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5315A -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5315A
KR20190095315A KR1020197018634A KR20197018634A KR20190095315A KR 20190095315 A KR20190095315 A KR 20190095315A KR 1020197018634 A KR1020197018634 A KR 1020197018634A KR 20197018634 A KR20197018634 A KR 20197018634A KR 20190095315 A KR20190095315 A KR 20190095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carrier
uplink data
base station
uplink
phys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0068B1 (ko
Inventor
타카시 요시모토
준고 고토
오사무 나카무라
야스히로 하마구치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5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6Acquisition of further OFDM parameters, e.g. bandwidth, subcarrier spacing, or guard interval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25Numerology, i.e. varying one or more of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 Fourier transform size, sampling rate or down-c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이며, OFDM 신호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OFDM 신호를 사용하여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을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상기 OFDM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을 맵핑한 서브캐리어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의 송신 전력을 설정한다.

Description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본 발명은,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그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7년 1월 5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7-000506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3GPP(The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사양화된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베이스로 한 무선 멀티플 액세스가 채용된다(OFDMA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라 부른다). OFDM은, CP(Cyclic Prefix)를 삽입함으로써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 채널에 있어서, 신호의 주기성을 유지할 수 있다. LTE에 있어서의 OFDMA에서는, 기지국 장치는, 동일한 서브캐리어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서브캐리어를 사용하여, 셀 내의 모든 단말 장치와 통신을 행하기 때문에, 서브캐리어간의 직교성이 유지된다.
3GPP에서는, OFDMA를 사용한 제5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5G)의 멀티플 액세스의 검토도 행해지고 있다. 5G에서는, 높은 주파수 이용 효율로 대용량 통신을 행하는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와, 다수 단말기를 수용하는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와, 고신뢰성의 저지연 통신을 실현하는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라는 3개의 유스 케이스의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는 무선 멀티플 액세스의 사양화가 진행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이 때문에, 5G에 있어서의 OFDMA에서는, 각 유스 케이스에 적합한 OFDM 심볼 길이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uRLLC에 사용하는 OFDM 심볼 길이는, eMBB에 사용하는 OFDM 심볼 길이보다도 짧게 함으로써, 저지연의 통신을 실현한다. OFDM 심볼 길이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비특허문헌 2).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Study on Scenarios and Requirements for Next Generation Access Technologies; (Release 14)" 3GPP TR 38.913 v14.0.0 (2016-10) R1-167529, 3GPP TSG RAN WG1 Meeting #86, Gothenburg, Sweden, 22nd-26th August 2016
그러나, OFDM에 있어서, 서브캐리어 간격이 상이하면, 각 서브캐리어의 사이드로브가 상이하다. 또한, 통신을 행하는 주파수 밴드에 따라,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기지국 장치와 단말 장치가 통신을 행하는 무선 멀티플 액세스에서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변화됨으로써, 대역외 복사나 인접 채널에 영향을 주는 간섭 등이 상이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한 무선 멀티플 액세스에 의해 기지국 장치와 단말 장치가 통신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서브캐리어 간격이 상이한 것에 의한 대역외 복사나 인접 채널에 영향을 주는 간섭 등을 유연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기지국 장치와 통신을 하는 단말 장치이며, OFDM 신호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OFDM 신호를 사용하여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을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상기 OFDM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을 맵핑한 서브캐리어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의 송신 전력을 설정한다.
(2)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의 송신 전력은, 적어도 목표 수신 전력값과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이 맵핑되는 리소스 블록의 수에 의해 정해지는 제1 보정값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상기 리소스 블록은, 복수의 서브캐리어와 복수의 OFDM 심볼로부터 일의로 정해지는 무선 리소스의 영역이며, 상기 목표 수신 전력값은,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이 맵핑되는 리소스 블록에 포함되는 서브캐리어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3)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이 맵핑되는 리소스 블록에 포함되는 서브캐리어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포함되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에 대하여 N배인 경우, 상기 목표 수신 전력값은,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이 제1 서브캐리어 간격으로 서브캐리어가 배치된 리소스 블록에 맵핑된 경우의 1/N으로 설정된다.
(4)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기 수신부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의 송신 전력은, 적어도 목표 수신 전력값과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이 맵핑되는 리소스 블록의 수에 의해 정해지는 제1 보정값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상기 리소스 블록은, 복수의 서브캐리어와 복수의 OFDM 심볼로부터 일의로 정해지는 무선 리소스의 영역이며, 상기 하향 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의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서브캐리어 간격마다,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와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의 송신 전력에 대한 제2 보정값을 관련짓는 테이블을 갖는다.
(5)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기 송신부는,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을 복수의 주파수 밴드에 있어서의 서브캐리어에 맵핑하고, 상기 주파수 밴드마다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2 보정값은,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전력의 증감폭이 설정되어 있다.
(6)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기 송신부는,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이 할당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2 보정값을 초깃값으로 한다.
(7)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기 송신부는, 상기 목표 수신 전력값의 기준이 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보정값을 설정한다.
(8)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보정값의 기준이 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보정값을 설정한다.
(9)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기 송신부는,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의 송신 전력이 최대 송신 전력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포함되는 최소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최대 송신 전력의 하한값은,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포함되는 그 밖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의해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작게 설정된다.
(10)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기 송신부는,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에 사용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변경하는 경우,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한다.
(11)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OFDM 신호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OFDM 신호를 사용하여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을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갖고, 상기 송신 스텝은,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상기 OFDM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 스텝은,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을 맵핑한 서브캐리어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의 송신 전력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 또는 복수의 양태에 의하면,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한 무선 멀티플 액세스에 의해 기지국 장치와 단말 장치가 통신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서브캐리어 간격이 상이한 것에 의한 대역외 복사나 인접 채널에 영향을 주는 간섭 등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물리 리소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물리 리소스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물리 리소스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단말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장치(셀, 스몰 셀, 서빙 셀, 컴포넌트 캐리어, eNodeB, Home eNodeB, gNodeB,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 장치(UE : User Equipment, 단말기, 이동국, 이동 단말기, 가입자 유닛)를 구비한다. 해당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하향 링크의 경우, 기지국 장치는 송신 장치(송신점, 송신 안테나군, 송신 안테나 포트군)가 되고, 단말 장치는 수신 장치(수신점, 수신 단말기, 수신 안테나군, 수신 안테나 포트군)가 된다. 상향 링크의 경우, 기지국 장치는 수신 장치가 되고, 단말 장치는 송신 장치가 된다. 상기 통신 시스템은, D2D(Device-to-Device) 통신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 경우, 송신 장치도 수신 장치도 모두 단말 장치가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는, RRH(Remote Radio Head, 기지국 장치보다 소형의 옥외형 무선부를 갖는 장치, Remote Radio Unit : RRU라고도 칭함)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RRH는, 리모트 안테나, 분산 안테나라고도 호칭한다. RRH는, 기지국 장치의 특수한 형태라고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RH는 신호 처리부만을 갖고, 다른 기지국 장치에 의해 RRH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의 설정, 스케줄링의 결정 등이 행해지는 기지국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은, 인간이 개입하는 단말 장치와 기지국 장치간의 데이터 통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M2M 통신(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IoT(Internet of Things)용 통신, NB-IoT(Narrow Band-IoT) 등(이하, MTC라 부름)의 인간의 개입을 필요로 하지 않는 데이터 통신의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를 MTC 단말기라고도 칭한다.
상기 통신 시스템의 무선 멀티플 액세스는,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에 있어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의 전송 방식을 베이스로 한 OFDMA(Orthogonal Frequency Multiple Access)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의 무선 멀티플 액세스는,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 -OFDM)이나 Clustered DFT-S-OFDM의 전송 방식을 베이스로 한 SC-FDMA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은, 필터를 적용한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f-OFDM(Filtered-OFDM), UF-OFDM(Universal Filtered-OFDM), W-OFDM(Windowing-OFDM), 스파스 부호를 사용하는 전송 방식(SCMA : 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시스템은, DFT 프리코딩을 적용하고, 상기 필터를 사용하는 신호 파형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통신 시스템은, 상기 전송 방식에 있어서, 부호 확산, 인터리브, 스파스 부호 등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향 링크는 DFTS-OFDM 전송을 사용하고, 하향 링크는 OFDM 전송을 사용한 경우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다른 전송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는, 무선 사업자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나 지역으로부터 사용 허가(면허)가 얻어진, 소위 라이선스 밴드(licensed band)라 불리는 주파수 밴드, 및/또는, 국가나 지역으로부터의 사용 허가(면허)를 필요로 하지 않는, 소위 언라이선스 밴드(unlicensed band)라 불리는 주파수 밴드로 통신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X/Y"는, "X 또는 Y"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X/Y"는, "X 및 Y"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X/Y"는, "X 및/또는 Y"의 의미를 포함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장치(10), 단말 장치(20-1 내지 20-n1)(n1은 기지국 장치(10)와 접속하고 있는 단말 장치수)를 구비한다. 단말 장치(20-1 내지 20-n1)를 총칭하여 단말 장치(20)라고도 칭한다. 커버리지(10a)는, 기지국 장치(10)가 단말 장치(20)와 접속 가능한 범위(통신 에어리어)이다(셀이라고도 부른다).
도 1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하의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이 포함된다.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은,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
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은, 상향 링크 제어 정보(UCI : Uplink Control Information)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리 채널이다.
상향 링크 제어 정보는, 하향 링크 데이터(하향 링크 트랜스포트 블록, DL-SCH : Downlink-Shared Channel)에 대한 긍정 응답(positive acknowledgement, ACK)/부정 응답(negative acknowledgement, NACK)을 포함한다. ACK/NACK는, 송달 확인을 나타내는 신호, HARQ-ACK, HARQ 피드백이라고도 칭해진다. 상향 링크 제어 정보는, SR(Scheduling Request)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향 링크 제어 정보는, 하향 링크의 채널 상태 정보(CSI : Channel State Information)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적합한 공간 다중수(레이어수)를 나타내는 랭크 지표(RI : Rank Indicator), 적합한 프리코더를 나타내는 프리코딩 행렬 지표(PMI : Precoding Matrix Indicator), 적합한 전송 레이트를 지정하는 채널 품질 지표(CQI : Channel Quality Indicator) 등을 포함한다. 상기 PMI는, 단말 장치에 의해 결정되는 코드북을 나타낸다. 해당 코드북은,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프리코딩에 관련된다. 상기 CQI는, 소정의 대역에 있어서의 적합한 변조 방식(예를 들어,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 256QAM 등), 부호화율(coding rate)로 할 수 있다.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은, 상향 링크 데이터(상향 링크 트랜스포트 블록, UL-SCH)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리 채널이다.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은,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및/또는 채널 상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은,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은, 상향 링크 데이터에 순회 용장 검사(CRC : Cyclic Redundancy Check)를 부가하여 생성해도 된다. CRC는, 단말 장치의 식별자(UE ID : User Equipment Identifier이라고도 부름)를 나타내는 계열을 사용하여 스크램블(배타적 논리합 연산, 마스크, 암호화라고도 부름)되어도 된다. UE ID로서,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Temporary C-RNTI(T C-RNTI), SPS C-RNTI(Semi Persistent Scheduling C-RNTI)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ID는, 단말 장치가 셀 업데이트 수순에 의해 새로운 셀에 액세스하였을 때, 기지국 장치에 의해, 해당 단말 장치에 할당된다. 기지국 장치는, 각 단말 장치에 UE ID를 통지한다. UE ID는, 랜덤 액세스 수순에 있어서의 메시지2(랜덤 액세스 응답, RAR : Random Access Response)/메시지4(Contention Resolution)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UE ID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 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은, RRC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RRC 메시지는, 무선 리소스 제어층에 있어서 처리되는 정보/신호이다. RRC 메시지는, 단말 장치의 UE Capability를 포함시킬 수 있다. UE Capability는, 해당 단말 장치가 서포트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은, MAC CE(Control Element)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MAC CE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 Medium Access Control)층에 있어서 처리(송신)되는 정보/신호이다. 예를 들어, 파워 헤드룸은, MAC CE에 포함되어,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을 경유하여 보고되어도 된다. 즉, MAC CE의 필드가, 파워 헤드룸의 레벨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상향 링크 데이터는, RRC 메시지, MAC CE를 포함할 수 있다.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은, 랜덤 액세스에 사용하는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향 링크에서는, 상향 링크 물리 신호로서 상향 링크 참조 신호(Uplink Reference Signal : UL RS)가 사용된다. 상향 링크 물리 신호는,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물리층에 의해 사용된다. 상향 링크 참조 신호에는, 복조용 참조 신호(DMRS :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사운딩 참조 신호(SRS : Sounding Reference Signal)가 포함된다.
복조용 참조 신호는,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 또는 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에 관련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10)는,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 또는 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을 복조할 때의 전반로 보정을 행하기 위해 복조용 참조 신호를 사용한다. 복조용 참조 신호 계열은, 기지국 장치(10)의 셀 ID에 관련지어 생성될 수 있다. 복조용 참조 신호 계열은, 사이클릭 시프트 및 OCC(Orthogonal Cover Code)를 실시하여, 생성될 수 있다.
사운딩 참조 신호는,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 또는 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에 관련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10)는, 상향 링크의 채널 상태를 측정(CSI Measurement)하기 위해 사운딩 참조 신호를 사용한다.
도 1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이하의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이 사용된다.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은,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물리 알림 채널
·물리 제어 포맷 지표 채널
·물리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 지표 채널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
물리 알림 채널은, 단말 장치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마스터 인포메이션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 MIB, Broadcast Channel : BCH)을 알리기 위해 사용된다. MIB는 시스템 정보이다. 물리 알림 채널은, 브로드캐스트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물리 알림 채널은, 하향 링크 시스템 대역, 시스템 프레임 번호(SFN : System Frame Number), 기지국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물리 제어 포맷 지표 채널은,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 가능한 영역을 통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물리 제어 포맷 지표 채널은,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각 서브프레임의 선두로부터 몇 개의 OFDM 심볼이 확보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물리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 지표 채널은,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ACK/NACK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은, 하향 링크 제어 정보(DCI :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향 링크 제어 정보는, 용도에 기초한 복수의 포맷(DCI 포맷이라고도 칭함)이 정의된다. 각 포맷은, 용도에 따라서 사용된다. 하향 링크 제어 정보는, 하향 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제어 정보(하향 링크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 정보)와 상향 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제어 정보(상향 링크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하향 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DCI 포맷은,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에 사용된다. 하향 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DCI 포맷을, 하향 링크 그랜트(DL Grant,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라고도 칭한다. 하향 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DCI 포맷에는,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의 리소스 할당에 관한 정보,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에 관한 정보, HARQ 프로세스 번호, 하향 링크 데이터의 재송에 관한 정보 등의 하향 링크 제어 정보가 포함된다. 하향 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DCI 포맷은, 물리 상향 링크 채널(예를 들어, 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이나 참조 신호(예를 들어, 사운딩 참조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TPC; Transmit Power Control)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향 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DCI 포맷은,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에 관한 제어 정보를 단말 장치에 통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향 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DCI 포맷을, 상향 링크 그랜트(UL Grant, 상향 링크 어사인먼트)라고도 칭한다. 상향 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DCI 포맷은,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의 리소스 할당에 관한 정보,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의 MCS에 관한 정보, 상향 링크 데이터(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의 재송에 관한 정보, 물리 상향 링크 채널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 복조용 참조 신호를 위한 사이클릭 시프트에 관한 정보, 하향 링크의 채널 상태 정보(CSI : Channel State Information, 수신 품질 정보라고도 칭함) 요구(CSI request), HARQ 프로세스 번호 등의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향 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DCI 포맷에 포함되는 1개 또는 복수의 정보는, 하향 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DCI 포맷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은,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순회 용장 검사(CRC : Cyclic Redundancy Check)를 부가하여 생성된다.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에 있어서, CRC는, 단말 장치의 식별자(UE ID)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된다. 예를 들어, CRC는, 셀 무선 네트워크 일시적 식별자(C-RNTI : 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된다.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은, 하향 링크 데이터(하향 링크 트랜스포트 블록, DL-SCH)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은, 시스템 인포메이션 메시지(SIB : System Information Block)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SIB는, 셀 내에 있어서의 복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공통(셀 고유)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 스페시픽(유저 고유)의 정보는, 어떤 단말 장치에 대하여 전용의 SIB를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인포메이션 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부는, RRC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은, RRC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RRC 메시지는, 셀 내에 있어서의 복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공통(셀 고유)이어도 된다. 셀 내의 단말 장치에 공통의 정보는, 셀 고유의 RRC 메시지를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RRC 메시지는, 어떤 단말 장치에 대하여 전용의 메시지(dedicated signaling라고도 칭함)여도 된다. 단말 장치 스페시픽(유저 고유)의 정보는, 어떤 단말 장치에 대하여 전용의 RRC 메시지를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은, MAC CE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RRC 메시지 및/또는 MAC CE를, 상위층의 신호(higher layer signaling)라고도 칭한다.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은, 기지국 장치가 각 단말 장치에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은, 순회 용장 검사(CRC : Cyclic Redundancy Check)를 부가하여 생성된다. CRC는, 단말 장치의 식별자(UE ID)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된다.
도 1의 하향 링크에서는, 하향 링크 물리 신호로서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 SS), 하향 링크 참조 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 : DL RS)가 사용된다. 하향 링크 물리 신호는,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물리층에 의해 사용된다.
동기 신호는, 단말 장치가, 하향 링크의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의 동기를 취득/추적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향 링크 참조 신호는, 단말 장치가,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의 전반로 보정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하향 링크 참조 신호는, 물리 알림 채널,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복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향 링크 참조 신호는, 단말 장치가, 하향 링크의 채널 상태 정보를 산출(measurement)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각종 채널을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참조 신호와 measurement하기 위해 사용되는 참조 신호는 상이해도 된다(예를 들어, 각종 채널을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참조 신호는 LTE에 있어서의 DMRS :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이 사용되고, measurement에는 CSI-RS가 사용된다). 각종 채널을 복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참조 신호와 measurement하기 위해 사용되는 참조 신호는 동일해도 된다(예를 들어, CRS :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하향 링크 물리 채널 및 하향 링크 물리 신호를 총칭하여, 하향 링크 신호라고도 칭한다. 또한, 상향 링크 물리 채널 및 상향 링크 물리 신호를 총칭하여, 상향 링크 신호라고도 칭한다. 또한, 하향 링크 물리 채널 및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을 총칭하여, 물리 채널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하향 링크 물리 신호 및 상향 링크 물리 신호를 총칭하여, 물리 신호라고도 칭한다.
BCH, UL-SCH 및 DL-S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이다. MAC층에서 사용되는 채널을, 트랜스포트 채널이라 칭한다. MAC층에서 사용되는 트랜스포트 채널의 단위를, 트랜스포트 블록(TB : Transport Block), 또는, MAC PDU(Protocol Data Unit)라고도 칭한다. 트랜스포트 블록은, MAC층이 물리층에 전달하는(deliver하는) 데이터의 단위이다. 물리층에 있어서, 트랜스포트 블록은 코드워드에 맵되어, 코드워드마다 부호화 처리 등이 행해진다.
도 1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10) 및 단말 장치(20)는,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에 있어서, 그랜트 베이스의 멀티플 액세스를 서포트한다(그랜트 베이스 액세스, 스케줄드 액세스라고도 불린다). 하향 링크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10)는, 단말 장치(20)에 대하여 하향 링크 그랜트로 통지한 물리 리소스(리소스 할당에 관한 정보로 통지)를 사용하여,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을 송신한다. 상향 링크에 있어서, 단말 장치(20)는, 기지국 장치(10)에 의해 상향 링크 그랜트로 지시된 물리 리소스(리소스 할당에 관한 정보로 통지)를 사용하여,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을 송신한다. 물리 리소스는, 시간 영역(OFDM 심볼)과 주파수 영역(서브캐리어)으로 정의되는 리소스이다.
기지국 장치(10) 및 단말 장치(20)는,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에 있어서, 그랜트프리(그랜트레스, 컨텐션 베이스라고도 불림)를 사용한 멀티플 액세스(그랜트프리 액세스라고도 불림)를 서포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향 링크의 그랜트프리 액세스에 있어서, 단말 장치(20)는, 기지국 장치(10)로부터 상향 링크 그랜트의 수신에 상관없이(상향 링크 그랜트의 수신없이), 상향 링크 데이터(상향 물리 링크 채널 등)를 송신한다. 기지국 장치(10)는, 그랜트프리 액세스를 서포트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알림 채널/RRC 메시지/시스템 인포메이션(예를 들어, SIB)을 사용하여, 단말 장치(20)에 통지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는, 그랜트프리 액세스를 서포트하는 것을 나타내는 UE Capability를, 기지국 장치(10)에 통지할 수 있다.
상향 링크 그랜트프리 액세스에 있어서, 단말 장치(20)는, 상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물리 리소스를 랜덤하게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는, 이용 가능한 복수의 물리 리소스의 후보가 리소스 풀로서 기지국 장치(10)로부터 통지된다. 해당 리소스 풀은, 알림 채널/RRC 메시지/시스템 인포메이션으로 통지된다. 단말 장치(20)는, 상기 리소스 풀로부터 랜덤하게 물리 리소스를 선택한다.
상향 링크 그랜트프리 액세스에 있어서, 상기 상향 링크 멀티액세스 리소스는, 서명 리소스(Multi Access Signature Resource)와 상기 물리 리소스(Multi Access Physical Resource)로 정의된다. 물리 리소스와 서명 리소스는, 각 단말 장치가 송신한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을 특정하는 것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서명 리소스의 후보는, 상기 리소스 풀에 포함된다. 단말 장치(20)는, 상기 리소스 풀로부터 서명 리소스를 선택한다. 서명 리소스는, 복수의 멀티액세스 서명군(멀티액세스 서명 풀이라고도 불림) 중 적어도 하나의 멀티액세스 서명으로 구성된다. 멀티액세스 서명은, 각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을 구별(동정)하는 특징(안표, 지표)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멀티액세스 서명은, 공간 다중 패턴, 확산 부호 패턴(Walsh 부호, OCC; Orthogonal Cover Code, 데이터 확산용 사이클릭 시프트, 스파스 부호 등), 인터리브 패턴, 복조용 참조 신호 패턴(참조 신호 계열, 사이클릭 시프트), 송신 전력 등이 포함된다. 그랜트프리 액세스에 있어서, 단말 장치는, 선택한 1개 또는 복수의 멀티액세스 서명을 사용하여, 상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지국 장치(10)는, 서브캐리어 간격 f_scs를 갖는 OFDM을 사용하여, 하향 링크 신호를 단말 장치(20)에 송신한다. 단말 장치(20)는, 서브캐리어 간격 f_scs를 갖는 DFT-s-OFDM을 사용하여, 상향 링크 신호를 기지국 장치(10)에 송신한다. 도 1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 f_scs가 정의된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간격 f_scs는, n_scs×f_scs_o로 정의된다. f_scs_o는 레퍼런스가 되는 서브캐리어 간격[Hz]이다. n_scs는, 2a, 또는 2(-a)이다(a는 자연수). n_scs는, ab(a는 자연수, b는 1 또는 -1)로 정의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10)는,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 단말 장치(20)에 하향 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단말 장치(20)는,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 기지국 장치(10)에 하향 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단말 장치(20)는, 서포트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 정보를, UE Capability에 포함시켜, 기지국 장치(10)에 통지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10)는, 단말 장치(20)에 대하여,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에 있어서의 물리 채널에서 사용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통지한다.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은, 알림 채널/RRC 메시지/시스템 인포메이션/DCI를 사용하여, 통지된다. 기지국 장치(10)는, 하향 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DCI 포맷에, 상향 링크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멀티액세스(그랜트프리 액세스, 스케줄드 액세스)와 관련지어도 된다. 예를 들어, 그랜트프리 액세스에서 사용하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스케줄드 액세스에서 사용하는 서브캐리어 간격보다 크게 설정된다. 서브캐리어 간격은, UE ID와 관련지어도 된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간격마다, 할당되는 UE ID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20)는, 기지국 장치(10)가 자단말 장치에 할당한 UE ID에 의해, 물리 채널의 송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특정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10)는,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에 있어서의 물리 채널 송신에 사용하는 리소스 할당에 관한 정보를, DCI에 의해, 서브캐리어 간격마다 통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물리 리소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서브캐리어 간격 f_scs=15㎑(n_scs=1)의 예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물리 리소스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서브캐리어 간격 f_scs=30㎑(n_scs=2)의 예이다. 기지국 장치(10)는, 시스템 대역마다, 서브캐리어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10)는, 단말 장치(20)에 대한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의 서비스 품질 QoS(Quality of Service),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나 용도(eMBB, mMTC, uRLLC)에 따라, 각 시스템 대역에 사용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설정해도 된다. TTI는,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이다.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는 높은 주파수 이용 효율로 대용량 통신을 행하는 것을 용도로 한다.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는 다수 단말기를 수용하고, 각 단말기에 대하여 작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용도로 한다.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는 고신뢰로 또한 저지연으로 통신하는 것을 용도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은, 물리 채널의 송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밴드마다, 서브캐리어 간격을 설정할 수도 있다. 해당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주파수 밴드에, 디폴트가 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2개의 주파수 밴드를 사용하는 경우, 높은 주파수 밴드에 있어서의 디폴트가 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낮은 주파수 밴드 있어서의 디폴트가 되는 서브캐리어 간격보다 크게 설정된다. 기지국 장치(10) 및 단말 장치(20)는, 주파수 밴드에 따라서, 레퍼런스가 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물리 채널을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에서는, 물리 채널을 맵핑하기 위해 소정의 리소스 할당 유닛이 정의된다. 리소스 할당 유닛은, 서브캐리어수 및 OFDM 심볼수(DFT-S-OFDM을 사용하는 경우, SC-FDMA 심볼수)로 정의된다. 기지국 장치(10)는, 상향 링크 그랜트 및 하향 링크 그랜트에 있어서의 리소스 할당에 관한 정보를, 리소스 할당 유닛수로 통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리소스 할당 유닛은 12개의 서브캐리어와 14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는 예이다(도 2에 있어서의 리소스 할당 유닛 A, 도 3에 있어서의 리소스 할당 유닛 B). 도 2 및 도 3은, 서브캐리어 간격에 상관없이, 동일한 서브캐리어수로 리소스 할당 유닛이 정의되는 예이다. 또한, 리소스 할당 유닛의 서브캐리어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의존하여,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간격 f_scs=15㎑(n_scs=1)의 경우, 리소스 할당 유닛은 12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고, 서브캐리어 간격 f_scs=30㎑(n_scs=2)의 경우, 리소스 할당 유닛은 6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된다.
리소스 할당 유닛을 구성하는 OFDM 심볼수는, 서비스 품질 QoS,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나 용도(eMBB, mMTC, uRLLC)에 따라, 상이한 설정을 사용할 수 있다. TTI는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이다. 예를 들어, 리소스 할당 유닛을 구성하는 OFDM 심볼수는, 서브프레임 단위, 슬롯 단위, 미니 슬롯 단위로 설정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레임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무선 프레임 구성은, 시간 영역의 물리 리소스에 있어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서브캐리어 간격 SCS=15㎑의 예이다. 하향 링크 및 상향 링크에 있어서, 1개의 무선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도 4는 1개의 무선 프레임이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예이다. 도 4는 1개의 서브프레임이 14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는 예이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간격 15㎑에 있어서의 무선 프레임 길이가 10㎳인 경우, 서브프레임 길이는 1㎳가 된다. 리소스 할당 유닛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설정되는 경우, 리소스 할당 유닛을 구성하는 OFDM 심볼수는 14개가 된다.
1개의 슬롯은, 기지국 장치(10) 및 단말 장치(20)가 물리 채널 및 물리 신호의 송신에 사용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있어서 생성되는 복수의 OFDM 심볼로 구성된다. 도 4는 1개의 슬롯이 7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는 예이다. 도 4는 1개의 서브프레임이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되는 예이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간격 15㎑에 있어서의 서브프레임 길이가 1㎳인 경우, 슬롯 길이는 0.5㎳가 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은, 슬롯을, 기지국 장치(10) 및 단말 장치(20)가 물리 채널(예를 들어, 물리 데이터 공유 채널, 물리 제어 채널)을 맵핑하는 최소 단위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리소스 할당 유닛을 구성하는 OFDM 심볼수는, 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볼수와 일치한다.
1개의 미니 슬롯은, 기지국 장치(10) 및 단말 장치(20)가 물리 채널의 송신에 사용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있어서 생성되는 복수의 OFDM 심볼(예를 들어, 2개, 4개)로 구성된다. 미니 슬롯 길이는, 슬롯 길이보다 짧다. 도 4는 1개의 미니 슬롯이 2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는 예이다. 기지국 장치(10)는, 슬롯/미니 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볼수를 설정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10)는, 슬롯/미니 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볼수를 시그널링하여, 단말 장치(20)에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은, 미니 슬롯을, 단말 장치(20)가 물리 채널(예를 들어, 물리 데이터 공유 채널, 물리 제어 채널)을 맵핑하는 최소 단위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리소스 할당 유닛을 구성하는 OFDM 심볼수는, 미니 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볼수와 일치한다. 또한, 도 4에서는, 서브캐리어 간격 SCS=15㎑의 예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서브캐리어 간격에 있어서도, 복수의 시간 영역의 구간(서브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이 정의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에서는, 레퍼런스가 되는 물리 리소스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레퍼런스가 되는 물리 리소스 영역은, 레퍼런스가 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갖는 리소스 할당 유닛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간격 f_scs=15㎑(n_scs=1)를 레퍼런스라 하면, 도 2의 리소스 할당 유닛이 레퍼런스가 되는 물리 리소스 영역이 된다(이하에서는, 레퍼런스가 되는 물리 리소스 영역은, 리소스 블록이라 부른다). 기지국 장치(10)는, 상향 링크 그랜트 및 하향 링크 그랜트에 있어서의 리소스 할당에 관한 정보를, 리소스 블록수로 통지할 수 있다.
리소스 블록은, 주파수 대역폭[Hz] 및 시간[msec]을 기준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2의 서브캐리어 간격 f_scs=15㎑를 갖는 리소스 할당 유닛(서브캐리어수 12개 및 OFDM 심볼수 14개)을 레퍼런스라 하면, 리소스 블록은, 주파수 대역폭 180㎑와 기간 1㎳ec의 영역이 된다. 리소스 블록은, 이 레퍼런스의 대역폭[Hz] 및 시간[sec]을 기준으로, 다른 서브캐리어 간격을 갖는 물리 리소스와 대응지어진다. 도 3에 있어서, 서브캐리어 간격 f_scs=30㎑는, 레퍼런스인 서브캐리어 간격 f_scs=15㎑의 2배이다(OFDM 심볼 길이는, 1/2이다). 따라서, 서브캐리어 간격 f_scs=30㎑의 물리 리소스에 있어서, 리소스 블록은, 6개의 서브캐리어와 28개의 OFDM 심볼로 정의된다. 이에 의해, 리소스 블록은, 서브캐리어 간격에 상관없이, 일의로 정의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10) 및 단말 장치(20)가 물리 채널을 맵핑하는 리소스 할당 유닛은, 리소스 블록을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있어서, 단말 장치(20)가, 2개의 리소스 할당 유닛 A를 사용하여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을 송신하는 경우,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을 맵핑하는 영역은, 2개의 리소스 블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2개의 리소스 할당 유닛 B를 사용하여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을 송신하는 경우,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을 맵핑하는 주파수 영역은, 4개의 리소스 블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리소스 블록은, 서브캐리어수 및 OFDM 심볼수를 기준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지국 장치(10)는, 상향 링크 그랜트 및 하향 링크 그랜트에 있어서의 리소스 할당에 관한 정보를 리소스 블록 단위로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수 12개 및 OFDM 심볼수 14개를 포함하는 물리 리소스의 범위를 리소스 블록이라 하면(즉, 리소스 블록의 범위를, 캐리어 간격에 상관없이, 서브캐리어수 및 OFDM 심볼수에 의해 일의로 설정하는 경우), 서브캐리어 간격 f_scs=15㎑, 30㎑에서는, 리소스 할당 유닛이 리소스 블록과 일치한다. 이 경우, 단말 장치(20)가, 2개의 리소스 할당 유닛 A를 사용하여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을 송신하는 경우,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을 맵핑하는 영역은, 2개의 리소스 블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2개의 리소스 할당 유닛 B를 사용하여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을 송신하는 경우,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을 맵핑하는 영역은, 2개의 리소스 블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리소스 블록은, 서브캐리어 간격에 상관없이, 동일한 서브캐리어수 및 OFDM 심볼수로 정의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10)는, 1개의 시스템 대역에,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물리 리소스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1개의 시스템 대역 내에, 서브캐리어 간격 f_scs=15㎑ 및 30㎑가 주파수 분할 다중(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되는 예이다. 도 5에서는, 시스템 대역에 있어서의 양단에 할당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내측에 할당하는 서브캐리어 간격보다 작은 경우이다. 기지국 장치(10)는, Qos나 용도에 따라, 단말 장치(20)에 대한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을 맵핑하는 영역을 스케줄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1)가 eMBB의 용도로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을 송신하는 경우, 기지국 장치(10)는, 서브캐리어 간격 f_scs=15㎑를 갖는 리소스 할당 유닛 A(리소스 할당 유닛 A-1/리소스 할당 유닛 A-2)를 단말 장치(20-1)에 할당한다. 단말 장치(20-2)가 URLLC의 용도로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을 송신하는 경우, 기지국 장치(10)는, 서브캐리어 간격 f_scs=30㎑를 갖는 리소스 할당 유닛 B를 단말 장치(20-2)에 할당한다. 또한, 1개의 시스템 대역 내에 있어서, 각 서브캐리어 간격의 서브캐리어를 배치하는 주파수 영역은, 미리 설정해 두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10)는,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에 있어서, 1개의 단말 장치(20-1)에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의 물리 리소스를 동시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10)는, 단말 장치(20-1)에 대하여, OFDM 심볼의 중복되는 리소스 할당 유닛 A-1 및 리소스 할당 유닛 B-1에 물리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도 5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10)는, 단말 장치(20-1)에 대하여, 시스템 대역 내의 전체 리소스 할당 유닛에 걸쳐, 동시에(중복되는 OFDM 심볼에), 물리 채널을 할당할 수도 있다. 기지국 장치(10)는, 상기 물리 채널의 송신에 사용하는 리소스 할당에 관한 정보를, DCI에 있어서, 서브캐리어 간격마다 통지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10)는, 단말 장치(20)에 대하여,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에 있어서의 물리 채널 송신에 사용하는 각 서브캐리어 간격의 할당 대역폭 정보를 통지할 수도 있다.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의 할당 대역폭 정보는, 알림 채널/RRC 메시지/시스템 인포메이션/DCI로 통지될 수 있다. 기지국 장치(10)는, 하향 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DCI 포맷에, 상향 링크의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의 할당 대역폭 정보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의 할당 대역폭 정보는, 상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단말 장치(20-1)에 할당된 물리 리소스의 토탈 대역폭 중, 각 서브캐리어 간격으로 송신하는 대역폭의 비율로 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20)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단말 장치(20)는, 수신 안테나(202), 수신부(수신 스텝)(204), 상위층 처리부(상위층 처리 스텝)(206), 제어부(제어 스텝)(208), 송신부(송신 스텝)(210), 송신 안테나(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신부(204)는, 무선 수신부(무선 수신 스텝)(2040), 디맵핑부(다중 분리 스텝)(2042), 복조부(복조 스텝)(2044), 및 복호부(복호 스텝)(20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신부(210)는, 부호화부(부호화 스텝)(2100), 변조부(변조 스텝)(2102), DFT부(DFT 스텝)(2104), 확산부(확산 스텝)(2106), 맵핑부(맵핑 스텝)(2108), 무선 송신부(무선 송신 스텝)(2110), 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 스텝)(2112) 및 송신 전력 제어부(2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신부(204)는, 수신 안테나(202)를 통해 기지국 장치(10)가 송신한 하향 링크 신호(하향 링크 물리 채널, 하향 링크 물리 신호)를 수신하여, 각 하향 링크 신호를 분리, 복조, 복호한다. 수신부(204)는, 하향 링크 신호로부터 분리한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복조, 복호 후에 제어부(208)에 출력한다. 수신부(204)는,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의 복호 결과를 상위층 처리부(206)에 출력한다.
무선 수신부(2040)는, 수신 안테나(202)를 통해 수신한 하향 링크 신호를, 다운 컨버트에 의해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신호 레벨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증폭 레벨을 제어하고, 수신한 신호의 동상성분 및 직교 성분에 기초하여, 직교 복조하고, 직교 복조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무선 수신부(2040)는, 변환한 디지털 신호로부터 CP(Cyclic Prefix)에 상당하는 부분을 제거하고, CP를 제거한 하향 링크 신호에 대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을 행하여(OFDM 변조에 대한 복조 처리),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추출한다.
디맵핑부(2042)는, 상기 추출한 주파수 영역의 하향 링크 신호에 포함되는 하향 링크 물리 채널(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 물리 알림 채널 등) 및 하향 링크 참조 신호 등을, 분리 추출한다. 디맵핑부(2042)는,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사용한 채널 측정 기능(채널 측정부)을 포함한다. 디맵핑부(2042)는, 상기 채널 측정 결과를 사용한 하향 링크 신호의 채널 보상 기능(채널 보상부)을 포함한다. 디맵핑부는,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을 복조부(2044)에 출력한다.
복조부(2044)는, 각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의 변조 심볼 각각에 대하여, BPSK, QPSK, 16QAM, 64QAM, 256QAM 등의 미리 정해진, 또는 하향 링크 그랜트로 미리 통지한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복조 처리를 행한다.
복호부(2046)는, 복조된 각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의 부호화 비트를, 미리 정해진 부호화 방식의, 미리 정해진, 또는 하향 링크 그랜트로 미리 통지한 부호화율로 복호 처리를 행한다.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의 복호 결과는, 상위층 처리부(206) 및 제어부(208)로 출력된다.
제어부(208)는,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에 포함되는 DCI를 수신부(204)로부터 취득한다. 제어부(208)는, 물리 알림 채널/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 등에 포함되는 알림 정보/시스템 인포메이션/RRC 메시지 등을 수신부(204)/상위층 처리부(206)로부터 취득한다. 알림 정보/시스템 인포메이션/RRC 메시지 등은, 하향 링크 수신에 관한 설정 정보/상향 링크 송신에 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208)는, DCI에 포함되는 하향 링크 데이터 수신에 관한 제어 정보/하향 링크 수신에 관한 설정 정보를 사용하여, 수신부(204)에 포함되는 각 블록의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208)는, DCI에 포함되는 상향 링크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 정보/상향 링크 데이터 송신에 관한 설정 정보를 사용하여, 송신부(210)에 포함되는 각 블록의 제어를 행한다. 하향 링크 수신에 관한 제어 정보/하향 링크 수신에 관한 설정 정보는,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의 그랜트프리 액세스에 관한 설정 정보/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각 서브캐리어 간격의 할당 대역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하향 링크 수신에 관한 제어 정보/하향 링크 수신에 관한 설정 정보는, 상향 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향 링크 송신에 관한 제어 정보/상향 링크 송신에 관한 설정 정보는, 상향 링크의 그랜트프리 액세스에 관한 설정 정보/상향 링크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각 서브캐리어 간격의 할당 대역폭 정보/상향 링크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향 링크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는, 단말 장치 송신 전력의 산출에 사용하는 각종 파라미터(상세는 후술)를 포함한다. 또한, 송신부(210)가 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경우, 제어부(208)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UCI : Uplink Control information)를 생성하여, 송신부(210)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08)의 기능의 일부는, 상위층 처리부(102)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위층 처리부(206)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층, 패킷 데이터 통합 프로토콜(PDCP)층, 무선 링크 제어(RLC)층, 무선 리소스 제어(RRC)층의 처리를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206)는, 자단말 장치가 서포트하고 있는 단말 장치의 기능에 관한 정보(UE capability)를 송신부(210)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위층 처리부(206)는, 상기 단말 장치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RRC층에서 시그널링한다.
상기 단말 장치의 기능에 관한 정보는, 그 단말 장치가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그 단말 장치가 소정의 기능에 대한 도입 및 테스트의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하는지 여부는, 소정의 기능에 대한 도입 및 테스트를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포함한다. 단말 장치가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하는 경우, 그 단말 장치는 그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파라미터)를 송신한다. 단말 장치가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하지 않는 경우, 그 단말 장치는 그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파라미터)를 송신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즉, 그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하는지 여부는, 그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파라미터)를 송신하는지 여부에 따라 통지된다. 또한, 소정의 기능을 서포트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파라미터)는, 1 또는 0의 1비트를 사용하여 통지해도 된다.
상기 단말 장치의 기능에 관한 정보는, 서포트하고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 정보, 그랜트프리 액세스를 서포트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 서포트하고 있는 주파수 밴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서포트하고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 정보는, 그랜트프리 액세스를 서포트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 서포트하고 있는 주파수 밴드에 관한 정보와 관련지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10)는, 단말 장치(20)가 송신한 주파수 밴드에 관한 정보에 의해, 서브캐리어 간격을 특정할 수 있다.
상위층 처리부(206)는, 자단말 장치의 각종 설정 정보의 관리를 한다. 상위층 처리부(206)는, 상기 각종 설정 정보를 제어부(208)/송신부(210)에 입력한다. 상위층 처리부(206)는, 하향 링크 물리 채널로부터 취득한 상향 링크 송신에 관한 설정 정보/하향 링크 수신에 관한 설정 정보를 제어부(208)에 입력한다. 상위층 처리부(206)는, 상향 링크 송신에 관한 설정 정보/하향 링크 수신에 관한 설정 정보를 사용하여, 수신부(204)/송신부(210)의 각 블록을 제어하기 위한 설정 파라미터를 산출하여, 제어부(208)에 입력한다. 상위층 처리부(206)는, 기지국 장치(10)에 통지하는 설정 정보(UE Capability, BSR; Buffer Status Report, 파워 헤드룸 리포트 등)를 생성하여, 송신부(210)에 입력한다.
상위층 처리부(206)는, 유저의 조작 등에 의해 생성된 상향 링크 데이터(예를 들어, DL-SCH)를, 송신부(210)에 출력한다. 상위층 처리부(206)는, 유저의 조작을 통하지 않고(예를 들어, 센서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 생성된 상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부(21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에는, UE ID를 저장하는 필드를 가져도 된다. 상위층 처리부(206)는,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에 CRC를 부가한다. 상기 CRC의 패리티 비트는,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를 사용하여 생성된다. 상기 CRC의 패리티 비트는, 자단말 장치에 할당된 UE ID로 스크램블(배타적 논리합 연산, 마스크, 암호화라고도 부름)된다.
송신부(210)는, 스케줄드 액세스에 있어서, 상향 링크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 기지국 장치(10)에 스케줄링 리퀘스트(SR; Scheduling Request)나 BSR 등의 상향 링크 리소스의 할당을 요구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한다. 송신부(210)는, DCI에 포함되는 상향 링크의 송신에 관한 제어 정보/상향 링크의 송신에 관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 물리 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한다. 송신부(210)는, 그랜트프리 액세스에 있어서, 상향 링크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 기지국 장치(10)로부터 송신된 그랜트프리 액세스에 관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 그랜트의 수신없이,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을 송신한다. 송신부(210)는, 제어부(208)로부터 입력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상향 링크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상기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을 송신한다.
부호화부(2100)는, 미리 정해진/제어부(208)가 설정한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상위층 처리부(206)로부터 입력된 상향 링크 데이터, UCI 등을 부호화한다(레피티션을 포함한다). 부호화 방식은, 컨볼루션 부호화, 터보 부호화,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화, Polar 부호화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부호화는, 부호화율 1/3에 더하여, 낮은 부호화율 1/6이나 1/12 등의 머더 코드를 사용해도 된다. 변조부(2102)는, 부호화부(210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비트를 BPSK, QPSK, 16QAM, 64QAM, 256QAM 등(π/2 시프트 BPSK, π/2 시프트 QPSK도 포함해도 됨)의 DCI로 통지된 변조 방식 또는, 채널마다 미리 정해진 변조 방식으로 변조한다.
확산부(2106)는, 제어부(208)로부터 확산 부호 계열의 설정이 입력된 경우, 그 설정에 따라서, 변조부(2102)로부터 출력되는 계열에 대하여 확산 부호 계열을 승산한다. 예를 들어, 확산부(2106)는, 그랜트프리 액세스에 있어서의 서명 리소스에 확산 부호가 설정된 경우, 그 설정에 기초하여, 확산 처리가 행해진다. 서명 리소스로서 인터리브가 설정된 경우, 확산부(2106)는, 인터리브부로 치환할 수 있다. 인터리브부는, DFT부로부터 출력되는 계열에 대하여, 제어부(208)로부터 입력되는 인터리브 패턴의 설정에 따라서 인터리브 처리를 행한다. 그 밖의 서명 리소스가 적용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확산 처리는, DFT 처리 후의 계열에 대하여 행해도 된다.
DFT부(2104)는, 확산 처리부(2106)로부터 출력되는 확산 후의 변조 심볼을 병렬로 재배열하고 나서 이산 푸리에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 : DFT) 처리를 한다. 여기서, 상기 변조 심볼에 제로의 심볼열을 부가하여, DFT를 행함으로써 IFFT 후의 시간 신호에 CP 대신에 제로 구간을 사용하는 신호 파형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변조 심볼에 Gold 계열이나 Zadoff-Chu 계열 등의 특정의 계열을 부가하여, DFT를 행함으로써 IFFT 후의 시간 신호에 CP 대신에 특정 패턴을 사용하는 신호 파형으로 해도 된다. 단, 신호 파형을 OFDM으로 하는 경우에는, DFT를 적용하지 않는다.
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2112)는, 제어부(208)로부터 입력되는 복조용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에 따라서, 복조용 참조 신호를 생성한다. 복조용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는, 기지국 장치(10)를 식별하기 위한 물리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ty : PCI, Cell ID 등이라 칭해짐),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맵핑하는 서브캐리어수(대역폭), OFDM 심볼수, 사이클릭 시프트, OCC 계열 등이 포함된다. 복조용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는, 상향 링크 송신에 관한 제어 정보/상향 링크 송신에 관한 설정 정보로부터 취득된다.
맵핑부(2108)는, 상향 링크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리소스 할당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상향 링크 물리 채널(DFT부(2104)의 출력 신호),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리소스 엘리먼트에 맵핑(시간/주파수/공간 다중)한다.
무선 송신부(2110)는, 다중된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 IFFT)하고, DFT-s-OFDM 방식의 변조를 행하여, SC-FDMA 심볼을 생성한다. 무선 송신부(2110)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설정에 따라서, 역고속 푸리에 변환을 행한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간격 f_scs=15㎑에 있어서, IFFT 포인트수 2048을 사용하는 경우, 무선 송신부(2110)는, 서브캐리어 간격 f_scs=30㎑에 있어서, IFFT 포인트수 1024를 사용한다. 또한, 역고속 푸리에 변환에 의해,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의 SC-FDMA 심볼이 생성되면 되고, 생성 방법에 구애되지 않는다.
무선 송신부(2110)는, 상기 SC-FDMA 심볼에 CP를 부가하여,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무선 송신부(2110)는, 상기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여분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업 컨버트에 의해 반송 주파수로 변환하고, 전력 증폭하고, 송신 안테나(212)를 통해 기지국 장치(10)에 DFT-S-OFDM 신호를 송신한다. 무선 송신부(2110)는, 송신 전력 제어부(2114)로부터 입력되는 단말 장치 송신 전력의 설정에 따라서, 상기 전력 증폭을 행한다.
송신 전력 제어부(2114)는, 제어부(208)로부터 입력되는 상향 링크 송신 전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상향 링크 물리 채널에 따라서,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한다. 송신 전력 제어부(2114)는, 제어부(208)로부터 입력되는 상향 링크 송신 전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상향 링크 물리 채널에 따른 단말 장치 송신 전력을 산출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10)로부터 RRC/DCI에 의해 통지되는 상향 링크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는, 단말 장치 송신 전력의 산출을 위해 기지국 장치(10)로부터 통지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단말 장치 송신 전력 P_PUSCH(i)[dBm]는 식 (1)로 결정된다.
Figure pct00001
i는, 단말 장치 송신 전력을 구성하는 각 항의 값을 정의하기 위한 시간 영역의 기준이다. 이하에 있어서, i는, 각 항의 값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서브프레임 번호로서 설명한다. P_CMAX[dBm]는, 허용되는 단말 장치의 최대 출력 전력이다. P_CMAX는, 상한 P_CMAX_H 및 하한 P_CMAX_L의 범위 내에서 세트된다. 하한 P_CMAX_L은, MIN{P_EMAX-ΔT_C P_PowerClass-MAX(MPR, c+A-MPR+ΔT_C, P-MPR)}로 정의된다. 상한 P_CMAX_H는, MIN{P_EMAX P_PowerClass}로 정의된다. 여기서, MIN{A B}는, 값 A 및 값 B 중 어느 작은 쪽을 선택하는 것을 나타낸다. MAX{A B}는, 값 A 및 값 B 중 어느 큰 쪽을 선택하는 것을 나타낸다.
P_EMAX는, 기지국 장치(10)가, 단말 장치(20)에 대하여, 상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캐리어 주파수의 상향 링크 송신 전력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라미터이다. 기지국 장치(10)는, RRC를 사용하여, P_EMAX를 단말 장치(20)에 통지한다. P_EMAX는, 그 캐리어 주파수에서 사용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서, 설정해도 된다. P_PowerClass[dBm]는, 단말 장치(20)가 상향 링크 데이터 송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밴드마다 설정되는 최대 송신 전력이다.
MPR은, P_PowerClass로부터 허용되는 최대 전력 삭감(Maximum Power Reduction)의 값이다. MPR은, 상향 링크 데이터에 할당된 송신 대역폭 및 상향 링크 데이터의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정해져 있다. 단말 장치는, 상향 링크 데이터에 할당된 송신 대역폭 및 변조 방식에 따라서, MPR을 설정한다. A-MPR은, 상향 링크 데이터의 스펙트럼이, 인접 채널 누설 전력비(ACLR; 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나 스펙트럼 복사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허용되는 추가의 최대 전력 삭감의 값이다. 기지국 장치(10)는, RRC를 사용하여, A-MPR을 단말 장치(20)에 통지한다.
P-MPR은, 복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을 사용하여 동시에 상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불요 복사 등의 요구를 준수하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허용되는 최대 전력 삭감의 값이다. P-MPR은 단말 장치(20)가 설정할 수 있다. MPR/A-MPR/P-MPR은, 상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브캐리어의 서브캐리어 간격마다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MPR/A-MPR/P-MPR은, 서브캐리어 간격이 큰 경우에, 서브캐리어 간격이 작은 경우보다, 크게 설정된다. 이에 의해,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을 맵핑하는 물리 리소스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큰 경우(예를 들어, f_scs=30㎑), 서브캐리어 간격이 작은 경우(예를 들어, f_scs=15㎑)보다 P_CMAX의 하한값을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캐리어 간격이 커짐으로써 발생하는 불요 복사, 대역외 복사, 인접 채널 전력 누설을 저감할 수 있다.
ΔT_C는, P_PowerClass에 있어서의 허용 오차에 여유를 갖게 하기 위해 설정되는 보정값이다. ΔT_C는, 상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대역폭의 양단의 스펙트럼 마스크의 설정을 만족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에서는, ΔT_C는, 상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브캐리어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ΔT_C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큰 경우에, 서브캐리어 간격이 작은 경우보다, 크게 설정된다.
M_PUSCH(i)는, 서브프레임 i에 있어서,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을 위해 할당된 리소스의 대역폭을 나타낸다. 10Log10(M_PUSCH(i))은,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이 맵핑되는 물리 리소스에 의해 정해지는 보정값이다. P_O_PUSCH(j)[dBm]는, 기지국 장치(10)에 있어서의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의 목표 수신 전력 레벨이다. M_PUSCH(i) 및/또는 P_O_PUSCH(j)는, 상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브캐리어 간격마다 설정할 수 있다. P_O_PUSCH(j)는, P_O_NOMINAL_PUSCH(j)+P_O_UE_PUSCH(j)+P_O_SCS_PUSCH(i)로 설정된다. P_O_NOMINAL_PUSCH(j)는, 셀 고유로 설정되는 목표 수신 전력 레벨(목표 수신 전력값)의 요소이다. P_O_UE_PUSCH(j)는, 단말 장치 고유로 설정되는 목표 수신 전력 레벨의 요소이다. 기지국 장치(10)는, P_O_NOMINAL_PUSCH(j), P_O_UE_PUSCH(j)를, RRC에 의해 단말 장치(20)에 통지한다. P_O_SCS_PUSCH(j)는, 상향 링크 데이터가 할당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의해 설정되는 목표 수신 전력 레벨의 요소이다.
j는 상향 링크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정해지는 파라미터이다. j=0은, 물리 링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이 세미 퍼시스턴트하게 스케줄링되는 경우(SPS C-RNTI로 스크램블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j=1은, 물리 링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이 다이내믹 스케줄링되는 경우(예를 들어, C-RNTI로 스크램블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j=2는, 랜덤 액세스에 관한 데이터(예를 들어, 메시지3)가 송신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물리 링크 상향 공유 채널이 그랜트프리 액세스로 송신되는 경우, j=1, 또는 j=2의 설정을 사용할 수 있다. P_O_NOMINAL_PUSCH(j), P_O_UE_PUSCH(j), P_O_SCS_PUSCH(j)는 j의 값마다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j=2의 경우, P_O_UE_PUSCH(2)=0이다. 또한, j=0, 1의 경우, P_O_SCS_PUSCH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서 변화되는 값으로 하고, j=2의 경우, P_O_SCS_PUSCH=0으로 고정으로 설정한다.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M_PUSCH(i) 및 P_O_PUSCH(j)의 설정예를 설명한다. M_PUSCH(i)가, 서브프레임 i에 있어서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리소스 할당 유닛수인 경우의 예이다. 여기서, 리소스 할당 유닛은, 서브캐리어수로 정의된다(즉, 리소스 할당 유닛은, 서브캐리어 간격에 상관없이, 동일 서브캐리어수이다). 이 경우, 서브캐리어 간격이 큰 리소스 할당 유닛일수록, P_O_PUSCH(j)가 작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P_O_PUSCH(j)를 구성하는 P_O_NOMINAL_PUSCH(j) 및 P_O_UE_PUSCH(j)가, 레퍼런스가 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있어서의 목표 수신 전력 레벨로 설정된다.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을 할당하는 리소스 할당 유닛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레퍼런스가 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N배인 경우, P_O_SCS_PUSCH(i)는 10Log10(1/N)으로 설정된다. 즉,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을 할당하는 리소스 할당 유닛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N배가 된 경우, P_O_PUSCH(j)는, N분의 1로 설정된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f_scs=30㎑에 있어서의 P_O_PUSCH(j)는, f_scs=15㎑(레퍼런스가 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있어서의 P_O_PUSCH(j)에 비해, 2분의 1로 설정된다. 또한,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P_O_SCS_PUSCH(i)의 요소는, P_O_NOMINAL_PUSCH(j) 또는/및 P_O_UE_PUSCH(j)에 포함하여 설정해도 된다. 또한, P_O_SCS_PUSCH(i)는, 레퍼런스가 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의존하는 값 10Log10(1/N)을 소정의 계수 β로 조정해도 된다(P_O_SCS_PUSCH(i)=β×10Log10(1/N)). 예를 들어, 계수 β는, P_O_SCS_PUSCH(i)의 상한값/하한값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M_PUSCH(i)는, 서브프레임 i에 있어서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수로 정의할 수도 있다. 여기서, 리소스 블록은, 서브캐리어수 및 OFDM 심볼수로 일의로 설정된다(즉, 리소스 블록은, 서브캐리어 간격에 상관없이, 동일 서브캐리어수이다). 이 경우, 상기와 마찬가지로, 서브캐리어 간격이 큰 리소스 블록일수록, P_O_PUSCH(j)가 작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P_O_PUSCH(j)를 구성하는 P_O_NOMINAL_PUSCH(j) 및 P_O_UE_PUSCH(j)가, 레퍼런스가 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있어서의 목표 수신 전력 레벨로 설정된다.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을 할당하는 리소스 블록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레퍼런스가 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N배인 경우, P_O_SCS_PUSCH(i)는 10Log10(1/N)으로 설정된다.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M_PUSCH(i) 및 P_O_PUSCH(j)의 다른 설정예를 설명한다. M_PUSCH(i)가, 서브프레임 i에 있어서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수인 경우의 예이다. 여기서, 리소스 블록은, 주파수 대역폭[Hz]으로 정의된다(즉, 리소스 블록은,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서, 상이한 서브캐리어수이다). 이 경우, M_PUSCH(i)는,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이 할당되는 리소스 할당 유닛수에 있어서의 주파수 대역폭[Hz]과 리소스 블록의 주파수 대역폭[Hz]의 비에 의해, 리소스 블록수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간격 f_scs=15㎑에 있어서의 리소스 할당 유닛 A를 리소스 블록으로 설정한 경우를 기준으로, P_O_PUSCH(j)는 목표 수신 전력 레벨을 설정한다. 리소스 블록의 주파수 대역폭[Hz]은, 180㎑가 된다.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이 1개의 리소스 할당 유닛 A에 맵핑되는 경우, M_PUSCH(i)=1리소스 블록으로 설정된다. 한편, 서브캐리어 간격 f_scs=30㎑의 경우, 리소스 블록의 주파수 대역폭(180[㎑])에 6서브캐리어가 포함된다.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이 1개의 리소스 할당 유닛 B에 맵핑되는 경우, M_PUSCH(i)=2리소스 블록으로 설정된다. 상기 2예와 같이, M_PUSCH(i) 및 P_O_PUSCH(j)는,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이 맵핑되는 물리 리소스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설정된다. 이에 의해, 서브캐리어 간격이 변경되는 경우라도, 유연하게 단말 장치 송신 전력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변경에 의한 스펙트럼 복사의 조정을 유연하게 행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의 물리 리소스가 동시에 할당된 경우, M_PUSCH(i) 및 P_O_PUSCH(j)는, 서브캐리어 간격마다 설정할 수 있다. 식 (1)에 있어서, M_PUSCH(i) 및 P_O_PUSCH(j)는, 서브캐리어 간격마다의 항을 마련해도 된다. P_O_PUSCH(j)는, RRC/DCI를 사용하여, 서브캐리어 간격마다, 통지되어도 된다. M_PUSCH(i)는, 서브캐리어 간격마다 통지된 리소스 할당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여, 설정된다. 서브캐리어 간격마다의 M_PUSCH(i)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할당 대역폭 정보를 사용하여, 설정된다.
α(j)×PL은, 패스로스를 보상하기 위한 항이다. PL은, 송신 전력 제어부(2114)에 있어서 산출된 패스로스의 견적이다. PL은, 평균 전력값(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을 사용하여 산출된다. PL을 산출할 때 사용되는 레퍼런스 신호 전력은, RRC를 사용하여, 기지국 장치(10)로부터 통지된다. 레퍼런스 신호 전력은, 하향 링크 레퍼런스 신호 EPRE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해도 된다. 레퍼런스 신호 전력은, 서브캐리어 간격마다, 설정된다. α(j)는, 단말 장치 송신 전력 P_PUSCH에 있어서의 패스로스의 영향을 제어하기 위해 PL에 승산되는 계수이다. α(j)는, 상향 링크 데이터의 종류마다 설정되는 후보로부터 선택된다. 예를 들어, j=0, 1의 경우, α(j)는 {0, 0.4, 0.5, 0.7, 0.8, 0.9, 1}로부터 선택된다. j=2의 경우, α(j)=1로 설정된다. α(j)는, 기지국 장치(10)에 의해 상기 후보 중에서 선택된다. 기지국 장치(10)에 의해 선택된 α(j)는, RRC에 의해 통지된다. α(j)의 후보는, 주파수 밴드마다, 설정할 수도 있다. 그 경우, 계수가 α(j, f)로 되고, f는 주파수 밴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예를 들어, 반송파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패스로스가 커지기 때문에, 단말 장치가 큰 전력으로의 송신이 필요로 되어, 소비 전력이 커진다. 따라서, 반송파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계수의 α(j, f)를 작게 하여, 패스로스를 보상하는 항을 작게 한다. 그 결과, 높은 반송파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단말 장치의 소비 전력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각 주파수 밴드는, 서브캐리어 간격과 관련지어진다. 각 주파수 밴드는, 레퍼런스가 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설정된다.
Δ_TF(i)는, 상향 링크 데이터의 MCS에 따라서 수신 레벨을 보정하는 오프셋값이다.
f(i)[dB]는, DCI에 의해, 단말 장치 송신 전력 P_PUSCH를 다이내믹하게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정값이다. 서브프레임 i에 있어서의 f(i)는, 서브프레임 i-1에 있어서 설정된 f(i-1)에 대하여 갱신값 δ_tpc[dB]를 순차적으로 가산함으로써 설정한다(δ_tpc는 누적값이라고도 불린다). 예를 들어, f(i)는, f(i-1)+δ_tpc로 결정된다.
서브프레임 i에 있어서의 f(i)는, 서브프레임 i에 있어서의 설정에 상관없이, 갱신값 δ_tpc[dB]에 의해 설정할 수도 있다(δ_tpc는 절댓값이라고도 불린다). 예를 들어, f(i)=δ_tpc가 된다.
갱신값 δ_tpc는, DCI에 포함되는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Transmission Power Control Command)와 대응지어진다. 송신 전력 제어부(2114)는,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와 갱신값을 관련짓는 테이블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비트의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 [00 01 10 11]은 각각, 갱신값 δ_tpc=[-1, 0, 1, 3]을 나타낸다. 이 경우, 4개의 갱신값으로 구성되는 갱신값 후보 세트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10)에 의해 선택된 1개의 갱신값이,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를 사용하여 통지된다. 1비트의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 [0 1]의 각각은, 갱신값 δ_tpc=[-1, 1]을 나타낸다. 이 경우, 2개의 갱신값으로 구성되는 갱신값 후보 세트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10)에 의해 선택된 1개의 갱신값이,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를 사용하여 통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에서는, 갱신값 후보수가 상이한 복수의 갱신값 후보 세트가 설정되어 있다. f(i)는, 상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브캐리어의 서브캐리어 간격마다, 상이한 갱신값 후보수의 갱신값 후보 세트를 사용하여, 설정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에서는, 갱신값 후보수가 동일한 복수의 갱신값 후보 세트가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가 2비트인 경우, 제1 갱신값 후보 세트 [-1, 0, 1, 3] 및 제2 갱신값 후보 세트 [-4, -1, 1, 4]가 설정된다. 제1 갱신값 후보 세트와 제2 갱신값 후보 세트는, 증감폭(갱신 폭, 변동폭)에 있어서 상이하다. 갱신값의 송신 전력 제어부(2114)는, 기지국 장치(10)에 의해 송신된 갱신 후보 세트 지시 정보에 따라서, 제1 갱신값 후보 세트 또는 제2 갱신값 후보 세트를 선택한다. 갱신 후보 세트 지시 정보는, RRC를 사용하여, 기지국 장치에 의해 송신된다. 또한, 송신 전력 제어부(2114)는, 선택한 갱신값 후보 세트에 있어서,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에 의해 지시되는 갱신값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제2 갱신값 후보 세트가 지시되고,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가 「00」인 경우, 갱신값 δ_tpc=-4가 선택된다. 여기서, 갱신값 후보 세트는, 주파수 밴드에 의해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반송파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증감폭(갱신 폭, 변동폭)이 큰 갱신값 후보 세트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는 주파수 밴드의 누적값 δ_tpc(f)를 가져도 된다. 이 경우, 기지국 장치는, 주파수 밴드마다의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를 단말 장치에 통지한다.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는, 서브캐리어 간격마다 갱신값과 관련지을 수 있다. 송신 전력 제어부(2114)는, 서브캐리어 간격마다 관련지어진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와 갱신값의 테이블을 유지할 수 있다. f(i)는, 상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브캐리어의 서브캐리어 간격마다, 독립하여 설정할 수 있다. 보정값 f(i), 갱신값 δ_tpc는, M_PUSCH(i) 및/또는 P_O_PUSCH(j)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된다. 누적값을 사용한 보정값 f(i)에 있어서, f(i-1)는 동일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상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한 1개 전의 서브프레임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1개의 DCI 포맷에 있어서,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의 필드는, 서브캐리어 간격마다 마련할 수 있다. f(i)는, 상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브캐리어의 서브캐리어 간격마다, 증감폭을 변화시킬 수 있다(상이한 증감폭을 설정할 수 있다). f(i)는, 상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브캐리어의 서브캐리어 간격마다, 상이한 갱신값 후보 세트를 사용하여, 설정된다. 예를 들어, 상향 링크 데이터를 할당하는 서브캐리어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클수록, 증감폭이 큰 갱신값 후보 세트를 사용하여, f(i)가 설정된다. 서브캐리어 간격 f_scs=30㎑로 상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의 δ_tpc의 증감폭은, 서브캐리어 간격 f_scs=15㎑로 송신하는 경우보다 크게 설정된다. 서브캐리어 간격 f_scs=15㎑의 경우, 제1 갱신값 후보 세트로부터 선택된 갱신값을 사용하여, f(i)가 설정된다. 한편, 서브캐리어 간격 f_scs=30㎑의 경우, 제2 갱신값 후보 세트로부터 선택된 갱신값을 사용하여, f(i)가 설정된다.
상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각 주파수 밴드에는, 레퍼런스가 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설정된다. 높은 주파수 밴드(예를 들어, 밀리미터파 밴드)의 레퍼런스가 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낮은 주파수 밴드(예를 들어, 마이크로파 밴드)의 레퍼런스가 되는 서브캐리어 간격보다 크게 설정된다. f(i)는, 상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주파수 밴드의 레퍼런스가 되는 서브캐리어 간격마다, 증감폭을 변화시킬 수 있다(상이한 증감폭을 설정할 수 있다). f(i)는, 상향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주파수 밴드의 레퍼런스가 되는 서브캐리어 간격마다, 상이한 갱신값 후보 세트를 사용하여, 설정된다. 예를 들어, 상향 링크 데이터를 할당하는 주파수 밴드의 레퍼런스가 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클수록, 증감폭이 큰 갱신값 후보 세트를 사용하여, f(i)가 설정된다.
누적값을 사용한 보정값 f(i)에 있어서, 서브프레임 i-1에 있어서 사용된 서브캐리어 간격이 서브프레임 i에 있어서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과 상이한 경우, 보정값 f(i)는 초깃값 f(0)=0으로 설정된다(보정값 f(i)는 리셋된다). 또한, 상기 초깃값 f(0)는 0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초깃값으로서 미리 정해진 값이면 된다. 상기 초깃값은, 서브캐리어 간격마다 상이한 값을 설정해도 된다. 또한, 서브프레임 i-1에 있어서 사용된 서브캐리어 간격이 서브프레임 i에 있어서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과 상이한 경우, 누적값을 사용한 보정값 f(i)로부터 절댓값을 사용한 보정값 f(i)로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에 의해, 송신 전력 제어부(2114)는, 서브캐리어 간격이나 주파수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단말 장치 송신 전력 P_PUSCH의 오차(예를 들어, 증폭기의 오차, 패스로스의 추정 오차,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 등)를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 송신을 위해 전용의 DCI 포맷이 정의되어도 된다.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 송신 전용의 DCI 포맷은, 서브캐리어 간격과 해당 서브캐리어 간격을 위한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캐리어 간격과 해당 서브캐리어 간격을 위한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는 일대일로 관련지어(페어로), 송신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기지국 장치(10)는, 상위층 처리부(상위층 처리 스텝)(102), 송신부(송신 스텝)(104), 송신 안테나(106), 제어부(제어 스텝)(108), 수신 안테나(110), 수신부(수신 스텝)(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신부(104)는, 부호화부(부호화 스텝)(1040), 변조부(변조 스텝)(1042), 맵핑부(맵핑 스텝)(1044), 하향 링크 제어 신호 생성부(하향 링크 제어 신호 생성 스텝)(1046),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 스텝)(1048) 및 무선 송신부(무선 송신 스텝)(10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신부(112)는, 무선 수신부(무선 수신 스텝)(1120), 전반로 추정부(전반로 추정 스텝)(1122), 디맵핑부(디맵핑 스텝)(1124), 등화부(1126)(등화 스텝), IDFT부(1128)(IDFT 스텝), 역확산부(1130)(역확산 스텝), 복조부(1132)(복조 스텝) 및 복호부(1134)(복호 스텝)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위층 처리부(102)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 Medium Access Control)층, 패킷 데이터 통합 프로토콜(PDCP :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층, 무선 링크 제어(RLC : Radio Link Control)층, 무선 리소스 제어(RRC : Radio Resource Control)층 등의 물리층보다 상위층의 처리를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102)는, 송신부(104) 및 수신부(112)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08)에 출력한다. 상위층 처리부(102)는, 하향 링크 데이터(예를 들어, DL-SCH), 알림 정보(예를 들어, BCH),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Hybrid Automatic Request) 인디케이터(HARQ 인디케이터) 등을 송신부(104)에 출력한다.
상위층 처리부(102)는, 단말 장치의 기능(UE capability) 등의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를, 단말 장치(20)로부터(수신부(112)를 통해) 수신한다. 단말 장치의 기능은, 서포트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 정보 등이 포함된다. 상위층 처리부(102)는, BSR, 파워 헤드룸 리포트 등의 상위층의 신호를 단말 장치(20)로부터 수신한다.
상위층 처리부(102)는, 브로드캐스트하는 시스템 인포메이션(MIB, SIB)을 생성, 또는 상위 노드로부터 취득한다. 상위층 처리부(102)는, 상기 브로드캐스트하는 시스템 인포메이션을 송신부(104)에 출력한다. 또한, SIB의 일부는, 단말 장치 고유로 송신할 수 있다.
상위층 처리부(102)는,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에 맵핑되는 하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 시스템 인포메이션(SIB), RRC 메시지, MAC CE 등을 생성, 또는 상위 노드로부터 취득하여, 송신부(104)에 출력한다. 상위층 처리부(102)는, 이들 상위층의 신호에 상향 링크 송신에 관한 설정 정보/하향 링크 송신에 관한 설정 정보, 그랜트프리 액세스에 관한 설정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위층 처리부(102)는, 이들 설정 정보를 제어부(108)/송신부(104)에 출력한다. 상향 링크 송신에 관한 설정 정보/하향 링크 송신에 관한 설정 정보는,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각 서브캐리어 간격의 할당 대역폭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향 링크 송신에 관한 설정 정보에는, 상향 링크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위층 처리부(102)는,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각 서브캐리어 간격의 할당 대역폭 정보/상향 링크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전용 SIB를 생성해도 된다.
상위층 처리부(102)는, 물리 채널(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 등)의 부호화율, 변조 방식(혹은 MCS) 및 송신 전력 등을 결정한다. 상위층 처리부(102)는, 상기 부호화율/변조 방식/송신 전력을 송신부(104)/제어부(108)/수신부(112)에 출력한다. 상위층 처리부(102)는, 상기 부호화율/변조 방식/송신 전력을 상위층의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제어부(108)는, 상위층 처리부(102)로부터 입력된 각종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부(104) 및 수신부(112)의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108)는, BSR, 파워 헤드룸 리포트 등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 데이터의 스케줄링을 행한다. 제어부(108)는, 단말 장치(20)에 송신된 상향 링크 그랜트의 내용(각 단말 장치를 위한 상향 링크 데이터의 리소스 할당, 서브캐리어 간격, MCS 등)에 기초하여, 수신부(112)의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108)는, 상위층 처리부(102)로부터 입력된 하향 링크 송신에 관한 설정 정보 및 상향 링크 송신에 관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 링크 제어 정보(DCI)를 생성하여, 송신부(104)에 출력한다.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는,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제어 정보/상향 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8)의 기능은, 상위층 처리부(102)에 포함시킬 수 있다.
송신부(104)는, 단말 장치(20)를 위해, 상위층 처리부(102)로부터 입력된 알림 정보, 하향 링크 제어 정보, 하향 링크 공유 채널 등을 부호화 및 변조하여, 물리 알림 채널,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을 생성한다. 부호화부(1040)는, 미리 정해진/상위층 처리부(102)가 결정한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알림 정보, 하향 링크 공유 채널을 부호화한다(레피티션을 포함한다). 부호화 방식은, 컨볼루션 부호화, 터보 부호화,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화, Polar 부호화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변조부(1042)는, 부호화부(104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비트를 BPSK, QPSK, 16QAM, 64QAM, 256QAM 등의 미리 정해진/상위층 처리부(102)가 결정한 변조 방식으로 변조한다.
하향 링크 제어 신호 생성부(1046)는, 제어부(108)로부터 입력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DCI)에 CRC를 부가한다. 또한, 하향 링크 제어 신호 생성부(1046)는, 상기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대하여 부호화, 변조를 실시하여,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생성한다.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1048)는,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생성한다.
맵핑부(1044)는, 변조된 각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의 변조 심볼,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과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리소스 엘리먼트에 맵핑한다. 맵핑부(1044)는, 물리 하향 링크 공유 채널,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각 단말 장치에 할당된 물리 리소스에 맵핑한다.
무선 송신부(1050)는, 다중된 각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의 변조 심볼을 역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 IFFT)하여 OFDM 심볼을 생성한다. 무선 송신부(1050)는, 각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의 송신에 사용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역고속 푸리에 변환을 행한다. 무선 송신부(1050)는, 상기 OFDM 심볼에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 : CP)를 부가하여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무선 송신부(1050)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필터링에 의해 여분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반송 주파수로 업 컨버트하고, 전력 증폭하고, 송신 안테나(106)에 출력하여 OFDM 신호를 송신한다.
무선 수신부(1120)는, 수신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한 상향 링크의 신호를, 다운 컨버트에 의해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신호 레벨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증폭 레벨을 제어하고, 수신된 신호의 동상성분 및 직교 성분에 기초하여, 직교 검파하고, 직교 검파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무선 수신부(1120)는, 변환한 디지털 신호로부터 CP에 상당하는 부분을 제거한다. 무선 수신부(1120)는, CP를 제거한 신호에 대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 FFT)을 행하여,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추출한다. 무선 수신부(1120)는, 각 상향 링크의 신호가 맵핑되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을 행한다. 각 상향 링크의 신호가 맵핑되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어부(108)로부터 통지된다.
전반로 추정부(1122)는, 복조용 참조 신호를 사용하여,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의 신호 검출을 위한 채널 추정을 행한다. 전반로 추정부(1122)는, 상기 복조용 참조 신호 계열을 사용하여, 기지국 장치(10)와 단말 장치(20) 사이의 채널 상태(전반로 상태)를 측정한다.
디맵핑부(1124)는, 무선 수신부(1120)로부터 입력되는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부터, 단말 장치마다 상향 링크 물리 채널(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 물리 상향 링크 제어 채널 등) 및 상향 링크 물리 신호(동기 신호 등)를 추출한다. 디맵핑부(1124)는, 제어부(108)로부터 입력되는 상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마다의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을 추출한다. 이하, 등화부(1126), IDFT부(1128), 역확산부(1130), 복조부(1132), 복호부(1134)는, 각 단말 장치의 상향 링크 데이터마다 처리를 행한다.
등화부(1126)는, 전반로 추정부(1122)로부터 입력되는 전반로 추정 결과를 사용하여, 디맵핑부(1124)로부터 입력되는 단말 장치마다의 신호에 대하여 전반로 보상을 행한다. 예를 들어, 등화부(1126)는, 주파수 영역의 신호에 대하여 MMSE 규범에 기초하는 등화 가중치를 승산한다.
IDFT부(1128)는, 등화 후의 각 단말 장치의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IDFT부(1128)는, 단말 장치(20)의 DFT부(2104)에서 실시된 처리에 대응한다.
역확산부(1130)는, IDFT 후의 각 단말 장치의 시간 영역의 신호에 대하여, 확산 부호 계열을 승산한다(역확산 처리). 단말 장치(20)에 있어서, DFT 후의 신호에 대하여 확산 처리가 행해져 있는 경우, IDFT 전의 신호에 대하여 역확산 처리가 실시된다. 또한, 단말 장치(20)에 있어서, 인터리브가 실시되어 있는 경우, 디인터리브 처리가 행해진다.
복조부(1132)에는, 미리 통지되어 있거나, 또는 미리 정해져 있는 각 단말 장치의 변조 방식의 정보가 제어부(108)로부터 입력된다. 복조부(1132)는, 상기 변조 방식의 정보에 기초하여, 역확산 후의 신호에 대하여 복조 처리를 실시하여, 비트 계열의 LLR(Log Likelihood Ratio)을 출력한다.
복호부(1134)에는, 미리 통지되어 있거나, 또는 미리 정해져 있는 부호화율의 정보가 제어부(108)로부터 입력된다. 복호부(1134)는, 상기 복조부(1132)로부터 출력된 LLR의 계열에 대하여 복호 처리를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102)는, 복호부(1134)로부터 각 단말 장치의 복호 후의 상향 링크 데이터(경판정 후의 비트 계열)를 취득한다. 상위층 처리부(102)는, 각 단말 장치의 복호 후의 상향 링크 데이터에 포함되는 CRC에 대하여, 각 단말기에 할당한 UE ID를 사용하여, 디스크램블(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102)는, 디스크램블에 의한 오류 검출의 결과, 상향 링크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단말 장치의 식별을 올바르게 완료하고, 해당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향 링크 데이터를 올바르게 수신할 수 있었다고 판단한다.
이상과 같이, 기지국 장치(10)는, 단말 장치(20)의 상향 링크 데이터를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갖는 물리 리소스를 사용하여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10)는, 그 물리 리소스의 서브캐리어 간격마다, 상향 링크의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서브캐리어 간격이 상이함으로써 발생하는 대역외 복사, 불요 복사, 인접 채널 전력 누설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는,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갖는 물리 리소스를 사용하여 상향 링크 데이터 및 하향 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파워 헤드룸의 설정의 일례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기지국 장치(10) 및 단말 장치(20)로 구성된다. 이하, 제1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추가점을 주로 설명한다.
단말 장치(20)의 상위층 처리부(206)는, 기지국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상향 링크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여, 파워 헤드룸(PH; Power Headroom)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파워 헤드룸 PH(i)[dB]는 식 (2)로 결정된다.
Figure pct00002
PH(i)를 구성하는 i, P_CMAX(i), M_PUSCH(i), P_O_PUSCH(j), α(j), PL, Δ_TF(i) 및 f(i)는,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이 맵핑되는 물리 리소스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식 (1)과 마찬가지로 설정된다.
단말 장치(20)의 상위층 처리부(206)는, 파워 헤드룸의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생성한다. 단말 장치(20)의 송신부(210)는,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을 사용하여,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포함하는 MAC CE를 기지국 장치(10)로 송신한다. 단말 장치(20)의 송신부(210)는, 패스로스(PL)가 소정의 역치보다 커진 경우에,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기지국 장치(10)에 송신한다. 소정의 역치는, 기지국 장치(10)가, 상위층의 신호를 사용하여, 단말 장치(20)에 통지한다.
단말 장치(20)의 송신부(210)는,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주기적으로 기지국 장치(10)에 송신한다. 기지국 장치(10)는, 상위층의 신호를 사용하여, 파워 헤드룸 리포트의 송신 주기를 단말 장치(20)에 통지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10)는, 상위층의 신호를 사용하여, 파워 헤드룸 리포트의 송신 금지 기간을 단말 장치(20)에 통지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20)의 송신부(210)는,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할당된 물리 리소스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변화된 경우에,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기지국 장치(10)에 송신한다.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은, RRC/DCI에 의해, 단말 장치(20)에 송신된다. 단말 장치(20)는, 상기 파워 헤드룸 리포트의 송신을 위한 트리거가 중복되는 경우, 어느 것의 트리거를 우선적으로 적용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변화에 의해 파워 헤드룸 리포트의 송신 트리거가 발생한 경우, 다른 트리거보다 우선할 수 있다. 이 경우, 우선한 트리거에 대응하는 파워 헤드룸 리포트의 내용을 기지국 장치(10)에 송신한다.
기지국 장치(10)의 제어부(108)는, 상위층 처리부(102)로부터 입력된 단말 장치(20)의 BSR, 파워 헤드룸 리포트 등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20)의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 할당, 서브캐리어 간격, 상향 링크 송신 전력 제어)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파워 헤드룸은,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할당된 물리 리소스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또한, 물리 상향 링크 공유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할당된 물리 리소스의 서브캐리어 간격의 변경을 트리거로 하여, 파워 헤드룸 리포트가 송신된다. 이에 의해, 서브캐리어 간격이나 주파수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파워 헤드룸의 변화에 따라서 파워 헤드룸 리포트가 송신된다. 따라서, 기지국 장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나 주파수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를 고려하여, 상향 링크 데이터를 할당 가능한 물리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장치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도록, Central Processing Unit(CPU) 등을 제어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프로그램 혹은 프로그램에 의해 취급되는 정보는, 처리 시에 일시적으로 Random Access Memory(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에 읽어들여지거나, 혹은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나 Hard Disk Drive(HDD)에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서 CPU에 의해 판독, 수정·기입이 행해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치의 일부를 컴퓨터로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해도 된다.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이게 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해도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란, 장치에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이며,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주변 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반도체 기록 매체, 광 기록 매체, 자기 기록 매체 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나 전화 회선 등의 통신 회선을 통해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경우의 통신선과 같이, 단시간, 동적으로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것, 그 경우의 서버나 클라이언트가 되는 컴퓨터 시스템 내부의 휘발성 메모리와 같이, 일정 시간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포함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되고, 또한 전술한 기능을 컴퓨터 시스템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사용한 장치의 각 기능 블록, 또는 여러 특징은, 전기 회로, 즉 전형적으로는 집적 회로 혹은 복수의 집적 회로에 실장 또는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전기 회로는, 범용 용도 프로세서,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SP), 특정 용도용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그 밖의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디스크리트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스크리트 하드웨어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을 포함해도 된다. 범용 용도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여도 되고, 종래형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스테이트 머신이어도 된다. 전술한 전기 회로는, 디지털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아날로그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에 의해 현재의 집적 회로를 대체할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출현할 경우, 당해 기술에 의한 집적 회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에서는, 장치의 일례를 기재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옥내외에 설치되는 거치형, 또는 비가동형 전자 기기, 예를 들어 AV 기기, 키친 기기, 청소·세탁 기기, 공조 기기, 오피스 기기, 자동 판매기, 그 밖의 생활 기기 등의 단말 장치 혹은 통신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상이한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기재된 요소이며,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는 요소끼리를 치환한 구성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 통신 기기(예를 들어, 휴대 전화 장치, 기지국 장치, 무선 LAN 장치, 혹은 센서 디바이스), 집적 회로(예를 들어, 통신 칩), 또는 프로그램 등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다.
10 : 기지국 장치
20-1 내지 20-n1 : 단말 장치
10a : 기지국 장치(10)가 단말 장치와 접속 가능한 범위
102 : 상위층 처리부
104 : 송신부
106 : 송신 안테나
108 : 제어부
110 : 수신 안테나
112 : 수신부
1040 : 부호화부
1042 : 변조부
1044 : 맵핑부
1046 : 하향 링크 제어 신호 생성부
1048 :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
1050 : 무선 송신부
1120 : 무선 수신부
1122 : 전반로 추정부
1124 : 디맵핑부
1126 : 등화부
1128 : IDFT부
1130 : 역확산부
1132 : 복조부
1134 : 복호부
202 : 수신 안테나
204 : 수신부
206 : 상위층 처리부
208 : 제어부
210 : 송신부
212 : 송신 안테나
2100 : 부호화부
2102 : 변조부
2104 : DFT부
2106 : 확산부
2108 : 맵핑부
2110 : 무선 송신부
2112 : 상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
2114 : 송신 전력 제어부
2040 : 무선 수신부
2042 : 디맵핑부
2044 : 복조부
2046 : 복호부

Claims (11)

  1.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이며,
    OFDM 신호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OFDM 신호를 사용하여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을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상기 OFDM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을 맵핑한 서브캐리어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의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의 송신 전력은, 적어도 목표 수신 전력값과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이 맵핑되는 리소스 블록의 수에 의해 정해지는 제1 보정값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상기 리소스 블록은, 복수의 서브캐리어와 복수의 OFDM 심볼로부터 일의로 정해지는 무선 리소스의 영역이며,
    상기 목표 수신 전력값은,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이 맵핑되는 리소스 블록에 포함되는 서브캐리어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이 맵핑되는 리소스 블록에 포함되는 서브캐리어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포함되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에 대하여 N배인 경우, 상기 목표 수신 전력값은,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이 제1 서브캐리어 간격으로 서브캐리어가 배치된 리소스 블록에 맵핑된 경우의 1/N으로 설정되는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의 송신 전력은, 적어도 목표 수신 전력값과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이 맵핑되는 리소스 블록의 수에 의해 정해지는 제1 보정값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상기 리소스 블록은, 복수의 서브캐리어와 복수의 OFDM 심볼로부터 일의로 정해지는 무선 리소스의 영역이고,
    상기 하향 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의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서브캐리어 간격마다,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와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의 송신 전력에 대한 제2 보정값을 관련짓는 테이블을 갖는 단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을 복수의 주파수 밴드에 있어서의 서브캐리어에 맵핑하고,
    상기 주파수 밴드마다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2 보정값은,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전력의 증감폭이 설정되어 있는 단말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이 할당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2 보정값을 초깃값으로 하는 단말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목표 수신 전력값의 기준이 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보정값을 설정하는 단말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보정값의 기준이 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보정값을 설정하는 단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의 송신 전력이 최대 송신 전력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포함되는 최소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최대 송신 전력의 하한값은,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포함되는 그 밖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의해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작게 설정되는 단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에 사용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변경하는 경우,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는 단말 장치.
  11.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OFDM 신호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OFDM 신호를 사용하여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을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스텝을 갖고,
    상기 송신 스텝은,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상기 OFDM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 스텝은,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을 맵핑한 서브캐리어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의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KR1020197018634A 2017-01-05 2017-12-21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KR102550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00506 2017-01-05
JP2017000506A JP2020036052A (ja) 2017-01-05 2017-01-05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その通信方法
PCT/JP2017/045984 WO2018128086A1 (ja) 2017-01-05 2017-12-21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その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315A true KR20190095315A (ko) 2019-08-14
KR102550068B1 KR102550068B1 (ko) 2023-07-03

Family

ID=62791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634A KR102550068B1 (ko) 2017-01-05 2017-12-21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24874B2 (ko)
EP (1) EP3567815A4 (ko)
JP (1) JP2020036052A (ko)
KR (1) KR102550068B1 (ko)
CN (1) CN110140329B (ko)
MX (1) MX2019007898A (ko)
WO (1) WO20181280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49631B2 (en) * 2016-03-29 2020-08-18 Lg Electronics Inc. Method by which base station and terminal transmit and receive data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upporting same
EP3522659A4 (en) * 2016-09-30 2020-09-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ROCESS AND DEVICE FOR CONTROL OF ACCESS BASED ON A COMMON RESOURCE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18134838A1 (en) * 2017-01-20 2018-07-26 Wisig Networks Private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spreaded sequence with low peak-to-average power ratio (papr) waveform
US10917278B2 (en) * 2017-04-28 2021-02-09 Nokia Technologies Oy Frequency-domain transmitters and receivers which adapt to different subcarrier spacing configurations
CN111586825B (zh) * 2017-08-09 2021-11-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方法、接收方法、功率分配方法及相关设备
CN109391578B (zh) * 2017-08-11 2022-07-22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发送方法、信号接收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JP2021192466A (ja) * 2018-08-09 2021-12-16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1586850B (zh) * 2019-02-15 2023-09-1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传输方法、接收方法、终端及网络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9820A (ko) * 2010-03-18 2012-12-27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다중 요소 반송파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랜덤 액세스 설계
WO2015099889A1 (en) * 2013-12-23 2015-07-02 Qualcomm Incorporated Mixed numerology ofdm design
KR20150128247A (ko) * 2014-05-09 2015-11-18 주식회사 팬택자산관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제어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70021B2 (en) * 2008-07-31 2016-06-1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Interference reduction for terminals operating on neighboring band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5542971B2 (ja) * 2010-02-25 2014-07-0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多重搬送波システムにおけるパワーヘッドルーム情報の送信装置及び方法
US9253735B2 (en) * 2012-10-02 2016-02-02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maximum power reduction (MPR) for multi-cluster wireless transmissions
US9743401B2 (en) * 2012-10-22 2017-08-22 Lg Electronics Inc.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for configuring radio frame for offsetting Doppler effect
EP2911321B1 (en) * 2012-10-22 2020-09-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configuring wireless frame of user equipment, user equipment, method for configuring wireless frame of base station, and base station
US9763258B2 (en) * 2013-01-21 2017-09-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mmunication using a dynamic transmission parameter
US10028302B2 (en) * 2013-03-08 2018-07-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grant-free transmission scheme
DK3100535T3 (da) * 2014-01-29 2019-05-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Uplink-sendinger i trådløs kommunikation
WO2016141989A1 (en) * 2015-03-12 2016-09-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Adaptation of subcarrier frequency spacing based on energy efficiency indicator
JP6256884B2 (ja) 2015-06-12 2018-01-10 株式会社サンセイアールアンドディ 遊技機
CN106507497B (zh) * 2015-09-08 2020-09-11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上行数据传输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10064217B2 (en) * 2015-10-16 2018-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flexible numerology in multi-user MIMO system
JP2019054314A (ja) * 2016-02-02 2019-04-04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方法
WO2017196387A1 (en) 2016-05-12 2017-11-16 Intel IP Corporation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design
US10764832B2 (en) * 2016-09-28 2020-09-01 Idac Holdings, Inc. Uplink power control
US11451989B2 (en) * 2016-11-03 2022-09-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radio nodes for performing measurement with multiple numerologi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9820A (ko) * 2010-03-18 2012-12-27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다중 요소 반송파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랜덤 액세스 설계
WO2015099889A1 (en) * 2013-12-23 2015-07-02 Qualcomm Incorporated Mixed numerology ofdm design
KR20150128247A (ko) * 2014-05-09 2015-11-18 주식회사 팬택자산관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제어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Study on Scenarios and Requirements for Next Generation Access Technologies; (Release 14)" 3GPP TR 38.913 v14.0.0 (2016-10)
3GPP R1-166754* *
3GPP R4-162263* *
3GPP R4-164519 *
R1-167529, 3GPP TSG RAN WG1 Meeting #86, Gothenburg, Sweden, 22nd-26th August 20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0068B1 (ko) 2023-07-03
JP2020036052A (ja) 2020-03-05
MX2019007898A (es) 2019-09-19
US11424874B2 (en) 2022-08-23
WO2018128086A1 (ja) 2018-07-12
CN110140329A (zh) 2019-08-16
EP3567815A1 (en) 2019-11-13
CN110140329B (zh) 2022-06-14
EP3567815A4 (en) 2020-08-05
US20190327037A1 (en)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3388B2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その通信方法
CN110050503B (zh) 基站装置、终端装置及其通信方法
WO2019194270A1 (ja) 端末装置
CN110999381B (zh) 终端装置以及通信方法
WO2018230701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その通信方法
JP7064931B2 (ja) 基地局装置および端末装置
KR102550068B1 (ko)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WO2019208774A1 (ja) 端末装置
JP6926043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その通信方法
WO2019150889A1 (ja) 基地局装置および端末装置
JP2020025183A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WO2019131021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その通信方法
JP2019198013A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WO2020138004A1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WO2020090646A1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WO2019065595A1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WO2022186230A1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JP2020108104A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JP2019033415A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その通信方法
WO2019194271A1 (ja) 端末装置
WO2019156084A1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WO2020090645A1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WO2020031993A1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JP2023166647A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JP2023166648A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