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569A - 습식배연 탈황장치 - Google Patents
습식배연 탈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90569A KR20190090569A KR1020180009421A KR20180009421A KR20190090569A KR 20190090569 A KR20190090569 A KR 20190090569A KR 1020180009421 A KR1020180009421 A KR 1020180009421A KR 20180009421 A KR20180009421 A KR 20180009421A KR 20190090569 A KR20190090569 A KR 201900905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w rate
- exhaust gas
- control valve
- flue gas
- wet flu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가스의 유속 또는 이산화황 농도에 따라 배기가스와 기-액 접촉하기 위한 흡수용액의 분사높이(유량)를 제어할 수 있는 습식배연 탈황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기가스의 유속 또는 이산화황 농도에 따라 분사부를 통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전체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기가스와 흡수용액의 반응을 극대화하고 유속 균일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습식배연 탈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기가스의 유속 또는 이산화황 농도에 따라 배기가스와 기-액 접촉하기 위한 흡수용액의 분사높이(유량)를 제어할 수 있는 습식배연 탈황장치에 관한 것이다.
황을 함유한 연료가 연소될 때, 황은 재에 붙은 것을 제외하고 이산화황(SO2)의 형태로 대기로 방출된다. 이러한 이산화황은 대기오염을 유발하며 지구상에 산성비를 내리게 하여 인체 및 동물 뿐만 아니라 환경에 상당히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이를 위해, 환경보호 차원에서 대규모의 소각 시설 및 발전소에는 통상적으로 배기가스 탈황장치가 설치되어 왔는데, 그들중 대부분은 습식배연 탈황장치이다.
습식 탈황 공정에 있어서, 배기가스는 석회와 같은 알칼리를 함유한 흡수유체와 기체-액체 접촉(gas-liquid contact)하게되고, 그에 따라 이산화황이 배기가스로부터 흡수되고 제거된다. 이때, 배기가스와 흡수유체의 기액접촉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되지만 분무방식의 접촉방법이 세계적으로 많이 채용되고 있다.
그 결과, 배기가스로부터 흡수된 이산화황은 흡수 유체에 아황산염(Sulfite)을 형성하며, 이러한 아황산염은 통상적으로 공기를 흡수 유체 내로 불어넣는 것에 의해 산화되어 부산물인 석고를 형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습식배연 탈황장치는, 흡수유체의 분무에 의해 배기가스와의 기액접촉이 이루어지는 흡수탑과, 흡수탑에서 생성된 아황산염을 산화하는 산화탑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수탑에 공급되는 흡수유체(예를 들어, 석회석과 물의 혼합물인 석회석슬러리)의 유량은 배기되는 가스량과 배기가스 중의 이산화황의 농도, 그리고 탈황률의 요구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흡수탑 내에서 흡수유체를 분무하는 복수의 분무단의 유량은 분무노즐의 크기 및 간격에 의해 결정되며 각 분무단마다의 유량은 동일하다. 따라서, 배기가스 중의 이산화황의 농도가 높은 플랜트에서는 유량이 일정한 분무단의 수를 증가시켜야 하며, 흡수탑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배기가스의 유속 또는 이산화황 농도에 따라 배기가스와 기-액 접촉하기 위한 흡수용액의 분사높이(유량)를 제어할 수 있는 습식배연 탈황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알칼리성 흡수재를 포함하는 흡수용액이 저장된 흡수탱크와, 상기 흡수탱크의 상부로 연장되는 흡수탑과, 상기 흡수탑의 일측에 구비되는 배기가스 입구덕트와, 상기 흡수탑의 타측에 구비되는 배기가스 출구덕트와, 상기 흡수탱크 내의 흡수용액을 상기 흡수탑의 내부에서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 및 상기 흡수탱크에 산소 함유 가스를 공급하는 산소공급관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부에 의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습식배연 탈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분사부는, 상기 흡수탑에 설치되는 복수의 헤더파이프와, 상기 각각의 헤더파이프에 설치되는 복수의 분사노즐과, 상기 흡수탱크 내의 흡수용액을 상기 헤더파이프로 공급하기 위한 순환 펌프와, 상기 순환 펌프에 연결되는 제1 연결배관 및 상기 제1 연결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각각의 헤더파이프와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연결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배관에는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배관으로 유입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2 연결배관에는 각각에 연결되는 헤더파이프로 유입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2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전동식 밸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 펌프를 보조하기 위한 부스터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헤더파이프는 상기 흡수탑 내에 수평으로 설치되되, 배기가스가 상기 입구덕트로 유입되어 유동되는 방향과 수직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구덕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입구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유속을 측정하기 위한 유속 측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속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증가시키며, 상기 유속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흡수탑 내부의 복수의 구역에 설치되어 각 구역에서의 배기가스의 유속을 측정하기 위한 유속측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일 구역에서 상기 유속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 구역에 배치되는 헤더파이프에 연결되는 제2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증가시키며,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일 구역에서 상기 유속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일 구역에 배치되는 헤더파이프에 연결되는 제2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속측정기는 상기 입구덕트가 설치되는 위치로부터의 수평거리에 따라 나뉘는 복수의 구역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구덕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입구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농도측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농도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증가시키며, 상기 농도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흡수탑 내부의 복수의 구역에 설치되어 각 구역에서의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농도측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일 구역에서 상기 농도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 구역에 배치되는 헤더파이프에 연결되는 제2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증가시키며,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일 구역에서 상기 농도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일 구역에 배치되는 헤더파이프에 연결되는 제2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유속측정기 또는 상기 농도측정기는 상기 유입덕트와 상기 헤더파이프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속측정기 또는 상기 농도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 또는 이산화황 농도에 따라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 또는 상기 제2 유량조절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습식배연 탈황장치의 분사부에 의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속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과 미리 설정된 값을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 상기 비교단계에 의해 비교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 또는 상기 제2 유량조절밸브를 조절하는 유량조절단계를 포함하는, 습식배연 탈황장치의 분사유량 조절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유량조절단계는, 상기 유속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 또는 상기 제2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이 증가하도록 조절하며, 상기 유속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 또는 상기 제2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이 감소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습식배연 탈황장치의 분사부에 의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와 미리 설정된 값을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 상기 비교단계에 의해 비교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 또는 상기 제2 유량조절밸브를 조절하는 유량조절단계를 포함하는, 습식배연 탈황장치의 분사유량 조절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유량조절단계는, 상기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 또는 상기 제2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이 증가하도록 조절하며, 상기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 또는 상기 제2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이 감소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가스의 유속 또는 이산화황 농도에 따라 분사부를 통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유량(분사높이)을 전체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기가스와 흡수용액의 반응을 극대화하고 유속 균일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궁극적으로, 배기가스의 탈황 효율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습식배연 탈황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분사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습식배연 탈황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도 3의 분사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분사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습식배연 탈황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도 3의 분사부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습식배연 탈황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아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습식배연 탈황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분사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습식배연 탈황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분사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습식배연 탈황장치는, 특히 보일러 등의 배기 가스로부터 습식 탈황에 의해 이산화황(SO₂)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도 1 및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습식배연 탈황장치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습식배연 탈황장치는 크게, 흡수탱크(100), 흡수탑(200), 배기가스 입구덕트(210), 배기가스 출구덕트(220), 분사부(300), 산소공급관(400), 부산물 배출부(500), 유속측정기(600) 또는 농도측정기(700), 및 제어부(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흡수탱크(100)에는 알칼리성 흡수재를 포함하는 흡수용액이 저장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알칼리성 흡수재로 석회석(CaCO3)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흡수탱크(100)는 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사각형의 탱크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흡수탑(200)은 상기 흡수탱크(100)의 상부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흡수탱크(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수탑(200)의 일측에는 배기가스가 유입되기 위한 배기가스 입구덕트(210)가 구비되며, 상기 흡수탑(200)의 타측에는 정화된 배기가스가 배출되기 위한 배기가스 출구덕트(220)가 구비되고 있다. 상기 출구덕트(220)에는 습분제거기(Mist Eliminator; 222)가 설치되어 흡수용액 상에 존재하는 습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입구덕트(210)는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흡수탑(200)의 좌측 하부에 구비되고 있으며, 상기 출구덕트(220)는 상기 흡수탑(200)의 우측 상부에 구비되고 있다.
상기 입구덕트(210)와 출구덕트(22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입구덕트(210)를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후술할 스프레이(230)에 의해 분사되는 흡수용액과 접촉된 후 상기 출구덕트(2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부(300)는 상기 흡수탱크(100) 내의 흡수용액을 상기 흡수탑(200)의 내부에서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분사부(300)는, 상기 흡수탑(200)에 설치되는 복수의 헤더파이프(310)와, 상기 각각의 헤더파이프(310)에 설치되는 복수의 분사노즐(317)과, 상기 흡수탱크(100) 내의 흡수용액을 상기 헤더파이프(310)로 공급하기 위한 순환 펌프(320)와, 상기 순환 펌프(320)에 연결되는 제1 연결배관(330) 및 상기 제1 연결배관(330)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각각의 헤더파이프(310)와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연결배관(3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헤더파이프(310)는 상기 입구덕트(210)보다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입구덕트(210)를 통해 흡수탑(200)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상기 복수의 헤더파이프(310)를 통과하여 상기 출구덕트(220)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헤더파이프(310)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흡수탑(200) 내에 수평으로 설치되되, 배기가스가 상기 입구덕트(210)로 유입되어 유동되는 방향과 수직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있다.
즉, 상기 흡수탑(200) 내에 제1 내지 제6 헤더파이프(311~316)가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1 헤더파이프(311)에서 제6 헤더파이프(316)로 갈수록 상기 흡수탑(200)에 입구덕트(210)가 구비되는 위치로부터의 수평거리가 멀어진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헤더파이프의 개수와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헤더파이프가 상기 흡수탑(200)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각각의 헤더파이프(310)에는 복수의 분사노즐(317)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헤더파이프(3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흡수용액이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317)을 통해 상기 흡수탑(200)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317)에 의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은 조절 가능하며, 이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헤더파이프(310)로 흡수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상기 순환 펌프(320)는 상기 흡수탱크(100)에서 흡수용액을 회수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탈황반응이 이루어짐에 따라 생성되는 부산물, 본 실시 예에서는 석고(CaSO4·2H2O)가 많은 양 혼재되지 않고 미반응된 석회석이 많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흡수탱크(100)의 상측에서 흡수용액을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순환 펌프(320)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배관(330, 340)을 통해 복수의 헤더파이프(310)로 공급된 후 상기 분사노즐(317)에 의해 분무되는 흡수 용액과 상기 입구덕트(210)를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기체-액체 접촉하게 되고, 상기 흡수 용액이 배기가스 내에 존재하는 이산화황을 흡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흡수탑(200)에서는 아래와 같은 반응이 이루어지게 된다.
(1) SO2 + H2O → H+ + HSO3-
이때, 상기 흡수탑(200)을 통과하는 배기가스가 흡수용액과 접촉되지 않고 지나가는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헤더파이프(310)와 분사노즐(317)은 상기 흡수탑(200)의 수평단면에 있어서 모든 위치에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산화황이 제거된 배기 가스는 상기 출구덕트(220)를 통해 배출되며, 이산화황을 흡수한 흡수 용액은 다시 상기 흡수탱크(100)의 내부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흡수탱크(100)에는 산소 함유 가스, 본 실시 예에서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관(400)이 설치된다.
상기 산소공급관(400)에 의해 흡수탱크(100)의 흡수용액 내로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흡수탱크(100) 내에서는 아황산염(또는 아황산이온)의 산화 반응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산화된 황산염과 흡수재로서 석회석이 반응하여 부산물로서 석고가 형성된다. 형성된 석고는 상기 흡수용액 내에서 부유되며 상기 흡수 탱크(100)의 하측으로 가라앉게 된다.
이때, 효율적인 산화 반응을 위해 흡수용액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미세하게 분할되어 공급되도록 하거나 상기 흡수탱크(100) 내의 흡수용액을 교반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흡수탱크(100)에서는 아래와 같은 반응이 이루어지게 된다.
(2) H+ + HSO3- + 1/2 O2 → 2H+ + SO42-
(3) 2H+ + SO42- + CaCO3 + H2O → CaSO4·2H2O + CO2
상기 흡수탱크(100)의 하부에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석고가 배출되기 위한 부산물 배출부(500)가 구비된다. 상기 부산물 배출부(500)는 배출펌프(520)와 고-액분리기(540)를 포함하여, 석고를 함유하는 흡수 용액이 상기 배출펌프(520)에 의해 회수되어 상기 고-액분리기(540)로 도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체물질인 석고와 여과액으로 분리됨으로써 흡수된 이산화황이 완전하게 제거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여과액은 여과탱크(미도시)로 전달되어 석회와 혼합된 뒤 다시 상기 흡수탱크(100)로 복귀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분사부(300)에 의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구조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연결배관(330)에는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배관(340)으로 유입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유량조절밸브(33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332)는 전동식 밸브일 수 있으며, 전기적 신호를 받아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332)를 통해 유입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은 배기가스의 유속 또는 이산화황 농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입구덕트(210) 상에는 이를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유속 또는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유속측정기(600) 또는 농도측정기(700)가 설치될 수 있다.
우선, 유속측정기(600)가 설치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유속측정기(600)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332)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증가시키며, 상기 유속측정기(600)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332)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값은 상기 분사부(300)를 통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기본 유량이 유지되기 위한 적절한 배기가스의 유속값일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값이 아닌 적절한 배기가스의 유속의 범위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유속측정기(600)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최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332)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증가시키며, 미리 설정된 최소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332)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332)에 의해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배관(340) 각각에 공급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이 동일하게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복수의 헤더파이프(310) 각각에 공급되어 상기 분사노즐(317)을 통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이 동일하게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분사노즐(317)을 통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분사높이가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분사부(300)에 의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유속 측정기(600)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과 미리 설정된 값을 비교하며(비교단계), 상기 비교단계에 의해 비교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332)를 조절할 수 있다(유량조절단계).
이때 상기 유량조절단계는, 상기 유속 측정기(600)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332)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이 증가하도록 조절하며, 미리 설정된 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332)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이 감소하도록 조절한다.
상기 비교단계와 유량조절단계는 후술할 제어부(8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기가스의 유속에 따라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332)를 통해 유입되는, 즉 상기 제1 및 제2 연결배관(330, 340)을 통해 상기 복수의 헤더파이프(310)로 유입되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조절함에 따라, 유속이 높은 경우에는 유량을 증가시켜 상기 분사노즐(317)로부터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분사높이를 증가시킴으로써 배기가스의 유속이 빠르더라도 흡수용액과 기액접촉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면적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며, 유속이 낮은 경우에는 유량을 감소시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농도측정기(700)가 설치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농도측정기(700)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332)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증가시키며, 상기 농도측정기(700)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332)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분사부(300)에 의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농도 측정기(700)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와 미리 설정된 값을 비교하며(비교단계), 상기 비교단계에 의해 비교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332)를 조절할 수 있다(유량조절단계).
이때 상기 유량조절단계는, 상기 농도 측정기(700)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332)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이 증가하도록 조절하며, 미리 설정된 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332)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이 감소하도록 조절한다.
상기 비교단계와 유량조절단계는 후술할 제어부(8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에 따라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332)를 통해 유입되는, 즉 상기 제1 및 제2 연결배관(330, 340)을 통해 상기 복수의 헤더파이프(310)로 유입되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조절함에 따라, 이산화황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유량을 증가시켜 상기 분사노즐(317)로부터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분사높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이산화황의 흡수를 위해 흡수용액과 기액접촉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면적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며, 유속이 낮은 경우에는 유량을 감소시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배관(330)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 펌프(320)를 보조하기 위한 부스터 펌프(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량의 증가 시 상기 순환 펌프(320)의 용량이 부족하더라도 상기 부스터 펌프(350)를 가동함으로써 충분한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기존에 이미 설치되어있던 순환펌프에 부스터 펌프를 더 구비함으로써 유량의 증가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유량이 증가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부스터 펌프(350)가 가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속측정기(600) 또는 상기 농도측정기(700)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 또는 이산화황 농도에 따라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33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유속측정기(600) 또는 농도측정기(700)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 또는 이산화황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332)가 더 열리도록 조절 제어하여 이를 통해 유입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증가시키도록 하며, 상기 유속측정기(600) 또는 농도측정기(700)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 또는 이산화황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332)가 더 닫히도록 조절 제어하여 이를 통해 유입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1 유량제어밸브(332)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해 전기적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3 및 4를 참고하여 상기 분사부(300)를 통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국부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습식배연 탈황장치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습식배연 탈황장치는 크게, 흡수탱크(100), 흡수탑(200), 배기가스 입구덕트(210), 배기가스 출구덕트(220), 분사부(300), 산소공급관(400), 부산물 배출부(500), 유속측정기(1600) 또는 농도측정기(1700), 및 제어부(1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수탱크(100), 흡수탑(200), 입구덕트(210), 출구덕트(220), 산소공급관(400) 및 부산물 배출부(5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다르지 않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분사부(300)는 상기에서 설명한 일 실시 예에서의 분사부와 동일하나,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332)와 함께 상기 각각의 제2 연결배관(340)에는 각 배관에 연결되는 헤더파이프(310)로 유입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2 유량조절밸브(342)가 더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 유량조절밸브(342)는 제1 유량조절밸브(332)와 마찬가지로 전동식 밸브일 수 있으며, 전기적 신호를 받아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량조절밸브(342)를 통해 유입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은 아래에서 설명할 바와 같이 복수의 각 영역에 따른 배기가스의 유속 또는 이산화황 농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317)에 의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전체적인 유량을 조절 가능함은 물론, 상기 각각의 헤더파이프(310)로 공급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함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317)에 의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개별적인 유량도 조절 가능하다. 즉, 상기 분사부(300)를 통해 분사되는 흡수용액 유량의 국부적인 조절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흡수탑(200) 내부의 복수의 구역에는 각 구역에서의 배기가스의 유속 또는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유속측정기(1600) 또는 복수의 농도측정기(1700)가 설치될 수 있다.
우선, 복수의 유속측정기(1600)가 설치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복수의 유속측정기(1600)는 상기 흡수탑(200) 내부의 복수의 구역에 설치되되, 상기 흡수탑(200)에 입구덕트(210)가 설치되는 위치로부터의 수평거리에 따라 나뉘는 복수의 구역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헤더파이프(310)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방향을 따라 가까운 거리에서부터 먼 거리까지 복수의 유속측정기(16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헤더파이프(311, 312)가 배치되는 영역에 제1 유속측정기(1620)가, 상기 제3 및 제4 헤더파이프(313, 314)가 배치되는 영역에 제2 유속측정기(1640)가, 상기 제5 및 제6 헤더파이프(315, 316)가 배치되는 영역에 제3 유속측정기(1660)가 설치되고 있다.
상기 복수의 헤더파이프(310)와 복수의 유속측정기(1600)의 개수 또는 배치관계는 상기 흡수탱크(100)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유속측정기(1600)는 상기 유입덕트(210)와 상기 헤더파이프(3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헤더파이프(310)를 통과하기 전의 배기가스의 유속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일 구역에서 상기 유속측정기(1600)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 구역에 배치되는 헤더파이프(310)에 연결되는 제2 유량조절밸브(342)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증가시키며,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일 구역에서 상기 유속측정기(1600)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일 구역에 배치되는 헤더파이프(310)에 연결되는 제2 유량조절밸브(342)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각각의 제2 유량조절밸브(342)에 의해 유입되는 유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헤더파이프(310) 각각에 공급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개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복수의 헤더파이프(310) 각각에 공급되어 이에 설치되는 상기 분사노즐(317)을 통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이 개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분사노즐(317)을 통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분사높이가 개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입덕트(210)를 통해 배기가스가 흡수탑(200) 내부로 유입되어 유동될 경우, 상기 유입덕트(210)와 가까운 측의 유속은 빠르고, 먼 측의 유속은 느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유속측정기(1620)에 의해 측정되는 배기가스의 유속은 미리 설정된 유속의 범위의 최대값을 초과하고, 상기 제2 유속측정기(1640)에 의해 측정되는 배기가스의 유속은 미리 설정된 유속의 범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3 유속측정기(1660)에 의해 측정되는 배기가스의 유속은 미리 설정된 유속의 범위의 최소값보다 느리게 측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유속측정기(1620)의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헤더파이프(311, 312)에 연결되는 제2 유량조절밸브(342)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증가시키며, 상기 제3 유속측정기(1660)의 영역에 배치되는 제5 및 제6 헤더파이프(315, 316)에 연결되는 제2 유량조절밸브(342)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헤더파이프(311, 312)의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분사높이가 가장 높게 형성되며, 상기 제5 및 제6 헤더파이프(315, 316)의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분사높이가 가장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분사부(300)에 의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정확하게는 상기 복수의 헤더파이프(310) 각각에 의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유속 측정기(1600)에 의해 측정된 각 구역의 배기가스의 유속과 미리 설정된 값을 비교하며(비교단계), 상기 비교단계에 의해 비교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유량조절밸브(342)를 조절할 수 있다(유량조절단계).
이때 상기 유량조절단계는, 상기 유속 측정기(1600)에 의해 측정된 일 영역에서의 배기가스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 영역에 배치되는 헤더파이프(310)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유량조절밸브(342)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이 증가하도록 조절하며, 미리 설정된 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일 영역에 배치되는 헤더파이프(310)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유량조절밸브(342)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이 감소하도록 조절한다.
또한, 상기 유량조절단계는, 상기 유속 측정기(1600)에 의해 측정된 복수의 영역에서의 배기가스의 유속에 따라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332)를 함께 조절하여 상기 제1 연결배관(330)을 통해 유입되는 흡수용액의 전체 유량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비교단계와 유량조절단계는 후술할 제어부(18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 영역에서의 배기가스의 유속에 따라 상기 각각의 제2 유량조절밸브(342)를 통해 유입되는, 즉 상기 각각의 헤더파이프(310)로 유입되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함에 따라, 유속이 높은 영역에서는 유량을 증가시켜 상기 분사노즐(317)로부터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분사높이를 증가시킴으로써 배기가스의 유속이 빠르더라도 흡수용액과 기액접촉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면적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며, 유속이 낮은 경우에는 유량을 감소시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배기가스가 상기 복수의 헤더파이프(310)를 통과한 후에는 유속이 전체적으로 균일화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농도측정기(1700)가 설치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복수의 농도측정기(1700)는 상기 흡수탑(200) 내부의 복수의 구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유속측정기(1600)와 마찬가지로 상기 흡수탑(200)에 입구덕트(210)가 설치되는 위치로부터의 수평거리에 따라 나뉘는 복수의 구역에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복수의 헤더파이프(310)와 복수의 농도측정기(1700)의 개수 또는 배치관계는 상기 흡수탱크(100)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농도측정기(1700)는 상기 유입덕트(210)와 상기 헤더파이프(3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헤더파이프(310)를 통과하기 전의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일 구역에서 상기 농도측정기(1700)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 구역에 배치되는 헤더파이프(310)에 연결되는 제2 유량조절밸브(342)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증가시키며,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일 구역에서 상기 농도측정기(1700)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일 구역에 배치되는 헤더파이프(310)에 연결되는 제2 유량조절밸브(342)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각각의 제2 유량조절밸브(342)에 의해 유입되는 유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헤더파이프(310) 각각에 공급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개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복수의 헤더파이프(310) 각각에 공급되어 이에 설치되는 상기 분사노즐(317)을 통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이 개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분사노즐(317)을 통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분사높이가 개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분사부(300)에 의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정확하게는 상기 복수의 헤더파이프(310) 각각에 의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농도 측정기(1700)에 의해 측정된 각 구역의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와 미리 설정된 값을 비교하며(비교단계), 상기 비교단계에 의해 비교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유량조절밸브(342)를 조절할 수 있다(유량조절단계).
이때 상기 유량조절단계는, 상기 농도 측정기(1700)에 의해 측정된 일 영역에서의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 영역에 배치되는 헤더파이프(310)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유량조절밸브(342)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이 증가하도록 조절하며, 미리 설정된 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일 영역에 배치되는 헤더파이프(310)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유량조절밸브(342)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이 감소하도록 조절한다.
또한, 상기 유량조절단계는, 상기 농도 측정기(1700)에 의해 측정된 복수의 영역에서의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에 따라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332)를 함께 조절하여 상기 제1 연결배관(330)을 통해 유입되는 흡수용액의 전체 유량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비교단계와 유량조절단계는 후술할 제어부(18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 영역에서의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에 따라 상기 각각의 제2 유량조절밸브(342)를 통해 유입되는, 즉 상기 각각의 헤더파이프(310)로 유입되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함에 따라, 이산화황의 농도가 높은 영역에서는 유량을 증가시켜 상기 분사노즐(317)로부터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분사높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이산화황의 흡수를 위해 흡수용액과 기액접촉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면적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며, 유속이 낮은 경우에는 유량을 감소시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연결배관(330)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 펌프(320)를 보조하기 위한 부스터 펌프(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속측정기(1600) 또는 상기 농도측정기(1700)에 의해 측정된 복수의 각 영역에서의 배기가스의 유속 또는 이산화황 농도에 따라 상기 제2 유량조절밸브(34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0)는 상기 유속측정기(1600) 또는 농도측정기(1700)에 의해 측정된 복수의 구역 중 일 구역에서의 배기가스의 유속 또는 이산화황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일 구역에 배치되는 헤더파이프(310)에 연결되는 제2 유량조절밸브(342)가 더 열리도록 조절 제어하여 이를 통해 유입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증가시키도록 하며, 상기 유속측정기(1600) 또는 농도측정기(1700)에 의해 측정된 복수의 구역 중 일 구역에서의 배기가스의 유속 또는 이산화황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일 구역에 배치되는 헤더파이프(310)에 연결되는 제2 유량조절밸브(342)가 더 닫히도록 조절 제어하여 이를 통해 유입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0)는 상기 제2 유량제어밸브(342)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해 전기적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0)는 전체적인 배기가스의 유속 또는 이산화황 농도에 따라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332)를 함께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가스의 유속 또는 이산화황 농도에 따라 분사부를 통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유량(분사높이)을 전체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기가스와 흡수용액의 반응을 극대화하고 유속 균일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궁극적으로, 배기가스의 탈황 효율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흡수탱크
200: 흡수탑
210: 입구덕트 220: 출구덕트
222: 습분제거기 300: 분사부
310: 헤더파이프 311~316: 제1 내지 제6 헤더파이프
317: 분사노즐
320: 순환펌프 330: 제1 연결배관
332: 제1 유량조절밸브 340: 제2 연결배관
342: 제2 유량조절밸브 350: 부스터 펌프
400: 산소공급관 500: 부산물 배출부
520: 배출펌프 540: 고액분리기
600, 1600: 유속측정기 700, 1700: 농도측정기
800, 1800: 제어부
210: 입구덕트 220: 출구덕트
222: 습분제거기 300: 분사부
310: 헤더파이프 311~316: 제1 내지 제6 헤더파이프
317: 분사노즐
320: 순환펌프 330: 제1 연결배관
332: 제1 유량조절밸브 340: 제2 연결배관
342: 제2 유량조절밸브 350: 부스터 펌프
400: 산소공급관 500: 부산물 배출부
520: 배출펌프 540: 고액분리기
600, 1600: 유속측정기 700, 1700: 농도측정기
800, 1800: 제어부
Claims (22)
- 알칼리성 흡수재를 포함하는 흡수용액이 저장된 흡수탱크;
상기 흡수탱크의 상부로 연장되는 흡수탑;
상기 흡수탑의 일측에 구비되는 배기가스 입구덕트;
상기 흡수탑의 타측에 구비되는 배기가스 출구덕트;
상기 흡수탱크 내의 흡수용액을 상기 흡수탑의 내부에서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 및
상기 흡수탱크에 산소 함유 가스를 공급하는 산소공급관;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부에 의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습식배연 탈황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흡수탑에 설치되는 복수의 헤더파이프;
상기 각각의 헤더파이프에 설치되는 복수의 분사노즐;
상기 흡수탱크 내의 흡수용액을 상기 헤더파이프로 공급하기 위한 순환 펌프;
상기 순환 펌프에 연결되는 제1 연결배관; 및
상기 제1 연결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각각의 헤더파이프와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연결배관;
을 포함하는, 습식배연 탈황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배관에는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배관으로 유입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는, 습식배연 탈황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2 연결배관에는 각각에 연결되는 헤더파이프로 유입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2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는, 습식배연 탈황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전동식 밸브인, 습식배연 탈황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 펌프를 보조하기 위한 부스터 펌프;
를 더 포함하는, 습식배연 탈황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헤더파이프는 상기 흡수탑 내에 수평으로 설치되되, 배기가스가 상기 입구덕트로 유입되어 유동되는 방향과 수직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습식배연 탈황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덕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입구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유속을 측정하기 위한 유속 측정기;
를 더 포함하는, 습식배연 탈황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증가시키며, 상기 유속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감소시키는, 습식배연 탈황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탑 내부의 복수의 구역에 설치되어 각 구역(area)에서의 배기가스의 유속을 측정하기 위한 유속측정기;
를 더 포함하는, 습식배연 탈황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일 구역에서 상기 유속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 구역에 배치되는 헤더파이프에 연결되는 제2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증가시키며,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일 구역에서 상기 유속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일 구역에 배치되는 헤더파이프에 연결되는 제2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감소시키는, 습식배연 탈황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측정기는 상기 입구덕트가 설치되는 위치로부터의 수평거리에 따라 나뉘는 복수의 구역에 설치되는, 습식배연 탈황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덕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입구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농도측정기;
를 더 포함하는 습식배연 탈황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증가시키며, 상기 농도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감소시키는, 습식배연 탈황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탑 내부의 복수의 구역에 설치되어 각 구역에서의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농도측정기;
를 더 포함하는 습식배연 탈황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일 구역에서 상기 농도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 구역에 배치되는 헤더파이프에 연결되는 제2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증가시키며,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일 구역에서 상기 농도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일 구역에 배치되는 헤더파이프에 연결되는 제2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감소시키는, 습식배연 탈황장치. - 제10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측정기 또는 상기 농도측정기는 상기 유입덕트와 상기 헤더파이프 사이에 설치되는, 습식배연 탈황장치. - 제8항 내지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측정기 또는 상기 농도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 또는 이산화황 농도에 따라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 또는 상기 제2 유량조절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습식배연 탈황장치. -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습식배연 탈황장치의 분사부에 의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속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과 미리 설정된 값을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
상기 비교단계에 의해 비교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 또는 상기 제2 유량조절밸브를 조절하는 유량조절단계;
를 포함하는, 습식배연 탈황장치의 분사유량 조절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단계는, 상기 유속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 또는 상기 제2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이 증가하도록 조절하며, 상기 유속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 또는 상기 제2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이 감소하도록 조절하는, 습식배연 탈황장치의 분사유량 조절방법. -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습식배연 탈황장치의 분사부에 의해 분사되는 흡수용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와 미리 설정된 값을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
상기 비교단계에 의해 비교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 또는 상기 제2 유량조절밸브를 조절하는 유량조절단계;
를 포함하는, 습식배연 탈황장치의 분사유량 조절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단계는, 상기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 또는 상기 제2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이 증가하도록 조절하며, 상기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배기가스의 이산화황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 또는 상기 제2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이 감소하도록 조절하는, 습식배연 탈황장치의 분사유량 조절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9421A KR102080570B1 (ko) | 2018-01-25 | 2018-01-25 | 습식배연 탈황장치 |
CN201910022960.0A CN110075702B (zh) | 2018-01-25 | 2019-01-10 | 同时清除废气中的氮氧化物(NOx)及硫氧化物(SOx)的装置 |
CN202211114764.4A CN115591398A (zh) | 2018-01-25 | 2019-01-10 | 同时清除废气中的氮氧化物(NOx)及硫氧化物(SOx)的装置 |
US16/245,208 US11110391B2 (en) | 2018-01-25 | 2019-01-10 | System for simultaneously removing nitrogen oxides (NOx) and sulfur oxides (SOx) from exhaust ga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9421A KR102080570B1 (ko) | 2018-01-25 | 2018-01-25 | 습식배연 탈황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0569A true KR20190090569A (ko) | 2019-08-02 |
KR102080570B1 KR102080570B1 (ko) | 2020-02-24 |
Family
ID=6761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9421A KR102080570B1 (ko) | 2018-01-25 | 2018-01-25 | 습식배연 탈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057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82425A (zh) * | 2020-04-01 | 2020-06-16 | 扬州绿泉环保工程技术有限公司 | 一种工业废气一体式机械环保处理设备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62903B1 (ko) * | 1995-02-28 | 2000-08-01 | 가노 다다마사 | 고체탈황제이용습식배연탈황방법과장치 |
US20050238549A1 (en) * | 2000-08-01 | 2005-10-27 | Enviroscrub Technologies Corporation | Electronic controls for pollutant removal |
KR100583930B1 (ko) * | 2003-10-16 | 2006-05-26 |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배기가스 처리탑 |
WO2017014200A1 (ja) * | 2015-07-23 | 2017-01-26 |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 湿式排煙脱硫装置及び湿式排煙脱硫装置の運転方法 |
KR101769033B1 (ko) * | 2015-06-26 | 2017-08-17 |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배기가스 처리장치 |
KR101774170B1 (ko) * | 2016-10-12 | 2017-09-04 | (주)큰나무 | 탈황용 액상 철킬레이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2018
- 2018-01-25 KR KR1020180009421A patent/KR1020805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62903B1 (ko) * | 1995-02-28 | 2000-08-01 | 가노 다다마사 | 고체탈황제이용습식배연탈황방법과장치 |
US20050238549A1 (en) * | 2000-08-01 | 2005-10-27 | Enviroscrub Technologies Corporation | Electronic controls for pollutant removal |
KR100583930B1 (ko) * | 2003-10-16 | 2006-05-26 |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배기가스 처리탑 |
KR101769033B1 (ko) * | 2015-06-26 | 2017-08-17 |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배기가스 처리장치 |
WO2017014200A1 (ja) * | 2015-07-23 | 2017-01-26 |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 湿式排煙脱硫装置及び湿式排煙脱硫装置の運転方法 |
KR101774170B1 (ko) * | 2016-10-12 | 2017-09-04 | (주)큰나무 | 탈황용 액상 철킬레이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82425A (zh) * | 2020-04-01 | 2020-06-16 | 扬州绿泉环保工程技术有限公司 | 一种工业废气一体式机械环保处理设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0570B1 (ko) | 2020-0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47196B1 (ko) | 습식 배연 탈황 장치 및 습식 배연 탈황 장치의 운전 방법 | |
CN101557868B (zh) | 海水排烟脱硫系统 | |
JP2009240908A (ja) | 湿式二段排煙脱硫装置及び湿式二段排煙脱硫装置の運用方法 | |
CN106166434A (zh) | 一种臭氧氧化双塔氨法脱硫脱硝工艺及其系统 | |
CN102423616A (zh) | 用于中小型燃煤锅炉的烟气净化设备 | |
KR102059188B1 (ko) | 습식배연 탈황장치 및 습식배연 탈황방법 | |
JP5437151B2 (ja) | 排煙脱硫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酸素燃焼装置と方法 | |
KR102061276B1 (ko) | 습식배연 탈황장치 | |
KR102059185B1 (ko) | 습식배연 탈황장치 | |
KR102048537B1 (ko) | 습식배연 탈황장치 | |
KR102080570B1 (ko) | 습식배연 탈황장치 | |
CN213995395U (zh) | 一种移动式燃煤启动锅炉多种污染物协同脱除系统 | |
KR102059191B1 (ko) | 습식배연 탈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연처리 시스템 | |
JP2014233702A (ja) | 海水脱硫装置及び海水脱硫システム | |
JP3337382B2 (ja) | 排煙処理方法 | |
CN206881495U (zh) | 脱除烟气中二氧化硫和汞的装置 | |
CN202199262U (zh) | 用于中小型燃煤锅炉的烟气净化设备 | |
KR102048539B1 (ko) | 습식배연 탈황장치 | |
ES2363526T3 (es) | Procedimiento para ajustar la concentración de dióxido de azufre en gases de humo. | |
JP3068452B2 (ja) | 湿式排煙脱硫装置 | |
CN203139889U (zh) | 烟气除尘脱硫装置 | |
KR102130840B1 (ko) | 습식배연 탈황장치 | |
KR102048538B1 (ko) | 습식배연 탈황장치 | |
JPH08281056A (ja) | 湿式排煙脱硫装置 | |
CN204522734U (zh) | 烟气处理用脱硫鼓泡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