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150A - 로터,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조립체 - Google Patents

로터,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150A
KR20190086150A KR1020180004338A KR20180004338A KR20190086150A KR 20190086150 A KR20190086150 A KR 20190086150A KR 1020180004338 A KR1020180004338 A KR 1020180004338A KR 20180004338 A KR20180004338 A KR 20180004338A KR 20190086150 A KR20190086150 A KR 20190086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rotor
holder
sleev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0990B1 (ko
Inventor
최호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4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99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4/00Machines adapted for the instantaneous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the angular displacement of rotating parts, e.g. synchro, selsy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실시예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로터; 상기 마그넷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결합하는 메인기어; 상기 메인기어와 맞물리는 서브기어;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콜렉터; 상기 스테이터의 하부에 배치되는 브라켓; 및 상기 로터, 상기 스테이터, 상기 메인기어, 상기 서브기어, 상기 회로기판, 상기 콜렉터 및 상기 브라켓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로터는 로터 슬리브, 상기 로터 슬리브의 단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로터 홀더, 및 상기 로터 홀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로터 홀더는 로터 홀더 본체 및 상기 로터 홀더 본체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 슬리브에 형성된 제1 홀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돌기가 배치되는 센싱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터,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조립체{ROTOR, STATOR AND SENSING ASSEMBLY HAVING THE SAME}
실시예는 로터,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Electronic Power System 이하, 'EPS'라 한다.)은 운행조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모터를 구동하여 선회 안정성을 보장하고 신속한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EPS)은 차속센서, 토크 앵글센서 및 토크센서 등에서 감지한 운행조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모터를 구동하여 선회 안정성을 보장하고 신속한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EPS는 적절한 토크를 제공하기 위하여, 조향축의 토크 및 앵글(핸들의 조향각도)을 측정하는 센싱 조립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조향축은 핸들에 연결되는 입력축과 바퀴측의 동력전달구성과 연결되는 출력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센싱 조립체는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의 비틀림 정도를 측정하여 조향축에 걸리는 토크 및 앵글 등을 측정한다.
한편, 상기 센싱 조립체에 배치되는 로터는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는 로터 슬리브, 상기 로터 슬리브의 단부측에 배치되는 로터 홀더 및 상기 로터 홀더에 배치되는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터 홀더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축에 연동하여 상기 로터 슬리브의 회전시, 상기 로터 슬리브와 상기 로터 홀더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주변 환경에 의한 상기 센싱 조립체의 온도차에 의해 상기 로터 홀더가 팽창 및 수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로터 슬리브와 상기 로터 홀더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여 상기 슬립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조립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는 상기 출력축에 연결되는 스테이터 슬리브, 상기 스테이터 슬리브의 단부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홀더 및 상기 스테이터 홀더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터 홀더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에 연동하여 상기 스테이터 슬리브의 회전시, 상기 스테이터 슬리브와 상기 스테이터 홀더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주변 환경에 의한 상기 센싱 조립체의 온도차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 홀더가 팽창 및 수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테이터 슬리브와 상기 스테이터 홀더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여 상기 슬립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로터 또는 스테이터 각각의 슬리브와 홀더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센싱 조립체를 제공한다.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로터 슬리브; 상기 로터 슬리브의 단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로터 홀더; 및 상기 로터 홀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로터 홀더는 로터 홀더 본체 및 상기 로터 홀더 본체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 슬리브에 형성된 제1 홀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돌기가 배치되는 로터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터 슬리브는 하부측 단부에 형성된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터 홀더는 상기 로터 홀더 본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홈에는 상기 키부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터 슬리브 본체의 내주면을 기준으로 상기 로터 홀더 본체에 형성된 상기 키부의 단부는 소정의 길이(L1)만큼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터 홀더 본체에 형성된 상기 키부의 너비(W1)는 상기 제1 돌기의 직경(D1)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은 마그넷 본체 및 상기 마그넷 본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 홀더 본체에 형성된 제2 홀의 내부에는 상기 제2 돌기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터 홀더 본체의 외주면은 상기 마그넷 본체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G)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제2 돌기의 측면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를 더 포함하며,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상기 로터 홀더가 상기 로터 슬리브와 상기 마그넷 사이에 배치시, 상기 이탈방지돌기는 상기 로터 홀더 본체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터 슬리브 및 상기 로터 홀더는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상기 로터 홀더가 상기 로터 슬리브와 상기 마그넷 사이에 배치시, 상기 로터 홀더의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1 홀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터 홀더 및 상기 마그넷은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상기 로터 홀더가 상기 로터 슬리브와 상기 마그넷 사이에 배치시, 상기 제2 돌기에 의해 상기 제2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는 스테이터 슬리브; 상기 스테이터 슬리브의 단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홀더 및 상기 스테이터 홀더의 외면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스테이터 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홀더는 스테이터 홀더 본체 및 상기 스테이터 홀더 본체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3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터 슬리브에 형성된 제3 홀의 내부에는 상기 제3 돌기가 배치되는 스테이터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 슬리브는 상부측 단부에 형성된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홀더는 상기 스테이터 홀더 본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홈에는 상기 키부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 슬리브의 내주면을 기준으로 상기 스테이터 홀더 본체에 형성된 상기 키부의 단부는 소정의 길이(L2)만큼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 홀더 본체에 형성된 상기 키부의 너비(W2)는 상기 제3 돌기의 직경(D2)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 홀더가 상기 스테이터 슬리브의 단부에 배치시, 상기 스테이터 홀더의 상기 제3 돌기는 상기 제3 홈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마그넷을 포함하는 로터; 상기 마그넷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결합하는 메인기어; 상기 메인기어와 맞물리는 서브기어;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콜렉터; 상기 스테이터의 하부에 배치되는 브라켓; 및 상기 로터, 상기 스테이터, 상기 메인기어, 상기 서브기어, 상기 회로기판, 상기 콜렉터 및 상기 브라켓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로터는 로터 슬리브, 상기 로터 슬리브의 단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로터 홀더, 및 상기 로터 홀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로터 홀더는 로터 홀더 본체 및 상기 로터 홀더 본체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 슬리브에 형성된 제1 홀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돌기가 배치되는 센싱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슬리브; 상기 스테이터 슬리브의 단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홀더; 및 상기 스테이터 홀더의 외면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스테이터 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홀더는 스테이터 홀더 본체 및 상기 스테이터 홀더 본체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3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터 슬리브에 형성된 제3 홀의 내부에는 상기 제3 돌기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터 홀더는 상기 로터 홀더 본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키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홀더는 상기 스테이터 홀더 본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키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 홀더의 키부와 상기 스테이터 홀터의 키부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마그넷을 포함하는 로터; 상기 마그넷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결합하는 메인기어; 상기 메인기어와 맞물리는 서브기어;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콜렉터; 상기 스테이터의 하부에 배치되는 브라켓; 및 상기 로터, 상기 스테이터, 상기 메인기어, 상기 서브기어, 상기 회로기판, 상기 콜렉터 및 상기 브라켓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슬리브, 상기 스테이터 슬리브의 단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홀더, 및 상기 스테이터 홀더의 외면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스테이터 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홀더는 스테이터 홀더 본체 및 상기 스테이터 홀더 본체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3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터 슬리브에 형성된 제3 홀의 내부에는 상기 제3 돌기가 배치되는 센싱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 따른 센싱 조립체는 홀과 돌기의 결합을 통해 로터 또는 스테이터의 슬리브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조립체의 로터 홀더와 마그넷은 소정의 간격(G)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주변 환경에 따라 로터 홀더가 팽창 또는 수축하더라도 상기 간격(G)에 의해 마그넷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터 슬리브 본체의 내주면을 기준으로 돌출된 로터 홀더의 키부는 입력축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터 슬리브의 내주면을 기준으로 돌출된 스테이터 홀더의 키부는 출력축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센싱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센싱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센싱 조립체의 로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센싱 조립체의 로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센싱 조립체의 로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에 대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센싱 조립체의 로터의 로터 홀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센싱 조립체의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센싱 조립체의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센싱 조립체의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B선에 대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센싱 조립체의 스테이터의 스테이터 홀더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센싱 조립체(1)는 조향축의 입력축(미도시)과 출력축(미도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센싱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센싱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x 방향은 축 방향을 의미하며, y 방향은 반경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축 방향과 반경 방향은 서로 수직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센싱 조립체(1)는 하우징(100),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는 로터(200), 상기 출력축에 연결되는 스테이터(300), 스테이터(300)에 결합되는 메인기어(400), 메인기어(400)와 맞물리는 서브기어(500), 스테이터(300)의 외측에 배치되는 회로기판(600), 스테이터(300)와 회로기판(600) 사이에 배치되는 콜렉터(700) 및 스테이터(300)의 하부에 배치되는 브라켓(8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측이라 함은 중심(C)을 기준으로 중심(C)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외측이라 함은 내측에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서브기어(500)에는 서브 마그넷이 배치되고, 회로기판(600)에는 상기 서브 마그넷의 자화를 센싱하는 자기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회로기판(600)에는 토크를 측정하는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상기 센싱 조립체(1)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상호 결합하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하우징(110)은 상부 하우징이라 불릴 수 있고, 제2 하우징(120)은 하부 하우징이라 불릴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에는 상기 입력축이 통과하는 제1 관통홀(111)이 형성되고, 제2 하우징(120)에는 출력축(미도시)이 통과하는 제2 관통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축은 차량의 조향 핸들과 연결되고, 상기 출력축은 조향 바퀴측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공간에는 로터(200), 스테이터(300), 메인기어(400), 서브기어(500), 회로기판(600), 콜렉터(700) 및 브라켓(800)이 배치될 수 있다.
로터(200)는 스테이터(300)의 내측에 배치된다. 로터(200)는 조향축의 입력축과 연결된다, 여기서, 입력축이란 차향의 핸들과 연결된 조향축일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센싱 조립체의 로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센싱 조립체의 로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센싱 조립체의 로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에 대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로터(200)는 로터 슬리브(210), 로터 홀더(220) 및 마그넷(230)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 슬리브(210)는 로터 슬리브 본체(211), 로터 슬리브 본체(211)에 형성된 제1 홀(212) 및 홈(2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홈(213)은 로터 홈 또는 제1 홈이라 불릴 수 있다.
로터 슬리브 본체(211)는 원통 형상 또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로터 슬리브 본체(211)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로터 슬리브 본체(211)는 상기 입력축의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홀(212)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212)은 로터 슬리브 본체(211)를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제1 홀(212)의 일측은 로터 슬리브 본체(211)의 내주면(211a)에 배치되고 타측은 로터 슬리브 본체(211)의 외주면(211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홀(212)에는 로터 홀더(22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홀(212)은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홀(212)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로터 슬리브 본체(211)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213)은 로터 슬리브 본체(211)의 하부측 단부에 아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홈(213)의 형상이 아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홈(213)의 형상은 로터 홀더(220)의 키부(223)의 수직 단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홈(213)은 로터 슬리브 본체(211)의 하부측 단부의 일 영역을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다.
로터 슬리브(210)의 하부측에는 로터 홀더(22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로터 홀더(220)는 레진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로터 홀더(220)는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로터 슬리브(210)의 하부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로터 홀더(220)의 일부는 로터 슬리브(210)의 제1 홀(212) 및 홈(213)에 배치될 수 있다.
로터 홀더(220)는 로터 슬리브(210)와 마그넷(230) 사이에 배치된다.
로터 홀더(220)는 로터 홀더 본체(221), 로터 홀더 본체(221)의 내주면(221a)에서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222), 로터 홀더 본체(221)의 내주면(221a)에서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돌출된 키부(223) 및 로터 홀더 본체(221)에 형성된 제2 홀(22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로터 홀더(220)의 키부(223)는 제1 키부 또는 로터 키부라 불릴 수 있다.
로터 홀더 본체(221)는 원통 형상 또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로터 슬리브 본체(211)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로터 홀더 본체(221)는 로터 슬리브 본체(211)의 하부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기(222)는 로터 홀더 본체(221)의 내주면(221a)에서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제1 돌기(222)는 로터 슬리브(210)에 형성된 제1 홀(212)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때, 로터 홀더(220)가 사출 성형됨에 따라, 제1 돌기(222)는 제1 홀(212)의 내부에 충진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돌기(22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로터 홀더(220)가 로터 슬리브(210)와 마그넷(230) 사이에 배치시, 로터 홀더(220)의 제1 돌기(222)는 로터 슬리브(210)의 제1 홀(212)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로터 슬리브(210)의 제1 홀(212)과 로터 홀더(220)의 제1 돌기(222)의 결합은 로터 슬리브(210)와 로터 홀더(220)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기(222)의 내면(222a)은 로터 슬리브 본체(211)의 내주면(211a)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키부(223)는 로터 홀더 본체(221)의 내주면(221a)에서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돌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부(223)는 홈(213)의 위치에 대응하여 로터 홀더 본체(221)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키부(223)의 일 영역은 로터 슬리브(210)에 형성된 홈(213)의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로터 슬리브(210)의 홈(213)과 로터 홀더(220)의 키부(223)의 결합은 로터 슬리브(210)와 로터 홀더(220)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키부(223)는 로터 슬리브(210)의 내주면(211a)을 기준으로 상기 키부의 단부는 소정의 길이(L1)만큼 내측으로 돌출된다.
그에 따라, 로터 슬리브(210)의 내부로 상기 입력축이 삽입되는 경우 키부(223)는 상기 입력축과 결합된다. 이에, 상기 입력축의 회전은 키부(223)를 통해 로터(200)에 정확하게 전달된다.
또한, 상기 입력축에 의해 상기 로터(200)에 인가되는 하중은 로터 슬리브(210)와 로터 홀더(220)로 분산될 수 있다. 상세하게, 로터 슬리브(210)의 제1 홀(212)과 로터 홀더(220)의 제1 돌기(222)의 결합 및 상기 입력축과 키부(223)의 결합에 의해 상기 입력축의 회전에 의해 인가되는 하중은 분산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센싱 조립체의 로터의 로터 홀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부(223)의 너비(W1)는 제1 돌기(222)의 직경(D1)보다 크다. 그리고, 제1 돌기(222)는 90도 간격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세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224)은 로터 홀더 본체(221)에 형성된다. 제2 홀(224)은 로터 홀더 본체(221)를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제2 홀(224)의 일측은 로터 홀더 본체(221)의 내주면(221a)에 배치되고 타측은 로터 홀더 본체(221)의 외주면(221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홀(224)에는 마그넷(23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로터 홀더(220)는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마그넷(230)의 내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2 홀(224)에는 마그넷(230)의 제2 돌기(232)가 배치된다.
즉,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로터 홀더(220)가 로터 슬리브(210)와 마그넷(230) 사이에 배치시, 상기 마그넷(230)의 제2 돌기(232)에 의해 제2 홀(224)이 형성된다.
한편, 로터 홀더(220)는 로터 홀더 본체(221)의 상면(221c)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225)는 키부(223)와 동일 반경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돌출부(225)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키부(223)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로터 홀더(220)의 돌출부(225)는 제1 돌출부 또는 로터 돌출부라 불릴 수 있다.
마그넷(230)은 로터 홀더(220)의 외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마그넷(230)은 스테이터(300)의 내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마그넷(230)은 마그넷 본체(231), 마그넷 본체(231)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232) 및 제2 돌기의 측면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돌기(233)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 본체(23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넷 본체(231)는 로터 홀더(220)와 소정의 간격(G)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넷 본체(231)의 내주면(231a)은 로터 홀더 본체(221)의 외주면(221b)과 소정의 간격(G)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로터 홀더(220)와 마그넷(230)의 열 팽창율은 상이하며, 로터 홀더(220)가 주변 온도차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하더라도 상기 간격(G)에 의해 마그넷(230)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상기 간격(G)은 온도차에 대한 완충역할을 수행한다.
제2 돌기(232)는 마그넷 본체(231)의 내주면(231a)에서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제2 돌기(232)는 로터 홀더(220)에 형성된 제2 홀(224)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때, 로터 홀더(220)가 사출 성형됨에 따라, 제2 돌기(232)는 제2 홀(224)의 내부에 충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로터 홀더(220)의 제2 홀(224)과 마그넷(230)의 제2 돌기(232)의 결합은 로터 홀더(220)와 마그넷(230)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에 따라, 중심(C)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축의 회전량은 로터 슬리브(210)의 제1 홀(212)과 로터 홀더(220)의 제1 돌기(222)의 결합에 의해 로터 홀더(220)에 전달되고, 로터 홀더(220)의 회전량은 로터 홀더(220)의 제2 홀(224)과 마그넷(230)의 제2 돌기(232)의 결합에 의해 마그넷(230)에 정확히 전달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돌기(232)의 내면(232a)은 로터 홀더 본체(221)의 내주면(221a)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탈방지돌기(233)는 제2 돌기(232)의 측면에 형성된다. 이탈방지돌기(233)는 제2 돌기(232)의 측면에 형성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탈방지돌기(233)는 로터 홀더(220)의 사출 성형에 의해 로터 홀더 본체(221)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제2 홀(224)을 형성하는 로터 홀더 본체(221)의 내부면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탈방지돌기(233)는 반경 방향에 대한 마그넷(230)의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한다.
스테이터(300)는 로터(200)의 마그넷(230)의 외측에 배치된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센싱 조립체의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센싱 조립체의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센싱 조립체의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B선에 대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스테이터(300)는 스테이터 슬리브(310), 스테이터 홀더(320), 한 쌍의 스테이터링(33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 슬리브(3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터 슬리브(310)는 조향축의 상기 출력축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력축은 바퀴측의 동력전달구성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터(300)는 상기 출력축과 연결되어 상기 출력축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스테이터 슬리브(31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스테이터 슬리브(310)는 스테이터 슬리브 본체(311), 스테이터 슬리브 본체(311)에 형성된 제3 홀(312) 및 홈(3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로터(200)의 홈(213)과의 구분을 위해 스테이터 슬리브(310)의 홈(313)은 스테이터 홈 또는 제2 홈이라 불릴 수 있다.
스테이터 슬리브 본체(311)는 원통 형상 또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터 슬리브 본체(311)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테이터 슬리브 본체(311)는 상기 출력축의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제3 홀(312)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홀(312)은 스테이터 슬리브 본체(311)를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제3 홀(312)의 일측은 스테이터 슬리브 본체(311)의 내주면(311a)에 배치되고 타측은 스테이터 슬리브 본체(311)의 외주면(311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홀(312)에는 스테이터 홀더(32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홀(312)은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홀(312)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스테이터 슬리브 본체(311)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313)은 스테이터 슬리브 본체(311)의 상부측 단부에 아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홈(313)의 형상이 아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홈(313)의 형상은 스테이터 홀더(320)의 키부(323)의 수직 단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홈(313)은 스테이터 슬리브 본체(311)의 상부측 단부의 일 영역을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스테이터 슬리브(310)의 상부측에는 스테이터 홀더(32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스테이터 홀더(320)는 레진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스테이터 홀더(320)는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스테이터 슬리브(310)의 상부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스테이터 홀더(320)의 일부는 스테이터 슬리브(310)의 제3 홀(312) 및 홈(313)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 홀더(320)는 스테이터 홀더 본체(321), 스테이터 홀더 본체(321)의 내주면(321a)에서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돌출된 제3 돌기(322) 및 스테이터 홀더 본체(321)의 내주면(321a)에서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돌출된 키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테이터 홀더(320)의 키부(323)는 제2 키부 또는 스테이터 키부라 불릴 수 있다.
스테이터 홀더 본체(32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터 슬리브 본체(311)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테이터 홀더 본체(321)는 스테이터 슬리브 본체(311)의 상부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돌기(322)는 스테이터 홀더 본체(321)의 내주면(321a)에서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제3 돌기(322)는 스테이터 슬리브(310)에 형성된 제3 홀(312)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때, 스테이터 홀더(320)가 사출 성형됨에 따라, 제3 돌기(322)는 제3 홀(312)의 내부에 충진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3 돌기(32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스테이터 홀더(320)가 스테이터 슬리브(310)의 단부에 배치시, 스테이터 홀더(320)의 제3 돌기(322)는 스테이터 슬리브(310)의 제3 홀(312)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스테이터 슬리브(310)의 제3 홀(312)과 스테이터 홀더(320)의 제3 돌기(322)의 결합은 스테이터 슬리브(310)와 스테이터 홀더(320)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돌기(322)의 내면(322a)은 스테이터 슬리브 본체(311)의 내주면(311a)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키부(323)는 스테이터 홀더 본체(321)의 내주면(321a)에서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돌출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부(323)는 홈(313)의 위치에 대응하여 스테이터 홀더 본체(321)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키부(323)의 일 영역은 스테이터 슬리브(310)에 형성된 홈(313)의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스테이터 슬리브(310)의 홈(313)과 스테이터 홀더(320)의 키부(323)의 결합은 스테이터 슬리브(310)와 스테이터 홀더(320)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키부(323)는 스테이터 슬리브(310)의 내주면(311a)을 기준으로 상기 키부의 단부는 소정의 길이(L2)만큼 내측으로 돌출된다.
그에 따라, 스테이터 슬리브(310)의 내부로 상기 출력축이 삽입되는 경우 키부(323)는 상기 출력축과 결합된다. 이에, 상기 출력축의 회전은 키부(323)를 통해 스테이터(300)에 정확하게 전달된다.
또한, 상기 출력축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300)에 인가되는 하중은 스테이터 슬리브(310)와 스테이터 홀더(320)로 분산될 수 있다. 상세하게, 스테이터 슬리브(310)의 제3 홀(312)과 스테이터 홀더(320)의 제3 돌기(322)의 결합 및 상기 출력축과 키부(323)의 결합에 의해 상기 출력축의 회전에 의해 인가되는 하중은 분산될 수 있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센싱 조립체의 스테이터의 스테이터 홀더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부(323)의 너비(W2)는 제3 돌기(322)의 직경(D2)보다 크다. 그리고, 제3 돌기(322)는 90도 간격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세 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로터 홀더(220)의 키부(223)와 스테이터 홀더(320)의 키부(323)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축 방향을 기준으로 로터(200)와 스테이터(300)를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로터(200)에 연결되는 상기 입력축과 스테이터(300)에 연결되는 상기 출력축은 영점 조정될 수 있다.
스테이터 홀더(320)는 스테이터 홀더 본체(321)의 하면(321c)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24)는 키부(323)와 동일 반경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돌출부(324)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키부(323)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테이터 홀더(320)의 돌출부(324)는 제2 돌출부 또는 스테이터 돌출부라 불릴 수 있다.
스테이터 홀더(32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는 스테이터 홀더(320)의 외면 일부를 덮도록 한 쌍의 스테이터 링(330)이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 링(330)은 링 형상의 몸체(331), 몸체(331)의 내주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투스(332) 및 몸체(331)의 외주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돌기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331), 투스(332) 및 돌기부(33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테이터 홀더(3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링(330)의 투스(332)와 스테이터 홀더(320)의 하부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링(330)의 투스(332)는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맞물리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돌기부(333)는 단부를 가압하여 절곡시키는 코킹 방식으로 스테이터 홀더(320)에 고정될 수 있다.
메인기어(400)는 스테이터(300)의 하부에 배치된다.
메인기어(400)는 스테이터(300)에 결합되어 스테이터(300)의 회전에 연동한다. 이때, 메인기어(400)의 외주면에는 기어치가 형성될 수 있다.
서브기어(500)는 메인기어(400)의 기어치와 맞물려 메인기어(400)의 회전에 연동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기어(500)는 메인기어(400)의 기어치와 치합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기어(500)는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서브기어(500)는 효과적인 회전량 차이를 구현하기 위해 2개가 배치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한 개 또는 3개 이상의 복수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브기어(500) 각각에는 서브 마그넷(앵글 마그넷)이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300)의 외측에 배치되는 회로기판(600)에는 서브기어(500)에 배치되는 상기 서브 마그넷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는 앵글센서(자기소자, 미도시)가 실장된다.
상기 앵글센서는 서브기어(500)의 서브 마그넷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서브 마그넷의 자계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앵글센서는 회전량 및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조향축의 회전량인 앵글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 사이에 따라 비틀림이 발생하게 되면, 로터(200)와 스테이터(300) 사이의 회전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자기력의 변화로 감지된다.
이때, 콜렉터(700)는 회로기판(600)에 배치되는 센서가 상기 자기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게 한다.
콜렉터(700)는 스테이터(300)의 플럭스(flux)을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콜렉터(7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콜렉터(700)는 플레이트(710) 및 레그(72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7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710)는 제1 스테이터링(330)의 몸체(33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레그(720)는 플레이트(710)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레그(720)는 외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레그(720)의 단부는 반경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렉터(700)는 두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콜렉터(700)는 배치 위치에 의해 상부 콜렉터(700a)와 하부 콜렉터(700b)로 구분될 수 있다.
상부 콜렉터(700a)는 상부 스테이터 링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하부 콜렉터(700b)는 하부 스테이터 링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인접이라 함은 접촉 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회로기판(600)에는 상기 앵글센서(자기소자) 외에도 토크를 감지할 수 있는 토크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앵글센서 및 토크센서는 홀 소자(Hall IC)일 수 있다.
상기 토크센서는 레그(720)의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토크센서는 레그(720)의 단부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 사이에 따라 비틀림이 발생됨에 따라 로터(200)와 스테이터(300) 사이의 회전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콜렉터(700)를 통해 상기 토크센서는 자기력의 변화를 감지한다. 그에 따라, 상기 토크센서는 상기 핸들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는 토크를 측정할 수 있다.
브라켓(800)은 스테이터(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800)은 미들케이스라 불릴 수 있다.
브라켓(800)에는 콜렉터(700)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800)를 기준으로 상측에서는 토크센서의 센싱역할을 수행하게 하는 로터(200)와 스테이터(300)가 배치되고, 하측에는 앵글센서의 센싱역할을 수행하게 하는 메인기어(400)와 서브기어(500)가 배치된다.
앞서 기재한 로터 홀더 본체(221) 또는 스테이터 홀더 본체(321)는 로터 홀더 바디 또는 스테이터 홀더 바디로 명칭될 수 있으며, 제1 바디 또는 제2 바디로 명칭될 수 있다.
또한, 로터 슬리브 본체(211)는 로터 슬리브 바디로 명칭될 수 있고, 마그넷 본체(231)는 마그넷 바디로 명칭될 수 있으며, 스테이터 슬리브 본체(311)는 스테이터 슬리브 바디로 명칭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센싱 조립체
100: 하우징
200: 로터
300: 스테이터
400: 메인기어
500: 서브기어
600: 회로기판
700: 콜렉터
800: 브라켓

Claims (15)

  1. 로터 슬리브;
    상기 로터 슬리브와 결합하는 로터 홀더; 및
    상기 로터 홀더와 결합하는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로터 홀더는 로터 홀더 바디 및 상기 로터 홀더 바디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 슬리브는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돌기가 배치되는 로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슬리브는 하부측 단부에 형성된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터 홀더는 상기 로터 홀더 바디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홈에는 상기 키부가 배치되는 로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슬리브 바디의 내주면을 기준으로 상기 키부의 단부는 소정의 길이(L1)만큼 내측으로 돌출되는 로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부의 너비(W1)는 상기 제1 돌기의 직경(D1)보다 큰 로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마그넷 바디 및 상기 마그넷 바디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 홀더 바디에 형성된 제2 홀의 내부에는 상기 제2 돌기가 배치되는 로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홀더 바디의 외주면은 상기 마그넷 바디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G)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로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제2 돌기의 측면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돌기는 상기 로터 홀더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로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슬리브 및 상기 로터 홀더는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로터.
  9. 스테이터 슬리브;
    상기 스테이터 슬리브의 단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홀더 및
    상기 스테이터 홀더의 외면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스테이터 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홀더는 스테이터 홀더 바디 및 상기 스테이터 홀더 바디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3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터 슬리브에 형성된 제3 홀의 내부에는 상기 제3 돌기가 배치되는 스테이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슬리브는 상부측 단부에 형성된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홀더는 상기 스테이터 홀더 바디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홈에는 상기 키부가 배치되는 스테이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슬리브의 내주면을 기준으로 상기 키부의 단부는 소정의 길이(L2)만큼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키부의 너비(W2)는 상기 제3 돌기의 직경(D2)보다 큰 스테이터.
  12. 마그넷을 포함하는 로터;
    상기 마그넷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결합하는 메인기어;
    상기 메인기어와 맞물리는 서브기어;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콜렉터;
    상기 스테이터의 하부에 배치되는 브라켓; 및
    상기 로터, 상기 스테이터, 상기 메인기어, 상기 서브기어, 상기 회로기판, 상기 콜렉터 및 상기 브라켓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로터는
    로터 슬리브,
    상기 로터 슬리브의 단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로터 홀더, 및
    상기 로터 홀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로터 홀더는 로터 홀더 바디 및 상기 로터 홀더 본체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 슬리브는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돌기가 배치되는 센싱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슬리브;
    상기 스테이터 슬리브의 단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홀더; 및
    상기 스테이터 홀더의 외면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스테이터 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홀더는 스테이터 홀더 바디 및 상기 스테이터 홀더 바디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3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터 슬리브에 형성된 제3 홀의 내부에는 상기 제3 돌기가 배치되는 센싱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홀더는 상기 로터 홀더 바디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키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홀더는 상기 스테이터 홀더 바디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키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 홀더의 키부와 상기 스테이터 홀터의 키부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센싱 조립체.
  15. 마그넷을 포함하는 로터;
    상기 마그넷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결합하는 메인기어;
    상기 메인기어와 맞물리는 서브기어;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콜렉터;
    상기 스테이터의 하부에 배치되는 브라켓; 및
    상기 로터, 상기 스테이터, 상기 메인기어, 상기 서브기어, 상기 회로기판, 상기 콜렉터 및 상기 브라켓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슬리브,
    상기 스테이터 슬리브의 단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홀더, 및
    상기 스테이터 홀더의 외면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스테이터 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홀더는 스테이터 홀더 바디 및 상기 스테이터 홀더 바디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3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터 슬리브에 형성된 제3 홀의 내부에는 상기 제3 돌기가 배치되는 센싱 조립체.
KR1020180004338A 2018-01-12 2018-01-12 로터,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조립체 KR102500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338A KR102500990B1 (ko) 2018-01-12 2018-01-12 로터,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338A KR102500990B1 (ko) 2018-01-12 2018-01-12 로터,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150A true KR20190086150A (ko) 2019-07-22
KR102500990B1 KR102500990B1 (ko) 2023-02-17

Family

ID=67469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338A KR102500990B1 (ko) 2018-01-12 2018-01-12 로터,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9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543U (ko) * 2007-09-10 2009-03-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측정장치
KR20150034984A (ko) * 2013-09-27 2015-04-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이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
KR101787912B1 (ko) * 2016-11-24 2017-10-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싱 조립체
KR20180001411A (ko) * 2016-06-24 2018-01-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543U (ko) * 2007-09-10 2009-03-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측정장치
KR20150034984A (ko) * 2013-09-27 2015-04-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이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
KR20180001411A (ko) * 2016-06-24 2018-01-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
KR101787912B1 (ko) * 2016-11-24 2017-10-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싱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990B1 (ko) 2023-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117B1 (ko) 토크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JP7113022B2 (ja) センシング装置
KR20150034983A (ko) 토크센서
KR102452164B1 (ko) 센서 조립체
JP2007212198A (ja) トルク検出装置及びこれの製造方法
KR20120120852A (ko) 토크 센서의 로터
KR20180001411A (ko) 센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
KR20190086150A (ko) 로터,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조립체
JP6946413B2 (ja) センサ装置
KR20150034984A (ko) 스테이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
KR102068187B1 (ko) 토크앵글센서
GB2196435A (en) A tachometric generator
EP3805720B1 (en) Sensing device
CN111566449B (zh) 感测装置
KR102182978B1 (ko) 토크 측정장치
KR101932820B1 (ko) 토크 검출 디바이스
KR102662002B1 (ko) 센싱 장치
KR102365919B1 (ko) 모터
KR20200022751A (ko) 센싱 장치
JP7028003B2 (ja) トルク伝達装置
KR102468467B1 (ko) 센싱장치
KR102574635B1 (ko) 센서 장치
KR102658684B1 (ko) 센싱 장치
KR102178637B1 (ko) 토크앵글센서
KR102656073B1 (ko) 센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