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321A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321A
KR20190091321A KR1020197019026A KR20197019026A KR20190091321A KR 20190091321 A KR20190091321 A KR 20190091321A KR 1020197019026 A KR1020197019026 A KR 1020197019026A KR 20197019026 A KR20197019026 A KR 20197019026A KR 20190091321 A KR20190091321 A KR 20190091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main body
cleaner
vacuum cleaner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9195B1 (ko
Inventor
마사토시 타나카
타카요시 시미즈
유키오 마치다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1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7Handles for 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63External storing devices; Stands, casings or the like for the storage of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의 취급의 경쾌성을 보다 높인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전기 청소기(3)는 정면에 본체 접속구(18)를 갖는 본체 케이스(11)와, 본체 케이스(11)의 좌우 각각의 측부에 설치되어 본체 케이스(11)를 주행 가능하게지지하고, 또한 회전 중심선 방향으로 보아 본체 케이스(11) 중 적어도 배면을 덮어 가리는 한 쌍의 바퀴(12)와, 한 쌍의 바퀴(12)에 끼워지는 영역(A)에 설치되고, 또한 본체 케이스(11)의 형상을 따라 배치되는 2차 전지(17)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는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바퀴를 갖는 청소기 본체를 구비하는 전기 청소기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전기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는 집진 호스에 인장되어 청소기 본체를 전진시키거나, 좌우 방향으로 진행 방향을 바꾼다. 이러한 종류의 전기 청소기의 조작성은, 청소기 본체의 취급의 경쾌성에 크게 좌우된다.
일본 공개 특허 제2017-60590호 공보
그런데, 종래의 전기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의 정면측에 집진 호스를 접속하고 있거나, 집진 호스가 청소기 본체의 정면측을 경유하여 연장되어 있으므로, 청소기 본체의 전반부에는 집진 호스로부터 흘러 들어가는 먼지를 축적하는 먼지 용기가 있고, 그 후부에는 흡입 부압을 발생시키는 전동 송풍기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먼지 용기와 전동 송풍기의 배치의 상황으로부터, 청소기 본체의 중심은 바퀴의 회전 중심선(가상적인 차축의 회전 중심선)의 앞쪽에 배치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청소기 본체의 방향을 반전시키고자 할 때, 청소기 본체의 중심이 바퀴의 회전 중심선으로부터 멀수록, 청소기 본체의 경쾌성은 손실된다. 또한, 집진 호스를 높은 곳으로 향하게 하여 높은 곳을 청소하기 위해, 집진 호스를 인장하도록 하여 청소기 본체의 정면을 상방으로 향하게 하여 청소기 본체를 기립시키고자 할 때에도, 바퀴의 회전 중심선으로부터 청소기 본체의 중심이 멀수록, 청소기 본체의 경쾌성은 손실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의 취급의 경쾌성을 보다 높인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는, 정면에 흡입구를 갖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좌우 각각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를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회전 중심선 방향으로 보아, 상기 본체 케이스 중 적어도 배면을 덮어 가리는 한 쌍의 바퀴와, 상기 한 쌍의 바퀴에 끼인 영역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의 형상을 따라 배치되는 2차 전지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청소기 본체의 취급의 경쾌성을 보다 높인 전기 청소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의 청소기 본체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의 청소기 본체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1차 먼지 용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1차 먼지 용기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1차 먼지 용기의 단면도,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1차 먼지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제진 기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동력 전달 기구의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동력 전달 기구의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동력 전달 기구의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동력 전달 기구의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용기 잠금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본체 손잡이를 인출한 상태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본체 손잡이 및 바퀴의 내부 구조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본체 손잡이 및 바퀴의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본체 손잡이 및 바퀴의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본체 손잡이 및 바퀴의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본체 손잡이 및 바퀴의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본체 손잡이 및 바퀴의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손잡이 복귀부의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의 스테이션의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의 스테이션의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의 동력 전달 경로의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의 블럭도,
도 2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에 의한 전기 청소기로부터 스테이션으로의 먼지의 이동에 관한 시퀀스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의 측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의 감속 기구의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의 감속 기구의 단면도, 및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의 감속 기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복수의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1)는 거치형 스테이션(2)과, 스테이션(2)에 연결 및 분리 가능한 전기 청소기(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에는 스테이션(2)에 전기 청소기(3)가 연결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형태를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라고 부른다. 도 2에는 스테이션(2)으로부터 전기 청소기(3)가 분리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전기 청소기(3)가 청소에 사용되는 형태이다.
전기 청소기(3)는 소위 무선 타입이다. 전기 청소기(3)는 소위 캐니스터형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업라이트형, 스틱형, 또는 핸디형이어도 된다. 스테이션(2)에 연결 및 분리 가능한 전기 청소기(3)는 스테이션(2)에 장착 가능하고, 스테이션(2)에 얹어 두는 것이 가능하기도 하다. 스테이션(2)에 전기 청소기(3)를 연결 및 분리하는 것, 스테이션(2)에 전기 청소기(3)를 장착하는 것, 및 스테이션(2)에 전기 청소기(3)를 얹어 두는 것, 중 어떤 표현도 스테이션(2)에 전기 청소기(3)를 수납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스테이션(2)은 전기 청소기(3)의 충전 기능과, 전기 청소기(3)가 포집한 먼지를 회수하고, 회수한 먼지를 축적하는 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스테이션(2)은 거실의 적당한 장소에 배치된다. 또한, 스테이션(2)은 수납 형태의 전기 청소기(3)를, 단순히 얹어 두는 대(臺) 형상의 것이어도 되고, 청소기 본체(3)의 전체 또는 일부를 수납하는 오목부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스테이션(2)은 수납 형태의 전기 청소기(3)를 덮어 가리는 것이어도 된다.
사용자는 스테이션(2)에 연결된 전기 청소기(3)의 청소기 본체(7)를 스테이션(2)으로부터 분리하고(도 2), 거실의 피청소면에서 전기 청소기(3)를 주행시키고, 또는 전기 청소기(3)를 손에 들고 이동하여 피청소면을 청소한다. 이 후, 사용자는 청소기 본체(7)를 스테이션(2)으로 복귀하여(연결하여) 수납한다(도 1). 스테이션(2)은 청소기 본체(7)가 연결되면, 청소기 본체(7)를 충전하는 한편, 전기 청소기(3)가 축적되어 있는 먼지를 적시에 회수한다. 즉, 전기 청소 장치(1)는 전기 청소기(3)를 청소에 사용한 후, 스테이션(2)에 청소기 본체(7)가 연결될 때마다, 전기 청소기(3)가 포집한 먼지를 스테이션(2)에 회수하여 전기 청소기(3)의 집진실 내를 비운다.
또한, 전기 청소기(3)로부터 스테이션(2)에 먼지를 회수하는 빈도는 전기 청소기(3)를 스테이션(2)에 연결할 때마다가 아니어도 된다. 먼지의 회수 빈도는 스테이션(2)에 전기 청소기(3)가 복수회 연결될 때마다, 예를 들면 전기 청소기(3)가 1 일 1 회 사용되는 전제에서, 1 주간마다 먼지를 회수하는 횟수, 즉 7 회마다이어도 된다.
전기 청소기(3)는 피청소면을 주행 가능한 청소기 본체(7)와, 청소기 본체(7)에 착탈 자유로운 관부(8)를 구비하고 있다. 관부(8)는 청소기 본체(7)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관부(8)는 청소기 본체(7)에 접속되어 먼지를 흡입하는 풍로체이다.
청소기 본체(7)는 본체 케이스(11), 본체 케이스(11)의 좌우 각각의 측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바퀴(12), 본체 케이스(1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1차 먼지 용기(13), 본체 손잡이(14), 본체 케이스(11)에 수용되는 1차 전동 송풍기(15), 주로 1차 전동 송풍기(15)를 제어하는 청소기 제어부(16), 및 1차 전동 송풍기(15)에 공급되는 전력을 축적하는 2차 전지(17)를 구비하고 있다.
청소기 본체(7)는 2차 전지(17)가 축적하는 전력으로 1차 전동 송풍기(15)를 구동시킨다. 청소기 본체(7)는 1차 전동 송풍기(15)가 발생시키는 부압을 관부(8)에 작용시킨다. 전기 청소기(3)는 관부(8)를 통하여 피청소면으로부터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이하, 「먼지 함유 공기」라고 부름)를 흡입한다. 전기 청소기(3)는 흡입된 먼지 함유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한다. 전기 청소기(3)는 분리 후의 먼지를 포집하고, 축적하는 한편, 먼지를 분리한 후의 청정한 공기를 배기한다.
본체 케이스(11)의 정면 부분에는 청소기 본체(7)의 흡입구에 상당하는 본체 접속구(18)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 접속구(18)는 관부(8)를 착탈 가능한 이음매이다. 본체 접속구(18)는 관부(8)와 1차 먼지 용기(13)를 유체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본체 접속구(18)는 본체 케이스(11)의 정면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청소기 본체(7)는 본체 케이스(11)의 정면을 진행 방향을 향하게 한 자세, 다시 말하면 본체 접속구(18)를 진행 방향으로 향하게 한 자세로 사용된다. 이 자세를 청소기 본체(7)의 사용 자세라고 부른다. 사용 자세의 청소기 본체(7)는, 사용자가 손에 든 관부(8)에 인장되어 바퀴(12)를 중심으로 부앙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청소기 본체(7)는 본체 케이스(11)의 정면을 상방으로 향하게 한 자세, 다시 말하면 본체 접속구(18)를 상방으로 향하게 한 자세로 스테이션(2)에 얹힌다(연결된다). 본체 접속구(18)가 상방으로 향하게 되어 있는 자세를, 청소기 본체(7)의 수납 자세라고 부른다. 수납 자세의 청소기 본체(7)는 상방으로부터 내려져(하강되어) 스테이션(2)에 얹혀진다. 스테이션(2)에 얹혀진 청소기 본체(7)의 상태를, 청소기 본체(7)의 수납 상태라고 부른다.
바퀴(12)는 청소기 본체(7)를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1차 먼지 용기(13)는 전기 청소기(3)에 흡입되는 먼지를 축적한다. 1차 먼지 용기(13)는 청소기 본체(7)에 흡입되는 먼지 함유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고, 포집하여, 축적하는 한편, 먼지가 제거된 청정한 공기를 1차 전동 송풍기(15)로 보낸다.
본체 손잡이(14)는 청소기 본체(7)를 들어 운반할 때 사용된다. 본체 손잡이(14)는 본체 케이스(11)의 폭방향으로, 아치 형상으로 걸쳐져 있다.
1차 전동 송풍기(15)는 1차 먼지 용기(13)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부압(흡입 부압)을 발생시킨다.
청소기 제어부(1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도시 생략),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각종 연산 프로그램,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기억 장치(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기억 장치는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 모드에 관련된 여러 가지 설정(인수)을 기억하고 있다. 복수의 운전 모드는 1차 전동 송풍기(15)의 출력에 관련지어져 있다. 각각의 운전 모드에는, 서로 다른 입력값(1차 전동 송풍기(15)의 입력값, 1차 전동 송풍기(15)에 흐르는 전류값)이 설정되어 있다. 각각의 운전 모드는 관부(8)가 접수하는 조작 입력에 관련지어져 있다. 청소기 제어부(16)는 관부(8)로의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임의의 운전 모드를,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 모드로부터 택일적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운전 모드의 설정을 기억부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운전 모드의 설정에 따라서 1차 전동 송풍기(15)를 운전한다.
2차 전지(17)는 1차 전동 송풍기(15), 및 청소기 제어부(16)에 전력을 공급한다. 2차 전지(17)는 청소기 본체(7)에 설치되는 한 쌍의 충전 전극(1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관부(8)는 청소기 본체(7)로부터 작용하는 부압에 의해, 피청소면으로부터 먼지 함유 공기를 흡입하는 청소기 본체(7)로 인도한다. 관부(8)는 청소기 본체(7)에 착탈 가능한 이음매로서의 접속관(21), 접속관(21)에 유체적으로 접속되는 먼지 호스(22), 먼지 호스(22)에 유체적으로 접속되는 손잡이 조작관(23), 손잡이 조작관(23)으로부터 돌출되는 파지부(25), 파지부(25)에 설치되는 조작부(26), 손잡이 조작관(23)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관(27), 및 연장관(27)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흡입구체(27)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관(21)은 본체 접속구(18)를 통하여 1차 먼지 용기(13)에 유체적으로 접속된다.
집진 호스(22)는 길고 가요성이 있는 대략 원통 형상의 호스이다. 집진 호스(22)의 일방의 단부(여기에서는 후방의 하류측 단부)는 접속관(21)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집진 호스(22)는 접속관(21)을 통하여 1차 먼지 용기(13)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손잡이 조작관(23)은 집진 호스(22)와 연장관(27)을 연결하고 있다. 손잡이 조작관(23)의 일방의 단부(여기에서는 후방의 하류측 단부)는 집진 호스(22)의 타방의 단부(여기에서는 전방의 상류측 단부)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손잡이 조작관(23)은 집진 호스(22) 및 접속관(21)을 통하여 1차 먼지 용기(13)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접속관(21)은 집진 호스(22)를 청소기 본체(7)에 접속하는 이음부이다.
파지부(25)는 전기 청소기(3)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이다. 파지부(25)는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적당한 형상으로 손잡이 조작관(23)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조작부(26)는 각각의 운전 모드에 대응지어지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26)는 1차 전동 송풍기(15)의 운전 정지 조작에 대응지어지는 정지 스위치(26a), 1차 전동 송풍기(15)의 운전 개시 조작에 대응지어지는 기동 스위치(26b), 및 흡입구체(28)로의 전원 공급에 대응지어지는 브러시 스위치(26c)를 구비하고 있다. 정지 스위치(26a) 및 기동 스위치(26b)는 청소기 제어부(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기 청소기(3)의 사용자는 조작부(26)를 조작하여 1차 전동 송풍기(15)의 운전 모드를 택일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기동 스위치(26b)는 1차 전동 송풍기(15)의 운전 중에, 운전 모드의 선택 스위치로서도 기능한다. 청소기 제어부(16)는 기동 스위치(26b)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취할 때마다 운전 모드를 강 → 중 → 약 → 강 → 중 → 약 → .........의 순으로 전환한다. 또한, 조작부(26)는 기동 스위치(26b) 대신, 강 운전 스위치(도시 생략), 중 운전 스위치(도시 생략), 및 약 운전 스위치(도시 생략)를 개별적으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복수의 통체를 겹친 텔레스코픽 구조의 연장관(27)은 신축 가능하다. 연장관(27)의 일방의 단부(여기에서는 후방의 하류측 단부)는 손잡이 조작관(23)의 타방의 단부(여기에서는 전방의 상류측 단부)에 착탈 가능한 이음매를 구비하고 있다. 연장관(27)은 손잡이 조작관(23), 집진 호스(22) 및 접속관(21)을 통하여 1차 먼지 용기(13)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연장관(27)은 유지 돌기(27a)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 돌기(27a)는 관부(8)의 수납에 사용된다. 유지 돌기(27a)는 흡입구체(28)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흡입구체(28)는 마루 바닥이나 카펫 등의 피청소면을 주행 가능 또는 활주 가능하고, 주행 상태 또는 활주 상태에서 피청소면에 대면하는 저면에 흡입구(31)를 갖는다. 또한, 흡입구체(28)는 흡입구(31)에 배치되는 회전 가능한 회전 청소 체(32)와, 회전 청소체(32)를 구동시키는 전동기(33)를 구비하고 있다. 흡입구체(28)의 일방의 단부(여기에서는 후방의 하류측 단부)는 연장관(27)의 타방의 단부(여기에서는 전방의 상류측 단부)에 착탈 가능한 이음매를 구비하고 있다. 흡입구체(28)는 연장관(27), 손잡이 조작관(23), 집진 호스(22) 및 접속관(21)을 통하여 1차 먼지 용기(13)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흡입구체(28), 연장관(27), 손잡이 조작관(23), 집진 호스(22), 접속관(21), 및 1차 먼지 용기(13)는 흡입구(31)로부터 1차 전동 송풍기(15)에 이르는 흡입 풍로이다. 전동기(33)는 브러시 스위치(26c)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취할 때마다 운전 개시와 정지를 번갈아 반복한다.
전기 청소기(3)는 기동 스위치(26b)가 조작되면 1차 전동 송풍기(15)를 시동시킨다. 예를 들어, 전기 청소기(3)는 1차 전동 송풍기(15)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기동 스위치(26b)가 조작되면, 우선 1차 전동 송풍기(15)를 강운전 모드로 시동시키고, 다시 기동 스위치(26b)가 조작되면 1차 전동 송풍기(15)의 운전 모드를 중운전 모드로 변경하며, 세 번 기동 스위치(26b)가 조작되면 1차 전동 송풍기(15)의 운전 모드를 약 운전 모드로 변경하고, 이하 동일하게 반복한다. 강운전 모드, 중운전 모드, 및 약운전 모드는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 모드이다. 1차 전동 송풍기(15)에 대한 입력값은 강운전 모드가 가장 크고, 약운전 모드가 가장 작다. 시동한 1차 전동 송풍기(15)는 1차 먼지 용기(13)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1차 먼지 용기(13) 내를 부압으로 한다.
1차 먼지 용기(13) 내의 부압은 본체 접속구(18), 접속관(21), 집진 호스(22), 손잡이 조작관(23), 연장관(27), 및 흡입구체(28)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흡입구(31)에 작용한다. 전기 청소기(3)는 흡입구(31)에 작용하는 부압에 의해 피청소면의 먼지를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1차 먼지 용기(13)는 흡입된 먼지 함유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고 포집하여 축적하는 한편, 먼지 함유 공기로부터 분리된 공기를 1차 전동 송풍기(15)로 보낸다. 1차 전동 송풍기(15)는 1차 먼지 용기(13)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청소기 본체(7) 밖으로 배기한다.
스테이션(2)은 피청소면의 임의의 장소에 설치된다. 스테이션(2)은 청소기 본체(7)를 연결 가능한 받침대(41)와, 받침대(41)에 일체로 설치되는 먼지 회수부(4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테이션(2)은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에 있어서, 전기 청소기(3)의 1차 먼지 용기(13)에 접속되는 먼지 이송관(43)과, 수납 자세의 청소기 본체(7)가 사용 자세로 쓰러지면, 청소기 본체(7)가 진행 가능하도록 이동하는 감속 기구(4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테이션(2)은 전기 청소기(3)가 스테이션(2)에 장착된 것을 검지하는 복수의 장착 검지기(45)를 구비하고있다.
받침대(41)는 전기 청소기(3)의 청소기 본체(7)를 연결 및 분리하는 장소이고, 청소기 본체(7)를 장착하는 장소이며, 청소기 본체(7)를 얹어 두는 장소이다. 받침대(41)는 먼지 회수부(42)와 동일한 정도의 폭 치수를 갖고, 먼지 회수부(42)의 전방측으로 뻗어나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확대되어 있다. 받침대(41)는 평면으로 보아 전기 청소기(3)의 청소기 본체(7)를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과 치수를 갖고 있다. 받침대(41)는 정면을 상방으로 향하게 한 수납 자세의 청소기 본체(7)의 배면, 다시 말하면 본체 케이스(11)의 배면에 접하여 청소기 본체(7)를 지지하는 스탠드면(41a)을 갖고 있다. 스탠드면(41a)의 형상은 본체 케이스(11)의 배면의 형상을 따르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41)는 청소기 본체(7)에 접속 가능한 충전 단자(46)를 구비하고 있다. 전기 청소기(3)가 스테이션(2)에 연결되면, 충전 단자(46)는 청소기 본체(7)의 충전 전극(19)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받침대(41)는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에 있어서, 청소기 본체(7)의 측면에 바싹 붙도록 배치되는 팽출부(47)를 갖고 있다.
먼지 회수부(42)는 받침대(41)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먼지 회수부(42)는 받침대(41)와 일체로 피청소면에 둘 수 있는 적당한 형상의 상자체이다. 먼지 회수부(42)는 받침대(41) 보다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먼지 회수부(42)는 전기 청소기(3)의 수납 장소로서의 받침대(41)에 병설되고, 또한 수납 장소보다 상방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이다. 먼지 회수부(42)는 받침대(41)에 연결된 청소기 본체(7)에 간섭하지 않는 적당한 형상을 갖고 있다.
먼지 회수부(42)는 케이스(48)와, 먼지 이송관(43)을 통하여 1차 먼지 용기(13)로부터 폐기되는 먼지를 회수하고, 회수한 먼지를 축적하는 2차 먼지 용기(49)와, 먼지 회수부(42) 내에 수용되고, 2차 먼지 용기(49)에 유체적으로 접속되는 2차 전동 송풍기(50)와, 주로 2차 전동 송풍기(50)를 제어하는 스테이션 제어부(51)와,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먼지 회수부(42)에 전력을 인도하는 전원 코드(5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먼지 회수부(42)는 전기 청소기(3)의 관부(8)를 장착 가능한 관부 부착부(53)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48) 및 받침대(41)의 천판은 수지의 일체 성형품이다.
2차 먼지 용기(49)는 전기 청소기(3)로부터 폐기되는 먼지를 축적한다. 2차 먼지 용기(49)는 먼지 이송관(43)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2차 먼지 용기(49)는 먼지 이송관(43)으로부터 유입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고 포집하여 축적하는 한편, 먼지가 제거된 청정한 공기를 2차 전동 송풍기(50)에 보낸다. 2차 먼지 용기(49)는 먼지 회수부(42)의 좌측(정면으로부터 향하여 우측)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어, 스테이션(2)의 외관에 노출되어 있다.
2차 전동 송풍기(50)는 2차 먼지 용기(49)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부압(흡입 부압)을 발생시켜, 1차 먼지 용기(13)로부터 2차 먼지 용기(49)에 먼지를 이동시킨다. 다시 말하면, 2차 전동 송풍기(50)는 2차 먼지 용기(49)를 통하여 1차 먼지 용기(13)에 부압을 작용시켜, 1차 먼지 용기(13)로부터 2차 먼지 용기(49)에 먼지를 이동시킨다. 2차 전동 송풍기(50)는 먼지 회수부(42)의 우측(정면으로부터 향하여 좌측)에 수용되어 있다.
스테이션 제어부(5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도시 생략),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각종 연산 프로그램,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기억 장치(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션 제어부(51)는 2차 전동 송풍기(50)의 운전성 제어, 및 전기 청소기(3)의 2차 전지(17)의 충전 제어를 실시한다.
먼지 이송관(43)은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에서, 1차 먼지 용기(13)에 연결된다. 먼지 이송관(43)은 전기 청소기(3)가 포집한 먼지를 2차 먼지 용기(49)에 이동시키는 풍로이다. 먼지 이송관(43)은 스테이션(2)에 전기 청소기(3)가 연결되면, 1차 먼지 용기(13)에 접속되고, 1차 먼지 용기(13)와 2차 먼지 용기(49)를 유체적으로 접속한다.
먼지 이송관(43)은 2차 먼지 용기(49)의 흡입측에 접속되어 있다. 2차 전동 송풍기(50)가 발생시키는 부압은, 2차 먼지 용기(49)를 통하여 먼지 이송관(43)에 작용한다.
먼지 이송관(43)은 전기 청소기(3)의 1차 먼지 용기(13)에 접속되는 입구와, 2차 먼지 용기(49)에 접속되는 출구를 갖고 있다. 먼지 이송관(43)은 받침대(41)에 배치되는 입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먼지 회수부(42) 내에 이르고, 먼지 회수부(42) 내에서 굴곡되면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2차 먼지 용기(49)의 측방에 배치되는 출구에 이른다.
충전 단자(46)와 먼지 이송관(43)의 입구는 받침대(41)에 병설되어 있다.
관부 부착부(53)는 먼지 회수부(42)의 우측면(정면으로부터 향하여 좌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관부 부착부(53)는 연장관(27)의 유지 돌기(27a)에 적합한 형상을 갖고 있다. 관부 부착부(53)는 유지 돌기(27a)를 통하여 연장관(27)을 세운 상태로 유지한다(수납한다).
또한, 관부 부착부(53)는 전기 청소기(3)의 청소기 본체(7)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청소기 본체(7)는 유지 돌기(27a)를 통하여 연장관(27)을 세운 상태로 유지한다(수납한다).
장착 검지기(45)는 예를 들면 받침대(41)에 설치되는 제1 장착 검지기(45a)와, 관부 부착부(53)에 설치되는 제2 장착 검지기(45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장착 검지기(45a)는 청소기 본체(7)가 스테이션(2)에 연결된 것, 다시 말하면 청소기 본체(7)가 스테이션(2)에 장착된 것, 또는 청소기 본체(7)가 받침대(41)에 놓인 것을 검지한다. 제2 장착 검지기(45b)는 전기 청소기(3)의 관부(8)가 스테이션(2)에 장착된 것을 검지한다. 또한, 관부 부착부(53)가 청소기 본체(7)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장착 검지기(45b)는 전기 청소기(3)의 관부(8)가 청소기 본체(7)에 장착된 것을 검지한다. 복수의 장착 검지기(45)는 소위 마이크로 스위치이다. 즉, 제1 장착 검지기(45a)는 청소기 본체(7)가 스테이션(2)에 연결되면, 청소기 본체(7)에 압입되어 이를 검지한다. 제2 장착 검지기(45b)는 전기 청소기(3)의 관 부(8)가 스테이션(2) 또는 청소기 본체(7)에 장착되면, 관부(8)에 압입되어 이를 검지한다.
전기 청소기(3)가 스테이션(2)에 연결되면(장착되면, 적재되면), 전기 청소기(3)의 충전 전극(19)은 스테이션(2)의 충전 단자(4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스테이션(2)의 먼지 이송관(43)은 1차 먼지 용기(13)에 접속된다. 이 후, 스테이션(2)은 전기 청소기(3)의 2차 전지(17)의 충전을 개시한다. 또한, 스테이션(2)은 2차 전동 송풍기(50)를 적시에 시동한다. 시동한 2차 전동 송풍기(50)는 2차 먼지 용기(49)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2차 먼지 용기(49) 내를 부압으로 한다.
2차 먼지 용기(49) 내의 부압은 먼지 이송관(43)을 통하여 1차 먼지 용기 (13)에 작용한다. 스테이션(2)은 1차 먼지 용기(13)에 작용하는 부압에 의해, 1차 먼지 용기(13)에 축적된 먼지를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2차 먼지 용기(49)는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고 포집하여 축적하는 한편, 먼지가 분리된 공기를 2차 전동 송풍기(50)에 보낸다. 2차 전동 송풍기(50)는 2차 먼지 용기(49)로부터 흡입한 청정한 공기를 스테이션(2) 밖으로 배기한다.
또한, 전기 청소 장치(1)는 전기 청소기(3)의 1차 먼지 용기(13)와 1차 전동 송풍기(15)를 접속하는 풍로를 기계적으로 전환하여 스테이션(2)의 2차 먼지 용기(49)와 전기 청소기(3)의 1차 먼지 용기(13)를 접속하고, 1차 먼지 용기(13)를 운전함으로써 전기 청소기(3)의 1차 먼지 용기(13)로부터 스테이션(2)의 2차 먼지 용기(49)로 먼지를 이송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전기 청소기(3)의 1차 먼지 용기(13)와 1차 전동 송풍기(15)를 접속하는 풍로를, 스테이션(2)의 2차 먼지 용기(49)와 전기 청소기(3)의 1차 먼지 용기(13)를 접속하는 풍로로 전환하는 시기는, 먼지의 이송을 위한 1차 전동 송풍기(15)의 운전 직전이 바람직하다. 스테이션(2)의 2차 먼지 용기(49)와 전기 청소기(3)의 1차 먼지 용기(13)를 접속하는 풍로를, 전기 청소기(3)의 1차 먼지 용기(13)와 1차 전동 송풍기(15)를 접속하는 풍로로 전환하는 시기는, 먼지의 이송을 위한 1차 전동 송풍기(15)의 운전 직후가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3)의 청소기 본체(7)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의 청소기 본체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의 청소기 본체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청소기 본체(7)의 평단면은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에서의 정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에서의 단면에 상당한다. 도 3에는 관부(8)의 접속관(21)이 청소기 본체(7)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접속관(21)이 청소기 본체(7)에 부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1)의 청소기 본체(7)는 본체 케이스(11)의 폭 방향으로 가로로 눕힌 통 형상의 후반부와, 평면으로 보아 통형의 후반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호 형상으로 팽출하는 전반부를 구비하는 본체 케이스(11)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케이스(11)의 배면은 측면으로 보아 원호형을 이루고 있다.
본체 접속구(18)는 본체 케이스(11)의 폭 방향의 실질적인 중앙, 또한 높이 방향의 실질적인 중앙을 통과하는 선(이하, 중심선 C라고 부름)을 따라 연장되고, 1차 먼지 용기(13)에 이르고 있다. 도 3 및 도 4는 이 중심선 C를 통과하는 단면도이다.
본체 접속구(18)에 접속되는 접속관(21)은 손잡이(55)를 구비하고 있다. 손잡이(55)는 전기 청소기(3)의 수납 자세(도 1)에서 그 중심 위치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손잡이(55)는 전기 청소기(3)의 진행 방향 앞쪽에 경사부(55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기 청소기(3)의 진행 방향 앞쪽은 수납 자세에서의 청소기 본체(7)의 상측, 또한 사용 자세에서의 청소기 본체(7)의 정면측에 상당한다. 손잡이(55)는 본체 손잡이(14)로부터 보아 청소기 본체(7)의 반대측(이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본체 손잡이(14)는 손잡이(55)로부터 보아 청소기 본체(7)의 반대측(표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바퀴(12)는 본체 케이스(11)의 통형의 후반부의 좌우 각각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바퀴(12)는 본체 케이스(11)의 통형의 후반부에 동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바퀴(12)의 직경은 본체 케이스(11)의 상하 방향의 치수, 즉 높이(통형의 후반부의 직경에 상당함)보다 크다. 또한, 청소기 본체(7)의 측면으로 보아, 즉 바퀴(12)의 회전 중심선 방향으로 보아, 바퀴(12)는 본체 케이스(11)의 배면을 덮어 가린다. 그 때문에, 청소기 본체(7)는 본체 케이스(11)의 상하(표리)를 반전한 상태이어도, 본체 케이스(11)의 상하를 반전시키는 과정이어도, 바퀴(12)를 피청소면에 접지시킬 수 있다. 본체 케이스(11)는 배면을 피청소면에 간섭시키지 않고, 바퀴(12)의 회전 중심선을 중심으로 본체 케이스(11)의 상하(표리)를 반전시킬 수 있다. 청소기 본체(7)에는 표면측을 상방으로 향하게 한 청소기 본체(7)를 바퀴(12)과 함께 지지하는 주행 바퀴로서의 보조 바퀴(12a)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관(21)에는 이면측을 상방으로 향하게 한 청소기 본체(7)를 바퀴(12)와 함께 지지하는 주행 바퀴로서의 보조 바퀴(12b)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 바퀴(12b)는 손잡이(55)에 설치되어 있다. 보조 바퀴(12b)와 손잡이(55) 사이에는 충격을 완충하는 서스펜션 기구(5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7)의 상하(표리)의 구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존재한다. 전기 청소기(3)는 표면측을 상방으로 향하게 하고 있어도, 이면측을 상방으로 향하게 하고 있어도 동일하게 청소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7)는 바퀴(12)의 회전 중심선을 중심으로 본체 케이스(11)의 상하(표리)를 반전시킬 수 있으므로, 그 정면을 상방으로 향하게 한 수납 자세로 실질적으로 자립할 수 없다.
여기에서, 손잡이(55)가 있는 측을 피청소면을 향하게 하여 사용하는 사용 자세를 제1 사용 자세라고 부르고, 손잡이(55)로부터 보아 반대측, 즉 본체 손잡이 (14)를 피청소면을 향하게 하여 사용하는 사용 자세를 제2 사용 자세라고 부른다. 한 쌍의 바퀴(12)는 제1 사용 자세, 및 제2 사용 자세 중 어느 자세에서도 청소기 본체(7)를 피청소면에 지지한다. 다시 말하면, 한 쌍의 바퀴(12)는, 청소기 본체(7)를 바퀴(12)의 회전 중심선 둘레의 어느 방향으로 쓰러뜨리고 있어도, 청소기 본체(7)를 주행 가능하게 지지한다.
2차 전지(17)는 바퀴(12)의 회전 중심선을 끼고 본체 접속구(18)의 반대측, 즉 본체 케이스(11)의 후단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즉, 2차 전지(17)는 본체 케이스(11)의 통형의 후반부에 수용되어 있다. 2차 전지(17)는 본체 케이스(11)의 형상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즉, 2차 전지(17)는 통형의 후반부의 내면을 따라 배치되는 원통형의 복수의 소전지(素電池)(17a)를 갖고 있다.
2차 전지(17)는 한 쌍의 바퀴(12)의 회전 중심선을 실질적인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을 갖고 있다. 2차 전지(17)의 원호형의 중심은 한 쌍의 바퀴(12)의 회전 중심선에 직교하는 면에서 본체 케이스(11)의 중심선 C에 직교하는 방향, 즉 본체 케이스(11)의 높이 방향의 치수의 중앙부, 구체적으로는 실질적으로 반의 위치에 놓여져 있다.
여기에서, 본체 케이스(11)의 통형의 후반부의 중심선, 및 바퀴(12)의 회전 중심선은 실질적으로 동일 선상에 있다. 이 선을 중심으로 하는, 본체 케이스 (11)의 통형의 후반부의 내측을 영역 A(도 4)라고 부른다. 바퀴(12)는 영역 A를 피하고 있다. 즉, 바퀴(12)는 영역 A보다 큰 내경을 갖는 원고리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한 쌍의 바퀴(12)는 영역 A를 사이에 끼고 있다.
1차 먼지 용기(13) 및 1차 전동 송풍기(15)는 영역 A 내에 배치되고, 또한 본체 케이스(11)의 폭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1차 먼지 용기(13)는 영역 A 중, 중앙부부터 일방의 바퀴(12)(예를 들면, 청소기 본체(7)를 스테이션(2)에 연결한 상태에서 우측의 바퀴(12))에 이르는 영역 A1(도 3)에 배치되어 있다. 1차 전동 송풍기(15)는 영역 A 중 타방의 바퀴(12)(예를 들면, 청소기 본체(7)를 스테이션(2)에 연결한 상태에서 좌측의 바퀴(12))에 편의(偏倚)하는 영역 A2(도 3)에 배치되어 있다.
2차 전지(17)도 영역 A 내에 배치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1)는 1차 먼지 용기(13)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먼지 용기실(57)과, 1차 전동 송풍기(15)를 수용하는 전동 송풍기실(58)을 갖고 있다. 먼지 용기실(57)은 영역 A1을 차지하고 있다. 전동 송풍기실(58)은 영역 A2를 차지하고 있다.
1차 전동 송풍기(15)는 전동 송풍기실(58)에 수용되어 있다. 1차 전동 송풍기(15)의 흡입구는 먼지 용기실(57)을 향하게 되어 있다.
먼지 용기실(57)은 1차 먼지 용기(13)의 형상에 준하는 통형의 먼지 용기 배치 공간을 구획하고 있다. 즉, 먼지 용기실(57)을 구획하는 본체 케이스(11)의 벽면은 먼지 용기 배치 공간을 둘러싸는 벽면이다. 먼지 용기실(57)은 본체 케이스(11)의 측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먼지 용기실(57)은 본체 케이스(11)의 측면에 배치되는 먼지 용기 삽탈구(57a)를 갖고 있다. 먼지 용기 삽탈구(57a)의 개구 직경은 환상의 바퀴(12)의 내경보다 작다. 먼지 용기 삽탈구(57a)는 청소기 본체(7)의 측면으로 보아, 환상의 바퀴(12)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먼지 용기실(57)은 1차 먼지 용기(13)를 노출시키는 적당한 개구를 갖고 있어도 된다. 먼지 용기실(57)은 1차 먼지 용기(13)의 전체를 수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1차 먼지 용기(13)의 일부를 수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즉, 먼지 용기 배치 공간은 먼지 용기 삽탈구(57a) 이외의 개구를 통하여 케이스(11)의 외측에 통하고 있어도 된다. 먼지 용기 삽탈구(57a)는 1차 먼지 용기(13)의 단면에 연이어 접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1차 먼지 용기(13)는 바퀴(1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통형의 외관을 갖고 있다. 1차 먼지 용기(13)는 먼지 용기실(57)에 수용 가능하고, 또한 삽탈 가능하다. 1차 먼지 용기(13)는 먼지 용기 삽탈구(57a)를 통하여 먼지 용기실(57)에 삽탈된다. 즉, 1차 먼지 용기(13)는 청소기 본체(7)의 폭 방향으로 삽탈된다. 이에 의해, 1차 먼지 용기(13)는 청소기 본체(7)에 착탈된다.
손잡이(55)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굵기와, 청소기 본체(7)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고 있다. 손잡이(55)는 실질적으로 본체 접속구(18)의 중심선, 또는 청소기 본체(7)의 중심선 C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먼지 용기실(57)에는 먼지 용기실(57)에 수용된 1차 먼지 용기(13)를 먼지 용기실(57)의 밖으로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키는 압출력 발생부(59)와, 먼지 용기 실(57)에 수용되는 1차 먼지 용기(13)의 이동을 안내하는 용기 보조 롤러(60)가 설치되어 있다.
압출력 발생부(59)는 먼지 용기실(57)이 구획하는 먼지 용기 배치 공간에 배치된 1차 먼지 용기(13)를 먼지 용기 배치 공간으로부터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키고 있다. 압출력 발생부(59)는 소위 푸시로드이다. 압출력 발생부(59)는 1차 먼지 용기(13)에 접하는 로드부(59a)와, 로드부(59a)에 1차 먼지 용기(13)를 먼지 용기실(57) 밖으로 밀어내는 힘을 작용시키는 코일 스프링(59b)을 구비하고 있다. 압출력 발생부(59)는 1차 먼지 용기(13)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용기 보조 롤러(60)는 1차 먼지 용기(13)의 외면의 적당한 부분에 접하여 본체 케이스(11)에 삽탈되는 1차 먼지 용기(13)의 이동을 보조한다. 용기 보조 롤러(60)는 1차 먼지 용기(13)를 부분적으로 끼우도록, 복수 설치되어 있다. 용기 보조 롤러(60)는 1차 먼지 용기(13)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용기 보조 롤러(60)는 본체 케이스(11)의 내부, 즉 먼지 용기실(57)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용기 보조 롤러(60)는 1차 먼지 용기(13)의 이동 방향, 즉 먼지 용기실(57)로의 삽탈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1차 먼지 용기(13)를 끼고 대향하는 짝을 복수 포함하고 있다. 1차 먼지 용기(13)는 용기 보조 롤러(60)에 의해 안내되고, 청소기 본체(7)로부터 원활하게 출입되어, 다시 말하면 먼지 용기실(57)로부터 원활하게 삽탈된다. 1차 먼지 용기(13)는 대략적으로는 원통형이다(도 5, 도 6 참조). 복수의 용기 보조 롤러(60)는 1차 먼지 용기(13)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짝을 포함한다. 그 때문에, 1차 먼지 용기(13)는 청소기 본체(7)로부터 취출할 때 1차 먼지 용기(13)가 삽탈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져 먼지 용기실(57)에 걸리는 것이 억지된다.
또한, 1차 먼지 용기(13)는 상세하게는 원통형을 부분적으로 절개한 형상부를 갖고 있다. 이 1차 먼지 용기(13)의 노치 형상부를 끼우도록 용기 보조 롤러(6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용기 보조 롤러(60)는 풍로(66a, 66b)를 구획하는 벽을 끼우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전기 청소기(3)는 먼지 용기실(57)에 수용된 1차 먼지 용기(13)를 착탈 자유롭게 고정하는 용기 잠금 기구(61)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잠금 기구(61)는 압출력 발생부(59)에 의해 밀어 내어지는 1차 먼지 용기(13)의 이동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조부(62)와, 복수의 조부(62)의 각각을 거는 복수의 조 수용부(63)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조부(62)는 1차 먼지 용기(13)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조 수용부(63)는 본체 케이스(11)에 설치되어 있다. 조 수용부(63)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조부(62)가 본체 케이스(11)에 설치되고, 복수의 조 수용부(63)가 1차 먼지 용기(13)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조부(62)는 본체 케이스(11) 및 1차 먼지 용기(13)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있으면 되고, 복수의 조 수용부(63)는 본체 케이스(11) 및 1차 먼지 용기(13) 중 어느 타방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다음에, 1차 먼지 용기(1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1차 먼지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1차 먼지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선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1차 먼지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추가하여,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3)의 1차 먼지 용기(13)는, 전기 청소기(3)에 흡입되는 먼지를 축적한다. 1차 먼지 용기(13)는 1차 전동 송풍기(15)가 발생시키는 부압에 의해 흡입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부(64), 분리부(64)에서 분리된 먼지를 축적하는 집진부(65), 집진부(65)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를 1차 전동 송풍기(15)로 인도하는 연락 풍로(66), 및 다리(67)를 구비하고 있다.
분리부(64)는 본체 접속구(18)에 접속되어 있다. 분리부(64)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직진시켜 먼지 및 공기에 작용하는 관성력의 차로 공기로부터 먼지 중 비교적 무거운 먼지를 분리시키는 제1 분리부(68), 제1 분리부(68)를 통과하는 비교적 가벼운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시키는 제2 분리부로서의 필터부(69)를 구비하고 있다.
집진부(65)는 분리부(64) 및 연락 풍로(66)에 병설되어 있다. 집진부(65)는 분리부(64)에서 분리되는 먼지 중 비교적 무거운 먼지를 축적하는 굵은 먼지 집진실(71)과, 필터부(69)를 수용하는 필터실(7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분리부(68)에서 분리되는 비교적 무거운 먼지를, 굵은 먼지라고 부른다. 즉, 제1 분리부(68)는 전기 청소기(3)에 흡입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굵은 먼지를 분리한다. 굵은 먼지 집진실(71)은 제1 분리부(68)에서 분리된 굵은 먼지를 축적하는 제1 집진실이다. 필터부(69)에서 분리되는 비교적 가벼운 먼지를, 가는 먼지라고 부른다. 즉, 필터부(69)는 제1 분리부(68)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가는 먼지를 분리한다. 필터실(72)은 필터부(69)에서 분리된 가는 먼지를 축적하는 제2 집진실이다. 굵은 먼지 집진실(71), 및 필터실(72)을 일괄하여 집진실(73)이라고 부른다.
본체 접속구(18)로부터 1차 먼지 용기(13)에 유입되는 먼지 함유 공기는 제1 분리부(68)에서 굵은 먼지와 그 이외(가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로 분리된다. 분리된 굵은 먼지는 굵은 먼지 집진실(71)에 축적된다. 제1 분리부(68)에서 분리된 가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필터실(72)에 유입된다. 굵은 먼지 집진실(71)에 유입된 공기도, 필터실(72)에 유입된다. 필터실(72)에 유입된 가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필터부(69)에서 가는 먼지와 공기로 분리된다. 분리된 가는 먼지는 필터부(69)에 포착되고, 필터실(72)에 축적된다. 필터부(69)를 통과한 청정한 공기는 연락 풍로(66)를 거쳐 1차 전동 송풍기(15)에 흡입된다.
제1 분리부(68)는 본체 접속구(18)에 접속되는 노즐부(75)와, 노즐부(75)를 내포하는 원추대형 1차 필터 틀체(76)와, 제1 메쉬 필터(77)를 구비하고 있다.
노즐부(75)는 1차 먼지 용기(13)의 외각에 상당하는 용기 본체(78)의 흡입구(78a)로부터 용기 본체(78) 내에 연장되어 있다.
1차 필터 틀체(76)는 용기 본체(78)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다. 1차 필터 틀체(76)는 1차 먼지 용기(13)가 본체 케이스(11)에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 접속구(18)의 중심선, 즉 실질적으로 청소기 본체(7)의 중심선 C를 따라 테이퍼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대직경의 저부는 용기 본체(78)의 내면에 접하고, 소직경의 저부는 집진부(65)의 굵은 먼지 집진실(71)에 접속되는 굵은 먼지 토출구(79)를 갖고 있다. 대직경 저부의 직경은 흡입구(78a)의 개구 직경보다 크다. 굵은 먼지 토출구(79)의 중심선은 실질적으로 흡입구(78a)의 중심선을 따라, 실질적으로 본체 접속구(18)의 중심선을 따르고 있다. 굵은 먼지 토출구(79)는 집진실(73)의 입구에 상당한다.
제1 메쉬 필터(77)는 1차 필터 틀체(76)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메쉬 필터(77)의 외측에는 필터실(72)에 접속되는 중계 풍로(81)가 구획되어 있다.
제1 분리부(68)는 제1 메쉬 필터(77)를 통하여 1차 전동 송풍기(15)에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 및 굵은 먼지 토출구(79)를 통하여 1차 전동 송풍기(15)에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부압이 된다.
굵은 먼지 집진실(71)은 제1 분리부(68)에서 분리되는, 비교적 무거운 먼지를 축적한다. 굵은 먼지 집진실(71)은 1차 전동 송풍기(15)에 흡입되는 공기의 풍로의 일부이다. 굵은 먼지 집진실(71)은 제1 분리부(68)의 굵은 먼지 토출구(79)에 연결되어 있다. 굵은 먼지 집진실(71)은 필터실(72)에도 연결되어 있다. 굵은 먼지 집진실(71)은 본체 접속구(18)의 중심선 상, 즉 실질적으로 청소기 본체(7)의 중심선 C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굵은 먼지 집진실(71)과 필터부(69)가 수용되는 필터실(72) 사이에는, 복수의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를 갖는 격벽(83)이 설치되어 있다. 격벽(83)은 집진실(73)의 벽의 일부이다. 격벽(83)의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에는 제2 메쉬 필터(84)가 설치되어 있다. 굵은 먼지 집진실(71)은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제2 메쉬 필터(84)로 인도하는 상류측 풍로이다.
또한, 굵은 먼지 집진실(71)은 1차 전동 송풍기(1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다시 말하면, 필터부(69)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다. 즉, 굵은 먼지 집진실(71)은 제2 메쉬 필터(84)의 근방에 풍로 단면적이 급격하게 확대되는 확장부 (85)를 갖고 있다. 복수의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를 갖는 격벽(83)은 확장부(85)와 필터실(7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2 메쉬 필터(84)는 부압에 의해 굵은 먼지 집진실(71)에 흡입되는, 굵은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여과 분리한다. 제2 메쉬 필터(84)는 굵은 먼지가 굵은 먼지 집진실(71)로부터 필터실(72)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제2 메쉬 필터(84)는 그것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굵은 먼지 집진실(71)에 축적된 먼지를 압축한다. 제2 메쉬 필터(84)는 제1 메쉬 필터(77)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그물코를 갖고 있다. 가령, 제1 분리부(68)에서 분리되지 않고 굵은 먼지 집진실(71)에 유입된 가는 먼지는, 제2 메쉬 필터(84)를 통과하여 필터실(72)에 유입되고, 또는 굵은 먼지 집진실(71) 내에서 필터와 같이 압축된 굵은 먼지에 의해 포착된다.
필터부(69)는 1차 전동 송풍기(15)가 발생시키는 부압에 의해 흡입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먼지 함유 공기)로부터 먼지, 특히 제1 분리부(68)를 통과하는 가는 먼지를 여과 분리한다. 필터부(69)는 대면하는 한 쌍의 필터(86, 87)와, 한 쌍의 필터(86, 87)의 형상을 유지하여 지지하는 2차 필터 틀체(88)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필터(86, 87)는 하류측의 면을 대면시키고 있다. 각각의 필터(86, 87)는 1차 먼지 용기(13)에 흡입되는, 먼지를 함유하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여과 분리한다. 필터(86, 87)의 그물코는 제1 분리부(68)의 제1 메쉬 필터(77), 및 굵은 먼지 집진실(71)의 제2 메쉬 필터(84)보다 가늘다. 필터(86, 87)는, 예를 들면 부직포이다. 필터(86, 87)에 포착되는 가는 먼지에는 제1 메쉬 필터(77), 및 제2 메쉬 필터(84)를 통과 가능한 먼지가 포함되어 있다.
필터(86, 87)의 일방(필터(86))은 필터실(72)에 유입되는 공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고, 필터(86, 87)의 타방(필터(87))은 필터(86, 87)의 일방(필터(86))을 돌아 들어가는 공기에 노출된다. 즉, 필터(86)는 제1 분리부(68)와 필터부(69)를 연결하는 중계 풍로(81)에 면하고, 또한 굵은 먼지 집진실(71)과 필터실(72)을 연결하는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에 면하고 있다. 필터(87)는 필터(86)에 가려져, 중계 풍로(81) 및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로부터 내다볼 수 없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필터(86, 87)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넓이(간격), 또한 동일한 깊이의 접은 선(능선(86a, 87a))을 갖는 플리트 필터이다.
또한, 중계 풍로(81) 및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에 면하는 필터(86)는, 필터(87)에 비하여 넓고 얕은 접은 선을 갖고 있어도 된다. 필터(86)가 중계 풍로(81) 및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에 면하고 있으므로, 제1 분리부(68)를 통과하는 먼지, 및 굵은 먼지 집진실(71)로부터 유출되는 먼지, 즉 가는 먼지는, 우선 필터(86)에 분사된다. 그리고, 필터(86)는 가는 먼지를 포착하여 서서히 막힘이 발생한다. 필터(86)가 막힘에 따라, 중계 풍로(81) 및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로부터 필터(86)에 분사되는 가는 먼지는, 필터(87)에 돌아 들어가게 된다. 그러면, 필터(87)의 눈막힘도 시작된다. 즉, 필터(87)에 비하여 필터(86) 쪽이 눈막힘이 일어나기 쉽다. 다시 말하면, 먼지는 필터(87)에 비하여 필터(86) 쪽에 부착되기 쉽다. 따라서, 필터(86)의 접은 선을 필터(87)에 비하여 넓고 얕게 해 둠으로써, 보다 먼지가 부착되기 쉬운 필터(86)로부터 용이하게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필터(86, 87)는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쉽도록,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소위 테프론(등록 상표))의 막을 상류측의 면에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필터(87)에 비하여 눈막힘이 발생하기 쉬운 필터(86)만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막을 상류측의 면에 갖는 것이어도 된다.
필터(86, 87)는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능선(86a, 87a)(접은 선)을 갖고 있다. 다시 말하면, 필터(86, 87)의 능선(86a, 87a)은 청소기 본체(7)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필터(86, 87)는 접은 선에 교차하는 단면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필터(86, 87)의 개방 단면은 필터(86, 87)의 단면 형상을 따라 산과 계곡을 갖는 지그재그형이어도 되고, 인접하는 산과 산 사이에 통풍 구멍(도시 생략)을 갖는 판형의 틀을 개재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2차 필터 틀체(88)는 한 쌍의 필터(86, 87)를 대면시키고, 또한 이격시켜 지지하고 있다. 2차 필터 틀체(88), 및 한 쌍의 필터(86, 87)로 구획되는 공간은, 필터부(69)의 하류측의 풍로에 상당한다. 이 필터부(69)의 내부 공간은 연락 풍로(66)에 연결되어 있다. 2차 필터 틀체(88)는 필터(86)의 양측에 배치되어, 연락 풍로(66)에 접속되는 2차 필터 출구(89)를 갖고 있다. 2차 필터 출구(89)는 필터(86, 87)를 통과한 공기를 연락 풍로(66)로 유출시킨다.
필터실(72)은 굵은 먼지 집진실(71)에 인접하고 있다. 필터실(72)은 여과 분리에 의해 필터부(69)에 포착되는 가는 먼지를 축적하는 가는 먼지 집진실로서 기능한다. 제1 메쉬 필터(77) 및 제2 메쉬 필터(84)를 통과하는 가는 먼지는, 보다 그물코가 가는 한 쌍의 필터(86, 87)에 의해 포착되어, 필터실(72)에 축적된다. 즉, 집진실(73)(굵은 먼지 집진실(71), 및 필터실(72))은 필터(86, 87)보다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필터실(72)은 1차 전동 송풍기(15)에 흡입되는 공기의 풍로의 일부이다. 필터실(72)은 중계 풍로(81)에 연결되어 있다. 필터실(72)은 굵은 먼지 집진실(71)에도 연결되어 있다.
연락 풍로(66)는 분리부(64)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를 1차 전동 송풍기(15)로 인도하는 복수의 풍로(66a, 66b)이다. 즉, 연락 풍로(66)는 복수로 분기하여 1차 전동 송풍기(15)에 이르고 있다. 연락 풍로(66)는, 예를 들어 2 개의 풍로(66a, 66b)로 나누어져 있다. 복수, 예를 들어 2 개의 풍로(66a, 66b)는 분리부(64)로 공기를 인도하는 흡입구(78a)를 사이에 끼고 있다. 2개의 풍로(66a, 66b)는 각각의 풍로 단면적(S)이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2개의 풍로(66a, 66b)는 1차 전동 송풍기(15)의 팬의 회전 중심선을 포함하는 면에 대하여 면 대칭인 형상을 갖고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풍로(66a, 66b)는 제1 메쉬 필터(77), 제2 메쉬 필터(84), 및 필터부(69)의 중앙보다 가장자리측에 편기하여 서로 이격되어 있다. 2개의 풍로(66a, 66b)는 1차 전동 송풍기(15)에 접속되는 연락 풍로(66)의 단부에서 집합하여 합류한다. 다시 말하면, 2개의 풍로(66a, 66b)는 연락 풍로(66)의 집합 풍로(66c)를 통하여 1차 전동 송풍기(1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연락 풍로(66)는 3개 이상으로 분기하고 있어도 된다. 다시 말하면 연락 풍로(66)는 제1 메쉬 필터(77), 제2 메쉬 필터(84), 및 필터부(69)를 통과하는 공기를 1차 전동 송풍기(15)로 인도하는 복수의 하류측 풍로이다.
노즐부(75)로부터 제1 분리부(68)로 유입되는 먼지 함유 공기 중 질량이 비교적으로 큰 굵은 먼지는, 노즐부(75)로부터 굵은 먼지 토출구(79)로 관성력으로 직진하여 굵은 먼지 집진실(71)로 보내어진다. 굵은 먼지 토출구(79)로부터 굵은 먼지 집진실(71)에 유입되는 먼지(굵은 먼지)는, 굵은 먼지 집진실(71)에 축적된다. 한편, 노즐부(75)로부터 제1 분리부(68)로 유입되는 먼지 함유 공기 중 질량이 비교적 작은 가는 먼지 및 공기는, 노즐부(75)로부터 방사상으로 확대되어 1차 필터 틀체(76)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 메쉬 필터(77)를 통과하고, 중계 풍로(81)를 거쳐 필터실(72)에 유입된다. 굵은 먼지 토출구(79)로부터 굵은 먼지 집진실(71)에 유입되는 먼지(굵은 먼지)와 함께, 공기의 일부도 굵은 먼지 집진실(71)에 유입된다. 굵은 먼지 집진실(71)에 흘러 들어간 공기는 제2 메쉬 필터(84)를 통과하여, 필터실(72)에 유입된다. 제1 메쉬 필터(77) 또는 제2 메쉬 필터(84)를 통과하여 필터실(72)에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가는 먼지는, 필터부(69)에서 여과 분리되고, 한 쌍의 필터(86, 87)의 표면에 포착된다. 필터(86, 87)를 통과하는 청정한 공기는 연락 풍로(66)를 통하여 1차 전동 송풍기(15)에 흡입된다. 이 때, 청정한 공기는 복수의 풍로(66a, 66b)에 일시적으로 나뉘고, 집합하여 1차 전동 송풍기(15)에 흡입된다.
용기 본체(78)는 집진실(73), 즉 굵은 먼지 집진실(71)과 필터실(72)을 구획하고 있다. 분리부(64) 중 제1 분리부(68), 및 연락 풍로(66)는 필터부(69)와 1차 전동 송풍기(15)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서로 병설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분리부(64), 연락 풍로(66), 및 1차 전동 송풍기(15)는 이 순서로 나열되어 있다.
한 쌍의 바퀴(12)는 1차 전동 송풍기(15), 분리부(64)(제1 분리부(68) 및 필터부(69)), 집진부(65)(굵은 먼지 집진실(71) 및 필터실(72)), 및 연락 풍로(66)를 사이에 끼고 있다.
제1 분리부(68)는 본체 케이스(11)의 폭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고, 필터부(69)는 본체 케이스의 일방의 측부, 예를 들어 우측부에 편기(偏倚)되고, 1차 전동 송풍기(15)는 본체 케이스(11)의 타방의 측부, 예를 들어 좌측부에 편기되어 있다.
1차 먼지 용기(13)는 전기 청소기(3)에 흡입되는 먼지를 축적하는 집진실(73)을 구획하고, 또한 집진실(73)에 축적된 먼지를 폐기하는 폐기구(91)를 갖는 용기 본체(78)와, 폐기구(91)를 개폐하는 폐기 덮개(9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1차 먼지 용기(13)는 스테이션(2)의 2차 전동 송풍기(50)가 발생시키는 부압에 의해 1차 먼지 용기(13)를 포함하는 풍로의 외측으로부터 직접적으로 공기를 도입하는 흡기구(93)와, 흡기구(93)를 개폐하는 흡기 덮개(9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1차 먼지 용기(13)는 필터부(69)에 부착된 먼지, 즉 필터(86, 87)에 부착된 먼지를 제진하는 제진 기구(95)와, 제진 기구(95)의 제진 동작과 폐기 덮개(92)의 개방 동작을 연동시키는 동력 전달 기구(9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1차 먼지 용기(13)는 집진실(73) 내에 설치되고, 폐기구(91)에 연결되는 오목부(97)를 구비하고 있다.
1차 먼지 용기(13)는 1차 먼지 용기(13)에 축적된 먼지를 압축하는 먼지 압축 기구(98)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용기 본체(78)는 분리부(64), 즉 제1 분리부(68), 및 필터부(69)를 수용하고있다. 용기 본체(78)는 집진실(73), 즉 굵은 먼지 집진실(71), 및 필터실(72)을 구획하고 있다. 또한, 용기 본체(78)는 동력 전달 기구(96)를 수용하는 기계실(99)을 구획하고 있다. 용기 본체(78)는 전체적으로 통형이다. 용기 본체(78)는 통형의 중심선을 본체 케이스(11)의 폭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영역 A1에 장착되어 있다.
폐기구(91) 및 흡기구(93)는 용기 본체(78)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흡기 덮개(94)와 폐기 덮개(92)는 일괄하여 개폐된다. 폐기구(91)는 청소기 본체(7)로부터 스테이션(2)으로 먼지를 이동시킬 때를 제외하고 폐기 덮개(92)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흡기구(93)는 청소기 본체(7)로부터 스테이션(2)으로 먼지를 이동시킬 때를 제외하고 흡기 덮개(94)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폐기구(91)는 흡기구(93)로부터 도입되는 공기와 함께 1차 먼지 용기(13)에 축적된 먼지를 폐기한다. 폐기구(91)는 본체 케이스(11)의 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폐기구(91)는 스테이션(2)과 청소기 본체(7)가 접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즉, 폐기구(91)는 본체 케이스(11)의 배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 (11)의 배면은,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도 2)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11)의 최하단에 위치한다. 폐기구(91)는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에 있어서 필터부(69)의 하방에 배치된다. 또한, 폐기구(91)는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에 있어서 필터부(69)의 하방으로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1)의 후단부에는 폐기구(91)보다 큰 본체 케이스 폐기구(100)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 폐기구(100)는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에서 스테이션(2)의 먼지 이송관(43)을 통과시키고, 먼지 이송관(43)의 입구를 폐기구(91)에 접속시킨다.
폐기구(91)는 굵은 먼지 집진실(71)에 연결되는 굵은 먼지 폐기구(101)와, 필터실(72)에 연결되는 가는 먼지 폐기구(102)를 포함하고 있다. 굵은 먼지 폐기구(101)는 굵은 먼지 집진실(71)로부터 굵은 먼지를 유출시키는 제1 폐기구이다. 가는 먼지 폐기구(102)는 필터실(72)로부터 가는 먼지를 유출시키는 제2 폐기구이다. 굵은 먼지 폐기구(101) 및 가는 먼지 폐기구(102)는 본체 케이스(11)의 폭 방향, 즉 용기 본체(78)의 중심선 방향으로 늘어서 있다. 굵은 먼지 폐기구(101) 및 가는 먼지 폐기구(102)는 전기 청소기(3)가 스테이션(2)에 연결된 상태에서 하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가는 먼지 폐기구(102)는 굵은 먼지 폐기구(101)보다 개구 면적이 작다. 다시 말하면, 폐기구(91)의 개구 면적에 차지하는 비율은 굵은 먼지 폐기구(101)보다 가는 먼지 폐기구(102) 쪽이 작다. 굵은 먼지 집진실(71) 및 필터실(72)은 격벽(83)을 공유하여 인접하고 있다.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는 용기 본체(78)의 측면의 일부이다. 흡기 덮개(94)는 통형의 용기 본체(78)의 둘레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폐기 덮개(92)는 힌지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용기 본체(78)에 지지되어 있다. 폐기 덮개(92)는 1차 먼지 용기(13)의 외측을 향하여 개방되는 외부 개방식이다. 폐기 덮개(92)는 굵은 먼지 폐기구(101) 및 가는 먼지 폐기구(102)를 일괄하여 개폐한다. 폐기 덮개(92)가 개방되면, 굵은 먼지 폐기구(101) 및 가는 먼지 폐기구(102)는 먼지 이송관(43)에 일괄하여 접속된다.
굵은 먼지 폐기구(101) 및 가는 먼지 폐기구(102)의 개구폭은 본체 케이스(11)의 둘레 방향, 즉 용기 본체(78)의 중심선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동등하고, 본체 케이스(11)의 폭방향, 즉 용기 본체(78)의 중심선 방향으로 굵은 먼지 폐기구(101) 쪽이 크다. 이와 같은 개구 형상은 굵은 먼지 폐기구(101) 및 가는 먼지 폐기구(102)를 일괄하여 개폐하는 폐기 덮개(92)의 형상의 간소화에 기여하고, 폐기 덮개(92)의 개폐 기구의 간소화에도 기여한다.
또한, 폐기구(91)에는 패킹(103)이 적절하게 설치되어 있다. 패킹(103)은 일체 성형품이다. 패킹(103)은 폐기 덮개(92)와 용기 본체(78)의 사이에 끼워지고, 굵은 먼지 폐기구(101) 및 가는 먼지 폐기구(102)를 일괄하여 밀봉한다.
오목부(97)는 용기 본체(78), 격벽(83), 및 폐기 덮개(92)에 의해 획정되는 함몰부이다. 다시 말하면, 용기 본체(78), 격벽(83), 및 폐기 덮개(92)의 각각이 오목부(97)의 벽의 일부를 담당하고 있다. 오목부(97)는 집진실(73) 내의 먼지, 구체적으로는 굵은 먼지 집진실(71) 내의 먼지를 수납한다.
흡기구(93)는 청소기 본체(7) 밖으로부터, 또는 본체 케이스(11) 내이며 1차 전동 송풍기(15)에 연결되는 풍로의 외측으로부터 필터실(72)에 공기를 도입하는 입구이다. 흡기구(93)는 청소기 본체(7)로부터 스테이션(2)으로 먼지를 이동시킬 때,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흡입구이다.
흡기구(93)는 용기 본체(78)의 둘레 방향으로 보아 폐기구(91)로부터 가장 먼 곳, 즉 180도 떨어진 곳, 다시 말하면 용기 본체(78)의 중심선을 대칭선으로 하는 선대칭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흡기구(93)는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도 1)에서 필터부(69)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필터(86, 87)는 흡기구(93)와 폐기구(91)에 끼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흡기구(93)는 필터(86, 87)의 상류측(1차 전동 송풍기(15)가 발생시키는 흐름의 상류측)의 풍로에 배치되어 있다.
흡기구(93)로부터 도입되는 공기는 필터(86, 87)에 여과되는 가는 먼지와 1차 먼지 용기(13)에 축적되는 굵은 먼지를 일괄하여 폐기구(91)로부터 유출시킨다. 먼지 이송관(43)으로부터 가는 먼지 폐기구(102)를 통하여 필터실(72)에 부압이 작용하면, 흡기구(93)는 필터(86, 87)에 공기를 분사한다. 필터(86, 87)에 분사된 공기는, 필터(86, 87) 표면에 포착된 먼지를 불어 날리고, 가는 먼지 폐기구(102)로 안내한다. 필터(86, 87)는 제진시, 즉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능선(86a, 87a)을 갖고, 또한 접은 선에 교차하는 단면이 개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필터(86, 87)에 분사된 공기는, 접은 선을 따라서 흐르기 쉽고, 또한 박리된 가는 먼지를, 접은 선의 단부로부터 원활하게 유출시킬 수 있다.
이 때, 먼지 이송관(43)으로부터 굵은 먼지 폐기구(101)를 통하여 굵은 먼지 집진실(71)에도 부압이 작용한다. 굵은 먼지 집진실(71)은 필터실(72)에 직접적으로, 또한 제1 분리부(68)를 통하여 필터실(72)에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흡기구(93)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는, 굵은 먼지 집진실(71)에도 유입된다. 굵은 먼지 집진실(71)에 유입된 공기는, 굵은 먼지 집진실(71)에 축적된 굵은 먼지를 굵은 먼지 폐기구(101)로부터 유출시킨다(폐기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기구(93)는 1차 먼지 용기(13)의 용기 본체(78)에 설치되고, 필터(86, 87)보다 상류측의 풍로에 배치되어 있지만, 필터(86, 87)의 하류측(1차 전동 송풍기(15)가 발생시키는 흐름의 하류측)의 풍로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도 6에 2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흡기구(93) 및 흡기 덮개(94)). 이 경우, 흡기구(93)는 필터(86, 87)로부터 1차 전동 송풍기(15)까지의 풍로, 예를 들어, 연락 풍로(66)에 통한다.
용기 잠금 기구(61)는 1차 먼지 용기(13)가 청소기 본체(7)의 먼지 용기실(57)에 수용된 상태에서 청소기 본체(7)의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에 조작부(105)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105)는 잠금 기구(61)의 해제 조작의 입력부이다. 조작부(105)는 조부(62)를 조 수용부(63)로부터 이탈시키는 힘을 수취한다.
다리(67)는 굵은 먼지 토출구(79)로부터 굵은 먼지 집진실(71)의 확장부(85)로 연장되는 용기 본체(78)의 먼지 안내면(108)의 외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다. 다리(67)는 먼지 안내면(108)의 외측의 면을 따른 수납 위치와, 1차 먼지 용기(13)를 자립시키는 사용 위치 사이에서 요동한다. 다리(67)는 1차 먼지 용기(13)의 손잡이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다리(67)는 1차 먼지 용기(13)가 먼지 용기실(57)에 수납된 상태에서 압출력 발생부(59)가 발생시키는 1차 먼지 용기(13)를 밀어내는 힘을 받는다. 다리(67)와 1차 먼지 용기(13) 사이에는 비틀림 스프링(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이 비틀림 스프링은 1차 먼지 용기(13)가 먼지 용기실(57)로부터 취출되고, 다리(67)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 상태에서, 다리(67)를 사용 위치로 이동시키는 힘을 발생시키고 있다.
1차 먼지 용기(13)가 먼지 용기실(57)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다리(67)는 먼지 용기실(57)의 내벽면에 안내되어 사용 자세로부터 수용 자세로 요동한다. 1차 먼지 용기(13)가 먼지 용기실(57)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수용 자세의 다리(67)의 선단에 압출력 발생부(59)의 로드부(59a)가 접촉되고, 1차 먼지 용기(13)에 밀어 내는 힘이 작용한다.
1차 먼지 용기(13)가 먼지 용기실(57)에 수용된 상태에서 용기 잠금 기구(61)의 잠금이 해제되면, 압출력 발생부(59)의 밀어 내는 힘에 의해 1차 먼지 용기(13)는 먼지 용기실(57)로부터 밀어 내어진다. 이 때 다리(67)는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먼지 용기실(57)의 내벽면을 따르면서 수용 자세로부터 사용 자세로 요동한다. 사용 자세의 다리(67)는 청소기 본체(7)로부터 취출된 1차 먼지 용기(13)를 자립한 상태(도 6에서 숫자를 읽을 수 있는 방향으로 보아 좌단부를 아래로 한 상태)로 지지한다.
2차 전지(17)는 굵은 먼지 집진실(71)을 둘러싸고 있다. 즉, 2차 전지(17)에 포함되는 복수의 소전지(17a)는 본체 케이스(11)의 통형의 후반부의 내면을 따라 배치되어, 굵은 먼지 집진실(71)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먼지 압축 기구(98)는 굵은 먼지 집진실(71)에 설치되어 있다. 먼지 압축 기구(98)는, 예를 들어 굵은 먼지 집진실(71) 중 어느 하나의 벽면과의 사이에 굵은 먼지를 끼워 넣고 이를 압축하여, 체적을 감소시킨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3)의 굵은 먼지 집진실(71)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1차 먼지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3)의 1차 먼지 용기(13)는 제1 분리부(68)를 포함하는 제1 반체(13a), 필터부(69)를 포함하는 제2 반체(13b), 및 제1 반체(13a)를 제2 반체(13b)에 고정하는 잠금 기구(107)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3에 추가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3)의 굵은 먼지 집진실(71)은, 집진실(73)의 입구로서의 굵은 먼지 토출구(79)로부터 오목부(97)로 먼지를 안내하는 먼지 안내면(108)을 구비하고 있다.
먼지 안내면(108)은 굵은 먼지 토출구(79)의 개구 방향, 즉 청소기 본체(7)의 중심선 C에 교차하는 사면이다. 먼지 안내면(108)은 굵은 먼지 토출구(79)로부터 오목부(97)를 향하여 실질적으로 평면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먼지 안내면(108)은 공기의 흐름이 굵은 먼지 토출구(79)로부터 오목부(97)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풍로의 일부분이다. 청소기 본체(7)에 흡입된 굵은 먼지의 대부분은 굵은 먼지 토출구(79)를 통과하여 거친 먼지 집진실(71)에 유입된다. 먼지 안내면(108)은 굵은 먼지 토출구(79)를 통과하여 굵은 먼지 집진실(71)에 유입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의 흐름을 비스듬하게 유도한다.
오목부(97)는 격벽(83)에 설치되어 필터부(69)를 향하여 움푹 들어가 있는 제1 부위(97a)와, 굵은 먼지 집진실(71)로부터 폐기 덮개(92)를 향하여 1차 먼지 용기(13)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움푹 들어가 있는 제2 부위(97b)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부위(97a) 및 제2 부위(97b)는 연결되어 있다. 제1 부위(97a)의 벽면은 제2 부위(97b)를 향하여 매끄러운 국면을 그린다. 다시 말하면, 격벽(83)은 굵은 먼지 집진실(71)로부터 필터실(72)을 향하는 공기의 흐름의 하류측을 향하여 움푹 들어간 부분을 갖고 있다. 이 움푹 들어간 부분이 제1 부위(97a)이다. 또한, 굵은 먼지 집진실(71)의 내벽은, 폐기구(91)를 향하여 움푹 들어간 부분을 갖고 있다. 이 움푹 들어간 부분이 제2 부위(97b)이다. 오목부(97)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고, 또한 서로 연결되는 제1 부위(97a)와 제2 부위(97b)를 포함하고 있다.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는 오목부(97)의 벽에 설치되는 하단측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a)와, 오목부(97)의 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집진실(73)의 벽에 설치되는 상단측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b)를 포함하고 있다. 하단측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a)는 오로지 오목부(97)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제1 집진실 출구이다. 상단측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b)는 굵은 먼지 집진실(71) 중, 오로지 오목부(97) 이외의 부위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제2 집진실 출구이다. 하단측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a)는 오목부(97)를 향하는 먼지 안내면(108)에 가깝고, 상단측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b)는 먼지 안내면(108)과의 사이에 오목부(97)를 사이에 끼고, 하단측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a)보다 먼지 안내면(108)으로부터 멀다.
제2 메쉬 필터(84)는 하단측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a)에 설치되는 하단 측 제2 메쉬 필터(84a)와, 상단측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b)에 설치되는 상단측 제2 메쉬 필터(84b)를 포함하고 있다.
하단측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a)는 오목부(97) 벽면 중 하나에 설치되어 있다. 하단측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a)는 오목부(97) 벽면의 폭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개구(82c)를 포함하고 있다. 하단측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a)는 굵은 먼지 집진실(71)과 필터실(72)을 분리하는 격벽(83) 중, 필터실(72)을 향하여 움푹 들어가는 부분, 즉 제1 부위(97a)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개구(82c)는 오목부(97)의 벽면의 전폭에 걸쳐 나열되어 있다.
상단측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b)는 격벽(83)의 벽의 폭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개구(82d)를 포함하고 있다. 상단측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b)는 오목부(97)를 사이에 두고 먼지 안내면(108)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복수의 개구(82d)는 격벽(83)의 폭 방향에 있어서 오목부(97)보다 넓은 범위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개구(82d)는 격벽(83)의 전폭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집진실(73)의 벽의 일부인 격벽(83) 중, 먼지 안내면(108)으로부터 오목부(97)를 향하는 먼지의 흐름의 방향으로 보아, 오목부(97)의 양측방 부분(83a)은 벽면을 형성하고 있다.
필터부(69)는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 즉 하단측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a), 및 상단측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b)로부터 흘러 나오는 공기로부터 가는 먼지를 여과 분리하여 청정한 공기를 연락 풍로(66)로 유출시킨다.
제1 분리부(68)의 굵은 먼지 토출구(79)로부터 굵은 먼지 집진실(71)에 유입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굵은 먼지 토출구(79)로부터 직진하여 먼지 안내면 (108)에 분사된다. 먼지 안내면(108)에 도달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먼지 안내면(108)을 따르도록 흘러 오목부(97)로 향한다. 굵은 먼지 집진실(71)에 유입된 공기는 하단측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a)에 흡입되는 한편, 상단측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b)에도 흡입된다. 그리고, 굵은 먼지 집진실(71) 내에서의 공기의 확산, 및 분기, 다시 말하면 굵은 먼지 집진실(71) 내의 흐름장은, 공기에 포함되는 굵은 먼지 중, 비교적 질량이 큰 먼지(대질량 굵은 먼지)를, 그 관성력으로 먼지 안내면(108)에 따르도록 직진시키는 한편, 질량이 작은 굵은 먼지(소질량 굵은 먼지)를 상단측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82b)로 밀려 흐른다. 그 때문에, 대질량 굵은 먼지는 주로 먼지 안내면(108)의 앞에 배치되는 오목부(97)에 수납되는 한편, 소질량 먼지는 주로 상단측 제2 메쉬 필터(84b)에 포착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3)의 제진 기구(95)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제진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3)의 제진 기구(95)는 한 쌍의 필터(86, 87)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제진 기구(95)는 필터부(69)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제진 기구(95)는 한 쌍의 필터(86, 87)를 일괄하여 제진한다.
제진 기구(95)는 연결된 복수의 랙(111)을 포함하는 피동부(112)와,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랙(111)에 순차적으로 맞물려 미리 정해지는 궤도를 따라서 피동부(112)를 이동시키는 기어(113)를 구비하고 있다.
피동부(112)는 랙(111)에 추가하여 복수의 랙(111)을 일체로 연결시키는 프레임(115)과, 랙(111)의 이동 방향을 규정하는 기구, 예를 들면 슬라이더(116)와, 각각의 필터(86, 87)에 접하는 제진자(117)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복수의 랙(111)은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랙(111)이다. 피동부(112)는 기어(113)를 한 쌍의 랙(111)에 번갈아 맞물리게 하여 왕복 운동한다.
프레임(115)은 한 쌍의 랙(111)의 각각의 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한 쌍의 랙(111)과 프레임(115)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을 그리고 있다.
슬라이더(116)는 랙(111)의 구멍(111a)과, 구멍(111a)에 삽입 통과되고, 또한 필터부(69)의 2차 필터 틀체(88)에 고정되는 봉 형상의 레일(118)을 갖고 있다. 슬라이더(116)는 예를 들어, 프레임(115)이나 랙(111)에 설치되는 긴 구멍과, 긴 구멍에 삽입 통과되고, 2차 필터 틀체(88)에 고정되는 비스나 리벳 등의 핀 부재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기어(113)는 필터부(69)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기어(113)는 한 쌍의 필터(86, 87) 사이에 끼워지고, 또한 필터(86, 87)의 투영면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기어(113)의 톱니(113a)는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기어(113)는 부분적으로 톱니(113a)가 없다. 기어(113)의 톱니(113a)는 기어(113)가 1 회전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랙(111)에 순차적으로 맞물린다. 기어(113)의 톱니(113a)는 2 개 이상의 랙(111)에 동시에 맞물리는 경우가 없는 범위(톱니수)에 한정되어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랙(111)의 톱니(111b)는 기어(113)의 톱니(113a)보다 1 개 많다. 즉, 랙(111)의 톱니(111b)와 톱니(111b) 사이의 홈은, 기어(113)의 톱니(113a)와 동일한 수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기어(113)의 톱니(113a)는 4 개, 랙(111)의 톱니(111b)는 5 개 존재한다. 한 쌍의 랙(111)의 홈의 바닥부터 홈의 바닥까지의 거리는, 기어(113)의 최외경보다 약간 크다. 이 차(간극)는 기어(113)의 톱니(113a)와 랙(111)의 톱니(111b)의 맞물림과, 해제의 원활을 도모한다.
부분적으로 톱니(113a)가 없는 기어(113)가 반회전하는 동안, 톱니(113a)는 어느 한쪽의 랙(111)에 맞물려, 피동부(112)를 왕로에서 이동시킨다. 기어(113)의 회전이 진행되면(약 180도 진행하면), 톱니(113a)는 일방의 랙(111)으로부터 빠져 나와, 타방의 랙(111)에 맞물리고, 피동부(112)를 복로에서 이동시킨다. 또한, 기어(113)는 피동부(112)의 왕로와 복로 사이에서 일시적으로 톱니(113a)를 어느 랙(111)에도 맞물려 있지 않게 한 기간이 있어도 된다.
또한, 3 개 이상의 랙(111)을 갖는 제진 기구(95)는 랙(111)의 이동 방향을 규정하는 슬라이더(116) 이외의 기구와, 톱니를 전 둘레에 갖는 기어(113)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3 개 이상의 랙(111)을 갖는 제진 기구(95)는 피동부(112)를 궤도상에서 일순시키는 데에 있어서, 기어(113)를 1 회전 이상 하게 하는 것이어도 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3)의 동력 전달 기구(96)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동력 전달 기구의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2에는 동력 전달 기구(96)에 의해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3에는 동력 전달 기구(96)에 의해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는 제2 기어(132)를 생략한 동력 전달 기구(96)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추가로,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3)의 동력 전달 기구(96)는 스테이션(2)으로부터 제진 기구(95),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의 구동력을 받아 제진 기구(95),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의 각각으로 분배하고 전달한다. 또한, 동력 전달 기구(96)를 통하여 스테이션(2)으로부터 구동력을 얻는 이들 제진 기구(95),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를, 일괄하여 종동 기구(120)라고 부른다. 종동 기구(120)는 스테이션(2)으로부터 구동력을 이용하여 전기 청소기(3)의 1차 먼지 용기(13)로부터 스테이션(2)의 2차 먼지 용기(49)로 먼지를 바꾸어 옮기는 것이 가능한 상태와, 전기 청소기(3)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상태를 변화시킨다.
동력 전달 기구(96)는 이음 반체(121), 이음 반체(121)로부터 제진 기구(95)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전달 기구(126), 이음 반체(121)로부터 폐기 덮개(92)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전달 기구(127), 및 이음 반체(121)로부터 흡기 덮개(94)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3 전달 기구(128)를 구비하고 있다.
동력 전달 기구(96)는 스테이션(2)으로부터 수취하는 구동력을 먼지 압축 기구(98)도 분배한다.
이음 반체(121)는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축 이음(129)의 일부이다. 이음 반체(121)는 스테이션(2)의 이음 반체(122)에 연결된다.
제1 전달 기구(126)는 이음 반체(121)에 입력되는 구동력을 항상 제진 기구(95)의 기어(113)로 전달한다. 제1 전달 기구(126)는 이음 반체(121)에 입력되는 회전 구동력을 단순히 전달하여 기어(113)를 회전시킨다. 즉, 제1 전달 기구(126)는 이음 반체(121)가 정전하고 있으면 기어(113)를 역전시키고, 이음 반체(121)가 역전하고 있으면 기어(113)를 정전시킨다.
제1 전달 기구(126)는 이음 반체(121)와 일체로 회전하는, 즉 회전 일체의 제1 기어(131)와, 제1 기어(131)에 맞물린 대직경의 제2 기어(132)를 구비하고 있다. 제2 기어(132)는 필터부(69)의 2차 필터 틀체(88)를 관통하고, 제진 기구(95)의 기어(113)에 회전 일체의 축(133)(도 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제2 기어(132)와 제진 기구(95)의 기어(113)는 회전 일체이다. 제1 기어(131)에 비하여 제2 기어(132) 쪽이 크므로, 필터(86, 87)를 튕기거나, 변형시키면서 동작하는 제진 기구(95)를 보다 작은 출력의 모터(후술하는 스테이션(2)의 구동원(169))로 구동시킬 수 있다.
제2 전달 기구(127)는 이음 반체(121)에 입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폐기 덮개(92)를 개폐시킨다. 제3 전달 기구(128)는 이음 반체(121)에 입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흡기 덮개(94)를 개폐시킨다. 흡기 덮개(94)와 폐기 덮개(92)가 일괄하여 개폐된다. 다시 말하면, 제2 전달 기구(127)가 폐기 덮개(92)를 개방할 때, 제3 전달 기구(128)도 흡기 덮개(94)를 개방한다. 또한, 제2 전달 기구(127)가 폐기 덮개(92)를 폐쇄할 때, 제3 전달 기구(128)도 흡기 덮개(94)를 폐쇄한다.
제3 전달 기구(128)는 제1 전달 기구(126)와 공유하는 제1 기어(131), 원호 형상으로 배치되어 제1 기어(131)에 맞물리는 톱니(134a)를 갖는 레버부(134), 레버부(134)의 요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35), 및 레버부(134)의 요동 범위를 규정(규제)하는 한 쌍의 스토퍼(136)를 구비하고 있다.
레버부(134)는 제2 기어(132)의 회전 중심에 일치하는 요동 중심을 갖고 있다. 즉, 레버부(134)는 제2 기어(1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에 의해, 제2 기어(132)와 함께 지지되어 있다. 레버부(134)는 흡기 덮개(94)에 직결되어 있다.
가이드부(135)는 용기 본체(78)에 설치되는 홈(137)과, 홈(137)에 배치되는 안내판(138)을 구비하고 있다. 홈(137)은 레버부(134)의 요동의 궤적에 따라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안내판(138)은 레버부(134)에 일체화되어 있다.
스토퍼(136)는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의 완전 폐쇄 위치 및 완전 개방 위치에 따라 레버부(134)의 요동 범위를 규정(규제)하고 있다.
제2 전달 기구(127)는 제1 전달 기구(126) 및 제3 전달 기구(128)와 공유하는 제1 기어(131); 제3 전달 기구(128)와 공유하는 레버부(134), 가이드부(135), 및 스토퍼(136); 레버부(134)의 요동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폐기 덮개(92)에 전달하는 슬라이더(139); 폐기 덮개(92)를 완전 폐쇄시키는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폐기 덮개 폐쇄 스프링(140)을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더(139)는 폐기 덮개 폐쇄 스프링(140)의 탄성력을 밀어 이겨, 폐기 덮개(92)를 개방한다. 또한, 슬라이더(139)는 폐기 덮개 폐쇄 스프링(14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폐기 덮개(92)를 폐쇄한다.
여기에서, 동력 전달 기구(96)는 적절한 기간에 걸쳐 스테이션(2)으로부터 제진 기구(95)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한편,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가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된 후, 제진 기구(95)가 구동 한중간인 적절한 기간 내이어도 스테이션(2)으로부터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한다(절연한다).
즉, 제2 전달 기구(127)는 폐기 덮개(92)가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되면, 이음 반체(121)로부터 폐기 덮개(92)로의 구동력의 전달을 차단한다. 또한, 제3 전달 기구(128)는 흡기 덮개(94)가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되면 이음 반체(121)로부터 흡기 덮개(94)로의 구동력의 전달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전달 기구(127), 및 제3 전달 기구(128)는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가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되면, 레버부(134)의 톱니(134a)와 제1 기어(131)의 맞물림을 해제한다. 즉, 원호형으로 늘어서는 톱니(134a)는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가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되면, 제1 기어(131)로부터 빠져 나오는 범위에 설치되어 있다(한정되어 있다).
레버부(134)의 톱니(134a)는 폐기 덮개(92)가 완전 폐쇄 또는 완전 개방되면, 이동이 방해되는 폐기 덮개(92)에 완전히 저항하지 못하고, 제1 기어(131)로부터 빠져 나와 구동력(토크)의 전달을 차단한다. 레버부(134)의 톱니(134a)는 흡기 덮개(94)가 완전 폐쇄 또는 완전 개방되면, 제1 기어(131)로부터 빠져 나와 구동력(토크)의 전달을 차단한다.
또한, 동력 전달 기구(96)는 레버부(134)의 톱니(134a)와 제1 기어(131)의 맞물림을 복귀시킬 때, 양자의 원활한 맞물림을 촉진하는 구동원, 예를 들어 복귀 스프링(154)을 구비하고 있다. 복귀 스프링(154)은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가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되면 압궤되어 에너지를 축적한다. 또한, 복귀 스프링(154)은,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를 개방하기 시작할 때, 또는 폐쇄하기 시작할 때, 에너지를 소비하여 레버부(134)를 되밀어, 레버부(134)의 톱니(134a)와 제1 기어(131)의 맞물림의 복귀를 돕는다.
또한, 제진 기구(95)가 적당한 기간에 걸쳐 작동하고, 필터(86, 87)를 제진하는 한중간에,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는 완전 개방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모터(후술하는 스테이션(2)의 구동원(169))의 정전과 역전을 전환하여 제진 기구(95)를 왕복 운동시키면,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는 모터의 정전과 역전이 전환될 때마다, 개방되거나 폐쇄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진 기구(95)는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톱니(113)에 의해 피동부(106)를 왕복 운동 가능한 구성을 갖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3)의 용기 잠금 기구(6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용기 잠금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3)의 용기 잠금 기구(61)는 복수의 조부(62)와, 복수의 조 수용부(63)(도 3)와, 조작 가능한 조작부(105)와, 조작부(105)가 조작되면 복수의 조부(62)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조 수용부(63)로부터 이탈시키는 이탈력 전달 기구(141)와, 조부(62)가 조 받이부(63)에 걸리도록 돌출시켜 두는 힘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142)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조부(62)는 조 수용부(63)에 걸릴 때와, 조 수용부(63)로부터 이탈할 때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짝(143)의 조부(62)를 포함하고 있다. 조 수용부(63)의 짝도 복수 존재한다. 각각의 짝(143)의 조부(62)는 압출력 발생부(59)로부터 압출력이 작용하는 부분에 대하여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짝(143)은 임의의 하나의 조부(62)를 공유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3개의 조부(62)가 2개의 짝(143)을 이루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하나의 조부(62)는 2개의 짝(143)에 속한다.
조작부(105)는 복수의 조부(62) 중 하나에 일체화되어 있다.
이탈력 전달기구(141)는 조부(62)를 조 수용부(63)로부터 이탈시키는 힘을 조작부(105)로부터 복수의 조부(62)로 실질적으로 동시에 전달한다. 이탈력 전달 기구(141)는, 대(143)을 이루는 조부(62)의 조합을 별도로 갖는 한 쌍의 슬라이더부(145, 146)와, 한 쌍의 슬라이더(145, 146)를 연결하고, 또한 일방의 슬라이더부(145)의 동작을 타방의 슬라이더부(146)로 전달하는 링크(147)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슬라이더부(145, 146)는 실질적으로 동일 선상을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링크(147)는 한 쌍 존재하고, 일방의 슬라이더부(145)의 움직임을 반전시켜 타방의 슬라이더부(146)로 전달한다. 링크(147)는 일방의 슬라이더부(145)에 연결시키는 제1 조인트부(147a)와, 타방의 슬라이더부(146)에 연결시키는 제2 조인트부(147b)와, 링크(147)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핀 구멍(147c)을 구비하고 있다. 핀 구멍(147c)은 1차 먼지 용기(13)에 설치되는 핀(147d)에 끼워져 있다. 링크(146)는 핀(147d)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핀(147d)은 기계실(99)의 벽면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조부(62), 및 이탈력 전달기구(141)는 실질적으로 동일면상을 이동한다.
탄성 부재(142)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이다. 탄성 부재(142)는 조 수용부(63)로부터 조부(62)가 이탈할 때, 한 쌍의 슬라이더부(145, 146)의 일방, 또는 쌍방의 변위에 의해 에너지를 축적하는 한편, 조작부(105)에 가해지는 조작력이 손실된다. 또는 조작력을 이기고 조부(62)가 조 수용부(63)에 걸리는 방향으로 한 쌍의 슬라이더(145, 146)의 일방, 또는 쌍방을 이동시킨다.
복수의 조부(62), 조작부(105), 이탈력 전달 기구(141), 및 탄성 부재(142)는 1차 먼지 용기(13)에 설치되고, 조 수용부(63)는 본체 케이스(11)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조부(62), 조작부(105), 이탈력 전달 기구(141), 및 탄성 부재(142)가 본체 케이스(11)에 설치되고, 복수의 조 수용부(63)가 1차 먼지 용기 (13)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조부(62), 조작부(105), 이탈력 전달 기구(141), 및 탄성 부재(142)는 본체 케이스(11) 및 1차 먼지 용기(13)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되어 있으면 되고, 복수의 조 수용부(63)는 본체 케이스(11) 및 1차 먼지 용기(13) 중 어느 타방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조작부(105)는 1차 먼지 용기(13)에 설치되는 용기 손잡이(148)를 겸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조작부(105)는 용기 손잡이(148)를 갖고 1차 먼지 용기(13)를 먼지 용기실(57)로부터 취출하는 힘을, 조 수용부(63)로부터 조부(62)를 이탈시키는 힘에 이용한다. 조작부(105), 즉 용기 손잡이(148)는 수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일으켜 세워지는 동작을, 링크 기구(149)를 통하여 한 쌍의 슬라이더부(145, 146)의 한쪽에 전달하고, 조 수용부(63)로부터 조부(62)를 이탈시키는 힘에 이용한다.
본체 케이스(11)의 먼지 용기실(57)에 1차 먼지 용기(13)가 수납되어 있을 때, 복수의 조부(62)는 조 수용부(63)에 걸림으로써, 먼지 용기실(57)로부터 1차 먼지 용기(13)를 밀어내려고 하는 힘을 억제하여 1차 먼지 용기(13)를 본체 케이스(11)에 고정하고 있다.
조작부(105)에 조부(62)를 조 수용부(63)로부터 이탈시키는 힘이 작용하면, 용기 잠금 기구(61)는 이탈력 전달기구(141)를 통하여 복수의 조부(62)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조 수용부(63)로부터 이탈시킨다. 그러면, 먼지 용기실(57)로부터 1차 먼지 용기(13)를 밀어 내려고 하는 힘을 억제하여 1차 먼지 용기(13)를 본체 케이스(11)에 고정하고 있는 힘이 손실된다. 그러면, 1차 먼지 용기(13)는 본체 케이스(11)의 먼지 용기실(57)로부터 부상하여(소위 팝업하여) 이탈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청소기 본체(7)의 바퀴(12) 및 본체 손잡이(14)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본체 손잡이를 인출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본체 손잡이 및 바퀴의 내부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본체 손잡이 및 바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본체 손잡이 및 바퀴의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3)는 본체 케이스(11), 본체 케이스(11)를 지지하는 바퀴(12), 본체 케이스(11)에 설치되는 본체 손잡이(14), 및 본체 손잡이(14)에 일체의 기부(151)를 구비하고 있다.
바퀴(12)는 피청소면에 접지되는 환형의 접지벽(12c)과, 접지벽(12c)에 연이어 접하고, 바퀴(12)의 회전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측벽(12d)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손잡이(14)는 좌우의 바퀴(12) 사이에 아치형으로 걸쳐져 있다. 본체 손잡이(14)는 미사용시, 본체 케이스(11)의 천면의 앞가장자리부에 설치되는 손잡이 수납 오목부(11b)에 수납되어 있다(도 2). 본체 손잡이(14)는 사용시 손잡이 수납 오목부(11b)로부터 인출되고, 본체 케이스(11)의 후단부로 이동한다. 또한, 본체 손잡이(14)의 형상은 본체 케이스(11)의 호형상의 전반부의 앞가장자리부의 형상에 적합하다. 본체 손잡이(14)는 가장 인출되었을 때, 청소기 본체(7)의 후단부에 이른다. 본체 손잡이(14)는 수평면에 청소기 본체(7)를 배치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청소기 본체(7)의 바로 위(도 15)를 넘어 청소기 본체(7)의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기부(151)는 본체 케이스(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바퀴(12)는 기부(15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바퀴(12)는 기부(151)를 통하여 본체 케이스(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부(151)의 회전 범위는 규제되어 있다. 기부(151)는 본체 손잡이(14)가 본체 케이스(11)의 손잡이 수납 오목부(11b)로부터 본체 케이스(11)의 후단부에 이르는 범위에서 회전한다.
바퀴(12)의 회전 중심선과 기부(151)의 회전 중심선은 실질적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즉, 본체 손잡이(14)는 바퀴(12)의 회전 중심선의 둘레를 회전하도록 이동하여 본체 케이스(11)의 손잡이 수납 오목부(11b)에 수납되거나, 손잡이 수납 오목부(11b)로부터 인출된다.
바퀴(12) 및 기부(151)는 환형이다. 바퀴(12) 및 기부(151)는 본체 케이스(11)의 먼지 용기실(57)에 1차 먼지 용기(13)를 청소기 본체(7)의 폭 방향으로 삽탈 가능하게 하기 위해, 1차 먼지 용기(13)가 통과 가능한 내경을 갖고 있다. 또한, 1차 먼지 용기(13)의 착탈에 관계하지 않는 측의 바퀴(12) 및 기부(151),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청소기 본체(7)의 좌측의 바퀴(12) 및 기부(151)는 환형이 아니어도 된다.
기부(151)에는 바퀴(1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제1 롤러(152a)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1 롤러(152a)는 기부(151)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다(도 18).
또한, 전기 청소기(3)는 본체 케이스(11)와 기부 유지체(153) 사이에 끼워져 기부(151) 및 바퀴(1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제2 롤러(152b)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제2 롤러(152b)는 기부(151)의 일방의 측면에 설치되어 기부 유지체(153)에 접하는 제3 롤러(152c)와(도 19), 기부(151)의 타방의 측면에 설치되어 바퀴(12)의 측벽(12d)에 접하는 제4 롤러(142d)(도 20)를 포함하고 있다. 제3 롤러(152c)와 제4 롤러(142d)는 회전 중심선 방향에서의 기부(151)의 위치를 구속하고 있다. 제3 롤러(152c) 및 제4 롤러(142d)는 기부(151)의 둘레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롤러(152b)는 기부(151)의 내주에 설치되어 기부 유지체(153)에 접하는 복수의 제5 롤러(142e)를 포함하고 있다(도 21).
또한, 복수의 제2 롤러(152b)는 본체 케이스(11)에 설치되어 바퀴(12)에 접하는 제6 롤러(142f)를 포함하고 있다. 제6 롤러(142f)와 기부(151)의 제4 롤러(142d)는 바퀴(12)의 측벽(12d)에 끼워져 있다. 제6 롤러(142f)는 바퀴(12)가 회전 중심선 방향으로 기부(151)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제4 롤러(142d)와 제6 롤러(142f)는 회전 중심선 방향에서의 바퀴(12)의 위치를 구속하고 있다. 그리고, 제3 롤러(152c), 제4 롤러(142d), 및 제6 롤러(142f)는 회전 중심선 방향에서의 기부(151) 및 바퀴(12)의 위치를 구속하고 있다.
기부 유지체(153)는 기부(151)와 동일하게 환형이다. 기부 유지체(153)는 본체 케이스(11)에 고정되어 있다. 기부 유지체(153)는 기부(151)의 내주에 들어가고, 복수의 제5 롤러(142e)에 접하는 플랜지부(153a)를 갖고 있다.
기부 유지체(153)는 기부(151)의 제3 롤러(152c)(도 19) 및 제5 롤러(142e)(도 21)에 접하고, 본체 케이스(11)의 제6 롤러(142f)는 바퀴(12)에 접하고 있다. 기부(151)의 제1 롤러(152a)(도 18) 및 제4 롤러(142d)(도 20)는 바퀴(12)에 접하고 있다. 기부 유지체(153) 및 본체 케이스(11)는 기부(151), 본체 손잡이(14), 바퀴(12)를 일괄하여 지지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부 유지체(153)는 본체 케이스(11)의 내측에 배치되고, 본체 케이스(11)에 고정되어 있지만, 본체 케이스(11)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즉, 기부(151), 본체 손잡이(14), 및 바퀴(12)를 지지하는 롤러(제1 롤러, 제2 롤러)의 구조는 본체 케이스(11)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기부 유지체(153)는 롤러 구조의 덮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제1 롤러(152a), 제2 롤러(152b) 중 제3 롤러(152c), 제4 롤러(142d), 및 제5 롤러(142e)는 각각 환형의 기부(151)의 둘레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등간격으로 늘어서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롤러(152a), 제2 롤러(152b), 중 제3 롤러(152c), 제4 롤러(142d), 및 제5 롤러(142e)는 서로 바퀴(12)의 회전 중심선, 및 기부(151)의 회전 중심선에 대한 위치(위상)가 어긋나 있다. 상기 어긋남은 기부(151)의 내경과 외경의 치수차, 및 기부(151)의 청소기 본체(7)의 폭방향에서의 두께 치수의 저감에 기여하고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손잡이 복귀부의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 추가하여,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3)는 본체 손잡이(14)를 일으키면 에너지를 축적하는 한편, 축적된 에너지를 소비하여 본체 손잡이(14)를 수납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손잡이 복귀부(155)를 구비하고 있다. 손잡이 복귀부(155)는 1차 먼지 용기(13)의 착탈에 영향이 없는 청소기 본체(7)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 복귀부(155)는 기부(151)에 설치되는 제1 기어(157a)와, 본체 케이스(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 기어(157a)에 맞물리는 제2 기어(157b)와, 본체 케이스(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 기어(157b)에 맞물리는 제3 기어(157c)와, 제3 기어(157c)의 회전에 의해 에너지를 축적하는 복귀 스프링(158)을 구비하고 있다.
제1 기어(157a)는 제1 롤러(152a), 및 제2 롤러(152b)가 없는, 기부(151)의 내주에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기어(157a)는 소위 내기어이다. 제1 기어(157a)는 제5 기어(142e)에 접하는 플랜지부(153a)를 피하여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기어(157a) 및 제5 롤러(142e)는 기부(151)의 내주에 병설되어 있다.
제2 기어(157b)는 제1 기어(157a), 및 제3 기어(157c)에 비하여 소직경이다.
제3 기어(157c)는 환형의 기부(151)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3 기어(157c)의 회전 중심선은 바퀴(12)의 회전 중심선, 및 기부(151)의 회전 중심선의 실질적인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158)은 소위 비틀림 스프링이다. 복귀 스프링(158)은 제3 기어(157c)의 회전에 의해 에너지를 축적한다.
손잡이 복귀부(155)는 본체 손잡이(14)가 본체 케이스(11)의 손잡이 수납 오목부(11b)로부터 본체 케이스(11)의 후단부를 향하여 인출될 때, 기부(151)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1 기어(157a)와, 제1 기어(157a)의 회전을 제3 기어(157c)에 전달하는 제2 기어(157b)와, 제3 기어(157c)를 회전시키고, 복귀 스프링(158)에 에너지를 축적한다. 또한, 손잡이 복귀부(155)는 본체 손잡이(14)가 무부하의 상태, 즉 사용자가 힘을 가하고 있지 않은 상태가 되면, 복귀 스프링(158)이 축적한 에너지를 소비하여 제3 기어(157c)를 회전시키고, 제2 기어(157b) 및 제1 기어(157a)를 통하여 본체 손잡이(14)를 손잡이 수납 오목부(11b)에 수납한다.
청소기 본체(7)는 들어 올려져 있는 한중간에, 집진 호스(22)의 무게로 정면을 내리고, 배면을 올린 앞으로 구부러진 자세가 된다. 그래서, 본체 손잡이(14) 및 기부(151)는 사용자가 이를 쥐고 청소기 본체(7)를 들어 올리고 있는 한중간에, 청소기 본체(7)에 대하여 이동한다. 다시 말하면, 청소기 본체(7)는 사용자가 쥐고 있는 본체 손잡이(14)에 대하여 요동한다. 이 청소기 본체(7)의 요동은, 관부(8)의 조작에 수반되는 집진 호스(22)의 굴곡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완화한다.
또한, 바퀴(12)와 기부(151)는 각각이 개별적으로 본체 케이스(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바퀴(12)와 기부(151)는 1차 먼지 용기(13)가 본체 케이스(11)에 일체화되어 있거나, 1차 먼지 용기(13)가 본체 케이스(11)의 천면이나 저면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경우에는 환형이 아니어도 된다. 이 경우, 바퀴(12)와 기부(151)는 회전 중심부에 허브(도시 생략)를 가져도 되고, 단순한 원반형이어도 된다. 도 16 및 도 17의 본체 케이스(11)는 1차 먼지 용기(13)의 착탈에 관계하지 않는, 청소기 본체(7)의 좌측면이다. 이 때문에, 도 16 및 도 17의 본체 케이스(11)에는 1차 전동 송풍기(15)의 배기를 유출시키는 디퓨저를 갖는 배기구 덮개(11a)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테이션(2)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의 스테이션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4는 받침대(41)의 천판, 및 먼지 회수부(42)의 케이스(48)가 분리된 스테이션(2)의 사시도이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테이션(2)의 2차 먼지 용기(49)는, 먼지 이송관(43)으로부터 유입되는 먼지를 공기로부터 원심 분리하는 원심 분리부(163)를 구비하고 있다. 원심 분리부(163)는 다단형이고, 먼지 이송관(43)으로부터 유입되는 먼지를 공기로부터 원심 분리하는 제1 원심 분리부(164)와, 제1 원심 분리부(164)를 통과하는 먼지를 공기로부터 원심 분리하는 제2 원심 분리부(16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원심 분리부(164)는 2차 먼지 용기(49)에 유입되는 먼지 중 굵은 먼지를 원심 분리한다. 제2 원심 분리부(165)는 제1 원심 분리부(164)를 통과하는 가는 먼지를 원심 분리한다. 또한, 굵은 먼지는 오로지 린트나 솜먼지 등의 섬유상의 먼지나 모래알과 같은 질량이 큰 먼지이고, 가는 먼지는 입자상 또는 분말상으로 질량이 작은 먼지이다.
2차 전동 송풍기(50)는 하류 풍로관(166)을 통하여 2차 먼지 용기(49)에 접속되어 있다. 2차 전동 송풍기(50)는 하류 풍로관(166), 2차 먼지 용기(49), 및 먼지 이송관(43)을 통하여 1차 먼지 용기(13)에 부압을 작용시키고, 1차 먼지 용기(13)에 축적된 먼지를 공기와 함께 2차 먼지 용기(49)로 이동시킨다.
또한, 스테이션(2)은 받침대(41)에 설치되는 연결 안내부(168)와, 전기 청소기(3)의 1차 먼지 용기(13)의 폐기 덮개(92)의 개방 구동력 및 폐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169)과, 구동원(169)으로부터 전기 청소기(3)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171)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안내부(168)는 청소기 본체(7)가 스테이션(2)에 연결될 때, 스테이션(2)의 충전 단자(46)가 청소기 본체(7)의 충전 전극(19)에 호적하게 접속되고, 또한 먼지 이송관(43)이 청소기 본체(7)의 폐기구(91)에 호적하게 접속되는 위치로, 청소기 본체(7)를 안내한다.
또한, 청소기 본체(7)가 스테이션(2)에 연결되고, 스테이션(2)의 충전 단자(46)가 청소기 본체(7)의 충전 전극(19)에 호적하게 접속되며, 또한 먼지 이송관(43)이 청소기 본체(7)의 폐기구(91)에 호적하게 접속된 형태가,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이다.
연결 안내부(168)는 청소기 본체(7)의 본체 케이스(11)의 후단부의 형상에 적합하게 움푹 들어가 있다. 즉, 연결 안내부(168)는 본체 케이스(11)의 통형의 후반부에 적합하고, 스테이션(2)의 측방으로 보아 원호형으로 움푹 들어가 있다. 청소기 본체(7)는 받침대(41)의 상방으로부터 내려져(하강되어) 스테이션(2)에 연결되므로, 청소기 본체(7)의 후단부의 형상에 적합한 연결 안내부(168)는,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에 있어서의 청소기 본체(7)의 위치 결정을 확실하게 한다.
충전 단자(46)와 먼지 이송관(43)의 입구는 연결 안내부(168)에 배치되어 있다. 먼지 이송관(43)의 입구에는 먼지 이송관(43)과 전기 청소기(3)의 접속 부분, 즉 먼지 이송관(43)과 1차 먼지 용기(13)의 접속 부분을 시일하는 시일 부재(173)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원(169)은 예를 들어 전동기이다. 구동원(169)은 스테이션 제어부(5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구동원(169)은 2차 전동 송풍기(50)와 동일하게, 스테이션 제어부(51)에 의해 제어된다.
구동원(169)은 전기 청소기(3)의 흡기 덮개(94)의 개방 구동력 및 폐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구동원(169)은 전기 청소기(3)의 제진 기구(95)의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즉, 구동원(169)은 폐기 덮개(92), 흡기 덮개(94), 및 제진 기구(95)의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다시 말하면, 구동원(169)은 종동 기구(120)의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구동원(169)은 먼지 이송관(43)의 입구와 먼지 회수부(4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원(169)은 전기 청소기(3)의 먼지 압축 기구(98)의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동력 전달 기구(171)는 구동원(169), 즉 전동기의 출력축으로부터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에서의 청소기 본체(7)의 이음 반체(121)의 중심선상으로, 구동원(169)의 동력을 전달하는 적당한 기구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력 전달 기구(171)는 서로 맞물린 복수, 예를 들어 3 개의 기어(171a, 171b, 171c)와, 이들 기어(171a, 171b, 171c)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수용하는 기어 박스(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동력 전달 기구(171)는 풀리와 벨트를 조합한 기구나, 체인과 스프로킷을 조합한 기구이어도 된다.
다음에, 스테이션(2)으로부터 청소기 본체(7)로 구동원(169)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경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의 동력 전달 경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5는 동력 전달 경로(175) 중, 스테이션(2)측만, 즉 스테이션(2)의 동력 전달 기구(171)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 및 도 24에 추가하여,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1)는 스테이션(2)의 구동원(169)으로부터 청소기 본체(7)의 폐기 덮개(9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경로(175)와, 스테이션(2)과 전기 청소기(3) 사이에서 동력 전달 경로(175)의 연결과 분리를 실시하는 연결기(176)를 구비하고 있다.
동력 전달 경로(175)는 전기 청소기(3)측의 동력 전달 기구(96)와, 스테이션(2)측의 동력 전달 기구(171)를 포함하고 있다. 연결기(176)는 전기 청소기(3) 측의 동력 전달 기구(96)와 스테이션(2)측의 동력 전달 기구(171)를 연결하여 동력 전달 경로(175)를 기능시킨다. 동력 전달 경로(175)는 스테이션(2)측의 구동원(169)으로부터 전기 청소기(3)측의 종동 기구(120), 즉 제진 기구(95),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동력 전달 기구(171), 및 청소기 본체(7)의 이음 반체(121)를 제외한 연결기(176)는, 받침대(41)의 팽출부(47)에 덮여 있다. 연결기(176)는 전기 청소기(3)를 스테이션(2)에 장착할 때에는 전기 청소기(3)와의 접촉을 회피 가능한 퇴피 위치에 있는 한편, 전기 청소기(3)를 스테이션(2)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구동원(169)의 구동력을 전기 청소기(3)에 전달 가능한 연결 위치로 이동한다. 팽출부(47)는 이음 반체(122)를 출몰 가능하게 수용하고 있다.
연결기(176)는 축 이음(129)과, 축 이음(129)을 단절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예를 들어 이음 절단 스프링(177)과, 구동원(169)이 발생시키는 구동력으로 축 이음(129)을 접속하는 캠기구(178)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기(176)는 구동원(169)의 구동력으로 축 이음(129)을 접속시키고, 이음 절단 스프링(177)의 탄성력으로 축 이음(129)을 단절(절연)시킨다.
축 이음(129)은 소위 도그 클러치나 커플링이다. 축 이음(129)은 전기 청소기(3)의 동력 전달 기구(96)에 설치되는 이음 반체(121)와, 스테이션(2)의 동력 전달 기구(171)에 설치되는 이음 반체(122)를 구비하고 있다.
이음 반체(121)는 원형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호형 홈(181)(도 10)을 구비하고 있다. 이음 반체(122)는 원형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축(182)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축(182)은 호형 홈(181)에 출입 가능한 직경 치수를 갖고 있다. 축(182)은 호형 홈(181)으로 삽입하기 쉽도록, 끝이 가는 테이퍼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음 반체(122)는 동력 전달 기구(171)가 전달하는 구동력에 의해 항상 회전한다. 이음 반체(121)는 축 이음(129)이 연결됨으로써 이음 반체(122)와 함께 회전한다. 이음 반체(122)는 스테이션(2)의 팽출부(47)로부터 돌출되어 이음 반체(121)에 연결된다. 이음 반체(122)는 청소기 본체(7)의 측방에 배치되는 팽출부(47)로부터 청소기 본체(7)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이음 반체(121)에 연결된다. 다시 말하면, 연결기(176)는 청소기 본체(7)를 스테이션(2)으로부터 분리할 때, 및 청소기 본체(7)를 스테이션(2)에 복귀시킬 때, 청소기 본체(7)가 이동하는 방향, 즉 상하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음 반체(122)를 팽출부(47)로부터 출몰시켜 축 이음(129)을 연결한다. 즉, 전기 청소기(3)를 스테이션(2)에 장착할 때의 전기 청소기(3)의 이동 방향은, 연결기(176)가 퇴피 위치와 연결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방향으로 교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연결기(176)는 팽출부(47)와 이음 반체(122)의 간극으로부터 스테이션(2) 내에 예를 들어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동력 전달 기구(171)의 양호한 작동을 보증할 수 있다.
또한, 이음 반체(122)는 팽출부(47)로부터 청소기 본체(7)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이음 반체(121)에 연결되는 것 이외에, 연결 안내부(168)에 돌출시켜 설치되고, 스테이션(2)에 청소기 본체(7)를 연결하면, 동시에 이음 반체(121)에 연결되는 것이어도 된다(도 23 중, 2점 쇄선의 이음 반체(122)). 또한, 이음 반체(122)는 먼지 회수부(42)에 배치되고, 스테이션(2)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이음 반체(121)에 연결되는 것이어도 된다(도 23 중, 2점 쇄선의 이음 반체(122)).
이음 절단 스프링(177)은 축 이음(129)을 단절시키는 방향, 즉 이음 반체(121)로부터 떼어 놓는 방향으로 이음 반체(122)를 인장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이음 절단 스프링(177)은 팽출부(47)에 매몰시키는 방향으로 이음 반체(122)를 인입하고 있다.
캠기구(178)는 스테이션(2)측에 설치되어 있다. 캠기구(178)는 소위 단면 캠이다. 캠기구(178)는 동력 전달 기구(171)의 회전 운동을 이음 반체(122)의 직선 운동, 즉 이음 반체(122)가 팽출부(47)에 출몰하는 운동으로 변환되고, 또한 이음 반체(122)의 직선 운동이 적절히 진행되면 이음 반체(122)를 회전 운동시킨다. 캠기구(178)는 동력 전달 기구(171)에 의해 회전하는 원절(原節)(183)과, 이음 반체(122)에 설치되는 종동절(從節)(184)을 구비하고 있다. 종동절(184)은 이음 반체(122)의 축(182)에 가장 가깝고, 이음 반체(122)의 둘레 방향, 즉 이음 반체(122)의 회전 중심선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캠면(184a)과, 이음 반체(122)의 회전 중심선에 대하여 기울어져 이음 반체(122)의 축(182)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캠면(184b)과, 제2 캠면(184b)의 꼭대기부에 연결되어 제1 캠면(184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캠면(184c)을 갖고 있다. 제3 캠면(184c)은 이음 반체(122)의 회전 중심선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으로 연장되어 있다. 원절(183)은 제1 캠면(184a) 및 제2 캠면(184b)에 선 접촉 가능하고, 또한 제3 캠면(184c)에 면 접촉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다.
연결기(176)는 비연결시, 캠기구(178)의 종동절(184)의 제1 캠면(184a)에 원절(183)을 접촉시키고, 또는 제1 캠면(184a)에 원절(183)을 가장 접근시키고 있다. 이 상태에서 이음 반체(122)는 스테이션(2)의 팽출부(47)에 가장 들어가 가려져 있다. 구동원(169)이 시동되면, 동력 전달 기구(171)의 기어(171c)와 함께 원절(183)이 회전한다. 회전하는 원절(183)은 종동절(184)의 제1 캠면(184a)을 이동하고, 제2 캠면(184b)에 접근하여, 모두 제2 캠면(184b)에 타고 올라간다. 그러면, 이음 반체(122)는 원절(183)이 제2 캠면(184b)을 억압하는 힘에 의해 팽출부(47)로부터 위로 밀어올려져, 이음 반체(121)에 연결된다. 이음 반체(122)의 회전이 진행되어 원절(183)이 제3 캠면(184c)에 면 접촉되면, 연결기(176) 전체가, 원절(183)에 동기하여 회전한다.
또한, 이음 반체(122)는 이음 절단 스프링(177)의 탄성력에 의해 팽출부(47)에 인입되어 있다. 이 탄성력은 원절(183)과 종동절(184) 사이에 적절한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원절(183)을 종동절(184)의 제2 캠면(184b)에 확실하게 타고 올라가게 한다.
캠기구(178)는 스테이션(2)의 이음 반체(122)로부터 청소기 본체(7)의 이음 반체(121)를 보고, 이음 반체(122)를 정전(시계 방향), 및 역전(반시계 방향)시키는 어떤 회전 방향으로도, 제2 캠면(184b) 및 제3 캠면(184c)을 갖고 있다. 다시 말하면, 캠기구(178)는 제1 캠면(184a)을 사이에 끼우는 한 쌍의 제2 캠면(184b) 및 제3 캠면(184c)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동력 전달 경로(175)는 이음 반체(122)를 정전시킴으로써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를 개방하고, 이음 반체(122)를 역전시킴으로써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를 폐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일방의 제2 캠면(184b) 및 일방의 제3 캠면(184c)은, 이음 반체(122)의 정전에 수반하여 연결기(176)를 연결하고,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를 개방한다. 타방의 제2 캠면(184b) 및 타방의 제3 캠면(184c)은, 이음 반체(122)의 역전에 수반하여 연결기(176)를 연결하고,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를 폐쇄한다.
또한, 연결기(176)는 스테이션(2)으로부터 2차 전지(17)에 전력을 공급하고 2차 전지(17)를 충전하는 충전 단자(186)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충전 단자(186)는 받침대(41)에 설치되는 충전 단자(46)를 대신하여 2차 전지(17)를 충전한다. 충전 단자(186)는 청소기 본체(7)의 이음 반체(121)와, 스테이션(2)의 이음 반체(122) 양쪽에 설치되어 있다. 충전 단자(186)는 연결기(176)가 연결되었을 때, 즉 스테이션(2)의 이음 반체(122)와 청소기 본체(7)의 이음 반체(121)가 연결되어 있을 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1)는 전기 청소기(3)측의 제어 회로(191)와, 스테이션(2)측의 제어 회로(192)를 구비하고 있다.
전기 청소기(3)측의 제어 회로(191)는 오로지 1차 전동 송풍기(15)의 운전을 제어한다. 전기 청소기(3)측의 제어 회로(191)는 2차 전지(17)에 직렬로 접속되는 1차 전동 송풍기(15)와, 2차 전지(17)와 1차 전동 송풍기(15)를 접속하는 전로(電路)를 개폐하는 스위칭 소자(195)와, 2차 전지(17)의 전압을 변환하여 청소기 제어부(16)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어용 전원부(196)와, 1차 전동 송풍기(15)의 운전을 제어하는 청소기 제어부(16)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칭 소자(195)는 청소기 제어부(16)에 접속되는 게이트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칭 소자(195)는 게이트 전류의 변화에 따라 1차 전동 송풍기(15)의 입력을 변경한다.
제어용 전원부(196)는 청소기 제어부(16)의 제어 전원을 발생시키는 전원 회로이다.
스테이션(2)측의 제어 회로(192)는 오로지 2차 전동 송풍기(50)의 운전을 제어한다. 스테이션(2)측의 제어 회로(192)는 상용 교류 전원 E에 직렬로 접속되는 2차 전동 송풍기(50), 상용 교류 전원 E와 2차 전동 송풍기(50)를 접속하는 전로를 개폐하는 스위칭 소자(197), 상용 교류 전원 E를 변환하여 스테이션 제어부(5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어용 전원부(198), 전기 청소기(3)가 스테이션(2)에 장착된 것을 검지하는 복수의 장착 검지기(45), 2차 전동 송풍기(50)의 운전을 제어하는 스테이션 제어부(51), 및 스테이션 제어부(51)에 접속되는 알림부(19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테이션(2)측의 제어 회로(192)는 전기 청소기(3)의 2차 전지(17)의 충전 회로(도시 생략)도 구비하고 있다.
스위칭 소자(197)는 쌍방향 사이리스터나 역저지 3단자 사이리스터 등의 소자이다. 스위칭 소자(197)는 스테이션 제어부(51)에 접속되는 게이트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칭 소자(197)는 게이트 전류의 변화에 따라서 2차 전동 송풍기(50)의 입력을 변경한다.
제어용 전원부(198)는 스테이션 제어부(51)의 제어 전원을 발생시키는 전원 회로이다.
장착 검지기(45)는 검지 대상이 수납 상태에 있을 때 전로를 개방하고, 검지 대상이 수납 상태가 아닐 때, 다시 말하면 검지 대상이 사용 상태에 있을 때 전로를 폐쇄하도록 제어 회로(192)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장착 검지기(45a)는 전기 청소기(3)가 스테이션(2)에 연결된 경우, 다시 말하면 전기 청소기(3)가 스테이션(2)에 장착된 경우, 또는 전기 청소기(3)가 받침대(41)에 놓인 경우에 전로를 개방한다. 한편, 제1 장착 검지기(45a)는 전기 청소기(3)가 스테이션(2)으로부터 분리된 경우, 다시 말하면 전기 청소기(3)가 스테이션(2)으로부터 이탈한 경우, 또는 전기 청소기(3)가 받침대(41)로부터 떨어진 경우에 전로를 폐쇄한다. 제2 장착 검지기(45b)는 전기 청소기(3)의 관부(8)가 스테이션(2)에 장착된 경우, 전로를 개방한다. 또한, 제2 장착 검지기(45b)는 전기 청소기(3)의 관부(8)가 스테이션(2)으로부터 이탈한 경우, 전로를 폐쇄한다. 또한, 관부 부착부(53)가 청소기 본체(7)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이 경우, 제2 장착 검지기(45b)가 개폐하는 전로는 전기 청소기(3)측의 제어 회로(191)에 포함된다.
스테이션 제어부(51)는 스테이션(2)에 전기 청소기(3)가 장착된 것을 복수의 장착 검지기(45) 중 적어도 2개의 장착 검지기(45)가 검지한 경우에, 1차 먼지 용기(13)로부터 2차 먼지 용기(49)로의 먼지의 이송을 허가한다. 그리고, 스테이션 제어부(51)는 먼지 이송의 허가로부터 미리 정한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말하면 스테이션(2)에 전기 청소기(3)가 장착된 것을 복수의 장착 검지기(45) 중 적어도 2 개의 장착 검지기(45)가 검지하고 나서 미리 정하는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에, 2차 전동 송풍기(50)를 시동시켜 먼지의 이송을 개시한다.
복수의 장착 검지기(45)는 전기 청소기(3)의 본체 손잡이(14)가 수납 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제3 장착 검지기(45c)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복수의 장착 검지기(45)는 제1 장착 검지기(45a), 및 제2 장착 검지기(45b)에 추가하여 제3 장착 검지기(45c)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장착 검지기(45)는 제2 장착 검지기(45b)를 대신하여 제3 장착 검지기(45c)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복수의 장착 검지기(45)가 제1 장착 검지기(45a), 제2 장착 검지기(45b), 및 제3 장착 검지기(45c)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스테이션 제어부(51)는 3 개 모든 장착 검지기(45)가 스테이션(2)에 전기 청소기(3)가 장착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 1차 먼지 용기(13)로부터 2차 먼지 용기(49)로의 먼지의 이송을 허가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스테이션 제어부(51)는 3 개의 장착 검지기(45) 중 2개, 즉 제1 장착 검지기(45a)와 제2 장착 검지기(45b)의 그룹, 제1 장착 검지기(45a)와 제3 장착 검지기(45c)의 그룹, 또는 제2 장착 검지기(45b)와 제3 장착 검지기(45c)의 그룹이 스테이션(2)에 전기 청소기(3)가 장착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 1차 먼지 용기(13)로부터 2차 먼지 용기(49)로의 먼지의 이송을 허가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스테이션 제어부(51)는 3 개의 장착 검지기(45) 중 제1 장착 검지기(45a)를 반드시 포함하고, 제2 장착 검지기(45b) 또는 제3 장착 검지기(45c)를 추가한 2 개의 장착 검지기(45)가, 스테이션(2)에 전기 청소기(3)가 장착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 1차 먼지 용기(13)로부터 2차 먼지 용기(49)로의 먼지의 이송을 허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체 손잡이(14)는 사용 위치와 수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또한, 본체 손잡이(14)의 수납 위치는, 본체 손잡이(14)가 본체 케이스(11)의 손잡이 수납 오목부(11b)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본체 손잡이(14)의 위치이다. 한편, 본체 손잡이(14)의 사용 위치는, 본체 손잡이(14)가 본체 케이스(11)의 손잡이 수납 오목부(11b)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의 본체 손잡이(14)의 위치이다.
알림부(199)는 복수의 장착 검지기(45)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장착 검지기(45)가 스테이션(2)에 전기 청소기(3)가 장착된 것을 검지하고 나서 미리 정하는 소정 시간 이내에 스테이션(2)에 전기 청소기(3)가 장착된 것을 미검지한 경우에는, 알림을 실시한다. 즉, 알림부(199)는 복수의 장착 검지기(45)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장착 검지기(45)가 스테이션(2)에 전기 청소기(3)가 장착된 것을 검지하고 나서 미리 정하는 소정 시간 이내에 스테이션(2)에 전기 청소기(3)가 장착된 것을 미검지한 경우에는, 스테이션(2)에 장착된 전기 청소기(3)의 장착 상태가 불완전한 것을 알린다. 알림부(199)는 예를 들어, 문자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점등 또는 점멸하는 램프나 LED(Light Emitting Diode) 등 전기 청소 장치(1)의 사용자의 시각에 호소하는 것, 전기적으로 합성된 음성이나 부저 소리 등을 발하는 발음기 등 전기 청소 장치(1)의 사용자의 청각에 호소하는 것, 바이브레이터 등 전기 청소 장치(1)의 사용자의 촉각에 호소하는 것 등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스테이션(2)에 청소기 본체(7)가 연결되어 전기 청소 장치(1)는 수납 형태로 이행한다. 그러면, 청소기 본체(7)의 충전 전극(19)은 스테이션(2)의 충전 단자 (46)에 접촉하여, 충전 단자(4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먼지 이송관(43)의 입구는 청소기 본체(7)의 본체 케이스 폐기구(100)를 통하여 1차 먼지 용기(13)의 용기 본체(78)의 외면에 밀착된다.
도 2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에 의한 전기 청소기로부터 스테이션으로의 먼지의 이동에 관한 시퀀스도이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1)의 구동원(169)은 전기 청소기(3)가 스테이션(2)에 수납된 후, 1차 먼지 용기(13)로부터 2차 먼지 용기(49)로 먼지의 이송이 개시될 때까지는 정지를 유지하여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를 닫아 둔다.
스테이션 제어부(51)는 복수의 장착 검지기(45)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스테이션(2)에 청소기 본체(7)가 연결된 것을 검지한다. 스테이션 제어부(51)는 스테이션(2)에 청소기 본체(7)가 연결된 것을 복수의 장착 검지기(45) 중 적어도 2 개의 장착 검지기(45)가 검지하면, 미리 정하는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에, 구동원(169)을 시동시킨다. 구동원(169)이 시동되면 스테이션(2)의 이음 반체(122)가 팽출부(47)로부터 돌출하고, 청소기 본체(7)의 이음 반체(121)에 연결된다. 즉, 연결기(176)가 연결된다(도 27 중의 타임 래그 α). 스테이션 제어부(51)는 연결기(176)가 연결된 후에도 구동원(169)의 운전을 계속한다. 연결기(176)가 연결된 동력 전달 경로(175)는 구동원(169)의 구동력을 폐기 덮개(92), 흡입 덮개(94), 및 제진 기구(95)로 분배하여 전달한다.
동력 전달 경로(175)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는 완전 개방된다. 즉, 2차 먼지 용기(49)는 스테이션(2)에 전기 청소기(3)가 수납되면 폐기구(91), 및 먼지 이송관(43)을 통하여 1차 먼지 용기(13)에 유체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동력 전달 경로(175)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제진 기구(95)는 필터(86, 87)에 부착된 가는 먼지를 제거한다. 스테이션 제어부(51)는 제진 기구(95)가 필터(86, 87)에 부착된 가는 먼지를 제거하는 적절한 기간, 예를 들어 10 초간, 계속해서 구동원(169)을 운전한 후, 구동원(169)을 일단 정지시킨다.
이어서, 2차 전동 송풍기(50)는 구동원(169)이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를 완전 개방시킨 후, 부압을 발생시킨다. 스테이션 제어부(51)는 2차 전동 송풍기(50)를 시동시킨다. 시동한 2차 전동 송풍기(50)는 2차 먼지 용기(49)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부압을 발생시킨다. 즉, 2차 전동 송풍기(50)는 구동원(169)이 폐기 덮개(92)를 개방한 후, 2차 먼지 용기(49)에 부압을 작용시킨다. 2차 전동 송풍기(50)는 구동원(169)이 흡기 덮개(94)를 개방한 후, 2차 먼지 용기(49)에 부압을 작용시킨다. 2차 전동 송풍기(50)는 구동원(169)이 제진 기구(95)를 구동시킨 후, 2차 먼지 용기(49)에 부압을 작용시킨다.
또한, 도 27에 도시한 예에서는 구동원(169)이 제진 기구(95)를 정지시키고 나서 2차 전동 송풍기(50)를 기동시키고 있지만, 구동원(169)이 폐기 덮개(92)를 개방하고, 또한 흡기 덮개(94)를 개방한 후이면, 제진 기구(95)의 구동 중에 2차 전동 송풍기(50)를 기동시켜도 된다.
2차 먼지 용기(49)에 작용하는 부압은 먼지 이송관(43) 및 폐기구(91)를 통하여 1차 먼지 용기(13)에 작용한다. 그러면, 1차 먼지 용기(13)는 흡기구(93)로부터 공기를 흡입한다. 이 때, 본체 접속구(18)로부터도 공기가 흡입된다. 1차 먼지 용기(13)에 흡입된 공기는 굵은 먼지 집진실(71) 내의 굵은 먼지를 굵은 먼지 폐기구(101)로부터 먼지 이송관(43)으로 유출시키고, 또한 필터실(72) 내의 가는 먼지를 가는 먼지 폐기구(102)로부터 먼지 이송관(43)으로 유출시킨다. 먼지 이송관(43)에 유입된 먼지(굵은 먼지 및 가는 먼지가 혼합된 먼지)는 먼지 이송관(43)을 통하여 2차 먼지 용기(49)에 흡입된다.
2차 먼지 용기(49)의 제1 원심 분리부(164)는 먼지 이송관(43)으로부터 유입된 먼지로부터 굵은 먼지를 분리하여 축적한다. 제2 원심 분리부(165)는 제1 원심 분리부(164)를 통과하는 가는 먼지를 분리하여 축적한다.
스테이션 제어부(51)는 2차 전동 송풍기(50)를 적절한 계속 시간, 예를 들어 10 초간 운전하여, 1차 먼지 용기(13)가 축적된 먼지의 실질적인 전량을 2차 먼지 용기(49)로 바꾸어 옮긴 후, 2차 전동 송풍기(50)를 정지시킨다. 또한, 스테이션 제어부(51)는 2차 전동 송풍기(50)가 정지하여 2차 먼지 용기(49)가 정압(즉 대기압, 도 27 중의 타임 래그 β)으로 되돌아가면, 일시 정지하고 있는 구동원(169)을 역전시킨다. 구동원(169)이 역전되기 시작하면, 스테이션(2)의 이음 반체(122)가 청소기 본체(7)의 이음 반체(121)로부터 떨어져, 팽출부(47)에 일단 인입된다. 즉, 연결기(176)의 연결이 일단 해제된다. 스테이션 제어부(51)는 구동원(169)의 역전을 계속한다. 구동원(169)의 역전이 계속되면, 스테이션(2)의 이음 반체(122)가 팽출부(47)로부터 다시 돌출되고, 청소기 본체(7)의 이음 반체(121)에 연결된다(도 27 중의 타임 래그 γ). 즉, 연결기(176)가 연결된다. 스테이션 제어부(51)는 구동원(169)의 운전을 계속한다. 연결기(176)가 연결된 동력 전달 경로(175)는 구동원(169)의 구동력을 폐기 덮개(92), 흡기 덮개(94), 및 제진 기구(95)로 분배하여 전달한다.
구동원(169)은 2차 전동 송풍기(50)가 먼지를 이송하기 위해 부압을 발생시키는 운전을 정지한 후, 폐기 덮개(92)의 폐쇄 구동력을 발생시켜 폐기구(91)를 닫는다. 또한, 구동원(169)은 2차 전동 송풍기(50)가 먼지를 이송하기 위해 부압을 발생시키는 운전을 정지한 후, 흡기 덮개(94)의 폐쇄 구동력을 발생시켜 흡기구(93)를 닫는다. 동력 전달 경로(175)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는 완전 폐쇄된다. 스테이션 제어부(51)는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가 완전 폐쇄되는 적절한 기간, 예를 들어 3 초간, 계속하여 구동원(169)를 역전시킨다.
그리고, 스테이션 제어부(51)는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가 완전 폐쇄된 후, 구동원(169)을 일단 정지시킨다. 그리고, 스테이션 제어부(51)는 구동원(169)을 다시 정전시킨다. 구동원(169)이 정전하기 시작하면, 스테이션(2)의 이음 반체(122)가 청소기 본체(7)의 이음 반체(121)로부터 떨어져, 팽출부(47)에 일단 인입된다. 즉, 연결기(176)의 연결이 다시 해제된다. 스테이션 제어부(51)는 스테이션(2)의 이음 반체(122)가 팽출부(47)에 인입된 후, 구동원(169)을 정지시킨다. 다시 말하면, 연결기(176)는 제진 기구(95),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 즉 종동 기구(120)를 동작시키면 퇴피 위치로 이동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3)의 손잡이(55), 스테이션(2)의 받침대(41), 및 감속기구(4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의 감속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의 감속 기구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30에는 튀어 올라 청소기 본체(7)에 접근하여 대기하고 있는 감속 기구(44)가 도시되어 있다. 도 31에는 청소기 본체(7)가 스테이션(2)으로부터 분리될 때, 청소기 본체(7)가 진행 가능하도록 이동한 감속 기구(44)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추가로, 도 28 내지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1)의 손잡이(55)는, 전기 청소기(3)가 스테이션(2)에 얹히는 수납 자세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손잡이(55)는 전기 청소기(3)가 스테이션(2)에 얹혀진 수납 상태로 먼지 회수부(42)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손잡이(55)는 전기 청소기(3)가 스테이션(2)에 얹혀진 수납 상태로 스테이션(2)의 정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전기 청소 장치(1)는 사용 자세의 청소기 본체(7)를 기립시켜 청소기 본체(7)의 자세를 수납 자세로 변경하고, 이 수납 자세의 청소기 본체(7)를 스테이션(2)의 상방으로부터 받침대(41)에 내림으로써 수납 형태가 된다. 이 때, 손잡이(55)를 들고 청소기 본체(7)를 끌어 올리면, 전기 청소기(3)의 자세는 손잡이(55), 청소기 본체(7)의 중심, 및 바퀴(12)의 위치 관계에 의해, 청소기 본체(7)의 정면을 상방으로 향하게 하고, 배면을 하방으로 향하게 하는 수납 자세로 용이하게 변경된다(기립한다). 즉, 청소기 본체(7)는 손잡이(55)를 끌어 올리면 바퀴(12)를 접지시킨 채, 바퀴(12)의 회전 중심선 둘레에 일어난다. 사용자는 손잡이(55)에 손가락을 걸고, 끌어 올리는 단순한 동작으로, 청소기 본체(7)를 기립시키고, 그대로 손잡이(55)를 들고 청소기 본체(7)를 들어 올릴 수 있다. 그 때문에, 청소기 본체(7)를 스테이션(2)의 받침대(41)에 얹을 때,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시켜 편리성이 우수하다.
받침대(41)는 스탠드면(41a)과, 수납 자세의 청소기 본체(7)가 쓰러지는 과정에서 바퀴(12)에 접하는 접지 안내면(20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받침대(41)는 수납 자세의 청소기 본체(7)가 쓰러질 때 청소기 본체(7)를 지지하는 전도 지점부(202)를 구비하고 있다.
전기 청소 장치(1)는 전도 지점부(202) 또는 청소기 본체(7)에 설치되어 수납 자세의 청소기 본체(7)가 쓰러질 때 청소기 본체(7)와 전도 지점부(202)의 미끄러짐을 저해하는 미끄럼 방지부(203)를 구비하고 있다.
스탠드면(41a)은 청소기 본체(7)의 배면의 형상, 즉 원호형을 모방한 원호형을 이루고 있다. 스탠드면(41a)은 수평면에 대하여 원호형으로 움푹 들어가 있다.
접지 안내면(201)은 수납 자세로부터 사용 자세로 쓰러지는 청소기 본체(7)가 스테이션(2)의 정면을 향하여 진행하기 쉽도록, 스테이션(2)의 정면을 향하여 내려가는 경사면이다. 접지 안내면(201)은 스테이션(2)에 수납되는 청소기 본체(7)의 바퀴(12)를 수납하는 원호 형상의 바퀴 배치 오목부(205)에 연이어 접하고 있다. 그 때문에, 바퀴(12)는 청소기 본체(7)가 수납 자세로부터 사용 자세로 쓰러지는 과정에서 원활하게 접지 안내면(201)에 접지하고, 청소기 본체(7)를 지지한다.
전도 지점부(202)는 스탠드면(41a)의 최하부보다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수납 자세의 청소기 본체(7)를 쓰러 뜨리면, 청소기 본체(7)는 전도 지점부(202)를 중심으로 지렛대와 같이 쓰러져 들어가, 사용 자세로 원활하게 이행한다.
그런데, 청소기 본체(7)가 사용 자세로 쓰러질 때, 전도 지점부(202)와 청소기 본체(7)의 접촉 부분은 미끄러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 지점부(202)와 청소기 본체(7)의 접촉 부분이 미끄러지면, 청소기 본체(7)가 쓰러질 때의 거동, 또는 쓰러지는 궤도, 궤적이 정해지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전도 지점부(202)와 청소기 본체(7)의 접촉 부분은 약간의 미끄러짐을 허용하면서도 크게 미끄러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먼지 이송관(43)의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시일부재(173)가 전도 지점부(202)를 겸하고 있다. 시일 부재(173)는 먼지 이송관(43)의 정면측의 변부(43b)를 시일하는 부분을 전도 지점부(202)로서 기능시킨다. 시일 부재(173)는 먼지 이송관(43)과 1차 먼지 용기(13)의 접속 부분을 시일하므로, 천연 고무나 실리콘 고무 등의 합성 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시일 부재(173)는 청소기 본체(7)에 대하여 미끄러지기 어렵고, 수납 상태의 청소기 본체(7)에 접하고 있으므로, 전도 지점부(202)로서 바람직하고, 미끄럼 방지부(203)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전도 지점부(202)는 시일 부재(173) 이외의 부재이어도 된다. 즉, 전도 지점부(202)는 받침대(41)에 설치되는 리브 형상의 돌기이어도 된다. 또한, 미끄럼 방지부(203)도, 시일 부재(173) 이외의 부재이어도 된다. 미끄럼 방지부는 청소기 본체(7)와 전도 지점부(202)에 끼워 넣어져 있으면 되고, 청소기 본체(7)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스테이션(2)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감속 기구(44)는 스테이션(2)의 받침대(41)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감속 기구(44)는 수납 자세의 청소기 본체(7)가 사용 자세로 이동하는 과정, 즉 쓰러지는 과정에서 청소기 본체(7)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킨다. 감속 기구(44)는 힌지 (211)와, 힌지(211)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판부(212)와, 청소기 본체(7)가 진행 가능하도록 이동할 때 에너지를 축적하고, 축적된 에너지를 소비하여 감속 기구(44)를 대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 부재(213)를 구비하고 있다.
힌지(211)는 스테이션(2)의 받침대(41)에 지지되는 축(215)과, 지지판부(212)가 고정되는 판부(216)를 구비하고 있다. 판부(216)는 축(215)을 배치하는 구멍(217)을 갖고 있다. 판부(216)는 축(215)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즉, 감속 기구(44)는 힌지(211)에 의해 청소기 본체(7)에 접근하는 대기 위치와 청소기 본체(7)가 진행 가능한 전개 위치 사이에서 쓰러지도록 이동한다. 축(215)은 수납 상태의 청소기 본체(7)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축(215)과 받침대(41)에 얹힌 청소기 본체(7)의 바퀴(12)의 회전 중심선은 실질적으로 평행으로 배치된다. 이 때문에, 감속 기구(44)가 쓰러지면, 청소기 본체(7)는 사용 자세가 된다.
지지판부(212)는 수납 상태로부터 사용 상태로 이동하는, 즉 쓰러지는 본체 케이스(11)에 접하여 청소기 본체(7)를 지지한다. 지지판부(212)는 이동하는 청소기 본체(7)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본체 케이스(11)의 폭 방향으로 확대되어 있다. 지지판부(212)는 청소기 본체(7)에 접하는 면에 보호재, 예를 들면 기모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판부(212)는 청소기 본체(7)가 진행 가능하도록 이동하면, 다시 말하면, 청소기 본체(7)가 수납 자세로부터 사용 자세로 쓰러지면, 청소기 본체(7)가 받침대(41)로부터 이탈하기 쉽도록 연결 안내부(168)로부터 피청소면으로 향하는 하강 경사면이 된다.
또한, 감속 기구(44)는 소위 브레이크 기구(218)로 이동 속도를 제한해도 된다. 감속 기구(44)는 작동 오일을 수용하는 오일 댐퍼(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탄성 부재(213)는 사용자가 전기 청소기(3)의 관부(8) 중 어느 부분, 바람직하게는 손잡이 조작관(23), 또는 파지부(25)를 인장하면, 사용자의 조작력과 청소기 본체(7)의 전도 모멘트에 지고, 감속 기구(44)를 이동시킨다(쓰러진다). 이 이동에 따라, 탄성 부재(213)는 감속 기구(44)를 일으켜 세우기 위한 에너지를 축적한다.
또한, 탄성 부재(213)는, 예를 들어 비틀림 스프링이다. 탄성 부재(213)는 받침대(41)에 수납 자세로 얹힌 청소기 본체(7)가 외력의 인가에 의해 쓰러져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또한 스테이션(2)으로부터 청소기 본체(7)가 떨어진 후에 감속 기구(44)를 대기 위치로 일으켜 세운다.
스테이션(2)의 충전 단자(46)는 수납 상태의 청소기 본체(7)에 접속 가능하고, 또한 청소기 본체(7)가 사용 자세로 쓰러질 때 청소기 본체(7)와의 접속이 해제된다. 이 때문에, 충전 단자(46)의 단자 커버(219)는 스테이션(2)의 상방으로 향하는 슬릿(219a)과, 전기 청소기(3)를 스테이션(2)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방향, 즉 스테이션(2)의 정면 방향으로 향하는 슬릿(219b)을 갖고 있다(도 24). 충전 단자(46)는 이들 슬릿(219a, 219b)에 삽입되는 청소기 본체(7)의 충전 전극(19)에 접속된다.
그런데, 수납 자세의 청소기 본체(7)를 스테이션(2)의 상방으로 받침대(41)로부터 들어 올리고, 피청소면(바닥면)에서 사용 자세로 쓰러뜨림으로써, 전기 청소기(3)는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전기 청소기(3)를 사용할 때, 청소기 본체(7)를 들어 올려 이동시키는 것은 편리성이 떨어진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 장치(1)는 수납 자세의 청소기 본체(7)를 기울여 쓰러뜨려, 전기 청소기(3)의 사용을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기 청소기(3)의 관부(8) 중 어느 부분, 바람직하게는 손잡이 조작관(23), 또는 파지부(25)를 들고 집진 호스(22)를 스테이션(2)의 정면 방향으로 인장하면, 청소기 본체(7)는 사용 자세로 쓰러져 들어간다(도 28). 전도 지점부(202)는 청소기 본체(7)는 수납 자세로부터 사용 자세로 이행할 때의 지점으로서 기능한다. 즉,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도 지점부(202)를 타고 넘어갈 만큼의 힘이 청소기 본체(7)에 가해지면, 청소기 본체(7)는 전도 지점부(202)를 지점으로 하여 방향을 바꾸면서, 수납 자세로부터 사용 자세로 이행한다. 이 때, 감속 기구(44)는 쓰러져 들어가는 청소기 본체(7)의 이동 속도를 줄여, 청소기 본체(7)에 대한 충격을 감소시킨다. 또한, 전기 청소기(3)의 보조 바퀴(12b)(도 28)가 접지할 때에는 보조 바퀴(12b)와 손잡이(55)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서스펜션 기구(56)(도 4)가 청소기 본체(7)로의 접지를 완충한다.
사용자가 더욱 관부(8)를 인장하면, 청소기 본체(7)는 스테이션(2)으로부터 떨어진다. 즉, 사용자는 관부(8)를 인장하는 것 만으로 전기 청소기(3)를, 신속하고 또한 원활하게 청소를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청소 장치(1)는 스테이션(2)의 정면을 향하여 관부(8)를 인장함으로써 전기 청소기(3)를 스테이션(2)의 정면을 향하여 쓰러뜨리고, 또한 스테이션(2)의 정면을 향하여 관부(8)를 인장함으로써 전기 청소기(3)를 스테이션(2)으로부터 이탈시킨다. 그 때문에, 전기 청소 장치(1)는 스테이션(2)의 정면을 향하여 관부(8)를 인장한다는 동작만으로, 청소기 본체(7)의 자세 변경(수납 자세로부터 사용 자세로의 자세 변경)과, 사용의 개시가 일련으로 실시된다.
또한, 감속 기구(44)는 충전 기능 및 먼지 회수 기능을 갖는 스테이션(2) 이외에, 이러한 기능을 갖지 않는, 단순한 수납대이어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3)는 본체 케이스(11)의 좌우 각각의 측부에 설치되어 본체 케이스(11)를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회전 중심선 방향으로 보아 본체 케이스(11) 중 적어도 배면을 덮어 가리는 한 쌍의 바퀴(12)와, 한 쌍의 바퀴(12)에 끼인 영역 A에 설치되고, 또한 본체 케이스(11)의 형상을 따라 배치되는 2차 전지(17)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전기 청소기(3)는 청소기 본체(7)의 중심을 바퀴(12)의 회전 중심선에 접근시키고, 청소기 본체(7)를 바퀴(12)의 회전 중심선 둘레에 부앙시키거나, 기립시킬 때의 경쾌성을 높여, 조작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3)는 한 쌍의 바퀴(12)의 회전 중심선을 실질적인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을 갖는 2차 전지(17)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전기 청소기(3)는 본체 케이스(11) 내에 공간 효율 좋게 2차 전지(17)를 배치하면서, 바퀴(12)의 회전 중심선 둘레에서의 청소기 본체(7)의 중량 배분을 균일화시키고, 청소기 본체(7)를 바퀴(12)의 회전 중심선 둘레로 부앙 동작이나, 기립 동작을 원활화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3)는 한 쌍의 바퀴(12)의 회전 중심선에 직교하는 면에서 본체 케이스(11)의 중심선에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중심을 갖는 원호형의 2차 전지(17)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전기 청소기(3)는 바퀴(12)의 회전 중심선 둘레에서의 청소기 본체(7)의 중량 배분을 보다 균일화시키고, 청소기 본체(7)를 바퀴(12)의 회전 중심선 둘레에 부앙 동작이나 기립 동작을 원활화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 청소기(3)는 청소기 본체(7)의 취급의 경쾌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러한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러한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 전기 청소 장치 2: 스테이션
3: 전기 청소기 7: 청소기 본체
8: 관부 11: 본체 케이스
11a: 배기구 덮개 11b: 손잡이 수납 오목부
12: 바퀴 12a, 12b: 보조 바퀴
12c: 접지벽 12d: 측벽
13: 1차 먼지 용기 13a: 제1 반체
13b: 제2 반체 14: 본체 손잡이
15: 1차 전동 송풍기 16: 청소기 제어부
17: 2차 전지 17a: 소전지
18: 본체 접속구 19: 충전 전극
21: 접속관 22: 집진 호스
23: 손잡이 조작관 25: 파지부
26: 조작부 26a: 정지 스위치
26b: 기동 스위치 26c: 브러쉬 스위치
27: 연장관 27a: 유지 돌기
28: 흡입구체 31: 흡입구
32: 회전 청소체 33: 전동기
41: 받침대 41a: 스탠드면
42: 먼지 회수부 43: 먼지 이송관
43b: 변부 44: 감속 기구
45: 장착 검지기 45a: 제1 장착 검지기
45b: 제2 장착 검지기 45c: 제3 장착 검지기
46: 충전 단자 47: 팽출부
48: 케이스 49: 2차 먼지 용기
50: 2차 전동 송풍기 51: 스테이션 제어부
52: 전원 코드 53: 관부 부착부
55: 손잡이 55a: 경사부
56: 서스펜션 기구 57: 먼지 용기실
57a: 먼지 용기 삽탈구 58: 전동 송풍기실
59: 압출력 발생부 59a: 로드부
59b: 코일 스프링 60: 용기 보조 롤러
61: 용기 잠금 기구 62: 조부
63: 조 수용부 64: 분리부
65: 집진부 66: 연락 풍로
66a, 66b: 풍로 66c: 집합 풍로
67: 다리 68: 제1 분리부
69: 필터부 71: 굵은 먼지 집진실
72: 필터실 73: 집진실
75: 노즐부 76: 1차 필터 틀체
77: 제1 메쉬 필터 78: 용기 본체
78a: 흡입구 79: 굵은 먼지 토출구
81: 중계 풍로 82: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
82a: 하단측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
82b: 상단측 굵은 먼지 집진실 출구
82c, 82d: 개구 83: 격벽
83a: 양측방 부분 84: 제2 메쉬 필터
84a: 하단측 제2 메쉬 필터 84b: 상단측 제2 메쉬 필터
85: 확장부 85a: 제1 확장부
85b: 제2 확장부 86, 87: 필터
86a, 87a: 필터의 능선 88: 2차 필터 틀체
89: 2차 필터 출구 91: 폐기구
92: 폐기 덮개 93: 흡기구
94: 흡기 덮개 95: 제진구
96: 동력 전달 기구 97: 함몰부
97a: 제1 부위 97b: 제2 부위
98: 먼지 압축 기구 99: 기계실
100: 본체 케이스 폐기구 101: 굵은 먼지 폐기구
102: 가는 먼지 폐기구 103: 패킹
105: 조작부 106: 비확장부
107: 잠금 기구 108: 먼지 안내면
111: 랙 111a: 구멍
111b: 톱니 112: 피동부
113: 기어 113a: 톱니
115: 프레임 116: 슬라이더
117: 제진자 118: 레일
120: 종동 기구 121: 이음 반체
122: 이음 반체 126: 제1 전달 기구
127: 제2 전달 기구 128: 제3 전달 기구
129: 축 이음 131: 제1 기어
132: 제2 기어 133: 축
134: 레버부 134a: 톱니
135: 가이드부 136: 스토퍼
137: 홈 138: 안내판
139: 슬라이더 140: 폐기 덮개 폐쇄 스프링
141: 이탈력 전달 기구 142: 탄성 부재
143: 짝 145, 146: 슬라이더부
147: 링크 147a: 제1 조인트부
147b: 제2 조인트부 147c: 핀 구멍
147d: 핀 148: 용기 손잡이
149: 링크 기구 151: 기부
152a: 제1 롤러 152b: 제2 롤러
152c: 제3 롤러 152d: 제4 롤러
152e: 제5 롤러 152f: 제6 롤러
153: 기부 유지체 154: 복귀 스프링
153a: 플랜지부 155: 손잡이 복귀부
157a: 제1 기어 157b: 제2 기어
157c: 제3 기어 158: 복귀 스프링
163: 원심 분리부 164: 제1 원심 분리부
165: 제2 원심 분리부 166: 하류 풍로관
168: 연결 안내부 169: 구동원
171: 동력 전달 기구 171a, 171b, 171c: 기어
173: 시일 부재 175: 동력 전달 경로
176: 연결기 177: 이음 절단 스프링
178: 캠 기구 181: 호형 홈
182: 축 183: 원절
184: 종동절 184a: 제1 캠면
184b: 제2 캠면 184c: 제3 캠면
186: 충전 단자 191, 192: 제어 회로
195, 197: 스위칭 소자 196: 제어용 전원부
198: 제어용 전원부 199: 알림부
201: 접지 안내면 202: 전도 지점부
203: 미끄럼 방지부 205: 바퀴 배치 오목부
211: 힌지 212: 지지판부
213: 탄성 부재 215: 축
216: 판부 217: 구멍
218: 브레이크 기구 219: 단자 커버
219a, 219b: 슬릿

Claims (3)

  1. 정면에 흡입구를 갖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좌우 각각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를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회전 중심선 방향으로 보아, 상기 본체 케이스 중 적어도 배면을 덮어 가리는 한 쌍의 바퀴와, 상기 한 쌍의 바퀴에 끼인 영역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의 형상을 따라 배치되는 2차 전지를 구비하는, 전기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전지는 상기 한 쌍의 바퀴의 회전 중심선을 실질적인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을 갖는, 전기 청소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전지의 원호형의 중심은, 상기 한 쌍의 바퀴의 회전 중심선에 직교하는 면에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중심선에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전기 청소기.
KR1020197019026A 2017-06-23 2018-05-18 전기 청소기 KR102329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23256 2017-06-23
JP2017123256A JP6910865B2 (ja) 2017-06-23 2017-06-23 電気掃除機
PCT/JP2018/019274 WO2018235480A1 (ja) 2017-06-23 2018-05-18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321A true KR20190091321A (ko) 2019-08-05
KR102329195B1 KR102329195B1 (ko) 2021-11-19

Family

ID=64735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026A KR102329195B1 (ko) 2017-06-23 2018-05-18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100637A1 (ko)
JP (1) JP6910865B2 (ko)
KR (1) KR102329195B1 (ko)
CN (1) CN110099598B (ko)
GB (1) GB2577011A (ko)
WO (1) WO20182354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91074B1 (de) * 2019-01-31 2023-09-27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Akku-betriebenes haushaltsgerät und akku-ladest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4676B2 (ja) * 1993-08-03 2002-05-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床移動型の蓄電池式掃除機
US20130091660A1 (en) * 2011-10-12 2013-04-18 Black & Decker Inc. Cyclonic separation apparatus
JP2017060590A (ja) 2015-09-25 2017-03-3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8755A (ja) * 1999-08-23 2001-03-06 Chuo Densetsu Kk 粘着テープのディスペンサー
JP2001321310A (ja) * 2000-05-16 2001-11-20 Hitachi Ltd 電気掃除機
JP2001353105A (ja) * 2000-06-15 2001-12-25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JP4453182B2 (ja) * 2000-10-02 2010-04-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US20060214500A1 (en) * 2005-03-25 2006-09-28 Hall Eric W Wheel lighting system
US8590103B2 (en) * 2011-10-05 2013-11-26 Shop Vac Corporation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battery pack
JP6120695B2 (ja) * 2013-06-26 2017-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集塵装置、電気掃除機、自走式掃除機、及び、自走式掃除機と充電台とを含むシステム
KR101552437B1 (ko) * 2014-05-12 2015-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CN106798529B (zh) * 2017-03-15 2022-05-31 韩千枫 一种活塞式滚轮铁屑吸附推车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4676B2 (ja) * 1993-08-03 2002-05-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床移動型の蓄電池式掃除機
US20130091660A1 (en) * 2011-10-12 2013-04-18 Black & Decker Inc. Cyclonic separation apparatus
JP2017060590A (ja) 2015-09-25 2017-03-3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10865B2 (ja) 2021-07-28
US20200100637A1 (en) 2020-04-02
JP2019005152A (ja) 2019-01-17
CN110099598B (zh) 2022-02-11
GB2577011A (en) 2020-03-11
GB201917257D0 (en) 2020-01-08
CN110099598A (zh) 2019-08-06
KR102329195B1 (ko) 2021-11-19
WO2018235480A1 (ja)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3794A (ko) 전기 청소 장치
JP7348970B2 (ja) 電気掃除装置
KR102224212B1 (ko) 전기 청소기 및 전기 청소 장치
KR102259568B1 (ko) 전기 청소 장치
KR102285593B1 (ko) 전기 청소 장치
KR20190126171A (ko) 전기 청소 장치
JP6933923B2 (ja) 電気掃除機
KR102297808B1 (ko) 전기 청소 장치
KR20190091321A (ko) 전기 청소기
WO2018235927A1 (ja) 電気掃除機
JP7007823B2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