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626A - 황반변성의 신규 치료 방법 - Google Patents

황반변성의 신규 치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626A
KR20190093626A KR1020197019685A KR20197019685A KR20190093626A KR 20190093626 A KR20190093626 A KR 20190093626A KR 1020197019685 A KR1020197019685 A KR 1020197019685A KR 20197019685 A KR20197019685 A KR 20197019685A KR 20190093626 A KR20190093626 A KR 20190093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ulinum
botulinum toxin
retinal
macular degeneration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리 이. 보로딕
Original Assignee
게리 이. 보로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리 이. 보로딕 filed Critical 게리 이. 보로딕
Publication of KR20190093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6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A61K38/4886Metalloendopeptidases (3.4.24), e.g. collagenase
    • A61K38/4893Botulinum neurotoxin (3.4.24.6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7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A61K38/179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growth factors; for growth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proteinaceous materials, e.g. enzymes, hormones, lymphok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2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growth factors ; against growth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docri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연령관련 황반변성으로 인한 시력 상실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제형 및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제형은 보툴리눔 신경독소(예를 들어, 순수한 형태의 또는 하나 이상의 펩티드 단편 및/또는 신경독소 관련 단백질과의 보툴리눔 신경독소 또는 이의 단편)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제형은 또한 하나 이상의 항-VEGF 제제를 포함한다. 개시된 제형은 환자의 안내 또는 안외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환자의 안외 영역에 적용될 경우, 보톨리눔-기반 약제학적 제형은 축삭형질 수송을 통해 환자의 안내 영역으로 수송되고, 이로 인해 안구에 직접 주사하지 않고도 활성 성분(들)이 맥락막, 신경-망막 및/또는 망막색소상피로 침투될 수 있어 망막 박리, 망막 파괴, 망막 출혈 및 안구로의 직접 주사와 관련된 실명의 위험을 제거함으로써 치료 안전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황반변성의 신규 치료 방법
관련 출원에 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6년 12월 8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431,512호, 2017년 1월 24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449,914호 및 2017년 7월 18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533,961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들의 내용은 각각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황반변성은 인간 실명의 주요 원인이며, 일반적으로 50세 이상의 집단에서 발생한다. 상기 병태는 유전성으로, 자손은 질환에 걸림으로써 법적으로 실명된 부모로부터 임상적으로 심각한 병태를 유전받을 확률이 약 50%이다. 황반변성은 미국에서 비가역적 실명의 최대 70%를 차지하며 안과의가 직면하는 가장 흔한 문제 중 하나이다. 전세계적으로 2020년에 연령관련 황반변성을 앓는 사람의 예상 수는 1억 9,600만명이며 2040년에는 2억 8,800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보툴리늄 독소-기반 약제를 투여함으로써 황반변성으로 인한 시력 상실을 치료하고 가능하게는 예방하는 신규 제형 및 방법이 본원에서 개시된다. 개시된 제형의 투여는 안내 또는 안외 투여일 수 있고,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피하, 근육하, 신경내, 국소, 골내 및/또는 계면(interfacial) 주사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안내(intra-ocular)"란 용어는 눈의 안구에 제형을 직접 적용하는 것을 지칭하며, "안외(extra ocular)"란 용어는 눈의 안구 이외의 영역(예를 들어, 눈꺼풀 또는 안와)에 제형을 적용하는 것을 지칭한다. 안외 주사가 사용되는 경우, 안내 주사의 합병증을 피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생물학적 효과를 현재의 작동적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반복 주사가 사용될 수 있다. 시력 개선은 개시된 방법에 따른 치료 후 주관적으로 보고될 수 있으며, 일부 경우에, SD-OCT, 안저검사(fundoscopy) 또는 기타 영상 기술을 사용하여 안구의 물리적 구조의 물리적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주사는 외안근의 약화를 유발하지 않는 경로를 통해 안와 및 황반에 침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복시, 아폽토시스(apoptosis) 및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 다른 신경근 효과를 피할 수 있다.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개시된 제형 및 방법은 맥락막, 신경망막, 망막색소상피(RPE), 안구로 들어가는 말초 신경 및/또는 다른 관련 조직 중 하나 이상을 표적으로 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제형 및 방법은 삼출성 형태의 황반변성(즉, 망막내 체액, 혈액 또는 망막하 체액 또는 혈액을 갖는) 및 지도형 위축을 초래할 수 있는 비삼출성 형태 둘 다를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개시된 제형을 환자에게 투여하기 전에, 개시된 방법에 따른 치료가 적절한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적격한 의사에 의해 임상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임상 평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가족력, 촬영술을 이용한 안저 검사, SD OCT, 안저검사에서의 색소의 존재, 신경-망막 전방으로의 색소 이동(망막내 과다색소), 드루젠의 존재 및 용적, 초점 망막내 과다반사, 드루제노이드하(sub-drusenoid) 침착물, 드루제노이드하 과다반사성, 드루젠 용적의 동적 감소, 중증도에 대한 제2 안구 병기 결정, 반사성저하, 맥락막 혈관신생, 색소침착저하, OCT 반사성 선의 불연속성 및 소실(예: IS-OS, 외핵층, RPE층), 망막 및 맥락막 두께 또는 관련 성분, 임의의 측정치의 동적 변화, 반사성 선의 두꺼워짐, 낭종 형성 및 체액 형성의 임의의 구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결함 징후에 대한 망막색소상피 상태의 신중한 평가와 함께 SD OCT. 일부 경우에, RPE의 활성화는 황반변성 진행의 위험 인자가 될 수 있으며, 해부병리학적 소견, 병력 및 질환 진행의 템포 및 제2 안구의 상태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진행 위험을 평가할 수 있다 .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개시된 제형 및 치료 방법은 RPE의 변성을 지연시키고, 광수용체를 보존하고, 고위험 누출을 치료 또는 예방하고, 신혈관형성을 치료 및 예방하고, 세포 아폽토시스를 예방하고, RPE 활성화를 치료 및 예방하고, RPE 이동을 치료 및 예방하며, RPE에서 시트 왜곡(sheet distortion)을 치료 및 예방하며, 지도형 위축을 예방하고, 망막 위축을 예방하고, 간상체와 추상체의 손실을 예방하고, 습성 단계를 건성 단계로 전환시키고, 시력을 보존하고/하거나 시력을 회복시킬 수 있다.
도 1a 내지 1c는 안구의 황반의 도식이다. 특히, 도 1a는 건강한 황반을 예시하고, 도 1b는 건성 황반변성을 앓는 황반을 예시하고, 도 1c는 습성 황반변성을 앓는 황반을 도시한다. 습성 황반변성은 종종 빠른 시력 상실과 관련이 있으며 건성 황반변성은 느린 시력 상실과 관련이 있다. 건성 황반변성의 형태는 또한 습성(삼출성 상태)으로 전환될 위험을 나타내고 시간에 걸쳐 임상의에 의해 추적관찰되어야 한다.
도 1d는 조기 연령관련 황반변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망막색소상피(RPE)의 연속성의 파괴를 나타내는, 광학적 간섭 단층촬영술(OC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를 사용하여 얻은 영상이다.
도 2는 말기 황반변성에서 조밀한 원반형 섬유성 흉터를 도시하는 OCT 영상이다. 도 2에 도시된 흉터의 일부분은 광수용체의 부수적인 손실이 있는 지도형 위축을 나타낸다.
도 3은 습성 황반변성의 사례에서의 신경-망막 아래의 RPE를 통한 체액 누출을 도시하는 OCT 영상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RPE의 육각형 구조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f는 막의 파괴, 막하(sub membrane) 응축, 구조의 육각형 형상의 변화, RPE 자가분해, 황반변성과 관련된 액틴으로부터의 스트레스 섬유 형성을 도시한다.
도 6은 신경 및 혈관이 황반 아래의 후극 내로 침투한 인간 절개 안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안외 투여에 뒤따르는 신경의 침투 및 통과세포외배출(transcytosis)과 안구 침투를 도시한다.
도 8은 사구체 장벽의 개략도이다.
도 9a 내지 도 9f는 개시된 방법에 따라서 개시된 치료용 제형으로 처리된 환자로부터 얻은 OCT 영상을 도시한다. 항-VEGF 제제의 향상 효과도 도 9a 내지 9f에서 볼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개시된 방법에 따라 개시된 치료용 제형으로 처리된 환자로부터 얻은 OCT 영상을 도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개시된 방법에 따라 개시된 치료용 제형으로 처리된 환자로부터 얻은 OCT 영상을 도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개시된 방법에 따라 개시된 치료용 제형으로 처리된 환자로부터 얻은 OCT 영상을 도시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개시된 방법에 따라 개시된 치료용 제형으로 처리된 환자로부터 얻은 OCT 영상을 도시한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RPE 세포 내의 스트레스 섬유를 도시한다.
황반변성은 일반적으로 질환에 걸린 개체의 중심 시력을 파괴하여 읽고 운전하고 독립적이고 생산적인 삶을 사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시력의 급격한 저하는 일반적으로 망막색소상피에 의해 확립된 생물학적 장벽을 통해 새롭게 형성된 병적 맥락막 혈관으로부터의 체액 누출이 있는 질환의 삼출성 또는 "습성 형태"와 관련된다. 망막색소상피를 통한 누출은 망막색소상피의 구조가 섬유성 흉터로 변경되는 광수용체의 파괴 또는 관련 광수용체가 파괴된 위축 상태로 이어진다.
현재 황반변성을 위한 치료법은 단백질-기반 항체(단클론 항체)를 혈관 내피 성장 인자(VEGF 및 관련 표적)에 안내 주사하여, 신혈관형성으로 인한 누출의 감소 및 새로운 혈관 성장의 후퇴를 야기하고 신경망막 광수용체와 망막색소상피 간의 필수적인 계면을 복구하는 것을 수반한다. 이러한 현재의 요법은 기존 제제의 짧은 반감기 및 분자 크기로 인해 안내 주사를 필요로 한다. 안과학 분야에서 시행되는 안내 주사는 안내 내용물(수정체, 망막, 맥락막 및 안내 감염의 가능성)에 대한 손상을 포함하여 많은 위험을 안고 있다.
황반변성의 치료를 위한 이전의 치료 접근법과는 대조적으로, 황반변성을 치료, 예방, 완화 및/또는 역전시키는 신규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방법에서는, 보툴리눔 독소(임의의 공지된 형태, 예를 들어, 보툴리눔 신경독소 또는 이의 단편) 또는 이의 펩티드 단편 또는 신경독소 관련 단백질(부속 단백질) 중 하나 이상을 환자의 안내 영역(즉, 눈의 안구) 및/또는 안외(즉, 눈의 안구 바깥, 예를 들면, 눈꺼풀)에 주사한다. 개시된 화합물을 환자의 하나 이상의 안외 영역에 적용하면 황반변성 또는 임의의 관련된 병태로 인한 시력 상실을 치료할 수 있거나, 일부 경우에 예방할 수 있다. 본원에 상세히 설명되는 같이, 보툴리눔 독소 및 이의 단편은 축삭형질 수송(axoplasmic transport)될 수 있다. 따라서, 보툴리눔 독소 및 관련 화합물을 환자의 안구주위(per-ocular) 영역 또는 안와외 영역에 제공하는 것은 안구에 직접 주사하지 않고도 안내 영역으로의 침투 및 맥락막, 신경망막 및/또는 망막색소상피로의 침투를 허용할 수 있다. 개시된 원격 투여 형식에서, 보툴리눔 독소 및 관련 화합물은 장벽-향상 효과 및 황반변성과 관련된 병리학적 과정의 퇴보를 초래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보툴리눔 독소"는 순수한 보툴리눔 신경독소, 이의 단편 및/또는 신경독소 관련 단백질을 포함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보툴리눔 독소의 임의의 공지된 형태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보툴리눔 독소는 세균 클로스 트리디움 보툴리눔(Clostridium botulinum)에 의해 (예를 들어, 발효에 의해) 또는 조작된 변이체 및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재조합 기술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일부 특정 실시형태에서, 보툴리눔 독소는 재조합 또는 합성 화학 기술 (예를 들어, 재조합 펩티드, 융합 단백질 및/또는 상이한 보툴리눔 독소 혈청형의 서브유닛으로부터 제조된 하이브리드 신경독소)을 사용하여 생산된다. 보툴리눔 독소는 혈청형 A-H일 수 있고, 일부 실시형태에서, 보툴리눔 독소는 단리된 보툴리눔 신경독소 분자(예: C6760H10447N1743O2010S32의 분자식 및 150kDa의 원자 질량을 갖는 보툴리눔 독소 A형)으로서 제시된다. 제형 Xeomin®(인코부툴리눔톡신 AA)은 순수한 보툴리눔 신경독소(관련 부속 단백질이 없음)의 일례이다. 단리된 보툴리눔 신경독소 분자를 갖는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외인성 안정화제(예: 알부민)도 제형에 포함될 수 있다. 복합체화 형태(즉, 헤마글루티닌 및 관련 단백질을 갖는)의 보툴리눔 독소를 갖는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외인성 안정화제가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일부 특정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제형 및 방법에 사용되는 보툴리눔 독소는 순수한 신경독소가 없는 하나 이상의 관련 단백질을 포함한다. 순수한 신경독소가 없는 일부 예시적인 관련 단백질은 보툴리눔 독소 기반 약제에 대한 원료를 제조하는 발효 공정(예: 보툴리눔 독소 A형을 위한 홀(Hall) 균주 발효)으로부터 유래된 헤마글루티닌 및 동일한 공정의 발효로부터의 비-신경독소인 비-헤마글루티닌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세포 대 세포 부착 단백질(예를 들어, 카데린 또는 다른 관련 단백질)에 대한 특이적 활성을 갖는 헤마글루티닌 및 이의 단편은 정제 후에 적절한 담체 중에서 분리되거나 유전적으로 발현될 수 있다. 발효 공정 원형은 설명된 바 있다(예를 들어, Borodic GE, Pearce LB, Johnson E, Schantz E: Clinical and Scientific Aspects of Therapeutic Botulinum Toxin Administrations, Ophthalmology Clinics of N America, September, Vol. 4, No. 3, 1991). 일부 실시형태에서, 발효의 최종 생성물의 정제는 관련 단백질을 대한 원료를 생성할 수 있다. 단백질은 관련 단백질에 상응하는 확인된 유전자의 전부 또는 일부분으로부터 발현된 재조합 과정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제형은 보툴리눔 독소(순수한 신경독소 형태 또는 신경독소 관련 단백질이 존재), 헤마글루티닌(임의의 공지된 및 적합한 형태)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항-VEGF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보툴리눔 독소는 항-VEGF 제제와 융합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형태에서 보툴리눔 독소는 항-VEGF 제제(들)로부터 분리된 별개의 것일 수 있다(즉, 이에 융합되지 않는다).
융합 단백질은 단백질 또는 단백질 단편에 상응하는 유전 물질을 사용하여 생산되며, 여기서 하나의 단백질의 유전자는 다른 단백질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분리된 유전자에 (적합한 리가제를 통해) 연결되어 유용한 제제 또는 약물을 생성하는 각 단백질의 목적하는 생물학적 활성이 보존된 단백질 하이브리드를 생성한다. 융합된 유전 물질은 종종 연결 물질을 첨가하고 종결 코돈을 제거함으로써 공정 중 PCR 과정에 의해 증폭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보툴리눔 독소의 표적 도메인은 선택적 신경 흡수(보툴리눔 중쇄의 카복시 말단, 보툴리눔 분자의 단편 또는 부속 분자 근처에서)를 수반하는데, 이는 세포를 연결하거나 세포구조를 조절하는 구조 단백질의 발현을 형성 또는 조절하는데 관여하거나 RPE 기능 또는 간상체 추상체 기능을 통제하는 단백질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발현한다. 또한, 항-VEGF 활성을 갖는 단백질은 보툴리눔 독소 또는 이의 단편 또는 부속 단백질 또는 단편과 융합될 수 있다. 추가로, 보체 또는 다른 염증 오타코이드와 같은 염증 매개체를 표적으로 하는 단클론 항체가 보툴리늄 단편을 함유하는 융합 단백질에 첨가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Rho 및/또는 ROCK 조절제도 융합 단백질에 첨가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VEGF 수용체의 하나 이상의 단편, 전체 수용체, 신경 성장 단백질의 단편, 혈관신생을 방해하는 VEGF 아형 또는 단편 및/또는 단백질 안정성을 개선시키고 면역원성을 감소시키는 면역 글로불린 분획이 또한 첨가될 수 있다.
융합 단백질의 독특한 측면은 안구 외부의 주사로부터 특정 망막 및 맥락막 조직을 표적으로 하는 축삭형질 흐름 동역학 및 말초 신경과 같은 다양한 구조를 통한 침투를 추가로 이해하기 위해 동물 모델(및 가능하면 임상적으로)에서 수송을 연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형광 태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융합 단백질은 결합 및 말초 신경을 통한 수송에 영향을 주는 보툴리눔 독소-기반 운반체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융합 단백질은 보툴리눔 아형의 운반체 부분 둘 다, 보툴리눔 유형의 단편 및 형광성 마커를 함유할 수 있다. 생물학적 효과를 갖는 다른 첨가제가 융합 단백질에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안과 진료에 사용되는 표준 사진술(예를 들어, 플루오레세인 혈관조영술)을 사용하여 생체내에서 보툴리늄 독소-기반 약제의 약동학 효과를 연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태그는 또한 적절한 약물이 치료 대상인 망막 또는 맥락막상의 병변에 전달되었는지를 확인시켜 줄 수 있다. 치료제에 의한 표적 병변으로의 차등적 침투는 중요한 개별화된 투약, 일반적인 투약, 운반체 단백질의 유효성, 제형 및 임상 사용을 위한 융합 단백질을 정량하는데 필수적인 전임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방법은 또한 망막 및 맥락막에서의 침투 및 국소화를 위한 생체내 또는 시험관내에서의 망막 조직의 직접적인 가시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제형은 또한 알부민과 같은 안정화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부속 단백질(즉, 헤마글루티닌과 같은 복합체화 단백질)이 존재하는 실시형태에서, 부속 단백질의 농도 및/또는 활성은 천연 발생 수준으로부터 증가될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된 주제 대상 및 교시를 고려하면 수많은 구성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현재의 황반변성 치료 방법
현재, 연령관련 황반변성(AMD)에 효과적인 요법은 항-혈관 내피 성장 인자("항-VEGF") 제제 및 항체와 수용체 둘 다를 갖는 관련 융합 단백질로 치료되는 습성 형태로 제한된다. "습성 AMD"의 주요 치료법은 VEGF 저해제를 유리체강내 주사하는 것이다. 현재, 라니비주맙(Lucentis®)은 FDA 승인을 받았지만 베바시주맙(Avastin)은 오프라벨(off-label) 기준으로 사용된다. Eylea®(아플리베르셉트)는 최근에 약간 개선된 작용 지속기간으로 황반변성용으로 승인되었다. 이들 약물 각각은 안내 주사에 의해 제공된다. 가장 최신의 FDA 승인된 제제인 Eylea®는 분기당 거의 10억 달러의 상업적 판매를 달성한다.
황반변성은 단계적으로 발생하며, 전형적으로 인간의 동공을 통해 만들어진 사진을 사용한 직접적 관찰시의 망막색소상피의 가시적 변경 및 광학적 간섭 단층촬영술(OCT)에서 망막색소상피의 세포 구성의 파괴로 시작한다. 도 1a 및 도 1c는 황반변성의 다양한 단계의 도식을 제공하며, 도 1a는 정상적인 황반을 도시하고, 도 1b는 건성 황반변성을 도시하고, 도 1c는 습성 황반변성을 도시한다.
도 1d는 OCT를 사용하여 얻은 영상으로, 초기 단계의 AMD(연령관련 황반변성)에서 일어날 수 있는 망막색소상피의 연속성의 파손을 도시한다. 망막색소상피 세포의 단절 및 붕괴는 망막색소상피 시트 및 기저막(브루크막) 내의 구조적 장벽 결함 및 인간 안구 후방의 맥락막 층으로부터의 새로운 혈관의 성장을 초래할 수 있다. AMD 동안, 망막색소상피 세포는 종종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인 인접한 세포들로부터 이탈하여 신경-망막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망막색소상피의 완전성의 불연속성은 상기 질환의 발병기전에서 중요한 성분이다. 질환의 1단계에서, 위축, 이동, 자가분해 및 해체가 세포 및 관련 색소에서 발생하여, 종종, 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망막 상피 장벽의 파손과 함께 중심와 주변의 일반적 색소 밀도의 붕괴 및 불규칙한 세포 형상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의 불규칙성을 갖는 황반의 비정상적 외관을 초래한다. 망막색소상피(RPE)의 변경은 드루젠(및 드루제노이드) 가성 드루젠의 형성, 색소 응괴, 작은 반점, 난황형 영역 및 색소침착저하를 초래한다. 일부 경우에, 이러한 증상들은 더욱 파괴적인 변화(예를 들어, 지도형 위축, 맥락막 신혈관형성 및 망막하 출혈)가 일어나기 전에 나타날 수 있다
세포 대 세포 부착 및 세포 대 기저막 부착의 붕괴가 진행됨에 따라, 색소 상피 결함을 통한 맥락막모세혈관층으로부터 새로운 혈관의 성장은 더욱 극적인 혈관 및 맥락막 누출, 신경-망막 및 망막색소상피 병치의 붕괴를 초래하여, 결국에는 광수용체(간상체와 추상체)의 매우 치명적인 파괴와 함께 중앙 맹점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상실 및 인간의 읽는 능력의 상실을 야기한다.
도 2는 말기 황반변성에서 지도형 위축(GA)을 갖는 조밀한 원반형 섬유성 흉터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안구는 법적 실명 이상이다. 도 2에 도시된 원반형 섬유성 흉터는 콜라겐 및 다른 세포 요소 유래의 필라멘트성 단백질의 분극화에 의해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망막색소상피(RPE) 2는 섬유성 흉터화(상피-중간엽 변환을 수반하는 과정)로의 변질(metaplasia)과 편평 세포 위축 및 변성을 겪었다. 이것은 비가역적(말기) 형태의 황반변성이며 치료가 어렵다.
도 3은 OCT 기술을 사용하여 얻어진 영상이며 습성 황반변성의 사례에서의 신경-망막 아래의 RPE를 통한 체액 누출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누출의 유형은 일반적으로 빠른 시력 저하와 관련이 있으며 즉각적인 의학적 개입을 필요로 한다. 습성 황반변성(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음)은 Avastin®, Lucentis®, EYLEA® 및 아비시파르(Allergan)와 같은 약물을 사용하여 치료할 수 있다. 이러한 현재의 약물은 발달중인 신혈관형성 및/또는 누출의 퇴보를 유발하여 시력의 회복 또는 안정화와 함께 망막하 체액의 감소로 인한 망막의 구조적 이상의 부분적 복구를 야기하는, 혈관 내피 성장 인자(VEGF)의 다양한 이소형에 대한 상이한 항체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약물(항-VEGF 제제)로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다수회의 주사를 필요로 하며 안내 출혈, 감염(예: 눈의 위협적 내안구염), PVR(수술후 증식성 유리체망막병증), 수정체 전위, 백내장, 녹내장 및/또는 망막 파열 및 박리의 위험을 안고 있다. 이러한 주사는 또한 고통스러울 수 있다. 환자에게 더 많은 주사가 제공될수록 투여-관련 합병증의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안구 내로의 주사는 안구 주위의 연조직(예: 눈꺼풀, 안와, 안구주위 및/또는 안와 근육)보다 더 고통스러울 수 있다. 단클론 항체 및 유전적으로 조작된 단백질 분야의 전문가들은 항-VEGF 항체, VEGF 수용체 1 및 2의 분획 및 면역글로부린의 Fc 부분 간의 융합 단백질을 사용하여 항-VEGF 제제의 작용 지속기간을 연장시키고자 하였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치료 접근법의 개요
이론에 의해 구애되고자 함이 없이, 보툴리눔 독소와 같은 매우 긴 작용 기간을 갖는 제제를 사용하여 항-VEGF 요법의 지속기간 및 효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누출, 신혈관형성 또는 망막색소상피의 연속성의 구조적 불안정성의 표적화된 완화에 있어 안전성과 개선 둘 다를 증가시킬 수 있다. 안외 보툴리눔 독소는 잘 정의된 우수한 안전성 결과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안외 보툴리눔 주사는 일부 경우에 기존의 치료 표준을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안내 출혈, 감염(내안구염), 수정체 전위, 백내장 및/또는 망막 파열 및 박리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더 긴 간격으로 더 적은 횟수로 주사하는 것은 기존의 치료 접근법보다 개선된 것일 수 있다. 황반변성을 위한 현재 공지된 치료법의 많은 합병증은 제제의 의학적 부작용이 아닌 항-VEGF 안내 주사와 관련된다. 보툴리눔 독소는 현재 이러한 병태에 사용되는 공지된 제제들보다 더 오랜 기간 동안 작용한다. 또한, 감소된 주사 빈도는 환자에게 더 안전하고 보다 편리한 치료 방법을 제공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보툴리눔 독소는 VEGF 항체와 함께 사용되어 주사가능한 제제의 효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황반변성 치료는 1회 이상의 적용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보툴리눔 독소-기반 화합물은 빈번한 안내 주사의 필요성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보툴리눔 독소는 신경 성장 인자와 같이 액틴 중합을 촉진하는 다른 제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보툴리눔 독소는 일부 경우에 카데린 단백질, 카테닌 중합체, 및 세포내 및 세포외 액틴에 작용하는 Rac 1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고 이에 결합할 수 있으며 상피 또는 내피 표면을 따르는 장벽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툴리눔 독소는 또한 외안근에 마비 신경근 작용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안구 내로 수송될 수 있게 하는 독특한 특성인 축삭형질 흐름에 의해 수송될 수 있다. 보툴리눔 독소-기반 화합물의 직접적 확산은 외안근의 마비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축삭형질 진입 경로는 안내 질환에 대한 신규 전달 방법을 제공하고 개시된 화합물들 중 임의의 것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축삭형질 전달 경로가 이용되는 실시형태에서, 약제는 안구의 앞부분(유리체강내, 점적-국소 또는 전안방내 전달)이 아니라 안구의 뒷부분(후방 전달)으로 들어가는 신경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보툴리눔 독소의 단편도 항-VEGF 제제와 융합되어 축삭형질 흐름을 통한 안내 투여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현재 더 위험한 안내 주사에 의해 사용되어야 하는 이러한 제제들의 경우에도 안내 주사의 필요성을 회피할 수 있다. 보툴리눔 독소는 비만세포와 상호작용하여, 건강한 망막색소상피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신경전달물질, 신경펩티드, 영양 작용제(trophic agent), 신경 성장 인자의 유지에서 변경을 초래할 수 있다. 다른 작용 기전도 가능하며 고려된다.
RPE의 해부학 및 황반변성에 미치는 이의 영향
RPE는 RPE-RPE 세포간 접촉에서 규칙적인(동일한 면의 육각형) 입체배열을 취하는 세포 구조를 갖는 세포층판(cellular sheet)을 형성하는 자궁내 신경-유래의 구조이다. 첨단 표면은 광수용체(간상체, 추상체)와의 물리적 접촉을 최대화하여 광수용체 막의 생리적 식세포 작용을 허용하는 미세융모의 형태인 반면에, RPE의 기저부는 이의 기저막(브루크막)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해부학적 배열은 세포 표면의 연결을 최소화하는 세포의 소형화를 극대화하는 것으로 기하학적으로 입증되었다. 이러한 평가는 또한 벌집과 동일한 배열이며, 2,00년 전(36 BC)에 로마 학자 마루스 테렌티우스 바로(Marus Terentius Varro)(the Honey bee conjecture)에 의해 만들어진 명제에 종속된다. 1999년 토마 할스(Thomas Hales)(미시간 대학)에 의해 결론이 나온 기하학적 증명. 이러한 추측은 정육각형 시트가 시트 면적을 최대화하면서 연결 재료를 최소화하였다고 제안하였다. 이러한 해부학은 벌이 벌집을 지을 때 밀납을 생산하는 것을 절약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배열은 기능적 장벽이 RPE 세포에 중요하며 이 장벽 효과를 유지하는 생물학이 보툴리눔 독소를 사용하여 황반 질환을 치료하는 데 있어 중요한 표적임을 나타낸다.
도 4a 내지 4c는 RPE의 육각형 구조를 도시한다. 특히, 도 4a는 건강한 RPE를 도시하고, 도 4b는 서로 맞물린 육각형 구조를 도시한다. RPE에서 이 구조는 세포 대 세포 부착을 통제하는 주요 세포내 단백질 중 하나이며 육각형에 대한 막하 지지체를 형성하는 구조 단백질인 액틴 생산을 위한 경제성을 제공한다. 또한, RPE 표면의 미세융모는 세포내 액틴의 돌출 및 유지뿐만 아니라 기저막의 RPE 부착에 의해 구조적으로 지지된다. 액틴은 또한 RPE 시트의 그라우트-접착제로서 기능하는 카데린과 같은 세포 대 세포 단백질에 부착되어 이의 기능적 장벽 효과를 지지한다. 액틴 형성의 교란, 변경된 형태의 형성 및 액틴 및 관련 단백질의 변경된 형태 및 배열의 형성 및 미세융모의 퇴보는 1단계 연령관련 황반변성 및 관련 질환의 조기 변화로서 설명되었다. 도 4c는 황반변성을 앓는 RPE를 도시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환에 걸린 세포의 액틴 및 미세융모는 기형적이며, 더 이상 정육각형으로서 배열되지 않는다.
이론에 의해 구애되고자 함이 없이, 보툴리눔 독소 A형은 신경 조직상의 액틴 자극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즉, 보툴리눔 독소는 신경 유래된 RPE에 효과를 비칠 수 있어, 연령관련 황반변성과 같은 특정 질환 상태에서 RPE 세포를 변경시키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세포 대 세포 장벽 기능, 미세융모 표면 영역 및 아마도 기타 연관 구조 단백질의 향상이 RPE 구조 및 기능을 유지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보툴리눔 독소는 황반변성 및 관련된 망막 질환의 다양한 단계의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다. 액틴에 대한 게놈 발현은 RPE 세포를 분화된 상태로 유지시키고, 부착을 허용하며, 주변 세포 및 이의 기저막에의 부착으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게놈 효과는 또한 RPE 세포가 발현된 다른 부착 단백질(및 기능적으로 관련된 단백질)을 계속 생산하게 유지시킨다고 생각할 수 있다. 운동성, 세포 사멸, 세포 위축 또는 섬유세포로의 변질을 통제하는 RPE 세포의 단백질의 mRNA 발현을 억제하는 것이 또한 가능할 수 있으며, 황반변성의 다양한 단계를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부분적으로는 다른 기전에 의해 작동할 수 있지만, 구조적 변화는 신경발생학상 중립적으로(neutrally) 유래된 세포층인 RPE에 중요하다. RPE의 신경 요소는 치료 반응을 허용 및/또는 촉진하는 보툴리눔 신경독소(들)와의 이러한 유용한 상호작용을 허용할 수 있다.
치료 화합물 및 관련 방법의 개요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용 제형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료용 제형은 보툴리눔 독소(예를 들어, 보툴리눔 독소 A형 내지 G형, 구체적으로 C2, C3 및/또는 A의 다양한 아형(예: A1 내지 A5))를 포함한다. 개시된 치료용 제형에 포함된 보툴리눔 독소는 LD50, SNAP-25의 효소 절단, 사멸까지의 시간 분석법, 신경 세포 기반 분석법 또는 적합한 투여량을 생성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측정하는 임의의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투여량을 통한 생물학적 활성의 표준화로 제조할 수 있다. 효력을 향상시키는 보툴리눔 독소의 단편 또는 천연 구조에 첨가된 임의의 융합 단백질도 개시된 제형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개시된 제형은 또한 침투 보조제 펩티드 또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막을 통한 확산 또는 효력 지속기간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타 분자, 예컨대 폴리-라이신 중합체 또는 알부민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보조제는 다가양이온성 또는 다가이온성 펩티드, 히알루로니다제 및/또는 국소 마취제의 유도체(예: 리도카인, 마르카인)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주사는 망막 조직, 섬모체 또는 수정체를 피하도록 평면부(pars plana)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주사된 제형은 주사 부위로부터 유리체 내로 유동할 수 있다. 이어서, 제형은 신경-망막으로 확산되어 계속해서 망막색소상피로 확산될 수 있다. 이어서, 독소는 망막색소상피, 신생 혈관막에 의해 흡수되거나 브루크막, 혈액 망막 장벽 및/또는 맥락막 내의 결함을 통해 확산될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수준의 활성이 일부 이러한 방법에서 이용될 수 있다. 망막색소상피는 신경 망막의 간상체 및 추상체와 상호작용하는 막 소포 세포 흡수에 있어 매우 활성적이며, 일부 경우에 분자 보툴리눔 독소를 세포질 내로 쉽게 혼입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보툴리눔 독소는 축삭형질 흐름을 통해 결국 내부 안구를 침투하는 상류 신경 구조(예를 들어, 말초 신경계)에 제공될 수 있다.
개시된 제형이 주사되는 경우, 다음 결과들 중 하나 이상이 달성될 수 있다: (1) 신경-망막 또는 망막색소상피 아래에서 체액 배출로 인한 새로운 혈관 형성으로부터의 누출이 감소될 수 있다; (2) 새로운 혈관 성장의 퇴보가 발생할 수 있다; (3) 망막색소상피 변성이 퇴보되어 망막색소상피 활성화의 감소를 포함하는 세포내 형태학적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4) 망막색소상피의 세포 요소 극성이 보존될 수 있으며, 미세융모의 밀도, 길이 및 발현이 향상됨으로써 이의 장벽 기능 및 대사 활성이 향상될 수 있다; (5) 망막색소상피 내의 밀착연접의 향상 및 이의 기저막에의 색소 상피 부착의 향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주사 결과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1) 시력 및/또는 시력 측정의 검증 방법; (2) 대비 민감도; (3) 안저촬영술; (4) 플루오레세인 혈관조영술(OCT 혈관조영술을 포함); (5) OCT(예를 들어, 임의의 물리적 유형의 망막색소상피 아래 및 이를 통한 망막하 체액, 신혈관형성의 검사); (6) RPE의 변화(드루젠/드루제노이드 높이 및 용적, 밀도, 기저막으로부터의 거리, 이동, 광수용체의 상실, IS-OS 및 외부 핵 선의 상실, 망막내 및 망막하 체액 축적, 가성 드루젠 밀도, 색소 군집 및 눈물, 맥락막 두께, 신경-망막 두께, RPE 위축, 맥락막 신혈관형성의 형성 및 누출 패턴, 지도형 위축의 정도, 출혈, 및 OCT에 의해 정의되는 망막의 선의 형상 및 규칙성(예를 들어, ONL, IS-OS, RPE 정렬); (7) 암슬러 격자(Amsler grid); (8) RPE 리포퓨젠(lipofusen)으로부터의 자동 형광; (9) 초점 ERG(망막 전위도); (10) OCT를 이용한 망막색소상피의 극성, 두께 및 모양 변화; (11) 시야; (12) 객관적 측정에 대해 검증된 환자 만족도를 평가하는 임의의 주관적인 기구; 및 (13) 대조군 및 반복된 주사를 사용하는 통상적인 임상 연구 방법의 사용. 일부 경우에, 환자와의 연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반복 주사의 필요성에 대한 평가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및 다른 실시형태에서, 안저촬영술 및 OCT가 치료 효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세포내 세포골격에 미치는 보툴리눔 독소의 영향
보툴리눔 독소는 인간 망막 질환의 변성 및 삼출성 형태의 발병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내피 및 RPE에 중요한 생물학적 효과를 미칠 수 있다. RPE는 연령관련 황반변성의 초기 단계 및 후기 단계 동안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연구되었다. 연구는 세포 형상의 불규칙성, 극성의 상실, 세포 대 세포 부착의 파괴, 막 불안정성으로 인한 누출된 단백질의 축적, 및 간상 및 추상 세포 구조를 갖는 RPE 세포의 첨단-첨단 배향의 교란과 함께 세포막의 붕괴를 유발하는 세포 기저막(기저) 주변의 세포내 세포골격의 응축을 밝혀냈다. REP의 왜곡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1) RPE가 황반 간상체 및 추상체와의 이의 지지적인 기능적 및 대사적 상호작용을 유지하지 못하고 맥락막과 신경-망막 사이의 단단한 장벽을 유지하지 못하여, 신경-망막으로부터 맥락막으로 반응성 거대분자가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노출은 맥락막 내피 세포, 신경, 비만세포로부터 혈관 성장 인자뿐만 아니라, 매개체의 방출을 자극하여 신경-망막 아래의 체액 축적을 유도한다(RPE 및 신경감각 박리, "습성" 황반변성과 "건성" 황반변성의 둘 다의 특징); (2) 내피 혈관계와 관련된 이상 세포골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생혈관 내피 밀착연접으로부터 누출; (3) 맥락막을 통해 순환하는 세포 요소를 함유한 혈액으로부터의 제한된 반응으로 맥락막 내의 면역세포의 반응성을 유발하는, 혈액 망막 장벽을 통한 신경-망막의 항원 구조의 노출. 면역 반응은 RPE 구조를 추가로 손상시키는 보체 활성화를 포함할 수 있다; (4) 간상체와 추상체 및 RPE의 독성을 유도하는 신경-망막으로의 영양분 전달 속도의 중단; (5) 광수용체 분해 생성물의 제거에 의해 간상체 및 추상체 기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RPE 미세융모의 손실; (6) 간상체 및 추상체의 파괴; 및 (7) RPE의 지도형 위축 상태의 형성.
도 5a 내지 도 5f는 현미경 기술을 이용하여 얻어진 RPE의 영상을 도시한다. 특히, 도 5a 내지 도 5f는 막의 파괴, 막하 응축, 구조의 육각형 모양의 변경, RPE 자가분해, 액틴으로부터의 스트레스 섬유 형성(도 5a에 도시됨), 장벽 기능 파괴 및 장벽 시트로부터 RPE의 이동을 도시한다. 신경-망막의 구조 및 기능 관계가 혈액 요소로부터의 단리 중 하나이며 노출의 대부분이 일시적인 관류 없이 히알루로니데이트를 함유한 챔버인 유리체에의 노출이라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망막 혈관계의 결함은 망막 병리상태를 생성하는데 있어 상당히 일관성이 있다. 망막과 맥락막 혈관의 혈액 망막 장벽은 신경-망막의 건강에 중요하다. 맥락막은 인체에서 가장 조밀하게 관류되는 조직 중 하나이며, RPE와 광수용체는 맥락막과의 밀접한 구조적 관계에 매우 대사적으로 의존한다. 망막 혈관과 맥락막 혈관 둘 다를 갖는 혈액 구획의 분리는 망막 건강과 광수용체의 기능적 완전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더욱이, 특정의 항원 자극은 장벽 붕괴로 노출되며, 이는 보체 활성화, 신경원성 반응성, 조절성 오타코이드의 변화, 염증과 무관한 세포 기능의 변화, 신경-망막 내의 체액 축적, 맥락막과 망막 혈관 내피의 장벽 무능 및 RPE 광수용체 기능의 기능장애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수준의 면역반응과 반응하도록 개체를 유전적으로 촉발시킨다.
세포골격 구조에 의한 내피 및 RPE의 세포골격의 파괴는 혈액 함유 체액과 막 변경 매개체의 누출 및 안구의 맥락막 기능과 관련하여 황반변성의 발병기전에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RPE 및 내피 막의 왜곡과 연관된 황반변성의 제1 단계로서 축적되는 미세소관 단백질인 액틴의 병리학적 배열의 생성 증가는 다음을 유발할 수 있다: (1) 망막하 체액의 독성 누출(습성 황반변성); (2) 세포 대 세포 부착 및 세포 대 기저막 부착의 상실, 장벽 기능의 붕괴(드루젠 및 드루제노이드 형성, RPE 이동); (3) 간상체와 추상체의 구조와 기능을 지원하는 역할에 중요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RPE 미세융모의 손실 및 철회를 초래할 수 있는 RPE의 극성 배향의 상실(진행성 건성 변성); (4) 광수용체의 독성(자가 형광 증가)을 피할 수 있기에 충분한 속도에서 광수용체 분해 생성물(리포푸신)을 제거하는 RPE 능력의 상실(자가 형광 증가); (5) 궁극적으로 RPE의 백색 "섬유낭포" 세포 유형(이는 안저촬영술에서 "원반형 상처"(도 2를 참조)로서 나타난다)으로의 변질로 반영되는 RPE 세포내 섬유 요소의 병리학적 응축 및 지도형 RPE 위축과 신경감각 망막 위축의 형성; (6) 원반형 상처 및 지도형 위축은 황반변성으로 인해 실명한 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며, 이는 근본적으로 RPE를 변경시키고 RPE/광수용체 사멸을 유발하는, 세포내 병적 액틴 및 관련 섬유 축적의 축적 배향의 변경에 의해 황반이 파괴되도록 하는 변성 및 비정상 과정의 성질의 증거를 반영한다. 그 다음의 결과는 망막색소상피에서 섬유세포, 이동된 세포 및/또는 위축 세포로의 중간엽 유형 분화이다. 그 다음의 사건은 재구성된 세포에의 REP 부착, 기저막 부착, 색소 상피 운동 및 신경-망막에 의한 mRNA 발현의 실질적인 변화를 수반한다. 이러한 과정은 황반변성의 초기 변화를 나타내며, RPE 및 맥락막으로의 혈관 성장과의 혈관 반응은 더 후기 단계를 나타낸다(도 1, 황반변성의 단계들). 장벽 기능 파괴 후, 보체 활성화, 비만세포 활성화, 신경펩티드 방출을 초래하는 면역 과정이 보장될 수 있으며, 이는 파괴된 장벽 및 체액 축적을 더욱 악화시킨다; 및/또는 (7) 변경된 RPE 형태, 망막 층 조직 기능장애 및 광수용체의 손실을 초래하는 게놈 변화.
보툴리눔 독소가 신경 세포에 존재하는 특수화된 수용체를 통해 또는 생체 내 또는 약물 제형 중의 보조 단백질을 이용한 촉진에 의해 세포 내로 진입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일부 경우에, 필수적인 농도는 이러한 분자가 세포질 생리학 또는 게놈 반응의 막대한 변화를 일으키는 능력 및 정교하게 낮은 분자 농도로 인해 본질적으로 낮을 수 있다.
보툴리눔 및 세포골격 상호작용
개시된 제형 및 방법은, 일부 실시형태에서, 황반변성 및 기타 상관적인 변성의 치료를 위한 보툴리눔 독소 제형의 주사 또는 국소 적용을 포함한다. 보툴리눔 독소 A는 세포골격 구조에 중요한 효과를 미칠 수 있다. C3 버전은 세포생물학적 실험 관찰에서 Rho 액틴 중합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주목되었다. C2 및 C3 독소는 신경근 약화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지만, 이들 제제는 A형 아형인 B, C1, D, E, F 및 G와는 다른 기전에 의해 세포 사멸을 유발할 수 있는 세포독소이다. 또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동물 근육 세포에 A형 보툴리눔을 주사하는 것은 신경 절단(신경성 위축)에 의해 생성되는 효과에 비해 지나친 직경 형태계측과 연관된 세포의 수축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신속한 속도 관찰(이전에 보고되지 않았음)은 A 독소가 근신경 접합부에서 차단된 아세틸콜린 방출과 연관된 신경근 차단과는 무관하게 근육 세포의 세포골격에 근본적인 직접적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효과는 그 효과가 중대한 기능장애인 세포 사멸을 초래하는 변성 과정을 간섭할 수 있고 중요한 질환 악화 과정을 차단하여 세포 기능을 보존할 수 있을 정도까지 세포골격 액틴 및 관련 세포내 미세소관의 해리 및 재구성을 유발할 수 있다. 카스파제 및 아폽토시스성 세포질내 효소는 일부 경우에 억제될 수 있다. 그 효과는 RPE와 같은 필수적인 세포 구조의 극성을 유지시키고, 표적 세포 군과 기능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세포 구조 극성 및 연관 세포를 보존하면서 병리학적인 세포골격 단백질의 축적을 지연 또는 정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내피 세포의 건강뿐만 아니라, 형상 또는 중요한 세포 입체배열을 망가뜨려 임계 접합부 및 관련 장벽, 대사산물의 이동, 신경-망막 항원 노출 또는 세포 대 세포 관계를 파괴하는 세포골격 단백질의 세포내 생성의 증가에 의한 변성 과정을 겪는 임의의 세포의 완전성이 보존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세포 부착 단백질의 발현의 변경, 세포 변질, 아폽토시스, 내피 중간엽 변환, 상피 시트의 느슨해짐 및 기저막에 대한 부착성을 통제하는 필수적인 표면과 내부 수용체와의 상호작용, 염증성 사이토킨(예컨대, VEGF) 및 관련 단백질에 대한 내피 및 상피의 장벽 기능을 변경하도록 하는 카데린 이소형 및 관련 단백질과 같은 부착 단백질의 다양한 이소형의 양의 변경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황반변성에서 중요한 장벽 기능은 누출을 통제하는 내피, RPE 장벽을 통제하는 내피 세포 대 세포 부착, 신생혈관 내피를 따르는 맥락막 신생혈관 장벽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보툴리눔 독소는 비만세포 기능과 같이 염증성 오타코이드를 억제할 수 있다.
RPE의 경우, RPE 수준에서의 밀착연접은 비정상적인 세포골격 단백질 축적으로 인해 무능력해져서 밀착연접을 따른 장벽 균열이 유발될 수 있으며, 그 후에는 신경-망막이 맥락막에 항원 노출되고, 다양한 면역학적 및 염증성 단백질이 빠져나갈 가능성이 있으며, 맥락막 체액이 생성되고, 후속적으로 면역학적 반응에 근거하여 광수용체 사멸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맥락막에 존재하는 혈소판과 비만세포 둘 다에 현저하게 존재하는 히스타민 방출을 수반한다. 혈관작용 장 펩티드 및 CGRP도 또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비만세포는 맥락막에 존재하는 자율 신경과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보툴리눔 조절 또는 차단 효과에 대한 또 다른 표적이다. 장벽 기능은 절대적인 것으로 보이고 망막과 맥락막의 조직 구성 및 이러한 기능의 붕괴는 황반변성에서 발생하는 상류 교란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말초 신경 또는 정맥을 통한 보툴리눔 독소의 (중추신경계를 향한) 역방향 이동 및 (중추신경계로부터 멀어지는) 전방향 이동은 개시된 조성물 및 방법의 사용 동안에 발생한다는 것이 주목된다. 게다가, 개시된 제형의 안구 내로의 직접 침투는 공막 및 각막의 자연 장벽에 맞닥뜨릴 수 있다. 본 출원의 출원 전에는, 보툴리눔 독소가 안구 질환에 대해 옹호되지 않았다. 이것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전에는 신경독소가 안구에 들어가는 것을 안구 장벽이 차단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RPE와 광수용체의 상호작용
간상체 및 추상체상의 RPE의 식세포 상호작용은 광수용체 건강에 중요하다. 이러한 상호작용의 손상은 광수용체 손상 및 최종적으로 시력 상실로 인한 사망을 초래할 것이다. 아세포 수준에서 이러한 관계를 유도하는 것은 망막색소상피 내의 미세소관으로, 이는 활성 액틴 및 관련 소관 중합을 이용하여 빠른 세포 속도에서 식세포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여 광수용체 유지를 가능한다. 세포골격 조립 유지 및 해체의 결함은 광수용체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함은 RPE 세포의 극성의 혼란뿐만 아니라, 세포 형상 액틴 및 밀착연접 완전성 및 기저막(부르크막)상의 세포 관계의 변경에 반영될 수 있다. 초기 황반변성 변화는 RPE 형태의 변경 및 미세섬유 기능장애(드루젠체(Drusen body) 축적)를 나타내는 아세포 섬유의 조밀한 축적의 축적과 연관된다. 자가형광은 RPE 기능장애의 징후이며, 이는 이화작용 결함으로 인한 로돕신 축적 및 망막 카메라상의 청색광 필터로 보여지는 리포푸신 색소의 축적이 있는 손상된 RPE를 나타낸다. 리포푸신은 기능적 RPE 기능장애를 암시하는 것이며, 습성 황반변성 및 지도형 위축을 갖는 진행성 건성 황반변성 둘 다에서 종종 발생한다.
보툴리눔 독소 및 미세소관 교란 및 미세섬유 축적
보툴리눔 독소는 아세포 액틴과 미세섬유(microfiber)의 축적 형성을 변경시켜 중요한 세포골격 성분의 병적 축적 중합을 억제함으로써 다음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능력을 갖는다:
1. 밀착연접에 의해 유지되는 신경-망막과 간상체 및 추상체의 완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RPE 내의 장벽을 유지시킨다.
2. 지속적인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분극화 및 세포골격을 유지시킨다.
3. 내피의 완전성을 유지시키고 맥락막으로부터의 신혈관형성을 억제한다.
4. 비만세포 활성을 차단하거나 조절하고, 광수용체를 손상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는 맥락막 내의 신경펩티드 또는 기타 매개체의 방출을 조절한다.
5. 미세융모 확대 및 향상.
6. RPE의 기저막 부착 및 RPE의 세포 대 세포 부착 내에서 장벽 기능.
7. 맥락막으로부터의 삼출성 혈관 누출을 차단한다.
보툴리눔은 망막색소상피의 미세융모와 상호작용한다
망막색소상피는 신경-망막의 간상체와 추상체의 생리적 건강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구조인 미세융모를 함유한다. 신경-망막 구조는 영상과 빛을 시신경 투영을 통해 뇌로 전송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중추신경계 내에서 시각적 해독을 가능하게한다. 연령의 효과는 미세융모의 정도, 크기 및 완전성을 감소시켜 간상체와 추상체 사이의 기능장애 미세해부학을 유발하여 궁극적으로 황반변성의 초기 단계를 유도하는 것이다. 보툴리눔 독소의 효과는 이러한 악화의 변화, 향상된 액틴 및 관련 단백질 중합의 발현을 유발하고, 망막색소상피의 정점의 필수 구조를 회생 및 역전시켜 맥락막과 신경-망막상의 망막색소상피의 유지 역할의 변성 및 악화를 중단시키는 것이다.
보툴리눔 독소 종은 Rho 키나제와 ROCK 세포내 시스템에 이러한 변화 작용을 일으켜, 견고한 미세융모를 유발하고 황반변성에 관여하는 RPE 세포의 위축성 변화 및 아폽토시스를 역전시키거나 방해하는 필수 단백질 발현 쪽으로 mRNA 발현을 변화시킨다. 유전자 칩상의 강력한 cDNA 단편을 사용한 평가와 함께 신경 신경절을 이용한 게놈 연구에서, 보툴리눔 독소는 액틴 발현에 중요한 단백질, 세포 대 세포 부착 분자, 및 세포 구조의 향상을 통제하는 동화작용성 단백질의 생산을 조절하는 mRNA 발현을 유도하였다. 보툴리눔 독소를 세포 배양물에 주입한 후 광수용체 단백질은 발현이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작용 지속기간
개시된 제형 및 방법은 기존의 요법에 비해 작용 지속기간을 향상시키는 생물학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가능한 효과는 반복된 주사시 4주 내지 50주 및 가능하게는 더 오래 지속될 수 있다. 증가된 지속기간은 안내 주사가 사용될 때 약물 투여에 필요한 침습적 절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보툴리눔 독소는 표적 조직에 따라 임상 실습에서 다양한 지속기간을 갖는다. 자율 신경 효과는 심하게 수초화된 운동 신경에 미치는 효과보다 더 오래 지속될 수 있다. 맥락막 내의 신경의 대부분은 최소의 수초화를 가지며, 많은 것들은 안와 외부의 신경절 구조로부터의 자율 신경을 나타내며 본원에 설명된 보툴리눔 제형으로 주사할 수 있다.
안내 주사의 필요성은 많은 합병증과 연관되기 때문에, 항-VEGF 제제(FDA 승인되었고 개발 중에 있음)의 작용 지속기간은 보다 긴 작용 지속기간을 목표로 하였다. 더 적은 주사 또는 기간은 환자에게 더 편하고 투여 위험을 감소시킨다. 토끼에서 아플리베르셉트 EYLEA®의 반감기는 약 7일이다. 반대로, 0.5mg의 라니비주맙(Lucentis®)은 약 2.88일이며, 1.25.mg의 베바시주맙(Avastin®)은 4.3일이다.
보툴리눔 독소 기반 약제가 본질적으로 긴 작용 지속기간을 갖는다는 것을 고려하면, 필요한 주사 횟수는 공지된 항-VEGF 약제와 비교하여 더 적을 수 있다. 신경근 효과의 경우, 작용 지속기간은 일반적으로 10주 내지 14주이다. 일부 제제를 이용할 때, 치료들 사이에 20주 정도 긴 지속기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자율 효과의 경우, 최대 24주 동안의 지속기간이 기록되었다. 보툴리눔 기술은 현재 사용되고 있고 항-VEGF 약제로 예상되는 지속기간보다 우수한 지속기간을 제공하므로, 환자 치료의 편의성은 현저한 위험 감소와 부가적 효과의 가능성과 함께 분명한 이점이 된다. 또한, 항-VEGF 제제는 혈관폐색성 질환(예: 뇌졸중 및 동맥 폐색)과 연관되었다. 항-VEGF 제제로 인한 합병증에도 불구하고, 보툴리눔 독소에 대한 평가는 통상적인 투약 수준(FDA-승인된 투약에 의해 정의됨)에서 어떠한 심각한 합병증도 보고하지 않았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보툴리눔 독소 기반 약제는 항-VEGF 제제와 유사하게 작용할 수 있고, 일부 실시형태에서 항-VEGF 제제의 효력 및 지속 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실시예 1을 참조).
투여량
개시된 치료용 제형은 일부 실시형태에서 보툴리눔 독소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적합한 형태의 보톨리눔 독소라도 개시된 제형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개시된 제형은 보툴리눔 독소 A1 내지 A5, B, C1 내지 C3, D, E, F, G 및 H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액 1cc당 LD50 유닛이 더 높은 발효 산출은 복합체화 단백질의 존재 또는 부재 하의 보툴리눔 독소 공급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개시된 제형은 적절한 용량의 보툴리눔 독소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제형은 다음 투여량 중 하나 이상에 따라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0.01 내지 0.5 LD 50 유닛, 안내, 안외, 안와주위, 결막하 안구주위 주사, 안구바깥(epibulbar) 주사를 통해 또는 국소 투여됨,
0.5 내지 5 LD 50 유닛, 안내, 안외, 안와주위, 결막하 안구주위 주사, 안구바깥 주사를 통해 또는 국소 투여됨.
5 내지 10 LD 50 유닛, 안내, 안외, 안와주위, 결막하 안구주위 주사, 안구바깥 주사를 통해 또는 국소 투여됨.
10 내지 20 LD 50 유닛, 안내, 안외, 안와주위, 결막하 안구주위 주사, 안구바깥 주사를 통해 또는 국소 투여됨.
20 내지 40 LD 50 유닛, 안내, 안외, 안와주위, 결막하 안구주위 주사, 안구바깥 주사를 통해 또는 국소 투여됨.
40 내지 80 LD 50 유닛, 안내, 안외, 안와주위, 결막하 안구주위 주사, 안구바깥 주사를 통해 또는 국소 투여됨.
80 내지 160 LD 50 유닛, 안내, 안외, 안와주위, 결막하 안구주위 주사, 안구바깥 주사를 통해 또는 국소 투여됨.
160 내지 320 LD 50 유닛, 안내, 안외, 안와주위, 결막하 안구주위 주사, 안구바깥 주사를 통해 또는 국소 투여됨.
320 내지 640 LD 50 유닛, 안내, 안외, 안와주위, 결막하 안구주위 주사, 안구바깥 주사를 통해 또는 국소 투여됨.
640 내지 1280 LD 50 유닛, 안내, 안외, 결막하 안구주위 주사 안와주위, 결막하 안구주위 주사, 안구바깥 주사를 통해 또는 국소 투여됨.
0.5 내지 25,000 LD 50 유닛, 안내, 안외, 결막하 안구주위 주사 안와주위, 결막하 안구주위 주사, 안구바깥 주사를 통해 또는 국소 투여됨.
0.01 내지 3,000 LD 50 유닛, 안내, 안외, 결막하 안구주위 주사 안와주위, 결막하 안구주위 주사, 안구바깥 주사를 통해 또는 국소 투여됨.
1280 내지 6,000 LD 50 유닛, 안내, 결막하 안구주위 주사 안와주위, 결막하 안구주위 주사, 안구바깥 주사를 통해 또는 국소 투여됨.
일부 예시 방법에서, 보툴리눔 독소의 통상적인 투여량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투여량"이란 용어는 두부 또는 경부의 증상에 대한 임의의 FDA 승인된 보툴리눔 독소의 투여량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300 LD 50 유닛 또는 그 미만의 보툴리눔 독소가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LD 50 역가가 낮은 보툴리눔 독소의 경우, 환산 평가 및 기존 용량으로의 환산 대상 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 용량은 상표 BOTOX®를 사용하여 시판되는 보툴리눔 독소의 통상적인 형태를 위해 제공된다.
국소 및 결막하 투여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임상 효능은 보툴리눔 독소 기반 약제의 국소 적용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투여량은 복합체를 갖는 보툴리눔 독소를 사용할 때 1 내지 2500유닛의 범위일 수 있다. 원치않는 독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보툴리눔 독소 단백질 분자를 신경-근육 효과를 감소 또는 제거하도록 변형시킬 수 있고, 이로써 피부, 결막과 같은 점막 표면 또는 부비동 또는 구강의 점막 표면에 적용될 때 마비 또는 약화 부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추가로, 보툴리눔 독소 복합체(예: BOTOX®)로서 표현되는 보툴리눔 독소 유래의 헤마글루티닌 단백질을 제거함으로써 보조 단백질을 제거하여 위장관 흡수로부터의 독성을 제한할 수 있다. 투여량은 스위스 웹스터(Swiss Webster) 마우스에서 LD 50에 의해 결정되므로, 일반적으로 유닛이 인정되지만, 대체 분석법 또는 정량적 방법으로부터 도출된 것과 같은 대체 형태로 환산될 수 있다.
중요하게도, 리도카인, 알부민, 폴리라이신과 같은 침투제 또는 콘택트 렌즈, 안내 임플란트, 결막하 임플란트와 같은 기계적 장치를 사용하여 안내 투여에 적합한 전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눈꺼풀 또는 안구결막을 통한 경결막(transconjunctival) 투여가 사용될 수 있다. 침투를 향상시키기 위해 안구 표면의 건조 기술도 사용될 수 있다. 안구 표면의 침투를 향상시키는 고글을 사용하여 고압 산소 챔버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양압 대기 또는 고압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콘택트 렌즈 유무에 관계없이 각막과 결막 상피의 미세 천공에 이은 보툴리눔 독소 기반 단백질은 각막 및 안구 침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내부 안구의 보다 효과적인 흡수를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농도를 황반변성의 특정 단계에 기반하여 그리고 임상적으로 특정 병리학적 소견 또는 SD-OCT에 기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방내(안방수) 주사는 유리체강내 주사보다 안전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안내 내용물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적으므로 안내 보툴리눔 농도를 증가시키는 우수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건성 비삼출성 및 습성 삼출성 단계의 황반변성에 대해 시험 중인 약물
표 1과 2는 건성 황반변성 치료에 대해 시험 중에 있거나 시험이 고려되는 다양한 제제들을 요약한 것이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건성 황반변성을 억제하거나 중단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명확한 제제가 없다는 점을 주목한다. 또한, 고려된 어떤 치료제도 건성 또는 습성 변성의 치료를 위한 보툴리눔 독소 기반 약제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주목한다. 작용 기전도 표 1 및 2에 열거되어 있다. 항-VEFF, 맥락막 혈류 향상제, 항-아밀로이드 항체, 시각회로 조절제, 항산화제, 아폽토시스 조절제, 다수의 항-보체 지시된 항체, 신경보호제, 신경 성장 인자,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저해제, 줄기세포 및 소염제가 시험되고 있다. 그러나, 어떤 보고서나 연구도 보툴리눔 독소-기반 약제의 실행에 대한 근거 또는 감소를 고려하거나 제공하지 않았다. 가장 최근에, 람팔리자우맙(Genetech, Inc.)은 2017년 미국 뉴올리언스 안과학회에서 실패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최근에, 서방출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복합체화된 안내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것을 수반하는 연구가 습성 황반변성 치료를 위한 항-VEGF 제제(예: EYLEA®)에 추가되었다. 또한, 안지오포이에틴과 같은 신규 제제가 유리체강내 약물의 효력 및 지속기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항-VEGF 제제와 함께 시험되고 있다.
2017 망막 회의에서, 안구 전달 기전의 검토가 수행되었는데, 이는 AMD를 포함한 맥락막 또는 망막 질환의 치료를 위해 신경경유(trans neural) 전달 기전을 인용하지 못하였다. 격차는 이러한 신규 성분에 대한 신빙성을 본원에서 설명되는 제형 및 치료 방법(예를 들어, RPE 및 신경망막에 대한 유리한 효과를 갖는, 보툴리눔 또는 이의 성분의 맥락막 및 맥락막 신경절로의 신경경유 전달)에 부여한다.
인간 황반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력학적 전달 시스템
본원에서는 독특한 제제뿐만 아니라 인간 황반 질환의 치료를 위한 독특한 전달 시스템이 설명된다. 보툴리눔 독소는 주사 부위로부터 확산되어 용량과 직접적으로 및 용적측정으로 관련되는 국소적 생물학적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을 갖는다. 구조에 대한 생물학적 효과가 자율 신경, 감각 신경 및 운동 신경을 통한 역방향 및 전방향 축삭형질 흐름에 의해 추가로 달성되어, 액틴, 다양한 카데린과 같은 세포 부착을 통제하는 단백질의 유전적 상향조절에 의해 변화를 유발하고 막 장벽 기능, 기저막에의 세포 부착 및 상피 장벽의 기능과 관련된 상피 세포질의 극성의 분화를 통제하는 구조 단백질을 상향조절하는 직접적 작용을 가질 수 있다. 독특한 특징은,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리체강내 주사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황반변성 치료에서 이 단계를 제거하는 것은 유리체 출혈, 내안구염, 망막 박리, 외상성 백내장 형성, 녹내장, 망막 파열 및 안구에서 직접 주사와 연관된 통증의 위험을 감소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합병증은 치명적일 수 있고 실명을 초래할 수 있다.
안구 주위의 연조직 주사로 인한 약리학적 효과는 안구에 직접 주사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보다 심각한, 잠재적인 실명, 합병증과는 연관이 없다. 이러한 주사 위치는 또한 덜 고통스럽다. 개시된 제형의 투여량은 1 내지 3000유닛,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0유닛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0유닛으로 다양할 수 있다(BOTOX®). 덜 강력한 제형(Dysport, Xeomen, Myobloc 또는 기타 제제)를 사용하면 더 높은 투여량을 사용할 수 있다. 주사는 일반적으로 안구로 들어가는 운동 신경 및 감각 신경, 특히 삼차 신경, 동안 신경 및 가장 특히, 측두근 아래의 익구개 신경절과 같은 자율 신경을 수반하는 영역에 걸쳐 제공된다. 이마, 눈꺼풀 및 바로 주변의 해부학적 부위의 안구주위 조직이 안구로의 부수적인 흐름과 함께 안와로 직접 흘러 나가기 때문에 정맥계를 통한 수송이 또한 가능하다. 자율 신경은 또한 인간 안구(동공 섬유)로 공급되며, 측부 자율 신경을 통한 수송은 황반 위에 있는 후방 안구 극을 관통하는 신경으로부터 생물학적 안내 효과 전달을 위한 도관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안와 해부도를 참조). 이러한 도관은, 보툴리눔 또는 이의 단편을, 가능하게는 농축된 형태로 맥락막 및 망막색소상피로 저 농도 전달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감각 신경은 이러한 표적 망막색소상피로의 도관을 발전시킬 수 있다. 통과세포외배출은 혈관 내피 성장 인자, 혈관 침투성, 망막색소상피의 장벽 완전성에 대한 혈관 반응성 및 RPE 장벽의 완전성 손실로 인해 방출된 면역학적 사이토카인으로 인한 누출 및 새로운 혈관 성장의 가능성 둘 다에 영향을 미치는 망막색소상피 및 신경-망막 구조에 의한 보툴리눔 물질의 침투로 가능하다. 이러한 과정은, 보툴리눔 독소가, 가능하게는 RPE 액틴 세포골격, 세포 대 세포 부착 분자, 세포 대 기저막 부착 분자 및 내피 부착 분자를 유지시키는데 중요한 Rho 키나제, ROCK 및 기타 단백질에 대한 조절 작용을 통해 세포 대 세포 부착을 향상시켜 생물학적 RPE 장벽 기능을 보다 견고하고 비활성으로 만들게 할 뿐만 아니라 로돕신 단백질을 프로세싱, 이화 및 제거하는 것과 같은 생리학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보툴리눔 독소의 효과는 혈관 누출을 방지하고/하거나 혈관 내피 성장을 감소시키고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또한 염증 및 당뇨병으로 인한 황반부종에서 발생하는 망막-혈관 망막 장벽을 수반할 수 있다. 또한, 자율 신경은 황반 아래의 맥락막 자율 신경절 세포와 통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출원의 출원 전에, RPE-망막에 대한 보툴리눔 독소의 안내 효과는 공지되지 않았다. 또한, 눈꺼풀, 안면, 이마의 피부, 안면 뼈, 안면 및 턱 근육, 두피 부비동 점막, 비점막, 목, 구강 또는 구개 및 축삭돌기가 안구로 돌출되어 있는 자율 부교감 및 교감 신경절에 보툴리눔 독소를 주사하는 것이 RPE/맥락막에 어떤 효과를 미친다는 것은 공지되지 않았다. 이러한 정보 하나만으로도 신규하며, 개시된 제형 및 방법과 함께 안내 주사보다 안전한 투여 패러다임을 제공할 수 있다.
안와주위 및 안구주위 주사에 의한 내부 안구의 침투
개시된 치료용 제형 및 방법의 다른 독특한 양상은 황반 영역의 내부 안구에 미치는 효과가 안구주위 또는 안와주위 주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평면부 주사(다른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논의됨)에 의해 얻어진 고 용량 효과에 제한되지 않고, 축삭형질 수송을 이용하는 안와주위 눈꺼풀 또는 안구주위 및 목 주사에 의한 안구로의 진입로를 획득할 기회는 다른 방법의 심각한 합병증을 피하는 작동적 개선이다. 평면부를 통한 안외 주사는 용이하게 가능하고 환자에게 훨씬 용이할 것이다. 최종적으로 안구로 들어가는, 안구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류 신경을 표적으로 하는 안외 주사는 근육 조직이 외안근 약화와 함께 복시 및 안검하수를 유발하는 독소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안내 내용물에 대한 선택적 효과를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보툴리눔 독소-유발된 외안근의 마비로 인해 주사 바늘을 안와 깊숙이 위치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반복된 안내 주사의 위험은 안내 출혈, 안구 파괴성 내안구염, 망막 박리 또는 망막 파열, 수정체 전위를 유발할 수 있거나 안내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독소는 축삭형질 흐름, 정맥 역행 확산 및/또는 안구주위 및 안와주위 주사로부터의 직접적 확산과 같은 독특한 기전에 의해 표적 맥락막, 망막에 도달할 수 있다. AMD 및 관련 병태의 치료를 위한 간접적 기전은 근육 약화로 인한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 신경 수송을 통한 안구로의 선택적 진입을 제공하고 이는 그 자체로 신규하다.
특히, 맥락막 신경 섬유 구조는 다수의 신경펩티드 및 관련 신경전달물질에 대해 결정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망막색소상피에 근접한 맥락막에서 신경의 퇴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탈신경은 망막색소상피의 구조 및 기능에 영양 효과(trophic effect)를 부여하여 RPE 기능장애, 세포 대 세포 부착의 상실 및 필수적인 RPE 장벽 기능의 상실뿐만 아니라 다른 구조 및 기능적 변성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맥락막에 존재하는 특정의 신경전달물질인 신경펩티드는 상피 건강과 기능에 중요하다. 이러한 화학물질의 퇴보 및 고갈은 RPE의 위축, 중간엽 및 이동 변화, RPE-광수용체 상호작용의 상실 및 궁극적으로 광수용체 손상과 함께 망막 기능과 시력의 상실을 유발할 수 있다.
실시예(필라멘트성 각막염)에 제시된 안구 표면의 경우, 세포 대 세포 부착 및 각막 상피의 기저막 스트랜드에 대한 상피 세포 부착 파괴로 인한 장벽 기능의 상실은 필라멘트를 형성하여 통증 및 병리학적 반응성 변화(신혈관형성)를 일으킨다. 필라멘트성 각막염은 각막 탈신경 및 신경영양 각막염이라고 불리는 병태에서 흔한 문제이다. 신경영양 각막염은 외상, 신경성 바이러스(예: 단순포진, 대상포진)로의 반복적 감염, 만성 감염, 점액 및 눈물 결핍에 의한 건성안으로 인한 감각 신경의 손상으로부터 발생한다. 상피는 종종 각막 상피의 상실 및 신혈관형성 전에 황반변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변성된다. 본원에 기재된 사례에서, 국소 보툴리눔 독소는 공지된 보툴리눔 약동학 및 반복된 효능과 일치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필라멘트의 복구 및 완화를 야기하였다. 여기서 보툴리눔은 주변 세포 및 기저막에의 세포 부착의 증가를 유발하고, 각막 상피 기능 및 연속적 각막 상피 시트를 박리시키는 필라멘트의 제거에 유리한 방식으로 신경 구조를 자극한다. 보툴리눔은 액틴 및 관련 부착 분자를 생성하도록 신경/상피 조직을 자극하여 상피 장벽 기능 및 구조를 촉진시키고 감각 신경 기능이 병리학적 상태 이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복되게 한다.
이러한 각막 사례에서 상피 불연속성은 새로운 혈관의 성장으로 진행된다. 황반변성의 경우, 1단계 건성 형태의 황반변성은 RPE-광수용체 계면을 파괴하여 실명에 이르게 하는 새로운 혈관의 성장에 선행한다. 맥락막 축삭 및 신경절 세포로부터 신경 섬유 효과를 향상시킴으로써 불연속성을 피하는 것이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전이며, 이는 황반변성의 치료에 유용하다. RPE에서 보톨리눔 향상된 맥락막 신경 섬유 효과는 RPE에 기능 안정성을 제공하여, 장벽 기능의 향상, 시간 흐름에 따른 망막색소상피의 유지 및 변성 예방을 가능하게 한다. 맥락막 신경분포의 결함은 RPE 건강에 필수적인 말초신경으로부턴 유래된 중요한 화학물질의 손실을 초래한다. 혈관작용 장 펩티드(VIP)와 같은 특정의 신경펩티드의 손실은 황반변성의 경우에 대폭 감소된 것으로 공지되었다. RPE 또는 안구로 들어가는 동맥 주변의 신경을 통한 독소의 침출은 망막 동맥류로부터의 누출을 봉쇄하는 효과를 가져서 망막-혈관 누출의 치료를 유도할 수 있다.
조형 액틴 분자 및 관련 단백질과 같은 필수적인 세포질내 구조, 카데린 분자 및 신경전달물질 및 RPE를 유지 및 자극하기 위한 말초 감각 신경의 자극에 의한 보툴리눔 독소는 RPE를 유지하고 황반변성의 효과를 지연시키는 데 필수적일 수 있다. 보툴리눔 독소는 말초 운동 신경에서 액틴-액틴 관련 단백질 형성을 자극하는 강력한 효과를 가지며, 이러한 효과는 인간의 안구를 관통하는 말초 신경으로 이어질 수 있다.
안전성
안구주위 보툴리눔 독소를 사용하는 것도 안전하다. 미용, 안면 운동 질환(반측안면경련, 안검연축, 메이그 증후군, 근긴장이상, 이갈이, 편두통, 긴장성 두통), 눈가 주름, 이마 주름, 미간 주름, 유도된 안검하수, 안면 염증 상태의 경우, 잘 확립된 투약 파라미터는 정교하게 높은 안전성 기록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상기 물질이 반복된 주사 후에도 매우 안전하다고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독특한 기회는 망막 및 황반 질환 환자에게 기존의 FDA 승인 약물(Eylea®, Lucentis® 및 Avastin®)을 능가하는 위험 이익을 이해할 수 있는 최상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제시된다. 지난 30년에 걸쳐 수행된 대부분의 연구에는 안전성 안과 검사가 있었으며 심각한 비가역적 안구 합병증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기회는 임상 연구에 있어 정말 독특한 것이며 시력(ETDRS - 조기 치료 당뇨 망막병증 연구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및 본원에 언급된 다른 종점과 같은 다양한 종점을 사용하는 진행에 대한 자극제 역할을 한다.
황반으로의 신경경유 전달
본원에 개시된 일부 실시형태에서, 말초 신경은 직접적인 안내 주사(이것은 본질적으로 합병증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를 사용하지 않고 안구, 망막 및/또는 황반에 보툴리눔 독소-기반 약제를 전달하기 위한 도관으로서 이용된다. 골격근 및 심장근 혈관의 것과 같은 맥락막의 혈관벽의 평활근은 자율 신경계의 두 부분에 의해 신경분포가 형성되고, 이는 혈관 주위에 섬유의 조밀한 총(혈관주위 신경총)을 형성한다. 축삭돌기 말단은 또한 간질 전반에 걸쳐 발견되며 비-혈관 평활근, 고유 맥락막 뉴런(ICN; intrinsic choroidal neuron) 및 가능하게는 기타 세포 유형에서 종결된다. 또한 안신경을 통해 삼차 신경절로 돌출되어 있는 일차 구심 감각 섬유가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혈관 및 고유 맥락막 뉴런에서 및 그 주변에서 종결되는 펩티드-양성 측부(collaterals)을 유발한다.
도 6은 위에서 본 인간 안와 해부도를 도시한다. 도 6에서, 가는 검은색 화살표는 안와 옆의 바늘 배치를 나타낸다. 이 영역에서의 혈관과 신경의 근접성 및 존재가 공막의 후방 표면으로의 보툴리눔 독소 제형 접근과 황반 및 맥락막색소상피로의 신경 혈관 침투를 허용함을 주목한다. 주사는 익구개와(pterygopalatine fossa) 내의 자율 신경 및/또는 감각 신경을 표적으로 한다.
도 7은 안외 투여에 뒤따르는 안구 침투에 의한 신경 침투 및 통과세포외배출을 도시한다. 안구(맥락, 망막색소상피 및 신경-망막)로의 침투를 달성하기 위한 각 방향에서의 축삭돌기를 따르는 수송 및 통과세포외배출.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수상돌기-축삭돌기 침투, 새로운 축삭돌기와 수상돌기로의 세포 통과세포외배출(역방향 침투 및 수송)이 이용될 수도 있다.
맥락막에 대한 주요 부교감 입력은 익구개와 내에 위치한 익구개 신경절에 기인한다(도 6). 이러한 섬유들은 섬유는 주로 콜린작동성이며 혈관확장제 혈관작용 장 펩티드(VIP)와 일산화질소(NO)에 풍부하다. 이러한 신경들은 (안구 및 안와 외부의) 익구개와에 주사될 때 보툴리눔 독소 침투 및 안구으로의 수송을 위한 표적이다. 맥락막의 교감 신경분포는 위목신경절로부터 유래한다. 이러한 노르아드레날린성 뉴런은 혈관에서 종결되며 혈관수축을 매개한다. 이러한 해부학적 배열은 목 주사가 축삭형질 흐름에 의해 눈을 관통하도록 한다.
맥락막은 비-스냅스 반응인 중심전 방사궁 또는 축삭반사, 물질-P 및 칼시토닌 유전자-관련 펩티드와 같은 펩티드를 사용하며, 여기서 국소 자극(화학적 또는 기계적)은 감각 말단을 탈분극화시키며 이것은 가장 가까운 측부(곁가지)로 이동하여 펩티드를 이펙터 조직으로 방출한다. 이러한 반사에 대한 증거는 두 펩티드 모두를 사용하는 포도막과 맥락막 내의 삼차 신경절로부터 일차 구심성 감각 뉴런에서 발견되었다; 반사는 혈류의 변화 또는 다양한 다른 기능을 매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유류와 조류 둘 다에서, 삼차 신경의 안신경 분지(ophthalmic branch)를 통해 맥락막으로부터 삼차 신경절로 돌출되어 있는 감각 섬유는 혈관확장을 유도한다. 이러한 말단은 물질-P 및 칼시토닌-관련 펩티드에 대해 양성이다.
보툴리눔 독소는 측부 축삭형질 흐름이 가능한 말초 신경 경로를 통해 수송될 수 있고, 일부 경우에 통과세포외배출을 통해 맥락막 및 망막색소상피 구조로 침투되어 황반의 표적 조직에 대한 생물학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도 7을 참조).
정맥 전달은 안구로의 축삭형질 전달과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 해면 정맥동으로의 확산(중심을 통과하는 경동맥을 갖는 정맥동)은 독소 분자가 그 표면 전체에 교감 신경을 포함하는 경동맥 사이펀(교감신경총)에 근접하게 만든다. 해면 정맥동의 경동맥 표면을 둘러싼 자율 뉴런에 보툴리눔이 결합하면, 안동맥을 따라 안와로 및 결국에는 후방 안구와 황반으로 향하는 축삭형질 흐름이 일어나고 신경근 접합부에 효과를 미치게 된다.
정맥은 안구주위 영역 비강 영역에서 흘러나와 와류정맥에 인접한 안와 정맥에 인접한 하안와열을 통해 내부 안구로 흘러간다. 정맥 문합은 맥락막과 망막으로 전달하기 위한 또 다른 도관을 허용한다.
축삭형질 흐름(맥락막과 망막으로 진입하기 위한 독특한 도관)
방사성 표지된 BoNT/A를 이용한 초기 실험은 고양이 복부에 근육내 주사시 독소가 전근(ventral root) 및 인접 척수 분절로 전달됨을 보여주었다. 유사하게, 방사성 표지된 BoNT/A는 마우스에서 말초 주사 후 수초화된 축삭돌기의 축삭형질 내에서 나타났다. 고양이의 전기생리학적 및 초미세구조 실험에 의해 뇌간 운동 뉴런에서의 BoNT/A의 용량-의존적 역방향 수송도 또한 나타났다. 추가로, 보툴리눔 독소의 분절은 또한 축삭형질 흐름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HcA 분절). 전장 보툴리눔 독소 및 결합 분절 형태 둘 다는 축삭형질을 통해 장거리 수송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본 발명에서 입증된 하나의 전달 기전 및 사례 예시에서 이용된다. 래트 교감신경의 구획화된 배양물에서, BoNT/A는 고 농도에서 원위 구획에 적용될 때 세포체 내로 역방향 이동한다. 그러나, BoNT의 역방향 트래픽킹(trafficking)은 주로 간접적으로, 즉 투여 부위로부터 멀리 떨어져 방사능 또는 BoNT-절단된 기질의 출현을 관찰함으로써 추론되었다. 따라서, 장거리 수송을 위해 BoNT에 의해 사용된 동역학 및 세포내 경로는 불분명하지만, 보다 최근에 뉴런 축삭돌기 및 세포체를 따라 SNAP 25 분해 활성을 추적하는 것은 초기 관찰을 입증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통과세포외배출이 입증되었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작동적이다.
축삭형질 수송 및 맥락막과 망막 구조에 대한 효과 이외에도, 보툴리눔 독소 A 또는 이의 분절 및 관련 단백질은 항-VEGF 단백질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복합체의 일부분으로서 또는 조화되어 사용되어, 장벽 기능을 향상시키고 누출을 중단하고 혈관신생 및 이의 병리학적 효과를 퇴보시키고/시키거나 세포내 RPE 구조 단백질 발현을 변경시키는 보다 높고 보다 지속적인 생물학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조합된 분자 접근법은 안내 주사없이 항-VEGF 약물을 맥락막으로 이끌고 망막색소상피 완전성을 수반하는 세포 기전을 추가로 표적으로 하는 운반체 단백질을 사용하는 대안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형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의 사용을 수반할 수 있다: 보툴리눔 독소(예: A형의 아형) 또는 단편(예를 들어, HcA, 결합 도메인), 항-VEGF 제제의 융합 첨가제(예를 들어, 항-VEGF 제제인 Avastin® 또는 항-VGF 특성을 갖는 다른 융합 단백질의 비-융합된 첨가) 및 안정성 및 신경 세포 축삭 흡수를 촉진하는 것으로 공지된 안정화 부형제.
항-VEGF 제제는 축삭형질 흐름에 의해 참여하고 항-VEGF 작용제와 함께 통과세포외배출되는 보툴리눔 또는 이의 단편에 의해 전달되어, 새로운 혈관 성장으로부터 누출의 역전, 새로운 혈관의 퇴보, 기저막 및 연속적 세포에 대한 견고한 망막색소상피 세포내 부착의 향상 및 촉진, 및 RPE 변성을 조성하는 세포내 구조 단백질의 역전을 유발하는 다각적인 작용 방식을 유발한다. 이러한 제형은 또한 망막 -혈관 순환과 반응하여 망막-혈관 모세혈관 및 모세혈관 이후 작은 정맥으로부터의 누출을 제한할 수 있다.
개시된 제형은 통상의 평면부 주사, 안내 주사 또는 다른 유형의 안외 주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융합 단백질 및 축삭형질 수송이 독특한 제형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개시된 제형은,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독의 단일 항-VEGF(실시예를 참조)만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효력 향상을 위해 항-VEGF 제제의 통상적인 평면부 주사(안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하나 이상의 항-VEGF 제제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보툴리눔 독소 제형과 함께 포함될 수 있고 안외 전달 방법(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음)을 통해 적용되어 향상된 효력을 생성할 수 있다.
AMD에 대한 보툴리눔 독소의 안와주변 주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툴리눔 독소의 안와외 주사는 보툴리눔 독소를 축삭형질 흐름을 통해 황반으로 전달할 수 있다. 황반 전달에 유리한 해부학적 배열은 비벌(bevel)을 익구개와를 향하고 하안와열의 바깥 부분에 인접하게 조준하면서 바늘을 관골궁 위에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안와열은 (상안와열과 달리) 매우 앞쪽으로 뻗어있어 2cm 바늘이 그 열(fissure)에 매우 가깝게 접근할 수 있다. 이 열을 통해 돌출되어 있는 익구개와 신경절의 돌출은 안구로 공급되고 보툴리눔 독소가 자율 신경 시냅스뿐만 아니라 해면정맥동 쪽으로 배출되는 정맥에 근접할 수 있게 한다. 보툴리눔 독소가 이러한 주사 지점으로부터 안구로 투여되는 것은 해부학적 배열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해면정맥동 정맥 중의 독소는 안동맥, 망막 동맥 및 섬모 동맥(정맥과 대조적인 보툴리눔 독소 신경의 역류 이동)을 통해 망막상의 교감 자율 신경에 침투할 수 있다. 인간 맥락막에서 주지되는 신경절은 익구개 신경절에 의한 신경분포를 가장 많이 일으킨다. 이러한 신경절들은 종종 안구의 후방 극에 매우 가까이에서 보인다. 이러한 독특한 주사 위치는 주요 혈관 및 중요한 구조가 없어서 매우 낮은 위험도 절차를 야기한다. 감각(V2) 신경 및 자율 신경은 열과 밀접하게 접해 있고 열은 일부 안와 및 안구 침투를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및 다른 실시형태에서, 기타 안와주변 영역이 주사 지점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Rho 키나제
본원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독특한 양상은 A형 보툴리눔 독소가 Rho 키나제 조절 작용을 가지며 세포 구조의 아폽토시스 변화(프로그램된 세포 사멸 사이클)를 예방하는데 있어 중요한 액틴 및 카덴린의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보툴리눔 C3형은 매우 현저한 Rho 키나제 활성을 갖는 것으로 오랫 동안 알려져 왔다. 본원에서 보툴리눔 독소의 면역형 A로부터의 효과는 복시 눈꺼풀 위치이상 및 눈꺼풀 약화와 같은 부수적인 기능장애와 함께 근력 약화를 일으키는 데 필요한 것 미만의 국소 투여 수준에서 유사하고 동일한 효과를 달성하며 본 발명의 작동적 성분이다. Rho 키나제는 액틴 세포골격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여 동화작용 유전자 발현을 일으키고, 세포, 조직 및 기관 기능을 변경하고 향상시키는 방식으로 액틴의 빠른 전환 및 발현을 향상시킨다. 망막색소상피 상호작용(필라멘트상 각막염)에 관련된 다른 안구 조직에 미치는 효과는 실시예 3과 비교하여 논의한다.
상피 장벽에 대한 효과는 필라멘트성 각막염으로 공지된 또 다른 안구 병태에서 입증되었으며, 이는 RPE에 대한 효과를 이해하기 위한 표면 모델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것은 종종 건성안 증후군과 연관되는 병태이며 상피 시트 및 그 밑에 있는 기저막에 대한 부착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피 스트레인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증후군이다. 질환에 걸리기 쉬운 환자에서의 과정은 만성적일 수 있으며 시력 상실, 통증, 광공포증 및 비자발적 눈꺼풀 감김과 관련될 수 있다. 보툴리눔 독소는 과거에 눈꺼풀 사이의 공간(안검열)을 폐쇄하고 안구 표면을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수술인 외과적 검판봉합술(tarsorrhaphy)을 모방함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각막궤양을 치료하기 위해 눈꺼풀을 폐쇄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러한 설명들에서는, 상피, 상피의 세포 구조에 대한 보툴리눔 독소의 고유 효과, 세포 대 세포 부착에 대한 보툴리눔 독소의 효과, 부착 분자에 대한 보툴리눔의 직접적 효과로 인한 세포 대 기저막 부착, 또는 각막 상피의 증가된 응집을 유발하는 액틴-카데린 단백질 또는 임의의 세포내 또는 세포외 단백질에 대한 효과에 대해 언급되지 않았다.
본원에서는 필라멘트상의 감소 및 소멸에 의해 필라멘트성 각막염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각막 상피 세포의 응집 완전성을 증가시키는 각막 상피에 대한 고유 효과가 기재된다. 상기 병태는 질환에 의해 생성된 국소 적용 결함을 통해 안구 표면의 상피 세포에 접근하는 국소적인 보툴리눔 점적을 이용하여 본원에서 설명된 개념에 의해 치료되었다. 보툴리눔 독소는 액틴, 액틴, 카데린 및 관련 단백질의 발현 및 세포내 구성의 향상을 유발하고, 이는 상피 응집력 및 완전성을 향상시켜 필라멘트 형성 감소 및 질환 개선을 유발한다. 망막색소상피가 세포 대 세포, 세포대 기저막의 촉진으로 인한 증가된 완전성을 달성하고 보툴리눔 독소 기반 제제에 의해 생성되는 세포내-세포외 기능의 특수화를 향상시키는 유사한 효과가 황반변성에서 달성된다. 보툴리눔 독소의 국소적(점안제) 사용으로 상피 조직에 대한 유익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필라멘트성 각막염의 경우, 보툴리눔 독소는 다음과 같이 직접 관찰되었다:
1. 인간 안구에 슬릿 램프 이중현미경을 사용하여 안구 표면상의 상피 시트 부착력을 향상시킨다.
2. 기저 신경의 노출을 감소킨다.
3. 만성 병태에서 각막 신혈관형성을 감소킨다.
4. 노출된 신경 말단을 감쌈으로써 고통을 감소킨다.
5. 상피 표면의 미세해부학적 구조상의 미세융모를 향상시키고 회생시켜, 눈물 막과의 각막 통합의 필수적 향상을 유발한다(산소 수송을 위해 필요). 이러한 미세융모 개선은 건성안 증후군 및 재발성 미란과 같은 안구 표면의 염증성 병태용으로 보툴리눔 독소를 투여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6. 재발률을 감소시킨다.
유사한 효과는 재발성 각막 미란, 기저막 이영양증(지도-점-지문 각막 이영양증(map-dot-fingerprint dystrophy), 영양 각막 궤양, 단순포진 각막염, 갑상선 관련 안구 표면 장애, 각막 용해 증후군, 화학적 화상, 안구 흉터유사천포창, 만성 건성안 증후군, 주사성각막염, 스티븐스 존슨 증후군 및 노출 각막염과 같은, 기저막이 관련되는 다른 형태의 각막염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국소 제형은 많은 전술한 병태가 안구 표면 또는 그 부근에서 발생할 때 고안될 수 있다.
더 큰 농도의 보툴리눔 독소를 함유한 국소 제형은 안구로 진입하여 평면부 안내 주사보다 더 우수한 투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보툴리눔 독소 제형
보툴리눔 독소 제형의 예는 A1-5, B, C1-C3, D, E, F 및/또는 G형 보툴리눔 독소를 포함한다. 보툴리눔 독소의 단편은 장벽 효과, VEGF 관련 경로에 대한 작용, 현재 이용가능한 항-VEGF 약물, 구조 단백질, 구조 단백질의 조절인자 및 염증성 조절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을 향상시키는데 관여하는 세포 성분의 단리된 게놈 발현을 포함하는 특수화된 세포 효과를 유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제형은 안정화 단백질, 다가양이온성 단백질 또는 침투제(알부민 또는 다가 양이온성 단백질), 제제 내 또는 주사 전에 투여되는 리도카인의 사용, SNAP-25 상호작용성 부분이 화학적으로 제거된 보툴리눔 유래의 단백질 유도체, 보툴리눔 복합체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는 향상된 헤마글루티닌 단백질을 갖는 제형, 카데린 결합 단백질 또는 Rho 키나제, 상류 및 하류 대사산물 및 (ROCK)에 작용하는 것으로 공지된 제제로의 향상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보툴리눔 독소 조성물(예를 들어, A형 독소)에 의한 ROCK의 조절은 본원에 기재된 많은 질환 상태에 대한 치료 효과에 기여한다.
ROCK1은 로(rho)- 관련, 코일형- 코일-함유 단백질 키나제 1로도 공지된 단백질 세린/트레오닌 키나제이다. 다른 일반적인 명칭은 ROKβ 및 P160ROCK이다. ROCK1은 작은 GTPase RhoA의 주요 하류 이펙터이며 수축력 생성을 촉진하는 악토미오신 세포골격의 조절인자이다. ROCK1은 암 및 특히 세포 운동성, 전이, 세포 부착 및 혈관신생에서 역할을 한다. ROCK1은 체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액틴-미오신 수축, 안정성 및 세포 극성의 주요 조절인자이다. 이것은 형태학, 유전자 전사, 증식, 분화, 아폽토시스 및 발암유전자 변환의 조절과 같은 많은 진행에 기여한다. 다른 기능은 평활근 수축, 액틴 세포골격 구성, 스트레스 섬유 및 초점 부착 형성, 신경돌기 수축, 세포 부착 및 운동성을 수반한다. ROCK1의 조절 및/또는 저해는 RPE 세포에서 스트레스 섬유 형성의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 RPE 세포질에서 액틴 응축에 의해 형성된 스트레스 섬유는 종종 연령관련 황반변성에서 발생하여 RPE 장벽 기능 붕괴, 및 신혈관형성, RPE 체액 펌핑 활성의 손상, 신경-망막의 면역 노출자, 신경펩티드, 사이토 카인 및 보체의 유입을 포함한 하류 반응을 유발한다. RPE 세포의 스트레스 섬유는 도 14a 내지 도 14d뿐만 아니라, 도 4c, 5a 및 5c에도 도시되어 있다. 게다가, 본원에 기재된 보툴리눔 독소 제형은 Rho 활성을 변화시킴으로써 망막 신경 재생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은, 일부 경우에, 전형적으로 BOTOX®(A형 보툴리눔 독소 복합체)로서 공지된 보툴리눔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형은 바람직하게는 주사에 의해 제공되지만 점안제로 전달될 수 있다. 점안제는 10 내지 10,000 유닛으로 다양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3,000 유닛 미만이다. 상이한 제형을 이용한 투약의 변경은 문헌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투약 형태의 안전성이 기존 제제에 대해 잘 확립되어 있으므로 A형(또는 아형) 또는 B형이 사용될 수 있지만, 다른 아형 및 비-신경근 아형 또는 화학적으로 변경된 유형의 보툴리눔 A형이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경독소가 없는 헤마글루티닌 단백질만을 포함하는 보툴리눔 독소 제형은 또한 신경독소의 약화 및 마비 효과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보다 큰 생물학적 효과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카데린 이소형 및 관련 세포내 단백질과 같은 부착 단백질에 미치는 헤마글루티닌의 효과를 단리하고 향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독특한 실시형태에서, SNAP-25 및 신경근 약화 효과를 제거하지만 액틴 및 세포 부착 기능에 대한 효과를 보존하는 절단 부분을 갖는 신경독소를 갖는 제형이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은 과거에 인용 및 연구되었지만, 황반변성과 같은 의학적 적응증에서의 사용 또는 본원에 기재된 질환의 치료에 유익한 막 장벽 기능에 대한 사용에 관해서는 제안되지 않았다.
SNAP 25 활성이 절단된 독소 유도체로 구성된 제형은 또한 항-VEGF 제제에 대한 운반체 분자로서뿐만 아니라 부속 단백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신경독소를 갖는 보툴리눔 관련 헤마글루티닌 단백질의 강화된 양을 포함하는 보툴리눔 독소 제형은 신경독소의 약화 및 마비 효과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보다 큰 생물학적 효과를 허용하기 위해 카데린 및 관련 부착 단백질 및 연관된 세포내 단백질에 대한 효과를 단리하고 향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피에서 중간엽으로의 세포 변환 및 보툴리눔 독소 효과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형태의 황반변성은 망막색소상피의 변질을 수반한다. 이 과정은 RPE 세포를 안구의 신경-망막 또는 유리질로 이동시킬 수 있는 섬유 아세포로 전환시키는 것으로서 설명되었다. 이 과정은 중요하게도 막 붕괴를 가능하게 하는 감소된 세포 대 세포 부착을 갖는 연속적 시트로부터 변환된 RPE 세포의 이탈(도 1b 및도 5d 내지 5f를 참조) 및 개시된 누출 새로운 혈관의 성장에 대한 맥락막 내의 염증 세포의 가능한 항원 인식을 수반한다. 또한, 맥락막으로부터 새로운 혈관의 성장은 대부분 누출되어 사이토킨의 축적 및 신경-망막으로의 독성 배출을 야기한다.
본원에 기재된 보툴리눔 독소 제형은 본질적으로 액틴의 발현 및/또는 조절을 일으키고, 세포 분화 및 구조를 장벽 기능을 유지시키는 쪽으로 유지시키고, 망막색소상피에서 중간엽으로의 변환을 정지시키고, 황반변성의 두 가지 주요 형태(습성 및 건성)을 효과적으로 저지함으로써 상기 과정을 지연시키거나 심지어 역전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보툴리눔 독소 제형에 의해 망막색소상피로부터 중간엽 형태로의 전환이 손상되기 때문에, 교정 망막 박리 수술의 가장 중요하고 흔한 실명 합병증인 다양한 형태의 망막 박리 후의 증식성 유리체망막병증를 치료하거나 이에 대한 예방을 제공할 수 있다.
임상 환경에서의 요법에 대한 표적
개시된 제형 및 방법은 일부 경우에 황반변성에 걸린 환자의 시력을 개선하고/하거나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보툴리눔 독소는 황반변성의 위험이 있는 집단에서 해부학적 변화를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기능 측정은 다양한 형태의 시력 검사, 명암 민감도 검사, 시야, 간섭 망막 단층촬영술 또는 형광 혈관조영술을 이용하는 해부학적 결과 측정, 색각 검사, OCT, 명암 적응 측정 또는 시각 기능의 임의의 기타 측정을 수반할 수 있다.
개시된 제형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1. 유전자 검사 또는 강력한 가족력에 의해 결정되는 고위험군에서의 예방
2. 건성 변성이 누출을 수반한 신생 혈관 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정지시킴.
3. 습성 단계에서, 건성을 향상시키고 맥락막 신혈관형성의 퇴로로 인한 맥락막 누출을 감소시킴.
건성 황반변성을 치료하기 위한 접근법은 감각신경 망막과 신혈관형성 공급원인 맥락막 사이의 장벽을 유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적용이 망막색소상피의 수준에서 장벽 향상제를 사용하여 주사하는 것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러한 주사는 누출이 있는 1단계 또는 그 이전 단계의 황반변성 환자에서 적절한 위험 이익 비율을 달성하기 위해 안외 주사일 필요가 있다. 안외 주사를 통한 보툴리눔 독소는 본원에 기재된 투약 수준에서 안저주위 및 안면 주사에 유리한 안전성 요인이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상적일 수 있다. 이러한 반복은 시력 및 판독 능력의 급속한 저하와 관련된 2단계(습성 종류)로 진행하는 초기 황반변성의 예방을 제공할 수 있다.
근육 약화 신경독소가 없는 복합체 내의 보툴리눔 독소 헤마글루티닌 및 황반 적용에서의 역할(VEGF 작용)
인간에서 보툴리눔을 사용한 처음 10년 동안에, 보툴리눔 독소는 비공유 결합된 단백질과 회합된 신경독소의 복합체로서 투여되었다. A형 분자는 신경독소인 헤마글루티닌 단백질 및 비-신경독소 단백질인 비-헤마글루티닌으로 구성된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간행물들은 후자의 두 단백질이 다양한 질환 상태를 위한 주사 가능한 보툴리눔 독소의 임상적 적용 및 화장품 적용에서 역할을 하지 않는다고 시사하였다.
비-헤마글루티닌은 제형을 저장 수명에 대해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헤마글루티닌은 상피경유(trans epithelial) 침투 및 경구 섭취된 보툴리눔 독소에 대한 독성에서 중요하고 경구 섭취된 독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마글루티닌은 위 흡수를 촉진하여 복합체를 더 독성이 되게 만든다. 총체적으로, 이들 단백질은 인간 망막에 대한 효과를 부분적으로 향상시키거나 함께 사용될 때 향상시켜 황반변성에 유익할 수 있다.
위와는 반대로, 보툴리눔 독소에 대한 황반 및 다른 상피 적용은 제형 내의 보조 단백질의 영향을 받는다. 실제로, 이러한 단백질은 안구 적용을 수반하는 상피 조직에 대한 보툴리눔 효력을 향상시키는 독립적인 약제인 향상제(enhancer)로서 사용할 수 있고 심지어 신경독소의 부재 하에 사용될 때에도 상당한 유도된 생물학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 제시된 예는 헤마글루티닌 보조 단백질과의 복합체인 BOTOX®를 사용하였다. 보툴리눔 독소 유래의 헤마글루티닌은 위 상피 세포 사이의 밀착연접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단백질인 카데린 E를 절단하는 직접적인 작용을 하여 보툴리눔 신경독소의 섭취를 증가시켜 이의 독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망막 및 안구 적용에 비해 더욱 주목할 만하게도, (간행물과는 반대되는) 이러한 효과는 내피 세포 성장(신혈관형성)과 연관된 결정적인 수용체와의 중요한 상호작용을 유발하는 다양한 카데린 유형에 효과를 미칠 수 있다. 실시예 1은 황반변성 진행에 대한 개선된 예후와 관련되는 상피하 신생 혈관막의 누출 및 퇴보 개선의 증거를 보여주었다. 또한, BOTOX®의 효과는 RPE 세포가 신경-망막 광수용체의 죽음을 수반하는 중간엽 섬유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방해한다.
카데린 세포 연결자 단백질은 유년 황반 이영양증, 나비 이영양증, 어셔 증후군, 상염색체 열성 간상체-추상체 이영양증과 같은 다수의 망막 질환에 연루되었다. 카데린 유전자에 대한 다수의 형질 다형성이 RPE의 외관과 변성을 일으키는 이러한 황반 및 망막 병태와 연관되었다. 예상치 못한 결과는 카데린 용해에 작용하는 것으로 공지된 보툴리눔 복합체 또는 헤마글루티닌를 통한 카데린 활성이 실제로 장벽 활성을 향상시키는 카데린 세포 연결 단백질의 재발현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카데린 VE는 혈관 완전성 및 새로운 혈관의 성장에 중요한 혈관 내피 내에 함유된 중요한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카데린 VE는 내피 세포들 간의 부착을 매개 할뿐만 아니라 내피 세포 생존 및 유지를 위해 필요하다. 혈관 내피 성장 인자(VEGF)는 내피 성장을 유지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해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에 결합하는 형태의 카데린을 필요로 한다. 이 정도로 신경독소가 있거나 없는 복합체와 함께 헤마글루티닌은 Avastin®, EYLEA® 또는 다른 형태의 항-VEGF 약물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항-VEGF로서 작용할 수 있다. 헤마글루티닌과 함께 보툴리눔 독소의 사용은 VEGF 기능에 작용하여 혈관의 활성 및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망막색소상피 장벽 기능, 기저막에의 부착, 세포 극성, 미세융모 돌기, 데스모좀 완전성 및 보툴리눔 독소에 기반한 제형에 의해 생성된 망막색소상피의 기능을 증대시킨다.
이러한 관찰 및 적용의 뜻밖의 발견은 상당량의 헤마글루티닌이 수년간 Botox-Occulinum®에 존재하였으며 이러한 양의 안전성 인자가 매우 높은 정도의 안전성을 입증한 수많은 임상 연구에서 시험되었다는 점이다. 복합체는 일단 대상체에게 투여된 후 신경독소 성분으로부터 신속하게 해리되는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이는 유리 복합체화 단백질이 합병증 및 실질적인 이상 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내약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추가로, 이온 교환 또는 다른 형태의 단백질 분리를 통한 헤마글루티닌 단백질의 단리물은 황반변성 치료를 위한 특정 항-VEGF인, 가능한 보다 많은 지시된 제형화된 약제의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기전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본원에 제시된 사례 보고는 관찰결과로부터 이론과 실습 둘 다를 수립하기 위한 기판, 예상치 못한 약력학(안구 침투) 및 본원에 설명된 새로운 적용과 일치하는 중요한 의학적 효과를 제시하였다.
보툴리눔 독소로부터 유래된 헤마글루티닌은 형성으로부터 신경독소를 제거함으로써 제조 및 정제된 재조합체일 수 있다. A형 보툴리눔 및 이의 다양한 아형의 경우, 최종 생성물은 잔류 신경독소가 제형 중에 남아있지 않음을 보장하기 위해 국소적 및 마우스 LD 50 분석법을 사용하여 약화 용량에 대해 시험할 수 있다. 제형은 적혈구 응집에 영향을 주지 않는 투여 양으로 그러나 신혈관형성 및 망막색소상피 세포 누출 및 망막색소상피 아래에서의 혈관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투약 형식으로, 안구주위(pier ocular) 안와주위 또는 유리체강내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보툴리눔 독소 복합체화 단백질
모든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보툴리눔 독소의 혈청형(A형 내지 G형)은, 비공유 회합된 복합체화 단백질을 갖고, 이에 따라 독소 복합체를 형성한다. 복합체화 단백질은 씨. 보툴리눔 염색체 상에 서로 가까이 위치한 2개의 유전자 클러스터에 코딩된다. 첫번째 클러스터는 보툴리눔 독소 자체와 비독성, 비-헤마글루티닌 (NTNHA)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반면, 두번째 클러스터는 3개의 헤마글루티닌(HA) 단백질 (HA1, HA2, 및 HA3)을 암호화하고, 여기서, HA3은 혈청형 A에서 2개의 더 작은 성분(HA3a 및 3b)으로 번역-후 절단된다. 보툴리눔 독소 혈청형 A 내지 D 및 G에서, 이들 성분은 2개의 상이한 독소 복합체 (즉, 보툴리눔 독소 및 NTNHA를 포함하는 중간 독소 복합체 (300 kDa) 및 3개의 HA 분자를 또한 포함하는 거대 독소 복합체 (500 내지 600 kDa))을 형성한다. 대조적으로, 혈청형 E 및 F는 단지 중간 독소 복합체만을 생성한다. 혈청형 A는 또한 더 큰 분자량 (900 kDa)을 갖는 세번째 복합체를 형성한다. 보툴리눔 독소 D형 거대 독소 복합체의 상세한 분자 구조는 가시화되어 있고, 신경독소, NTNHA, 3개의 HA3 분자 (70 kDa 분자, 또한 HA-70로도 공지됨), 3개의 HA2 (또한 HA-17로도 공지됨), 및 6개의 HA1 (또한 HA-33으로도 공지됨)의 14-서브유닛 복합체를 포함한다. 변성(denaturing) 모세관 전기영동 방법은 보툴리눔 독소 A형의 매우 큰/또는 더 큰 분자량의 독소 복합체를 형성하는 서브유닛을 결정할 수 있고, 이로서 150 kDa 신경독소 및 NTNHA 서브유닛뿐만 아니라 5-6 HA-17, 4-5 HA-23, 3-4 HA-48, 및 8-9 HA-34 서브유닛의 단일 카피를 총 질량 880 내지 1000 kDa으로 포함한다는 결론을 내린다.
보툴리눔 독소 헤마글루티닌의 임의의 성분은 항-VEGF 제제, 세포 대 세포, 세포 대 기저막 또는 세포골격 안정화제 또는 본원에 기재된 안구 질환에 적용하기에 유용한 제제로서의 생물학적 활성의 평가를 위한 후보 물질이 될 것이다. 제형은 복합체 단백질, 임의의 하나 이상의 복합체 단백질 또는 복합체화 단백질의 성분을 갖는 신경독소를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제형에서 헤마글루티닌의 양을 향상시키는 것이 예상되고, 경직 상태(뇌졸중 후 및 뇌성 마비), 안검연축, 반얼굴연축, 사경, 전립선 비대증, 발바닥 근막염, 이갈이, 관절염 상태, 근막 통증, 편두통 두통, 긴장성 두통, 주요 우울증(MDD), 불안, 및 상처 치유의 치료에서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더 많은 양의 또는 향상된 양의 보툴리눔 독소 유래 헤마글루티닌이 현존하는 제형에 첨가되어 더 강력한 효과를 성취할 수 있는 상기한 다수 병태의 악화를 위한 감작제로서 염증을 관찰하였다.
이전에 사용된 것보다 더 높은 농도로 예상되는 HA의 용량 및 투약
Botox®로서 보톨리눔이 수십년 동안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보툴리눔 독소 A형 복합체로부터 유래된 HA의 양(참조: Schantz Therapy with Botulinum Toxin)은 5 U 내지 8000 U의 관련 양 사이에서 가변적인 통상 사용되는 수준인 것으로 예상된다(1 U = LD 50 흰색 마우스의 경우). 5 내지 4000 U의 회합된 헤마글루티닌의 양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리된 보툴리눔 독소 유래 헤마글루티닌의 국소 제형. 주사 가능한 제형 적용
복합체의 치사 성분(신경-독소)이 없어서 전신 약화(systemic weakness)가 용량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므로, 보툴리눔 독소 회합된 헤마글루티닌(800 U 초과의 보툴리눔 복합체과 회합된 용량)를 갖는 더 높은 용량이 가능하다. 본질적으로 이러한 개념은 독소 마비가 없는 독특한 용량 형태를 가능하게 한다.
보툴리눔 독소로부터 유래된 헤마글루티닌의 국소 제형은 새로운 혈관 형성 및 다양한 감염(헤르페스 바이러스, 장미증, 안구 흉터유사천포창, 외상성 손상, 노출 각막염, 각막 이식 거부, 알칼리 화상(alkaline burns), 안와 염증, 또는 사람 각막에 대한 다른 감염 변성 또는 이영양증)으로부터 사람 각막에 대한 흉터(scaring)를 제한하기 위한 본원에 기재된 용량으로 실행가능한 조성물이다. 에어로졸 보툴리눔 유래 헤마글루티닌은 폐, 상기도 계통, 식도, 인두, 장관, 코 점막, 직장 영역에서 혈관 누출을 예방하고, 흉터를 치료할 수 있다. 복강을 통한 주입은 복막 및 대장 및 소장 표면의 흉터를 예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정맥내 주입은 간, 비장, 폐, 뇌, 및 다른 기관에 전이된 종양과 같은 신생혈관형성을 촉진하는 악성 종양으로의 새로운 혈관 성장을 완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알레르기 뿐만 아니라 자가면역 질환, 예를 들면, 그레이브스병 및 자가 면역 갑상선 질환에서 사용이 예상된다. 다양한 형태의 포도막염에서 삼출과 누출을 예방하기 위해 안구(per-ocular), 유리체강내, 또는 정맥내 주사에 의한 사용이 예상된다. 당뇨병 망막증 및 실명 당뇨병성 신혈관형성에 관련된 혈관 누출의 치료는 보툴리눔 독소 헤마글루티닌 활성의 "항-VEGF" 성분 작용에 의해 표적화될 수 있다. 혈관 누출 및 흉터를 갖는 만성 천식을 또한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적화할 수 있다. 습진 및 염증성 피부 질환을 표적화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부비동염을 치료를 위해 표적화할 수 있다. IGE 매개된 부종에서의 사용이 또한 대상이 될 수 있다. 다른 염증 상태는 항-VEGF 작용에 대해 예상될 수 있다.
황반 변성증에 대한 단리된 헤마글루티닌의 신규한 용도는 분자의 신경독소 성분으로부터의 마비 유발에 관련된 문제를 피하고, 이로써 헤마글루티닌이 근육 마비 신경독소를 갖는 복합체로서 사용되는 경우보다 헤마글루티닌의 더 큰 투약을 가능하게 한다.
망막색소상피를 포함하는 다른 형태의 질환으로의 발명의 확장
다음을 포함하는 기타 형태의 망막 질환이 안와외 및/또는 안와주위(per-orbital)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보툴리눔 독소의 표적이 될 수 있다:
1. 색소성망막염 (Retinitis pigmentosa; RP), 열성, x 결합 및 우성 형태
2. 베스트병(Best disease)
3. 스타가르트병(Stargardts disease)
4. 패턴 망막 및 황반 이영양증
5. 클로로퀸 망막병증
6. 격자 이영양증(Lattice dystrophy) (망막열공(retinal breaks)의 존재 및 부재)
7. 혈관모양줄무늬
8. 산탄(Birdshot) 망막병증
9. 중심장액 망막병증
10. 안구 히스토플라스마 증후군
11. 어바인 가스(Irvine Gass) 증후군
12. 백반(White dot) 증후군
13. 망막색소상피에 대한 외상
14. 안구 톡소포자충증 증후군
15. 의사 박리 증후군에 관련된 안구 상태
16. PVR (수술 후 증식성 유리체망막병증(post-operative proliferative vitreoretinopathy))
17. 맥락막염에 관련된 RPE 손상
18. 황반원공 (부분 및 전체)
19. 망막 박리 전기 및 후기 단계(열공성-열공(rhegmatogenous-break) 관련 및 비-열공성, 비-열공 관련 둘 다).
20. 당뇨 황반부종
21. 당뇨 망막병증(임의의 단계) (보툴리눔 독소에 의한 망막-혈관 장벽 효과 향상, 및 장벽 및 체액 누출 기능에서 RPE 향상 둘 다)
상기 질환 각각에서 망막색소상피의 손상은 사이토카인, 백혈구, 항체 및 시력 저하 및 실명을 야기하는 광수용체에 파괴적인 다양한 면역 반응 제제를 포함하는 맥락막 유체의 누출에 의해 광수용체에 손상을 야기하여 발생할 수 있다.
상피 장벽을 증가시키는 제제는, 노인성 황반 변성에 관련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광수용체 및 시각 기능의 보호를 향상시키는 색소 상피 장벽의 증가된 완전성을 도출한다. 추가로, 보툴리눔 독소는, 맥락막으로 이동하는 경우 황반 변성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변성 및 염증성 질환에 관련된 장벽 손상 및 후속적인 시력 저하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신경펩타이드 및 신경성 염증의 다른 제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추가로, 비록 효과가 유전적 원인 또는 다른 과정을 처리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RPE 광수용체 시스템의 향상은 RPE 기능의 향상 기전에 의해 광수용체에 대해 신경보호성일 수 있고, 포식작용, 정점 간상 추상(apical rod cone) 구조의 수송을 뒷받침한다.
색소성망막염과 같은 망막 변성의 경우, 결함이 주로 망막색소상피 변화를 갖는 광수용체에 연관될 수 있고, 상기 변화는 과도한 변성 간상 및 추상(rod and cones) 물질에 부차적이고, 망막색소상피 세포에서 독성 축적으로 포식작용을 겪고, RPE 변성 및 기능이상이 이어진다. 독성 단백질 축적에 대한 RPE 내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제제는 RPE 손상에 근거하는 시각 저하를 지연시킬 것이다. 광수용체의 수준에서 다른 기전이 역할을 할 수 있다. 내피 세포를 갖는 장벽 막의 안정화는 추가로 광수용체 손상 및 보호의 진행에 대하여 예방 또는 이동하는데 있어서 운용될 수 있다. RP에서 황반 부종의 원인은 가능하게는 신경망막에 도입되고 망막 순환에서 혈액 망막 장벽의 붕괴를 도출하는 염증성 오타코이드 및 항체에 관한 것이다. 부종은 혈관형성된 맥락막으로부터 RPE 누출이 RP의 진행에서 중요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RPE의 추가 내인성 기능, 예를 들면, 미세융모의 보존, 막 아래 영역에서 액틴 자극에 기초한 포식작용의 증가된 효율, 광수용체에서 축적된 기능장애 로돕신 단백질의 증가된 대사 회전은 다양한 형태의 색소성망막염에서 시간에 따른 시력 저하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유전적 결함은 진행성이면서 종종 끊임없는 시력 손실을 야기하는 신경망막에서 야맹증 및 간상 및 추상의 변성에 관련된 유전 상태인 색소성망막염과 연관된다.
증식성 유리체 망막병증(PVR) 및 상피 중간엽 변환(EMT)
PVR은 망막 박리 수술 후 발생하는 가장 치명적인 합병증 중 하나이다. 여기에 RPE의 반응은, 현존 조치로 잘 치료되지 않는 재발성 망막 박리의 원인이 되는 견인 막을 야기하는 섬유세포로의 전환과 함께 유리체 내로 세포의 증식을 갖는 EMT를 겪는다. 안구외 또는 안내 투여에 의한 보툴리눔 독소의 적용은 섬유 및 이동성 전환으로부터 망막색소상피를 안정화시켜 망막 박리 수술 주변의 섬유화 전환을 완화시킨다. 수술 전, 수술 동안 및 수술 후 예방적 적용은 이러한 합병증의 발생 및 진행을 감소시키는 유용한 조치임을 입증한다.
의사-박리 증후군은 세포 대 세포 부착의 이상과 관련된 또한 또다른 상태이다. 여기서, 포도막으로부터 색소 상피 세포의 이동은 종종 섬유주에서 세포 축적에 의해 녹내장을 일으킬 수 있다. 안내 또는 안구외 주사에 의한 보툴리눔 독소의 사용은 색소 세포 간의 부착을 단단하게 하여 더 적은 색소 분산을 일으킬 수 있고, 이러한 질환을 치료하는 신규한 방법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로, 이러한 상태는 수정체 및 소대 전위(zonule dislocation)로부터 더 높은 백내장 수술 합병증 비율과 연관될 수 있다. 이러한 제제는 색소 상피와 소대 전위 사이의 더 단단해진 연결을 자극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보툴리눔 독소를 포함하는 제형은 환자에게 표면 상피 궤양의 치료를 위해 및 생물학적 조직 장벽의 안정화를 위해 주사 또는 국소 도포될 수 있다. 보툴리눔 독소는 통상적으로 연축성 근육 수축을 치료하고, 근육을 이완시켜 근육 긴장에 효과가 있고, 분비를 야기하는 자율 기능을 차단하고, 다양한 원인의 두통과 같은 통증의 감각을 감소시키고, 근육 생성 피부 주름을 부드럽게 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비-근육 부분 및 피부 영역에 적용은 본원에 기재된 기전에 의해 상피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보툴리눔 독소의 또 다른 신규 적용은 국소적으로 또는 주사에 의해 사용될 때 상피 궤양의 신속한 치유를 유발하거나 황반변성 이외의 다양한 질환 과정에 의해 붕괴되는 생물학적 조직 장벽을 안정화시킨다. 그 효과는 액틴 및 관련 세포구조 아세포 요소가 보툴리눔 독소에 의해 자극되어, 주사 후 세포구성 단백질의 상향조절을 유발하고 세포골격의 향상을 통한 세포 구조의 보존, 세포 내부 구조의 보존 및 세포들 간의 부착의 향상, 액틴 생산 및 생물학적 장벽을 지지하고 향상시키는 세포들 간의 미세소관 교차연결의 향상을 유발한다는 신규한 생물학적 관찰에 중점을 둔다.
표적 궤양은 대장, 사지 및 하퇴를 따르는 피부, 욕창, 압박 궤양, 각막 궤양, 구강 및 혀 궤양화, 식도 궤양, 위 궤양, 난치성 외과 및 피부 상처, 화상 유도성 상처, 혈관염에 의해 유도된 궤양, 수술에 의해 유도된 골단위 주변의 세균 및 진균 감염, 직장주위 궤양, 방사선 유도 궤양, 구강 및 치은 궤양, 치은 압배, 결막 궤양 및 감염 후 궤양에서 발생한다. 주사 가능한 및 국소 전달 방법은 이러한 주사에 대해 작동적이다.
중요한 상피/내피 장벽은 망막색소상피 장벽뿐만 아니라 각막 상피 완전성, 요도와 방광의 비뇨기과적 상피 장벽, 혈뇌 장벽, 혈관과 각막 내피의 내피 장벽, 내피 미세융모와 위장관의 복구 및 충치와 치주 질환의 생성에 중요한 치은 장벽의 향상을 포함한다. 생물학적 장벽은 표적 기관 및 관련 조직의 건강 유지를 위해 필요한 장벽 완전성을 향상시키는 액틴 및 관련 단백질 세포골격의 증대에 의해 향상된다.
보툴리눔 독소는 경련성 근육, 일시적으로 탈신경화된 선(에크린선 및 피지선, 타액선, 전립선, 누선), 비점막으로부터의 점액 분비물, 위산 분비를 치료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었다. 근육 표적은 아세틸 콜린의 혈관 방출의 차단에 의해 아세틸 콜린 방출을 차단함으로써 근신경 차단을 유도하여 신경성 근위축증을 유발하였다. 표적은 중쇄가 막 수용체 대한 보툴리눔 독소 중쇄의 C-말단을 통해 시냅스전 막에 결합하여 경쇄가 세포질로 침투하여, 세포외배출(exocytosis)에 필수적인 기계-융합 단백질인 SNAP-25의 절단을 일으키는 것을 수반한다. 근신경 접합부의 차단은, 그 효과가 관련 영역으로 표적화되고 합병증을 유발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확산이 일어나지 않는 방식으로, 주사 부위 주변의 영역에서 용량-의존적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적용 이외에, 보툴리눔 독소는 본원에서 내피 표면의 완전성을 증가시켜 표면의 세포 대 세포 완전성을 향상시키고 표면의 장벽 기능 및 노화 또는 질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성 변화로부터 표면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세포 효과는 효과적이고 확실하게 치료하기가 어렵고 흔히 치료가 불가능한 새로운 적응증에 보툴리눔 독소를 적용하는 것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신경근 주사 차단과 관련된 이전에 설명된 "부수현상"에 기인한다. 보툴리눔 독소를 주사하면 시냅스전 소포로부터의 아세틸 콜린의 세포외배출이 차단되고 탄력 없는 근육이 마비되고 후속적으로 근육세포가 위축된다. 부수현상은 근신경 차단부 주변의 신경의 발아와 신경근 접합부로부터 새로운 신경의 성장을 수반한다. 이전의 관찰자들은 이러한 세포 반응이 근신경 차단의 바로 다음이었다고 해석하였지만, 이 설명은 이러한 효과가 증가된 단백질 합성과 발아를 유발하는 액틴 및 관련 세포구성 단백질의 발현을 유발하는 보톨리눔 독소 및 관련 단백질에 의해 직접적으로 자극된 액틴 및 관련 세포구성 단백질을 향사시키는 보툴리눔 독소의 직접적인 효과라는 관찰을 무시한다. 이러한 관찰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 및 임상 적용에 대해 작동적이며 보톨리눔 독소가 표적화된 조직에 이익을 가져다 주는 세포내 과정을 정의한다.
액틴 및 관련 부착 및 관련 단백질 세포구조는 많은 세포 및 세포 조직 기능, 수명 및 장벽 완전성에 중요하다. 프로그램된 세포 사멸은 세포골격 단백질의 자발적인 세포 파괴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백질은 세포 극성, 특수화 및 세포 부착에 중요하다. 염증, 변성, 감염, 대사작용 교란, 외상 또는 화상에 의해 유발된 파괴된 세포 및 조직에서의 액틴 및 관련 단백질의 상향조절은 세포 및 조직이 사멸 및 파괴에 저항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보툴리눔 독소의 본질적인 효과는 치유 과정을 도와서 상처 치유를 향상시키고 상피 치유 및 치유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툴리눔 독소의 사용 실시에 중요하다. 세포골격 향상 약물은 다양한 원인에 근거한 파괴로부터 세포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다.
C2, C3와 유사한 세포골격 변화를 달성하기 위한 보툴리눔 독소 유형(국소 적용 및 주사)
보툴리눔 독소는 A(1-5)형, B형, C형, C2형, C3형, D형, E형, F형, G형으로서 존재한다. 독소 C2,3형은 액틴의 용해, 증가된 조직 및 세포 투과성 및 완전성에 영향을 주어 세포 독성 효과를 유발함으로써 세포 사멸을 유발하는 세포독성 효과를 유발한다. 다른 신경독소는 이완성 마비, 호흡기 마비로 인한 질식에 의해 유기체 사망을 유발한다. 본 발명의 필수 성분은 다양한 형태의 비-C2,C3형 독소를 사용하여, 더 낮은 용량(예를 들어, 다양한 형태의 A형 독소)에서의 적용에 의한 보톨리눔 사용의 세포보호 효과로서 액틴 및 관련 단백질 생성에 대한 세포내 및 세포간 향상 효과를 달성하는 것을 수반한다. 사실상, 보툴리눔 독소의 다양한 형태 및 용량(농도)은 조직 유형과 세포주기에 따라 세포골격 단백질에 대한 반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관찰 및 파생 적용은 본 발명의 실시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이다. 세포골격의 향상 및 보존에 의한 A형 보툴리눔 독소는 본원에 기재된 소정의 투약 및 적용 방법에 있어서 보호성이며 독성이 아닐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은 A형과 같은 특정의 이소형의 보툴리눔 독소의 공지된 효과에 반대되는 직관이다.
상피 표면
상피 표면은 건강과 다양한 형태의 질환 및 손상에 대한 복원력에 중요한 세포 및 조직 완전성 요건을 갖는 경향이 있다.
피부와 점막은 인체의 겉으로 보이는 상피 표면이다. 피부는 신체의 수분 함량을 유지하고 습도, 온도 및 대류 변화에 따른 생명을 위협하는 탈수증으로부터 보호한다. 피부는 생물학적 장벽의 기능에 중요한 단단하게 결속된 편평 상피 세포를 포함한다. 이러한 세포들은 기저막에 단단히 부착되고 있고 상피 표면에 정상인 평면상에서 서로 단단히 부착되어 있는 배아 세포로부터 발생한다. 액틴 및 관련 미세소관 구조는 이들 세포의 세포질에서 강력하게 발현되며 화상, 바이러스성 질환, 외상, 자가면역 질환, 변성 질환 및 유전적 결함과 같은 다양한 공격에 반응한다. 기능성 장벽으로서 피부의 기여에 중요한 아세포 요소는 세포경유 관 구성, 데스모좀 및 헤미-데스모좀 및 세포막 완전성을 포함하는 많은 수의 부착을 허용하는 피부 세포의 액틴 및 미세소관 구성을 포함한다. 액틴 및 관련 단백질 교란을 수반하는 질환 및 유전적 실험 모델은 장벽의 파괴를 유발하여 구조적 변화, 탈수, 단백질 손실과 손상 및 구조적 피부 손상을 초래한다.
본원에서, 피부 세포의 액틴 및 관련 미세소관 요소를 변경시켜 다음을 가능하게 하는 접근법이 기재된다:
1. 증발, 단백질 누출, 프로테아제 효소, 면역글로불린 및 백혈구가 상피 장벽에 잠재적으로 해로울 수 있으므로 피부 장벽의 완전성이 국소 또는 주사 가능한 보툴리눔 독소에 의해 유지된다.
2. 궤양 및 다른 형태의 피부 불연속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치유될 수 있도록 상피 세포의 완전성 및 증식을 향상시킨다.
3. 피부 압박 궤양, 안면 마비 또는 안구돌출로 인한 안구 궤양, 역류로 인한 식도 점막과 식도 궤양, 방사선 또는 화학요법과 같은 자극으로 인한 방광 궤양, 활성 또는 과거 십이지장 궤양 환자에서의 소화기 궤양, 세균 또는 유전적 소인에 의한 치은 상피의 파괴로 인한 치은압배와 같은 상처 궤양이 형성되지 못하게 하는 예방적 요법으로서 기능한다.
점막 표면은 또한 궤양화 및 장벽 완전성의 손실과 관련된 기능장애에 걸리기가 쉽다. 이러한 완전성의 상실은 효소, 면역글로불린 및 관련 세포 요소, 예컨대 점막 표면의 장벽 기능 및 다른 세포 기능에 추가 손상을 줄 수 있는 다형핵 백혈구의 누출을 초래할 수 있다. 보툴리눔 독소는 주사 또는 국소 투여에 의해 적용될 때 점막 세포 구조의 미세소관 변경을 일으켜 상피 세포의 장벽 기능을 증가시킴으로써 상피 세포의 장벽 기능의 완전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본원에서는, 액틴 및 점막의 관련 미세소관 요소 및 세포간 결합 단백질(카데린) 세포를 변경시켜 (1) 피부 장벽의 완전성이 국소 또는 주사 가능한 보툴리눔 독소에 의해 유지되도록 하고/하거나(증발, 단백질 누출, 프로테아제 효소, 면역글로불린 및 백혈구는 상피 상 장벽에 잠재적으로 유해하다) (2) 상피 세포 완전성 및 증식이 향상되어 궤양 및 다른 형태의 피부 불연속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치유 될 수 있는 접근법이 기재된다.
적용 가능한 점막 표면의 예는 결막, 질, 직장, 폐포, 사구체 및 세뇨관, 장, 위장, 식도, 비점막, 구강 점막, 치아-치은 점막(치주 질환), 세기관지 및 기관 점막, 방광 점막, 요도 점막, 요관 점막 및/또는 담낭 및 담관 점막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상적으로, 보툴리눔 독소는 신경근 약화 효과에 기초하여 역동적 선(dynamic line) 및 주름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접근법은 수십 년 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수십억 달러 수익 시장의 원천이다. 상기 접근법은 또한 종점으로서 강제적인 안면주름을 사용하는 이러한 적응증들에 대한 미국 FDA 승인 경로의 대상이 되었다. 근육 주사는 호의적인 심미적 결과를 내기 위한 주사 목표으로서 설명된다.
개시된 제형 및 치료 방법은, 일부 경우에, 상피 표면의 세포 대 세포 부착을 견고히 하고 심미적 적용에 대한 더 많은 통찰력과 유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근육 조직에서 멀리 떨어진 표면상의 다수의 천자 부위에 있는 비-근육 영역에 주사에 의해 보툴리눔 독소를 적용하는 것은 피부결에 유익하고 비-역동적 선(휴지기 근육 긴장 또는 근육 수축에 의해 생성되지 않는 주름)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개시된 제형은 근육 약화 효과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것보다 훨씬 더 적은 다수의 천자 부위를 따라 전달될 수 있다.
Rho 단백질 계열에 대한 보툴리눔 독소 작용
특정 면역-유형의 보툴리눔 독소는 비-신경근 기전에 의해 세포 손상 및 중독을 일으키는 세포독소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화학 및 세포 효과 둘 다에서 독특한 보툴리눔 C2,C3형이다. 상기 독소는 액틴에 의한 액틴 용해, 및 혈관 누출, 혈역학적 불안정성 및 사망으로 인한 밀착연접의 파괴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독소는 액틴 형성 및 완전성을 방해하는 ADP 리보실화 독소로서 작용한다. 최근에, 보툴리눔 독소 A형은 섬유아세포 이동과 기능을 방해하고 피부 흉터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찰자들에 의한 관찰결과는, 다른 보툴리눔 독소가 액틴 형성, 및 세포 운동성과 조직 기능 완전성과 같은 액틴과 관련된 세포 기능을 손상시키는 방식으로 액틴 세포 골격 요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생물학적 효과는 독소가 높은 용량에서 투여되어 세포 기능을 손상시킨다면 부정적이다.
세포 운동성은 Rho 단백질 계열의 구성원(Cdc2, Rac, Rho)으로부터 이러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액틴 세포 중합 및 용해가 신속하게 일어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단백질들은 또한 많은 조직 장벽 기능에 중요한 세포 극성, 운동성의 유지에 관여한다.
상기와 달리, 본원에서 설명되는 발명은 생물학적 장벽을 구성하는 비-운동성 상피 세포에 대한 세포 대 세포 접촉 및 세포 대 기저막 접촉을 향상 및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결함이 존재할 때 세포 이동을 향상시키거나(침체시키지 않음) 내피 부착 및 변환에 결함이 있을 때 질환 과정에 중요한 생물학적 장벽을 향상시키는 장벽 세포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수반한다. 장벽 기능장애의 개선은 독소로부터의 세포구성 효과에 기인한다. A형 보툴리눔 독소는 신경 유래 세포 배양물 중에서 액틴 섬유의 재구성과 관련되었고, 이는 관련 C2,C3형 및 D형 독소와 반대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세포 대 세포 접촉을 방해하는 것이 아니라, A형 독소는 액틴 및 관련 단백질로 하여금 세포 대 세포 접촉을 견고히 하고 생물학적 장벽의 완전성을 증가시키고 상피 장벽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상피 및 내피 성장을 촉진하여 내피와 상피 세포 장벽의 결함을 봉쇄하는 구성으로 세포골격을 재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그 기전은 Rho 계열의 유사한 효소와 상호작용하여 액틴 및 관련 단백질 재구성의 상대적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밀착연접을 향상시키고 액틴과 이의 부착 단백질 카데린 및 특수화된 세포 중간체 필라멘트의 생물학적 상호작용이 세포 기능 및 장벽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과 관련될 수 있다.
위의 내용은 발표된 보고서와 반대되는 것으로 보이지만, 바로 신경근 효과가 용량에 의해 제어되는 것과 같다. 이러한 세포학적인 효과들은 또한 본원에 기재된 의학적 병태를 치료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용량은 장벽 및 세포 부착 품질을 향상시키는 방식으로 액틴 골격을 조절하여 상피 장벽 내 기능을 증가시킴으로써 액틴, 카데린 상호작용으로 인해 부착이 향상된 세포골격에 대한 역치하 효과(subliminal effect)에 기초하여 질환 과정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복합체 대 순수한 신경독
약제 설계에서의 현재의 노력은 보툴리눔 독소 제제로부터 부속 단백질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단백질에는 헤마글루티닌 및 비-헤마글루티닌 비-신경독소 단백질이 포함된다. 최근, 보툴리눔- 관련 단백질 헤마글루티닌은 조직 유형에서의 카데린 단백질의 상호작용 및 약화와 연관되었다. 카데린 상호작용은 신경 시냅스의 완전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할 수 있다. 이러한 붕괴는 급격해져서 시냅스전 뉴런의 액틴 세포 요소를 더욱 파괴하고 시냅스전 구조에서의 보툴리눔 독소 흡수를 향상시킴으로써 보툴리눔 독소 흡수의 보다 효과적인 침투를 유발하여 주사 가능한 또는 국소 적용되는 보툴리눔 제형의 효력 및 유효성을 향상시킨다. 카데린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은 게놈 반응을 촉발하여 세포와 조직 복구를 위한 카데린 및 관련 단백질을 향상시킨다.
보툴리눔 독소의 일부 제형의 효과는 임상의에 의해 보툴리눔 복합체와 동등하지 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BOTOX® 대 XEOMEN). 뉴런으로의 보툴리눔 독소의 침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막 상호작용성 물질은 역가를 향상시키는데 유용할 수 있다. 최근에, 추피 및 성인 발병 연축성사경에 관한 두 연구는 운동 뉴런 축삭돌기 말단으로의 침투를 증가시키도록 설계된 보조제 폴리라이신(다가양이온)을 기반으로 증가된 역가를 보고하였다. 축삭돌기 말단으로의 뉴런의 침투를 증가시키고 효력을 향상시키는 방식으로 근육 대 축삭돌기 뉴런 말단 세포내 부착 단백질에 대한 제형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헤마글루티닌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대체 방법이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1단계 황반변성의 예방적 요법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요법은 Eylea®, Lucentis® 및 Avastin®과 같은 항-VEGF 약제를 사용함에 있어 현재의 배치 방법을 대표하하는 유리체강내 주사에 대한 온화한 배치 대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방법은 고위험 환자, 1단계 AMD로 진단된 환자 및/또는 지도형 위축 또는 2단계(삼출성) AMD로 진행할 수 있는 고위험 특징을 갖는 환자에 대한 예방적 요법을 제공하는 신규한 치료 접근법을 제공할 기회를 제공한다.
현재의 관행에서, 황반변성은 질환이 망막색소상피 아래 또는 위에서의 새로운 혈관 성장 및 새로운 혈관 성장으로부터의 망막내 및 망막하 누출을 포함하는 급속한 시력-파괴 2단계 변성으로 진행하기 전에 1단계로 종종 진단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황반변성과 관련된 것으로 밝혀진 고위험 다형성 유전자 구조에 대한 게놈 검사에 기초하여 AMD에 대한 고위험 환자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임의의 단계를 예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및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방법은 후방 안구, 황반 또는 안내 구조에 대한 보톨리눔 효과를 허용하는 방식으로 안와, 안와주변, 안와주위 영역(부비동 또는 관자) 및/또는 익구개와 외측 안와 영역에 안외 주사를 지속한다. 상기 방법은 환자를 모니터링하고, 본원에 기재된 황반변성 평가를 위한 방법을 사용하여 표적화된 안구 또는 안구들에서 황반변성의 발병률을 결국에는 감소시키는 것을 지속할 수 있다.
개시된 방법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AMD의 발달 및 진행의 위험 요소가 있다. 예를 들어, 고려할 수 있는 위험 요소는 드루젠 및 드루제노이드 병변의 수 및 용적, 표적 또는 반대쪽 안구에서의 지도형 위축의 정도 및 위치, 신경망막으로의 과반사성 초점의 수 및 위치(드루젠-드루제노이드상의 위치), IS-OS 선 또는 외핵층의 연속성의 손실 및 해체, 드루젠 내의 과다색소침착 또는 색소침착저하, 드루젠의 수와 크기의 동적 변화, 연성 드루젠, 과반사성 초점, IS-OS 선 ONL 및 가성 드루젠의 존재 및 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추가적으로, 유전자 검사는 중증 황반변성과 관련된 다형성뿐만 아니라 보체 인자 및 중증 질환과 관련된 다른 유전자를 평가하기 위해 개시된 방법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황반부종
황반부종의 많은 원인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황반부종은 빈번하게 당뇨병과 동반되며, 여기서 망막 내의 손상된 혈관이 소량의 혈액을 포함한 체액을 망막으로 누출하기 시작한다. 이것은 당뇨병과 연관된 시력 상실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때때로 지방 침전물이 망막 내부로 누출될 수도 있다. 이러한 누출은 황반이 팽윤되게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생물학적 장벽은 망막-혈관 내피 및 망막 순환 중의 지지 주피세포에 의해 한정된다.
백내장 수술을 포함한 안구 수술은 혈관이 자극되어 체액을 누출하기 때문에 황반부종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백내장 수술 후에 발생한 황반부종은 낭포황반부종(CME)이라 불린다. 다른 황반부종 원인 중 일부는 1형 및 2형 당뇨병, 연령관련 황반변성(AMD), 포도막염, 망막 정맥 폐색(망막 분지 정맥 및 중심 정맥 폐색- 실시예 8), 방사선으로 인한 망막의 작은 정맥의 막힘, 황반 모세혈관확장증, 특정 의약의 부작용 및 망막층간분리증 또는 망막 색소침착증, 색소실조증과 같은 특정의 유전 장애를 포함한다. 개시된 제형 및 방법은 이러한 상태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유발 된 황반부종을 치료, 예방 또는 치유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이다.
본원에 설명된 기전에 의해, 망막 혈관(내피 및 주피세포) 주변에서 발생하는 장벽이 증대되어 적은 누출, 적은 황반부종 및/또는 시력 보존이 유발될 수 있다. 이러한 적응증에 대해, 주사는 황반변성에 대해 설명된 유사한 방식으로 평면부(안내 주사)를 경유하여 또는 안구 주위의 연조직 주사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더 높은 침투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 투여량을 이용한 국소 적용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더 높은 용량은 1 내지 5,000유닛의 범위 내에 있다.
신장 기능(장벽 기능) 및 신증후군
신증 범위 단백뇨는 소변 중으로 또는 단일 자리 소변 또는 단일 자리 소변 채집물에서 1일 3그램 이상의 단백질이 배설되고 뇨 크레아티닌 1g당 단백질 2g의 존재하는 것이다. 신증후군은 낮은 혈청 알부민 수준 및 부종과 함께 신증 범위 단백뇨가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신증후군에는 최소 변화 신병증, 초점성 사구체경화증 및 막성 신병증과 같은 주요 신장 질환을 포함한 많은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신증후군은 또한 신장 외에 다른 기관에서 발생하는 전신성 질환, 예컨대 당뇨병, 아밀로이드증 및 홍반성 루푸스로부터 초래될 수 있다. 신증후군은 양쪽 성별 및 임의의 인종의 성인 및 소아에서 발생할 수 있다. 신증후군은 전형적인 형태로 또는 신염 증후군과 동반하여 발생할 수 있다. 후자는 혈뇨 및 신장 기능 손상을 동반한 사구체 염증을 의미한다.
신증후군은 신장에 특이적인 질환으로 원발성일 수 있거나, 이는 전신성 일반 질병의 신장 징후로 속발성일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사구체의 손상이 본질적 특징이다. 세관 및 간질에서 발생하는 신장 질환, 예컨대 간질성 신염은 신 증후군을 유발하지 않을 것이다.
신증후군의 원발성 원인에는, 대략적 빈도 순서로, 최소-변화 신장병증, 초점성 사구체경화증, 막성 신장병증, 및 유전성 신장병증이 포함된다. 속발성 원인에는, 대략적 빈도 순서로, 진성 당뇨병, 홍반성 루푸스, 바이러스 감염(예를 들어, B형 간염, C형 간염,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HIV]), 아밀로이드증 및 파라단 백혈증, 자간전증 및 효소 대체 요법으로 인한 동종항체가 포함된다.
신증 범위 단백뇨는 IgA 신병증과 같은 다른 신장 질환에서 발생할 수 있다. 흔한 사구체 질환에서, 환자의 3분의 1은 신증 범위 단백뇨를 가질 수 있다. 신증후군은 겸상 적혈구 질환을 앓는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신부전으로 진행할 수 있다. 막성 신병증은 이식편 대 숙주 질환과 관련하여 골수이식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 치료적 관점에서 보면, 신증후군은 스테로이드 민감성, 스테로이드 내성, 스테로이드 의존성 또는 빈번한 재발성으로서 분류될 수 있다.
건강한 개체에서는, 0.1% 미만의 혈장 알부민이 사구체 여과 장벽을 따라 횡단할 수 있다. 사구체 투과성 장벽을 가로지르는 알부민의 거르기에 관한 논란이 있다. 실험 동물의 연구에 기초하여, 계속해서 1일당 수 그램의 알부민이 소변으로 빠져나가고 동등한 상당한 알부민이 세뇨관에서 흡수되어, 결과적으로 소변은 1일당 80mg 이하의 알부민을 함유한다고 제안되었다.
그러나, 세뇨관 수송 결함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사구체의 배뇨 공간 알부민 농도는 약 3.5mg/L라고 제시하였다. 상기 농도 및 150리터의 정상적인 1일 사구체 여과율(GFR)에서, 최종 소변 중에서 1일당 최대 525mg의 알부민을 예상할 수 있다. 건강한 상태에서, 여과된 알부민의 대부분이 세뇨관에 재흡수되기 때문에 소변 알부민은 50 mg/일 미만이다. 500 mg/일 이상의 양은 일반적으로 사구체 질환을 가리킨다.
사구체 모세혈관은 사구체 기저막에 있는 유창 내피세포로 둘러싸여 있고 기저막은 다시 발돌기 과정(foot process)이라 불리는 세포 확장으로 모세혈관을 둘러싸는 발세포(podocytes) 또는 사구체 상피로 덮여있다. 발돌기 과정 사이에 여과극이 있다. 이러한 3가지 구조 - 유창내피, 사구체 기저막 및 사구체 상피-는 사구체 여과 장벽이다. 사구체 장벽의 개략도는 도 2에 제공되어 있다.
도 8은 사구체 장벽의 개략도이다. 도 8에서, 약어 "GBM"은 사구체 기저막을 지칭하고 "ESL"은 내피 세포 표면층(종종 글리코칼릭스로서 지칭됨)을 지칭한다. 원뇨는 사구체 장벽을 가로지르는 혈장 유체의 여과를 통해 형성된다(화살표); 인간에서 사구체 여과율(GFR)은 125 mL/분이다. 혈장 유속(Qp)은 700 mL/분에 가깝고 여과 분율은 20%이다. 혈청 중의 알부민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40 g/L이며, 원뇨 중의 예상 알부민 농도는 4 mg/L 또는 이의 혈장 중 농도의 0.1%이다.
혈장액과 혈장 용질의 여과는 세포외에서 유창내피 및 여과극을 통해 일어난다. 발세포 및 여과극의 중요성은 유전 질환에 의해 나타난다. 피니시(Finnish) 유형의 선천성 신증후군에서는, 여과극의 단백질인 네프론에 대한 유전자가 돌연변이되어 유아기에 신증후군을 일으킨다. 마찬가지로, 발세포의 단백질인 포도신(podocin)은 스테로이드 내성 초점성 사구체경화증을 앓는 수많은 아동에서 비정상적일 수 있다.
단백뇨를 유발할 수 있는 사구체의 구조적 변화는 내피 표면, 사구체 기저막 또는 발세포의 손상이다. 이러한 기전 중 하나 이상은 신증후군의 어느 한 유형에서 나타날 수 있다. 알부민뇨가 단독으로 발생하거나, 더 큰 손상이 있다면 모든 혈장 단백질의 누출(즉, 단백뇨)이 일어날 수 있다.
알부민이 85%을 초과하는 단백뇨는 선택적 단백뇨이다. 알부민은 순 음전하를 가지며, 사구체 막 음전하의 손실은 알부민뇨의 유발에 중요할 수 있다고 제안되어 있다. 모든 혈장 단백질의 사구체 누출인 비선택적 단백뇨는 사구체 순전하의 변화가 아니라 전반적인 투과성 결함을 수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단백뇨가 선택적인 최소 변화 신병증을 제외하고는, 단백뇨의 원인을 명확하게 분리할 수 없게 한다.
세뇨관은 또한 세포 대 세포 부착 및 기저막에의 부착에서의 장벽 기능에 의해 통제된다. 신장 또는 신장으로 들어가는 신경을 표적으로하는 것은 장벽 기능이 필수적인 신장 질환을 치료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보툴리눔 독소는 세포-세포 접착 및 기저막에의 부착에 필수적인 단백질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에, 사구체 장벽과 세뇨관에서의 부착 복합체의 향상은 신장 질환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신장은 중간 내지 아래 등에 가깝게 후복막강 내에 있어서, 이 기관이 신경분포와 축삭형질 수송을 통해 배근 및 기관을 경유한 주사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바늘은 등 주사 및 투약 노모그램을 통한 확산으로부터 신장에 접근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치료 목표는 투석이 필요한 당뇨병에서 진행을 늦추거나 고위험 환자(예를 들어, 진행성 당뇨병 환자, 전신성 루푸스 환자, 파라단백혈증,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환자 또는 1차 신증후군)에서 사구체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적으로 처치하는 것일 수 있다.
치주 질환 치아 손실
치아는 치주 인대(PDL) 섬유에 의해 주변의 지지 치조골에 부착되어 있다. PDL 섬유는 뼈에서 나와서 치아의 전체 뿌리 표면에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백악질까지 뻗어있다. PDL 섬유는 또한 부착 기구에 의해 치조골을 덮고 있는 치은(잇몸) 조직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부착은 치조골의 능선(crest) 또는 높은 곳의 표면에 존재하기 때문에, 치조정상방(supracrestal) 부착 기구라 일컬어진다. 이러한 기구는 치주 질환에서 악화될 수 있다.
치조정상방 부착 기구는 2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관상 접합 상피 및 더 첨단의 치은 연결 조직 섬유. 2개의 층은 함께 치은 조직의 두께를 형성하며 이러한 치수는 생물학적 폭이라 일컬어진다. 치태-유도성 치주 질환은 일반적으로 파괴성 또는 비파괴성으로 분류된다. 임상적 부착 손실은 파괴성(생리학적으로 비가역적인) 치주 질환의 징후이다. 상피 층의 질은 치주 질환의 정도와 진행을 한정한다.
상피층의 장벽 기능은 치주 질환을 예방하고 지연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국소 주사인 국소 적용에 의한 보툴리눔 독소의 반복 사용은 세포-세포 부착의 증대로 인해 더 단단한 봉쇄를 야기하여 뼈 손실의 질 및 PDL 완전성을 보호할 수 있다. 치은염에서, 치주조직의 치조정상방 영역에 국소화된 염증은 접합 상피의 궤양화를 유도한다. 비록 이것은 기술적으로 임상적 부착의 손실이지만, 임상적 부착 손실이란 용어는 거의 독점적으로 결합 조직 부착 손실을 나타내는 데에만 사용된다. 반복된 보툴리눔 주사의 사용은 궤양, 상피 미란과 함께 후속적인 PDL 완전성의 손실, 연결 조직 부착 및 뼈 손실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실시예 1 - 종래의 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삼출성(습성) 황반변성
71세의 노인 남성은 반복적 Avastin® 유리체강내 주사 및 Eylea 유리체강내 주사(10회 주사)에 비바응성이었던 상당한 망막하 및 중심와하(subfoveal) 체액을 갖는 진행성 황반변성으로 진단되었다(도 9a 내지 9e). 환자를 이마, 둘레(orbicularis) 및 측두와에서 100유닛의 보툴리눔 독소 A형(BOTOX®)으로 처리하였고, 이로 인해 후속 주사시 항-VEGF 제제에 대한 실질적으로 증대된 반응이 일어났고 중심와하 체액이 상당히 분해되었다(도9a 내지 9e 참조).
환자는 이전에 성공하지 못한 항-VEGF 치료보다 항-VEGF와 보툴리눔 제형의 병용 후 그의 시력이 향상되었다고 언급하였다. 그 해석은 후속 항-VEGF 전에 투여된 보툴리눔 독소가 반응을 향상시키고 (선행 보툴리눔 독소 주사 때문에) 상기 환자를 습성 황반변성에서 건성 상태로 전환시켰다는 것이었다.
상기 환자의 해부학적 개선은 안구 간섭 단층촬영술로 입증된 망막의 평탄화, 망막하 및 망막내 체액의 감소, 맥락막 신생혈관 막의 감소 및 RPE의 두꺼워짐을 포함하였다(도 9f). 이러한 해부학적 조사결과는 삼출성 연령관련 황반변성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는 전형적인 것이다.
실시예 2 - 비삼출성 황반변성(건성 황반변성)
상기 실시예의 결과는 도 10a 및 10b에 나타낸다. 잘 입증된 각 안구의 비삼출성 황반변성을 갖고 각 우안 및 좌안의 시력이 약 20/40인 노인 여성은 머리, 안와주위 영역 및 상기 영역의 자율 및 감각 신경절 구조를 표적으로 하여 익구개와쪽으로의 부위에 총 약 100 유닛을 포함하는 보툴리눔 주사를 투여받는다. 환자는 약 3개월 동안 대비 감도와 시력의 선명도가 느리게 개선된다는 것을 주목한다. 그녀는 시력을 유지하기 위해 추가의 A형 보툴리눔 독소(BOTOX-A®, Allergan) 주사를 원하였다. 안과 검사에서, 시력의 주관적 개선에 대한 다른 어떤 이유도 주사 전 및 주사 후 검사에서 확립될 수 없다.
광학 간섭 단층촬영술은 망막색소상피의 증가된 표면 규칙성뿐만 아니라 드루젠 체의 평탄화 및 퇴보를 나타낸다(도 10). 조사결과에는 주관적인 시각 개선이 수반되었다.
이론에 의해 구애되고자 함이 없이, 안와주위의 신경 구조에 주사하는 것은 안구로의 축삭형질 수송을 가능하게 하여 망막색소상피 기능의 기능 및 가능하게는 구조를 개선시켜 시력을 개선시킨다고 믿어진다.
실시예 3- 필라멘트성 각막염(상피 시트의 직접적 표면 검사에 기초한 각막 상피 완전성 및 부착의 향상)
71세의 노인 남성은 10년 동안 안검경련에 대해 치료를 받았다. 그는 40 내지 80유닛 범위의 주사 후 개선되었다고 언급하였다. 동시에, 그는 필라멘트성 각막염을 갖는 것으로 진단되었다. 점적 형태(20유닛)에 의해 및 주사에 의해 눈꺼풀에 보툴리눔 독소를 투여한 후, 필라멘트는, 컴퓨터화 반사 각막 지형도검사(computerized reflective corneal topography)로 입증되는 바와 같이, 소실되었거나 광 민감도의 감소, 통증의 감소, 시력의 개선 및 상피 규칙성의 증가와 관련하여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상피의 증가된 부착성은 그의 각막 표면의 개선과 함께 시력 개선, 표면 왜곡의 감소 및 완화된 통증을 야기하였으며 이에 부수적으로 박리리된 필라멘트의 용해를 야기하였다.
실시예 4
장기 지속된 1단계 황반변성을 앓는 82세 노인 여성을 1단계 황반변성에 대해 약 4년 동안 추적관찰하였다. 그녀는 1년에 걸쳐 좌안에서 약간의 시력이 감소했다고 언급하였다. OCT(Zeiss)는 이전의 스캔으로부터의 변화로서 변성된 망막색소상피상의 망막내 체액의 축적을 보여주었다(도 11a 내지 11d 참조). 이전의 스캔은 RPE 불연속 및 파괴의 증거와 신경-망막 RPE 이동(신경망막으로 이동하는 초점성 과반사성 병변)과 함께 RPE의 시트 구성의 불규칙성을 갖는 건성 변성을 나타냈다(도 11a).
환자에게 부작용에 대해 조언을 한 후 보툴리눔 독소를 여러 위치에서 측두근 아래 및 안와주변 영역에 주사하였다(다회 투여량 주사). 익구개와 영역도 확산 효과의 표적이었다. 도 11b는 황반변성의 습성 형태로의 전환과 중심와주변 누출을 보여준다.
Avastin® 또는 Eylea®로의 치료 계획은 2주 이내에 이루어졌다. 70 IU의 보툴리눔 독소 A형을 익구개와를 향해 근육하 주사하였다. 10일 후 반복적 OCT 스캔은 체액의 분해가 없음을 보여주었다(도 11c). 14일 후, 체액의 완전한 분해가 있었다(도 11d 참조).
상기 사례는 효과의 템포가 축삭형질 흐름으로 예상된 지연과 일치하여 약 14일을 필요로 하였음을 나타냈다. 상기 사례는 2단계 황반변성(습성 종류)에서 1단계로의 전환을 나타냈다. Eylea® 또는 Avastin®로의 안내 주사는 필요하지 않았으며 안내 주사는 중단되었다. 환자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조사되었다.
실시예 5
20년 동안 반측안면경련을 앓은 87세 노인 여성. 그녀는 4년 전에 건성 황반변성이 발병하였다. 그녀가 망막하 공간과 신경-망막으로의 누출이 있는 습성 변성으로 전환된지 2년 후, Avastin®을 수회 주사한 결과, 신경-망막이 건성화되었고 시력이 개선되었다. 그녀는 통상의 OCT 검사로 중심와주변 영역에서의 체액 재축적이 밝혀졌을 때 약 2년 동안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그녀의 반측안면경련를 위해 보톨리눔 독소 주사를 이 병태에 대해 일상적인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또한, 20 내지 30유닛의 심부 주사는 신경절을 향하는 익구개와 쪽으로 유도되었다. 그녀의 주사 전 사진은 도 12a에 도시한다.
2주 후에, 중심와주변 체액의 개선이 일어난 것이 주목되었다(도 12b). 시력은 좌안에서 20/40으로부터 20/25로 향상되었다. 중심와의 양쪽 면의 체액 축적이 2주 후에 상당히 완화되었음을 주목한다. 또한 구조적 규칙성의 증가(RPE의 표면 평활성이 향상되고, 흑백 및 외부 제한 막 및 IS-OS 계면이 보다 뚜렷짐)이 증가한다. 10주차에, 보툴리눔 독소의 지속기간 종료를 알게되고 액체 축적이 재발하기 시작한다. 10주 동안 체액이 재축적된 후 주사를 반복하면 제2 사이클 반응이 일어났고 망막내 부종이 완전한 해소되었다. 주사 투여량을 100 유닛으로 증가시켰다.
실시예 6 - 황반부종
35세의 2형 당뇨병 병력이 있는 90세 노인 남성은 백내장 수술 5년 후 황반부종을 호소한다. 미세 동맥류/누출은 황반에서 검사 및 혈관 조영술에 의해 입증된다. 황반부종은 OCT에 의해 입증된다. 40 U의 보툴리눔 A형 독소를 안구 및 안와 밖의 익구개와 영역에 주사한다. 3주 후, 황반부종의 완전한 해소가 있다. 본 실시 예의 실험 결과는 도 13a 및 13b에 제공된다. 특히, 도 13a는 주사 전의 황반부종을 도시하고, 도 13b는 (공간적 컴퓨터 등록과 함께) 익구개와를 향해 측두 주사한지 3주 후에 볼 수 있는 황반부종 증상 감소를 예시한다. 반복 주사가 계획된다.
실시예 7 - 후향적 검토
초기 관찰 후(실시예 11), 노년층 그룹의 질환인 여러 유형의 안검경련 및 경부 근긴장이상(보툴리눔 독소로 치료됨)의 수 백가지 기록의 후향적 검토를 진행성 연령관련 황반변성에 대해 실시하였다. 반복된 보툴리눔 주사를 받는 동안 어떤 환자에서도 황반변성 진행은 없었다. 60세 이상의 환자에서 이러한 공통된 문제의 부재는 드문 경우이며, 동시적인 보툴리눔 치료로 인해 효과가 유발됨을 시사한다. 이러한 환자들의 투약 범위는 전형적으로 10 내지 600유닛이었다.
실시예 8 - 중심정맥 폐색
다른 의학적 이유로 5개월 동안 항-VEGF 치료를 받을 수 없었던 중심정맥 폐색을 앓는 84세 노인 여성은 극심한 황반부종 및 손동작 시력(hand motion vision)을 호소하였다. 50유닛의 보툴리눔 독소를 관련 측면에 주사하였다. 2주 후, 황반부종은 SD OCT에서 60 내지 70% 감소하였고 관련 안구에서 시력이 약간 개선되었다(CF 3 ft). 환자에게 100유닛을 반복 투약하였다.
선택된 실시형태
일부 실시형태에서, 황반변성의 발생을 예방 및 늦추는 방법이 제공된다. 일부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보툴리눔 신경독소, 이의 단편 및/또는 신경독소 관련 단백질을 포함하는 제형을 황반변성으로 인한 시력 상실을 앓고 있거나 황반변성으로 인한 시력 상실의 위험이 있는 인간 또는 포유류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및 다른 실시형태에서, 보툴리눔 신경독소, 이의 단편 및/또는 신경독소 관련 단백질은 A1-A5, B3, C1-3, D, E, F, G 및 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항-VEGF 주사 가능한 제제의 활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일부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보툴리눔 신경독소, 이의 단편 및/또는 신경독소 관련 단백질을 포함하는 제형을 삼출성 형태의 황반변성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형이 안내 주사 또는 안외 주사를 통해 환자에게 투여되는 단계 및 항-VEGF 제제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된 실시형태에서, 제형은 보툴리눔 신경독소 또는 이의 단편 및 항-VEGF 제제를 함유하는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및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형은 항-VEGF 제제와 별도로 환자에게 투여된다. 특정의 경우에, 항-VEGF 제제는 라니비주맙, 베바시주맙 및 아플리베르셉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망막 색소변성증으로 인한 진행성 시력 상실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일부 경우에, 보툴리눔 독소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제형을 망막 색소변성증을 앓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형은 안내 주사 또는 안외 주사를 통해 환자에게 투여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당뇨병, 중심 또는 분지 정맥 폐색, 변성 망막 질환, 망막 색소변성증(RP) 망막 질환 또는 포도막염으로 인한 당뇨 황반부종으로 인한 시력 상실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일부 경우에 보툴리눔 독소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제형을 당뇨병, 분지 정맥 폐색 또는 포도막염으로 인한 황반부종을 앓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제형은 안내 주사 또는 안외 주사를 통해 환자에게 투여된다.
선택된 실시형태에서, 환자에서 연령관련 황반변성을 예바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상기 방법은 보툴리눔 독소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제형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제형은 안내 주사 또는 안외 주사를 통해 환자에게 투여된다. 이러한 및 다른 실시형태에서, 환자는 병력 또는 유전자 평가에 의해 결정된 바에 따르면 황반변성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환자에서 치주 질환 및 치아 손실을 치료하는 방법이 본원에서 설명된다. 개시된 방법은 보툴리눔 독소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제형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형은 치은, 말초 신경, 구강 점막 또는 안면 또는 입 주변 영역의 피부에 주사되거나 국소 적용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환자에서 만성 신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개시된 방법은 보툴리눔 독소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제형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형은 신장 또는 신장으로 진입하는 하나 이상의 신경을 포함하는 주변 영역에 주사되거나 국소 적용된다. 다수의 다른 예시 실시형태들은 본 개시내용의 고려시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정의 및 약어
본문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다음 용어들은 언급된 정의를 갖는다.
AMD - 연령관련 황반변성.
VEGF- 혈관 내피 성장 인자. VEGF는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계열의 두 구성원, VEGF 수용체(VEGFR)-1 및 VEGFR-2에 결합한다. VEGFR-2는 주요 VEGF 수용체로 간주되고 혈관 내피 세포에 대한 VEGF의 증식 효과를 매개한다. VEGFR-2에 결합하는 VEGF는 세포내 키나제 도메인에 의해 수용체의 이량체화 및 후속 자가인산화를 유도하고, 이는 분열촉진 및 증식 신호를 초래한다. VEGF-C 및 VEGF-D는 상기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계열의 또 다른 구성원인 VEGFR-3에 결합한다.
보툴리눔 독소 - 재조합 시스템에서의 발효 또는 유전적 발현에 의한 씨 보툴리눔 종으로부터 유래된 임의의 면역형, 보툴리눔 분획, 아형.
HA - 발효 또는 다른 자연적 과정, 또는 재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발현 시스템(부속 단백질)에서의 클로스트리디아 보툴리눔(Clostridia botulinum) 생산으로부터 유래된 헤마글루티닌.
RPE- 포유류의 망막색소상피. HA는 또한 보툴리눔 부속 단백질이다.
OCT- 안구 간섭 단층촬영술의 스펙트럼 영역 또는 임의의 다른 버전 또는 향상.
NHNT - 씨 보툴리눔의 발효 또는 재조합 생산에 의해 생산된 비-신경독소, 비-헤마글루티닌 단백질. NHNT는 또한 부속 단백질이다.
항-VEGF - 혈관신생 및/또는 누출을 억제하는 임의의 공지된 VEGF 단클론 또는 융합 단백질, 또는 VEGF 제제. 본원에서 사용되는 항-VEGF 용어는 VEGF의 다수의 이소형을 인식하는 제제를 지칭한다. 제제는 VEGF 수용체의 조각 또는 수용체 구조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보체 단백질 - 보체 활성화 캐스케이드에 관여하는 임의의 보체 인자.
주사 - 임의의 바늘 또는 미세바늘 형태를 이용한 보툴리눔 독소(및 필요한 경우 기타 화합물)의 투여
안검경련 - 보툴리눔 독소의 안구주위 투여로 치료되는 병태(일반적으로 10 내지 300유닛의 투약 범위를 이용함).
신경펩티드 - 물질 P, CGRP, VIP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공지된 신경펩티드.
ELM - 망막의 외부 제한 막.
IS/OS - 광수용체의 내분절 및 외분절을 한정하는 선.
스트레스 섬유 - 세포막을 왜곡시키고 소정의 조직 또는 상피층에서의 장벽 효과를 파괴하는 수축성 액틴 및 관련 단백질의 응축
CRVO - 망막 중심정맥 폐색.
BRVO - 망막 분지정맥 폐색.
nAMD- 신혈관형성을 갖는 2단계, 3단계 AMD(누출이 있는 활성 혈관신생 단계).
생물학적 장벽 - 조직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세포-세포 부착 및 세포-기저막 부착에 의존하는 생물학적 장벽
mRNA - 메신저 RNA.
통상의 투약 - 두경부의 적응증에 대한 임의의 FDA 승인된 보툴리눔 독소 투약
제형 -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형'은 부형제가 존재하거나 부재하는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제제의 조성물을 지칭한다.
융합 단백질 - 각 단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보존하여 조성물의 유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산업적으로 생산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첨가. 일반적으로, 융합 단백질은 발현 시스템에 존재하는 유전자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종종 PCR을 사용하여 적절한 세포 시스템에서 발현되는 연결된 유전자 또는 유전자 단편 융합체를 나타낸다.
거대분자 - 핵산, 단백질, 탄수화물 또는 지질과 같이 분자량이 비교적 큰 큰 분자.
활성 - 용어 "활성"은 통상적인 산업-인정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소정의 화합물의 특이적 활성 또는 생물학적 활성을 지칭한다. 화합물의 활성은 순도 또는 농도를 정량하는 데 사용되며 질량당 유닛으로서 계산된다.
Rho - Rho 계열 GTP아제.
Ras - 상피 분화, 세포골격 재구성, 세포 성장을 유지시키는 Ras 관련 C3 보툴리눔 독소 기질.
Ras 2 - 세포골격 재구성에 관여하는 단백질.
Ras 3 - 세포간 신호전달 경로에 관여하는 단백질.
ROCK1 - 악토마이신 세포골격의 단백질 키나제 조절인자는 혈관신생, 세포 운동성에서 중요한 수축력 생성을 촉진한다. RhoA의 주요 하류 이펙터.
IU - 20 내지 30 gm 스위스 웹스터 마우스에 대한 보툴리눔 LD 50, "마우스 유닛"
HcA - 신경 세포에 대한 결합 도메인으로서 작용하는 보툴리눔 A형 중쇄의 단편.
SNAP-25 - 시냅토솜 관련 단백질 25는 트랜스-SNARE 복합체의 성분이고, 시냅스 소포와 세포질 막을 함께 결합시키는 단단한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융합을 직접 실행하는 것으로 제안되어 있다. L 쇄 보툴리눔 활성에 대한 기질.
정육각형 - 모든 면이 동일한 6면의 닫힌 도형.
안과 의사 - 안구의 의학적 및 외과적 질환을 치료하도록 훈련된 의사. 임무는 안구와 안구주위 영역에 주사하는 것을 포함한다.
EMT - 상피 중간엽 세포 변환.
GA - 지도형 위축(건성 AMD의 최종 단계 형태).
RPE 위축 - 망막색소상피의 수축, 평탄화 및 필수적 생리학의 손실.
CNV- 맥락막 혈관신생(체액을 누출시키는 신혈관형성 단백질 및 출혈). RPE 아래, 망막 아래 및 신경망막 내에서 발생한다.
누출 - 체액의 생물학적 장벽을 통한 안내 구조로의 비정상적인 생리학적 이동. 용어 "누출"은 본원에서 신경망막, 망막하 공간 또는 맥락막(RPE하) 내의 체액 축적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누출은 흔히 시야의 왜곡 및 광수용체의 폐쇄와 연관된다.

Claims (25)

  1. 연령관련 황반변성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보툴리눔 신경독소 또는 이의 단편을 황반변성을 앓고 있거나 황반변성의 위험이 있는 인간 또는 포유류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보툴리눔 신경독소의 투여가 망막하 누출, 망막내 누출, 맥락막 누출을 감소시킴으로써 습성 및 삼출성 황반변성을 완화시키고, 시력 상실을 회복시키고 예방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보툴리눔 신경독소가 환자의 이마, 환자의 안구주위 영역, 환자의 비강 영역, 환자의 목, 환자의 비점막, 환자의 부비동, 환자의 안와주변(para-orbital) 영역 및 환자의 익구개와(pterygopalatine fossa) 중 하나 이상에 또는 그 부근에 주사되고, 보툴리눔 신경독소가 환자의 안내 영역으로 주사되지 않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보툴리눔 신경독소의 투여가, 안내 출혈, 내안구염, 망막 박리, 망막 파열, 수정체 전위, 백내장 형성 및 안내압의 증가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안내 주사로 인한 합병증을 피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보툴리눔 신경독소가 0.5 내지 25,000 LD 50 유닛의 투여 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보툴리눔 신경독소가 통상적인 투여에 따르는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보툴리눔 신경독소가 환자의 안구의 유리체 또는 안방수로 주사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보툴리눔 신경독속가 0.01 내지 3,000 LD 50 유닛의 투여 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보툴리눔 신경독소가 통상적인 투여량에 따르는 용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보툴리눔 신경독소가 안구바깥(epibulbar) 주사 또는 국소 투여를 통해 환자에게 투여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보툴리눔 신경독소의 투여가 환자의 시력을 개선시키고/시키거나 보존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보툴리눔 신경독소 또는 이의 단편이 보툴리눔 독소 A1-A5, B, C1-3, D, E, F, G 및 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보툴리눔 신경독소가 다가양이온성 단백질 또는 거대분자와 함께 투여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황반변성이 OCT 또는 플루오레세인 혈관 조영술에 의해 결정되는 바에 따르면 건성이고 삼출성이 아닌,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황반변성이 OCT 및/또는 안저촬영술에 의한 맥락막, 망막색소상피 및 신경-망막의 분석에 의해 평가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보툴리눔 신경독소가 하나 이상의 부속 단백질과 함께 투여되는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보툴리눔 신경독소가 순수한 신경독소로서 투여되는, 방법.
  18. 연령관련 황반변성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신경독소가 없고 하나 이상의 단리된 헤마글루티닌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을 함유하는 보툴리눔 독소 유래의 복합체화 단백질을 포함하는 제형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헤마글루티닌이 특정 보툴리눔 신경독소 투여 활성에 상응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제형이 주사 또는 국소 투여에 의해 투여되는, 방법.
  20. 보툴리눔 신경독소 또는 이의 단편;
    항-VEGF 제제의 융합 단백질 첨가제; 및
    안정화 부형제
    를 포함하는 주사 가능한 제형.
  21. 제20항에 있어서, 보툴리눔 독소 또는 이의 단편이 보툴리눔 독소 A1-A5, B, C1-3, D, E, F, G 및 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주사 가능한 제형.
  22. 제20항에 있어서, 융합 단백질 첨가제가 라니비주맙, 아비시파르, 베바시주맙 또는 아플리베르셉트인, 주사 가능한 제형.
  23. 보툴리눔 독소 또는 이의 단편;
    항-VEGF 제제의 비공유 첨가; 및
    안정화제
    를 포함하는 주사 가능한 제형.
  24. 제23항에 있어서, 보툴리눔 독소 또는 이의 단편이 보툴리눔 독소 A1-A5, B, C1-3, D, E, F, G 및 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주사 가능한 제형.
  25. 제23항에 있어서, 항-VEGF 제제가 라니비주맙, 아비시파르, 베바시주맙 또는 아플리베르셉트인, 주사 가능한 제형.
KR1020197019685A 2016-12-08 2017-12-08 황반변성의 신규 치료 방법 KR201900936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31512P 2016-12-08 2016-12-08
US62/431,512 2016-12-08
US201762449914P 2017-01-24 2017-01-24
US62/449,914 2017-01-24
US201762533961P 2017-07-18 2017-07-18
US62/533,961 2017-07-18
US15/834,491 2017-12-07
US15/834,491 US11123411B2 (en) 2016-12-08 2017-12-07 Method of treating macular degeneration using botulinum toxin-based pharmaceuticals
PCT/US2017/065271 WO2018107005A1 (en) 2016-12-08 2017-12-08 Novel method of treating macular degene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626A true KR20190093626A (ko) 2019-08-09

Family

ID=62488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685A KR20190093626A (ko) 2016-12-08 2017-12-08 황반변성의 신규 치료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1123411B2 (ko)
EP (1) EP3551219A4 (ko)
JP (1) JP2020500938A (ko)
KR (1) KR20190093626A (ko)
AU (1) AU2017370732A1 (ko)
CA (1) CA3084970A1 (ko)
IL (1) IL267146B1 (ko)
SG (1) SG10202106120PA (ko)
WO (1) WO20181070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40553B2 (en) 2014-06-28 2017-12-12 Kodiak Sciences Inc. Dual PDGF/VEGF antagonists
JP7088454B2 (ja) 2015-12-30 2022-06-21 コディアック サイエン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抗体および抗体複合体
US11096993B2 (en) 2016-12-08 2021-08-24 Gary E. Borodic Method of treating macular degeneration using botulinum toxin-based pharmaceuticals
WO2018132423A1 (en) * 2017-01-10 2018-07-19 Cellsnap Llc Hybrid neurotoxins and uses thereof
JOP20200275A1 (ar) 2018-05-10 2020-11-02 Regeneron Pharma صيغ تحتوي على بروتين اندماج لمستقبلvegf مرتفعة التركيز
CN109308701A (zh) * 2018-08-31 2019-02-05 南京理工大学 深度级联模型的sd-oct图像ga病变分割方法
AU2020205535A1 (en) * 2019-01-09 2021-08-26 Fuso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traocular or oral administration for treatment of retinal diseases
CA3157509A1 (en) 2019-10-10 2021-04-15 Kodiak Sciences Inc. Methods of treating an eye disorder
TW202142240A (zh) * 2020-02-06 2021-11-16 日商力博美科股份有限公司 視網膜下高反射病灶或伴隨視網膜下高反射病灶之視網膜疾患的治療劑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7773B1 (en) 1998-08-25 2009-05-26 Botulinum Toxin Research Associates, Inc. Chemodenervating pharmaceutical as anti-inflammatory agent
US6428189B1 (en) 2000-03-31 2002-08-06 Relume Corporation L.E.D. thermal management
US7146209B2 (en) * 2000-05-08 2006-12-05 Brainsgate, Ltd. Stimulation for treating eye pathologies
US20040170665A1 (en) 2000-06-02 2004-09-02 Allergan, Inc. Intravitreal botulinum toxin implant
DE10035156A1 (de) 2000-07-19 2002-02-07 Biotecon Ges Fuer Biotechnologische Entwicklung & Consulting Mbh Proteinkomplex als Vehikel für oral verfügbare Protein-Arzneimittel
US20040058313A1 (en) * 2002-04-24 2004-03-25 Abreu Marcio Marc Compositions, targets, methods and devices for the therapy of ocular and periocular disorders
US7691394B2 (en) 2002-05-28 2010-04-06 Botulinum Toxin Research Associates, Inc. High-potency botulinum toxin formulations
US7595430B2 (en) 2002-10-30 2009-09-29 University Of Kentucky Research Foundation Methods and animal model for analyzing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US7220422B2 (en) * 2003-05-20 2007-05-22 Allergan,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eye disorders
US20070059336A1 (en) 2004-04-30 2007-03-15 Allergan, Inc. Anti-angiogenic sustained release intraocular implants and related methods
US7749515B2 (en) * 2005-02-01 2010-07-06 Allergan, Inc. Targeted delivery of botulinum toxin to the sphenopalatine ganglion
US20090082321A1 (en) * 2007-09-21 2009-03-26 Allergan, Inc. Steroid containing drug delivery systems
US8642067B2 (en) 2007-04-02 2014-02-04 Allergen,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traocular administration to treat ocular conditions
US8821870B2 (en) * 2008-07-18 2014-09-02 Allergan, Inc. Method for treating atrophic age related macular degeneration
US9393291B2 (en) 2012-04-12 2016-07-19 Botulinum Toxin Research Associates, Inc. Use of botulinum toxin for the treatment of cerebrovascular disease, renovascular and retinovascular circulatory beds
US20160278627A1 (en) 2015-03-25 2016-09-29 Oregon Health & Science Universit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370732A2 (en) 2019-07-25
CA3084970A1 (en) 2018-06-14
US20180296651A1 (en) 2018-10-18
EP3551219A1 (en) 2019-10-16
EP3551219A4 (en) 2020-12-30
JP2020500938A (ja) 2020-01-16
SG10202106120PA (en) 2021-07-29
AU2017370732A1 (en) 2019-07-18
WO2018107005A1 (en) 2018-06-14
US11123412B2 (en) 2021-09-21
IL267146A (en) 2019-08-29
US11123411B2 (en) 2021-09-21
IL267146B1 (en) 2024-02-01
US20180161407A1 (en)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3626A (ko) 황반변성의 신규 치료 방법
Kumar et al. Delivery of immunoglobulin G antibodies to the rat nervous system following intranasal administration: Distribution, dose-response, and mechanisms of delivery
TWI284536B (en) Novel use of botulinum in the treatment of parathyroid and calcemia disorders
JP2021520373A (ja) Cgrpを阻害する際に使用するための神経毒素
Wang et al. Intravitreal delivery of human NgR-Fc decoy protein regenerates axons after optic nerve crush and protects ganglion cells in glaucoma models
CN105050600A (zh) 眼底疾病治疗剂
KR20190134588A (ko) 다중 키나아제 억제제 및 안구 섬유증에의 사용
EP3448388B1 (en) Dipeptidyl peptidase-4 inhibitors for topical eye treatment of retinal neurodegenerative diseases
US20200368331A1 (en) Novel Method of Treating Macular Degeneration Using Botulinum Toxin-Based Pharmaceuticals
US20180344806A1 (en) Novel Method of Treating Macular Degeneration Using Botulinum Toxin-Based Pharmaceuticals
US20210138032A1 (en) Non-antibody vegf antagonists for the treatment of neovascular glaucoma
Cunha-Vaz The blood–retinal barrier in retinal disease
US20190282792A1 (en) Compounds for use in methods for treating glaucoma and retinal diseases
WO2020009248A1 (ja) 眼組織の線維化抑制用組成物
US20200046813A1 (en) Novel Method of Treating Macular Degeneration Using Botulinum Toxin-Based Pharmaceuticals
US11096993B2 (en) Method of treating macular degeneration using botulinum toxin-based pharmaceuticals
JP2006523461A (ja) 羊ヒアルロニダーゼを単離し精製する方法
Yavuz Saricay et al. Can Nerve Growth Factor (NGF) Be a Treatment Option for Pediatric Eye Diseases?
KR101277873B1 (ko) Ninjurin 활성 억제제를 포함하는 신경세포 또는 내피세포 재생용 조성물
US20240131113A1 (en) Protein-based therapies for ocular conditions
Navarro-Partida et al. Safety and Tolerability of Topical Ophthalmic Triamcinolone Acetonide-Loaded Liposomes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Its Biologic Activity in Patients with Diabetic Macular Edema. Pharmaceutics 2021, 13, 322
Ghoz Ocular neovascularization: pathological changes in cornea, conjunctiva and retina
Madi Neuroprotective Effect of Intraocular BDNF and Optogenetic Stimulation of Visual Cortex on Retinal Ganglion Cell Survival and Function in the Rat following Optic Nerve Injury
KR101818151B1 (ko) 트렌스페린을 포함하는 허혈성망막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RU2277413C2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вторичной дистрофии роговиц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