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612A - 증강 현실 기반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 기반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612A
KR20190085612A KR1020180003678A KR20180003678A KR20190085612A KR 20190085612 A KR20190085612 A KR 20190085612A KR 1020180003678 A KR1020180003678 A KR 1020180003678A KR 20180003678 A KR20180003678 A KR 20180003678A KR 20190085612 A KR20190085612 A KR 20190085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nk
financial servic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1749B1 (ko
Inventor
차상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은행
Priority to KR1020180003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749B1/ko
Publication of KR20190085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external piece comprising segments pressed against the hose by wedge shap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3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comprising parts outside the hoses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금융 서비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제1 단말이 은행 서버와 통신하여 증강 현실 기반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은행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의 정보를 각각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표시한 증강 현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증강 현실 화면에 표시된 제2 단말 중에서 하나의 제2 단말을 선택한 후, 정해진 사용자 입력 동작이 발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은행 서버로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금융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강 현실 기반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INANCIAL SERVICE BASED ON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이하, 'AR'라 통칭함) 기반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국내 계좌 기반 간편 송금 방법은 휴대폰 전화번호 기반 송금, 별칭을 이용한 송금 등이 있다. 또한, 근접한 위치에 있는 상대방에게 송금하는 방법으로는 범프(Bump) 접촉에 의한 송금 방식이 있다.
한편, 증강현실(AR) 기술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 증강현실(AR) 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포켓몬 Go 게임 등은 이미 사용자들에게 매우 친숙해져 있으며, 글로벌 기업은 AR 이용 쿠폰판매 및 각종 이벤트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으나, 금융 서비스에는 아직 접목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AR 환경에서 근거리에 위치한 사용자들 간에 금융 거래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제1 단말이 은행 서버와 통신하여 증강 현실 기반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은행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의 정보를 각각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표시한 증강 현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증강 현실 화면에 표시된 제2 단말 중에서 하나의 제2 단말을 선택한 후, 정해진 사용자 입력 동작이 발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은행 서버로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금융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 동작은, 상기 제2 단말에게 송금하는 동작이고, 상기 금융 서비스는, 상기 제1 단말의 계좌에서 송금 요청액을 인출하여 상기 제2 단말의 계좌로 이체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 동작은, 상기 제2 단말에게 송금을 요청하는 동작이고, 상기 금융 서비스는, 상기 제2 단말에게 상기 제1 단말이 송금을 요청함을 안내하는 화면을 팝업하고, 상기 제2 단말이 수락하면, 상기 제2 단말의 계좌에서 송금 요청액을 인출하여 상기 제1 단말의 계좌로 입금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 동작은, 복수의 제2 단말에게 송금을 요청하는 동작이고, 상기 금융 서비스는, 복수의 제2 단말의 계좌에서 송금 요청액을 각각 인출하여 상기 제1 단말의 계좌로 입금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상기 금융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이후, 상기 은행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금융 서비스 실행에 필요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 절차에 성공하면, 상기 은행 서버에 의해 상기 금융 서비스가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은행 서버에 증강 현실 금융 서비스 이용 신청을 전송하여, 사용자 본인 인증, 위치 기반 정보 활용 동의 수락 및 인증 정보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단말이 은행 서버와 통신하여 증강 현실 기반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이 상기 은행 서버로부터 자신의 개인 저금통 정보 및 타인의 저금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신의 개인 저금통 정보 및 타인의 저금통 정보를 증강 현실 화면의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정해진 사용자 입력 동작이 발생하면, 저금통에 설정된 금융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특정 금액을 입력받는 단계, 타인의 저금통 중에서 특정 타인의 저금통을 향하여 밀어내기 사용자 입력 동작이 발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은행 서버에게 상기 자신의 저금통에서 상기 특정 금액을 상기 타인의 저금통으로 이체하도록 요청하는 송금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은행 서버에게 회수하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하기 요청은, 상기 자신의 저금통 잔액을 상기 저금통에 연결된 실계좌로 이체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은행 서버에게 특정 저금통으로 선물하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물하기 요청은, 상기 자신의 저금통 잔액을 상기 특정 저금통으로 이체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증강 현실 화면 상에서 저금통 중에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택된 저금통에 설정된 목표 금액 대비 현재 잔액의 달성 수준을 나타내는 레벨을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타인에게 저금통 위치 보내기 요청 버튼이 클릭되는 단계, 그리고 출력된 증강 현실 화면을 캡쳐하고, 자신의 저금통이 표시된 위치 지도를 링크한 저금통 위치 정보 전송 요청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타인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은행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고, 제1 단말과 통신하여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 서버로서, 상기 제1 단말의 증강 현실 금융 서비스 이용 등록을 처리하고, 계좌를 등록하는 증강 현실 금융 서비스 등록부, 그리고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로의 송금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등록된 계좌에서 송금 요청액을 인출하여 상기 제2 단말의 등록된 계좌로 송금 처리하는 증강 현실 송금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의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증강 현실 화면에 출력된다.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에게 송금을 요청하는 수취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단말에게 상기 제1 단말이 송금을 요청함을 안내하는 화면을 팝업하고, 상기 제2 단말이 수락하면, 상기 제2 단말의 등록된 계좌에서 송금 요청 금액을 인출하여 상기 제1 단말의 등록된 계좌로 이체하는 증강 현실 수취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은행 서버는 서로 다른 복수의 사용자의 저금통 정보를 표시하는 증강 현실 화면을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저금통 간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 현실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금통 간의 금융 서비스는, 상기 제1 단말이 요청한 특정 금액을 상기 제1 단말의 저금통에서 인출하여 상기 제1 단말이 지정한 타인의 저금통에 이체하는 금융 서비스, 상기 제1 단말의 저금통 잔액을 상기 제1 단말의 실계좌로 이체하는 금융 서비스, 상기 제1 단말의 저금통 잔액을 전부 상기 제1 단말이 지정한 타인의 저금통에 이체하는 금융 서비스, 상기 제1 단말의 저금통의 목표 금액 대비 현재 달성 수준을 레벨로 표시하는 금융 서비스, 그리고 상기 제1 단말의 저금통 위치를 타인의 단말로 전송하는 금융 서비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금융 서비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은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환경에서 쉽고 편리한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은행은 새로운 금융 서비스 플랫폼 기반의 금융 서비스 제공을 통해 신규 고객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은행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 금융 서비스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 송금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 송금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행 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이하, 'AR'라 통칭함) 기반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은행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AR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말(100), 은행 서버(200) 및 통신망(300)을 포함한다.
단말(1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망(300)을 통해 은행 서버(200)에 접속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한다. 단말(100)은 실시간 위치 측위, AR 화면 출력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로서, 예를들면,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다.
은행 서버(200)는 통신망(300)을 통해 연결된 단말(100)에게 AR 화면을 통해 가까운 위치에 있는 상대방을 선택하여 상대방에게 직접 송금할 수 있는 개인간 송금, 여러 상대방에게 송금을 요청하는 수취 요청, 특정 위치에 개인 저금통을 생성하여 저금하는 등의 AR 기반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
통신망(300)은 LTE(Long term evolution)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과 같은 이동통신망, Wi-Fi 망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무선망,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은행 서버(200)는 AR 금융 서비스 등록부(201), AR 송금 처리부(203), AR 수취 처리부(205),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207) 및 데이터베이스(209)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209)는 AR 금융 서비스 등록부(201), AR 송금 처리부(203), AR 수취 처리부(205),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207)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동작의 결과에 따른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각 구성 요소(201, 203, 205, 207, 209)의 기능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R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즉, 송금인과 수취인 모두의 서비스 이용 신청 또는 등록이 필요하며, 송금인과 수취인 모두가 AR 금융 서비스를 실행한 상태에서 거래가 처리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 금융 서비스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AR 금융 서비스 등록부(201)의 동작을 나타낸다. 즉, 단말(100)의 AR 금융 서비스 등록 과정을 나타낸다. 여기서, 단말(100)은 송금인 단말 및 수취인 단말을 모두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100)은 은행 서버(200)의 AR 금융 서비스 등록부(201)에 접속(S101)하여, AR 금융 서비스 이용 신청을 전송(S103)한다. 여기서, AR 금융 서비스 이용 신청은 사용자 본인 인증 및 위치 기반 정보 활용 동의 수락을 포함한다.
단말(100)은 은행 서버(200)의 AR 금융 서비스 등록부(201)에 사용자의 출금 계좌 및 사용자가 AR 환경에서 사용할 이미지를 등록한다(S105). 여기서, 사용자의 출금 계좌는 송금인 계좌 또는 수취인 계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는 캐릭터 및 ID를 포함한다. 캐릭터는 AR 화면 상에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표시된다.
단말(100)은 송금시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등록한다(S107). 인증 정보는 개인 식별 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또는 지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정보는 단말(10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고, 은행 서버(200)에 저장될 수도 있다.
다음,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 송금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AR 송금 처리부(203)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100)에서 AR 금융 서비스가 실행된다(S201). 이때, 단말(100)은 송금인 단말을 의미한다. 수취인 단말과 구분하기 위해 이하에서 단말(100)은 송금인 단말과 수취인 단말로 구분하여 기재하고, 도면 부호는 동일하게 100으로 부여한다.
AR 금융 서비스가 실행(S201)되면, 송금인 단말(100)은 송금인 단말(100)의 현재 위치로부터 근접한 위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취인 단말(100)의 정보를 은행 서버(200)의 AR 송금 처리부(203)로부터 수신한다(S203). 이때,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수취인 단말(100)의 정보는 각 수취인이 설정한 캐릭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근접한 위치는 소정의 위치 범위 조건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송금인 단말(100)은 AR 금융 서비스 화면에 은행 서버(200)의 AR 송금 처리부(203)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수취인 단말(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캐릭터를 그 수취인 단말(100)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표시한다(S205).
표시된 캐릭터 중에서 하나의 캐릭터가 선택(S207)되면, 송금인 단말(100)은 송금 정보 입력 화면을 출력한다(S209). 송금 정보 입력 화면에서 송금 금액 입력및 '보내요' 실행에 따른 사용자 입력 신호가 발생(S211)하면, 송금인 단말(100)은 송금 요청 신호를 은행 서버로 전송한다(S213). 이때, '보내요'를 실행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는 AR 금융 서비스 화면에서 송금 금액을 수취인에게 밀거나 던지는 등 다양한 액티브(active)한 방법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은행 서버(200)의 AR 송금 처리부(203)는 송금인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송금 요청 신호를 기초로 수취인 정보 및 송금 금액을 송금인 단말(100)에게 전송하여 송금 확인을 요청한다(S215). 이때, 수취인 정보는 수취인 실명 및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송금인 단말(100)은 은행 서버(200)의 AR 송금 처리부(203)로부터 수신한 수취인 정보 및 송금 금액을 화면에 표시(S217)하고, 사용자가 확인 버튼을 누르면, 인증 정보 입력을 요구한다(S219). 인증 정보 입력은 개인 식별 번호(PIN) 입력 또는 지문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송금인 단말은 자체 메모리에 저장된 인증 정보가 입력받은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거나 또는 은행 서버에 저장된 인증 정보가 입력받은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인증 정보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S221).
인증 절차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은행 서버(200)의 AR 송금 처리부(203)는 송금인 계좌에서 송금 요청액을 차감하여 수취인 계좌로 송금한다(S223). 송금 처리가 완료되면, 은행 서버(200)의 AR 송금 처리부(203)는 송금 처리 결과를 송금인 단말(100)로 전송한다(S225). 송금 처리 결과는 수취인 실명, 송금 금액 및 계좌 잔액을 포함한다.
다음,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R 송금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AR 수취 처리부(205)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100)이 AR 금융 서비스를 실행한다(S301). 이때, 단말(100)은 수취인 단말을 의미한다. 송금인 단말과 구분하기 위해 이하에서 단말(100)은 송금인 단말과 수취인 단말로 구분하여 기재하고, 도면 부호는 동일하게 100으로 부여한다.
수취인 단말(100)은 은행 서버(200)의 AR 수취 처리부(205)로부터 수취인 단말(100)의 현재 위치 정보로부터 근접한 위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송금인 단말(100)의 정보를 수신한다(S303). 여기서, 근접한 위치는 소정의 위치 범위 조건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수취인 단말(100)은 AR 금융 서비스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송금인 단말의 캐릭터를 표시한다(S305). 이때, 송금인 단말의 캐릭터는 현재 송금인 단말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표시된다.
수취인 단말(100)은 AR 금융 서비스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캐릭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캐릭터를 선택하여 수취 요청 금액을 입력(S307)하고 은행 서버(200)의 AR 수취 처리부(205)로 수취를 요청한다(S309). 이때, 하나의 캐릭터를 선택하여 '1:1 주세요'로 수취를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캐릭터를 선택하여 '1:N 주세요'로 수취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수취 요청 방법은 AR 금융 서비스 화면에서 수위 요청 금액을 수취인에게 밀거나 던지기 등 다양한 액티브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은행 서버(200)의 AR 수취 처리부(205)는 수취인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수취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송금인 정보 및 수취 요청 금액을 수취인 단말(100)로 전송하여 수취 확인을 요청한다(S311). 이때, 송금인 정보는 송금인 실명 및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수취인 단말(100)은 은행 서버(200)의 AR 수취 처리부(205)로부터 수신한 송금인 정보 및 송금 금액을 화면에 표시(S313)하고, 사용자가 확인 버튼을 누르면, 인증 정보 입력을 요구한다(S315). 인증 정보 입력은 개인 식별 번호(PIN) 입력 또는 지문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수취인 단말(100)은 자체 메모리에 저장된 인증 정보가 입력받은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거나 또는 은행 서버(200)의 AR 수취 처리부(205)에 저장된 인증 정보가 입력받은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인증 정보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S317).
인증 절차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은행 서버(200)의 AR 수취 처리부(205)는 수취인이 요청한 수취 요청 정보를 실시간으로 송금인 단말(100)에게 전송한다(S319). 송금인 단말(100)은 송금을 요청하는 화면, 예를들면, '주세요' 화면을 팝업한다(S321). 팝업되는 화면은 수취인 실명 및 수취 요청 금액을 포함한다.
송금인이 수취 요청 정보를 확인하고 보내요를 실행하면, 송금인 단말(100)은 은행 서버(200)의 AR 수취 처리부(205)로 송금 요청을 전송한다(S323).
은행 서버(200)의 AR 수취 처리부(205)는 송금인 계좌에서 수취 요청 금액을 차감하여 수취인 계좌로 송금 처리한다(S325). 그리고 송금 처리가 완료되면, 송금인 단말(100)로 송금 처리 결과, 예를들면, 수취인 실명, 송금 금액 및 계좌 잔액을 전송한다(S327).
다음,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207)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은행 서버(200)의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207)는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개인 저금통을 생성한다(S401). 여기서, 단말(100)은 송금인 단말 또는 수취인 단말일 수 있다.
은행 서버(200)의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207)는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개인 저금통에 대한 저금통 캐릭터, 저금통 목적, 목표 금액, 출금 계좌 등을 지정한다(S403).
은행 서버(200)의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207)는 개인 저금통과 연동하는 가상 계좌를 생성한다(S405). 이때, 가상 계좌는 실계좌인 출금 계좌와 연동한다.
은행 서버(200)의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207)는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AR 금융 서비스 화면에서 개인 저금통 위치를 지정한다(S407). 여기서, 위치는 단말(100)의 현재 위치가 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지정하는 다른 위치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개인 저금통에 대한 복수의 위치를 한번에 지정할 수도 있다.
다음,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207)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100)이 AR 금융 서비스를 실행한다(S501). 단말(100)이 은행 서버(200)의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207)로부터 자신의 개인 저금통 정보 및 타인의 개인 저금통 정보를 수신한다(S503). 단말(100)이 수신한 저금통 정보를 각 저금통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표시한 AR 화면을 출력한다(S505).
금액 입력 및 특정 위치의 개인 저금통을 향하여 밀어내기 사용자 입력 동작이 발생(S507)하면, 단말(100)은 은행 서버(200)의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207)로 송금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509). 이때, 송금 요청 신호는 송금 요청 대상인 특정 개인 저금통과 송금 요청 금액을 포함한다.
은행 서버(200)의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207)는 단말(100)의 계좌에서 송금 요청 금액을 차감하여 특정 개인 저금통에 해당하는 가상 계좌로 입금 처리한다(S511).
다음,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207)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100)이 AR 금융 서비스를 실행한다(S601). 단말(100)이 은행 서버(200)의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207)로부터 자신의 개인 저금통 정보 및 타인의 개인 저금통 정보를 수신한다(S603). 단말(100)이 수신한 저금통 정보를 각 저금통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표시한 AR 화면을 출력한다(S605).
은행 서버(200)의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207)는 단말(100)로부터 개인 저금통 회수하기 요청을 수신한다(S607).
은행 서버(200)의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207)는 회수가 요청된 개인 저금통의 가상 계좌 잔액을 가상 계좌와 연동하는 실계좌로 이체한다(S609).
다음,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207)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100)이 AR 금융 서비스를 실행한다(S701). 단말(100)이 은행 서버(200)의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207)로부터 자신의 개인 저금통 정보 및 타인의 개인 저금통 정보를 수신한다(S703). 단말(100)이 수신한 저금통 정보를 각 저금통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표시한 AR 화면을 출력한다(S705).
은행 서버(200)의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207)는 단말(100)로부터 개인 저금통 선물하기 요청을 수신한다(S707).
은행 서버(200)의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207)는 단말(100)의 개인 저금통의 가상 계좌 잔액을 선물하기 대상의 타인 저금통의 가상 계좌로 송금처리한다(S709).
다음,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207)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100)이 AR 금융 서비스를 실행한다(S801). 단말(100)이 은행 서버(200)의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207)로부터 자신의 개인 저금통 정보 및 타인의 개인 저금통 정보를 수신한다(S803). 단말(100)이 수신한 저금통 정보를 각 저금통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표시한 AR 화면을 출력한다(S805).
AR 화면 상에 표시된 저금통 캐릭터 중 하나를 클릭하는 신호가 발생(S807)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금액 대비 현재 달성 수준을 나타낸 레벨을 화면에 나타낸다(S809). 예를들면, 레벨은 캐릭터의 진화 또는 계급으로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발할 수 있다.
다음,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207)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100)이 AR 금융 서비스를 실행한다(S901). 단말(100)이 은행 서버(200)의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207)로부터 자신의 개인 저금통 정보 및 타인의 개인 저금통 정보를 수신한다(S903). 단말(100)이 수신한 저금통 정보를 각 저금통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표시한 AR 화면을 출력한다(S905).
AR 화면에서 타인에게 저금통 위치 보내기 요청 버튼이 클릭(S907)되면, 단말(100)은 현재 AR 화면을 캡쳐하고 현재 위치 지도를 링크한 저금통 위치 정보 전송 요청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앱을 통해 타인의 휴대폰 번호로 전송한다(S909).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은행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 1 ~ 도 11에서 설명한 은행 서버(200)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장치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고하면, 은행 서버(400)는 프로세서(401), 메모리(403), 적어도 하나의 저장장치(405), 입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407)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9)를 포함한다. 프로세서(401)는 중앙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메모리(403)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램버스 DRAM(rambus DRAM, RDRAM), 동기식 DRAM(synchronous DRAM, SDRAM), 정적 RAM(static RAM, SRAM) 등의 RAM과 같은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 장치(405)는 하드디스크(hard disk),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W(CD rewritable), DVD-ROM(digital video disk ROM), DVD-RAM, DVD-RW 디스크, 블루레이(blue-ray) 디스크 등의 광학디스크, 플래시메모리, 다양한 형태의 RAM과 같은 영구 또는 휘발성 저장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I/O 인터페이스(407)는 프로세서(401) 및/또는 메모리(403)가 저장 장치(405)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9)는 프로세서(401) 및/또는 메모리(403)가 통신망(30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401)는 AR 금융 서비스 등록부(201), AR 송금 처리부(203), AR 수취 처리부(205),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207)의 기능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메모리(403)에 로드하고, 도 1 ~ 도 1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03) 또는 저장장치(405)는 프로세서(401)와 연동하여 AR 금융 서비스 등록부(201), AR 송금 처리부(203), AR 수취 처리부(205), AR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207) 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프로세서(401), 메모리(403), 저장장치(405), I/O 인터페이스(407)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9)는 하나의 컴퓨터에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의 컴퓨터에 분산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제1 단말이 은행 서버와 통신하여 증강 현실 기반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은행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의 정보를 각각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표시한 증강 현실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증강 현실 화면에 표시된 제2 단말 중에서 하나의 제2 단말을 선택한 후, 정해진 사용자 입력 동작이 발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은행 서버로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의 금융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동작은,
    상기 제2 단말에게 송금하는 동작이고,
    상기 금융 서비스는,
    상기 제1 단말의 계좌에서 송금 요청액을 인출하여 상기 제2 단말의 계좌로 이체하는 서비스인,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동작은,
    상기 제2 단말에게 송금을 요청하는 동작이고,
    상기 금융 서비스는,
    상기 제2 단말에게 상기 제1 단말이 송금을 요청함을 안내하는 화면을 팝업하고, 상기 제2 단말이 수락하면, 상기 제2 단말의 계좌에서 송금 요청액을 인출하여 상기 제1 단말의 계좌로 입금하는 서비스인,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동작은,
    복수의 제2 단말에게 송금을 요청하는 동작이고,
    상기 금융 서비스는,
    복수의 제2 단말의 계좌에서 송금 요청액을 각각 인출하여 상기 제1 단말의 계좌로 입금하는 서비스인,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금융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이후,
    상기 은행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금융 서비스 실행에 필요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 절차에 성공하면, 상기 은행 서버에 의해 상기 금융 서비스가 실행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은행 서버에 증강 현실 금융 서비스 이용 신청을 전송하여, 사용자 본인 인증, 위치 기반 정보 활용 동의 수락 및 인증 정보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7.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단말이 은행 서버와 통신하여 증강 현실 기반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이 상기 은행 서버로부터 자신의 개인 저금통 정보 및 타인의 저금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신의 개인 저금통 정보 및 타인의 저금통 정보를 증강 현실 화면의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정해진 사용자 입력 동작이 발생하면, 저금통에 설정된 금융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특정 금액을 입력받는 단계,
    타인의 저금통 중에서 특정 타인의 저금통을 향하여 밀어내기 사용자 입력 동작이 발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은행 서버에게 상기 자신의 저금통에서 상기 특정 금액을 상기 타인의 저금통으로 이체하도록 요청하는 송금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7항에서,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은행 서버에게 회수하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하기 요청은,
    상기 자신의 저금통 잔액을 상기 저금통에 연결된 실계좌로 이체하도록 요청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7항에서,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은행 서버에게 특정 저금통으로 선물하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물하기 요청은,
    상기 자신의 저금통 잔액을 상기 특정 저금통으로 이체하도록 요청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7항에서,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증강 현실 화면 상에서 저금통 중에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택된 저금통에 설정된 목표 금액 대비 현재 잔액의 달성 수준을 나타내는 레벨을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7항에서,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타인에게 저금통 위치 보내기 요청 버튼이 클릭되는 단계, 그리고
    출력된 증강 현실 화면을 캡쳐하고, 자신의 저금통이 표시된 위치 지도를 링크한 저금통 위치 정보 전송 요청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타인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고, 제1 단말과 통신하여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 서버로서,
    상기 제1 단말의 증강 현실 금융 서비스 이용 등록을 처리하고, 계좌를 등록하는 증강 현실 금융 서비스 등록부, 그리고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위치에 근접한 위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로의 송금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등록된 계좌에서 송금 요청액을 인출하여 상기 제2 단말의 등록된 계좌로 송금 처리하는 증강 현실 송금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의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증강 현실 화면에 출력되는, 은행 서버.
  14. 제13항에서,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에게 송금을 요청하는 수취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단말에게 상기 제1 단말이 송금을 요청함을 안내하는 화면을 팝업하고, 상기 제2 단말이 수락하면, 상기 제2 단말의 등록된 계좌에서 송금 요청 금액을 인출하여 상기 제1 단말의 등록된 계좌로 이체하는 증강 현실 수취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은행 서버.
  15. 제13항에서,
    서로 다른 복수의 사용자의 저금통 정보를 표시하는 증강 현실 화면을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저금통 간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강 현실 저금통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금통 간의 금융 서비스는,
    상기 제1 단말이 요청한 특정 금액을 상기 제1 단말의 저금통에서 인출하여 상기 제1 단말이 지정한 타인의 저금통에 이체하는 금융 서비스,
    상기 제1 단말의 저금통 잔액을 상기 제1 단말의 실계좌로 이체하는 금융 서비스,
    상기 제1 단말의 저금통 잔액을 전부 상기 제1 단말이 지정한 타인의 저금통에 이체하는 금융 서비스,
    상기 제1 단말의 저금통의 목표 금액 대비 현재 달성 수준을 레벨로 표시하는 금융 서비스, 그리고
    상기 제1 단말의 저금통 위치를 타인의 단말로 전송하는 금융 서비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금융 서비스를 포함하는, 은행 서버.
KR1020180003678A 2018-01-11 2018-01-11 증강 현실 기반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1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678A KR102021749B1 (ko) 2018-01-11 2018-01-11 증강 현실 기반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678A KR102021749B1 (ko) 2018-01-11 2018-01-11 증강 현실 기반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612A true KR20190085612A (ko) 2019-07-19
KR102021749B1 KR102021749B1 (ko) 2019-09-17

Family

ID=67511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678A KR102021749B1 (ko) 2018-01-11 2018-01-11 증강 현실 기반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74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4091A (ja) * 2003-01-28 2004-08-19 Nec Soft Ltd つり銭貯蓄サービスシステム、販売処理装置、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つり銭貯蓄サービス方法
KR20110097116A (ko) * 2010-02-24 2011-08-31 박지섭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동산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16989A (ko) * 2011-08-09 2013-02-19 윤진효 거래지도를 이용한 인터넷 거래 중개 장치, 거래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129905A (ko) * 2014-05-12 2015-11-23 네이버 주식회사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기록 매체 및 파일 배포 시스템
KR20170009485A (ko) * 2015-07-17 2017-01-25 공현규 기념일 소원 달성을 위한 펀딩 방법
KR101702036B1 (ko) * 2015-11-25 2017-02-02 곽용권 더치 페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4091A (ja) * 2003-01-28 2004-08-19 Nec Soft Ltd つり銭貯蓄サービスシステム、販売処理装置、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つり銭貯蓄サービス方法
KR20110097116A (ko) * 2010-02-24 2011-08-31 박지섭 증강현실을 이용한 부동산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16989A (ko) * 2011-08-09 2013-02-19 윤진효 거래지도를 이용한 인터넷 거래 중개 장치, 거래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129905A (ko) * 2014-05-12 2015-11-23 네이버 주식회사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기록 매체 및 파일 배포 시스템
KR20170009485A (ko) * 2015-07-17 2017-01-25 공현규 기념일 소원 달성을 위한 펀딩 방법
KR101702036B1 (ko) * 2015-11-25 2017-02-02 곽용권 더치 페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749B1 (ko) 201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21958B (zh) 使用通用id和生物特征的方法和系统
JP6928053B2 (ja) 支払クレデンシャルによる、モバイル装置についての判定の提供
US20210217045A1 (en) Payment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member feature code
US20210326875A1 (en) User account controls for online transactions
KR20100059932A (ko) 송금 및/또는 결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장치-판독가능한 매체
US10748126B2 (en) System and methods for digital change transactions
JP2020052825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17273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lectronic transactions
US1192238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conflicting data from multiple sources in computer systems
CN111539741A (zh) 识别操作风险的方法、系统和非暂时性存储介质
US20240029053A1 (en) Provisioning of payment acceptance to payment account holders
CN105323288B (zh) 网络数据处理系统、方法及相应的服务器和终端
Glajchen A comparative analysis of mobile phone-based payment services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Africa
US20210019822A1 (en) Associating merchant data or item data with a monetary transaction based on a location of a user device
JP7209984B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102021749B1 (ko) 증강 현실 기반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5869615B2 (ja) クーポン発行装置、クーポン発行システム、クーポン発行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026935A (ko) 착오 송금 방지 방법 및 장치
WO20210068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transaction data between mobile devices
TWM578433U (zh) 智能客戶數據處理系統及交談式設定系統
JP6940672B1 (ja) アカウント管理システム、アカウント管理方法及びアカウント管理プログラム
US20230109299A1 (en) System and user interface of a user device for managing tokens associated with a user
CN108446926B (zh) 数据处理方法和服务器
KR100785926B1 (ko)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5131140A (zh) 信息资源的结算信息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