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2958A - 분무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피부미용기기 - Google Patents

분무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피부미용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2958A
KR20190092958A KR1020180012306A KR20180012306A KR20190092958A KR 20190092958 A KR20190092958 A KR 20190092958A KR 1020180012306 A KR1020180012306 A KR 1020180012306A KR 20180012306 A KR20180012306 A KR 20180012306A KR 20190092958 A KR20190092958 A KR 20190092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working fluid
electrode
vibrator
skin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수
성봉조
장재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2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2958A/ko
Publication of KR20190092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9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8Plant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objects
    • B05B5/087Arrangements of electrodes, e.g. of charging, shielding, collecting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무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피부미용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분무장치에는 분무구가 형성된 분무케이스, 상기 분무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며,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어, 상기 작동유체에서 미세입자를 발생시키는 진동자,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분무구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진동자에 의해 발생된 미세입자를 외부로 안내하는 분무유로 및 상기 분무구와 인접한 상기 분무유로의 일 측에 배치되어,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극이 포함된다.

Description

분무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피부미용기기{Spraying apparatus and skin care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분무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피부미용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무장치는 액체를 미립화하여 작은 액적들로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분무장치는 액체를 미립화하는 방식에 따라 가압식, 초음파식, 정전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압식 분무장치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무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액체를 가압하여 작은 구멍들로 통과시킴에 따라 미립화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는 액적의 크기가 비교적 크다.
또한, 초음파식 분무장치의 경우, 소정의 진동자에 의해 액체를 미립화하는 분무장치에 해당된다. 이는 상기 가압식보다는 액적의 크기가 작으나 미립화된 액적이 멀리 퍼지지 못한다.
또한, 정전식 분무장치의 경우, 전기력에 의해 액체를 미립화하는 분무장치에 해당된다. 이와 같은 정정식 분무장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선행문헌이 개시된 바 있다.
[선행문헌] 공개특허 제10-2015-0122037호, 분무장치
상기 선행문헌은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액체가 다공성 전극과 접지 링 사이의 전위치에 의해 액적들로 분무되는 정전식 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선행문헌에 따라 분무장치는 펌프 등과 같이 액체를 가압하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분무되는 액체의 종류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자세하게는, 전기전도도가 일정 수준 존재하는 기능성 오일 등의 액체만 사용가능하고, 물과 같은 액체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무장치는 액체의 사용에 제한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적의 크기가 비교적 크고, 소형화가 어려우며, 분무되는 액적에 방향성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계속적으로 증대되고 있어, 피부미용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는 분무장치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단하고 소형화된 구조로 마련된 분무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피부미용기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펌프와 같은 가압장치을 필요로 하지 않아 가정용 및 소형가전과 같은 다양한 장치에 적용가능한 분무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피부미용기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분무되는 액적에 방향성과 가속성을 부여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목표에 액적을 도달시킬 수 있는 분무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피부미용기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분무장치에는 분무구가 형성된 분무케이스, 상기 분무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며,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어, 상기 작동유체에서 미세입자를 발생시키는 진동자,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분무구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진동자에 의해 발생된 미세입자를 외부로 안내하는 분무유로 및 상기 분무구와 인접한 상기 분무유로의 일 측에 배치되어,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극이 포함된다.
이때, 상기 분무유로는 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은 상기 분무유로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은 상기 분무유로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무구와 인접하게 상기 분무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무구를 통해 상기 분무케이스의 외부로 토출되는 미세입자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자 및 상기 전극에 서로 다른 전압을 각각 인가하는 전원공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피부미용기기에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형성된 분무부 및 상기 분무부를 통해 작동유체를 토출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분무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분무장치에는, 작동유체에서 미세입자를 발생시키는 진동자, 상기 진동자에 의해 발생된 미세입자를 상기 분무부로 안내하는 분무유로 및 상기 분무유로에 전기장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전극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분무부의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유체가 분무되는 표적부와 상기 분무부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감지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감지센서에서 측정된 거리에 따라, 상기 진동자 및 상기 전극에 서로 다른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무장치에는, 상기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진동자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유체공급부 및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작동유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작동유체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수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작동유체의 수위에 따라, 상기 유체공급부를 통해 작동유체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무유로는 상기 수용부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와 접하는 상기 분무유로의 일 단에는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무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미세하게 분열된 작동유체를 전기력에 의해 원하는 표적으로 분무가능하게 마련하여, 분무성능을 높이고 작동유체를 효율적으로 분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작동유체의 종류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오일성분이 없는 증류수를 포함하여 다양한 유체를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무유로에 설치된 전극을 통해 전기장을 생성하여 분무되는 유체에 방향성 및 가속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펌프, 압력탱크, 압축공기 라인, 압축기 등 가압을 위한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비교적 부피를 큰 가압을 위한 장치 대신 전극을 사용하여 장치 자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고 다른 기기에 설치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방향성 및 가속성을 가지고 분무되는 작동유체를 통해, 표적지점의 부착력을 확보할 수 있고, 분무장치가 설치되는 기기에 따라 살균력, 미용효과, 방제효과 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무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무장치에 의한 분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무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미용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미용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미용기기의 모드에 따른 작동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무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설명의 편의상, 각 구성을 단순하게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분무장치(10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분무케이스(110)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분무케이스(110)는 내부공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분무케이스(110)에는 소정의 크기로 개구된 분무구(120)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분무구(120)는 상기 분무케이스(11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무구(120)는 상기 분무케이스(11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무케이스(110)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무구(120)의 형태, 크기 및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원형개구로 형성된 분무구(120)의 예시적인 형상을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분무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수용부(14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작동유체는 상기 분무장치(100)에 의해 분무되는 유체를 의미하며,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작동유체는 오일성분이 없는 증류수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40)는 상기 분무케이스(110)의 일부로 이해될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상기 분무케이스(110)의 하부에 해당된다. 특히, 상기 수용부(140)는 소정의 작동유체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140)에는 상기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유체공급부(130) 및 상기 수용부(140)에 수용된 작동유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센서(135)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용부(140)에 수용되는 작동유체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수위감지센서(135)에서 감지된 작동유체의 수위에 따라 상기 유체공급부(130)를 통해 작동유체가 공급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유체공급부(130)는 상기 측정케이스(110)의 일 측에 형성된 개구로 도시되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유체공급부(130)를 통해 작동유체가 직접공급되거나,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호스 등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위감지센서(135)는 상기 측정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140)에 수용되는 작동유체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공급부(130)와 상기 수위감지센서(135)는 상기 측정케이스(110)의 수평방향으로 동일평면에 형성 및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140)에는 상기 작동유체에서 미세입자를 발생시키는 진동자(Transducer, 200)가 배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진동자(200)는 상기 수용부(140)에 수용된 작동유체에 잠긴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자(200)는 소정의 음파를 방사하여 상기 작동유체의 액면에서 미세입자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진동자(200)는 700에서 900kHz의 음파를 방사할 수 있다. 상기 진동자(200)에서 방사되는 음파의 세기에 따라 미세입자의 발생량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무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상기 수용부(140)에서 상기 분무구(120)로 연장되어 형성된 분무유로(150)가 구비된다. 상기 분무유로(150)는 상기 분무케이스(110)의 일부로 해당되며, 상기 진동자(200)에 의해 발생된 미세입자를 외부로 안내하는 통로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무유로(150)는 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분무유로(15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상기 분무유로(150)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이때, 상기 분무유로(150)의 일 단은 상기 분무구(120)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상기 분무유로(150)는 상기 분무케이스(110)의 일 측을 개구하는 통로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분무유로(150)의 타 단에는 필터(1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160)는 미세입자가 통과가능한 메쉬망으로 형성되어, 비교적 크기가 큰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무유로(150)에는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극(300)이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극(300)은 상기 분무구(120)와 인접한 상기 분무유로(15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극(300)은 상기 분무유로(150)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무유로(150)의 외측에는 상기 전극(300)의 설치를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무유로(150)는 10cm로 연장되고, 상기 전극(300)은 1cm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300)은 상기 분무유로(150)의 10%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수치이며 상기 분무유로(150) 및 상기 전극(300)은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300)은 상기 분무유로(150)의 전기장을 형성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무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와 상기 전극(300a)의 형상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으로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300a)은 상기 분무유로(150)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원형 단면적의 중심에 배치되는 바늘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전원공급부와 연결되기 위해, 일 단은 일 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분무유로(150)에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전극(300, 300a)은 구리 또는 SUS 등의 전류가 흐르는 도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전극(300, 300a)을 둘러싸는 절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기재의 편의상, 상기 전극의 도면부호는 300으로 기재한다.
또한, 상기 분무장치(100)에는 상기 진동자(200) 및 상기 전극(3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분무장치에 설치되거나,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진동자(200) 및 상기 전극(300)에 서로 다른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공급부는 일반 가정에 마련된 콘센트와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일반 가정용 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진동자(200)에 인가하고, 고전압 트랜스를 이용하여 승압하여 상기 전극(300)에 각각 인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무장치(100)에는 상기 분무구(120)를 통해 상기 분무케이스(110)의 외부로 토출되는 미세입자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분무구(120)와 인접하게 상기 분무케이스(110)의 외부에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분무장치(100)를 통해 분무를 필요로 하는 표적부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표적부에 위치되는 평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그라운드 전극으로 기능하여 상기 분무구(120)에서 토출되는 미세입자를 소정의 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고하여 작동유체의 분무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무장치에 의한 분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40)에는 소정의 작동유체가 수용되고, 상기 진동자(200)는 상기 작동유체에 잠긴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작동유체는 오일성분이 없는 증류수, 즉 물인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상기 수위감지센서(135)를 통해 상기 수용부(140)에 수용되는 작동유체의 수위를 측정하고, 상기 유체공급부(130)를 통해 작동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수용부(140)는 일정양의 물이 수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진동자(200)에 소정의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진동자(200)가 물 안에서 진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물의 표면에 물결이 발생되고 미세물입자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진동자(200)에서 방사되는 음파의 세기에 따라 미세물입자의 발생량이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생된 미세물입자는 상기 분무케이스(110)를 채우며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150)를 통과하여 상기 분무유로(150)로 가이드될 수 있다. 이때, 미세물입자를 제외한 이물질은 필터링되어 상기 분무유로(150)로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극(300)에 소정의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전극(300)에 의해 상기 분무유로(150) 내에 전기장을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전기장을 통과하는 미세물입자는 전기력을 받아 방향성 및 가속성을 부여받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분무구(120)를 통해 소정의 속도로 분무된다. 도 3에서는 상기 분무구(120)를 통해 미세물입자가 직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분무구(120)의 측면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 미세물입자는 상기 가이드부가 설치된 측면방향으로 휘어져 분무될 수 있다.
또한, 분무되는 미세물입자의 속력은 상기 전극(300)에 가해진 전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전극(300)에 보다 큰 전압이 인가된 경우, 미세물입자에 가해지는 전기력이 더 커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분무장치(100)는 상기 진동자(200)를 통해 작동유체를 미세입자로 변경시키고, 상기 전극(300)을 통해 미세입자에 방향성 및 가속성을 부여하여 분무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자(300)를 통해 발생되는 입자의 양을 조절하고, 상기 전극(300)을 통해 분무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무장치(100)는 작동유체의 종류가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기기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무장치(100)의 작동유체가 살균수에 해당되는 경우, 가이드부를 통해 표적에만 살균수를 분무하여 인체 등에 분무되는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무장치(100)를 통해 농업 방제수를 분무하는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식물의 과실 및 잎에 표적분무할 수 있어 적은 양으로도 효과적인 분무를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분무장치(100)는 피부미용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미용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피부미용기기(40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4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41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하우징(410)의 일 측에는 작동유체가 분무되는 분무부(420)가 구비된다, 상기 분무부(420)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구비되어 상기 작동유체가 외부로 분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유체는 정제수, 미용수 등 피부미용에 필요한 유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410)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430) 및 소정의 버튼으로 형성된 전원부(4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430)는 상기 하우징(410)의 일부로 이해되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손모양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450)는 사용자가 쉽게 누를 수 있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미용기기(400)에는 상기 하우징(41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터리부(4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440)는 소정의 전원을 저장하거나,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구성을 제외하고 도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부(440)는 앞서 설명한 전원공급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440)는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4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410)은 상기 배터리부(44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지부(430)를 통해 상기 하우징(410)을 상기 배터리부(440)에서 분리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배터리부(440)에 연결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410)의 내부에는 상기 분무부(420)를 통해 작동유체를 토출시키는 분무장치(100)가 포함된다. 상기 분무장치(100)의 구성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상기의 설명을 인용하고 생략한다.
상기 분무장치(100)는 상기 하우징(41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무장치(100)는 상기 유체공급부(130) 및 상기 수위감지센서(135)가 생략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무장치(100)에는 미리 설정된 양의 작동유체만이 저장되고, 해당 작동유체가 모두 분무된 경우 상기 분무장치(100)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무장치(100)는 상기 수용부(140)가 분리가능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수용부(140)에 수용된 작동유체가 모두 분무된 경우, 상기 수용부(140)를 분리하여 작동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미용기기(400)에 상기 유체공급부(130)와 연결되는 공급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부를 통해 상기 분무장치(100)에 작동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위감지센서(135)를 통해 작동유체의 공급시기를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미용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부미용기기(400)에는 제어부(5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전원부(450)의 입력에 따라 상기 진동자(200) 및 상기 전극(300)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피부미용기기(400)에는 거리감지센서(4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리감지센서(425)는 상기 분무부(420)의 일 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거리감지센서(425)는 상기 분무부(420)와 상기 작동유체가 분무되는 표적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적부는 작동유체의 분무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피부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피부는 앞서 설명한 가이드부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피부미용기기(400)에 설치된 분무장치(100)에는 별도의 가이드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상기 분무부(420)에서 분무된 작동유체는 피부를 향해 유동되어 효과적으로 피부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미용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적은 d양으로도 비교적 큰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미용기기(400)는 상기 거리감지센서(425)에서 측정된 거리에 따라, 상기 진동자(200) 및 상기 전극(300)에 서로 다른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상기 피부미용기기(400)는 측정된 거리에 따라 다른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미용기기의 모드에 따른 작동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기재된 각 수치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부미용기기(400)는 3단계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부미용기기(400)는 상기 거리감지센서(425)에서 측정된 거리가 10cm보다 작은 경우 1단계로 작동된다. 이때, 상기 거리감지센서(425)에서 측정된 거리는 피부와 상기 분무부(420)사이의 거리로, 사용자가 상기 분무부(420)에 가까이 있음을 의미한다.
1단계의 경우, 상기 진동자(200)에는 10~13W가 인가되고, 상기 전극(300)에는 5~6kV가 인가될 수 있다. 이는 비교적 적은 값에 해당되며, 사용자가 상기 분무부(420)와 가깝게 위치된 경우, 자극 등을 피하기 위해 비교적 적은 양을 작은 속도로 분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미용기기(400)는 상기 거리감지센서(425)에서 측정된 거리가 10~30cm인 경우 2단계로 작동된다. 2단계의 경우, 상기 진동자(200)에는 13~17W가 인가되고, 상기 전극(300)에는 7~8kV가 인가될 수 있다. 이는 1단계보다는 큰 값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피부미용기기(400)는 상기 거리감지센서(425)에서 측정된 거리가 30cm이상인 경우 3단계로 작동된다. 3단계의 경우, 상기 진동자(200)에는 17~20W가 인가되고, 상기 전극(300)에는 9~10kV가 인가될 수 있다. 이는 비교적 큰 값으로, 멀리 떨어진 사용자에게 작동유체가 분무될 수 있도록, 비교적 많은 양을 큰 속도로 분무할 수 있다.
100 : 분무장치 110 : 분무케이스
120 : 분무구 130 : 유체공급부
140 : 수용부 150 : 분무유로
200 : 진동자 300 : 전극
400 : 피부미용기기

Claims (15)

  1. 분무구가 형성된 분무케이스;
    상기 분무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며,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어, 상기 작동유체에서 미세입자를 발생시키는 진동자;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분무구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진동자에 의해 발생된 미세입자를 외부로 안내하는 분무유로; 및
    상기 분무구와 인접한 상기 분무유로의 일 측에 배치되어,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극;
    이 포함되는 분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유로는 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극은 상기 분무유로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유로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전극은 상기 분무유로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구와 인접하게 상기 분무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무구를 통해 상기 분무케이스의 외부로 토출되는 미세입자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더 포함되는 분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 및 상기 전극에 서로 다른 전압을 각각 인가하는 전원공급부가 더 포함되는 분무장치.
  6.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형성된 분무부; 및
    상기 분무부를 통해 작동유체를 토출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분무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분무장치에는,
    작동유체에서 미세입자를 발생시키는 진동자;
    상기 진동자에 의해 발생된 미세입자를 상기 분무부로 안내하는 분무유로; 및
    상기 분무유로에 전기장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전극;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부의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유체가 분무되는 표적부와 상기 분무부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감지센서가 더 포함되는 피부미용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감지센서에서 측정된 거리에 따라, 상기 진동자 및 상기 전극에 서로 다른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가 더 포함되는 피부미용기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장치에는, 상기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진동자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유체공급부; 및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작동유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센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작동유체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수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작동유체의 수위에 따라, 상기 유체공급부를 통해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기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유로는 상기 수용부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와 접하는 상기 분무유로의 일 단에는 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기기.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기기.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분무유로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기기.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분무유로의 외측에 상기 분무유로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기기.
KR1020180012306A 2018-01-31 2018-01-31 분무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피부미용기기 KR20190092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306A KR20190092958A (ko) 2018-01-31 2018-01-31 분무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피부미용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306A KR20190092958A (ko) 2018-01-31 2018-01-31 분무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피부미용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958A true KR20190092958A (ko) 2019-08-08

Family

ID=67613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306A KR20190092958A (ko) 2018-01-31 2018-01-31 분무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피부미용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29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2571B1 (ko) 표면 및 표면 특성들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을 갖는 디스펜서들
EP1332006B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controlling liquid supply to an apparatus discharging liquid
US6539937B1 (en) Method of maximizing the mechanical displacement of a piezoelectric nebulizer apparatus
US20100139652A1 (en)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US9333523B2 (en) Atomizing spray apparatus
KR102494382B1 (ko) 액체용 정전기 분무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RU2000106031A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6085306B2 (ja) ネブライザ、これを制御する制御ユニット及びネブライザの動作方法
US111735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sprayed particles by electrospraying
CN105188951B (zh) 静电喷雾装置、及静电喷雾装置的控制方法
CN107952100B (zh) 一种雾化器及其控制方法
KR20190092958A (ko) 분무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피부미용기기
JP2012223688A (ja) ドライミスト噴霧方法および装置
KR101909158B1 (ko) 피부 흡착력이 개선된 휴대용 미스트 분사기
US20120085844A1 (en) Electrostatic spraying device
CN101461978A (zh) 微雾化装置
CN213285014U (zh) 一种雾化装置
KR101713697B1 (ko)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산화기 발생장치
US20070158459A1 (en) Spray generation using a vibrating surface
US20170368336A1 (en) Device, methods and replaceable reservoir design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by contactless electroporation, iontophoresis and nanonization
CN215465297U (zh) 一种气助式静电喷雾装置
RU215068U1 (ru) Портативный мобильный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JP3196599U (ja) 皮膚測定機能付き噴霧装置
KR20120067598A (ko) 피부 보습기
CN117065159A (zh) 雾化器及雾化器的工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