은 상기 개폐판(51)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측벽(3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폐판(51)이 상기 측벽(32)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52)에는 상기 측벽(32)의 바깥쪽에서 회전레버(53)가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판(51)이 상기 배출부(30)의 하단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개폐판(51)의 상부는 하부보다 상기 배출부(30)의 상단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52)은 상기 개폐판(51)의 상하방향 중심보다 하부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자유상태에서 상기 개폐판(51)은 상부가 상기 배출부(30)의 상단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개폐판(51)의 하부를 통해 상기 배출부(30)의 하단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개폐작동부(54)는 상기 개폐판(51)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개폐작동부(54)는, 상기 배출부(30)의 측벽(32)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60)와 연결된 전동실린더(55)와, 상기 전동실린더(55)를 상기 회전레버(53)에 연결하는 연결부재(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동실린더(55)는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 그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56)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56)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레버(53)는 상기 회전축(52)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동실린더(55)의 후퇴시 상기 연결부재(56)는 탄성변형되면서 신장되고, 탄성변형된 상기 연결부재(5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레버(53)가 잡아당겨지면서 상기 회전축(52) 및 개폐판(51)이 회전된다.
특히, 상기 연결부재(56)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전동실린더(55)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게 되면, 신장된 상기 연결부재(5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전동실린더(55)는 그 길이가 늘어나면서 원상태로 자동 복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개폐판(51)은 역회전하여 상기 배출부(30)의 하단이 개방된 상태가 전환되게 된다.
상기 감지부(40)가 상기 플랜지부(71)의 불량을 감지하기 전까지 상기 개폐판(51)은 상기 배출부(30)의 하단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감지부(40)가 상기 플랜지부(71)의 불량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개폐작동부(54)를 작동시켜 상기 개폐판(51)이 회전하여 상기 배출부(30)의 하단을 폐쇄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감지부(40)에 의해 상기 플랜지볼트(70)의 플랜지부(71)가 불량으로 감지되면, 상기 개폐부재(50)를 작동시켜 상기 배출부(30)를 폐쇄시킨다.
즉, 상기 이동다이스(22)에 의한 상기 플랜지볼트(70)의 회전시 상기 플랜지부(71)가 상기 감지부(40)에 접촉되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플랜지부(71)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개폐부재(50)의 상기 전동실린더(55)에 전원을 공급하여 후퇴하게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연결부재(56)를 통해 연결된 상기 회전축(52)이 회전하면서 상기 개폐판(51)이 회전하여 상기 배출부(30)의 하단을 폐쇄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배출부(30)를 통해 배출되는 불량의 플랜지볼트(70)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플랜지볼트(70)의 플랜지부(71)가 정상인 경우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71)는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볼트(70)의 플랜지부(71)가 잘못 제작되어 불량인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71)는 원형이 아닌 외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나사형성부(20)에 투입된 플랜지볼트(70)는 상기 이동다이스(22)의 전후 이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게 된다.
정상의 플랜지볼트(70)가 상기 나사형성부(20)에 투입될 경우, 도 5(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볼트(70)가 상부에서 하부로 회전하여 이동할 때, 상기 플랜지부(71)가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감지부(40)를 터치하지 않게 된다.
이때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판(51)의 하부가 상기 배출부(30)의 하단을 개방하고 있어,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플랜지볼트(70)가 상기 배출부(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플랜지부(71)가 불량인 플랜지볼트(70)가 상기 나사형성부(20)에 투입될 경우에는, 도 5(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볼트(70)가 상부에서 하부로 회전하여 이동할 때, 상기 플랜지부(71)가 원형이 아니고 외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플랜지부(71)의 회전시 상기 감지부(40)를 터치하게 된다.
불량의 상기 플랜지부(71)가 상기 감지부(40)를 터치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개폐부재(50)에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시킨다.
즉,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상기 전동실린더(55)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동실린더(55)는 후퇴하면서 상기 연결부재(56)를 잡아당기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회전레버(53) 및 회전축(52)은 회전하면서 상기 개폐판(51)이 상기 배출부(30)의 하단을 폐쇄시키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알람 등을 통해, 작업자에게 이를 알리도록 한다.
따라서, 불량의 상기 플랜지볼트(70)가 상기 배출부(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플랜지부(71)가 불량인 플랜지볼트(70)를 검출하여, 불량 플랜지볼트(70)가 외부로 반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플랜지볼트 전조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공급부, 20 : 나사형성부, 21 : 고정다이스, 22 : 이동다이스,
30 : 배출부, 31 : 바닥면, 32 : 측벽,
40 : 감지부,
50 : 개폐부재, 51 : 개폐판, 52 : 회전축, 53 : 회전레버, 54 : 개폐작동부, 55 : 전동실린더, 56 : 연결부재,
60 : 제어부,
70 : 플랜지볼트, 71 : 플랜지부.

Claims (7)

  1. 상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플랜지볼트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플랜지볼트 전조장치에 있어서,
    플랜지볼트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플랜지볼트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나사형성부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플랜지볼트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플랜지볼트에 형성된 플랜지부가 불량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배출부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플랜지볼트의 플랜지부가 불량으로 감지되면, 상기 개폐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배출부를 폐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볼트 전조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나사형성부는,
    고정다이스와;
    상기 고정다이스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다이스;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다이스 또는 이동다이스에는 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볼트가 상기 고정다이스와 이동다이스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다이스의 전후 이동에 의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볼트가 상기 고정다이스와 이동다이스 사이에 삽입될 때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고정다이스 및 이동다이스의 상부에 돌출되어 배치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고정다이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다이스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다이스와 이동다이스 사이에서 회전하는 상기 플랜지볼트의 플랜지부를 감지하여 상기 플랜지볼트가 불량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볼트 전조장치.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이동다이스의 전후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다이스의 상부에 길게 배치되되,
    상기 이동다이스에 의한 상기 플랜지볼트의 회전시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감지부에 접촉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랜지부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개폐부재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볼트 전조장치.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측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배출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회전축에 의해 상기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을 회전시키는 개폐작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부가 상기 플랜지부의 불량을 감지하기 전까지 상기 개폐판은 상기 배출부의 하단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감지부가 상기 플랜지부의 불량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작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개폐판이 회전하여 상기 배출부의 하단을 폐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볼트 전조장치.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이 상기 배출부의 하단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개폐판의 상부는 하부보다 상기 배출부의 상단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개폐판의 상하방향 중심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자유상태에서 상기 개폐판은 상부가 상기 배출부의 상단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개폐판의 하부를 통해 상기 배출부의 하단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볼트 전조장치.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측벽의 바깥쪽에서 회전레버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개폐작동부는,
    상기 배출부의 측벽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전동실린더와;
    상기 전동실린더를 상기 회전레버에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전동실린더가 후퇴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된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상기 개폐판이 회전하여 상기 배출부의 하단을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볼트 전조장치.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는 상기 회전축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동실린더의 후퇴시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변형되면서 신장되고, 탄성변형된 상기 연결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레버가 잡아당겨지면서 상기 회전축 및 개폐판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볼트 전조장치.
KR1020180016416A 2018-02-09 2018-02-09 플랜지볼트 전조장치 KR102034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416A KR102034884B1 (ko) 2018-02-09 2018-02-09 플랜지볼트 전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416A KR102034884B1 (ko) 2018-02-09 2018-02-09 플랜지볼트 전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684A true KR20190096684A (ko) 2019-08-20
KR102034884B1 KR102034884B1 (ko) 2019-10-21

Family

ID=6780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416A KR102034884B1 (ko) 2018-02-09 2018-02-09 플랜지볼트 전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8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69490A (zh) * 2019-12-27 2020-04-28 浙江群展精密紧固件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电子元件用小螺栓高精度螺纹加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183Y1 (ko) * 1989-11-08 1992-06-22 선일기계 주식회사 볼트가공 장치용 로링(Rolling)불량 검출 장치
KR20020074761A (ko) 2001-03-21 2002-10-04 효동기계공업 주식회사 전조 가공기계의 트러블 방지장치
KR101172459B1 (ko) 2012-06-07 2012-08-09 지석영 볼트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183Y1 (ko) * 1989-11-08 1992-06-22 선일기계 주식회사 볼트가공 장치용 로링(Rolling)불량 검출 장치
KR20020074761A (ko) 2001-03-21 2002-10-04 효동기계공업 주식회사 전조 가공기계의 트러블 방지장치
KR101172459B1 (ko) 2012-06-07 2012-08-09 지석영 볼트선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69490A (zh) * 2019-12-27 2020-04-28 浙江群展精密紧固件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电子元件用小螺栓高精度螺纹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884B1 (ko)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4884B1 (ko) 플랜지볼트 전조장치
US11286696B2 (en) Tailgate latch assembly for vehicle
US4681202A (en) Apparatus for the safety stoppage of mechanically moved tools, particularly automatic welding guns
US200401626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riction agitation processing
JP2001319549A (ja) 操作キー装置およびドアスイッチ
JP2006055797A (ja) 粉砕機
CN103303324A (zh) 一种底门开闭机构和底开门铁路货车
US1193376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of a torsional material testing system based on operational states of the torsional material testing system
JPH06320288A (ja) ウエルドナットの溶接方法
WO2005113191A1 (ja) 旋回式クランプ
JP7401297B2 (ja) バランサの異常検出システム及びバランサの異常検出方法
JPS587439B2 (ja) 衝突安全装置
KR101937914B1 (ko) 복합 도어 센서
JP2003348870A (ja) 誤動作防止機能付モータ制御システム
JPS6348039Y2 (ko)
CN208453352U (zh) 一种瓶托入盒检测装置
CN115067367B (zh) 一种蛋类食品加工的机器人
KR102158991B1 (ko) 자동순환식 너트탭 제조장치
CN220312016U (zh) 一种用于线切割落料保护的触发装置
CN110911186A (zh) 一种改良的旋转开关操作机构
JP7422975B2 (ja) プロジェクションナットの供給ロッド装置
JPS6037164Y2 (ja) 自動溶接装置
JP7050529B2 (ja) 射出成形機及び産業機械用モータ駆動装置
KR101938071B1 (ko) 충돌방지장치
CN111659501B (zh) 一种矿石破碎粉碎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