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004A - 기존 건축물을 활용하여 항노화 황토방 건축물로 리모델링 하기 위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기존 건축물을 활용하여 항노화 황토방 건축물로 리모델링 하기 위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004A
KR20190093004A KR1020180012404A KR20180012404A KR20190093004A KR 20190093004 A KR20190093004 A KR 20190093004A KR 1020180012404 A KR1020180012404 A KR 1020180012404A KR 20180012404 A KR20180012404 A KR 20180012404A KR 20190093004 A KR20190093004 A KR 20190093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ber
building
existing building
floor
o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748B1 (ko
Inventor
차화신
Original Assignee
차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화신 filed Critical 차화신
Priority to KR1020180012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7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93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ceramics or cla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원은 기존 건축물 내부에서 황토방으로 탈바꿈시키는 내장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리모델링 수단으로 전문숙련공이 아닌 경우에도 일반 작업자가 건축물의 벽체와 바닥체의 특징적 내장구조를 쉽고 안전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의 황토방 건축물의 리모델링 내장구조 관련 기술이다.
본원은 기존 건축물의 측벽 내측에 가로 또는 세로로 각목을 대고 타카나사못을 사용하여 측벽에 각목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공정으로 각목과 각목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숯층을 채우고 한지황토판재를 각목에 고정시켜벽체를 형성하도록 적용되고, 기존 건축물의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각목을 고정하고 각목 사이로 숯층을 내장시키고 그 상부에 합판재를 깔아주고 합판재 상부로 수맥차단판을 깔아주며 수맥차단판 상부로 단열재를 깔아주고 단열재 상부에 메쉬망을 깔고 메쉬망에 온수배관을 배열하고 온수배관 상부에서 통상의 바닥면 적층구조를 형성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단기간에 재건축이 이루어지도록 적용되는 기존 건축물의 내장재 시공방법 관련 기술이다.

Description

기존 건축물을 활용하여 항노화 황토방 건축물로 리모델링 하기 위한 시공방법{Building Remodel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Loess Board, and Remodeled Building Thereof}
본원은 시골의 농가주택이나 창고시설, 경로당, 찜질방 등의 다중 이용시설의 기존 건축물 내부에 황토방 건물로 리모델링하기 원할 때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현재의 우리나라 시골은 70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30%를 차지하는 노령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으며, 젊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떠나고 많은 농가주택이 빈집 상태로 있는 실정이며, 이 곳 저곳에 창고시설도 활용이 없는 상태로 빈집상태로 방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시골 노인 어르신들이 따뜻한 황토방 찜질을 원하면서도 종래의 황토방을 구입하는 5000만원 내지 6000만원 비용을 부담할 수 없어서 황토성분이 제공하는 원적외선이 방출 효과에 의한 항노화 효과를 누리지 못하는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기존 건축물 내부에 황토방 건물로 재건축하기 원할 때 기존건물의 벽체에 황토판재를 부착시키고 바닥체에 수맥차단재와 라돈가스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황토방 건축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로서, 특히 공기를 단축하여 짧은 시간에 견고한 내장구조를 갖는 황토방을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황토는 온도 및 습도의 조절 능력이 뛰어나서 일찍이 건축 소재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최근에는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인간에게 매우 유익하여 항노화 소재라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어 황토벽돌이나 황토판재, 황토판넬 형태로 제작되어 예를 들어, 찜질방이나 황토방과 같이 특별히 제작되어 소위 최근의 웰빙 욕구 바램을 충족시켜 주고 있다.
상기와 같은 욕구에 부응하여 본원 출원기업 청우산업(주)는 황토방 건축물 관련 기술로 등록특허 10-0915410호에서 "바닥부나 벽면에 부착되는 황토판재 및 그 시공방법", 등록특허 10-1374130호에서 "아토피 질환에 개선효과를 제공하는 황토판재 및 그 제조방법",등록특허 10-0881070호에서 "한지원료인 천연의 닥 펄프와 황토를 주원료로 사용하여얻는 한지황토판재 및 그 이용방법", 등록특허 10-1398920호에서 "황토와 솔잎을 함유하여 제공되는 솔잎황토판재 및 솔잎황토판재를 바닥재와 벽면재로 사용하여 솔잎향을 발하는 뜸질방으로 이용하는 방법", 등록특허 10-1754641호에서는 2중 구조의 구들장을 갖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로써 이동식 황토방 건물의 현장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공장에서 저부의 바닥구조물 및 상부 황토방건물을 각각 분리 제작한 후 바닥구조물과 황토방건물이 현장에 운반되어 손쉽게 조립되어 적용되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관련 기술이 제시되어 있고, 등록특허 10-1645559호 기술에서는 공기 질 개선효과와 결로현상 방지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구조로써 다양한 분야의 다중이용 복지시설에 내장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농막이나 전원 황토방의 용도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 이동식 황토방 건물을 만들어 납품하여 왔으며, EBS 극한직업에 방영되어 유명세를 타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 구조의 황토방 건물을 완성하기까지에는 너무나 많은 일손이 소요되고 작업공정이 장기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와 같은 특허기술은 모두 공장에서 제작되고 대형크레인과 화물트럭으로 설치장소로 운반되어 현장에 설치되어야 하는 구조이므로 예를 들면, 시골의 농가주택이 빈집 상태로 있거나 창고시설도 활용이 없는 상태이거나, 시골 경로당에 노인들이 모여 따뜻한 황토방 찜질을 원할 때나 또는 기존 건축물에 설치된 찜질방의 여유공간에 황토방 건물로 재건축하기 원할 때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 아니어서 안따까움을 갖고 있었는바, 기존 건축물의 벽체와 바닥체를 뜯어내지 않고 벽체와 바닥체, 천정부 등이 그대로 존재하는 상태로 그 내부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공기를 줄이면서 견고한 내장구조를 갖는 황토방 건축물로 탈바꿈시키는 시공방법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공정이 쉽고 빠르고 견고한 작업공정으로 기존 건축물 내부에서 황토방으로 탈바꿈시키는 내장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문숙련공이 아닌 경우에도 일반 작업자가 건축물의 벽체와 바닥체의 특징적 내장구조를 쉽고 안전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의 황토방 건축물의 리모델링 내장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 기술은 기존 건축물을 활용하여 황토방 건축물로 리모델링하기 위한 내장재 시공방법으로서, 기존 건축물의 측벽 내측에 가로 또는 세로로 각목을 대고 타카나사못을 사용하여 측벽에 각목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키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공정으로 각목과 각목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숯층을 채우고 한지황토판재를 각목에 고정시키는 제2단계; 공정을 포함하여 벽체를 형성하도록 적용되어서 외부와 내부의 온도차이로 생기는 벽면의 서리끼는 현상을 배제하는 구조를 이루고,
기존 건축물의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각목을 고정하고 각목 사이로 숯층을 내장시키고 그 상부에 합판재를 깔아주고 합판재 상부로 수맥차단판을 깔아주며 수맥차단판 상부로 단열재를 깔아주고 단열재 상부에 메쉬망을 깔고 메쉬망에 온수배관을 배열하고 온수배관 상부에서 통상의 바닥면 적층구조를 형성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지하로부터 전달되는 수맥현상에 대한 공포를 해소하면서 단기간에 리모델링 작업이 완성되도록 적용되는 기존 건축물의 내장재 시공방법을 통하여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또한 본원 기술이 적용되는 리모델링 작업에서는 기존 건축물 바닥면에 각목을 고정하기 전단계에서 바닥면에 통비닐을 깔아서 라돈성분이나 습기의 침투를 사전에 차단하는 구조를 이루고 바닥부의 코너부에 배기배관이 설치되는 구성이 추가되어 라돈성분에 대한 피해의 우려를 없이하도록 적용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 기술이 적용되는 리모델링 작업에서는 상기 제1단계 공정에서 기존 건축물의 측벽에 설치되는 각목은 가로 * 세로 * 높이가 35±5 ㎝ * 35±5 ㎝ * 2±1 ㎝의 황토판재가 고정될 수 있는 간격으로 측벽에 고정되도록 적용되어 황토판재의 기본규격품이 사용되어 공기를 단축하도록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원 기술이 적용되는 리모델링 작업에서는 상기 제1단계 공정에서 사용되는 타카나사못은 기존 벽체의 두께에 따라서 10~20㎝ 범위 길이로 제공되는 타카나사못이 사용되도록 적용될 수 있는 기존 건축물의 내장재 시공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원 기술은 시골의 농가주택이 빈집 상태로 있거나 창고시설도 활용이 없는 상태로 방치되어 있거나, 시골 경로당에 노인들이 모여 따뜻한 황토방 찜질을 하기원하여 황토방으로 리모델링 하기 원할 때 기존 건축물의 벽체와 바닥체를 뜯어내지 않고 벽체와 바닥체, 천정부 등을 종래 상태로 유지하면서 그 내부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공기를 줄이면서 견고한 내장구조를 갖는 황토방으로 탈바꿈시키는 리모델링 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원 리모델링 공법이 적용되는 경우 종래의 황토방을 구입하는 5000만원 내
지 6000만원 비용의 1/5~ 1/10 비용으로 황토가 제공하는 원적외선이 방출효과에 의한 항노화 효과를 누리는 황토방으로 웰빙 욕구 바램을 충족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 기존건물의 벽체와 바닥면을 활용하여 리모델링 적층구조를 형성하는 적용예시도
도 2 : 리모델링 건물의 벽체를 형성할 때 황토판재를 부탁시키는 일 적용예시도.
본원 기술은 시골의 농가주택이나 창고시설, 또는 경로당 시설, 여러사람이 이용하는 다중 이용시설, 노인 요양시설 등에서 기존에 콘크리트 벽돌이나 콩크리트 벽체 구조가 설치된 상태에서 그 내부공간을 황토방 건물로 활용하기 원할 때 리모델링 형태로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따라서 기존 건축물의 구조나 성격에 따라 여러 적용기준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나 본원에서는 공통적으로 기존 건축물의 측벽 안쪽에 가로 또는 세로로 각목을 대고 타카나사못을 사용하여 측벽에 각목을 일정 간격으로 종 및 횡으로 고정시키고 각목과 각목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숯층을 채우고 난 후 황토판재를 각목에 고정시켜 벽체를 형성시키는 공정과 기존건축물 바닥면을 형성할 때도 일정 간격으로 종 및 횡으로 각목을 고정시키고 각목과 각목 사이로 숯층을 내장시키고 그 상부에 합판재를 깔아주고 합판재 상부로 수맥차단판을 깔아주며 수맥차단판 상부로 단열재를 깔아주고 단열재 상부에 메쉬망을 깔고 메쉬망에 온수배관을 배열하고 온수배관 상부에서 통상의 바닥면 적층구조를 형성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단기간에 재건축이 이루어지도록 적용되는 기존 건축물의 내장재 시공방법에 특징부를 갖는바, 이를 도 1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에서 새롭게 개시되는 기술사상은 기존건물의 벽체(20)에 손쉽고 안전하게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제공하는 황토판재(10)가 설치되는 벽체구조로 제공하되 외부의 습기나 한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먼저 기존건물 벽체(20)구조 내부에 단열재를 포함한 구성이면 도 1에서의 단열재(20a)가 추가될 필요가 없으나 기존건물 벽체(20)구조 내부에 단열재가 없는 상태이면 먼저 벽체(20) 안쪽에 단열재(20a)를 대고 단열재 외측으로 각목(24)를 종 및 횡으로 고정시킬 때 탁카총을 활용하여 10~20㎝ 길이로 제공되는 타카나사못(23)이 벽체(20)와 단열재(20a)와 각목(24)을 일체화시키도록 고정시키고 종 및 횡으로 고정된 각목(24) 사이의 공간부에 숯층(25)을 채워주고 그 안쪽에 황토판재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벽체를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바닥면(40)의 적층구조를 설명하여 보면, 기존바닥부(30)의 상부에 먼저 통비닐(11)을 깔아서 라돈성분이나 습기의 침투를 차단하는 구조를 이룬 후 통비닐(11)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각목(31)을 종 및 횡으로 고정하고 각목(31)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공간에는 숯층(32)을 내장시키고 그 상부에 합판재(33)를 깔아주고 합판재 상부로 동판이나 알루미늄 판재로 제공되는 수맥차단판(34)을 깔아주고 수맥차단판 상부에 단열재(35)를 깔아주고 단열재 상부에 메쉬망(36)을 깔아주며 메쉬망 위에 온수배관(37)을 적정거리로 배열하며 메쉬망에 묶어 움직임을 방지하고 온수배관(37) 사이 사이 및 그 상부에서 통상의 바닥몰탈층(38)을 채우고 그 상부에 바닥면 도배나 또는 다른 바닥재(39)가 깔아주는 형태로 전체바닥면(40)을 구성하는 부분에 특징부를 갖는다.
따라서 본원의 기존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법에서 벽체구조는 내측부터 황토판재(10) + 숯층(25) + 각목(24) + 단열재(20a) + 기존벽체(20)까지 일체화되어 견고한 결합구조로 리모델링 벽체구조를 이루어서 하절기에는 외부의 더운 열기가 내부로 전달되지 않아서 시원한 느낌을 주고, 동절기 한파 가운데에서는 벽체에 성애가 형성되지 않는 견고한 결합구조의 벽체구조(30)를 형성하는 1차적 특징부와, 본원의 기존 건축물의 리모델링 공법에서 바닥구조(40)는 기존바닥부(30)에 + 통비닐(11) + 각목(31) + 숯층(32) + 합판재(33) + 수맥차단판(34) + 단열재(35) + 메쉬망(36) + 온수배관(37) + 바닥몰탈층(38) + 바닥재(39)가 깔려지는 바닥구조(40)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수맥차단 방지기능과 라돈가스 흡입방지기능을 제공하면서 견고한 결합구조를 이루도록 적용되는 구성에 2차적 특징부를 갖는다.
도 2는 본원의 리모델링 공법에서 건물의 벽체를 형성할 때 격자프레임(80)을 이용하여 황토판재(10) 쉽고 안전하게 부착시키는 일 적용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격자프레임(80)은 못 장착공(83)을 갖는 내측판(81)과 황토판재(10)를 지지하는 중앙상판(84) 및 중앙저판(85)과 전면으로 걸림턱 기능을 하는 외측판(82)을 갖는 구성되어 제공되어 본원 벽체를 형성할 때 기존벽체(20) 또는 단열재(20a) 외측으로 종 및 횡으로 설치된 각목(24)에 격자프레임(80)이 고정되고 격자프레임 사이에 황토판재(10)를 고정시키는 구조로 내벽면을 형성하는 일 적용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본원에 사용되는 황토판재는 예를들어 가로 * 세로 * 높이 = 33 * 33 * 1.5 ㎝ 규격의 황토판재(10)가 준비되고, 0.3~5.0 ㎜ 두께의 알루미늄판이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H형 격자프레임(80) 구조를 만들어서 벽면에 고정시키는 일 적용양태를 도 2a에서는 황토판재(10)가 벽체로 사용된 상태를 일측면에서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상하 황토판재(10) 사이에 격자프레임의 외측판(82)만 외부로 보이도록 적용되고, 도 2b에서는 도 2a를 이루기 까지의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황토판재의 상면 및 하면에 격자프레임에 끼움되기 위한 오목홈이 형성된 구조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의 설명을 통하여 본원에서 새롭게 개시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숙련된 기능인력이 없더라도 짧은 시간에 공사기간을 단축하여 기존 건축물을 황토방으로 리모델링하는 공법은 단순한 것 같으면서도 그 효과는 많은 사람들에게 웰빙의 효과를 제공하도록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기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출원인의 황토방 건축물 관련 선출원 등록특허 10-1782843호, 등록특허 10-0915410호, 등록특허 10-1754641호, 등록특허 10-1374130호, 등록번호 10-1645559호, 등록번호 10-139892호, 등록번호 10-159084호에 개시된 선행특허기술과 접목되거나 결합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기존 건축물을 활용하여 황토방 건축물로 리모델링하기 위한 내장재 시공방법에서, 기존 건축물의 측벽(20) 내측에 가로 및 세로로 각목(24)을 대고 타카나사못(23)을 사용하여 측벽에 각목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키는 제1단계 공정과 상기 제1단계 공정으로 각목과 각목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숯층(25)을 채우고 황토판재를 각목에 고정시키는 제2단계 공정을 포함하여 벽체를 형성하고, 기존 건축물의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각목(31)을 고정하고 각목 사이로 숯층(32)을 내장시키고 그 상부에 합판재(33)를 깔아주고 합판재 상부로 수맥차단판(34)을 깔아주며 수맥차단판 상부로 단열재(35)를 깔아주고 단열재 상부에 메쉬망(36)을 깔고 메쉬망에 온수배관(37)을 배열하고 온수배관 상부에서 통상의 바닥면 적층구조를 형성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단기간에 재건축이 이루어지도록 적용될 수 있는 기존 건축물의 내장재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종래의 황토방을 구입하는 5000만원 내지 6000만원 비용의 1/5~ 1/10 비용으로 황토가 제공하는 원적외선이 방출효과에 의한 항노화 효과를 누리는 황토방으로 웰빙 욕구 바램을 충족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10 : 황토판재 11 : 통비닐
20 : 기존 벽체 23 : 타카나사못
24 : 각목 25 : 숯층
30 : 기존바닥면 31 : 각목
32 : 숯층 33 : 합판재
34 : 수맥차단판 35 : 단열재
36 : 메쉬망 37 : 온수배관
38 : 바닥몰탈층 39 : 바닥재
40 : 바닥구조 80 : 격자프레임
81 : 내측판 82 : 외측판
83 : 장착공 84 : 중앙상판
85 : 중앙저판

Claims (4)

  1. 기존 건축물을 활용하여 황토방 건축물로 리모델링하기 위한 내장재 시공방법에 있어서,
    기존 건축물의 측벽 내측에 가로 또는 세로로 각목을 대고 타카나사못을 사용하여 측벽에 각목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키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공정으로 각목과 각목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숯층을 채우고 한지황토판재를 각목에 고정시키는 제2단계; 공정을 포함하여 벽체를 형성하도록 적용되고,
    기존 건축물의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각목을 고정하고 각목 사이로 숯층을 내장시키고 그 상부에 합판재를 깔아주고 합판재 상부로 수맥차단판을 깔아주며 수맥차단판 상부로 단열재를 깔아주고 단열재 상부에 메쉬망을 깔고 메쉬망에 온수배관을 배열하고 온수배관 상부에서 통상의 바닥면 적층구조를 형성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단기간에 재건축이 이루어지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건축물의 내장재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건축물 바닥면에 각목을 고정하기 전단계에서 바닥면에 통비닐을 깔아서 라돈성분이나 습기의 침투를 차단하는 구조를 이루고 바닥부의 코너부에 배기배관이 설치되는 구성이 추가되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건축물의 내장재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공정에서 기존 건축물의 측벽에 설치되는 각목은 가로 * 세로 * 높이가 35±5 ㎝ * 35±5 ㎝ * 3±1 ㎝의 황토판재가 고정될 수 있는 간격으로 측벽에 고정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건축물의 내장재 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공정에서 사용되는 타카나사못은 10~20㎝ 길이로 제공되는 타카나사못이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건축물의 내장재 시공방법.
KR1020180012404A 2018-01-31 2018-01-31 기존 건축물을 활용하여 항노화 황토방 건축물로 리모델링 하기 위한 시공방법 KR102089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404A KR102089748B1 (ko) 2018-01-31 2018-01-31 기존 건축물을 활용하여 항노화 황토방 건축물로 리모델링 하기 위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404A KR102089748B1 (ko) 2018-01-31 2018-01-31 기존 건축물을 활용하여 항노화 황토방 건축물로 리모델링 하기 위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004A true KR20190093004A (ko) 2019-08-08
KR102089748B1 KR102089748B1 (ko) 2020-03-16

Family

ID=6761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404A KR102089748B1 (ko) 2018-01-31 2018-01-31 기존 건축물을 활용하여 항노화 황토방 건축물로 리모델링 하기 위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74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896A (ko) * 2000-10-19 2001-02-05 탁성용 황토 건강바닥 시공 방법 및 바닥재
KR200305546Y1 (ko) * 2002-11-12 2003-02-26 김석돈 건축물의 황토벽체
KR100695941B1 (ko) * 2006-01-27 2007-03-16 문일호 조립식 바닥시트
KR20070072944A (ko) * 2006-01-03 2007-07-10 지태제 황토 패널과 이를 이용한 카본필름 활용 장치
KR20100011732U (ko) * 2009-05-25 2010-12-03 이승희 강화 마루 시공용 방습 시트
KR20120040927A (ko) * 2010-10-20 2012-04-30 조승연 라돈 가스 배출용 마감재와 이를 이용한 유해 물질 배출 시스템 및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896A (ko) * 2000-10-19 2001-02-05 탁성용 황토 건강바닥 시공 방법 및 바닥재
KR200305546Y1 (ko) * 2002-11-12 2003-02-26 김석돈 건축물의 황토벽체
KR20070072944A (ko) * 2006-01-03 2007-07-10 지태제 황토 패널과 이를 이용한 카본필름 활용 장치
KR100695941B1 (ko) * 2006-01-27 2007-03-16 문일호 조립식 바닥시트
KR20100011732U (ko) * 2009-05-25 2010-12-03 이승희 강화 마루 시공용 방습 시트
KR20120040927A (ko) * 2010-10-20 2012-04-30 조승연 라돈 가스 배출용 마감재와 이를 이용한 유해 물질 배출 시스템 및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748B1 (ko) 202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141397A (en) Building system
KR20060134839A (ko) 흙집
US8601761B2 (en) Techniques for building construction using fabricated timbers
KR100887757B1 (ko) 한옥의 벽체구조
RU2630829C2 (ru) Способ теплоизоляции здания
KR100908920B1 (ko)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슬래브 시공구조
KR101209183B1 (ko) 왕겨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황토주택 건축공법
US3378964A (en) Building construction and method
KR100806646B1 (ko)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
KR20190093004A (ko) 기존 건축물을 활용하여 항노화 황토방 건축물로 리모델링 하기 위한 시공방법
KR102089751B1 (ko) 섬유물질 함유 황토벽돌을 이용한 항노화 황토방 건축물 및 그 내장구조
Elias-Ozkan et al. Thermal performance of three different strawbale buildings at the Kerkenes Eco-center
KR20090110251A (ko) 스트로베일 하우스용 벽체 블록 및 상기 벽체 블록을 이용한 스트로베일 하우스 건축공법
JP2007284973A (ja) 煉瓦積み建築物
KR100677819B1 (ko) 목조주택의 벽체구조
KR20100084495A (ko) 황토 온돌마루 시공방법
KR101353841B1 (ko) 주택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151232B1 (ko) 조립식 황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바닥시공 방법
JP7479686B2 (ja) 壁パネル
Jones et al. Insulating livestock and other farm buildings
RU105652U1 (ru) Мал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моду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варианты)
KR100418963B1 (ko) 조립식 황토 패널과 그 제조방법
JP2002167978A (ja) 建築物の改修方法
JPH0216428B2 (ko)
KR100870128B1 (ko) 지반과 흙 방바닥, 흙 벽 및 흙 천장 일체형 다층 주택 건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