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119A -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사 - Google Patents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119A
KR20190086119A KR1020180004257A KR20180004257A KR20190086119A KR 20190086119 A KR20190086119 A KR 20190086119A KR 1020180004257 A KR1020180004257 A KR 1020180004257A KR 20180004257 A KR20180004257 A KR 20180004257A KR 20190086119 A KR20190086119 A KR 20190086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airbag
yarn
polyethylene terephthalat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4039B1 (ko
Inventor
정일원
김성주
Original Assignee
효성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4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039B1/ko
Priority to PCT/KR2019/000480 priority patent/WO2019139417A1/ko
Publication of KR20190086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6Humidity control, or oiling,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2Inflatab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09Fabr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 D10B2505/124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되는 에어백용 직물은 다양한 기후 환경에 노출되어도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해야 하므로, 저온 환경에 노출된 직물의 인열강력이 충분히 높아야 에어백 전개과정에서 직물이 찢어짐으로 인한 에어백의 파손을 줄일 수 있어, 에어백용 직물이 저온 환경인 영하 29℃에 48시간 노출 후에도 직물의 인열강력이 높게 발현되는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사{Polyethyleneterephthalate fiber}
본 발명은 에어백용 직물이 저온 환경인 영하 29℃에 48시간 노출 후에도 직물의 인열강력이 높게 발현되는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 직물은 충돌 시에 원활하게 전개하기 위한 저통기성, 에어백 자체의 손상파열을 막기 위한 높은 에너지 흡수능력 및 수납성 향상을 위한 직물 자체의 접힘성 등 여러 가지 특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에어백 직물의 요구 특성에 적합한 섬유로는 나일론66 소재가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비용절감 등 경제성을 이유로 나일론66 이외의 섬유 소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에어백으로서 적합한 강력 및 저통기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접힘성이 우수하며, 수납 용적이 작은 에어백을 실현시키는 기술이 많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1-41438 공보에는, 강도 8.5g/d이상, 단사 섬도가 3데니어 이하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사조(絲條)로 에어백용 직물을 제조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이 달성된다고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보에는 피복 직물 및 비피복 직물의 차이에 관하여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공보에 개시된 에어백용 직물은 실질적으로는 직물의 표면에 클로로프렌고무 등의 엘라스토머를 도포한 이른바 피복 직물로서, 비피복 직물에 당해 기술을 적용한 경우에는 강력 및 수납성은 확실히 만족시키나, 저통기성의 유지라는 점은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었다.
또, 일본 특개평 4-201650 호 공보에는, 단사 섬도 1.0~12데니어, 단사 변형도 1.5~7.0인 이형 단면을 가지는 복수개의 단사로 이루어지는 폴리아미드 멀티필라멘트를 이용함으로써, 강력 및 접힘성이 우수한 에어백용 직물을 얻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의 에어백용 직물의 제조기술도 피복 직물에 적용한 경우에는 에어백용 직물로서의 요구 특성을 만족시키지만, 비피폭 직물에 적용 시에는 통기성, 특히 봉제부에서의 통기성에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는 것이었다.
비피복 직물에 관한 기술로서는 일본 특개평 7-252740호 공보 기재의 방법이 있다. 상기 공보에는 편평율 1.5이상의 편평 단면사를 이용함으로써, 저통기성, 접힘성 및 수납성이 우수한 비피복 에어백용 직물이 얻어진다고 개시되어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의 비피복 에어백용 직물은 저압(124Pa)하에서의 통기도가 0.3cc/㎠/sec 이상으로, 근래 요구되는 저통기성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미국특허 제 5,073,418호에는 칼렌더링에 의하여 공기 투과도를 낮추어 기밀성 향상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500데니어 이하의 원사로 원단을 제조한 후 칼렌더링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원단의 인열강도가 하락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고유점도가 0.8~1.3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을 방사하여 얻은 제조된 영하 35℃ 저온 인장시험에서 원사의 강도가 9.1gf/den.이상이고 절단 신율은 15% 이상인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를 제공한다. 상기 원사로 제직된 에어백용 직물은 저온 환경인 영하 29℃에 48시간 노출 후에도 직물의 인열강력이 높게 발현된다.
한국공개특허 10-2012-0067767호 한국공개특허 10-1997-0021404호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자동차에 장착되는 에어백용 직물은 다양한 기후 환경에 노출되어도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해야 하므로, 저온 환경에 노출된 직물의 인열강력이 충분히 높아야 에어백 전개과정에서 직물이 찢어짐으로 인한 에어백의 파손을 줄일 수 있어, 에어백용 직물이 저온 환경인 영하 29℃에 48시간 노출 후에도 직물의 인열강력이 높게 발현되는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유점도가 0.8~1.3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을 방사하여 얻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에 있어서, 영하 35℃ 저온 인장시험에서 원사의 강도가 9.1gf/den.이상이고 절단 신율은 15% 이상인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영하 35℃ 측정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사의 터프니스가 40×10-1g/d이상인 것을 특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의 총섬도가 100 내지 1000 데니어이고, 멀티필라멘트의 섬도가 2 내지 10 인 것을 특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제직된 에어백용 직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에어백용 직물은 영하 29℃에서 48시간 에이징 한 직물의 경사방향의 인열강력이 19kgf이상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에어백용 직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에 장착되는 에어백용 직물은 다양한 기후 환경에 노출되어도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해야 하므로, 저온 환경에 노출된 직물의 인열강력이 충분히 높아야 에어백 전개과정에서 직물이 찢어짐으로 인한 에어백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어백용 섬유의 제조공정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과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고유점도가 0.8~1.3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을 방사하여 제조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의 힘-변형 곡선을 조절하여 에어백용 직물에 적용함으로써 에어백 쿠션 전개 시험에서 터지지 않도록 변부 봉재부분이 터짐 현상을 개선된 에어백용 직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에어백 내부의 화약 폭발로 발생하는 배출가스의 순간적인 충격에너지를 에어백 직물이 안전하게 흡수하기 위해서 고유점도(IV)가 0.8~1.3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을 방사하여 얻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한다. 수지의 고유 점도가 0.8dl/g 미만인 폴리에스테르 원사는 충분한 인성을 갖는 원사를 제공하지 않아 적당하지 않다. 또한 고유점도(IV)가 1.3dl/g을 초과하면 방사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서 고유점도가 0.80 ~ 1.30dl/g 범위의 폴리에스테르 칩을 익스트루더 (1)의 온도 조건을 낮게 설정하여 용융한다. 이 때 용융된 폴리머의 온도를 287 ~ 303℃로 하고 기어펌프 (2)의 보온을 위해 온도를 부여하는 데 이때도 기어펌프(2)의 보온의 설정 온도를 낮게 하여 기어펌프(2)를 통과하는 폴리머의 온도를 290 ~ 303℃가 될 수 있도록 조정하여 발열이나 고온에 의한 열분해가 최대한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서 폴리머 자체가 가지고 있는 물성 특성을 최대한 잃지 않도록 한다.
방사 구금 (3)의 노즐 홀의 직경을 0.3 ~ 0.6φ, 방사 구금(3)의 홀 길이와 홀 직경의 비율(L/D)을 2~3으로 하여 방사 드래프트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고뎃 롤러 상에서 높은 연신성을 부여 할 수 있도록 한다. 후드 히터(Hood Heater)(4)의 길이를 200 ~ 300mm로 늘리고 후드 히터(4)의 온도를 340 ~ 390℃로 높여 방사된 섬유로 하여금 최대한 무정 및 무배향의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후드 내의 조건을 만들어 준다. 이렇게 형성된 무정, 무배향의 사를 10 ~ 15℃ 온도를 가지는 공기의 많은 양을 공급 (5)하고 배기(6) 하여서 빠른 냉각(Quenching)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급기량은 60 ~ 90mmAq(아쿠아)이 되게하고 배기량은 80 ~ 100mmAq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 무정, 무배향 상태의 고화된 사를 방사유제 공급장치(7)을 통해 적당량의 오일링을 거친 후, GR 1을 지나 GR 2과 GR 3에서 1차 연신을 잘 되게 한 다음 GR 3과 GR 4 상에서 2차 연신을 수행이 잘되게 하고 고뎃 롤러 GR 4와 GR 5 사이에서 릴랙스를 시킨 후 와인더(13)에 권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하 35℃ 저온 인장시험에서 원사의 강도가 9.1gf/den.이상이고 절단 신율은 15% 이상인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로 제조된 직물은 영하 29℃에서 48시간 에이징 한 직물의 경사방향의 인열강력이 19kgf이상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사는 영하 35℃ 저온 인장시험에서 측정한 터프니스가 40×10-1g/d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영하 35℃ 저온 인장시험에서 원사의 강도가 9.1gf/den.이상이고 절단 신율은 15% 이상인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로 형성하기위해 사용된 공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가 후드 히터(Hood Heater)(4) 통과 시 최대한 무정 및 무배향의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후드 내의 분위기를 만들어 주며, 이렇게 형성된 무정, 무배향의 사를 냉각구역(5, 6)에서 급속 냉각시켜 무정, 무배향 상태를 최대한 유지시켜 높은 연신비로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에 영향을 많이 주는 인자는 열처리 및 이완이 일어나는 GR 4와 GR 5 사이에서 GR에서 멀티 필라멘트사의 접촉 넓이이다. 상기 접촉 넓이를 조절함으로써 바람직한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의 영하 35℃ 저온 인장시험에서 원사의 강도가 9.1gf/den.이상이고 절단 신율은 15% 이상인 물성이 얻어진다. 1차 및 2차 연신 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는 GR 4과 GR 5 표면과 일정한 넓이의 접촉면적을 갖는다.
GR 4와 멀티필라멘트 사가 접촉하는 넓이는 2,000 ~ 4,000 mm2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완이 일어나는 GR 5의 2차 연신이 일어나는 고뎃 롤러 표면에 멀티필라멘트 사가 접촉하는 넓이는 7,000 ~ 9,000 mm2인 것이 바람직하다.
GR 4 표면에 멀티필라멘트 사가 접촉하는 넓이가 2,000mm2 미만 및/또는 이완이 일어나는 GR 5 표면에 멀티필라멘트 사가 접촉하는 넓이가 7,000mm2 미만일 경우, 멀티필라멘트 간에 균일한 열전달이 어렵고, 유제 불균일으로 연신성의 저하 초래로 본 발명의 영하 35℃ 저온 인장시험에서 원사의 강도가 9.1gf/den.이상이고 절단 신율은 15% 이상인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 얻기가 어렵다.
반대로, GR 4 표면에 멀티필라멘트 사가 접촉하는 넓이가 4,000mm2 초과 및/또는 GR 5 표면에 멀티필라멘트 사가 접촉하는 넓이가 9,000mm2 초과일 경우, 멀티필라멘트간 접촉에 의한 핀사 유발 및 Tar 발생과 같은 문제가 일어난다. 그러므로 적절한 접촉 면적을 가지게 하여 무정 무배향의 멀티필라멘트가 최대 이완할 수 있도록 알맞게 조정되어야 한다.
고뎃 롤러 표면에 멀티필라멘트 사가 접촉하는 넓이에 주는 인자는 여러 가지이다. 인자로는 접촉하는 넓이는 연신 GR에 권취된 팔라멘트의 권취 횟수(turn 수)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즉 권취 횟수를 조절하여 접촉 넓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중요한 인자로는 GR사이에 사의 퍼짐을 일정하게 유지할수 있도록 하는 일정한 형태가이드를 적용하여 GR에 권취된 사폭을 조절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형태가 프랫형태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형태가 좁은 브이홈의 형태이면 사폭이 줄어들어 결국 접촉 넓이가 줄어들고, 가이드가 프랫한 형태이면 사폭이 커져 접촉 넓이가 증가한다.
고뎃 롤러 4와 5 전에 가이드가 프랫 형태 일때는 가이드 홈 폭은 2.5 내지 6.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mm, 가장 바람직하게는 4mm이다. 프랫 형태 가이드의 폭이 6.5mm 일때는 필라간 접촉에 의한 핀사가 생기는 문제와 접촉면이 넓어서 유제 tar화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브이홈 형태이며 가이드 폭이 2.5mm인 경우에는 고뎃 롤러에서 균일한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아 연신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접촉 넓이를 조절하는 또 다른 인자는 롤러의 연신장력, 연신온도 및 유제량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여러 가지 인자를 유기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GR 4의 표면에 멀티필라멘트 사가 접촉하는 넓이는 2,000 ~ 4,000 mm2로, 고뎃 롤러인 GR 5의 표면에 멀티필라멘트 사가 접촉하는 넓이는 7,000 ~ 9,000 mm2로 조절함으로써 바람직한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정을 거쳐서 제조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영하 35℃ 저온 인장시험에서 원사의 강도가 9.1gf/den.이상이고 절단 신율은 15% 이상이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사는 영하 35℃ 저온 인장시험에서 측정한 터프니스가 40×10-1g/d이상인 것을 특징이다.
본 발명의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 필라멘트의 총섬도는 100~1000 데니어인 것이 적합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700 데니어이다. 총섬도가 100데니어 미만의 원사를 사용할 경우 에어백용 직물은 수납성의 점에서는 만족하지만, 강력이 부족하여 전개 시 및 전개 후의 승객 충돌 시에 백이 파열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총 섬도가 1000데니어를 초과하면, 에어백으로서 충분한 강력이 얻어져 안전성의 면에서는 만족할 수 있지만 직물이 두꺼워져서 수납성이 나빠지게 된다.
에어백용 직물을 구성하는 멀티 필라멘트의 단사 섬도에 관해서는 5데니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5데니어 이하이다. 통상, 단사 섬도가 작은 섬유를 이용할수록, 얻어지는 직물은 유연하여 접힘성이 우수하고 수납성이 양호해진다. 또, 단사 섬도가 작아짐과 동시에 커버링성이 향상하고, 그 결과, 직물의 통기성을 억제할 수가 있다. 단사 섬도가 5데니어를 초과하면 직물의 접힘성 및 수납성의 저하, 또한 저통기성의 악화를 수반하여 에어백 직물로서 충분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아래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 3
고유점도 1.00dl/g의 폴리에스테르 칩을 직경이 0.4mm, 길이와 직경의 비(L/D)가 3이고 구멍수 120개인 노즐을 통해 용융 폴리머를 압출하고 15℃의 공기로 냉각시킨 다음 집속시켜 오일링하고 고뎃 롤러 2의 온도 100℃, 고뎃 롤러 3 온도 125℃이고, 방사온도, 연신비, 이완률 및 고뎃 롤러 4 온도는 표 1에 명기한 조건으로 하였고, 고뎃 롤러 4에서 필라멘트의 권취횟수는 5회이며 125℃의 고뎃 롤러 5에서는 필라멘트의 권취횟수는 7회이고 고뎃 롤러 4와 5의 전에 가이드의 형태가 프랫한 형태로 가이드 홈의 폭이 4mm 이고 고뎃 롤러 GR 4의 속도를 2700m/min으로 하여 500데니어/120f를 방사하고 연신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 2, 3과 주요한 조건은 같으며 방사온도, 연신비, 이완률 및 고뎃 롤러 4 온도는 표 1에 명기한 조건으로 하였고, 고뎃 롤러 4, 5 전의 가이드 형태가 넓은 프랫형태이며 가이드 홈의 폭은 6.5mm 이고 고뎃 롤러 4에서 필라멘트의 권취 횟수는 5회이며 고뎃 롤러 5에서는 7회이다.
비교예 2
비교예 1과 주요한 조건은 같으며 방사온도, 연신비, 이완률 및 고뎃 롤러 4 온도는 표 1에 명기한 조건으로 하였고 고뎃 롤러 4, 5 전의 가이드 형태가 좁은 브이홈(가이드 홈의 폭은 2.5mm)이며 고뎃 롤러 4에서 필라멘트의 권취 횟수는 6회이며 고뎃 롤러 5에서는 8회이다.
측정방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2을 통해 제조된 원사 및 에어백용 직물의 물성은 아래의 시험 방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1) 폴리에스테르 칩의 고유점도(I.V.) 측정
페놀과 1,1,2,3-테트라클로로에탄올을 6:4의 무게비로 혼합한 시약(90℃)에 시료 0.1g을 농도가 0.4g/100ml 되도록 90분간 용해시킨 후 우베로데(Ubbelohde)점도계에 옮겨담아 30℃ 항온조에서 10분간 유지시키고, 점도계와 흡인장치(aspirator)를 이용하여 용액의 낙하 초수를 구했다. 용매의 낙하 초수도 동일한 방법으로 구한 다음, 하기 수학식에 의해 R.V.값 및 I.V.값을 계산하였다.
R.V. = 시료의 낙하 초수/용매의 낙하 초수
I.V. = 1/4×(R.V.-1)/C+3.4×(InR.V./C)
상기 식에서, C는 용액 중의 시료의 농도(g/100ml)를 나타낸다.
2) 원사의 강신도 측정
원사를 표준상태인 조건, 즉 25℃ 온도와 상대습도 65% RH 인 상태인 항온 항습실에서 24시간 방치 후 ASTM 2256 방법으로 시료를 인장 시험기를 통해 측정한다.
3) 원사의 저온 인장 강신도 측정
원사의 최대 강도(gf/den.)과 최대 신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시료장은 250mm이고, 인장속도는 300 mm/min이며, 초기 하중은 0.05 gf/den.로 설정하여 ASTM 2256 방법으로 원사의 인장시험을 진행하되, 측정 온도는 상온이 아닌 저온 조건에서 시험하기 위하여 3119-600 Series environmental chamber가 장착된 만능재료 시험기(Instron사, 모델 5565) 장비를 사용하여서 액체 질소를 environmental chamber에 공급하여 온도가 영하 35℃인 상태에서 시료를 장착하고, 챔버 온도가 영하 35℃에 도달된 시점에 강신도 시험을 진행하였다. 시료당 5회씩 인장시험을 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이때 표준조건(25℃, 65%RH)에서 측정한 섬도(데니어) 값으로 고온 인장시험 했을 때 원사의 강력(kgf)값을 나누어서 고인 인장시험후 강도(gf/den.)값은 계산 하였다.
4) 원사의 건열 수축률 측정
원사를 테스트라이트 수축률 시험기(Testrite shrinkage tester)에서 180℃에서 2분 동안 0.05gf/데니어 하중을 가한 조건으로 수축률을 측정한다.
5) 직물의 저온 에이징 후 인열강력 측정
이렇게 생산된 원사로 워터제트룸 직기에서 인치 당 경사 밀도 50개, 위사 밀도 49로 평직으로 제직한 뒤, 표면 온도가 180℃인 Can dryer를 거쳐서 건조한다. 에어백용 직물을 영하 29℃에서 48시간 에이징 한 뒤 25℃, 65%RH 조건에서 24시간 방치 후 직물의 인열강력을 만능재료 시험기(Instron사, 모델 4465)를 이용하여, ASDM D 2261법에 의한 텅법의 측정방법에 따라 시험 속도 50mm/min로 일정하게 당기면서 시험편을 인열 시킬 때 발행되는 피크 중 최대 피크 5개의 평균값으로 인열강력을 계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 1 비교예2
방사 온도 295℃ 295℃ 290℃ 305℃ 305℃
연신비 5.8 5.9 6.0 5.4 5.4
이완률(Relax ratio) 9.0% 9.0% 8.5% 10.0% 11.0%
열처리 온도
(4번 고뎃롤러 온도)
245℃ 240℃ 235℃ 245℃ 250℃
고뎃 롤러 4에서 필라멘트의 권취횟수 5회 5회 5회 5회 6회
고뎃 롤러 5에서 필라멘트의 권취횟수 7회 7회 7회 7회 8회
고뎃 롤러 4와 5의 전에 가이드의 형태와 가이드 홈의 폭 프랫 형태,
폭 4mm
프랫 형태,
폭 4mm
프랫 형태,
폭 4mm
프랫 형태,
폭 6.5mm
브이홈
형태,
폭 2.5mm
영하 35℃ 측정 원사 강도(gf/den.) 10.1 10.2 10.4 9.0 8.9
영하 35℃ 측정 원사 절단신율(%) 17.4 17.5 17.5 18.5 18.1
영하 35℃ 측정 원사의 터프니스(×10-1g/d) 42.2 42.7 43.5 38.7 37.9
영하 29℃에서 48시간 에이징 한 직물의 경사방향 인열강력(kgf) 20.5 20.7 21.0 18.9 18.6
실시예 1~3과 같이 영하 35℃ 저온 인장시험에서 원사의 강도가 9.1gf/den. 이상이고 절단 신율은 15% 이상인 원사로 제조된 직물은 영하 29℃에서 에이징 후에도 직물의 인열강력이 더 높게 발현되어 저온 환경에 에어백이 노출되었을 때 에어백 전개과정에서 직물이 찢어짐으로 인한 bag의 파손을 줄일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출원에서 특별히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1: 익스트루더
2: 기어펌프
3: 방사구금
4: 후드 히터
5: 공기 공급관 입구
6: 공기 배기관 출구
7: 방사유제 공급장치
8: 연신 고뎃 롤러 GR1
9: 연신 고뎃 롤러 GR2
10: 연신 고뎃 롤러 GR3
11: 연신 고뎃 롤러 GR4
12: 연신 고뎃 롤러 GR5
13: 권취롤러(와인더)

Claims (5)

  1. 고유점도가 0.8~1.3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을 방사하여 얻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에 있어서, 영하 35℃ 저온 인장시험에서 원사의 강도가 9.1gf/den.이상이고 절단 신율은 15% 이상인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하 35℃ 측정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사의 터프니스가 40×10-1g/d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의 총섬도가 100 내지 1000 데니어이고, 모노필라멘트의 섬도가 2 내지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
  4. 제 1항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제직된 에어백용 직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용 직물은 영하 29℃에서 48시간 에이징 한 직물의 경사방향의 인열강력이 19kgf이상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에어백용 직물.
KR1020180004257A 2018-01-12 2018-01-12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사 KR102454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257A KR102454039B1 (ko) 2018-01-12 2018-01-12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사
PCT/KR2019/000480 WO2019139417A1 (ko) 2018-01-12 2019-01-11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257A KR102454039B1 (ko) 2018-01-12 2018-01-12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119A true KR20190086119A (ko) 2019-07-22
KR102454039B1 KR102454039B1 (ko) 2022-10-17

Family

ID=67219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257A KR102454039B1 (ko) 2018-01-12 2018-01-12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4039B1 (ko)
WO (1) WO2019139417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1404A (ko) 1995-10-11 1997-05-28 악커만, 루츠 위르겐 인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난연성 직물, 이로부터 제조한 에어백 및 이의 용도
KR100779936B1 (ko) * 2006-04-14 2007-11-28 주식회사 효성 산업용 고강력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
KR20110070396A (ko) * 2009-12-18 2011-06-24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에어백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73992A (ko) * 2009-12-24 2011-06-30 주식회사 효성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및 이를 이용한 직물
KR20110076140A (ko) *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효성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및 이를 이용한 직물
KR20120067767A (ko) 2010-12-16 2012-06-2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90813A (ko) * 2013-01-10 2014-07-18 주식회사 효성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23546B1 (de) * 1991-07-16 1999-03-10 Akzo Nobel N.V. Technische Gewebe mit gezielt eingestellter Luftdurchlässigkeit und hoher Alterungsbeständigkeit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101103803B1 (ko) * 2009-06-16 2012-01-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에어백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36422B1 (ko) * 2010-09-17 2017-05-1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09261B1 (ko) * 2010-12-16 2017-02-2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1404A (ko) 1995-10-11 1997-05-28 악커만, 루츠 위르겐 인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난연성 직물, 이로부터 제조한 에어백 및 이의 용도
KR100779936B1 (ko) * 2006-04-14 2007-11-28 주식회사 효성 산업용 고강력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
KR20110070396A (ko) * 2009-12-18 2011-06-24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에어백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73992A (ko) * 2009-12-24 2011-06-30 주식회사 효성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및 이를 이용한 직물
KR20110076140A (ko) *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효성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및 이를 이용한 직물
KR20120067767A (ko) 2010-12-16 2012-06-2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90813A (ko) * 2013-01-10 2014-07-18 주식회사 효성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4039B1 (ko) 2022-10-17
WO2019139417A1 (ko)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9936B1 (ko) 산업용 고강력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
KR101445415B1 (ko) 에어백용 제직 폴리에스테르 직물
JP4166203B2 (ja) ノンコートエアバック用ポリアミド繊維
CN100507111C (zh) 一种制造气囊用无涂层织物的方法
KR20100029059A (ko) 에어백용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JP5359714B2 (ja) エアバッグ用基布
US11130467B2 (en) Fabric for airbag, coated fabric for airbag, and airbag using same
KR102454034B1 (ko)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사
KR20190086119A (ko) 에어백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원사
KR100687033B1 (ko) 산업용 고강력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
KR100462924B1 (ko) 비피복 에어백용 저수축 폴리아미드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902574A (zh) 用于制造高强度纱线的纺丝组件及纱线制造设备和方法
JP2010111958A (ja) ノンコートエアバッグ用織物
JP5741639B2 (ja) エアバッグ用原糸およびエアバッグ用原糸の製造方法
KR100504301B1 (ko) 저수축 삼각단면 폴리아미드 섬유를 사용한 비피복에어백용 직물
US8025969B2 (en) PET yarns with improved loop tensile properties
KR100540041B1 (ko) 비피복 에어백용 저수축 삼각단면 폴리아미드 섬유
KR100451262B1 (ko) 저수축 폴리아미드 섬유를 사용한 비피복 에어백용 직물
KR100540045B1 (ko) 비피복 에어백용 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 섬유 및이의 제조방법
KR100451261B1 (ko) 비피복 에어백용 폴리아미드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30704B1 (ko) 비피복 에어백용 폴리아미드 편평사
CN115667022A (zh) 安全气囊垫及其制备方法
JPH03137218A (ja) ポリエステル繊維
JP2004285497A (ja) 低収縮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方法
JP3622305B2 (ja) ポリエステル繊維製帆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