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789A - 자동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789A
KR20190094789A KR1020180014352A KR20180014352A KR20190094789A KR 20190094789 A KR20190094789 A KR 20190094789A KR 1020180014352 A KR1020180014352 A KR 1020180014352A KR 20180014352 A KR20180014352 A KR 20180014352A KR 20190094789 A KR20190094789 A KR 20190094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rotation
module
shaf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혜정
Original Assignee
홍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혜정 filed Critical 홍혜정
Priority to KR1020180014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4789A/ko
Publication of KR20190094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7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식재료 수용모듈을 반복적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볶음요리 등을 수행하게 하는 자동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구가 형성된 레인지(Range)의 일면에 결합되는 자동 조리 장치는 식재료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식재료 수용모듈과, 식재료 수용모듈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안착면 및 상기 안착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안착모듈와, 레인지의 일면에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며, 지지대와 회동축에 의해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모듈과, 한 쌍의 회동모듈과 연결되어, 안착모듈을 회동시키며, 회동모듈을 직선운동 시키는 모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조리 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COOKING}
본 발명은 자동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볶음 용기를 반복적으로 기울어지며 볶음요리 등을 수행하는 하는 자동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볶음요리는 볶음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섞어주거나 볶음용기를 반복적으로 기울여 내용물이 볶음용기의 표면을 이동하도록 하는 동작에 의해 수행된다. 이러한 볶음요리는 볶음용기가 크고 무거울수록 숙달된 기술이 필요하고, 특히 중국요리에 쓰이는 웍(wok)은 상당한 숙련 과정을 거쳐야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외식이 대중화되고 요리의 질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짐에 따라, 대량생산되는 요리도 요리사가 직접 조리한 것과 같은 풍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또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23557호에는 본체에 내장된 감속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본체에 탈부착 가능한 볶음 솥용기에 거치되어 있는 큰 회전날과 작은 회전날에 전달하여 볶음재료를 섞거나, 밀어주고 회전시켜 볶음재료가 고르게 볶이도록 하는 볶음 겸용 요리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회전날에 의해 조리 대상물을 단순히 회전시키면서 볶음을 수행하므로 실질적인 요리사의 조리 방법과는 상이하여, 조리된 결과물의 풍미가 요리사가 직접 조리한 결과물에 미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실질적인 요리사의 조리 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볶음용기를 기울여, 볶음 요리를 수행하는 자동 조리 장치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질적인 요리사의 조리 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볶음용기를 기울여, 볶음요리를 수행하는 자동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식재료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식재료 수용모듈과, 식재료 수용모듈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안착면 및 안착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안착모듈와, 레인지의 일면에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며, 지지대와 회동축에 의해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모듈과, 한 쌍의 회동모듈과 연결되어, 안착모듈을 회동시키는 모터모듈을 포함하고, 회동모듈은 샤프트가 마련된 이동가이드부와, 지지대와 연결핀에 의해 결합되는 링크부와, 지지대와 회동축에 의해 결합되고, 샤프트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연결핀이 삽입되는 홈이 마련된 이동부를 포함하며, 링크부의 회동에 따라, 이동부는 직선운동할 수 있으며, 직선운동이 불가한 경우, 지지대가 회동되는 자동 조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부는 지지대와 회동축에 의해 결합되는 회동지지부재와, 회동지지부재에 결합되며, 샤프트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면에 연결핀이 삽입되는 호(Arc) 형상의 홈이 함몰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링크부의 회동에 따라, 이동부의 직선운동이 불가한 경우, 연결핀이 홈을 따라 이동하며, 지지대가 회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회동모듈은 샤프트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이동부의 직선이동을 제한하는 제1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회동모듈은 샤프트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이동부의 직선이동을 제한하는 제2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이동부는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회동지지부재에 형성된 제1돌기에 끼워지는 몸체, 안착면에 접촉하는 제1다리 및 회동지지부재에 형성된 제2돌기에 접촉하는 제2다리를 포함하는 토션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토션 스프링은 탄성력에 따라 안착면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가이드부는 레인지의 일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샤프트지지대와, 한 쌍의 샤프트지지대와 결합되며, 이동부가 결합되는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안착면의 타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식재료 수용모듈이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하는 결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모터모듈은 회전력을 제1기어가 형성된 회전축으로 출력하는 모터부와, 일단에 어느 하나의 링크부가 편심 결합되는 제1원판이 결합되고, 타단에 다른 하나의 링크부가 편심 결합되는 제2원판이 결합되며, 제1기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가 결합되어 제1기어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기둥 형상의 회전전달부와, 모터부의 외주면 또는 레인지의 일면에 결합되어, 회전전달부를 회전 가능하기 지지하는 복수의 회전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제 요리사가 조리하듯이 볶음용기를 반복적으로 기울여 내용물이 볶음용기의 표면을 이동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기 기울이는 동작에 변화를 주므로, 요리사가 조리한 결과물과 같은 풍미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의 구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의 모터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의 안착면에 결합된 크기조절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의 식재료 수용모듈 및 교반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1)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1)의 측면도이다.
자동 조리 장치(1)는 식재료 수용모듈(10), 안착모듈(20), 한 쌍의 회동모듈(30) 및 모터모듈(40)을 포함하며, 화구(B)가 형성된 레인지(A)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식재료 수용모듈(10)은 내부에 식재료를 수용하는 구성요소로서, 일면이 개방된 내부공간(100)이 형성된다. 식재료 수용모듈(10)은 안착모듈(20) 및 회동모듈(30)에 의해 반복적으로 움직이며, 내부공간(100)에 수용된 식재료를 섞을 수 있다. 이때, 식재료 수용모듈(10)은 프라이팬에 비해 내부공간(100)의 깊이가 깊은 웍(wok) 또는 궁중팬일 수 있다.
안착모듈(20)은 식재료 수용모듈(10)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식재료 수용모듈(10)이 삽입 가능한 관통홀(202)이 형성되는 안착면(200) 및 안착면의 일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210)를 포함한다.
이때, 관통홀(202)은 식재료 수용모듈(10)의 최대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식재료 수용모듈(10)이 안착모듈(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지지대(210)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안착모듈(20)은 안착면(200)의 타면에 결합되는 결속부(2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속부(201)는 회동 가능한 갈고리형태로 형성되어, 식재료 수용모듈(10)이 안착모듈(2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한편, 식재료 수용모듈(10) 및 안착모듈(20)은 화구(B)와 인접하기 때문에, 열에 강한 금속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회동모듈(30)은 안착모듈(20)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레인지(A)의 일면에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며, 각 안착모듈(20)과 회동축(321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즉, 안착모듈(20)은 회동축(3211)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한편, 회동축(3211)이 맞닿는 안착모듈(20)의 내주면에는 마찰방지부재(미도시)가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회동에 따른 안착모듈(2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각 회동모듈(30)은 이동가이드부(300), 링크부(310) 및 이동부(320)를 포함한다. 이때, 이동가이드부(300)는 이동부(3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요소로서, 샤프트(302)가 마련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이동가이드부(300)는 레인지(A)의 일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샤프트 지지대(301) 및 한 쌍의 샤프트 지지대(301)에 결합되며, 이동부(3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샤프트(302)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310)는 모터모듈(40)과 지지대(210)를 연결하여, 모터모듈(40)의 회전운동을 이동부(320)의 왕복운동 또는 지지대(210)의 회동운동으로 변화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링크부(310)는 바(Bar)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과 인접한 일영역은 모터모듈(40)과 연결되고, 타단과 인접한 일영역은 지지대(2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링크부(310)와 지지대(210)는 이들을 삽입 관통하는 연결핀(311, 도 4 참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320)는 링크부(310)의 회동에 따라 샤프트(302)를 따라 직선 운동하며, 지지대(210)를 이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지지대(210)와 회동축(321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동부(320)는 지지대(210)와 회동축(3211)에 의해 결합되는 판 형태의 회동지지부재(321) 및 회동지지부재(321)와 결합되며, 샤프트(302)가 삽입되는 관통공(3221)이 형성되고, 일면에 연결핀(311)이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홈(3222)이 함몰 형성되는 스토퍼(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홈(3222)은 호(Arc) 형상으로 형성되어, 링크부(310)의 회동에 따라 연결핀(311)은 홈(32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지지대(210)는 회동축(3211)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홈(3222)에 삽입되는 연결핀(311)의 외주면에는 고무패킹(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무패킹은 홈(3222)의 내주면과 맞닿아, 링크부(310)의 회동 시에 연결핀(311)이 홈(3222)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거나, 이동부(320)가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링크부(310)와 지지대(210)가 연결핀(311)에 의해 결합되고, 연결핀(311)이 이동부(320)의 홈(3222)에 삽입됨으로써, 링크부(310)의 회동에 따라, 스토퍼(322)가 직선운동할 수 있으며, 스토퍼(322)가 더 이상의 직선운동이 불가한 경우, 연결핀(311)이 홈(3222)을 따라 이동하면서 지지대(210)가 회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회동에 의해 본 발명의 식재료 수용모듈(10)은 요리사가 유사한 볶음용기를 다루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울어지며, 볶음요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회동모듈(30)은 제1탄성부(330) 및 제2탄성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탄성부(330) 및 제2탄성부(340)는 샤프트(302)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스토퍼(322)의 직선이동을 제한하는 구성요소로서, 이동부(32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탄성부(330)는 압축하려는 힘에 저항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탄성부(340)는 인장하려는 힘에 저항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토퍼(322)는 제1탄성부(330)에 의해 직선운동이 제한될 수 있으며, 제2탄성부(340)에 의해 직선운동 후에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 올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동부(320)의 직선운동 및 지지대(210)의 회동운동이 링크부(310)의 회동이 멈출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모터모듈(40)은 안착모듈(20)을 회동시키며, 회동모듈(30)을 직선운동 시키는 구성요소로서, 회동모듈(3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모터모듈(40)은 모터부(400), 회전전달부(410) 및 복수의 회전지지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부(400)는 회전력을 출력하는 구성요소로서, 회전력이 출력되는 회전축(401)에는 제1기어(402)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전달부(410)는 모터부(4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한 쌍의 링크부(310)에 전달하는 구성요소로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전달부(410)는 일단에 어느 하나의 링크부(310)가 결합되는 제1원판(412)이 결합되며, 타단에 다른 하나의 링크부(310)가 결합되는 제2원판(413)이 결합되고, 제1기어(402)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1기어(402)와 치합되는 제2기어(411)가 결합될 수 있다.
즉, 회전전달부(410)는 제2기어(411)를 통해 모터부(4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한 쌍의 링크부(3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각 링크부(310)는 원판(412, 413)에 편심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모터부(400)의 회전에 따라, 링크부(310)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회전지지부(420)는 회전전달부(4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모터부(400)의 외주면 또는 레인지(A)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모터부(400)의 상면에 결합된 한 쌍의 회전지지부(420)와, 레인지(A)의 일면에 결합된 하나의 회전지지부(420)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부(400)에 의해 한 쌍의 링크부(310)를 회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터모듈(40)에 의한 안착모듈(20)의 회동에 따라 안착모듈(20)에 지지된 식재료 수용모듈(10)도 함께 회동되며, 식재료 수용모듈(10)의 내부공간(100)에 수용된 식재료가 실제 요리사가 식재료 수용모듈(10)을 핸들링하는 것과 같이 식재료 수용모듈(10)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며 고르게 섞이며 볶아질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는 설명의 편의성 및 명확성을 위하여 일부가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1)의 구동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때, 도 3은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이동부(320)의 내부 모습 및 이동부(320)에 의해 가려진 링크부(310)의 일영역을 보이는 것과 같이 도시하였다.
링크부(310)의 회동에 의해 이동부(320)는 샤프트(302)를 따라 직선운동할 수 있으며, 제1탄성부(330)에 의해 이동부(320)가 더 이상의 회동이 불가한 경우, 연결핀(311)이 홈(3222)을 따라 상승 이동하면서 지지대(210)가 회동될 수 있다. 연결핀(311)이 홈(3222)을 따라 상승 이동된 후, 연결핀(311)은 링크부(310)의 회동 및 제2탄성부(340)에 의해 홈(3222)을 따라 하강 이동되면서, 제자리로 돌아오게 된다. 여기서, 제자리란 안착면(200)이 레인지(A)와 평행한 위치한 상태를 지칭할 수 있다.
한편, 자동 조리 장치(1)는 토션 스프링(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350)은 안착모듈(20)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회동지지부재(321)에 형성된 제1돌기(3212)에 끼워지는 스프링형상의 몸체(351), 몸체(351)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안착면(200)에 접촉하는 제1다리(352) 및 몸체(351)의 타단에서 연장되며 회동지지부재(321)에 형성된 제2돌기(3213)에 접촉하는 제2다리(35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안착면(200)은 상승 회동 후 하강에 따른 충격을 토션 스프링(350)이 흡수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의 안착면(200)에 결합된 크기조절부(203)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1)는 크기조절부(2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크기조절부(203)는 안착면(200)의 관통홀(202)에 안착되어 관통홀(202)의 크기를 조절하는 구성요소로서, 내부에 관통홀(204)이 형성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안착면(200)의 관통홀(202)보다 작은 단면적의 식재료 수용모듈(10)을 안착면(200)에 지지시키고자 하는 경우, 크기조절부(203)를 안착면(200)에 결합하여 식재료 수용모듈(10)이 안착면(200)에 결합된 크기조절부(203)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1)의 식재료 수용모듈(10)에 결합된 교반부(11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리 장치(1)는 교반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교반부(110)는 식재료 수용모듈(10)의 내부공간(100)에 위치한 식재료를 휘젓는 구성요소로서, 식재료 수용모듈(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교반부(110)는 한 쌍의 주걱 지지대(111), 연결부재(112) 및 주걱부재(113)를 포함한다.
주걱 지지대(111)는 식재료 수용모듈(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연결부재(112)는 한 쌍의 주걱 지지대(111)를 연결한다. 이때, 연결부재(112)는 주걱부재(113)의 회동을 위해 바(bar)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주걱부재(113)는 연결부재(112)가 관통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며, 연결부재(1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 인해, 주걱부재(113)는 식재료 수용모듈(10)이 기울어질 때, 중력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하강되며, 내부공간(100)에 위치한 식재료를 휘젓게 된다.
이와 같이 교반부(110)가 형성되는 경우, 내부공간(100)에 위치한 식재료는 일차적으로 식재료 수용모듈(10)의 기울어짐에 의해, 이차적으로는 교반부(110)에 의해 고르게 섞이며 볶아질 수 있다. 또한, 중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주걱부재가 움직이기 때문에, 별도로 주걱부재를 움직이는 동력 공급원이 요구되지 않는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자동 조리 장치
10 : 식재료 수용모듈
20 : 안착모듈
30 : 회동모듈
40 : 모터모듈

Claims (8)

  1. 화구가 형성된 레인지(Range)의 일면에 결합되는 자동 조리 장치로서,
    식재료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식재료 수용모듈과,
    상기 식재료 수용모듈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안착면 및 상기 안착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안착모듈와,
    상기 레인지의 일면에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와 회동축에 의해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모듈과,
    상기 한 쌍의 회동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안착모듈을 회동시키는 모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모듈은,
    샤프트가 마련된 이동가이드부와,
    상기 지지대와 연결핀에 의해 결합되는 링크부와,
    상기 지지대와 회동축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연결핀이 삽입되는 홈이 마련된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이동부는 직선운동할 수 있으며, 직선운동이 불가한 경우, 상기 지지대가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지지대와 회동축에 의해 결합되는 회동지지부재와,
    상기 회동지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연결핀이 삽입되는 호(Arc) 형상의 홈이 함몰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이동부의 직선운동이 불가한 경우, 상기 연결핀이 홈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지지대가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모듈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의 직선이동을 제한하는 제1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모듈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의 직선이동을 제한하는 제2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탄성부와 상기 제2탄성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부재에 형성된 제1돌기에 끼워지는 몸체, 상기 안착면에 접촉하는 제1다리 및 상기 회동지지부재에 형성된 제2돌기에 접촉하는 제2다리를 포함하는 토션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은, 탄성력에 따라 상기 안착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레인지의 일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샤프트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샤프트지지대와 결합되며, 상기 이동부가 결합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의 타면에 형성되며, 상기 식재료 수용모듈이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하는 결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모듈은,
    회전력을 제1기어가 형성된 회전축으로 출력하는 모터부와,
    일단에 어느 하나의 링크부가 편심 결합되는 제1원판이 결합되고, 타단에 다른 하나의 링크부가 편심 결합되는 제2원판이 결합되며, 상기 제1기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가 결합되어 상기 제1기어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기둥 형상의 회전전달부와,
    상기 모터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레인지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전달부를 회전 가능하기 지지하는 복수의 회전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리 장치.
KR1020180014352A 2018-02-06 2018-02-06 자동 조리 장치 KR20190094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352A KR20190094789A (ko) 2018-02-06 2018-02-06 자동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352A KR20190094789A (ko) 2018-02-06 2018-02-06 자동 조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789A true KR20190094789A (ko) 2019-08-14

Family

ID=67622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352A KR20190094789A (ko) 2018-02-06 2018-02-06 자동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47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1618A (zh) * 2022-03-15 2022-07-08 长沙厨百福食品有限公司 一种预制菜生产用蒸炒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1618A (zh) * 2022-03-15 2022-07-08 长沙厨百福食品有限公司 一种预制菜生产用蒸炒装置
CN114711618B (zh) * 2022-03-15 2024-02-23 长沙厨百福食品有限公司 一种预制菜生产用蒸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1717A (en) Cooking utensils
KR101828159B1 (ko) 볶음용 팬 자동 스냅 장치
CN109008661B (zh) 具备可折叠发热器和烧烤盘的烧烤装置
TWI547253B (zh) 自動料理設備
WO2014033652A1 (en) Cooking stove having a drive assembly for driving a food processing assembly in a pan
KR102030985B1 (ko) 회전식 구이기
KR20190130084A (ko) 볶음 요리용 조리장치
KR20190094789A (ko) 자동 조리 장치
EP2594177A1 (en) Appliance for preparing foodstuff
US20050169699A1 (en) Locking apparatus for cookware
KR101475652B1 (ko) 구이기용 회전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구이기
CN210902562U (zh) 一种炒菜机
US20080110349A1 (en) Cooking appliance and pivotal device for raising and lowering a basket for draining cooked food
US20140290499A1 (en) Preparing foodstuff
KR100952758B1 (ko) 구이용 불판
KR101468474B1 (ko) 교반용 솥장치
KR101458747B1 (ko) 구이기용 가열수단지지구 및 이를 이용한 구이기
KR102061039B1 (ko) 주방 조리장치
KR200478884Y1 (ko) 이동식 소형 조리장치
JP2010104763A (ja) 回分式炒め装置
KR101165528B1 (ko) 회전식 구이장치
KR102420713B1 (ko) 스마트 조리도구
CN217013638U (zh) 升降火锅
KR200182896Y1 (ko) 춘장볶음기
CA1104362A (en) Cooking utens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