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489A - 블렌더 인터록 - Google Patents

블렌더 인터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489A
KR20190088489A KR1020197016624A KR20197016624A KR20190088489A KR 20190088489 A KR20190088489 A KR 20190088489A KR 1020197016624 A KR1020197016624 A KR 1020197016624A KR 20197016624 A KR20197016624 A KR 20197016624A KR 20190088489 A KR20190088489 A KR 20190088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base
motor
detent
angled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4197B1 (ko
Inventor
켄 에이치.큐. 유안
대쉬 지.지. 후
데릭 지.엠. 리우
프레데릭 케이 호프케
다비드 엘렌투크
Original Assignee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filed Critical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90088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8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a separate receptacle-stirrer unit that is adapted to be coupled to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66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mixing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08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stirrers driven from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1/00Devices having a modular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식품 가공 시스템의 베이스는 베이스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태치먼트를 포함한다. 베이스는 어태치먼트를 선택적으로 수용하기 위해베이스와 함께 배치된 어태치먼트 장착 영역을 포함한다. 어태치먼트 장착 영역은 어태치먼트에 풀다운 힘을 가하기 위한 드라이브 커플러를 포함한다. 모터는 베이스와 함께 배치된다. 모터 작동 어셈블리는 어태치먼트 장착 영역과 모터에 연결된다. 어태치먼트 장착 영역이 어태치먼트를 수용할 때, 모터는 모터 작동 어셈블리에 가해진 수직력을 통해 작동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블렌더 인터록
본 발명은 식품 가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식품 가공 시스템의 용기 및 식품 가공 시스템의 베이스 사이의 연결에 관한 것이다.
블렌더와 같은 식품 가공 시스템은 용기 내의 가공 툴(예를 들어, 블레이드 어셈블리)을 회전시켜 식품을 가공한다. 용기는 블렌더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어서, 블렌더에 장착될 때 베이스 상의 드라이브 커플링(drive coupling)이 용기 상의 드리븐 커플링(driven coupling)을 회전시켜 가공 툴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일부 블렌더에서, 용기는 용기의 외측에 구동 커플링과, 내측에 장착된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리드를 갖는 인버티드 자(inverted jar)이다. 용기는 블렌더 베이스에 대응하는 슬롯에 수용되는 방사상으로 돌출된 탭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용기는 수직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각각의 탭이 슬롯의 수직 부분을 통해 들어가고, 컨테이너의 회전에 따라 슬롯의 수평 부분을 통해 각 탭을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품 가공 시스템의 베이스는 베이스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포함한다. 베이스는 베이스와 함께 배치되어 어태치먼트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어태치먼트 장착 영역을 포함한다. 어태치먼트 장착 영역은 어태치먼트에 풀다운 힘(pull down force)을 가하기 위한 드라이브 커플러(drive coupler)를 포함한다. 모터는 베이스와 함께 배치된다. 모터 작동 어셈블리는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 영역 및 상기 모터에 연결된다. 어태치먼트 장착 영역이 어태치먼트를 수용할 때, 모터는 모터 작동 어셈블리에 가해진 수직력을 통해 작동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 작동 어셈블리가 작동될 때 상기 모터는 자동으로 작동되지 않는다.
전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어태치먼트의 회전은 모터를 작동 가능하게 만들 필요가 없다.
전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어태치먼트에 연속적인 외력을 가하는 것은 모터를 작동 가능하게 만들 필요가 없다.
전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는 어태치먼트가 베이스에 결합되는 동안 작동 가능하게 유지된다.
전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슬롯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모터 작동 어셈블리의 일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 슬롯 내에 위치된다.
전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 작동 어셈블리는: 상기 모터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스위치, 플런저(plunger), 작동 로드(actuating rod), 및 상기 플런저 및 상기 작동 로드에 연결된 플런저 시트(plunger seat)를 더 포함한다. 플런저 시트는 상기 플런저와 상기 작동 로드 사이의 이동을 전달하여 상기 스위치와 선택적으로 맞물린다.
전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 영역에 배치된 디텐트(detent)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텐트는 어태치먼트와 결합 상태로 편향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한 어태치먼트의 이동을 제한한다.
전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텐트는 상기 베이스의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어태치먼트의 측면에 결합된다.
전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태치먼트의 측면은 상기 디텐트를 수용하기 위한 홈(groove)를 포함한다.
전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태치먼트의 측면은 편향에 대해 상기 디텐트를 움직이게 하는 램프 면(ramp surface)을 포함한다.
전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슬롯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텐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 슬롯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전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텐트는 소정의 각도로 연장된 상부를 더 포함하며, 어태치먼트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부재(engagement member)를 더 포함한다. 어태치먼트가 베이스에 결합할 때 상기 디텐트의 상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부재에 수직으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전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텐트는 어태치먼트가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다는 표시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식품 가공 시스템은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드라이브 커플러를 갖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선택적 결합을 위한 어태치먼트를 포함한다. 어태치먼트는 드리븐 커플러(driven coupler)를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브 커플러(drive coupler)와 상기 드리븐 커플러(driven coupler) 사이의 맞물림은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어태치먼트의 이동을 제한한다.
전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라이브 커플러(drive coupler)와 상기 드리븐 커플러(driven coupler) 사이의 맞물림은 상기 어태치먼트에 풀다운 힘을 가한다.
전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라이브 커플러는 제1 복수의 각진 티스(angled teeth)를 포함하며, 상기 드리븐 커플러는 제2 복수의 각진 티스를 포함한다.
전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라이브 커플러(drive coupler)과 상기 드리븐 커플러(driven coupler)가 결합할 때, 상기 제1 복수의 각진 티스 및 상기 제2 복수의 각진 티스는 교합식 걸림 결합(intermeshing engagement)으로 배치된다.
전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복수의 각진 티스는 제1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복수의 각진 티스는 제2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형상은 상기 제1 형상과 반대이다.
전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복수의 각진 티스 및 상기 제2 복수의 각진 티스 중 적어도 하나는 수직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배열된 측벽을 포함한다.
전술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의 특징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도는 약 0° 내지 10°이다.
이들 및 다른 장점들 및 특징들은 도면들과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개시내용으로 간주되는 주제는 특히 명세서의 결론 부분에 있는 청구 범위에서 언급되고 명백하게 청구된다. 본 개시 내용의 상기 및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도 1은 식품 가공 시스템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품 가공 시스템의 어태치먼트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식품 가공 시스템의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식품 가공 시스템의 베이스의 어태치먼트 장착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어태치먼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식품 가공 시스템의 베이스의 수용 슬롯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라 어태치먼트를 베이스에 설치하는 동안의 식품 가공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식품 가공 시스템의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식품 가공 시스템의 모터 작동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식품 가공 시스템의 모터 작동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는 다기능 식품 가공 시스템(food processing system, 20)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가공 시스템(20)은 비제한 예로서 다이싱(dicing), 초핑(chopping), 커팅(cutting), 슬라이싱(slicing), 믹싱(mixing), 블렌딩(blending), 스터링(stirring), 크러싱(crushing)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식품 가공 또는 블렌딩 작업을 수행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식품 가공 시스템(20)이 1인용 시스템으로도 칭해지는 개인 블렌더 시스템일지라도, 다른 타입의 식품 가공 시스템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식품 가공 시스템은 모터 작동식 유닛(motorized unit)과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미도시)가 위치하는 바디(body) 또는 하우징(24)을 갖는 베이스(base, 22)를 포함한다. 베이스(22)는 예를 들어 모터 작동식 유닛에 의해 회전 축을 중심으로 구동되는 드라이브 커플러(drive coupler, 26)(도 3)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회전식 부품(rotary component)을 포함한다. 베이스(22)는 모터 작동식 유닛을 온-오프하기 위해, 그리고 펄싱, 블렌딩 또는 연속 식품 가공과 같은 다양한 작업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29)를 갖는 제어 패널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8)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한 블레이드 어셈블리(blade assembly, 34)가 결합된 인버티드 자(inverted jar, 32)와 같은 어태치먼트(attachment, 30)는 베이스(22)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인버티드 자(32) 와 블레이드 어셈블리(34)는 서로 나사식으로 결합되며; 그러나 인버티드 자(32)와 블레이드 어셈블리(34)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다른 메커니즘도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회전 가능한 블레이드 어셈블리(34)가 인버티드 자(32)에 결합할 때,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36)는 자(32)의 중공 내부 내에 위치한다.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36)에 연결된 드리븐 커플러(driven coupler, 38)(도 7)는 회전 가능한 블레이드 어셈블리(34)의 외부에 위치한다.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커플러(driven coupler, 26)는 드리븐 커플러(driven coupler, 38)와 맞물려 어태치먼트(30)의 내부에 위치한 식료품을 가공하도록 축(X)을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36)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인버티드 자(32)와 회전 가능한 블레이드 어셈블리(34)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30)는 단지 예시로서 의도된 것이며, 다른 어태치먼트, 예를 들어 베이스에 결합될 때 분리 가능한 리드를 수용하기 위한 개방 상부를 갖는 자 어셈블리가 본 명세서에서 고려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식품 가공 베이스(22)와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된 어태치먼트(30)는 예를 들어 어태치먼트(30) 둘레에 위치하는 탭과 같은 하나 이상의 맞물림 부재(40)를 포함한다. 4개의 맞물림 부재가 일반적으로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임의의 개수의 맞물림 부재(40)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어태치먼트(30)가 인버티트 자(32)와 블레이드 어셈블리(34)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맞물림 부재(40)는 자(34), 블레이드 어셈블리(34) 또는 둘 다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맞물림 부재(40)는 베이스(22)의 어태치먼트 장착 영역(42) 내에 수용 가능한 어태치먼트(30)의 일부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대체로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베이스(22)는 어태치먼트 장착 영역(42)을 한정하며 어태치먼트(3)의 복수의 맞물림 부재(40)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수용 슬롯(46)을 포함하는 직립 칼라(upstanding collar, 44)를 포함한다. 어태치먼트(30)가 베이스(22)에 장착될 때, 사용자는 맞물림 부재(40)를 수용 슬롯(46)에 정렬시킨다. 맞물림 부재(40)는 그 바닥면(bottom surface, 47) 상에 놓일 때까지 슬롯(46) 내에서 대체로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칼라(44)의 높이는 2개의 인접한 슬롯(46) 사이의 중앙 부분에서 가장 높을 수 있다. 이 피크의 각 측면에 인접하여, 칼라(44)의 경사부는 일반적으로 슬롯(46)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맞물림 부재(40)가 수용 슬롯(46)으로부터 오프셋된 상태에서 어태치먼트(30)가 베이스(22) 쪽으로 움직이는 경우, 칼라(44)의 경사부는 맞물림 부재를 슬롯(46)에 정렬시키기 위해베이스(22)에 대한 어태치먼트(3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한다.
도 3 및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측면 디텐트(side detent, 48)는 어태치먼트(30) 쪽으로 어태치먼트 장착 영역(42)의 측벽(50)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측면 디텐트(48)는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바이어싱 부재(biasing member, 52)에 결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측면 디텐트(48)의 높이와 상보적인 홈(groove, 54)이 어태치먼트(30)의 대응 부분에 형성된다(도 5). 어태치먼트(30)는 홈(54)에 인접한 대응하는 램프면(ramp surface, 56)을 추가로 포함한다. 어태치먼트(30)가 베이스(22)에 결합할 때, 램프면(56)의 단부(58)는 베이스(22)로의 어태치먼트(30)의 설치를 허용하도록 측면 디텐트(48)를 후퇴 위치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램프(56)의 단부(58)가 측면 디텐트(48)를 넘어서 이동한 후, 바이어싱 메커니즘(52)의 편향력은 측면 디텐트(48)가 홈(54) 내에 수용되는 연장 위치로 측면 디텐트(48)를 편향시킨다. 홈(54) 내로 측면 디텐트(48)의 수용은 예를 들어 어태치먼트(30)가 베이스(22)에 대하여 제자리에 있음을 청각 또는 시각 신호를 통해 사용자에게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태치먼트(30)에 바이어싱 메커니즘(52)의 편향력보다 큰 힘이 가해질 시, 램프면(56)은 측면 디텐트(48)를 연장 위치에서 후퇴 위치로 서서히 이동시킨다. 따라서, 램프면의 외곽은 필요할 때 어태치먼트(30)가 베이스(22)로부터 쉽게 제거되게 한다.
도 6은 베이스(22)의 수용 슬롯(46)의 실시예를 더 자세히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수용 슬롯(46)은 삼각형 특징부(triangular feature, 60)가 수용 슬롯(46)의 개구 근처의 측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도록 언더컷을 포함한다. 특징부(60)는 식품 가공 시스템(20)의 작동이 시작될 때 슬롯(46)으로부터 맞물림 부재(4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맞물림 부재(40) 상의 대응하는 각이 진 면(angular surface)과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디텐트(62)는 대체로 하나 이상의 수용 슬롯(46)에 인접한 칼라(44)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디텐트(62)는 예를 들어 스프링과 같은 바이어싱 메커니즘(미도시)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고, 제1 위치와 제1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에서, 디텐트(62)는 수용 슬롯(46)에 의해 한정된 통로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44)의 상부면(64)에 가장 가까운 디텐트(62)의 일부(66)는 슬롯(46)의 하부(48)에 인접한 디텐트(62)의 일부(66)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수용 슬롯(46)의 폭이 맞물림 부재(40)의 폭과 동일하거나 아주 약간 크기 때문에, 맞물림 부재(40)는 어태치먼트(30)가 베이스(22)에 결합될 때 디텐트(62)의 상부(66)에 접촉하여 힘을 가한다. 맞물림 부재(40)에 의해 가해진 힘은 바이어싱 부재의 편향력과 대항하여, 디텐트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 디텐트(62)의 외곽으로 인해, 맞물림 부재(40)가 디텐트(62)의 상부(66)를 넘어서 수용 슬롯(46) 내에서 이동하면, 바이어싱 메커니즘은 디텐트(62)를 제1 정상 위치로 다시 편향시킨다. 맞물림 부재(40)가 슬롯(46)의 하부(47)에 대체로 인접할 때, 디텐트(62)의 상부(66)는 맞물림 부재(40) 위에 수직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디텐트(62)에 연결된 바이어싱 메커니즘의 편향력은 식품 가공 시스템(20)의 작동 중에 수용 슬롯(46) 내에서 맞물림 부재(4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디텐트(62)는 예를 들어 어태치먼트(30)가 베이스(22)에 대하여 제자리에 있음을 청각 또는 시각 신호를 통해 사용자에게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칼라(44)에 형성되는 수용 슬롯(46) 중 다른 하나는 모터 작동 어셈블리(70)의 일부이다. 어태치먼트(30)를 베이스(22)에 설치하는 것은 도 9에서 M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가 모터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회로를 완성시키는 모터 작동 어셈블리(70)의 스위치(72)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72)의 작동은 필요하지만, 모터(M)의 작동을 개시하기에 충분하지는 않다. 예를 들어, 모터 작동 어셈블리(70)가 작동할 때, 식품 가공 시스템(20)의 작동을 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28)의 버튼(29)을 누르는 추가 단계가 요구될 수 있다.
모터 작동 어셈블리(70)의 실시예는 도 9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모터 작동 어셈블리(70)는 수용 슬롯(76) 중 하나 내에 배치된 대체로 평면인 표면(76)을 갖는 플런저(plunger, 74)를 포함한다. 도 10의 비제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런저(74)의 평면 표면(76)은 식품 또는 액체가 모터 작동 어셈블리(70) 내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플런저 헤드(75)의 일부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 헤드(75)의 전방부(77)는 측벽(50)의 표면과 대체로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며, 전면부(77)와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된 플런저 헤드(75)의 후방부(79)는 측벽(50)의 배면과 정렬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부재(78)는 플런저(74)의 대향 측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플런저 시트(plunger seat, 80)에 형성된 대응하는 개구부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플런저 시트(80)를 통해 이동 가능한 작동 로드(actuating rod, 82)는 스위치(72)로부터 연장된 레버(84)에 대체로 인접하여 위치된다. 이 힘은 플런저(74)로부터 플런저 시트(80) 및 작동 로드(82)로 전달된다. 작동 로드(82)의 대응하는 이동은 결합된 바이어싱 메커니즘(86)의 편향력과 반대 방향으로 레버(84)에 힘을 가한다. 레버(84)의 하향 이동은 모터(M)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완성함으로써 모터 작동 어셈블리(70)를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베이스(22)에 대한 어태치먼트(30)의 수직 설치를 통해 생성되고, 보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부재(40)에 의해 모터 작동 어셈블리(70)에 가해진 힘은 스위치(72)를 작동시킨다. 모터 작동 어셈블리(70)를 작동시키기 위한 베이스(22)에 대한 어태치먼트(30)의 회전은 필요하지 않다.
어태치먼트(30)가 베이스(22)로부터 제거될 때, 맞물림 부재(40)에 의해 가해진 힘도 제거된다. 따라서, 바이어싱 메커니즘(86)은 레버(84)가 정상 위치로 다시 편향되도록 함으로써, 모터(M)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에서 브레이크를 형성할 것이다. 이러한 레버(84)의 이동은 작동 로드(82), 플런저 시트(80), 및 플런저(74)를 차례로 디폴트 위치(default position)로 다시 이동시킨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모터 작동 어셈블리(70)가 오직 예시로서 주어지며, 어태치먼트의 설치를 통해 발생된 수직력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작동되는 임의의 다른 모터 작동 어셈블리(70)가 본 명세서에서 고려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베이스(22)의 드라이브 커플러(driven coupler, 26)와 어태치먼트(30)의 드리븐 커플러(driven coupler, 38)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각진 티스(angled teeth, 90)를 포함한다. 도시된 비제한 실시예에 따르면, 드라이브 커플러(driven coupler, 26)는 제1 방향을 갖는 제1 복수의 각진 티스(90a)를 포함하며, 드리븐 커플러(driven coupler, 38)는 제2 방향을 갖는 제2 복수의 각진 티스(90b)를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방향은 일반적으로 제2 방향과 반대이다. 또한, 티스(90a, 90b)의 측벽은 수직에 대해 0~10도 사이의 각도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복수의 티스 및 제2 복수의 티스는 일반적으로 서로 상호보완적이며, 어태치먼트(30)가 베이스(22)에 결합할 때 교차반전 맞물림(intermeshing engagement)으로 배열된다. 맞물려진 티스(90a, 90b)의 각도는 베이스(22)에 대한 어태치먼트(30)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풀다운 힘(pull down force)을 생성한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 범퍼(dampening bumpers, 94)는 식품 가공 시스템(20)의 작동 중에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부착 장착 영역 (42)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L 형상의 범퍼(94)는 어태치먼트 장착 영역(42)의 하부면에 위치한다. 각각의 L 형상 범퍼(94)는 어태치먼트(30)의 일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쿠션을 포함한다. 쿠션의 재료는 유연성과 안정성 모두의 균형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범퍼(94)는 어태치먼트 장착 영역(42)의 측벽(50)에 장착되어 어태치먼트(30)의 측면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식품 가공 시스템(20)의 어태치먼트(30)는 수직 이동을 통해 베이스(22)에 쉽게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메커니즘이 시스템(20)의 작동 중에 어태치먼트(30)를 제자리에 유지시키지만, 필요한 경우 어태치먼트(30)를 쉽게 제거할 필요가 있다. 추가적인 댐핑 메커니즘(94)은 시스템(20)의 작동 중에 발생한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키므로, 전체적으로 더 매력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인 장치가 된다.
본 개시 내용이 단지 제한된 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지만, 본 개시 내용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쉽게 이해해야 한다. 오히려, 본 개시 내용은 임의의 수의 변형, 변경, 대체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지 않은 등가의 구성을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 있지만, 본 개시 내용의 사상 및 범위와 상응한다. 또한, 본 개시 내용의 다양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 내용의 양태는 설명된 실시예 중 일부만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20)

  1. 베이스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 시스템의 베이스로서,
    상기 베이스와 함께 배치되어 상기 어태치먼트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며, 상기 어태치먼트에 풀다운 힘(pull down force)을 가하기 위한 드라이브 커플러(drive coupler)를 포함하는 어태치먼트 장착 영역;
    상기 베이스와 함께 배치된 모터; 및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 영역과 상기 모터에 연결된 모터 작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 영역이 상기 어태치먼트를 수용할 때, 상기 모터는 상기 모터 작동 어셈블리에 가해진 수직력(vertical force)을 통해 작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 시스템의 베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작동 어셈블리가 작동할 때, 상기 모터는 자동으로 작동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 시스템의 베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상기 어태치먼트의 회전은 필요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 시스템의 베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어태치먼트에 연속적인 외력을 가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 시스템의 베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는 동안 상기 모터는 작동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 시스템의 베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슬롯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모터 작동 어셈블리의 일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 슬롯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 시스템의 베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작동 어셈블리는:
    상기 모터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스위치;
    플런저;
    작동 로드; 및
    상기 플런저와 상기 작동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플런저와 상기 작동 로드 사이의 이동을 전달하여 상기 스위치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플런저 시트;를 더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 시스템의 베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 영역에 위치한 디텐트(detent)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텐트는 상기 어태치먼트와 결합 상태로 편향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어태치먼트의 이동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 시스템의 베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는 상기 베이스의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어태치먼트의 측면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 시스템의 베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의 측면은 상기 디텐트를 수용하기 위한 홈(groove)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 시스템의 베이스.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슬롯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텐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 슬롯 내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 시스템의 베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는 소정의 각도로 연장된 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태치먼트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태치먼트가 상기 베이스에 결합할 때, 상기 디텐트의 상기 상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부재에 수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 시스템의 베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는 상기 어태치먼트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다는 표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 시스템의 베이스.
  14. 식품 가공 시스템으로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드라이브 커플러(drive coupler)를 포함하는 베이스; 및
    드리븐 커플러(driven coupler)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드라이브 커플러와 상기 드리븐 커플러 사이의 맞물림은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어태치먼트의 이동을 제한하는, 식품 가공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커플러와 상기 드리븐 커플러 사이의 맞물림은 상기 어태치먼트에 풀다운 힘을 가하는, 식품 가공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커플러는 제1 복수의 각진 티스(angled teeth)를 포함하며,
    상기 드리븐 커플러는 제2 복수의 각진 티스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커플러와 상기 드리븐 커플러가 맞물릴 때, 상기 제1 복수의 각진 티스와 상기 제2 복수의 각진 티스는 교합식 걸림 결합(intermeshing engagement)으로 배치되는, 식품 가공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각진 티스는 제1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복수의 각진 티스는 제2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형상은 상기 제1 형상과 반대인, 식품 가공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각진 티스와 상기 제2 복수의 각진 티스 중 적어도 하나는 수직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배치된 측벽을 포함하는, 식품 가공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약 0° 내지 10°인, 식품 가공 시스템.
KR1020197016624A 2016-11-24 2016-11-24 블렌더 인터록 KR1025141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107091 WO2018094646A1 (en) 2016-11-24 2016-11-24 Blender inter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489A true KR20190088489A (ko) 2019-07-26
KR102514197B1 KR102514197B1 (ko) 2023-03-24

Family

ID=62194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624A KR102514197B1 (ko) 2016-11-24 2016-11-24 블렌더 인터록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413589B2 (ko)
EP (1) EP3544475B1 (ko)
JP (1) JP7004719B2 (ko)
KR (1) KR102514197B1 (ko)
CN (1) CN110022736B (ko)
AU (1) AU2016430282A1 (ko)
CA (1) CA3044579C (ko)
WO (1) WO20180946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197B1 (ko) * 2016-11-24 2023-03-24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블렌더 인터록
CA185927S (en) * 2018-09-11 2020-06-04 Zwilling J A Henckels Ag Sports blender
FR3111059B1 (fr) * 2020-06-05 2022-07-22 Seb Sa Système de verrouillage d'un bol sur une base motorisée d’un robot culinaire
WO2022064179A1 (en) * 2020-09-22 2022-03-31 Kenwood Limited Food processor attachment mechanism
USD982971S1 (en) * 2020-10-22 2023-04-11 Sharkninja Operating Llc Blade holder
USD999020S1 (en) 2020-10-22 2023-09-19 Sharkninja Operating Llc Blender container
USD956471S1 (en) 2020-10-22 2022-07-05 Sharkninja Operating Llc Blender base
USD1020364S1 (en) * 2021-05-11 2024-04-02 Shenzhen Chenbei Technology Co., Ltd. Blender
USD988067S1 (en) 2022-12-12 2023-06-06 E. Mishan & Sons, Inc. Blend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7524A (ja) * 2003-05-19 2004-12-02 Zojirushi Corp 食材調製器
JP2011521698A (ja) * 2008-05-30 2011-07-2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台所用器具
US20150250360A1 (en) * 2014-03-07 2015-09-10 Euro-Pro Operating Llc Blender
JP2016531723A (ja) * 2013-10-07 2016-10-13 キャップブラン ホールディングス エルエルシーCapbran Holdings, Llc ミキサ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86632A1 (fr) * 1974-10-01 1976-04-30 Moulinex Sa Appareil electromenager a outil rotatif
JPH0641Y2 (ja) * 1987-09-08 1994-01-05 三洋電機株式会社 調理器
CN2428804Y (zh) * 1999-12-07 2001-05-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固持装置
FR2908620B1 (fr) 2006-11-21 2008-12-26 Seb Sa Appareil de preparation culinaire comportant des moyens particuliers d'immobilisation du recipient
FR2908619B1 (fr) 2006-11-21 2008-12-26 Seb Sa Appareil de preparation culinaire muni d'un dispositif de securite.
CN101209189B (zh) * 2006-12-26 2010-10-06 慈溪市西贝乐电器有限公司 食物搅拌机的安全保护装置
FR2957509B1 (fr) * 2010-03-22 2012-03-23 Seb Sa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comportant un boitier supportant un bol de travail recevant un outil de fragmentation
US9924838B2 (en) 2014-07-03 2018-03-27 Sharkninja Operations Llc Food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9527052B2 (en) 2014-12-05 2016-12-27 Whirlpool Corporation Blender jar collars and interlocks
KR102514197B1 (ko) * 2016-11-24 2023-03-24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블렌더 인터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7524A (ja) * 2003-05-19 2004-12-02 Zojirushi Corp 食材調製器
JP2011521698A (ja) * 2008-05-30 2011-07-2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台所用器具
JP2016531723A (ja) * 2013-10-07 2016-10-13 キャップブラン ホールディングス エルエルシーCapbran Holdings, Llc ミキサー
US20150250360A1 (en) * 2014-03-07 2015-09-10 Euro-Pro Operating Llc Ble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197B1 (ko) 2023-03-24
JP2019535432A (ja) 2019-12-12
US11413589B2 (en) 2022-08-16
US20200078749A1 (en) 2020-03-12
AU2016430282A1 (en) 2019-05-30
JP7004719B2 (ja) 2022-01-21
CN110022736B (zh) 2022-08-26
EP3544475B1 (en) 2024-05-01
WO2018094646A1 (en) 2018-05-31
CA3044579A1 (en) 2018-05-31
CA3044579C (en) 2023-10-10
EP3544475A4 (en) 2020-06-03
EP3544475A1 (en) 2019-10-02
CN110022736A (zh) 201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8489A (ko) 블렌더 인터록
US5353697A (en) Electrical appliance for the treatment of food products, with improved safety device
US11241119B2 (en) Container for food processing system
IL271455A (en) Mixes with safety mechanisms
EP2887848B1 (en) Safety system for household food-processing device
JP2011056269A (ja) 加工装置及びその組立て方法
US20120175444A1 (en) Method for operating a food processor
WO2017205471A1 (en) Oscillating blade for food processor system
CA3051690A1 (en) Food processor lid
CN213850242U (zh) 一种食品加工机
JP5522838B2 (ja) 電動調理器
JP2006325920A (ja) ハンディ式ブレンダー
EP3007812B1 (en) Processing machine, such as a kneading or mixing machine
JP2006325919A (ja) ハンディ式ブレンダー
EP3427619A1 (en) Tool detaching means for kitchen appliances
CN204133307U (zh) 烹饪制备设备
CN215272263U (zh) 料理机
CN118055720A (zh) 厨房器具
CN114794917B (zh) 一种食品加工机
EP4183299A1 (en) A kitchen appliance
KR101623904B1 (ko) 믹서기
EP3517001A1 (en) Kitchen appliance comprising a container with a coupling system
KR20150003966U (ko) 캡슐 아이스크림 추출기
GB2105807A (en) Safety device
CN110037580A (zh) 食品处理系统和相关处理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