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570A - Braille education system for blind - Google Patents

Braille education system for bli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570A
KR20190085570A KR1020180003077A KR20180003077A KR20190085570A KR 20190085570 A KR20190085570 A KR 20190085570A KR 1020180003077 A KR1020180003077 A KR 1020180003077A KR 20180003077 A KR20180003077 A KR 20180003077A KR 20190085570 A KR20190085570 A KR 20190085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input
data
smartphone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0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78446B1 (en
Inventor
장은진
임선빈
Original Assignee
장은진
임선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은진, 임선빈 filed Critical 장은진
Priority to KR1020180003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446B1/en
Publication of KR20190085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5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4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ille education system for blind people to train braille by interfacing with a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and a smartphone application. The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comprises: a braille input unit for inputting braille by dividing three points into left and right, which are divided by half from six dot-likes; a braill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input braille in the same manner as a braille standard; a microprocessor that receives characters from the smartphone application as digital data and processes the data according to instructions stored in a memory; a switch button for completing a word by pressing a button each time a dot-like is input to the braille input unit; and an enter button to finally enter the completed words by pressing the button to send the same to a smartphone.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점자 교육 시스템 및 방법{Braille education system for blind} {Braille education system for blind}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점자 교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점자 교육을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교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ille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aille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who perform braille education in cooperation with a smart phone.

일반적으로 점자(Braille)는 6개의 점으로 하나의 점형을 구성하는데 한글의 경우 문자의 초성, 모음, 종성 및 약자를 표기하고 있으며 외국어의 경우는 알파벳과 약자 그리고 중국어의 경우는 병음을 통하여 점자를 표기하고 있다. In general, Braille consists of 6 points and one dot. In Korean case, the initials, vowels, abbreviations and abbreviations of letters are written. In the case of foreign languages, letters and abbreviations are used. In Chinese case, .

이러한 점자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교육방법인 점판, 점필을 사용하여 배우는 경우 쓰는 방향과 읽는 방향이 다르다는 점,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는 점자를 읽기 위한 촉각적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점 등으로 인하여 점자를 완벽하게 학습하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These braille characters are used in the present education method, such as stencil and pencil, and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reading direction. In the case of acquired blind people, tactile sensitivity for reading braille is relatively low. It takes a lot of time to learn perfectly.

점자를 능숙하게 사용할 줄 아는 시각장애인은 전제 시각장애인의 인구 중 10%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점자 학습 난이도가 높은 이유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점자 교육 인프라의 부족이 가장 큰 이유로 손꼽힌다. 사용이 번거로운 점자 교구들이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며, 교재 역시 다양한 옵션이 없고 그마저도 10년 이상 내용이 바뀌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도 독학이 불가능한 점자는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교육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 같이 기존 점자교육은 여전히 아날로그적인 형태에 머물러 있어 교육의 질이 떨어지고 학습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It is known that blind people who know how to use braille skill are only 10% of the total blind people. There are some reasons why braille learning is difficult, but the most important reason is the lack of braille education infrastructure. Braille parishes are still in use, and there are no options for textbooks, and even that has not changed for more than a decade. Above all, Braille, which is impossible for self-study, is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education workforce for effective learning. As a result, existing Braille education still remains in analog form, resulting in poor quality of education and low learning efficiency.

점자정보단말기 및 점자출력기는 시각장애인의 개인 업무용 컴퓨터라 할 수 있다. 퍼킨스 방식의 입력 키보드와 보통 32칸의 점자 출력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같은 입출력부 구성은 개인 업무용에 적합하나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점자셀이 기기가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여 기기값이 약 500만원에 육박한다. 또 이는 이미 점자를 능숙하게 활용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는 기기이다. 점자 활용이 미숙한 시각장애인은 점자의 6점과 모양이 다른 퍼킨스 방식의 입력키보드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다. 게다가 점자 교육용으로 구입하기에는 부담스러운 가격인데다 교육용으로 제작된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내장된 교육 콘텐츠 역시 부족한 실정이다. The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and the Braille output device may be personal computers for the visually impaired. Perkins-type input keyboard and usually 32 braille output displays. Although the input / output configuration is suitable for personal use, the braille cell constituting the display occupies a large part of the price of the device, . It is a device that can be used by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who can use Braille well. The visually impaired, who are inexperienced with braille, have difficulties in using the Perkins type input keyboar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braille 6 points. Moreover, it is a burdensome price to buy for braille education, and because it is not a product made for educational purposes, there is also a lack of built-in educational content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점자를 배우는 시각장애인들이 쉽게 적응하고 더 나아가 독학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교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a visually handicapped braille that can be easily adapted by a visually handicapped person who learns braille in conjunction with an application of a smart phon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점자정보단말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여 점자를 교육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교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점자정보단말기는 6개의 점형을 반으로 나눈 3개의 점을 좌우로 나누어 점자를 입력하는 점자 입력부; 상기 입력된 점자를 점자 규격과 동일하게 출력되는 점자 출력부;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문자를 디지털 데이터로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된 지시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점자 입력부에 점형을 입력할 때 마다 버튼을 눌러 단어를 완성시키는 스위치버튼; 및 상기 완성된 단어를 최종적으로 버튼을 눌러 입력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엔터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aille information education system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the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including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and smart phone application, A braille input unit for inputting braille character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A braille output unit outputting the input braille in the same manner as the braille specification; A microprocessor for receiving characters from the smartphone application as digital data and processing the data according to an instruction stored in the memory; A switch button for completing a word by pressing a button each time a point type is input to the braille input unit; And an enter button for finally inputting the completed word by pressing a button and transmitting the input word to the smartphone.

상기 점자 입력부의 입력 좌측 3개의 버튼은 상단부터 점자의 1,2,3번 점을 입력하고, 우측 3개의 버튼은 상단부터 점자의 4,5,6번 점을 입력할 수 있다.The left three buttons on the left side of the braille input unit can input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ints of the braille from the top and the right three buttons can input the fourth, fifth and sixth points of the braille from the top.

상기 스위치버튼과 엔터버튼은 양손의 검지로 누를 수 있도록 점자정보단말기 상단에 배치할 수 있다.The switch button and the enter button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so that they can be pushed by the index finger of both hands.

상기 스마트폰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문자를 점자정보단말기로 보내고, 보낸 문자를 점자 출력부를 통해 읽어 점자 입력부에 입력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면 제대로 입력 여부를 음성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The smartphone sends a character to the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through the application, reads the sent character through the braille output unit, inputs the read character to the braille input unit, and transmits the character to the smartphone.

또한,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점자 교육 방법은 해당 문자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점자정보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점자정보단말기의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신 받아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처리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해당 데이터를 처리하여 점자 출력부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점자를 읽고 점자 입력부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연산 처리하여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된 데이터가 틀렸는지 맞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음성 멘트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aille education method for a visually impaired, comprising: transmitting digital data of a character to a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through a Bluetooth module of a smart phone; Receiving the transmitted data through a Bluetooth module of the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and processing the received data in a microprocessor; Processing the data by the microprocessor and outputting the data to the braille output unit; Reading the output braille and inputting it to the braille input unit; Processing the input data by a microprocessor and transmitting the processed data to a smartphone through a Bluetooth module; And outputting feedback regarding whether the data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is wrong or not, as a voice messag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점자를 배우는 시각장애인들이 쉽게 적응하고, 더 나아가 점자를 독학할 수 있어 점자교육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점자의 보급 및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sually impaired people learning Braille can easily adapt to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and can further study Braille by self-study, thereby enabling activation of Braille education and contributing to the diffusion and development of Braille.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교육 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교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a braille educ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raille training method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교육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braille edu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교육 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braille educ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교육 시스템은 점자정보단말기(100)와 스마트폰(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braille educ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100 and a smart phone 200.

상기 점자정보단말기(100)는 점자 입력부(10), 점자 출력부(20), 마이크로 프로세서(30), 블루투스 모듈(40), 스위치버튼(50) 및 엔터버튼(60)로 구성된다.The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100 includes a braille input unit 10, a braille output unit 20, a microprocessor 30, a Bluetooth module 40, a switch button 50 and an enter button 60.

상기 점자 입력부(10)는 하나의 점형(6개)을 반으로 나눈 3개의 점을 좌우로 나누어 사용자가 점자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3개의 버튼은 상단부터 점자의 1,2,3번 점을, 우측 3개의 버튼은 상단부터 점자의 4,5,6번 점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우 배치로 사용자가 점자를 두 손을 이용하여 빠르게 입력할 수 있어 사용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The braille input unit 10 can divide the three points, which are obtained by dividing one point type (6 points) into half, into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user can input the braille characters. Here, the three buttons on the left side can input 1, 2, and 3 points of the braille from the top, and the 4, 5, and 6 points of the braille can be input from the top three buttons on the right side. In this manner, the user can quickly input the braille using both hands, thereby reducing the fatigue in use.

상기 점자 출력부(20)는 점자 규격과 동일하게 점자가 출력되는 점자 디스플레이로 8개의 핀이 들어있는 셀들이 가로로 총 8개가 연달아 위치해 있으며 사용자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의 가장 좌측 위에 올려 좌에서 우로 옮겨가며 읽을 수 있다.The braille output unit 20 is a braille display in which the braille is output in the same manner as the braille standard. A total of eight cells including eight pins are arranged in a row horizontally. A user moves his or her finger to the leftmost position of the display You can read it.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블루투스 모듈(40)을 통해 스마트폰(200)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받은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된 지시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때, 수신 받는 디지털 데이터는 학습 콘텐츠에 따라 요청되는 신호가 다르다. The microprocessor 30 receives the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200 application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40 and processes the data according to an instruction stored in the memory. At this time, the digital data to be received differs in the signal requested according to the learning contents.

상기 스위치버튼(50)과 엔터버튼(60)은 사용자가 기기를 양손으로 쥐었을 때 양손의 검지가 각 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점자정보단말기(100) 상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유기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한 점자를 입력할 수 있다. The switch button 50 and the enter button 60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part of the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100 so that the detection of both hands can be pressed by the user when the user holds the device with both hands, The user can input the intended Braille character.

사용 예로써, 점자 입력부(10)를 통해 한번에 1개의 점형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단어 및 문장 등을 입력하기 위해 점형을 입력하고 스위치버튼(50)을 눌러 의도한 단어 및 문장을 완성시키고, 엔터버튼(60)을 누르면 해당 데이터가 최종적으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개미’라는 점자를 입력하려면, 점자 입력부(10)를 통해 한글 점자의 초성‘ㄱ’의 점형(4점),‘ㅐ’의 점형(1,2,3,5점), 초성‘ㅁ’의 점형(1,5점),‘ㅣ’의 점형(1,3,5점)을 순서대로 입력한다. 따라서 각 점형을 입력할 때 마다 스위치버튼(50)을 눌러 단어를 완성시킨 뒤 엔터버튼(60)을 눌러 완성된 단어를 최종적으로 입력한다. 입력된 점자 데이터는 다시 마이크로 프로세서(30)를 통해 처리되어 블루투스 모듈(40)을 통해 전송된다.As a use example, since one point type can be inputted at a time through the braille input unit 10, a point type is inputted to input a word and a sentence, and a switch button 50 is pressed to complete an intended word and a sentence, (60) is pressed, the corresponding data is finally transmitted. For example, in order to input the braille word "ant", the braille input unit 10 is used to input a point shape (4 points), a point shape (1, 2, 3, 5 points) (1, 5 points) and 'ㅣ' (1,3,5 points) of 'ㅁ' in that order. Therefore, every time the point type is inputted, the switch button 50 is pressed to complete the word, and then the enter button 60 is pressed to finally input the completed word. The input braille data is again processed through the microprocessor 30 and transmitted via the Bluetooth module 40. [

그리고, 상기 스위치버튼(50)과 엔터버튼(60)은 학습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이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의 사용을 대체하여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The switch button 50 and the enter button 60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in place of the use of a smartphone display that is unsuitable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select learning contents or to control the system.

상기 스마트폰(200)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문자를 점자정보단말기(100)로 보내고, 보낸 문자를 점자 출력부(20)를 통해 시각장애인이 이를 읽어 점자 입력부(10)에 입력하여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면 제대로 입력 여부를 음성으로 피드백한다. The smartphone 200 sends a character to the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application and the blind person reads the sent character through the braille output unit 20 and inputs the read character to the braille input unit 10, , It feeds back the voice input properly.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교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raille training method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 교육 방법은, 먼저 해당 문제(문자)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스마트폰(200)의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점자정보단말기(100)로 전송된다(S100).Referring to FIG. 2, the braille training method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 transmitted to the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100 via the Bluetooth module of the smartphone 200, ).

이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점자정보단말기(100)의 블루투스 모듈(40)을 통해 수신 받아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서 이를 처리한다(S200). Then, the digital data is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40 of the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100 and processed by the microprocessor 30 (S200).

이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서 해당 데이터에 대한 내용을 처리하여 점자 출력부(20)의 작동에 대한 지시를 보낸다(S300). Then, the microprocessor 30 processes the contents of the data and sends an instruction to operate the braille output unit 20 (S300).

이어서, 사용자는 출력된 점자를 읽고 문제를 풀어 점자 입력부(10)를 통해 답을 입력한다(S400). Then, the user reads the output braille, solves the problem, and inputs the answer through the braille input unit 10 (S400).

다음으로, 입력된 데이터가 마이크로 프로세서(30)를 통해 연산 처리되어 블루투스 모듈(40)을 통해 다시 스마트폰으로 전송된다(S500). Next, the input data is calculated through the microprocessor 30 and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40 (S500).

다음에,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전송된 데이터는 스마트폰(200)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처리되며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학습 프로세스가 다르지만 주로 이 단계에서는 답이 틀렸는지 맞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스마트폰의 스피커를 통해 소리(음성 멘트)로 출력한다(S600).Next, the data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200 is processed in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200, and the learning proces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ents. However, at this stage, the feedback on whether the answer is wrong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In step S600.

본 발명의 점자정보단말기(100)와 통신하는 디지털 데이터는 스마트폰(200) 어플리케이션의 학습 콘텐츠 목록에 따라 요청 신호가 생성되고 전송된다. 사용자는 안내 멘트를 통해 학습 콘텐츠의 목록을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한 학습 콘텐츠에 해당하는 점자 패턴을 읽거나 안내 음성 멘트에 따라 테스트를 수행하며 학습할 수 있다. 테스트를 수행하면서 답안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입력 버튼을 조작하여 답안에 해당하는 점자 및 명령을 입력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정답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지도교사 없이 점자를 혼자서 학습할 수 있다. 이 같은 학습 관리 시스템과 학습 방법은 기존 점자 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교육 인프라의 부족을 해소할 수 있다.The digital data communicating with the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learning contents list of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200. [ The user can check and select the list of learning contents through the announcement, read the braille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earning content, or perform the test according to the guidance voice command. If you want to input an answer while performing a test, you can input braille and command corresponding to your answer by operating the input button, and check whether the answer is correct according to the result. These learning management systems and learning methods can overcome the shortage of education infrastructure which was pointed out as a problem of existing Braille education.

점자를 구성하고 있는 점 하나의 규격은 지름 약 1.5mm, 돌출부 높이는 0.6mm으로 매우 작다. 따라서 점자 학습의 관건은 이를 촉각적으로 구분하여 점자를 올바르게 읽어내는 것에 있다. 이 같은 점자학습의 특징을 반영하여 촉각적으로 점자를 제대로 구분하고 읽어낼 수 있도록 본 발명은 단계별로 최적화된 학습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다. 학습 콘텐츠의 단계는 크게 아래와 같이 5가지로 분류된다. One point that constitutes braille is very small, about 1.5mm in diameter and 0.6mm in height. Therefore, the key to braille learning is to read braille correctly by tactically distinguishing it.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learning contents optimized in stages so that braille can be distinguished and read out in a tactile manner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aille learning. The stages of the learning content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ive types.

(1) 점 위치 익히기(1) learn point location

상기 언급한 대로 점자는 그 크기가 매우 작아 각 점을 구분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한글 점형을 학습하기 전에 점자의 각 6개의 점을 촉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촉각적 인식 연습이 선행이 되어야한다. 이 단계에서는 점자의 구조를 이해하도록 음성으로 안내하고 기기의 점자 출력부에 출력된 점이 몇 번 점인지 판단하여 점자 입력부를 통해 정답을 입력하는 테스트를 수행하면서 촉각적으로 점자를 인식할 수 있는 훈련을 한다. 낮은 난이도부터 높은 난이도를 순으로 레슨이 구성되어 있으며 각 레슨에 포함된 테스트를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반복한다. 낮은 난이도에서는 온점과 비교하여 각 점의 위치를 촉각적으로 구분하는 것을 훈련한다. 이때 온점은 6개 점의 핀이 모두 올라와 있는 점형을 의미하는데 이 온점을 기준으로 바로 우측 셀에 출력된 점이 몇 번 점인지 판단하도록 한다. 난이도가 올라갈수록 올라오는 핀의 개수가 늘어나며 출력된 점괴 비교할 온점 없이 해당 점을 촉각적으로 구분해야 한다.As mentioned above, the braille is so small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distinguish each point. Therefore, the tactile perception practice should be preceded so that each of 6 points of braille can be tactically distinguished before studying Hangul. In this step, the user is guided through voice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braille, determines how many points are output on the braille output unit of the device, inputs the correct answer through the braille input unit, . Repeat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tests included in each lesson, organized in order from low to high difficulty. In low difficulty, it is trained to tactically distinguish the position of each point compared with the warm point. In this case, the on-point refers to a point type in which all the pins of six points come up. Based on this point, it is determined how many points are outputted to the right-hand cell. As the difficulty increases, the number of pins that go up will increase, and the point must be tactilely distinguished without the point to compare the output point.

(2) 한글 점자 암기(2) Korean Braille Memorization

사용자가 상기 점 위치 익히기의 훈련을 통해 점자의 각 점의 위치를 어느 정도 구분해낼 수 있는 학습 수준이 되었다면 이제 문자를 학습하는 단계로 넘어간다. 이 단계에서는 점자의 모양(점형)을 암기할 수 있는 학습 콘텐츠를 구성한다. 한글 자, 모음, 문장부호 및 약자, 약어 등 한글 점자를 익힐 수 있는 콘텐츠이다. 각 점형을 암기하는 것은 여러 가지 어려움이 따르는데 6개의 점의 구성이 하나의 점형을 이루기 때문에 구조 상 유사한 점형이 많고 자음의 경우에는 초성, 종성이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따로 익혀야 하는 등 시간이 오래 소요된다. 따라서 각 점형을 이루는 점의 번호를 안내해주는 음성강의와 테스트의 반복을 통해 효율적인 점자학습이 가능하도록 한다. 각 점형을 암기할 수 있도록 음성으로 안내하는 강의가 챕터 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챕터는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단계별 레슨으로 나뉜다. If the user has reached the learning level that allows the position of each point of the braille to be separated to some extent through the training of the point location learning, the process proceeds to learning the character. At this stage, a learning content is formed that can memorize the shape of the braille (point shape). It is content that can learn Hangul characters, vowels, punctuation marks, abbreviations and acronyms.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memorizing each point type. Since 6 points consist of one point type, many points are similar in structure. In the case of consonant, there is a long time do.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ke efficient Braille learning through repetition of voice lecture and test that guides number of each point. Each lecture consists of chapters that teach voice to memorize each point type. Each chapter is divided into a step-by-step lesson to enable effective learning.

이때 모든 콘텐츠는 점자 읽기의 점형(점자 쓰기의 경우는 점자 읽기의 좌우 반전의 모양을 가진다)을 기준으로 학습하며 점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쓰기가 아닌 읽기 기준의 점형을 입력하도록 한다.  At this time, all contents are learned based on the point type of the braille reading (in the case of the braille writing, the shape of the left and right inversion of the reading of the braille), and when the braille is inputted, the point type of the reading standard is inputted instead of writing.

(3) 한글 점역 훈련(3) Korean translation training

사용자가 상기 한글 점자 암기의 훈련을 통해 한글 점형을 어느 정도 숙지하였다고 판단되면 단어 및 문장을 음성으로 제시하고 이를 명확하게 점역하여 입력하도록 안내한다. 이 단계에서는 상기 한글 점자 암기에서 암기한 한글 점형을 복습하면서 이를 적용하여 한글 점자에 익숙해지도록 유도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 같은 점역 과정을 통해 본격적으로 점자를 활용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정확한 점자 사용을 연습한다. If the user judges that the Hangul font is learned to some extent through the training of the Hangul Braille memorization, he or she will present the words and sentences with a voice and guide them to input clearly. At this stage, it is aimed to review Hangul fonts memorized in Hangul Braille memorization, and to apply them to induce them to become accustomed to Hangul Braille. We learn how to use Braille in earnest through this process and practice correct Braille use.

(4) 단어 읽기 반복(4) Repeat word reading

상기 언급한 과정을 거친 후에는 점자를 좀 더 능숙하게 읽을 수 있는 연습을 한다. 점자 출력부의 8개 셀을 통해 단어 점자를 출력하고 이를 사용자가 읽은 뒤 어떤 단어인지를 판단하여 입력하는 테스트 프로세스를 반복한다. 세 글자 내외의 단어 위주로 출력되며 이를 정확하게 읽고 입력하는 테스트를 반복하며 테스트 수행에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여 저장한다. After the above-mentioned process, we practice to read Braille more fluently. A word braille is output through eight cells of the braille output unit, and a test process is repeated in which the user determines whether a word is read after the user reads it and inputs the word. The test is repeated to read and input the words accurately, and the time spent in the test is measured and stored.

(5) 맞춤법 체크(5) Spell check

언어를 음성으로만 배웠을 때의 가장 큰 문제는 맞춤법에 대한 학습이 부족하여 문자를 정확하게 활용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과정을 거쳐 점자를 촉각적으로 읽어내는 훈련 뒤에는 정확한 점자의 사용을 위해 맞춤법을 학습하도록 한다. 문장을 음성으로 제시하고 그 중 틀리기 쉬운 맞춤법이 들어간 부분을 입력하도록 유도하고 테스트를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는 동요 등 미디어를 활용한 콘텐츠를 제공하여 학습효율을 높인다. 이 단계는 이미 한글 묵자를 능숙하게 활용했던 중도시각장애인의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The biggest problem when learning a language spoken only is the lack of learning about spelling, which makes it difficult to use characters correctly. Therefore, after the above-mentioned process of tactile reading of Braille, we study spelling for correct use of Braille. Present the sentence by voice, inducing the user to input a part with a spelling that is easy to be mistaken, and perform the test. In this process, we improve the learning efficiency by providing content using media such as swaying. This stage does not apply to middle-sighted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who have already mastered Hangul character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 점자 입력부 20: 점자 출력부
30: 마이크로 프로세서 40: 블루투스 모듈
50: 스위치버튼 60: 엔터버튼
100: 점자정보단말기 200: 휴대폰
10: Braille input unit 20: Braille output unit
30: Microprocessor 40: Bluetooth module
50: switch button 60: enter button
100: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200: Mobile phone

Claims (5)

점자정보단말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여 점자를 교육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교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점자정보단말기는,
6개의 점형을 반으로 나눈 3개의 점을 좌우로 나누어 점자를 입력하는 점자 입력부;
상기 입력된 점자를 점자 규격과 동일하게 출력되는 점자 출력부;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문자를 디지털 데이터로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된 지시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점자 입력부에 점형을 입력할 때 마다 버튼을 눌러 단어를 완성시키는 스위치버튼; 및
상기 완성된 단어를 최종적으로 버튼을 눌러 입력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엔터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교육 시스템.
1. A braille educ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Braille education system comprising:
Wherein the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comprises:
A braille input unit for inputting braille characters by dividing the three points divided into six halves into left and right halves;
A braille output unit outputting the input braille in the same manner as the braille specification;
A microprocessor for receiving characters from the smartphone application as digital data and processing the data according to an instruction stored in the memory;
A switch button for completing a word by pressing a button each time a point type is input to the braille input unit; And
And an enter button for finally inputting the completed word by pressing a button and transmitting the input word to the smart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입력부의 입력 좌측 3개의 버튼은 상단부터 점자의 1,2,3번 점을 입력하고, 우측 3개의 버튼은 상단부터 점자의 4,5,6번 점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교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ee buttons on the left side of the input of the braille input unit input the points 1,2,3 of the braille characters from the top and the points 4,5,6 on the right side of the three braille buttons are input from the top. Braille education system f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버튼과 엔터버튼은 양손의 검지로 누를 수 있도록 점자정보단말기 상단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교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witch button and the enter button are arranged at the top of the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so that they can be pushed by the index finger of both han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문자를 점자정보단말기로 보내고, 보낸 문자를 점자 출력부를 통해 읽어 점자 입력부에 입력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면 제대로 입력 여부를 음성으로 피드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교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martphone sends a character to the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through an application, reads the sent character through a braille output unit, inputs the read character to a braille input unit, and transmits the character to a smartphone to feedback whether the input is properly performed. system.
해당 문자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점자정보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점자정보단말기의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신 받아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처리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해당 데이터를 처리하여 점자 출력부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점자를 읽고 점자 입력부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연산 처리하여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된 데이터가 틀렸는지 맞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음성 멘트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교육 방법.
Transmitting digital data of the character to the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of the smart phone;
Receiving the transmitted data through a Bluetooth module of the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and processing the received data in a microprocessor;
Processing the data by the microprocessor and outputting the data to the braille output unit;
Reading the output braille and inputting it to the braille input unit;
Processing the input data by a microprocessor and transmitting the processed data to a smartphone through a Bluetooth module; And
And outputting feedback as to whether the data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is correct or not, as a voice message.
KR1020180003077A 2018-01-10 2018-01-10 Braille education system for blind KR1020784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077A KR102078446B1 (en) 2018-01-10 2018-01-10 Braille education system for bli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077A KR102078446B1 (en) 2018-01-10 2018-01-10 Braille education system for bli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570A true KR20190085570A (en) 2019-07-19
KR102078446B1 KR102078446B1 (en) 2020-02-18

Family

ID=6751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077A KR102078446B1 (en) 2018-01-10 2018-01-10 Braille education system for bli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44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866B1 (en) * 2021-11-12 2023-09-06 곽기택 Braille and letter input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2971A (en) * 2014-01-08 2015-07-16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Input and output device for smartphone
KR20170119941A (en) * 2016-04-20 2017-10-30 주식회사 오파테크 Smart braille learning device and braille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2971A (en) * 2014-01-08 2015-07-16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Input and output device for smartphone
KR20170119941A (en) * 2016-04-20 2017-10-30 주식회사 오파테크 Smart braille learning device and braille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446B1 (en) 202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97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generation of adapted content to facilitate reading skill development for language learners
US20050064375A1 (en) Literacy education system for students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ASD)
JP6592657B2 (en) Word acquisition training system
KR101080092B1 (en) Method for studying foreign language word and installation using thereof
KR101333946B1 (en) Apparatus for studying engligh speaking based on drawing method using smart device
Khan et al. Proposed user interface design criteria for children with dyslexia
KR20190085570A (en) Braille education system for blind
Fung et al. Can students with dyslexia learn independently? A seven-week study of Chinese character learning in an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
KR20210013293A (en) Symbolic parish education system and method
JPWO202003601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programs
Thompson et al. Louis Braille
JP2002182554A (en) Spelling learning method and system
Nascimento et al. Standard-Based Braille Learning: a new proposal for teaching the Braille system
US20060147883A1 (en) Method for teaching typing
RU2662139C1 (en) Device for fine dotted braille training of blind and visually impaired children
KR100294034B1 (en) An equipment and method for learning the order of making strokes in writing a character
US20100120003A1 (en) Holistic Approach to Learning to Type
KR20150123619A (en) English studying material
US201500646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aching The Pronunciation of Alphabet Characters Of An Unfamiliar Language
KR20150036954A (en) Dictation study and scoring Method using Application
Kelly How we got to where we are
Holland Analysis of behavior in reading instruction
Wang et al.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for the recognition of characters and words by learners of Chinese with varying proficiency in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Songkhao Writing dictation in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ho use contracted Braille with an electronic device
Sanchez et al. Design and usability evaluation of an audio-based college entrance exam for students with visual disab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