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7112A -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7112A
KR20110047112A KR1020100057148A KR20100057148A KR20110047112A KR 20110047112 A KR20110047112 A KR 20110047112A KR 1020100057148 A KR1020100057148 A KR 1020100057148A KR 20100057148 A KR20100057148 A KR 20100057148A KR 20110047112 A KR20110047112 A KR 20110047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mputer
switching
re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5674B1 (ko
Inventor
김영범
Original Assignee
김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호 filed Critical 김창호
Priority to KR1020100057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674B1/ko
Priority to CN2011800059461A priority patent/CN102822767A/zh
Priority to JP2012548878A priority patent/JP2013517553A/ja
Priority to EP11733024A priority patent/EP2525269A2/en
Priority to US13/521,145 priority patent/US8935556B2/en
Priority to PCT/KR2011/000094 priority patent/WO2011087236A2/ko
Publication of KR20110047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84Power saving in prin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ource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장치에 있어서, 컴퓨터 본체에서 모니터로 제공되는 수평/수직 동기신호의 유무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신호센싱콘트롤부와; 외부 전원을 제공받아 컴퓨터 주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경로에 설치되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경로를 도통 또는 차단하는 구조를 가지는 전원스위칭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STANDBY POWER CUT-OFF DEVICE FOR COMPUTER PERIPHERALS}
본 발명은 컴퓨터가 전원'오프'시나 절전모드시 컴퓨터 주변기기(모니터 ,프린터, 스피커 등)에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소비전력이나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컴퓨터에는 다양한 주변기기가 연결되는데, 이러한 컴퓨터 주변기기 중에는 컴퓨터가 절전모드가 되면 절전을 위해 자체적으로 전력을 차단하는 기능이 구비되는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는 절전모드시에 화면을 꺼서 소비전력을 줄여 소비전력이 약 15W 정도로 소비되도록 하고, 컴퓨터가 전원 '오프' 되면 모니터의 기능을 정지하고 대기상태가 되는데 이때 소비되는 대기전력은 통상 4W정도 낭비된다. 또한, 프린터도 항상 4W정도 전력이 소모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로는 컴퓨터 주변장치들에서 컴퓨터가 절전모드시에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줄이기 위해서 최소의 전력이 소비되도록 하거나, 컴퓨터 전원이 꺼질 경우에 최소한의 대기전력을 소비하고 있어, 이러한 대기전력이 항상 소비되고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컴퓨터의 절전모드시나 전원 '오프'시 컴퓨터 주변기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낭비되는 소비전력과 낭비되는 대기전력을 플러그를 빼지 않고도 제로로 하여 낭비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컴퓨터 본체는 그래픽콘트롤러에서 빨강 R, 녹색 G,청색 B 영상신호와, 수평/수직 동기신호(H/V SYNC) 등을 모니터로 케이블을 통해 모니터로 전송하는데, 절전모드시에는 수평/수직신호(H/V SYNC) 중 한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컴퓨터 전원을 오프하면 2가지 신호가 모두를 전송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는 이러한 절전모드시나 컴퓨터 전원 오프시에, 수평/수직 동기신호(H/V SYNC)가 발생되지 않음을 감지하는 동기신호센싱콘트롤부를 컴퓨터의 내부나, 외부에 구비하고, 상기 동기신호의 감지여부에 따라서 컴퓨터 주변기기에 전원을 공급/차단하기 전원 공급 경로를 도통 또는 차단하는 전원스위칭부를 구비하여, 주변기기의 전원을 전원스위칭부를 통해서 공급하는 구조를 특징적으로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컴퓨터가 절전모드나 전원 오프시 수평/수직 동기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것을 센싱하여 주변기기가 연결된 전원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절전모드시나 전원 '오프' 시 주변기기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주변기기에서 낭비되는 전력을 "0W"로 차단하여 전력의 낭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를 포함한 컴퓨터 본체 및 주변기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를 포함한 컴퓨터 본체 및 주변기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 또는 도 2 중 동기신호센싱콘트롤부와 전원스위칭부의 일 예시 상세 회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주요부의 상세 회로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콘센트, 트랜지스터, 마이콤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이다. 이러한 특정 사항들에 대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를 포함한 컴퓨터 본체 및 주변기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장치는 컴퓨터 본체(10) 내부에서 설치되는 동기신호센싱콘트롤부(12) 및 전원스위칭부(20)로 구현됨이 도시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컴퓨터 본체(10)는 중앙처리장치(CPU)(16)와, 빨강 R, 녹색 G,청색 B 영상신호와, 수평/수직 동기신호(H/V SYNC) 및 모니터 설정 신호(DDC-C1)를 모니터(50)로 출력하는 그래픽콘트롤러(11)와,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50)와 연결되어 입력장치(40)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I/O콘트롤러(13)와, 시스템 운영체계나 이를 기반으로 하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12)와,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시스템 버스(15)와, 컴퓨터 본체(10) 내부의 상기 각 기능부들 및 외부에 연결되는 주변장치들에게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4)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동기신호센싱콘트롤부(12)는 절전모드와 전원'오프'시 의 상태를 상기 수평/수직 동기신호(H/V SYNC)의 유.무로 센싱하고 그에 따라 전원스위칭부(20)의 스위칭 제어를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전원스위칭부(20)는 상기 전원부(14)에서 컴퓨터 주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경로에 설치되며,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경로를 도통 또는 차단하는 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주변기기의 전원을 전원스위칭부를 통해서 공급하게 된다. 전원스위칭부(20)는 주변기기(모니터,프린터,스피커 등)의 전원을 공급/차단하는 릴레이(18)와, 주변기기 전원 공급 커넥터와 접속될 수 있는 콘센트(17)들로 구성되어, 컴퓨터 본체(10)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다.
한편, 모니터(50)는 컴퓨터 본체(10)에 구비된 커넥터(100)와 모니터(50)에 구비한 커넥터(200)에 연결 케이블(80)을 통해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받게 구성하고, 컴퓨터 본체(10)에 구비된 커넥터(400)와 프린터(60)에 구비한 커넥터(500)를 연결 케이블(70)로 연결하여 신호가 컴퓨터 본체(10)와 프린터(60)간에 신호가 전달되도록 구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를 포함한 컴퓨터 본체 및 주변기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300)는 컴퓨터 본체(10) 외부에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장치로 구현됨이 도시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컴퓨터 본체(10)가 기존 구조와 동일할 수 있으며, 상용의 제품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대기전력 차단장치(300)는 컴퓨터 본체(10)의 그래픽콘트롤러(11)에서 모니터(50)로 보내는 빨강 R, 녹색 G,청색 B 영상신호와 수평/수직 동기신호(H/V SYNC), 전원 +5V 신호 및 모니터 설정 신호(DDC-C1)를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컴퓨터 본체(10)의 커넥터(100)와 케이블(80)을 통해 연결되는 커넥터(200)를 구비한다. 또한 컴퓨터 본체(10)로부터 공급받은 신호들을 모니터(50)로 그대로 전달하기 위해, 모니터(50)의 커넥터(700)와 케이블(80)을 통해 연결되는 커넥터(600)를 구비한다.
이러한 대기전력 차단장치(300) 내에는 컴퓨터 본체(10)의 절전모드와 전원'오프'시 의 상태를 상기 수평/수직 동기신호(H/V SYNC)의 유.무로 센싱하고 그에 따라 전원스위칭부(20)의 스위칭 제어를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신호센싱콘트롤부(12)가 구비된다.
또한 대기전력 차단장치(300)에 구비되는 전원스위칭부(20)는 외부 전원을 제공받아 컴퓨터 주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17)가 구비되며, 또한 외부 전원과 콘센트(17) 사이의 전원 공급 경로에 제공되어,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경로를 도통 또는 차단하는 구조를 가지는 릴레이(18)를 구비한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 중 동기신호센싱콘트롤부(12)와 전원스위칭부(20)의 일 예시 상세 회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기신호센싱콘트롤부(12)에는 수평/수직 동기신호(H/V SYNC)의 유.무를 센싱하고 콘트롤하는 마이콤(19)(즉, 제어부)과 마이콤(19) 제어에 따라 전원스위칭부(12)의 릴레이(18)를 구동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Q1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예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18)의 코일의 일단은 5V 전원을 제공받으며 타단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 Q1의 컬렉터단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단은 상기 마이컴의 제어를 받기 위해 마이컴의 출력과 연결되며 에미터단은 접지단과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원스위칭부(20)의 릴레이(18)는 외부 전원과 콘센트(17)사이의 일 경로에 설치되어 설치된 경로를 도통 또는 차단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컴퓨터 본체(10)의 그래픽콘트롤러(11)로부터 수평/수직 동기신호(H/V SYNC) 중 하나라도 나오지 않아서, 동기신호센싱콘트롤부(12)의 마이콤(19)은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T(예를 들어 약 5~10초로 설정)동안 신호가 없으면 절전 모드나 전원 '오프'로 간주한다. 이후 스위칭 트랜지스터 Q1을 '오프'하여 전원스위칭부(20)의 릴레이(18)를 오픈시켜 컴퓨터 주변기기로 공급되는 전원 콘센트(17)를 오픈시켜 주변기기로 연결되는 전원을 완전하게 차단하여 절전모드나 대기모드시 낭비되는 전력을 방지한다.
또한 컴퓨터 본체(10)의 그래픽콘트롤러(11)로부터 수평/수직 동기신호(H/V SYNC)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면 동기신호센싱콘트롤부(12)의 마이콤(19)은 스위칭 트랜지스터 Q1을 턴'온' 시켜 전원스위칭부(20)의 릴레이(18)를 턴 '온'하여 컴퓨터 주변기기로 공급되는 전원 콘센트(17)에 전원을 공급하여 주변기기들이 정상동작을 하게 제어한다. 이때, 컴퓨터 본체(10)로부터 모니터(50)로 보내지는 영상신호는 그대로 모니터(50)로 전송되므로 모니터(50)는 정상적인 영상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주요부의 상세 회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장치(301)는 상기 제2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컴퓨터 본체(10)의 외부에서 별도로 구성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마찬가지로 컴퓨터 본체(10)에서 모니터(50)로 제공되는 영상신호, 동기신호 등을 중계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러한 구성은 생략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다른 대기전력 차단장치(301)에는 동기신호센싱콘트롤부(122)와, 전원스위칭부(17), 전원차단부(402), 전원부(403), 컴퓨터 전원 콘센트(30)를 구비한다.
전원스위칭부(17)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구성과 다소 유사한 제1릴레이(18) 및 제1콘센트(17)가 구비되며, 이와 더불어, 제2릴레이(35) 및 제2콘센트(34)의 연결 회로가 병렬적으로 더 추가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동기신호센싱콘트롤부(122,12)에는 상기 제1릴레이(18)를 구동하기 위한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 Q1과 더불어, 상기 제2릴레이(35)를 구동하기 위한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 Q2가 추가로 더 구비된다. 이러한 제1,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 Q1, Q2는 각각 마이콤(19)의 제1출력 O1과 제2출력 O2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각각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릴레이(18)는 디에너자이저 상태일 경우에 차단 상태를 유지하며, 제2릴레이(35)는 디에너자이저 상태일 경우에 도통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을 가지도록 구현된다.
상기한 구성은 상기 제2릴레이(35)와 연결된 제2콘센트(34)에 다른 컴퓨터들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주변기기, 즉 프린터를 연결할 경우에 적용하기에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마이콤(19)은 컴퓨터 본체의 절전모드시 및/또는 전원 오프시에도 상기 제1콘센트에 연결된 주변기기와는 별도로, 제2콘센트에 연결된 프린터의 동작 전원은 차단하지 않고 그대로 둘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컴퓨터 본체로부터 제공되는 5V 전원을 마이콤(19)의 제2입력 I2로 제공 또는 차단하는 (사용자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일명 공유모드선택스위치(36)를 구비하여, 이러한 공유모드선택스위치(36)의 조작 상태에 따라 마이콤(19)에서 상기 제2콘센트(34)에 연결되는 프린터의 동작 전원의 차단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예를 들어, 여러 대의 컴퓨터에 한 개의 프린터를 공유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특정 컴퓨터가 대기모드에서도 다른 컴퓨터들이 프린터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301)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 '오프'시 컴퓨터 자체 대기전력을 완전히 차단하고 컴퓨터 본체의 전원 '온' 시 리모콘으로 컴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을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서, 먼저, 컴퓨터 본체의 전원이 '오프' 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컴퓨터 본체로부터 제공되는 +5V의 전원을 마이콤(19)의 제1입력 I1로 제공받는 구성을 가진다. 컴퓨터 본체로부터 +5V의 전원이 감지되지 않으면 마이콤(19)은 컴퓨터 본체가 전원 '오프' 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외부 전원(AC 전원)을 제공받으며 컴퓨터 본체가 연결되는 컴퓨터전원콘센트(30) 및 상기 마이콤(19) 및 상기 기능부들에게 동작 전원(VCC)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403)가 구비되며, 상기 컴퓨터전원콘센트(30) 및 전원부(403)에 상기 외부 전원의 공급 경로에 설치되어 해당 경로를 도통 또는 차단하는 전원차단부(402)를 구비한다.
전원차단부(402)는 리모트에서 전원을 투입하기 위한 수단인 리모트스위치(32)를 구비하며, 리모트스위치(32)는 전원을 '온'하기 위한 노브(33)와, 상기 노브(33)를 누르면 플레이트(37)가 접점 C2,C3을 연결되도록 하여 전원이 도통되도록 하고,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마이콤(19) 제어에 따른 상기 제3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구동에 의해 내부 전원(VCC)을 제공받아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접점들과 떨어지도록 하여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S1, S2)로 구성한다. 이때 동기신호센싱콘트롤부(122)에는 상기 솔레노이드를 구동하기 위한 제3스위칭 트랜지스터 Q3이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의 일단(S1)은 상기 제3스위칭 트랜지스터 Q3의 컬렉터단과 연결되며, 타단은 내부 동작 전원(VCC)을 제공받도록 구현된다.
이하, 상기 도 4에 도시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프린터를 공유해서 사용하는 경우, 공유모드선택스위치(36)가 '온' 상태여서 마이콤(19) 입력I2가 '하이'가 되며, 이 경우에는 컴퓨터 본체가 절전모드 일 때에도 마이콤(19)은 출력 O2를 '로우'로 유지하여 제2릴레이(35)가 디에너자이드되어 제2콘센트(34)에 전원이 그대로 공급되므로 프린터의 전원은 차단되지 않는다.
이때 다른 주변기기들에 대해서는 마이콤(19) 출력 O1이 '로우'가 되어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 Q1이 턴'오프' 되고, 제1릴레이(18)가 디에너자이드되어 제1콘센트(17)에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컴퓨터가 정상 모드가 되면, 마이콤(19) 제2출력 O2를 '로우' 상태로 유지하여 하여 제2릴레이(35)가 디에너자이드되어 프린터콘센트(34)에 전원이 그대로 공급되어 프린터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다른 주변기기들에 대해서는 마이콤(19)은 제1출력 O1이 '하이'가 되어 제1트랜지스터 Q1이 턴'온' 되고 제1릴레이(18)가 에너자이드되어 제1콘센트(17)에 전원 공급을 공급하도록 하여, 주변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프린터를 공유하지 않을 때는, 공유모드선택스위치(36)가 '오프' 상태이며, 마이콤(19) 입력 I2는 '로우'가 되며, 이 경우에는 컴퓨터가 절전모드가 되면, 마이콤(19)은 제2출력 O2를 '하이'로 하여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 Q2를 턴'온' 하며, 제2릴레이(35)를 에너자이드시켜 콘센트(34)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
이때 다른 주변기기들에 대해서는 마이콤(19)은 제1출력 O1을 '로우' 상태로 하여,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 Q1이 턴'오프' 되고 제1릴레이(18)가 디에너자이드되어 제1콘센트(17)에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이후, 컴퓨터 본체가 정상 모드가 되면, 마이콤(19)은 제2출력 O2를 '로우' 상태로 하여, 제2릴레이(35)가 디에너자이드되도록 하고 제2콘센트(34)에 전원이 그대로 공급되도록 하여, 프린터의 전원이 차단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다른 주변기기들은 마이콤(19) 출력O1이 '하이'가 되어 트랜지스터Q1 이 턴'온' 되어 릴레이(18)가 에너자이드되어 콘센트(17)에 전원 공급을 공급하여 주변장치에 전원이 공급된다.
한편, 컴퓨터의 대기전력을 완전하게 차단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전원이 '오프'가 되면 +5V가 출력되지 않게 되며, 마이콤(19)은 제1입력 I1이 '로우' 상태임을 감지하여, 컴퓨터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마이콤(19)은 제3출력 O3을 '하이'로 하여 제3스위칭 트랜지스터 Q3을 턴'온'시켜서 전원차단부(402)의 리모트스위치(32)의 솔레노이드 S1, S2에 전류가 흐르게 하며, 플레이트(37)가 접점 C2, C3에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전원차단부(402)에서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컴퓨터의 대기전력까지도 완전하게 차단한다.
이후 컴퓨터의 전원을 킬 경우에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손쉬운 곳에 위치하도록 케이블로 연결되어 될 수 있는 전원차단부(402)의 리모트스위치(32)의 노브(33)가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면, 플레이트(37)는 접점 C2,C3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전원부(403)는 상기 마이콤(19)에 동작 전원을 제공하며, 또한 컴퓨터전원콘센트(30)를 통해 컴퓨터 본체로 전원이 제공되어 이후의 정상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마이콤(19)은 만일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T1(예를 들어 5~10초)동안 컴퓨터를 켜지 않으면, 즉, 상기 컴퓨터 본체로부터 제공되는 동작 전원 5V가 일정시간 T1동안 제공되지 않을 경우에,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으려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와 같이 컴퓨터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리모트스위치(32)는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특허등록된 특허 출원번호 제2009-72016호(명칭: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출원일: 2009년 8월 5일)에 개시된 스위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도 4에 도시된 대기전력 차단장치(301)는 컴퓨터 본체(10)의 외부에서 별도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구조를 변형하여 컴퓨터 본체(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럴 경우에, 상기 도 4에 도시된 컴퓨터전원콘센트(30)가 구비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전원부(403)는 상기 마이콤(19) 및 상기 기능부들뿐만 아니라 기본적으로 컴퓨터 본체(10) 자체의 동작 전원을 제공하도록 추가로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동기신호센싱컨트롤부(12) 내에서는 상기 마이콤(19) 자체로 제어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디지털 방식에서는 예를 들어, 수평/수직 동기신호(H/V SYNC) 검출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칩, 예를 들어, 'Silicon Image' 사의 그래픽 리시버(DVI Receiver) 칩을 마이콤(12)의 전면에 구비하여, 이를 통해 수평/수직 동기신호(H/V SYNC)의 유.무를 검출하도록 제어부를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컴퓨터의 절전모드 및 오프 모드시에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되도록 구성한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구성으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장치에 있어서,
    컴퓨터 본체에서 모니터로 제공되는 수평/수직 동기신호의 유무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신호센싱콘트롤부와;
    외부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컴퓨터 주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경로에 설치되며,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경로를 도통 또는 차단하는 구조를 가지는 전원스위칭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스위칭부는
    상기 전원 공급 경로를 도통 또는 차단하는 제1릴레이와,
    상기 제1릴레이와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 주변기기의 커넥터와 접속될 수 있는 제1콘센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센싱콘트롤부와, 상기 전원스위칭부는 상기 컴퓨터 본체의 내부에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센싱콘트롤부는 상기 수평/수직 동기신호의 유무를 센싱하고 콘트롤하는 제어부와,
    상기 마이콤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스위칭부의 제1릴레이를 구동하는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센싱콘트롤부와, 상기 전원스위칭부는 상기 컴퓨터 본체의 외부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컴퓨터 본체에서 상기 모니터로 신호 제공을 위한 커넥터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커넥터와, 모니터의 커넥터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커넥터를 구비하여, 상기 컴퓨터 본체로부터 공급받은 신호들을 상기 모니터로 그대로 전달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센싱콘트롤부는 상기 수평/수직 동기신호의 유무를 센싱하고 콘트롤하는 제어부와,
    상기 마이콤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스위칭부의 제1릴레이를 구동하는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스위칭부는 상기 제1릴레이 및 상기 제2릴레이와 병렬적으로 연결되는 제2릴레이 및 제2콘센트의 연결 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기신호센싱콘트롤부는 상기 제어부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스위칭부의 제2릴레이를 구동하는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릴레이는 디에너자이저 상태에서 차단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2릴레이 디에너자이저 상태에서 도통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센싱콘트롤부는
    상기 컴퓨터 본체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상기 제어부의 제2입력으로 제공 또는 차단하는 공유모드선택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마이콤은 상기 공유모드선택스위치의 조작 상태를 추가로 더 고려하여 상기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을 제공받으며 상기 컴퓨터 본체가 연결되는 컴퓨터전원콘센트와,
    상기 제어부 및 내부 기능부들에게 동작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와,
    상기 컴퓨터전원콘센트 및 상기 전원부에 상기 외부 전원의 공급 경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 및 외부 스위칭 조작에 의해 해당 경로를 도통 또는 차단하는 전원차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기신호센싱콘트롤부는 상기 제어부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차단부를 구동하는 제3스위칭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이콤은 상기 컴퓨터 본체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제1입력으로 제공받는 구성을 추가로 더 가지며, 이의 감지 여부를 통해 상기 컴퓨터 본체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3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추가로 더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차단부는 리모트로 전원을 투입하기 위한 리모트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리모트스위치는 상기 외부 스위칭 조작을 받기 위한 노브와,
    상기 노브가 눌려짐에 따라 전원 경로의 접점들을 연결하여 전원이 도통되도록 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상기 제3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구동에 의해 내부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접점들과 떨어지도록 하여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KR1020100057148A 2010-01-12 2010-06-16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KR101175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148A KR101175674B1 (ko) 2010-01-12 2010-06-16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CN2011800059461A CN102822767A (zh) 2010-01-12 2011-01-06 用于阻断计算机外围设备的待机电力的装置
JP2012548878A JP2013517553A (ja) 2010-01-12 2011-01-06 コンピュータ周辺機器の待機電力遮断装置
EP11733024A EP2525269A2 (en) 2010-01-12 2011-01-06 Apparatus for blocking standby power of computer peripheral devices
US13/521,145 US8935556B2 (en) 2010-01-12 2011-01-06 Apparatus for blocking standby power of computer peripheral devices during an absence of horizontal/vertical sync signals to a monitor
PCT/KR2011/000094 WO2011087236A2 (ko) 2010-01-12 2011-01-06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2517 2010-01-12
KR1020100002517 2010-01-12
KR1020100057148A KR101175674B1 (ko) 2010-01-12 2010-06-16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112A true KR20110047112A (ko) 2011-05-06
KR101175674B1 KR101175674B1 (ko) 2012-08-22

Family

ID=44304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148A KR101175674B1 (ko) 2010-01-12 2010-06-16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35556B2 (ko)
EP (1) EP2525269A2 (ko)
JP (1) JP2013517553A (ko)
KR (1) KR101175674B1 (ko)
CN (1) CN102822767A (ko)
WO (1) WO2011087236A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7483A1 (ko) * 2012-03-26 2013-10-03 Kim Chang-Ho 컴퓨터 및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KR101482497B1 (ko) * 2014-04-21 2015-01-13 김창호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차단장치
KR20160113751A (ko) 2015-03-18 2016-10-04 방창용 모니터의 전원 관리기능을 내장한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7091036A1 (ko) * 2015-11-26 2017-06-01 김창호 절전 및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모니터 또는 빔프로젝터
WO2017105073A1 (ko) * 2015-12-14 2017-06-22 김창호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컴퓨터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90349A (ko) * 2018-01-24 2019-08-0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KR20190109465A (ko) * 2017-02-16 2019-09-25 김창호 낭비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모니터 및 전원 어댑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2183A (ko) * 2011-04-28 201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기기 및 디스플레이기기의 부팅 방법
JP6110122B2 (ja) * 2012-12-07 2017-04-05 シナプティ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集積回路装置、パネル表示装置及び表示パネルドライバ
CN104777892B (zh) * 2015-04-28 2017-12-26 孙元章 显示器零功耗待机的延时触发和唤醒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216B1 (ko) 1993-03-31 1995-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절약장치
KR950010897B1 (ko) * 1993-08-06 1995-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시스템에서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관리신호 발생방법 및 제어장치
US5603040A (en) * 1993-12-09 1997-02-11 Dell Usa, L.P. Power management control unit for a computer peripheral
JPH07219470A (ja) * 1994-01-31 1995-08-18 Melco:Kk ディスプレイ保護装置
US5616988A (en) * 1994-08-19 1997-04-01 Hyundai Electronics Industries Co., Ltd. High energy-saving circuit for a display apparatus
KR0164134B1 (ko) * 1995-02-24 1998-12-15 김주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된 프린터의 절전제어장치
KR100234423B1 (ko) * 1995-12-05 1999-12-15 윤종용 컴퓨터 주변기기의 전원제어 장치 및 방법
JPH09160745A (ja) 1995-12-11 1997-06-20 Tsubasa Syst Kk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7000127B2 (en) * 2002-04-30 2006-02-14 Dell Products L.P. Power saving circuit for display system
CN100367344C (zh) * 2002-06-25 2008-02-06 富士通株式会社 显示单元和省电控制器
US7634675B2 (en) * 2002-09-05 2009-12-15 Gateway, Inc. Monitor power management
JP4102242B2 (ja) * 2002-11-13 2008-06-18 松下電工電路システム株式会社 省エネ制御端末装置
TWI248568B (en) * 2004-05-24 2006-02-01 Avision Inc Power-saving system of computer peripheral apparatus
KR100609498B1 (ko) * 2004-11-10 2006-08-09 주식회사 잉카솔루션 대기전력 제어장치
KR100907084B1 (ko) 2007-12-28 2009-07-09 제일모직주식회사 열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934970B1 (ko) * 2009-06-19 2010-01-06 김창호 전자제품의 소비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7483A1 (ko) * 2012-03-26 2013-10-03 Kim Chang-Ho 컴퓨터 및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CN104520783A (zh) * 2012-03-26 2015-04-15 米尔普罗斯有限公司 用于计算机和计算机外围设备的待机功率拦截装置
KR101482497B1 (ko) * 2014-04-21 2015-01-13 김창호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차단장치
KR20160113751A (ko) 2015-03-18 2016-10-04 방창용 모니터의 전원 관리기능을 내장한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7091036A1 (ko) * 2015-11-26 2017-06-01 김창호 절전 및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모니터 또는 빔프로젝터
WO2017105073A1 (ko) * 2015-12-14 2017-06-22 김창호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컴퓨터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109465A (ko) * 2017-02-16 2019-09-25 김창호 낭비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모니터 및 전원 어댑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90349A (ko) * 2018-01-24 2019-08-0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22767A (zh) 2012-12-12
EP2525269A2 (en) 2012-11-21
WO2011087236A3 (ko) 2011-11-03
WO2011087236A2 (ko) 2011-07-21
US8935556B2 (en) 2015-01-13
KR101175674B1 (ko) 2012-08-22
JP2013517553A (ja) 2013-05-16
US20130007497A1 (en)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674B1 (ko)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WO2013147483A1 (ko) 컴퓨터 및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JP5208363B2 (ja) グラフィックスコントローラを制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30006167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00079432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02890555A (zh) 显示装置、主机装置、显示系统及其控制方法
KR20030006718A (ko) 모니터의 절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163732B2 (ja) 表示システム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10049948A (ko)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633297B1 (ko) 전자 디바이스의 대기전력 감소를 위한 전원공급장치 및 방법
KR101833992B1 (ko)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
WO2017143862A1 (zh) 一种显示设备及显示设备的控制方法
KR101926184B1 (ko) 모니터 대기전력 저감장치
JP2005049651A (ja) 表示装置
KR101482497B1 (ko)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기전력차단장치
KR10140208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723194B1 (ko) 모니터의 전원 관리기능을 내장한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81019A (ko) 대기전력 차단 구조를 갖는 모니터
KR101470804B1 (ko) 컴퓨터 또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콘센트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19795A (ko) 절전모드 기능을 구비한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1337309A (ja)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30080561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절전 방법
KR101330217B1 (ko) 모니터 및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0933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02552U (ko) 모니터 전원 제어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