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201A - 전립선 비대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전립선 비대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201A
KR20190088201A KR1020180006423A KR20180006423A KR20190088201A KR 20190088201 A KR20190088201 A KR 20190088201A KR 1020180006423 A KR1020180006423 A KR 1020180006423A KR 20180006423 A KR20180006423 A KR 20180006423A KR 20190088201 A KR20190088201 A KR 20190088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resent
prostate
broil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9412B1 (ko
Inventor
양웅모
엄재영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6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412B1/ko
Publication of KR20190088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계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립선 비대증에서, 전립선 조직이 커지는 것을 억제하고, 5α-리덕타아제의 발현을 억제하므로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치료 및 개선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립선 비대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본 발명은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전립선은 남성에서 요도가 시작되는 주위를 둘러싸고 있고, 방광의 아래에 있는 점액성 물질을 생성하는 호두모양의 기관이다. 전립선의 유일한 기능은 번식을 위하여, 정자를 보호하고 활발하게 하는 정액을 생성하는 것이다. 전립선은 나이가 들면서 자라고 커지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대부분의 포유동물들은 방광으로부터 소변을 배출하는 통로인 요도가 전립선을 통과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전립선의 해부학적 특성으로 인해 남성에게는 나이가 들어갈수록 소변 배출과 관련된 문제가 종종 초래될 수 있으며, 전립선 관련 질환을 포함한 각종 질환이 유발되기도 한다.
전립선 비대증은 과거에는 전립선이 비대해져 방광 하부의 소변이 나오는 통로를 막아 요도 폐색을 일으켜 소변의 흐름이 감소된 상태로 정의하였고, 조직학적으로는 전립선 간질이나 전립선의 상피조직 세포가 증식된 것으로 정의되었으나, 최근에는 이와 같은 정의나 개념으로 설명하기에는 질병의 병태 생리가 너무 복잡하여, 현재 '50세 이상의 남성에서 하루 8회 이상 소변을 보는 빈뇨, 야간 빈뇨, 강하고 갑작스런 요의(오줌이 마려운 느낌)를 느끼면서 소변이 마려우면 참을 수 없는 절박뇨, 절박요실금, 야간 빈뇨, 배뇨통 등의 방광 저장 장애 증상과 지연뇨(소변을 볼 때 뜸을 들여야 소변이 나오는 현상), 단절뇨(소변의 흐름이 끊기는 현상), 복압배뇨(배뇨 시 힘을 주어야 하는 현상), 요선약화, 배뇨감, 요폐 등의 방광의 배출 장애 증상을 통칭한 하부 요로증상(Lower Urinary Tract Symptoms, LUTS)을 나타내는 것을 전립선 비대증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립선 비대증의 큰 원인 중 하나는 전립선 평활근 또는 요도 평활근의 수축과 이완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며, 가장 큰 유발인자로는 연령증가와 남성호르몬의 존재이다. 그 외에 인종과 환경, 식생활, 유전적 요인들도 발병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30에서 40대에 시작하여 대개 60세 이후에 증상이 나타나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현미경적 비대전립선의 50% 이상이 촉지 가능한 비대전립선으로 발전한다(Prostate 1996 (suppl. 6) 67-73).
전립선 비대증의 진단은 직장 내 전립선 촉진 등에 의해 이루어지며, 방광출구폐색 및 방광자극증상 정도를 요류 역학이나 초음파를 통해 정밀검사를 참고로 하며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치료방법을 선택한다.
현재 전립선 비대증의 치료제로 알파-교감신경 차단제와 5α-리덕타아제 억제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알파-교감신경 차단제로는 알푸조신(alfuzosin), 테라조신(terazosin), 독사조신(doxazosin), 프라조신(prazosin), 탐술로신(tamsulosin), 실로도신(silodosin) 등이 대표적이며, 이는 전립선 조직 내의 평활근의 긴장도를 감소시켜 폐색증상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알파-교감신경 차단제는 요도를 직접적으로 확장시켜 배뇨장애를 해결하므로 투약 중단시 원점으로 돌아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립성 저혈압을 일으키고 역행사정의 부작용으로 인해 전립선 비대증과 발기부전을 동반한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제가 아니다. 또한, 중증 간기능과 신기능 장애 환자에게 신중한 투여가 고려된다.
반면,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와 같은 5α-리덕타아제 억제제는 전립선을 비후시키는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을 차단시켜 전립선 조직의 분화를 감소시키고, 그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서 장기적으로 요속을 증가시키고 배뇨장애증상을 완화시킨다. 그러나 최소 6개월 이상 장기 복용하여야 약효가 발현되며 발기부전, 성욕감소, 사정장애 및 여성형 유방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 전립선 비대증에 따른 방광기능을 개선하고자 항콜린제가 사용되기도 하나 그 효과 또한 제한적이고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항상 존재하고 있어 이를 개선할 약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육계(Cinnamomi Cortex)는 녹나무과(Lauraceae)에 속하는 육계나무(Cinnamomum cassia) 또는 그밖의 동속 근연식물의 줄기껍질로, 주피를 다소 제거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육계는 통 모양 또는 말려 들어간 통 모양이고, 길이 5 cm 내지 50 cm, 지름 1.5 cm 내지 5 cm, 두께 0.1 cm 내지 0.5 cm이다. 바깥 면은 어두운 적갈색, 안쪽 면은 적갈색을 띠며 매끈하다. 꺾이기 쉬우며 꺾인 면은 적갈색을 띠고 연한 갈색의 얇은 층이 있으며 약간 섬유성이다.
황기(Astragali Radix)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또는 그밖의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 부위를 지칭하며, 주피를 벗겨 사용할 때가 많다. 황기는 가늘고 긴 원주형을 이루고 길이 30 cm 내지 100 cm, 지름 7 mm 내지 20 mm 이며, 드문드문 작은 가지뿌리가 붙어있으나 분지되는 일은 없고 근두부 가까이에서는 약간 꼬여지고 줄기의 잔기가 남아있다. 바깥면은 엷은 회황색-엷은 황갈색이며 회갈색의 코르크층이 군데군데 남아 있고 불규칙한 거친 세로의 주룸과 가로로 피목같은 모양이 보인다. 질은 치밀하고 꺾기 힘들며 꺾은 면은 섬유성이다.
Prostate 1996 (suppl. 6) 67-73
본 발명의 목적은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육계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육계(Cinnamomi Cortex)는 Cinnamomum cassia 또는 그밖의 동속 근연식물의 줄기껍질을 의미한다. 상기 Cinnamomum cassia 또는 그밖의 동속 근연식물은 구체적으로, Cinnamomum cassia, Cinnamomum loureiroi, Cinnamomum verum, Cinnamomum burmannii, Cinnamomum wilsonii, Cinnamomum chingii, Cinnamomum japonicum, Cinnamomum zeylanicum, Cinnamomum obtusifolimCinnamomum sieboldii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육계는 Cinnamomum verum의 줄기껍질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황기(Astragali Radix)는 Astragalus membranaceus 또는 그밖의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를 의미한다. 상기 Astragalus membranaceus 또는 그밖의 동속 근연식물은 구체적으로, Astragalus mongholicus, Astragalus uliginosusAstragalus membranaceus var. mongholicus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황기는 Astragalus membranaceus의 뿌리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육계 및 황기는 자연 상태 그대로인 것뿐만 아니라, 반건조, 건조 등의 가공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extract)은 천연물을 추출 처리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분획물, 상기 추출액 또는 분획물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희석액, 농축액, 건조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육계 및 황기로부터 형성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이 분야에 공지된 일반적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초음파 추출법(sonication extraction), 초임계 추출법(supercritical extraction), 감압 추출법(vacumn extraction), 환류 추출법(reflux extraction), 열수 추출법(hot-water extraction), 고온 가압 추출법(autoclave extraction), 초고압 추출법(high-pressure extraction), 효소 추출법(enzyme extraction), 또는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액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물은 예를 들어, 증류수, 정제수, 무균수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기용매는 예를 들어,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및 디클로로메탄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가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가 알코올의 농도는 10 % 내지 90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 내지 70 % 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25 % 내지 50 %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육계 추출물은 증류수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황기 추출물은 증류수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수득된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분획물은 추출액을 분획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분획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는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획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용매의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각 용매의 분획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제물은 추출액 또는 분획물에 추가의 정제 과정을 더 수행하여 수득된 결과물을 의미한다. 상기 정제는 이 분야에 공지된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여과,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가 제거되거나,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여과는 예를 들어, 여과지 또는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농축은 예를 들어, 감압 농축기 또는 회전 증발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예를 들어, 분무건조법 또는 동결건조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사용 시까지 급속 냉동 냉장고(deep freezer)에 보관할 수 있고, 농축 및 동결건조를 통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킬 수 있으며,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킨 추출물은 분말형태로 사용하거나 상기 분말을 증류수 또는 통상의 용매에 녹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육계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은 육계와 황기를 각각 별도로 추출한 후 혼합한 것, 또는 육계와 황기를 추출 전 혼합하여 추출한 것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육계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은 육계와 황기를 각각 별도로 추출한 후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육계 및 황기 복합 추출물"은 육계와 황기를 각각 별도로 추출한 후 혼합한 것, 또는 육계와 황기를 추출 전 혼합하여 추출한 것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육계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의 함량비는 1 : 0.5 내지 1 : 100, 바람직하게는 1 : 1 내지 1 : 1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육계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의 함량비는 1 : 4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립선 비대증은 전립선이 비정상적으로 커지면서 요도를 압박해 소변을 보기 힘들게 만드는 질환을 의미한다. 주로 전립선의 크기가 커져 하부요로 증상이 동반될 때 전립선 비대증으로 진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전립선 비대증은 구체적으로 전립선 비후, 요도 폐쇄, 배뇨곤란, 다뇨, 야뇨, 요실금, 배뇨통, 지연뇨, 단절뇨, 복압배뇨, 요선약화, 잔뇨감, 요폐 또는 이들의 혼합된 증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육계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전립선 비대증에서, 전립선 조직이 커지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육계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전립선 비대증에서 5α-리덕타아제의 발현을 억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예방"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전립선 비대증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증상의 발생 또는 발병이 억제되거나 지연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반드시 전립선 비대증의 완전한 발병 억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치료"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전립선 비대증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증상을 나타내고 있거나, 이전에 나타냈던 개체의 증상이 억제되거나, 감소되거나 또는 호전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상기 개체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본 발명에서,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예를 들어,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말토 덱스트린,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담체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예를 들어, 충전제, 결합제, 붕해제, 윤활제, 현탁화제, 용제, 산화방지제, pH 조절제, 습윤제, 감미제 및 보존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첨가제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적합하고 다양한 제형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경구 투여용 제형은 예를 들어, 정제, 환제, 분말, 산제, 과립, 펠렛, 캡슐, 트로키(troches), 로젠지(lozenge),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엘릭시르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비경구 투여용 제형은 예를 들어, 주사제, 좌제, 호흡기 흡입제, 에어로졸제, 연고, 도포용 분말, 오일, 크림, 겔 및 샴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목적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경구 투여는 예를 들어, 복강 투여, 직장 투여, 피하 투여, 정맥 투여, 근육 투여, 흉부 투여 및 경피 투여를 들 수 있고, 조성물을 질환 부위에 도포하거나 분무, 흡입하는 것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한 양의 수준은 환자의 상태, 체중, 성별, 연령, 건강상태, 질병의 정도,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육계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의 함량을 기준으로 1일 0.1 mg/kg 내지 1,000 mg/kg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100 mg/kg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투여량의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으며, 수일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다른 예방 또는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다른 예방 또는 치료제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수술,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육계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서, 육계, 황기, 추출물, 유효성분 및 전립선 비대증은 앞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상세하게 기재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육계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전립선 비대증에서, 전립선 조직이 커지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육계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전립선 비대증에서 5α-리덕타아제의 발현을 억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예방"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섭취에 의해 전립선 비대증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증상의 발생 또는 발병이 억제되거나 지연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반드시 전립선 비대증의 완전한 발병 억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개선"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섭취에 의해 전립선 비대증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증상의 정도가 감소되거나 호전되거나 진행이 지연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육계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육계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유효성분의 함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육계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은 식품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0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품 조성물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 드링크제, 건강기능식품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경우에 따라, 기능성식품, 건강식품 또는 건강보조식품 등의 용어와 호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능"이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인 작용으로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식품의 냄새, 맛 또는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품 첨가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첨가제는 예를 들어, 풍미제, 증진제, 탄산화제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디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 부틸히드록시톨루엔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및 개량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vitamin),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음료 또는 드링크제인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는 예를 들어,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폴리사카라이드와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릴톨 등의 당알콜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합성 또는 천연 풍미제, 착색제, 증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육계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전립선 비대증에서 전립선 조직이 커지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육계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전립선 비대증에서 5α-리덕타아제의 발현을 억제한다. 따라서 육계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은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정상대조군(NC), 음성대조군(BPH) 및 실험군(Sample group)의 전립선 조직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정상대조군(NC), 음성대조군(BPH) 및 실험군(Sample group)의 체중(body weight)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정상대조군(NC), 음성대조군(BPH) 및 실험군(Sample group)의 전립선 조직 무게(prostate tissue weight)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서 정상대조군(NC), 음성대조군(BPH) 및 실험군(Sample group)의 Prostate index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2에서 정상대조군(NC), 음성대조군(BPH) 및 실험군(Sample group)의 조직을 염색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3에서 정상대조군(NC), 음성대조군(BPH) 및 실험군(Sample group)의 5α-리덕타아제 발현 정도를 웨스턴 블롯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 및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인 제조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제조예 1: 육계 추출물의 제조
육계(500 g)에 3차 증류수(3.75 L)를 가하여 100 ℃에서 2시간 열수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55 ± 2 ℃에서 회전 감압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 EYELA, Tokyo, Japan)로 감압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20.1 g 파우더 상태의 육계 열수 추출물(수율: 4%)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황기 추출물의 제조
황기는 정도 생약국(Seoul, Korea)에서 건조된 뿌리 형태로 구입한 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융합한의과학교실에서 형태학적 및 화학적으로 동정하여 사용하였다. 황기(150 g)에 증류수(1.5 L)을 가하여 100 ℃에서 2시간 열수추출 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55 ± 2 ℃에서 회전 감압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 EYELA, Tokyo, Japan)로 감압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24.3 g 파우더 상태의 황기 열수 추출물(수율: 16.2%)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3: 육계 및 황기 복합 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육계 추출물 및 제조예 2에서 수득한 황기 추출물을 1 : 4 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육계 및 황기 복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육계 및 황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전립선 비대증 예방, 치료 및 개선 효과 확인
실험 동물
실시예 1 내지 3에서 실험동물은 체중 20 g 내외의 암컷 7주령의 C57BL/6J 정상 생쥐를 이용하였다. 모든 생쥐는 대한바이오링크(충북, 음성)로부터 구매하여 일주일 동안의 적응기를 통해 본 실험에 사용되었다. 전 실험 기간 동안 모든 생쥐들은 표준화된 고형사료와 물을 공급받았으며, 사육실의 온도는 23 ± 2 ℃, 습도 50 ± 10%, 광주기와 암주기(light-dark cycle)는 12시간-12시간으로 유지되었다.
실험 모델 유발 및 약물 처리
각 군의 생쥐(n = 6)는 정상대조군(NC, normal control group), 전립선 비대증이 유도된 음성대조군(BPH, negative control group), 전립선 비대증이 유도된 생쥐에 제조예 3의 복합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sample group)으로 나뉘어졌다. 전립선 비대증 유발을 위해 14일간 에탄올과 옥수수 오일에 희석한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온산을 5 mg/kg/day의 농도로 피하주사 하였다. 정상대조군과 음성대조군에는 비히클(증류수)을 처리하였으며, 제조예 3의 복합 추출물은 10 mg/kg의 양으로 처리하였고, 증류수에 녹여 100 μL씩 피하주사 하였다. 매일 1회씩 총 14일간 반복하였으며, 15일 째 되는 날 실험 목적에 따라 생쥐를 희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병변 부위의 전립선 조직을 적출하였다. 적출된 전립선 조직을 이하의 실시예 1 내지 3에 사용하였다.
통계처리
실시예 1 내지 3에서 실험 결과는 평균 ± 표준오차(mean ± S.E.M) 값으로 표시하였으며, 집단 간 평균치 차이는 각 실험 결과를 통하여 ANOVA (analysis of variance)를 구한 후 던칸 다중 범위 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이용하여 p < 0.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실시예 1: 전립선 조직 관찰
육계 및 황기 복합 추출물의 전립선 비대증 개선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희생시킨 생쥐를 개복, 전립선 조직을 적출하여 조직의 육안적 크기를 정상대조군 및 음성대조군과 비교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그 후 각 군의 마우스의 체중, 전립선 조직의 무게를 측정하고, 전립선 조직 무게(mg)를 마우스의 체중(g)으로 나누어 Prostae index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 내지 4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계 및 황기 복합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음성대조군 대비 전립선 조직의 비대 정도가 적은 것을 육안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립선 조직의 무게는 음성대조군이 가장 무거웠고, 육계 및 황기 복합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의 경우 음성대조군 대비 전립선 조직 무게가 더 적었으며, Prostate index 계산 결과로도 육계 및 황기 복합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의 수치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육계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치료 및 개선용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2: 조직학적 평가
적출한 전립선 조직을 24시간 동안 4% 포르말린에 고정한 후, 조직의 탈수를 위해 순서대로 저농도의 70% 에탄올부터 80% 에탄올, 90% 에탄올, 95% 에탄올 및 고농도 100% 알코올까지 탈수하고, 자일렌에 투명과정을 거친 다음 파라핀 블록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블록은 4 μm 두께로 박절하여 탈파라핀 및 100% 에탄올에서 70% 에탄올을 거쳐 함수시켰다. 증류수에 수세시킨 조직 슬라이드를 헤마토실린(hematoxylin) & 에오신(eosin) (H&E)으로 각각 염색하여 퍼마운트(permount)로 봉입하였다. 염색된 조직은 광학현미경(Leica Microsystems Inc., IL, USA)에서 × 200 배율로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대조군에서는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온산 주입에 의해 전립선에서 상피조직의 두께 비후화 및 내강면적의 감소가 관찰된 반면, 육계 및 황기 복합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비후화된 전립선조직의 상피두께가 감소하고 내강면적이 넓어진 것으로 보아 전립선 비대증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육계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치료 및 개선용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3: 5α-리덕타아제 억제 확인 (웨스턴 블롯)
적출된 전립선 조직의 단백질을 추출하기 위하여 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protease inhibitors cocktail)이 포함된 단백질 추출 버퍼(protein extraction buffer) (50 mM Tris-HCl, 150 mM NaCl, 1% 트리톤 X-100, 1% 디옥시콜산 나트륨, 0.1% 도데실 황산 나트륨(SDS), 2 mM 에틸렌디아민테트라 아세트산(EDTA))를 넣어 분쇄하였다. 얻어진 단백질은 브래드포드(bradford) 법을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정량된 단백질 30 μg을 SDS 12% 폴리아크릴아미드 젤(polyacrylamide gel)에 전기영동하여 분리한 후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PVDF) 멤브레인으로 이동시켰다. 1차 항체를 반응시킨 후, 호스래디시 퍼옥시다아제(HRP) goat anti-rabbit을 처리하여 2차 반응을 유도시켰다. 발현된 단백질 밴드는 강화된 화학발광 분석 키트(enhanced chemiluminescence assay kit)를 이용하여 LAS 이미지 게이지(LAS Image Gauge) 프로그램에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대조군의 경우 5α-리덕타아제의 발현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육계 및 황기 복합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의 경우 5α-리덕타아제의 발현 증가가 크게 완화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육계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치료 및 개선용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육계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육계는 Cinnamomum verum으로부터 수득한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황기는 Astragalus membranaceus로부터 수득한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육계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의 함량비가 1 : 1 내지 1: 10인 약제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는 전립선 비후, 요도 폐쇄, 배뇨곤란, 다뇨, 야뇨, 요실금, 배뇨통, 지연뇨, 단절뇨, 복압배뇨, 요선약화, 잔뇨감, 요폐 또는 이들의 혼합된 증상에서 선택된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인 약제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가 5α-리덕타아제의 발현 억제에 의한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8. 육계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80006423A 2018-01-18 2018-01-18 전립선 비대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29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423A KR102129412B1 (ko) 2018-01-18 2018-01-18 전립선 비대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423A KR102129412B1 (ko) 2018-01-18 2018-01-18 전립선 비대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201A true KR20190088201A (ko) 2019-07-26
KR102129412B1 KR102129412B1 (ko) 2020-07-02

Family

ID=67469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423A KR102129412B1 (ko) 2018-01-18 2018-01-18 전립선 비대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41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6508A (ja) * 2004-12-21 2006-07-06 Golden Biotechnology Corp 前立腺がん細胞の成長を抑制する組成物及びその配合方法
CN102240344A (zh) * 2011-07-04 2011-11-16 辅仁药业集团有限公司 一种治疗脑缺血的芪草胶囊
KR20120020579A (ko) * 2010-08-30 2012-03-08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육계를 포함하는 전립선암 치료용 조성물
JP2017039689A (ja) * 2015-08-18 2017-02-23 ゴールデン バイオ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良性前立腺肥大症のアドオン治療
KR20170083316A (ko) * 2016-01-08 2017-07-18 정선아라리한과농원 영농조합법인 황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청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137571A (zh) * 2017-04-05 2017-09-08 吴忠市仁爱医院有限公司 一种治疗前列腺炎及前列腺肥大的中药组合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6508A (ja) * 2004-12-21 2006-07-06 Golden Biotechnology Corp 前立腺がん細胞の成長を抑制する組成物及びその配合方法
KR20120020579A (ko) * 2010-08-30 2012-03-08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육계를 포함하는 전립선암 치료용 조성물
CN102240344A (zh) * 2011-07-04 2011-11-16 辅仁药业集团有限公司 一种治疗脑缺血的芪草胶囊
JP2017039689A (ja) * 2015-08-18 2017-02-23 ゴールデン バイオ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良性前立腺肥大症のアドオン治療
KR20170083316A (ko) * 2016-01-08 2017-07-18 정선아라리한과농원 영농조합법인 황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청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137571A (zh) * 2017-04-05 2017-09-08 吴忠市仁爱医院有限公司 一种治疗前列腺炎及前列腺肥大的中药组合物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innamomi Cortex (Cinnamomum verum) Suppresses Testosterone-induced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y Regulating 5α-reductase, Scientific Reports, 6:31906(2016.08.23.) 1부.* *
Prostate 1996 (suppl. 6) 67-73
SCIENTIFIC REPORTS. 201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412B1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7235B1 (ko)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3064209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liver disease or insulin resistance comprising ginsenoside f2
JP5940347B2 (ja) 過活動膀胱の予防又は改善剤
KR101662719B1 (ko) 지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130668B2 (en) Composition comprising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 or compound derived therefrom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JP2001342142A (ja) 泌尿器系疾患予防治療用組成物
EP2992933B1 (en) Ginsenoside f2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liver disease
CN116832081A (zh) 包含天然混合物提取物作为活性成分的预防或治疗糖尿病并发症和血管性水肿的药物组合物
KR20210052377A (ko) 캠퍼롤 및 에티카테킨 갈레이드를 포함하는 홍경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49967B1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TWI533877B (zh) 台灣山蘇萃取物
KR20190088201A (ko) 전립선 비대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2078258A (ja) エンドセリン変換酵素阻害剤
KR102551879B1 (ko)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40068A (ko) 한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506493B1 (ko) 민물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부종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56622B1 (ko) 인삼, 감초 및 작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Gupta et al. In vitro and in vivo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of Rheum nobile Hook. f. & Thomson rhizomes
KR102380248B1 (ko) 육계 및 금앵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464897B1 (ko) 전립선 비대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WO2021261341A1 (ja) 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5活性阻害または勃起機能改善用組成物
US20220323526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angelica gigas, aconitum carmichaeli debeaux, and zingiber officinale roscoe mixed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20230172783A (ko) 아이소임페라토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30040326A (ko) 복합 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
KR20230084386A (ko) Dld 발현 조절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