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009A -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 Google Patents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009A
KR20180077009A KR1020170138468A KR20170138468A KR20180077009A KR 20180077009 A KR20180077009 A KR 20180077009A KR 1020170138468 A KR1020170138468 A KR 1020170138468A KR 20170138468 A KR20170138468 A KR 20170138468A KR 20180077009 A KR20180077009 A KR 20180077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condary battery
charge
power supply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5429B1 (ko
Inventor
아쓰시 사쿠라이
다카시 오노
가즈히데 야스다
Original Assignee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77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병렬로 접속된 이차 전지 중 일방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충방전 전류를 제어 가능한 충방전 제어 회로로 하기 위해, 충방전 제어 회로는, 병렬 접속된 제1 이차 전지와 제2 이차 전지의 제1 전극이 각각 접속되는 제1 전원 단자와 제2 전원 단자와, 제1 이차 전지 및 제2 이차 전지의 제2 전극이 접속되는 제3 전원 단자와, 제1 전원 단자와 제2 전원 단자를 접속하고 접속 후의 전위를 출력하는 접속 회로와, 접속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위와 제3 전원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전위의 전위차를 전원 전압으로 하여 동작하고, 제1 이차 전지 및 제2 이차 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CHARGING/DISCHARGING CONTROL CIRCUIT AND BATTERY DEVICE}
본 발명은,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제어부(제어 회로)를 가지는 충방전 제어 회로(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와, 복수의 이차 전지(배터리)를 구비하는 배터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을 참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배터리 장치에서는,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이차 전지의 충방전 전류의 제어가, 충방전 제어 회로의 제어부에 의해 행해진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9-159811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배터리 장치에서는, 복수의 이차 전지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지만, 그 대신에, 복수의 이차 전지가 병렬로 접속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배터리 장치에서는, 충방전 제어 회로의 제어부는, 이차 전지의 충방전 전류에 의해 동작한다. 그런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배터리 장치에서는, 복수의 이차 전지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이차 전지 중 하나의 이차 전지에 탈락, 내부 오픈 등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충방전 제어 회로의 제어부가 충방전을 제어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배터리 장치에서는, 1개의 이차 전지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다른 이차 전지와 외부 단자(출력 단자) 사이의 접속이 차단된다. 그 때문에, 충방전 제어 회로의 제어부가 충방전을 제어할 수 없게 되어도, 특별히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런데, 복수의 이차 전지가 병렬로 접속되는 경우는, 1개의 이차 전지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다른 이차 전지와 외부 단자(출력 단자) 사이의 접속이 차단되는 것은 아니다. 그 때문에, 복수의 이차 전지가 병렬로 접속되는 경우, 1개의 이차 전지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충방전 제어 회로의 제어부가 충방전을 제어할 수 없게 되면, 배터리 장치가 불안정한 상태가 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이차 전지 중 하나의 이차 전지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어부가 충방전 전류의 제어를 행할 수 있는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충방전 제어 회로는, 제1 이차 전지의 제1 전극이 접속되는 제1 전원 단자와, 제1 이차 전지에 병렬 접속된 제2 이차 전지의 제1 전극이 접속되는 제2 전원 단자와, 제1 이차 전지 및 제2 이차 전지의 제2 전극이 접속되는 제3 전원 단자와, 제1 전원 단자와 제2 전원 단자를 접속하고 접속 후의 전위를 출력하는 접속 회로와, 접속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위와 제3 전원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전위의 전위차를 전원 전압으로 하여 동작하고, 제1 이차 전지 및 제2 이차 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충방전 제어 회로에 의하면, 제어부와 전원 단자의 사이에 접속 회로를 구비했으므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이차 전지 중 하나의 이차 전지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어부가 충방전 전류의 제어를 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충방전 제어 회로가 적용된 배터리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충방전 제어 회로가 적용된 배터리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된 충방전 제어 회로가 적용된 배터리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충방전 제어 회로(10)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충방전 제어 회로(10)가 적용된 배터리 장치(1)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배터리 장치(1)는, 충방전 제어 회로(10)와, 제1 이차 전지(B1)와, 제2 이차 전지(B2)와, 제1 외부 단자(EB+)와, 제2 외부 단자(EB-)와, 방전 제어 스위치(SD1)와, 충전 제어 스위치(SC1)와, 방전 제어 스위치(SD2)와, 충전 제어 스위치(SC2)와, 저항(R)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이차 전지(B1)와, 제2 이차 전지(B2)는, 이차 전지(B)를 구성한다. 제1 이차 전지(B1)는, 제1 전극(B11)과, 제2 전극(B12)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이차 전지(B2)는, 제1 전극(B21)과, 제2 전극(B22)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외부 단자(EB+)와, 제2 외부 단자(EB-)는, 외부 단자(EB)를 구성한다.
방전 제어 스위치(SD1)와 충전 제어 스위치(SC1)는, 제1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구성한다. 방전 제어 스위치(SD2)와 충전 제어 스위치(SC2)는, 제2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구성한다.
배터리 장치(1)는, 이차 전지(B)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을 외부 단자(EB)를 통하여 외부에 공급하고, 외부 단자(EB)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차 전지(B)에 충전한다. 배터리 장치(1)는, 필요에 따른 병렬수의 이차 전지(B)를 구비한다.
충방전 제어 회로(10)는, 제1 전원 단자(VSS1)와, 제2 전원 단자(VSS2)와, 제3 전원 단자(VDD)와, 방전 제어 단자(DO)와, 충전 제어 단자(CO)와, 과전류 검출 단자(VM)와, 제1 전압 검출부(111)와, 제2 전압 검출부(112)와, 접속 회로(14)와, 제어부(12)와, 드라이버(1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전압 검출부(111)와, 제2 전압 검출부(112)는, 전압 검출부(11)를 구성한다. 접속 회로(14)는, 제1 저항(141)과, 제2 저항(142)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저항(141)은, 제1 단자(141a)와, 제2 단자(141b)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저항(142)은, 제1 단자(142a)와, 제2 단자(142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외부 단자(EB+)는, 제1 이차 전지(B1)의 제2 전극(B12)과, 제2 이차 전지(B2)의 제2 전극(B22)과, 충방전 제어 회로(10)의 제3 전원 단자(VDD)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이차 전지(B1)의 제1 전극(B11)은, 충방전 제어 회로(10)의 제1 전원 단자(VSS1)와, 방전 제어 스위치(SD1)의 일방의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이차 전지(B2)의 제1 전극(B21)은, 충방전 제어 회로(10)의 제2 전원 단자(VSS2)와, 방전 제어 스위치(SD2)의 일방의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방전 제어 스위치(SD1)는, 타방의 단자가 충전 제어 스위치(SC1)의 일방의 단자에 접속되고, 방전 제어 단자(DO)의 신호로 제어된다. 방전 제어 스위치(SD2)는, 타방의 단자가 충전 제어 스위치(SC2)의 일방의 단자에 접속되고, 방전 제어 단자(DO)의 신호로 제어된다. 충전 제어 스위치(SC1)는, 타방의 단자가 제2 외부 단자(EB-)에 접속되고, 충전 제어 단자(CO)의 신호로 제어된다. 충전 제어 스위치(SC2)는, 타방의 단자가 제2 외부 단자(EB-)에 접속되고, 충전 제어 단자(CO)의 신호로 제어된다. 과전류 검출 단자(VM)는, 저항(R)을 통하여 제2 외부 단자(EB-)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전압 검출부(111)는, 제1 전원 단자(VSS1)와, 제3 전원 단자(VDD)와, 과전류 검출 단자(VM)와, 제어부(12)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전압 검출부(112)는, 제2 전원 단자(VSS2)와, 제3 전원 단자(VDD)와, 과전류 검출 단자(VM)와, 제어부(12)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 회로(14)의 제1 저항(141)은, 제1 단자(141a)가 제1 전원 단자(VSS1)에 접속되고, 제2 단자(141b)가 제어부(12)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 회로(14)의 제2 저항(142)은, 제1 단자(142a)가 제2 전원 단자(VSS2)에 접속되고, 제2 단자(142b)가 제어부(12)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2)는, 드라이버(13)에 접속되어 있다. 드라이버(13)는, 방전 제어 단자(DO)와 충전 제어 단자(CO)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전압 검출부(111)는, 제1 전원 단자(VSS1)의 전위와 제3 전원 단자(VDD)의 전위에 의거하여 제1 이차 전지(B1)의 전압을 검출한다. 또, 제1 전압 검출부(111)는,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 전원 단자(VSS1)와 과전류 검출 단자(VM) 사이의 전압에 의거하여 제1 충방전 제어 스위치에 흐르는 과전류를 검출한다.
제2 전압 검출부(112)는, 제2 전원 단자(VSS2)의 전위와 제3 전원 단자(VDD)의 전위에 의거하여 제2 이차 전지(B2)의 전압을 검출한다. 또, 제2 전압 검출부(112)는,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 전원 단자(VSS2)와 과전류 검출 단자(VM) 사이의 전압에 의거하여 제2 충방전 제어 스위치에 흐르는 과전류를 검출한다.
접속 회로(14)는, 제1 전원 단자(VSS1)와 제2 전원 단자(VSS2)를 제1 저항(141) 및 제2 저항(142)을 통하여 접속하고, 접속 후의 전위를 제어부(12)에 출력한다.
제어부(12)는, 제1 전압 검출부(111)에 의한 검출 결과 및 제2 전압 검출부(112)에 의한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제1 이차 전지(B1) 및 제2 이차 전지(B2)의 충방전 전류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 제어부(12)는, 접속 회로(14)로부터 출력되는 전위와 제3 전원 단자(VDD)로부터 공급되는 전위의 전위차를 전원 전압으로 하여 동작한다.
드라이버(13)는, 제어부(12)가 출력하는 신호에 의거하여, 충전 제어 단자(CO)로부터 충전 제어 스위치(SC1) 및 충전 제어 스위치(SC2)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방전 제어 단자(DO)로부터 방전 제어 스위치(SD1) 및 방전 제어 스위치(SD2)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충전 제어 스위치(SC1)는, 제1 이차 전지(B1)에 대한 충전 전류를 제어한다. 충전 제어 스위치(SC2)는, 제2 이차 전지(B2)에 대한 충전 전류를 제어한다. 방전 제어 스위치(SD1)는, 제1 이차 전지(B1)에 의한 방전 전류를 제어한다. 방전 제어 스위치(SD2)는, 제2 이차 전지(B2)에 의한 방전 전류를 제어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들 스위치를 총칭하여 「제어 스위치」라고도 기재한다. 또, 충전 제어 스위치(SC1) 및 충전 제어 스위치(SC2)를 총칭하여 충전 제어 스위치라고도 기재하고, 방전 제어 스위치(SD1) 및 방전 제어 스위치(SD2)를 총칭하여 방전 제어 스위치라고도 기재한다.
이들 제어 스위치는 모두, 예를 들면 FET 스위치이며, 충방전 제어 회로(10)의 제어에 의거하여 온 또는 오프 동작한다.
제어부(12)는, 전압 검출부(11)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드라이버(13)를 통하여 제어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이차 전지(B)의 충방전을 제어한다.
이하, 제어부(12)에 의한 제어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압 검출부(11)의 검출 결과가 「통상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 제어부(12)는, 제어 스위치의 각각을 온 상태로 제어한다.
제1 전압 검출부(111)의 검출 결과가 「과충전」을 나타내는 경우, 즉, 제1 이차 전지(B1)가 과충전 상태가 된 경우에, 제어부(12)는 충전 제어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이차 전지(B)는, 충전 전류가 차단되어, 충전이 정지된다.
제1 전압 검출부(111)의 검출 결과가 「과방전」을 나타내는 경우, 즉, 제1 이차 전지(B1)가 과방전 상태가 된 경우에, 제어부(12)는 방전 제어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이차 전지(B)는, 방전 전류가 차단되어, 방전이 정지된다.
제2 전압 검출부(112)의 검출 결과가 「과충전」을 나타내는 경우, 즉, 제2 이차 전지(B2)가 과충전 상태가 된 경우에, 제어부(12)는 충전 제어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이차 전지(B)는, 충전 전류가 차단되어, 충전이 정지된다.
제2 전압 검출부(112)의 검출 결과가 「과방전」을 나타내는 경우, 즉, 제2 이차 전지(B2)가 과방전 상태가 된 경우에, 제어부(12)는 방전 제어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이차 전지(B)는, 방전 전류가 차단되어, 방전이 정지된다.
여기서, 배터리 장치(1)에 고장이 발생하여, 제1 전원 단자(VSS1) 또는 제2 전원 단자(VSS2)에 대해 전위를 공급할 수 없게 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례로서, 제2 이차 전지(B2)의 제1 전극(B21)에 접속되어 있는 도선이 단선되고, 제2 전원 단자(VSS2)에 전위를 공급할 수 없게 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충방전 제어 회로(10)는, 제2 전원 단자(VSS2)에 제2 이차 전지(B2)의 제1 전극(B21)의 전위가 공급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접속 회로(14)는, 제1 전원 단자(VSS1)의 전위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어부(12)는, 제3 전원 단자(VDD)의 전위와 제1 전원 단자(VSS1)의 전위의 전위차를 전원 전압으로 하여 동작한다.
즉, 충방전 제어 회로(10)는, 접속 회로(14)를 구비함으로써, 제1 전원 단자(VSS1) 및 제2 전원 단자(VSS2) 중 어느 일방으로부터 전위가 공급되지 않는 상황이 되었다고 해도, 제어부(12)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 제2 이차 전지(B2)에 탈락 또는 내부 오픈 등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제1 이차 전지(B1)에 의해 제어부(12)에 전원 전압이 공급되므로, 제어부(12)는 동작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이차 전지(B1)의 도선이 단선, 또는 제1 이차 전지(B1)에 탈락 또는 내부 오픈 등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제2 이차 전지(B2)에 의해 제어부(12)에 전원 전압이 공급되므로, 제어부(12)는 동작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1)는,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이차 전지 중, 어느 하나의 이차 전지의 출력 배선이 단선되었다고 해도, 다른 이차 전지로의 충방전 및 감시가 가능하다.
또, 예를 들면, 제1 이차 전지(B1)의 내부에서 단락되어 버린 경우, 제2 이차 전지(B2)에 제1 이차 전지(B1)와 제어 스위치 또는 접속 회로(14)를 경유하여 대전류가 흘러 버린다.
이 때, 접속 회로(14)의 저항값은, 제어 스위치의 온 저항값보다 크게, 또, 접속 회로(14)를 경유하는 전류를 충분히 제한할 수 있을 정도로 크게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류의 대부분은 제어 스위치를 경유하게 된다. 또한, 충방전 제어 회로(10)가 과전류를 검출하고 충전 스위치를 오프한 후에도, 접속 회로(14)에 흐르는 전류는 충분히 제한되므로, 충방전 제어 회로(10)는 손상되는 일이 없다.
마찬가지로, 제2 이차 전지(B2)의 내부에서 단락되어 버린 경우에 있어서도, 충방전 제어 회로(10)는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 예를 들면, 과방전 상태에 있어서 방전 제어 스위치가 오프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제1 이차 전지(B1)와 제2 이차 전지(B2)는 제1 저항(141) 및 제2 저항(142)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으므로, 제1 이차 전지(B1)와 제2 이차 전지(B2)의 전압의 밸런스를 취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제2 실시 형태의 충방전 제어 회로(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의 충방전 제어 회로(10)는, 후술하는 점을 제외하고,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충방전 제어 회로(1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의 충방전 제어 회로(1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충방전 제어 회로(10)가 적용된 배터리 장치(1)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접속 회로(14)는, 제1 다이오드(143)와, 제2 다이오드(14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다이오드(143)는, 캐소드 단자(143a)와, 애노드 단자(143b)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다이오드(144)는, 캐소드 단자(144a)와, 애노드 단자(144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다이오드(143)는, 캐소드 단자(143a)가 제1 전원 단자(VSS1)에 접속되고, 애노드 단자(143b)가 제어부(12)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다이오드(144)는, 캐소드 단자(144a)가 제2 전원 단자(VSS2)에 접속되고, 애노드 단자(144b)가 제어부(12)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 회로(14)를 이와 같이 구성한 제2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1)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이차 전지 중, 어느 하나의 이차 전지의 출력 배선이 단선되었다고 해도, 다른 이차 전지로의 충방전 및 감시가 가능하다.
또한, 제1 이차 전지(B1) 또는 제2 이차 전지(B2)의 내부에서 단락되어 버린 경우, 이차 전지(B)로부터 접속 회로(14)를 경유한 전류가 흐르는 일은 없기 때문에, 충방전 제어 회로(10)는 손상되는 일이 없다.
[제3 실시 형태]
이하, 제3 실시 형태의 충방전 제어 회로(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의 충방전 제어 회로(10)는, 후술하는 점을 제외하고,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충방전 제어 회로(1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의 충방전 제어 회로(1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된 충방전 제어 회로(10)가 적용된 배터리 장치(1)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접속 회로(14)는, 제1 정전류 다이오드(145)와, 제2 정전류 다이오드(146)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정전류 다이오드(145)는, 애노드 단자(145a)와, 캐소드 단자(145b)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정전류 다이오드(146)는, 애노드 단자(146a)와, 캐소드 단자(146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정전류 다이오드(145)는, 애노드 단자(145a)가 제1 전원 단자(VSS1)에 접속되고, 캐소드 단자(145b)가 제어부(12)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정전류 다이오드(146)는, 애노드 단자(146a)가 제2 전원 단자(VSS2)에 접속되고, 캐소드 단자(146b)가 제어부(12)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 회로(14)를 이와 같이 구성한 제3 실시 형태의 배터리 장치(1)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이차 전지 중, 어느 하나의 이차 전지의 출력 배선이 단선되었다고 해도, 다른 이차 전지로의 충방전 및 감시가 가능하다.
또, 예를 들면, 제1 이차 전지(B1)의 내부에서 단락되어 버린 경우, 접속 회로(14)에 흐르는 전류는 제1 정전류 다이오드(145)의 핀치 오프 전압으로 제한되므로, 그 핀치 오프 전압을 적당한 값으로 설정하면, 충방전 제어 회로(10)는 손상되는 일이 없다. 제2 이차 전지(B2)의 내부에서 단락되어 버린 경우도, 마찬가지로, 충방전 제어 회로(10)는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과방전 상태에 있어서 방전 제어 스위치가 오프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제1 이차 전지(B1)와 제2 이차 전지(B2)는 제1 정전류 다이오드(145) 및 제2 정전류 다이오드(146)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으므로, 제1 이차 전지(B1)와 제2 이차 전지(B2)의 전압의 밸런스를 취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차 전지의 음극측에 충방전 스위치를 구비하고, 이차 전지의 양극측을 공통으로 한 배터리 장치로서 설명했지만, 이차 전지의 양극측에 충방전 스위치를 구비하고, 이차 전지의 음극측을 공통으로 한 배터리 장치로 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방전 제어 스위치(SD1)와 방전 제어 스위치(SD2)는 공통으로 제어되고, 충전 제어 스위치(SC1)와 충전 제어 스위치(SC2)는 공통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했지만, 각각 단독으로 제어하는 회로 구성으로 해도 된다.
1 배터리 장치 10 충방전 제어 회로
11 전압 검출부 111 제1 전압 검출부
112 제2 전압 검출부 12 제어부
13 드라이버 14 접속 회로
SD1 방전 제어 스위치 SC1 충전 제어 스위치
SD2 방전 제어 스위치 SC2 충전 제어 스위치

Claims (5)

  1. 제1 외부 단자 및 제2 외부 단자 사이에 서로 병렬로 접속된 제1 이차 전지 및 제2 이차 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로서,
    상기 제1 이차 전지의 제1 전극이 접속되는 제1 전원 단자와,
    상기 제2 이차 전지의 제1 전극이 접속되는 제2 전원 단자와,
    상기 제1 이차 전지의 제2 전극 및 상기 제2 이차 전지의 제2 전극이 각각 접속되는 제3 전원 단자와,
    상기 제1 전원 단자의 전위와 상기 제3 전원 단자의 전위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이차 전지의 전압을 검출하는 제1 전압 검출부와,
    상기 제2 전원 단자의 전위와 상기 제3 전원 단자의 전위에 의거하여, 상기 제2 이차 전지의 전압을 검출하는 제2 전압 검출부와,
    상기 제1 전원 단자와 상기 제2 전원 단자를 접속하고, 접속 후의 전위를 출력하는 접속 회로와,
    상기 접속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위와 상기 제3 전원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전위의 전위차를 전원 전압으로 하여 동작하고, 상기 제1 전압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 및 상기 제2 전압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이차 전지 및 상기 제2 이차 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 회로는,
    제1 단자가 상기 제1 전원 단자에 접속되고, 제2 단자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는 제1 저항과,
    제1 단자가 상기 제2 전원 단자에 접속되고, 제2 단자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는 제2 저항을 구비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 회로는,
    캐소드 단자가 상기 제1 전원 단자에 접속되고, 애노드 단자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는 제1 다이오드와,
    캐소드 단자가 상기 제2 전원 단자에 접속되고, 애노드 단자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는 제2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 회로는,
    애노드 단자가 상기 제1 전원 단자에 접속되고, 캐소드 단자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는 제1 정전류 다이오드와,
    애노드 단자가 상기 제2 전원 단자에 접속되고, 캐소드 단자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는 제2 정전류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충방전 제어 회로와,
    상기 제1 이차 전지와,
    상기 제2 이차 전지와,
    상기 제1 외부 단자와,
    상기 제2 외부 단자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1 이차 전지에 대한 충방전 전류를 제어하는 제1 충방전 제어 스위치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2 이차 전지에 대한 충방전 전류를 제어하는 제2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구비하는, 배터리 장치.
KR1020170138468A 2016-12-28 2017-10-24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KR1023554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55308 2016-12-28
JP2016255308 2016-12-28
JP2017125291A JP6959046B2 (ja) 2016-12-28 2017-06-27 充放電制御回路およびバッテリ装置
JPJP-P-2017-125291 2017-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009A true KR20180077009A (ko) 2018-07-06
KR102355429B1 KR102355429B1 (ko) 2022-01-26

Family

ID=62845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468A KR102355429B1 (ko) 2016-12-28 2017-10-24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959046B2 (ko)
KR (1) KR102355429B1 (ko)
TW (1) TWI700876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9785A1 (en) * 2007-01-17 2008-07-17 Bongyoung Kim Hybrid battery and its charging/discharging method
KR20080067948A (ko) * 2007-01-17 2008-07-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지 및 이를 충방전하는 방법
JP2009159811A (ja) 2007-12-06 2009-07-16 Seiko Instruments Inc バッテリ状態監視回路及びバッテリ装置
KR20130046234A (ko) * 2011-10-27 2013-05-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066279A (ko) * 2012-11-22 2014-06-02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전지 보호 회로 및 전지 보호 장치, 및 전지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8829B1 (en) * 2000-06-19 2004-01-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regulating the distribution of power throughout a system through the use of uni-directional and bi-directional switches
CN103513595A (zh) * 2012-06-29 2014-01-1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源时序控制电路
CN203690980U (zh) * 2013-12-15 2014-07-02 重庆辉腾光电有限公司 太阳能快速充电控制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9785A1 (en) * 2007-01-17 2008-07-17 Bongyoung Kim Hybrid battery and its charging/discharging method
KR20080067948A (ko) * 2007-01-17 2008-07-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지 및 이를 충방전하는 방법
JP2009159811A (ja) 2007-12-06 2009-07-16 Seiko Instruments Inc バッテリ状態監視回路及びバッテリ装置
KR20130046234A (ko) * 2011-10-27 2013-05-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066279A (ko) * 2012-11-22 2014-06-02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전지 보호 회로 및 전지 보호 장치, 및 전지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10509A (ja) 2018-07-12
TWI700876B (zh) 2020-08-01
JP6959046B2 (ja) 2021-11-02
KR102355429B1 (ko) 2022-01-26
TW201824696A (zh) 201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874B1 (ko) 팩 전지
JP5007493B2 (ja) 電源装置
KR101791694B1 (ko)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및 배터리 장치
US10594146B2 (en) Battery control circuit for multiple cells employing level shift circuits to avoid fault
EP2190100A2 (e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of a rechargeable battery
US7656126B2 (en) Abnormality detection apparatus for secondary battery device
US9466993B2 (en)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circuit having an intermediate terminal disconnection detecting circuit for detecting disconnection with secondary batteries
JP2019158539A (ja) 電池監視装置
US11462919B2 (en) Secondary battery system and connection circuit
JP2019106880A (ja) 二次電池保護集積回路、二次電池保護装置及び電池パック
US20160013668A1 (en)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circuit and battery device
KR20170100271A (ko) 배터리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2017184562A (ja) 充電装置
US11043826B2 (en)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and batter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70315181A1 (en) Integrated circuit with built-in status monitoring unit and power supply device provided with said integrated circuit
EP3751693B1 (en) Battery protective circuit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US10591551B2 (en) Voltage detection apparatus
US10361570B2 (en) Charging/discharging control circuit and battery apparatus including voltage or current detection for secondary batteries
KR102209457B1 (ko) 이차전지 보호 회로 및 전지 팩
CN108258751B (zh) 充放电控制电路以及电池装置
KR20140028349A (ko) 셀 밸런싱 장치
KR102355429B1 (ko)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KR20180098852A (ko) 배터리 모듈 과충전 방지 장치
JP6760115B2 (ja) 蓄電池のヒューズ判定回路
JP2022039978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