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396A - 컴팩트 기계실을 위한 제상수 받이 및 이를 적용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컴팩트 기계실을 위한 제상수 받이 및 이를 적용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396A
KR20190087396A KR1020190087185A KR20190087185A KR20190087396A KR 20190087396 A KR20190087396 A KR 20190087396A KR 1020190087185 A KR1020190087185 A KR 1020190087185A KR 20190087185 A KR20190087185 A KR 20190087185A KR 20190087396 A KR20190087396 A KR 20190087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assembly
wall
defrost water
storage spa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8272B1 (ko
Inventor
유명근
김용대
손호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7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272B1/ko
Publication of KR20190087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1Removal by evaporation
    • F25D2321/1412Removal by evaporation using condenser heat or heat of desuper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drip water collection pans
    • F25D2321/1441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drip water collection pans inside a refrig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컴팩트 기계실을 구비하는 냉장고로서, 상기 기계실에는, 내벽(76)에 의해 제상수 저장공간(71)으로부터 구획되어, 제상수가 저장되지 않는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을 구비하는 제상수 받이(7)와,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내벽을 넘어 상기 제상수 저장공간(71)과 중첩되는 영역이 절개된 절개부(34)를 구비하는 팬 조립체(3)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컴팩트 기계실을 위한 제상수 받이 및 이를 적용한 냉장고{A TRAY DRIP FIR COMPACT MACHINE COMPARTMENT AND A REFRIGERA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하 방향의 높이를 낮춘 컴팩트 기계실을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의 후방 하부에는 기계실이 구비된다. 상기 기계실은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에서 발열이 일어나는 압축기와 응축기를 수용한다. 그리고 냉장고 캐비닛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제상수를 수용하는 제상수 받이(tray drip)을 구비한다.
제상수 받이에 저장되는 제상수는 기계실의 압축기와 응축기에서 방출하는 열에 의해 증발된다. 대기와 접하는 표면적을 넓게 하기 위해 제상수 받이는 납작하고 넓은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기계실에는 팬이 설치되어 있어서 압축기와 응축기를 지나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공기 유동은 제상수 받이에 담아져 있는 물을 증발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제상수 받이(8)는, 직사각형의 넓은 바닥부재(87)와, 상기 바닥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된 낮은 외벽(85)을 구비하는 트레이 형태로 제작된다. 바닥부재와 외벽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에 제상수가 받아진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제상수 받이(8)에는 제상수(w)가 저장되므로, 팬 조립체(9)는 제상수 받이(8)의 바닥부재(87)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팬 조립체(9)는 상기 제상수 받이(8) 내부에 마련된 팬 조립체 거치부(89) 위에 놓여져 나사(b) 등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팬 조립체(9)의 하측 단부는 제상수 받이(8)의 두 외벽(85) 사이에 수용된다.
상기 제상수 받이(8)와 팬 조립체(9)를 수용하는 기계실의 높이(h)는, 제상수 받이(8)의 바닥부재(87)와 대응하는 하측 경계(13)와, 팬 조립체(9)의 상단부와 대응하는 상측 경계(14) 간의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기계실의 높이(h)는 팬 조립체 거치부(89)와 팬 조립체(9)의 높이를 합한 것과 같다.
그리고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기계실의 깊이(d)는, 팬 조립체(9)가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제상수 받이(8)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구비된 외벽(85) 간의 거리에 의해 정해진다.
이러한 종래의 제상수 받이(8)와 팬 조립체(9)의 형상과 결합구조에 따르면, 팬 조립체(9)의 크기를 줄이지 않는 한, 기계실의 높이(h)와 깊이(d)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팬 조립체(9)의 크기를 줄이면, 그만큼 풍량이 적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팬 조립체(9)의 크기를 줄이지 않고서도 냉장고에서 기계실이 차지하는 체적을 줄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제상수 받이와 팬 조립체, 그리고 이들이 적용된 기계실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팩트한 기계실에서도 기계실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제상수 받이와 팬 조립체, 그리고 이들이 적용된 기계실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냉장고용 기계실에 설치되는 팬 조립체(3)와 제상수 받이(7)의 조립 구조로서, 상기 팬 조립체(3)는: 회전에 의해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41); 및 상기 팬(41)을 지지하는 프레임(30);을 포함하고, 상기 제상수 받이(7)는: 상기 팬 조립체(3)를 수용하는 팬 조립체 수용공간(73); 및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에서 측방으로 개방된 개방부(78);를 포함하며, 상기 팬 조립체(3)는 상기 개방부(78)를 통해 측방으로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에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한 팬 조립체와 제상수 받이의 조립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팬 조립체(3)는 상기 제상수 받이(7)와 체결되는 제2체결부(35)를 구비하고, 상기 제상수 받이(7)는 상기 제2체결부(35)와 체결되는 제1체결부(7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79)와 제2체결부(35) 중 어느 하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 형태의 연장부 및 그 단부에 마련된 후크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후크와 걸리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상수 받이에는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의 측면을 둘러싸는 내벽(76)이 마련되고, 상기 내벽(76)이 상기 팬 조립체(3)의 프레임(30)의 삽입을 안내하고, 상기 팬 조립체(3)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팬 조립체(3)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의 폭은 상기 걸림턱의 폭보다 더 넓어서, 상기 걸림턱의 측면으로 노출된 연장부 부위를 눌러 연장부를 변형함에 따라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상기 후크가 탈거될 수 있다.
상기 제상수 받이(7)는, 바닥부재(77)와, 상기 바닥부재(77)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되는 외벽(75)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78)는 상기 외벽(75)이 마련되지 않은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상수 받이(7)는, 상기 개방부(78)에서 상기 외벽(75)과 연결되고 상기 바닥부재(77)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내벽(76)을 더 구비하고, 상기 내벽(76)은 실질적으로 "ㄷ"자 형태로 상기 개방부(78)로부터 내향 연장되며, 상기 외벽(75)과 내벽(76)은 폐루프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바닥부재(77), 외벽(75) 및 내벽(76)에 의해 규정되는 내부 영역이 제상수 저장공간(71)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내벽(76)과 개방부(78)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을 규정할 수 있다.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에는 상기 바닥부재(77)가 구비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에 의해 상기 제상수 저장공간(71)은 제1저장공간(711)과 제2저장공간(712)으로 구분되고,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과 상기 외벽(75) 사이에, 상기 제1저장공간(711)과 상기 제2저장공간(712)을 연결하는 연결공간(713)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공간(713)은 상기 개방부(78)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공간(712)이 상기 제1저장공간(711)보다 더 넓은 영역을 차지하며, 상기 제2저장공간(712)에는 열교환기(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0)은, 팬 조립체의 외측 단부를 규정하는 외부프레임(31)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안쪽에 마련되어 내측 단부를 규정하는 내부프레임(32)과, 상기 외부프레임(31)과 내부프레임(32) 사이의 공간을 가로막으며 상기 외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을 연결하는 막음판(3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0)은 상기 팬 조립체(3)가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을 넘는 영역이 절개된 절개부(3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0)은 대략 정사각형을 이루고, 상기 절개부(34)는 적어도 상기 프레임의 정사각형 형상 하부의 꼭지점 부분을 절개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팬 조립체와 제상수 받이의 조립 구조; 및 상기 팬 조립체와 제상수 받이의 조립구조를 수용하는 기계실(10);을 포함하는 냉장고용 기계실을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30)의 상부 외측에는 고정지지부(36)가 상향 연장되고, 상기 고정지지부(36)는 상기 기계실(10)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기계실(10)과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냉장고의 기계실(10)에 설치되고, 바닥부재(77) 및 상기 바닥부재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외벽(75)에 의해 규정되는 제상수 저장공간(71)을 구비하는 제상수 받이(7)로서, 상기 제상수 받이(7)는 팬 조립체(3)가 설치되는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을 구비하고,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닥부재(77)에서 상향 연장되는 내벽(76)에 의해 둘러싸여 규정되며,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은 상기 내벽(76)에 의해 상기 제상수 저장공간(71)으로부터 구획되어, 제상수가 저장되지 않는 제상수 받이를 제공한다.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은 장방형의 상기 제상수 받이(7)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도록 길게 배치되고,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에 의해 상기 제상수 저장공간(71)은 제1저장공간(711)과 제2저장공간(712)으로 나뉘며,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과 상기 외벽(75) 사이에, 상기 제1저장공간(711)과 상기 제2저장공간(712)을 연결하는 연결공간(713)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공간(713)은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의 길이방향의 일측 및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쪽 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은 외벽(75)이 마련되지 않은 부위를 통해 측방으로 개방된 개방부(7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벽(75)과 내벽(76)은 서로 연결되어 제1 폐루프 형태를 이루고, 상기 제1 폐루프의 안쪽 공간에, 상기 제상수 저장공간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외벽(75)은 제2 폐루프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내벽(76)은, 상기 제2 폐루프 내에 포함되는 제3 폐루프 형태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폐루프의 안쪽과 상기 제3 폐루프의 바깥쪽으로 규정되는 공간에, 상기 제상수 저장공간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내벽(76)은 상기 팬 조립체(3)와 체결되어 상기 팬 조립체(3)를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에 고정하는 제1체결부(7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바닥부재(77)가 구비되지 아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상수 받이(7);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에 설치되는 팬 조립체(3); 및 상기 제상수 받이와 상기 팬 조립체를 수용하는 기계실(10);을 포함하는 냉장고용 기계실을 제공한다.
상기 팬 조립체(3)는: 팬 조립체의 외측 단부를 규정하는 외부프레임(31)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안쪽에 마련되어 내측 단부를 규정하는 내부프레임(32)과, 상기 외부프레임(31)과 내부프레임(32) 사이의 공간을 가로막으며 상기 외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을 연결하는 막음판(33)을 구비하는 프레임(30); 및 상기 내부프레임(32)의 안쪽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팬(41);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30)은, 상기 팬 조립체(3)가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내벽을 넘어 상기 제상수 저장공간(71)과 중첩되는 영역이 절개된 절개부(3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34)는 상기 외부프레임(31)과 막음판(33)의 일부가 절개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프레임은 대략 정사각형을 이루고, 상기 내부프레임은 대략 원형을 이루며, 상기 절개부(34)는 적어도 상기 외부프레임 하부의 모서리 부분을 절개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34)에는 상기 내벽(76)에 마련된 제1체결부(79)와 체결되는 제2체결부(3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79)는 캔틸레버 형태의 연장부 단부에 마련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35)는 후크에 걸리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의 안쪽에 위치하는 제상수 받이(7)의 외벽(75) 위에, 상기 팬 조립체(3)의 안쪽 외부프레임(31)이 얹어질 수 있다.
상기 팬 조립체(3)의 바깥쪽 외부프레임(31)은 상기 기계실(10)의 외측 경계(11)보다 더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 조립체(3)의 아래쪽 외부프레임(31)은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의 바닥에 다다를 수 있다.
상기 팬 조립체(3)의 공기 토출 방향 쪽에 마련되는 열교환기(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50)는 상기 제상수 저장공간(7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 조립체(3)의 공기 흡입 방향 쪽에 마련되는 압축기(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20)는 상기 제상수 받이(7) 외측에서 상기 기계실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냉장고용 기계실을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팬 조립체의 크기를 줄이지 않고서도 기계실의 체적을 줄일 수 있어, 압축기의 냉각과 열교환기(응축기)의 열 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냉장고의 저장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실이 컴팩트하여 조립을 위해 필요한 공간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제상수 받이와 팬 조립체를 설치하기 편리하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 기계실에 사용된 제상수 받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계실에 수용된 제상수 받이와 팬 조립체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기계실에 사용되는 제상수 받이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기계실에 사용되는 팬 조립체의 제1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상수 받이에 도 4의 팬 조립체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기계실에 설치되는 압축기, 제상수 받이, 팬 조립체, 및 열교환기의 설치 상태를 바깥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제상수 받이와 팬 조립체의 조립 상태를 안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압축기, 제상수 받이, 팬 조립체, 및 열교환기가 기계실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기계실에 사용되는 제상수 받이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기계실에 사용되는 팬 조립체의 제2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제상수 받이에 도 10의 팬 조립체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제상수 받이]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실 내부에 설치되는 제상수 받이의 제1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닥부재(77)와, 상기 바닥부재(77)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된 외벽(75)을 포함한다.
바닥부재(77)는 짧은 변과 긴 변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태이다. 바닥부재(77)의 가장자리의 긴 변의 소정 위치에는 외벽이 마련되지 않은 개방부(78)가 마련된다. 즉 외벽은 개방부(78) 구간을 제외하고, 상기 바닥부재(77)의 가장자리를 둘러싼다.
또한 상기 제상수 받이(7)는, 바닥부재(77) 가장자리의 개방부(78)로부터 바닥부재(77)의 내부 영역으로 연장되어 들어간 형태의 내벽(76)을 포함한다. 상기 내벽(76)은 바닥부재(77)의 긴 변으로부터 내부 영역으로 연장되어 들어간다. 내벽(76)이 바닥부재(77)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들어가는 방향은, 상기 바닥부재(77)의 짧은 변과 나란한 방향이다.
내벽(76)은 상기 바닥부재(77)로부터 상향 연장되고, 상기 개방부(78)에서 외벽(75)과 연결된다. 내벽(76)은 "ㄷ"자 형태로 상기 개방부(78)로부터 내향 연장된다. 내벽(76)은, 바닥부재(77) 가장자리의 짧은 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내벽 및 제2내벽과, 상기 제1 및 제2 내벽의 내측 끝부분에서 두 벽을 서로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내벽을 포함한다. 즉 제1내벽과 제2내벽의 일측 단부는 상기 바닥부재(77)의 가장자리 부근에서 상기 외벽(75)과 연결되고, 제1내벽과 제2내벽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3벽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제1내벽과 제2내벽은 서로 나란하며 길게 연장되고, 바닥부재(77)의 짧은 변과 나란하다. 제3내벽은 제1 및 제2 내벽보다 짧고, 바닥부재(77)의 긴 변과 나란하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제상수 받이(7)는, 직사각형 형태의 바닥부재(77)의 두 짧은 변과 하나의 긴 변을 모두 둘러싸는 외벽과, 나머지 하나의 긴 변에 대해 개방부(78)를 제외한 구간을 둘러싸는 외벽을 포함한다. 즉 외벽(75)은, 바닥부재의 가장자리에서 개방부(78)를 제외한 모든 구간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내벽(76)은 상기 외벽(75)과 연결되며 상기 바닥부재의 가장자리로부터 내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상수 받이(7)의 외벽(75)과 내벽(76)은, 폐루프 형태로 연결된다.
상기 바닥부재(77), 그리고 상기 외벽(75)과 내벽(76)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의 내부 영역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은 제상수 저장공간(71)이 된다.
제상수 저장공간(71)은, 상기 내벽(76)에 의해 대략적으로 구분되는 2개의 공간으로 나뉜다. 바닥부재(77)의 긴 변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내벽(76)의 일측에는 제1저장공간(711)이, 그리고 타측에는 제2저장공간(712)이 마련된다. 제2저장공간(712)은 제1저장공간(711)보다 더 넓은 영역을 차지하며, 여기에는 후술할 열교환기(응축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공간(711)과 제2저장공간(712)은 연결공간(713)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통한다. 연결공간(713)은 상기 제3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에 의해 규정된다. 제상수는 액체이므로, 상기 연결공간(713)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제1저장공간(711)과 제2저장공간(712)에 담긴 제상수는 서로 통하며 전체적으로 동일한 수위를 가지게 된다.
상기 바닥부재(77)에서 상기 제1저장공간, 제2저장공간 및 연결공간에 의해 규정되는 제상수 저장공간(71)을 제외한 공간은, 제상수(w)가 침범하지 아니하는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이다.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은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태이며, 긴 두 변과 하나의 짧은 변은 상기 내벽(76)에 의해 규정되고, 나머지 하나의 짧은 변은 상기 개방부(78)에 의해 규정된다.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은 제상수가 담기지 않는 공간이므로, 바닥부재(77)의 일부 또는 전부가 삭제될 수 있다. 이렇게 바닥부재(77)의 일부 또는 전부가 삭제되면, 제상수(w)가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에 침투하더라도 즉시 배수되므로,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에 설치되는 후술할 팬 조립체(3)의 모터(42) 등에 물이 침투할 우려가 없다. 물론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은, 개방부(78)에 의해 짧은 하나의 변이 측방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바닥부재(77)를 삭제하지 아니하여도 배수가 된다는 점에서, 배수를 위해 굳이 바닥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하지 아니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의 바닥부재(77)를 삭제하지 아니하면, 그만큼 제상수 받이(7)의 전체적인 강성은 더 높아질 것이다. 반면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의 바닥부재(77)를 삭제한다면, 그만큼 후술할 팬 조립체(3)를 더 깊이 수용할 수 있어 전체적인 기계실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의 바닥부재(77)의 유무는 제상수 받이(7)의 제조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가령 제상수 받이(7)를 금속 판재의 절곡 방식으로 제작할 경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의 바닥에 해당하는 부분을 절곡하여 세움으로써 내벽(76)을 구성하려 한다면, 바닥부재(77)를 삭제할 수 있을 것이다.
제상수 받이(7)의 재질과 그 제조 방법은, 제상수 저장공간(71)에 저장된 제상수가 세지 않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에는 팬 조립체(3)가 수용되며 고정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내벽(76)에는, 팬 조립체(3)와 체결되어 팬 조립체(3)를 고정하는 제1체결부(79)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체결부(79)는 상기 내벽에서 팬 조립체 수용공간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 형태의 연장부 및 그 단부에 마련된 후크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체결부(79)가 제3내벽에 설치된 형태가 예시된다.
[팬 조립체]
이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받이의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에 설치되는 팬 조립체(3)에 대해 설명한다.
팬 조립체(3)는 팬(41)과 팬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42), 그리고 상기 모터와 팬을 지지하는 프레임(30)을 포함한다.
프레임(30)은 정사각형 형태의 외부프레임(31)과, 상기 외부프레임(31) 내부에 마련된 원형의 내부프레임(32)을 포함한다. 외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외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막음판(33)이 구비된다.
외부프레임(31)은 팬 조립체의 외측 단부를 규정하고, 팬 조립체(3)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강성을 가지는 구조물이다. 외부프레임(31)은, 팬 조립체(3)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강성을 확보하고, 팬 조립체(3)를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폭을 가진다.
내부프레임(32)의 내주면은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선형의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부프레임(32)의 내주면에 의해 규정되는 공기 유동 단면에는 팬(41)이 배치된다. 상기 팬(41)은 모터(42)의 회전축에 직접 결합되어 모터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모터(42)는 상기 공기 유동 단면의 중심에 위치한다. 상기 프레임(30)은, 상기 공기 유동 단면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얇은 형상을 가지는 지지암(38)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암(38)들은, 상기 모터(42)가 고정되는 모터고정부(39)를 지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팬 조립체(3)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30)이 일부 절취되어 나간 형태의 절개부(34)가 구비된다. 상기 절개부(34)는 외부프레임(31)과 막음판(33)의 일부가 절개된 형태이다. 상기 절개부(34)가 절취된 형태는, 상기 제상수 받이의 연결공간(713)의 단면 형상과 대략 대응하는 형태이다.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체결부(79)는 상기 내벽(73)의 상단부에서 외향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후크를 포함한다. 이와 대응하여 상기 절개부(34)의 안쪽에는, 상술한 제상수 받이(7)의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에 마련된 제1체결부(79)와 체결되는 제2체결부(35)가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체결부(35)에는, 상기 후크가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30)의 외측 상부에는 고정지지부(36)가 상향 연장되고, 고정 지지부(36)에는 관통홀(361)이 마련된다. 상기 관통홀(361)은 나사나 볼트가 관통하는 구멍이며, 이를 통해 상기 팬 조립체(3)를 기계실에 고정하게 된다.
[기계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받이(7)와 팬 조립체(3)의 체결구조를 살펴본다.
기계실(10)은 상부와 하부와 내측이 막혀 있고, 외측은 개방되어 있으며, 좌우측은 공기가 드나들 수 있는 통기공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기계실은 좌우로 길고 납작한 직육면체 형태이다.
기계실(10)의 바닥에는 제상수 받이(7)가 설치된다. 제상수 받이(7)의 긴 변은 기계실의 좌우 방향, 즉 폭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상수 받이(7)의 개방부(78)는 상기 기계실(10)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상수 받이(7)의 좌측에는 압축기(20)가 설치된다. 압축기(20)는 제상수 받이(7)를 벗어나 기계실의 바닥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상수 받이(7)의 제1저장공간(711)은 상기 압축기(20)에 가깝게 배치된다.
상기 제상수 받이(7)의 제2저장공간(712)에는 열교환기(응축기)(50)가 설치된다. 기계실 내에서 상기 압축기(20)와 열교환기(50) 사이에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이 배치된다.
즉 상기 열교환기(50)는 팬 조립체(3)의 공기 토출 방향 쪽에 마련되고, 상기 압축기(20)는 팬 조립체(3)의 공기 흡입 방향 쪽에 마련된다.
상기 팬 조립체(3)는 기계실의 외부에서 기계실의 안쪽으로 삽입되며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에 설치된다. 팬 조립체(3)는,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의 제1 및 제2 내벽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 안내된다.
상기 팬 조립체(3)가 삽입 깊이까지 삽입되면, 제상수 받이(7)의 제1체결부(79)인 후크가 팬 조립체(3)의 제2체결부(35)인 걸림턱에 끼워진다. 상기 후크는 기계실의 외측으로는 경사면이 마련되고, 내측으로는 수직면이 마련된다. 따라서, 팬 조립체(3)를 삽입하는 도중에는 제1체결부가 자연스럽게 탄성 변형되고, 팬 조립체(3)가 삽입 완료되었을 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결부가 탄성 복원되며 상기 제2체결부와 체결된다. 이들이 한번 체결된 뒤에는 후방으로 잘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제1체결부(79)의 폭은 상기 팬 조립체(3)의 막음판(33)의 두께보다 더 넓다. 따라서 팬 조립체(3)를 분리하여 빼내고자 할 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조립체의 막음판(33) 측면으로 노출된 제1체결부(79) 부위를 하방으로 눌러주며 팬 조립체(3)를 기계실 외부로 인출하면 된다.
팬 조립체(3)를 기계실에 삽입한 뒤에는, 고정지지부(36)의 관통홀(361)을 통해, 상기 기계실에 나사 등의 체결요소를 체결하여 팬 조립체(3)를 기계실에 더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도 5와 도 7을 참조하면, 제상수 받이(7)와 팬 조립체(3)를 기계실(10)에 설치한 상태에서, 팬 조립체(3)의 내측 외부프레임(31) 부분은, 제상수 받이의 내측 외벽(75)의 상부에서, 그 외벽(75)과 정렬되며 배치된다. 따라서 기계실(10)의 내측 경계(12)는 상기 제상수 받이의 내측 외벽(75)과, 팬 조립체의 내측 외부프레임(31)에 맞춰질 수 있다.
또한 도 5,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상수 받이(7)와 팬 조립체(3)를 기계실(10)에 설치한 상태에서, 팬 조립체(3)의 외측 외부프레임(31) 부분은, 제상수 받이의 외측 외벽(75)보다 더 외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기계실(10)의 외측 경계(11)는 상기 제상수 받이의 외측 외벽(75)과 상기 팬 조립체(3)의 외측 외부프레임(31)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기계실(10)의 외측 경계는 상기 제상수 받이의 외측 외벽(75)보다는 바깥쪽, 그리고 상기 팬 조립체(3)의 외측 외부프레임(31)보다는 안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기계실의 깊이(d)는 상기 제상수 받이(7)의 짧은 변의 길이와 대응하게 되며, 팬 조립체(3)는 상기 제상수 받이(7)의 짧은 변의 길이보다 더 긴 변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5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기계실의 하측 경계(13)는 상기 제상수 받이(7)의 바닥부재(77)와 맞춰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의 상측 경계(14)는 상기 팬 조립체(3)의 외부프레임(31)의 상단부와 맞춰질 수 있다. 따라서 기계실의 높이(h)는 제상수 받이(7)의 바닥부재(77)와 팬 조립체(3)의 외부프레임(31)의 상단부 사이의 거리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르면, 제상수 저장공간(71)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제상수가 침범하지 않는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이 마련된다. 따라서 종래기술과 달리, 본 발명의 팬 조립체(3)의 외부프레임(31)의 하단부는 상기 제상수 받이(7)의 바닥부재 상에 맞닿도록 놓여질 수 있다. 또한 팬 조립체 수용공간에 해당하는 부분에 바닥부재가 없다면, 팬 조립체(3)의 외부프레임(31)의 하단부는 상기 기계실의 바닥면과 맞닿도록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실의 높이(h)는 오로지 팬 조립체(3)의 높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실(10)의 높이(h)는 팬 조립체(3)의 높이만큼, 그리고 기계실(10)의 깊이(d)는 팬 조립체의 깊이 또는 그보다 더 작게 제작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실의 체적을 줄이면서도 팬 조립체(3)의 면적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열교환 효율과 제상수 제거 효율을 높이고, 냉장고의 저장 용적을 그만큼 더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제1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받이, 팬 조립체 및 기계실 구조에 따르면, 기계실(10)의 외형 틀을 갖추고, 기계실 내에 제상수 받이(7)가 설치된 상태에서, 기계실(10)의 외부로부터 안쪽으로 팬 조립체(3)를 슬라이드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실(10)의 높이(h)를 팬 조립체(3)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정도까지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기계실(10)의 조립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제상수 받이 - 변형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상수 받이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변형된 제상수 받이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실 내부에 설치되는 제상수 받이의 제2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닥부재(77)와, 상기 바닥부재(77)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된 외벽(75)을 포함한다.
바닥부재(77)는 짧은 변과 긴 변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태이다. 개방부(78)를 구비하던 제1실시예와 달리, 제2실시예에서는, 외벽(75)이 상기 바닥부재(77)의 가장자리를 모두 둘러싸는 폐루프 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외벽과 내벽이 연결되어 폐루프를 이루는 제1실시예와 달리, 제2실시예의 제상수 받이(7)는, 내벽(76)이 바닥부재(77)의 내부 공간에서 별도로 폐루프 형태를 이루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을 규정한다.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은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태이다. 상기 바닥부재(77)의 긴 변의 방향과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의 긴 변의 방향은 서로 수직을 이루며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제상수 받이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 모두,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은 제상수 받이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도록 길게 배치된다.
내벽(76)은 상기 바닥부재(77)로부터 상향 연장되고, 내벽(76) 만으로 폐루프를 이룬다. 내벽(76)은, 바닥부재(77) 가장자리의 짧은 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내벽 및 제2내벽과, 상기 제1 및 제2 내벽의 양측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3 및 제4 내벽을 포함한다. 제3 및 제4 내벽은 상기 바닥부재(77)의 긴 변과 나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내벽이, 상기 제3 및 제4 내벽보다 길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제상수 받이(7)는, 직사각형 형태의 바닥부재(77)의 두 짧은 변과 두 긴 변을 모두 둘러싸는 외벽을 구비한다. 그리고 바닥부재(77)의 내부 영역에 직사각형 형태로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을 둘러싸는 내벽(76)을 포함한다.
제2실시예에서 제상수 저장공간(71)은, 상기 외벽이 이루는 폐루프의 안쪽 영역이면서, 상기 내벽이 이루는 폐루프의 바깥쪽 영역에 의해 규정된다.
상기 제상수 저장공간(71)은,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에 의해 대략적으로 구분되는 2개의 공간으로 나뉜다. 바닥부재(77)의 긴 변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의 일측에는 제1저장공간(711)이, 그리고 타측에는 제2저장공간(712)이 마련된다. 제2저장공간(712)은 제1저장공간(711)보다 더 넓은 영역을 차지한다.
상기 제1저장공간(711)과 제2저장공간(712)은 연결공간(713)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통한다. 상기 연결공간은, 상기 바닥부재의 짧은 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의 양측에 모두 마련된다.
제상수 받이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 모두, 상기 연결공간(713)은 긴 외벽(75)과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의 짧은 내벽(76) 사이에 마련된다.
제상수 받이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연결공간(713)은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하나 배치되지만, 제2실시예에 따르면, 연결공간(713)은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의 길이방향의 양측 모두에 배치된다.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은 제상수가 담기지 않는 공간이므로, 바닥부재(77)의 일부 또는 전부가 삭제될 수 있다. 이렇게 바닥부재(77)의 일부 또는 전부가 삭제되면, 제상수(w)가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에 침투하더라도 즉시 배수되므로,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에 설치되는 후술할 팬 조립체(3)의 모터(42) 등에 물이 침투할 우려가 없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실시예의 제상수 받이(7)의 내벽(76)에도, 팬 조립체(3)와 체결되어 팬 조립체(3)를 고정하는 제1체결부(79)가 마련될 수 있다.
[팬 조립체 - 변형예]
이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상수 받이의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에 설치되는 팬 조립체(3)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변형된 팬 조립체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팬 조립체(3)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30)이 일부 절취되어 나간 형태의 절개부(34)가 구비된다. 또한 팬 조립체(3)의 외측 하부에도 프레임이 일부 절취되어 나간 형태의 절개부(34)가 구비된다. 상기 절개부(34)는 외부프레임(31)과 막음판(33)의 일부가 절개된 형태이다. 상기 절개부(34)가 절취된 형태는, 상기 제상수 받이의 연결공간(713)의 단면 형상과 대략 대응하는 형태이다.
제상수 받이와 팬 조립체의 변형 예인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계실의 높이(h)와 깊이(d)를 모두 컴팩트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기계실(machine compartment)
11: 외측 경계
12: 내측 경계
13: 하측 경계
14: 상측 경계
20: 압축기
3, 9: 팬 조립체
30: 프레임
31: 외부프레임
32: 내부프레임
33: 막음판
34: 절개부
35: 제2체결부(걸림턱)
36: 고정지지부
361: 관통홀
38: 지지암
39: 모터고정부
41: 팬
42: 모터
50: 열교환기(응축기)
7, 8: 제상수 받이(tray drip)
71: 제상수 저장공간
711: 제1저장공간
712: 제2저장공간
713: 연결공간
73: 팬 조립체 수용공간
75, 85: 외벽
76: 내벽
77, 87: 바닥부재
78: 개방부
79: 제1체결부(후크)
8: 제상수 받이
89: 팬 조립체 거치부
b: 스크류
w: 제상수

Claims (3)

  1. 냉장고용 기계실에 설치되는 팬 조립체(3)와 제상수 받이(7)의 조립 구조로서,
    상기 팬 조립체(3)는:
    회전에 의해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41); 및
    상기 팬(41)을 지지하는 프레임(30);을 포함하고,
    상기 제상수 받이(7)는:
    상기 팬 조립체(3)를 수용하는 팬 조립체 수용공간(73);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의 측면을 둘러싸는 내벽(76); 및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에서 측방으로 개방된 개방부(78);를 포함하며,
    상기 팬 조립체(3)는 상기 개방부(78)를 통해 측방으로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에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고,
    상기 내벽(76)은 상기 팬 조립체(3)의 프레임(30)의 삽입을 안내하고, 상기 팬 조립체(3)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팬 조립체(3)을 지지하는 팬 조립체와 제상수 받이의 조립 구조.
  2. 냉장고용 기계실에 설치되는 팬 조립체(3)와 제상수 받이(7)의 조립 구조로서, 상기 제상수 받이(7)는:
    바닥부재(77);
    상기 바닥부재(77)로부터 상향 연장되고, 각각 내면과 외면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제1 및 제2벽(75, 76);
    상기 바닥부재(77), 복수 개의 상기 제1벽(75)의 내면 및 복수 개의 상기 제2벽(76)의 외면에 의해 규정되고, 제상수가 저장되는 제상수 저장공간(71); 및
    복수 개의 상기 제2벽(76)의 내면에 의해 규정되고, 팬 조립체(3)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는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을 포함하고,
    상기 제상수 저장공간(71)은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에 의해 제1 저장공간(711)과 제2 저장공간(713)으로 나뉘고,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은 제상수를 저장하지 않고 팬 조립체(3)를 수용하며,
    제1 저장공간(711)은 팬 조립체(3)의 공기 흡입 측에 배치되고, 제2 저장공간(712)은 팬 조립체(3)의 공기 토출 측에 배치되는, 팬 조립체와 제상수 받이의 조립 구조.
  3. 제상수 받이(7), 팬 조립체(3), 압축기(20) 및 열교환기(50)를 구비하는 냉장고의 기계실에 있어서, 상기 제상수 받이(7)는:
    바닥부재(77);
    상기 바닥부재(77)로부터 상향 연장되고, 각각 내면과 외면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제1 및 제2벽(75, 76);
    상기 바닥부재(77), 복수 개의 상기 제1벽(75)의 내면 및 복수 개의 상기 제2벽(76)의 외면에 의해 규정되고, 제상수가 저장되는 제상수 저장공간(71); 및
    복수 개의 상기 제2벽(76)의 내면에 의해 규정되고, 팬 조립체(3)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는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을 포함하고,
    상기 제상수 저장공간(71)은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에 의해 제1 저장공간(711)과 제2 저장공간(713)으로 나뉘고,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은 제상수를 저장하지 않고 팬 조립체(3)를 수용하며,
    상기 압축기(20)는 제1 저장공간(711) 상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50)는 상기 제2 저장공간(712) 상에 배치되며,
    상기 팬 조립체 수용공간(73)은 상기 압축기(20)와 열교환기(50) 사이에 배치되는, 냉장고용 기계실.
KR1020190087185A 2019-07-18 2019-07-18 컴팩트 기계실을 위한 제상수 받이 및 이를 적용한 냉장고 KR102198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185A KR102198272B1 (ko) 2019-07-18 2019-07-18 컴팩트 기계실을 위한 제상수 받이 및 이를 적용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185A KR102198272B1 (ko) 2019-07-18 2019-07-18 컴팩트 기계실을 위한 제상수 받이 및 이를 적용한 냉장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789A Division KR102004047B1 (ko) 2017-10-23 2017-10-23 컴팩트 기계실을 위한 제상수 받이 및 이를 적용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396A true KR20190087396A (ko) 2019-07-24
KR102198272B1 KR102198272B1 (ko) 2021-01-04

Family

ID=67481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185A KR102198272B1 (ko) 2019-07-18 2019-07-18 컴팩트 기계실을 위한 제상수 받이 및 이를 적용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27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541U (ko) * 1994-07-09 1996-02-17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체결구조
KR19990056258A (ko) * 1997-12-29 1999-07-15 전주범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용기
KR20050102814A (ko) * 2004-04-23 2005-10-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용 비침적식 증발명 배치구조
KR20090080240A (ko) * 2008-01-21 2009-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기계실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7720A (ko) * 2008-02-13 2009-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모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40124102A (ko) * 2013-04-16 2014-10-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114322A (ko) * 2015-03-24 2016-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541U (ko) * 1994-07-09 1996-02-17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체결구조
KR19990056258A (ko) * 1997-12-29 1999-07-15 전주범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용기
KR20050102814A (ko) * 2004-04-23 2005-10-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용 비침적식 증발명 배치구조
KR20090080240A (ko) * 2008-01-21 2009-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기계실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7720A (ko) * 2008-02-13 2009-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모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40124102A (ko) * 2013-04-16 2014-10-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114322A (ko) * 2015-03-24 2016-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272B1 (ko) 202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047B1 (ko) 컴팩트 기계실을 위한 제상수 받이 및 이를 적용한 냉장고
US20040134221A1 (en) Modular refrigeration unit and refrigerator
EP1475590A2 (en) Refrigerator
EP2762809B1 (en) Refrigerator
US20220397329A1 (en) Refrigerator
KR101976291B1 (ko) 컴팩트 기계실을 위한 제상수 받이 및 이를 적용한 냉장고
US20080203879A1 (en) Refrigerator
WO1999006772A1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EP1598620B1 (en) Vibration reduction type refrigerator
KR20190087396A (ko) 컴팩트 기계실을 위한 제상수 받이 및 이를 적용한 냉장고
US7146825B2 (en) Refrigerator
JP2007064601A (ja) 冷蔵庫
JP5365575B2 (ja) 室内機
KR20180066546A (ko) 공기조화기
US10254006B2 (en) Compressor noise suppressing structure and dehumidifier having the same
CN113758080A (zh) 冰箱、冰箱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708934B1 (en) Assembly set including drip tray for a compact machine compartment and refrigerator using a drip tray
CN218495555U (zh) 用于冰箱的蒸发皿及冰箱
CN217682166U (zh) 压缩机组件及冷藏冷冻装置
KR100424104B1 (ko) 컨트롤박스 커버를 겸비한 리모컨 홀더 구조
KR100758947B1 (ko) 제습기의 베이스
JP2009014262A (ja) 冷蔵庫
JP3640586B2 (ja) エアフィルタの取付構造
KR100565231B1 (ko) 냉장고의 제상수처리장치
KR200232028Y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