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597A - 경도 및 청량감이 우수한 구강 붕해정 - Google Patents

경도 및 청량감이 우수한 구강 붕해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597A
KR20190090597A KR1020180009499A KR20180009499A KR20190090597A KR 20190090597 A KR20190090597 A KR 20190090597A KR 1020180009499 A KR1020180009499 A KR 1020180009499A KR 20180009499 A KR20180009499 A KR 20180009499A KR 20190090597 A KR20190090597 A KR 20190090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tegrating tablet
oral disintegrating
crospovidone
oral
hard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7503B1 (ko
Inventor
양재권
추성남
오지훈
강민권
김가현
장지선
송영경
김예슬
Original Assignee
대화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화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화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9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503B1/ko
Publication of KR20190090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5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27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도 및 청량감이 우수한 구강 붕해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만니톨, 입자 크기가 3 내지 30 μm 범위인 크로스포비돈 수퍼 피네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구강 붕해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강 붕해 정제는 만니톨, 크로스포비돈 수퍼 피네 및 자일리톨을 적정한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경도가 5 내지 9kp로 우수하고 붕해시간은 20초 이내로 짧으며, 동시에 입안 이물감이 없고 청량감을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도 및 청량감이 우수한 구강 붕해정{An orally disintegrating tablet having excellent hardness and feeling of refreshment}
본 발명은 경도 및 청량감이 우수한 구강 붕해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만니톨, 입자 크기가 3 내지 30 μm 범위인 크로스포비돈 수퍼 피네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구강 붕해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제약분야의 약제학적 제제는 다양하게 존재한다, 예를 들어, 정제, 캐플릿, 캡슐 및 과립제 등의 고체 형태로 경구투여 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들 제형은 약물을 전달하기 위해 적당량의 물과 함께 통째로 삼키거나 또는 씹도록 설계된다. 또한, 액제 형태로는 현탁제 및 주사제등이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된다.
그 중, 경구로 투여되는 제제의 경우 소아, 노인 환자 등에 있어서 삼키거나 또는 씹는데 어려움이 종종 나타나며, 고형 제제를 액체와 함께 복용하더라도 인후 또는 식도에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제제를 복용하기 꺼려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경구 투여를 목적으로 하는 구강 붕해 정제는 약제학적 제제로서 사용하기에 충분한 경도를 가지면서 동시에 투여 후 구강 내에서 붕해 시간과 이물감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최근 다양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새로운 약물전달 체계를 갖는 제형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고형제를 구강 내 붕괴형태로 개발시킨 구강붕해정(ODT)도 이러한 결과물 중에 하나이다. 하지만, 구강붕해정 역시 약물을 구강에서 녹이기는 하나 일정하게 빠른 시간에 모든 약물이 붕해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고, 다시금 물을 복용해야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제형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효성분이 서로 다른 방출패턴을 갖거나 특정 목적을 달성하도록 방출패턴을 조절해야 하는 경우에는 이를 단순하게 하나의 과립 또는 별도의 과립으로 하여 혼합하여 약제학적 조성물을 형성한다면, 각각의 유효성분에 맞는 방출패턴을 달성하지 못하게 된다. 예를 들면, 한 유효성분은 서방출로 구성하여야 하고 다른 유효성분은 속방출로 구성해야 하는 경우, 또는 한 유효성분은 장용코팅을 해야 하고 다른 유효성분은 장용코팅을 할 필요가 없거나 해서는 안 되는 경우와 같이, 서로 다른 방출패턴이 요구되는 경우, 이를 하나의 제형으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한 제제학적 기술이 요구된다. 특히, 구강 내에서 속붕해되는 제형을 전제로 하여, 위와 같이 2 이상의 유효성분을 갖는 제형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인 제제기술과는 구별되는 특수 제형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2007-0018776호에서는 특정 비율의 만니톨과 다른 당으로 이루어진 복합입자에 붕해제 및 무기 부형제를 균질하게 분산시킨 조성물과 상기 조성물을 압축한 구강 내 속붕해성 정제에 관해 기재하고 있으나, 상기 조성물은 붕해시간은 빠른 반면, 만니톨과 다른 당의 복합체로 구성되어 있어 이물감은 여전히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2010-0031282호는 만니톨과 자일리톨을 함유하는 구강 속 붕해정에 대해 개시하여 이물감을 제거하고 청량감을 증대시키고는 있으나, 붕해정의 경도가 현저히 낮아지고 붕해시간 또한 증가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만니톨과 입자 크기가 3 내지 30 μm의 범위인 크로스포비돈 수퍼 피네, 및 자일리톨을 특정 비율로 포함하는 조성물로 제조된 구강 붕해정이 붕해시간이 짧고 경도가 높으며, 동시에 우수한 청량감을 가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만니톨, 입자 크기가 3 내지 30 μm의 범위인 크로스포비돈 수퍼 피네(크로스포비돈 SF);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구강 붕해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만니톨, 입자 크기가 3 내지 30 μm의 범위인 크로스포비돈 수퍼 피네(크로스포비돈 SF);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구강 붕해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강 붕해정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서 붕해제를 필수 성분으로 포함하는데, 특히 붕해제 중 입자 크기가 3 내지 30 μm의 범위인 크로스포비돈 수퍼 피네(크로스포피돈 super fine, 크로스포피돈 SF)를 필수 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포비돈 SF는 구강 내 타액 중에서 구강 붕해정의 붕해를 촉진시켜 약물의 복용을 간편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구강 붕해정”은 구강 내 타액에 의해 붕해를 촉진시켜 약물의 복용을 간편하게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강 붕해제, 구강 속붕해정, 속붕해정, 또는 속붕해제 등과 혼용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크로스포비돈”은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이 높은 수준으로 상호 결합된 변형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약제학적 태블릿에서 붕해제로 쓰인다고 알려진 물질이다. 그 외에도 맥주, 와인, 주스 등에서 정화제 또는 안정제로 쓰이거나, 과립 또는 경질잘라틴 캡슐의 안정제, 구강/국부의 마취 안정제, 물질 용해/생체 이용률 개선 및 여과제 등 여러 방면으로 널리 사용된다. 본 발명의 크로스포비돈은 폴리비닐폴리피롤리돈(Polyvinylpolypyrrolidone), PVPP, 크로스포리피돈(crospolividone) 또는 E1202와 혼용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크로스포비돈 수퍼피네(crospolividone super fine)”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입자 크기가 110 내지 130 μm 범위인 크로스포비돈과 달리, 입자 크기가 3 내지 30 μm의 범위, 보다 구체적으로는 3 내지 10 μm 범위인 매우 미세한 크기의 입자를 가지는 크로스포비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크로스포비돈 수퍼피네, 크로스포비돈 SF, 또는 미세 크로스포비돈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입자 크기가 110 내지 130 μm 범위의 일반 크기의 크로스포비돈이 붕해제의 하나로 사용되는 것은 많이 알려져 있으나, 입자 크기가 3 내지 30 μm 범위인 크로스포비돈 수퍼피네는 그 입자의 크기가 매우 미세하여 흐름성이 우수하지 않아 현탁액의 안정화제로 사용되는 것만 알려져 있을 뿐, 붕해제로서 사용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입자 크기가 3 내지 30 μm 범위로 일반적인 크로스포비돈보다 매우 작은 크기의 크로스포비돈 Super Fine(이하, 크로스포비돈 SF)를 사용하더라도 붕해제로서 충분히 사용할 수 있음을 최초로 규명하였으며, 특히, 만니톨, 자일리톨과 특정 함량으로 동시 사용시 일반 크로스포비돈을 사용한 경우보다 오히려 경도는 우수하면서도 붕해시간은 현저히 짧고, 동시에 이물감은 전혀 없는 구강 붕해제의 제조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크로스포비돈 수퍼피네는 특별히 제한된 것은 아니나, 구강 붕해정 총 중량 대비 4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4 내지 2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4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서는 유당이나 전호화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무수인산수소칼슘을 크로스포비돈과 사용할 경우에는 이물감이 크고, 이소말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경도도 우수하고 이물감은 거의 없으나, 붕해시간이 매우 길어 정제가 녹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만니톨 100SD와 크로스포비돈을 혼합하여 제조된 구강 붕해정은 다른 부형제를 사용한 경우와 달리, 5~6 kp의 적정한 범위의 경도를 가지고 붕해 시간이 30초 이내로 짧으면서도, 동시에 입안 이물감이 거의 없는 최적의 조합임을 확인하였다(표 1).
특히, 입자 크기가 110 내지 130 μm 범위의 일반 크로스포비돈을 사용한 경우보다 그 입자 크기가 3 내지 30 μm 범위로 매우 작은 크기의 크로스포비돈 Super Fine(이하, 크로스포비돈 SF)를 사용한 것이 경도가 7 내지 8 kp로 현저히 우수하면서 붕해시간은 여전히 20초 미만으로 짧고, 동시에 이물감도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다(표 4).
본 발명에서 용어, “만니톨”은 헥시톨의 일종으로 만노오스의 당알코올이다. D, L 및 DL 형이 알려져 있고, D-만니톨을 단순히 만니톨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과일과 채소와 같은 식물계에 널리 분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화학식은 C6H14O6, 분자량은 대략 182인 화합물이다. 바늘 모양 결정(에탄올에서 재결정) 또는 사방 기둥 모양의 결정을 가지고, 녹는점은 166℃로 물에 녹으나, 에탄올, 피리딘, 에테르에는 녹지 않는다. 강한 단맛을 가지며, 당알코올 일반의 성질을 보이고, 펠링액을 환원하지 않는다. 만니톨은 체내에서 장시간의 대사를 요하며 혈액 뇌관문을 통과하지 않은 다당류로 혈중에 길게 존재하기 때문에 삼투압 활성물질로서의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삼투압이뇨제 또는 혈장대용액으로서 사용되거나, 급성신부전, 뇌부종의 치료에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만니톨은 (2R,3R,4R,5R)-헥산-1,2,3,4,5,6-헥솔((2R,3R,4R,5R)-hexane-1,2,3,4,5,6-hexol) 또는 D-만니톨(D-mianitol)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만니톨은 특별히 제한된 것은 아니나, 구강 붕해정 총 중량 대비 60 내지 9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65 내지 9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70 내지 8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자일리톨”은 핀란드에서 발견된 것으로, 자작나무나 떡갈나무 등의 수목에서 채취되는 성분을 원료로 하며, 일반적으로 껌 등으로 제조된다고 알려져 있다. 분자식은 C5H12O5이며, 분자량은 대략 152, 녹는점은 92 내지 96℃로 알려져 있다. 자일리톨은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데 인슐린 작용을 개재하지 않고 세포에 들어가 혈당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등의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의료용으로 당뇨병 환자에게 포도당 대용으로 에너지 보급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 자일리톨은 특별히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나, 구강 붕해정 총 중량 대비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3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강 붕해정은 만니톨, 입자 크기가 3 내지 30 μm 범위인 크로스포비돈 수퍼피네, 및 자일리톨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경도가 5 내지 9kp 범위로 우수하고, 동시에 붕해시간은 20초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경도”는 그 물체를 다른 물체로 눌렀을 때 그 물체의 변형에 대한 저항력의 크기로서 규정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알아내는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재료 시험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경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브리넬 경도, 록크웰 경도, 쇼어 경도 등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 제조된 구강 붕해정의 경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경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붕해시간”은 고형 제제가 시험액 중에서 소실되거나 대한 약전에 규정된 입자 상태 이하로 분산되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활성 성분의 완전한 용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조된 구강 붕해정을 구강 내에 넣고 일정한 입장 상태 이하로 분산되는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특별히 제한 없이, 구강 붕해정의 붕해 시간을 측정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붕해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유당이나 전호화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무수인산수소칼슘을 크로스포비돈과 사용할 경우에는 이물감이 크고, 이소말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경도도 우수하고 이물감은 거의 없으나, 붕해시간이 매우 길어 정제가 녹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만니톨 100SD와 크로스포비돈을 혼합하여 제조된 구강 붕해정은 다른 부형제를 사용한 경우와 달리, 5~6 kp의 적정한 범위의 경도를 가지고 붕해 시간이 30초 이내로 짧으면서도, 동시에 입안 이물감이 거의 없는 최적의 조합임을 확인하였다(표 1).
특히, 입자 크기가 110 내지 130 μm 범위의 일반 크로스포비돈을 사용한 경우보다 그 입자 크기가 3 내지 30 μm 범위로 매우 작은 크기의 크로스포비돈 Super Fine(이하, 크로스포비돈 SF)를 사용한 것이 경도가 7 내지 8 kp로 현저히 우수하면서 붕해시간은 여전히 20초 미만으로 짧고, 동시에 이물감도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다(표 4).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자일리톨이 포함되지 않은 구강 붕해정보다 자일리톨을 추가한 경우가 청량감이 증가하였으나, 동시에 경도는 급격히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자일리톨을 전체 질량 대비 20% 이상 포함한 구강 붕해정은 구강 붕해정으로서의 적정한 경도와 붕해시간을 가지면서 동시에 청량감을 부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8).
이러한 결과는 이러한 결과는 구강 붕해정으로서의 적정한 경도와 붕해시간을 가지면서 동시에 청량감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구강 붕해정의 각 성분 함량의 최적 비율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강 붕해정은 활택제, 착향제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는 구강 붕해정으로의 효과는 그대로 포함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포함될 수 있는 공지의 물질이면 다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구강 붕해정은 활택제, 착향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활택제”는 정제 조제에 있어서 정제기를 이용해 약제를 부술 때에, 기계의 압축력이 유효하게 작용하므로 약제의 과립이 절구나 절굿공이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부순 후에 정제가 쉽게 절굿공이에서 떨어지고, 또한 정제에 광택을 주는 것 등의 목적으로 첨가되는 약품을 의미한다. 이에 사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종류로는 정제 탤크 스테아르산 및 그 염(Na, Mg, Ca염), 붕산 분말, 유동 파라핀, 벤조산나트륨, 카보왁스 6000(평균 분자량 6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경화 식물유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활택제는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금속염류, 스테아릴푸마르산나트륨, 탈크, 콜로이드 실리카, 자당 지방산에스테르, 수소화 식물성 오일, 왁스,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류, 글리세롤 디베헤네이트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강 붕해정 총 중량 대비 0.3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착향제”는 향료의 구성물질로서 구강 붕해정이 특정 향을 가질 수 있도록 부가하는 첨가제를 의미한다. 착향제에는 방향성 화학물질, 정유, 천연추출물, 증류물, 단리성분, 아로마, 또는 수지성레진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착향제는 페퍼민트 향, 스피아민트 향, 과일 향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착향제는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나, 구강 붕해정 총 중량 대비 0.3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붕해정은 만니톨, 입자 크기가 3 내지 30 μm 범위인 크로스포비돈 범위인 수퍼 피네 및 자일리톨을 적정한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경도가 우수하고 붕해시간은 20초 이내로 짧으며, 동시에 입안 이물감이 없고 청량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부형제 스크리닝
팽창능력이 가장 우수한 크로스포비돈과 조합하여 제조된 구강 붕해정이 최적의 경도, 붕해시간 및 입안 이물감을 가질 수 있는 부형제를 스크리닝하기 위하여, 하기 부형제 중 하나와 크로스포비돈을 혼합하였다.
부형제: 유당#100(직타용), 만니톨100SD, 이소말트721, 전호화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및 무수인산수소칼슘 중 1 선택
이 후, 상기 혼합물을 로타리 타정기로 타정압 8KN, 7.5mm 원형펀치, 150mg/1정 조건으로 타정하여 구강 붕해정을 제조하고, 하기 표 1과 같이, 각 제제에 대하여 각 구강 붕해정의 경도, 붕해시간, 입안 이물감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구강 붕해정의 경도는 SOTAX HT1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붕해시간은 대한민국약전 일반시험법 중 붕해시험법(37±2℃, 물)에 따라 측정하였다.
샘플 경도 붕해시간 입안 이물감
유당#100 96%
+ 크로스포비돈 4%
5~6 kp 30초 이내 이물감 큼
만니톨100SD 96%
+ 크로스포비돈 4%
5~6 kp 30초 이내 청량감 있고 이물감 거의 없음
이소말트721 96%
+ 크로스포비돈 4%
6~7 kp 6분 청량감 있고 이물감 거의 없으나, 정제가 녹지 않음
전호화전분 96%
+ 크로스포비돈 4%
2~3 kp 30초 이내 이물감 큼
미결정셀룰로오스 96%
+ 크로스포비돈 4%
6~7 kp 30초 이내 이물감 큼
무수인산수소칼슘 96%
+ 크로스포비돈 4%
5~6 kp 30초 이내 이물감 큼
그 결과, 상기 표 1의 부형제 스크리닝 평가 결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당이나 전호화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무수인산수소칼슘을 크로스포비돈과 사용할 경우에는 이물감이 커 구강 붕해정으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며, 이소말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경도도 우수하고 이물감은 거의 없으나, 붕해시간이 매우 길어 정제가 녹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만니톨 100SD와 크로스포비돈을 혼합하여 제조된 구강 붕해정은 다른 부형제를 사용한 경우와 달리, 5~6 kp의 적정한 범위의 경도를 가지고 붕해 시간이 30초 이내로 짧으면서도, 동시에 입안 이물감이 거의 없는 최적의 조합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시중에 유통중인 구강 붕해정 ( ODT ) 첨가제와 만니톨100 SD의 비교
상기 실시예 1에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만니톨 100SD 및 크로스포비돈으로 제조된 구강 붕해정이 실제로 시중에서 유통중인 구강 붕해정과 비교하여도 그 효과가 우수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2와 같은 비율로 제조예 1 내지 6의 구강 붕해정을 제조하였다. 표 2에 기재된 시중에 유통중인 부형제의 구체적인 성분은 표 3에 나타내었다.
원료명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Ludiflash(BASF) 4.95 g
Prosolv ODT(JRS) 4.95 g
F-Melt(Fuji chemical) 4.95 g
Pealitol Flash(Roquette) 4.95 g
만니톨100SD(Roquette) 4.75 g
크로스포비돈(BASF)
(입자크기 110~130μm)
0.2 g
크로스포비돈 super fine(BASF)
(입자크기 3~30μm)
0.2 g
스테아르산마그네슘(FACI) 0.5 g 0.5 g 0.5 g 0.5 g 0.5 g 0.5 g
총량 5.0 g 5.0 g 5.0 g 5.0 g 5.0 g 5.0 g
Figure pat00001
구체적으로, 시중에 유통중인 ODT 부형제인 루디플라쉬(Ludiflash, BASF), 프로솔브 구강 붕해정(Prosolv ODT, JRS), F-멜트 (F-Melt, Fuji chemical), 또는 필리톨 플라쉬(Pealitol Flash, Roquette)와, 상기 실시예 1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만니톨100SD(Roquette)와 크로스포비돈(BASF)으로 제조된 구강 붕해정에 대하여 경도, 붕해시간 및 입안 이물감을 평가하였다.
또한, 크로스포비돈의 입자 크기가 제조된 구강 붕해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입자 크기가 110 내지 130 μm 범위인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크로스포비돈과 입자 크기가 3 내지 30 μm 범위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그 크기가 매우 작은 크로스포비돈 수퍼 피네(Super Fine)로 나누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구강 붕해정을 제조한 후, 그의 경도, 붕해시간 및 입안 이물감을 평가하였다.
참고로, 시중에 유통중인 구강붕해 정제용 부형제에는 붕해제가 별도로 포함되어 있어 별도로 붕해제는 추가하지 않고 활택제로 스테아르산마그네슘만 추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orm. No 경도 붕해시간 입안 이물감
제조예 1 3.8~5.9 kp 40초 이물감 거의 없음
제조예 2 4.3~5.1 kp 1분 입안에서 잘 녹지 않고, 이물감 있음
제조예 3 4.2~4.4kp 16초 약간 쓴맛이 나며, 이물감 있음
제조예 4 2.5~3.4kp 24초 이물감 거의 없음
제조예 5 4.95~5.05 kp 12초 이물감 거의 없음
제조예 6 7.6~8.3 kp 14초 이물감 거의 없음
그 결과,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시중에 유통중인 부형제보다 만니톨100SD와 크로스포비돈을 혼합한 제조예 4가 경도가 적정하면서도 이물감이 거의 없고 붕해시간도 20초 미만으로 짧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제조예 2와 3의 경우 물에 용해되지 않는 미결정셀룰로오스가 포함되어 있어 잘 녹지 않고 이물감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제조예 4의 경우 전분이 포함되어 있어 경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예상되었다.
특히, 입자 크기가 110 내지 130 μm 범위의 일반 크로스포비돈을 사용한 제조예 5보다 그 입자 크기가 3 내지 30 μm 범위로 매우 작은 크기의 크로스포비돈 Super Fine(이하, 크로스포비돈 SF)를 사용한 제조예 6이 경도가 7 내지 8 kp로 우수하면서 붕해시간은 여전히 20초 미만으로 현저히 짧고, 동시에 이물감도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슈퍼붕해제인 크로스포비돈은 압축성이 우수하지 않은 것이 통상적인데 반해, 상기 결과를 보면, 크로스포비돈 SF는 오히려 압축성을 높여 경도를 현저히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일반 크기의 크로스포비돈보다는 입자크기가 3 내지 30 μm 범위의 크로스포비돈 수퍼 피네를 사용하는 경우가 공극률을 높여 압축성을 증가시키며, 동시에 짧은 붕해시간을 유지하여 구강 붕해제로 사용하기에 더 좋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크로스포비돈 SF 사용량 결정
만니톨100SD와 크로스포비돈 SF를 포함하는 구강 붕해정에서 최적의 크로스포비돈 SF의 양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5와 같은 조성으로 실시예 1의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구강 붕해정을 제조하였다. 이 후, 제조된 구강 붕해정의 경도와 붕해시간을 측정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원료명 제조예 7 제조예 8 제조예 9 제조예 10
만니톨100SD 4.95 g 4.85 g 4.75 g 4.65 g
자일리톨
크로스포비돈 SF 0.1 g 0.2 g 0.3 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0.05 g 0.05 g 0.05 g 0.05 g
총량 5.0 g 5.0 g 5.0 g 5.0 g
Form. No 경도 붕해시간
제조예 7 5.2~6.1 kp 3분 40초
제조예 8 5.5~6.7 kp 1분 10초
제조예 9 7.2~8.4 kp 16초
제조예 10 7.3~8.6 kp 15초
그 결과 상기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크로스포비돈 SF의 중량비가 4% 이상이 될 때, 그 이하인 경우 대비 경도가 현저히 높고, 붕해시간 또한 월등히 짧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청량감을 위한 연구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구강 붕해정은 생산과 유통 중 발생하는 깨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수준 이상의 경도가 확보되어야 하며, 동시에 입안에서 잘 붕해되도록 붕해시간이 빨라야 한다. 또한, 구강 내로 투여되므로 이물감도 낮으면서 청량감을 동시에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을 통해 경도와 붕해시간이 가장 짧은 만니톨100SD와 크로스포비돈 SF의 조합에 청량감을 부여할 수 있는 자일리톨을 추가하되, 경도와 붕해시간이 유사하거나 그 이상으로 증가되면서 동시에 청량감을 부여하는 조성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7과 같은 조성비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강 붕해정을 제조한 후, 각 구강 붕해정의 경도와 붕해시간 및 청량감을 평가하였으며, 청량감은 건강한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청량감의 5점 척도(5로 갈수록 청량감 높음)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8과 같다.
원료명 제조예 11 제조예 12 제조예 13 제조예 14 제조예 15 제조 예 16 제조예 17 제조예 18 제조예 19 제조예 20 제조예 21 제조예 22 제조예 23 제조예 24 제조예 25
만니톨100SD 4.25 g 3.75g 3.25g 2.75g 2.25g 1.75g 1.25g 0.75g 0.25g - 47.5g 42.5g 40g 37.5g 35g
자일리톨 0.5g 1g 1.5g 2.0g 2.5g 3.0g 3.5g 4.0g 4.5g 4.75g - 5g 7.5g 10.0g 12.5g
크로스포비돈SF 0.2g 0.2g 0.2g 0.2g 0.2g 0.2g 0.2g 0.2g 0.2g 2g 2g 2g 2g 2g 2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0.05g 0.05g 0.05g 0.05g 0.05g 0.05g 0.05g 0.05g 0.05g 0.05g
스테아릴푸마르산나트륨 0.5g 0.5g 0.5g 0.5g 0.5g
총량 5.0g 5.0g 5.0g 5.0g 5.0g 5.0g 5.0g 5.0g 5.0g 5.0g 50.0g 50.0g 50.0g 50.0g 50.0g
Form. No 경도 붕해시간 청량감
제조예 9 7.2~8.4 kp 20초 이내 3
제조예 11 6.8~7.3 kp 20초 이내 4
제조예 12 5.1~5.8 kp 20초 이내 5
제조예 13 4.2~4.9 kp 20초 이내 5
제조예 14 2.7~3.0 kp 20초 이내 5
제조예 15 2.2~2.4 kp 20초 이내 5
제조예 16 1.6~1.8 kp 20초 이내 5
제조예 17 1.2~1.3 kp 20초 이내 5
제조예 18 1.0 kp 이하 20초 이내 5
제조예 19 1.0 kp 이하 20초 이내 5
제조예 20 1.0 kp 이하 20초 이내 5
제조예 21 8.1~9.3 kp 20초 이내 3
제조예 22 7.6~8.5 kp 20초 이내 4
제조예 23 7.1~7.8 kp 20초 이내 5
제조예 24 6.4~6.7 kp 20초 이내 5
제조예 25 5.5~5.9 kp 20초 이내 5
그 결과 상기 표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일리톨이 포함되지 않은 제조예 9 대비 자일리톨을 추가한 경우 청량감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청량감이 증가되는 것과 반대로 경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청량감을 높이기 위하여 자일리톨의 함량을 높인 제조예 14 내지 20의 경우 경도가 현저히 낮아 생산과 유통 중 깨짐 현상이 발생할 위험이 확인되었는바, 이를 통하여 자일리톨은 전체 질량 대비 30% 이내가 가장 적정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제조예 12 내지 20 및 23 내지 2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일리톨이 20% 이상일 때는 청량감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함량을 50g으로 높이되 각 성분이 전체 조성물 대비 포함되는 비율은 동일한 경우에도 이와 같은 특성이 유지되는지를 확인해 본 결과, 제조예 21 내지 2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경우에도 자일리톨의 함유량이 20% 이상일 때는 청량감의 변화는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구강 붕해정으로서의 적정한 경도와 붕해시간을 가지면서 동시에 청량감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구강 붕해정의 각 성분 함량의 최적 비율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만니톨, 입자 크기가 3 내지 30 μm 범위인 크로스포비돈 수퍼 피네;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구강 붕해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붕해정은 경도가 5 내지 9kp 범위이고, 동시에 붕해시간은 20초 이내인 것이 특징인, 구강 붕해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니톨은 구강 붕해정 총 중량 대비 60 내지 9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인, 구강 붕해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포비돈 수퍼 피네는 구강 붕해정 총 중량 대비 4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구강 붕해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일리톨은 구강 붕해정 총 중량 대비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구강 붕해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붕해정은 활택제, 착향제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구강 붕해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향제는 페퍼민트 향, 스피아민트 향, 과일 향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구강 붕해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착향제는 구강 붕해정 총 중량 대비 0.3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구강 붕해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활택제는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금속염류, 스테아릴푸마르산나트륨, 탈크, 콜로이드 실리카, 자당 지방산에스테르, 수소화 식물성 오일, 왁스,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류, 글리세롤 디베헤네이트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구강 붕해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활택제는 구강 붕해정 총 중량 대비 0.3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구강 붕해정.
KR1020180009499A 2018-01-25 2018-01-25 경도 및 청량감이 우수한 구강 붕해정 KR102047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499A KR102047503B1 (ko) 2018-01-25 2018-01-25 경도 및 청량감이 우수한 구강 붕해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499A KR102047503B1 (ko) 2018-01-25 2018-01-25 경도 및 청량감이 우수한 구강 붕해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597A true KR20190090597A (ko) 2019-08-02
KR102047503B1 KR102047503B1 (ko) 2019-11-21

Family

ID=67614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499A KR102047503B1 (ko) 2018-01-25 2018-01-25 경도 및 청량감이 우수한 구강 붕해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5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7540A (zh) * 2020-02-28 2021-08-3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包含糖醇的颗粒组合物以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1282A (ko) * 2008-09-12 2010-03-22 보령제약 주식회사 메만틴염산염 구강 속붕해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1282A (ko) * 2008-09-12 2010-03-22 보령제약 주식회사 메만틴염산염 구강 속붕해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7540A (zh) * 2020-02-28 2021-08-3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包含糖醇的颗粒组合物以及其制备方法
CN113317540B (zh) * 2020-02-28 2024-02-09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包含糖醇的颗粒组合物以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503B1 (ko)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803B1 (ko) 구강내 붕괴 정제
RU2189227C2 (ru) Быстро распадающиеся прессованные в формах материалы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KR101612137B1 (ko) 구강 내 붕괴정
RO118563B1 (ro) Compozitie orala, dozata, cu dezagregare instantanee, si procedeu de obtinere a acesteia
KR20130030306A (ko) 약학 조성물
JP2001058944A (ja) 速崩壊性固形製剤
JP3996626B2 (ja) 口腔内速崩壊錠
RU2174837C2 (ru) Быстрораспадающаяся готовая препаративная форма трамадола или соли трамадола
JP2001163770A (ja) 口腔内速崩壊型錠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5337430B2 (ja) 口腔内速崩壊錠
WO2014209022A1 (en) Chewable tablet formulation comprising tadalafil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KR102047503B1 (ko) 경도 및 청량감이 우수한 구강 붕해정
US20210244730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n antitumor agent
KR101683293B1 (ko) 경구용 조성물
CN102100902B (zh) 四逆泡腾片
HUE031792T2 (en) New alfentanil preparation for the treatment of acute pain
Nasreen et al. Mouth dissolving tablets-A unique dosage form curtailed for special purpose: a review
KR20140076998A (ko) 에스오메프라졸 유리염기 또는 그의 알칼리염을 포함하는 고미가 차폐된 약학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555316B (zh) 通过二阶段的湿式制粒工序制备的崩解性颗粒组合物及含有该组合物的口腔内崩解片剂
KR20110007065A (ko) 구강내 붕괴정 및 그 제조 방법
US10016471B2 (en) Soli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brown algae
KR101501889B1 (ko) 저용량 라모세트론 함유 구강 내 붕괴정
JP7012492B2 (ja) 錠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54966B2 (ja) 固形製剤
KR101340733B1 (ko) 신규한 마이크로그래뉼 제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