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814A -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병렬로 통신하는 사용자 장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들, 사용자 장비 및 셀룰러 네트워크 - Google Patents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병렬로 통신하는 사용자 장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들, 사용자 장비 및 셀룰러 네트워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814A
KR20190090814A KR1020197017819A KR20197017819A KR20190090814A KR 20190090814 A KR20190090814 A KR 20190090814A KR 1020197017819 A KR1020197017819 A KR 1020197017819A KR 20197017819 A KR20197017819 A KR 20197017819A KR 20190090814 A KR20190090814 A KR 20190090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node
user equipment
capabilities
secondary base
primary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4012B1 (ko
Inventor
볼커 브로이어
라보르 안토노프
Original Assignee
제말토 엠2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말토 엠2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제말토 엠2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90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3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each allocating device acting autonomously, i.e. without negotiation with other alloc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5Timing of allocation when channel conditions 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H04W72/04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04W72/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7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단말기와 셀룰러 네트워크의 1차 베이스 노드 및 적어도 하나의 2차 베이스 노드에 의해 병렬로 통신하는 사용자 장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셀룰러 네트워크는 적어도 2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1차 베이스 노드 및 2차 베이스 노드는 상이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에 할당되고, 1차 베이스 노드는 사용자 장비가 비접속 모드에서 캠프 온하고 있는 베이스 노드이고, 2차 베이스 노드는 원격 단말기에의 통신 링크를 셋업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를 서빙하기 위해 적합한 것으로서 사용자 장비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평가된 후보 베이스 노드이다.

Description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병렬로 통신하는 사용자 장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들, 사용자 장비 및 셀룰러 네트워크
본 발명은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사용자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를 핸들링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분야에서, 데이터 처리량 요건의 엄청난 증가 추세가 분명하다. 무선 통신에서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 이용가능한 주파수 범위 및 예상되는 셀 크기가 제한 요인들이다.
현행의 접근법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이라 불리는 접근법에 의해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하는데, 여기서 2개의 캐리어, 특히 셀룰러 네트워크의 2개의 베이스 노드, eNodeB들은 함께 데이터 스루풋을 요구하는 사용자 장비를 서빙한다. 해당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해, 관련된 베이스 노드들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현재적으로 양쪽 베이스 노드들 사이의 자원들의 분배를 조정한다.
더욱이, 5G 또는 New Radio라고 불리는 코딩 기술 표준에서는 LTE(4G) 및 5G가 공존하고 상호연동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결과적으로, 양쪽 기술 사이의 상호연동은 또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과 관련하여 유리할 것이다. 그러나, 언급된 자원 조정은 이러한 경우에 2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특히 그것의 네트워크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그것은 4G와 5G 네트워크들 사이의 인터페이스 정의에 대한 엄청난 오버헤드를 요구할 것이다. 게다가 Wimax, Wifi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들이 동일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도록 추가적으로 계획될 수 있다. 사실상 이것은 오늘날 누락되는 많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에 걸쳐서 네트워크 통신에서의 엄청난 증가로 이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하여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들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들의 개선된 자원 조정을 위한 대안적 해결책을 제안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서, 추가의 대안적이고 유리한 해결책이 본 기술분야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청구항 1에 따라 사용자 장비를 작동시키는 방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청구항 7에 따른 사용자 장비가 더 제안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셀룰러 네트워크가 청구항 11에 따라 사용자 장비를 작동시키는 방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라 청구항 15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가 추가로 제안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원격 단말기와 셀룰러 네트워크의 1차 베이스 노드 및 적어도 하나의 2차 베이스 노드에 의해 병렬로 통신하는 사용자 장비를 작동시키는 방법이 제안되고, 셀룰러 네트워크는 적어도 2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1차 베이스 노드 및 2차 베이스 노드는 상이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에 할당되고, 1차 베이스 노드는 사용자 장비가 비접속 모드에서 캠프 온하고 있는 베이스 노드이고, 2차 베이스 노드는 사용자 장비를 서빙하기 위해 적합한 것으로서 사용자 장비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평가되는 후보 베이스 노드이고, 원격 단말기에의 통신 링크를 셋업하기 위해, 방법은 사용자 장비에 대해:
사용자 장비의 가용 능력들을 포함하는 제1 능력 메시지를 1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
1차 베이스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것으로 표시된 능력들(이후에는 사용되는 능력들)에 관한 제1 표시를 1차 베이스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최대로는 1차 베이스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것으로 표시되지 않은 그런 능력들을 포함하는 제2 능력 메시지를 2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
2차 베이스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것으로 표시된 능력들에 관한 제2 표시를 2차 베이스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여전히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을 가진 제3 능력 메시지를 1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능력들을 이용하여 1차 및 2차 베이스 노드들에 의해 통신 링크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안된 방법은 무선 통신을 위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네트워크는 바람직하게는 4G 표준을 넘어서는 것들, 특히 5G 및 NR(New Radio)을 포함하는 기술 표준을 지원한다. 셀룰러 네트워크는 각각이 상이한 기술 표준들을 지원하는 적어도 2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포함한다.
각각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4G/5G에서 바람직하게는 eNodeB라고 불리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노드를 포함한다. 베이스 노드는 베이스 노드에 의해 커버되는 셀 영역에 위치된 사용자 장비에 대한 에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각각의 베이스 노드는 다운링크 통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상에서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장비는 하나의 베이스 노드(이것은 이후 1차 베이스 노드라고 함)상에서 비접속 모드에서 캠프하고 있다. 1차 베이스 노드는 셋업될 때 사용자 장비들 및 통신 링크를 캠프하는 핸들링을 주로 제어한다.
사용자 장비는, 적어도 2개의 베이스 노드, 즉 1차 베이스 노드, 및 1차 베이스 노드가 아닌 또 다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베이스 노드에 의해 통신 링크를 유지할 수 있다. 후자의 베이스 노드는 이후 2차 베이스 노드라고 불린다. 통신 링크는, 상이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에서 동작하지만,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메커니즘과 비슷하게 동작한다.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유사 통신은 통신 링크가 사용자 장비와 1차 베이스 노드 사이의 그리고 사용자 장비와 적어도 하나의 2차 베이스 노드 사이의 직접 접속들을 통해 분배된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원격 단말기에의 통신 링크를 셋업하는 제1 접근법에 관한 것이다. 원격 단말기는 인터넷에서의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경로들상에서의 또 다른 사용자 장비 또는 서버 또는 디바이스이다.
통신 링크를 셋업하기 전에, 사용자 장비는 1차 베이스 노드에 캠프 온(camp on)한다. 또한, 사용자 장비는 2차 베이스 노드로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베이스 노드를 식별했다. 이것은 특히, 베이스 노드가 그것과 동작하기에 충분히 적합하고, 특히 다른 검출가능한 베이스 노드들보다 더 적합한지를 결정하기 위해, 신호들, 특히 브로드캐스트 채널들을 측정함으로써 행해진다.
대안적으로, 1차 베이스 노드가 매칭되는 2차 베이스 노드에 관한 표시를 송신하는 것이 제안된다. 그러나, 이는, 식별된 후보 베이스 노드가 수신 품질 면에서 적합하지 않을 때, 단독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것이다.
통신 링크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막 셋업되려고 할 때, 이는 사용자 장비로부터 1차 베이스 노드로 제1 능력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능력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의 가용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능력은 1차 및 2차 베이스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노드의 지원되는 대역 조합에 관한 자원 할당에 관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1 능력 메시지는 1차 베이스 노드로 하여금 보고된 능력들의 예약에 관해 결정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이에 응답하여 1차 베이스 노드는 사용되는 능력들에 관한 제1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송신한다.
1차 베이스 노드로부터의 이러한 메시지는 제1 능력 메시지를 구비한 능력들 중 어느 것이 1차 베이스 노드에 의해 할당되는지를 표시할 수 있거나, 또는 메시지는 제공되는 능력들 중 어느 것이 1차 베이스 노드에 의해 할당되지 않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1차 베이스 노드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시에, 사용자 장비는 나머지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을 결정한다. 2차 베이스 노드로서 식별되는 후보 베이스 노드에 대한 제2 능력 메시지에 의해, 사용 중이지 않은 능력들에 관해 통지받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능력 메시지들은 각자의 베이스 노드에 적용가능한 그런 능력들만을 포함한다. 베이스 노드가 특정 대역 조합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지 않고, 또한 사용자 장비가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블록들을 수신하는 것을 통해 인식하는 경우, 어드레싱되는 베이스 노드가 그것을 할당할 수 없을 것이므로, 이러한 능력들을 제1 능력 메시지 또는 제2 능력 메시지에 제공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2차 베이스 노드는 표시된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서브세트를 뽑을 것이다. 이는 특히, 베이스 노드가 서빙해야 하는 다른 사용자 장비들에 대해 다른 태스크들에 좌우된다.
결과적으로, 2차 베이스 노드는, 사용되는 능력들을 (어느 능력들이 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송신한다.
마지막 단계들은 하나보다 많은 2차 베이스 노드의 경우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반복된다.
사용자 장비에서 제2 표시를 수신한 후에, 2차 베이스 노드 및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의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을 인식한다. 또한 1차 베이스 노드에게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에 관한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자 장비는 여전히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을 나타내는 제3 능력 메시지를 1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모든 관련된 당사자들은 동일한 측상에 있고 동일한 정보를 갖는다.
그러면 결과적으로, 통신 링크는 예약된 능력들에 따라, 1차 및 2차 베이스 노드들에 의해 셋업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링크는, 어느 자원 할당들이 베이스 노드당 수행되는지를 고려하여, 관련된 베이스 노드들에 걸쳐서 패킷 송신을 분배함으로써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이용하고 있다.
제안된 방법은, 통신 링크를 셋업하기 위해 1차 및 2차 베이스 노드들 사이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명백하게 유리하다. 사용자 장비는 필요한 정보를 셋업하고 분배하는 단계들을 제어한다. 이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내부 네트워크 트래픽으로부터 경감한다. 또한, 상이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의 베이스 노드들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관리가능하게 유지된다.
이는 특히, Wifi, Wimax,...와 같은 다른 무선 기술들을 지원하는 베이스 노드들이, 5G 네트워크에 대해 예상되는 바와 같이, 셀룰러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통합되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유리하다. 복수의 기술 표준 조합에 걸쳐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해 전체 인터페이스들을 정의하는 것은 관리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활성 접속 동안 1차 베이스 노드로부터의 할당 변경 요청의 수신 시에 사용자 장비에 대해:
할당 변경 요청에 응답하여 가용 능력들에서의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
재할당 확인 메시지를 1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
나머지 능력들을 표시하는 능력 메시지를 2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유리한 실시예는 통신 링크가 이전 실시예에 따라 셋업된 후에 능력들의 재할당에 관한 것이다.
1차 베이스 노드가 특히 내부 재구성, 다른 사용자 장비들에의 자원 할당 또는 어떤 다른 것으로 인해, 할당 변경에 대한 필요성을 검출할 때, 이것은 할당 변경에 대한 필요성에 관해 사용자 장비에게 통지할 것이다. 이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이 방법의 시작점이다. 바람직하게는, 할당 변경 메시지는 요청하는 베이스 노드에 할당될 추가적인 능력들과 관련된다. 대안적으로, 요청하는 베이스 노드는, 계류 중인 통신 링크 동안 더 이상 서빙될 수 없는 사용자 장비에게 해제된 능력들에 관해 통지한다.
따라서, 할당 변경 메시지를 수신할 때, 사용자 장비는 자신이 요청된 할당 변경을 따를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해제된 능력들의 경우에는, 이것은 일반적으로 가능하다. 추가적인 요청된 능력들의 경우에, 이는 주로 요청이 이제까지의 사용되지 않은 자원들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건전성 검사를 요구한다.
이 결정 단계의 결과는 확인 메시지로서 1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되고 할당 변경을 수행한다.
확인이 긍정적이면, 사용자 장비는 할당 변경 메시지에 응답하여 요청된 사용되지 않은 능력이 여전히 이용가능한지를 결정한다.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은 이것에 의해 효과적으로 변경되고, 특히 그 수가 감소된다.
또 다른 능력 메시지에서, 2차 베이스 노드는 이후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에서의 변경에 관해 통지받는다. 2차 베이스 노드가 할당 변경을 수행하기를 원하는 경우, 이것을 이제 사용자 장비가 요청된 자원들을 어느 정도까지 제공할 수 있는지를 추정하는 위치에 있다.
일반적으로, 이 실시예는 2차 베이스 노드에도 적용가능한데, 즉, 2차 베이스 노드에서 할당 변경에 대한 필요성이 검출되는 경우, 동일한 방법 단계들이 수행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능력 메시지를 2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한 후에, 다음이 추가로 제안된다:
자원 할당 변경에 관한 표시를 2차 베이스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할당 요청 및 상기 자원 할당 변경 표시에 기초하여 자원 할당을 변경하는 단계.
이 실시예에 따르면, 할당 변경 필요성은 1차 베이스 노드로부터 할당 변경 요청을 수신한 후에 능력 메시지를 2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함으로써 사용자 장비에 의해 트리거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 장비는 나머지 능력들을 나타내는 능력 메시지를 1차 베이스 노드에 더 송신한다.
그 후, 사용자 장비 및 통신 링크에 수반되는 베이스 노드들은 모두 사용자 장비의 현재 업데이트된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에 관해 통지받는다.
본 발명의 방법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을 포함하는 방법이 추가로 제안된다:
적어도 1차 베이스 노드의 무선 조건들을 평가하는 단계,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으로의 무선 조건들의 감소의 검출에 응답하여 1차 베이스 노드 할당을 2차 베이스 노드로 변경하기를 개시하는 단계.
이 실시예는 1차 베이스 노드가 사용자 장비에 대해 더 이상 적합하지 않은 상황에 관한 것이며, 이는 무선 조건들이 그런 식으로 열화되어 어떤 신뢰성 있는 통신도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무선 조건들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일 때, 사용자 장비는 1차 베이스 노드 및 2차 베이스 노드의 할당을 스위칭하기로 결정한다. 다시 말해서, 통신 링크에 수반되는 2차 베이스 노드들 중 하나는 1차 베이스 노드를 얻을 것이다. 이제까지의 1차 베이스 노드는 이후 2차 베이스 노드가 될 것이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 장비가 사용되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베이스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에 있는 한, 사용자 장비가 할당된 1차 베이스 노드를 갖는 것이 보장된다.
이제까지, 능력들의 할당은 변경되지 않은 채로 유지된다. 상황을 핸들링하기 위해, 무선 조건들이 더 열화되는 경우,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또 다른 실시예가 제안된다:
2차 베이스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노드의 무선 링크 드롭의 검출에 응답하여, 2차 베이스 노드의 무선 링크 드롭이 사용자 장비에서의 통신에서 활성인 것을 나타내는 수신 경보 메시지를 1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
무선 조건들이 더 열화되어 2차 베이스 노드들 중 하나의 베이스 노드에 대한 무선 링크 드롭이 검출될 때, 2차 베이스 노드가 더 이상 사용될 수 없다는 사실을 사용자 장비가 인식한다. 1차 베이스 노드가 기본적으로 통신 링크를 제어함에 따라, 이것은 2차 베이스 노드에 대한 무선 링크 드롭에 관해 통지받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는 2차 베이스 노드에 대한 무선 링크 드롭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1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한다. 그 정보와 함께, 사용자 장비는 바람직하게는 드롭된 2차 베이스 노드에 할당된 능력들에 관한 표시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적어도 어떤 적합한 2차 베이스 노드도 이용가능하지 않은 한, 능력들이 1차 베이스 노드에 할당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 장비는 무선 드롭 메시지만을 송신하고, 적합한 2차 베이스 노드가 식별되자마자, 이전 2차 베이스 노드로부터 새로운 2차 베이스 노드로의 것들을 포함하는 사용되지 않은 자원들을 갖는 능력 메시지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장비는, 단독으로 또는 1차 베이스 노드로부터의 지원으로, 또 다른 2차 베이스 노드를 선택하고, 결과적으로, 이전 2차 베이스 노드에 원래 할당된 것들을 포함하는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을 상기 능력 메시지를 이용하여 새로운 2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한다.
이 실시예는 이전에 1차 베이스 노드였던 2차 베이스 노드의 또는 통신 링크의 시작으로부터 2차 베이스 노드로서 동작하는 베이스 노드의 양쪽 상황에 대해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셀룰러 네트워크의 1차 베이스 노드 및 적어도 하나의 2차 베이스 노드에 의해 병렬로 원격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가 제안되고, 셀룰러 네트워크는 적어도 2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1차 베이스 노드 및 2차 베이스 노드는 상이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에 할당되고, 1차 베이스 노드는 사용자 장비가 비접속 모드에서 캠프 온하고 있는 베이스 노드이고, 2차 베이스 노드는, 사용자 장비를 서빙하기 위해, 통신 링크를 셋업하기 위해 적합한 것으로서 사용자 장비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선택된 후보 베이스 노드이고, 상기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의 가용 능력들을 포함하는 제1 능력 메시지를 1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하고,
사용된 능력들의 제1 표시를 1차 베이스 노드로부터 수신하고,
1차 베이스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표시되지 않은 그런 능력들만을 포함하는 제2 능력 메시지를 2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하고,
사용된 능력들의 제2 표시를 2차 베이스 노드로부터 수신하고,
여전히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을 갖는 제3 능력 메시지를 1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하고,
상기 구성된 능력들을 이용하여 상기 1차 및 2차 베이스 노드들에 의해 상기 통신 링크를 셋업하는 것을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 따른 사용자 장비는 바람직하게는 처리 회로, 휘발성 및 영구적 메모리, 및 송수신기 회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장비는 송수신기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유닛 및 베이스 노드와의 무선 통신에 관한 작업들을 핸들링하기 위한 별도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추가 처리 회로에서, 사용자 장비의 바람직하게는 영구적 메모리에 저장된 동작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실행된다. 상기 사용자 장비는 특히 머신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디바이스이다.
사용자 장비는 1차 베이스 노드 및 적어도 하나의 2차 베이스 노드에 의해 원격 단말기에 대한 통신 링크를 셋업하기 위한 접속 세션에서 동작하도록 처리 회로, 송수신기 회로, 및/또는 메모리에 의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장점을 공유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를 핸들링하는 방법이 제안되는데, 적어도 2개의 베이스 노드는 상이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에 할당되고, 적어도 2개의 베이스 노드 중 하나는 1차 베이스 노드이고, 적어도 2개의 베이스 노드 중 또 다른 하나는 2차 베이스 노드이고, 1차 베이스 노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비접속 모드에서 캠프 온하고 있는 베이스 노드이고, 1차 베이스 노드는 사용자 장비가 비접속 모드에서 캠프 온하고 있는 베이스 노드이고, 2차 베이스 노드는 사용자 장비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사용자 장비를 서빙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선택되는 후보 베이스 노드이고, 방법은 1차 베이스 노드에 대해 다음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의 가용 능력들을 포함하는 능력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가용 능력들의 사용된 능력들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사용된 능력들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여전히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을 포함하는 제3 능력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표시된 능력들에 의해 셋업 통신 링크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를 서빙하는 단계.
제3 양태에 따른 방법은 셀룰러 네트워크의 베이스 노드에 관한 것이다. 베이스 노드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적어도 2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중 하나의 것의 일부이다. 베이스 노드는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통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상에서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 노드는 상기 베이스 노드 상에 캠프 온하고 있는 사용자 장비에 관하여 1차 베이스 노드이고, 2차 베이스 노드라고 불리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베이스 노드를 이용하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으로 원격 단말기에의 통신 링크를 핸들링한다.
1차 베이스 노드의 관점에서, 통신 링크를 셋업하는 방법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능력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능력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의 이용가능한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에 관한 정보, 특히 지원되는 대역 조합들에 관련된 자원 할당들을 포함한다.
그에 의해, 1차 베이스 노드는 다음 통신 링크를 위해 어느 정도 양의 능력들을 선택할지에 대한 선택권을 갖는다. 사용되는 능력들, 즉 1차 베이스 노드에 할당될 능력들에 관한 결정을 위해, 1차 베이스 노드는 특히, 표시된 가용 능력들 및 또한 1차 베이스 노드의 트래픽 자원 상황을 고려한다.
1차 베이스 노드가 어느 2차 베이스 노드가 예상된 통신 링크에 대해 사용되는지를 알고 있는 경우, 1차 베이스 노드는 바람직하게는 2차 베이스 노드의 능력들을 추가로 고려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중첩되는 자원들에 관한 것이며, 따라서 1차 베이스 노드는 이것이 다른 및 2차 베이스 노드를 갖지 않을 때, 적어도 그렇게 많이 갖지 않을 때 바람직하게는 그와 같은 자원들을 회피한다.
이후 1차 베이스 노드는 결정된 예약된 자원들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고, 표시된 자원들로 계속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후, 1차 베이스 노드는 본 발명의 제1 양태로부터의 제3 능력 메시지인 또 다른 능력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 능력 메시지는, 2차 베이스 노드가 일부 능력들을 한편으로 예약한 후에 남아 있는, 여전히 사용되지 않은 자원들을 나타낸다. 1차 베이스 노드는 통신 세션 동안 이후의 할당 변경의 경우를 위해 이 표시된 정보를 기억한다.
이후, 1차 베이스 노드는, 뽑힌 능력들에 의해, 통신 링크를 셋업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를 서빙한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1차 베이스 노드 및 적어도 하나의 2차 베이스 노드에 의해 사용자 장비와 원격 단말기 사이의 통신 링크가 활성인 방법이 제안되는데, 방법은 1차 베이스 노드 및 2차 베이스 노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다음을 추가로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에의 재할당 변경의 필요성을 검출하는 단계,
통신 링크에서 활성인 다른 베이스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체류(stay) 할당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할당 변경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사용자 장비로부터 재할당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 실시예는 상기 1차 베이스 노드 및 적어도 하나의 2차 베이스 노드에 의한 원격 단말기와의 사용자 장비의 활성 통신 링크의 상황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1차 베이스 노드가 사용자 장비에의 할당 변경에 대한 필요성을 검출할 때 활성화된다. 베이스 노드 네트워크 내부 이유들을 포함하여, 이러한 할당 변경에 대한 다양한 이유들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필요성이 검출될 때, 특히 사용자 장비의 사용되는 능력들의 증가가 예상되는 경우, 1차 베이스 노드는 사용자 장비의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에 관한 기억된 정보를 참조한다.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이 이용가능한 경우, 1차 베이스 노드가 전진할 수 있다.
제1 단계로서, 1차 베이스 노드는 활성 통신 링크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2차 베이스 노드들에 체류 할당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러한 체류 할당 메시지는, 상기 1차 베이스 노드가 이제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할당 변경을 요청하려고 하는 사실에 관해, 다른 관련된 2차 베이스 노드들에게 알려준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노드들 사이의 메시지는 베이스 노드들을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특히 X2 인터페이스 또는 새로운 기술 표준들에서의 대체물을 통해 수행된다.
이에 의해, 2차 베이스 노드는 통신 링크에 관련되는 또 다른 베이스 노드가 이제 할당 요청을 요청할 것임을 통지받는다. 따라서, 통신 링크에 관련되는 다수의 베이스 노드 사이에서 충돌이 회피된다.
체류 할당 메시지 이후에, 1차 베이스 노드는 할당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고, 바람직하게는, 만일 그렇다면 할당 요청이 확인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재할당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한다.
할당 변경을 수행하려고 시도하는 1차 베이스 노드의 경우에, 2차 베이스 노드에 대해, 다음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1차 베이스 노드로부터의 체류 할당 메시지의 수신 시에, 할당 변경들을 억제하는 단계,
가용 능력들을 표시하는 능력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체류 국면이 종료된 것을 표시하는 완료 메시지를 1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
이 실시예는 1차 베이스 노드에 의해 개시된 재할당의 경우에 2차 베이스 노드의 부분에 관한 것이다.
2차 베이스 노드는, 전형적으로 1차 베이스 노드가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할당 변경을 실시하기를 원하는 때, 1차 베이스 노드로부터 체류 할당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러한 체류 할당 메시지의 수신 시에, 2차 베이스 노드는 할당 변경을 개시하는 것으로부터 억제된다. 이러한 거동은 통신 링크에 관련되는 하나보다 많은 베이스 노드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어떤 충돌 할당 변경 요청들도 송신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이 상태는 2차 베이스 노드가 1차 베이스 노드의 할당 변경의 성공적인 완료에 관한 표시를 수신할 때까지 활성 상태로 유지된다. 이는 특히, 1차 베이스 노드에 관한 할당 변경이 수행된 후에 사용되지 않은 자원들을 표시하는 능력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의한 경우이다. 이는 할당 변경이 완료된 2차 베이스 노드, 및 할당 변경 후에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의 양에 대해 알린다. 따라서, 2차 베이스 노드에 의해 개시된 할당 변경들이 이제 수행될 수 있다.
체류 국면이 종료된 것을 확인하기 위해, 2차 베이스 노드는 1차 베이스 노드에 쳬류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2차 베이스 노드가 할당을 변경하기를 원하는 경우, 쳬류 완료 명령은 1차 베이스 노드에 대한 체류 할당 명령을 더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그 경우에 2차 베이스 노드는 이전에 제시된 바와 같은 할당 방법 단계들로 계속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1차 베이스 노드로부터의 할당 변경이 이후 완료되고, 어떤 다른 할당 변경들도 예정에 없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통신 링크에 관련된 베이스 노드들 사이에 여전히 상당히 적은 양의 메시지들이 있을 때, 통신 링크의 셋업뿐만이 아니라, 할당의 변경들도 유지된 트랜잭션 보안을 이용하여, 즉 충돌을 회피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1차 베이스 노드 및 2차 베이스 노드가 다른 것을 가르치기 위해 동시에 체류 할당 메시지들을 송신해야 한다면, 1차 베이스 노드에 대한 우선순위로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제안된다. 그 경우에, 1차 베이스 노드는, 예를 들어 또 다른 체류 할당 메시지를 2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함으로써, 체류 거부 메시지를 함께 2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할 것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1차 베이스 노드에 대해 다음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사용자 장비로부터, 통신 링크에서 활성인 제1의 2차 베이스 노드들에 대해, 사용자 장비에서의 수신 조건들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수신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장비를 서빙하는데 적합한 제2의 2차 베이스 노드를 결정하는 단계,
자유 능력 메시지를 제1의 2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하여, 사용자 장비의 선택된 능력들을 해제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해제된 능력들에 관해 통지하는 응답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장비에 제2의 2차 베이스 노드를 추천하는 단계.
이 방법은 사용자 장비가 활성 통신 링크 동안 제1의 2차 베이스 노드의 셀 영역을 떠나고 있는 상황에 관한 것이다. 그 경우에, 1차 베이스 노드는 제1의 2차 베이스 노드에 대해 접속이 계속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보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한다.
이는, 사용자 장비가 제1의 2차 베이스 노드와의 작업을 중단하기를 원하고, 또 다른 2차 베이스 노드로 계속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의 2차 베이스 노드에 할당된 자원들이 여전히 존재함에 따라, 사용자 장비는 1차 베이스 노드로부터의 지원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1차 베이스 노드는 경보 메시지의 수신 시에 자유 능력 메시지를 제1의 2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제1의 2차 베이스 노드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접속 손실에 관해 통지받고, 따라서 할당 자원들을 해제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의 2차 베이스 노드는 1차 베이스 노드에 대한 자원들의 해제를 확인한다.
그러한 상황에서, 접속 손실이 상호작용의 양 방향에 적용되는 것으로 가정되므로, 사용자 장비는 2차 베이스 노드와 더 이상 상호작용할 수 없다. 따라서, 1차 베이스 노드가 이 부분을 취하는 것이 유리하다.
사용자 장비는 그 사실에 관해 1차 베이스 노드로부터의 또 다른 메시지에 의해 통지받는다. 바람직하게는, 1차 베이스 노드는 또 다른 2차 베이스 노드를 사용자 장비에 추가로 추천한다. 이러한 추천은 특히, 셀룰러 네트워크, 제각기 코어 네트워크 또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에 의해 제공된다. 이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관련 정보가 통상적인 경우들에서 이용가능하므로 유리하다.
사용자 장비는 이후, 제1의 2차 베이스 노드에 이전에 할당된 것들을 포함하는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을 포함하는 능력 메시지를 다른 2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한다. 다른 2차 베이스 노드는 예약된 능력들에 응답하여 사용자 장비에 표시함으로써 변경을 확인한다.
2차 베이스 노드들의 변경이 수행된 후에, 제1로부터 제2의 2차 베이스 노드로의 패킷 포워딩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으로부터 알려진 방법들에 따라 수행된다.
이 실시예는 2차 베이스 노드의 무선 접속 손실에만 적용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1차 베이스 노드만이 2차 베이스 노드에 자유 명령을 송신하는 자격을 얻는다. 1차 베이스 노드의 무선 조건들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1차 및 2차 베이스 노드 할당을 스위칭하기를 개시하는 것은 사용자 장비이다. 이후 사용자 장비는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2차 베이스 노드를 찾기 위해 새로운 구성으로 계속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셀룰러 네트워크가 제안되며, 셀룰러 네트워크는 적어도 2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베이스 노드는 상이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에 할당되고, 적어도 2개의 베이스 노드 중 하나는 1차 베이스 노드이고, 적어도 2 개의 베이스 노드 중 또 다른 하나는 2차 베이스 노드이고, 1차 베이스 노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비접속 모드에서 캠프 온하고 있는 베이스 노드이고, 1차 베이스 노드는 사용자 장비가 비접속 모드에서 캠프 온하고 있는 베이스 노드이고, 2차 베이스 노드는 사용자 장비를 서빙하기에 적합한 것으로서 사용자 장비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선택된 후보 베이스 노드이고, 1차 베이스 노드는:
사용자 장비의 가용 능력들을 포함하는 능력 메시지를 수신하고,
가용 능력들의 사용 가능 능력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가용 능력들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고,
여전히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을 포함하는 제3 능력 메시지를 수신하고,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 중 추가적으로 가용한 능력들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고,
표시된 능력들에 의해 셋업된 통신 링크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를 서빙하도록 구성된다.
셀룰러 네트워크는 바람직하게는 4G/LTE 이상의 기술 표준을 지원한다. 베이스 노드는 바람직하게는 eNodeB이다. 셀룰러 네트워크는 각각이 셀 영역을 서빙하고 따라서 셀룰러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을 커버하는 복수의 베이스 노드를 포함한다. 베이스 노드는 바람직하게는 처리 회로, 휘발성 및 영구적 메모리, 송수신기 회로 및 안테나를 포함한다. 영구적 메모리는 처리 회로에서 실행되는, 베이스 노드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들을 유지한다. 베이스 노드는, 특히 유선과 같은 셀룰러 네트워크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그리고 특히 MME와 같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컴포넌트들에 추가로 접속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제3 양태의 이점들을 공유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리하게도 묘사된 문제를 해결하고, 네트워크 컴포넌트들, 특히 상이한 기술 표준들의 관련된 베이스 노드들에 대한 관리 노력들을 여전히 감소시킴으로써 인터-RAN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에 대한 해결책을 제안한다. 이는 특별한 사양 요건들의 관리를 감소시키고 인터-베이스 노드 명령들의 낮은 세트를 준수함으로써 단순화된다.
다음의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은 특정의 예시적인 양태들을 상세하게 제시하고, 실시예들의 원리들이 채택될 수 있는 여러가지 방식들 중 소수의 것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이점들은 예시적이고 제한하지 않는 예들로서 주어진 유리한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을 읽어 봄으로써 드러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이 실시예로서 적용되는 장치들의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제1 시퀀스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제2 시퀀스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의 상황을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들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사용자 장비(UE)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노드(BS)에 의해 셀룰러 네트워크(CLN)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의 사용자 장비(UE)는, CPU 또는 다른 타입들의 프로세서들과 같은, 프로세서 회로(PC)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사용자 장비의 메모리(M)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송수신기 회로(TC)를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전용된다.
송수신기 회로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노드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수신기 회로 및 송신기 회로 양자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이것은 추가로 안테나(AN)를 사용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송수신기 및 수신기 회로는 사용자 장비(UE)의 별개의 컴포넌트들이다.
예시적인 셀룰러 네트워크(CLN)는 바람직하게는 4G/LTE, 5G, New Radio(NR)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술 표준을 지원한다.
셀룰러 네트워크(CLN)는 커버리지 영역의 셀 영역을 커버하는 복수의 베이스 노드를 적어도 포함한다. 베이스 노드들은, 베이스 노드와 코어 네트워크(CRN) 사이의 액세스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 노드인 적어도 하나의 셀룰러 네트워크 컴포넌트에 접속된다.
베이스 노드들 각각은 하나의 제각기 기술 표준을 지원하기 위해 전용되고, 전형적으로 기술 표준 LTE 및 그 이상의 것의 베이스 노드들은 eNodeB들로 지칭된다.
베이스 노드들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모바일 관리 엔티티(MME)와 같이 베이스 노드와 코어 네트워크(CRN) 사이의 액세스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 노드인 적어도 하나의 셀룰러 네트워크 컴포넌트에 접속된다. 상이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RAN1, RAN2)의 베이스 노드들은 전형적으로 상이한 모바일 관리 엔티티들(MME1, MME2)에 접속된다.
사용자 장비(UE)는 일반적으로, 1차 베이스 노드(primary base node, pBS)라고 불리는 하나의 베이스 노드에 캠프 온한다. 캠프 관계는 실선 번개 표시로 표시된다. 사용자 장비는 바람직하게는 최상의 시그널링 접속을 갖고 또한 요청된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베이스 노드에 캠프 온한다.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스루풋 디바이스(high data throughput device, hDTD)에 대해, 더 높은 기술 표준의 베이스 노드가 바람직하게는 선택된다.
그러한 높은 데이터 스루풋 디바이스들은 하나보다 많은 베이스 노드에 의해 데이터 전송 세션에 대해 사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LTE에서, 이러한 방법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이라고 지칭된다. 그러나, LTE에서, 베이스 노드들은 동일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에서, 그리고 심지어 대부분은 동일한 MME상에서 동작하고 있다. 따라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기반 데이터 전송 세션의 조정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쉽게 수행된다.
그러나, 묘사된 시나리오에서,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1)의 1차 베이스 노드 및 또 다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2)의 (이하, 2차 베이스 노드(sBS)라고 하는) 또 다른 베이스 노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데이터 전송 세션은 상이하게 조직화될 필요가 있다. 2차 베이스 노드에 대한 관계는 점선 번개 표시로 표시된다.
협력을 조직화하기 위해, 1차 베이스 노드(pBS) 및 2차 베이스 노드(sBS)는,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모바일 관리 엔티티들(MME1, MME2)을 접속하고 있는 인터페이스(X-IF)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대안적으로, 코어 네트워크(CRN)의 제각기 엔티티들은 조정을 담당한다. 대안적으로, 베이스 노드들 사이의 직접 인터페이스가 또한 존재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X2 유사 인터페이스가 상이한 기술 표준들의 베이스 노드들을 접속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터페이스(X-IF)는, 한편으로는 셀룰러 네트워크 내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로 인해 다른 한편으로는 인터페이스 사양 노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매우 얇을 것으로 가정되는데, 그 이유는 본 발명의 방법이 복수의 상호작용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적용가능하도록 전용되기 때문이다. X2 또는 X-IF는 또한 논리적 인터페이스일 뿐이고 그에 의해 물리적 인터페이스 자체가 제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들을 통해 기존 인터페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것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모바일 관리 엔티티들(MME1, MME2)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코어 인터페이스(C-IF)를 통해 셀룰러 네트워크(CLN)의 코어 네트워크(CRN)와 통신하고 있다. 이는 적어도 베이스 노드들이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는 동안에 적용된다. 베이스 노드들은 바람직하게는 S1 인터페이스(S-IF)에 의해 MME들에 접속된다.
다른 시나리오들에서, 베이스 노드들은, 예를 들어 하나의 베이스 노드가 Wifi, Wimax 등과 같은 로컬 영역 네트워크들에 속할 때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들을 통해 셀룰러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공지된 셀룰러 네트워크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1차 베이스 노드 및 적어도 하나의 2차 베이스 노드와 데이터 전송 세션을 셋업하기 위해, 도 2에 묘사된 단계들은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수행된다.
시퀀스 다이어그램은 비접속 모드, 바람직하게는 유휴 모드에서 1차 베이스 노드에 캠프 온하고 있는 사용자 장비로 시작한다. 사용자 장비는 데이터 전송 세션을 셋업하도록 되어 있고, 그에 의해 업링크 데이터 전송,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또는 양자의 조합이 예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장비는 데이터 전송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으로, 즉 2개의 베이스 노드를 통해 가장 잘 핸들링되는 것을 인식한다. 다음의 예시적인 시퀀스 흐름은, 1차 베이스 노드와 하나의 2차 베이스 노드가 데이터 전송 세션에 수반된다고 가정한다. 하나보다 많은 2차 베이스 노드를 갖는 데이터 전송 세션들이 본 발명에 의해 더 포괄된다.
한 시점에서, 데이터 전송을 셋업하기 전에, 사용자 장비는 능력 메시지 M2.1을 1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한다. 능력 메시지 M2.1은 특히, 사용자 장비가 제공하는 가능한 자원 할당 및/또는 지원되는 대역 조합들에 관한 어떤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른 자원들을 공유하는 의사 결정 및 소프트 채널 비트들에 적용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능력들이 지원되는 대역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1차 베이스 노드는, 수신된 능력 메시지에 기초하여, 자원들 중 어느 것을 자신이 할당할 수 있는 지를 결정하고, 혼잡 문제로 인해 1차 베이스 노드가 사용자 장비를 완전히 서빙할 수 없을 것인지를 결정한다.
결과적으로, 1차 베이스 노드는 메시지 M2.2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의 다음 데이터 전송 세션을 위해 사용되고 예약된 자원들에 관한 표시를 송신한다.
지금까지의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로부터 가능한 대로 많이 할당하기 위해서, 사용자 장비는 수신된 메시지를 평가하고 이후 2차 베이스 노드(sBS)를 찾는다.
2차 베이스 노드를 식별하는 방법에 대한 적어도 2개의 옵션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1차 베이스 노드는 근처에 있는 2차 베이스 노드에 대한 추천을 자원 표시 메시지(M2.2)로 송신한다. 대안적으로, 사용자 장비는, 예상된 데이터 전송 세션에 대해 사용되기 위해 어떤 2차 베이스 노드들이 가장 적합한지를, 자신의 적합성 측정들을 통해 알아낸다.
1차 베이스 노드(pBS)가 2차 베이스 노드를 추천하는 경우, 2차 베이스 노드(sBS)가 어느 자원들을 어드레싱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지식에 기초하여, 1차 베이스 노드는 유리하게는 이것이 2차 베이스 노드의 가능한 자원 할당을 방해하지 않는 그 자신의 방식으로 그 자신의 자원들을 선택하기를 결정한다. 특히, 1차 및 2차 베이스 노드들 양자 모두에 의해 지원되는 중첩하는 자원들의 경우에, 1차 베이스 노드는 양측에서 이용가능하다면, 비중첩 자원들을 선호할 수 있다.
1차 베이스 노드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후,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의 지금까지의 여전히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에 관한 표시들을 포함하는 메시지 M2.3을 선택된 2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2차 베이스 노드는 자신이 어느 능력들을 서비스할 수 있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위치에 있다.
일단 2차 베이스 노드가 어느 자원들을 할당할지를 결정하면, 사용되는 자원들은 결과적으로 메시지 M2.4로 사용자 장비에 전송된다.
이제 사용자 장비는 그의 능력들 중 어느 것이 다음 데이터 전송 세션에 사용되는지와 어느 것이 그렇지 않은지에 대한 정보를 가진다. 이 정보는 또한 2차 베이스 노드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1차 베이스 노드가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을 인식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자 장비는 2차 베이스 노드로부터 메시지 M2.4를 수신한 후에 여전히 사용되지 않은 자원들을 나타내는 또 다른 메시지 M2.5를 1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경우, 메시지 M2.5에 의해, 1차 베이스 노드는 통신 링크에 수반되는 하나 이상의 2차 베이스 노드에 관해 추가적으로 통지받는다.
묘사된 단계들 후에, 사용자 장비(UE)는 1차 베이스 노드와 함께 데이터 전송 세션을 위한 통신 링크를 셋업하고, 이후 2차 베이스 노드(sBS)를 또한 수반한다.
베이스 노드들이 사용자 장비의 사용되지 않은 자원들을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1차 베이스 노드에서의 할당 변경의 경우에서의 상황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2차 베이스 노드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영향을 받는 베이스 노드는, 특히 제각기 데이터 전송 세션에 추가 자원들을 할당할 가능성에 관하여 할당 변경이 있을 것으로 되어 있을 때, 이러한 추가 능력들이 여전히 이용가능한지를 알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도시된 일례에서, 1차 베이스 노드에서 내부 메시지 M3.1으로 시작한다. 여기서 할당 변경이 가능하거나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이 검출된다. 이 결정은 다양한 이유들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이유는 베이스 노드의 자원들이 다른 사용자 장비들과의 다른 접속들로부터 자유롭게 되기 때문이다.
좌측의 자원 사용 박스에서, 어떤 종류의 자원들이 이 유닛 번호에 의해 의미되는지를 반드시 특정하지 않고서, 20개의 자원 유닛이 이용가능하다는 가용 자원들(UR)로서 표시된 것은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다.
1차 베이스 노드가 사용자 장비에 액세스하기 전에, 먼저 체류 할당 메시지 M3.2가 적어도 2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된다. 이 메시지에 의해, 2차 베이스 노드는, 상이하게 통지될 때까지, 사용자 장비로부터 할당 변경을 요청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지시받는다. 이것은 베이스 노드들 중 하나 사이의 전체 작업 흐름에서의 제1 메시지이다. 양쪽 베이스 노드들로부터의 요청들 사이의 충돌들을 회피하기 위해, 트랜잭션 보안성 유사 수단의 방식으로, 이러한 체류 할당 메시지는 할당 요청을 송신하기 전의 의무적인 메시지이다. 바람직하게는, 2차 베이스 노드는 체류 할당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한다. 일단 해당 체류 할당 국면에서, 2차 베이스 노드는 잠재적 할당 변경들을 억제한다. 병렬로 서로에 대해 체류를 요청하는 베이스 노드들 양쪽 모두의 가능한 충돌들은 베이스 노드들 중에서 해결되는데, 바람직하게는 1차 베이스 노드가 우선순위를 갖는다.
체류 할당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송신한 후에, 1차 베이스 노드는 사용자 장비에 할당 요청 M.3.3을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할당 요청은 사용자 장비의 할당된 자원들의 증가에 관한 것이다. 그에 대해, 1차 베이스 노드는 자신이 셋업 절차의 경우에 검색된 메시지 M2.5(도 2 참조)로부터 알고 있는 사용되지 않은 자원들의 양을 고려한다. 이 경우에, 1차 베이스 노드는 사용자 장비에서 20개의 사용되지 않은 자원 유닛을 인식하고, 결과적으로 또 다른 5개의 예약된 자원 유닛(RR)을 요청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한 할당 요청은 할당된 자원들의 감소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 예에 대해, 1차 베이스 노드는 사용자 장비의 사용된 자원들을 증가시키려고 의도한다.
사용자 장비(UE)는 요청을 체크하고, 이용가능한 경우,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청하는 1차 베이스 노드에 재할당 메시지 M3.4로 응답하고, 여기서 할당 요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인된다. 그 결과, 사용되지 않은 자원 유닛들의 수가 5만큼 감소되어, 요청된 자원 유닛들의 완전한 세트가 메시지 M3.4로 확인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추가로, 사용자 장비는 사용되지 않은 자원들을 가진 능력 메시지 M3.5를 적어도 하나의 2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2차 베이스 노드는 사용자 장비의 새로운 수의 사용되지 않은 자원들에 관해 통지받는데, 이 경우에는 15개의 사용되지 않은 자원 유닛들(UR)을 통지받는다. 동일한 메시지에 의해, 2차 베이스 노드는 1차 베이스 노드의 재할당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획득한다. 여전히 체류 할당 국면이 활성이기 때문에, 이것은 2차 베이스 노드에게 체류 할당의 종료를 통지한다.
그 다음, 2차 베이스 노드는, 1차 베이스 노드에게 체류 할당 국면의 종료에 대해 또한 통지하기 위해, 체류 완료 메시지 M3.6을 1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한다. 대안적으로, 재할당 메시지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검색된 후에 1차 베이스 노드가 체류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지만, 베이스 노드들 중에서 추가 메시지 타입을 요구할 것이 제안된다.
이 예에서, 능력 메시지 M3.5를 수신한 이후의 2차 베이스 노드는 할당 변경을 평가한다. 그 후, 이것은 할당 변경에 대해 결정한다. 이는 추가 자원들 또는 자원들의 해제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2차 베이스 노드들은 3개의 자원 유닛을 해제하기로 결정한다.
어느 경우에도 할당 변경을 표시하기 위해, 전의 1차 베이스 노드에서와 동일한 작업 흐름이 이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그것은 1차 베이스 노드에 대한 체류 할당 메시지 M3.7로 시작한다. 그에 의해, 1차 베이스 노드는 그 부분에 대해 할당을 요청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통지받는다. 선택적으로, 체류 할당 메시지 M3.7은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시그널링 자원들을 절감하기 위해 체류 완료 메시지 M3.6과 함께 송신된다.
이후, 할당 요청 M3.8이 2차 베이스 노드로부터 사용자 장비(UE)로 송신되고, 여기서는 3만큼의 할당된 자원 유닛의 감소를 나타낸다.
사용자 장비는 이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새로운 할당 요청을 핸들링하는데, 즉 이것은 요청된 할당을 체크하고 긍정적 결과의 경우에 2차 베이스 노드에 재할당 메시지 M3.9를 송신한다.
이것은 또한 사용되지 않은 자원 단위들의 수를 업데이트하는데, 이 경우에는 18로 증가한다. 또한, 사용되지 않은 자원들 M3.10을 갖는 능력 메시지는 1차 베이스 노드 pBS에 송신된다.
이후 1차 베이스 노드는 체류 완료 메시지 M3.11을 2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한다.
능력 메시지 M3.10을 수신하는 것은 다시 내부 메시지 M3.1에서 체크되는 할당 변경으로서 취급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변경들은 안정적인 자원 할당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조금 나중에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정적으로 작동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해 바람직하다.
도 4는 이동하고 있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상황을 추가적으로 예시한 것을 도시한다. 이는 특히 접속된 엔터테인먼트 유닛 등을 갖는 자동차와 관련될 수 있다.
도 4에서, 제1 시점에서의 사용자 장비 UET1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장비는 1차 베이스 노드(pBS)의 셀 영역 CApBS에 위치되고, 여기서 그것은 캠프 온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장비는 2차 베이스 노드(sBS)의 셀 영역 CAsBS에 위치된다.
1차 베이스 노드 pBS 및 2차 베이스 노드 sBS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상이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의 일부이다. 이들은 셀룰러 네트워크 내부 인터페이스(X-IF)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cross-RAN 인터페이스상의 트래픽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차 베이스 노드는 코어 네트워크(CRN)에, 코어 인터페이스(CRN)를 통해 접속된다.
사용자 장비는, 1차 베이스 노드(pBS)와 2차 베이스 노드(sBS)를 이용하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으로 접속 링크에서 동작하고 있다.
통신 링크를 셋업한 후에 사용자 장비가 이동하고 있고, 그후 사용자 장비가 위치 UET2에 있는 상황이 등장한다. 그 다음, 사용자 장비는 또 다른 베이스 노드(sBS')의 셀 영역 CAsBS '에 위치된다. 이 다른 베이스 노드는 또한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X-IF)에 의해 1차 베이스 노드에 링크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는 통신 링크에 사용된 2차 베이스 노드(sBS)의 셀 영역 CAsBS에 더 이상 위치되지 않는다. 사용자 장비(UE)는 2차 베이스 노드(sBS)로부터의 신호들을 디코딩할 수 없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적어도 다음의 작업들이 이행되어야 한다: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으로 통신 링크를 계속하기 위한 새로운 2차 베이스 노드를 식별한다.
새롭게 식별된 2차 베이스 노드에 원래의 2차 베이스 노드(sBS)의 할당된 자원들을 할당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는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해결된다:
사용자 장비는, 원래의 2차 베이스 노드에 손실된 접속에 관해 1차 베이스 노드(pBS)에 통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코어 네트워크(CRN)와 연계하여, 1차 베이스 노드는 이제 다른 베이스 노드(sBS')를 새로운 2차 베이스 노드로서 식별한다.
이후 1차 베이스 노드는 인터페이스(X-IF)를 통해 자유 자원 메시지를 원래의 2차 베이스 노드(sBS)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2차 베이스 노드(sBS)는 사용자 장비의 모든 자원들을 자유롭게 하도록 지시받는다. 이것은 상이한 RAN들의 베이스 노드들 사이의 제2 타입의 메시지이다. 바람직하게는, 2차 베이스 노드는 자원들이 자유롭게 되는 것을 확인한다.
또한, 사용자 장비는 자유롭게 된 자원들 및 새로운 2차 베이스 노드(sBS')에 관해 통지받는다. 메시지 M2.3(도 2)에 필적하는 능력 메시지에 의해, 이후 사용자 장비는 원래의 2차 베이스 노드에 의해 자유롭게 된 것들을 포함하여,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에 관한 정보에 관해 베이스 노드(sBS')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베이스 노드(sBS')는 예약된 능력들의 표시를 송신하고, 사용자 장비는 이 정보를 1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한다.
또한, 원래 2차 베이스 노드에 이미 할당된 패킷들의 패킷 포워딩이 해결될 필요가 있다. 공통의 인트라-RAT 로부터 알려진 이러한 수단에 대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메커니즘이 재사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다른 2차 베이스 노드(sBS')가 원래의 2차 베이스 노드(sBS)와 동일한 RAN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계들이 수행된 후, 사용자 장비는 1차 및 2차 베이스 노드들과의 접속 링크 상태에 있고, 각각의 베이스 노드들은 할당된 자원들을 갖고 또한 사용자 장비들의 사용되지 않은 자원들에 관해 알고 있다.
1차 베이스 노드의 셀 영역이 남겨져야 한다면, 사용자 장비(UE)는 1차 베이스 노드 자격을 나머지 2차 베이스 노드에 할당할 것이고, 이제 1차 베이스 노드와 연계하여 새로운 2차 베이스 노드가 결정된다.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들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비록 서로 다르긴 하지만, 반드시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요소의 위치 또는 배열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 의미로 간주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항들에 부여되는 등가물들의 전체 범위와 함께 적절하게 해석되는 첨부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Claims (15)

  1. 원격 단말기와 셀룰러 네트워크(CLN)의 1차 베이스 노드(pBS) 및 적어도 하나의 2차 베이스 노드(sBS)에 의해 병렬로 통신하는 사용자 장비(UE)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는 적어도 2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를 포함하고, 상기 1차 베이스 노드 및 상기 2차 베이스 노드는 상이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에 할당되고, 상기 1차 베이스 노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비접속 모드에서 캠프 온하고 있는 베이스 노드이고, 상기 2차 베이스 노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를 서빙하는데 적합한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 또는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평가된 후보 베이스 노드이고,
    상기 원격 단말기에의 통신 링크를 셋업하기 위해,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해:
    상기 사용자 장비의 가용 능력들(UR)을 포함하는 제1 능력 메시지를 상기 1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1차 베이스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것으로 표시된 능력들(이후에는 사용되는 능력들)에 관한 제1 표시를 상기 1차 베이스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최대로는 상기 1차 베이스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것으로 표시되지 않은 그런 능력들을 포함하는 제2 능력 메시지를 상기 2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2차 베이스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것으로 표시된 상기 능력들에 관한 제2 표시를 상기 제2 베이스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여전히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을 가진 제3 능력 메시지를 상기 1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능력들을 이용하여 상기 1차 및 2차 베이스 노드들에 의해 통신 링크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들은 상기 1차 베이스 노드(pBS) 및 상기 2차 베이스 노드(sBS) 중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노드의 지원되는 대역 조합과 관련된 자원 할당에 관한 것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활성 접속 동안 상기 1차 베이스 노드(pBS)로부터의 할당 변경 요청의 수신 시에 사용자 장비(UE)에 대해:
    재할당 확인 메시지를 상기 1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할당 변경 요청에 응답하여 가용 능력들에서의 변경을 결정하는 단계, 및
    나머지 능력들을 표시하는 능력 메시지를 상기 2차 베이스 노드(sBS)에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베이스 노드(sBS)에 상기 능력 메시지를 송신한 후에:
    자원 할당 변경에 관한 표시를 상기 2차 베이스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 요청 및 상기 자원 할당 변경 표시에 기초하여 자원 할당을 변경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상기 1차 베이스 노드(pBS)에 대해 무선 조건들을 평가하는 단계,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의 상기 무선 조건들의 감소를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1차 베이스 노드 할당을 상기 2차 베이스 노드(sBS)로 변경하는 것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베이스 노드들(sBS) 중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노드의 무선 링크 드롭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2차 베이스 노드의 무선 링크 드롭이 상기 사용자 장비(UE)에서의 통신에서 활성인 것을 나타내는 수신 경보 메시지를 상기 1차 베이스 노드(pBS)에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 병렬로 셀룰러 네트워크(CLN)의 1차 베이스 노드(pBS) 및 적어도 하나의 2차 베이스 노드(sBS)에 의해 원격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UE)로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는 적어도 2 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를 포함하고, 상기 1차 베이스 노드 및 상기 2차 베이스 노드는 상이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에 할당되고, 상기 1차 베이스 노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비접속 모드에서 캠프 온하고 있는 베이스 노드이고, 상기 2차 베이스 노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를 서빙하는데 적합한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 또는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선택되는 후보 베이스 노드이고,
    통신 링크를 셋업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가용 능력들(UR)을 포함하는 제1 능력 메시지를 상기 1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하고,
    상기 1차 베이스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것으로 표시된 능력들(이하에서 사용된 능력들)의 제1 표시를 상기 1차 베이스 노드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1차 베이스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표시되지 않은 그런 능력들만을 포함하는 제2 능력 메시지를 상기 2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하고,
    상기 2차 베이스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것으로 표시된 능력들에 관한 제2 표시를 상기 2차 베이스 노드로부터 수신하고,
    여전히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을 갖는 제3 능력 메시지를 상기 1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하고,
    상기 구성된 능력들을 이용하여 상기 1차 및 2차 베이스 노드들에 의해 상기 통신 링크를 셋업하는 것을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들은 상기 1차 베이스 노드(pBS) 및 상기 2차 베이스 노드(sBS) 중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노드의 지원되는 대역 조합에 관한 자원 할당과 관련되고,
    상기 사용자 장비는 활성 접속 동안 상기 1차 베이스 노드로부터의 할당 변경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재할당 확인 메시지를 상기 1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하고,
    상기 할당 변경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가용 능력들에서의 변경을 결정하고,
    상기 가용 능력들(UR)을 표시하는 능력 메시지를 상기 2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9. 제8항에 있어서,
    자원 할당 변경에 관한 표시를 상기 2차 베이스 노드(sBS)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할당 요청 및 상기 자원 할당 변경 표시에 기초하여 자원 할당을 변경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적어도 상기 1차 베이스 노드(pBS)의 무선 조건들을 평가하고,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으로의 상기 무선 조건들의 감소를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1차 베이스 노드 할당을 상기 2차 베이스 노드(sBS)로 변경하는 것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11. 적어도 2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를 포함하는 셀룰러 네트워크(CLN)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UE)를 핸들링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베이스 노드는 상이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에 할당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베이스 노드 중 하나는 1차 베이스 노드(pBS)이고, 상기 적어도 2 개의 베이스 노드 중 또 다른 하나는 2차 베이스 노드(sBS)이고, 상기 1차 베이스 노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비접속 모드에서 캠프 온하고 있는 베이스 노드이고, 상기 1차 베이스 노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비접속 모드에서 캠프 온하고 있는 베이스 노드이고, 상기 2차 베이스 노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를 서빙하는데 적합한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 또는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선택되는 후보 베이스 노드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1차 베이스 노드에 대해:
    상기 사용자 장비의 가용 능력들(UR)을 포함하는 능력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용 능력들의 사용된 능력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사용된 능력들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여전히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을 포함하는 제3 능력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표시된 능력들에 의해 셋업 통신 링크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를 서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베이스 노드(pBS) 및 적어도 하나의 2차 베이스 노드(sBS)에 의한 사용자 장비(UE)와 원격 단말기 사이의 통신 링크가 활성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1차 베이스 노드 및 상기 2차 베이스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노드에 대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의 재할당 변경의 필요성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통신 링크에서 활성인 다른 베이스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노드에 체류 할당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할당 변경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재할당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2차 베이스 노드(sBS)에 대해,
    상기 1차 베이스 노드(pBS)로부터의 체류 할당 메시지의 수신 시에, 할당 변경들을 억제하는 단계,
    가용 능력들(UR)을 표시하는 능력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체류 국면이 종료된 것을 표시하는 완료 메시지를 상기 1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베이스 노드(pBS)에 대해,
    상기 사용자 장비(UE)로부터, 상기 통신 링크에서 활성인 제1의 2차 베이스 노드들(sBS)에 대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서의 수신 조건들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수신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비를 서빙하는데 적합한 제2의 2차 베이스 노드(sBS')를 결정하는 단계,
    자유 능력 메시지를 상기 제1의 2차 베이스 노드에 송신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의 선택된 능력들을 해제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상기 해제된 능력들에 관해 통지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비에 상기 제2의 2차 베이스 노드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UE)를 작동시키기 위한 셀룰러 네트워크(CLN)로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는 적어도 2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를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베이스 노드는 상이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에 할당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베이스 노드 중 하나는 1차 베이스 노드(pBS)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베이스 노드 중 또 다른 하나는 2차 베이스 노드(sBS)이고, 상기 1차 베이스 노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비접속 모드에서 캠프 온하고 있는 베이스 노드이고, 상기 1차 베이스 노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비접속 모드에서 캠프 온하고 있는 베이스 노드이고, 상기 2차 베이스 노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를 서빙하기에 적합한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 또는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선택된 후보 베이스 노드이고,
    상기 1차 베이스 노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가용 능력들(UR)을 포함하는 능력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가용 능력들의 사용 가능 능력들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 가능 능력들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고,
    여전히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을 포함하는 제3 능력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되지 않은 능력들 중 추가적으로 사용가능 능력들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고,
    상기 표시된 능력들에 의해 셋업 통신 링크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를 서빙하도록 구성되는 셀룰러 네트워크.
KR1020197017819A 2016-12-21 2017-12-14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병렬로 통신하는 사용자 장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들, 사용자 장비 및 셀룰러 네트워크 KR102244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205792.1 2016-12-21
EP16205792.1A EP3340518A1 (en) 2016-12-21 2016-12-21 Method for operating a user equipment communicating in parallel in a cellular network
PCT/EP2017/082906 WO2018114624A1 (en) 2016-12-21 2017-12-14 Methods, user equipment and cellular network for operating a user equipment communicating in parallel in a cellular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814A true KR20190090814A (ko) 2019-08-02
KR102244012B1 KR102244012B1 (ko) 2021-04-26

Family

ID=57681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819A KR102244012B1 (ko) 2016-12-21 2017-12-14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병렬로 통신하는 사용자 장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들, 사용자 장비 및 셀룰러 네트워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91120B2 (ko)
EP (2) EP3340518A1 (ko)
JP (1) JP6818150B2 (ko)
KR (1) KR102244012B1 (ko)
CN (1) CN110178332B (ko)
WO (1) WO20181146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40518A1 (en) * 2016-12-21 2018-06-27 Gemalto M2M GmbH Method for operating a user equipment communicating in parallel in a cellular network
US10863411B2 (en) * 2017-06-22 2020-12-08 T-Mobile Usa, Inc. Routing communications in dual-band devices
JP7292886B2 (ja) * 2019-01-28 202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7128768B2 (ja) * 2019-03-27 2022-08-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プログラム、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CN111314974B (zh) * 2020-02-11 2022-11-08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主辅小区更新的处理方法、装置、基站及存储介质
CN115996195B (zh) * 2023-03-23 2023-05-3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28585A1 (en) * 2014-01-31 2016-01-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Master and Second Evolved Node B and Method Performed Thereby for Modifying a Radio Resource of the SENB with Respect to a UE Currently Being Connected to the MENB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68466B2 (en) * 2007-07-20 2011-11-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multiple information elements in multiple channels
CN102057591B (zh) * 2008-06-04 2014-03-19 爱立信电话股份有限公司 移动通信网络中的方法和设备
US8099091B2 (en) * 2010-05-13 2012-01-17 Apple Inc. Method to control configuration change times in a wireless device
JP5822765B2 (ja) * 2012-03-19 2015-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CN110830227B (zh) * 2013-07-04 2022-08-19 韩国电子通信研究院 用于多连接性的方法
US9807818B2 (en) * 2013-08-08 2017-10-3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radio bearer establishment in dual connectivity
EP2887738A1 (en) * 2013-12-17 2015-06-24 Gemalto M2M GmbH Method for operating a wireless device in a selected radio access network
WO2016119109A1 (zh) * 2015-01-26 2016-08-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切换装置及方法
CN104836850A (zh) * 2015-04-16 2015-08-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例节点管理的方法及管理设备
US20180084539A1 (en) * 2016-09-21 2018-03-22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capability determination for multiple radio capability groups
EP3340518A1 (en) * 2016-12-21 2018-06-27 Gemalto M2M GmbH Method for operating a user equipment communicating in parallel in a cellular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28585A1 (en) * 2014-01-31 2016-01-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Master and Second Evolved Node B and Method Performed Thereby for Modifying a Radio Resource of the SENB with Respect to a UE Currently Being Connected to the MENB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6706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60127A1 (en) 2019-10-30
EP3340518A1 (en) 2018-06-27
CN110178332B (zh) 2022-05-27
CN110178332A (zh) 2019-08-27
EP3560127C0 (en) 2024-01-24
KR102244012B1 (ko) 2021-04-26
US20200015306A1 (en) 2020-01-09
EP3560127B1 (en) 2024-01-24
WO2018114624A1 (en) 2018-06-28
JP6818150B2 (ja) 2021-01-20
JP2020502945A (ja) 2020-01-23
US11191120B2 (en)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4012B1 (ko)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병렬로 통신하는 사용자 장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들, 사용자 장비 및 셀룰러 네트워크
US11706702B2 (en) Network entity,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the control and use of network slices
US10736009B2 (en)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US9992782B2 (en) Device-to-device (D2D) subframe with cell identifier
US107987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 on PC5 interface
CN113785617A (zh) 无线通信网络中用于处理条件切换(cho)的方法和装置
US11337124B2 (en) First base station, second base station, terminal apparatus,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EP3243352B1 (en) Conflict indication for radio transmission control by multiple devices
WO2014103537A1 (ja) バッファ状態報告の送信制御方法、ユーザ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10572876A (zh) 用于多卡单收发设备的无线资源分配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基站
JP2022541717A (ja) 方法、及び端末装置
CN113228783A (zh) 处置无线电链路故障的方法及设备
WO2017055271A1 (en)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etwork operation
CN110582089A (zh) 由用户设备执行的方法以及用户设备
KR20160115964A (ko) 디바이스간 발견 자원 할당
CN114026892A (zh) 通信设备、基础设施装备和方法
JP6162973B2 (ja) 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方法
CN111132317B (zh) 资源分配方法、终端及通信设备
WO2014125906A1 (ja) 基地局及び方法
KR101992033B1 (ko) 경쟁 기반 업링크 전송의 디코딩을 위한 방법 및 노드
CN111836333B (zh) 一种通信方法、通信装置及终端设备
CN111527780B (zh) 用于设备到设备通信的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JP7392844B2 (ja) 車両通信サービスの通信方法、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US10361974B1 (en) Controlling base station buffering of data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extent to which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rovides connectivity for other devices
WO2023133786A1 (en) Aggregation link establishment and releas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