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103A - 싱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싱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103A
KR20190089103A KR1020180007052A KR20180007052A KR20190089103A KR 20190089103 A KR20190089103 A KR 20190089103A KR 1020180007052 A KR1020180007052 A KR 1020180007052A KR 20180007052 A KR20180007052 A KR 20180007052A KR 20190089103 A KR20190089103 A KR 20190089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df
sink device
panel drive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5066B1 (ko
Inventor
구자헌
이경훈
이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7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066B1/ko
Priority to JP2019002030A priority patent/JP7355497B2/ja
Priority to US16/244,344 priority patent/US10902817B2/en
Priority to EP19152634.2A priority patent/EP3514787A1/en
Priority to EP22155291.2A priority patent/EP4012697A1/en
Priority to CN201910046789.7A priority patent/CN110060642B/zh
Publication of KR20190089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103A/ko
Priority to US17/151,313 priority patent/US1176377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655Details of drivers for counter electrodes, e.g. common electrodes for pixel capacitors or supplementary storage capaci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Abstract

액정 표시 장치는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소스 장치 및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표시 동작을 수행하는 싱크 장치를 포함한다. 소스 장치는 표시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에 이미지 데이터를 구성하는 이미지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한다. 싱크 장치는 이미지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됨에 따라 표시 동작을 위한 패널 구동 프레임 내 수직 블랭크 구간을 조절하여 패널 구동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한다. 이 때, 싱크 장치는 패널 구동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할 때, 싱크 장치에 포함된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을 조절한다.

Description

싱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SINK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이미지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가 가변됨에 따라 패널 구동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소스(source) 장치와 싱크(sink) 장치를 포함한다. 이 때, 소스 장치(예를 들어,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 processing unit; GPU))는 이미지 데이터를 싱크 장치에 전송하고, 싱크 장치는 소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표시 동작을 수행한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에 상기 표시 동작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의 특성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구성하는 이미지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또는, 이미지 프레임의 시간)를 실시간으로 가변하고 있다. 이 때, 상기 표시 동작을 위한 패널 구동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또는, 패널 구동 프레임의 시간)를 가변하지 않는 경우, 이미지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예를 들어, GPU 렌더링 속도)와 패널 구동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가 불일치하기 하기 때문에, 싱크 장치가 표시하는 이미지에 티어링(tearing)(예를 들어, 이미지가 끊어짐), 스터터링(stuttering)(예를 들어, 이미지가 지연됨)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이미지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함에 따라 패널 구동 프레임 내 수직 블랭크(vertical blank) 구간을 증감시켜 패널 구동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하는 동기(sync)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각 화소 회로 내 스토리지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압(즉, 각 화소 회로 내 액정 소자의 양단에 인가된 전압 차이)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누설되고, 상기 누설에 의해 패널 구동 프레임의 평균 휘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패널 구동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됨에 따라 매 패널 구동 프레임마다 평균 휘도가 달라지게 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패널 구동 프레임들의 평균 휘도 편차에 기인한 플리커(flicker)를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이미지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또는, 이미지 프레임의 시간)가 가변됨에 따라 패널 구동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또는, 패널 구동 프레임의 시간)를 가변함에 있어서 패널 구동 프레임들의 평균 휘도 편차를 감소(또는, 최소화)시켜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플리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싱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싱크 장치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소스 장치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표시 동작을 수행하는 싱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장치는 상기 표시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에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구성하는 이미지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하고,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표시 동작을 위한 패널 구동 프레임 내 수직 블랭크 구간을 조절하여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하라 수 있다.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할 때, 상기 싱크 장치에 포함된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되더라도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 내 액티브 구간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가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와 동일한 값을 갖도록 가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소스 장치가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증가시키면,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 내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을 감소시켜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소스 장치가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감소시키면,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 내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을 증가시켜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공통 전압을 선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화소 전압이 양(positive)의 전압 레벨을 가질 때, 상기 공통 전압을 선형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화소 전압이 음(negative)의 전압 레벨을 가질 때, 상기 공통 전압을 선형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공통 전압을 비선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화소 전압이 양의 전압 레벨을 가질 때, 상기 공통 전압을 비선형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화소 전압이 음의 전압 레벨을 가질 때, 상기 공통 전압을 비선형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시작 지점에서 상기 공통 전압을 기준 전압 레벨을 갖도록 리셋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시작 지점에서 상기 공통 전압을 조절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된 제1 지점에서 상기 공통 전압을 조절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지점까지 상기 공통 전압을 상기 기준 전압 레벨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 내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시작 지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최소 허용 시간만큼 경과된 지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소스 장치는 상기 표시 동작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의 특성에 따라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소스 장치는, 상기 이미지의 화면 전환이 기 설정된 기준 속도보다 빠르면,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소스 장치는, 상기 이미지의 화면 전환이 기 설정된 기준 속도보다 느리면,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싱크 장치는 소스 장치로부터 이미지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표시 패널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표시 패널 구동 회로는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표시 동작을 위한 패널 구동 프레임 내 수직 블랭크 구간을 조절하여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하고, 상기 표시 패널 구동 회로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할 때 상기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패널 구동 회로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가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와 동일한 값을 갖도록 가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패널 구동 회로는 상기 공통 전압을 선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패널 구동 회로는 상기 공통 전압을 비선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패널 구동 회로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시작 지점에서 상기 공통 전압을 기준 전압 레벨을 갖도록 리셋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패널 구동 회로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시작 지점에서 상기 공통 전압을 조절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패널 구동 회로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된 제1 지점에서 상기 공통 전압을 조절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패널 구동 회로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지점까지 상기 공통 전압을 상기 기준 전압 레벨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 내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시작 지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최소 허용 시간만큼 경과된 지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싱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는, 이미지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또는, 이미지 프레임의 시간)가 가변됨에 따라 패널 구동 프레임 내 수직 블랭크 구간을 증감하여 패널 구동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또는, 패널 구동 프레임의 시간)를 가변함에 있어서, 각 화소 회로 내 액정 소자의 일단에 인가되는 화소 전압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 또는 증가되더라도, 각 화소 회로 내 액정 소자의 타단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을 매 패널 구동 프레임의 시작 지점에서 기준 전압 레벨을 갖도록 리셋하고, 상기 공통 전압을 상기 시작 지점 또는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된 소정의 지점에서 감소 또는 증가시키기 시작함으로써, 패널 구동 프레임들의 평균 휘도 편차를 감소(또는, 최소화)시켜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플리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 포함된 화소 회로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이미지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됨에 따라 패널 구동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싱크 장치가 패널 구동 프레임 내 수직 블랭크 구간을 조절하여 패널 구동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화소 전압이 양의 전압 레벨을 가질 때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화소 전압의 누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화소 전압이 양의 전압 레벨을 가질 때 싱크 장치가 공통 전압을 조절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화소 전압이 음의 전압 레벨을 가질 때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화소 전압의 누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화소 전압이 음의 전압 레벨을 가질 때 싱크 장치가 공통 전압을 조절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싱크 장치가 패널 구동 프레임의 시작 지점에서 공통 전압을 조절하기 시작하는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싱크 장치가 패널 구동 프레임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최소 허용 시간만큼 경과된 지점에서 공통 전압을 조절하기 시작하는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싱크 장치가 패널 구동 프레임 내 수직 블랭크 구간의 시작 지점에서 공통 전압을 조절하기 시작하는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전자 기기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전자 기기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로 구현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 포함된 화소 회로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이미지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됨에 따라 패널 구동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싱크 장치가 패널 구동 프레임 내 수직 블랭크 구간을 조절하여 패널 구동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액정 표시 장치(100)는 소스 장치(120)와 싱크 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소스 장치(120)와 싱크 장치(140)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장치(120)는 임베디드 디스플레이 포트(embedded display port; eDP) 인터페이스를 통해 싱크 장치(140)로 이미지 데이터(IMG-DAT)를 전송할 수 있으나, 소스 장치(120)와 싱크 장치(140) 사이의 인터페이스가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스 장치(120)는 이미지 데이터(IMG-DAT)를 싱크 장치(14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소스 장치(120)는 그래픽 처리 유닛(12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유닛(122)는 이미지 데이터(IMG-DAT)에 소정의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소스 장치(120)는 표시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에 이미지 데이터(IMG-DAT)를 구성하는 이미지 프레임(IF(1), IF(2), IF(3), ...)의 프레임 레이트(예를 들어, 그래픽 처리 유닛의 렌더링 속도)를 가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스 장치(120)는 표시 동작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의 특성에 따라 이미지 프레임(IF(1), IF(2), IF(3), ...)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장치(120)는, 이미지의 화면 전환이 기 설정된 기준 속도보다 빠르면(예를 들어, 화면 전환이 빠른 동영상 등), 이미지 프레임(IF(1), IF(2), IF(3), ...)의 프레임 레이트를 증가시키고, 이미지의 화면 전환이 기 설정된 기준 속도보다 느리면(예를 들어, 화면 전환이 느린 동영상, 정지 영상 등), 이미지 프레임(IF(1), IF(2), IF(3), ...)의 프레임 레이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 표시 동작을 위한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되지 않는 경우, 이미지 프레임(IF(1), IF(2), IF(3), ...)의 프레임 레이트와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프레임 레이트가 불일치하게 되고, 그에 따라, 이미지에 티어링(예를 들어, 이미지가 끊어짐), 스터터링(예를 들어, 이미지가 지연됨)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싱크 장치(140)는 이미지 프레임(IF(1), IF(2), IF(3), ...)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됨에 따라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100)는 이미지 프레임(IF(1), IF(2), IF(3), ...)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됨에 따라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하고,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구동 타이밍을 이미지 프레임(IF(1), IF(2), IF(3), ...)의 전송 타이밍에 연계(즉, AS로 표시)시킬 수 있다. 한편, 이미지 프레임(IF(1), IF(2), IF(3), ...)의 프레임 레이트(예를 들어, 헤르츠(Hz))와 이미지 프레임(IF(1), IF(2), IF(3), ...)의 시간(예를 들어, 초(second))은 반비례하기 때문에, 이미지 프레임(IF(1), IF(2), IF(3), ...)의 프레임 레이트의 증가와 감소는 각각 이미지 프레임(IF(1), IF(2), IF(3), ...)의 시간의 감소와 증가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프레임 레이트와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간은 반비례하기 때문에,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프레임 레이트의 증가와 감소는 각각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간의 감소와 증가를 의미한다.
싱크 장치(140)는 소스 장치(120)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 데이터(IMG-DAT)를 기초로 표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싱크 장치(140)는 표시 패널 구동 회로(142) 및 표시 패널(144)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 구동 회로(142)는 소스 장치(120)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 데이터(IMG-DAT)를 수신하고, 이미지 데이터(IMG-DAT)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144) 상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 구동 회로(142)는 표시 패널(144)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스캔 드라이버, 표시 패널(144)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스캔 드라이버와 데이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44)은 복수의 화소 회로(146)들을 포함하고, 화소 회로(146)들 각각은 액정 소자(L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 장치(140) 내 표시 패널(144)에 포함된 화소 회로(146)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R),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액정 소자(LC)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의 화소 회로(146)의 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화소 회로(146)의 구조가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R)는 데이터 라인(DSL)과 노드(ND) 사이에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가 스캔 라인(SSL)에 연결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노드(ND)와 공통 전압(VCOM)(즉, 공통 전압 라인)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액정 소자(LC)는 노드(ND)와 공통 전압(VCOM)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R)가 스캔 라인(SSL)을 통해 인가된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면, 데이터 라인(DSL)을 통해 인가된 데이터 신호(즉, 이미지 데이터(IMG-DAT)에 상응하는 데이터 전압)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되고, 그에 따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양단에 화소 전압(VPIX)과 공통 전압(VCOM)이 걸리게 된다. 액정 소자(LC)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병렬로 연결되고, 그에 따라, 액정 소자(LC)의 양단에 화소 전압(VPIX)과 공통 전압(VCOM)이 인가된다. 즉, 액정 소자(LC)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압(즉, 액정 소자(LC)의 양단에 인가된 화소 전압(VPIX)과 공통 전압(VCOM)의 차이)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이 때,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압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누설되고(즉, 공통 전압(VCOM)은 계속 인가되기 때문에, 화소 전압(VPIX)이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남), 상기 누설에 의해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평균 휘도는 감소할 수 있다.
한편,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은 액티브 구간(ACTIVE)과 수직 블랭크 구간(V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각 화소 회로(146)는 액티브 구간(ACTIVE) 동안에 스캔 동작을 수행하고, 액티브 구간(ACTIVE)과 수직 블랭크 구간(VB) 동안에 백라이트로부터 방출된 광을 기초로 발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100)에서는 이미지 프레임(IF(1), IF(2), IF(3), ...)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됨에 따라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장치(120)가 이미지 프레임(IF(1), IF(2), IF(3), ...)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함에 따라, 싱크 장치(140)가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 내 수직 블랭크 구간(VB)을 조절하여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싱크 장치(140)는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프레임 레이트가 이미지 프레임(IF(1), IF(2), IF(3), ...)의 프레임 레이트와 동일한 값을 갖도록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장치(120)가 이미지 프레임(IF(1), IF(2), IF(3), ...)의 프레임 레이트를 증가(즉, 이미지 프레임(IF(1), IF(2), IF(3), ...)의 시간을 감소)시키면, 싱크 장치(140)는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 내 수직 블랭크 구간(VB)을 감소시켜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프레임 레이트를 증가(즉,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면에, 소스 장치(120)가 이미지 프레임(IF(1), IF(2), IF(3), ...)의 프레임 레이트를 감소(즉, 이미지 프레임(IF(1), IF(2), IF(3), ...)의 시간을 증가)시키면, 싱크 장치(140)는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 내 수직 블랭크 구간(VB)을 증가시켜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프레임 레이트를 감소(즉,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 장치(140)는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하더라도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 내 액티브 구간(ACTIVE)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싱크 장치(140)는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함에 있어서,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 내 수직 블랭크 구간(VB)만을 가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은 고정된 길이(FL)를 갖는 액티브 구간(ACTIVE)과 제1 길이(L1)를 갖는 수직 블랭크 구간(VB)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은 고정된 길이(FL)를 갖는 액티브 구간(ACTIVE)과 제2 길이(L2)를 갖는 수직 블랭크 구간(V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패널 구동 프레임(PDF(3))은 고정된 길이(FL)를 갖는 액티브 구간(ACTIVE)과 제3 길이(L3)를 갖는 수직 블랭크 구간(VB)을 포함할 수 있고, 제4 패널 구동 프레임(PDF(4))은 고정된 길이(FL)를 갖는 액티브 구간(ACTIVE)과 제4 길이(L4)를 갖는 수직 블랭크 구간(V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 프레임(IF(1), IF(2), IF(3), ...)의 프레임 레이트기 가변됨에 따라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되고,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즉,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간이 가변)됨에 따라 각 화소 회로(146) 내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압의 누설량(즉, 화소 전압(VPIX)의 변화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매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마다 평균 휘도가 달라지게 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 PDF(3), ...)의 평균 휘도 편차에 기인한 플리커를 인지할 수 있다. 이에, 액정 표시 장치(100)는 싱크 장치(140)로 하여금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할 때, 싱크 장치(140)에 포함된 표시 패널(144)(즉, 각 화소 회로(146))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VCOM)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플리커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싱크 장치(140)는 표시 패널(144)에 인가(구체적으로,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일단에 인가)되는 화소 전압(VPIX)이 양의 전압 레벨을 가질 때, 표시 패널(144)에 인가(구체적으로,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타단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VCOM)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일단에 인가되는 화소 전압(VPIX)이 감소(즉, 화소 전압(VPIX)의 절대값이 작아짐)될 때,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타단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VCOM)도 함께 감소되기 때문에,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되더라도,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 동안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양단에 걸리는 평균 전압 차이에 대한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 PDF(3), ...) 간의 편차가 감소(또는, 최소화)될 수 있다. 이 때,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 동안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양단에 걸리는 평균 전압 차이는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평균 휘도를 결정하므로, 상기 평균 전압 차이에 대한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 PDF(3), ...) 간의 편차가 감소(또는, 최소화)되면,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 PDF(3), ...) 간의 평균 휘도 편차가 감소(또는, 최소화)되고, 그에 따라,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 PDF(3), ...)의 평균 휘도 편차에 기인한 플리커가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싱크 장치(140)는 상기 공통 전압(VCOM)을 선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싱크 장치(140)는 상기 공통 전압(VCOM)을 비선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싱크 장치(140)는 매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작 지점에서 상기 공통 전압(VCOM)을 기준 전압 레벨을 갖도록 리셋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싱크 장치(140)는 매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작 지점에서 상기 공통 전압(VCOM)을 감소시키기 시작하거나 또는 매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된 제1 지점(예를 들어,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 내 수직 블랭크 구간(VB)의 시작 지점 또는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최소 허용 시간만큼 경과한 지점)에서 상기 공통 전압(VCOM)을 감소시키기 시작할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싱크 장치(140)는 표시 패널(144)에 인가(구체적으로,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일단에 인가)되는 화소 전압(VPIX)이 음의 전압 레벨을 가질 때, 표시 패널(144)에 인가(구체적으로,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타단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VCOM)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일단에 인가되는 화소 전압(VPIX)이 증가(즉, 화소 전압(VPIX)의 절대값이 작아짐)될 때,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타단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VCOM)도 함께 증가되기 때문에,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되더라도,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 동안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양단에 걸리는 평균 전압 차이에 대한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 PDF(3), ...) 간의 편차가 감소(또는, 최소화)될 수 있다. 이 때,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 동안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양단에 걸리는 평균 전압 차이는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평균 휘도를 결정하므로, 상기 평균 전압 차이에 대한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 PDF(3), ...) 간의 편차가 감소(또는, 최소화)되면,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 PDF(3), ...) 간의 평균 휘도 편차가 감소(또는, 최소화)되고, 그에 따라,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 PDF(3), ...)의 평균 휘도 편차에 기인한 플리커가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싱크 장치(140)는 상기 공통 전압(VCOM)을 선형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싱크 장치(140)는 상기 공통 전압(VCOM)을 비선형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싱크 장치(140)는 매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작 지점에서 상기 공통 전압(VCOM)을 기준 전압 레벨을 갖도록 리셋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싱크 장치(140)는 매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작 지점에서 상기 공통 전압(VCOM)을 증가시키기 시작하거나 또는 매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된 제1 지점(예를 들어,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 내 수직 블랭크 구간(VB)의 시작 지점 또는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최소 허용 시간만큼 경과한 지점)에서 상기 공통 전압(VCOM)을 증가시키기 시작할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100)는, 이미지 프레임(IF(1), IF(2), IF(3), ...)의 프레임 레이트(또는, 이미지 프레임(IF(1), IF(2), IF(3), ...)의 시간)를 가변함에 따라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 내 수직 블랭크 구간(VB)을 증감하여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프레임 레이트(또는,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간)를 가변함에 있어서,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일단에 인가되는 화소 전압(VPIX)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 또는 증가되더라도,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타단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VCOM)을 매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작 지점에서 기준 전압 레벨을 갖도록 리셋하고, 상기 공통 전압(VCOM)을 매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작 지점 또는 매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된 소정의 지점에서 감소 또는 증가시키기 시작함으로써,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 PDF(3), ...)의 평균 휘도 편차를 감소(또는, 최소화)시켜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플리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정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고품질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서는 소스 장치(120)가 그래픽 처리 유닛(122)만을 포함하고, 싱크 장치(140)가 표시 패널 구동 회로(142) 및 표시 패널(144)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소스 장치(120)가 다른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프로세서, 프레임 버퍼 메모리, 송신 회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싱크 장치(140)도 다른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프로세서, 프레임 버퍼 메모리, 수신 회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a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화소 전압이 양의 전압 레벨을 가질 때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화소 전압의 누설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화소 전압이 양의 전압 레벨을 가질 때 싱크 장치가 공통 전압을 조절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44)에 인가(구체적으로,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일단에 인가)되는 화소 전압(VPIX)이 양의 전압 레벨을 갖는 경우, 상기 화소 전압(VPIX)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감소(즉, 화소 전압(VPIX)의 절대값이 작아짐)될 수 있다. 이 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음의 전압 레벨의 화소 전압(VPIX)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감소(즉, 화소 전압(VPIX)의 절대값이 작아짐)되더라도, 표시 패널(144)에 인가(구체적으로,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타단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VCOM)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의 프레임 레이트(즉,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의 시간)에 따라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양단에 걸리는 평균 전압 차이(AV1, AV2)에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은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보다 프레임 레이트가 크기(즉, 시간이 짧기) 때문에,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에서는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보다 화소 전압(VPIX)의 누설이 작고, 그에 따라,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의 평균 전압 차이(AV1)는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의 평균 전압 차이(AV2)보다 클 수 있다. 이 때,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의 평균 전압 차이(AV1)와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의 평균 전압 차이(AV2)는 각각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의 평균 휘도와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의 평균 휘도를 결정하기 때문에,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의 평균 전압 차이(AV1)와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의 평균 전압 차이(AV2) 간의 편차는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의 평균 휘도와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의 평균 휘도 간의 편차로 나타나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의 평균 휘도와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의 평균 휘도 간의 편차에 기인한 플리커를 인지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는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될 때 발생하는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의 평균 휘도 편차에 기인한 플리커를 방지할 수 없다.
반면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100)에서는 싱크 장치(140)가 양의 전압 레벨의 화소 전압(VPIX)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감소(즉, 화소 전압(VPIX)의 절대값이 작아짐)될 때, 표시 패널(144)에 인가(구체적으로,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타단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VCOM)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되더라도,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동안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양단에 걸리는 평균 전압 차이(CAV1, CAV2)에 대한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 간의 편차가 감소(또는, 최소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은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보다 프레임 레이트가 작기(즉, 시간이 길기) 때문에,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에서는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보다 화소 전압(VPIX)의 누설이 많다. 하지만, 싱크 장치(140)가 상기 화소 전압(VPIX)이 감소될 때, 상기 공통 전압(VCOM)도 함께 감소시키기 때문에,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의 평균 전압 차이(CAV1)와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의 평균 전압 차이(CAV2) 간의 편차는 감소(또는, 최소화)될 수 있다. 이 때,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의 평균 전압 차이(CAV1)와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의 평균 전압 차이(CAV2)는 각각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의 평균 휘도와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의 평균 휘도를 결정하기 때문에,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의 평균 휘도와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의 평균 휘도 간의 편차도 감소(또는, 최소화)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의 평균 휘도와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의 평균 휘도 간의 편차에 기인한 플리커를 인지할 수 없다. 즉,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100)는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되더라도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의 평균 휘도 편차에 기인한 플리커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 장치(140)는 표시 패널(144)에 인가(구체적으로,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타단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VCOM)을 선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싱크 장치(140)는 표시 패널(144)에 인가(구체적으로,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타단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VCOM)을 비선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싱크 장치(140)는 매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의 시작 지점에서 표시 패널(144)에 인가(구체적으로,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타단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VCOM)을 기준 전압 레벨(RVL)을 갖도록 리셋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 장치(140)는 매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의 시작 지점에서 상기 공통 전압(VCOM)을 감소시키기 시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싱크 장치(140)는 매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된 제1 지점(예를 들어,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내 수직 블랭크 구간(VB)의 시작 지점 또는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의 최소 허용 시간만큼 경과한 지점)에서 상기 공통 전압(VCOM)을 감소시키기 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100)는,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일단에 인가되는 양의 전압 레벨의 화소 전압(VPIX)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되더라도, 싱크 장치(140)로 하여금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타단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VCOM)을 매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의 시작 지점에서 기준 전압 레벨(RVL)을 갖도록 리셋한 후 상기 공통 전압(VCOM)을 감소시키게 함으로써,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의 평균 휘도 편차를 감소(또는, 최소화)시켜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플리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정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고품질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a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화소 전압이 음의 전압 레벨을 가질 때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화소 전압의 누설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화소 전압이 음의 전압 레벨을 가질 때 싱크 장치가 공통 전압을 조절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44)에 인가(구체적으로,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일단에 인가)되는 화소 전압(VPIX)이 음의 전압 레벨을 갖는 경우, 상기 화소 전압(VPIX)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증가(즉, 화소 전압(VPIX)의 절대값이 작아짐)될 수 있다. 이 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음의 전압 레벨의 화소 전압(VPIX)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증가(즉, 화소 전압(VPIX)의 절대값이 작아짐)되더라도, 표시 패널(144)에 인가(구체적으로,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타단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VCOM)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의 프레임 레이트(즉,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의 시간)에 따라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양단에 걸리는 평균 전압 차이(AV1, AV2)에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은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보다 프레임 레이트가 크기(즉, 시간이 짧기) 때문에,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에서는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보다 화소 전압(VPIX)의 누설이 작고, 그에 따라,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의 평균 전압 차이(AV1)는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의 평균 전압 차이(AV2)보다 클 수 있다. 이 때,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의 평균 전압 차이(AV1)와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의 평균 전압 차이(AV2)는 각각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의 평균 휘도와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의 평균 휘도를 결정하기 때문에,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의 평균 전압 차이(AV1)와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의 평균 전압 차이(AV2) 간의 편차는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의 평균 휘도와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의 평균 휘도 간의 편차로 나타나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의 평균 휘도와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의 평균 휘도 간의 편차에 기인한 플리커를 인지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는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될 때 발생하는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의 평균 휘도 편차에 기인한 플리커를 방지할 수 없다.
반면에,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100)에서는 싱크 장치(140)가 음의 전압 레벨의 화소 전압(VPIX)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증가(즉, 화소 전압(VPIX)의 절대값이 작아짐)될 때, 표시 패널(144)에 인가(구체적으로,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타단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VCOM)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되더라도,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동안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양단에 걸리는 평균 전압 차이(CAV1, CAV2)에 대한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 간의 편차가 감소(또는, 최소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은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보다 프레임 레이트가 작기(즉, 시간이 길기) 때문에,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에서는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보다 화소 전압(VPIX)의 누설이 많다. 하지만, 싱크 장치(140)가 상기 화소 전압(VPIX)이 증가될 때, 상기 공통 전압(VCOM)도 함께 증가시키기 때문에,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의 평균 전압 차이(CAV1)와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의 평균 전압 차이(CAV2) 간의 편차는 감소(또는, 최소화)될 수 있다. 이 때,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의 평균 전압 차이(CAV1)와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의 평균 전압 차이(CAV2)는 각각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의 평균 휘도와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의 평균 휘도를 결정하기 때문에,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의 평균 휘도와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의 평균 휘도 간의 편차도 감소(또는, 최소화)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제1 패널 구동 프레임(PDF(1))의 평균 휘도와 제2 패널 구동 프레임(PDF(2))의 평균 휘도 간의 편차에 기인한 플리커를 인지할 수 없다. 즉,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100)는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되더라도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의 평균 휘도 편차에 기인한 플리커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 장치(140)는 표시 패널(144)에 인가(구체적으로,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타단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VCOM)을 선형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싱크 장치(140)는 표시 패널(144)에 인가(구체적으로,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타단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VCOM)을 비선형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싱크 장치(140)는 매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의 시작 지점에서 표시 패널(144)에 인가(구체적으로,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타단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VCOM)을 기준 전압 레벨(RVL)을 갖도록 리셋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 장치(140)는 매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의 시작 지점에서 상기 공통 전압(VCOM)을 감소시키기 시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싱크 장치(140)는 매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된 제1 지점(예를 들어,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내 수직 블랭크 구간(VB)의 시작 지점 또는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의 최소 허용 시간만큼 경과한 지점)에서 상기 공통 전압(VCOM)을 감소시키기 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100)는,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일단에 인가되는 음의 전압 레벨의 화소 전압(VPIX)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되더라도, 싱크 장치(140)로 하여금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타단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VCOM)을 매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의 시작 지점에서 기준 전압 레벨(RVL)을 갖도록 리셋한 후 상기 공통 전압(VCOM)을 증가시키게 함으로써,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의 평균 휘도 편차를 감소(또는, 최소화)시켜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플리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정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고품질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싱크 장치가 패널 구동 프레임의 시작 지점에서 공통 전압을 조절하기 시작하는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싱크 장치(140)는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작 지점에서 공통 전압(VCOM)을 조절하기 시작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a 및 도 7b에서는 표시 패널(144)에 인가(구체적으로,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일단에 인가)되는 화소 전압(VPIX)이 양의 전압 레벨을 갖고, 싱크 장치(140)가 표시 패널(144)에 인가(구체적으로,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타단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VCOM)을 감소시키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 장치(140)는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작 지점에서 상기 공통 전압(VCOM)을 기준 전압 레벨(RVL)을 갖도록 리셋할 수 있다. 따라서, 싱크 장치(140)는 기준 전압 레벨(RVL)을 가진 공통 전압(VCOM)을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작 지점에서부터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 장치(140)는 기준 전압 레벨(RVL)을 가진 공통 전압(VCOM)을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작 지점에서부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 장치(140)는 기준 전압 레벨(RVL)을 가진 공통 전압(VCOM)을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작 지점에서부터 시간이 흐름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 PDF(3), ...)의 평균 전압 차이들 간의 편차가 감소(또는, 최소화)되고, 그에 따라,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 PDF(3), ...)의 평균 휘도들 간의 편차가 감소(또는, 최소화)되어, 사용자는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 PDF(3), ...)의 평균 휘도 편차에 기인한 플리커를 인지할 수 없다. 이에, 액정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고품질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싱크 장치가 패널 구동 프레임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최소 허용 시간만큼 경과된 지점에서 공통 전압을 조절하기 시작하는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싱크 장치(140)는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최소 허용 시간(MIN)만큼 경과된 지점에서 공통 전압(VCOM)을 조절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이 때,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최소 허용 시간(MIN)은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최대 구동 주파수에 대응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a 및 도 8b에서는 표시 패널(144)에 인가(구체적으로,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일단에 인가)되는 화소 전압(VPIX)이 양의 전압 레벨을 갖고, 싱크 장치(140)가 표시 패널(144)에 인가(구체적으로,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타단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VCOM)을 감소시키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 장치(140)는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작 지점에서 상기 공통 전압(VCOM)을 기준 전압 레벨(RVL)을 갖도록 리셋할 수 있다. 이후, 싱크 장치(140)는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최소 허용 시간(MIN)만큼 경과된 지점까지 상기 공통 전압(VCOM)을 기준 전압 레벨(RVL)로 유지시킬 수 있다. 다음, 싱크 장치(140)는 기준 전압 레벨(RVL)을 가진 공통 전압(VCOM)을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최소 허용 시간(MIN)만큼 경과된 지점에서부터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 장치(140)는 기준 전압 레벨(RVL)을 가진 공통 전압(VCOM)을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최소 허용 시간(MIN)만큼 경과된 지점에서부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 장치(140)는 기준 전압 레벨(RVL)을 가진 공통 전압(VCOM)을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최소 허용 시간(MIN)만큼 경과된 지점에서부터 시간이 흐름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 PDF(3), ...)의 평균 전압 차이들 간의 편차가 감소(또는, 최소화)되고, 그에 따라,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 PDF(3), ...)의 평균 휘도들 간의 편차가 감소(또는, 최소화)되어, 사용자는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 PDF(3), ...)의 평균 휘도 편차에 기인한 플리커를 인지할 수 없다. 이에, 액정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고품질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싱크 장치가 패널 구동 프레임 내 수직 블랭크 구간의 시작 지점에서 공통 전압을 조절하기 시작하는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싱크 장치(140)는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 내 수직 블랭크 구간(VB)의 시작 지점에서 공통 전압(VCOM)을 조절하기 시작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9a 및 도 9b에서는 표시 패널(144)에 인가(구체적으로,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일단에 인가)되는 화소 전압(VPIX)이 양의 전압 레벨을 갖고, 싱크 장치(140)가 표시 패널(144)에 인가(구체적으로, 각 화소 회로(146) 내 액정 소자(LC)의 타단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VCOM)을 감소시키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 장치(140)는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작 지점에서 상기 공통 전압(VCOM)을 기준 전압 레벨(RVL)을 갖도록 리셋할 수 있다. 이후, 싱크 장치(140)는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 내 수직 블랭크 구간(VB)의 시작 지점까지 상기 공통 전압(VCOM)을 기준 전압 레벨(RVL)로 유지시킬 수 있다. 다음, 싱크 장치(140)는 기준 전압 레벨(RVL)을 가진 공통 전압(VCOM)을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 내 수직 블랭크 구간(VB)의 시작 지점에서부터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 장치(140)는 기준 전압 레벨(RVL)을 가진 공통 전압(VCOM)을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 내 수직 블랭크 구간(VB)의 시작 지점에서부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 장치(140)는 기준 전압 레벨(RVL)을 가진 공통 전압(VCOM)을 패널 구동 프레임(PDF(1), PDF(2), PDF(3), ...) 내 수직 블랭크 구간(VB)의 시작 지점에서부터 시간이 흐름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 PDF(3), ...)의 평균 전압 차이들 간의 편차가 감소(또는, 최소화)되고, 그에 따라,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 PDF(3), ...)의 평균 휘도들 간의 편차가 감소(또는, 최소화)되어, 사용자는 패널 구동 프레임들(PDF(1), PDF(2), PDF(3), ...)의 평균 휘도 편차에 기인한 플리커를 인지할 수 없다. 이에, 액정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고품질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전자 기기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는 도 10의 전자 기기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로 구현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500)는 프로세서(510), 메모리 장치(520), 스토리지 장치(530), 입출력 장치(540), 파워 서플라이(550) 및 액정 표시 장치(5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액정 표시 장치(560)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100)일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500)는 비디오 카드, 사운드 카드, 메모리 카드, USB 장치 등과 통신하거나, 또는 다른 시스템들과 통신할 수 있는 여러 포트(port)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500)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500)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전자 기기(500)가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500)는 휴대폰, 비디오폰, 스마트패드, 스마트워치, 태블릿 PC, 차량용 네비게이션,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노트북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510)는 특정 계산들 또는 태스크(task)들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5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어드레스 버스(address bus), 제어 버스(control bus) 및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을 통해 다른 구성 요소들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510)는 주변 구성 요소 상호 연결(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버스와 같은 확장 버스에도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 장치(520)는 전자 기기(5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520)는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장치,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flash memory device), 피램(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PRAM) 장치, 알램(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RRAM) 장치, 엔에프지엠(Nano Floating Gate Memory; NFGM) 장치, 폴리머램(Polymer Random Access Memory; PoRAM) 장치, 엠램(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 에프램(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FRAM) 장치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또는 디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장치, 에스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장치, 모바일(mobile) DRAM 장치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장치(530)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씨디롬(CD-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I/O) 장치(540)는 키보드, 키패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마우스 장치 등과 같은 입력 수단 및 스피커, 프린터 등과 같은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입출력 장치(540)는 액정 표시 장치(560)를 포함할 수도 있다. 파워 서플라이(550)는 전자 기기(500)의 동작에 필요한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560)는 상기 버스들 또는 다른 통신 링크를 통해서 다른 구성 요소들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560)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장치는 싱크 장치로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싱크 장치는 소스 장치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표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소스 장치는 표시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에 이미지 데이터를 구성하는 이미지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하고, 싱크 장치는 이미지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됨에 따라 표시 동작을 위한 패널 구동 프레임 내 수직 블랭크 구간을 조절하여 패널 구동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할 수 있다. 이 때, 싱크 장치는 패널 구동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할 때, 패널 구동 프레임 내 액티브 구간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560)는 패널 구동 프레임들의 평균 휘도 편차를 감소(또는, 최소화)시켜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플리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싱크 장치는 패널 구동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할 때, 싱크 장치에 포함된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싱크 장치는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을 선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싱크 장치는,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화소 전압이 양의 전압 레벨을 가질 때,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을 선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화소 전압이 음의 전압 레벨을 가질 때,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을 선형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싱크 장치는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을 비선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싱크 장치는,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화소 전압이 양의 전압 레벨을 가질 때,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을 비선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화소 전압이 음의 전압 레벨을 가질 때,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을 비선형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싱크 장치는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을 매 패널 구동 프레임의 시작 지점에서 기준 전압 레벨을 갖도록 리셋하고, 상기 공통 전압을 매 패널 구동 프레임의 시작 지점 또는 매 패널 구동 프레임의 시작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된 소정의 지점에서 조절하기 시작할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든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폰, 비디오폰, 스마트패드, 스마트워치, 태블릿 PC,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표시 장치 120: 소스 장치
122: 그래픽 처리 유닛 140: 싱크 장치
142: 표시 패널 구동 회로 144: 표시 패널
146: 화소 회로 500: 전자 기기
510: 프로세서 520: 메모리 장치
530: 스토리지 장치 540: 입출력 장치
550: 파워 서플라이 560: 액정 표시 장치

Claims (30)

  1.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소스 장치;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표시 동작을 수행하는 싱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 장치는 상기 표시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에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구성하는 이미지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하며,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표시 동작을 위한 패널 구동 프레임 내 수직 블랭크 구간을 조절하여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하고,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할 때, 상기 싱크 장치에 포함된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되더라도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 내 액티브 구간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가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와 동일한 값을 갖도록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가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증가시키면,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 내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을 감소시켜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가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감소시키면,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 내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을 증가시켜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공통 전압을 선형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화소 전압이 양(positive)의 전압 레벨을 가질 때, 상기 공통 전압을 선형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화소 전압이 음(negative)의 전압 레벨을 가질 때, 상기 공통 전압을 선형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공통 전압을 비선형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화소 전압이 양의 전압 레벨을 가질 때, 상기 공통 전압을 비선형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화소 전압이 음의 전압 레벨을 가질 때, 상기 공통 전압을 비선형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시작 지점에서 상기 공통 전압을 기준 전압 레벨을 갖도록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시작 지점에서 상기 공통 전압을 조절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된 제1 지점에서 상기 공통 전압을 조절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지점까지 상기 공통 전압을 상기 기준 전압 레벨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 내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시작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최소 허용 시간만큼 경과된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는 상기 표시 동작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의 특성에 따라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는, 상기 이미지의 화면 전환이 기 설정된 기준 속도보다 빠르면,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는, 상기 이미지의 화면 전환이 기 설정된 기준 속도보다 느리면,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1. 소스 장치로부터 이미지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 동작을 수행하는 싱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싱크 장치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표시 패널 구동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 구동 회로는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표시 동작을 위한 패널 구동 프레임 내 수직 블랭크 구간을 조절하여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하며,
    상기 표시 패널 구동 회로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할 때, 상기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구동 회로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가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레이트와 동일한 값을 갖도록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구동 회로는 상기 공통 전압을 선형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구동 회로는 상기 공통 전압을 비선형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구동 회로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시작 지점에서 상기 공통 전압을 기준 전압 레벨을 갖도록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구동 회로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시작 지점에서 상기 공통 전압을 조절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구동 회로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된 제1 지점에서 상기 공통 전압을 조절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구동 회로는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지점까지 상기 공통 전압을 상기 기준 전압 레벨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 내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의 시작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장치.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상기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패널 구동 프레임의 최소 허용 시간만큼 경과된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장치.

KR1020180007052A 2018-01-19 2018-01-19 싱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495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052A KR102495066B1 (ko) 2018-01-19 2018-01-19 싱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2019002030A JP7355497B2 (ja) 2018-01-19 2019-01-09 シンク装置及びこ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
US16/244,344 US10902817B2 (en) 2018-01-19 2019-01-10 Sink device with variable frame 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P19152634.2A EP3514787A1 (en) 2018-01-19 2019-01-18 Sink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P22155291.2A EP4012697A1 (en) 2018-01-19 2019-01-18 Sink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910046789.7A CN110060642B (zh) 2018-01-19 2019-01-18 接收设备和包括接收设备的液晶显示设备
US17/151,313 US11763771B2 (en) 2018-01-19 2021-01-18 Sink device with variable frame r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052A KR102495066B1 (ko) 2018-01-19 2018-01-19 싱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103A true KR20190089103A (ko) 2019-07-30
KR102495066B1 KR102495066B1 (ko) 2023-02-03

Family

ID=65041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052A KR102495066B1 (ko) 2018-01-19 2018-01-19 싱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902817B2 (ko)
EP (2) EP4012697A1 (ko)
JP (1) JP7355497B2 (ko)
KR (1) KR102495066B1 (ko)
CN (1) CN11006064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53238A (zh) * 2020-06-23 2020-09-11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像素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面板
WO2022060159A1 (ko) * 2020-09-18 2022-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0671A (zh) * 2017-11-07 2018-01-19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控制时序的方法和装置、驱动电路、显示面板、电子设备
KR102495066B1 (ko) 2018-01-19 2023-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싱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N110349551B (zh) * 2019-07-25 2021-07-02 重庆惠科金扬科技有限公司 像素驱动电路、像素驱动方法及显示面板的制造方法
CN113496678B (zh) * 2020-04-08 2023-03-03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显示装置及背光模块的操作方法
KR20220001034A (ko) * 2020-06-26 2022-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13516937A (zh) * 2021-06-23 2021-10-19 惠科股份有限公司 驱动方法和显示装置
CN113808514B (zh) * 2021-09-16 2024-01-26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屏控制方法、装置、显示屏控制设备和存储介质
CN113808537A (zh) 2021-09-23 2021-12-17 惠科股份有限公司 驱动方法、驱动装置及显示设备
CN113808515B (zh) * 2021-09-23 2022-07-12 惠科股份有限公司 公共电极结构、驱动方法及显示设备
KR20230069275A (ko) 2021-11-11 2023-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5648A (ko) * 2016-01-14 2017-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및 이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타이밍 컨트롤러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2292A (ja) * 1998-01-20 1999-07-30 Toshiba Electronic Engineering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形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4510530B2 (ja) * 2004-06-16 2010-07-28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KR100688498B1 (ko) * 2004-07-01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이트 드라이버가 내장된 액정 패널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0731726B1 (ko) * 2004-12-10 2007-06-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Ocb모드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4842564B2 (ja) * 2005-05-18 2011-12-21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JP4859464B2 (ja) * 2006-01-05 2012-01-25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TW200739507A (en) * 2006-03-23 2007-10-16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7304561A (ja) * 2006-03-23 2007-11-22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の駆動装置
KR101550918B1 (ko) 2008-12-09 2015-09-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356321B1 (ko) * 2010-02-19 2014-0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101804994B1 (ko) 2010-12-24 2017-1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JP6046413B2 (ja) * 2011-08-08 2016-12-14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9299301B2 (en) * 2011-11-04 2016-03-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JP6038475B2 (ja) 2012-04-02 2016-12-0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情報処理装置、表示駆動方法、表示駆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TWI570680B (zh) * 2012-09-13 2017-02-11 聯詠科技股份有限公司 源極驅動器及更新伽瑪曲線的方法
US8797340B2 (en) * 2012-10-02 2014-08-05 Nvid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odifying a pixel value as a function of a display duration estimate
US9530384B2 (en) 2012-11-14 2016-12-27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that compensates for changes in driving frequency and drive method thereof
JP2016508239A (ja) * 2013-01-14 2016-03-17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可変リフレッシュレートを使用する低電力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469296B1 (ko) * 2015-09-22 2022-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구동 장치, 이를 이용하는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38199B1 (ko) 2015-12-24 2022-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값을 변경하는 방법
JP2019056740A (ja) * 2017-09-20 2019-04-11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2495066B1 (ko) 2018-01-19 2023-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싱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5648A (ko) * 2016-01-14 2017-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및 이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타이밍 컨트롤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53238A (zh) * 2020-06-23 2020-09-11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像素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面板
CN111653238B (zh) * 2020-06-23 2021-08-13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像素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面板
WO2022060159A1 (ko) * 2020-09-18 2022-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893954B2 (en) 2020-09-18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12697A1 (en) 2022-06-15
JP7355497B2 (ja) 2023-10-03
US20190228733A1 (en) 2019-07-25
EP3514787A1 (en) 2019-07-24
CN110060642A (zh) 2019-07-26
US10902817B2 (en) 2021-01-26
CN110060642B (zh) 2022-09-06
US11763771B2 (en) 2023-09-19
KR102495066B1 (ko) 2023-02-03
US20210142758A1 (en) 2021-05-13
JP2019128591A (ja)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5066B1 (ko) 싱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159257B1 (ko)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KR102234512B1 (ko) 표시 장치,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그의 구동 방법
JP5403879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2652237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275709B1 (ko) 게이트 드라이버,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6334114B2 (ja) 表示装置
KR102583828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527296B1 (ko) 표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프레임 구동 타이밍 동기 방법
US10360839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a variable rate display
US20150371600A1 (en) Timing control method, time schedule controller and display device
KR102617564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JP2021096309A (ja)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表示制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KR20200080428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10022824A (ko) 데이터 보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07220B1 (ko)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구동방법 및 영상 표시 시스템
KR10246396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544140B1 (ko) 액정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액정 표시 장치
US1142381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KR20190083028A (ko) 셔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190100553A (ko)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11854469B2 (en) Display device determining reference frequency based on previous frame frequenc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106560B1 (ko) 액정티브이 구동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050024071A (ko)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100060201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