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618A -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한 포장 케이스 - Google Patents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한 포장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618A
KR20190085618A KR1020180003687A KR20180003687A KR20190085618A KR 20190085618 A KR20190085618 A KR 20190085618A KR 1020180003687 A KR1020180003687 A KR 1020180003687A KR 20180003687 A KR20180003687 A KR 20180003687A KR 20190085618 A KR20190085618 A KR 20190085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product
plate
folde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563B1 (ko
Inventor
허병성
어유정
Original Assignee
허병성
주식회사 어기여차크리에이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병성, 주식회사 어기여차크리에이티브 filed Critical 허병성
Priority to KR1020180003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563B1/ko
Publication of KR20190085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3/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 B65D73/0007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the articles being attached to the plane surface of a single c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한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품용기를 각각 격리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케이스에 있어서, 접힘라인을 통해 접힘 가능한 판상의 외관시트(100); 상기 외관시트의 표면에 형성된 접힘라인 사이사이에 후면이 각각 부착되어 나란하게 배열되며 각각 제품 용기 수납홈을 갖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제품박스(200); 상기 외관시트의 일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단(120); 상기 외관시트의 타측에 형성되어 접힘라인을 통한 접힘시 상기 제품박스의 측면에 밀착되며 접힘된 상기 접힘라인에 상기 고정단 삽입을 위한 고정홈(142)이 형성되는 접힘단(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품 용기를 포장하는 포장 케이스가 보관 상태에서는 육면체의 박스에 각각 격리상태로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고, 제품을 알리고자 전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4개의 제품박스에 제품용기가 각각 격리상태로 전시 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한 포장 케이스{A packing box}
본 발명은 다수개의 제품 용기를 포장하는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육면체 포장케이스에 4개의 제품 용기가 각각 격리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전개시에는 제품 용기의 안정된 고정상태에서 바로 제품 용기의 전시될 수 있도록 하는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한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마트 또는 백화점 등에는 판매를 위한 다양한 제품이 진열대를 통해 진열되어져 전시 및 판매되고 있으며, 전시된 제품은 소비자의 구매시 제품의 이동에 따른 보호 및 보관 등의 편의성을 위해 포장 케이스에 수납되어 판매되고 있다.
포장 케이스는 포장 박스라고도 하며, 종이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제조될 수 있고, 제품의 파손이나 내용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단일 제품 또는 다수개의 제품이 동시에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다.
종래의 포장 케이스는 내부에 수용된 제품의 정보를 소비자에게 알려주어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방법으로 포장 케이스의 외측 표면에 제품을 확인할 수 있는 이미지를 인쇄하거나 혹은 사용 편의성을 위한 정보를 인쇄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었다.
다른 예로서, 포장 케이스의 내부에 보관된 제품이 보이도록 덮개가 열리도록 한 상태에서 내부의 제품이 보이도록 하고 있으나 이 또한 별도의 거치대가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유리 소재의 컵 등과 같이 충격에 의하여 쉽게 깨지는 제품 용기 등은 완충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별도의 케이스에 수납 한 후 이를 다시 박스 형태의 포장 케이스 내부에 각각 보관하여 판매하고 있었다.
상기한 경우 제품을 전시하고자 하는 경우 용기를 일일이 꺼낸후 진열대에 올려놓고 전시하고 이때 제품이 팔리는 경우 별도의 포장 케이스에 해당되는 제품을 수용되도록 한 후 제품을 판매하여 왔었다.
공지 예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37602호로 술병 포장케이스가 제시된 바 있다.
이는, 일측이 개방되고 상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와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되, 본체의 바닥판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본체의 내측에서 이탈 및 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본체를 개폐시키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술병 포장케이스는, 와인이나 샴페인과 같은 술병을 넣거나 꺼내기가 용이하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하여 별도의 포장작업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한 경우 하나의 제품 포장만을 위한 것이고, 또한 실제 제품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포장케이스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81424호로 포장박스가 제시된 바 있다.
이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나 또는 서로 부딪치게 되면 쉽게 깨지는 용기, 특히 컵을 보호하여 깨지지 않도록 하고, 또한 컵을 여러개 운반시,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도모하면서 아울러 운반과정 중에도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기술의 경우에도 포장박스가 단지 제품 보호를 위한 것일 뿐 다수 제품의 보관과 함께 제품 전시는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KR 실용신안등록 제20-0437602호 공고일 2007. 12. 17 KR 실용신안등록 제20-0469737호 공고일 2013. 11. 04 KR 실용신안등록 제20-0447274호 공고일 2010. 01. 13 KR 실용신안등록 제20-0381424호 공고일 2005. 04.11 KR 특허등록 제10-1316849호 공고일 2013. 10. 08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 용기를 포장하는 포장 케이스가 일자형의 전개 상태에서는 제품 용기를 격리 상태의 제품박스에 각각 고정한 상태에서 표면에 부착되어 전시 가능하도록 하고 육면체 형태로의 접힘 상태에서는 제품 용기가 각각 격리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여 전시 및 보관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즉, 육면체 형상의 포장 케이스가 접힘 상태에서는 내부에 4개의 제품 용기가 별도의 제품박스를 통해 격리상태로 보호 및 보관될 수 있고 또한 전개 상태에서는 4개의 제품 용기가 제품박스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일부 노출되어져 전시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품용기를 각각 격리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케이스에 있어서,
접힘라인을 통한 접힘시 육면체의 외관을 이루는 판상의 외관시트; 외형이 삼각기둥 형상을 이루며, 그 일면이 상기 외관시트의 표면에 형성된 접힘라인 사이사이에 각각 부착되어 나란하게 배열되며 각각 개방된 제품용기 수납홈을 갖는 4개 이상의 제품박스;를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제품박스는, 삼각기둥으로 이루어지며 3개의 면 중 일면이 상기 외관시트의 표면에 부착되고, 노출된 표면의 돌출라인에 제품용기가 삽입되도록 제품용기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품용기 수납홈의 상하측 벽면에 삽입된 상기 제품용기의 상측 및 하측 단부가 걸림되도록 상부 및 하부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품박스는, 종이 소재의 시트가 전개 상태에서 접힘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기준판과, 상기 기준판에 대해 일측에 접힘라인을 통해 배열되며 상기 접힘라인을 통한 다단 접힘시 상기 기준판과 함께 삼각 기둥을 이루는 한 쌍의 접힘판과, 상기 기준판의 타측에 접힘라인을 통해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접힘라인에 관통된 고정홈이 형성된 기준 결합편과, 상기 접힘판의 타측에 접힘라인를 통해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는 기준 결합단과, 상기 접힘판의 각각 상측 및 하측 단부에 접힘라인을 통해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접힘라인에 각각 관통된 고정홈이 형성된 닫힘 결합편과, 상기 기준판의 상측 및 하측에 삼각 형태로 각각 접힘라인을 통해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며 노출된 양쪽 변에 상기 고정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단이 각각 형성된 삼각판과, 상기 접힘판과 접힘판을 구획하는 접힘라인에 상하부는 수평의 컷팅라인으로 평행하게 절단되어 형성되고 상기 컷팅라인의 양쪽 단부는 수직으로 접힘 가능하게 접힘라인으로 이루어지며 중간부분에 한 쌍의 절곡라인이 형성되어 접힘 및 절곡시 제품용기를 지지하게 되는 용기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품 용기를 포장하는 포장 케이스가 보관 상태에서는 육면체의 박스에 각각 격리상태로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고, 제품을 알리고자 전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4개의 제품박스에 제품용기가 각각 격리상태로 전시 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한 포장 케이스의 보관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포장 케이스가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포장 케이스가 일자형으로 전개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제품박스의 단면을 도시한 제품박스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제품박스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제품박스 전개도,
도 7은 도 6의 제품박스에 결합되는 부품을 도시한 전개도,
도 8은 도 5의 제품박스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박스를 외관시트에 부착시킨 상태의 전개사진,
도 10은 도 9의 외관시트를 제품박스를 감싼 상태의 제품 포장사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4개 이상의 용기를 격리상태로 보관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포장케이스는, 도시에 의하여 접힘 가능한 판상의 외관시트(100)와, 삼각기둥 형상을 취하며 상기 외관시트(100)의 일측 표면에 나란히 부착되는 4개의 이상의 제품박스(200)(200a)(200b)(200c)로 구성된다.(도 2,3 및 도 9 참조)
상기 외관시트(100)는 제품박스(200)(200a)(200b)(200c)를 감싸는 형태로 접힘시, 상기 외관시트(100)가 육면체를 이루게 되고 그 내측에 제품박스(200)(200a)(200b)(200c)가 서로 밀착상태를 유지하며 육면체를 이루게 된다.(도 1 및 도 10 참조)
상기 외관시트(100)는, 종이 또는 유연성 소재가 적용되고,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접힘을 위한 접힘라인(102)이 형성된다.
상기 제품박스(200)는, 제품용기(V)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외관시트(100)의 표면에 대해 4개로 배열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4개의 제품박스(200)로 배열되는 경우 상기 외관시트(100)의 접힘시 육면체를 이루게 된다.
상기 제품박스(200)는, 삼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되 3개의 표면중 한쪽 표면이 상기 외관시트(100)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부착되지 않고 노출된 수직라인에 제품용기(V)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품용기 수납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제품용기 수납홈(210)의 상하측에 수납된 상기 제품용기(V)의 상단 및 하단이 각각 걸림될 수 있도록 상부 걸림홈(212)과 하부 걸림홈(21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품용기(V)를 제품용기 수납홈(210)에 세워진 상태로 삽입하게 되면 상단 두껑부가 상기 상부 걸림홈(212)에 걸림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 걸림홈(214)에 걸림상태로 안치되어져 상기 제품박스(200)로부터 제품용기(V)가 이탈되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걸림홈(212)은, 상기 제품용기 수납홈(210)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된 공간에 각각 삽입되는 용기 밀착부재(220)(24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관시트(100)의 양쪽 단부에는, 접힘 상태에서 양쪽 단부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단(120) 및 상기 고정단(120) 삽입을 위한 고정홈(142)이 형성된 접힙단(14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단(120)은, 상기 외관시트(100)의 일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것이며, 적어도 2개 이상 돌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힘단(140)은, 상기 외관시트(100)의 타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외관시트(100)와 상기 접힘단(140)이 접하는 접힘라인(102)에 상기 고정단(120)이 끼워지도록 고정홈(14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142)은, 상기 고정단(120)의 갯수만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품박스(200)의 후면 높이와 상기 외관시트(100)의 표면 높이가 동일한 상태로 부착되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박스(200)의 다른 예로서 제품박스가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아닌 종이 소재의 판재를 절곡, 컷팅, 접힘 작업을 통해 제조됨을 보인 전개도로, 전개도의 전개상태에서 컷팅라인의 컷팅후 접힘라인의 접힘시 제품용기 삽입홈을 갖는 제품박스를 형성하게 됨을 보인 것이다.
상기 제품박스(20)는, 종이 소재의 시트가 전개 상태에서 접힘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기준판(21)과, 상기 기준판(21)에 대해 일측에 접힘라인(L1)(L2)을 통해 배열되며 상기 접힘라인(L1)(L2)을 통한 다단 접힘시 상기 기준판(21)과 함께 삼각 기둥을 이루는 한 쌍의 접힘판(22)(23)과, 상기 기준판(21)의 타측에 접힘라인(L3)을 통해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접힘라인(L3)에 관통된 고정홈(24)이 형성된 기준 결합편(25)과, 상기 접힘판(23)의 타측에 접힘라인(L4)를 통해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24)에 끼워지는 기준 결합단(26)과, 상기 접힘판(22)(23)의 각각 상측 및 하측 단부에 접힘라인(L5)(L6)을 통해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접힘라인(L5)(L6)에 각각 관통된 고정홈(27)(28)이 형성된 닫힘 결합편(29)(30)(31)(32)과, 상기 기준판(21)의 상측 및 하측에 삼각 형태로 각각 접힘라인(L7)(L8)을 통해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며 노출된 양쪽 변에 상기 고정홈(27)(28)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단(35)(35a)(35b)(35c)이 각각 형성된 삼각판(33)(34)과, 상기 접힘판(22)과 접힘판(23)을 구획하는 접힘라인(L2)에 상하부는 수평의 컷팅라인으로 평행하게 절단되어 형성되고 상기 컷팅라인의 양쪽 단부는 수직으로 접힘 가능하게 접힘라인(L9)(L10)으로 이루어지며 중간부분에 한 쌍의 절곡라인(S1)(S2)이 형성되어 접힘 및 절곡시 제품용기(V)를 지지하게 되는 용기 지지판(36)으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하면 된다.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박스(20)의 제품용기 삽입홈 상하측에 결합되는 부품이며 상기 제품용기 삽입홈의 상하측에 삽입시 상기 제품용기의 상하단이 각각 끼워져 걸림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용기 지지판(36)의 접힘 및 절곡에 의해 형성된 상하측 공간에 용기 밀착판(37)이 서로 대응되게 결합되도록 함을 보인 것이다.
상기 용기 밀착판(37)은, 삼각형태의 밀착판(38)과, 상기 밀착판(38)의 하측단에 접힘라인(L11)을 통해 접힘되는 절곡판(39)과, 상기 밀착판(38)의 좌우 양쪽단에 접힘라인(L12)(L13)을 통해 접힘되며 노출단에 가이드홈(39)이 형성된 다리판(40)으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하면 된다.
또한, 상기 외관시트(100)의 일측 표면에는 손잡이의 양단이 끼워져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좌우 한 쌍의 손잡이홈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한 경우 상기 외관시트(100)에 제품박스(200)(200a)(200b)(200c)를 배열한 후 말아서 육면체가 되도록 한 다음 손잡이의 양단을 손잡이홈에 끼우면 된다. 이후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제품을 이동시키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품박스(20)를 만들고자 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판상의 시트 표면에 실선으로 컷팅라인을 형성하고 점선으로 접힘라인을 형성시킨 다음 컷팅하고 접어서 제품박스(20)를 조립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V: 제품용기
100: 외관시트
102: 접힘라인
120: 고정단 140: 접힘단
142: 고정홈
200,200a,200b,200c: 제품박스
210: 제품용기 수납홈 212: 상부 걸림홈
214: 하부 걸림홈

Claims (6)

  1. 제품용기를 각각 격리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케이스에 있어서,
    접힘라인을 통한 접힘시 육면체의 외관을 이루는 판상의 외관시트;
    외형이 삼각기둥 형상을 이루며, 그 일면이 상기 외관시트의 표면에 형성된 접힘라인 사이사이에 각각 부착되어 나란하게 배열되며 각각 개방된 제품용기 수납홈을 갖는 4개 이상의 제품박스;를 포함하는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판 포장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박스의 후면 높이와 상기 외관시트의 표면 높이가 동일한 상태로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한 포장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박스는,
    삼각기둥으로 이루어지며
    3개의 면 중 일면이 상기 외관시트의 표면에 부착되고,
    노출된 표면의 돌출라인에 제품용기가 삽입되도록 제품용기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품용기 수납홈의 상하측 벽면에 삽입된 상기 제품용기의 상측 및 하측 단부가 걸림되도록 상부 및 하부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한 포장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박스는,
    종이 소재의 시트가 전개 상태에서 접힘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기준판(21)과,
    상기 기준판(21)에 대해 일측에 접힘라인(L1)(L2)을 통해 배열되며 상기 접힘라인(L1)(L2)을 통한 다단 접힘시 상기 기준판(21)과 함께 삼각 기둥을 이루는 한 쌍의 접힘판(22)(23)과,
    상기 기준판(21)의 타측에 접힘라인(L3)을 통해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접힘라인(L3)에 관통된 고정홈(24)이 형성된 기준 결합편(25)과,
    상기 접힘판(23)의 타측에 접힘라인(L4)를 통해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24)에 끼워지는 기준 결합단(26)과,
    상기 접힘판(22)(23)의 각각 상측 및 하측 단부에 접힘라인(L5)(L6)을 통해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접힘라인(L5)(L6)에 각각 관통된 고정홈(27)(28)이 형성된 닫힘 결합편(29)(30)(31)(32)과,
    상기 기준판(21)의 상측 및 하측에 삼각 형태로 각각 접힘라인(L7)(L8)을 통해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며 노출된 양쪽 변에 상기 고정홈(27)(28)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단(35)(35a)(35b)(35c)이 각각 형성된 삼각판(33)(34)과,
    상기 접힘판(22)과 접힘판(23)을 구획하는 접힘라인(L2)에 상하부는 수평의 컷팅라인(C1)(C2)으로 평행하게 절단되어 형성되고 상기 컷팅라인(C1)(C2)의 양쪽 단부는 수직으로 접힘 가능하게 접힘라인(L9)(L10)으로 이루어지며 중간부분에 한 쌍의 절곡라인(S1)(S2)이 형성되어 접힘 및 절곡시 제품용기(V)를 지지하게 되는 용기 지지판(36)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판 포장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지지판(36)의 접힘 및 절곡에 의해 형성된 상하측 공간에 용기 밀착판(37)이 서로 대응되게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용기 밀착판(37)이,
    삼각형태의 밀착판(38)과, 상기 밀착판(38)의 하측단에 접힘라인(L11)을 통해 접힘되는 절곡판(39)과, 상기 밀착판(38)의 좌우 양쪽단에 접힘라인(L12)(L13)을 통해 접힘되며 노출단에 가이드홈(39)이 형성된 다리판(4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판 포장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시트의 일측 단부에 돌출 형성된 고정단과,
    상기 외관시트의 타측에 형성되어 접힘라인을 통한 접힘시 상기 제품박스의 측면에 밀착되며 접힘된 상기 접힘라인에 상기 고정단 삽입을 위한 고정홈이 형성되는 접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판 포장 케이스.
KR1020180003687A 2018-01-11 2018-01-11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한 포장 케이스 KR102018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687A KR102018563B1 (ko) 2018-01-11 2018-01-11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한 포장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687A KR102018563B1 (ko) 2018-01-11 2018-01-11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한 포장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618A true KR20190085618A (ko) 2019-07-19
KR102018563B1 KR102018563B1 (ko) 2019-09-09

Family

ID=67511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687A KR102018563B1 (ko) 2018-01-11 2018-01-11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한 포장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56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119A (ko) * 1999-04-29 1999-10-05 최덕환 다용도조립체
KR200381424Y1 (ko) 2004-11-11 2005-04-11 주식회사 두산 컵 보호용 포장박스
US20060169754A1 (en) * 2005-02-01 2006-08-03 D-Link Corporation Paper container and paper exhibition box containing the paper containers
KR200437602Y1 (ko) 2006-11-06 2007-12-17 주식회사 오리온 포장케이스
KR200447274Y1 (ko) 2008-01-03 2010-01-13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술병 포장케이스
KR101316849B1 (ko) 2013-02-13 2013-10-08 (주)페이퍼월드 진열형 포장박스
KR200469737Y1 (ko) 2012-04-05 2013-11-04 주식회사 쓰리쎄븐 진열대 겸용 포장케이스
JP2015229526A (ja) * 2014-06-09 2015-12-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組合せカートン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119A (ko) * 1999-04-29 1999-10-05 최덕환 다용도조립체
KR200381424Y1 (ko) 2004-11-11 2005-04-11 주식회사 두산 컵 보호용 포장박스
US20060169754A1 (en) * 2005-02-01 2006-08-03 D-Link Corporation Paper container and paper exhibition box containing the paper containers
KR200437602Y1 (ko) 2006-11-06 2007-12-17 주식회사 오리온 포장케이스
KR200447274Y1 (ko) 2008-01-03 2010-01-13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술병 포장케이스
KR200469737Y1 (ko) 2012-04-05 2013-11-04 주식회사 쓰리쎄븐 진열대 겸용 포장케이스
KR101316849B1 (ko) 2013-02-13 2013-10-08 (주)페이퍼월드 진열형 포장박스
JP2015229526A (ja) * 2014-06-09 2015-12-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組合せカート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563B1 (ko) 201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4015B2 (en) Clear window packaging assembly and method
US7624876B1 (en) Packaging assembly with non-linear slots
KR102088108B1 (ko) 외부 충격에 대해 완충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US201403673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bag delivery
JP2008254752A (ja) 商品包装体
US20170225838A1 (en) Clear container holding multiple articles
KR101218035B1 (ko) 거치대겸용 다용도 포장용 박스
KR20170102647A (ko) 지지체를 구비한 포장용 종이상자
KR20190085618A (ko)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한 포장 케이스
KR101521454B1 (ko) 적층 및 진열이 용이한 포장박스
KR101735939B1 (ko) 포장용 상자
JP2009057078A (ja) 緩衝袋およびその梱包方法
CN211281809U (zh) 包装盒
US20060260975A1 (en) Packaging assembly
KR200469737Y1 (ko) 진열대 겸용 포장케이스
KR100978460B1 (ko) 좌우로 벌어지는 병 포장상자
CN110775394A (zh) 包装盒
KR20210052842A (ko) 택배용 포장박스
ES2223754T3 (es) Caja de carton convertible en embalaje de presentacion de articulos.
JP2020158125A (ja) 包装体
WO2013084015A1 (en) Container for bottles of drinks
US20080083647A1 (en) Display box for flexible contents
KR101004997B1 (ko) 디스플레이가 용이한 포장용 상자
KR200479488Y1 (ko) 진열장 기능을 갖는 화장품 포장 케이스
KR101707645B1 (ko) 튜브형 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