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876A - L-카르니틴 및 코엔자임q10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L-카르니틴 및 코엔자임q10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876A
KR20190086876A KR1020180004952A KR20180004952A KR20190086876A KR 20190086876 A KR20190086876 A KR 20190086876A KR 1020180004952 A KR1020180004952 A KR 1020180004952A KR 20180004952 A KR20180004952 A KR 20180004952A KR 20190086876 A KR20190086876 A KR 20190086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vitamin
diet
food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균
Original Assignee
조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균 filed Critical 조영균
Priority to KR1020180004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6876A/ko
Publication of KR20190086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87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4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12Carnit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 A23V2250/314Ubiquinone, coenzyme Q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방의 연소를 촉진하는 L-카르니틴과 코엔자임Q10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은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지방의 연소 및 분해를 촉진하는 동시에 체내 신진대사를 도우며, 심리적으로 폭식을 유발하는 욕구를 저하시켜 비만 억제 효과가 뛰어나다.

Description

L-카르니틴 및 코엔자임Q10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FOOD COMPOSITION FOR DIET COMPRISING L-CARNITINE AND COENZYME Q10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지방의 연소를 촉진하는 L-카르니틴과 코엔자임Q10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현대인은 동물성 식품과 여러 가지 가공식품의 과다섭취로 인하여 단백질, 지방, 열량의 섭취는 증가되어 국민 체위는 향상되었으나, 음식의 과다 섭취와 육체적 운동 부족 및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체력은 오히려 저하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몸에 쌓이는 에너지 양의 증가로 비만 환자가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다.
비만이란 주로 체내의 피하에 지방이 많이 쌓여 있는 상태를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에너지 섭취량이 소비량을 초과하여 남은 열량이 지방으로 과다하게 축적되는 현상을 말한다.
비만은 그 자체로도 충분히 문제가 될 수 있지만, 고혈압, 당뇨병, 동맥경화증, 뇌졸증, 협심증, 고지혈증 등의 성인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비만은 단순히 외관상의 문제 뿐 아니라, 우리 나라의 사망 원인 및 질병 구조 양상에까지 큰 변화를 일으키는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비만이 현대 사회의 문제로 대두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비만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다이어트 방법에 큰 관심을 보이게 되었다.
현재까지 알려진 비만 예방이나 치료를 위한 다이어트 방법으로 식사요법,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 등이 있는데, 특히, 식사요법이 비만 치료에서 가장 근본적이며 중요하다. 바람직한 식사요법은 섭취 열량을 줄이고 소모를 증가시킴으로써, 체내 축적된 지방을 분해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식행동은 변경되기가 매우 어렵고, 식품교환군을 고려하여 식사를 한다는 것은 현대인들에게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비만인들이 영양학적으로 균형된 식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우면서, 동시에 효율적으로 체지방을 감소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 다이어트 식품 등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방의 연소 및 분해를 촉진하는 L-카르니틴 및 코엔자임Q10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아미노산을 더 포함함으로써 비만 억제 효과가 뛰어난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녹차추출물 52~58 중량부, 치커리뿌리추출물 2~5 중량부, L-카르니틴 1~3 중량부, 아미노산 0.1~2 중량부, 코엔자임Q10 0.1~1 중량부, 소화효소제제 1~2 중량부, 곡류효소 1~2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0.1~0.3 중량부, 판토텐산칼슘 0.05~0.1 중량부, 비타민C 0.1~0.3 중량부, 비타민B1염산염 0.01~0.05 중량부, 비타민B6염산염 0.01~0.05 중량부, 비타민B12 0.0001~0.01 중량부 및 결정셀룰로오스 32~36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미노산은, L-페닐알라닌, L-로이신, L-메티오닌, L-라이신염산염, 팔라티노스, L-이소로이신, L-발린, L-히스티딘, L-트레오닌, L-트립토판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인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캡슐, 환, 과립, 분말, 캔디, 껌, 정제, 음료 및 시럽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조된 다이어트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은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지방의 연소 및 분해를 촉진시키고 동시에 체내 신진대사를 도우며, 심리적으로 폭식을 유발하는 욕구를 저하시켜 비만 억제 효과가 뛰어나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을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서,
녹차추출물 52~58 중량부, 치커리뿌리추출물 2~5 중량부, L-카르니틴 1~3 중량부, 아미노산 0.1~2 중량부, 코엔자임Q10 0.1~1 중량부, 소화효소제제 1~2 중량부, 곡류효소 1~2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0.1~0.3 중량부, 판토텐산칼슘 0.05~0.1 중량부, 비타민C 0.1~0.3 중량부, 비타민B1염산염 0.01~0.05 중량부, 비타민B6염산염 0.01~0.05 중량부, 비타민B12 0.0001~0.01 중량부 및 결정셀룰로오스 32~36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미노산은, L-페닐알라닌, L-로이신, L-메티오닌, L-라이신염산염, 팔라티노스, L-이소로이신, L-발린, L-히스티딘, L-트레오닌, L-트립토판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인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지방의 연소를 촉진하는 L-카르니틴과 코엔자임Q10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된 각각의 성분에 대하여, 그 기능 및 약리효과를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사용된 "녹차추출물"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품소재로서, 항산화 성분인 카테킨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상기 카테킨은 폴리페놀 화합물의 일종으로 씁쓸한 맛의 주성분이다. 녹차에 함유된 카테킨은 대표적으로 항산화 작용 및 이뇨작용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와 더불어 칼로리와 지방연소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위와 체장의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을 방해하여 지방의 흡수를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은 지방분해 및 지방흡수 억제를 위한 성분으로 상기 녹차추출물 50 내지 58 중량%를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녹차추출물에 함유된 카테킨의 농도는 35%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치커리뿌리추출물"은 치커리 또는 기타 국화과식물(Chicorium intybus)의 뿌리를 열수로 추출, 정제하여 만든 것으로, 식이섬유를 80% 이상 함유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상기 치커리뿌리추출물은 대장 전체 속에 있는 유익한 박테리아에게 영양을 공급해주고 미세한 분자들의 발효를 진행시킴으로써 소화 및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비피도박테리움과 락토바실리에 활용되어 건강한 소화운동, 비타민B의 향상, 칼슘과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을 제공하고 체내의 악취를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은 소화 및 배변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성분으로 상기 치커리뿌리추출물을 2 내지 5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L-카르니틴"은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서 지방을 연소시켜 에너지를 만드는 성분으로 에너지 생산에 필요한 영양소이다. 상기 L-카르니틴은 인체에서 지방을 분해하여 세포 밖으로 배출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은 지방의 연소를 촉진시키기 위한 성분으로 상기 L-카르니틴 1 내지 3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아미노산"은 단백질 분자의 가장 기본적인 조성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단백질을 구성하는 주요 아미노산은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트레오닌, 세린, 시스테인, 시스틴, 메티오닌,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라긴, 글루탐산, 디요드티로신,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프롤린, 옥시프롤린으로 22종이다. 이러한 22종의 주요 아미노산 중 체내에서 합성이 안 되고 음식을 통해서 섭취해야 하는 필수아미노산은, 어른의 경우 발린, 류신, 이소류신, 메티오닌, 트레오닌, 리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이고, 유아는 여기에다 히스티딘이 필수이며, 기타는 비필수아미노산이다. 상기 아미노산은 일반적으로 L-형과 D-형의 광학이성질체를 가지는데, L-형과 D-형은 물리적, 화학적 성질은 같지만, 체내에서 단백질 합성재료로 쓰일 때 어떤 형태인지에 따라 단백질의 구조가 달라진다. 우리 체내의 단백질 속에 있는 모든 아미노산은 α-탄소에 관하여 카르복시기와 아미노기의 배치 관계가 같은 L-형이다. 반면, D-형을 섭취하면 체내 효소가 정상적인 기능을 망가뜨려 건강에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미노산은 L-페닐알라닌, L-로이신, L-메티오닌, L-라이신염산염, 팔라티노스, L-이소로이신, L-발린, L-히스티딘, L-트레오닌, L-트립토판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혼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L-트립토판일 수 있다. 상기 L-트립토판은 심리적으로 폭식을 유발하는 욕구를 저하시켜 비만 억제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은 심리적으로 작용하는 식욕을 억제하기 위한 성분으로 상기 L-트립토판 0.1 내지 2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코엔자임Q10((CoQ10, 코큐텐)"은 우리 몸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보효소(coenzyme)로, 우리 몸에서 에너지 대사가 가장 활발히 이뤄지는 각 세포 내의 미토콘드리아에서 전자전달계에 관여해 ATP생성에 깊은 관계가 있는 물질이다.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안에서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세포 에너지의 95%를 차지한다. 세포 에너지는 몸의 기능이 잘 작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음식물을 섭취할 때, 코엔자임Q10은 음식물의 분해 및 소화를 도우며, 미토콘드리아는 섭취한 음식으로부터 지방과 당분을 받아 세포 에너지로 변환시켜 세포 성장과 유지를 돕는데 관여한다. 결국 이러한 과정은 신진대사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심혈관개선 및 심장 건강과 근육 그리고 조직의 피로회복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코엔자임Q10은 항산화, 높은 혈압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코엔자임Q10이 부족하면 에너지 생성이 원활하지 못해 신체 활력이 저하되는 현상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은 지방 분해 및 신진대사를 촉진하기 위한 성분으로 상기 코엔자임Q10 0.1 내지 1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소화효소제제"는 식물성 복합소화효소제제인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소화효소제제는 예를 들면 다이제자임일 수 있다. 상기 다이제자임은 밀 배아를 발효시켜 만든 탄수화물 분해효소인 아밀라아제, 단백질 분해효소인 프로테아제, 유당 분해효소인 락타아제, 지방분해효소인 리파아제 등 30여가지 효소를 포함하고 있어 소화를 돕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은 소화를 촉진하기 위한 성분으로 상기 소화효소제제 1 내지 2 중량%를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소화효소제제에 함유된 다이제자임의 유효량은 10 내지 80 mg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곡류효소"는 곡류에 식용미생물을 배양시킨 것을 주원료로 하여 제조·가공한 것을 말하며, 『건강기능식품공전』의 제조 기준과 규격에 적합한 건강기능식품의 용도로 허용되는 효소이다. 이러한 효소 식품은 영양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 식품들을 주원료로 사용함으로써 효소의 원료가 되는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을 충분히 공급해 주며, 또한 발효 배양 과정을 통하여 일반 식품이 함유한 본래의 영양소보다 더 많은 영양소를 생성하여 이들 영양소를 체내 흡수가 잘 되도록 생체이용률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곡류효소는 미강, 현미 및 황국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효소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은 필수적인 영양소의 섭취를 보충하기 위한 성분으로 상기 곡류효소 1 내지 2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니코틴산아미드(nicotinic acid amide, 분자식 C6H6N2O)는 니코틴산과 같이 수용성의 비타민 B 복합체의 하나로 식물계에 니코틴산과 공존하며 널리 분포하며, 생체 내에서는 이 비타민의 조효소형(助酵素型)인 니코틴아마이드뉴클레오티드, 즉 NAD+ 및 NADP+로서 존재하며, 탈수소효소의 조효소로서 많은 산화?환원반응에 관여하여, 에너지 생산 및 영양소의 결합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은 지방의 연소 및 영양소 흡수를 위한 성분으로 상기 니코틴산아미드 0.1 내지 0.3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판토텐산칼슘(Calcium Pantothenate, 분자식 C18H32O10N2Ca)은 흰색의 가루로 냄새가 없고 약간 쓴맛이 있는 칼슘염류 강화제로 이다. 상기 판토텐산칼슘은 생체 내에서 보조효소(Coenzyme)로 작용하여 조직기능의 정상화 및 신체성장과 건강유지에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은 조직기능과 신체성장을 향상하여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성분으로 상기 판토텐산칼슘 0.05 내지 0.1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은 식사로서 대용가능한 조성물의 영양강화제로서, 각종 비타민류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비타민C"는 항산화 물질로 신체를 활성산소(자유기)로부터 보호하여 암, 동맥경화, 류머티즘 등을 예방해 주며, 면역 체계도 강화시킨다. 결합조직과 지지조직의 형성에 가담하여 피부와 잇몸의 건강을 지켜준다. 즉 비타민 C가 세포의 산화(酸化)를 방지하므로 암과 각종 만성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고, 노화 억제 효과가 알려져 있다. 또한 비타민 C는 위, 십이장궤양의 원인인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의 번식을 억제하며, 노인의 인지 능력과 기억력 유지를 돕고, 알츠하이머병(치매)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비타민 C는 다이어트 효과도 높이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고용량 비타민 C를 섭취하면 체중을 감량하는 효과가 있으며, 식이섬유와 함께 섭취하면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은 이러한 다이어트 효과의 효능을 더욱 높이기 위한 성분으로 상기 비타민C 0.1 내지 0.3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비타민B1염산염(Vitamin B1 Hydrochloride, 분자식 C12H17ON4ClS?HCl)"은 비타민류 영양강화제로 비타민 B1은 피로포스페이트(TPP)의 조효소로 탄수화물과 분지상 아미노산(류신, 아이소류신, 발린)의 대사에 관여한다. 비타민B1의 결핍 시 각기병, 신경질환, 신경염, 알코올성 건망증후군 등의 대사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은 이러한 결핍증상을 방지하기 위한 성분으로 상기 비타민B1염산염 0.01 내지 0.05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비타민B6염산염(Vitamin B6 Hydrochloride, 분자식 C8H11O3N?HCl)"은 비타민류 영양강화제로 비타민 B6은 아미노산 대사, 헴합성, 탄수화물 대사, 신경전달물질 합성, 비타민 형성, 면역대사와 지질대사에 관여한다. 비타민 B6의 결핍 시 지루성피부염, 고적혈구성저색소성 빈혈, 경련, 습진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은 이러한 결핍증상을 방지하기 위한 성분으로 상기 비타민B6염산염 0.01 내지 0.05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비타민B12(Vitamin B12)"는 코발트 원자를 함유하는 적색의 수용성 비타민으로서, 많은 동물의 정상 발육에 불가결하며 혈구의 생성, 장 상피세포의 성숙 등과 핵산이나 단백질의 합성을 비롯하여 지방질이나 탄수화물의 대사에도 관여하고 있다. 인간의 체내에서는 장내 균에 의해 합성되므로 일상의 식사로 B12의 결핍증은 거의 없다. 비타민 B12의 흡수장해, 수송 이상과 대사 이상에 따르는 결핍증상으로는 거적아구성(巨赤芽球性) 빈혈, 적색설(舌), 운동장애, 혼수, 아시도시스, 발육장애, 구토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은 이러한 결핍증상을 방지하기 위한 성분으로 상기 비타민B12 0.0001 내지 0.01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결정셀룰로오스(Cellulose)"는 식품에 고결방지제, 안정제, 유화제, 식이섬유제로 사용되는 첨가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결정셀룰로오스 32~38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지방의 연소 및 분해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식품의 안정성이 확보된 범위 내에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예를 들면, 색소, 방부제, 산화 안정화제 및/또는 자외선 차단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성분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하의 성분들을 배합하여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배합비(중량%)
녹차추출물 55.00
치커리뿌리추출물 3.00
L-카르니틴 2.00
아미노산(L-트립토판) 1.00
코엔자임Q10 0.50
소화효소(다이제자임) 1.00
곡류효소(미강,현미,황국균) 1.00
니코틴산아미드(나이아신 100%) 0.10
판토텐산칼슘(판토텐산 91%) 0.05
비타민C(비타민C 100%) 0.10
비타민B1염산염(비타민B1 78%) 0.01
비타민B6염산염(비타민B6 82%) 0.01
비타민B12혼합제제((비타민B12 0.1%) 0.01
첨가제(결정셀룰로오스) 34.22
첨가제(이산화규소) 1.00
첨가제(스테아린산마그네슘) 1.00
< 실험예 > 체중감소 효과
상기 실시예1 및 2에 따른 체중감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하기 표 2 같이 연령을 갖는 남성 5명, 여성 5명으로 구성된 피실험자들을 상기 실시예1 및 2를 30일간 3회의 일반식사 대신 섭취하도록 하여 체중 변화를 측정하였다.
1회당 실시예1 또는 실시예2의 조성물 40g을 우유 200㎖와 혼합하여 섭취하도록 하였다. 단, 하기 피실험자들은 30일의 실험 기간 동안에는 상기 식사 이외의 시간에 물, 야채(과일은 제외)는 섭취하도록 허용하였다.
또한, 30일 이후에는 15일 동안 기존의 일반식사의 식단과 동일하게 섭취하도록 하여, 식이요법 중단 이후 요요현상 여부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피실험자 Age/Gender Weight(kg)
0day 30days 45days
1 25세/여 66.5 63.0 64.0
2 28세/여 64.0 59.8 61.1
3 35세/여 65.5 62.3 63.5
4 45세/여 68.2 66.0 66.2
5 50세/여 62.4 60.1 60.5
6 25세/남 92.0 88.7 89
7 30세/남 98.5 95.0 96.9
8 38세/남 88.5 86.5 87.1
9 44세/남 85.1 83.8 84.5
10 51세/남 79.5 77.9 78.0
표 2에 나타낸 결과를 살펴보면, 활동 연령이 높은 20대 및 30대의 경우 체중감소효과가 컸으며, 요요현상도 적게 나타났으나 40대 및 50대의 경우 체중감소효과가 비교적 높지 않았으나, 40대 및 50대의 경우 식이요법 중단 이후의 유의적인 체중변화는 없었다.

Claims (5)

  1. 녹차추출물 52~58 중량부, 치커리뿌리추출물 2~5 중량부, L-카르니틴 1~3 중량부, 아미노산 0.1~2 중량부, 코엔자임Q10 0.1~1 중량부, 소화효소제제 1~2 중량부, 곡류효소 1~2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0.1~0.3 중량부, 판토텐산칼슘 0.05~0.1 중량부, 비타민C 0.1~0.3 중량부, 비타민B1염산염 0.01~0.05 중량부, 비타민B6염산염 0.01~0.05 중량부, 비타민B12 0.0001~0.01 중량부 및 결정셀룰로오스 32~36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미노산은, L-페닐알라닌, L-로이신, L-메티오닌, L-라이신염산염, 팔라티노스, L-이소로이신, L-발린, L-히스티딘, L-트레오닌 및 L-트립토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추출물은 카테킨을 35% 내지 80%로 함유하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효소는 미강, 현미 및 황국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은 L-트립토판인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캡슐, 환, 과립, 분말, 캔디, 껌, 정제, 음료 또는 시럽의 형태로 제조된 다이어트 식품.

KR1020180004952A 2018-01-15 2018-01-15 L-카르니틴 및 코엔자임q10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KR201900868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952A KR20190086876A (ko) 2018-01-15 2018-01-15 L-카르니틴 및 코엔자임q10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952A KR20190086876A (ko) 2018-01-15 2018-01-15 L-카르니틴 및 코엔자임q10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876A true KR20190086876A (ko) 2019-07-24

Family

ID=6748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952A KR20190086876A (ko) 2018-01-15 2018-01-15 L-카르니틴 및 코엔자임q10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68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437B1 (ko) * 2022-05-02 2022-11-02 최진원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액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성 식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437B1 (ko) * 2022-05-02 2022-11-02 최진원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액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성 식품
WO2023214716A1 (ko) * 2022-05-02 2023-11-09 (주)초이스메디케어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액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성 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5844B1 (en) Nutritional composition
CN101223999B (zh) 一种全面补充各种人体所需的营养素组合物
US20100317562A1 (en) Dietary Compositions
US5411757A (en) Palatable balanced amino acid-modified diet
US20100137226A1 (en) Fatigue-reducing agent
KR20110005294A (ko) 글루타티온 생산 촉진제, 글루타티온의 결핍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치료제, 음식품 및 사료
CN106376917A (zh) 一种从多方面调节情绪的保健食品或饮料配方
CN103190483A (zh) 儿童成长奶茶
JP2014237715A (ja) アルコール性疲労改善剤
JP2011132174A (ja) 持久力向上剤
JP2017057147A (ja) ニンニク等、低塩分濃度の味噌、及びビタミンb1を含有する組成物
JP6710098B2 (ja) 栄養剤組成物及び栄養補助食品
JP2011004695A (ja) 健康食品及び健康飲料
KR20190086876A (ko) L-카르니틴 및 코엔자임q10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JP7231898B2 (ja) 睡眠の質改善剤
KR20100037310A (ko)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액상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JP2007008866A (ja) 血圧降下剤組成物
CN114680339A (zh) 一种改善肌肉衰减延缓衰老的营养补充剂及其应用
US20100034798A1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for intestinal health
JP2005082495A (ja) 脳細胞保護のための組成物
KR20100037309A (ko) 유산균을 이용한 환형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1935861B1 (ko)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037312A (ko) 유산균을 이용한 분말형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0734944B1 (ko) 젖산칼슘 및 미강을 주재로 한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
US10765663B2 (en) Nutrition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