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582A - 향미 흡인기 - Google Patents

향미 흡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582A
KR20190086582A KR1020197020014A KR20197020014A KR20190086582A KR 20190086582 A KR20190086582 A KR 20190086582A KR 1020197020014 A KR1020197020014 A KR 1020197020014A KR 20197020014 A KR20197020014 A KR 20197020014A KR 20190086582 A KR20190086582 A KR 20190086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vor
holding member
flow path
cooling lay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쿠마 나카노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86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5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24F42/20Devices without heating means
    • A24F47/006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02Cigars; Cigarettes with additives, e.g. for flavou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2Cigarettes with integrated combustible heat sources, e.g. with carbonaceous hea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24F42/10Devices with chem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24F42/60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7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by exothermic chemical re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향미 흡인기는,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향미를 발생하는 향미원과, 적어도 향미원을 내측에 구비하는 통상의 보유 부재와, 통상의 보유 부재 내에 설치되어, 향미원으로부터, 향미를 흡인하는 흡인구로 연장되는 유로와, 향미원보다 하류에만 설치된 냉각층을 가지며, 냉각층은, 통상의 보유 부재의 내면에 설치되어, 유로에 면해 있다.

Description

향미 흡인기{FLAVOR INHALER}
본 발명은,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향미를 발생하는 향미원(香味源)을 구비한 향미 흡인기(吸引器)에 관한 것이다.
시가렛 대신에, 담배 등의 향미원을 연소시키는 일없이, 향미를 맛보는 향미 흡인기(흡연 물품)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에어로졸 생성원을 구비한 향미 흡인기를 개시하고 있다. 향미 흡인기는, 에어로졸 생성원에서 발생한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냉각 요소를 갖는다.
특허문헌 1: 국제 공개 제2013/120565호
제1 특징은,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향미를 발생하는 향미원과, 적어도 상기 향미원을 내측에 구비하는 통상(筒狀)의 보유 부재와, 상기 통상의 보유 부재 내에 설치되어, 상기 향미원으로부터, 상기 향미를 흡인하는 흡인구(吸引口)로 연장되는 유로(流路)와, 상기 향미원보다 하류에만 설치된 냉각층을 가지며, 상기 냉각층은, 상기 통상의 보유 부재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에 면해 있는, 향미 흡인기인 것을 요지로 한다. 냉각층은, 제2 유로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제2 유로의 둘레를 둘러싸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특징은, 제1 특징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로서, 상기 통상의 보유 부재는, 상기 유로 내에 외기(外氣)를 직접 유입시키는 구멍을 갖고, 상기 냉각층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구멍보다 하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여기서, 「직접 유입」이란, 향미원을 지나는 일없이, 상기 유로 내에 외기를 유입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제3 특징은, 제2 특징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로서, 상기 구멍은, 상기 유로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외기를 상기 유로 내에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4 특징은, 제2 또는 제3 특징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로서, 상기 구멍은, 상기 유로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통상의 보유 부재의 중심에 대해, 상기 흡인구와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5 특징은, 제2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로서, 상기 구멍은, 상기 통상의 보유 부재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6 특징은, 제5 특징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로서, 상기 구멍 중 하나는, 상기 구멍 중 다른 구멍과 상기 통상의 보유 부재의 중심축을 연결하는 직선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7 특징은,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로서, 상기 통상의 보유 부재의 상기 착화단에 설치되는 연소형 열원(熱源)에서 발생한 열을 상기 향미원에 전하는 제1 열전도 부재를 갖고, 상기 냉각층은, 상기 제1 열전도 부재로부터 이간(離間)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8 특징은, 제7 특징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로서, 상기 통상의 보유 부재는, 상기 유로 내에 외기를 직접 유입시키는 구멍을 갖고, 상기 구멍은, 상기 제1 열전도 부재와 상기 냉각층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9 특징은, 제7 또는 제8 특징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로서, 상기 제1 열전도 부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0 특징은, 제1 내지 제9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로서, 상기 냉각층은, 상기 향미를 통과하는 단일 채널을 규정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1 특징은, 제1 내지 제10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로서, 상기 냉각층의 내측은 중공(中空)인 것을 요지로 한다. 여기서, 「중공」이란, 흡인구에 설치된 필터를 빼고, 냉각층의 내부에 임의의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제12 특징은, 제1 내지 제11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로서, 상기 냉각층은, 상기 유로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에서, 상기 유로의 길이의 절반 이상인 길이를 갖는다.
[도 1]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의 측면도이다.
[도 2] 도 2는, 도 1의 2A-2A선을 따른 향미 흡인기의 단면도이다.
[도 3] 도 3은, 도 1의 3A-3A선을 따른 향미 흡인기의 단면도이다.
[도 4]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른 경우도 있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형태의 요약]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는,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향미를 발생하는 향미원과, 적어도 상기 향미원을 내측에 구비하는 통상의 보유 부재와, 상기 통상의 보유 부재 내에 설치되어, 상기 향미원으로부터, 상기 향미를 흡인하는 흡인구로 연장되는 유로와, 상기 향미원보다 하류에만 설치된 냉각층을 가지며, 상기 냉각층은, 상기 통상의 보유 부재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에 면해 있다. 유로에 면하는 냉각층이 통상의 보유 부재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통상의 보유 부재의 내부를 냉각 요소로 채울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채널을 형성하도록 컬 한(curled) 냉각 요소를, 보유 부재의 내부에 채울 필요가 없어진다. 만일, 통상의 보유 부재의 내부를 냉각 요소로 채우면, 통기(通氣) 저항이 올라가 버려, 통기 저항의 설계가 번잡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각 요소를 통상의 보유 부재의 내부에 채울 필요가 없기 때문에, 통기 저항의 설계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제1 실시형태]
(향미 흡인기)
이하에서,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10)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2A-2A선을 따른 향미 흡인기(1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3A-3A선을 따른 향미 흡인기(10)의 단면도이다. 향미 흡인기(10)는, 통상의 보유 부재(30)와, 내측 보유 부재(50)와, 연소형 열원(70)과, 향미원(90)을 갖는다.
통상의 보유 부재(30)는, 착화단(着火端)(E1)으로부터 비착화단(E2)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착화단(E1)은, 연소형 열원(70)이 설치되는 쪽의 단부이다. 비착화단(E2)은, 흡인구(吸引口)(40)가 설치된 쪽의 단부이다. 흡인구(40)는, 향미를 흡인하기 위해 유저에 의해 물려지는 곳에 위치한다. 통상의 보유 부재(30)는, 예를 들면 원통 형상 또는 각통(角筒)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착화단(E1)측의 개구(開口)는 막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어도 내측 보유 부재(50) 및 연소형 열원(70)이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착화단(E1)측의 개구를 막고 있다. 이와 같이, 향미 흡인기(10)는,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착화단(E1)측의 개구로부터 통상의 보유 부재(30) 내에 기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보유 부재(50)는, 통상의 보유 부재(30) 내에 설치된다. 단, 내측 보유 부재(50)의 일부가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내측 보유 부재(50)는, 연소형 열원(70)의 적어도 일부와 향미원(90)의 적어도 일부를 보유한다. 내측 보유 부재(50)는, 통상의 제1 측벽(51) 및 도입구(導入口)(55)를 갖는다. 제1 측벽(51)은, 향미원(90)의 적어도 일부와 연소형 열원(70)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둘러싸고 있다. 이에 대신하여, 제1 측벽(51)은, 향미원(90)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둘러싸고, 연소형 열원(70)을 둘러싸고 있지 않아도 된다. 도입구(55)는, 제1 측벽(51) 내의 향미원(90)에 공기를 도입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입구(55)는, 제1 측벽(51)에 형성된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연소형 열원(70)은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착화단(E1)측에 설치되어 있다. 연소형 열원(70)은, 가연성 물질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가연성 물질은, 탄소 재료, 불연성 첨가물, 바인더(유기 바인더 또는 무기 바인더)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탄소 재료로는, 가열 처리 등에 의해 휘발성 불순물을 제거한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소형 열원(70)은, 연소형 열원(70)의 전체 중량을 100중량%로 한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30중량%∼70중량% 범위의 탄질(炭質) 재료를 포함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35중량%∼45중량% 범위의 탄질 재료를 포함한다.
연소형 열원(70)은, 착화단(E1)측의 부분이 연소하지만, 비착화단(E2)측의 단부가 연소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연소형 열원(70)의 비착화단(E2)측의 단부가 비연소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연소형 열원(70)의 그 이외 부분이 연소부를 구성하고 있다.
향미원(90)은,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내측에서, 연소형 열원(70)보다 비착화단(E2)측에 설치되어 있다. 향미원(90)은, 연소형 열원(70)에 인접해 있어도 된다. 향미원(90)은,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향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향미원(90)은, 연소형 열원(70)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향미를 발생한다.
향미원(90)으로는, 예를 들면, 담배 원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향미원(90)은, 시가렛(지궐련)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살담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코담배에 사용되는 입상(粒狀) 담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향미원(90)은, 담배 원료에 더해, 글리세린 및/또는 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향미원(90)은 향료를 포함해도 된다.
통상의 보유 부재(30)는, 내측 보유 부재(50)의 제1 측벽(51)을 둘러싸는 통상의 제2 측벽(32)을 갖는다. 제2 측벽(32)은, 착화단(E1)측으로부터 비착화단(E2)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측벽(32)은, 예를 들면, 직사각 형상의 두꺼운 종이를 통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된 지관(紙管)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내측 보유 부재(50)의 적어도 제1 측벽(51)은, 열전도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내측 보유 부재(50)는, 열전도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열전도 부재의 상온에 있어서의 열전도율은, 착화단(E1)으로부터 비착화단(E2)을 따른 방향에서, 10W/(m·K)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도 부재로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강을 사용할 수 있다. 스테인리스 강으로는, 예를 들면, SUS430을 사용할 수 있다. 내측 보유 부재(50)가 스테인리스 강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 내측 보유 부재(50)의 제1 측벽(51)의 두께는, 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제2 측벽(32)은, 내측 보유 부재(50)에 면하는 제1 열전도 부재(33)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1 열전도 부재(33)는, 적어도 내측 보유 부재(50)의 제1 측벽(51)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제1 열전도 부재(33)는, 연소형 열원(70)과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제1 열전도 부재(33)는, 연소형 열원(70)으로부터 향미원(90)으로의 열전도를 촉진시킨다. 제1 열전도 부재(33)는, 내측 보유 부재(50)의 비착화단(E2)측의 단면보다 비착화단(E2)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열전도 부재(33)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열전도 부재(33)의 열전도율은, 제1 측벽(51)의 열전도율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열전도 부재(33)는,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된다.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제2 측벽(32)은, 외기와 유체적으로 연통하는 관통구(34)를 갖는다. 관통구(34)는, 향미원(90)의 비착화단(E2)측의 단부보다 착화단(E1)측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적어도 제1 측벽(51)과 제2 측벽(32) 사이에, 유로 형성 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유로 형성 부재(60)는, 통상의 보유 부재(30) 내에, 외기를 향미원(90)으로 흐르게 하기 위한 제1 유로(36)를 형성한다. 유로 형성 부재(60)는, 제1 측벽(51) 및 제2 측벽(32)과는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대신하여, 유로 형성 부재(60)는, 제1 측벽(51) 또는 제2 측벽(32)과 일체 형성된 부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유로(36)는, 제2 측벽(32)의 관통구(34)와 내측 보유 부재(50)의 도입구(55)를 연결하고 있으며, 제1 측벽(51)과 제2 측벽(32) 사이를 통과한다.
내측 보유 부재(50)는, 제1 측벽(51)의 외면에 설치된 열전도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열전도 부재는, 제1 열전도 부재(33)와 동일하게, 적어도 내측 보유 부재(50)의 제1 측벽(51)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열전도 부재는, 연소형 열원(70)으로부터 향미원(90)으로의 열전도를 촉진시킨다. 이 열전도 부재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된다. 내측 보유 부재(50)가 제1 측벽(51)의 외면에 인접한 열전도 부재를 갖는 경우, 제1 열전도 부재(33)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유로 형성 부재(60)는, 제1 측벽(51)의 외면의 열전도 부재와 제2 측벽(32)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통상의 보유 부재(30) 내에는, 향미원(90)에서 발생한 향미를 흡인구(40)로 흐르게 하기 위한 제2 유로(38)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유로(38)는, 향미원(90)에서 발생한 향미를 흡인하는 흡인구(40)와 향미원(90)을 연결하고 있다. 내측 보유 부재(50)의 도입구(55)는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관통구(34)보다 착화단(E1)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유로(36)는 향미원(90)의 비착화단(E2)측의 단부보다 착화단(E1)측에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저에 의한 퍼프 동작 중, 외기는, 관통구(34)로부터 제1 유로(36)로 들어간다(도 2의 화살표 F1). 그 다음에, 외기는 도입구(55)를 통해 향미원(90)에 도달한다(도 2의 화살표 F2). 제1 유로(36)를 통과하는 외기는, 연소형 열원(70)의 연소부에 접하는 일없이, 향미원(90)에 도달한다. 향미원(90)에 도달한 공기는, 향미와 함께, 제2 유로(38)를 통해서 흡인구(40)에 이른다(도 2의 화살표 F3 및 F5). 향미원(90)은 연소형 열원(70)에 의해 가열되어 있으므로, 향미원(90)을 통해 제2 유로(38)에 유입되는 기체는, 고온이 되어 있다.
통상의 보유 부재(30)는, 제2 유로(38) 내에 외기를 직접 유입시키는 구멍(39)(이하, 「벤틸레이션 구멍」이라 칭한다.)을 갖는다. 여기서, 「직접 유입」이란, 향미원(90)을 거치는 일없이, 제2 유로(38) 내에 외기를 유입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벤틸레이션 구멍(39)은, 제2 유로(38)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체를 유입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도 2의 화살표 F4). 예를 들면, 벤틸레이션 구멍(39)은, 제2 유로(38)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제2 유로(38)의 중심축을 향해 기체를 유입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벤틸레이션 구멍(39)은,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벤틸레이션 구멍(39)끼리의 사이의 간격은, 일정해도 된다. 벤틸레이션 구멍(39)은, 제2 유로(38)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의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중심(CL)에 대해, 흡인구(40)와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벤틸레이션 구멍(39)은, 제1 열전도 부재(33)와 냉각층(80)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벤틸레이션 구멍(39) 중 임의의 하나는, 복수의 벤틸레이션 구멍(39) 중 다른 것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의 벤틸레이션 구멍(39) 중 다른 것과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중심축(CA)을 잇는 직선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도 3 참조). 이 경우, 벤틸레이션 구멍(39)의,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중심축(CA)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는, 벤틸레이션 구멍(39)이 배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복수의 벤틸레이션 구멍(39)은,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중심축(CA)을 따른 방향에서 서로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연히, 복수의 벤틸레이션 구멍(39)은,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중심축(CA)을 따른 방향에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냉각층(80)은, 향미원(90)에서 발생한 향미를 냉각하는 층이다. 냉각층(80)은,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2 유로(38)에 면해 있다. 냉각층(80)은, 제2 유로(38)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제2 유로(38)의 둘레를 둘러싸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층(80)은, 향미원(90)보다 하류에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층(80)의 두께는, 제2 유로(38)의 유체 저항을 현저하게 증가시키지 않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유로(38)의 지름에도 따르지만, 예를 들면, 냉각층(80)의 두께는, 5㎛ 이상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중심축(CA)에 수직인 단면(斷面)에서,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내벽의 내측의 단면적에 대한 냉각층(80)의 단면적의 비율이,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45%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5% 이하이다. 예를 들면,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중심축(CA)에 수직인 단면에서,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외경이 5㎜∼8㎜,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두께가 0.15㎜∼0.5㎜, 및 냉각층(80)의 두께가 0.05㎜∼0.5㎜이어도 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냉각층(80)은, 벤틸레이션 구멍(39)보다 하류에만 설치되어 있다. 즉, 냉각층(80)은, 벤틸레이션 구멍(39)보다 상류측에 도달해 있지 않다. 이 대신에, 냉각층(80)의 일부가, 벤틸레이션 구멍(39)보다 상류측에 도달해 있어도 된다. 즉, 냉각층(80)의 적어도 일부가, 벤틸레이션 구멍(39)보다 하류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냉각층(80)은, 제2 유로(38)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에서, 제2 유로(38)의 길이의 절반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층(80)은, 통상의 보유 부재(30)를 구성하는 제1 열전도 부재(33)와 이간(離間)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냉각층(80)은, 통상의 보유 부재(30) 내에, 향미를 통과시키는 단일 채널을 규정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냉각층(80)의 내측은 중공(中空)이다. 여기서, 「냉각층(80)의 내측이 중공이다」란, 흡인구(40)에 설치된 필터(42)를 빼고, 냉각층(80)의 내측에 임의의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제2 유로(38) 내의 공동(空洞) 부분의 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각층(80)은 통상의 보유 부재(30) 내에 단일 채널을 규정하고, 또한 냉각층(80)의 내측이 중공이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냉각층(80)의 내측은 중공이다. 이에 대신하여, 냉각층(80)의 내측에, 제2 유로(38)의 유로 저항을 현저하게 증가시키지 않는 정도로, 임의의 부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2 유로의 중심축을 따라 원주상(圓柱狀) 부재가 설치되어 있어도 관계없다. 이 원주상 부재의 외주면에, 다른 냉각층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냉각층(80)은, 제2 열전도 부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2 열전도 부재는 금속이어도 된다. 일례로서, 냉각층(80)은, 금속관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대신하여, 냉각층(80)은, 종이와, 해당 종이에 첩합(貼合)된 금속층을 포함하는 금속 첩합 종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금속으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대신에, 냉각층(80)은, 폴리 유산(PLA)을 포함하는 층이어도 된다. 또한, 냉각층(80)은, 통상의 보유 부재(30)를 구성하는 제1 열전도 부재(33)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냉각층(80)은, 냉각층(80)의 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복수의 요철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요철은, 예를 들면, 냉각층(80)의 표면을 크레이프(crepe) 처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 요철에 의해, 제2 유로(38)의 단면적이 너무 작아 지는 일없이, 냉각층(80)의 열교환면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작용 및 효과)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향미 흡인기(10)는, 향미원(90)보다 하류에만 설치된 냉각층(80)을 갖고 있으며, 냉각층(80)은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내면에 설치되어, 제2 유로(38)에 면해 있다. 제2 유로(38)에 면하는 냉각층(80)이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내부를 냉각 요소로 채울 필요가 없다.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내부를 냉각 요소로 채우면, 통기(通氣) 저항이 올라가 버려, 통기 저항의 설계가 번잡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각 요소를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내부에 채울 필요가 없기 때문에, 통기 저항의 설계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통상의 보유 부재(30)는 제2 유로(38) 내에 외기를 직접 유입시키는 벤틸레이션 구멍(39)을 갖고, 냉각층(80)의 적어도 일부는 벤틸레이션 구멍(39)보다 하류에 설치되어 있다. 향미원(90)을 통과한 기체는, 벤틸레이션 구멍(39)으로부터 유입된 외기에 의해 냉각되고, 그 다음에 냉각층(80)이 면하는 제2 유로(38)로 통과된다. 이에 의해, 향미원(90)을 통해 제2 유로(38)에 유입된 기체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벤틸레이션 구멍(39)은, 제2 유로(38)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외기를 제2 유로(38) 내에 유입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벤틸레이션 구멍(39)으로부터의 외기의 유입과 냉각층(80)에 의해, 냉각 효과가 상승적으로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는, 제2 유로(38) 내에서 비착화단(E2)으로 향해 흐르는 기체의 흐름(도 3의 화살표 F3)이 벤틸레이션 구멍(39)으로부터 유입되는 외기(도 3의 화살표 F4)에 의해 흐트러짐으로써 난류(亂流)가 생기고, 향미원을 통과한 기체의 흐름이 냉각층(80)에 접촉하기 쉬워진다고 하는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벤틸레이션 구멍(39)은, 제2 유로(38)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의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중심(CL)에 대해, 흡인구(40)와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벤틸레이션 구멍(39)보다 하류측의 제2 유로(38)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향미원(90)을 통한 기체의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벤틸레이션 구멍(39)이 흡인구(40)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음으로써, 유저가 퍼프 동작 중에 벤틸레이션 구멍(39)을 손가락으로 막아 버릴 우려가 억제된다.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벤틸레이션 구멍(39)은,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유로(38) 내의 기체를 제2 유로(38)의 둘레 방향으로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냉각층(80)은, 제1 열전도 부재(33)로부터 이간(離間)해 있다. 이에 의해, 연소형 열원(70)에서 발생한 열이 냉각층(80)으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냉각층(80)의 냉각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연소형 열원(70)에서 발생한 열이 향미원(90)에 효과적으로 전달된다.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벤틸레이션 구멍(39)은, 제1 열전도 부재(33)와 냉각층(8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즉, 벤틸레이션 구멍(39)은, 제1 열전도 부재(33)나 냉각층(80)이 존재해 있지 않은 곳에 설치된다. 이에 의해, 통상의 보유 부재(30)에 벤틸레이션 구멍(39)을 형성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냉각층(80)은, 제1 열전도 부재(33)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열전도 부재(33)와 냉각층(80)을 동일한 프로세스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향미 흡인기(10)의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냉각층(80)은 향미를 통과시키는 단일 채널을 규정하고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냉각층(80)의 내측은 중공(中空)이다. 이에 의해, 복수의 채널을 형성하도록 컬 한(curled) 냉각 요소를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내부에 채우는 형태와 비교하면, 통기 저항을 비교적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냉각층(80)은, 제2 유로(38)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에서, 제2 유로(38)의 길이의 절반 이상의 길이를 갖는다. 이와 같이 냉각층(80)이 비교적 길게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제2 유로(38) 중의 기체의 냉각 효율을 촉진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10A)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통상의 보유 부재(30)는, 적어도 제2 유로(38)가 설치된 구간에서, 복수의 층을 갖는다. 예를 들면, 통상의 보유 부재(30)는, 외벽부(外壁部)(85)와, 외벽부의 내측에 설치된 내벽부(內壁部)(84)를 갖고 있어도 된다. 내벽부(84)는, 외벽부(85)의 내면에 붙여진 시트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대신에, 내벽부(84)는, 외벽부(85) 내에 삽입된 관 부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냉각층(80)은,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내면, 즉 내벽부(84)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냉각층(80)은, 복수의 층을 갖는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두께 및 냉각층(80)의 두께는, 유로 저항의 관점에서, 제2 유로(38)의 단면적이 너무 작아지지 않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중심축(CA)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제2 유로(38)의 단면적은, 바람직하게는 5㎟ 이상 5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35㎟ 이하이다. 예를 들면,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중심축(CA)에 수직인 단면에서,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외경이 5㎜∼8㎜,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두께가 0.15㎜∼0.5㎜, 및 냉각층(80)의 두께가 0.05㎜∼0.5㎜이어도 된다.
[그 외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라 설명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 가지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확해질 것이다.
예를 들면, 상술한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특징은, 가능한 한 조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통기 저항의 설계가 용이한 냉각층을 구비한 향미 흡인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향미를 발생하는 향미원(香味源)과,
    적어도 상기 향미원을 내측에 구비하는 통상(筒狀)의 보유 부재와,
    상기 통상의 보유 부재 내에 설치되어, 상기 향미원으로부터, 상기 향미를 흡인하는 흡인구(吸引口)로 연장되는 유로(流路)와,
    상기 향미원보다 하류에만 설치된 냉각층을 가지며,
    상기 냉각층은, 상기 통상의 보유 부재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에 면해 있는, 향미 흡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의 보유 부재는, 상기 유로 내에 외기를 직접 유입시키는 구멍을 갖고,
    상기 냉각층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구멍보다 하류에 설치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유로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외기를 상기 유로 내에 유입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유로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통상의 보유 부재의 중심에 대해, 상기 흡인구와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통상의 보유 부재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 중 하나는, 상기 구멍 중 다른 구멍과 상기 통상의 보유 부재의 중심축을 연결하는 직선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의 보유 부재의 착화단(着火端)에 설치되는 연소형 열원에서 발생한 열을 상기 향미원에 전하는 제1 열전도 부재를 가지며,
    상기 냉각층은, 상기 제1 열전도 부재로부터 이간(離間)해 있는, 향미 흡인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의 보유 부재는, 상기 유로 내에 외기를 직접 유입시키는 구멍을 갖고,
    상기 구멍은, 상기 제1 열전도 부재와 상기 냉각층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층은, 상기 제1 열전도 부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층은, 상기 향미를 통과시키는 단일 채널을 규정하는, 향미 흡인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층의 내측은 중공(中空)인, 향미 흡인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층은, 상기 유로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에서, 상기 유로의 길이의 절반 이상의 길이를 갖는, 향미 흡인기.
KR1020197020014A 2015-04-06 2015-04-06 향미 흡인기 KR201900865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60786 WO2016162934A1 (ja) 2015-04-06 2015-04-06 香味吸引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8581A Division KR102000864B1 (ko) 2015-04-06 2015-04-06 향미 흡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582A true KR20190086582A (ko) 2019-07-22

Family

ID=57072423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8581A KR102000864B1 (ko) 2015-04-06 2015-04-06 향미 흡인기
KR1020197020014A KR20190086582A (ko) 2015-04-06 2015-04-06 향미 흡인기
KR1020197020011A KR20190086579A (ko) 2015-04-06 2015-04-06 향미 흡인기
KR1020197020013A KR102229429B1 (ko) 2015-04-06 2015-04-06 향미 흡인기
KR1020197020012A KR102242830B1 (ko) 2015-04-06 2015-04-06 향미 흡인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8581A KR102000864B1 (ko) 2015-04-06 2015-04-06 향미 흡인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011A KR20190086579A (ko) 2015-04-06 2015-04-06 향미 흡인기
KR1020197020013A KR102229429B1 (ko) 2015-04-06 2015-04-06 향미 흡인기
KR1020197020012A KR102242830B1 (ko) 2015-04-06 2015-04-06 향미 흡인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013868B2 (ko)
EP (2) EP3284354B1 (ko)
JP (1) JP6379287B2 (ko)
KR (5) KR102000864B1 (ko)
CN (1) CN107404946B (ko)
EA (1) EA039036B1 (ko)
HK (1) HK1245594A1 (ko)
TW (1) TWI597020B (ko)
WO (1) WO20161629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A033659B1 (ru) * 2015-04-06 2019-11-13 Japan Tobacco Inc Ароматический ингалятор и внутренний держатель
US10314334B2 (en) 2015-12-10 2019-06-11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US11744296B2 (en) 2015-12-10 2023-09-05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US11723399B2 (en) 2018-07-13 2023-08-15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with detachable cartridge
JP7090732B2 (ja) * 2018-10-26 2022-06-2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加熱アセンブリおよびこれを備える香味吸引器
KR20210063422A (ko) * 2018-11-14 2021-06-01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냉각 세그먼트 및 그 제조 방법, 비연소 가열 흡연 물품, 그리고 비연소 가열 흡연 시스템
KR20210139392A (ko) 2019-03-28 2021-11-22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열식 담배, 가열식 담배 제품, 가열식 담배에서의 담배 로드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US11395510B2 (en) 2019-07-19 2022-07-26 R.J. Reynolds Tobacco Company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rotatable enclosure for cartridge
US11330838B2 (en) 2019-07-19 2022-05-17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Holder for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detachable cartridge
US11589616B2 (en) 2020-04-29 2023-02-28 R.J. Reynolds Tobacco Company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sliding and axially rotating locking mechanism
US11439185B2 (en) 2020-04-29 2022-09-13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sliding and transversely rotating locking mechanism
US11825872B2 (en) 2021-04-02 2023-11-28 R.J. Reynolds Tobacco Company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protective sleeve
JP7457177B2 (ja) 2021-12-09 2024-03-2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加熱式たばこ
KR20230096610A (ko) * 2021-12-23 2023-06-3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흡연 물품용 가연성 열원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KR20230096602A (ko) * 2021-12-23 2023-06-3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흡연 물품용 가연성 열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0565A (ja) 2011-12-08 2013-06-17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9857A (en) * 1996-06-21 2000-07-18 Japan Tobacco, Inc. Heater for generating flavor and flavor generation appliance
JP3327826B2 (ja) * 1997-12-05 2002-09-2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生成物品及び香味生成器具
CA2271432A1 (en) 1999-05-11 2000-11-11 Han Jo Lee Filter cigarettes with air chambers
JP3974898B2 (ja) 2001-12-28 2007-09-1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喫煙物品
US6810883B2 (en) * 2002-11-08 2004-11-02 Philip Morris Usa Inc. Electrically heated cigarette smoking system with internal manifolding for puff detection
JP2008535530A (ja) * 2005-02-02 2008-09-04 オグレズビー アンド バトラー リサーチ アンド ディヴェロップメント リミテッド 蒸発可能な物質を蒸発させる装置
US20080047571A1 (en) 2006-07-12 2008-02-28 Philip Morris Usa Inc. Smoking article with plate impactor
NZ582761A (en) * 2007-08-10 2013-01-25 Philip Morris Prod Smoking article with a metallic heat honducting element which contacts, surrounds and links a combustible heat source and an aerosol generating substrate
US8617263B2 (en) * 2008-09-18 2013-12-31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fuel element for smoking article
EP2893822B2 (en) * 2010-03-26 2022-08-03 Japan Tobacco Inc. Smoking article
GB201104788D0 (en) * 2011-03-22 2011-05-04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ing article
JP5668674B2 (ja) * 2011-12-07 2015-02-12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装置
AU2012347294B2 (en) * 2011-12-08 2017-12-07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air flow nozzles
EP2625975A1 (en) * 2012-02-13 2013-08-1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having an aerosol-cooling element
TWI590769B (zh) * 2012-02-13 2017-07-1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包含雙導熱元件之吸煙製品及調整吸煙製品一口接一口抽吸的氣溶膠遞送量的方法
WO2014140273A2 (en) * 2013-03-15 2014-09-18 Philip Morris Products S.A. Smoking article with an airflow directing element comprising an aerosol-modifying agent
US9877511B2 (en) * 2013-07-24 2018-01-30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smoking article
KR101824788B1 (ko) * 2013-08-13 2018-02-01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
KR102459145B1 (ko) * 2013-12-05 2022-10-27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저 저항 기류 경로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GB201413037D0 (en) * 2014-02-28 2014-09-03 Beyond Twenty Ltd Beyond 10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0565A (ja) 2011-12-08 2013-06-17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35928A (zh) 2016-10-16
KR102229429B1 (ko) 2021-03-17
JPWO2016162934A1 (ja) 2017-08-10
KR20190086581A (ko) 2019-07-22
CN107404946A (zh) 2017-11-28
US11013868B2 (en) 2021-05-25
EA201792223A1 (ru) 2018-02-28
EP3284354A1 (en) 2018-02-21
EP3284354A4 (en) 2019-01-02
KR20190086580A (ko) 2019-07-22
TWI597020B (zh) 2017-09-01
EP4026447A1 (en) 2022-07-13
KR102000864B1 (ko) 2019-07-16
EP3284354B1 (en) 2022-05-04
KR102242830B1 (ko) 2021-04-20
KR20190086579A (ko) 2019-07-22
CN107404946B (zh) 2021-09-28
EA039036B1 (ru) 2021-11-24
US20180014571A1 (en) 2018-01-18
JP6379287B2 (ja) 2018-08-22
HK1245594A1 (zh) 2018-08-31
KR20170127531A (ko) 2017-11-21
WO2016162934A1 (ja)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864B1 (ko) 향미 흡인기
KR101930194B1 (ko) 향미 흡인기 및 내측 보유 부재
CN109496128A (zh) 包括气溶胶形成基质和导热元件的气溶胶生成制品
US10588345B2 (en) Flavor inhaler, inside holding member, production method for flavor inhaler, and production method for inside holding member
TW201503838A (zh) 燃燒型熱源、香味吸嘗器及燃燒型熱源之製造方法
EA045533B1 (ru) Ингалятор аромата
EA045529B1 (ru) Ингалятор аромата
EA045474B1 (ru) Ингалятор арома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