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943A - 접이식 옷걸이 - Google Patents

접이식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943A
KR20190094943A KR1020180014653A KR20180014653A KR20190094943A KR 20190094943 A KR20190094943 A KR 20190094943A KR 1020180014653 A KR1020180014653 A KR 1020180014653A KR 20180014653 A KR20180014653 A KR 20180014653A KR 20190094943 A KR20190094943 A KR 20190094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hanger
ring
w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이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환 filed Critical 이승환
Priority to KR1020180014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4943A/ko
Publication of KR20190094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9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 A47G25/4015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one-piece support arms at least one only pivotally-connected to a central hook member
    • A47G25/4023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one-piece support arms at least one only pivotally-connected to a central hook member collapsing downwardly away from the hook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7G25/32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involving details of the hook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접이식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접이식 옷걸이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상호 이격되어 돌출된 제1 돌기 및 제2 돌기, 상기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 중 상기 제1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돌출된 제3 돌기 및 상기 타측면 중 상기 제2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돌출된 제4 돌기를 포함하는 돌기;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측면 및 상기 타측면으로부터 각각 상기 돌기로부터 이격되어 돌출된 스톱퍼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리; 및 상기 제1 돌기 및 제3 돌기에 각각 삽입되는 제1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회전되어 스톱퍼부에 걸리는 제1 옷걸이 날개 및 상기 제2 돌기 및 제4 돌기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회전되어 스톱퍼부에 걸리는 제2 옷걸이 날개를 포함하는 옷걸이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옷걸이{FOLDABLE HANGER}
본 발명은 접이식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옷걸이는 사용자의 상의를 걸어두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옷걸이는 상부에 고리가 구비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옷걸이는 나무, 금속, 합성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옷걸이는 옷의 무게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고정된 삼각형 형상으로 제작하며, 아이들이 입는 작은 옷에서부터 어른들이 입는 큰 옷까지 모두 걸 수 있는 사이즈로 제작되는데, 옷걸이는 형상을 변형할 수 없기 때문에 옷을 걸지 않을 때에도 많은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옷걸이는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서 보통 상의의 목 부분을 통에 옷의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옷의 목 부분이 좁거나 긴 경우, 옷걸이에 옷을 걸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옷걸이의 사용으로 옷의 목 부분이 늘어나 옷의 변형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옷과 접촉되는 옷걸이 날개 부분을 사용자가 직접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하여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접이식 옷걸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옷걸이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줄여 제품의 생산량은 향상시키고 제조 단가는 감소시키며, 부품을 접합하기 위한 접착제 등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적인 접이식 옷걸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옷걸이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상호 이격되어 돌출된 제1 돌기 및 제2 돌기, 상기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 중 상기 제1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돌출된 제3 돌기 및 상기 타측면 중 상기 제2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돌출된 제4 돌기를 포함하는 돌기;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측면 및 상기 타측면으로부터 각각 상기 돌기로부터 이격되어 돌출된 스톱퍼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리; 및 상기 제1 돌기 및 제3 돌기에 각각 삽입되는 제1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회전되어 스톱퍼부에 걸리는 제1 옷걸이 날개 및 상기 제2 돌기 및 제4 돌기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회전되어 스톱퍼부에 걸리는 제2 옷걸이 날개를 포함하는 옷걸이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접이식 옷걸이의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3 돌기가 상기 제1 옷걸이 날개의 상기 제1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3 돌기에는 모따기된 제1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돌기 및 상기 제4 돌기가 상기 제2 옷걸이 날개의 상기 제2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돌기 및 상기 제4 돌기에는 모따기된 제2 경사부가 형성된다.
또한, 접이식 옷걸이의 상기 고리는 상기 스톱퍼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돌기의 사이, 제3 돌기 및 제4 돌기의 사이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연장된 제1 고리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제1 고리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고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리부 및 상기 제2 고리부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된다.
또한, 접이식 옷걸이의 상기 제1 옷걸이 날개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 고리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옷걸이 날개에는 상기 제1 고리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옷걸이 날개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 고리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옷걸이 날개에는 상기 제1 고리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중공이 형성된다.
또한, 접이식 옷걸이의 상기 고리는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조립되며, 상기 고리는 금속 소재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의 옷걸이 날개들은 몸체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여 고리와 일자 형상이 되도록 되도록 접히거나, 옷걸이 날개들이 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펼쳐짐으로써 옷걸이에 옷을 걸지 않을 때에는 작은 공간만을 필요로 하고, 휴대하기 용이하며, 목 부분이 좁은 옷에도 목의 늘어남 없이 옷걸이 날개들이 쉽게 진입함으로써 옷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옷걸이 날개들이 몸체부에 일측면과 타측면에 형성된 돌기들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접이식 옷걸이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줄여 제품의 생산량은 향상시키고 제조 단가는 감소시키며, 접착제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을 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을 II-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옷걸이의 옷걸이 날개들을 접은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을 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을 II-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옷걸이의 옷걸이 날개들을 접은 상태의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접이식 옷걸이(600)는 몸체부(100), 돌기(200), 스톱퍼부(300), 고리(400) 및 옷걸이 부재(50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몸체부(100)는 원판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몸체부(100)에는 돌기(200), 스톱퍼부(300) 및 고리(400)가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부(100)에는 옷걸이 부재(50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돌기(200)는 몸체부(10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한 쌍이 형성된다.
돌기(200)는 옷걸이 부재(500)에 결합되어 옷걸이 부재(500)가 몸체부(1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돌기(200)는 제1 돌기(210), 제2 돌기(220), 제3 돌기(230) 및 제4 돌기(24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돌기(210) 및 제2 돌기(220)는 몸체부(100)의 일측면의 중심선 상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된다. 제3 돌기(230) 및 제4 돌기(240)는 몸체부(100)의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의 중심선 상에 상호 이격되어 돌출된다.
제3 돌기(230)는 제1 돌기(21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4 돌기(240)는 제3 돌기(23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 제1 및 제3 돌기(210, 230)의 상부면에는 옷걸이 부재(500)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제1 경사부(250)가 형성된다.
제1 경사부(250)는 몸체부(100)의 측면과 인접하고 옷걸이 부재(500)가 끼워지는 방향의 상부면 쪽을 모따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 제2 및 제4 돌기(220, 240)의 상부면에는 옷걸이 부재(500)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제2 경사부(260)가 형성된다.
제2 경사부(260)는 몸체부(100)의 가장자리와 인접하고 옷걸이 부재(500)가 끼워지는 방향의 상부면 쪽을 모따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돌기(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낮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스톱퍼부(300)는 옷걸이 부재(500)의 회전을 정지시켜 옷걸이 부재(500)들이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톱퍼부(300)는 제1 스톱퍼(310) 및 제2 스톱퍼(320)를 포함한다.
제1 스톱퍼(310)는 제1 및 제2 돌기(210, 220)의 하부로 이격되도록 몸체부(100)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제2 스톱퍼(320)는 제3 및 제 4 돌기(230, 240)의 하부로 이격되도록 몸체부(100)의 타측면 중 제1 스톱퍼(310)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돌출된다.
여기서, 몸체부(100)로부터 돌출된 스톱퍼부(300)로 인해 돌기(200)의 측면과 마주하는 스톱퍼부(300)의 측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스톱퍼부(300)는, 예를 들어, 부채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톱퍼부(300)의 구성을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몸체부(10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형성된 스톱퍼부(300)는 연장부(302), 오목부(304) 및 평탄부(306)를 포함한다.
연장부(302)는 돌기(200)와 마주보는 스톱퍼부(300)의 측면의 중앙으로부터 제1 및 제2 돌기(210, 220)들 사이, 제3 및 제4 돌기(230, 240)들 사이를 지나 고리(400)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연장부(30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옷걸이 부재(500)가 접혔을 때 옷걸이 부재(500)가 몸체부(100)의 지정된 위치에서 벗어나 옷걸이 부재(500)들이 서로 교차되는 것을 방지한다.
오목부(304) 및 평탄부(306)는 돌기들(200)과 마주보는 스톱퍼부(300)의 측면에 형성된다.
오목부(304)는 연장부(302)의 양쪽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연장부(302)와 연결된다. 평탄부(306)는 오목부(304)와 연결되어 몸체부(100)의 가장자리까지 형성된다. 일예로, 오목부(304)는 옷걸이 부재(50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곡선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평탄부(306)는 옷걸이 부재(500)가 펼쳐졌을 때 옷걸이 부재(500)가 삼각 형상을 이루도록 사선 형태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고리(400)는 지정된 장소, 예를 들어, 옷걸이 봉, 건조대 및 옷걸이 못 등에 걸리는 부분으로, 고리(400)는 몸체부(100)로부터 몸체부(100)의 가장자리 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고리(400)는 몸체부(100)와 마주보는 일부분이 개구된 링 형상을 갖는다.
고리(400)는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몸체부(110)에 회전 대칭 형태로 배치되는데, 한 쌍의 고리(400)는 스톱퍼부(300)의 연장부(302)가 형성된 방향으로 몸체부(100)의 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고리(400)는 제1 고리부(410) 및 제2 고리부(420)를 포함한다.
제1 고리부(410)는 제1 및 제2 돌기(210, 220)의 사이, 제3 및 제4 돌기(230, 240)의 사이를 가로지르는 스톱퍼부(300)의 연장부(302)에서 몸체부(100)의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 고리부(420)는 부채꼴 형상의 스톱퍼부(300)로부터 제1 고리부(41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된다.
바람직하게, 제1 고리부(410) 및 상기 제2 고리부(420)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된다.
옷걸이 부재(500)는 옷의 어깨 부분과 접촉되며, 옷걸이 부재(500)는 몸체부(100)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배치되고, 돌기(20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된다.
옷걸이 부재(500)는 스톱퍼부(300)에 걸려 회전이 정지된다.
옷걸이 부재(500)는 제1 옷걸이 날개(510) 및 제2 옷걸이 날개(520)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옷걸이 날개(510)는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일자 형상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옷걸이 날개(510)는 제1 및 제3 돌기(210, 230)에 끼워져 연장부(302)를 기준으로 몸체부(100)의 일측에 결합된다.
제1 옷걸이 날개(510)에서 몸체부(100)와 겹쳐지는 일측 단부에는 제1 곡면(511), 제1 슬릿(512) 및 제1 삽입부(513)가 형성되고, 제1 고리부(410)와 마주하는 제1 옷걸이 날개(510)의 측면에는 제1 중공(515)이 형성된다.
제1 곡면(511)은 제1 옷걸이 날개(510)의 일측 단부 중 연장부(302) 및 오목부(304)와 마주보는 단부에 오목부(304)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제1 곡면(511)은 오목부(304)에 삽입된다.
제1 슬릿(512)은 제1 옷걸이 날개(510)의 일측 단부의 사이에 몸체부(100)를 삽입하기 위한 것으로, 제1 곡면(511)으로부터 제1 옷걸이 날개(510)의 제1 중공(515) 쪽으로 형성된다. 제1 슬릿(512) 중 제1 중공(515)이 형성된 부분만 폐쇄되고 나머지 부분은 몸체부(100)가 제2 슬릿(5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다.
제1 삽입부(513)은 제1 및 제3 돌기(210, 230)가 삽입되는 것으로, 제1 슬릿(511)의 내부면 중 제1 및 제3 돌기(210, 23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및 제3 돌기(210, 230)의 상부면에 제1 경사부(250)가 형성되어 있어 제1 삽입부(513)에 제1 및 제3 돌기(210, 230)이 쉽게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삽입부(513)는 관통홀로 형성하거나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3 돌기(210, 230)가 삽입될 수 있는 깊이의 홈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중공(515)은 제1 옷걸이 날개(510)가 회전하면서 제1 고리부(410)와 간섭되지 않도록 제1 고리부(410)의 일부분을 수납하는 것으로, 제1 중공(515)은 제1 옷걸이 날개(510)의 측면 중 제1 옷걸이 날개(510)가 접혔을 때 제1 고리부(41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중공(515)은 제1 옷걸이 날개(510)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실시예로, 제2 옷걸이 날개(520)는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일자 형상의 막대 형상을 가지며, 제2 옷걸이 날개(520)는 제2 및 제4 돌기(220, 240)에 끼워져 연장부(302)를 기준으로 몸체부(100)의 타측에 결합된다.
제2 옷걸이 날개(520)에서 몸체부(100)와 겹쳐지는 일측 단부에는 제2 곡면(521), 제2 슬릿(522) 및 제2 삽입부(523)가 형성되고, 제1 고리부(410)와 마주하는 제2 옷걸이 날개(520)의 측면에는 제2 중공(525)이 형성된다.
제2 곡면(521)은 제2 옷걸이 날개(520)의 일측 단부 중 연장부(302) 및 오목부(304)와 마주보는 단부에 오목부(304)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제2 곡면(521)은 오목부(304)에 삽입된다.
제2 슬릿(522)은 제2 옷걸이 날개(520)의 일측 단부의 사이에 몸체부(100)를 삽입하기 위한 것으로, 제2 곡면(521)으로부터 제2 옷걸이 날개(520)의 제2 중공(525) 쪽으로 형성된다. 제2 슬릿(522) 중 제2 중공(525)이 형성된 부분만 폐쇄되고 나머지 부분은 몸체부(100)가 제2 슬릿(5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다.
제2 삽입부(523)은 제2 및 제4 돌기(220, 240)가 삽입되는 것으로, 제2 슬릿(521)의 내부면 중 제2 및 제4 돌기(220, 24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2 및 제4 돌기(220, 240)의 상부면에 제2 경사부(260)가 형성되어 있어 제2 삽입부(523)에 제2 및 제4 돌기(220, 240)이 쉽게 삽입된다.
제2 삽입부(523)는 관통홀로 형성하거나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및 제4 돌기(220, 240)가 삽입될 수 있는 깊이의 홈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중공(525)은 제2 옷걸이 날개(520)가 회전하면서 제1 고리부(410)와 간섭되지 않도록 제1 고리부(410)의 나머지 부분을 수납하는 것으로, 제2 중공(525)은 제2 옷걸이 날개(520)의 측면 중 제2 옷걸이 날개(520)가 접혔을 때 제1 고리부(41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중공(525)은 제2 옷걸이 날개(520)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의 참조 부호 514 및 524는 제1 및 제2 옷걸이 날개(510, 520)가 펼쳐졌을 때 평탄부(306)에 접촉되어 제1 및 제2 옷걸이 날개(510, 52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접촉면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접이식 옷걸이의 사용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옷의 목 부분이 옷걸이로 인해 늘어지지 않도록 접이식 옷걸이(600)의 제1 및 제2 옷걸이 날개(510, 520)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은 상태로 옷의 목부분으로 유입시킨다.
이때, 스톱퍼부(3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고리부(42)가 옷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어서, 제1 및 제2 옷걸이 날개(510, 520)를 스톱퍼부(300)가 형성된 방향으로 펼쳐 제1 및 제2 옷걸이 날개(510, 520)는 옷을 걸기에 용이한 삼각형 형상으로 펼쳐진다.
이후, 연장부(302)에서 연장된 제1 고리부(410)가 옷의 외부로 노출되고, 제2 고리부(420)가 옷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접이식 옷걸이(600)를 뒤집는다. 그러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부(300)에 의해서 제1 및 제2 옷걸이 날개(510, 520)가 회전을 멈춰 제1 및 제2 옷걸이 날개(510, 520)가 펼쳐진 상태로 고정되어 옷을 지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는 옷걸이 부재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접이식 옷걸이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600)는 몸체부(100), 돌기들(200), 스톱퍼부(300), 고리(400) 및 옷걸이 부재(500)를 포함한다.
옷걸이 부재(500)는 옷의 어깨 부분이 접촉되어 옷이 걸리는 부분으로, 옷걸이 부재(500)는 몸체부(100)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배치되고, 돌기들(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스톱퍼부(300)에 걸려 옷걸이 부재(200)의 회전이 정지된다. 옷걸이 부재(500)는 제1 옷걸이 날개(510) 및 제2 옷걸이 날개(520)를 포함한다.
제1 옷걸이 날개(510)는 제1 및 제3 돌기(210, 230)에 끼워져 연장부(302)를 기준으로 몸체부(100)의 좌측에 결합되고, 제2 옷걸이 날개(520)는 제2 및 제4 돌기(220, 240)에 끼워져 연장부(302)를 기준으로 몸체부(100)의 우측에 결합된다.
일예로, 제1 및 제2 옷걸이 날개(510, 520)는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일자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며, 제1 및 제2 옷걸이 날개(510, 520)에는 제1 및 제2 옷걸이 날개(510, 5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홀(530)들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옷걸이 날개(510, 5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홀(530)들에 다른 옷걸이의 고리부들이 걸릴 수 있도록 하여, 제2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옷걸이(600)는 옷걸이 봉 역할을 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는 몸체부 및 고리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접이식 옷걸이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옷걸이(600)는 몸체부(100), 돌기들(200), 스톱퍼부(300), 고리(400) 및 옷걸이 부재(50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원통형의 플레이트로, 몸체부(10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돌기들(200) 및 스톱퍼부(300)가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부의 측면에는 고리부를 고정하기 위한 홀(120)이 형성된다.
홀(120)은 몸체부(100)의 측면에 한 쌍이 형성되는데, 몸체부(100)의 측면 중 서로 대향되는 위치, 즉 연장부(302)가 형성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고리(400)는 지정된 장소, 예를 들어, 옷걸이 봉, 건조대 및 옷걸이 못 등에 걸리는 부분으로, 고리(400)는 몸체부(100)의 측면에 결합되고 몸체부(100)와 마주보는 일부분이 개구된 링 형상을 갖는다.
고리(400)는 제1 고리부(410) 및 제2 고리부(420)를 포함하며, 제1 고리부와 제2 고리부는 몸체부의 측면에 형성된 한쌍의 홀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제1 고리부(410) 및 제2 고리부(240)은 몸체부(110)에 회전 대칭 형태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제1 고리부(410) 및 상기 제2 고리부(420)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되며, 제1 고리부(410) 및 상기 제2 고리부(420)는 금속 소재로 형성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접이식 옷걸이의 옷걸이 날개들은 회전 가능하여 고리와 일자가 되도록 접히거나 옷걸이 날개들이 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펼쳐져, 옷걸이를 보관하는데 작은 공간만을 필요로 하고, 휴대하기 용이하며, 목부분이 좁은 옷에도 목의 늘어남 없이 옷걸이 날개들이 쉽게 진입함으로써 옷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옷걸이 날개들이 몸체부에 일측면과 타측면에 형성된 돌기들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접이식 옷걸이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줄여 제품의 생산량은 향상시키고 제조 단가는 저하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옷걸이는 일반 철사 옷걸이 사용시에 어깨눌림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옷걸이 날개가 이러한 옷걸이 사용으로 인한 옷의 눌림 자국을 방지하기 위해 곡선 형태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작 공정에 있어서 상하 고리를 철제 형태로 하지 않고 도 1과 같이 형성할 경우 제작 공정에 별도의 접착 공정 없이 간단히 날개를 끼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몸체부 200...돌기
300...스톱퍼부 400...고리
500...옷걸이 부재 600...접이식 옷걸이

Claims (5)

  1.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상호 이격되어 돌출된 제1 돌기 및 제2 돌기, 상기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 중 상기 제1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돌출된 제3 돌기 및 상기 타측면 중 상기 제2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돌출된 제4 돌기를 포함하는 돌기;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측면 및 상기 타측면으로부터 각각 상기 돌기로부터 이격되어 돌출된 스톱퍼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리; 및
    상기 제1 돌기 및 제3 돌기에 각각 삽입되는 제1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회전되어 스톱퍼부에 걸리는 제1 옷걸이 날개 및 상기 제2 돌기 및 제4 돌기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회전되어 스톱퍼부에 걸리는 제2 옷걸이 날개를 포함하는 옷걸이 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옷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3 돌기가 상기 제1 옷걸이 날개의 상기 제1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3 돌기에는 모따기된 제1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돌기 및 상기 제4 돌기가 상기 제2 옷걸이 날개의 상기 제2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돌기 및 상기 제4 돌기에는 모따기된 제2 경사부가 형성된 접이식 옷걸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상기 스톱퍼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돌기의 사이, 제3 돌기 및 제4 돌기의 사이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연장된 제1 고리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제1 고리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고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리부 및 상기 제2 고리부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된 접이식 옷걸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옷걸이 날개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 고리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옷걸이 날개에는 상기 제1 고리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옷걸이 날개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 고리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옷걸이 날개에는 상기 제1 고리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중공이 형성된 접이식 옷걸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조립되며, 상기 고리는 금속 소재로 형성된 접이식 옷걸이.
KR1020180014653A 2018-02-06 2018-02-06 접이식 옷걸이 KR201900949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653A KR20190094943A (ko) 2018-02-06 2018-02-06 접이식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653A KR20190094943A (ko) 2018-02-06 2018-02-06 접이식 옷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943A true KR20190094943A (ko) 2019-08-14

Family

ID=67621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653A KR20190094943A (ko) 2018-02-06 2018-02-06 접이식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49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328B1 (ko) 2020-01-31 2021-07-06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링크식 접이형 옷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328B1 (ko) 2020-01-31 2021-07-06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링크식 접이형 옷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110545A (ja) 折り畳みハンガー
EP0015273A1 (en) Collapsible coat hanger
JP2013248366A (ja) ハンガー
KR20190094943A (ko) 접이식 옷걸이
CN110573047B (zh) 折叠式衣架
KR20200009414A (ko) 접을 수 있는 폭있는 옷걸이
US2842329A (en) Combination hanger for hats and jackets
WO1998051187A1 (en) Hook-shaped arrangement
US11478097B2 (en) Collapsible hanger cover
KR20180136173A (ko) 접이식 옷걸이
JP3198522U (ja) ペーパークラフトの回転自在な接合構造
KR101673975B1 (ko)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행거
US3179361A (en) Mirror and easel therefor
JP7408130B2 (ja) 角ハンガ
JP3844845B2 (ja) 物干器における本体枠の吊下げワイヤー取付構造
US11028530B2 (en) Folding guide hanger
JP3964960B2 (ja) 折り畳み式物干器
JPH062638Y2 (ja) 物干器
KR200218197Y1 (ko) 반 접이식 옷걸이
EP3903650B1 (en) Hanger-template for folding and hanging items of clothing
TWM506562U (zh) 摺疊式衣架結構
TWM613378U (zh) 扣合件及具有該扣合件的整理箱
JP3115757U (ja) 携帯用ハンガ−
JP2022190610A (ja) 吊り下げ具
JPS606289Y2 (ja) 衣服ハン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