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714A - 배터리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714A
KR20190094714A KR1020180014183A KR20180014183A KR20190094714A KR 20190094714 A KR20190094714 A KR 20190094714A KR 1020180014183 A KR1020180014183 A KR 1020180014183A KR 20180014183 A KR20180014183 A KR 20180014183A KR 20190094714 A KR20190094714 A KR 20190094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ack
terminal
battery
output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6102B1 (ko
Inventor
진경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4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102B1/ko
Priority to PL18903807.8T priority patent/PL3751693T3/pl
Priority to EP18903807.8A priority patent/EP3751693B1/en
Priority to US16/960,498 priority patent/US20200381929A1/en
Priority to HUE18903807A priority patent/HUE063913T2/hu
Priority to CN201880088653.6A priority patent/CN111699603B/zh
Priority to PCT/KR2018/015057 priority patent/WO2019151631A1/ko
Publication of KR20190094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01R31/02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2/3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8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 H03K17/081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 H03K17/08104Modifications for protecting switching circuit against overcurrent or overvoltage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87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 H03K17/687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the output circuit comprising more than one controlled field-effect transis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batteries; for 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배터리 보호 회로는, 배터리 팩의 음극 팩 단자와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음극 팩 단자와 상기 출력 노드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는 제1스위치, 상기 출력 노드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제1저항, 및 상기 제1스위치의 개폐를 제어하며,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팩 단자들 간의 단락 상태를 판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BATTERY PROTECTION CIRCUIT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실시 예는 배터리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방전이 가능하여, 다양한 휴대 전자 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이차 전지는 그 충방전 회로와 결합하여 배터리 팩으로 구성되며, 배터리 팩에 구비된 팩 단자를 통해 외부 전원에 의한 충전과 외부 부하로의 방전이 이루어진다.
한편, 모터를 구동하기 위해 배터리 팩을 사용하는 경우, 모터의 이상으로 인해 배터리 팩의 출력 단자들이 단락(short)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의 주된 원인은, 모터의 내부 단락이며, 이러한 모터의 내부 단락 현상은 간헐적으로 발생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실시 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하의 내부 단락으로부터 배터리 팩을 보호하기 위한 배터리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회로는, 배터리 팩의 음극 팩 단자와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음극 팩 단자와 상기 출력 노드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는 제1스위치, 상기 출력 노드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제1저항, 및 상기 제1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며,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팩 단자들 간의 단락 상태를 판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보호 회로는, 상기 음극 팩 단자와 상기 제1스위치의 제1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보호 회로는,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2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보호 회로는, 상기 제1스위치의 제어 단자와 상기 접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 기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의 제어 단자로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제2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보호 회로는, 상기 제2스위치와 상기 제1스위치의 제어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3저항, 및 상기 음극 팩 단자와 상기 제1스위치의 제어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4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보호 회로에서,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는 각각 P채널 트랜지스터 및 N채널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P채널 트랜지스터는 상기 N채널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P채널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로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서 온/오프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보호 회로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배터리 팩의 방전 제어 스위치가 오프인 상태에서 상기 제1스위치를 온 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복수의 팩 단자, 적어도 하나의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상기 복수의 팩 단자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배터리 모듈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의 방전 경로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방전 제어 스위치, 상기 복수의 팩 단자 중 음극 팩 단자와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음극 팩 단자와 상기 출력 노드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는 제1스위치, 상기 출력 노드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제1저항, 및 상기 제1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며,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팩 단자들 사이의 단락 상태를 판정하는 제어기를 포함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은, 상기 제1스위치의 제어 단자와 상기 접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 기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의 제어 단자로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제2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에서,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는 각각 P채널 트랜지스터 및 N채널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P채널 트랜지스터는 상기 N채널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P채널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로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서 온/오프가 제어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방전 제어 스위치가 오프인 상태에서 상기 제2스위치를 온 시켜 상기 복수의 팩 단자들 사이의 단락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팩 단자를 통해 연결된 부하의 작동 개시로 상기 방전 제어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제2스위치를 온 시켜 상기 복수의 팩 단자들 사이의 단락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팩 단자를 통해 연결된 부하의 작동 중 단락 발생으로 상기 방전 제어 스위치가 오프되면, 단락 상황이 해제될 때까지 상기 제2스위치를 주기적으로 온 시켜 상기 복수의 팩 단자들 사이의 단락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른 배터리 보호 회로는 부하의 내부 단락으로부터 배터리 팩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단락 검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여러 실시 예들에 대하여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예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도록 한다. 따라서 이전 도면에 사용된 구성요소의 참조 번호를 다음 도면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실시 예들은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 및 영역을 과장하여 나타낼 수 있다.
2개의 구성요소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는 것은 2개의 구성요소를 직접(directly) 연결할 경우뿐만 아니라, 2개의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서 연결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다른 구성요소는 스위치, 저항, 커패시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연결한다는 표현은, 직접 연결한다는 표현이 없는 경우에는, 전기적으로 연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단락 검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10)은 복수의 팩 단자(P+, P-), 배터리 모듈(100), 및 배터리 보호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팩 단자(P+, P-)는, 배터리 모듈(100)과 배터리 팩(10) 외부의 충전 장치(미도시) 또는 부하(load)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충전 장치로부터 충전 전력을 입력받거나, 배터리 모듈(100)의 전력을 부하로 방전하기 위한 단자이다.
배터리 모듈(100)은 서로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보호 회로는, 배터리 모듈(100)과 복수의 팩 단자(P+, P-)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배터리 모듈(100)의 충방전 시 발생할 수 있는 단락, 단선, 과전류, 과전압 등의 문제로부터 배터리 모듈(100)을 보호할 수 있다.
배터리 보호 회로는, 션트 저항(SR), 배터리 집적 회로(Integeraged Circuit, IC)(210), 제어기(220), 방전 제어 스위치(230), 충전 제어 스위치(240), 및 단락 검출 회로(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전 제어 스위치(230)는 배터리 모듈(100)의 방전 경로 상에 직렬로 연결되며, 배터리 모듈(100)의 방전 경로를 차단하거나 연결할 수 있다. 방전 경로는, 팩 단자들(P+, P-)을 통해 연결되는 부하(미도시)와 배터리 모듈(100) 사이의 방전 전류가 흐르는 경로로, 이 경로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대전류 경로라 명명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충전 제어 스위치(240)는 배터리 모듈(100)의 충전 경로 상에 직렬로 연결되며, 배터리 모듈(100)의 충전 경로를 차단하거나 연결할 수 있다. 충전 경로는, 팩 단자들(P+, P-)을 통해 연결되는 충전 장치(미도시)와 배터리 모듈(100) 사이의 충전 전류가 흐르는 경로로, 이 경로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방전 경로와 함께 대전류 경로라 명명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도 1을 예로 들면, 방전 제어 스위치(230) 및 충전 제어 스위치(240)는 N채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이 경우, 방전 제어 스위치(230) 및 충전 제어 스위치(240)의 제1단자, 제2단자 및 제어 단자는 각각 소스 단자, 드레인 단자 및 게이트 단자일 수 있다. 또한, 방전 제어 스위치(230) 및 충전 제어 스위치(240)의 드레인 단자가 서로 연결되며, 방전 제어 스위치(230) 및 충전 제어 스위치(240)의 소스 단자는 배터리 모듈(100)과 팩 단자(P-)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도 1에서는 방전 제어 스위치(230) 및 충전 제어 스위치(240)가 배터리 모듈(100)의 음극과 배터리 팩(10)의 음극 팩 단자(P-) 사이에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방전 제어 스위치(230) 및 충전 제어 스위치(240)가 배터리 모듈(100)의 양극과 배터리 팩(10)의 양극 팩 단자(P+) 사이에 연결될 수도 있다.
배터리 IC(210)는 셀 전압, 충방전 전류 등 배터리 모듈(100)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IC(210)는 전압 검출 회로(미도시)를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배터리 모듈(100)을 구성하는 각 셀의 셀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배터리 IC(210)는 션트 저항(SR)을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전류 검출 회로(미도시)를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배터리 모듈(100)의 충전 또는 방전 시의 전류를 검출할 수도 있다.
배터리 IC(210)는 배터리 모듈(100)의 상태에 기초하여 배터리 모듈(100)의 충방전 시 발생할 수 있는 단락, 단선, 과전류, 저전압, 과전압 등을 검출하며, 검출 결과에 따라 방전 제어 스위치(230), 및 충전 제어 스위치(2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배터리 IC(210)는 셀 밸런싱 회로(미도시)를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배터리 모듈(100)을 구성하는 셀들 간의 셀 밸런싱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기(22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으로 동작하여, 충방전 제어, 상위 시스템(미도시)과의 통신 등 배터리 팩(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단락 검출 회로(300)는 음극 팩 단자(P-)와 접지(ground) 사이에 연결되어 팩 단자들(P+, P-) 사이의 단락을 검출할 수 있다. 단락 검출 회로(300)는 다이오드(D1), 복수의 스위치(Q1, Q2) 및 복수의 저항(R11, R12, R21, R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스위치(Q1)는 음극 팩 단자(P-)와 출력 노드(n1) 사이에 연결되어, 음극 팩 단자(P-)와 출력 노드(n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스위치(Q1)는 온 상태에서는 음극 팩 단자(P-)와 출력 노드(n1)를 도통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음극 팩 단자(P-)와 출력 노드(n1)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한다.
제1스위치(Q1)의 제1단자 및 제2단자는 각각 음극 팩 단자(P-) 및 출력 노드(n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제1단자 및 제2단자의 연결이 스위칭된다. 도 1을 예로 들면, 제1스위치(Q1)는 P채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스위치(Q1)의 제1단자, 제2단자 및 제어 단자는 각각 소스 단자, 드레인 단자 및 게이트 단자일 수 있다.
제1스위치(Q1)의 제1단자와 음극 팩 단자(P-) 사이에는 다이오드(D1)가 연결될 수 있다. 다이오드(D1)는 애노드(Anode) 및 캐소드(cathod) 단자가 각각 음극 팩 단자(P-) 및 제1스위치(Q1)의 제1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음극 팩 단자(P-)의 전압을 제1스위치(Q1)의 제1단자로 전달할 수 있다.
제1스위치(Q1)와 접지 사이에는, 출력 노드(n1)를 통해 제어기(220)로 출력되는 전압(Short Detection voltage, SD)을 발생시키기 위한 저항 회로(R11, R21)가 연결될 수 있다. 제1저항(R11)은 양단이 각각 출력 노드(n1)와 접지에 연결되고, 제2저항(R12)은 양단이 각각 제1스위치(Q1)의 제2단자와 출력 노드(n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스위치(Q1)의 오프 시에는 출력 노드(n1)의 전압이 제1저항(R11)에 의해 접지 전압으로 풀다운(pull down)되고, 제1스위치(Q1)의 온(도통) 시에는 제1 및 제2저항(R11, R12)이 제1스위치(Q1)의 제2단자로 인가된 전압을 분압하여 출력 노드(n1)로 전달할 수 있다.
제1스위치(Q1)의 제어 단자와 접지 사이에는 제1스위치(Q1)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2스위치(Q2)가 연결될 수 있다.
제2스위치(Q2)의 제1단자 및 제2단자는 각각 접지 및 제1스위치(Q1)의 제어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스위치(Q2)의 제어 단자는 제어기(2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스위치(Q2)의 제1 및 제2단자는, 제어기(220)로부터 제2스위치(Q2)의 제어 단자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CS)에 따라 연결이 스위칭된다. 도 1을 예로 들면, 제2스위치(Q2)는 N채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스위치(Q2)의 제1단자, 제2단자 및 제어 단자는 각각 소스 단자, 드레인 단자 및 게이트 단자일 수 있다.
제2스위치(Q2)의 제2단자에는 음극 팩 단자(P-)의 전압으로부터 제1스위치(Q1)의 제어 단자로 인가되는 제어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저항 회로(R21, R22)가 연결될 수 있다. 제3저항(R21)은 제2스위치(Q2)의 제2단자와 제1스위치(Q1)의 제어 단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4저항(R22)은 일단이 다이오드(D1)를 통해 음극 팩 단자(P-)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1스위치(Q1)의 제어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스위치(Q2)의 오프 시에는 음극 팩 단자(P-)의 전압이 다이오드(D1) 및 제4저항(R22)을 통해 제1스위치(Q1)의 제어 단자로 전달되고, 제2스위치(Q2)의 온(도통)시에는 음극 팩 단자(P-)와 접지 사이의 전압이 제1 및 제2저항(R11, R12)에 의해 제1스위치(Q1)의 제어 단자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신호(CS)에 의해 제2스위치(Q2)가 온 되면, 이로 인해 제1스위치(Q1) 또한 온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다.
제어기(220)는 단락 검출 회로(300)를 이용하여 팩 단자들(P+, P-) 사이의 단락 검출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제2스위치(Q2)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CS)를 제어하여 제1스위치(Q1) 및 제2스위치(Q2)를 온시킴으로써, 단락 검출 회로(30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기(220)는 방전 제어 스위치(230)가 오프 상태에서만 단락 검출 회로(300)를 활성화시켜 단락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부하가 정상적인 상태(팩 단자들(P+, P-) 간에 단락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어기(220)에 의해 단락 검출 회로(300)가 활성화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 팩 단자(P-)는 단락 검출 회로(300)의 제1스위치(Q1)에 의해 접지 전압으로 풀 다운(pull down)된다. 이에 따라, 단락 검출 회로(300)의 출력 노드(n1)로 출력되는 전압(SD)은 접지 전압이 된다. 반면에, 부하 내부의 단락으로 인해 팩 단자들(P+, P-) 간에 쇼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제어기(220)에 의해 단락 검출 회로(300)가 활성화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락 검출 회로(300)로 전류(Ishort)가 흘러 음극 팩 단자(P-)의 전압이 양극 팩 단자(P+)의 전압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단락 검출 회로(300)의 출력 노드(n1)로는 접지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출력되고, 제어기(220)는 이를 감지하여 단락 상태를 판정하게 된다.
제어기(220)는 배터리 팩(10)과 세트가 연결되면, 세트 내 부하의 작동으로 방전 제어 스위치(230)가 온 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소정 시간 동안 단락 검출 회로(300)를 활성화시켜 팩 단자들(P+, P-) 사이의 단락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00)의 전력을 부하(미도시)로 방전하기 전에 단락 검출 회로(300)를 이용하여 부하의 단락 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방전 제어 스위치(230)는 평소에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방전 제어 스위치(230)는 배터리 팩(10)과 세트(set)가 연결된 상태라 하여도, 세트의 소프트웨어(software)가 부하의 작동을 지시하여 배터리 모듈(100)의 방전이 필요하기 전까지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기(220)는 부하가 작동을 개시하기 전에 단락 검출 회로(300)를 통해 단락 상태가 검출된 경우, 방전 제어 스위치(230)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고, 세트에 경고(warning) 정보를 전송하거나, 출력 장치(예를 들어, LED)를 통해 경고 출력을 내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팩(10)은 방전을 개시하기 전에 단락 상황을 미리 확인함으로써, 방전 제어 스위치(230)가 단락으로 인한 스트레스(stress)를 겪지 않아도 되므로, 고성능 방전 제어 스위치의 사용이 불필요하다.
제어기(220)는 부하의 작동 중 즉, 방전이 개시된 이후에 팩 단자들(P+, P-) 사이의 단락 발생으로 방전 제어 스위치(230)이 오프된 경우, 팩 단자들(P+, P-) 사이의 단락 상황이 해제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단락 검출 회로(300)를 활성화시켜 팩 단자들(P+, P-) 사이의 단락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기(220)는 단락 검출 회로(300)를 통해 팩 단자들(P+, P-) 사이의 단락 상황이 해제된 것으로 판정되기 전까지 방전 제어 스위치(230)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잦은 단락으로 인한 퓨즈 오픈(fuse open) 가능성이 감소하며, 부하 쇼트 검출 기능을 탑재한 고가의 배터리 IC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배터리 팩(10)의 단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배터리 팩
100: 배터리 모듈
210: 배터리 IC
220: 제어기
230: 방전 제어 스위치
240: 충전 제어 스위치
300: 단락 검출 회로
Q1, Q2: 스위치
R11, R12, R21, R22: 저항
D1: 다이오드
SR: 션트 저항

Claims (13)

  1. 배터리 팩의 음극 팩 단자와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음극 팩 단자와 상기 출력 노드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는 제1스위치,
    상기 출력 노드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제1저항, 및
    상기 제1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며,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팩의 팩 단자들 간의 단락 상태를 판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배터리 보호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팩 단자와 상기 제1스위치의 제1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보호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2저항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보호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의 제어 단자와 상기 접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 기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의 제어 단자로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제2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보호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와 상기 제1스위치의 제어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3저항, 및
    상기 음극 팩 단자와 상기 제1스위치의 제어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4저항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보호 회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는 각각 P채널 트랜지스터 및 N채널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P채널 트랜지스터는 상기 N채널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P채널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로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서 온/오프가 제어되는 배터리 보호 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배터리 팩의 방전 제어 스위치가 오프인 상태에서 상기 제1스위치를 온 시키는 배터리 보호 회로.
  8. 복수의 팩 단자,
    적어도 하나의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상기 복수의 팩 단자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배터리 모듈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의 방전 경로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방전 제어 스위치,
    상기 복수의 팩 단자 중 음극 팩 단자와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음극 팩 단자와 상기 출력 노드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는 제1스위치,
    상기 출력 노드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제1저항, 및
    상기 제1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며, 상기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팩 단자들 사이의 단락 상태를 판정하는 제어기를 포함 포함하는 배터리 팩.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의 제어 단자와 상기 접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 기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의 제어 단자로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제2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는 각각 P채널 트랜지스터 및 N채널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P채널 트랜지스터는 상기 N채널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P채널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로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서 온/오프가 제어되는 배터리 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방전 제어 스위치가 오프인 상태에서 상기 제2스위치를 온 시켜 상기 복수의 팩 단자들 사이의 단락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배터리 팩.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팩 단자를 통해 연결된 부하의 작동 개시로 상기 방전 제어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제2스위치를 온 시켜 상기 복수의 팩 단자들 사이의 단락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배터리 팩.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팩 단자를 통해 연결된 부하의 작동 중 단락 발생으로 상기 방전 제어 스위치가 오프되면, 단락 상황이 해제될 때까지 상기 제2스위치를 주기적으로 온 시켜 상기 복수의 팩 단자들 사이의 단락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배터리 팩.
KR1020180014183A 2018-02-05 2018-02-05 배터리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586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183A KR102586102B1 (ko) 2018-02-05 2018-02-05 배터리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PL18903807.8T PL3751693T3 (pl) 2018-02-05 2018-11-30 Obwód zabezpieczający akumulatora i zawierający go pakiet akumulatorów
EP18903807.8A EP3751693B1 (en) 2018-02-05 2018-11-30 Battery protective circuit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US16/960,498 US20200381929A1 (en) 2018-02-05 2018-11-30 Battery protective circuit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HUE18903807A HUE063913T2 (hu) 2018-02-05 2018-11-30 Akkumulátorvédõ áramkör és az azt tartalmazó akkumulátorcsomag
CN201880088653.6A CN111699603B (zh) 2018-02-05 2018-11-30 电池保护电路和包括该电池保护电路的电池组
PCT/KR2018/015057 WO2019151631A1 (ko) 2018-02-05 2018-11-30 배터리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183A KR102586102B1 (ko) 2018-02-05 2018-02-05 배터리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714A true KR20190094714A (ko) 2019-08-14
KR102586102B1 KR102586102B1 (ko) 2023-10-05

Family

ID=67478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183A KR102586102B1 (ko) 2018-02-05 2018-02-05 배터리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381929A1 (ko)
EP (1) EP3751693B1 (ko)
KR (1) KR102586102B1 (ko)
CN (1) CN111699603B (ko)
HU (1) HUE063913T2 (ko)
PL (1) PL3751693T3 (ko)
WO (1) WO20191516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2547A1 (en) * 2020-06-08 2021-12-16 A123 Systems, LLC Protection circuit for battery management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24463B2 (ja) * 2018-02-01 2022-02-24 株式会社Gsユアサ 管理装置、蓄電装置、蓄電素子の管理方法
CN114142543A (zh) * 2020-09-04 2022-03-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池充放电回路、充电方法及装置、电子设备
KR102546826B1 (ko) * 2020-09-29 2023-06-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제어 장치 및 이의 단락 검출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7792A (ja) * 2000-08-29 2002-03-08 Yazaki Corp ヘッドランプHi制御における負荷ラインショート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4227B2 (ja) * 2002-11-28 2009-04-15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JP4720548B2 (ja) * 2006-03-07 2011-07-13 住友電装株式会社 負荷異常検出システム
JP4995643B2 (ja) * 2007-06-11 2012-08-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の内部短絡検知方法および装置
US20090155674A1 (en) * 2007-12-18 2009-06-18 Mitsumi Electronic Co., Ltd. Battery Pack, Portable Device, Internal Short Detecting Method, and Internal Short Detecting Program
US8502503B2 (en) * 2008-12-18 2013-08-06 O2Micro Inc. Circuits and methods for protection of battery modules
JP5292155B2 (ja) * 2009-03-27 2013-09-18 Tdkラムダ株式会社 電源供給制御装置、電源装置および電源供給制御方法
KR101030910B1 (ko) * 2009-10-19 2011-04-22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1108188B1 (ko) * 2010-06-10 2013-03-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보호회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213480B1 (ko) * 2010-12-01 2012-1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보호회로 및 이의 제어방법
DE102011086412B4 (de) * 2011-11-15 2023-06-15 Vitesco Technologie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esten des Zustands der Verbindung einer mit einem Verbindungspunkt verbundenen Last
KR101729730B1 (ko) * 2014-06-10 2017-04-25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과전류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하는 장치
WO2016041601A1 (en) * 2014-09-19 2016-03-24 Höganäs Ab An electric machine assembly
KR101740242B1 (ko) * 2015-07-09 2017-05-2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전압 배터리 팩용 보호 회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066367B1 (ko) * 2016-02-18 2020-01-14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보호 회로 및 보호 회로의 동작 방법, 및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CN106026036B (zh) * 2016-08-05 2019-04-05 东莞新能德科技有限公司 电池保护装置和电池保护方法
US10432007B2 (en) * 2017-05-03 2019-10-01 Dell Products L.P. Circuits, systems and methods for balancing power for system load components
CN217739421U (zh) * 2022-06-10 2022-11-04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电路、电池管理系统、电池包和用电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7792A (ja) * 2000-08-29 2002-03-08 Yazaki Corp ヘッドランプHi制御における負荷ラインショート検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2547A1 (en) * 2020-06-08 2021-12-16 A123 Systems, LLC Protection circuit for battery management system
US11670938B2 (en) 2020-06-08 2023-06-06 A123 Systems, LLC Protection circuit for battery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1693A4 (en) 2021-11-03
PL3751693T3 (pl) 2023-09-11
WO2019151631A1 (ko) 2019-08-08
US20200381929A1 (en) 2020-12-03
CN111699603B (zh) 2023-08-04
HUE063913T2 (hu) 2024-02-28
EP3751693B1 (en) 2023-07-12
KR102586102B1 (ko) 2023-10-05
EP3751693A1 (en) 2020-12-16
CN111699603A (zh) 202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3737B (zh) 充電控制電路、電池保護積體電路、電池組及電池系統
KR100341133B1 (ko) 충전/방전 제어회로 및 충전식 전원장치
US10199679B2 (en) Battery protection integrated circuit, battery protection apparatus and battery pack
KR101784740B1 (ko) 배터리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EP3751693B1 (en) Battery protective circuit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EP3767731B1 (en) Battery pack and charging bank
JP5484597B2 (ja) 逆接続保護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バックアップ電源
US7541777B2 (en) Battery protection circuit
EP3644473B1 (en) Battery protection circuit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JP4080408B2 (ja) 電池用保護ic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電池パック
CN110832732A (zh) 电池的保护电路和具备该保护电路的电源装置
KR20070087501A (ko) 충방전 보호 회로 및 전원 장치
KR20140108143A (ko)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KR20020066372A (ko) 충방전 제어회로와 충전식 전원장치
KR100328888B1 (ko) 충방전 제어회로
KR20140078540A (ko)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JPH10290530A (ja) 二次電池の保護回路
JPH10150721A (ja) 二次電池の保護回路
US10333317B2 (en)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and battery device
JP4359740B2 (ja) 二次電池の保護回路
US11689033B2 (en) Dual battery protection of rechargeable batteries
JP2020025375A (ja) 回路保護装置
KR20180077009A (ko)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