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848A - 흡입 노즐 및 청소기 - Google Patents

흡입 노즐 및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848A
KR20190091848A KR1020180010924A KR20180010924A KR20190091848A KR 20190091848 A KR20190091848 A KR 20190091848A KR 1020180010924 A KR1020180010924 A KR 1020180010924A KR 20180010924 A KR20180010924 A KR 20180010924A KR 20190091848 A KR20190091848 A KR 20190091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leaning
rotary cleaning
contact
clean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580B1 (ko
Inventor
선창화
김상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0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580B1/ko
Priority to US16/256,067 priority patent/US11253122B2/en
Publication of KR20190091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47L9/061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picking up threads, hair or the like, e.g. brushes, combs, lint pickers or bristles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7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mov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 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흡입 노즐은, 흡입구를 구비하는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 내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바닥면 청소를 위한 청소 요소를 구비하는 회전 청소부; 및 상기 노즐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청소부가 회전될 때 상기 회전 청소부의 전체 회전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청소 요소의 측단부와 중첩되는 복수의 접촉부를 구비하는 감김 방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흡입 노즐 및 청소기{Nozzle and cleaner}
본 발명은 흡입 노즐 및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란, 바닥면의 이물질 등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가전기기이다. 청소기는,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와, 사용자가 수동으로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수동 청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입 모터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흡입구를 구비하는 흡입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은, 회전 동작하는 아지테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지테이터는 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바닥으로부터 쓸어올려 흡입구 측으로 이동하도록 작용한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0708호에는 진공청소기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에 개시된 진공청소기는, 공기와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흡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부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브러쉬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브러쉬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드럼 및 상기 회전드럼에 장착되어 브러쉬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에는 환형의 차단리브가 마련되어, 상기 드럼브러쉬의 일측단에 위치한 브러시가 상기 차단리브 내에 수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차단리브 내에 수용되는 브러쉬는 상기 차단리브의 내측벽과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브러시는, 이물질을 픽업하도록 구비되는 제1브러쉬 및 상기 제1브러쉬보다 짧게 구비되어 상기 차단리브 내에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제2브러쉬를 포함한다.
이러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제2브러시가 차단리브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브러시의 단부와 차단리브 사이가 이격되므로, 머리카락이 제1브러시의 단부와 차단리브 사이에서 제2브러시 외측으로 감기게 된다. 상기 제2브러시의 외측으로 머리카락이 감기는 경우 상기 차단리브의 외측으로도 머리카락이 감기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머리카락등과 같은 이물질이 회전 청소부에 감기거나 또는 회전 청소부와 이를 지지하는 홀더 사이로 이물질이 끼는 현상이 방지되는 흡입 노즐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물질의 감김 방지를 위한 구조물에 의한 유로 저항이 줄어들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물질의 감김 방지를 위한 구조물에 의해서 회전 청소부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감김 방지부가 노즐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노즐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쉽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입 노즐은, 흡입구를 구비하는 노즐 본체와, 상기 노즐 본체 내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청소 요소를 구비하는 회전 청소부; 및 상기 노즐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청소부가 회전될 때 상기 회전 청소부의 전체 회전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청소 요소의 측단부와 중첩되는 복수의 접촉부를 구비하는 감김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이 회전 청소부에 감기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상기 복수의 접촉부는 상기 회전 청소부의 회전 중심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김 방지부는 상기 복수의 접촉부가 설치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청소 요소의 측단부 까지의 거리 보다 상기 각 접촉부의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접촉부에 의한 유로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지지부가 상기 노즐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는 상기 회전 청소부의 회전 중심선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가 상기 설치부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노즐 본체는 상기 지지부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설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 청소부의 회전 중신선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접촉부와 청소 요소의 마찰 시 상기 청소 요소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각 접촉부의 직경은 상기 청소 요소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각 접촉부의 강성은 상기 청소 요소의 강성 보다 작을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접촉부를 구비하는 감김 방지부가 노즐 본체에 설치되어 청소 요소의 측단부와 중첩되므로, 머리카락등과 같은 이물질이 회전 청소부에 감기거나 또는 회전 청소부와 이를 지지하는 홀더 사이로 이물질이 끼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가 설치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접촉부가 회전 청소부의 회전 중심선 보다 하방에 위치되므로, 복수의 접촉부에 의한 유로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접촉부의 직경이 청소 요소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접촉부의 강성이 청소 요소의 강성 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청소 요소와 복수의 접촉부가 마찰하는 과정에서 청소 요소의 손상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접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설치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접촉부가 마찰에 의하여 손상되는 경우 새로운 감김 방지부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지지부가 설치부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청소 요소와 복수의 접촉부의 마찰시 상기 지지부로 가압력이 가해지므로, 상기 지지부가 설치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부가 설치부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로봇 청소기에서 흡입 노즐의 하측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흡입 노즐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커버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김 방지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의 감김 방지부가 도 4의 베이스 커버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 청소부의 일측과 감김 방지부가 접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회전 청소부의 타측과 감김 방지부가 접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로봇 청소기에서 흡입 노즐의 하측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흡입 노즐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흡입 노즐이 구비되는 청소기의 일 예로서 로봇 청소기가 도시되나, 본 발명의 흡입 노즐의 구조는 로봇 청소기 외의 다양한 청소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미도시)를 구비하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가 자동으로 주행하면서 바닥면의 청소를 수행할 때, 장애물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본체(10)의 높이는 상기 본체(10)의 반경 보다 작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이동을 위한 메인 바퀴(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퀴(11)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로봇 청소기(1)는, 상기 본체(10)의 앞쪽에 구비되는 노즐(30)과,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먼지통(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닥면의 먼지를 상기 노즐(30)을 통해 상기 본체(10) 내부로 흡입될 수 있고, 상기 본체(10) 내부로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고,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먼지통(20)은 상기 본체(10)에서 상기 노즐(30)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먼지통(20)은 상기 본체(10)의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30)의 일부는 상기 본체(1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구비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30)에서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된 전방 돌출부(31)의 높이는 상기 본체(10)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봇 청소기(1)가 바닥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상기 본체(10)의 높이 보다 높이가 낮은 공간으로 상기 전방 돌출부(31)가 진입할 수 있어, 상기 로봇 청소기(1)의 청소 가능한 영역이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노즐(30)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흡입구(362)를 구비하는 노즐 본체(300)와, 상기 노즐 본체(30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 청소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본체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베이스(300a)와, 상기 베이스(300a)의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00a)와 상기 커버 부재(310)는 상기 회전 청소부(32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300a)에는 상기 회전 청소부(320)의 장착을 위하여 상기 회전 청소부(320)가 관통하는 개구(30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00a)와 상기 커버 부재(3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300a)의 앞쪽에 상기 범퍼(330)가 안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범퍼(330)가 상기 커버 부재(310)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범퍼(330)가 상기 베이스(300a)에 안착된 상태에서 테두리 부재(340)가 상기 커버 부재(310)의 테두리를 둘러쌀 수 있고, 상기 범퍼(330)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테두리 부재(340)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상기 테두리 부재(340)가 상기 커버 부재(3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노즐(30)의 양측에는 측면 커버(39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범퍼(330)의 양단은 상기 측면 커버(390)에 결합되거나 상기 커버 부재(31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노즐 본체(300)의 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위에서 설명되는 구성 및 결합 방식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상기 노즐 본체(300)는, 상기 회전 청소부(320)의 하측을 커버하는 베이스 커버(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커버(360)는, 상기 베이스(300a)와 별도의 구성으로 제조되어 상기 베이스(300a)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베이스 커버(360)가 상기 개구(301)를 커버하면서 상기 베이스(300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커버(360)는, 흡입구(362)가 형성되는 커버 바디(361)와, 상기 커버 바디(36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전 청소부(320)의 양측을 지지하는 홀더(368, 368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홀더(368, 368a)는 상기 커버 바디(36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300a)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홀더(368, 368a)가 상기 베이스(300a)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홀더(368, 368a)에 상기 회전 청소부(320)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바디(361)가 상기 베이스(300a)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청소부(320)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청소부(320)는, 회전 바디(321)와, 상기 회전 바디(321)의 외측에 설치되는 청소 요소(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 요소(322)는, 상기 회전 바디(321)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곡선 또는 나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청소 요소(322)는 상기 회전 바디(32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청소 요소(322)가 상기 회전 바디(321)의 외측에 위치되므로, 상기 회전 바디(321)의 반경 보다 상기 회전 바디(321)의 중심에서 상기 청소 요소(322)의 단부 까지의 거리가 크다.
상기 청소 요소(322)는, 복수의 모를 포함하는 브러시이거나 고무 재질의 브러시일 수 있다.
상기 청소 요소(322)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회전 바디(321)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회전 바디(312)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청소부(320)는, 상기 회전 바디(321)의 양측에 결합되는 회전 가이드(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가이드(324)의 직경은 상기 회전 바디(321)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가이드(324)가 상기 회전 바디(321)의 양측에 결합되면, 상기 청소 요소(322)가 상기 회전 바디(321)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노즐(30)은, 상기 베이스 커버(36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청소부(320)에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감김 방지부(370, 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한 쌍의 감김 방지부(370, 380)가 상기 베이스 커버(36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청소부(320)의 양측에서 상기 청소 요소(321)와 접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베이스 커버(360)의 구조 변경에 따라서 상기 감김 방지부(370, 380)가 베이스(300a)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홀더(368, 368a)가 베이스(300a)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감김 방지부(370, 380)가 베이스(300a)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홀더(368, 368a)가 베이스(300a)에 형성되더라도 상기 감김 방지부(370, 380)가 베이스(300a)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베이스 커버와 감김 방지부의 결합을 위한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커버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김 방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감김 방지부가 도 4의 베이스 커버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 청소부의 일측과 감김 방지부가 접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회전 청소부의 타측과 감김 방지부가 접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홀더(368, 368a)는 상기 커버 바디(361)의 양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홀더(368, 368a)가 상기 커버 바디(361)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홀더(368, 368a)는, 제 1 홀더(368)와 제 2 홀더(368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홀더(368) 및 상기 제 2 홀더(368a) 각각은 상기 회전 청소부(32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369, 369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홀더(368)의 수용부(369)는 상기 회전 청소부(320)의 일측의 회전 가이드(324)를 수용하는 홈이고, 상기 제 2 홀더(368a)의 수용부(369a)는 상기 회전 청소부(320)의 타측이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
어느 구조이던, 상기 각 홀더(368, 368a)의 수용부(369, 369a)에는 상기 회전 청소부(320)에서 적어도 회전 가이드(324)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디(361) 또는 상기 홀더(368, 368a)에는 상기 감김 방지부(370, 380)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부(36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363)는 상기 커버 바디(361) 또는 상기 홀더(368, 368a)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설치홈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설치부(363)가 상기 홀더(368, 368a)에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감김 방지부(370, 380)는, 상기 회전 청소부(3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 청소부(320)의 청소 요소(322)와 접촉하기 위한 복수의 접촉부(371)와,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를 지지하는 지지부(3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는 가늘고 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는, 상기 청소 요소(322)와의 접촉 시 마찰에 따른 손상이 방지되도록, 모(毛), 융(絨), 및 펠트(fel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는 변형 가능한 재질인 고무나, 실리콘, 기타 플라스틱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촉부(371)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지지부(372)는 상기 설치부(363)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363)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는 상기 설치부(363)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가 상기 청소 요소(321)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는 상기 흡입구(362)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72)는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상기 설치부(363)에 억지끼움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373)는 상기 회전 청소부(320)의 회전 중심선(C1)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설치부(363)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회전 청소부(320)가 회전될 때,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가 상기 청소 요소(322)와 접촉되어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력은 상기 지지부(372)가 상기 설치부(363)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상기 지지부(372)가 상기 설치부(363)에 설치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지부(372)는 양면 테이프나 접착제 의해서 상기 설치부(363)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지부(372)는, 후크나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에 의해서 상기 설치부(363)에 고정될 수 있다.
어는 경우든, 상기 지지부(372)가 상기 설치부(363)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372)가 사용자의 분리 의도에 의해서 상기 설치부(363)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와 상기 청소 요소(322) 간의 지속적인 마찰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가 손상되더라도 상기 감김 방지부(370, 380)를 상기 설치부(363)에서 분리한 후에 새로운 감김 방지부(370, 38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부(372)가 상기 설치부(363)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는 상기 회전 청소부(320)의 회전 중심선(C1)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의 길이는 상기 지지부(373)에서 상기 청소 요소(321) 까지의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청소부(320)가 회전될 때, 전체 회전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청소 요소(322)의 측단부는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와 중첩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가 상기 청소 요소(322)와 중첩되면, 상기 청소 요소(322)와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 간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상기 회전 청소부(320)의 둘레, 특히 상기 청소 요소(322)가 구비되는 않는 회전 바디(361)나 회전 가이드(324)의 둘레에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이 감기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와 상기 청소 요소(322)가 접촉된 상태에서 틈새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 간의 간격은 상기 청소 요소(322)의 두께 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접촉부(371)에 의해서 상기 청소 요소(322)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의 강성(stiffnes)은 상기 청소 요소(322)의 강성 보다 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접촉부(371)는 일 예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접촉부(371)의 직경은 상기 청소 요소(322)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청소부(320)가 회전될 때, 상기 청소 요소(322)와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이 증가될수록 이물질의 감김 방지 효과가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 청소부(320)의 둘레 전체에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가 배치되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청소 요소(322)와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는 상기 회전 청소부(320)의 회전 과정에서 항상 접촉한 상태가 되므로, 이물질이 감기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복수의 접촉부(371)가 상기 청소 요소(322)와 항상 접촉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의 마모가 빨라지게 된다. 또한, 복수의 접촉부(371)가 청소 요소(322)의 측단부와 중첩되어야 하므로,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가 흡입구 측으로 돌출되므로 복수의 접촉부(371)가 유로 저항 역할을 하게 되어 흡입 성능을 저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물질 감김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가 유로 저항 역할을 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는 상기 회전 청소부(320)의 회전 중심선(C1) 보다 하방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이물질이 바로 회전 청소부(320)에 감기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부(37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각 홀더(368, 369a)에 구비되는 수용부(369, 369a)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372)는, 상기 각 홀더(368, 369a)에 구비되는 수용부(369, 369a)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 1 부분(3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373)의 길이는 상기 흡입구(362)의 전후 폭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373)에만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 청소부(320)가 회전되므로 상기 제 1 부분(373)의 양측에 위치된 일부의 접촉부(371) 들은 상기 청소 요소(322)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 요소(322)와의 접촉 시간이 증가되도록 상기 지지부(372)는 상기 제 1 부분(373)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37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374)의 최상면은, 상기 각 수용부(369, 369a)의 최저점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동작하는 회전 청소부(320)의 청소 요소(322)와의 접촉 면적 및 시간이 증가되도록 상기 제 2 부분(374)의 상면은 라운드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지지부(372)는 상면이 하방으로 함몰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372)의 최상면은 상기 각 수용부(369, 369a)의 최저점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청소부(3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청소 요소(322)가 상기 흡입구(362)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김 방지부(370, 380)의 배치 및 구조에 의하면, 적어도 상기 청소 요소(322)가 상기 흡입구(362)의 외측에 위치될 때, 상기 복수의 접촉부(371)가 상기 청소 요소(322)와 접촉할 수 있어, 상기 회전 청소부(320)로 이물질이 감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1: 로봇 청소기 10: 본체
30: 노즐 300: 노즐 본체
300a: 베이스 320: 회전 청소부
322: 청소 요소 360: 베이스 커버
370, 380: 감김 방지부

Claims (11)

  1. 흡입구를 구비하는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 내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바닥면 청소를 위한 청소 요소를 구비하는 회전 청소부; 및
    상기 노즐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청소부가 회전될 때 상기 회전 청소부의 전체 회전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청소 요소의 측단부와 중첩되는 복수의 접촉부를 구비하는 감김 방지부를 포함하는 흡입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는 상기 회전 청소부의 회전 중심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흡입 노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김 방지부는 상기 복수의 접촉부가 설치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청소 요소의 측단부 까지의 거리 보다 상기 각 접촉부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흡입 노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는 상기 지지부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설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 청소부의 회전 중신선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는 흡입 노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노즐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는 상기 상기 회전 청소부의 회전 중심선의 하방에 위치되는 흡입 노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용부 보다 낮게 위치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면이 상기 수용부의 최저점 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흡입 노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는 모(毛), 융(絨), 및 펠트(fel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입 노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요소는, 복수의 모를 포함하는 브러시이거나 고무 재질의 브러시인 흡입 노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촉부의 직경은 상기 청소 요소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되는 흡입 노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촉부의 강성은 상기 청소 요소의 강성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
  11. 흡입구를 구비하는 흡입 노즐; 및
    상기 노즐 본체와 연통되며, 상기 노즐 본체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을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노즐은, 청소 요소를 구비하는 회전 청소부와,
    상기 회전 청소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노즐 본체와,
    상기 노즐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청소부가 회전될 때 상기 흡입구 측에서 상기 청소 요소의 측단부와 중첩되는 복수의 접촉부를 구비하는 감김 방지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KR1020180010924A 2018-01-29 2018-01-29 흡입 노즐 및 청소기 KR102482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924A KR102482580B1 (ko) 2018-01-29 2018-01-29 흡입 노즐 및 청소기
US16/256,067 US11253122B2 (en) 2018-01-29 2019-01-24 Suction nozzle and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924A KR102482580B1 (ko) 2018-01-29 2018-01-29 흡입 노즐 및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848A true KR20190091848A (ko) 2019-08-07
KR102482580B1 KR102482580B1 (ko) 2022-12-30

Family

ID=67391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924A KR102482580B1 (ko) 2018-01-29 2018-01-29 흡입 노즐 및 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53122B2 (ko)
KR (1) KR102482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2845A1 (zh) * 2019-10-30 2021-05-06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清洁机器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484B1 (ko) * 2005-02-22 2006-08-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물걸레 청소기용 흡입구 헤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68518A1 (en) * 2000-06-16 2002-01-02 Headwaters, Inc. Dust wand cleaning appliance
KR102467325B1 (ko) 2016-01-29 2022-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484B1 (ko) * 2005-02-22 2006-08-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물걸레 청소기용 흡입구 헤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2845A1 (zh) * 2019-10-30 2021-05-06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清洁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31155A1 (en) 2019-08-01
KR102482580B1 (ko) 2022-12-30
US11253122B2 (en)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5798B2 (ja) 真空掃除機のための掃除機ヘッド
KR102546702B1 (ko) 진공청소기
US9717388B2 (en) Pad changer, cleaner and cleaner system having the same
JP2014023930A (ja) ロボット掃除機
KR20120042642A (ko) 로봇청소기
CN101310667A (zh) 吸入口组件和具有该组件的真空吸尘器
US8733796B2 (en) Robot cleaner
JP6671496B2 (ja) 掃除機のノズル
JP4559005B2 (ja) 床掃除機
KR102613504B1 (ko) 청소기
GB2204784A (en) Upright-type electric vacuum cleaner
KR102620155B1 (ko) 청소기
KR101911295B1 (ko) 청소기
JP6093662B2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20190091848A (ko) 흡입 노즐 및 청소기
KR101352287B1 (ko) 노즐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WO2006062267A1 (en) Agitator fir suction nozzle in vacuum cleaner
AU2020421363A1 (en) Vacuum cleaner
WO2018059538A1 (zh) 洗鞋用配件以及洗鞋装置
KR101248733B1 (ko) 진공 청소기의 아지 테이터
US11540685B2 (en) Nozzle for cleaner, and vacuum cleaner
US20230147103A1 (en) A wet duster module for a cleaner
JP6553571B2 (ja) 電気掃除機
KR970032688A (ko) 진공청소기의 회전브러쉬 오물부착 방지구조
KR20240050871A (ko)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