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214A - 수륙양용차량의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수륙양용차량의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214A
KR20190090214A KR1020180008808A KR20180008808A KR20190090214A KR 20190090214 A KR20190090214 A KR 20190090214A KR 1020180008808 A KR1020180008808 A KR 1020180008808A KR 20180008808 A KR20180008808 A KR 20180008808A KR 20190090214 A KR20190090214 A KR 20190090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oling
radiator
cooling fluid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원
Original Assignee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8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0214A/ko
Priority to PCT/KR2018/002210 priority patent/WO2019146833A1/ko
Publication of KR20190090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2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3Parts or details of the vehicle structure; vehicle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F3/0053Particular devices for gas circulation, e.g. air admission, cooling, water tight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차량의 냉각 장치는, 냉각 유체가 유동되는 관로, 외부 공기에 의해 냉각 유체를 냉각하는 공기 방열기, 외부 원수(raw water)에 의해 냉각 유체를 냉각하는 수상 방열기 및 냉각 유체가 공기 방열기 또는 수상 방열기로 유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유로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륙양용차량의 냉각 장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륙양용차량의 냉각 장치{Cooling device for amphibious vehicle}
본 발명은 수륙양용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수상 운행 시와 육상 운행 시에 따라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냉각수 흐름에 따른 동력 로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수륙양용차량의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륙양용전차, 수륙양용장갑차 등과 같은 수륙양용차량은 상황에 따라 육상을 주행하기 위한 차바퀴 또는 수상에서 운행하기 위한 캐터필러와 수상을 항행하기 위한 구조(부력을 가지고, 프로펠러 또는 물갈퀴판에 의한 추진)를 겸비한 자동차를 의미한다.
이러한 수륙양용차량은 엔진의 동력을 지상 운행을 위한 휠과 수상 운행을 위한 수상추진기에 선택적으로 배분하는 수륙양용차량용 동력전달시스템을 탑재함으로써, 지상 운행 성능과 수상 운행 성능을 모두 확보할 수 있게 구비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수륙양용차량도 다른 여느 차량과 마찬가지로 엔진을 냉각시킨 냉각수, 리턴 연료 및 기어박스에서 가열된 윤활유 등을 냉각시키는 냉각 시스템이 구비된다. 이 수륙양용차량이 과급 엔진을 장착한 경우에는 냉각대상물로써 앞서 열거한 냉각수, 리턴 연료, 윤활유 외에도 엔진에서 가열된 과급공기가 있으며, 이 과급공기도 이 같은 냉각 시스템이 냉각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수륙양용차량의 육상 주행 시에는 수륙양용차량의 외부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고, 수륙양용차량의 수상 주행 시에는 수륙양용차량의 외부의 원수(raw water)를 이용하여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륙양용차량에는 외부 공기를 통해 엔진으로부터 과열된 냉각수를 냉각하는 공기 방열기와, 외부의 원수를 통해 엔진으로부터 과열된 냉각수를 냉각하는 수상 방열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엔진의 열을 전달 받은 냉각수가 공기 방열기 및 수상 방열기로 모두 유동되어야 하므로, 냉각수 관로가 길어지면서 복잡해지는 것은 물론 냉각수 관로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질 수 밖에 없다. 또한, 냉각수 관로가 길어짐에 따라 냉각수 압력 손실이 커지게 된다. 또한, 냉각수 순환을 위해 냉각수의 압력이 높아져야 하므로, 이에 따른 동력 손실이 커질 수 밖에 없다. 또한, 냉각수의 압력이 높아지면 냉각수가 유동되는 관로는 냉각수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재질, 또는 두께 등을 가져야 함은 물론 냉각수 압력을 견디지 못해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성은 물론 별도의 누수 방지 처리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수륙양용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공기 방열기나 수상 방열기로 냉각수 유동을 유도할 수 있는 수륙양용차량의 냉각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륙양용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냉각수를 공기 방열기로 유동되게 하거나 또는 수상 방열기로 유동되게 하는 수륙양용차량의 냉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수륙양용차량의 냉각수 관로를 최대한 짧게하여 냉각수의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며, 냉각수 압력을 낮추어 동력 손실을 방지함은 물론 냉각수 누수 없이 냉각수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수륙양용차량의 냉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차량의 냉각 장치는, 냉각 유체가 유동되는 관로; 외부 공기에 의해 상기 냉각 유체를 냉각하는 공기 방열기; 외부 원수(raw water)에 의해 상기 냉각 유체를 냉각하는 수상 방열기; 및 상기 냉각 유체가 상기 공기 방열기 또는 상기 수상 방열기로 유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유로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로는, 상기 공기 방열기에서 상기 유로 제어장치로 연결되는 제1 관로; 및 상기 수상 방열기에서 상기 유로 제어장치로 연결되는 제2 관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 제어장치는,
상기 제1 관로 또는 상기 제2 관로를 가변적으로 온/오프하는 가변 밸브; 및 상기 가변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상 방열기에는, 상기 외부 원수에 따른 펌프의 부하를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 원수의 공급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검출 수단에 검출되는 상기 펌프의 부하가 설정 값 이하인 경우 또는 상기 외부 원수의 공급량이 설정 량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관로를 오픈하고 상기 제2 관로를 클로즈하도록 상기 가변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냉각 유체를 상기 제1 관로로 유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상 방열기에는 상기 수상 방열기로 유입되는 상기 외부 원수의 온도와 상기 수상 방열기에서 배출되는 상기 외부 원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 검출 수단에 검출되는 상기 외부 원수의 유입 온도와 상기 외부 원수의 배출 온도의 온도 차이 값이 설정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관로를 오픈하고 상기 제2 관로를 클로즈하도록 상기 가변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냉각 유체를 상기 제1 관로로 유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변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수륙양용차량의 냉각 장치는, 유로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수륙양용차량의 지상 운행 시와 수상 운행 시에 따라 냉각 유체의 유동 경로를 달리 할 수 있어 관로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관로가 간단해지면서 짧아짐에 따라 냉각 유체의 유동에 따른 압력이 낮아질 수 있어 동력 로스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냉각 유체가 관로에서 누수와 같은 결함 발생 없이 흐름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차량의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차량의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일부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차량(10)의 냉각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차량(10)의 냉각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차량(10)에는 냉각 대상물 예컨대 엔진(11), 변속기(12), 유압유(13) 등에 의해 과열된 냉각 유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1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수륙양용차량(10)의 냉각 장치(100)는 지상 운행 시에 공랭 방식으로 냉각이 이루어지는 공랭 모드와, 수상 운행 시에 수랭 방식으로 냉각이 이루어지는 수랭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랭 모드와 상기 수랭 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수륙양용차량(10)의 냉각 장치(100)는, 공기 방열기(130), 수상 방열기(140), 관로(120) 및 유로 제어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로(120)는 수륙양용차량(10)의 엔진(11), 변속기(12) 또는 유압유(13)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유체가 유동되는 통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로(120)에서 유동되는 냉각 유체는 상기 유로 제어장치(150)를 통해 상기 공랭 모드와 상기 수랭 모드에서 서로 다른 냉각 유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로(120)는 메인 관로(123)와 제1 관로(121) 및 제2 관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관로(123)는 후술하는 상기 유로 제어장치(150)와 상기 냉각 대상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 대상물을 냉각시키는 냉각 유체의 냉각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로(121)는 후술하는 상기 공기 방열기(130)에서 상기 유로 제어장치(150)로 연결되어 상기 냉각 유체의 냉각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관로(122)는 상기 수상 방열기(140)에서 상기 유로 제어장치(150)로 연결되어 상기 냉각 유체의 냉각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방열기(130)는 상기 수륙양용차량(10)의 지상 운행 시에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방열기(130)는 외부 공기에 의해 상기 관로(120),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관로(123) 및 상기 제1 관로(121)를 유동하는 상기 냉각 유체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방열기(130)는 상기 수륙양용차량(10)이 물에 잠기지 않는 위치, 예를 들어 수륙양용차량(10)의 상부면 또는 상측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공기 방열기(130)는 외부 공기의 유출입을 위한 냉각팬과, 공기 출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팬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고온의 냉각 유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하며, 고온의 냉각 유체에서 열을 전달 받은 고온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출입구는 상기 냉각팬의 내, 외부 공기 유출입을 위해 수륙양용차량(10)의 내, 외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출입구에는 내, 외부 공기의 유출입을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유로가 형성된 그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상 방열기(140)는 상기 수륙양용차량(10)의 수상 운행 시에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수상 방열기(140)는 외부 원수(raw water)에 의해 상기 관로(120),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관로(123) 및 상기 제2 관로(122)를 유동하는 상기 냉각 유체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수상 방열기(140)는 상기 수륙양용 차량이 물에 잠기는 위치, 예를 들어 상기 수륙양용차량(10)의 하부면 또는 하측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수상 방열기(140)는 외부 원수의 유, 출입구, 여과부, 외부 원수 펌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원수의 유, 출입구는 외부 원수를 상기 수륙양용차량(10)의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유입된 외부 원수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는 상기 수륙양용차량(10)으로 유입되는 외부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여과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게 구비되어 이물질의 크기 별로 여과하도록 구비될 수동 있다. 그러나, 상기 여과부는 상황이나 구조에 따라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펌프는 상기 외부 원수를 내부로 수용하거나 내부에 수용된 외부 원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상 방열기(140)에는 검출 수단(145) 또는 온도 검출수단(14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 수단(145)은 상기 외부 원수에 따른 펌프의 부하를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 원수의 공급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륙양용차량(10)이 지상 운행에서 수상 운행으로 진입될 때 진입 후, 수상 운행에서 지상 운행으로 진입 시에 따라 상기 펌프의 부하는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검출 수단(145)에 검출 된 상기 펌프의 부하의 검출 값이 가장 최소값을 기본 설정 값으로 하여 기본 설정 값 이하인 경우, 상기 검출 수단(145)을 통해 상기 수륙양용차량(10)은 상기 지상 운행 중이거나 또는 지상 운행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펌프의 부하의 검출 값이 기본 설정 값보다 큰 경우, 상기 검출 수단(145)을 통해 상기 수륙양용차량(10)은 상기 수상 운행 중이거나 또는 수상 운행으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상 방열기(140)의 지상 운행과 수상 운행을 더 명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상 방열기(140)에는 상기 수상 방열기(140)로 유입되는 상기 외부 원수의 온도와 상기 수상 방열기(140)에서 배출되는 상기 외부 원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수단(14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 검출수단(146)은 상기 유출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 측의 외부 원수의 온도와 상기 배출구 측의 외부 원수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에 따른 온도 차이를 검출 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차가 설정값보다 낮다면 유입되는 외부 원수의 온도와 배출되는 외부 원수의 온도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 다는 것으로, 외부 원수에 의해 냉각이 거의 발생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수륙양용차량(10)이 지상 운행 중이거나 지상 운행으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검출 수단(145) 또는 온도 검출수단(146)을 통해 상기 수륙양용차량(10)의 주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냉각 유체의 유동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체의 유동 경로 가변에 대한 동작은 유로 제어장치(150)를 설명하면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로 제어장치(150)는 상기 관로(1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각 유체가 상기 공기 방열기(130) 또는 상기 수상 방열기(140)로 유동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륙양용차량(10)이 지상 주행하는 경우, 상기 유로 제어장치(150)는 상기 냉각 유체를 상기 수상 방열기(140)로 유동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공기 방열기(130)로 유동되도록 하여 열을 방열 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상기 수륙양용차량(10)이 수상 주행하는 경우, 상기 냉각 유체를 상기 공기 방열기(130)로 유동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수상 방열기(140)로 유동되도록 하여 열을 방열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로 제어장치(150)는 가변 밸브(151), 제어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밸브(151)는 상기 제1 관로(121)와 상기 제2 관로(12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변 밸브(151)는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관로(121)를 상기 메인 관로(123)와 연결되도록 오픈하고 상기 제2 관로(122)를 상기 메인 관로(123)에서 폐쇄되도록 클로즈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상기 가변 밸브(151)는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관로(121)를 상기 메인 관로(123)에서 폐쇄되도록 클로즈하고, 상기 제2 관로(122)를 상기 메인 관로(123)와 연결되도록 오픈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로(121)가 오픈되고 상기 제2 관로(122)가 클로즈되면, 상기 냉각 유체는 상기 수상 방열기(140) 측으로 유동이 제한되고 상기 공기 방열구와 상기 엔진(11) 사이의 관로(120)를 통해 유동되어 상기 냉각 유체가 방열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1 관로(121)가 클로즈되고 상기 제2 관로(122)가 오픈되면, 상기 냉각 유체는 상기 공기 방열기(130) 측으로 유동이 제한되고 상기 수상 방열기(140)와 상기 엔진(11) 사이의 관로(120)를 통해 유동되어 상기 냉각 유체가 방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변 밸브(151)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변 밸브(151)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관로(121) 또는 상기 제2 관로(122)를 서로 교차되도록 온/오프 하는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어부(152)는 상기 가변 밸브(151)의 온/오프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수륙양용차량(10)의 냉각 장치(100)의 구동 동작을 설명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상기 수륙양용차량(10)이 수상 주행 중에서, 상기 냉각 장치(100)는 수랭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검출 수단(145)이나 상기 온도 검출수단(146)에서는 상기 수상 주행 상태 임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검출 수단(145)을 통해 검출된 상기 펌프의 부하의 검출 값이 설정 값 이상인 경우, 또는 이와 함께 상기 온도 검출수단(146)을 통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원수의 온도와 출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외부 원수의 온도 차이가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수륙양용차량(10)은 수상 주행 중임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검출에 따라 상기 유로 제어장치(150)의 제어부(152)는 상기 가변 밸브(151)의 제어하여, 상기 제1 관로(121)는 클로하여 상기 메인 관로(123)에서 폐쇄되고, 상기 제2 관로(122)는 오픈하여 상기 메인 관로(123)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냉각 유체는 상기 메인 관로(123)와 상기 제2 관로(122)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엔진(11), 상기 변속기(12) 또는 상기 유압유(13)에서 열을 전달 받아 고온이 된 상기 냉각 유체는 상기 메인 관로(123)를 통해 상기 제2 관로(122)로 유동되어 상기 수상 방열기(140)를 통해 방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상 방열기(140)에 의해 냉각된 냉각 유체는 다시 상기 제2 관로(122)와 상기 메인 관로(123)로 유동됨에 따라 상기 엔진(11), 상기 변속기(12), 상기 유압유(13) 측으로 이동되어 이들로부터 열을 전달 받아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냉각 유체는 상기 공기 방열기(130) 측으로 유동되지 않으며, 상기 수상 방열기(140) 측으로만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만 필요로함에 따라 냉각 유체를 공기 방열기(130) 측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동력은 필요로하지 않아 동력 손실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수륙양용차량(10)이 수상 주행에서 지상 주행으로 이동되거나, 지상 주행 중인 경우, 상기 검출 수단(145) 또는 상기 온도 검출수단(146)에 의해 검출된 값에 의해 설정 값과 비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검출 수단(145)을 통해 검출된 상기 펌프의 부하의 검출 값이 설정 값 이하인 경우, 또는 이와 함께 상기 온도 검출수단(146)을 통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원수의 온도와 출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외부 원수의 온도 차이가 설정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수륙양용차량(10)은 수상 주행에서 지상 주행으로 변경 중이거나 지상 주행 중임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검출에 따라 상기 유로 제어장치(150)의 제어부(152)는 상기 가변 밸브(151)의 제어하여, 상기 제1 관로(121)는 오픈하여 상기 메인 관로(123)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2 관로(122)는 클로즈하여 상기 메인 관로(123)에서 폐쇄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냉각 유체는 상기 메인 관로(123)와 상기 제1 관로(121)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엔진(11), 상기 변속기(12) 또는 상기 유압유(13)에서 열을 전달 받아 고온이 된 상기 냉각 유체는 상기 메인 관로(123)를 통해 상기 제1 관로(121)로 유동되어 상기 공기 방열기(130)를 통해 방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방열기(130)에 의해 냉각된 냉각 유체는 다시 상기 제1 관로(121)와 상기 메인 관로(123)로 유동됨에 따라 상기 엔진(11), 상기 변속기(12), 상기 유압유(13) 측으로 이동되어 이들로부터 열을 전달 받아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냉각 유체는 상기 수상 방열기(140) 측으로 유동되지 않으며, 상기 공기 방열기(130) 측으로만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만 필요로함에 따라 냉각 유체를 수상 방열기(140) 측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동력은 필요로하지 않아 동력 손실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차량(10)은 상기 지상 주행과 수상 주행에 따라 냉각 유체의 유동 경로를 제어함으로써 냉각 유체의 유동 경로가 단순해짐은 물론 관로(120)가 단순해지고, 관로(120)의 전체 길이를 기존 길이와 대비하여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륙양용차량(10)의 주행 상태에 따라 상기 냉각 유체의 이동 경로를 선택함에 따라 냉각 유체를 유동시키기 위한 압력이 저하될 수 있고, 비 선택된 곳으로 유동되기 위한 동력 손실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수륙양용차량 11: 엔진
12: 변속기 13: 유압유
100: 냉각 장치 120: 관로
121: 제1 관로 122: 제2 관로
123: 메인 관로 130: 공기 방열기
140: 수상 방열기 145: 검출 수단
146: 온도 검출수단 150: 유로 제어장치
151: 가변 밸브 152: 제어부

Claims (8)

  1. 냉각 유체가 유동되는 관로;
    외부 공기에 의해 상기 냉각 유체를 냉각하는 공기 방열기;
    외부 원수(raw water)에 의해 상기 냉각 유체를 냉각하는 수상 방열기; 및
    상기 냉각 유체가 상기 공기 방열기 또는 상기 수상 방열기로 유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유로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수륙양용차량의 냉각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는,
    상기 공기 방열기에서 상기 유로 제어장치로 연결되는 제1 관로; 및
    상기 수상 방열기에서 상기 유로 제어장치로 연결되는 제2 관로를 포함하는 수륙양용차량의 냉각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제어장치는,
    상기 제1 관로 또는 상기 제2 관로를 가변적으로 온/오프하는 가변 밸브; 및
    상기 가변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륙양용차량의 냉각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방열기에는, 상기 외부 원수에 따른 펌프의 부하를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 원수의 공급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이 구비되는 수륙양용차량의 냉각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에 검출되는 상기 펌프의 부하가 설정 값 이하인 경우 또는 상기 외부 원수의 공급량이 설정 량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관로를 오픈하고 상기 제2 관로를 클로즈하도록 상기 가변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냉각 유체를 상기 제1 관로로 유동되게 제어하는 수륙양용차량의 냉각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방열기에는 상기 수상 방열기로 유입되는 상기 외부 원수의 온도와 상기 수상 방열기에서 배출되는 상기 외부 원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이 더 구비되는 수륙양용차량의 냉각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검출 수단에 검출되는 상기 외부 원수의 유입 온도와 상기 외부 원수의 배출 온도의 온도 차이 값이 설정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관로를 오픈하고 상기 제2 관로를 클로즈하도록 상기 가변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냉각 유체를 상기 제1 관로로 유동되게 제어하는 수륙양용차량의 냉각 장치.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수륙양용차량의 냉각 장치.
KR1020180008808A 2018-01-24 2018-01-24 수륙양용차량의 냉각 장치 KR2019009021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808A KR20190090214A (ko) 2018-01-24 2018-01-24 수륙양용차량의 냉각 장치
PCT/KR2018/002210 WO2019146833A1 (ko) 2018-01-24 2018-02-22 수륙양용차량의 냉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808A KR20190090214A (ko) 2018-01-24 2018-01-24 수륙양용차량의 냉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214A true KR20190090214A (ko) 2019-08-01

Family

ID=6739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808A KR20190090214A (ko) 2018-01-24 2018-01-24 수륙양용차량의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90214A (ko)
WO (1) WO201914683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411A (ko) 2021-02-25 2022-09-01 현대로템 주식회사 수륙양용차량용 냉각장치
KR20240003074A (ko) 2022-06-30 2024-01-08 현대로템 주식회사 수륙양용차량용 냉각장치
KR20240044622A (ko) 2022-09-29 2024-04-05 현대로템 주식회사 수륙양용차량용 복합식 냉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80924B (zh) * 2021-08-24 2023-06-02 郑州宇通重工有限公司 一种特种装备及其发动机舱体冷却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88184A (en) * 2002-05-03 2003-11-05 Gibbs Int Tech Ltd Amphibious vehicle dual engine cooling system
GB2420592B (en) * 2004-11-29 2007-04-25 Gibbs Tech Ltd An exhaust cooling system of an amphibious vehicle
KR101204310B1 (ko) * 2011-06-07 2012-11-26 현대로템 주식회사 수륙양용차량용 냉각 시스템
JP6512694B2 (ja) * 2015-03-19 2019-05-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水陸両用車
KR101747228B1 (ko) * 2016-12-05 2017-06-1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수륙 양용 장갑차의 냉각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411A (ko) 2021-02-25 2022-09-01 현대로템 주식회사 수륙양용차량용 냉각장치
KR20240003074A (ko) 2022-06-30 2024-01-08 현대로템 주식회사 수륙양용차량용 냉각장치
KR20240044622A (ko) 2022-09-29 2024-04-05 현대로템 주식회사 수륙양용차량용 복합식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6833A1 (ko)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0214A (ko) 수륙양용차량의 냉각 장치
US7114469B1 (en) Cooling system for a marine propulsion engine
JP5787994B2 (ja) 冷機運転時および/または暖機運転時の冷却用の冷媒集合管を備えた内燃機関
RU2384713C2 (ru) Оптимизированное охлаждение масла дл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6346426B2 (ja) Egrガス及びエンジンオイル冷却装置とその制御方法
RU2605493C2 (ru) Контур охлаждающей жидкости
SE530441C2 (sv) Motorkylsystem
CN107339142A (zh) 动力系热管理系统和方法
CN102953798A (zh) 冷却系统和方法
CN103184925A (zh) 运行冷却液回路的方法
JP4457848B2 (ja) 車両搭載パワーユニットの冷却装置
JP2012500364A (ja) 内燃機関によって駆動される車両用の冷却システム
US5860595A (en) Motor vehicle heat exhanger
CN110332039A (zh) 一种发动机冷却系统及控制方法
KR102383230B1 (ko) 엔진 냉각 시스템
JP2015169166A (ja) 内燃機関の冷却装置
US20170030252A1 (en) Method and Device for Ventilating a Heat Management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2227998A (ja) 油圧駆動装置
KR20130031540A (ko) 차량용 냉각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SE541131C2 (sv) Avluftningskrets för ett kylsystem vid en förbränningsmotor
RU2592155C2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разделенного контура охлаждающей жидкости
CN111206981A (zh) 用于冷却散热器布置的控制阀
CN110959067B (zh) 发动机冷却装置及发动机系统
KR101747228B1 (ko) 수륙 양용 장갑차의 냉각 시스템
JP2008095694A (ja) エンジンの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