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2113A - 식품 건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식품 건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2113A
KR20190092113A KR1020180011514A KR20180011514A KR20190092113A KR 20190092113 A KR20190092113 A KR 20190092113A KR 1020180011514 A KR1020180011514 A KR 1020180011514A KR 20180011514 A KR20180011514 A KR 20180011514A KR 20190092113 A KR20190092113 A KR 20190092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ndenser
drying
pressure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0096B1 (ko
Inventor
이상로
위심규
강선희
정현철
장세경
Original Assignee
(주)에이원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원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에이원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11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096B1/ko
Priority to PCT/KR2018/009289 priority patent/WO2019151595A1/ko
Publication of KR20190092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2Racks for dry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식품의 효율적인 건조가 가능함과 동시에 식품의 건조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어 단시간에 대용량의 식품 건조가 가능하고, 전체 시스템을 간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간확보 및 공간활용이 용이하여 식품의 건조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효율 및 건조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건조된 식품의 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식품 건조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구성은, 식품 건조시스템에 있어서, 지지프레임(24)의 하단에 열판(70)이 구비되되, 열판(70)의 일측 단부는 압축기(31)의 파이프에 분리가능하게 연통되고, 그 타측 단부는 응축기(33)의 파이프에 분리가능하게 연통되며, 압축기(31)에서 응축기(33)로 유동하는 고온의 용매에서 발생되는 잠열로 그 상부에 위치하는 채반(25)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품 건조시스템{Food drying system}
본 발명은 식품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수단의 잠열을 이용하여 식품을 직접적으로 가열 및 건조하는 식품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식품 건조기는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식품을 건조하는 화력 건조방식과 저온상태에서 장시간 식품을 건조하는 동결 건조방식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화력 건조방식의 경우, 건조실에 열풍을 공급하거나, 가열된 유체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적용되고, 식품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건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식품 고유의 조직이 파괴됨과 동시에 형질이 변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동결 건조방식의 경우, 장시간 저온상태에서 건조함으로써 건조된 식품이 얼어서 파삭파삭해지는 등 조직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881867호(2009.02.04.)에 건조실 내부 공기압을 감압시켜 상온 상태에서 공기를 팽창시키고, 이와 동시에 내부 공기압을 감압시켜 상온 상태에서 공기를 팽창시킴과 동시에 천정에 설치된 증발기가 팽창된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을 응결시켜 이를 외부로 드레인시키며, 천정에 설치된 송풍기가 건조실의 공기를 강제순환시켜 전체적으로 공기가 균일하게 팽창과 응결되도록 하여 단시간에 식품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곡물 건조기가 제안되었다.
여기서, 곡물 건조기 내에 식품이 적재된 채반을 거치하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식품이 적재된 채반은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다단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종래기술에 따른 곡물 건조기는 보일러 등의 가열수단으로 식품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의 공기를 가열하여 채반에 적재된 식품을 건조하고, 가열된 물을 메니폴드를 통해 프레임에 설치된 관으로 공급하여 채반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곡물 건조기는 건조실 및 채반을 가열하기 위해서는 보일러, 개폐밸브가 장착된 공급관, 메니폴드, 분기관 등 별도의 가열수단이 요구되고, 이로 인해 장치비용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전체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장치들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의 확보가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건조실에서의 식품 건조량이 한정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881867호(2009.02.0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압축기에서 응축기로 유동하는 고온 및 고압의 용매가 유입 및 유출되는 열판을 이용하여 채반을 직접 가열하여 식품을 건조함으로써 식품의 효율적인 건조가 가능함과 동시에 단시간에 대용량의 식품 건조가 가능하고, 보일러 등의 가열수단이 요구되지 않아 전체 시스템을 간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간확보 및 공간활용이 용이하여 식품의 건조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품 건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형상체로서, 내부에 식품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이 형성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건조실에 곡물을 반입 및 반출하도록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곡물이 적재되는 채반이 탑재되되, 사각형태의 베이스프레임과,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결되는 보강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수직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에 연결되어 그 상부에 채반이 탑재되는 지지프레임이 다단으로 병렬배치되는 프레임; 냉매를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되, 냉매를 고온의 액체상태로 상변화시키는 응축기와, 냉매를 저온 및 저압 상태로 만드는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각수단; 냉각수단에서 발생된 응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수단; 및 건조실의 내부 공기를 감압하는 감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품 건조시스템에 있어서, 지지프레임의 하단에 열판이 구비되되, 열판의 일측 단부는 압축기의 파이프에 분리가능하게 연통되고, 그 타측 단부는 응축기의 파이프에 분리가능하게 연통되며, 압축기에서 응축기로 유동하는 고온의 용매에서 발생되는 잠열로 그 상부에 위치하는 채반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열판은 판형상체로서, 그 내부에 고온의 용매가 유동되기 위한 파이프가 지그재그형태로 다수번 절곡형성된다.
한편, 응축기에 압력게이지가 연결되고, 그 일측에 냉방팬이 구비되며, 압력게이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할 경우, 냉방팬이 구동되어 응축기의 압력을 하강시켜 용매의 온도를 감소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갖는 본 발명은, 식품의 효율적인 건조가 가능함과 동시에 식품의 건조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어 단시간에 대용량의 식품 건조가 가능하고, 전체 시스템을 간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간확보 및 공간활용이 용이하여 식품의 건조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효율 및 건조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건조된 식품의 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의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의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1)은 식품을 건조하기 위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에 반입 및 반출가능하게 구비되되, 식품의 건조 및 건조된 식품이 적재되는 프레임(20)과 상기 하우징(20) 내의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을 응결시키는 냉각수단(30)과 상기 냉각수단(30)에서 발생된 응결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수단(4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 공기를 감압하는 감압수단(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원통형상체로서, 그 내부에 식품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건조실(11)에는 건조할 식품 및 건조된 식품의 반입 및 반출을 위한 도어가 개, 폐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는 건조실(11) 내부에서 건조되는 식품의 건조 여부 또는 건조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외주연에는 강도 보강을 위하여 전체 면적에 걸쳐 보강리브가 격자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또는 내주연에는 건조실(11) 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의 열교환을 차단하기 위하여 단열재 등이 내장설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프레임(20)은 식품이 적재된 채반(25)을 탑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의 건조실(11)에서 건조될 식품 및 건조된 식품이 반입 및 반출되도록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20)은 사각형태의 베이스프레임(2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보강프레임(22)이 연결설치되고, 이동을 위한 바퀴가 샤프트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의 중심부 양 측에 수직방향으로 수직프레임(23)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각 수직프레임(23)의 대칭되는 양 측면에 채반(25)이 안착되기 위한 지지프레임(24)이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지지프레임(24)은 수직프레임(23) 상에 다단으로 병렬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23)은 베이스프레임(21)의 길이방향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연결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4)은 각 수직프레임(23)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설치됨으로써 수직프레임(23) 및 지지프레임(24) 사이의 공간으로 내부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제공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24)에는 식품이 적재되는 채반(25)의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채반덮개(26)가 개, 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채반덮개(26)는 채반(25)에 적재된 식품의 교체 시 지지프레임(24)에 장착되는 걸고리(26a)로 채반덮개(26) 상부에 장착되되, 상기 걸고리(26a)에 걸림정지 및 해제되는 회전레버(26b)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상기 채반(25) 상에서 채반덮개(26)를 개방할 경우, 상기 채반덮개(26)를 들어올려 걸고리(26a)를 회전레버(26b)의 구멍에 삽입하고, 개방된 채반(25)을 프레임(20)에서 분리한 다음 채반(25)에서 건조가 완료된 식품을 비운 후 다시 건조를 위한 식품을 채반(25)에 적재하는 등 식품의 교체가 간편용이해진다.
상기 냉각수단(30)은 압축기(31)와 응축기(33)와 팽창밸브(35) 및 증발기(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31)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응축기(33)에 파이프로 연통되되, 압축된 고온 및 고압의 냉매를 응축기(33)에 제공한다.
상기 응축기(33)는 하우징(10)의 외부에 설치되되, 상기 압축기(31)에서 압축된 후 유동하는 고온 및 고압의 냉매를 고온의 액체상태로 상변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팽창밸브(35)는 상기 응축기(33)에 파이프로 연통되되, 응축기(33)를 통과한 냉매를 급격히 팽창시켜 저온 및 저압 상태로 만든다.
또한, 상기 증발기(37)는 팽창밸브(35) 및 압축기(31)에 파이프로 연통되되, 상기 팽창밸브(35)를 통과한 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주변의 공기를 냉각하여 응결수로 만든다.
상기한 바와 같은 냉각수단(30)은 통상 알려진 바와 같이, 압축기(31)와 응축기(33)와 팽창밸브(35) 및 증발기(37)가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작업유체 또는 용매 등이 이들 사이를 사이를 유동하면서 실내를 냉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축기(31)가 파이프 내의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및 고압의 기체상태를 만들어 응축기(33)로 제공하고, 상기 응축기(33)는 이 고온 및 고압의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시켜 고온의 액체상태로 상변화시킨 다음 팽창밸브(35)로 제공하며, 상기 팽창밸브(35)는 액체의 냉매를 급격히 팽창시켜 저온 및 저압의 서리형태로 만들어 증발기(37)로 제공하고, 상기 증발기(37)는 냉매를 이용해 실내의 공기를 흡열하여 냉방시킨 후 열교환된 냉매를 다시 압축기(31)로 제공하는 등 일련의 과정을 반복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24)의 하단에는 열판(70)이 구비되되, 상기 열판(70)은 그 일측 단부가 압축기(31)에 파이프(31a)로 연결되고, 그 타측 단부가 응축기(33)에 파이프(33a)로 연결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4)의 상부에 탑재되는 채반(25)을 가열한다.
즉, 상기 압축기(31)에서 응축기(33)로 유동하되, 고온의 액체상태로 상변화된 용매의 잠열을 이용해 식품을 가열 및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프레임(24)의 하단에는 압축기(31)의 파이프(31a)에 그 일측 단부의 유입구(미도시)가 분리가능하게 연통되고, 응축기(33)의 파이프(33a)에 그 타측 단부의 유출구(미도시)가 분리가능하게 연통되는 열판(70)이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열판(70)은 판형상체로서, 그 내부에 고온의 액체상태로 상변화된 용매가 유동하기 위한 파이프(70a)가 지그재그형태로 다수번 절곡형성된다.
이때, 상기 열판(70)은 그 유입구 및 유출구가 압축기(31) 및 응축기(33)의 각 파이프(31a, 33a)에 분리가능하게 연통됨으로써 건조실(11) 내에 건조가 완료된 식품의 반출 시 열판(70)에서 각 파이프(31a, 33a)를 분리한 후 프레임(20)을 이동하여 반출시키거나, 새로운 식품이 탑재된 프레임(20)의 반입 후 열판(70)에 각 파이프를(31a, 33a) 연결 및 결합하여 식품을 건조시키는 등 사용이 간편용이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31)에서 응축기(33)로 연결되는 각 파이프(31a, 33a)에 열판(70)이 연통되되, 상기 각 지지프레임(24)의 하단에 구비되어 그 상부에 위치하는 채반(25)을 가열함으로써 건조실(11)의 실내 공기를 가열하거나, 채반(25)을 가열하기 위한 보일러 등 별도의 가열수단을 삭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체 설비를 감소시킬 수 있어 설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실(11) 내의 공간활용이 용이하며, 채반(25)에만 직접적으로 열을 가함으로써 식품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 식품 건조시스템에서 건조실(11)의 상부에 설치되었던 실내의 응축기의 삭제가 가능하여 건조실(11)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실(11)에 기존 대비 대량의 식품을 탑재하거나, 대량의 식품을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판(70)이 직사각형태의 판체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내부에 파이프(70a)가 지그재그형태로 다수번 절곡형성되어 그 상부에 탑재되는 채반(25)을 집중적으로 가열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열판(70)이 지그재그형태로 다수번 절곡형성되는 파이프(70a)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열판(70)이 환형으로 형성되되, 격자형태의 분기관(미도시)이 연통형성되는 형태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채반(25)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프레임(24)을 판형상체로 형성하되, 그 내부에 압축기(31)에서 응축기(33)로 유동하는 고온의 액체상태로 상변화된 용매가 유동하기 위한 파이프(미도시)를 설치하여 채반(25)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다양하게 변경실시 가능하고,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응축기(33)에는 압력게이지(33b)가 구비되고, 그 일측에는 냉방팬(33c)이 구비된다. 즉, 상기 압축기(31)에서 파이프를 통해 응축기(33)로 유동하는 고온의 용매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응축기(33)에는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게이지(33b) 및 상기 압력게이지(33b)의 압력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냉각팬(33c)이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응축기(33)의 압력게이지(33b)에 식품의 종류, 요구되는 식품의 건조 정도 등에 의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할 경우, 냉각팬(33c)이 구동하여 응축기(33)의 압력을 하강시킨다. 예를 들면, 건조실(11) 내에서 건조되기 위한 식품의 종류 또는 건조 정도를 고려하여 작업자가 유동하는 용매의 온도 대비 응축기(33)의 압력을 기설정한 다음, 설정된 압력 이상의 값이 압력게이지(33b)에 표시될 경우, 냉각팬(33c)이 구동되어 응축기(33)의 온도를 감소시켜 압력을 하강시키고, 상기 응축기(33)의 압력이 하강함에 따라 온도가 감소된 용매가 파이프를 통해 열판(70)을 유동하면서 상기 열판(70) 상부에 위치하는 채반(25)의 가열 및 건조 온도를 적정 온도로 조절한다.
이때, 상기 응축기(33)의 압력 대비 열판(70) 내에서 유동하는 용매의 온도는 응축기(33)의 압력이 15kgf/cm2일 경우, 열판(70) 내에서 유동하는 용매의 온도는 대략 40℃ 정도이다.
이는, 쌀을 기준으로 예시한 것이다. 우리가 주식으로 사용하는 쌀을 건조할 경우에는 40℃가 넘지 않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쌀의 건조 온도가 40℃ 이상이 되어 너무 높으면 효모가 파괴됨은 물론 밥맛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응축기(33)의 압력 대비 압축기(31)에서 응축기(33)로 유동하는 용매의 온도에 따라 채반(25)에 위치하는 식품을 직접적으로 건조함으로써 건조실(11)의 실내 공기 전부를 데웠던 기존 식품 건조시스템에 비해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식품 건조시스템(1)의 하우징(10) 외부에 응축기(33)가 구비되고, 상기 압축기(31)에서 응축기(33)로 유동하는 고온의 용매의 잠열을 가열수단으로 이용하여 채반(25)의 식품을 가열 및 건조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응축기(33)가 다수개 구비되어 식품의 종류 및 식품의 건조 정도에 따라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응축기(33)를 동작시켜 요구하는 온도로 식품을 가열 및 건조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식품 건조시스템(1)의 압축기(31) 및 응축기(33)의 파이프가 각 지지프레임(24) 하단에서 구비되되, 그 내부에 지그재그형태로 다수번 절곡형성되는 파이프를 갖는 열판(70)의 유입구 및 유출구에 분리가능하게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지지프레임(24)의 하단에 구비되어 그 상부의 채반(25)을 가열 및 건조시키기 용이하다면 상기 열판(70) 내에 구비되는 파이프가 기타 다양한 구조 및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축기(31)에서 하우징(10)의 실외에 구비되는 응축기(33)로 유동하는 고온 및 고압의 냉매에서 발생되는 잠열을 이용하여 채반(25)을 직접 가열 및 건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건조실(11)의 실내에 응축기(미도시)를 설치하되, 압축기(31) 및 실외에 설치되는 응축기(33)에 파이프로 연통시켜 상기 압축기(31)를 통하여 실내의 응축기로 유동하는 용매의 잠열을 이용하여 건조실(11)의 실내 온도를 상승시키고, 실내의 응축기에서 실외의 응축기(33)로 유동하는 용매를 열판(70)으로 유입시켜 열판(70)의 상부에 위치하는 채반(25)을 가열 및 건조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의 건조실(11) 실내 전체를 1차적으로 가열하고, 채반(25)에 구비되는 식품들을 2차적으로 개별가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드레인수단(40)은 상기 증발기(37)의 하부에 설치되어 증발기(37)에 의해 응결되는 응결수를 집수부재로 집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집수부재에 의해 집수된 응결수는 저장탱크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집수부재는 증발기(37)에 의해 응결되는 응결수를 충분히 집수할 수 있도록 증발기(37)의 길이방향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감압수단(50)은 건조실(11) 내부의 공기를 감압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조실(11) 내부는 대기압 상태이므로 실내 공기가 압력차에 의해 팽창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감압수단(50)이 적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감압수단(50)은 감압펌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압펌프에 의해 건조실(11)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건조실(11) 내부 압력을 저하시키고, 이로 인해 건조실(11) 내의 공기가 팽창되면서 가벼워져 공기의 운동 및 순환이 활발해진다.
실제로, 건조실(11) 내부의 압력을 16mmAq까지 낮춘 상태에서 약 320kg의 쌀을 건조시킬 경우, 기존의 경우에는 대략 72시간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1)은 대략 10시간 정도 소요되었으며, 기존 대비 7배 정도의 시간절감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감압펌프는 건조실(11) 내부와 파이프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1)은 송풍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수단은 건조실(11) 내의 공기를 순환하여 공기 중에 함유된 습기가 균일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송풍팬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 식품 건조시스템, 10 : 하우징,
11 : 건조실, 20 : 프레임,
21 : 베이스프레임, 22 : 보강프레임,
23 : 수직프레임, 24 : 지지프레임,
25 : 채반, 26 : 채반덮개,
26a : 걸고리, 26b : 회전레버,
30 : 냉각수단, 31 : 압축기,
31a : 파이프, 33 : 응축기,
33a : 파이프, 33b : 압력게이지,
33c : 냉각팬, 40 : 드레인수단,
50 : 감압수단, 60 : 송풍수단,
70 : 열판, 70a : 파이프.

Claims (3)

  1. 원통형상체로서, 내부에 식품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11)이 형성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건조실(11)에 곡물을 반입 및 반출하도록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곡물이 적재되는 채반(25)이 탑재되되, 사각형태의 베이스프레임(21)과,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결되는 보강프레임(22)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수직프레임(23) 및 수직프레임(23)에 연결되어 그 상부에 채반(25)이 탑재되는 지지프레임(24)이 다단으로 병렬배치되는 프레임(20); 냉매를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31)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 구비되되, 냉매를 고온의 액체상태로 상변화시키는 응축기(33)와, 냉매를 저온 및 저압 상태로 만드는 팽창밸브(35) 및 증발기(37)를 포함하는 냉각수단(30); 상기 냉각수단(30)에서 발생된 응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수단(40); 및 건조실(11)의 내부 공기를 감압하는 감압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품 건조시스템(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4)의 하단에 열판(70)이 구비되되, 상기 열판(70)의 일측 단부는 압축기(31)의 파이프에 분리가능하게 연통되고, 그 타측 단부는 응축기(33)의 파이프에 분리가능하게 연통되며, 상기 압축기(31)에서 응축기(33)로 유동하는 고온의 용매에서 발생되는 잠열로 그 상부에 위치하는 채반(25)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판(70)은 판형상체로서, 그 내부에 고온의 용매가 유동되기 위한 파이프가 지그재그형태로 다수번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33)에 압력게이지(33b)가 연결되고, 그 일측에 냉방팬(33c)이 구비되며, 상기 압력게이지(33b)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할 경우, 상기 냉방팬(33c)이 구동되어 응축기(33)의 압력을 하강시켜 용매의 온도를 감소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시스템.
KR1020180011514A 2018-01-30 2018-01-30 식품 건조시스템 KR102030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514A KR102030096B1 (ko) 2018-01-30 2018-01-30 식품 건조시스템
PCT/KR2018/009289 WO2019151595A1 (ko) 2018-01-30 2018-08-13 식품 건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514A KR102030096B1 (ko) 2018-01-30 2018-01-30 식품 건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113A true KR20190092113A (ko) 2019-08-07
KR102030096B1 KR102030096B1 (ko) 2019-10-08

Family

ID=6762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514A KR102030096B1 (ko) 2018-01-30 2018-01-30 식품 건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0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1331A (zh) * 2020-12-03 2021-05-11 麻阳归臻堂实业有限公司 一种藏红花花丝专用烘烤设备
KR20220023015A (ko) * 2020-08-20 2022-03-02 하 중 김 밀폐형 구조의 적외선 다용도 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002B1 (ko) 2020-04-01 2020-07-14 대한민국(한국전통문화대학교 총장) 문화재 건조열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804A (ko) * 2007-07-10 2009-01-14 홍영채 음식물 건조처리기
KR100881867B1 (ko) 2008-03-11 2009-02-04 (주)범양냉열 곡물 건조기
KR101415966B1 (ko) * 2013-04-10 2014-07-04 최종민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150040092A (ko) * 2013-10-04 2015-04-14 주식회사 우림산업 근적외선 냉온풍 감압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804A (ko) * 2007-07-10 2009-01-14 홍영채 음식물 건조처리기
KR100881867B1 (ko) 2008-03-11 2009-02-04 (주)범양냉열 곡물 건조기
KR101415966B1 (ko) * 2013-04-10 2014-07-04 최종민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150040092A (ko) * 2013-10-04 2015-04-14 주식회사 우림산업 근적외선 냉온풍 감압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015A (ko) * 2020-08-20 2022-03-02 하 중 김 밀폐형 구조의 적외선 다용도 건조기
CN112781331A (zh) * 2020-12-03 2021-05-11 麻阳归臻堂实业有限公司 一种藏红花花丝专用烘烤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096B1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1850B1 (ko) 건조 장치
KR100881867B1 (ko) 곡물 건조기
KR102030096B1 (ko) 식품 건조시스템
KR100343807B1 (ko) 건조장치
KR101171851B1 (ko) 건조 장치
KR101095897B1 (ko) 저온 저장 가능한 농수산물 제습 건조기
KR100828142B1 (ko) 농수산물의 냉풍 건조장치
CN107560397A (zh) 一种基于多级热泵串联的多层带式干燥系统
KR20130019881A (ko) 저온냉풍제습방식 고추 건조장치
KR102065995B1 (ko) 하이브리드 저온 제습 건조기
KR20150051353A (ko) 열펌프 건조기
JP6185191B2 (ja) 食品乾燥機
KR101317086B1 (ko)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KR20120009972A (ko) 반건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140727B1 (ko)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저장 방법
KR20120096916A (ko) 히트 펌프형 건조 시스템
WO2019151595A1 (ko) 식품 건조시스템
KR102030097B1 (ko) 식품 건조시스템
KR101226451B1 (ko) 대형창고의 양방향 제습건조시스템
KR20160098755A (ko) 송풍기 모듈을 이용한 제습시스템 및 그 제습시스템의 작동방법
KR20070026714A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건조 시스템
KR102320450B1 (ko) 제습식 농산물 건조기
JPH1163818A (ja) 穀物乾燥装置
KR20210056709A (ko) 복합 식품 건조장치
KR20130036471A (ko) 냉동 고추 건조를 위한 냉풍 제습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