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6556A - 강연선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강연선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6556A
KR20190096556A KR1020180016144A KR20180016144A KR20190096556A KR 20190096556 A KR20190096556 A KR 20190096556A KR 1020180016144 A KR1020180016144 A KR 1020180016144A KR 20180016144 A KR20180016144 A KR 20180016144A KR 20190096556 A KR20190096556 A KR 20190096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trand
upper roller
support block
sid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1038B1 (ko
Inventor
박길미
Original Assignee
박길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길미 filed Critical 박길미
Priority to KR1020180016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038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이격 배치된 두 측판(100); 원통형의 하부바디(210), 그리고 상기 하부바디(210)의 양측면 중앙으로 돌출되는 하부회전축(220)을 포함하고, 상기 두 측판(10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하부롤러(200); 원통형의 상부바디(310), 그리고 상기 상부바디(310)의 양측면 중앙으로 돌출되는 상부회전축(320)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롤러(20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두 측판(10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롤러(300); 상기 상부롤러(300)의 양측 상부회전축(32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롤러(3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블록(400); 상기 지지블록(400)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두 측판(100)의 상부에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된 활주공간부(110); 상기 상부롤러(300)를 상기 하부롤러(200)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500); 및 상기 하부롤러(200) 또는 상기 상부롤러(300), 또는 이들 모두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600);를 포함하는 강연선 삽입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강연선 삽입장치{Strand insertion device}
본 발명은 강연선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 도입용 강연선을 삽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에는 구조물 내부에 다량의 철근을 배치하여 바람이나 진동, 지진 발생시에 콘크리트 구조물이 쉽게 파괴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더 나아가 교량상판이나 교각과 같이 높은 하중이 작용하고 고속으로 진행하는 차량으로 인해 심한 진동이 반복적으로 작용되는 구조물의 경우에는 보다 적극적인 파괴대책을 사용하고 있다. 즉, 구조물의 내부에 다수의 빈홀이 형성되도록 양생시킨 후에 높은 인장강도를 갖는 PC강연선(prestressing strand)을 삽입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PC강연선은 보통 PC강선(prestressing wire)을 여러 가닥을 꼬아서 만들어지므로 상당한 직경을 이루고 작업자가 수작업하기에는 무게가 무거우므로 상기 PC강연선을 콘크리트 구조물에 자동으로 삽입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한편, 상기한 요구에 따라 개발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0562호(2010.07.08. 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에 "강선 삽입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프레임에 결합되는 유압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상기 프레임에 양단부가 지지되어 회전되되, 동력전달을 위한 치형구간과 인접하여 강선이 놓일 강선홈이 형성되는 다수의 프레임측 종동기어와; 상기 프레임 상단부에 설치되며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작동바아와; 상단부는 상기 작동바아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프레임측 종동기어가 삽입되는 제1샤프트에 연결되되, 이격거리를 두고서 2개가 한쌍을 이루게 되는 다수의 회동브라켓과; 상기 회동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며 치형구간을 구비하고 이에 이웃하여 강선홈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측 종동기어와 맞물리게 되는 브라켓측 종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강선을 강제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삽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작동바아를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강선의 직경에 맞추어 프레임측 종동기어와 브라켓측 종동기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강선의 직경에 따라 작업자가 일일이 작동바아를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0562호(2010.07.08.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 도입용 강연선을 자동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되, 다양한 직경의 강연선을 원활하고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 강연선 삽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 삽입장치는, 상호 이격 배치된 두 측판; 양측면 중앙으로 돌출되는 회전축을 갖고, 상기 두 측판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하부롤러; 양측면 중앙으로 돌출되는 회전축을 갖고, 상기 하부롤러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두 측판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롤러; 상기 상부롤러의 양측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블록; 상기 지지블록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두 측판의 상부에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된 활주공간부; 상기 상부롤러를 상기 하부롤러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 및 상기 하부롤러 또는 상기 상부롤러, 또는 이들 모두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블록의 전면과 후면에는 상기 활주공간부의 전방 내벽과 후방 내벽이 각각 진입하게 되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활주공간부는 상기 측판에 상방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판의 상면에는 상기 활주공간부의 상측을 폐쇄하는 차단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블록의 상면에는 상기 차단부재를 관통하여 상하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바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지지블록과 상기 차단부재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가이드바의 외측에 끼워진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롤러에는 외주연을 따라 요입되어 강연선의 하부 표면과 접하게 되는 하부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롤러에는 외주연을 따라 요입되어 강연선의 상부 표면과 접하게 되는 상부안착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롤러는 둘 이상이 구비되어 전후로 이격되게 배열되고, 상기 상부롤러는 둘 이상이 구비되어 전후로 이격되게 배열되며, 상기 지지블록과 상기 활주공간부는 각각 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각 상부롤러와 상응하게 배열되고, 상기 구동부는 각각의 샤프트가 상기 각 상부롤러의 일측 회전축에 연결되도록 상기 각 지지블록에 고정된 둘 이상의 상부모터; 샤프트가 상기 각 하부롤러 중 어느 한 하부롤러의 일측 회전축에 연결되도록 상기 측판에 고정된 하부모터; 상기 각 하부롤러의 타측 회전축에 각각 결합된 둘 이상의 원통기어; 및 상기 각 원통기어 중 상호 인접한 두 원통기어와 맞물리어 상기 두 원통기어 간에 동력을 전달하는 중계기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의 양측면에 각각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두 측판의 사이에 두 측판을 전후로 가로지르도록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하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의 사이를 지나는 강연선의 양측부를 지지하게 되는 두 내부가이드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두 측판의 전방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하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의 사이로 진입되는 강연선의 양측부를 각각 지지하게 되는 두 측부가이드; 및 상기 두 측부가이드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두 측판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의 사이로 진입되는 강연선의 하부를 지지하게 되는 하부가이드;가 구비되되, 상기 두 측부가이드와 상기 하부가이드는 이들이 이루는 내측 공간의 면적이 전방을 향하여 확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하부롤러와 상부롤러에 의해 강연선이 자동으로 삽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롤러가 지지블록과 활주공간부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스프링에 의해 강연선에 대한 가압력이 유지됨으로써 다양한 직경의 강연선을 원활하고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연선 삽입장치의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연선 삽입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연선 삽입장치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연선 삽입장치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연선 삽입장치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연선 삽입장치에 강연선이 진입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연선 삽입장치는 크게 측판(100), 하부롤러(200), 상부롤러(300), 지지블록(400), 스프링(500) 및 구동부(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측판(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두 개가 구비되어 상호 이격 배치된다. 두 측판(100)의 상부에는 지지블록(400)이 끼워지는 활주공간부(110)가 형성된다. 활주공간부(110)는 지지블록(400)이 활주공간부(110) 내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두 측판(100)이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두 측판(100)의 하단부에는 두 측판(100)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판(1200)이 결합되고, 두 측판(100)의 상단부에는 두 측판(10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지지대(1300)가 결합된다. 상기 지지대(1300)는 기다란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둘 이상이 구비되어 두 측판(100)의 상단부 사이에 군데군데 배치될 수 있다.
하부롤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하부바디(210), 그리고 상기 하부바디(210)의 양측면 중앙으로 돌출되는 하부회전축(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두 측판(10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부회전축(220)은 하부바디(210)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그 양단부가 하부바디(210)의 양측면 중앙으로 돌출된다. 하부롤러(200)는 하부회전축(220)의 양단부가 두 측판(100)에 각각 설치된 베어링에 삽입됨에 따라 두 측판(10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롤러(200)는 둘 이상이 구비되어 전후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롤러(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상부바디(310), 그리고 상기 상부바디(310)의 양측면 중앙으로 돌출되는 상부회전축(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하부롤러(20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두 측판(10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회전축(320)은 상부바디(310)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그 양단부가 상부바디(310)의 양측면 중앙으로 돌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롤러(300)는 둘 이상이 구비되어 전후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부롤러(300)는 각 하부롤러(200)와 상응하게 배열된다. 즉, 각 상부롤러(300)는 각 하부롤러(200)와 동일한 개수가 구비되어 하부롤러(200)와 동일한 간격을 이루며 배열된다.
하부롤러(200)와 상부롤러(300)는 후술될 구동부(600)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롤러(200)와 상부롤러(300)의 사이로 진입된 강연선(10)을 후방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하부롤러(200)와 상부롤러(300)가 강연선(10)과 원활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하부롤러(200)의 하부바디(210)와 상부롤러(300)의 상부바디(31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바디(210)에는 이의 외주연을 따라 요입되어 강연선(10)의 하부 표면과 접하게 되는 하부안착홈(230)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바디(310)에는 이의 외주연을 따라 요입되어 강연선(10)의 상부 표면과 접하게 되는 상부안착홈(330)이 형성된다.
지지블록(400)은 상부롤러(300)의 양측 상부회전축(320)에 각각 결합된다. 지지블록(400)은 두 측판(100)의 활주공간부(110)에 끼워져 활주공간부(110) 내에서 상하로 이동된다. 지지블록(400)의 내측에는 베어링이 장착된다. 상부롤러(300)는 이의 상부회전축(320)이 상기 베어링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블록(400)에 의해 두 측판(100)의 사이에서 회전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블록(400)이 활주공간부(110)를 따라 원활하게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블록(400)의 전면과 후면에는 활주공간부(110)의 전방 내벽(111)과 후방 내벽(112)이 각각 진입하게 되는 걸림홈(41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410)은 지지블록(400)의 전면과 후면의 중앙에 상하로 연장되게 요입 형성되며, 이에 따라 지지블록(400)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凹"와 형상을 갖게 된다. 이때 활주공간부(110)는 지지블록(400)이 활주공간부(110)의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진입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측판(100)에 상방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측판(100)의 상면에는 지지블록(400)을 활주공간부(110)에 삽입한 후 활주공간부(110)의 상측을 폐쇄하기 위한 차단부재(700)가 결합된다.
한편, 각 측판(100)에 구비되는 지지블록(400)과 활주공간부(110)는 상부롤러(300)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즉, 각 측판(100)에 구비되는 지지블록(400)과 활주공간부(110)는 각각 둘 이상이 구비되어 각 상부롤러(300)와 상응하게 배열된다.
스프링(500)은 상부롤러(300)를 하부롤러(200)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스프링(500)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지지블록(400)과 차단부재(700)의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상부롤러(300)를 하부롤러(200) 측으로 가압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때 스프링(5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지지블록(400)이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블록(400)의 상면에는 차단부재(700)를 관통하여 상하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바(800)가 결합되고, 스프링(500)은 지지블록(400)과 차단부재(700)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가이드바(800)의 외측에 끼워진다. 스프링(500)은 상술한 구조 외에도 인장코일스프링을 이용하여 상부롤러(300)를 하측으로 당기게 하는 등, 상부롤러(300)를 하부롤러(20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600)는 하부롤러(200)와 상부롤러(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모터(610)와, 하부모터(620)와, 원통기어(630)와, 중계기어(6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부모터(610)는 둘 이상이 구비되어 각 상부롤러(300)에 각각 연결된다. 각 상부모터(610)는 각 지지블록(400)에 설치된 상부브래킷(1400)에 결합됨에 따라 각 지지블록(400)에 고정되고, 각 상부모터(610)의 샤프트는 각 상부롤러(300)의 일측 상부회전축(320)에 연결된다.
하부모터(620)는 하나가 구비되어 각 하부롤러(200) 중 어느 한 하부롤러(200)에 연결된다. 하부모터(620)는 일측 측판(100)에 설치된 하부브래킷(1500)에 결합됨에 따라 일측 측판(100)에 고정되고, 하부모터(620)의 샤프트는 각 하부롤러(200) 중 어느 한 하부롤러(200)의 일측 하부회전축(210)에 연결된다.
원통기어(630)는 스퍼기어나 헬리컬기어와 같은 원통형의 기어로 이루어지며, 둘 이상이 구비되어 각 하부롤러(200)의 타측 회전축(210)에 각각 결합된다.
중계기어(640)는 각 원통기어(630) 중 상호 인접한 두 원통기어(630)와 맞물리도록 타측 측판(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중계기어(6450)는 상호 인접한 두 원통기어(630) 간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결국, 상기 구동부(600)에 의하면, 각 하부롤러(200)는 원통기어(630)와 중계기어(640)에 의해 상호 연결됨에 따라 하나의 하부모터(620)에 의해 모두 회전하게 되고, 각 상부롤러(300)는 각각에 상부모터(610)가 독립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600)는 하부롤러(200)와 상부롤러(300) 모두를 회전시키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지지만, 필요에 따라 구동부(600)는 각 하부롤러(200)만을 회전시키게 되거나 각 상부롤러(300)만을 회전시키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가이드(900)는 기다란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며, 두 개가 구비되어 두 측판(100)에서 상호 마주하는 내측면에 각각 인접하게 설치된다. 이때 두 내부가이드(900)는 두 측판(100)의 사이에 두 측판(100)을 전후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되며, 하부롤러(200)의 하부바디(210)와 상부롤러(300)의 상부바디(310)의 양측면에 각각 근접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두 내부가이드(900)는 하부롤러(200)와 상부롤러(300)의 사이를 지나는 강연선(10)이 측방으로 유동될 때에 강연선(10)의 양측부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강연선(10)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게 한다.
측부가이드(1000)는 두 개가 구비되며, 두 측판(100)의 전방에 각각 설치되어 하부롤러(200)와 상부롤러(300)의 사이로 진입되는 강연선(10)의 양측부를 각각 지지하게 된다.
하부가이드(1100)는 두 측부가이드(100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두 측판(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하부롤러(200)와 상부롤러(300)의 사이로 진입되는 강연선(1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두 측부가이드(1000)와 하부가이드(1100)는 금속판재를 절곡하여 제작된다. 이때 두 측부가이드(1000)와 하부가이드(1100)는 이들이 이루는 내측 공간의 면적이 전방을 향하여 확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두 측부가이드(1000)와 하부가이드(1100)는 강연선(10)을 하부롤러(200)와 상부롤러(300)의 사이로 유도함으로써 강연선(10)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강연선 삽입장치는, 구동부(600)에 의해 회전되는 하부롤러(200)와 상부롤러(300)에 의해 강연선(10)이 자동으로 삽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롤러(300)가 지지블록(400)과 활주공간부(110)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스프링(500)에 의해 강연선(10)에 대한 가압력이 유지됨으로써 다양한 직경의 강연선(10)을 원활하고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강연선 삽입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측판 110 ; 활주공간부
200 ; 하부롤러 210 ; 하부바디
220 ; 하부회전축 230 ; 하부안착홈
300 ; 상부롤러 310 ; 상부바디
320 ; 상부회전축 330 ; 상부안착홈
400 ; 지지블록 410 ; 걸림홈
500 ; 스프링 600 ; 구동부
610 ; 상부모터 620 ; 하부모터
630 ; 원통기어 640 ; 중계기어
700 ; 차단부재 800 ; 가이드바
900 ; 내부가이드 1000 ; 측부가이드
1100 ; 하부가이드 1200 ; 하판
1300 ; 지지대 1400 ; 상부브래킷
1500 ; 하부브래킷

Claims (7)

  1. 상호 이격 배치된 두 측판(100);
    원통형의 하부바디(210), 그리고 상기 하부바디(210)의 양측면 중앙으로 돌출되는 하부회전축(220)을 포함하고, 상기 두 측판(10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하부롤러(200);
    원통형의 상부바디(310), 그리고 상기 상부바디(310)의 양측면 중앙으로 돌출되는 상부회전축(320)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롤러(20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두 측판(10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롤러(300);
    상기 상부롤러(300)의 양측 상부회전축(32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롤러(3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블록(400);
    상기 지지블록(400)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두 측판(100)의 상부에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된 활주공간부(110);
    상기 상부롤러(300)를 상기 하부롤러(200)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500); 및
    상기 하부롤러(200) 또는 상기 상부롤러(300), 또는 이들 모두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삽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400)의 전면과 후면에는 상기 활주공간부(110)의 전방 내벽과 후방 내벽이 각각 진입하게 되는 걸림홈(4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삽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공간부(110)는 상기 측판(100)에 상방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판(100)의 상면에는 상기 활주공간부(110)의 상측을 폐쇄하는 차단부재(700)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블록(400)의 상면에는 상기 차단부재(700)를 관통하여 상하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바(800)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500)은 상기 지지블록(400)과 상기 차단부재(700)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가이드바(800)의 외측에 끼워진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삽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롤러(200)의 하부바디(210)와 상기 상부롤러(300)의 상부바디(31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바디(210)에는 외주연을 따라 요입되어 강연선(10)의 하부 표면과 접하게 되는 하부안착홈(230)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바디(310)에는 외주연을 따라 요입되어 강연선(10)의 상부 표면과 접하게 되는 상부안착홈(3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삽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롤러(200)는 둘 이상이 구비되어 전후로 이격되게 배열되고,
    상기 상부롤러(300)는 둘 이상이 구비되어 전후로 이격되게 배열되며,
    상기 지지블록(400)과 상기 활주공간부(110)는 각각 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각 상부롤러(300)와 상응하게 배열되고,
    상기 구동부(600)는
    각각의 샤프트가 상기 각 상부롤러(300)의 일측 상부회전축(320)에 연결되도록 상기 각 지지블록(400)에 고정된 둘 이상의 상부모터(610);
    샤프트가 상기 각 하부롤러(200) 중 어느 한 하부롤러(200)의 일측 하부회전축(220)에 연결되도록 상기 측판(100)에 고정된 하부모터(620);
    상기 각 하부롤러(200)의 타측 하부회전축(210)에 각각 결합된 둘 이상의 원통기어(630); 및
    상기 각 원통기어(630) 중 상호 인접한 두 원통기어(630)와 맞물리어 상기 두 원통기어(630) 간에 동력을 전달하는 중계기어(6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삽입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롤러(200)의 하부바디(210)와 상기 상부롤러(300)의 상부바디(310)의 양측면에 각각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두 측판(100)의 사이에 두 측판(100)을 전후로 가로지르도록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하부롤러(200)와 상기 상부롤러(300)의 사이를 지나는 강연선(10)의 양측부를 지지하게 되는 두 내부가이드(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삽입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측판(100)의 전방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하부롤러(200)와 상기 상부롤러(300)의 사이로 진입되는 강연선(10)의 양측부를 각각 지지하게 되는 두 측부가이드(1000); 및
    상기 두 측부가이드(100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두 측판(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롤러(200)와 상기 상부롤러(300)의 사이로 진입되는 강연선(1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되는 하부가이드(1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두 측부가이드(1000)와 상기 하부가이드(1100)는 이들이 이루는 내측 공간의 면적이 전방을 향하여 확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삽입장치.
KR1020180016144A 2018-02-09 2018-02-09 강연선 삽입장치 KR102131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144A KR102131038B1 (ko) 2018-02-09 2018-02-09 강연선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144A KR102131038B1 (ko) 2018-02-09 2018-02-09 강연선 삽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556A true KR20190096556A (ko) 2019-08-20
KR102131038B1 KR102131038B1 (ko) 2020-07-07

Family

ID=67807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144A KR102131038B1 (ko) 2018-02-09 2018-02-09 강연선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0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2609A (ko) * 2021-08-09 2023-02-16 박길미 강연선 삽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4139A (ja) * 1996-08-12 1998-02-24 Kumagai Gumi Co Ltd Pcケーブル送り出し装置
KR100970562B1 (ko) 2008-06-05 2010-07-16 심상신 강선 삽입장치
JP2011089368A (ja) * 2009-10-26 2011-05-06 Shimizu Corp Pc鋼線挿入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4139A (ja) * 1996-08-12 1998-02-24 Kumagai Gumi Co Ltd Pcケーブル送り出し装置
KR100970562B1 (ko) 2008-06-05 2010-07-16 심상신 강선 삽입장치
JP2011089368A (ja) * 2009-10-26 2011-05-06 Shimizu Corp Pc鋼線挿入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2609A (ko) * 2021-08-09 2023-02-16 박길미 강연선 삽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038B1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0156B1 (de) Aufzug mit riemenartigem Übertragungsmittel, insbesondere mit Keilrippenriemen, als Tragmittel und/oder Treibmittel
EP1347931B1 (de) Getriebeloser seilaufzug mit doppelt umschlungenen treibscheibenantrieb
EP0841283B1 (de) Aufzugsanlage mit im Aufzugsschacht angeordneter Antriebseinheit
EP1640308A2 (de) Anordnung von Antriebsmaschine einer Aufzuganlage
DE29924747U1 (de) Aufzugsystem mit Antriebsmotor zwischen Aufzugfahrkorb und Aufzugschacht-Seitenwand
EP3681835B1 (de) Aufzugsystem
EP1700809A1 (de) Aufzuganlage
EP2216107A1 (de) Antriebssystem für ein Walzwerk, insbesondere für ein Kaltpilgerwalzwerk
KR20190096556A (ko) 강연선 삽입장치
AT512898A4 (de) Richtrolleneinheit
DE3303574C1 (de) Vibrationsramme
DE102011001886B4 (de) Schlauchhaspelmaschine
KR102607837B1 (ko) 강연선 삽입장치
CN105772608B (zh) 一种电力施工用钢筋框的加工方法
KR100970562B1 (ko) 강선 삽입장치
KR20110126890A (ko) 강선 삽입기
EP2460755B1 (de) Hebevorrichtung, insbesondere Aufzug oder Hebebühne
EP1566358A1 (de) Triebwerksraumloser Treibscheibenaufzug
KR102591792B1 (ko) 강관 삽입 시스템
EP1630119A1 (de) Seilfixpunkt für Aufzug
EP1531139A1 (de) Maschinenrahmenlose Antriebseinheit für einen Aufzug
EP1867597B1 (de) Aufzug
CN215614693U (zh) 钢筋矫直装置及网片生产线
EP2303751B1 (de) Aufzuganlage mit selbstfahrendem gegengewicht
KR101466209B1 (ko) 강연선 삽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