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187A -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이의 어셈블링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display screen assembly, assembl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이의 어셈블링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display screen assembly, assembl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187A
KR20190089187A KR1020197018295A KR20197018295A KR20190089187A KR 20190089187 A KR20190089187 A KR 20190089187A KR 1020197018295 A KR1020197018295 A KR 1020197018295A KR 20197018295 A KR20197018295 A KR 20197018295A KR 20190089187 A KR20190089187 A KR 20190089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creen
cover plate
screen assembly
engaging portion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0753B1 (ko
Inventor
자오 청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0013756.3A external-priority patent/CN106843388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0022967.9U external-priority patent/CN206364858U/zh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89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01L27/32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Abstract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전자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에 대한 어셈블링 방법이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는, 커버 플레이트, 디스플레이 스크린, 브라켓 및 장식 엔클로저를 포함한다. 커버 플레이트는 측부 엣지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면은 커버 플레이트의 하부면과 결합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폭은 커버 플레이트의 폭 보다 크며,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의 측부 엣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하여 안쪽으로 굴곡져 있다. 브라켓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단면과 결합되는 상단부를 포함한다. 장식 엔클로저는, 커버 플레이트의 측부 엣지와 결합되는 측면을 포함하고 그리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비-디스플레이 영역을 차폐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이의 어셈블링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DISPLAY SCREEN ASSEMBLY, ASSEMBL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본 개시내용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전자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어셈블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폰은 점점 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그리고 보다 더 많은 기능들을 가짐으로 인해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서의 필수적인 전자 장치가 되었다. 기존의 스마트폰은 낮은 스크린-대-바디(screen-to-body) 비율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자 경험이 좋지 않았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전자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어셈블링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 1 양상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는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 디스플레이 스크린, 브라켓(bracket) 및 장식 엔클로저(decoration enclosure)를 포함한다. 커버 플레이트는 측부 엣지(side edge)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면(top surface)은 커버 플레이트의 하부면(lower surface)과 결합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폭은 커버 플레이트의 폭보다 크며,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의 측부 엣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해 내측으로 굴곡지게 되어 있다. 브라켓은 상단부(top portion)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단면(bottom surface)은 브라켓의 상단부와 결합된다. 장식 엔클로저는 커버 플레이트의 측부 에지와 연결되는 측면을 포함하고 그리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비-디스플레이 영역을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커버 플레이트의 측부 엣지는 제 1 경사면으로서 구성되며, 장식 엔클로저의 측면은 제 2 경사면으로서 구성되며, 그리고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은 서로 맞춰지고(fitted) 결합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는 보강 피스(reinforcing piece)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피스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1 결합부로부터 굴절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며, 제 1 결합부는 커버 플레이트와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에 배치되고 장식 엔클로저와 결합되며, 그리고 제 2 결합부는 브라켓의 측면과 결합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는 보강 피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피스는 제 1 결합부, 상기 제 1 결합부로부터 굴절되는 제 2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로부터 굴절되는 제 3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결합부는 커버 플레이트와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에 배치되고 장식 엔클로저와 결합되며, 브라켓은 이의 상단부에 대향하는 배면(back surface)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 3 결합부는 브라켓의 배면에 대해 인접하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보강 피스는 인-몰드 사출 성형의 방식으로 장식 엔클로저와 결합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면은 전체 라미네이션(full lamination) 방식으로 커버 플레이트의 하부면과 결합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면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를 통해 커버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라미네이팅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단면은 브라켓의 상단부와 접착 방식으로 결합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커버 플레이트는 터치-스크린 커버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 2 양상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그 사이의 수용 공간을 정의하는 후방 커버(rear cover)를 포함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 3 양상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를 어셈블링하기 위한 어셈블링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어셈블링 방법은: 상단부를 가지는 브라켓을 제공하는 단계; 측면을 가지는 장식 엔클로저를 제공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커버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측부 엣지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커버 플레이트 보다 큰 폭을 가짐 ―; 브라켓의 상단부 상에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커버 플레이트를 장착(mounting)하는 단계 ―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측부 엣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하여 내측으로 굴곡짐 ―; 및 커버 플레이트의 측부 엣지와 장식 엔클로저의 측면을, 이들 사이에서 접착제를 도포(dispensing)함으로써 결합시키고, 그리고 장식 엔클로저에 의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비-디스플레이 영역을 차폐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장식 엔클로저를 제공하는 단계는: 보강 피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장식 엔클로저를 형성하기 위하여 보강 피스를 인-몰드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장식 엔클로저는 보강 피스와 결합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브라켓의 상단부 상에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커버 플레이트를 장착하는 단계는: 브라켓의 상단부 상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부착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커버 플레이트를 전체적으로 라미네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브라켓의 상단부 상에 커버 플레이트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장착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커버 플레이트를 전체적으로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및 브라켓의 상단부 상에, 커버 플레이트로 전체적으로 라미네이팅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커버 플레이트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전자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어셈블링 방법에서, 커버 플레이트는 매우 좁은 블랙-잉크 엣지(ultra-narrow black-ink edge)를 갖거나 또는 아예 블랙-잉크 엣지를 가지지 않게 되어, 사용자는 스크린 상에서 매우 좁은 블랙-잉크 엣지를 보게 되거나 또는 블랙-잉크 엣지를 보지 않게 될 것이다. 따라서, 스크린-대-바디 비율이 증가되고, 제품 품질이 향상되며 그리고 사용자 경험이 개선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추가적인 양상들 및 이점들은, 이하의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제공될 것이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명백해지거나, 또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대한 실시로부터 학습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러한 그리고 다른 양상들 및 장점들이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설명들로부터 명백해지고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전자 디바이스를 II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IV 부분에 대한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몇몇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몇몇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어셈블링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몇몇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어셈블링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몇몇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어셈블링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몇몇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어셈블링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상기 실시예들에 대한 예시들은 도면들에 도시될 것이며, 상기 도면들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들을 갖는 부재들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재들을 나타내도록 사용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여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은 설명적이고, 예시적이며, 본 개시내용을 일반적으로 이해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명세서에서, "중앙", "종방향", "측방향", "길이", "폭", "두께", "상부", "하부", "전방부", "후방부", "상단부", "하단부", "내부", "외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과 같은 용어는 후속하여 기술되는 바와 같은 방향을 지칭하거나 또는 검토되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상대적인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내용이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될 것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또한, "제 1" 및 "제 2"와 같은 용어는 설명의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었으며, 상대적 중요성 또는 중대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려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에 의해 제한되는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이러한 특징들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도록 의도된다. 본 개시내용의 설명에서, "복수"라는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2 개 또는 2 개 이상을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달리 명시되거나 제한되지 않는 한, "장착", "연결", "결합", "고정" 등의 용어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예를 들어 고정 연결, 분리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형 연결일 수도 있으며; 기계적 또는 전기적 연결 일 수도 있으며; 직접 연결 또는 중간 구조를 통한 간접 연결 일 수도 있으며; 두 요소들의 내부 통신 일 수도 있다. 상기 용어들은 특정 상황에 따라서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설명에서, 제 1 특징이 제 2 특징 "상에" 있다는 구조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제 1 특징이 제 2 특징과 직접 접촉하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도 있고, 추가 특징이 제 1 특징과 제 2 특징 사이에서 형성되어 제 1 특징이 제 2 특징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특징의 "위에", "상에" 또는 "상단부에" 있는 제 1 특징은, 제 1 특징이 정확히 제 2 특징의 "위에", "상에" 또는 "상단부에" 있는 실시 예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제 1 특징이 정확히 제 2 특징의 "위에", "상에" 또는 "상단부에" 있지는 않거나 또는 단지 제 1 특징이 제 2 특징의 해발 고도보다 큰 해발 고도를 갖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특징의 "아래", "하부에" 또는 "하단에" 제 1 특징이 있다는 것은, 제 1 특징이 정확히 제 2 특징의 "아래", "하부에" 또는 "하단에"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특징이 정확히 제 2 특징의 "아래", "하부에" 또는 "하단에" 있지는 않거나 또는 단지 제 1 특징이 제 2 특징의 해발 고도보다 작은 해발 고도를 갖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의 개시내용은 본 개시내용의 상이한 구조를 실현하기 위한 다수의 상이한 실시예들 또는 예시들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을 단순화하기 위해, 특정 예시들에서의 컴포넌트들 및 구성들이 상세히 설명된다. 물론, 이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단순함과 명료함을 위하여 본 개시내용에서의 상이한 예시들에서 참조번호들 및/또는 문자들이 반복될 수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구성들 간의 관계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아야 한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다양한 특정 프로세스들 및 물질들에 대한 예시들을 제공하지만, 당업자들은 다른 프로세스들에 대한 적용 가능성 및/또는 다른 물질에 대한 이용을 고려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 후방 커버(20) 및 배터리(30)를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폰, 테블릿 컴퓨터, 스마트 시계 등일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는 이미지들 및 텍스트들 등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는 커버 플레이트(12), 디스플레이 스크린(14), 브라켓(16), 장식 엔클로저(18) 및 보강 피스(19)를 포함한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12)는 터치-스크린 커버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터치 스크린의 터치 제어 회로는 커버 플레이트(12)에 통합되고,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12)를 클릭함으로써 터치 제어 기능이 달성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2)는 유리, 사파이어, 폴리 염화 비닐(PVC) 등과 같은 물질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커버 플레이트(12)는 2개의 층들의 구조(즉,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에 배치되는 보호 커버 시트)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의 터치 동작을 달성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보호 커버 시트는 터치 패널 상에서의 직접 터치 동작들로 인한 데미지(damage)로부터 터치 패널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커버 플레이트(12)의 측부 엣지(122)는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즉, 커버 플레이트(12)는 사다리꼴 단면을 가진다. 커버 플레이트(12)의 상부면(126)의 면적은 커버 플레이트(12)의 하부면(124)의 면적보다 작다. 장식 엔클로저(18)의 측면(182)은 또한 다른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2개의 경사면들은 서로 맞춰질 수 있고 그리고 서로 결합될 수 있어서, 장식 엔클로저(18)가 커버 플레이트(12)에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상면(144)은 커버 플레이트(12)의 하부면(124)과 결합된다. 커버 플레이트(12)의 하부면(124)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상면(144)은 전체 라미네이션(full lamination) 방식으로 라미네이팅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커버 플레이트(12)의 하부면(124)과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상면(144)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Optically Clear Adhesive)에 의해 라미네이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폭은 커버 플레이트(12)의 폭 보다 크고, 커버 플레이트(12)의 측부 엣지(122)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4)에 대하여 내측으로 굴곡져 있다. 다시 말하면, 커버 플레이트(12)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을 완전하게 커버할 수는 없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4) 및 커버 플레이트(12)는 전체 라미네이션 방식으로 라미네이팅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플렉서블 OLED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은 디스플레이 영역(141) 및 비-디스플레이 영역(142)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영역(141)은 이미지 및 텍스트 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기능을 달성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비-디스플레이 영역(142)은 배선 용도로 구성된다.
브라켓(16)은 상단부(162)를 포함하고, 그리고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하단면(146)은 브라켓(16)의 상단부(162)와 결합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하단면(146)은 상기 브라켓의 상단부(162)와 접착 방식으로 결합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접착 방식은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 그리고/또는 양면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2)의 측부 엣지(122)와 장식 엔클로저(18)의 측면(182)은 이들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결합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비-디스플레이 영역(142)을 차폐한다. 장식 엔클로저(18)의 측면(182)은 커버 플레이트(12)의 측부 엣지(122)의 경사각과 거의 유사하거나 또는 일치하는 경사각을 가진다. 예를 들어, 장식 엔클로저(18)의 측면(182)과 커버 플레이트(12)의 측부 엣지(122) 둘다 동일한 측부를 향하여 기울어져 있거나 또는 둘다 커버 플레이트(12)의 하부면(124)에 수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을 디스플레이스크린 어셈블리(10)에 포함시키기 위하여, 커버 플레이트(12)와 디스플레이 스크린(14) 사이의 폭 차이를 보상하도록 장식 엔클로저(18)는 커버 플레이트의 측부 엣지(122) 방향으로 돌출된다. 장식 엔클로저(18)의 외면(outer surface)(186)은 원호(arc) 모양으로 구성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장식 엔클로저(18)는 커버 플레이트(12)의 측부 엣지(122)를 둘러쌀 수 있다. 장식 엔클로저(18)의 재료는 경질(rigid) 플라스틱, 아크릴로 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 염화 비닐(PVC), 또는 폴리 카보네이트(PC)와 같은 플라스틱일 수 있거나 또는 실리카 겔 또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와 같은 연성(flexible) 물질일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장식 엔클로저(18)의 재료는 상기 물질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적절한 물질들이 실제 응용에서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보강 피스(19)는 제 1 결합부(192), 제 1 결합부(192)로부터 굴절되는 제 2 결합부(194), 및 제 2 결합부(194)로부터 굴절되는 제 3 결합부(196)를 포함한다. 제 1 결합부(192)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4)과 커버 플레이트(12) 사이에 배치되고 그리고 장식 엔클로저(18)와 결합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보강 피스(19)는 인-몰드 사출의 방식으로 장식 엔클로저(18)와 결합된다. 브라켓(16)은 상단부(162)에 대향하는 배면(back surface)(166)을 포함한다. 제 3 결합부(196)는 브라켓(16)의 배면(166)에 접해 있으며 그리고 브라켓(16)의 배면(166) 상에 걸린다(hooked).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보강 피스(19)는 "ㄷ"의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그리고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측면(148) 및 브라켓(16)의 측면(164)은 보강 피스(19)의 오목부에 끼워지며 제 2 결합부(194)를 마주 보게 된다. 즉, 보강 피스(19)의 단면은 한쪽 측면이 개방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브라켓(16)의 측면(164)과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측면(148)은 개방된 직사각형으로 삽입되고 제 2 결합부(194)를 마주 보게 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보강 피스(19)는 강철 시트, 마그네슘 합금 시트 등과 같은 구부러질 수 있는 금속 시트일 수 있다.
후방(rear) 커버(2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와 결합되어 수용 공간(202)을 정의하며, 배터리(30)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다. 수용 공간(202)은 배터리(30)의 크기 및 형상과 매칭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각각 가진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후방 커버(20)는 접착, 스냅(snapping) 또는 나사체결(screwing)의 방식으로 장식 엔클로저(18) 또는 브라켓(16)에 결합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후방 커버(20)와 브라켓(16) 사이 및/또는 후방 커버(20)와 장식 엔클로저(18) 사이의 연결 방식은, 상기 유형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후방 커버(20)는 실제 응용들에서 적절한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와 결합될 수 있다. 후방 커버(20)는 강철, 알루미늄 합금 및 마그네슘 합금과 같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후방 커버(20)는 또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폴리 염화 비닐(PVC) 및 폴리 카보네이트(PC)와 같은 비금속 물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후방 커버(20)의 재료는 상술한 물질들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술된 바와 같이, 실제 응용에서의 요구조건에 따라서 적절한 물질이 선택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에서, 보강 피스(19)는 인-몰드 사출 성형의 방식으로 장식 엔클로저(18)와 먼저 결합되고, 그리고나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4) 및 커버 플레이트(12)가 전체 라미네이션 방식으로 라미네이팅되며, 그리고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하단면(146)이 접착 방식에 의해 브라켓(16)의 상단부(162)와 결합된다. 보강 피스(19)의 하단부(lower end)는 브라켓(16)의 배면(166) 방향으로 굴절되어 제 3 결합부(196)를 형성하며, 그리고 제 3 결합부(196)는 브라켓(16)의 배면(166)에 대해 접하고 브라켓(16)의 배면(166)에 고정되어서, 보강 피스(19)의 단면이 "ㄷ"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측면(148)과 브라켓(16)의 측면(164)은 보강 피스(19)의 오목부분에 끼워져 제 2 결합부(194)와 대향하게 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가 형성될 수 있다. 몇몇이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은 또한 상단부(162)에 먼저 부착될 수 있으며 그리고나서 커버 플레이트(12)가 디스플레이 스크린(14)에 전체(fully) 라미네이팅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에서, 장식 엔클로저(18)는 커버 플레이트(12)의 측부 엣지(122)를 향하여 돌출되며, 그리고 장식 엔클로저(18)의 측면(182)은 커버 플레이트(12)의 측부 엣지(122)와 접착제 도포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비-디스플레이 영역(142)을 차폐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의 커버 플레이트(12)는 주변부에 블랙-잉크 엣지의 원(circle)으로 스크린-프린트되어(screen-printed), 다른 내부 구조들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비-디스플레이 영역을 차폐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4), 커버 플레이트(12) 및 장식 엔클로저(18)의 구조들이 합리적으로 설계되기 때문에, 장식 엔클로저(18)의 측면(182)이 커버 플레이트(12)의 측부 엣지(122)와 결합되어 다른 내부 구조들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비-디스플레이 영역(142)을 차폐하여,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서의 블랙-잉크 엣지의 기능을 대체하고, 블랙-잉크 엣지의 폭을 감소시키고, 그리고 블랙-잉크 엣지를 매우-좁게(ultra narrow) 만들거나 또는 블랙-잉크 엣지를 제거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는 커버 플레이트(12)의 블랙-잉크 엣지가 매우 좁아 지게 하거나 또는 커버 플레이트(12)의 블랙-잉크 엣지를 제거할 수있게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가 전자 디바이스(100)에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스크린 상에 매우 좁은 블랙-잉크 엣지를 보게 되거나 또는 블랙-잉크 엣지를 볼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스크린-대-바디 비율이 증가되고, 제품 품질이 향상되며 그리고 사용자 경험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보강 피스(19)의 제 1 결합부(192)는 장식 엔클로저(18)와 연결되고, 커버 플레이트(12)의 측부 엣지(122)와 장식 엔클로저(18)의 측면(182)은 이들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결합됨에 따라, 보강 피스(19)가 커버 플레이트(12)로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3 결합부(196)는 브라켓(16)의 배면에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측면(148) 및 브라켓(16)의 측면(164)은 보강 피스(19)의 오목부에 끼워져 제 2 결합부(194)를 마주보게 되며, 이에 따라 보강 피스(19)가 브라켓(16)을 통해 커버 플레이트(12)에 연결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가 급작스럽게 위로 던져지거나, 아래로 떨어지거나 또는 다른 객체들과 부딪히게 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14)에 가해진 힘이 감소되어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12)의 측부 엣지(122)와 장식 엔클로저(18)의 측면(182)은 이들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결합된다. 이러한 접착제 도포에 따른 결합 방식은 장식 엔클로저(18)의 측면(182)이 커버 플레이트(12)의 측부 엣지(122)에 고정 연결되도록 허용하고, 방수 기능을 달성하도록 양호한 밀봉 성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100)의 방수 성능이 증대되고 그리고 사용자 경험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100)가 모바일 폰, 테블릿 컴퓨터 또는 다른 핸드헬드 전자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경우, 원호(arc) 형상을 가지는, 장식 엔클로저(18)의 외면(186)은 전자 디바이스(100)를 손으로 쥘 때의 손의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편안하게 손으로 전자 디바이스(100)를 쥘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보강 피스(19)는 제 1 결합부(192) 및 제 1 결합부(192)로부터 굴절되는 제 2 결합부(194)를 포함한다. 제 1 결합부(192)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4)과 커버 플레이트(12) 사이에 배치되어 장식 엔클로저(18)와 결합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보강 피스(19)는 인-몰드 사출 성형에 의해 장식 엔클로저(18)와 결합된다. 제 2 결합부(194)는 접착 방식에 의해 브라켓(16)의 측면(164)과 결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어셈블링 방법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를 어셈블링하는데 사용되며, 어셈블링 방법은 이하의 블록들에서의 동작들을 포함한다.
블록 S11: 브라켓(16)이 제공되며, 상기 브라켓(16)은 상단부(162)를 포함한다.
블록 S13: 장식 엔클로저(18)가 제공되며, 상기 장식 엔클로저(18)는 측면(182)을 포함한다.
블록 S15: 디스플레이 스크린(14) 및 커버 플레이트(12)가 제공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12)는 측부 엣지(122)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은 커버 플레이트(12)의 폭 보다 더 큰 폭을 가진다.
블록 S17: 디스플레이 스크린(14) 및 커버 플레이트(12)는 상단부(162)에 장착되며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12)의 측부 엣지(122)가 디스플레이 스크린(14)에 대해 안쪽 방향으로 굴절된다.
블록 S19: 장식 엔클로저(18)의 측면(182)은,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측부 엣지(122)와 결합되며, 장식 엔클로저(18)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비-디스플레이 영역(142)을 차폐한다.
커버 플레이트(12)는 터치-스크린 커버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터치 스크린의 터치 제어 회로는 커버 플레이트(12)에 통합되며, 터치 제어 기능이 커버 플레이트(12)를 클릭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2)는 유리, 사파이어, 폴리 염화 비닐(PVC) 등과 같은 물질들로 구성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커버 플레이트(12)는 터치 패널에 배치되는 보호 커버 시트 및 터치 패널과 같은 2개의 층들의 구조들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의 터치 동작을 달성하도록 구성되며, 보호 커버 시트는 터치 패널 상에 직접 터치 동작들에 따른 데미지로부터 터치 패널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커버 플레이트(12)의 측부 엣지(122)는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즉, 커버 플레이트(12)는 사다리꼴 단면을 가진다. 커버 플레이트(12)의 상부면(126)의 면적은 커버 플레이트(12)의 하부면(124)의 면적보다 작다. 장식 엔클로저(18)의 측면(182)은 다른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2개의 경사면들은 서로 맞춰지며 그리고 서로 결합되어, 장식 엔클로저(18)가 커버 플레이트(12)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6)은 상단부(162)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하단면(146)이 브라켓(16)의 상단부(162)와 결합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하단면(146)은 접착 방식에 의해 브라켓의 상단부(162)와 결합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접착 방식은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 그리고/또는 양면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장식 엔클로저(18)의 측면(182)은 커버 플레이트(12)의 측부 엣지(122)의 경사각과 거의 유사하거나 또는 일치하는 경사각을 가진다. 예를 들어, 장식 엔클로저(18)의 측면(182) 및 커버 플레이트(12)의 측부 엣지(122)는 둘다 동일한 측부를 향하여 경사져 있거나 또는 둘다 커버 플레이트(12)의 하부면(124)에 수직일 수 있다. 장식 엔클로저(18)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4)과 커버 플레이트(12) 간의 폭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커버 플레이트의 측부 엣지(122)를 향하여 돌출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을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에 포함시킬 수 있다. 장식 엔클로저(18)의 외면(186)은 원호(arc) 형상으로 구성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장식 엔클로저(18)는 커버 플레이트(12)의 측부 엣지(122)를 둘러쌀 수 있다. 장식 엔클로저(18)의 재료는 경질(rigid) 플라스틱, 아크릴로 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 염화 비닐(PVC), 또는 폴리 카보네이트(PC)와 같은 플라스틱일 수 있거나 또는 실리카 겔 또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와 같은 연성(flexible) 물질일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장식 엔클로저(18)의 재료는 상기 물질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적절한 물질들이 실제 응용에서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도 7과의 조합으로,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블록 S13에서의 동작들은 이하의 블록들에서의 동작들을 포함한다.
블록 S131: 보강 피스(19)가 제공된다.
블록 S133: 보강 피스(19)는 장식 엔클로저(18)를 형성하기 위해 인-몰드 사출되며, 그리고 장식 엔클로저(18)는 보강 피스(19)와 결합된다. 즉, 보강 피스(19)가 몰드 내에 먼저 배치되고, 그리고나서 장식 엔클로저(18)가 형성되고 그리고 사출 성형에 의해 보강 피스(19)에 결합된다.
보강 피스(19)는 제 1 결합부(192), 제 1 결합부(192)로부터 굴곡진 제 2 결합부(194), 및 제 2 결합부(194)로부터 굴곡진 제 3 결합부(196)을 포함한다. 제 1 결합부(192)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4)과 커버 플레이트(12) 사이에 배치된다. 브라켓(16)은 상단부(162)와 대향하는 배면(166)을 포함하고, 제 3 결합부(196)는 브라켓(16)의 배면(166)에 대해 인접하고 브라켓(16)의 배면(166)에 고정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보강 피스(19)는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측면(148) 및 브라켓(16)의 측면(164)은 보강 피스(19)의 오목부에 끼워지고 제 2 결합부(194)에 대향하게 된다. 즉, 보강 피스(19)의 단면은 일 측이 개방형인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측면(148) 및 브라켓(16)의 측면(164)은 개방형 직사각형으로 삽입되고 제 2 결합부(194)에 대향하게 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보강 피스(19)는 강철 시트, 마그네슘 합금 시트 등과 같이 구부러질 수 있는 금속 시트일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보강 피스(19)는 또한 제 1 결합부(192) 및 제 1 결합부(192)로부터 굴절되는 제 2 결합부(19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결합부(192)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4)과 커버 플레이트(12) 사이에 배치되어 장식 엔클로저(18)와 결합된다. 제 2 결합부(194)는 접착 방식으로 브라켓(16)의 측면(164)과 결합된다.
도 8과의 조합으로,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블록 S17에서의 동작은 이하의 블록들에서의 동작들을 포함한다.
블록 S171: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이 상단부(162) 상에 부착된다.
블록 S173: 커버 플레이트(12)가 디스플레이 스크린(14) 상에 전체 라미네이팅된다.
커버 플레이트(12)의 하부면(124)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면(144)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를 통해 라미네이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폭은 커버 플레이트(12)의 폭 보다 크며,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12)의 측부 엣지(122)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4)에 대해 내측으로 굴곡된다. 다시 말하면, 커버 플레이트(12)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을 완전히 커버하지 못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플렉서블 OLED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은 디스플레이 영역(141) 및 비-디스플레이 영역(142)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영역(141)은 이미지 및 텍스트 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의 기능을 달성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비-디스플레이 영역(142)은 배선 용도로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어셈블링 방법에 의해 어셈블링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는 커버 플레이트(12)의 블랙-잉크 엣지가 매우 좁아 지게 하거나 또는 커버 플레이트(12)의 블랙-잉크 엣지를 제거할 수 있게 하여,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가 전자 디바이스(100)에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스크린 상에 매우 좁은 블랙-잉크 엣지를 보게 되거나 또는 심지어 블랙-잉크 엣지를 볼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스크린-대-바디 비율이 증가하고, 제품 품질이 향상되며 그리고 사용자 경험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보강 피스(19)의 제 1 결합부(192)는 장식 엔클로저(18)와 연결되고, 커버 플레이트(12)의 측부 엣지(122)와 장식 엔클로저(18)의 측면(182)은 이들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결합됨에 따라, 보강 피스(19)가 커버 플레이트(12)로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3 결합부(196)는 브라켓(16)의 배면에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측면(148) 및 브라켓(16)의 측면(164)은 보강 피스(19)의 오목부에 끼워져 제 2 결합부(194)를 마주보게 되며, 이에 따라 보강 피스(19)가 브라켓(16)을 통해 커버 플레이트(12)에 연결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가 급작스럽게 위로 던져지거나, 아래로 떨어지거나 또는 다른 객체들과 부딪히게 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14)에 가해진 힘이 감소되어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12)의 측부 엣지(122)와 장식 엔클로저(18)의 측면(182)은 이들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결합된다. 이러한 접착제 도포에 따른 결합 방식은 장식 엔클로저(18)의 측면(182)이 커버 플레이트(12)의 측부 엣지(122)에 고정 연결되도록 허용하고, 방수 기능을 달성하도록 양호한 밀봉 성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100)의 방수 성능이 증대되고 그리고 사용자 경험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100)가 모바일 폰, 테블릿 컴퓨터 또는 다른 핸드헬드 전자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경우, 원호(arc) 형상을 가지는, 장식 엔클로저(18)의 외면(186)은 전자 디바이스(100)를 손으로 쥘 때의 손의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편안하게 손으로 전자 디바이스(100)를 쥘 수 있게 된다.
도 9와의 조합으로,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블록 S17에서의 동작은 이하의 블록들에서의 동작들을 포함한다.
블록 S172: 커버 플레이트(12)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4) 상에 전체적으로 라미네이팅된다.
블록 S174: 커버 플레이트(12) 및 커버 플레이트(12)로 완전히 라미네이팅된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은 상단부(162)에 장착된다.
즉,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은 먼저 상단부(162)에 부착될 수 있으며 그리고나서 커버 플레이트(12)가 디스플레이 스크린(14) 상에 전체적으로 라미네이팅된다. 대안적으로, 커버 플레이트(12)는 먼저 디스플레이 스크린(14)으로 전체적으로 라미네이팅되며, 그리고나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하단면(146)이 상단부(162)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 "몇몇의 실시예들", "예시적인 실시예", "일례", "특정 예시" 또는 "몇몇의 예시들"에 대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언급은, 실시예 또는 예시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특정한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이 본 개시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 또는 예시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다양한 부분에서의 상기 문구들에 대한 출현은, 반드시 본 개시내용의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정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 또는 예시들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와 같은 용어들은 설명의 목적으로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며, 상대적 중요성 또는 중대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로 정의된 특징은 이러한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설명에서, "복수" 라는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2 개 또는 2 개 이상을 의미한다.
비록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상기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고, 본 개시내용의 원리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들, 대안들 및 수정들이 상기 실시예들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청구항 및 그 등가물에 의해 제한된다.

Claims (11)

  1.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로서,
    측부 엣지(side edge)(122)를 가지는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12);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하부면(lower surface)(124)과 결합되는 상면(144)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4) ―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폭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폭보다 크며,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측부 엣지(122)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14)에 대해서 내측으로 굴곡짐(indented) ―;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하단면(146)과 결합되는 상단부(162)를 가지는 브라켓(bracket)(16);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측부 엣지(122)와 결합되는 측면(182)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비-디스플레이 영역(142)을 차폐하도록 구성되는 장식 엔클로저(decoration enclosure)(18);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측부 엣지(122)는 제 1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식 엔클로저(18)의 측면(182)은 제 2 경사면으로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2 경사면은 서로 맞춰지고(fitted)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는 보강 피스(reinforcing piece)(19)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피스(19)는 제 1 결합부(192) 및 상기 제 1 결합부(192)로부터 굴절되는 제 2 결합부(194)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192)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14)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장식 엔클로저(18)와 결합되며,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부(194)는 상기 브라켓(16)의 측면(164)과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는 보강 피스(19)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피스(19)는 제 1 결합부(192), 상기 제 1 결합부(192)로부터 굴절되는 제 2 결합부(194) 및 상기 제 2 결합부(194)로부터 굴절되는 제 3 결합부(196)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192)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14)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장식 엔클로저(18)와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16)은 이의 상단부(162)와 대향하는 배면(166)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 3 결합부(196)는 상기 브라켓(16)의 배면(166)에 대해 인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피스(19)는 인-몰드 사출 성형의 방식으로 상기 장식 엔클로저(18)과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상면(144)은 전체 라미네이션(full lamination) 방식으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하부면(124)과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상면(144)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Optically Clear Adhesive)에 의해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하부면(124)과 라미네이팅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14)의 하단면(146)은 접착 방식으로 상기 브라켓(16)의 상단부(162)와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12)는 터치-스크린 커버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
  10. 전자 디바이스(100)로서,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10)에 결합되어 그 사이의 수용 공간(202)을 정의하는 후방(rear) 커버(20);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100).
  11. 제 10 항에 있어서,
    배터리(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30)는 상기 수용 공간(202)에 수용되는,
    전자 디바이스(100).
KR1020197018295A 2017-01-09 2017-09-19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이의 어셈블링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display screen assembly, assembl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KR102220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013756.3 2017-01-09
CN201710013756.3A CN106843388B (zh) 2017-01-09 2017-01-09 显示屏组件及其组装方法与电子装置
CN201720022967.9 2017-01-09
CN201720022967.9U CN206364858U (zh) 2017-01-09 2017-01-09 显示屏组件及电子装置
PCT/CN2017/102258 WO2018126733A1 (en) 2017-01-09 2017-09-19 Display screen assembly, assembl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187A true KR20190089187A (ko) 2019-07-30
KR102220753B1 KR102220753B1 (ko) 2021-02-26

Family

ID=5995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295A KR102220753B1 (ko) 2017-01-09 2017-09-19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이의 어셈블링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display screen assembly, assembl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64749B2 (ko)
EP (1) EP3346356B1 (ko)
JP (1) JP6895524B2 (ko)
KR (1) KR102220753B1 (ko)
ES (1) ES2709627T3 (ko)
WO (1) WO20181267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656556U (zh) * 2016-05-25 2016-10-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USD860178S1 (en) 2016-11-28 2019-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AU201713280S (en) * 2016-12-02 2017-06-1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Mobile Phone
TWD196407S (zh) * 2017-06-28 2019-03-11 大陸商廣東歐珀移動通信有&#x9 手機
CN108833630B (zh) * 2018-06-26 2021-01-15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657713B1 (ko) * 2019-01-18 2024-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
KR20200099455A (ko) * 2019-02-14 2020-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3116031A (zh) * 2021-04-21 2021-07-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可穿戴设备
CN113703604B (zh) * 2021-07-21 2022-09-09 荣耀终端有限公司 终端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42593B1 (en) * 2012-03-16 2013-05-1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20160320658A1 (en) * 2015-04-29 2016-11-03 Apple Inc. Display with Integrated Backlight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556Y2 (ko) * 1978-10-04 1987-02-14
JPH1195214A (ja) * 1997-09-22 1999-04-09 Toshiba Electronic Engineering Corp 面状表示装置
JP2001013889A (ja) * 1999-06-29 2001-01-19 Toshiba Corp 平面表示装置
US7109976B2 (en) 2003-04-01 2006-09-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splay screen seal
JP3850847B2 (ja) * 2004-06-28 2006-11-29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の液晶表示装置保護構造
JP2008052124A (ja) * 2006-08-25 2008-03-06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保護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携帯型電子機器
US7933123B2 (en) * 2008-04-11 2011-04-26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wo-piece housing
JP2010237493A (ja) * 2009-03-31 2010-10-21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液晶表示装置
KR101929879B1 (ko) * 2012-04-09 2019-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CN202872874U (zh) 2012-11-06 2013-04-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触摸屏装饰圈结构
KR102105462B1 (ko) * 2013-08-12 2020-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204241803U (zh) * 2014-03-12 2015-04-01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镜面显示器
FR3021134B1 (fr) * 2014-05-14 2023-01-06 Lg Electronics Inc Terminal mobile
KR102208441B1 (ko) 2014-06-13 2021-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743536B2 (en) * 2014-11-24 2017-08-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assembly
CN104503540A (zh) 2014-12-19 2015-04-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204406408U (zh) 2014-12-27 2015-06-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组件及便携式电子装置
ES2954487T3 (es) * 2015-02-06 2023-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ositivo electrónico que incluye pantalla con área doblada
KR102410549B1 (ko) * 2015-04-09 2022-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베젤리스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장치
CN204883473U (zh) 2015-04-20 2015-12-1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终端
CN104866018B (zh) 2015-04-20 2019-03-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前盖及终端
CN104866021B (zh) 2015-04-20 2019-03-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终端
CN106101324B (zh) 2016-08-22 2019-05-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屏幕安装结构及移动终端
CN206364858U (zh) 2017-01-09 2017-07-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电子装置
CN106843388B (zh) 2017-01-09 2020-02-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其组装方法与电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42593B1 (en) * 2012-03-16 2013-05-1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20160320658A1 (en) * 2015-04-29 2016-11-03 Apple Inc. Display with Integrated Backl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709627T3 (es) 2019-04-17
US10564749B2 (en) 2020-02-18
JP6895524B2 (ja) 2021-06-30
EP3346356B1 (en) 2019-01-02
KR102220753B1 (ko) 2021-02-26
WO2018126733A1 (en) 2018-07-12
EP3346356A1 (en) 2018-07-11
JP2020507109A (ja) 2020-03-05
US20180196560A1 (en)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9187A (ko)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이의 어셈블링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display screen assembly, assembl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US10248233B2 (en) Display screen assembly, method for assembling display scree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KR102182617B1 (ko)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display screen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US20180199457A1 (en) Display assembly,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CN106847091B (zh) 显示屏组件及其制造方法与电子装置
CN106843388B (zh) 显示屏组件及其组装方法与电子装置
WO2018126709A1 (en) Display screen assembly, assembl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KR102182614B1 (ko)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를 어셈블링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display screen assembly, method for assembling display scree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10412843B2 (en) Display panel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405439B2 (en) Display panel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