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756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756A
KR20190087756A KR1020180005932A KR20180005932A KR20190087756A KR 20190087756 A KR20190087756 A KR 20190087756A KR 1020180005932 A KR1020180005932 A KR 1020180005932A KR 20180005932 A KR20180005932 A KR 20180005932A KR 20190087756 A KR20190087756 A KR 20190087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air
outlet
discharg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1649B1 (ko
Inventor
김기준
김대동
윤세웅
이창헌
전민구
조상기
김도훈
이종문
황준
장근정
김정원
나세주
이부연
조형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5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649B1/ko
Priority to PCT/KR2018/013530 priority patent/WO2019143009A1/en
Priority to CN201880086927.8A priority patent/CN111615607B/zh
Priority to EP23196478.4A priority patent/EP4265975A3/en
Priority to EP18901404.6A priority patent/EP3721143A4/en
Priority to US16/192,466 priority patent/US11067298B2/en
Publication of KR20190087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756A/ko
Priority to KR1020230057823A priority patent/KR20230065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perforated walls, ceilings or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3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characterised by a split arrangement, wherein parts of the air-conditioning system, e.g. evaporator and condenser, are in separately located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이중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냉방 또는 난방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홀을 가지는 토출 플레이트와, 아웃렛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플레이트 또는 상기 아웃렛으로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어 상기 아웃렛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가이드 위치와, 상기 아웃렛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를 회전 이동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복수의 블레이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아웃렛의 크기와 대응되는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1블레이드와 이격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상기 토출 플레이트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제2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토출방법을 달리하고, 토출되는 기류의 제어 능력이 향상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포 등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로써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송풍팬 등이 구비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캐비닛에 함께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패널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실내의 공기를 패널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한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열교환기를 최소화하고, 송풍팬의 RPM을 올려 풍속 및 풍량을 최대화하는 형태로 제작되었다. 이에 따라 토출 온도가 낮아지고, 토출 공기는 좁고 긴 유로를 형성하여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었다.
사용자가 토출 공기에 직접 닿는 경우, 추위와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반면에 토출 공기에 접하지 않는 경우 더위 및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빠른 풍속의 구현을 위해 송풍팬의 RPM을 높이면 소음이 증가할 수 있다. 송풍팬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조화시키는 복사 공기조화기의 경우에는 송풍팬을 사용하는 공기조화기와 동일한 능력을 내기 위해서는 큰 패널을 필요로 한다. 또한, 냉방속도 또한 매우 느리고, 시공비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양한 공기 토출 방법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의 제어 능력이 향상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냉방 또는 난방 기류가 열교환기로 재유입되어 냉방 또는 난방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홀을 가지는 토출 플레이트와, 아웃렛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플레이트 또는 상기 아웃렛으로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어 상기 아웃렛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가이드 위치와, 상기 아웃렛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를 회전 이동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복수의 제1블레이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아웃렛의 크기와 대응되는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1블레이드와 이격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상기 토출 플레이트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제2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블레이드와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와 함께 상기 가이드 위치 또는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를 연결하는 연결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블레이드는, 상기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제2블레이드와 함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보다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커지도록 상기 유입구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2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은 상기 연결 블레이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가이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 중 상기 블레이드 홀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블레이드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회전축은 상기 아웃렛의 후단보다 상기 아웃렛의 전단과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매달리거나 매립되도록 마련되며, 흡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송풍팬과,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고, 복수의 블레이드 홀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홀을 통해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제1블레이드와 이격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가 상기 토출구를 개방할 때, 상기 블레이드 홀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감소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블레이드가 상기 토출구를 개방할 때, 상기 흡입구에 가까운 상기 블레이드의 일 측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제1개구와, 상기 제1블레이드가 상기 토출구를 개방할 때, 상기 블레이드의 일 측과 반대되는 타 측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제2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1개구와 상기로 제2개구로 가이드하여 상기 제1개구 및 상기 제2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증가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흡입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블레이드가 상기 토출구를 폐쇄할 때, 상기 블레이드 홀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블레이드가 상기 토출구를 개방할 때,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가이드부로 공기를 가이드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블레이드 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흡입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1블레이드가 상기 토출구를 개방할 때, 상기 제1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속력은 상기 블레이드 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속력보다 빠를 수 있다.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2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개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늘리도록 상기 제1블레이드의 일 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블레이드와 일체로 마련되어 함께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사용 환경에 따라 열교환된 공기의 기류를 달리하여 송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열교환된 공기의 풍속을 달리하여 토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열교환된 공기가 열교환기로 재유입되어 냉방 또는 난방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플레이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최소풍량 모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토출 플레이트 및 블레이드 홀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 비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직진풍 모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하향풍 모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최소풍량 모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직진풍 모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직진풍 모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공기조화기를 이루는 냉동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져 있다. 냉매는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고, 고온의 공기가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 후 저온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압축기는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며, 배출된 냉매가스는 응축기로 유입된다. 응축기는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고, 응축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팽창밸브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킨다. 증발기는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킨다. 증발기는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피 냉각 물체와 열교환에 의하여 냉동효과를 달성하고, 저온저압 상의 냉매가스를 압축기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사이클을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냉동사이클 중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로 이루어진 부분을 말한다. 팽창밸브는 실내기나 실외기 중 어느 한 곳에 있을 수 있고, 실내 열교환기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다.
실내공간을 냉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로서,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로서 역할을 한다.
실내공간을 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실외 열교환기는 증발기로서, 실내 열교환기는 응축기로서 역할을 한다.
이하, 편의상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내기를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 열교환기를 열교환기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플레이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공기조화기(1)는 인렛(11)과, 아웃렛(14)을 갖는 하우징(10, 20)과, 하우징(10, 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40)와, 하우징(10, 20)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예를 드는 공기조화기(1)는 벽면에 설치되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1)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10, 20)은 공기조화기(1)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 20)은 복수의 홀(13)을 갖는 토출 플레이트(12)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플레이트(12)는 하우징(10, 2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홀(13)은 아웃렛(14)과는 구별될 수 있다. 복수의 홀(13)은 도 3과 같이, 토출 플레이트(12)의 특정 영역에 분포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토출 플레이트(12)의 전(全) 영역에 분포될 수도 있다. 복수의 홀(13)과, 이후에 설명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홀(111) 등으로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서, 하우징(10, 20)의 외부로 공기를 저속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직접풍을 맞지 않되, 공기조화의 목적을 이룰 수 있어서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우징(10, 20)은 하우징(10, 2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10)과, 제1하우징(10)의 후면을 커버하는 제2하우징(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10)은 공기가 흡입되는 인렛(11)과, 공기가 토출되는 아웃렛(14)을 포함할 수 있다. 인렛(11)은 제1하우징(10)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아웃렛(14)은 제1하우징(10)의 하면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가 벽에 설치되는 경우, 제2하우징(20)은 벽과 마주보게 되므로 인렛(11) 또는 아웃렛(14)은 제1하우징(1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인렛(11)이 제1하우징(10)의 하면에 마련되고, 아웃렛(14)이 제1하우징(10)의 상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제1하우징(10)의 전면에는 토출 플레이트(12)가 결합될 수 있다. 토출 플레이트(12)는 제1하우징(1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홀(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토출 플레이트(12)는 제1하우징(10)과 함께 이후에 설명하는 제2유로(72)를 형성할 수 있다.
제2하우징(20)은 제1하우징(10)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2하우징(20)의 일 측에는 송풍팬을 구동하는 팬 모터와 공기조화기(1)의 기타 다른 구성을 동작시킬 수 있는 회로기판 등이 포함되는 작동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20)은 후에 설명하는 제1유로(71)를 형성하는 제1유로가이드(21)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아웃렛(14)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블레이드(10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100)는 하우징(10, 2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100)는 블레이드의 회전축(10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의 회전축(101)은 하우징(10, 20)의 내면에 위치할 수 있다.
블레이드(100)는 복수의 블레이드 홀(111)을 포함하는 제1블레이드(110)와, 제1블레이드(110) 보다 작게 마련되고, 제1블레이드(110)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블레이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블레이드(110)는 아웃렛(14)과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블레이드(110)는 아웃렛(14)을 폐쇄할 수 있다. 이 때, 제1블레이드(110)의 블레이드 홀(111)을 통해, 공기가 하우징(10, 2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2블레이드(120)는 제1블레이드(110)와 달리, 블레이드 홀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2블레이드(120)는 제1블레이드(110)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고,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블레이드(120)는 3개가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블레이드(100)는 아웃렛(14)을 폐쇄하여 제1블레이드(110)의 블레이드 홀(111) 및 토출 플레이트(12)의 복수의 홀(13)을 통해 하우징(10, 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제1위치(도 5)와, 아웃렛(14)을 개방하며 송풍팬(30)으로부터 아웃렛(14)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아웃렛(14)의 전방으로 가이드하는 제2위치(도 6)와, 아웃렛(14)을 개방하며 송풍팬(30)으로부터 아웃렛(14)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아웃렛(14)의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제3위치(도 7)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제1위치(도 5)에서 공기조화기(1)가 동작할 때, 공기조화기(1)가 최소풍량 모드로 동작한다고 정의한다. 또한, 상기 제2위치(도 6)에서 공기조화기(1)가 동작할 때, 공기조화기(1)가 직진풍 모드로 동작한다고 정의하고, 상기 제3위치(도 7)에서 공기조화기(1)가 동작할 때, 공기조화기(1)가 하향풍 모드로 동작한다고 정의한다.
공기조화기(1)는 블레이드(100)가 제1위치(도 5)와 제2위치(도 6) 및 제3위치(도 7) 사이를 이동함으로서, 송풍팬(30)으로부터 토출 플레이트(12)에 형성된 복수의 홀(13)과 블레이드 홀(111)을 통해 공기를 토출하거나, 아웃렛(14)으로 직접 공기를 토출시키록 제어할 수 있다.
송풍팬(30)은 하우징(10, 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30)은 하우징(10, 2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길이 방향을 가지는 크로스 플로우 팬일 수 있다. 송풍팬(30)은 인렛(11)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아웃렛(14)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열교환기(40)는 송풍팬(30)의 전방과 상방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40)는 송풍팬(3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인렛(11)과 송풍팬(3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인렛(11)으로 흡입된 후, 열교환기와 열교환 한 후, 아웃렛(14) 또는 블레이드 홀(111) 및 토출 플레이트(12)를 거쳐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열교환기(40)의 하부에는 열교환기(40)에 응축되는 수분이 고일 수 있도록 드레인 패널(60)이 구비될 수 있다. 드레인 패널(60)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10, 20)의 외부로 연결되는 드레인 호스와 연결되어, 하우징(10, 20)의 외부로 열교환기(40)에서 응축되는 수분을 배출할 수 있다.
드레인 패널(60)에는 송풍팬(30)의 송풍 방향을 결정하는 스태빌라이저(50)가 장착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50)는 드레인 패널(60)과 함께 송풍팬(30)의 흡입 공기 유로와 토출 공기 유로를 구분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50)는 공기를 횡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복수의 핀(fin, 5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핀(51)은 좌우 방향 회전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횡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스태빌라이저(50)는 후에 설명하는 제1유로가이드(21)와 함께 제1유로(7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유로가이드(21)는 제1유로(71)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고, 스태빌라이저(50)는 제1유로(71)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유로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가이드는 송풍팬(3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유로가이드는 제1유로가이드(21)와, 제2유로가이드(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가이드(21)는 송풍팬(30)으로부터 아웃렛(14)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제1유로(71)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제1유로(71)는 아웃렛(14)과 연결될 수 있다. 아웃렛(14)은 제1유로가이드(21)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아웃렛(14)은 제1유로가이드(21)에 의해 가이드되는 공기 이동경로의 연장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유로가이드(15)는 제2유로(72)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제2유로(72)는 복수의 홀(13)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유로(72)는 제2유로가이드(15)와, 토출 플레이트(12)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며, 제2유로(72)를 유동하는 공기는 토출 플레이트(12)의 복수의 홀(13)을 통해 하우징(10, 2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드레인 패널(60)과 스태빌라이저(50)는 제1유로(71)와 제2유로(7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드레인 패널(60)과 스태빌라이저(50)는 제1유로(71)를 지난 공기가 드레인 패널(60)의 상부에 위치하는 열교환기(4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미 열교환된 공기가 재차 열교환기(40)와 열교환하는 경우, 열교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드레인 패널(60)과 스태빌라이저(50)는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최소풍량 모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토출 플레이트 및 블레이드 홀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 비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직진풍 모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하향풍 모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최소풍량 모드와 직진풍 모드와 하향풍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최소풍량 모드는 블레이드(100)가 아웃렛(14)을 폐쇄했을 때의 동작 상태를 의미한다. 직진풍 모드는 블레이드(100)가 아웃렛(14)을 개방하되, 블레이드(100)가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아웃렛(14)의 전방으로 가이드하는 동작 상태를 의미한다. 하향풍 모드는 블레이드(100)가 아웃렛(14)을 개방하되, 블레이드(100)가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아웃렛(14)의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동작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가 최소풍량 모드로 동작할 때, 제1블레이드(110)는 아웃렛(14)을 폐쇄한다. 이 때, 제1블레이드(110)와 이격되게 배치된 제2블레이드(120)는 송풍팬(3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토출 플레이트(12)로 가이드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2블레이드(120)는 제1유로(71)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를 제2유로(72)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교환기(40)를 거쳐 열교환된 공기는 블레이드 홀(111)과, 토출 플레이트(12)의 복수의 홀(13)로 적절히 분배되어 토출될 수 있다. 기존의 단일 블레이드 구조의 경우,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 플레이트로 가이드하는 구성이 없어, 열교환된 공기의 대부분이 블레이드 홀을 통해 토출되었다. 이러한 경우, 열교환된 공기가 넓은 면적에서 저속으로 토출되는 최소풍량 모드의 의미가 퇴색될 수 있다. 열교환된 공기의 대부분이 블레이드 홀을 통해서 토출되는 경우, 블레이드 홀을 통과한 공기의 속력이 설계자가 의도한 속력만큼 떨어지지 않고, 사용자들은 일반풍 모드와 최소풍량 모드의 차이를 느끼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최소풍량 모드의 경우, 블레이드 홀(111)뿐만 아니라, 토출 플레이트(12)에 마련된 복수의 홀(13)을 통해서도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이 필요하다. 제2블레이드(120)는 하우징(10, 20) 내부의 공기를 토출 플레이트(12)로 가이드하므로 토출 플레이트(12)의 복수의 홀(13)을 통해 하우징(10, 20)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 홀(111)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은 줄어들게 되며, 결국 열교환된 공기가 넓은 면적에 고르게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2블레이드(120)는 최소풍량 모드 시, 하우징(10, 20) 내부의 기류를 적절히 분배하여 최소풍량 효과를 증폭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토출 플레이트(12)에 마련된 복수의 홀(13)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한 것을 실험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기존의 단일 블레이드 구조에서는 토출 플레이트의 전면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전체 유량의 23%를 차지하고, 토출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라운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전체 유량의 20%를 차지하였다. 이 때, 블레이드 홀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은 전체 유량의 57%를 차지하였다.
본 발명의 이중 블레이드 구조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플레이트의 전면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은 전체 유량의 26%를 차지하고, 토출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라운드부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은 전체 유량의 37%를 차지한다. 블레이드 홀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은 전체 유량의 37%로서, 단일 블레이드 구조와 비교하였을 때, 전체 유량 대비 대략 20%의 유량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토출 플레이트의 전면부, 라운드부 및 블레이드 홀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상대적으로 균일하다. 즉, 기존 대비 열교환된 공기가 넓은 면적에 고르게 토출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1)가 직진풍 모드로 동작할 때, 제2블레이드(120)는 제1블레이드(110)의 블레이드 홀(111)을 통해 공기가 저속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기가 아웃렛(14)의 전방으로 더 빠르고 멀리 토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최소풍량 모드와 달리, 직진풍 모드일 때에는 열교환된 공기가 아웃렛을 통해 빠르고 멀리 토출되는 것이 요구된다. 직진풍 모드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열교환된 공기에 직접 노출되어 보다 빠른 냉방 효과를 느끼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직진풍 모드일 때에는 토출 플레이트(12)로 연결되는 제2유로(72)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블레이드(110)는 직진풍 모드일 때, 제2유로(72)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유로(72)를 폐쇄하도록 제1블레이드(110)가 배치될 수 있다. 종래의 단일 블레이드는, 블레이드가 제2유로를 폐쇄하더라도 공기가 블레이드에 형성된 복수의 블레이드 홀을 통과하여 제2유로로 이동하는 것은 방지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아웃렛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의 경우, 제1블레이드(110)와 일체로 마련되고, 제1블레이드(110)와 함께 회전 이동하는 제2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블레이드(120)는 직진풍 모드일 때, 제1블레이드(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블레이드(120)는 제1블레이드(110)를 향해 이동하는 상승 기류가 제1블레이드(110)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블레이드(120)는 상기 상승 기류를 아웃렛(14)의 전방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블레이드(110) 및 제2유로(72)를 거쳐 토출 플레이트(12)에 형성된 복수의 홀(13)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아웃렛(14)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늘어나게 된다.
블레이드(100)는, 제1블레이드(110)와 제2블레이드(120)를 연결하는 연결 블레이드(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블레이드(121)는 제1블레이드(110) 및 제2블레이드(120)에 대해 대략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블레이드(121)와 제2블레이드(12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2블레이드(120)의 양 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연결 블레이드(121)의 개수는 제2블레이드(120)의 개수의 2배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블레이드(120)는 제1블레이드(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블레이드(100)의 회전축(101)은 연결 블레이드(1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회전축(101)은 아웃렛(14)의 후단보다 아웃렛(14)의 전단과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제1블레이드(110)가 회전축(10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유로(72)를 폐쇄할 수 있다.
제1블레이드(110)와 제2블레이드(120) 및 연결 블레이드(121)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2)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23)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공기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것은 도 6에 도시된 직진풍 모드를 기준으로 한 것이고, 블레이드(100)의 배치에 따라 유입구와 배출구의 개념은 바뀔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23)는 유입구(122)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2블레이드(120)는 제1블레이드(11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기준으로, 하우징(10, 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블레이드(110)의 일 단으로부터 하우징(10, 20)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1블레이드(110)의 타 단으로 갈수록, 제2블레이드(120)와 제1블레이드(11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배출구(123)가 유입구(122) 보다 작아지게 된다. 밀도가 일정한 비압축성 유동일 때, 공기가 통과하는 면적이 커지면 유속이 감소하게 되므로, 배출구(123)로 배출되는 공기의 속력은 유입구(122)로 유입되는 공기의 속력보다 크다. 따라서, 직진풍 모드일 때, 제2블레이드(120)는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 플레이트(12)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열교환된 공기를 보다 빠른 속력으로 멀리 아웃렛(14)의 전방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블레이드의 유무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제2블레이드의 유무에 따른 냉방기류 해석 자료로서,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중 블레이드 구조는 기존의 단일 블레이드 구조에 비해 토출되는 공기의 직진성이 향상된다. 기존 단일 블레이드 구조의 경우, 수평선과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 사이의 각도는 α이다. 본 발명의 이중 블레이드 구조의 경우, 수평선과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 사이의 각도는 β이다. 도 8 및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α가 β보다 크고, 상기 각도가 작을수록 직진성이 크므로 단일 블레이드 구조 대비 이중 블레이드 구조가 직진성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하향풍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향풍 모드는 공기조화기(1)를 난방 가동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밀도가 큰 차가운 공기는 아래로 내려가고, 밀도가 낮은 따뜻한 공기는 위로 올라가므로, 난방 동작 시에는 따뜻한 공기가 아래로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뜻한 공기가 하방으로 토출되어야 차가운 공기와 효율적으로 열교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실내 공간이 전체적으로 따뜻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블레이드(100)의 회전축(101)이 아웃렛(14)의 전단보다 후단에 가깝게 위치하는 경우, 블레이드(100)가 회전하더라도 아웃렛(14)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하방으로 가이드할 수 없다. 본 발명의 경우, 블레이드(100)의 회전축(101)이 아웃렛(14)의 후단보다 전단에 가깝게 위치하므로, 블레이드(100)가 아웃렛(14)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하방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단일 블레이드의 경우, 회전축이 아웃렛의 전단에 가깝게 위치하여 공기를 하방으로 가이드할 수 있더라도, 열교환된 공기가 블레이드 홀을 통과하여 상승하였다. 따뜻한 공기는 실내 공간의 하부에 있는 차가운 공기와 열교환하지 못하고 상승하여, 인렛으로 재유입된다. 따뜻한 공기가 인렛으로 재유입되면, 열교환기와 온도차가 적어 난방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제2블레이드(120)가 마련되어 상기한 난방 성능 저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블레이드(120)는 아웃렛(14)을 통과하여 제1블레이드(110)를 향해 이동하는 공기를 하방으로 가이드하여, 제1블레이드(110)의 블레이드 홀(111)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 홀(111)을 통과하는 누설 기류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난방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난방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제1블레이드(110)와 이격 배치되는 제2블레이드(120)를 포함하여 난방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토출 기류의 직진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최소풍량 모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블레이드(120)는 제1블레이드(110)와 일체로 마련되고, 제1블레이드(110)와 함께 이동하도록 마련되는바 제2블레이드(120)를 동작시키기 위한 별도의 모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별도의 부품 증가 없이 간단한 구조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최소풍량 모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직진풍 모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2)를 설명한다.
공기조화기(2)는 천장(C)에 매달리거나 매립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10, 20)과, 하우징(10, 20)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30)와, 흡입구(11)를 통해 하우징(10, 20)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토출구(12)를 통해 하우징(10, 20)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송풍팬(미도시)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내부에 공기조화기(2)의 구성요소들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개방된 사각 함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0)은 천장(C)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 하우징(20)과, 상부 하우징(20)의 아래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0, 20)은 천장(C)의 내부에 배치되지 않고, 천장(C)에 매달릴 수도 있다.
하부 하우징(10, 20)의 중앙부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가 형성되고, 흡입구(11)의 외곽 측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하부 하우징(10, 20)의 외곽에 대응되도록 각각의 테두리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공기를 실내의 사방으로 각각 토출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로써, 공기조화기(2)는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 또는 난방시킨 후에 다시 하측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하부 하우징(10, 20)의 저면에는 흡입구(11)로 흡입되는 공기에서 먼지를 걸러내도록 그릴이 결합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사각 환 형태로 형성되어 하우징(10, 20)의 내부에서 송풍팬의 외곽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사각 환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2)는 토출구(12)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블레이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200)는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200)는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토출구(12)를 개방하거나 토출구(12)를 폐쇄할 수 있다.
블레이드(200)는 토출구(12)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제1블레이드(210)와, 제1블레이드(210)와 이격되는 제2블레이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블레이드(210)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1블레이드(210)를 관통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홀(2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블레이드(210)가 토출구(12)를 폐쇄하였을 때,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블레이드 홀(211)을 통해 하우징(10, 20)의 외부로 토출된다. 블레이드 홀(211)은 토출구(12)에 비해 매우 작아, 공기가 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속이 매우 느려진다. 이를, 최소풍량 모드라 정의한다. 최소풍량 모드일 때에는 유속이 매우 느려, 사용자는 직접풍을 맞지 않게 되고, 직접풍에 의한 추위와 불쾌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최소풍량 모드일 때, 제2블레이드(220)는 블레이드 홀(211)로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제2블레이드(220)는 제1블레이드(210)와 함께 가이드 유로를 형성하여 블레이드 홀(211)로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유로가 마련됨에 따라, 제1블레이드(210)의 타 단부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블레이드 홀(211)로 공기가 가이드된다. 가이드 유로가 없는 경우, 송풍팬으로부터 멀리 있는 블레이드 홀(211)로 이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작아, 제1블레이드(210)의 특정 영역에 마련되는 블레이드 홀(211)을 통해 대부분의 공기가 토출된다. 가이드 유로가 마련됨에 따라, 제1블레이드(210)의 전(全) 영역에서 블레이드 홀(211)을 통해 공기가 하우징(10, 2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200)는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토출구(12)를 개방할 수 있다. 이 때에는 블레이드(200)가 토출구(12)를 폐쇄하지 않아 공기가 토출구로 직접 토출될 수 있다. 이를 직진풍 모드라 정의한다.
제1블레이드(200)가 토출구(12)를 개방할 때, 흡입구(11)와 가까운 블레이드(200)의 일 단부와 하우징(10) 사이에 제1개구(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개구(15)를 형성하는 하우징(10)의 일 부분을 제1가이드부(13)라고 한다.
제1블레이드(210)가 토출구(12)를 개방할 때, 블레이드(200)의 타 단부와 하우징(10) 사이에 제2개구(16)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개구(16)를 형성하는 하우징(10)의 일 부분을 제2가이드부(14)라고 한다.
제2블레이드(120)는 제1블레이드(210)가 토출구(12)를 개방할 때, 블레이드 홀(211)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감소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블레이드(120)는 제1블레이드(210)가 토출구(12)를 개방할 때, 하우징(10, 20) 내부의 공기를 제1개구(15)와 제2개구(16)로 가이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개구(15)와 제2개구(16)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기존의 단일 블레이드는 토출구를 개방할 때, 직진풍 모드에서도 블레이드 홀(211)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었다. 제1개구(15) 및 제2개구(16)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은 상대적으로 적고, 그 유속 또한 느렸다. 이에 따라, 제1개구(15) 및 제2개구(16)를 통과한 공기가 송풍팬에 의해 흡입구(11)로 재유입되었으며, 차가운 공기가 흡입구로 재유입되는 과정에서, 하우징(10, 20)의 저면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였다. 결로 현상이 심화되면, 공기조화기(2)의 하부로 물방울이 떨어지며, 이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지 않고 흡입구로 재유입되면, 열교환기와의 온도차가 작아 냉방 또는 난방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제2블레이드(120)가 제1블레이드(210)와 이격되게 마련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제1개구(15)와 제2개구(16)로 가이드할 수 있다. 특히, 제2블레이드(120)는 흡입구(11)와의 거리가 제1개구(15)보다 먼 제2개구(16)로 열교환된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개구(15)와 제2개구(16)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은 증가하고, 블레이드 홀(211)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은 감소한다. 제1개구(15)와 제2개구(16)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하고, 제1개구(15) 및 제2개구(16)의 크기는 동일하며, 공기의 밀도 또한 일정하므로 제1개구(15)와 제2개구(16)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은 증가한다. 블레이드 홀(211)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저속이고 직진성이 떨어진다. 반면, 제2블레이드(120)에 의해 제1개구(15) 및 제2개구(16)로 가이드된 후, 제1개구(15) 및 제2개구(16)로 토출되는 공기는 그 유속이 상대적으로 빠르고, 직진성 또한 상대적으로 크다. 이에 따라, 직진풍 모드에서는 열교환된 공기의 대부분이 제1개구(15) 및 제2개구(16)를 통해 흡입구(1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1블레이드(210)와 함께 제1개구(15)를 형성하는 제1가이드부(13)는, 제1개구(1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블레이드 홀(211)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흡입구(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가이드부(13)는 제1개구(1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블레이드 홀(211)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구(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제1개구(15)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개구(15)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은 제2블레이드(120)가 마련됨에 따라 증가하고, 이는 블레이드 홀(211)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보다 크다. 제1개구(15)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블레이드 홀(211)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보다 크고, 제1개구(15)를 통과하는 공기의 방향은 흡입구(11)와 멀어지는 방향이므로, 블레이드 홀(211)을 통과한 공기는 제1개구(15)를 통과한 공기에 흡수되어 흡입구(1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블레이드 홀(211)을 통과한 공기 또는 제1개구(15)를 통과한 공기가 흡입구(11)로 재유입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 홀(211) 또는 제1개구(15)를 통과한 공기가 흡입구(11)로 재유입되는 경우, 하우징(10, 20)의 저면에 결로가 발생하고, 냉방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흡입구(11)로의 재유입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결로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냉방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다.
제2블레이드(120)는 제2개구(16)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늘리도록 제1블레이드(210)의 일 단부와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개구(15)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다소 줄어들 수 있으나, 제2개구(16)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더 증가할 수 있고, 제2개구(16)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 또한 증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흡입구(11)와의 거리가 먼 제2개구(16)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개구(16)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열교환된 공기가 흡입구(11)로 재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블레이드(220)는 제1블레이드(210)와 일체로 마련되어 함께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공기조화기(2)는 제2블레이드(120)를 동작시키기 위해 별도의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간단한 일체형 구조를 가지면서도 기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블레이드(220)는 기류 제어를 통해, 냉방 성능 저하 및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직진풍 모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제2블레이드(220a)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블레이드(220a)는 직진풍 모드일 때, 제1개구(15a)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2블레이드(220a)는 제2개구(16a)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2블레이드(220a)가 제1개구(15a)를 향해 연장되면, 제2블레이드(220a)가 제1개구(15a)의 유입구 측(또는 상측) 일부를 막게 된다. 제1개구(15a)의 유입구 측(또는 상측) 일부가 제2블레이드(220a)에 의해 막히면, 제1개구(15a)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은 줄어들게 된다. 토출구(12)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은 일정하므로, 제2개구(16a)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직진풍 모드일 때 제2개구(16a)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하고, 직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2 : 공기조화기 11 : 인렛
12 : 토출 플레이트 13 : 홀
20 : 결합 플레이트

Claims (20)

  1. 복수의 홀을 가지는 토출 플레이트와, 아웃렛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플레이트 또는 상기 아웃렛으로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어 상기 아웃렛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가이드 위치와, 상기 아웃렛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를 회전 이동하는 블레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복수의 블레이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아웃렛의 크기와 대응되는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1블레이드와 이격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상기 토출 플레이트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제2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블레이드와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와 함께 상기 가이드 위치 또는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를 연결하는 연결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레이드는, 상기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제2블레이드와 함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형성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보다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커지도록 상기 유입구보다 작게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2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은 상기 연결 블레이드 상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가이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 중 상기 제1블레이드 홀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공기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블레이드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회전축은 상기 아웃렛의 후단보다 상기 아웃렛의 전단과 가깝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1. 천장에 매달리거나 매립되도록 마련되며, 흡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송풍팬;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고, 복수의 블레이드 홀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홀을 통해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제1블레이드와 이격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가 상기 토출구를 개방할 때, 상기 블레이드 홀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감소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블레이드;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가 상기 토출구를 개방할 때, 상기 흡입구에 가까운 상기 블레이드의 일 측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제1개구와,
    상기 제1블레이드가 상기 토출구를 개방할 때, 상기 블레이드의 일 측과 반대되는 타 측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제2개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1개구와 상기로 제2개구로 가이드하여 상기 제1개구 및 상기 제2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증가시키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흡입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블레이드가 상기 토출구를 폐쇄할 때, 상기 블레이드 홀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조화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가 상기 토출구를 개방할 때,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가이드부로 공기를 가이드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블레이드 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흡입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공기를 가이드하는 공기조화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가 상기 토출구를 개방할 때, 상기 제1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속력은 상기 블레이드 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속력보다 빠른 공기조화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2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개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늘리도록 상기 제1블레이드의 일 측에 가깝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블레이드와 일체로 마련되어 함께 회전 이동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80005932A 2018-01-17 2018-01-17 공기조화기 KR102531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932A KR102531649B1 (ko) 2018-01-17 2018-01-17 공기조화기
PCT/KR2018/013530 WO2019143009A1 (en) 2018-01-17 2018-11-08 Air conditioner
CN201880086927.8A CN111615607B (zh) 2018-01-17 2018-11-08 空调
EP23196478.4A EP4265975A3 (en) 2018-01-17 2018-11-08 Air conditioner
EP18901404.6A EP3721143A4 (en) 2018-01-17 2018-11-08 AIR CONDITIONER
US16/192,466 US11067298B2 (en) 2018-01-17 2018-11-15 Air conditioner
KR1020230057823A KR20230065966A (ko) 2018-01-17 2023-05-03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932A KR102531649B1 (ko) 2018-01-17 2018-01-17 공기조화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7823A Division KR20230065966A (ko) 2018-01-17 2023-05-03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756A true KR20190087756A (ko) 2019-07-25
KR102531649B1 KR102531649B1 (ko) 2023-05-11

Family

ID=672137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932A KR102531649B1 (ko) 2018-01-17 2018-01-17 공기조화기
KR1020230057823A KR20230065966A (ko) 2018-01-17 2023-05-03 공기조화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7823A KR20230065966A (ko) 2018-01-17 2023-05-03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67298B2 (ko)
EP (2) EP3721143A4 (ko)
KR (2) KR102531649B1 (ko)
CN (1) CN111615607B (ko)
WO (1) WO20191430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3873A (zh) * 2019-08-09 2021-02-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39755A1 (en) * 2016-12-21 2018-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102167891B1 (ko) * 2018-06-01 2020-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7328816B2 (ja) * 2019-07-25 2023-08-17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空気調和機
CN111256207A (zh) * 2020-01-19 2020-06-0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和控制方法
JP1694292S (ko) * 2020-09-25 2021-09-06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501B1 (ko) * 2006-11-24 2007-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WO2015111281A1 (ja) * 2014-01-24 2015-07-30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6949615A (zh) * 2017-03-17 2017-07-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结构、空调器的出风方法和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4006A (ja) 1994-02-21 1995-09-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風向変更装置
KR20010001964U (ko) * 1999-06-30 2001-01-26 윤종용 에어컨 실내기의 도어그릴 개폐구조
KR101171308B1 (ko) 2005-05-06 2012-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정형 공기조화기
JP4923639B2 (ja) * 2005-11-11 2012-04-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パネル及び空気調和装置
KR101166375B1 (ko) * 2005-12-09 2012-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85899B1 (ko) * 2006-01-03 201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90010451A (ko) 2007-07-23 2009-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6150201B2 (ja) * 2013-03-29 2017-06-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4236047B (zh) * 2013-06-14 2019-04-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天井机及其天井机面板
CN203857566U (zh) * 2014-04-21 2014-10-01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壁挂式空调器室内机
KR101698842B1 (ko) 2015-07-17 2017-0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45875B1 (ko) * 2016-10-21 202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890869B1 (ko) * 2016-10-27 2018-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506415B1 (ko) * 2017-10-16 202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501B1 (ko) * 2006-11-24 2007-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WO2015111281A1 (ja) * 2014-01-24 2015-07-30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6949615A (zh) * 2017-03-17 2017-07-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结构、空调器的出风方法和空调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3873A (zh) * 2019-08-09 2021-02-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3009A1 (en) 2019-07-25
EP4265975A3 (en) 2024-05-29
EP3721143A4 (en) 2021-02-17
KR20230065966A (ko) 2023-05-12
CN111615607A (zh) 2020-09-01
EP3721143A1 (en) 2020-10-14
EP4265975A2 (en) 2023-10-25
US11067298B2 (en) 2021-07-20
KR102531649B1 (ko) 2023-05-11
CN111615607B (zh) 2022-08-16
US20190219277A1 (en)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5875B1 (ko) 공기조화기
KR101890869B1 (ko) 공기조화기
KR20190087756A (ko) 공기조화기
CN107869781B (zh) 空调
EP3514459B1 (en) Air conditioner
KR20180032439A (ko) 공기조화기
KR20190042201A (ko) 공기조화기
KR20170043908A (ko) 공기 조화기
KR20180127223A (ko) 공기조화기
KR102613461B1 (ko) 공기조화기
KR20190026325A (ko) 공기조화기
JP4169517B2 (ja) 空気調和機
KR100702323B1 (ko) 천장형 공기조화장치
KR20230069898A (ko) 공기조화기
KR100473818B1 (ko) 공기조화기
KR102220818B1 (ko) 공기조화기
KR100471438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응축기 냉각구조
KR100485573B1 (ko) 공기조화기
KR20060005196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2420499B1 (ko) 공기조화기
KR200280422Y1 (ko) 상하 양방향 토출형 냉난방 겸용 에어컨
KR2022008006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60022442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구조
KR20150085219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