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565B1 - 투사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투사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565B1
KR101504565B1 KR1020130134898A KR20130134898A KR101504565B1 KR 101504565 B1 KR101504565 B1 KR 101504565B1 KR 1020130134898 A KR1020130134898 A KR 1020130134898A KR 20130134898 A KR20130134898 A KR 20130134898A KR 101504565 B1 KR101504565 B1 KR 101504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dot display
image
display devic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4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삼
Original Assignee
코이안(주)
전병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이안(주), 전병삼 filed Critical 코이안(주)
Priority to KR1020130134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5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32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motion-picture proj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Convergence or focus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7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light modulating optical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단점 빔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반전 또는 비반전되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의 플립디스크 표면에 선택적으로 맵핑시켜 다양한 영상을 시각화하는 투사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에서 입력된 각종 영상신호를 2진화된 단위 픽셀로 나타내기 위한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를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신호로 반전(Toggle) 또는 비반전되는 2진화된 영상신호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 외부에서 입력된 각종 영상신호를 일정 거리에 위치한 상기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에 배열된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마다 선택적으로 투사되도록 변환하여 맵핑시키는 초단점 빔 프로젝터, 및 상기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에 배열된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의 반전 또는 비반전 상태를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의 배열 및 결합으로 확장성이 용이한 대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반전 또는 비반전으로 2진화되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의 플립디스크의 움직임으로 다양한 영상의 표시와 더불어 복수의 플립디스크에 초단점 빔 프로젝터로부터 영상을 선택적으로 투사시켜 플립닷 디스플레이의 이진화 이미지의 단점인 색 표현력을 향상 시키며, 시각화를 향상시키고 다이내믹한 표현과 더불어 시인성을 증대시킨 것이다.

Description

투사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Flip Dot Display Apparatus for Mapping Projection Image}
본 발명은 투사된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단점 빔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반전 또는 비반전되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의 플립디스크 표면에 선택적으로 맵핑시켜 다양한 영상을 시각화하는 투사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는 화면을 이용하여 정보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장치이다. 컴퓨터 출력장치의 하나로 일반적인 모니터를 의미하기도 한다. 출력 데이터는 대부분 문자나 기호, 도형, 화상, 음성 등으로 표현된다. 이 가운데 음성을 제외한 모든 데이터들은 눈으로 보는 것인데 이런 정보들을 화면을 통해 일시적으로 보여주는 장치가 영상 표시장치이다. 대표적인 영상 표시장치로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이 있다. 일반 모니터나 TV브라운관을 이용한 방식인데, 화면에 전자총으로 광선을 쏘아 브라운관 위의 형광체에 맞춰 발광시켜 문자나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이다. 이밖에도 LCD(액정디스플레이), TFT-LCD(박막액정디스플레이), PDP(플라스마디스플레이),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HMD는 안경처럼 머리에 쓰고 영상을 대형 화면으로 보거나 수술 및 진단용 의료기기로 사용할 수 있는 차세대 영상 표시장치이다. 프린터 등 다른 출력장치에 비해 출력 때에 소음이 전혀 없고 속도가 매우 빠르다. 용지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비용이 절약되는 반면 서류의 형태로는 보관할 수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는 대형화에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 통상적인 대형의 전광판은 많은 LED를 모듈 형태로 배열하여 다양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전광판은 제작비용이 고가이고 전력소모가 많으며 발열량이 큰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전광판은 정해진 사이즈 이외에 확장성이 불리한 단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23134호(2002.02.04. 공고, 전광판용 엘이디 디스플레이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5176호(2012.03.20. 공고, 초단초점 프로젝터용 반사형 스크린)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립닷 디스플레이 모듈의 조립에 의한 대형화 및 확장성이 우수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전력소모가 적고 발열량이 거의 없이 대화면의 반전(Toggle) 또는 비반전되는 2진화된 영상을 표출하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 일정 거리에서 영상을 투사하는 초단점 빔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의 플립디스크 표면에 선택적으로 영상을 맵핑시켜 다양한 그래픽의 표출 및 시각적인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입력된 각종 영상신호를 2진화된 단위 픽셀로 나타내기 위한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를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신호로 반전(Toggle) 또는 비반전되는 2진화된 영상신호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 외부에서 입력된 각종 영상신호를 일정 거리에 위치한 상기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에 배열된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마다 선택적으로 투사되도록 변환하여 맵핑시키는 초단점 빔 프로젝터, 및 상기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에 배열된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의 반전 또는 비반전 상태를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투사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제1단말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부에서 입력받은 영상신호를 2진화된 단위 픽셀로 나타내기 위한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내장된 영상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영상처리부에 내장된 영상프로그램에 의하여 반전 또는 비반전되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에만 초단점 빔 프로젝터에서 투사된 영상이 맵핑되도록 하거나 또는 영상프로그램에 의하여 반전 또는 비반전되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분하여 초단점 빔 프로젝터에서 투사된 영상이 동시에 맵핑되도록 하거나 또는 영상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센서에서 감지된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에만 초단점 빔 프로젝터에서 투사된 영상을 맵핑시켜 색상의 변화가 표출되도록 하는 것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플립닷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면이 개방되고 상부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부 외측 가장자리의 양측 모서리 상부로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면에 축공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바와, 상기 한 쌍의 지지바의 각 축공에 회전축이 축 결합되고 회전축 중심에 결합되고 한쪽 면이 마그네틱으로 코팅된 플립 디스크와, 에나멜 코팅된 코일이 감겨 있는 한 쌍의 폴이 상기 하우징에 수직으로 관통 결합되고 폴 상부는 상기 하우징 상부 외측 가장자리에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폴 하부는 각각 플레이트로 고정 결합된 전자기부재, 및 상기 하우징 하부에 수직으로 삽입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전기신호가 인가되어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자속이 발생하여 전자기력의 작용을 촉진시키고 상기 전자기부재의 각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핀이 포함되어 단위 픽셀을 나타내는 복수의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인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컨트롤러, 통신모듈 및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이 케이스 내에 구성되고, 케이스 전면에 강화유리패널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의 배열 및 결합으로 확장성이 용이한 대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반전 또는 비반전으로 2진화되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의 플립디스크의 움직임으로 다양한 영상의 표시와 더불어 복수의 플립디스크에 초단점 빔 프로젝터로부터 영상을 선택적으로 투사시켜 플립닷 디스플레이의 이진화 이미지의 단점인 색 표현력을 향상 시키며, 시각화를 향상시키고 다이내믹한 표현과 더불어 시인성을 증대시킨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투사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플립닷 디스플레이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사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의 플립디스크에 투사된 영상이 맵핑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투사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투사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트롤러(200)에서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을 통해 외부에서 입력된 각종 영상신호를 2진화된 단위 픽셀로 나타내기 위한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여기에 초단점 빔 프로젝터(Beam Projector)(300)에서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의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의 플립디스크에 선택적으로 영상을 투사하여 시각화를 향상시킨 것이다.
컨트롤러(200)는 외부에서 입력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나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한 각종 이미지정보를 2진화된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컨트롤러(200)는 데스크톱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 또는 영상신호재생장치 등과 같은 단말기와 동일한 기능을 포함하는 외부의 제1단말기(70)와 연결되어 각종 영상정보를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을 통해 표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컨트롤러(200)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기기와 연결되어 각종 이미지정보가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을 통해 표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컨트롤러(20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02)를 통해 제1단말기(70)로부터 정지영상이나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203)로 출력하고, 제어부(203)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02)에서 입력받은 영상신호를 2진화된 단위 픽셀로 나타내기 위한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즉 제어부(203)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모듈에 복수로 구성된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를 반전 또는 비반전시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2진화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때, 영상처리부(204)는 제어부(203)의 제어신호에 의해 내장된 영상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메모리부(204)는 제어부(203)에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02)에서 입력된 영상신호를 저장하거나 제어부(203)에서 제어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것이다. 통신부(205)는 제어부(203)의 제어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으로, 다른 통신기기와 유선이나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이 포함되거나 유무선 송수신 기능이 포함된 것이 좋다.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은 컨트롤러(200)의 제어신호를 통신모듈(210)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신호로 반전(Toggle) 또는 비반전되는 2진화된 영상신호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은 복수의 플립닷 디스플레이 모듈이 배열 조립된다.
도 2에서,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은 단위 픽셀을 나타내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10)가 복수로 배열된 플립닷 디스플레이 모듈(221)이 각각 기판(40)에 조립되어 상하좌우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조립된다. 플립닷 디스플레이 모듈(221)의 조립 개수에 따라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의 크기가 달라진다.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은 통신모듈(210)과 RS485통신을 위한 네트워크장치를 거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더욱이 플립닷 디스플레이 모듈(221)에서 단위 픽셀을 나타내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10)는 상면이 개방되고 상부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11)과, 하우징 상부 외측 가장자리의 양측 모서리 상부로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면에 축공(13)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바(12)와, 한 쌍의 지지바의 각 축공(13)에 회전축(32)이 축 결합되고 회전축 중심에 결합되고 한쪽 면이 마그네틱(33)으로 코팅된 플립 디스크(30)와, 에나멜 코팅된 코일(22)이 감겨 있는 한 쌍의 폴(21)이 하우징(11)에 수직으로 관통 결합되고 폴(21) 상부는 하우징(11) 상부 외측 가장자리에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폴(21) 하부는 각각 플레이트(23)로 고정 결합된 전자기부재(20), 및 상기 하우징(11) 하부에 수직으로 삽입 결합되어 기판(40)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기신호, 즉 제어신호가 인가되며 전자기부재(20)의 각 코일(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핀(24)이 포함된다. 즉 핀(24)은 외부로부터 전기신호가 인가되어 코일(22)에 전류가 흐르면 자속이 발생하여 전자기력의 작용을 촉진시킨다.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10)는 컨트롤러(200)의 제어신호로 통신모듈(210)을 거쳐 기판(40)을 통해 인가되면 전자기부재(20)의 자화방향에 따라 플립디스크(30)가 회전된다. 따라서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10)는 2진화된 이미지, 즉 플립디스크(30)의 평면 또는 저면이 전자기부재(20)의 자화방향에 따라 표면으로 드러나게 된다. 그러므로 평면과 저면은 상이한 색상, 예를 들어, 평면이 백색이고 저면이 흑색인 경우에 2진화된 이미지가 표출된다. 즉 흑색을 배경으로 하고 백색이 표면에 드러나도록 하면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복수의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10)가 가로 또는 세로 또는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복수로 인접되어 결합된 것이다. 예를 들어, 어느 한 방향으로 7개의 단위소자로 결합된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10)가 다시 7개의 단위소자로 배열되어 정사각형 모양으로 결합된 조립모듈(220)이 다시 상하좌우 방향으로 배열 조립될 경우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형의 화면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열은 플립디스크(30)의 회전에 의하여 하나의 문자나 숫자를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플립디스크(30)의 평면과 저면에 다른 색상, 즉 평면은 백색이고 저면은 흑색인 경우에 특정 문자나 숫자에 해당하는 백색이나 흑색을 회전시키면 이를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플립디스크(30)의 평면과 저면은 다양한 색상이나 채도가 상이한 색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문장이나 숫자의 조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조립모듈의 개수를 늘려 대형 전광판과 같이 조립하여 구성할 경우에 더 많은 문장이나 숫자, 그림이나 영상 등 다양한 표현이 가능할 것이다. 더욱이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 통신모듈(210)을 통해 컨트롤러(200)의 제어신호로 다양한 문자나 숫자, 정지영상이나 동영상 등을 표현할 수 있다.
초단점 빔 프로젝터(300)는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한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에 배열된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10)마다 외부에서 입력된 각종 영상신호가 선택적으로 투사되도록 변환하여 맵핑시키는 것이다. 즉 초단점 빔 프로젝터(300)는 스크린에 해당하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와 일정 거리를 두고 대략 상부에 위치되어 위에서 수평 또는 그 아래로 영상을 확대하여 투사하는 것이 좋다. 초단점 빔 프로젝터(300)는 반전 또는 비반전되는 복수의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의 플립디스크 표면에 선택적으로 영상이 투사되도록 하여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이 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컨트롤러(200)의 제어신호로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에서 플립디스크(30)를 반전(Toggle) 또는 비반전시켜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을 표현함과 더불어 초단점 빔 프로젝터(300)에서 투사된 영상이 플립디스크(30) 표면에 맵핑되어 또 다른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이 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초단점 빔 프로젝터(300)는 외부의 단말기, 즉 데스크톱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 또는 영상신호재생장치 등과 같은 단말기와 동일한 기능을 포함하는 제2단말기(72)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로 영상을 투사한다. 이때, 초단점 빔 프로젝터(300)는 제1단말기(70)의 영상신호를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의 단위 소자에 해당하는 플립디스크(30) 표면에 영상이 맵핑되도록 한다. 그리고 초단점 빔 프로젝터(300)는 복수의 플립디스크(30) 중에서 선택적으로 영상이 투사되도록 한다.
제1단말기(70)와 제2단말기(72)는 별도로 컨트롤러(200)와 초단점 빔 프로젝터(300)에 각각 영상을 입력할 수 있도록 연결되지만, 하나의 단말기, 즉 제1단말기(70)나 제2단말기(72) 중에서 어느 하나가 컨트롤러(200)와 초단점 빔 프로젝터(300)에 연결되어 각각 해당하는 영상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상센서(310)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에 배열된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10)의 반전 또는 비반전 상태를 감지하여 컨트롤러(200)에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영상센서(31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결합소자) 카메라가 적용되고, 영상센서(310)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의 상태를 촬영하여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의 반전 또는 비반전되는 상태를 감지하는 것이다. 컨트롤러(200)는 영상센서(310)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제어하거나 초단점 빔 프로젝터(300)에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의 반전이나 비반전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3에서, 컨트롤러(200), 통신모듈(210) 및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은 케이스(2) 내에 조립된다. 그리고 케이스(2) 전면에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을 충격이나 접촉 등의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투명의 강화유리패널(230)이 조립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투사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단말기(70)에서 입력된 영상신호가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02)로 입력되고, 입력된 영상신호는 제어부(203)로 입력되어 2진화된 제어신호로 변환된다. 이때, 제어부(203)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의 반전이나 비반전되는 상태를 영상처리부(204)에 내장된 영상프로그램을 통해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203)에서 통신부(205)를 거쳐 출력된 제어신호는 통신모듈(210)을 통해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로 입력된다.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은 제어부(203)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10)의 플립디스크(30)가 반전되거나 비반전된다. 따라서 컨트롤러(200)의 제어신호로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은 제1단말기(70)에서 입력된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을 2진화된 영상으로 표현하게 된다. 그리고 컨트롤러(200)는 초단점 빔 프로젝터(300)에 영상처리부(204)에서 처리된 복수 플립디스크(30)의 반전 또는 비반전 상태를 전송하여 초단점 빔 프로젝터(300)가 반전되거나 또는 비반전된 복수 플립디스크(30)의 표면에 영상을 투사시켜 맵핑시킨다. 즉 컨트롤러(200)의 제어신호로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에 배열된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10)의 플립디스크(30)가 반전되는 것에만 초단점 빔 프로젝터(300)에서 투사된 영상이 맵핑되도록 하거나 또는 반전되지 않은 플립디스크(30)에만 초단점 빔 프로젝터(300)에서 투사된 영상이 맵핑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은 컨트롤러(20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표시되는 영상과 초단점 빔 프로젝터(300)에서 투사되어 맵핑되는 영상이 동시에 표출되어 다이내믹한 영상의 시각화가 가능해진다.
더욱이 영상처리부(204)에 내장된 영상프로그램에 의하여 반전되었거나 또는 반전되지 않은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10) 모두 초단점 빔 프로젝터(300)에서 투사된 영상이 동시에 맵핑되도록 한다. 즉 컨트롤러(200)의 제어신호로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에 배열된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10)의 반전된 플립디스크(30)와 반전되지 않는 플립디스크(30)를 구분하여 초단점 빔 프로젝터(300)에서 투사된 영상이 맵핑되도록 한다.
또한, 영상처리부(204)에 내장된 영상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센서(310)에서 감지된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10)에만 초단점 빔 프로젝터(300)에서 투사된 영상을 맵핑시켜 색상의 변화가 표출되도록 한다. 즉 영상센서(310)에서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220)의 2진화된 영상을 촬영하여 컨트롤러(200)로 입력하면 컨트롤러(200)는 영상센서(310)의 촬영된 영상을 비교 판단하여 반전되었거나 비반전된 플립디스크(30)에 관한 정보를 초단점 빔 프로젝터(300)에 전송하여 초단점 빔 프로젝터(300)로 하여금 반전되었거나 비반전된 플립디스크(30) 또는 체크된 플립디스크(30)에만 투사된 영상이 맵핑되도록 하여 다양한 색상의 변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이로서 투사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트롤러의 제어신호로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을 통해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이 표현되는 동안 영상처리부의 영상프로그램에 의한 컨트롤러의 제어신호 및/또는 영상센서에서 감지한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의 반전되었거나 비반전된 플립디스크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작된 특수 영상이 구현되도록 한다.
도 4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에 배열된 복수의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의 플립디스크 표면에 초단점 빔 프로젝터에서 투사된 영상이 맵핑된 예를 참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사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되는 각종 영상과 제작된 영상을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의 2진화된 기구적인 작동에 의한 영상과 초단점 빔 프로젝터에서 투사되는 영상의 맵핑에 의하여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부가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디스플레이 장치 2: 케이스 10: 디스플레이 소자 11: 하우징 12: 지지바 13: 축공 20: 전자기부재 21: 폴 22: 코일 23: 플레이트 24: 핀 30: 플립디스크 31: 홈 32: 회전축 33: 마그네트 40: 기판 70, 72: 단말기 200: 컨트롤러 201: 메모리부 202: 입출력 인터페이스부 203: 제어부 204: 영상처리부 205: 통신부 210: 통신모듈 220: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 221: 플립닷 디스플레이 모듈 230: 강화유리패널 300: 초단점 빔 프로젝터 310: 영상센서

Claims (5)

  1. 외부에서 입력된 영상신호를 2진화된 단위 픽셀로 나타내기 위한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를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신호로 반전(Toggle) 또는 비반전되는 2진화된 영상신호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
    외부에서 입력된 영상신호를 상기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에 배열된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마다 선택적으로 투사되도록 변환하여 맵핑시키는 초단점 빔 프로젝터, 및
    상기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에 배열된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의 반전 또는 비반전 상태를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투사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제1단말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부에서 입력받은 영상신호를 2진화된 단위 픽셀로 나타내기 위한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내장된 영상프로그램으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투사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에 내장된 영상프로그램에 의하여 반전 또는 비반전되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에만 초단점 빔 프로젝터에서 투사된 영상이 맵핑되도록 하거나 또는 영상프로그램에 의하여 반전 또는 비반전되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분하여 초단점 빔 프로젝터에서 투사된 영상이 동시에 맵핑되도록 하거나 또는 영상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센서에서 감지된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에만 초단점 빔 프로젝터에서 투사된 영상을 맵핑시켜 색상의 변화가 표출되도록 하는 것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투사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은 상면이 개방되고 상부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부 외측 가장자리의 양측 모서리 상부로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면에 축공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바와, 상기 한 쌍의 지지바의 각 축공에 회전축이 축 결합되고 회전축 중심에 결합되고 한쪽 면이 마그네틱으로 코팅된 플립 디스크와, 에나멜 코팅된 코일이 감겨 있는 한 쌍의 폴이 상기 하우징에 수직으로 관통 결합되고 폴 상부는 상기 하우징 상부 외측 가장자리에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폴 하부는 각각 플레이트로 고정 결합된 전자기부재, 및 상기 하우징 하부에 수직으로 삽입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전기신호가 인가되어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자속이 발생하여 전자기력의 작용을 촉진시키고 상기 전자기부재의 각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핀이 포함되어 단위 픽셀을 나타내는 복수의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인접되어 결합된 투사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통신모듈 및 플립닷 디스플레이 조립모듈이 케이스 내에 구성되고, 케이스 전면에 강화유리패널이 설치된 투사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134898A 2013-11-07 2013-11-07 투사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04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898A KR101504565B1 (ko) 2013-11-07 2013-11-07 투사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898A KR101504565B1 (ko) 2013-11-07 2013-11-07 투사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565B1 true KR101504565B1 (ko) 2015-03-30

Family

ID=53028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4898A KR101504565B1 (ko) 2013-11-07 2013-11-07 투사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5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624A1 (ko) * 2015-05-27 2016-12-01 주식회사 트라이앵글와이드 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핀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그리고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200023875A (ko) 2018-08-27 2020-03-0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투사 매핑 장치
US10997950B1 (en) * 2020-07-16 2021-05-04 Oat Foundry, Llc Hand-held analog sig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84831A1 (en) 2000-09-01 2002-03-06 Mark IV Industries Limited Small dot display element
JP2005010399A (ja) 2003-06-18 2005-01-13 Funai Electric Co Ltd 画像表示プロジェクタ用のスクリーン装置
JP2010505119A (ja) 2006-09-27 2010-02-18 バンディット・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腕時計用磁気ディスプレ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84831A1 (en) 2000-09-01 2002-03-06 Mark IV Industries Limited Small dot display element
JP2005010399A (ja) 2003-06-18 2005-01-13 Funai Electric Co Ltd 画像表示プロジェクタ用のスクリーン装置
JP2010505119A (ja) 2006-09-27 2010-02-18 バンディット・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腕時計用磁気ディスプレ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624A1 (ko) * 2015-05-27 2016-12-01 주식회사 트라이앵글와이드 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핀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그리고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200023875A (ko) 2018-08-27 2020-03-0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투사 매핑 장치
US10997950B1 (en) * 2020-07-16 2021-05-04 Oat Foundry, Llc Hand-held analog sig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25903A1 (en) Modular display system
KR101487904B1 (ko) 전자석을 이용한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조립모듈
KR101511117B1 (ko) 양면 디스플레이장치
CN104469464B (zh) 图像显示装置、控制图像显示装置的方法、计算机程序以及图像显示系统
CN106030389B (zh) 具有独立控制的透射型和反射型子像素的显示系统与其使用方法
CN110377177A (zh) 显示器以及具有该显示器的电子装置
EP3316570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99366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110304614A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method
US10535291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KR101539304B1 (ko) 3차원 모션감지를 통한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장치
US20160379394A1 (en) Multi-view display device
US2020023462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N110752240B (zh) 显示装置及电子设备
KR101504565B1 (ko) 투사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
US20110069157A1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method
CN110764301A (zh) 电子设备
KR20200068034A (ko) 이중 광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이중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JP2019219657A (ja)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614202B1 (ko) 전광판 회전을 이용한 3차원 입체 영상 출력장치
US11393878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09712588B (zh) 灰阶调整方法及装置、显示装置
CN109119013A (zh) 显示面板的驱动方法、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2022050365A (ja) 展示装置及び展示方法
KR101487906B1 (ko)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조립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