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993A - 부형 부직포 - Google Patents

부형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993A
KR20190089993A KR1020197019436A KR20197019436A KR20190089993A KR 20190089993 A KR20190089993 A KR 20190089993A KR 1020197019436 A KR1020197019436 A KR 1020197019436A KR 20197019436 A KR20197019436 A KR 20197019436A KR 20190089993 A KR20190089993 A KR 20190089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cost
liquid
present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카즈 테라다
Original Assignee
제이엔씨 주식회사
제이엔씨 파이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엔씨 주식회사, 제이엔씨 파이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엔씨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89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2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sheath-cor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otherwise than in a plane, e.g. in a tubular w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61F13/5110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the top sheet having corrugations or embossments having one ax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other axis, e.g. forming channels or gro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combination with mechanical or physical treatments other than embo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촉이 우수하고, 통액성이 양호하며, 부품성이 높고 액 복귀가 개선된 개공을 갖는 부형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 부직포 표면에 상대적으로 비용적이 낮은 부분과 비용적이 높은 부분이 각각 직선형으로 평행하게 존재하는 부형 부직포로서, 비용적이 낮은 부분은 열 압축된 부분과 개공 부분을 교대로 가지고 있고, 비용적이 높은 부분은 열 압축되지 않은 두둑을 갖는 부형 부직포에 의한다.

Description

부형 부직포
본 발명은, 부품성(부풀어오르는 성질, 벌키성)이 높고 개공을 갖는 부형(賦形) 부직포 및 그를 이용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대 등 위생 재료에 사용되는 부직포는, 보다 쾌적성을 요구받아 개량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표면재에는, 피부의 발진이나 오줌이나 경혈로 인한 땀참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특수한 부직포가 사용되게 되었다. 예를 들면, 피부와의 접촉 면적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부형을 실시한 부직포나 흡수 속도를 올리기 위하여 개공(開孔)을 갖는 부직포를 예로 들 수 있다.
종래의 개공을 갖는 부직포로는, 핀 롤과 돌조(突條) 롤에 의해 부직포를 끼우면서, 가열된 핀으로 찌름으로써 개공이 형성된 부직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부직포가 핀 롤에 의해 찌부러져 버리기 때문에, 부직포의 부품성이 낮아져 감촉(texture)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개공 이외는, 부직포가 압밀(壓密)되어 버리기 때문에, 액체가 통과하기 어렵고, 부품성이 낮아져 버려, 액 복귀(liquid return)가 많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돌조 롤과 천공 핀 롤을 합친 개공 장치에 의해 개공과 부형(shaped)을 실시한 부형 부직포가 검토된 바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그러나, 그 부형 부분은 돌조 롤에 의해 압축되어 형성된 부형이므로, 액체가 통과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부직포의 인장(장력)으로 인한, 부형 유지성이 낮고, 일회용 기저귀 가공이나 생리대로의 가공 시 부형 부분이 찢어지는 등이 발생하게 되어 부형 유지성이 저하된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 일본 특허 공개 평 6-33044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9-215667호 공보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은, 감촉이 우수하고, 통액성(通液性)이 양호하며, 부품성이 높고 액 복귀(액 되돌아옴, liquid return)가 개선된, 개공을 갖는 부형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부직포 표면에 상대적으로 비용적(比容積)이 낮은 부분과 비용적이 높은 부분이 직선형으로 각각 존재하고, 비용적이 낮은 부분에는, 개공이 존재하는 부형 부직포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1〕 부직포 표면에 상대적으로 비용적이 낮은 부분과 비용적이 높은 부분이 각각 직선형으로 평행하게 존재하는 부형 부직포로서, 비용적이 낮은 부분은 열 압축된 부분과 개공 부분을 교대로 가지고 있고, 비용적이 높은 부분은 열 압축되지 않은 두둑(畝)을 갖는 부형 부직포.
〔2〕 〔1〕에 있어서,
부직포 표면의 상대적으로 비용적이 높은 부분의 부직포 단면에 있어서, 부직포 단면의 중심에 비용적이 낮은 영역을 갖는 부형 부직포.
〔3〕 〔1〕 에 있어서,
부직포 표면의 상대적으로 비용적이 높은 부분의 부직포 단면에 있어서, 부직포 단면의 중심에 비용적이 높은 영역을 갖는 부형 부직포.
〔4〕 상기〔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식으로 정의하는 비용적 비가 5% 이상 50% 미만인, 부형 부직포.
비용적 비(比)=비용적이 낮은 부분에 있어서의 비용적/비용적이 높은 부분에 있어서의 비용적×100
본 발명의 부형 부직포는, 부품성이 높고 감촉이 우수하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부형 부직포는, 상대적으로 비용적이 높은 부분은 열 압축되지 않은 두둑(이랑, ridge)을 가지고 있고, 상대적으로 비용적이 낮은 부분은 열 압축된 부분과 개공 부분을 교대로 가지고 있으므로, 액체의 통액 시간이 짧고(흡수 속도가 빠름.), 통액성이 양호하며, 또한 부품성이 높으므로, 액 복귀성이 저감되고, 양호한 특성을 갖는다.
[도 1] 도 1은, 본 발명의 부형 부직포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부직포의 횡단면도의 사진이다.
[도 2] 도 2는, 본 발명의 부형 부직포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부직포의 횡단면도의 사진이다.
[도 3] 도 3은, 본 발명의 부형 부직포의 상면에서 본 사진이다.
[도 4]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한 쌍의 열 압축용의 부형 롤의 정면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5] 도 5는, 본 발명의 부형 부직포의 상대적으로 비용적이 높은 부분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단면에 있어서, 부직포 단면의 중심에 비용적이 낮은 영역(5)을 갖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 도 6은, 본 발명의 부형 부직포의 상대적으로 비용적이 높은 부분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단면에 있어서, 부직포 단면의 중심에 비용적이 높은 영역(6)을 갖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부형 부직포는, 부직포 표면에 상대적으로 비용적이 낮은 부분과 비용적이 높은 부분이 각각 직선형으로 평행하게 존재하는 부형 부직포로서, 비용적이 낮은 부분은 열 압축된 부분과 개공 부분을 교대로 가지고 있고, 비용적이 높은 부분은 열 압축되지 않은 두둑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부직포를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열 압착식의 핀 롤러로 열융착성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가공하면 된다.
본 발명의 부형 부직포는, 하기 식으로 정의하는 비용적 비가 5% 이상 5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용적 비=비용적이 낮은 부분에 있어서의 비용적/비용적이 높은 부분에 있어서의 비용적×100(%)
비용적 비가 5% 이상 50% 미만이면, 동일한 두께의 부직포라 하더라도, 흡수성이 우수하다. 비용적 비는, 5% 이상 4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0% 이상 40%이하가 부품성이 높은 점에서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부직포로는, 카딩(carding)법으로 얻어진 웹(web)을 순환식 열풍 드라이어로 열 압착하여 얻어지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열융착성 복합 섬유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직쇄형(直鎖狀)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의 폴리에틸렌(PE), 결정성(結晶性)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을 주 성분으로 하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또는 α 올레핀과의 공중합체(Co-PP) 등의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터(에스테르) 공중합체(Co-PET) 등의 폴리에스터(PET)를 조합한 복합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조합으로는, 예를 들면, PP/PE, PP/Co-PP, PET/PE, PET/LLDPE, PET/Co-PET를 들 수 있다. 또한, 복합 섬유의 형태로는, 초심(Sheath-Core)형, 병렬형(竝列型), 편심(偏心) 초심형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의 섬도(纖度)는, 0.8 dtex∼20 dtex가 바람직하며, 1.0 dtex∼10 dtex가 더 바람직하다. 특히 표층(피부에 닿는 측)에 사용하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열융착성 복합 섬유가 보다 가는 섬도(纖度)로 함으로써, 부직포의 유연성, 감촉이 양호해지고, 나아가, 스무드(smooth)성이 향상되므로, 피부와의 마찰이 저감되고, 발진이 저감되는 효과가 높아진다. 그러나, 가는 섬도의 열융착성 복합 섬유로 구성되는 부직포는, 섬유 구성 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액체가 통과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부직포에 일정 간격으로 홀(孔)을 뚫어 통액성을 유지하고 있는데, 통액성과 감촉의 밸런스와 가공 상의 생산성 상, 본 범위 내의 섬유 섬도품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단위면적 당 무게는, 부직포가 단층인 경우, 10 g/m2∼100 g/m2가 바람직하며, 15 g/m2∼70 g/m2가 더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이면, 부직포의 부품성 혹은 흡수 성능이 양호해진다. 또한, 부직포가 다층인 경우, 다층의 총 단위면적 당 무게은, 10 g/m2∼100 g/m2가 바람직하며, 15 g/m2∼70 g/m2가 더 바람직하다.
직선형으로 존재하는 상대적으로 비용적이 높은 부분(볼록부 또는 두둑이라고도 함.)의 폭, 즉 CD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2 mm 이상 10 mm 이하가 바람직하며, 3 mm 이상 6 mm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2 mm 이상이면, 충분한 두둑을 형성할 수 있고, 본 발명에 의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또한, 10 mm 이하이면,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과도하게 많아지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직선형으로 존재하는 상대적으로 비용적이 낮은 부분(오목부라고도 함.)의 폭, 즉 CD 방향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 mm 이상 10 mm 이하가 바람직하며, 2 mm 이상 6 mm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오목부가 1 mm 이상이면, 오목부의 형성을 할 수 있고, 10 mm 이하이면, 압밀부가 과도하게 많아지는 경우가 없어, 액 흡수를 저해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볼록부, 오목부의 폭이 상기 범위 내이면, 요철의 폭은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대략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면, 물결 무늬, 들쭉날쭉한 무늬 등, 요철의 경계선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오목부의 개공 부분의 개공은, 예를 들면, 그 홀이 대략 원형인 경우, 직경은 0.5 mm∼5 mm가 바람직하다. 또한, 개공과 개공 간의 간격은 1 mm 이상 10 mm 이하의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통액 시간과 액 복귀량 간의 밸런스가 양호해진다. 개공의 직경이 작고, 개공과 개공의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 액 복귀량은 적어지지만, 통액 시간은 길어지고, 반대로 개공의 지름이 크고, 개공과 개공의 간격이 좁아지면, 통액 시간은 짧아지지만, 액 복귀량이 늘어난다. 또한, 간격이 과도하게 넓으면 통액 시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부형 부직포는, 카딩법의 순환식 열풍 드라이어로 얻어지는 부직포를 원료로 하고, 압축 구멍뚫기를 가능하게 하는 볼록부(핀 롤)와, 부직포의 두께를 남길 수 있도록 움푹 패게 한 부분을 롤의 폭 방향으로 교대로 갖는 상부 열 롤과 핀 롤을 받치는 부분에 구멍이 뚫려 있는 하부 열 롤로 이루어지는 열 압축용의 부형 롤(도 4 참조. 롤의 상하 온도 115℃)로 구멍뚫기와 부형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형 부직포는, 특별히 사용하는 면은 한정되지 않으나,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대 등 위생 재료의 표면재에 사용하는 경우, 피부에 닿는 면은 부직포의 기모(起毛)에 의해 생긴 보푸라기로 인한 발진의 문제 때문에, 네트면을 상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형 부직포는, 상하 두 층의 열융착성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적층시켜, 그 길이 방향으로 연통한 홀을 마련함으로써, 부형을 더 형성시켜도 된다. 이러한 연통한 구멍을 얻을 수 있다면,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층과 하층의 적층에 의해 형성된 공간(중공부) 혹은, 밀도차(비용적 차)를 형성함으로써, 부직포의 쿠션성이 증가하고, 부품성이 높고 부형 유지성이 높은 부직포가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부형 부직포는, 액체의 건조를 빠르게 하고, 부직포의 드라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부형 부직포는, 하나의 부직포 중에 비용적 차를 갖는 부직포를 두 개 사용하여, 이들을 적층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부형 부직포의 적층 단면에 있어서, 그 중심에 비용적이 낮은 영역을 갖는 구조로 할 수 있고, 또한, 그 중심에 비용적이 높은 영역을 갖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카딩법의 순환식 열풍 드라이어로 얻어지는 부직포 표면은, 이송 컨베이어 측의 네트면과 그 반대면의 네트면(이하, 퍼지면(fuzzy surface)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으로 이루어지고, 네트면은, 웹이 순환 풍에 의해 이송 컨베이어에 꽉 눌려지기 때문에, 비교적 비용적이 낮아지고, 퍼지면은 비교적 비용적이 높아진다.
상하 두 층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연통된 구멍을 갖도록 부형 가공을 수행한 경우, 얻어진 부형 부직포는, 그 표면의 비용적이 높은 부분의 부직포 단면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네트면과 퍼지면의 어느 것을 위로 할 것인지에 따라, 네 종류의 패턴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패턴 중에서, 도 5, 도 6은 특히 위생 재료 용도로 양호한 조합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부형 부직포에 대해서는, 특별히 사용하는 면은 한정되지 않으나,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대 등 위생 재료의 표면재에 사용하는 경우, 피부에 닿는 면은 부직포의 기모에 의해 생긴 보푸라기로 인한 발진의 문제 때문에, 네트면을 상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부형 부직포의 성능의 평가는 이하의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부직포의 부품성 평가법>
샘플로, 100 mm×100 mm로 잘라낸 부직포를 사용하고, 부직포의 단위면적 당 무게을 측정하고, 그 값을 A(g/m2)라고 한다.
단위면적 당 무게의 측정을 수행한 샘플의 두께를, 디지씨크니스 테스터(DIGI-THICKNESS TESTER)를 사용하여, 네 곳 측정하고, 그 산술 평균의 값을 B(mm)라고 한다.
이하의 식에 의해, 이들 값으로부터 비용적(부직포 밀도)을 산출한다. 비용적이 높을수록, 부품성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비용적=B/A×1000(cm3/g)
<비용적 비>
비용적 비는, 이하의 계산식으로부터 산출한다.
비용적 비=비용적이 낮은 부분에 있어서의 비용적/비용적이 높은 부분에 있어서의 비용적×100
<흡수 성능의 평가법>
흡수 성능은, (1) 초기 통액성과 반복 통액성의 평가와, (2) 액 복귀성 평가로부터 종합적으로 판단하였다.
(1) 초기 통액성과 반복 통액성의 평가
EDANA ERT 150.3-96의 액 통과 시간의 측정 방법을 바탕으로, 액체가 부직포 샘플을 통액하는 시간(통액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통액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아크릴판의 홀더 위에 흡수지((주)크레시아(CRECIA Co. Ltd.) 제조 킴타월(Kimtowel)(상품명))를 4장 포개고 네 겹으로 접은 것 두 장)를 올리고, 그 위에 100 mm×100 mm의 정사각형의 부직포 샘플을 올린다. 홀더에 세팅하고, 생리 식염수 10 ml를 뷰렛(burette)으로 붓고, 그 통액 시간을 측정하였다. 덧붙여, 생리 식염수는, 9g의 NaCl을 이온 교환수에 완전히 용융시키고, 1000g로 만든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동 샘플의 2회째의 통액 시간의 측정은, 1회째의 측정 종료 후, 1분간 방치하고, 그 후, 샘플을 흡수지 상하 8장으로 끼우고 35 g/cm2의 가중(加重)을 실어 1분간 방치하고, 나아가 3분간 풍건(風乾)시킨 후, 2회째의 통액 시간의 측정을 수행하였다. 이를 3회 반복하였다. 초기(1회째)의 통액 시간과 3회 반복한 통액 시간이 짧을수록 통액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2) 액 복귀성 평가
EDANA-ERT 151.1-96에 준한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덧붙여, 사용한 흡수지는 (주)크레시아 제조 킴타월(상품명)을 약 90 mm×90 mm(5.00∼5.05g이 되도록 조정)로 재단한 것을 사용하고, 뷰렛으로 계량한 생리 식염수 17 ml를 투수(透水), 흡수시켰다. 액 복귀량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액 복귀량이 적을수록 양호한 부직포라고 판단하였다.
○: 4g 미만
△: 4g 이상 4. 5g 미만
Х: 4. 5g 이상
<유연성 평가법>
10인의 패널러(paneler)에 의해, 다음의 평가 기준에 따라 유연성을 평가하였다.
○: 유연하다고 느낀 사람 수가 8인 이상임.
△: 유연하다고 느낀 사람 수가 5인 이상 7인 이하임.
Х: 유연하다고 느낀 사람 수가 4인 이하임.
본 평가법에 있어서, ○ 또는 △의 평가가 된 부직포를 유연성이 높다고 평가하였다.
<쿠션성 평가법>
10인의 패널러에 의해, 다음의 평가 기준에 따라 쿠션성을 평가하였다.
○: 반발성이 있다고 느낀 사람 수가 8인 이상임.
△: 반발성이 있다고 느낀 사람 수가 5인 이상 7인 이하임.
Х: 반발성이 있다고 느낀 사람 수가 4인 이하임.
본 평가법에 있어서 ○ 또는 △의 평가가 된 부직포를 쿠션성이 높다고 평가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 비교 예에 있어서, 폴리에틸렌으로는 하기 PE를 사용하였고, 폴리에스터로는 하기 PET를 사용하였다.
PE: 게이요 폴리에틸렌(주)(KEIYO POLYETHYLENE CO.,LTD.) 제조 M6900(상품명)
PET: 장쑤 산팡샹 그룹 유한공사(Jiangsu Sanfangxiang Group Co., Ltd.) 제조 CZ5022(상품명)
<샘플 1>
섬도 1.3 dtex, 초심 면적비 50/50의 초 성분이 PE, 심 성분이 PET인 초심형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단위면적 당 무게 25 g/m2의 부직포를 부형 롤러(롤러의 상하 온도 120℃)로 구멍뚫기 부형 가공을 수행하였다.
얻어진 샘플 1은, 두께가 0.73 mm이었고, 비용적이 29.2(cm3/g)이었으며, 비용적이 높은 부분은 열 압축되지 않은 두둑을 가지고 있었다.
<샘플 2>
섬도 1.3 dtex, 초심 면적비 50/50의 초 성분이 PE, 심 성분이 PET인 초심형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단위면적 당 무게 25 g/m2의 부직포를 상층에 사용하고, 섬도 2.6 dtex, 초심 면적비 50/50의 초 성분이 PE, 심 성분이 PET인 초심형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단위면적 당 무게 25 g/m2의 부직포를 하층에 사용하여, 2층용의 부형 롤러(롤러의 상하 온도 120℃)로 구멍뚫기 부형 가공을 수행하였다.
얻어진 샘플 2는, 두께가, 1.5 mm이었고, 비용적이 30.6(cm3/g)이었으며, 비용적이 높은 부분은 열 압축되지 않은 두둑을 가지고 있었다.
<샘플 3>
섬도 1.3 dtex, 초심 면적비 50/50의 초 성분이 PE, 심 성분이 PET인 초심형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단위면적 당 무게 25 g/m2의 부직포를 요철 엠보싱 롤과 핀 롤을 합친 열 롤(롤의 상하 온도 115℃)로 구멍뚫기 부형 가공을 수행하였다.
얻어진 샘플 3은, 두께가 0.35 mm이었고, 비용적이 14.0(cm3/g)이었으며, 비용적이 높은 부분은 요철 엠보싱 롤과 핀 롤을 합친 열 롤에 의해 열 압축된 두둑을 가지고 있었다.
<샘플 4>
섬도 1.3 dtex, 초심 면적비 50/50의 초 성분이 PE, 심 성분이 PET인 초심형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단위면적 당 무게 25 g/m2의 부직포를 상층에 사용하고, 섬도 2.6 dtex, 초심 면적비 50/50의 초 성분이 PE, 심 성분이 PET인 초심형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단위면적 당 무게 25 g/m2의 부직포를 하층에 사용하여, 요철 엠보싱 롤(롤의 상하 온도 80℃)로 상층의 부형 가공을 수행한 후, 상층의 부형을 고정하기 위하여, 하층과 초음파 접착기에 의해 포인트 접착하였다.
얻어진 샘플 4는 두께가 0.79 mm이었고, 비용적이 16.7(cm3/g)이었으며, 비용적이 높은 부분은 요철 엠보싱 롤에 의해 열 압축된 두둑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 예 1
샘플 1은, 부형 롤러를 사용하여 가공된 단층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개공을 갖는 부형 부직포이다(도 1). 비용적이 높고 부품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10인의 패널러에 의한 감촉 평가에 있어서도, 유연성이 있다고 평가한 패널러가 8명, 또한 쿠션성이 높다고 평가한 패널러가 5인으로 높은 평가를 얻었다.
흡수 성능에 관해서는 구멍뚫기 효과에 의해 통액성이 높고, 초기 통액성 및 반복 통액성의 효과가 높다. 또한, 액 복귀에 있어서는, 부형 볼록부가 부품성이 높기 때문에, 액 복귀량은 적다. 비용적 비는, 5.9/29.2×100=20%였다.
실시 예 2
샘플 2는 부형 롤러를 사용하여 가공된 이층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개공을 갖는 부형 부직포이다(도 2). 비용적이 높고 부품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10인의 패널러에 의한 감촉 평가에 있어서도, 유연성이 있다고 평가한 패널러가 8명, 또한 쿠션성이 높다고 평가한 패널러가 8인으로 높은 평가를 얻었다.
흡수 성능에 있어서도, 흡수 성능에 관해서는 구멍뚫기 효과에 의해 통액성이 높고, 초기 통액성 및 반복 통액성의 효과가 높다. 또한, 액 복귀에 있어서는, 부형 볼록부가 부품성이 높기 때문에 액 복귀량은 적다. 비용적 비는, 4.9/30.6×100=16%였다.
비교 예 1
샘플 3은, 요철 엠보싱 롤에 의해 부형시킨 샘플이다. 이 샘플 3은, 비용적은 높지만, 볼록부가 공동(空洞)이기 때문에 찌부러지기(무너지기) 쉬운 것이었다. 또한, 인장 응력에 대하여 부형 유지성이 나쁘다. 10인의 패널러에 의한 감촉 평가에서는, 유연하다고 느낀 패널러는 4인, 쿠션성이 높다고 느낀 패널러는 4인이었다.
흡수 성능은, 구멍뚫기 효과에 의해 초기 통액성, 반복 통액성의 효과는 있지만, 부직포 전체가 압밀되어 있기 때문에 액 복귀량이 비교적 많다. 비용적 비는, 12.6/14.0×100=90%였다.
비교 예 2
샘플 4는, 상층의 요철 엠보싱 부형 부직포를 하층에 의해 고정시킨 이층 부직포인데, 비용적은 높고, 하층의 효과에 의해 부형 유지성도 있지만, 볼록부는 공동이기 때문에 찌부러지기 쉬운 것이었다. 10인의 패널러에 의한 감촉 평가에서는, 유연하다고 느낀 패널러는 5인, 쿠션성이 높다고 느낀 패널러는 5인이었다.
흡수성 성능에 있어서는, 초기 통액성, 특히 반복 통액성은 매우 낮은 것이었다. 비용적 비는, 14. 5/16. 7×100=87%였다.
부직포(상층)
단위면적 당 무게 25 gsm
부직포(하층)
단위면적 당 무게 25 gsm
통액 시간(sec)




(g)




수지
구성
섬도
(dtex)
수지
구성
섬도
(dtex)
1회 2회 3회
실시 예 1 PE/PET 1.3 - - 0.8 1.0 1.2 3.7
실시 예 2 PE/PET 1.3 PE/PET 4.4 0.9 1.2 1.6 3.5
비교 예 1 PE/PET 1.3 - - 0.7 0.9 1.4 6.0 Х Х
비교 예 2 PE/PET 1.3 PE/PET 2.8 1.2 1.5 2.4 4.5
본 발명의 부형 부직포는, 개공을 가짐으로써 초기 통액성 및 반복 통액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보다 가는 섬도의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가는 섬도의 섬유를 사용하는 것 및 부직포의 두께를 남기는 것에 의해, 유연하고 쿠션성이 높은 부형 부직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부형 부직포는, 위생 재료용 표면재에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열 압축용의 부형 롤
2 상부 열 롤
3 하부 열 롤
4 비용적이 높은 부분
5 비용적이 낮은 영역
6 비용적이 높은 영역
7 비용적이 높은 부분

Claims (4)

  1. 부직포 표면에 상대적으로 비용적이 낮은 부분과 비용적이 높은 부분이 각각 직선형으로 평행하게 존재하는 부형 부직포로서, 비용적이 낮은 부분은 열 압축된 부분과 개공 부분을 교대로 가지고 있고, 비용적이 높은 부분은 열 압축되지 않은 두둑을 갖는 부형 부직포.
  2. 청구항 1에 있어서,
    부직포 표면의 상대적으로 비용적이 높은 부분의 부직포 단면에 있어서, 부직포 단면의 중심에 비용적이 낮은 영역을 갖는 부형 부직포.
  3. 청구항 1에 있어서,
    부직포 표면의 상대적으로 비용적이 높은 부분의 부직포 단면에 있어서, 부직포 단면의 중심에 비용적이 높은 영역을 갖는 부형 부직포.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식으로 정의하는 비용적 비가 5% 이상 50% 미만인, 부형 부직포.
    비용적 비=비용적이 낮은 부분에 있어서의 비용적/비용적이 높은 부분에 있어서의 비용적×100(%)
KR1020197019436A 2016-12-06 2017-12-05 부형 부직포 KR201900899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36632A JP6708107B2 (ja) 2016-12-06 2016-12-06 賦形不織布
JPJP-P-2016-236632 2016-12-06
PCT/JP2017/043599 WO2018105594A1 (ja) 2016-12-06 2017-12-05 賦形不織布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993A true KR20190089993A (ko) 2019-07-31

Family

ID=62491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436A KR20190089993A (ko) 2016-12-06 2017-12-05 부형 부직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382932A1 (ko)
JP (1) JP6708107B2 (ko)
KR (1) KR20190089993A (ko)
CN (1) CN110062828A (ko)
TW (1) TW201821042A (ko)
WO (1) WO20181055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57388B2 (ja) * 2019-01-11 2022-10-20 Jnc株式会社 開孔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0443A (ja) 1993-05-18 1994-11-29 Kao Corp 立体穿孔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9215667A (ja) 2008-03-07 2009-09-24 Kao Corp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59438A1 (en) * 1999-04-08 2000-10-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combination of skin feel and fluid handling
AU2005338967B2 (en) * 2005-12-07 2012-05-17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Nonwoven material and absorbing article comprising nonwoven material
JP5568210B2 (ja) * 2007-06-13 2014-08-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不織布シートの製造方法
JP5087419B2 (ja) * 2008-02-05 2012-12-05 花王株式会社 不織布
JP5074301B2 (ja) * 2008-06-13 2012-11-14 花王株式会社 不織布の製造方法
JP5319512B2 (ja) * 2009-12-22 2013-10-16 花王株式会社 凹凸不織布の製造方法
JP5842353B2 (ja) * 2010-04-13 2016-01-13 Jnc株式会社 嵩高性不織布
JP5717602B2 (ja) * 2011-09-30 2015-05-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積層不織布、及び当該積層不織布の製造方法
JP5998000B2 (ja) * 2012-09-30 2016-09-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不織布及び吸収性物品
JP5960775B2 (ja) * 2013-12-27 2016-08-02 花王株式会社 立体シート及び立体シートの製造方法
JP3210463U (ja) * 2017-03-03 2017-05-25 花王株式会社 不織布、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0443A (ja) 1993-05-18 1994-11-29 Kao Corp 立体穿孔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9215667A (ja) 2008-03-07 2009-09-24 Kao Corp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62828A (zh) 2019-07-26
JP2018090932A (ja) 2018-06-14
US20190382932A1 (en) 2019-12-19
JP6708107B2 (ja) 2020-06-10
TW201821042A (zh) 2018-06-16
WO2018105594A1 (ja)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805B1 (ko) 터프트화된 섬유질 웨브
KR100803015B1 (ko) 타래가 형성된 라미네이트 웨브
US7682686B2 (en) Tufted fibrous web
CA2452710C (en) High-elongation apertured nonwoven web and method for making
US9327473B2 (en) Fluid-entangled laminate webs having hollow projections and a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KR100592617B1 (ko) 3차원 구조를 갖는 엠보싱된 부직포
JP4308822B2 (ja) タフト化した繊維ウェブ
JP5771518B2 (ja) 不織布
KR20190089993A (ko) 부형 부직포
JPH0446147B2 (ko)
JP7157388B2 (ja) 開孔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30390125A1 (en)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laminate topsheet
WO2020203184A1 (ja)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及び吸収性物品
CN116917561A (zh) 无纺布及其制造方法
MXPA97009764A (en) Crepeed and / or perforated fabrics and a process to produce m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