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3119A - 다용도조립체 - Google Patents

다용도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3119A
KR19990073119A KR1019990018258A KR19990018258A KR19990073119A KR 19990073119 A KR19990073119 A KR 19990073119A KR 1019990018258 A KR1019990018258 A KR 1019990018258A KR 19990018258 A KR19990018258 A KR 19990018258A KR 19990073119 A KR19990073119 A KR 19990073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nit member
shape
folded
multipurp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2291B1 (ko
Inventor
최덕환
Original Assignee
최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덕환 filed Critical 최덕환
Priority to US09/366,835 priority Critical patent/US6244501B1/en
Publication of KR19990073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119A/ko
Priority to EP99125900A priority patent/EP1048576A1/en
Priority to TW089104001A priority patent/TW422803B/zh
Priority to CN00103451A priority patent/CN1123493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2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5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joined together by bonding, adhesiv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lay Rack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용도 조립체는 물건을 포장 또는 수납함은 물론 물건을 포장한 상태에서 다양한 형태로 전시할 수 있게 하면서 보관시에는 최소한의 부피로 접을 수 있도록 하여 보관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일정한 형상을 갖고서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고, 일정하게 접혀진 상태로 있다가 펼쳐서 조립하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여 내부에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단위부재와;
상기한 단위부재들의 적어도 어느 일부분 이상과 결합되고, 이 단위부재와 인접한 단위부재의 사이를 접힘 또는 펼침 가능하게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조립체{ASSEMBLY FOR VARIOUS PURPOSES}
본 발명은 다용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물건을 포장 또는 수납함은 물론 물건을 포장한 상태에서 다양한 형태로 전시할 수 있게 하면서 보관시에는 최소한의 부피로 접을 수 있도록 하여 보관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다용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 박스는 일정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필요한 제품 예컨대, 커피 용기 또는 화장품 용기 등을 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조립 박스는 제작 방식에 따라 일정한 형상을 갖도록 일체로 제작하여 그대로 사용하는 일체식과, 접힘이 가능한 종이재 등으로 제작한 후 일정한 형상으로 조립하여 사용하는 패딩식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상기한 일체식 조립 박스는 제작이 용이한 반면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보관이 곤란하게 되고, 제품을 전시하기 위하여는 제품을 조립 박스에서 끄집어 내어어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안겨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패딩식 조립 박스는 접힌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반면 사용시 일일이 접은 후 서로 끼워 맞추어서 조립해야 하므로 조립이 번거롭게 되며, 제품을 전시하기 위하여 뚜껑을 열어주거나 제품을 조립 박스에서 끄집어 내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안겨주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건을 포장 또는 수납함은 물론 물건을 포장한 상태에서 다양한 형태로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관시에는 최소한의 부피로 접을 수 있도록 하여 보관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다용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한 형상을 갖고서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고, 일정하게 접혀진 상태로 있다가 펼쳐서 조립하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여 내부에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단위부재와;
상기한 단위부재들의 적어도 어느 일부분 이상과 결합되고, 이 단위부재와 인접한 단위부재의 사이를 접힘 또는 펼침 가능하게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립체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립체의 단위부재의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립체의 일부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립체의 제1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다른 다용도 조립체의 제2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립체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립체의 단위부재의 전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립체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립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립체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립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립체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립체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립체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립체가 오무려지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립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립체는 일정한 형상을 갖고서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고, 일정하게 접혀진 상태로 있다가 펼쳐서 조립하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여 내부에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공간(2)을 보유하는 단위부재(1)와;
상기한 단위부재(1)들의 적어도 어느 일부분 이상과 결합되고, 이 단위부재와 인접한 단위부재(1)의 사이를 접힘 또는 펼침 가능하게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다용도 조립체는 상기한 단위부재의 내부 공간(2)의 일부분 이상을 외부에서 직접 볼 수 있도록 하여 상기한 단위부재(1)의 내부 공간(2)에 담겨진 물건을 전시하기 위한 전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단위부재(1)는 종이는 물론 목재, 플라스틱, 합성수지, 유리, 천, 융 , 금속재, 가죽등의 피혁재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단위부재(1)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인접한 단위부재(1)와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면서 일정하게 배치된다.
상기한 단위부재(1)는 3개의 단위부재(1)들을 완전히 모았을 때의 조립체의 형상이 도 5와 같이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평행육면체로 형성된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한 단위부재를 각 단위부재(1)들을 모았을 때 조립체가 일정한 형상, 예컨대, 육면체, 팔면체 등의 다면체 또는 원통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평행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등과 같은 다면체 또는 곡면체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단위부재(1)의 형상이 평행육면체로 형성되는 경우 이외의 다른 다면체로 형성되어도 평행육면체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단위부재(1)는 어느 일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접힘부(7)를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고, 각각 일정한 형상(예컨대, 사각 형상 등)을 갖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단위면(9,11,13,15)과;
상기한 단위면(9,11,13)의 상,하단부에는 일정한 크기로 접힘과 펼침 가능하게 각각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일정하게 접혀지면 상, 하단면을 이루고, 이 단위면과 다른 단위면과의 조립을 위한 연장부(17,19,21)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연장부(19)에는 일정한 크기로 접힘 또는 펼침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고, 다른 연장부(17,21)와 결합되어 이 연장부(19)를 조립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3)가 제공된다.
상기한 연결수단은 각 단위부재(1)의 어느 단위면과 일부분 이상 결합되고, 각 단위부재(1)의 제1접힘부(7)를 따라 접힘 가능하게 되는 제2접힘부(4)를 보유함과 아울러 일 단위부재와 다른 단위부재 사이를 접힘 또는 펼침 가능케 하는 제3접힘부(5)를 보유하면서 각 단위부재(1)를 감싸주기 위한 커버부재(3)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단위부재(1) 또는 커버부재(3)에는 각 단위부재(1)들을 일정한 형상으로 모았을 때 이 모은 상태로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수단이 제공된다.
상기한 고정수단은 단위부재(1)의 단위면(15) 또는 커버부재(3)의 어느 일측면에 제공되고, 각 단위부재(1)를 모았을 때 대응 결합되는 단위부재(1)의 단위면(9) 또는 커버부재(3)에 끼워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5)(2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고정부(25)(26)의 어느 일면에는 단위부재(1) 또는 커버부재(3)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접착부재 등이 도포된다.
상기한 전시수단은 각 단위부재(1)의 내부 공간을 외부에서 일정부분 이상 볼 수 있도록 적어도 각 단위부재의 적어도 일부분 이상을 일정한 크기 이상의 투과율을 갖고서 유리와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전시수단은 각 단위부재(1)의 적어도 어느 단위면에 일정한 형상과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형성되고, 각 단위부재(1)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게 개방되기 위한 개방부(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개방부(6)는 단위부재(1)의 일 단위면에 일정한 크기로 형성하거나 일 단위면과 인접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위면을 조합한 면에 일정한 크기로 형성한다.
상기한 단위부재(1)에는 개방부(6)를 형성할 수 있도록 단위면(11,13)의 일부에 일정한 간격 또는 일정한 형상으로 절취되는 절취부(27)가 형성된다.
상기한 개방부(6)는 단위면(11,13)의 중앙부에 일정한 크기로 형성하거나, 단위면(11,13)의 하단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한 크기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개방부(6)는 도 1에서 사각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위부재의 내부 공간에 담겨진 물건을 볼 수 있는 것이면 하트형상, 원형상, 타원형상, 다각형상, 별형상 등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한 단위부재(1)의 내부 하단면에는 이 단위부재의 내부 공간(2)에 담겨진 물건(100)을 개방부(6)를 통하여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이 물건을 받쳐주기 위한 받힘부재(29)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포장박스는 보관시에는 각 단위부재(1)들이 접혀진 상태로 있게 된다.
즉, 커버부재(3)의 일면이 단위부재(1)의 어느 단위면(9,11,13,15)과 접착부재 등에 의하여 결합되고 각 단위부재(1)는 제3접힘부(5)에 의하여 접힘이 가능하게 전개되어 있으며, 연장부(17,19,21)와 고정부(23)도 연결수단의 커버부재(3)의 면상을 따라 전개된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커버부재(3)와 단위부재(1)의 단위면(9,11,13,15) 만큼의 두께를 차지하게 되므로 차지하는 공간이 적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위부재(1)에 물건(100)을 담아서 전시하고자 할 경우에는 커버부재(3)를 일정한 면으로 펼쳐준 후 단위부재(1)의 단위면(9,11,13,15)을 제1접힘부(7)를 기준으로 평행육면체 형상으로 펼쳐주고 도 1과 같이 단위면(9,11,13,15)이 단위부재(1)의 각 면을 이루도록 함과 아울러 연장부(17,19,21)를 서로 조립하여 단위부재(1)의 상,하단면을 이루도록 하고, 고정부(23)를 조립하여 연장부(17,19,21)를 조립된 상태로 고정시켜 준다.
그러면 3개의 단위부재(1)가 각각 평행사면체를 이루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단위부재(1)의 단위면(11,13) 전면에 형성된 개방부(6)를 통하여 단위부재(1)의 내부 공간(2)에 물건(100)을 담아주면, 이 물건은 받힘부재(29)에 의하여 받쳐지게 되고 절취부(27)에 의하여 감싸지면서 도 4와 같이 전시수단의 개방부(6)에 의하여 전시 가능한 상태로 됨과 아울러 물건(100)이 포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물건(100)이 포장된 상태에서 각 단위부재(1)를 조합하여 조립체의 형상을 여러 가지 형상으로 다양화하면서 물건을 전시할 수 있는데, 예컨대, 도 1 및 도 4와 같이 3개의 단위부재(1)를 일자형으로 펼쳐서 단위부재(1)의 전면과 전시수단의 개방부(6)가 정면에서 보이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커버부재(3)의 제3접힘부(5)를 따라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각 단위부재(1)를 모았을 때는 조립체의 전체 형상이 도 5와 같이 직육면체를 이루게 됨과 아울러 사방에서 개방부(6)를 볼 수 있는 상태로 물건(100)이 전시된다.
상기와는 반대로 커버부재(3)의 제3접힘부(5)를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각 단위부재(1)를 모았을 때는 조립체의 전체 형상이 직육면체를 이루게 됨과 아울러 사방에서 개방부(6)가 보지지 않게 되고, 물건이 안으로 모이는 상태로 포장되어 물건(100)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고정부(25)를 단위부재(1) 또는 커버부재(3)에 끼워서 고정한 후 하기의 손잡이 수단을 이용하여 잡고서 운반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커버부재(3)가 제3접힘부(5)를 기준으로 접히고 펼쳐지는 각도와 방향에 따라 조립체의 형상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데, 예컨대, 두 개의 단위부재(1)를 서로 모아주고 다른 한 단위부재(1)를 일정한 각도로 펼쳐줄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다용도 조립체는 단위부재(1)의 내부 공간(2)에 각종 물건을 담아서 포장하거나 수납할 수 있는데, 예컨대 커피 용기 또는 화장품 용기 등과 같은 각종 용기는 물론 컴퓨터와 그 주변 기기, 오디오 또는 비디오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시스템, 각종 조명기구, 신발 , 케익, 쵸콜렛, 휴대폰, 손수건, 양말, 내의등과 같은 각조 의류 등을 포장 또는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용도 조립체는 통상 고정면상에 놓고 자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받침대 위에 올려 놓고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다용도 조립체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일예로 각 단위부재를 완전히 모은 상태에서 각 단위부재(1)의 상면에 사용자가 착석하여 의자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예로 각 단위부재(1)의 일면 또는 일면 이상에 달력 또는 광고물을 부착하거나 인쇄할 수 있는데, 도 1과 같이 3개의 단위부재(1)를 일자로 펼쳐주면 12개의 면이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 12개의 면에 12개월의 각 월력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예로 다용도 조립체는 옷이나 이불 등을 수납하는 가구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는 각 단위부재(1)의 일면에 이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예로 단위부재(1)의 상면을 개방하거나 일정한 크기의 구멍을 형성하여 연필꽂이나 저금통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저금통으로 사용되는 경우 각 단위부재(1)에 들어가는 돈의 종류에 따라 각 단위부재(1)에 형성되는 구멍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하기의 사항 이외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한 단위부재(1)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제3접힘부(5)를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면서, 각각 일정한 형상(예컨대, 사각 형상 등)을 갖는 제1,제2단위면(31,33)과;
상기한 제1,제2단위면(31,33)의 상,하단부에는 일정한 크기로 접힘과 펼침 가능하게 각각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일정하게 접혀지면 상, 하단면을 이루면서 이 단위면(31)과 다른 단위면(33)과의 조립을 위한 제1,제2연장부(35,37)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1연장부(35)의 일측면에 일정한 크기로 접힘 또는 펼침 가능하게 연장 형성 됨과 아울러 제2연장부(37)와 접착제 등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고, 제1연장부(35)와 제2연장부(37)를 접혀주면 접혀진 상태로 고정함과 아울러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를 펼쳐주면 용이하게 단위부재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부(39)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고정수단은 일 단위부재(1)의 단위면에 설치되는 제1결합부재(41)와; 이 단위부재(1)와 대응 결합되는 다른 단위부재(1)의 단위면에 설치되고, 각 단위부재를 완전히 모았을 때 이 제1결합부재(41)와 대응 결합되기 위한 제2결합부재(43)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1,제2결합부재(41,43)는 이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가 접촉하게 되면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는 자석 또는 자체의 성질에 의하여 결합되는 밸크로 파스너(Velcro Fastener) 또는 단추 또는 지퍼(미도시)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단위부재(1) 또는 커버부재(3)에는 각 단위부재(1)를 완전히 모았을 때에 조립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잡기 위한 손잡이 수단이 제공된다.
상기한 손잡이 수단은 단위부재 또는 커버부재(3)의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일정한 크기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45)와;
상기한 연장부(45)에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고, 손으로 편리하게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47)로 이루어진다.
도 8 및 도 9는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하기의 사항 이외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제3실시예에서 상기한 단위부재(1)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인접한 단위부재(1)를 일정한 방향(예컨대, 직각 방향)으로 회전시켜 지그재그식으로 4개 배치된다.
상기한 단위부재(1)는 평행육면체로 형성하고, 4개의 단위부재(1)를 도 8과 같이 일자형으로 펼쳐주면 각 단위부재(1)의 정면과 개방부가 정면에서 보이게 된다.
또한, 상기한 4개의 단위부재(1)를 완전히 모아주거나 완전히 펼쳐주게 되면 도 9와 같이 각 단위부재(1)의 전체 형상 즉, 조립체의 형상이 평행육면체가 된다.
도 10 및 도 11은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하기의 사항 이외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한 각 단위부재(1)는 도 10과 같이 평행육면체로 형성하면서 일정한 방향으로 향하게 5개 배치함과 아울러 단위부재(1)의 모든면을 밀폐하고 있다.
상기한 5개의 단위부재(1)를 완전히 모아주거나 완전히 펼쳐주면 조립체의 형상이 도 11과 같이 별형상의 평면을 갖는 다면체로 형성된다.
도 12는 제5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하기의 사항 이외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한 연결수단은 일정한 크기의 자체 신축력을 보유하고, 각 단위부재(1)를 감싸주면서 각 단위부재(1)를 모아주거나 펼쳐줄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각 단위부재(1)들을 일정한 형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연결밴드(49) 또는 탄성부재(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각 단위부재(1)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하나 이상으로 제공되고, 각 단위부재(1)를 보다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밴드(49) 또는 탄성부재(미도시)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51)가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밴드(또는 탄성부재)(49)는 각 단위부재(1)들을 일정한 탄성력에 의하여 감싸주는 상태로 연결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각 단위부재(1)는 연결밴드(49)(또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도 12와 같이 완전히 모아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각 단위부재(1)를 완전히 펼쳐주려면 상기한 연결밴드(49)(또는 탄성부재)를 기준으로 각 단위부재(1)를 바깥쪽으로 뒤집어 주면 되는 것이고, 상기한 각 단위부재(1)는 연결밴드(49)에 의하여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3은 제6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하기의 사항 이외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한 연결수단은 각 단위부재(1)의 어느 단위면에 일정한 크기로 연장 형성되고, 일 단위부재(1)와 인접한 단위부재(1) 사이를 접착부재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하여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부(53)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연결부(53)는 각 단위부재(1)의 사이를 완전히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 내지 16은 제7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하기의 사항 이외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제7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립체는 일정한 형상을 갖고서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는 연결부재(55)에 의하여 접힘 또는 펼침 가능하게 연결되고, 완전히 모아준 상태에서 일정한 형상의 평면을 갖는 기준부재(57)와;
상기한 기준부재(57)와 접힘 또는 펼침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일정한 형상을 갖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연결부재(59)에 의하여 서로간에 접힘 또는 펼침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기준부재(57)를 완전히 모았을 때 각 기준부재의 외측으로 향하는 면들을 순차적으로 감싸주고 이 기준부재(57)를 기준으로 완전히 감아주면 일정한 형상을 갖는 단위부재(61)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기준부재(57) 또는 단위부재(61)의 내부에는 물건이 수납되거나 포장될 수 있도록 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단위부재(61)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물건을 전시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되거나, 개방부(63)를 형성하지 않고 밀폐된 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기준부재(57)의 평면은 다수의(예컨대 5개) 기준부재(57)를 완전히 모았을 때 예컨대, 별 형상등과 같은 다면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어느 인접한 두면과 다른 인접한 두면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갖고서 대칭되게 형성한다.
상기한 단위부재(61)는 각 기준부재(57)를 완전히 모았을 때 각 기준부재의 외측으로 향하는 면들과 접하면서 감싸줄 수 있도록 평행육면체 등과 같은 다면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단위부재(61)는 각 기준부재(57)를 완전히 감싸줄 때 조립체가 육면체 등과 같은 다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준부재(57)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기준부재(57)와 단위부재(61)는 연결부재(55,59)의 어느 일면에 연장되는 연장부(63)에 의하여 펼침 또는 접힘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다용도 조립체는 도 14와 같이 기준부재(57)와 단위부재(61)가 일자형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기준부재(57)와 단위부재(61)의 전면이 정면에서 보이게 되므로, 물건이 수납됨과 아울러 개방부(63)를 통하여 물건이 전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5개의 각 기준부재(57)를 도 15와 같이 완전히 별 형상으로 오무려준 상태에서 이 기준부재(57)의 외측 방향으로 향하는 연결부재(55)쪽으로 각 단위부재(61)의 내측방향으로 향하는 두면을 순차적으로 감아준다.
그리고 상기한 5개의 각 기준부재(57)를 도 16와 같이 완전히 별 형상으로 오무려준 상태에서 이 기준부재(57)들의 어느 일측에 단위부재(61)들을 육면체 형상으로 오무려주면, 이 육면체 형상의 내측에 기준부재가 형성하는 형상과 동일한 별 형상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물건을 포장 또는 수납함은 물론 물건을 포장한 상태에서 다양한 형태로 전시할 수 있게 하면서 보관시에는 최소한의 부피로 접을 수 있도록 하여 보관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자 또는 저금통, 달력, 가구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Claims (25)

  1. 일정한 형상을 갖고서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고, 일정하게 접혀진 상태로 있다가 펼쳐서 조립하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여 내부에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단위부재와;
    상기한 단위부재들의 적어도 어느 일부분 이상과 결합되고, 이 단위부재와 인접한 단위부재의 사이를 접힘 또는 펼침 가능하게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다용도 조립체.
  2. 일정한 형상을 갖고서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고, 일정하게 접혀진 상태로 있다가 펼쳐서 조립하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여 내부에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보유하는 단위부재와;
    상기한 단위부재의 내부 공간의 일부분 이상을 외부에서 직접 볼 수 있도록 하여 상기한 단위부재의 내부 공간에 담겨진 물건을 전시하기 위한 전시수단을 포함하는 다용도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위부재는 인접한 단위부재와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면서 일정하게 배치되거나, 인접한 단위부재를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지그재그식으로 배치되는 다용도 조립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위부재는 각 단위부재들을 완전히 모았을 때의 조립체의 형상이 다면체 또는 원통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다면체 또는 곡면체로 형성되는 다용도 조립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위부재는 어느 일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고, 각각 일정한 형상을 갖는 다수의 단위면과; 상기한 단위면의 상,하단부에 일정한 크기로 접힘과 펼침 가능하게 각각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일정하게 접혀지면 상, 하단면을 이루고, 이 단위면과 다른 단위면과의 조립을 위한 연장부와; 상기한 연장부에는 일정한 크기로 접힘 또는 펼침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고, 다른 연장부와 결합되어 이 연장부를 조립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조립체.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수단은 각 단위부재의 어느 단위면과 일부분 이상 결합되고, 각 단위부재의 일부분을 따라 접힘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일 단위부재와 다른 단위부재 사이를 접힘 또는 펼침 가능하면서 각 단위부재를 감싸주기 위한 커버부재로 이루어지는 다용도 조립체.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위부재 또는 커버부재에는 각 단위부재들을 일정한 형상으로 모았을 때 이 모은 상태로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수단이 제공되는 다용도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수단은 단위부재의 단위면 또는 커버부재의 어느 일측면에 제공되고, 각 단위부재를 모았을 때 이 단위부재와 대응 결합되는 단위부재의 단위면 또는 커버부재에 끼워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다용도 조립체.
  9.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시수단은 각 단위부재의 적어도 일부분 이상을 일정한 크기 이상의 투과율을 갖고서 투시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다용도 조립체.
  10.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시수단은 각 단위부재의 적어도 어느 단위면에 일정한 형상과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형성되고, 각 단위부재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게 개방되기 위기 위한 개방부로 이루어지는 다용도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개방부는 단위부재의 일 단위면에 일정한 크기로 형성하거나 일 단위면과 인접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위면을 조합한 면에 일정한 크기로 형성하는 다용도 조립체.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개방부는 사각형상, 하트형상, 원형상, 타원형상, 다각형상, 별형상 등으로 형성되는 다용도 조립체.
  13.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위부재의 내부에는 이 단위부재의 내부 공간에 담겨진 물건을 개방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이 물건을 받쳐주기 위한 받힘부재가 장착되는 다용도 조립체.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위부재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접혀지거나 펼쳐지면서, 각각 일정한 형상을 갖는 제1,제2단위면과; 상기한 제1,제2단위면의 상,하단부에는 일정한 크기로 접힘과 펼침 가능하게 각각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일정하게 접혀지면 상, 하단면을 이루면서 이 단위면과 다른 단위면과의 조립을 위한 제1,제2연장부로 이루어지는 다용도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연장부의 일측면에 일정한 크기로 접힘 또는 펼침 가능하게 연장 형성 됨과 아울러 제2연장부와 고정 결합되고,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를 접혀주면 접혀진 상태로 고정함과 아울러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를 펼쳐주면 단위부재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다용도 조립체.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수단은 일 단위부재의 단위면에 설치되는 제1결합부재와; 이 단위부재와 대응 결합되는 다른 단위부재의 단위면에 설치되고, 각 단위부재를 완전히 모았을 때 이 제1결합부재와 대응 결합되기 위한 제2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다용도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제2결합부재는 이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가 접촉하게 되면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는 자석 또는 자체의 성질에 의하여 결합되는 밸크로 파스너 또는 단추 또는 지퍼 등으로 이루어지는 다용도 조립체.
  1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위부재 또는 커버부재에는 각 단위부재를 완전히 모았을 때에 조립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잡기 위한 손잡이 수단이 제공되는 다용도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한 손잡이 수단은 단위부재 또는 커버부재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일정한 크기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한 연장부에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고, 손으로 편리하게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는 다용도 조립체.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수단은 일정한 크기의 탄성력을 보유하고, 각 단위부재를 감싸주면서 각 단위부재를 모아주거나 펼쳐줄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각 단위부재들을 일정한 형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연결밴드 또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다용도 조립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한 각 단위부재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하나 이상으로 제공되고, 각 단위부재를 보다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밴드 또는 탄성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가 형성되는 다용도 조립체.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수단은 각 단위부재의 어느 일면에 일정한 크기로 연장 형성되고, 일 단위부재와 인접한 단위부재 사이를 결합수단에 의하여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다용도 조립체.
  23. 일정한 형상을 갖고서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는 연결부재에 의하여 접힘 또는 펼침 가능하게 연결되고, 완전히 모아준 상태에서 일정한 형상의 평면을 갖는 기준부재와; 상기한 기준부재와 접힘 또는 펼침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일정한 형상을 갖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연결부재에 의하여 서로간에 접힘 또는 펼침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기준부재를 완전히 모았을 때 각 기준부재의 외측으로 향하는 면들을 순차적으로 감싸주고 이 기준부재를 기준으로 완전히 감아주면 일정한 형상을 갖는 단위부재로 이루어지는 다용도 조립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한 기준부재의 평면은 다수의 기준부재를 완전히 모았을 때 일정한 형상의 다면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어느 인접한 두면과 다른 인접한 두면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갖고서 대칭되게 형성하는 다용도 조립체.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위부재는 각 기준부재를 완전히 모았을 때 각 기준부재의 외측으로 향하는 면들과 접하면서 감싸줄 수 있도록 평행육면체 등과 같은 다면체로 형성되는 다용도 조립체.
KR1019990018258A 1999-04-29 1999-05-20 다용도 조립체 KR100312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66,835 US6244501B1 (en) 1999-04-29 1999-08-04 Multi-purpose package assembly
EP99125900A EP1048576A1 (en) 1999-04-29 1999-12-27 Multi-purpose package assembly
TW089104001A TW422803B (en) 1999-04-29 2000-03-03 Multi-purpose package assembly
CN00103451A CN1123493C (zh) 1999-04-29 2000-03-08 多功能包装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480 1999-04-29
KR19990015480 1999-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119A true KR19990073119A (ko) 1999-10-05
KR100312291B1 KR100312291B1 (ko) 2001-11-03

Family

ID=54776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258A KR100312291B1 (ko) 1999-04-29 1999-05-20 다용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2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341Y1 (ko) * 2007-11-09 2010-01-20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포장상자
KR200488627Y1 (ko) * 2017-09-20 2019-05-22 주식회사 온교육 정다면체 학습 교구
KR20190085618A (ko) * 2018-01-11 2019-07-19 허병성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한 포장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7735A (zh) * 2019-02-27 2019-04-26 天津商业大学 一种五联包装盒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341Y1 (ko) * 2007-11-09 2010-01-20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포장상자
KR200488627Y1 (ko) * 2017-09-20 2019-05-22 주식회사 온교육 정다면체 학습 교구
KR20190085618A (ko) * 2018-01-11 2019-07-19 허병성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한 포장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2291B1 (ko) 200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22803B (en) Multi-purpose package assembly
US7273148B2 (en) Tool holder and method of use
US20050045499A1 (en) Product ensemble display and carrying package
US20110108449A1 (en) Packaging
US5029705A (en) Selectively configurable package for retaining separated items
US7717323B2 (en) Shirt box
KR100312291B1 (ko) 다용도 조립체
US6648293B1 (en) Foldable display contain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20200345093A1 (en) Collapsible Modular Hat
US3826359A (en) Packaging device
US7878333B1 (en) Accessory storage and decorative displaying device
JP3075765U (ja) 多用途組立体
EP1694578A1 (en) Display package for gloves in compressed state
US7628274B2 (en) Cake-shaped decorative accessory made of a towel in a cup
US5791748A (en) Compact disc holder
US6257790B1 (en)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laying a soap system
US20070158235A1 (en) Packaging device
JP7303602B2 (ja) 揺動構造、これを備えた首振り玩具及びパッケージ
TWM563412U (zh) 活動式收納容器、組件
JP3234571U (ja) ルアー固定部材およびルアー包装用箱
JP3057982U (ja) ピアススタンド
CN216003384U (zh) 一种展开展示包装盒
KR200250998Y1 (ko) 진열이 가능한 포장박스
US7654393B1 (en) Retail display incorporating accessories with packaging
KR200165506Y1 (ko) 용기 보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