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866B1 - Braille and letter input device - Google Patents

Braille and letter inpu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866B1
KR102575866B1 KR1020210156095A KR20210156095A KR102575866B1 KR 102575866 B1 KR102575866 B1 KR 102575866B1 KR 1020210156095 A KR1020210156095 A KR 1020210156095A KR 20210156095 A KR20210156095 A KR 20210156095A KR 102575866 B1 KR102575866 B1 KR 102575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unit
key button
main body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0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69748A (en
Inventor
곽기택
Original Assignee
곽기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기택 filed Critical 곽기택
Priority to KR1020210156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866B1/en
Publication of KR20230069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7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8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2Devices for Braille writing
    • G09B21/025Devices for Braille writing wherein one tactile input is associated to a single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점자입력버튼 및 점자기능버튼을 포함하는 점자 키버튼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배치되고 묵자입력버튼 및 묵자기능버튼을 포함하는 묵자 키버튼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aille and black character integrated input device includes a main body, a braille key button part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braille input button and a braille function button, and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It includes a mute key button including a mute input button and a mute function button.

Description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BRAILLE AND LETTER INPUT DEVICE}Braille and print integrated input device {BRAILLE AND LETTER INPUT DEVICE}

본 발명은 점자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점자 및 묵자를 모두 입력할 수 있는 입체형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ille in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ree-dimensional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both braille and ink characters.

점자(Braille)는 시각 장애인용 문자로서, 전맹 및 농맹 시각장애인 또는 저시력 시각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도록 지면 또는 평면에 일정한 점 형태의 점으로 돌출시킨 것을 의미한다 시각장애인은 돌출된 점자를 손가락 끝으로 만지거나 점자에 내재된 문자 및 부호의 의미를 인식할 수 있다. 점자는 4개, 6개 또는 8개의 점자용 도트를 이용하여, 문자, 사전에 약정된 약자 및 숫자 등을 각각 표현할 수 있다.Braille is a character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means a dot in the form of a certain point projected on the ground or a plane so that the blind, deaf or low vision blind can identify it. Recognize the meaning of letters and symbols embedded in touch or braille. In braille, characters, abbreviations and numbers agreed upon in advance may be respectively expressed using 4, 6 or 8 dots for braille.

최근 컴퓨터 및 스마트폰의 발달로 시각장애인들도 이러한 도구들을 이용해 업무를 하는 등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시각 장애인은 맹학교에서 한국등록특허 제10-1846526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퍼킨스(Perkins) 점자 키보드와 점자 표시장치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점자 단말기를 이용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and smart phones, the need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to work using these tools is increasing. In general, visually impaired people use braille terminals in which a Perkins braille keyboard and a braille display device are integrated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46526 in schools for the blind.

하지만, 점자를 알지 못하는 저시력 시각 장애인들은 퍼킨스(Perkins) 점자 키보드를 사용하기 보다는 일반 PC용 쿼티(Querty) 키보드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따라서, 기존의 점자 단말기은 전맹 시각 장애인들이 점자를 학습한 경우에 이용될 수는 있었지만 저시력 시각 장애인과 같이 일반 쿼티 키보드를 사용하거나 점자를 아직 학습하지 않는 시각 장애인들의 경우에는 이용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However, low vision blind people who do not know braille prefer to use a general PC QWERTY keyboard rather than a Perkins braille keyboard. Therefore, the existing braille terminals could be used by blind and visually impaired people who have learned Braille, but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cannot be used by blind people who use a general QWERTY keyboard or who have not yet learned Braille, such as low-vision blind people.

따라서 다양한 장애 등급의 시각 장애인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키보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portable keyboard that can be commonly used by visually impaired people of various disability levels.

한국등록특허 제10-1846526호(2018.04.20)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46526 (2018.04.20)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점자와 묵자를 모두 입력할 수 있는 일체형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n integrated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both braille and print characters.

또한 본 발명은 점자 버튼의 사용성이 향상되고 편리한 구조의 커버 유닛을 채택하는 입체형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input device that improves usability of braille buttons and adopts a cover unit having a convenient structur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점자입력버튼 및 점자기능버튼을 포함하는 점자 키버튼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배치되고 묵자입력버튼 및 묵자기능버튼을 포함하는 묵자 키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braille and black character integrated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unit; a braille key button unit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unit and including a braille input button and a braille function button; and a mute key button portion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mute character input button and a mute character function button.

일실시예에서 상기 점자 키버튼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점자입력버튼 및 상기 점자기능버튼은 상기 회전판 상부에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raille key button unit may include a rotating plate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unit, and the braille input button and the braille function button may be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일실시예에서 상기 회전판은 제1 회전판 및 제2 회전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점자 키버튼부는 상기 제1 회전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점자 버튼부와 상기 제2 회전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점자 버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tating plate includes a first rotating plate and a second rotating plate, and the braille key button part has a first braille button part disposed on the first rotary plate and a second braille button part disposed on the second rotary plate. 2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raille button unit.

일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는 원형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 상기 회전판이 수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circular groove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rotation plate may be accommodated in the groove portion.

일실시예에서 상기 점자 키버튼부의 버튼은 퍼킨스(Perkins) 타입으로 형성되고, 상기 묵자 키버튼부의 버튼은 쿼티(Querty)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uttons of the braille key button part may be formed in a Perkins type, and the buttons in the mute key button part may be formed in a QWERTY type.

일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는 상기 점자 키버튼부 사용시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점자 기능 키버튼부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braille function key button unit for performing an additional function when using the braille key button unit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일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점자 키버튼부 및 상기 묵자 키버튼부에서 입력된 입력 정보를 판별하는 중앙처리장치부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부의 정보처리 결과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본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in body unit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determining input information input from the braille key button unit and the mute key button unit,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processing results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unit to an external terminal, and the main body unit. It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unit.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상기 점자 키버튼부를 덮도록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커버;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상기 묵자 키버튼부를 덮도록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tegrated braille and ink inpu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cover the braille key button; and a second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cover the mute key button.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는 각각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자력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body by magnetic force, respectively.

일실시예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부는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었는지를 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상기 제1 커버가 결합 해제된 경우 상기 점자 키버튼부의 입력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2 커버가 결합 해제된 경우 상기 묵자 키버튼부의 입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etects whether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are coupled to the main body through a sensor, and activates an input of the braille key button unit when the first cover is released. , When the second cover is disengaged, input of the mute key button unit may be activa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는 하나의 기기로 점자와 묵자를 모두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장애 등급의 시각 장애인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braille and print input device enables the input of both braille and print characters with a single device, so that blind people of various disability levels can use it in common.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는 점자 버튼부의 개선된 구조와 편리한 구조의 커버 유닛을 채택하여 휴대성 및 사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ille and print integrated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reatly improve portability and usability by adopting an improved structure of a braille button unit and a cover unit with a convenient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가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의 상부 커버가 하부 커버 하단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의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의 본체부 후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의 본체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본체부의 센서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grated braille and print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of an integrated braille and print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cover of a braille and print integrated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a lower cover.
FIG. 4 is a plan view of the braille and print integrated input device in the state of FIG. 3 .
5 is a view showing the rear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braille and print integrated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main body of an integrated braille and print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ensor unit of the main body of FIG. 6 .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braille and print integrated input 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grated braille and print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10, 이하 '일체형 입력장치'로 약칭한다)는 본체부(100), 상부 커버(200) 및 하부 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 a braille and print integrated input device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tegrated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n upper cover 200, and a lower cover 300. It is composed of.

본체부(100)는 점자 입력을 위한 버튼들이 배치되는 부분이며, 상부 커버(200) 및 하부 커버(300)는 본체부(100)의 상하측에 결합되어 이동중 또는 사용중에 본체부(100)의 상하측 모두 또는 일측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The body portion 100 is a portion where buttons for braille input are disposed, and the upper cover 200 and the lower cover 300 ar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ody portion 100 to provide protection for the body portion 100 during movement or use. It serves to protect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r one sid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가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of an integrated braille and print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도 2를 참조하면 일체형 입력장치(100)의 상부면에는 점자입력버튼 및 점자기능버튼을 포함하는 점자 키버튼부가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2 , a braille key button including a braille input button and a braille function button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grated input device 100 .

점자 키버튼부는 제1 점자 키버튼부(120) 및 제2 점자 키버튼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raille key button unit includes a first braille key button unit 120 and a second braille key button unit 140.

제1 점자 키버튼부(120)는 제1 회전판(125) 및 점자버튼(121, 122, 123, 12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2 점자 키버튼부(140)는 제2 회전판(145) 및 점자버튼(141, 142, 143, 1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braille key button unit 120 includes a first rotation plate 125 and braille buttons 121, 122, 123, and 124, and the second braille key button unit 140 includes the second rotation plate 145 and braille buttons 141, 142, 143, and 144.

제1 회전판(125) 및 제2 회전판(145)은 원형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각각 본체부(100)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1 홈부(130) 및 제2 홈부(150)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된다.The first rotation plate 125 and the second rotation plate 145 are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and are rotatably accommodated in the first groove part 130 and the second groove part 15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respectively.

상기와 같이 제1 회전판(125) 및 제2 회전판(145)이 제1 홈부(130) 및 제2 홈부(150)에 수용됨으로써, 제1 회전판(125) 및 제2 회전판(145)는 본체부(100)의 상부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rotation plate 125 and the second rotation plate 145 are accommodated in the first groove portion 130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150, so that the first rotation plate 125 and the second rotation plate 145 are formed in the body portion. It can be combined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100).

제1 회전판(125)의 상부에는 4 개의 점자버튼(121, 122, 123, 124)가 배치되고, 제2 회전판(145)의 상부에는 4 개의 점자버튼(141, 142, 143, 144)가 배치된다.Four braille buttons 121, 122, 123, and 124 are disposed on the first rotating plate 125, and four braille buttons 141, 142, 143, and 144 ar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145. do.

점자버튼(121, 122, 123, 124) 및 점자버튼(141, 142, 143, 144)은 각각 제1 회전판(125) 및 제2 회전판(145)의 상부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예를 들어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raille buttons 121, 122, 123, and 124 and the braille buttons 141, 142, 143, and 144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rotating plate 125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145, respectively, and are, for example, rectangular parallelepiped. Alternatively, it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as a cube.

점자버튼(121, 122, 123, 124) 및 점자버튼(141, 142, 143, 144)의 상부면에는 일정 패턴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퍼킨스(Perkins) 타입의 점자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Protrusions protruding in a certain pattern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braille buttons 121, 122, 123, and 124 and the braille buttons 141, 142, 143, and 144. For example, a Perkins type braille pattern may be included. can

점자버튼(121, 122, 123, 124) 및 점자버튼(141, 142, 143, 144)은 각각 점자입력버튼과 점자기능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자버튼(121, 122, 123) 및 점자버튼(141, 142, 143)은 점자입력버튼일 수 있으며, 점자버튼(124) 및 점자버튼(144)는 “shift” 및 “Ctrl” 기능과 같은 점자기능버튼일 수 있다.The braille buttons 121, 122, 123, and 124 and the braille buttons 141, 142, 143, and 144 may be configured as a braille input button and a braille function button,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braille buttons 121, 122, and 123 and the braille buttons 141, 142, and 143 may be braille input buttons, and the braille buttons 124 and the braille buttons 144 may include “shift” and “Ctrl” It may be a braille function button such as a function.

점자버튼(121, 122, 123, 124) 및 점자버튼(141, 142, 143, 144)은 각각 제1 회전판(125) 및 제2 회전판(145)의 상부에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시각 장애인의 사용 상태 및 개개인의 특성에 맞게 점자버튼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The braille buttons 121, 122, 123, and 124 and the braille buttons 141, 142, 143, and 144 are disposed above the first rotating plate 125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145, respectively, and are configured to be rotatable, so that the blind are disable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braille button according to the usage condition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예를 들어, 시각 장애인이 본체부(100)의 상부면이 위로 배치된 상태로 일체형 입력장치(10)를 사용하는 경우에 각 개개인의 특성에 맞게 제1 회전판(125) 및 제2 회전판(145)를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부(100)의 일측인 점자 기능 키버튼부(160)가 위로 배치된 상태로 일체형 입력장치(10)를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 상태에 적합한 상태로 제1 회전판(125) 및 제2 회전판(14%)을 회전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visually impaired person uses the integrated input device 10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placed upward, the first rotating plate 125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145 are suitable for each individual's characteristics. ) can be rotated, and when the integrated input device 10 is used with the braille function key button 160, which is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disposed upward, in a state suitable for the corresponding state, the first The rotating plate 125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14%) may be rotated.

본체부(100)의 상부면에는 네 모서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네 개의 상부 결합홈(100)이 형성된다.Four upper coupling grooves 100 disposed adjacent to four corner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

상부 커버(200)는 본체부(10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네 모서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네 개의 상부 커버 결합홈(210)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네 모서리에 인접하여 네 개의 상부 커버 결합돌기(220)가 형성된다.The upper cover 20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body portion 100, and has four upper cover coupling grooves 210 disposed adjacent to four corners on the upper surface, and four upper cover coupling grooves 210 adjacent to the four corners on the lower surface. An upper cover coupling protrusion 220 is formed.

상부 커버(200)가 본체부(100)의 상부에 결합이 될 때, 상부 커버 결합돌기(220)가 상부 결합홈(110)에 끼워지게 된다. When the upper cover 20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0, the upper cover coupling protrusion 220 is fitted into the upper coupling groove 110.

이때, 상부 커버 결합돌기(220) 및 상부 결합홈(110)은 상호 자력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부 커버 결합돌기(220)에 자석이 포함되고, 상부 결합홈(110) 내부에 자석에 붙는 금속 재질이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이 역도 가능하며, 상부 커버 결합돌기(220) 및 상부 결합홈(110)에 서로 인력을 가지도록 다른 극성의 자석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upper cover coupling protrusion 220 and the upper coupling groove 110 may be coupled by mutual magnetic force. To this end, a magnet may be included in the upper cover coupling protrusion 220, and a metal material attached to the magnet may be disposed inside the upper coupling groove 110. Of course, the reverse is also possible, and magnets of different polarity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cover coupling protrusion 220 and the upper coupling groove 110 so as to have an attractive force with each other.

하부 커버(300) 역시 본체부(10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네 모서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하부 커버 결합돌기(320)가 형성된다. 도 2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부 커버(300)의 하부면에는 상부 커버(200)의 상부 커버 결합홈(210)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하부 커버 결합홈이 배치된다.The lower cover 300 is also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body portion 100, and lower cover coupling protrusions 320 disposed adjacent to four corner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lthough not shown in FIG. 2 , a lower cover coupling groove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300 in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cover coupling groove 210 of the upper cover 200 .

하부 커버(300)가 본체부(100)의 하부면에 결합될 때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 결합홈(180)에 하부 커버 결합돌기(320)가 끼워지게 된다.When the lower cover 30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he lower cover coupling protrusion 320 is fitted into the lower coupling groove 180 as shown in FIG.

마찬가지로 하부 커버 결합돌기(320) 및 하부 결합홈(180)도 상호 자력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Likewise, the lower cover coupling protrusion 320 and the lower coupling groove 180 may also be coupled by mutual magnetic force.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00)의 일측에는 제1 연결단자(102), 제2 연결단자(104) 및 스피커부(106)가 배치된다.Referring back to FIG. 2 , a first connection terminal 102 ,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104 , and a speaker unit 106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unit 100 .

제1 연결단자(102) 및 제2 연결단자(104)는 USB 연결단자, HDMI 연결단자 등의 외부기기 연결단자이며, 스피커부(106)는 각종 음성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스피커부(106)에서는 사용자가 입체형 입력장치(100)를 통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입력되는 문자에 대응되는 음성을 출력시킬 수도 있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02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04 are external device connection terminals such as a USB connection terminal and an HDMI connection terminal, and the speaker unit 106 serves to output various sounds. In particular, when a user inputs text through the stereoscopic input device 100, the speaker unit 106 may output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text input.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의 상부 커버가 하부 커버 하단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cover of a braille and print integrated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a lower cover.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 커버(300)의 하부면에는 하부 커버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는데, 사용자가 본체부(100)의 상부면에 배치된 점자 키버튼부(120, 140)을 사용하려고 할 때에는 사용자는 상부 커버(200)를 뒤집어서 하부 커버(300)의 하부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in FIG. 2 , a lower cover coupling groove (not show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300, and the user presses the braille key button parts 120 and 140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When intending to use, the user can flip the upper cover 200 over and couple i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300 .

마찬가지로 상부 커버(200)의 상부 커버 결합돌기(220)와 하부 커버 결합홈에 자력에 의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Similarly, the upper cover coupling protrusion 220 and the lower cover coupling groove of the upper cover 200 may be mutually coupled by magnetic force.

도 4는 도 3의 상태의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의 평면도이다.FIG. 4 is a plan view of the braille and print integrated input device in the state of FIG. 3 .

도 4를 참조하면 본체부(100)의 일측에는 점자 키버튼부(120, 140) 사용시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점자 기능 키버튼부(160)가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4 , a braille function key button unit 16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unit 100 to perform additional functions when using the braille key button units 120 and 140 .

점자 기능 키버튼부(160)는 도 4와 같이 복수의 점자 기능 키버튼(161~16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키버튼(161)은 '엔터키', 기능 키버튼(162)는 '왼쪽 방향키', 기능 키버튼(163)은 '오른쪽 방향키', 기능 키버튼(164)은 '위쪽 방향키', 기능 키버튼(165)은 '아래쪽 방향키', 기능 키버튼(166)은 '스페이스키'일 수 있다.The braille function key button unit 1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raille function key buttons 161 to 166 as shown in FIG. 4 . For example, the function key button 161 is the 'enter key', the function key button 162 is the 'left direction key', the function key button 163 is the 'right direction key', and the function key button 164 is the 'up direction key' ', the function key button 165 may be a 'down direction key', and the function key button 166 may be a 'space key'.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의 본체부 후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rear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braille and print integrated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3 및 도 4와 반대로 하부 커버(300)를 뒤집어서 상부 커버(200)의 상부면에 결합시킨 후 하부 커버(300)를 바닥면에 배치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결합하는 경우 하부 커버 결합돌기(320)와 상부 커버(200)의 상부 커버 결합홈(210)은 상호 자력으로 결합할 수 있다.5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wer cover 300 is turned over a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200, and then the lower cover 300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contrary to FIGS. 3 and 4 . When coupled in this way, the lower cover coupling protrusion 320 and the upper cover coupling groove 210 of the upper cover 200 may be coupled by mutual magnetic force.

도 5와 같이 배치하면 사용자는 본체부(100)의 후면에 배치된 묵자 키버튼부(170)를 이용하여 묵자를 입력할 수 있다. 묵자 키버튼부(170)는 예를 들어 일반적인 컴퓨터나 노트북이 채택하는 쿼티(Querty) 타입의 키보드 형태일 수 있다.When arranged as shown in FIG. 5 , the user can input mute characters using the mute key button unit 170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body unit 100 . The mute key button unit 170 may be,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QWERTY type keyboard adopted by a general computer or notebook computer.

본 명세서에서 '묵자'는 시각 장애인이 도트 형태의 점자가 아닌 일반 문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묵자'는 '점자'와 대비되는 용어로 사용되는 용어이다.In this specification, 'print' refers to normal characters, not dot-type Braill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print' is a term used as a contrast to 'braille'.

위에서 설명한 대로 시각 장애인 중 아직 점자를 학습하지 않는 사용자이거나 저시력 장애인인 경우 도 5와 같은 상태로 배치시킨 후 묵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 blind user who has not yet learned braille or a low vision handicapped person, after arranging them in a state as shown in FIG. 5, they can input silent characters.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의 본체부의 세부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6의 본체부의 센서부의 세부 구성도이다.6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ain body of the integrated braille and print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ensor unit of the main body of FIG. 6 .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일체형 입력장치(10)의 본체부(100)는 제1 연결단자(102), 제2 연결단자(104), 스피커부(104), 상부 결합홈(110), 제1 점자 키버튼부(120), 제1 회전판(125), 제2 점자 키버튼부(140), 제2 회전판(145), 점자 기능 키버튼부(160), 묵자 키버튼부(170), 하부 결합홈(180), 중앙처리장치부(183), 통신부(184), 저장부(185) 및 센서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6 and 7, the main body 100 of the integrated input device 1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terminal 102,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104, a speaker unit 104, an upper coupling groove 110, A first braille key button unit 120, a first rotating plate 125, a second braille key button unit 140, a second rotating plate 145, a braille function key button unit 160, a mute key button unit 170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wer coupling groove 180, a central processing unit 183, a communication unit 184, a storage unit 185, and a sensor unit 190.

제1 연결단자(102), 제2 연결단자(104), 스피커부(106), 상부 결합홈(110), 제1 점자 키버튼부(120), 제1 회전판(125), 제2 점자 키버튼부(140), 제2 회전판(145), 점자 기능 키버튼부(160), 묵자 키버튼부(170) 및 하부 결합홈(180)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rst connection terminal 102, second connection terminal 104, speaker unit 106, upper coupling groove 110, first braille key button unit 120, first rotation plate 125, second braille key The button unit 140, the second rotation plate 145, the braille function key button unit 160, the mute key button unit 170, and the lower coupling groove 180 have already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so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do.

중앙처리장치부(183)는 제1 점자 키버튼부(120), 제2 점자 키버튼부(140) 및 점자 기능 키버튼부(160)에서 입력된 정보를 판별하는 역할을 포함하여 본체부(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183 determines information input from the first braille key button unit 120, the second braille key button unit 140, and the braille function key button unit 160, and the main body unit 100 ) plays a role in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통신부(184)는 중앙처리장치부(183)의 정보처리 결과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84 serves to transmit information processing results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83 to an external terminal.

저장부(185)는 중장처리장치부(183)에서 처리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The storage unit 185 serves to store data processed by the heavy-duty processing unit 183 and the like.

센서부(190)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 이루어져 중앙처리장치부(183)의 제어에 이용될 센서값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The sensor unit 190 is composed of one or more sensors and serves to measure a sensor value to be used for controlling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83.

또한, 도 6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부(100)의 구성 부품들의 동작에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전원부는 외부 전원 공급단자에 연결되는 단자와,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부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6 , a power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operation of components of the body unit 100 may be disposed. The power unit may include both a terminal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terminal and a battery unit capable of being charged.

도 7을 참조하면 센서부(190)는 자이로 센서(191), 가속도 센서(193), 커버 센서(195) 및 조도 센서(19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sensor unit 190 may include a gyro sensor 191 , an acceleration sensor 193 , a cover sensor 195 , and an illuminance sensor 197 .

자이로 센서(191)는 본체부(100)의 움직임에 따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며, 가속도 센서(193)는 본체부(100)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191) 및 가속도 센서(193)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중앙처리장치부(183)는 본체부(100)의 움직임을 판별할 수 있다.The gyro sensor 191 is a sensor that measures angular velocit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00 , and the acceleration sensor 193 is a sensor that measures acceler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00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83 may determine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00 using the measured values of the gyro sensor 191 and the acceleration sensor 193 .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부(100)는 본체부(100)가 바닥면으로부터 점자 키버튼부(120, 140)가 상측으로 배치되었는지 아니면 묵자 키버튼부(170)가 상측으로 배치되었는지 아니면 점자 기능 키버튼부(160)가 상측으로 배치되었는지 등을 판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0 determines whether the braille key buttons 120 and 140 are disposed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or whether the mute key button unit 170 is disposed upward or the braille func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key button unit 160 is disposed upward.

커버 센서(195)는 상부 커버(200) 및 하부 커버(300)가 본체부(100)에 결합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부 커버(200) 및 하부 커버(300)의 상부 커버 결합돌기(200) 및 하부 커버 결합돌기(320)가 상부 결합홈(100) 또는 하부 결합홈(180)에 결합된 경우에는 전류의 흐름을 감지하여 커버가 결합된 것으로 판별하고, 결합이 해제된 경우에는 전류가 끊어진 것을 감지하여 커버가 결합 해제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The cover sensor 195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whether or not the upper cover 200 and the lower cover 300 are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 For example, when the upper cover coupling protrusion 200 and the lower cover coupling protrusion 320 of the upper cover 200 and the lower cover 300 are coupled to the upper coupling groove 100 or the lower coupling groove 180 It is determined that the cover is coupled by detecting the flow of current, and when the coupling is releas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cover is disconnected by detecting that the current is disconnected.

조도 센서(197)는 본체부(10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설치되어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도 센서(197)에서 빛이 검출되는 경우에 중앙처리장치부(183)는 해당면의 커버가 결합이 해제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The illuminance sensor 197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body 100 to measure the illuminance. For example, when light is detected by the illuminance sensor 197,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83 may determine that the cover of the corresponding surface is disengaged.

즉, 중앙처리장치부(183)는 상기와 같은 센서값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값의 조합에 의하여 상부 커버(200) 및 하부 커버(300)가 본체부(100)에 결합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상부 커버(200)가 결합 해제된 경우에는 점자 키버튼부(120, 140)의 입력을 활성화시키고, 상부 커버(300)가 결합 해제된 경우에는 묵자 키버튼부의 입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That i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83 determines whether the upper cover 200 and the lower cover 300 are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by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above sensor values, and the upper cover ( 200) is disengaged, input of the braille key button portions 120 and 140 may be activated, and when the upper cover 300 is disengaged, input of the mute key button portion may be activated.

위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이 점자 키버튼부(120, 140) 또는 묵자 키버튼부(170)를 선택하는 동작 없이도 상부 커버(200) 또는 하부 커버(300)를 결합 해제하거나 본체부(100)의 움직임 동작만으로 시각 장애인이 사용하고자 하는 버튼부를 자동으로 입력 활성화시킬 수 있다.By controlling as above, the upper cover 200 or the lower cover 300 can be disengaged or the body part 100 can be disengaged without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selecting the braille key button 120 or 140 or the mute key button 170.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input and activate a button unit that a visually impaired person wants to use only with a movement operation.

또한, 중앙처리장치부(183)는 시각 장애인이 입력하는 문자를 해석하여 스피커(106)를 통하여 음성으로 출력시킴으로써 시각 장애인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통신부(184)를 통하여 블루투스 등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등의 외부 단말기와 연동하여 동작 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83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visually impaired by interpreting the text input by the visually impaired and outputting it as voice through the speaker 106, an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84,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uetooth It can be us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xternal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nd notebook computers.

또한, 본 발명의 일체형 입력장치(10)는 본체부(10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점자 키버튼부(120, 140) 및 묵자 키버튼부(170)가 배치됨으로써 하나의 기기로 시각 장애인의 다양한 니즈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in the integrated input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ille key button parts 120 and 140 and the mute key button part 170 ar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dy part 100, respectively,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time as a single device. It has the effect of responding to the various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아울러, 일체형 입력장치(10)의 점자 키버튼부(120, 140)는 회전판(145, 150)을 통하여 본체부(1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시각 장애인 개개인의 특성에 맞게 회전판(145, 150)을 회전시킴으로써 맞춤형 키버튼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braille key button parts 120 and 140 of the integrated input device 10 are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rotary plates 145 and 150, so that the rotary plate 145 and 150) has an effect of enabling customized key button arrangement.

이때, 점자 키버튼부(120, 140)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회전판(145, 150)은 일정한 일정 힘 이상을 가하는 경우에만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마찰력이 높도록 구성되거나 사용자가 특정 위치로 고정하고 싶은 경우에 회전이 금지되도록 하는 회전 멈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in order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braille key button parts 120 and 140, the rotating plates 145 and 150 are configured to have high rotational friction so that they can rotate only when a certain force or more is applied, or the user wants to fix them at a specific position. In this case,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rotation stop so that rotation is prohibit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 100: 본체부
102: 제1 연결단자 104: 제2 연결단자
106: 스피커부 110: 상부 결합홈
120: 제1 점자 키버튼부 125: 제1 회전판
140: 제2 점자 키버튼부 145: 제2 회전판
160: 점자 기능 키버튼부 170: 묵자 키버튼부
180: 하부 결합홈 183: 중앙처리장치부
185: 저장부 190: 센서부
191: 자이로 센서 193: 가속도 센서
195: 커버 센서 197: 조도 센서
200: 상부 커버 210: 상부 커버 결합홈
220: 상부 커버 결합돌기 300: 하부 커버
320: 하부 커버 결합돌기
10: braille and print integrated input device 100: main body
102: first connection terminal 104: second connection terminal
106: speaker unit 110: upper coupling groove
120: first braille key button unit 125: first rotating plate
140: second braille key button unit 145: second rotating plate
160: braille function key button unit 170: mute key button unit
180: lower coupling groove 183: central processing unit
185: storage unit 190: sensor unit
191: gyro sensor 193: acceleration sensor
195: cover sensor 197: illuminance sensor
200: upper cover 210: upper cover coupling groove
220: upper cover coupling protrusion 300: lower cover
320: lower cover coupling protrusion

Claims (10)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점자입력버튼 및 점자기능버튼을 포함하는 점자 키버튼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배치되고 묵자입력버튼 및 묵자기능버튼을 포함하는 묵자 키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자 키버튼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점자입력버튼 및 상기 점자기능버튼은 상기 회전판 상부에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
body part;
a braille key button unit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unit and including a braille input button and a braille function button; and
A mute key button portion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mute input button and a mute function button;
The braille key button unit includes a rotating plate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and the braille input button and the braille function button are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제1 회전판 및 제2 회전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점자 키버튼부는 상기 제1 회전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점자 버튼부와 상기 제2 회전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점자 버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plate includes a first rotating plate and a second rotating plate,
The braille key button unit includes a first braille button unit disposed above the first rotation plate and a second braille button unit disposed above the second rotation pl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는 원형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 상기 회전판이 수용되는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
According to claim 3,
A braille and black character integrated input device in which a circular groov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rotating plate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키버튼부의 버튼은 퍼킨스(Perkins) 타입으로 형성되고, 상기 묵자 키버튼부의 버튼은 쿼티(Querty) 타입으로 형성되는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
According to claim 3,
A button of the braille key button part is formed of a Perkins type, and a button of the mute key button part is formed of a QWERTY typ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는 상기 점자 키버튼부 사용시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점자 기능 키버튼부가 배치되는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
According to claim 3,
A braille and print integrated input device, wherein a braille function key button unit for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s when using the braille key button unit is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점자 키버튼부 및 상기 묵자 키버튼부에서 입력된 입력 정보를 판별하는 중앙처리장치부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부의 정보처리 결과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본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body unit supplies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discriminating input information input from the braille key button unit and the mute key button unit,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processing results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o an external terminal, and power to the main body unit. A braille and print integrated input device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상기 점자 키버튼부를 덮도록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상기 묵자 키버튼부를 덮도록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부 커버를 더 포함하는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
According to claim 7,
an upper cover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cover the braille key button; and
Braille and mute integrated inpu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lower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cover the mute key butt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는 각각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자력에 의하여 부착되는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r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body by magnetic force, respectivel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부는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었는지를 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상기 상부 커버가 결합 해제된 경우 상기 점자 키버튼부의 입력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하부 커버가 결합 해제된 경우 상기 묵자 키버튼부의 입력을 활성화시키는 점자 및 묵자 일체형 입력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etects whether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re coupled to the main body through a sensor, and activates an input of the braille key button unit when the upper cover is disengaged, and the lower cover is disengaged. Braille and mute integrated input device for activating the input of the mute key button unit when it is selected.
KR1020210156095A 2021-11-12 2021-11-12 Braille and letter input device KR1025758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095A KR102575866B1 (en) 2021-11-12 2021-11-12 Braille and letter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095A KR102575866B1 (en) 2021-11-12 2021-11-12 Braille and letter inpu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748A KR20230069748A (en) 2023-05-19
KR102575866B1 true KR102575866B1 (en) 2023-09-06

Family

ID=86546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095A KR102575866B1 (en) 2021-11-12 2021-11-12 Braille and letter inpu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86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5473A (en) 1999-08-31 2001-03-23 Nippon Telesoft Co Ltd Portable conversation device between blind and deaf person and nursing person
JP2005164911A (en) 2003-12-02 2005-06-23 Ask:Kk Braille display device
KR102078446B1 (en) 2018-01-10 2020-02-18 장은진 Braille education system for blind
KR102298734B1 (en) 2020-12-18 2021-09-06 주식회사 강한손 Perkins type foldong keyboard for the blin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384Y1 (en) * 2000-11-09 2001-04-16 조항문 A function keyboard
KR101846526B1 (en) 2015-11-18 2018-04-06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Braille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5473A (en) 1999-08-31 2001-03-23 Nippon Telesoft Co Ltd Portable conversation device between blind and deaf person and nursing person
JP2005164911A (en) 2003-12-02 2005-06-23 Ask:Kk Braille display device
KR102078446B1 (en) 2018-01-10 2020-02-18 장은진 Braille education system for blind
KR102298734B1 (en) 2020-12-18 2021-09-06 주식회사 강한손 Perkins type foldong keyboard for the blin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1384호(2001.4.16. 공고)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748A (en)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9882B2 (en) Brail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EP2810143B1 (en) Highly mobile keyboard in separable components
JP3138453U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896539B2 (en) Touch-type keyboard with character selection through finger location on multifunction keys
US8414207B1 (en) Ultra-compact mobile touch-type keyboard
KR101983504B1 (en) Smart phone case combination keyboard for blind
KR20130125650A (en) Pouch and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US9674335B2 (en) Multi-configuration input device
CN110989826A (en) Guide device, control system, and recording medium
NO20150553A1 (en) Mobile device controller.
KR101918399B1 (en) Wearable braille input device for blind people
KR102575866B1 (en) Braille and letter input device
TWM376803U (en) Notebook computer with built-in detachable keyboard
JP4760758B2 (en) Cell phone for the visually impaired (blind)
KR100685218B1 (en) Rotation and click type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data using it
US11216027B1 (en) Rotatable display screen for a notebook computer
CN108540670B (en) Electronic equipment control method,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80060382A (en) Touch pen equipped with a Laser Pointer and Headset function
KR20200012193A (en) Color detecting pen for dyschromatopsia
CN103838303A (en) Tablet computer combination set, accessory thereof and tablet computer input method.
JP2018018124A (en) Electronic device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JP3071303U (en) Cursor control device for keyboard
KR20200098146A (en) Braill Keyboard Cover for the visually impaired
JP2023518611A (en) game device
KR20210077941A (en) The clock with multiple notice m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