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2686A -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그리고 미백용 화장물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그리고 미백용 화장물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2686A
KR20190092686A KR1020180011734A KR20180011734A KR20190092686A KR 20190092686 A KR20190092686 A KR 20190092686A KR 1020180011734 A KR1020180011734 A KR 1020180011734A KR 20180011734 A KR20180011734 A KR 20180011734A KR 20190092686 A KR20190092686 A KR 20190092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corice
soybean
dermis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1958B1 (ko
Inventor
차화준
Original Assignee
오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오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1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958B1/ko
Publication of KR20190092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령, 대두, 감초, 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그리고 미백용 화장물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의 피부개선용에 관한 새로운 용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멜라닌 세포 성장 억제, 멜라닌 형성 억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멜라닌 형성 관련 유전자 발현 억제, 피부 톤 개선, 색소침착 감소, 피부 노란톤 개선 등의 미백 효과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그리고 미백용 화장물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COMPOSITION FOR SKIN-WHITENING CONTAINING MIXED EXTRACTS AS A ACTIVE INGREDIENT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OMPOSI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그리고 미백용 화장물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고,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세럼,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는 피부개선용 화장품을 위한 조성물로 사용되기 위한 복령, 대두, 감초, 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그리고 미백용 화장물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산업화와 더불어 공기 오염과 오존층의 파괴로 인한 UV양의 증가로 인한 활성산소종과 같은 강력한 산화 물질들의 발생은 인간에게 피부노화, 색소 침착 등을 유발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산화물질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목적으로 비타민 C, 토코페롤, 코엔자임 Q10과 같은 다양한 항산화제가 화장료 제조에 이용되어 사용되어 오고 있다.
최근에는 한약재를 포함한 다양한 식물에 미백, 항노화, 항주름, 항산화와 같은 생리 활성 물질들이 존재함이 밝혀짐에 따라 천연화장품이나 한방 화장품 제조에 이들의 추출물들이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피부 미백과 관련된 멜라노형성(melanogenesis)도 UV에 의해 유도된다. 이러한 멜라노형성에서 주요 조절인자는 티로시나제(tyrosinase)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이 티로시나제는 동물조직에 존재하는 구리 함유 효소(copper containing enzyme)로, 멜라닌의 생성을 촉매하며, 색소형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중 하나이고, L-DOPA산화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미백에 대하여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현재 티로시나제의 발현 또는 작용을 억제하는 물질로 피부 미백을 위한 치료제 또는 화장료로의 개발을 위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새로운 천연 복합 추출물을 적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888742호 "산박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화장료조성물(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extract of Isodon inflexus)"(특허문헌 1)은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인 소재의 활용을 통해 좀 더 안전하고 효능이 우수한 천연물질의 개발을 통해 새로운 미백용 화장료를 개발하며, 나아가 피부색소 변화에 대한 치유제를 제공하고, 산박하로부터 excisanin A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처음으로 이 물질이 미백기능이 있음을 제공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9-0108077호 "피부미백용조성물(skin whitening agent)"(특허문헌 2)은 몰루긴(mollugin), 우고닌(wogonin), 디히드로몰루긴(dihydromollugin)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합물들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색소 침착 저해효과가 뛰어나므로, 이들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등의 조성물은 기미나 주근깨 개선 등의 피부 미백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1995-0008122호 "혼합미백제조성물(Mixed whitening compositions)"(특허문헌 3)은 유효성분으로서 알부틴 및 코지산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제 1 미백성분, 및 제 2 미백성분인 알로에신이 1 : 0.1-10의 몰비로 혼합된 배합물을 함유하여 두 가지 성분의 배합물이 존재하기 때문에 각각의 미백작용에 대한 보완작용으로 각각의 성분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훨씬 더 소량에서도 월등히 우수한 상승적 미백효과를 나타내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336180호 "프로토카테큐익 알데히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미백용조성물(Composition for whitening of skin containing protocatechuic aldehyde as an effective component)"(특허문헌 4)은 프로토카테큐익 알데히드 (protocatechuic aldehyde; PCA)를 유효성분으로 하며, PCA는 멜라닌 생합성 과정에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제(tyrosinase)에 대해 경쟁적 저해제로 작용하여 티로시나제 활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므로, 멜라닌 과잉합성 억제를 통한미백,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보호가 요구되는 곳에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2 내지 4는 천연 추출물을 활용하지 않고 있으며, 특허문헌 1은 친환경 소재로 산박하 추출물을 활용하나 미백 효과로 멜라닌 억제만 가능할 뿐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피부 톤 개선, 색소침착 감소, 피부 노란톤 개선 등에 대해서는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888742호 "산박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화장료조성물(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extract of Isodon inflexus)"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9-0108077호 "피부미백용조성물(skin whitening agent)"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1995-0008122호 "혼합미백제조성물(Mixed whitening compositions)"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336180호 "프로토카테큐익 알데히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미백용조성물(Composition for whitening of skin containing protocatechuic aldehyde as an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킨토너, 수분크림, 크림 등과 같은 피부개선용 화장품을 위한 조성물로 사용되기 위한 새로운 천연 복합 추출물을 적용하기 위한 복령, 대두, 감초, 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그리고 미백용 화장물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발효 추출물에 의해 미백 효과를 나타내도록 하기 위한 복령, 대두, 감초, 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그리고 미백용 화장물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복령, 대두, 감초 및 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중량 기준으로 복령 62.5 내지 82.5, 대두 10 내지 14.5, 감초 7 내지 12, 진피 1 내지 11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전체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서 0.1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복령, 대두, 감초, 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추출물은, 파쇄된 복령, 대두, 감초, 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추출 용매에 혼합한 후 추출하며, 상기 추출 용매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나 멸균수 또는 60% 에탄올이거나, 상기 추출 용매 중 2 이상의 서로 다른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순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연고,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세럼,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제형 중 하나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령, 대두, 감초, 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그리고 미백용 화장물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스킨토너, 수분크림, 크림 등과 같은 피부개선용 화장품을 위한 조성물로 사용되기 위한 새로운 천연 복합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령, 대두, 감초, 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그리고 미백용 화장물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의 피부개선용에 관한 새운 용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멜라닌 세포 성장 억제, 멜라닌 형성 억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멜라닌 형성 관련 유전자 발현 억제, 피부 톤 개선, 색소침착 감소, 피부 노란톤 개선 등의 미백 효과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령, 대두, 감초, 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령, 대두, 감초, 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복령은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잔나비걸상과의 균핵을 지칭하고, 진피는 물푸레나무과의 가지 또는 줄기껍질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복령, 대두, 감초, 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법에 의하여 파쇄된 복령, 대두, 감초, 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추출 용매에 혼합한 후 추출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멸균수 또는 60% 에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추출 용매 중 2 이상의 서로 다른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복령, 대두, 감초, 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추출물”은 복령, 대두, 감초, 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추출물을 자연적으로, 또는 장치, 구체적으로는 회전감압농축기 및 동결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시킨 후, 제조되는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령, 대두, 감초, 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추출물"은 전체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 질량인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서 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중량부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령, 대두, 감초, 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추출물"은 미백효과로 멜라닌 형성 억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멜라닌 형성 관련 유전자 발현 억제, 피부 톤 개선, 색소침착 감소, 피부 노란톤 개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복령, 대두, 감초, 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조성물의 대상이 되는 화장품은 연고,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세럼,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킨토너, 수분크림 또는 크림의 제형을 가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복령, 대두, 감초, 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제조 방법을 위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료 제조의 실시예]
제 1 실시예-복령, 대두, 감초, 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령, 대두, 감초, 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에 대한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에탄올 추출법을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량 기준으로 복령 약 72.5, 대두 약 12.5, 감초 약 9.0, 진피 약 5.0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파쇄하고(S11), 파쇄한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 100g 기준으로 60% 에탄올 1L의 혼합 비율로 혼합한다(S12).
이렇게 혼합된 원료를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여(S13),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에 대해서 250메쉬 및 0.5㎛ 여과지로 여과하여 액상추출물을 수득한다(S14).
회전감압농축기와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상기 여과된 액상추출물로부터 추출 건조물을 획득한다(S15).
상기 추출 건조물을 정제수를 이용하여 전체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서 3 중량부가 되도록 희석하여 액상 추출물을 수득한다(S16).
이와 같이 조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관련 후술하는 실험예를 실시한 결과, 피부 안정성에서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 2 실시예-스킨토너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스킨토너를 만들기 위한 성분의 구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내며, 다음 과정을 거쳐 제조한다. A상(수상)은 상온에서, B상(알코올상)은 히터를 이용하여 50℃로 가온하여 완전 용해시킨다. A상에 B상을 혼합시키고, 디스퍼(Disper)를 이용하여 1000rpm으로 10분간 가용화시킨다. 교반 혼합과정을 거쳐 냉각, 여과하고, pH 5.2 상태를 유지시켜 스킨토너를 완성한다. 제 1 실시예에 의해 최종 생성된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을 스킨토너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서 3 중량부의 양을 첨가하여 제조한다.
원료 함량(중량비)
대조군 양성대조군 실험군
A 상 정제수 3 - -
알로에 - 3 -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 - - 3
디소디움 EDTA 0.01 0.01 0.01
1,3-부틸렌글리콜 4 4 4
구연산 0.04 0.04 0.04
구연산나트륨 0.1 0.1 0.1
B 상 히아루론산 2 2 2
하이드로젠이티드 0.4 0.4 0.4
캐스터오일 적량 적량 적량
C 상 정제수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제 3 실시예-수분크림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분크림을 만들기 위한 성분구성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A상을 80℃로 가온하여 교반하고, B상을 80℃로 가온하여 용해한 후 A상에 투입하여 2000rpm에서 10분 정도 유화시킨다. C상을 고르게 용해한 후 A상에 투입하여 2000rpm에서 10분 정도 유화시킨다. C상을 고르게 혼합한 후, 80℃에서 A+B상에 투입하여 2000rpm에서 5분 정도 중화시켰다. 서서히 교반하면서 30℃로 냉각하고, pH 6.15로 조정한다. 제 1 실시예에 의해 최종 생성된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을 수분크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서 3 중량부의 양을 첨가하여 제조한다.
(phase) 원료 함량(중량비)
대조군 양성대조군 실험군
A상 정제수 3 - -
알로에 - 3 -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 - - 3
디소디움 EDTA 0.01 0.01 0.01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2 0.2 0.2
클로페네신 0.2 0.2 0.2
히아루론산 5 5 5
알로에겔 5 5 5
산탄검 1% 수용액 5 5 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5 15 15
B상 스쿠알랑 7 7 7
디메치콘 3 3 3
사이크론메치콘 3 3 3
폴리솔베이트 60 2 2 2
솔비탄올레이트 0.5 0.5 0.5
그리세릴스테아레이트 1 1 1
스테아린산 1 1 1
C상 트리에탄올민 1 1 1
정제수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제 4 실시예-크림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크림을 제조하기 위한 성분구성은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A상을 80℃로 가온하여 교반하고, B상을 80℃로 가온하여 용해시킨 후 A상에 투입하여 2000rpm에서 10분 정도 유화시킨다. C상을 고르게 혼합한 후, 80℃에서 A+B상에 투입하여 2000rpm에서 5분 정도 중화시킨다. 이어서, 서서히 고르게 혼합 교반하면서 30℃로 냉각하고 pH 6.23로 조정하였다. 제 1 실시예에 의해 최종 생성된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을 크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서 3 중량부의 양을 첨가하여 제조한다.
원료 함량(중량비)
대조군 양성대조군 실험군
A상 정제수 3 - -
알로에 - 3 -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 - - 3
디소디움 EDTA 0.01 0.01 0.01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2 0.2 0.2
클로페네신 0.2 0.2 0.2
히아투론산 5 5 5
산탄검 1% 수용액 5 5 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5 15 15
B상 스쿠알랑 7 7 7
디메치콘 3 3 3
사이크론메치콘 3 3 3
폴리솔베이트 60 2 2 2
솔비탄올레이트 0.5 0.5 0.5
쉐어버터 5 5 5
그리세릴스테아레이트 1 1 1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 1 1
스테아린산 1 1 1
C상 정제수 100까지 100까지 100까지
[실험 방법 및 결과]
제 1 실험예-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에 대한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멜라닌 형성 억제능 확인 시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에 의한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의 색을 결정하는 물질인 멜라닌의 형성이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에 의하여 억제되는지 실험하였다.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에 의한 멜라닌 형성 변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멜라노마 세포를 60mm 플레이트에 24시간 배양한 뒤, α-MSH와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을 각각의 농도로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각 플레이트에서 세포를 떼어낸 후, 이를 PBS로 세척하여 배지성분을 제거하고, 1N 수산화 나트륨용액을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각각의 세포용해 시료를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450nm의 파장에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하기의 [표 4]와 같이 음성대조군(α-MSH 처리군)에 비하여,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멜라닌 형성의 억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α-MSH - - + +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 - + - +
멜라닌 함량(%) 100 83.54 256.33 121.51
제 2 실험예-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에 대한 멜라노마 세포 내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능 확인
제 1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에 의한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멜라닌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티로시나제의 활성이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에 의하여 억제되는지 실험하였다.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에 의한 티로시나제 활성 변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멜라노마 세포를 60mm 플레이트에 24시간 배양한 후, α-MSH와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을 각각의 농도로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각각의 세포를 떼어내어 세포용해완충액을 이용하여 세포를 용해시키고, 각각의 세포용해물을 L-DOPA, 티로시나제 기질이 포함된 0.1M 인산 나트륨 완충액에 혼합하여 37℃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각각의 반응물은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450nm의 파장에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표 5]와 같이 음성대조군(α-MSH 처리군)에 비하여,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을 처리한 군에서 티로시나제의 활성이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α-MSH - - + +
시잔드린 A - + - +
티로시나제 활성(%) 100 95.24 236.25 145.69
제 3 실험예-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에 대한 멜라노마 세포 내 MITF, 티로시나제 mRNA 발현 억제능 확인
제 1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에 의한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미백에 관련된 mRNA의 발현이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에 의하여 억제되는지 실험하였다.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에 의한 mRNA 발현 변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멜라노마 세포에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을 각각의 농도로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유전자 발현 변화는,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과정 중에 증폭되는 DNA 산물에 형광물질을 붙이고 형광물질을 지속적으로 검출하는 방식인, 정량실시간 PCR(quantitative real time PCR, qRT-PCR)로 측정하였다. 고미신 N에 의한 MITF, 티로시나제, TYRP-1 및 Dct 유전자 발현 변화를 정량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PCR 산물이 발산하는 형광값을 통하여 결과값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SYBR 그린(green)Ⅰ(Invitrogen)을 사용하였다. PCR 튜브에 0.2μM 프라이머, 50mM KCl, 20mM Tris/HCl pH 8.4, 0.8mM dNTP, 0.5U Extaq DNA 폴리머라아제, 3mM MgCl2, 1×SYBR 그린을 혼합하여 반응액을 제조하였다. 반응액 제조 후, Linegene K(BioER)를 이용하여 94℃에서 3분 동안 1차 변성시킨 후, 변성, 어닐링, 중합을 각각 94℃에서 30초, 58℃에서 30초, 72℃에서 30초로 총 40사이클 수행하였고, 매 사이클이 끝난 후 형광강도를 측정하였다. PCR 결과는 각 결과별 용융곡선으로 검증하였다. 각 유전자의 역치 사이클(threshold cycle, Ct) 값을 β-액틴(actin)의 Ct값으로 표준화한 후, Ct값의 변화량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Ct값은 PCR 산물에 의하여 발생하는 형광의 양(증폭된 PCR 산물의 수)이 기본 값 이상의 일정한 기준 값에 도달했을 때의 사이클 수로서 Ct값을 통하여 유전자 발현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에 사용한 각 유전자의 하기 [표 6]과 같다.
유전자 정방향 프라이머 역방향 프라이머
β-액틴 5-GGATTCCTATGTGGGCGACGA-3 5-CGCTCGGTGAGGATCTTCATG-3
MITF 5-GGAACAGCAACGAGCTAAGG-3 5-TGATGATCCGATTCACCAGA-3
티로시나제 5-CAAGTACAGGGATCGGCCAAC-3 5-GGTGCATTGGCTTCTGGGTAA-3
분석 결과, [표 7]과 같이 각 mRNA에 따라 감소 폭의 차이를 보이지만, 대조군(무처리군)에 비하여, MITF, 티로시나제 mRNA 발현량이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을 처리 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농도 (μg/ml)
0 50 100 200
MITF 발현(%) 100 86.24 80.26 69.24
티로시나제 발현(%) 100 88.56 79.56 67.26
제 4 실험예-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에 의한 피부 톤 개선효과 확인
제 1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에 의한 피부 톤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피부 톤을 분석하였다.
먼저, 오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이 피부 톤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30세 이상의 성인 여성 30명을 선별하여 상기 제조한 크림과 토너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대조군, 양성대조군 및 실험군에게 각각 2주 및 4주간 크림 및 토너를 사용하게 한 후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CR-2600D, Konica Minolta)를 사용하여 기기 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피시험자의 우측 볼 부위를 3회 연속으로 측정하여 그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광광도계에서 측정되는 값은 L*, a* 및 b*이며, L*값이 피부 톤을 나타내는 값으로 증가할수록 피부 톤이 밝은 상태를 나타낸다.
분석 결과, [표 8]과 같이 피부 톤이, 대조군(무처리군)에 비하여,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을 처리 후 시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실험전 2주 후 4주 후
대조군 57.07 57.21 57.53
양성대조군 57.98 58.53 59.10
실험군 57.56 58.59 59.65
제 5 실험예-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에 의한 색소침착 개선효과 확인
제 1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에 의한 피부 미용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색소침착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먼저,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이 색소침착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30세 이상의 성인 여성 30명을 선별하여 상기 제조한 크림과 토너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대조군, 양성대조군 및 실험군에게 각각 2주 및 4주간 크림 및 토너를 사용하게 한 후 ANTERA 3D(Miravex)를 사용하여 기기 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왼쪽 볼 부위를 3회 연속으로 측정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표 9]와 같이 색소침착 면적이, 대조군(무처리군)에 비하여,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을 처리 후 시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전 2주 후 4주 후
대조군 12.34 12.38 12.19
양성대조군 12.85 12.12 11.75
실험군 12.94 11.85 11.33
제 6 실험예-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에 의한 피부 노란톤 개선효과 확인
제 1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에 의한 피부 노란톤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톤 균일도를 분석하였다.
먼저,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이 피부 노란톤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30세 이상의 성인 여성 30명을 선별하여 상기 제조한 크림과 토너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대조군, 양성대조군 및 실험군에게 각각 2주 및 4주간 크림 및 토너를 사용하게 한 후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CR-2600D, Konica Minolta)를 사용하여 기기 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피시험자의 우측 볼 부위를 3회 연속으로 측정하여 그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광광도계에서 측정되는 값은 L*, a* 및 b*이며, b*값이 피부 노란톤을 나타내는 값으로 감소할수록 피부 노란톤이 적은 상태를 나타낸다.
분석 결과, [표 10]과 같이 피부 노란톤이, 대조군(무처리군)에 비하여, 복령, 대두, 감초, 진피 혼합물의 추출물을 처리 후 시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전 2주 후 4주 후
대조군 18.54 18.37 18.12
양성대조군 18.78 18.34 17.99
실험군 18.92 18.01 17.21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5)

  1. 복령, 대두, 감초 및 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혼합물은,
    중량 기준으로 복령 62.5 내지 82.5, 대두 10 내지 14.5, 감초 7 내지 12, 진피 1 내지 11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추출물은,
    전체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서 0.1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복령, 대두, 감초, 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추출물은,
    파쇄된 복령, 대두, 감초, 진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추출 용매에 혼합한 후 추출하며, 상기 추출 용매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나 멸균수 또는 60% 에탄올이거나,
    상기 추출 용매 중 2 이상의 서로 다른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순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연고,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세럼,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제형 중 하나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0180011734A 2018-01-31 2018-01-31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그리고 미백용 화장물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41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734A KR102041958B1 (ko) 2018-01-31 2018-01-31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그리고 미백용 화장물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734A KR102041958B1 (ko) 2018-01-31 2018-01-31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그리고 미백용 화장물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686A true KR20190092686A (ko) 2019-08-08
KR102041958B1 KR102041958B1 (ko) 2019-11-07

Family

ID=67613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734A KR102041958B1 (ko) 2018-01-31 2018-01-31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그리고 미백용 화장물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0573A (zh) * 2020-08-19 2020-11-03 何礼明 一种美白祛斑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2917A (ja) * 1991-09-30 1993-04-16 Tsuneo Nanba 化粧料
KR101492196B1 (ko) * 2013-09-06 2015-03-05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백복령, 유백피 및 감초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2917A (ja) * 1991-09-30 1993-04-16 Tsuneo Nanba 化粧料
KR101492196B1 (ko) * 2013-09-06 2015-03-05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백복령, 유백피 및 감초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336180호 "프로토카테큐익 알데히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미백용조성물(Composition for whitening of skin containing protocatechuic aldehyde as an effective component)"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888742호 "산박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화장료조성물(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extract of Isodon inflexus)"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1995-0008122호 "혼합미백제조성물(Mixed whitening compositions)"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9-0108077호 "피부미백용조성물(skin whitening ag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0573A (zh) * 2020-08-19 2020-11-03 何礼明 一种美白祛斑霜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958B1 (ko)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74702B (zh) 雅囊(tiliacora triandra)於化妝品之用途及其組合物
KR100825450B1 (ko)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23513504A (ja) ラベンダーの水性抽出物を得る方法、そのような抽出物を含む組成物、およびその化粧的使用
JP2003201229A (ja)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活性阻害剤および抗老化用化粧料
JP5959995B2 (ja) 皮膚のしわ形成防止・改善剤
JP2006241148A (ja) コラゲナーゼ阻害剤及び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KR102415369B1 (ko) 식물 분말로 구성된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
KR102041958B1 (ko)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그리고 미백용 화장물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2003201214A (ja)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活性阻害剤
WO2018004901A1 (en) Compositions including bauhinia,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in skin anti-aging and other skin applications
KR102025634B1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62111B1 (ko) 동규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또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8255043A (ja) 皮膚外用剤
JP5144362B2 (ja) 皮膚外用剤
KR20140081137A (ko) 곰보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곰보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03201212A (ja)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活性阻害剤および皮膚外用剤
KR102264451B1 (ko) Pka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로서의 이프리플라본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및 의약 조성물,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CN109966191A (zh) 一种金露梅花提取物及其新应用
JP2005053797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コラーゲン架橋形成阻害剤
JP5468866B2 (ja) 皮膚外用剤
JP5415216B2 (ja) 皮膚外用剤
JP4047230B2 (ja) 皮膚外用剤
JP2008074730A (ja) 保湿剤、抗老化剤、美白剤、抗炎症剤、及び抗酸化剤
JP2023138224A (ja) 抗酸化および美白効能に優れた化粧料用組成物
JP5710193B2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