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2979A -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2979A
KR20190092979A KR1020180012351A KR20180012351A KR20190092979A KR 20190092979 A KR20190092979 A KR 20190092979A KR 1020180012351 A KR1020180012351 A KR 1020180012351A KR 20180012351 A KR20180012351 A KR 20180012351A KR 20190092979 A KR20190092979 A KR 20190092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ource assembly
display device
image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3385B1 (ko
Inventor
차병창
박상준
임희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2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385B1/ko
Priority to US16/142,945 priority patent/US10552111B2/en
Priority to EP18903899.5A priority patent/EP3747003A4/en
Priority to PCT/KR2018/013015 priority patent/WO2019151617A1/en
Publication of KR20190092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85Special arrangements for addressing the individual elements of the matrix, other than by driving respective rows and columns in combination
    • G09G3/2088Special arrangements for addressing the individual elements of the matrix, other than by driving respective rows and columns in combination with use of a plurality of processors, each processor controlling a number of individual elements of th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05Illumination controller or illuminated signs including a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6/00Detection of the display position w.r.t. other display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1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conveying information used for selecting or modulating the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5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originating from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6Consumer Electronics Control, i.e. control of another device by a display or vice vers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6Remotely controlled electronic signs other than lab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Abstract

제어장치가 개시된다. 제어장치는,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을 형성하는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며, 첫번째 행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 및 첫번째 열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첫번째 행의 광원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제1 직선 및 상기 첫번째 열의 광원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제2 직선의 교차점을 획득하는 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교차점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어장치{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광고주가 마케팅, 광고, 트레이닝 등에 활용하고 고객경험을 유도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툴로서, 공항, 호텔, 병원 등의 공공 장소에서 통사적인 방송 컨텐츠뿐만 아니라 광고주가 의도한 광고 컨텐츠를 함께 제공하는 디지털 영상 장치이다. 프로세서와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이 자유롭고 다양한 컨텐츠를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어서, 백화점, 지하철, 버스 정류장 등에서 홍보용, 고객 서비스용, 안내용 매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반드시 광고 컨텐츠만 제공되는 것은 아니고, 광고 이외의 다른 목적을 가지는 다양한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LED가 사용되고 있다. LED는 긴 수명과 높은 발광 효율을 가지기 때문에 종래의 형광등 및 백열 전구를 대체하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광원과 비교하여 소형이기 때문에 조명장치로 더 각광 받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원 어셈블리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되지 않더라도, 최외각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광원 어셈블리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광원 어셈블리의 휘도 또는 색 온도를 조정하는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어장치는,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을 형성하는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며, 첫번째 행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 및 첫번째 열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첫번째 행의 광원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제1 직선 및 상기 첫번째 열의 광원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제2 직선의 교차점을 획득하는 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교차점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첫번째 행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는, 첫번째 행, 첫번째 열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가 비활성화된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마지막 행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마지막 행의 광원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제3 직선과 상기 제2 직선의 제2 교차점을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 교차점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마지막 행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는, 마지막 행, 첫번째 열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가 비활성화된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마지막 열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마지막 열의 광원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제4 직선과 상기 제1 직선의 제3 교차점을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3 교차점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마지막 열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는, 첫번째 행, 마지막 열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가 비활성화된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마지막 열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마지막 열의 광원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제4 직선과 상기 제3 직선의 제4 교차점을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4 교차점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마지막 열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는, 마지막 행, 마지막 열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첫번째 행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는, 적어도 두 개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첫번째 열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는, 적어도 두 개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이미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원 어셈블리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되지 않더라도, 최외각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광원 어셈블리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광원 어셈블리의 휘도 또는 색 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21은 제어장치를 이용한 제어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상측, 하측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x축 방향은 오른쪽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x축 방향은 왼쪽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y축 방향은 위쪽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y축 방향은 아래쪽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z축 방향은 앞쪽 방향 또는 전방이라 칭할 수 있다. -z축 방향은 뒤쪽 방향 또는 후방이라 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제어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제어장치(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제어장치(100)와 통신 시스템 사이, 제어장치(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제어장치(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제어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신호 또는 이미지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에 따른 입력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제어장치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제어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제어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제어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제어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제어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복수로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장치(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와 윈도우 후방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로 기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을 외부에서 볼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는 케이스에 장착되어 케이스와 함께 제어장치(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윈도우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인 윈도우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제어장치(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100)에서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와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제어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제어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제어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제어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제어장치(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제어장치(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제어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에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제어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제어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어장치(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제어장치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는 제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 영역(SS1)을 제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2 단변 영역(SS2)을 제1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1 장변 영역(LS1)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2 장변 영역(LS2)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3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1 방향(DR1) 및/또는 제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향(forward direction) 또는 전측(front side) 또는 전면(front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향(backward direction or rearward direction) 또는 후측(back side or rear side) 또는 후면(back surface or rear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전방향(forward direction) 또는 전측(front side) 또는 전면(front surface)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방향(upward direction) 또는 상측(upper side) 또는 상면(upper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방향(downward direction) 또는 하측(lower side) 또는 하면(lower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우방향 또는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좌방향 또는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는 서로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는 서로 연동될 수 있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는 하나의 이미지 또는 하나의 영상의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가 출력하는 색 온도, 밝기, 명암, 색상, 톤 등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출력을 조정하여 동일한 색상, 밝기, 명암 등을 구현하도록 조율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에서, 각각의 픽셀이 출력하는 색 온도, 밝기, 명암, 색상, 톤 등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픽셀의 출력을 조정하여 동일한 색상, 밝기, 명암 등을 구현하도록 조율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장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출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장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출력 정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제어장치는 연산된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광원 어셈블리(10)는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광원 어셈블리는 광원(10)이라고 칭할 수 있다. 광원 어셈블리(10)는 레드 LED 칩, 그린 LED 칩 및 블루 LED 칩을 포함할 수 있다. LED 칩은 픽셀, 픽셀, LED 패키지 또는 패키지라고 칭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0)는 행(row) 또는 열(column)을 형성할 수 있다.
일 행을 형성하는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는, 일 행을 형성하는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0)는 등 간격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0)가 형성하는 행(r1, r2, r3, r4, r5, r6)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행(r1, r2, r3, r4, r5, r6)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일 변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행(r1, r2, r3, r4, r5, r6)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는, 각각의 행(r1, r2, r3, r4, r5, r6)은 서로 등 간격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일 열을 형성하는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는, 일 열을 형성하는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0)는 등 간격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10)가 형성하는 열(c1, c2, c3, c4, c5, c6, c7, c8)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열(c1, c2, c3, c4, c5, c6, c7, c8)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일 변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열(c1, c2, c3, c4, c5, c6, c7, c8)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는, 각각의 열(c1, c2, c3, c4, c5, c6, c7, c8)은 서로 등 간격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6개의 행과 8개의 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하였으나, 행 또는 열을 이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 또는 광원 어셈블리의(10) 파장, 휘도 등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생산 공정의 일부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 또는 광원 어셈블리(10)를 조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문적인 카메라가 아닌 일반 카메라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일반 카메라 또는 DSLR 카메라일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1)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정면을 정방향을 마주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가 정방향으로 촬영되지 않을 수 있다. 촬영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 아닌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촬영은 어두운 환경 또는 암실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촬영을 위해, 컨트롤러(18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코너 영역(CR1, CR2, CR3, CR4)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10a)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10a)를 활성화시키고, 나머지 광원 어셈블리(10b)를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카메라(121)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를 촬영하면, 활성화된 광원 어셈블리(10a)만 촬영될 수 있고, 비활성화된 광원 어셈블리(10b)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경계는 촬영되지 않을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코너 영역(CR1, CR2, CR3, CR4)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10a)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CR1, CR2, CR3, CR4)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10a)를 인식함으로써, 광원 어셈블리(10)의 전체적인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장치(100)는 특정 광원 어셈블리(10)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광원 어셈블리(10)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활성화된 광원 어셈블리(10)가 어느 행 및 어느 열에 위치하는지 연산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코너 영역(CR1, CR2, CR3, CR4)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10)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10) 중 일부 광원 어셈블리(10)는 불량, 데미지, 고장 등의 이유로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코너 영역(CR1, CR2, CR3, CR4)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10)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CR1, CR2, CR3, CR4)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10)를 모두 인식하지 못할 수 있고, 광원 어셈블리(10)의 전체적인 위치정보를 파악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촬영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 아닌 사각형 형상일 수 있기 때문에, 컨트롤러(180)는 광원 어셈블리의 위치정보를 파악하지 못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80)는 제1 행(r1)의 광원 어셈블리(10a)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카메라(121)는 제1 행(r1)의 광원 어셈블리(10a)를 촬영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카메라(121)가 촬영한 이미지를 인식하고, 제1 행(r1)의 광원 어셈블리(10a)를 잇는 직선(UL) 또는 직선식(UL)을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121) 렌즈의 오차 등으로 활성화된 광원 어셈블리(10a)의 위치가 정확히 특정되지 않는 경우, 컨트롤러(180)는 가장 밝은 부분에 광원 어셈블리(10a)가 위치하는 것으로 연산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직선(UL) 또는 직선식(UL)을 연산하는 방법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80)는 제1 열(c1)의 광원 어셈블리(10a)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카메라(121)는 제1 열(c1)의 광원 어셈블리(10a)를 촬영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카메라(121)가 촬영한 이미지를 인식하고, 제1 열(c1)의 광원 어셈블리(10a)를 잇는 직선(LL) 또는 직선식(LL)을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121) 렌즈의 오차 등으로 활성화된 광원 어셈블리(10a)의 위치가 정확히 특정되지 않는 경우, 컨트롤러(180)는 가장 밝은 부분에 광원 어셈블리(10a)가 위치하는 것으로 연산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직선(LL) 또는 직선식(LL)을 연산하는 방법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80)는 제6 행(r6)의 광원 어셈블리(10a)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카메라(121)는 제6 행(r6)의 광원 어셈블리(10a)를 촬영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카메라(121)가 촬영한 이미지를 인식하고, 제6 행(r6)의 광원 어셈블리(10a)를 잇는 직선(DL) 또는 직선식(DL)을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121) 렌즈의 오차 등으로 활성화된 광원 어셈블리(10a)의 위치가 정확히 특정되지 않는 경우, 컨트롤러(180)는 가장 밝은 부분에 광원 어셈블리(10a)가 위치하는 것으로 연산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직선(DL) 또는 직선식(DL)을 연산하는 방법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80)는 제8 열(c8)의 광원 어셈블리(10a)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카메라(121)는 제8 열(c8)의 광원 어셈블리(10a)를 촬영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카메라(121)가 촬영한 이미지를 인식하고, 제8 열(c8)의 광원 어셈블리(10a)를 잇는 직선(RL) 또는 직선식(RL)을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121) 렌즈의 오차 등으로 활성화된 광원 어셈블리(10a)의 위치가 정확히 특정되지 않는 경우, 컨트롤러(180)는 가장 밝은 부분에 광원 어셈블리(10a)가 위치하는 것으로 연산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직선(RL) 또는 직선식(RL)을 연산하는 방법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80)는 광원 어셈블리(10a)를 인식하여 획득한 직선(UL, LL, DL, RL)으로부터 직선(UL, LL, DL, RL)이 교차하는 꼭지점(A, B, C, D)을 연산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꼭지점(A, B, C, D)에 광원 어셈블리(10a)가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직선(UL, LL, DL, RL)이 교차하는 꼭지점(A, B, C, D)을 기초로 광원 어셈블리(10)의 전체적인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직선(UL, LL, DL, RL)의 교차점을 연산하는 방법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이미지는 정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이미지는 카메라(121)로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다. 메모리(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 20')의 이미지를 대응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이미지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1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이미지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10)를 일대일 대응시킬 수 있다. 즉, 꼭지점(A)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10)를 제1 행(r1) 제1 열(c1)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10)로, 꼭지점(B)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를 제6 행(r6) 제1 열(c1)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10)로, 꼭지점(C)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10)를 제1 행(r1) 제8 열(c8)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10)로, 꼭지점(D)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10)를 제6 행(r6) 제8 열(c8)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10)로 일대일 대응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꼭지점(A, B, C, D)에 위치하지 않는 나머지 광원 어셈블리(10)에 대해서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이미지의 광원 어셈블리(10)와 일대일 대응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카메라(121)로 촬영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이미지를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이미지와 동일한 형태 및 스케일로 변환시킨 후, 일대일 대응시킬 수 있다. 또는, 컨트롤러(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이미지를 카메라(121)로 촬영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이미지와 동일한 형태 및 스케일로 변환시킨 후, 일대일 대응시킬 수 있다. 카메라(121)로 촬영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이미지를 변환시키는 경우, 변환 과정에서 이미지의 화질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170)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이미지를 촬영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이미지와 같은 형태 및 스케일로 변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80)는 제1 행(r1)의 광원 어셈블리(1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1 행의 광원 어셈블리(10) 중 제1 행(r1) 제1 열(c1)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10b)는 불량, 데미지, 고장 등의 이유로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제1 행(r1)의 광원 어셈블리(10) 중 두 개의 광원 어셈블리(10a)만 활성화 되고, 나머지 광원 어셈블리(10b)는 불량, 데미지, 고장 등의 이유로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컨트롤러(180)는 제1 행(r1)의 광원 어셈블리(10)에 대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광원 어셈블리(10a)가 활성화 된다면, 활성화된 광원 어셈블리(10a)를 잇는 직선(UL) 또는 직선식(UL)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80)는 제1 행(r1)의 광원 어셈블리(10)와 제6 행(r6)의 광원 어셈블리(1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활성화된 제1 행(r1)의 광원 어셈블리(10) 및 활성화된 제6 행(r6)의 광원 어셈블리(10)를 하나의 이미지로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하나의 이미지로부터 두 개의 직선(UL, DL) 또는 두 개의 직선식(UL, DL)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80)는 제1 열(r1)의 광원 어셈블리(10)와 제8 열(r8)의 광원 어셈블리(1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활성화된 제1 열(r1)의 광원 어셈블리(10) 및 활성화된 제8 열(r8)의 광원 어셈블리(10)를 하나의 이미지로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하나의 이미지로부터 두 개의 직선(LL, RL) 또는 두 개의 직선식(LL, RL)을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두 개의 이미지로부터 네 개의 직선(UL, LL, DL, RL) 또는 네 개의 직선식(UL, LL, DL, RL)을 획득할 수 있고, 직선(UL, LL, DL, RL)이 교차하는 꼭지점(A, B, C, D)을 연산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80)는 제1 행(r1)의 광원 어셈블리(10), 제6 행(r6)의 광원 어셈블리(10), 제1 열(r1)의 광원 어셈블리(10) 및 제8 열(r8)의 광원 어셈블리(1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활성화된 제1 행(r1)의 광원 어셈블리(10), 제6 행(r6)의 광원 어셈블리(10), 제1 열(r1)의 광원 어셈블리(10) 및 활성화된 제8 열(r8)의 광원 어셈블리(10)를 하나의 이미지로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하나의 이미지로부터 네 개의 직선(UL, LL, DL, RL) 또는 네 개의 직선식(UL, LL, DL, RL)을 획득할 수 있고, 직선(UL, LL, DL, RL)이 교차하는 꼭지점(A, B, C, D)을 연산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광원 어셈블리(10)의 위치정보를 획득한 후, 각 픽셀의 밝기, 색온도, 파장 등을 조정할 수 있다. 일반 카메라의 렌즈 특성 상, 컨트롤러(180)는 카메라(121)가 촬영하는 이미지를 통해 휘도 또는 색 온도의 절대값을 획득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컨트롤러(180)는 카메라(121)가 촬영하는 이미지를 통해 각 픽셀의 R(red), G(green), B(blue)의 비율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80)는 각 픽셀의 R, G, B의 출력비율을 조정하는 것으로 각 픽셀의 휘도 또는 색 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 때, 기준이 되는 R, G, B 정보는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기준이 되는 R, G, B 정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 생산 공정에서 측정되는 정밀한 값일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기준 값과 카메라(121)가 촬영한 이미지를 비교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를 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를 설치하는 현장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를 조정하는 경우, 완벽한 암실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암실을 구현하더라도, 주변의 광원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모든 광원 어셈블리(10)를 비활성화 시킨 후, 카메라(121)를 통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이미지의 밝기를 측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특정 광원 어셈블리(10)를 활성화시킨 후 촬영한 이미지의 밝기에서, 모든 광원 어셈블리(10)를 비활성화 시킨 후 촬영한 이미지의 밝기를 빼줌으로써, 이미지의 밝기를 보정할 수 있고, 보다 정밀한 밝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카메라(121)는 DSLR 카메라일 수 있다. DSLR 카메라는 위상차를 검출하여 초점을 잡거나, 콘트라스트를 검출하여 초점을 잡을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광원 어셈블리(10)가 동일한 밝기를 출력하는 경우, 카메라(121)가 초점을 잡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가 특정 패턴(PT1, PT2)을 출력하는 경우, 카메라(121)가 초점을 잡을 수 있다. 패턴(PT1, PT2)은 어떤 형태든 가능할 수 있다. 패턴(PT1, PT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중앙 영역(CT)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의 중앙 영역(CT)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을 형성하는 복수의 광원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첫번째 행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 및 첫번째 열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첫번째 행의 광원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제1 직선 및 상기 첫번째 열의 광원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제2 직선의 교차점을 획득하는 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교차점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행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는,
    첫번째 행, 첫번째 열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가 비활성화된 이미지인 제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마지막 행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마지막 행의 광원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제3 직선과 상기 제2 직선의 제2 교차점을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 교차점을 표시하는 제어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지막 행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는,
    마지막 행, 첫번째 열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가 비활성화된 이미지인 제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마지막 열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마지막 열의 광원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제4 직선과 상기 제1 직선의 제3 교차점을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3 교차점을 표시하는 제어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마지막 열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는,
    첫번째 행, 마지막 열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가 비활성화된 이미지인 제어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마지막 열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마지막 열의 광원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제4 직선과 상기 제3 직선의 제4 교차점을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4 교차점을 표시하는 제어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마지막 열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는,
    마지막 행, 마지막 열에 위치하는 광원 어셈블리가 비활성화된 제어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행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는,
    적어도 두 개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이미지인 제어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열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는,
    적어도 두 개의 광원 어셈블리가 활성화된 이미지인 제어장치.
KR1020180012351A 2018-01-31 2018-01-31 제어장치 KR102533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351A KR102533385B1 (ko) 2018-01-31 2018-01-31 제어장치
US16/142,945 US10552111B2 (en) 2018-01-31 2018-09-26 Control device
EP18903899.5A EP3747003A4 (en) 2018-01-31 2018-10-30 CONTROL DEVICE
PCT/KR2018/013015 WO2019151617A1 (en) 2018-01-31 2018-10-30 Contro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351A KR102533385B1 (ko) 2018-01-31 2018-01-31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979A true KR20190092979A (ko) 2019-08-08
KR102533385B1 KR102533385B1 (ko) 2023-05-17

Family

ID=6739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351A KR102533385B1 (ko) 2018-01-31 2018-01-31 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52111B2 (ko)
EP (1) EP3747003A4 (ko)
KR (1) KR102533385B1 (ko)
WO (1) WO20191516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9335A (zh) * 2022-06-10 2022-09-02 长春希达电子技术有限公司 基于超宽带、一维包络峰值的led拼接屏修缝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69757A (zh) * 2020-12-31 2021-04-16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6502A (ja) * 2002-07-23 2006-09-14 Nec Viewtechnology Ltd 画像歪み補正機能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装置
US20160322018A1 (en) * 2015-04-29 2016-11-03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viewing experiences of user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4504A (en) * 1994-07-13 1996-04-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of reducing the visual impact of defects present in a spatial light modulator display
US6803906B1 (en) 2000-07-05 2004-10-12 Smart Technologies, Inc. Passive touch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user input
FR2833743B1 (fr) 2001-12-17 2004-02-20 Eldim Procede et dispositif a faible resolution d'acquisition pour le controle d'un ecran d'affichage
KR20040010160A (ko) 2002-07-25 2004-01-31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플레이 패널용 표시 검사 방법 및 표시 검사 장치
KR100586790B1 (ko) 2003-05-06 2006-06-08 주식회사 아이티오테크 발광셀 누설전류 검출방법과 이를 이용한 발광셀 어레이검사방법 및 장치
JP2005275568A (ja) * 2004-03-23 2005-10-06 Tamura Seisakusho Co Ltd 撮像装置の指示位置検出方法および装置、撮像装置の指示位置検出用プログラム
US9311847B2 (en) 2014-07-16 2016-04-12 Ultravision Technologies, Llc Display system having monitoring circuit and methods thereof
KR101482912B1 (ko) 2014-08-04 2015-01-16 김성재 상시 전원공급형 비젼보드를 이용하는 전광판 컨트롤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6502A (ja) * 2002-07-23 2006-09-14 Nec Viewtechnology Ltd 画像歪み補正機能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装置
US20160322018A1 (en) * 2015-04-29 2016-11-03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viewing experiences of us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9335A (zh) * 2022-06-10 2022-09-02 长春希达电子技术有限公司 基于超宽带、一维包络峰值的led拼接屏修缝方法
CN114999335B (zh) * 2022-06-10 2023-08-15 长春希达电子技术有限公司 基于超宽带、一维包络峰值的led拼接屏修缝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51617A1 (en) 2019-08-08
US20190235818A1 (en) 2019-08-01
EP3747003A4 (en) 2021-12-01
US10552111B2 (en) 2020-02-04
EP3747003A1 (en) 2020-12-09
KR102533385B1 (ko) 202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25903A1 (en) Modular display system
US1022544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amera lens or viewing point indicator
US20180342224A1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panel device correction method and system thereof
US20130147909A1 (en) Method for detecting pressure on touch sensing elemen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TW201818387A (zh) 用於電致發光顯示器的電流補償方法與元件
WO2019088667A1 (ko)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전자 장치
WO201808005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563802B1 (ko) 디스플레이의 컬러를 보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120080845A (ko) 광 감지 기능을 구비한 oled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94606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endable display
KR102533385B1 (ko) 제어장치
US20120120007A1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1281096A (ja) センサヘッド、これを具備した輝度分布測定装置及び表示むら検査評価装置
US20110316771A1 (en) Display apparatus, television reception apparatus and pointing system
CN104597967A (zh) 手持式电子装置及其投影方法
WO2020022806A1 (ko)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번인 방지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65034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847067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186837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856340B2 (en) Position specifying method and simulation method
KR101504565B1 (ko) 투사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18121A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optical sensor modu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TW200923734A (en) Coordinate positioning mouse having suspended positioning function
JP7207416B2 (ja) フリッカ測定装置、フリッカ測定方法、フリッカ測定プログラム
JP6874210B2 (ja) 位置関係検出装置、表示装置、表示装置の位置関係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