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253A - 실물 객체를 촬영하여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가상촬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물 객체를 촬영하여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가상촬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253A
KR20190087253A KR1020180045007A KR20180045007A KR20190087253A KR 20190087253 A KR20190087253 A KR 20190087253A KR 1020180045007 A KR1020180045007 A KR 1020180045007A KR 20180045007 A KR20180045007 A KR 20180045007A KR 20190087253 A KR20190087253 A KR 20190087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mage
virtual object
terminal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준
Original Assignee
유니토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토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유니토엔터테인먼트
Priority to PCT/KR2018/01694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39294A1/en
Publication of KR20190087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2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obtaining special effects
    • H04N9/75Chroma 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상촬영 시스템은 기존 가상촬영 시스템이 가상 객체의 컨텐츠를 생성할 수 없었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가상 객체를 생성하기를 원하는 실물 객체에게 미리 설정된 조명을 적용하고 크로마키 배경을 포함하여 실물 객체의 영상 또는 영상을 촬영한 뒤 크로마키 배경과 실물 객체를 분리하는 과정을 통해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가상 객체는 사용자의 동의에 따라 가상 객체 서버에 저장하는 과정을 통해서 다양한 가상 객체가 추가될 수 있다. 일반 사용자는 가상촬영 시스템을 통해 생성한 자신의 실물 또는 가상 객체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선택하여 호출한 동일한 조명과 설정값이 적용된 가상 객체와 가상촬영 시 해당 가상 객체에 적용된 것과 동일한 조명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가상 객체와의 사실적인 가상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실물 객체를 촬영하여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가상촬영 시스템{VIRTUAL PHOTOGRAPHY SYSTEM FOR PRODUCING VIRTUAL OBJECT BY PHOTOGRAPHING REAL OBJECT}
본 발명은 가상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용 단말을 이용해 복수의 실물 객체로부터 다양한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가상촬영 시스템이 관광지, 박물관, 야구장 등의 공공 장소에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가상 촬영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유명인의 영상 컨텐츠, 이를테면 K팝스타, 스포츠 스타, 연예인, 정치인 등을 가상 객체화한 컨텐츠가 저장된 가상촬영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촬영 영상을 합성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개별 사용자 수준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진촬영 및 합성 기법도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14313호(2015.04.16 등록)에는, 온라인의 가상 공간에 원격지의 사용자들이 참여하도록 하여 사진촬영을 수행하는 가상촬영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메인 휴대 단말로 서비스 앱을 실행하여 촬영 대상자들을 초대하고, 촬영 대상자의 단말, 그리고 서버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참여자들과 합성된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개시함으로써 유명인과의 기념 촬영, 온라인 팬클럽에서 스타와의 사진 촬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상촬영 시스템은 서비스를 하는 측에서는 유명인의 가상 객체를 촬영하고 컨텐츠화하기 위해 많은 비용을 들여야 하며, 사용자 역시 원하는 합성 컨텐츠를 얻기 위해서는 복잡한 절차를 거치고 높은 비용을 들여야 하는 등 가상촬영을 위한 가상 객체 컨텐츠의 확보가 어려웠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에서 유명인의 가상 객체 컨텐츠를 확보하려면 우선 유명인을 촬영 스튜디오에 직접 초빙해야 하는데, 조명이나 크로마키 배경 등을 갖춘 스튜디오를 준비하더라도 현실적으로 유명인이 직접 스튜디오로 방문해야한다는 어려움이 있다.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촬영 환경에 따라 조명 밝기나 배경이 상이하여 자연스러운 합성 영상을 얻기 곤란하고, 더욱이, 합성된 영상 또는 사용자 본인의 영상을 사용해 새로운 합성영상을 생성하는 것은 엄두를 내기 어려웠다.
더욱이, 최근에는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개인 단말에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는 소위 앱 마켓이 대중화되어 있으므로, 본인의 영상을 사용한 합성 영상을 공유하는 것이 용이하고 이를 매개로 한 커뮤니티 활동도 가능할 것인 바, 양질의 가상 객체 컨텐츠들을 확보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높다.
크로마키 배경과 조명을 갖춘 환경에서 가상 객체 컨텐츠를 용이하게 확보함은 물론, 부가적인 보정을 요하지 않는 균일한 수준의 합성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동일한 조건을 갖춘 촬영 환경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을 다수 제공하여 사용자가 가상 객체들과 동일한 촬영 조건하에서 촬영 및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임에도 기존 종래기술에서는 그런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나아가, 어느 하나의 단말에서 사용자의 원본 영상을 즉각 가상 객체 컨텐츠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후 다른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이를 이용한 합성 사진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종래 기술에 의해 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가상 객체 컨텐츠를 확보하거나 축적하기 용이한 가상촬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밝기와 품질의 가상 객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가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은, 적어도 카메라와 조명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실물 객체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촬영부를 포함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실물 객체를 분리한 영상을 추출함으로써 사용자의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는 복수의 사용자용 단말, 그리고 상기 실물 객체의 영상 또는 상기 가상 객체를 저장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자용 서버를 이용하여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용 단말은 복수의 거점(base)에 배치되되 상기 서비스 제공자용 서버를 통해 서로 네트워크 연결되고, 복수의 사용자용 단말 중 제1 사용자용 단말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사용자의 실물 객체로부터 제1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제1 사용자의 동의에 의해 상기 제1 가상 객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되는 단계, 제1 사용자의 거점의 단말기 또는 온라인상의 추가 동의에 의해 상기 제1 가상 객체가 상기 서버에서 공개 가능한 것으로 분류되는 단계, 복수의 사용자용 단말 중 제2 사용자용 단말에 대한 제2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가상 객체를 호출하는 단계, 제2 사용자용 단말에 대한 제2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2 사용자의 실물 객체와 상기 제1 가상 객체의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제2 사용자의 동의에 의해 상기 합성 영상이 상기 서버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용 단말이 동일한 촬영조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시스템은, 적어도 카메라와 조명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실물 객체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촬영부를 포함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실물 객체를 분리한 영상을 추출함으로써 사용자의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는 복수의 사용자용 단말, 그리고 상기 실물 객체의 영상 또는 가상 객체를 저장하고 동일 또는 다른 사용자의 호출에 의해 이미 저장된 가상 객체를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자용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용 단말은 복수의 거점(base)에 배치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자용 서버를 통해 서로 네트워크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사용자용 단말 중 제1 사용자용 단말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사용자의 실물 객체로부터 제1 가상 객체가 생성되고, 제1 사용자의 동의에 의해 제1 가상 객체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용 서버에 저장되고, 제1 사용자의 거점의 단말기 또는 온라인상의 추가 동의에 의해 상기 제1 가상 객체가 상기 서버에서 공개 가능한 것으로 분류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용 단말 중 제2 사용자용 단말에 대한 제2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가상 객체가 상기 서버로부터 호출되고, 제2 사용자용 단말에 대한 제2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2 사용자의 실물 객체와 상기 제1 가상 객체의 합성 영상이 생성되고, 제2 사용자의 동의에 의해 상기 합성 영상이 상기 서버에 저장되며, 각 스튜디오 부스가 동일한 촬영 조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상촬영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실물 객체를 가상 객체로 변경하여 가상촬영 시스템에 반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사용자들이 생성한 가상 객체를 서버에 저장하게 되어 일반 사용자로 하여금 기존의 가상촬영 시스템에 비해 다양하게 수집된 가상 객체와 가상촬영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상촬영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다양한 사용자들이 동일한 조건에서 촬영 가능하므로 다양한 가상 객체와의 사실적인 가상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상촬영 시스템 및 방법은 실물 객체의 영상과 동영상을 컨텐츠화하여 다시 가상 객체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쉽게 원하는 객체를 가상 객체로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수요의 가상촬영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용 단말을 구비한 스튜디오 부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와 3b는 개방형 부스 또는 스탠드 타입으로 구성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촬영된 제1 실물 객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5a의 촬영 영상로부터 제1 가상 객체를 추출한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객체 리스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스튜디오 부스에서 촬영된 제2 실물 객체와 제1 가상 객체의 합성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스튜디오 부스에서 촬영된 제2 실물 객체로부터 추출된 제2 가상 객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스튜디오 부스에서 촬영된 제3 실물 객체와 제2 가상 객체의 합성 촬영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스튜디오 부스에서 촬영된 제3 실물 객체와 제1 및 제2 가상 객체와의 합성 촬영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객체를 연쇄적으로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단말', '~솔루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단말', '~솔루션'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단말', '~솔루션'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단말', '~솔루션'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 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단말', '~솔루션'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단말', '~솔루션'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단말', '~솔루션'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객체를 연쇄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 시스템은 복수의 스튜디오 부스(S1, S2, S3, … Sn)와 서비스 제공자용 서버(20),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30)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튜디오 부스(S1, S2, S3, …Sn)는 촬영부(P1, P2, P3, …Pn) 및 사용자용 단말(T1, T2, T3, …Tn)을 구비하며, 복수의 거점(base)에 설치될 수 있다.
촬영부(P1, P2, P3, …Pn)는 실물 객체의 원본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스튜디오 부스(Sn)를 나타낸 도 2a 내지 2d를 참조하면, 카메라(2), 조명(3) 및 크로마키(Chroma key) 배경(4)을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은 정지 영상은 물론이고 동영상일 수도 있다. 카메라(2)는 부스 내의 특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데, 후술하는 사용자용 단말에 부착되거나 내장될 수 있다. 조명(3)은 LED등의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촬영시 예를 들어 일반적인 실내 조명의 밝기와 색온도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b 내지 2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조명이 디스플레이(6) 둘레로 매립될 수도 있다. 크로마키 배경(4)은 단색 배경, 예를 들어 블루 스크린이나 그린 스크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6)를 통해 촬영할 영상을 확인하면 촬영 지시를 내리기 위해 터치스크린이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촬영부(P1, P2, P3, …Pn)와 사용자용 단말(T1, T2, T3, …Tn)을 구분하였으나, 설치 조건에 따라 사용자용 단말을 촬영부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상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스튜디오 부스(S1, S2, S3, .. Sn)에서 카메라(2), 조명(3) 및 크로마키 배경(4)의 상태값 또는 설정값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모든 스튜디오 부스에서의 촬영 조건이 일정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카메라 설정값, 조명 및 크로마키의 종류, 성능, 세기 또는 배치 등이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용 단말(T1, T2, T3, …Tn)은 크로마키를 배경으로 촬영한 실물 객체의 원본 영상으로부터 가상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6) 및 컴퓨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는 정보처리를 위한 계산을 수행하거나 작업을 통제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사용자 본인의 정보나 영상 저장 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장치,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 및 디스크 드라이브, 문서나 사진 등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 장치, 및 유무선 네트워크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용 단말(T1, T2, T3, …Tn)은 상기 촬영부(P1, P2, P3, …Pn)와 연동되어 있어서 촬영 전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6)를 통해 보여줄 수 있고,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용 단말의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용 서버(20)는 스튜디오 부스(S1, S2, S3, .. Sn)와 원격지에 위치하며, 네트워크(30)를 통해 스튜디오 부스 내에 있는 사용자용 단말의 컴퓨터와 연동된다. 여기서 서버(20)는 네트워크 서버, 컴퓨팅 서버, 파일 서버 및 내장/외장 데이터베이스를 포괄하는 개념의 장치를 지칭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스튜디오 부스(S1, S2, S3, .. Sn)에서 사용자의 실물 객체를 촬영하고 사용자용 단말(T1, T2, T3, …Tn)을 통해 가상 객체화한 후 이를 서비스 제공자용 서버(20)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실물 객체의 원본 영상을 서비스 제공자용 서버(20)에 전송한 후 서버측에서 제공하는 가상 객체 생성부에서 가상 객체화 한 후 이를 사용자용 단말(T1, T2, T3 … Tn)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가상 객체화 한다’,‘가상 객체를 생성한다’또는 ‘가상 객체 컨텐츠화 한다’는 것은 실물 객체를 촬영한 다음 크로마키 배경 등으로부터 실물 객체만을 분리하여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스튜디오 부스는 모듈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이동이 용이하도록 컨테이너 타입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따라서, 유명인들의 가상 객체를 컨텐츠화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이들을 직접 스튜디오로 초대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스튜디오 부스를 공연장이나 스포츠 스타디움 현장에 배치하면, 공연이나 경기 전후에 해당 스타가 현장의 스튜디오 부스에 잠깐 들르는 것만으로 가상 객체 컨텐츠를 쉽게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 객체 컨텐츠를 만들기 위해 별도의 스케쥴을 잡을 필요도 없고, 별도의 메이크업이나 장거리 이동도 불필요하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공연이나 스포츠 경기를 즐긴 후 현장에 있는 스튜디오 부스에 들러, 방금 본 스타와의 합성 영상을 바로 촬영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상 객체 연쇄 생성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8b을 참조하여 가상 객체를 연쇄적으로 생성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제1 스튜디오 부스(S1)에서 사용자가 본인의 실물 객체(11)를 촬영한다(도 5a 참조). 최초의 가상 객체 컨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이 사용자는 연예인과 같은 유명인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든 스튜디오 부스(S1, S2, S3, …Sn)에서 촬영 조건이 동일해야 하므로, 스튜디오 부스(S1)내 카메라(2)의 성능, 위치 및 앵글, 조명(3)의 종류와 세기, 크로마키 배경(4)의 색상 등은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설정된다. 이로 인해, 추후 합성 영상 생성시 조명이나 톤의 차이에 대한 보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촬영시 실물 객체(11)와 카메라(2) 간의 위치를 모든 스튜디오 부스에서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추후 합성 촬영시 별도의 사이즈 조절이 필요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테면 실물 객체(11)의 촬영 위치를 부스의 바닥에 표시해 둘 수 있다.
사용자는 크로마키(4)를 배경으로 나타난 본인의 모습을 디스플레이(6)를 통해 확인한 다음, 예를 들어 풋 스위치를 밟는 것에 의해 촬영을 지시할 수 있다(S101).
촬영된 영상(13)은 별도의 지시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용 단말(T1)에 의해 자동으로 가상 객체화 될 수 있다. 즉, 사용자용 단말(T1)에 구비된 컴퓨터에 탑재된 가상 객체 생성 솔루션을 이용하여 크로마키 배경(4)으로부터 사용자의 실물 객체(11)를 분리하여 가상 객체를 생성한다(S105). 또한, 한 번의 촬영 지시에 의해 사용자의 동작을 연속으로 촬영함으로써 다수의 가상 객체가 동시에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가상 객체(12, 도 5b 참조)는 디스플레이(6)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단말(T1)에 구비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것은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으므로, 결과물의 품질은 상기 컴퓨터에 내장된 솔루션의 정밀도나 컴퓨터 자체의 성능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 플레이(6)를 통해 확인된 가상 객체(12)에 만족하지 못하거나 혹은 더 높은 품질의 가상 객체를 얻고자 한다면, 사용자용 단말(T1)을 이용하여 촬영 영상(13)을 서비스 제공자용 서버(20)에 전송하여 가상 객체의 생성을 요청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S102). 그러면 서버(20)에 탑재된 더 높은 정밀도의 가상 객체 생성 솔루션을 이용하거나, 또는 전문가에 의해 수동으로 고품질의 가상 객체가 생성될 수 있다(S103). 물론, 이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과금이 요청될 수 있다. 이렇게 가상 객체(12)가 생성되면 서버(20)는 이를 다시 스튜디오 부스(S1)로 전송하거나(S104), 후술하는 사용자 개인 단말(40)로 전송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6)를 통해 가상 객체(12)를 확인하고 해당 거점의 단말(T1), 또는 개인 단말(40)을 통해 저장에 동의하면 해당 가상 객체(12)가 서버(20)에 저장된다(S106). 여기서 ‘서버에 저장된다’는 것은 서버에 내장되거나 이와 연동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DB)에는 사용자 정보 DB, 가상 객체 DB, 배경화면 DB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각 가상 객체에 대응하는 실물 객체 즉 사용자의 판별을 위해, 또는 기타 본인 확인이 필요한 경우를 위해, 각 스튜디오 부스의 사용자용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본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본인의 가상 객체(12)를 공개하는 것에 동의하면(S107), 해당 가상 객체가 서버(20)의 가상 객체 리스트(14, 도 6 참조)에 업로드된다(S108).
이와 같이, 제1 스튜디오 부스(S1)에서 사용자가 본인의 가상 객체(12)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사용자는 제2 스튜디오 부스(S2)에서 다음과 같이 연쇄적으로 제2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먼저, 제2 사용자가 제2 스튜디오 부스(S2)에 구비된 사용자용 단말(T2)을 이용하여 서버(20)로부터 가상 객체 리스트(14)를 호출하면(S109), 서버(20)는 가상 객체 리스트(14)를 사용자용 단말(T2)로 전송한다(S110). 이러한 가상 객체 리스트(14)는 인기 순위에 따라 가상 객체 컨텐츠를 나열한 것일 수 있고, 단말(T2)을 이용하여 원하는 가상 객체 컨텐츠를 검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제2 스튜디오 부스는, 특히 공연장이나 경기장과 같은 현장에 스튜디오 부스가 배치된 경우, 제1 스튜디오 부스와 동일한 부스일 수도 있다.
가상 객체 리스트(14)에서 가상 객체를 선택한 후(S111), 선택된 가상 객체(12)와 제2 사용자의 실물 객체(11′)가 합성된 상태(15, 도 7a 참조)를 디스플레이(6)를 통해 미리 확인하고 촬영을 지시한다(S112)(도 7a참조). 이 경우 배경 화면(18)은 디폴트로 설정된 영상이 디스플레이(6)에 표시될 수도 있고, 배경 화면(18)을 서버(20)에서 호출하거나 단말(T2)로부터 선택할 수도 있다(S121, S122).
촬영이 실행되면, 사용자용 단말(T2)은 제2 사용자의 촬영 영상으로부터 크로마키 배경(4)을 분리하고 제2 사용자의 실물 객체(11′)만 추출해 냄으로써 제2 사용자의 가상 객체(16)를 생성한다(S116)(도 7b참조). 제2 사용자에게는 디스플레이(6)상에 배경 화면(18)과 선택된 가상 객체(12), 그리고 본인의 실물 객체(11′)가 합성된 영상을 촬영하는 것으로 보여질 것이나, 실제는 실물 객체(11′)만을 촬영하여 제2 사용자 본인의 가상 객체(16)를 생성한 다음(S116), 배경 화면(18) 레이어와 가상 객체(12) 레이어에 본인의 가상 객체(16) 레이어를 중첩함으로써 합성 영상(15)을 생성해 내는 것이다(S117).
대안적으로, 제2 사용자 본인의 실물 객체로부터 가상 객체를 생성하라는 요청이 없다면 제2 가상 객체(16)의 생성을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크로마키 배경(4)을 사용할 필요 없이 주변을 배경으로 촬영하되 가상 객체(12)를 삽입 처리하는 것으로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튜디오 부스를 개방형 부스로 구성하거나 부스 타입이 아닌 스탠드 타입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도 3a 참조). 이 경우, 카메라(2)의 시야각으로 크로마키 배경(4) 대신 주변 영상, 이를테면 야외 배경, 스포츠 스타디움 현장, 또는 공연 현장 등이 배경으로 들어오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라도, 이동식 크로마키 배경을 활용한다면 사용자가 본인의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3b 참조).
앞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용 단말(T2)을 이용하여 본인 촬영 영상을 서비스 제공자용 서버(20)에 전송하여 가상 객체의 생성을 요청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S113). 이 경우, 제2 사용자의 가상 객체(16)가 생성되면(S114) 서버(20)는 이를 다시 스튜디오 부스(S2)로 전송하거나(S115), 후술하는 개인 단말(40)로 전송한다.
제2 사용자가 디스플레이(6)를 통해 합성 영상(15)을 확인하고 단말(T2)을 통해 저장에 동의하면 해당 가상 객체(16) 및 합성 영상(15)이 서버(2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S118). 제2 사용자는 본인 가상 객체(16)를 서버로 전송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용 단말(T2)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단말(T2)로부터 이를 불러온 다음 본인의 가상 객체(16)와 본인 실물 객체(11′)를 사용한 합성 촬영을 계속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사용자가 본인의 가상 객체(16)를 공개하는 것에 동의하면(S119), 해당 가상 객체가 서버(20)의 가상 객체 리스트(14)에 업로드 된다(S120). 제2 사용자의 가상 객체(16) 생성이 요청되지 않은 경우에는 합성 영상(15)만을 확인 후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제2 사용자는 사용자용 단말(T2) 또는 후술하는 개인 단말(40)을 이용하여 서버(20)로부터 배경 영상 리스트를 호출하거나(S121, S122), 가상 객체 리스트(14)를 재호출하여 다른 배경이나 다른 가상 객체를 선택함으로써 본인의 가상 객체(16)와 다양한 조합의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S123).
도 8a 및 8b를 참조하여, 제3 사용자가 제3 스튜디오 부스(S3)에서 가상 객체를 추가로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3 스튜디오 부스(S3)에서 제3 사용자가 제2 사용자의 가상 객체(16)를 호출하여 본인의 실물 객체(11″)와 함께 촬영함으로써 합성 촬영 영상(15′)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제3 사용자의 가상 객체를 생성한 다음 이 가상 객체를 배경 화면(18) 레이어 및 제2 사용자 가상 객체(16) 레이어와 중첩시킴으로써 구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사용자의 가상 객체를 생성하지 않더라도 주변을 배경으로 하여 합성 촬영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사용자는 제1 사용자의 가상 객체(12) 및 제2 사용자의 가상 객체(16)를 모두 호출하여 촬영함으로써 합성 촬영 영상(15″)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스튜디오 부스를 이용하여 가상 객체를 연쇄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일단 스튜디오 부스를 이용하여 본인의 가상 객체 컨텐츠가 생성되면, 이후로는 스마트 폰이나 PC와 같은 개인 단말을 이용하여 본인의 가상 객체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이를 다른 유명인 또는 지인의 가상 객체와 합성할 수 있다. 이는 앱 마켓 등을 통해 전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개인 단말(40, 도 4 참조)에 설치하여, 개인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용 서버(20) 또는 스튜디오 부스에 구비된 개인용 단말(T1, T2, T3, …Tn)과 네트워크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웹, 웹앱, 또는 네이티브 앱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서(S125, 도 4) 서버(20)에 저장된 자신의 가상 객체나 다른 공개된 가상 객체들을 자신의 개인 단말(40)로 호출할 수 있고(S126), 다양한 합성 영상을 생성한 다음 이를 다시 서버(20)에 저장할 수 있다(S127). 스튜디오 부스(S1, S2, S3,…Sn)에서 생성하여 서버(20)에 저장되어 있는 자신의 가상 객체에 대해 공개 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사전에 스튜디오 부스에서 입력한 본인 식별 정보에 대한 확인 과정을 거친 경우에만 자신의 가상 객체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식으로 다양한 가상 객체 및 배경 화면이 사용자의 개인 단말로 호출될 수 있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다양한 조합으로 합성이 가능할 것이다.
나아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가상 객체를 쉽게 확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전용 커뮤니티 웹사이트(50, 도 4 참조)를 통해 가상 객체를 공유하고 확산시킬 수도 있을 것이므로(S128, 도 4 참조), 본인의 가상 객체 컨텐츠를 유통시킬 수 있는 커넥션 및 관련 커뮤니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 값 등의 촬영 조건이 균일한 가상 객체 컨텐츠가 연쇄적으로 생성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공유 플랫폼을 통해 가상 객체 컨텐츠들이 활발하게 확산될 수 있다. 또한, 선택 빈도에 따라 해당 가상 객체의 본인에 대한 보상 정책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조합된 정보처리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객체 연쇄 생성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P1, P2, P3, .., Pn 촬영부
2 카메라
3 조명
4 크로마키 배경
T1, T2, T3, .. , Tn 사용자용 단말
6 디스플레이
S1, S2, S3, .., Sn 스튜디오 부스
11, 11′, 11″ 실물 객체
12 제1 가상 객체
13 촬영 영상
14 가상 객체 리스트
15, 15′, 15″합성 촬영 영상
16 제2 가상 객체
18 배경 화면
20 서비스 제공자용 서버
30 네트워크
40 사용자 개인 단말
50 커뮤니티 웹사이트
100 가상 객체 연쇄 생성 시스템

Claims (18)

  1. 적어도 카메라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실물 객체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촬영부를 포함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실물 객체를 분리한 영상을 추출함으로써 사용자의 가상 객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복수의 사용자용 단말, 그리고 상기 실물 객체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자용 서버를 이용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용 단말은 복수의 거점(base)에 배치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자용 서버를 통해 서로 네트워크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용 단말 중 제1 사용자용 단말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사용자의 실물 객체가 촬영되어 단말에 저장되는 단계;
    제1 사용자의 동의에 의해 상기 제1 실물 객체의 영상이 상기 서버에 저장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단말 또는 온라인상의 추가 동의에 의해 상기 제1 실물 객체가 상기 서버에서 공개 가능한 것으로 분류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용 단말 중 제2 사용자용 단말에 대한 제2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실물 객체 영상을 호출하는 단계;
    제2 사용자용 단말에 대한 제2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2 사용자의 실물 객체 영상으로부터 가상 객체를 추출한 영상과 상기 제1 실물 객체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제1 사용자의 가상 객체의 영상을 합성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제2 사용자의 동의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의 실물 객체 영상 또는 상기 합성 영상이 상기 서버에 저장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용 단말이 동일한 촬영조건을 갖는
    가상 객체의 합성 영상을 단말이 설치된 거점으로부터 생성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용자용 단말에 대한 제2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합성 영상을 생성할 때, 제2 사용자의 실물 객체 영상으로부터 제2 가상 객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제2 사용자의 동의에 의해 상기 제2 실물 객체 영상 또는 제2 가상 객체 영상이 상기 서버에 저장될 수 있는
    가상 객체의 합성 영상을 단말이 설치된 거점으로부터 생성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가 조명 및 크로마키 배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 객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용 단말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크로마키 배경을 분리하여 실물 객체의 영상만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상 객체의 합성 영상을 단말이 설치된 거점으로부터 생성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은 카메라 위치, 카메라 앵글, 조명값 및 크로마키 종류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 객체의 합성 영상을 단말이 설치된 거점으로부터 생성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물 객체 영상을 호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공개 가능한 것으로 분류된 가상 객체 또는 실물 객체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가상 객체 또는 실물 객체 리스트로부터 제1 가상 객체 또는 제1 실물 객체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상 객체의 합성 영상을 단말이 설치된 거점으로부터 생성하는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용 단말에 사용자의 본인 식별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객체의 합성 영상을 단말이 설치된 거점으로부터 생성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용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 가능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실물 객체 영상 및 상기 합성 영상이 상기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 또는 컴퓨터로 다운로드될 수 있는
    가상 객체의 합성 영상을 단말이 설치된 거점으로부터 생성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하나 이상의 가상 객체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가상 객체와 상기 다운로드 된 제1 실물 객체 영상을 사용하여 새로운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가상 객체의 합성 영상을 단말이 설치된 거점으로부터 생성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또는 전용 커뮤니티를 통해 상기 가상 객체 영상 또는 합성 영상을 공유할 수 있는
    가상 객체의 합성 영상을 단말이 설치된 거점으로부터 생성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용 단말 또는 서버에 미리 저장된 배경화면을 선택하여 하나 이상의 가상 객체 영상과 합성함으로써 최종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객체의 합성 영상을 단말이 설치된 거점으로부터 생성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합성 영상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용 서버 또는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나 컴퓨터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객체의 합성 영상을 단말이 설치된 거점으로부터 생성하는 방법.
  12. 적어도 카메라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실물 객체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촬영부를 포함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실물 객체를 분리한 영상을 추출함으로써 사용자의 가상 객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복수의 사용자용 단말, 그리고 상기 실물 객체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자용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용 단말은 복수의 거점(base)에 배치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자용 서버를 통해 서로 네트워크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사용자용 단말 중 제1 사용자용 단말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사용자의 실물 객체가 촬영되어 단말에 저장되고,
    제1 사용자의 동의에 의해 상기 제1 실물 객체의 영상이 상기 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단말 또는 온라인상의 추가 동의에 의해 상기 제1 실물 객체가 상기 서버에서 공개 가능한 것으로 분류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용 단말 중 제2 사용자용 단말에 대한 제2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실물 객체 영상이 상기 서버로부터 호출되고,
    제2 사용자용 단말에 대한 제2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2 사용자의 실물 객체 영상으로부터 가상 객체를 추출한 영상과 상기 제1 실물 객체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제1 사용자의 가상 객체 영상이 합성되어 합성 영상이 생성되고,
    제2 사용자의 동의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의 실물 객체 영상 또는 상기 합성 영상이 상기 서버에 저장되며,
    상기 복수의 사용자용 단말이 동일한 촬영 조건을 갖는
    가상 객체의 합성 영상을 단말이 설치된 거점으로부터 생성하는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용 단말에 대한 제2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합성 영상을 생성할 때, 제2 사용자의 실물 객체 영상으로부터 제2 가상 객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제2 사용자의 동의에 의해 상기 제2 실물 객체 영상 또는 제2 가상 객체 영상이 상기 서버에 저장될 수 있는
    가상 객체의 합성 영상을 단말이 설치된 거점으로부터 생성하는 시스템.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가 조명 및 크로마키 배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 객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용 단말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크로마키 배경을 분리하여 실물 객체의 영상만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상 객체의 합성 영상을 단말이 설치된 거점으로부터 생성하는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은 카메라 위치, 카메라 앵글, 조명값 및 크로마키 종류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 객체를 단말이 설치된 거점으로부터 생성하는 시스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용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 가능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실물 객체 영상 및 상기 합성 영상이 상기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 또는 컴퓨터로 다운로드될 수 있는
    가상 객체의 합성 영상을 단말이 설치된 거점으로부터 생성하는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하나 이상의 가상 객체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가상 객체와 상기 다운로드 된 제1 실물 객체 영상을 사용하여 새로운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가상 객체의 합성 영상을 단말이 설치된 거점으로부터 생성하는 시스템.
  18. 제 12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용 단말 또는 서버에 미리 저장된 배경화면을 선택하여 하나 이상의 가상 객체 영상과 합성함으로써 최종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객체의 합성 영상을 단말이 설치된 거점으로부터 생성하는 시스템.
KR1020180045007A 2018-01-15 2018-04-18 실물 객체를 촬영하여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가상촬영 시스템 KR201900872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6944 WO2019139294A1 (en) 2018-01-15 2018-12-29 Virtual photography system for producing virtual object by photographing real obj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832 2018-01-15
KR20180004832 2018-0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253A true KR20190087253A (ko) 2019-07-24

Family

ID=6748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007A KR20190087253A (ko) 2018-01-15 2018-04-18 실물 객체를 촬영하여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가상촬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72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615B1 (ko) * 2020-12-02 2022-04-26 주식회사 포니게임즈 3차원 실사 캐릭터 모델의 생성 및 공유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615B1 (ko) * 2020-12-02 2022-04-26 주식회사 포니게임즈 3차원 실사 캐릭터 모델의 생성 및 공유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2308B2 (ja) インタラクティブ双眼鏡ビデオ表示
JP5074752B2 (ja) 画像要求方法
US20140306995A1 (en) Virtual chroma keying in real time
JP3918632B2 (ja) 画像配信サーバ、画像配信プログラム、及び画像配信方法
JP6861287B2 (ja) 映像のための効果共有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90087253A (ko) 실물 객체를 촬영하여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가상촬영 시스템
See et al. Creating high fidelity 360° virtual reality with high dynamic range spherical panorama images
TWI620442B (zh) 針對攝影裝置的閃光燈最佳化
JP2023153790A (ja) プログラム
KR101984616B1 (ko) 이미지 활용 컨텐츠 제공 시스템
JP202310079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作動方法、画像処理装置の作動プログラム
KR100826134B1 (ko) 댄스 동영상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KR20180124539A (ko) 크로마키 원격 합성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JP7026364B1 (ja) 撮像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
JP2019179963A (ja)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WO2019139294A1 (en) Virtual photography system for producing virtual object by photographing real object
US11496692B2 (en) Camera-equippe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101823035B1 (ko)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41240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2201917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CN116744124B (zh) 自助拍摄设备的拍摄方法、设备、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2337699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JP7378851B2 (ja) 表示装置
KR102673431B1 (ko) 카메라 로그 감마 및 룩업테이블을 이용한 라이브 촬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촬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JP7102937B2 (ja) 遊戯画像撮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