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349A -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349A
KR20190090349A KR1020190008625A KR20190008625A KR20190090349A KR 20190090349 A KR20190090349 A KR 20190090349A KR 1020190008625 A KR1020190008625 A KR 1020190008625A KR 20190008625 A KR20190008625 A KR 20190008625A KR 20190090349 A KR20190090349 A KR 20190090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image processing
power supply
processing apparatus
ve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1686B1 (ko
Inventor
기요카즈 우미무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0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1Switching on or off, e.g. for saving power when not in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04Software analysis for verifying properties of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7Certifying or maintaining trusted computer platforms, e.g. secure boots or power-downs, version controls, system software checks, secure updates or assessing vulnerabilities
    • G06F21/575Secure boo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1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 G06F3/1217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achieving reduced idle time at the output device or increased asset util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6Loading of operating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907Details of supply connection, e.g. arrangement of power c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38Software related arrangements, e.g. loading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7Certifying or maintaining trusted computer platforms, e.g. secure boots or power-downs, version controls, system software checks, secure updates or assessing vulnerab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40Details not directly involved in printing, e.g. machine management, management of the arrangement as a whole or of its constitutive parts
    • G06K15/4055Managing power consumption, e.g. standby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63Supplying power to th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6Software interface details, e.g. interaction of operat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CPU와,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고 CPU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변경을 검증하고, 검증 결과를 나타내는 통지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한다.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전원 제어 유닛은, 화상 처리 장치가 기동될 때에,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력을 공급하고,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출력된 통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지 신호가 나타내는 검증 결과를 보유하며, 마이크로컴퓨터에의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기동 프로그램의 진본성을 검증하는 보안 부트를 실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년, 기기의 보안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기기가 멀웨어의 공격을 받으면, 기기 내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침입을 받거나, 기기에 보존되어 있는 데이터를 도난당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기기가 공격받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대책으로서, OS 상에서 멀웨어가 실행되지 않도록, 기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보안 부트 기술이 있다. 보안 부트는, 먼저, 기기의 기동시에 BIOS의 기동의 진본성을 검증하고, 이어서 진본성이 유지된 BIOS에 따라 OS의 진본성을 검증하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진본성이 유지된 OS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검증 및 실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기기의 기동시에 차례로 각 프로그램의 정당성을 검증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정당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장치를 기동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3-149135호 공보에는, 기기의 프로그램의 정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디폴트 설정에 의해 보안 부트 기능이 실행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는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은 과제가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디폴트 설정으로 보안 부트 기능을 실행하는 기기에서, 보안 부트의 실행을 스킵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상시 통전되는 전원에 마이크로컴퓨터가 접속된다. 그 때문에, 보안 부트 기능을 실행할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마이크로컴퓨터에 전원이 공급되기 때문에 쓸데없는 소비 전력이 높아지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보안 부트를 지원하는 마이크로컴퓨터에서 기동 프로그램의 변경을 효율적으로 검지하고 마이크로컴퓨터에의 전원 공급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변경 검증을 행하는 장치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는 메커니즘의 실현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제어 유닛이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변경을 검증하고, 검증 결과를 나타내는 통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검증 유닛; 및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고, 상기 화상 처리 장치를 기동할 때에 상기 검증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검증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통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지 신호가 나타내는 검증 결과를 보유하며, 상기 검증 유닛에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전원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과,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제어 유닛이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변경을 검증하고, 검증 결과를 나타내는 통지 신호를 출력하는 검증 유닛과, 상기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전원 제어 유닛에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를 기동할 때에, 상기 검증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검증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통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지 신호가 나타내는 검증 결과를 보유하고, 상기 검증 유닛에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과,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제어 유닛이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변경을 검증하고, 검증 결과를 나타내는 통지 신호를 출력하는 검증 유닛과, 상기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가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전원 제어 유닛에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를 기동할 때에, 상기 검증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검증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통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지 신호가 나타내는 검증 결과를 보유하고, 상기 검증 유닛에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6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요소의 상대 배치, 수치 표현 및 수치값은 구체적으로 달리 설명되지 않는 한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제1 실시형태>
<시스템 구성>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화상 처리 장치(100), 프린트 서버(110) 및 클라이언트 PC(111)가 LAN(120)을 통해서 상호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화상 처리 장치(100)는, 화상 입력/출력 및 송신/수신과, 이에 관련되는 화상 처리를 행한다. 화상 처리 장치(100)는, 컨트롤러(101), 유저 인터페이스인 조작 유닛(102), 화상 입력 디바이스인 스캐너(103) 및 화상 출력 디바이스인 프린터(104)를 포함한다. 조작 유닛(102), 스캐너(103) 및 프린터(104)는, 각각 컨트롤러(101)에 접속되고, 컨트롤러(101)는 각 유닛의 동작을 제어한다.
컨트롤러(101)는, 후술하는 네트워크 I/F(205)를 통해서, LAN(Local Area Network)(120)에 접속되고, 프린트 서버(110) 및 클라이언트 PC(111)와 통신을 행한다. 유저는, 클라이언트 PC(111)에서, 화상의 인쇄를 행해야 하는 인쇄 작업을 작성하고, 인쇄 처리를 지시한다. 이에 의해, 인쇄 작업은 프린트 서버(110) 및 LAN(120)을 통해서 화상 처리 장치(100)에 제공된다.
조작 유닛(102)은, 화상 처리 장치(100)의 유저 인터페이스이며, 기계식 하드웨어 버튼 이외에, 표시 유닛과 조작 유닛 양자 모두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패널을 구비하고, 유저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에 추가하여, 유저 입력을 접수한다. 스캐너(103)는, 원고를 판독하고,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판독 장치이다. 프린터(104)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모리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는 인쇄 장치이다. 이들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화상 처리 장치(100)는, 인쇄, 카피, 스캔, 팩시밀리 송신/수신, SEND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화상 처리 장치 하드웨어 구성>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컨트롤러(101)의 구성을 설명한다. 컨트롤러(101)는, 스캐너 I/F(203)에 접속되는 스캐너(103) 및 프린터 I/F(204)에 접속되는 프린터(104)를 제어한다. 또한, 컨트롤러(101)는, 네트워크 I/F(205)를 통하여, LAN(120)에 접속된 외부 기기, 예를 들어 프린트 서버(110) 또는 클라이언트 PC(111)와의 사이에서 화상 데이터 및 디바이스 정보의 입력/출력을 행한다. 컨트롤러(101)는, CPU(201), 조작 유닛 I/F(202), 스캐너 I/F(203), 프린터 I/F(204), 네트워크 I/F(205), ROM(206), RAM(207), HDD(208), 화상 처리 유닛(209), 마이크로컴퓨터(210) 및 전원 제어 유닛(220)을 포함한다.
CPU(201)는, 화상 처리 장치(100)의 주제어를 제어하는 중앙 처리 유닛이다. CPU(201)는, 시스템 버스를 통하여, ROM(206)(Read Only Memory), RAM(207)(Random Access Memory) 및 HDD(208)(Hard Disk Drive)에 접속된다. 또한, CPU(201)는, 네트워크 I/F(205) 및 조작 유닛 I/F(202)에 접속된다.
ROM(206)은, 부트 ROM이며, 시스템 기동에 필요한 기동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여기서, ROM(206)에는, 적어도 CPU(201)의 기동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RAM(207)은, CPU(201)의 주 저장 유닛으로서, 작업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판독/기입될 수 있는 메모리이며, 내부 처리되는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화상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HDD(208)는, 불휘발성 메모리이며,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 화상 처리 장치(100)의 전원 차단 후에도 보유되어야 하는 설정값 데이터 및 유저 데이터를 저장한다. CPU(201)가, ROM(206), HDD(208) 등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화상 처리 장치(100)의 기능이 실현된다.
마이크로컴퓨터(210)는, 단일 칩 상에 제공된 마이크로컴퓨터이며, CPU(201)가 실행하는 기동 프로그램의 변경 검증을 행한다. 마이크로컴퓨터(210)는, 변경 검증을 행하기 위한 공개 키를 내부에 보유한다. 마이크로컴퓨터(210)는, 버스를 통해서 ROM(206)에 접속된다. 마이크로컴퓨터(210)는, ROM(206)에 저장되어 있는 서명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된 서명 데이터를 마이크로컴퓨터(210) 내부의 공개 키와 조합함으로써 서명 데이터의 해시값을 얻는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10)는, ROM(206)에 저장되는 CPU(201)의 기동 프로그램으로부터 해시값을 계산하고, 서명 데이터의 해시값과 비교함으로써, 기동 프로그램의 변경 검증을 행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10)는, 변경 검증의 결과를 통지하기 위해서, 전원 제어 유닛(220)과 신호선(222)에 접속된다. 여기서, 변경 검증의 결과, 변경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 마이크로컴퓨터(210)는 후술하는 통지 신호(320)를 신호선(222)을 통해서 전원 제어 유닛(220)에 출력한다.
네트워크 I/F(205)는 LAN(120)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이에 의해 LAN(120)에 대하여 데이터의 입력/출력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LAN(120)에 접속된 외부 장치, 예를 들어 프린트 서버(110) 및 클라이언트 PC(111)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조작 유닛 I/F(202)는, 액정 터치 패널에 의해 구성되는 조작 유닛(102)과의 사이에서 입력/출력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CPU(201)는, 조작 유닛 I/F(202)을 통하여, 조작 유닛(102)에 표시될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조작 유닛 I/F(202)는, 유저가 조작 유닛(102)을 통해서 입력한 데이터를 CPU(201)에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화상 처리 유닛(209)에는 스캐너 I/F(203) 및 프린터 I/F(204)가 접속된다. 스캐너 I/F(203) 및 프린터 I/F(204)는, 각각 스캐너(103) 및 프린터(104)를, 컨트롤러(101)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화상 처리 유닛(209)은, 스캐너(103)로부터 읽어들인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보정, 가공, 및 편집 등의 화상 처리를 행한다. 그 후, 화상 처리 유닛(209)은, 프린터(104)에 출력되는 프린트 출력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색변환, 필터 처리 및 해상도 변환 처리를 행한다.
전원 제어 유닛(220)은, 화상 처리 장치(100)의 동작 상태에 따라, 각 유닛에의 전원 공급의 온 및 오프를 전환한다. 전원 제어 유닛(220)은, CPU(201)로부터 시스템 버스를 통해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 유닛인 전원 장치(221)에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급전 제어를 행한다. 전원 장치(221)는, 후술하는 상용 전원(301)으로부터 전원을 받고, 전원 제어 유닛(220)으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처리 장치(100)의 각 유닛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 장치(221)는, 전력 케이블에 의해 상용 전원(301)과 접속되어 있는 한 상시 통전되고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장치(221)는, 화상 처리 장치(100)의 각 유닛에 DC 전력을 출력하기 위해서, 도 3에서 나타내는 제1 전원 유닛(302) 및 제2 전원 유닛(306)의 전원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전원 제어 유닛(220)은, 마이크로컴퓨터(210)에 의한 변경 검증의 결과, 변경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 마이크로컴퓨터(210)로부터 통지 신호(320)를 수신하고, CPU(201)의 리셋 신호(321)를 디-어서트(de-assert)하며, CPU(201)를 기동시킨다.
<화상 처리 장치 전원 구성>
이어서, 도 3을 참조하여, 화상 처리 장치(100)의 전원 구성을 설명한다. 전원 장치(221)는, 주전원 스위치(303), 제1 전원 유닛(302), 제2 전원 유닛(306), 스위치(304) 및 스위치(305)를 포함한다.
유저에 의해 주전원 스위치(303)가 온되면, 주전원 스위치(303)가 도통되고, 제1 전원 유닛(302)이 생성하는 전력이 전원 제어 유닛(220)에 공급된다. 전원 제어 유닛(220)은, 각 스위치(304, 305, 310 내지 313, 317 내지 319)를 온하는 것으로 화상 처리 장치(100)의 각 유닛에 전력 공급을 행한다. 그 후, CPU(201)가 ROM(206)에 저장되어 있는 기동 프로그램에 따라 기동 처리를 행함으로써, 화상 처리 장치(100)는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동작 상태로 천이한다.
여기서, 화상 처리 장치(100)는, 전력 제어 상태로서, 동작 상태와 전력 절약 상태를 구비한다. 동작 상태에서, 전원 장치(221)는, 컨트롤러(101), 조작 유닛(102), 스캐너(103) 및 프린터(104)의 각 유닛에 전력 공급을 행한다. 또한, CPU(201)는, 시스템 버스를 통해서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전원 제어 유닛(220)의 내부에 레지스터 값을 재기입한다. 전원 제어 유닛(220)은, 재기입된 레지스터 값에 기초하여, 각 스위치(304, 305, 310 내지 313, 및 317 내지 319)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각 유닛에 전력을 공급한다. 동작 상태에서는, 유저가 화상 처리 장치(100)의 스캔 및 인쇄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전력 절약 상태에서는, 전원 장치(221)는, 전원 제어 유닛(220)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CPU(201)는, 컨트롤러(101)의 일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가능화하고, 조작 유닛(102), 스캐너(103), 및 프린터(104)의 전력 공급이 불능화되도록 전원 제어 유닛(220)을 제어한다. 전원 제어 유닛(220)은, 전력 공급 라인에 접속된 스위치(312) 및 스위치(313)와, 스위치(317 내지 319)를 오프하여,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 그 후, 전원 제어 유닛(220)이 스위치(305)를 오프하고, 제2 전원 유닛(306)을 오프함으로써, 제2 전원 유닛의 대기 전력을 감소시킨다. 전력 절약 상태에서, 유저에 의한 조작 유닛(102)의 버튼의 누름이나, 네트워크로부터의 데이터 수신 등을 전원 제어 유닛(220)에서 검지하면, 화상 처리 장치(100)는 동작 상태로 이행한다.
<화상 처리 장치 제어 플로우>
이어서,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제어 유닛(220)이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100)의 전원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처리는, 전원 제어 유닛(220)이 CPU(2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CPU(201)가 실행하는 처리는, ROM(206) 또는 HDD(208)에 미리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RAM(207)에 판독하고 그것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하는 처리는, CPU(201)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각 구성요소가 협동해서 동작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도 5는, 마이크로컴퓨터(210)와 CPU(201)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타이밍 차트에서는, 횡축에 경과한 시간의 양을 나타내고, 전원 제어 유닛(220), 마이크로컴퓨터(210) 및 CPU(201)의 전력 상태와 동작에 대해서, 도 4의 흐름도의 각 단계와의 관계를 도시한다.
먼저, 단계 S401에서, 유저에 의해 주전원 스위치(303)가 온되면, 주전원 스위치(303)가 도통되고, 제1 전원 유닛(302)이 발생시키는 전력이 전원 제어 유닛(220)에 공급된다. 계속해서, 단계 S402에서, 전원 제어 유닛(220)은, 전원이 온된 후의 초기 상태로서, 스위치(310)를 온하고, 마이크로컴퓨터(210)에 전력을 공급한다. 마찬가지로, 단계 S403에서, 전원 제어 유닛(220)은, 전원이 온된 후의 초기 상태로서, 스위치(311)를 온하고, CPU(201)와 ROM(206)에 전력을 공급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201)는, 전원 제어 유닛(220)으로부터 신호선(222)을 통해서 통지되는 리셋 신호(321)가 어서트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전력이 공급되어도 리셋된 상태에 있고 기동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보안 부트를 실현할 수 있다.
단계 S404에서, 전원 제어 유닛(220)은, 마이크로컴퓨터(210)가 출력하는 통지 신호(320)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통지 신호(320)를 수신하면, 전원 제어 유닛(220)은 마이크로컴퓨터(210)에 의한 변경 검증의 결과를 취득했다고 판단하고, 처리는 단계 S405로 진행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210)는, 전력이 공급되면, ROM(206)의 변경 검증을 행하고, 검증 결과(통지 신호(320))를 전원 제어 유닛(220)에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컴퓨터(210)는, ROM(206)에 저장되는 서명 데이터를 취득하고, 공개 키에 의해 서명 데이터의 해시값을 얻는다. 계속해서, 마이크로컴퓨터(210)는, ROM(206)에 저장되는 CPU(201)의 기동 프로그램으로부터 해시값을 계산한다. 각각의 해시값의 비교를 행함으로써, 마이크로컴퓨터(210)는, 기동 프로그램의 변경을 검증한다. 마이크로컴퓨터(210)는, 변경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 전원 제어 유닛(220)에 통지 신호(320)를 출력한다. 전원 제어 유닛(220)은, 통지 신호(320)의 신호 레벨의 변화를 수신하고, 변경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한편, 변경을 검지한 경우, 마이크로컴퓨터(210)는, 전원 제어 유닛(220)에 통지 신호(320)를 출력하지 않으므로, 그 후의 기동 처리가 실행되지 않는다. 즉, 전원 제어 유닛(220)은, 통지 신호(320)의 신호 레벨이 변화하지 않을 경우, 마이크로컴퓨터(210)가 변경을 검지했다고 판단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404의 판단 타이밍에 대해서는, 마이크로컴퓨터(210)의 처리 속도를 고려해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에 유의한다. 여기에서는, 타임아웃 제어를 제공해도 되지만, 이러한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다. 여기서, 통지 신호(320)는, 변경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 출력되는 것으로 했지만, 복수의 통지 신호(320)가 있고, 신호가 검증 종료를 나타내는 신호와 변경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로 분할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마이크로컴퓨터(210)가 검증 종료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고, 전원 제어 유닛(220)은, 검증 종료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변경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의 신호 레벨에 의해, 변경의 존재/부재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05에서, 전원 제어 유닛(220)은, 마이크로컴퓨터(210)가 출력한 통지 신호(320)의 신호 레벨의 변화를 수신하고, 통지된 검증 결과를 전원 제어 유닛(220)의 레지스터에 보유한다. 여기서, 보유된 검증 결과는, 유저에 의해 주전원 스위치(303)가 오프되고, 화상 처리 장치(100)가 오프될 때까지, 전원 제어 유닛(220)에 의해 보유된다. 이에 의해, 화상 처리 장치(100)의 기동시에만, 기동 프로그램의 변경을 검증하고, 그후에는 검증을 행하지 않고 검증 결과를 보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립 상태로부터의 복귀 시 등에서는, 전원 제어 유닛(220)이, 상기 보유된 검증 결과를 참조하고, 마이크로컴퓨터(210)에 의한 재검증 없이, 화상 처리 장치를 동작 상태로 이행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10)에의 전원 공급을 행하는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406에서, 전원 제어 유닛(220)은, 스위치(310)를 오프하여, 마이크로컴퓨터(210)의 전원을 차단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210)는 오프 상태로 되고, 통지 신호(320)도 부정이 된다. 그 후, 단계 S407에서, 전원 제어 유닛(220)은, CPU(201)의 리셋 신호(321)를 디-어서트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리셋이 해제된 후에, CPU(201)는, ROM(206)에 저장되어 있고, 이미 검증이 완료된 기동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OS 판독 및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기동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화상 처리 장치(100)는, 스캔이 및 인쇄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동작 상태로 이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CPU와, 불휘발성 메모리(ROM, HDD)에 저장되고 CPU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변경을 검증하고, 검증 결과를 나타내는 통지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한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전원 제어 유닛은, 화상 처리 장치를 기동할 때에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력을 공급하고,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출력된 통지 신호를 수신하면 당해 통지 신호가 나타내는 검증 결과를 보유하며, 마이크로컴퓨터에의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보안 부트 종료 후에 마이크로컴퓨터(210)의 전원을 오프함으로써, 보안 부트를 행하면서도 화상 처리 장치(100)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 제어 유닛으로부터 CPU에 당해 CPU의 기동에 관계되는 리셋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선을 더 포함한다. 전원 제어 유닛은, 화상 처리 장치를 기동할 때에, 마이크로컴퓨터 및 CPU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리셋 신호를 출력하며, CPU의 기동을 제한한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가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프로그램의 변경을 검지하지 않으면, 화상 처리 장치는 리셋 신호를 디-어서트하고, CPU를 기동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해, 적절하게 보안 부트를 실현한다.
<제2 실시형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어서,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제어 유닛(220)이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100)의 전원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와의 차이는, 전원 제어 유닛(220)이 변경 검증의 타임아웃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제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전원 제어 유닛(220)이 마이크로컴퓨터(210)를 기동하고, 마이크로컴퓨터(210)가 기동 프로그램의 변경 검증을 행할 때에, 변경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의 동작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마찬가지의 처리에 대해서는 동일한 단계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원 제어 유닛(220)이 마이크로컴퓨터(210)에 전력을 공급하고, 기동 프로그램의 변경 검증 중에 변경을 검지한 경우에는, 통지 신호(320)가 출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계 S402에서 마이크로컴퓨터(210)에 전력을 공급한 후에, S603에서, 전원 제어 유닛(220)은, 자신이 구비하는 타이머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마이크로컴퓨터(210)에 전력을 공급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의 계시를 개시하고, 처리는 단계 S403로 진행한다.
단계 S404의 판단에서 마이크로컴퓨터(210)로부터 통지 신호(320)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단계 S602에서, 전원 제어 유닛(220)은, 타이머 회로에 의한 계시 시간이 미리정해진 시간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미리정해진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10)에 의해 변경 검증이 진행중이라고 판단하고, 처리를 단계 S404로 되돌리고, 통지 신호(320)가 출력되는 것을 기다린다.
한편, 타이머 회로에 의해 계시된 시간이 미리정해진 시간을 경과했다고 판단하면, 전원 제어 유닛(220)은, 마이크로컴퓨터(210)에 의해 변경을 검지했다고 판단하고, 화상 처리 장치(100)의 기동을 정지한다. 상기 미리정해진 시간은, ROM(206)으로부터 기동 프로그램을 판독하는 시간과, 해시값을 계산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S603에서, 전원 제어 유닛(220)은, 스위치(310)를 오프하여, 마이크로컴퓨터(210)의 전원을 차단한다. 계속해서, 단계 S604에서, 전원 제어 유닛(220)은, 스위치(311)를 오프하여, CPU(201)와 ROM(206)의 전원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기동 프로그램의 변경을 검지한 경우, 전원 제어 유닛(220)은, CPU(201)의 전원을 차단하고, 화상 처리 장치(100)의 기동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 이외에, 마이크로컴퓨터(210)로부터의 통지의 수신 제어에서, 타임아웃 제어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210) 등의 문제에도 적절하게 대응하면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마이크로컴퓨터(210)에 의한 변경을 검지한 경우에는, 전원 제어 유닛(220)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210)를 오프하고, 그 후 CPU(201)도 오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동을 정지한 경우의 화상 처리 장치(100)의 소비 전력을 더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라 칭할수도 있음)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를 판독 및 실행하고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컴퓨터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화상 처리 장치이며,
    상기 화상 처리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제어 유닛이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변경을 검증하고, 검증 결과를 나타내는 통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검증 유닛; 및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고, 상기 화상 처리 장치를 기동할 때에 상기 검증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검증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통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지 신호가 나타내는 검증 결과를 보유하며, 상기 검증 유닛에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전원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어 유닛에 상기 제어 유닛의 기동에 관계되는 리셋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신호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은,
    상기 화상 처리 장치를 기동할 때에, 상기 검증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리셋 신호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검증 결과가 변경이 검지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 유닛에의 리셋 신호를 디-어서트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검증 결과가 변경이 검지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기동을 정지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유닛은, 상기 프로그램의 변경이 검지되면 상기 검증 결과를 나타내는 상기 통지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상기 프로그램의 변경이 검지되지 않으면 상기 통지 신호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은,
    상기 검증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계시하도록 구성되는 타이머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머 회로에 의해 계시된 시간이 미리정해진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검증 유닛에 의해 상기 검증 결과를 나타내는 상기 통지 신호가 출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화상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은, 상기 검증 결과를 나타내는 상기 통지 신호가 상기 검증 유닛에 의해 출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상기 검증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에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화상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유닛은, 단일 칩 상에 제공된 마이크로컴퓨터인 화상 처리 장치.
  9.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과,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제어 유닛이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변경을 검증하고 검증 결과를 나타내는 통지 신호를 출력하는 검증 유닛과, 상기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전원 제어 유닛에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를 기동할 때에, 상기 검증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검증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통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지 신호가 나타내는 검증 결과를 보유하고, 상기 검증 유닛에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0.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과,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제어 유닛이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변경을 검증하고 검증 결과를 나타내는 통지 신호를 출력하는 검증 유닛과, 상기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가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전원 제어 유닛에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를 기동할 때에, 상기 검증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검증 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통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지 신호가 나타내는 검증 결과를 보유하고, 상기 검증 유닛에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90008625A 2018-01-24 2019-01-23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KR1024816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09942 2018-01-24
JP2018009942A JP7022602B2 (ja) 2018-01-24 2018-01-24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349A true KR20190090349A (ko) 2019-08-01
KR102481686B1 KR102481686B1 (ko) 2022-12-28

Family

ID=67299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625A KR102481686B1 (ko) 2018-01-24 2019-01-23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06013B2 (ko)
JP (1) JP7022602B2 (ko)
KR (1) KR1024816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0238B2 (ja) * 2018-11-15 202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86381B2 (ja) * 2019-04-01 2023-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7465107B2 (ja) 2020-02-19 2024-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KR102395258B1 (ko) * 2020-10-15 2022-05-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트 메모리 버스의 경로 절체 기능을 이용한 시큐어 부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3807A1 (en) * 2006-02-06 2007-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47112A (ko) * 2010-01-12 2011-05-06 김창호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KR20140001137A (ko) * 2012-06-26 2014-01-0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화상형성 시스템
JP2015020301A (ja) * 2013-07-17 2015-02-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15055898A (ja) * 2013-09-10 2015-03-23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セキュアブート方法、半導体装置、及び、セキュアブート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3825A1 (ja) 2007-07-25 2009-01-29 Panasonic Corporation 情報処理装置、及び改竄検証方法
JP5326918B2 (ja) * 2009-08-05 2013-10-30 株式会社リコー 電子機器,ソフトウェア更新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865661B2 (ja) 2011-10-06 2016-02-17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デバイス
JP5519712B2 (ja) 2012-01-20 2014-06-11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コンピュータをブートする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
JP2014021953A (ja) 2012-07-24 2014-02-03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起動制御方法及び起動制御プログラム
TWI617946B (zh) 2015-05-25 2018-03-11 Insyde Software Corp Device and method for safely starting embedded controll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3807A1 (en) * 2006-02-06 2007-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47112A (ko) * 2010-01-12 2011-05-06 김창호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KR20140001137A (ko) * 2012-06-26 2014-01-0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화상형성 시스템
JP2015020301A (ja) * 2013-07-17 2015-02-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15055898A (ja) * 2013-09-10 2015-03-23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セキュアブート方法、半導体装置、及び、セキュアブート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30240A1 (en) 2019-07-25
US11006013B2 (en) 2021-05-11
JP2019128792A (ja) 2019-08-01
JP7022602B2 (ja) 2022-02-18
KR102481686B1 (ko) 202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0349A (ko)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US2019001835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appropriately executing shutdown processing, method of controll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5780769B2 (ja) データ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20190009260A (ko) 정보 처리장치 및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80011726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40339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software tampering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033895B2 (en) Printing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power state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7031798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ith network interface having proxy response function
CN107577327B (zh) 图像形成装置、启动方法以及记录介质
JP596794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46686A (ko)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50076094A (ko) 인쇄장치,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US1138830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notifying verification result of program
US1144311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alteration in software
US11039032B2 (en) Printing apparatus executable of condensation removal processing, method of controlling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2467636B1 (ko)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JP2015032103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089607A (ja) 情報処理装置
US11451684B2 (en) Processor having a plurality of cores and a controller that switches power states based on cores state
US11539851B2 (en) Apparatus for switching a power state among a plurality of power states and method thereof
JP201213866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2004242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23160058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10212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155029A (ja)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