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342A -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342A
KR20190087342A KR1020190047887A KR20190047887A KR20190087342A KR 20190087342 A KR20190087342 A KR 20190087342A KR 1020190047887 A KR1020190047887 A KR 1020190047887A KR 20190047887 A KR20190047887 A KR 20190047887A KR 20190087342 A KR20190087342 A KR 20190087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scope
channel
distal end
endoscopic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5467B1 (ko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길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길의료재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90087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55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for aler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3Drive units for endoscopic tools inserted through or with the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7End pieces at either end of the endoscope, e.g. caps, seals or forceps p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receiv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7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upper alimentary canal, e.g. oesophagoscopes, gast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6Devices, other than using radiation, for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 determining position of probes within or on the body of the patient
    • A61B5/061Determining position of a probe within the body employing means separate from the probe, e.g. sensing internal probe position employing impedance electrodes on the surface of the body
    • A61B5/062Determining position of a probe within the body employing means separate from the probe, e.g. sensing internal probe position employing impedance electrodes on the surface of the body using magnetic fi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61Image-producing devices, e.g. surgical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7Surgical systems with images on a monitor dur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90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 A61B90/98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using electromagnetic means, e.g. transpon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115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 A61B2017/00119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alarm; indicating an abnormal sit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115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 A61B2017/00128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related to intensity or progress of surgic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76Material propertie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A61B2034/2046Tracking techniques
    • A61B2034/2051Electromagnetic track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7Indication means
    • A61B2090/0811Indication means for the position of a particular part of an instrument with respect to the rest of the instrument, e.g. position of the anvil of a stapling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7Surgical systems with images on a monitor during operation
    • A61B2090/374NMR or MR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7Surgical systems with images on a monitor during operation
    • A61B2090/376Surgical systems with images on a monitor during operation using X-rays, e.g. fluo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7Surgical systems with images on a monitor during operation
    • A61B2090/376Surgical systems with images on a monitor during operation using X-rays, e.g. fluoroscopy
    • A61B2090/3762Surgical systems with images on a monitor during operation using X-rays, e.g. fluoroscopy using computed tomography systems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7Surgical systems with images on a monitor during operation
    • A61B2090/378Surgical systems with images on a monitor during operation using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57Proximity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Robo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널을 따라 삽입되는 내시경기구의 선단이 내시경채널부의 선단과 일정거리 내로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거리단계별로 인지하도록 하여, 상기 내시경기구를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선단과 근접한 위치까지 빠른 속도로 삽입할 수 있어 시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내시경기구를 빨리 삽입함에 발생하는 내시경기구 선단의 순간 돌출에 따른 소화기관 장기 손상을 방지하는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Digestive Endoscopy System}
본 발명은 내시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시경의 채널을 따라 삽입되는 내시경기구의 선단이 내시경 채널의 선단에 근접하는 것을 사용자의 감각(촉각, 시각)으로 감지되도록 하여, 상기 내시경기구를 삽입하면서 일일이 모니터를 통해 내시경기구 선단의 위치를 확인할 필요 없이 상기 내시경의 채널을 따라 내시경기구를 상기 내시경의 채널의 선단 근처까지 빨리 삽입할 수 있는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내부를 가시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장치로는 X-RAY 투시기, 초음파 검사기, 및 NMR-CT와 같은 다양한 촬영장치가 있다.
앞서 나열한 장치는 외부에서 인체 내부를 간접적으로 측정하거나, 인체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특정 신호를 인체의 외부에서 수신하여 이를 조합 또는 화상 처리하여 인체의 이상 부위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다. 이런 방법으로 취득된 정보는 촬영대상 즉, 인체와의 거리 또는 수신되는 신호 및 처리되는 신호의 오류 등에 의하여 명확한 영상을 취득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다.
따라서 최근에는 인체의 이상부위에 직접 촬영장치를 투입하여 정확한 영상을 얻는 내시경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소화기관 내시경은 인체 내부를 가시적으로 확인하고 진단하는 장비로, 상기 소화기관 내시경은 일정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내시경 채널, 상기 내시경 채널의 끝단에 배치되는 카메라, 및 내시경 채널의 선단을 통해서 노출되는 내시경기구(수술도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소화기관 내시경은 내시경 채널을 통하여 환자의 소화기관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내시경 채널의 선단으로부터 노출된 후 소화기관 내부를 관찰 또는 치료 하는 내시경기구(수술도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내시경기구로는 환부 부위를 수술하거나 절개할 수 있도록 집게, 가위 및 겸자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아울러 후크, 메스, 핀, 전기 소작기(electrocautery: 인체 국소부위에 고전류를 흘려보내 발생하는 열로 조직을 태워서, 절개 또는 지혈을 행하는 기기)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내시경기구가 소화기관 내부를 관찰 또는 치료하기 위하여 상기 내시경 채널의 선단으로부터 나올 때, 의도치 않게 상기 내시경기구가 소화기관 내벽과 접촉하여 내벽에 상처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2-0107267호(2012.10.02)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삽입되는 내시경기구가 내시경의 선단(끝)에 도달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화면을 통해 내시경기구의 선단이 채널에서 돌출되어야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데, 상기 내시경기구를 빠르게 밀어 넣으면 내시경 채널 선단을 지나 환자의 위장 내강에 손상을 가할 수 있어, 화면에 보일 때까지 내시경기구를 천천히 밀어넣어야 함에 따라 내시경기구의 삽입에 많은 시간이 소비되었다.
본 발명은 내시경 채널을 따라 삽입되는 내시경기구의 선단이 내시경 채널의 선단과 일정거리 내로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거리단계별로 인지하도록 하여, 상기 내시경기구를 상기 내시경 채널의 선단과 근접한 위치까지 빠른 속도로 삽입할 수 있어 시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내시경기구를 빨리 삽입함에 의하여 발생하는 내시경기구 선단의 순간 돌출에 따른 소화기관 장기 손상을 방지하는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관 내시경시스템은 환자의 소화기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소화기관의 내부를 관찰 또는 치료하는 내시경기구와, 상기 내시경기구가 이동하는 채널이 내부에 형성되는 내시경채널부, 및 상기 내시경 기구의 선단이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선단과 설정거리 이하로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감지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채널의 입구 내경은 상기 내시경기구의 외경과 동일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내시경기구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내시경기구의 선단이 내시경 채널부 선단까지의 도달거리를 단계적으로 인지하게 하는 복수 개의 요홈으로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채널의 입구에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내시경기구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상기 내시경기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내시경채널부의 채널을 따라 삽입되는 내시경기구의 선단이 내시경채널부의 선단과 일정거리 내로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거리단계별로 인지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내시경기구를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선단의 근접위치까지 신속하게 삽입할 수 있어, 시술 시간을 상당히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상기 내시경기구를 빨리 삽입함에 발생하는 내시경기구 선단의 순간 돌출에 따른 소화기관 장기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의 감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의 감지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내시경의 채널을 따라 삽입되는 내시경기구 중, 그 선단이 내시경 채널의 선단의 근접위치에 도달한 것을 사용자의 감각(촉각, 시각)으로 감지되도록 하여, 상기 내시경기구를 삽입하면서 일일이 모니터를 통해 내시경기구 선단의 위치를 확인할 필요 없이 상기 내시경기구를 상기 내시경 채널의 선단의 근접위치까지 빨리 삽입할 수 있는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은 내시경채널부(10)와 내시경기구(20)를 포함한다. 상기 내시경채널부(10)는 내부에 복수 개의 채널(11)이 중공으로 형성되고, 이들 채널(11) 중 어느 한 채널(11)의 선단에는 카메라가 배치된다. 상기 내시경채널(10)의 선단은 소화기관 중, 입 또는 항문을 통해서 소화기관 내로 삽입되어, 소화기관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내시경기구(20)는 상기 내시경채널부(10)의 후방에서 상기 내시경채널부(10)의 채널(11)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내시경채널부(10)의 선단으로 노출된 후, 상기 내시경채널부(10)의 선단에서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여기서 상기 내시경기구(20)는 내시경시술 시 사용되는 스네어, 인젝터, 포셉 등 다양한 기구들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채널 입구 내경은 상기 내시경기구의 외경보다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되어 상기 내시경기구가 상기 채널(11)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내시경기구(20)의 후방 측에는 감지부(30)가 형성된다.
상기 감지부(30)는 상기 내시경기구의 선단이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선단과 설정거리 이하로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으로, 상기 내시경기구(20)의 후방측 둘레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돌기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정거리는, 상기 내시경기구의 선단이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선단에 근접하였을 때의 상기 내시경기구의 선단과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선단 사이의 거리로서, 안전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결정하고, 이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돌기부재를 배치한다.
상기 돌기부재는, 상기 내시경기구가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채널로 삽입되어 들어가는 중 상기 내시경기구의 선단이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선단으로부터 설정거리에 도달하면,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채널 입구와 접촉하도록 상기 내시경기구의 후방에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재는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입구의 내면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재가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입구를 통과할 때 사용자가 마찰저항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 저항감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내시경기구의 선단이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선단으로부터 설정거리에 도달하였음을 인지하고, 이후로는 상기 내시경기구를 천천히 전진시킨다. 이에 따라 내시경기구의 삽입 시간을 단축시켜 시술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부(30)가 내시경기구(20)의 자체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돌기부재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내시경기구가 삽입되는 공간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내시경기구가 끼워지는 링 형상의 부재로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링 형상의 감지부(30)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탄성을 갖는 실리콘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내시경기구(20)에서 감지부(3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감지부(30)가 적용되지 않은 종래의 내시경기구(20)에 보다 간편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다른 한편, 상기 감지부는 상기 내시경기구의 외주에 형성되는 코팅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코팅층은 상기 내시경기구의 외주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실리콘 또는 테프론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감지부(30)인 돌기가 돌출마디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기재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감지부(30)인 돌기가 도트 형태의 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30)는 상기 내시경기구(20)의 후방 측에서 선단 측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시경 채널(11) 선단까지의 도달거리를 단계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내시경기구(20)의 후단에서 선단 방향으로 감지부(30)인 돌기를 5cm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상기 내시경기구(20)를 상기 내시경 채널(11)에 삽입하면서, 내시경기구(20)의 감지부(30)를 인지하여, 상기 내시경 채널(11)을 따라 삽입되는 상기 내시경기구(20) 선단의 위치를 짐작할 수 있음은 물론, 이를 통해 상기 내시경 채널(11) 선단까지의 근접도를 예측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사용자는 손가락의 촉감을 이용하여 내시경기구의 선단이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선단과 근접하였음을 인지할 수도 있다.
상기 내시경기구(20)가 상기 내시경채널부(10)의 채널(11)에 삽입되는 중, 상기 채널(11)의 선단 근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돌기부재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돌출 촉감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통한 촉감으로 상기 내시경기구(20)의 선단이 상기 채널(11)의 선단의 근처에 도달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감지부(30)인 돌기부재는 상기 내시경기구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로 이루어지며, 도달거리에 반비례하여 돌기의 개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데, 사용자는 손가락을 통해 전해진 돌출마디의 개수로, 상기 내시경 채널(11) 선단까지의 도달거리를 카운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채널 입구에, 중앙에 상기 내시경기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시경채널부와 결합되는 패킹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의 삽입홀은 상기 내시경기구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내시경기구의 돌기부재가 삽입홀을 통과하는 경우 접촉하여 마찰저항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상기 내시경기구의 선단이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선단과 근접하였음을 알려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의 감지부는, 태그와 검출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태그(231)는 상기 내시경기구의 후방에 형성되며 자성을 발생시킨다. 상기 태그는, 상기 내시경 채널의 채널(11)에 삽입되는 내시경기구(20)의 둘레에 내향으로 매립 구비된다. 상기 태그(231)는, 상기 내시경기구의 선단이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선단으로부터 설정거리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검출수단(232)의 일측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태그로부터 발생되는 자성을 감지한다.
상기 태그로부터 발생되는 자성이 감지되면, 상기 검출수단(2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는 소리(경고음) 및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내시경채널부(10)의 채널(11)에 내시경기구(20)를 삽입하는 사용자가 상기 내시경기구의 선단이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선단과 근접하였음을 알려준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내시경기구의 선단이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선단과 설정거리 이하로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태그(231)는 상기 내시경기구(20)의 후방 측에서 선단 측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시경기구의 선단과 상기 내시경 채널(11) 선단까지의 거리를 단계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내시경기구(20)의 후단에서 선단 방향으로 복수개의 자성 태그(231)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내시경기구(20)를 내시경 채널(11)로 삽입하는 경우, 상기 검출수단(232)은 태그(231)에서 발생하는 자성을 감지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킴으로써, 상기 채널(11)을 따라 삽입되는 상기 내시경기구(20) 선단의 위치를 짐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상기 내시경기구(20) 선단과 상기 내시경 채널(11) 선단의 거리를 카운트할 수 있다.
상기 태그는, 상기 내시경기구(20)의 선단이 상기 내시경 채널(11) 선단 도달 50cm 전, 도달 30cm 전, 도달 10cm전, 도달 5cm 전, 도달 4 cm 전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채널의 입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채널(11)로 상기 내시경기구(20)를 삽입하는 경우, 상기 내시경기구(20)의 후단 측에 형성된 내시경 채널(11) 선단 도달 50cm 전을 알리는 태그(231)가 상기 검출수단(232)을 통과하면, 상기 검출수단(40)은 내시경 채널(11) 선단 도달 50cm 전의 태그(231)를 감지하고, 해당 도달거리에 상응하는 소리가 제어부를 통해 출력되어, 상기 내시경기구(20)를 상기 내시경 채널(11)로 삽입하는 사용자에게 상기 내시경기구의 선단이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선단과 50cm 이하로 근접하였음을 알려준다.
그리고 상기 내시경기구(20)의 삽입을 계속 진행하여 상기 내시경기구(20)의 선단이 상기 내시경 채널(11) 선단 도달 30cm 전에 도달하면, 상기 검출수단은 채널(11) 선단도달 30cm 전의 태그를 감지하여 해당 도달거리에 상응하는 소리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내시경선단과 상기 내시경 채널부의 선단까지의 도달거리를 카운트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감지부(30)인 자성을 발신하는 태그는 내시경기구(20)의 둘레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돌출마디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돌출마디에 의한 마찰저항의 변화를 통하여 상기 내시경기구(20) 선단이 상기 내시경 채널(11) 선단과 근접거리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수단(40)에서 검출된 신호가 제어부를 통해 소리로 출력될 뿐만 아니라, 내시경과 연결된 모니터 상의 화면에 상기 내시경기구(20) 선단이 상기 내시경 채널(11) 선단까지 도달하기 위해 남은 거리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내시경기구(20)의 도달거리를 인지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의 감지부는, 전자신호를 발생시키는 태그 및 검출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태그는 상기 내시경기구의 후단에 장착되며 전자신호(RF신호)를 발신한다. 그리고 상기 내시경채널부(10)의 채널(11) 후단에는 상기 내시경기구(20)의 후단 측에서 구비된 태그(331)를 검출하여,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수단(40)이 포함된다.
상기 태그(331)는, 상기 내시경기구의 선단이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선단과 설정거리 이내에 도달하면 상기 검출수단(332)의 일측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태그로부터 발생되는 전자신호를 감지하고, 전자신호를 감지한 후 사용자가 청각및 촉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검출수단(3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에서 소리(경고음) 및 진동으로 표현되어, 상기 내시경채널부(10)의 채널(11)에 내시경기구(20)를 삽입하는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내시경기구의 선단이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선단과 설정거리 이하로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태그(331)는 상기 내시경기구(20)의 후방 측에서 선단 측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시경기구(20)의 선단과 상기 채널(11) 선단까지의 거리를 단계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내시경채널부
11: 채널
20: 내시경기구
30: 감지부
40: 검출수단

Claims (3)

  1. 환자의 소화기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소화기관의 내부를 관찰 또는 치료하는 내시경기구와, 상기 내시경기구가 이동하는 채널이 내부에 형성되는 내시경채널부, 및 상기 내시경 기구의 선단이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선단과 설정거리 이하로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내시경기구에 형성되며, 자성을 발생시키는 태그와,
    상기 내시경채널부에 형성되며, 상기 태그에서 발생되는 자성을 감지하여 상기 내시경 기구의 선단이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채널의 선단과 설정거리 이하로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
  2. 환자의 소화기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소화기관의 내부를 관찰 또는 치료하는 내시경기구와, 상기 내시경기구가 이동하는 채널이 내부에 형성되는 내시경채널부, 및 상기 내시경 기구의 선단이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선단과 설정거리 이하로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내시경기구에 형성되며, 전자신호(RF신호)를 발신하는 태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시경채널부에 형성되며, 상기 태그에서 발생되는 전자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내시경 기구의 선단이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선단과 설정거리 이하로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내시경 기구의 선단이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선단과 설정거리 이하로 근접하다고 판단한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
KR1020190047887A 2018-01-15 2019-04-24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 KR102125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847 2018-01-15
KR20180004847 2018-01-1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782A Division KR20190094075A (ko) 2018-01-15 2018-08-20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342A true KR20190087342A (ko) 2019-07-24
KR102125467B1 KR102125467B1 (ko) 2020-06-23

Family

ID=6748096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782A KR20190094075A (ko) 2018-01-15 2018-08-20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
KR1020190047886A KR102125466B1 (ko) 2018-01-15 2019-04-24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
KR1020190047887A KR102125467B1 (ko) 2018-01-15 2019-04-24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782A KR20190094075A (ko) 2018-01-15 2018-08-20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
KR1020190047886A KR102125466B1 (ko) 2018-01-15 2019-04-24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153952A1 (ko)
JP (1) JP7206280B2 (ko)
KR (3) KR201900940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000A (ko) * 2020-08-14 2022-02-2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호흡기용 어댑터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9104A (ja) * 2001-07-06 2003-01-21 Olympus Optical Co Ltd 挿入部検出プローブ
KR20030053039A (ko) * 2001-12-21 2003-06-27 바이오센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위치 센서
KR20060037253A (ko) * 2003-06-10 2006-05-03 사이트라인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내시경검사 환자용 의복
JP5717991B2 (ja) * 2010-07-09 2015-05-13 株式会社トップ 内視鏡用デバイス
KR20160051738A (ko) * 2013-08-15 2016-05-11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카테터 위치설정 및 삽입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7824A (en) * 1981-01-14 1982-07-22 Olympus Optical Co Treating tool inserting and pulling out apparatus of endoscope
JPH03111025A (ja) * 1989-09-26 1991-05-10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鉗子栓
JP3306330B2 (ja) * 1997-03-10 2002-07-24 旭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JP2007259998A (ja) * 2006-03-28 2007-10-11 Fujinon Corp 処置具の挿入長検出装置
US20080188862A1 (en) * 2007-02-01 2008-08-07 Olymous Medical Systems Corp. Method of treatment with endoscope
JP2017169777A (ja) * 2016-03-23 2017-09-2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医療用チューブ、処置具、内視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9104A (ja) * 2001-07-06 2003-01-21 Olympus Optical Co Ltd 挿入部検出プローブ
KR20030053039A (ko) * 2001-12-21 2003-06-27 바이오센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위치 센서
KR20060037253A (ko) * 2003-06-10 2006-05-03 사이트라인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내시경검사 환자용 의복
JP5717991B2 (ja) * 2010-07-09 2015-05-13 株式会社トップ 内視鏡用デバイス
KR20160051738A (ko) * 2013-08-15 2016-05-11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카테터 위치설정 및 삽입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000A (ko) * 2020-08-14 2022-02-2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호흡기용 어댑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341A (ko) 2019-07-24
KR20190094075A (ko) 2019-08-12
KR102125466B1 (ko) 2020-06-23
KR102125467B1 (ko) 2020-06-23
JP7206280B2 (ja) 2023-01-17
JP2021511854A (ja) 2021-05-13
US20210153952A1 (en)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959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laser fiber misfiring within endoscopic access devices
JP2019162431A (ja) 外科的開創器
EP3413785B1 (en) Surgical system
EP2719316B1 (en) Insertion inlet fitting
US20150342521A1 (en) Surgical apparatus and system
EP2548517A1 (en) Catheter for endoscope
CN102711635A (zh) 用于带有触觉反馈的微创外科手术工具的系统和方法
US20110257671A1 (en) Contact detection tubes, methods and systems for medical procedures
WO2014123130A1 (en) Robotic-assisted surgica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354164A1 (en) Surgical system and medical-device-interference avoidance method
KR101863440B1 (ko) 환부 위치 파악을 위한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125467B1 (ko)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
WO1999002098A1 (fr) Detecteur de site presentant une lesion afin d'effectuer une intervention chirurgicale par laparotomie ou laparoscopie
KR20220017415A (ko) 수술용 니들 세트 및 수술 기구의 위치 결정 방법
JP3321236B2 (ja) 体腔内位置検出システム
US11925325B2 (en) Medical system, media and/or energy source, and trocar
WO2019139356A1 (ko) 소화기관 내시경 시스템
JP7396805B2 (ja) 角度付き遠位面を有するシース先端部
CN112386211B (zh) 柔性内窥镜装置
JP2005334472A (ja) 医療システム
KR101171025B1 (ko) 자연개구부 내시경수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9171059A (ja) 検出可能なリーダーを有するシース
JP2023041798A (ja) 医療器具の穿刺警告装置
JP2014155638A (ja) 超音波治療装置および超音波治療システム
JP2018068353A (ja) 内視鏡検知システム、内視鏡検知装置、内視鏡用フード及び内視鏡検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