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526B1 - Braille terminal - Google Patents

Brail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526B1
KR101846526B1 KR1020160101705A KR20160101705A KR101846526B1 KR 101846526 B1 KR101846526 B1 KR 101846526B1 KR 1020160101705 A KR1020160101705 A KR 1020160101705A KR 20160101705 A KR20160101705 A KR 20160101705A KR 101846526 B1 KR101846526 B1 KR 101846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finger
user
cell
fing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7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58252A (en
Inventor
신종원
김용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Publication of KR20170058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2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5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점자 단말기가 개시된다. 상기 점자 단말기는, 점자를 표현하기 위해 돌출 가능한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점자 셀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점자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을 터치하는지 여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손가락 감지부 및 상기 손가락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을 터치하는지 여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점자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 할 수 있다. A braille terminal is disclosed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rein the braille terminal comprises: a braille display including at least one braille cell including a plurality of actuators projectable to represent braille; at least one of a user's at least one finger touching the braille cell and at least one of the movements of the one or more finger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braille terminal on the basis of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the one or more fingers touch the braille cell and the movement of the one or more fingers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nger detection unit .

Description

점자 단말기{BRAILLE TERMINAL}Braille terminal {BRAILLE TERMINAL}

본 개시는 시각장애인용 컴퓨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점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점자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computing devices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aille terminal including a braille display.

점자(Braille)란 시각 장애인용 문자로서, 전맹 및 농맹 시각장애인 또는 저시력 시각장애인이 식별할 수 있도록 지면 또는 평면에 일정한 형태의 점으로 돌출시킨 것을 의미한다. 시각장애인은 돌출된 점자를 손가락 끝으로 만지거나 점자에 내재된 문자 및 부호의 의미를 인식할 수 있다. 점자는 4개, 6개 또는 8개의 점자용 도트를 이용하여, 문자, 사전에 약정된 약자 및 숫자 등을 각각 표현할 수 있다. 시각 장애인 전용 도서관과 같은 곳은 시각 장애인의 편의를 위하여 점자책을 비치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서적을 점자 책으로 제작하기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일부 서적에 한하여 점자책을 제작 배포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개인적으로 특정 서적에 대하여 점자책을 주문 제작할 수 있으나 많은 비용이 요구되어 시각 장애인이 많은 서적을 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점자는 도트의 돌출로 문자를 표현하므로, 점자책은 점자의 돌출을 유지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점자책의 훼손은 시각장애인들에게 부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게 하거나, 시각장애인들이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KR1458522호(2014.10.30)는 점자를 인쇄하는 점자 출력장치를 개시한다.Braille is a blind character, which means that a blind or aggressive blind person or a blind blind person has projected to a point on the ground or plane to identify it. The blind can touch the protruding Braille with his fingertips or recognize the meaning of the letters and symbols embedded in Braille. A braille character can express characters, abbreviations and numerals conventionally used in advance by using four, six or eight braille dots. Places such as librar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have braille books for the convenience of the visually impaired. However, since it takes a lot of cost to produce all the books as a braille book, it is a fact that only a few books are produced and distributed. Also, it is possible to order a book of a book for a specific book personall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cess many book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since the braille character expresses the character by the protrusion of the dot, the braille book has difficulties in maintaining the protrusion of the braille character, and the deterioration of such a braille book may cause the blind person to convey inaccurate information, It can make it impossible to access. Korean patent KR1458522 (Oct.30, 2014) discloses a braille output device for printing braille.

또한, 인터넷을 필두로 한 정보화 사회에서 많은 정보는 컴퓨터 상에서 공유되며 대부분의 정보는 시각 정보의 형태로서, 모니터상에 표현되어 시각장애인들의 접근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인터넷 상의 정보를 시각장애인이 인식하기 위해서는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별도의 프로그램 등의 설치,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장치 등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각장애인이 외부에서 사용하는 모든 컴퓨터에 상기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은 큰 어려움이 있다.Also, in the information society including internet, much information is shared on the computer, and most of th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monitor as the form of visual information, making it difficult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approach. Therefore, in order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recognize th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it may be necessary to install a separate program for converting a character into voice, a device for converting characters into braille, and the like.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install the above program on all the computers used by the visually impaired.

따라서, 시각장애인들이 다양한 정보에 접근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가능한 점자 표시 장치에 대한 수요가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portable Braille display device that allows the visually impaired to access various information.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각장애인이 휴대 가능한 점자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is disclosure is devis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background art described above, and is intended to provide a braille terminal in which a blind person can carry.

본 개시는 휴대 가능한 점자 표시 장치의 전력 소모를 줄여 사용자의 점자 표시 단말의 사용 시간을 늘리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is intended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ortable Braille display device so as to increase the use time of the user's Braille display terminal.

본 개시는 점자 단말기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This disclosure is intended to enhance the usability of the Braille terminal.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점자 단말기가 개시된다. 상기 점자 단말기는, 점자를 표현하기 위해 돌출 가능한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점자 셀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점자 디스플레이;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braille terminal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raille terminal comprising: a braille display including at least one braille cell including a plurality of actuators protrudable to represent braille;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을 터치하는지 여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손가락 감지부; 및A finger detection unit detecting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 user's one or more fingers touch the braille cell and the movement of the one or more fingers; And

상기 손가락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을 터치하는지 여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점자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 할 수 있다.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braille terminal based on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the at least one finger touches the braille cell and the movement of the at least one finger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nger detection uni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가락 감지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점자를 모두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를 스크롤 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s finger has read all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based on a result of sensing the user's finger in the finger detection unit, To scroll the braille display. ≪ RTI ID = 0.0 >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가락 감지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한 결과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점자의 적어도 일부를 반복해서 판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반복해서 판독하고자 하는 점자를 소리로 출력할 것을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가 반복해서 판독하고자 하는 점자에 대한 해설을 제공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s finger repeatedly reads at least a part of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as a result of sensing the user's finger in the finger detection unit,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e user can decide to output a sound of the braille to be repeatedly read or decide to provide an explanation for the braille the user repeatedly wants to read.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가락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를 반복해서 터치함을 감지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를 문지르는 동작을 감지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점자의 적어도 일부를 반복해서 판독하는지 여부를, 상기 손가락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nger detection unit senses that the user's finger repeatedly touches the braille, or the user's finger senses an operation of rubbing the braille, and the control unit detects that the user's fing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repeat at least a part of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nger detection uni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때, 상기 사용자의 둘 이상의 손가락의 핀치 아웃(pinch out) 동작―상기 핀치 아웃 동작에서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은 점자 디스플레이의 시작점에 위치함―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핀치 아웃 동작이 감지된 경우, 탭(TAP) 동작을 수행 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user input for receiving a user input, wherein the finger detection unit is configured to detect a pinch of two or more fingers of the user when the user performs a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unit out operation, the at least one finger of the user is located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braille display in the pinch-out operation, and the controller performs a tap operation when the pinch-out operation of the user is detected You can decide to do i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때, 상기 사용자의 두 개의 손가락―상기 두개의 손가락 사이에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점자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함―이 근접함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두 개의 손가락 사이에 포함된 점자를 블록 지정하거나, 또는 복사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user input for receiving a user input, wherein the finger detection unit is configured to, when the user performs a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unit, Inclu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and the controller may decide to block or copy the braille contained between the two fingers of the user.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가락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두 개의 손가락―상기 두개의 손가락 사이에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점자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함―이 상기 점자 셀을 터치함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두 개의 손가락 사이에 포함된 점자를 음성으로 출력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nger sensing unit senses that the user's two fingers - inclu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between the two fingers - touch the braille cell,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o output the braille contained between the two fingers of the user by voic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가락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둘 이상의 손가락의 핀치 인(pinch in)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핀치 인 동작이 감지된 경우, 점자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열린 창을 닫거나 또는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nger sensing unit detects a pinching operation of two or more fingers of the user, and when the pinch operation of the user is sensed, the controller turns off the power of the braille display , Close an open window, or decide to terminate the application being used.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가락 감지부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감지되는 상기 점자 셀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개수를 결정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을 터치함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감지되는 점자 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감지되는 상기 점자 셀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점자 셀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점자 셀에서의 위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수, 상기 사용자의 복수의 손가락의 상대적인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nger sensing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user's finger touches the braille cell so tha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number of the user's fingers based on the number of braille cells in which the user's finger is sensed 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braille cell in which the finger of the user is sens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user's finger touching the braille cell based on the number of the braille cells, The position of the user in the braille cell, the number of the user's fingers,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fingers of the user.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가락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을 터치한 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이동 방향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수에 따라서 스크롤 동작을 수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nger sensing unit senses that the at least one finger of the user moves to the left or right after touching the braille cell, and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at least one finger of the user, It may be determined to perform the scroll oper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one or more fingers.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가락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을 터치한 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다음 항목 또는 이전 항목으로 이동할 것을 결정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nger detection unit senses that the user's finger moves to the left or right after touching the braille cell, and the controller detects the next item or the previous item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s finger It may decide to move to the item.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가락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2 개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을 터치한 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2 개의 손가락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다음 페이지 또는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nger detection unit senses that at least two fingers of the user move to the left or right after touching the braille cell, and the control unit detects movement of at least two fingers of the user , It may decide to move to the next page or the previous pag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가락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3개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을 터치한 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3 개의 손가락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다음 앱 또는 이전 앱을 실행시킬 것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nger sensing unit senses that at least three fingers of the user move to the left or right after touching the braille cell, and the control unit detects movement of at least three fingers of the user , You can decide to run the next or previous app.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가락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을 터치하며, 상기 사용자의 다른 손가락이 다른 점자 셀을 적어도 한번 터치함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가락이 터치한 상기 점자 셀의 위치와 상기 다른 손가락이 터치한 상기 다른 점자 셀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기 다른 점자 셀의 터치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점자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nger sensing unit senses that the user's finger touches the braille cell and the other finger of the user touches another braille cell at least once, and the control unit detects that the finger touches The braille terminal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braille cell,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other braille cell touched by the other finger, and the number of touches of the different braille cell.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점자 셀이 상기 점자 셀의 오른쪽에 위치하고, 상기 다른 손가락이 상기 다른 점자 셀을 두번 터치한 경우,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링크를 열(open)것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open the link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when the other braille cell is located to the right of the braille cell and the other finger touches the other braille cell twice You can decid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점자 셀이 상기 점자 셀의 오른쪽에 위치하고, 상기 다른 손가락이 상기 다른 점자 셀을 세번 터치한 경우,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점자에 대하여 블록(block) 지정을 시작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other braille cell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braille cell and the other finger touches the other braille cell three times, the controller displays a block for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 You can decide to start the assignmen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점자 셀이 상기 점자 셀의 왼쪽에 위치하고, 상기 다른 손가락이 상기 다른 점자 셀을 세번 터치한 경우,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점자에 대한 블록 지정을 종료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other braille cell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braille cell and the other finger touches the other braille cell three times, the controller assigns a block designation for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It can decide to terminat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가락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을 터치하며,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손가락이 다른 점자 셀을 적어도 두번 터치함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가락이 터치한 상기 점자 셀의 위치와 상기 다른 손가락이 터치한 상기 다른 점자 셀의 상대적인 위치, 상기 다른 손가락의 수, 및 상기 다른 손가락의 터치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내용을 사전결정된 만큼 스크롤 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nger sensing unit senses that the user's finger touches the braille cell and at least two other fingers of the user touch another braille cell at least twic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touching braille cell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other braille cell touched by the other finger, the number of the other fingers, and the number of touches of the other finger, You can decide to do it.

본 개시는 시각장애인이 휴대 가능한 점자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is intended to provide a braille terminal in which the blind is portable.

본 개시는 휴대 가능한 점자 표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여 사용자의 점자 표시 단말의 사용 시간을 늘릴 수 있다. The present disclosure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ortable Braille display terminal and increase the use time of the user's Braille display terminal.

본 개시는 점자 단말기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The present disclosure can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braille terminal.

도 1 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 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의 전개도이다.
도 3 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a 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b 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c 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d 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e 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f 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g 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h 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i 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j 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Brail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n exploded view of a Brail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a brail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enses and operates a user's finger.
FIG. 4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rail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ensing and operating a user's finger. FIG.
FIG. 4B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braille terminal by sensing the user's fi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4C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braille terminal by sensing the user's fi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4D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at a brail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tects and operates a user's finger. FIG.
FIG. 4E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a brail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enses and operates a user's finger. FIG.
FIG. 4F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brail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enses and operates the user's finger.
FIG. 4G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brail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enses and operates the user's finger.
4H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brail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enses and operates the user's finger.
FIG. 4I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at a brail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enses and operates a user's finger. FIG.
4J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brail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enses and operates the user's finger.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개시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제공된다.Various embodiments are now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to refer to like elements. In this specification, various explanations are given in order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will be apparent, however, that such embodimen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n other instances, well-known structures and devices are provided in block diagram form in order to facilitate describing the embodim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될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The terms "component," "module," system, "and the like, as used herein, refer to a computer-related entity, hardware, firmware, software,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or execution of software. For example, a componen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process executing on a processor, a processor, an object, an executing thread, a program, and / or a computer. For example, both an application running on a computing device and a computing device may be a component. One or more components may reside within a processor and / or thread of execution, one component may be localized within one computer, or it may be distributed between two or more computers. Further, such components may execute from various computer readable media having various data structures stored therein. The components may be, for example, a signal (e.g., a local system, data from one component interacting with another component in a distributed system, and / or data over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Lt; RTI ID = 0.0 > and / or < / RTI >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disclosur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us,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도 1 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Brail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1000)는 점자 디스플레이(1100), 사용자 입력부(1200), 손가락 감지부(1300), 제어부(1400), 네트워크 연결부(1500), 사운드 출력부(1600)를 포함할 수 있다. A braille terminal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braille display 1100, a user input unit 1200, a finger sensing unit 1300, a control unit 1400, a network connection unit 1500, a sound output unit 1600, . ≪ / RTI >

점자 디스플레이(1100)는 점자를 표현하기 위해 돌출 가능한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점자 셀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자 셀은 4개, 6개 또는 8 개의 점자용 도트를 이용하여 점자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점자용 도트는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점자셀은 액츄에이터에 전압을 가해 상기 액츄에이터가 돌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돌출을 이용하여 점자를 표현할 수 있다. 점자 디스플레이(1100)는 예를 들어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상판의 키보드의 하단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도 2 참조).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32개의 점자 셀을 포함할 수 있어, 32개의 점자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는 설계에 따라 80개, 40개, 20개, 18개 또는 14개의 점자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점자 디스플레이의 위치 및 점자 셀의 수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는 돌출되는 액츄에이터를 달리하여 점자책에 비하여 다양한 컨텐츠의 표시가 가능하다. The braille display 1100 may include at least one braille cell including a plurality of actuators protrudable to represent braille. The braille cell can represent braille using four, six or eight braille dots. The braille dot may be protruded by an actuator. The braille cell of the braille display 1100 may apply voltage to the actuator to protrude the actuator, and braille can be expressed using the protrusion of the actuator. The braille display 1100 may be disposed, for example, at the lower portion of the keyboard of the upper board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see FIG. 2). The braille display may include, for example, 32 braille cells to represent 32 braille characters. The braille display may also include 80, 40, 20, 18 or 14 braille cells depending on the design. The location of the Braille display and the number of Braille cells described above are only exemplary,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The braille display 1100 can display various contents in comparison with the braille book by differently protruding actuators.

사용자 입력부(1200)는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점자 단말기(1000)의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0)는 키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키보드는 예를 들어,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상판의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상단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0)는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측면에 위치하는 기능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복수의 버튼의 조합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0)의 키보드는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각 손가락에 대응되는 8개의 버튼 및 상기 사용자가 엄지로 작동시킬 수 있는 중앙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시각 장애인용 점자 단말기(1000)가 통상적인 컴퓨터 키보드를 사용자 입력부로 구성된 경우, 상기 통상적인 키보드는 일반적으로 100개가 넘는 버튼들로 구성되어 시각장애인이 사용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점자 단말기(1000)는 시각장애인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버튼 수를 가진 키보드를 포함하여, 시각장애인이 점자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200 may receive a user input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including the braille display. The user input unit 1200 may include a keyboard and the keyboard may be located, for exampl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raille display 1100 of the top board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The user input unit 1200 may include function buttons located on the side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The user input unit 1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and the user input may be configured by a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buttons. The keyboard of the user input unit 1200 may include, for example, eight buttons corresponding to each finger of the user and a center button that the user can operate with the thumb,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braille terminal 1000 for a visually impaired user is configured with a conventional computer keyboard as a user input unit, the conventional keyboard generally includes more than 100 buttons, which may be difficult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to use. Accordingly, the braille terminal 1000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keyboard having a proper number of buttons so that the blind can easily use the braille terminal.

손가락 감지부(1300)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이 점자 셀을 터치하는지 여부 및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sense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the user's one or more fingers touch the braille cell and the movement of one or more fingers.

손가락 감지부(13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접촉 및/또는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include a sensor capable of sensing a user's finger in a contact and / or non-contact manner.

손가락 감지부(1300)는 정전용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여,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을 터치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에 흐르는 미세 전류에 의하여 손가락 감지부(1300)의 정전용량이 변화할 수 있으며, 손가락 감지부(1300)는 이러한 정전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점자 셀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손가락 감지부(1300)는 점자 셀의 모듈에 삽입될 수 있다. 점자 셀의 모듈은 점자를 표현하는 엑츄에이터 부분과 엑츄에이터가 돌출될 수 있는 구멍이 뚫린 상단하우징, 엑츄에이터가 돌출되도록 하는 동작 수단 및 이를 감싸는 하단 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손가락 감지부(1300)의 센서는 상단 하우징과 하단 하우징 사이의 틈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틈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의 상단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손가락 감지부(1300)의 센서의 종류 및 위치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include a sensor capable of sensing electrostatic capacitance to sense a change in electrostatic capacitance and determine that the user's finger touches the braille cell. The electrostatic capacity of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be changed by the micro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nger of the user and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s finger is positioned on the braille cell You can decide.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be inserted into the module of the braille cell. The module of the braille cell may be constituted by an upper housing having an actuator portion expressing braille and a hole through which the actuator can protrude, an operation means for projecting the actuator, and a lower housing surrounding the actuator. May be located in a gap between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The gap may be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actuator as shown in Fig. The type and position of the sensor of the above-described finger sensing unit 1300 are merely examples,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손가락 감지부(1300)는 상기 점자 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는 상기 점자 셀에 사용자의 손가락의 근접함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는 예를 들어,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의 각 점자 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의 하단 또는 상단에 위치하거나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와 중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sense a finger of a user located in the braille cell.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detect the proximity of the user's finger to the braille cell.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be positioned at the lower or upper end of the braille display, for example, or may be overlapped with the braille display 1100 to correspond to each braille cell of the braille display.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점자셀을 손가락으로 판독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하단에 위치하는 손가락 감지부(1300)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점자셀과 접촉하고,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와 접촉하지 않아도, 손가락이 근접함을 감지할 수 있다. 손가락 감지부(1300)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와 근접함을 감지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점자 셀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와 근접하고,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컨텐츠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와 근접한 손가락이 점자 셀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가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하단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검지손가락으로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를 판독하는 경우, 상기 검지손가락의 끝마디는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는 상기 검지손가락의 두번째 마디가 근접함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는 검지손가락을 감지함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reading a braille cell of the braille display 1100 with a finger,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braille display 1100 contacts the braille cell of the user's finger ,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the finger is close to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without contacting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may determine that the finger of the user is located in the braille cell of the braille display 1100 when the user's finger senses that the finger of the user is in proximity to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nger of the user is adjacent to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and when th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It can be determined to be located in the braille cell. For example, when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braille display 1100 and the user reads the braille display 1100 with the index finger, the index word of the index finger is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sense that the second node of the index finger is approaching. In this case,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determine that the user's finger is position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based on sensing the index finger.

손가락 감지부(1300)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는 광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근접함을 감지할 수 있다. 손가락 감지부(1300)의 광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된 빛과 수광부에서 감지된 빛의 세기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빛의 세기 차이가 사전 설정된 정도 이하인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근접할수록 발광부에서 방출된 빛이 손가락에 반사되어 수광부에 많이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광센서는 방출된 빛과 수광부에서 도달한 빛의 세기의 차이가 사전설정된 정도 이하인 경우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광센서와 근접함을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손가락 감지부(13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점자 셀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include an optical sensor or an ultrasonic sensor having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to sense the proximity of the user's finger. The light sensor of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and may be configured to emit light based on a difference in intensity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nd light sens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finger of the braille cell is located in the braille cell. The closer the user's finger is, the mor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can be reflected by the finger and reach the light receiving portion. Accordingly, the optical sensor can detect that the user's finger is in proximity to the optical sensor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emitted light and the intensity of the light arriving at the light receiving unit is less than a preset level. In this case, Can be determined to be located in the braille cell.

또한, 손가락 감지부(1300)의 광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된 빛이 수광부에 도달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도달하는 시간이 사전 설정된 시간 이하인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근접할수록 발광부에서 방출된 빛이 손가락에 반사되어 수광부에 보다 빨리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광센서는 방출된 빛이 수광부에 도달하는 시간이 사전 설정된 시간 이하인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초음파 센서와 근접함을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손가락 감지부(1300)는 상기 점자 셀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tical sensor of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and when the arrival tim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reaches the light receiving unit, It can be determined to be located in the braille cell. The closer the user's finger is, the mor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can be reflected on the finger and reach the light receiving portion sooner. Accordingly, the optical sensor can detect that the user's finger is in proximity to the ultrasonic sensor when the time for the emitted light to reach the light-receiving uni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In this case,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can detect .

또한, 손가락 감지부(1300)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여, 방출된 초음파의 세기와 되돌아온 초음파의 세기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초음파의 세기 차이가 사전 설정된 정도 이하인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근접할수록 방출된 초음파가 손가락에 반사되어 많이 되돌아 올 수 있다. 따라서, 초음파 센서는 방출된 초음파와 도달한 초음파의 세기의 차이가 사전 설정된 정도 이하인 경우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초음파 센서와 근접함을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손가락 감지부(13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점자 셀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include an ultrasonic sensor,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intensity difference of the ultrasonic waves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level,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emitted ultrasonic waves and the intensity of the returned ultrasonic waves, . The closer the user's finger is, the more reflected ultrasound waves can be reflected on the finger and can be returned. Therefore, the ultrasonic sensor can detect that the user's finger is in proximity to the ultrasonic sensor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nsity of the emitted ultrasonic wave and the intensity of the ultrasonic wave that is reached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level. In this case, Can be determined to be located in the braille cell.

또한, 손가락 감지부(1300)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여, 방출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도달하는 시간이 사전 설정된 시간 이하인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근접할수록 방출된 초음파가 손가락에 반사되어 빨리 되돌아 올 수 있다 따라서, 초음파 센서는 방출된 초음파가 도달한 시간이 사전 설정된 시간 이하인 경우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초음파 센서와 근접함을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손가락 감지부(13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점자 셀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include an ultrasonic sensor, and may determine that the user's finger is positioned in the braille cell when the arrival tim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time that the emitted ultrasonic waves reach. As the user's finger is closer to the user's finger, the emitted ultrasonic wave is reflected on the finger and can be returned quickly. Therefore, the ultrasonic sensor detects that the user's finger is close to the ultrasonic sensor when the time reached by the emitted ultrasonic wav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In this case,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determine that the user's finger is positioned in the braille cell.

손가락 감지부(1300)는 상기 점자 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는 전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에 접촉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는 상기 점자 셀에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는 예를 들어,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의 각 점자 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의 하단 또는 상단에 위치하거나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와 중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점자 셀의 액츄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어,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과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점자셀을 손가락으로 판독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하단에 위치하는 손가락 감지부(1300)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점자셀과 접촉함을 전류의 변화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손가락 감지부(1300)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와 접촉함을 감지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점자 셀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sense a finger of a user located in the braille cell.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include a touch sensor for sensing a touch of a user's finger.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include a sensor for sensing a current, and may sense a change of a current generated by contact with the user's finger to sense that the user's finger touches the braille cell.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sense the touch of the user's finger with the braille cell.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be positioned at the lower or upper end of the braille display, for example, or may be overlapped with the braille display 1100 to correspond to each braille cell of the braille display. At least one of the actuators of the braille cells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so that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detect a change in current generated when the user's finger contacts the braille cell.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reading a braille cell of the braille display 1100 with a finger,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braille display 1100 contacts the braille cell of the user's finger Can be detected through a change in current.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may determine that the finger of the user is located in the braille cell of the braille display 1100 when the finger of the user senses that the finger contacts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

손가락 감지부(1300)는 전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에 접촉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전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점자 셀의 액츄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전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의 전류 감지 센서가 손가락의 접촉에 의한 전류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점자 셀의 하단, 상단 및 점자 샐에서 점자의 도트가 되는 액츄에이터 이외의 부분은 전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include a sensor for sensing a current to sense a change in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touch of the user's finger and sense that the user's finger touches the braille cell. At least one of the actuators of each braille cell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so that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detect a change in power generated when the user touches the finger of the user. In addition, a portion other than the actuator, which is a dot of braille in the lower end, the upper end, and the braille of the braille cell so that the current sensing sensor of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can detect a change in current due to the contact of the finger, ≪ / RTI >

또한, 손가락 감지부(13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누르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압전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손가락 감지부를 누르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압전 소자는 예를 들어,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와 중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압전 소자에서 발생되는 전력에 기초하여 손가락 감지부(1300)는 사용자가 상기 손가락 감지부를 누르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압전 소자는 소자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율에 따라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임의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압전 소자는 압전효과를 나타내는 임의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includes a piezoelectric element that can sense a pressure of a finger of the user, and the user can sense a pressure of pressing the finger sensing unit. The piezoelectric element may be positioned, for example, in superimposition with the braille display 1100.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sense a pressure that the user presses the finger sensing unit based on the electric power generated by the piezoelectric element. The piezoelectric element may comprise any element that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rate of change of pressure applied to the element. The piezoelectric element may be made of any material exhibiting a piezoelectric effect.

손가락 감지부(1300)는 점자 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손가락 감지부(13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표시된 점자의 적어도 일부에 반복해서 근접함을 감지하거나,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를 문지르는 동작을 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감지부(1300)는 상기 사용자의 둘 이상의 손가락의 핀치 아웃(pinch out) 동작, 핀치 인(pinch in)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감지부(1300)는 두 개의 손가락 사이에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점자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두 개의 손가락이 근접함을 감지할 수 있다. 손가락 감지부(1300)는 제어부(1400)가 손가락이 감지되는 점자 셀의 수에 기초하여 터치한 사용자의 손가락의 개수를 결정하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이 감지되는 점자 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1~3개의 점자 셀에 사용자의 손가락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400)는 사용자의 하나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을 터치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5개의 점자 셀에 사용자의 손가락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400)는 사용자의 두개의 손가락이 점자 셀을 터치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사용자의 손가락의 터치가 감지되는 점자 셀의 수와 사용자의 손가락의 관계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may detect movement of one or more fingers of a user located in the braille cell.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detect that the user's finger repeatedly approaches at least a part of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or that the user's finger is performing an operation of rubbing the braille. Further,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sense a pinch-out operation and a pinch-in operation of two or more fingers of the user. In addition,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sense that the two fingers of the user, which include at least a part of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are close to each other between two fingers.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can transmit information on the braille cell in which the user's finger is sensed to the user so that the controller 1400 determines the number of touched user's fingers based on the number of braille cells in which the finger is sensed . For example, when a touch of a user's finger is detected in one to three braille cells in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the controller 1400 can determine that the user's one finger is touching the braille cell . In addition, when a touch of the user's finger is detected in the five braille cells in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the controller 1400 can determine that the user's two fingers are touching the braille cel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braille cells in which the touch of the user's finger is sensed and the user's finger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손가락 감지부(1300)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이 점자 셀에 터치하는지 여부, 터치 한 후 어떠한 방향으로 움직이는지(터치 드래그 동작), 사용자의 몇 개의 손가락이 점자 셀을 터치하는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can detect whether the user's one or more fingers touch the braille cell, in which direction the user touches (touch drag operation), how many fingers of the user touch the braille cell, and the like have.

제어부(1400)는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0)는 컨텐츠를 로드(load)하여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표시하거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점자 단말기(1000)를 제어하거나, 컨텐츠를 소리로 출력하도록 점자 단말기(100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400 may load the content and display it on the braille display 1100, receive the user input to control the braille terminal 1000, or output the content to the braille terminal 1000, Can be controlled.

제어부(1400)는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액츄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0)는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한 결과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표시된 점자를 모두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판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를 스크롤 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0)는 손가락 감지부(1300)의 감지 결과, 사용자의 하나의 손가락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표시 내용을 스크롤 하여, 다음 내용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0 may control the actuator of the braille display 1100 based on a result of sensing the user's finger by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The controller 14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finger has read all of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as a result of sensing the position of the user's finger in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And to scroll the braille display 1100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display. If it is determined that one finger of the user has moved from one end of the braille display 1100 to the other end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of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the control unit 1400 displays the display content of the braille display 1100 So that the next contents can b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

점자 디스플레이(1100)는 한정된 숫자의 점자 셀을 포함하며, 한정된 숫자의 점자를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음 점자를 읽기 위해서는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다음 점자가 표시되도록 스크롤(scroll)하여야 한다. 종래의 점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점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스크롤 버튼을 눌러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점자 디스플레이의 양측 또는 일측에 스크롤을 위한 스크롤 버튼이 포함되어야 하여, 크기를 줄일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시각장애인은 촉각이 매우 발달하여 점자의 돌출부의 재질, 형상 등도 느낄 수 있으며 점자 오랜시간 연속해서 판독하는 경우 촉각이 고통 받게 된다. 그러한 시각장애인이 스크롤을 위한 버튼을 또 누르게 되는 경우에 예민해진 촉각 때문에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고, 스크롤 버튼과 점자 셀의 촉감 차이 때문에 점자를 오독할 수 도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1000)는 사용자가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표시된 점자를 모두 판독한 경우에 제어부(1400)가 별도 스크롤 버튼의 입력 없이도 점자 디스플레이(1100)가 다음 점자들을 표시하도록 스크롤 할 수 있어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The braille display 1100 includes a limited number of braille cells and can represent a limited number of braille characters. Accordingly, the user must scroll to display the next braille on the braille display 1100 to read the next brail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has to press the scroll button and the scroll button for scrolling must be included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braille display so that the size can not be reduced. In addition, the visually impaired can develop the tactile sense and feel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braille, and when the braille is read continuously for a long time, the tactile sense is suffered. When such a blind person presses again the button for scrolling, it may feel uncomfortable due to the tactile sense which is sensitive, and the braille may be misread by the difference in touch of the scroll button and the braille cell. However, in the braille terminal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user has read all of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the controller 1400 displays the braille display 1100 as the next braille So that the above-described problem can be solved.

또한, 제어부(1400)는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한 결과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판독하고 있는 점자 셀만 액츄에이터가 돌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0)는 사용자 입력부(1200)에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점자 셀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0 may control the actuator such that only the braille cells read by the user's finger protrude from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The control unit 1400 receives the input of the user from the user input unit 1200 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ser's finger is not located in the braille display 1100 in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The power of the braille cell of the braille display 1100 may be cut off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

또한, 상기 제어부(1400)는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한 결과, 사전설정된 범위 이상의 점자 셀에 손가락이 감지되는 경우(예를 들어, 32개의 점자 셀에 대응되는 32개의 근접 센서 중, 좌측으로부터 4~10번 센서 및 22~28번 센서가 손가락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손바닥이 점자 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예컨대, 사용자가 키보드 입력중인 경우 등)하여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점자 셀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senses the position of the user's finger, if the finger is sensed in the braille cell of a predetermined range or more (for example, (For example, when a finger is detected by the sensors 4 to 10 and 22 to 28 from the left side of the 32 proximity sensors), it is determined that the palm of the user is located in the braille cell The power of the braille cell of the braille display 1100 can be cut off.

점자 셀의 액츄에이터를 돌출시기키 위해서는 200V에 가까운 전압이 필요하며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는 많은 전력을 소모한다. 점자 단말기는 베터리를 포함하여 모바일 단말로 구성될 수 있다. 점자 단말기(1000)의 사용시간은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움직임이 많을수록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00)는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사용자가 판독하고자 하는 점자만을 돌출하게 하거나, 사용자가 키보드를 입력중인 경우는 점자 판독을 할 수 없으므로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1000)의 사용시간은 비약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A voltage close to 200V is required to protrude the actuator of the braille cell and the braille display 1100 consumes a lot of power. The Braille terminal may be configured as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battery. The use time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decreases as the movement of the braille display 1100 increase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raille display 1100, the control unit 1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allow the user to protrude only the braille to be read, or to perform braille reading when the user is inputting the keyboar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wer of the Braille display 1100 to be turned off. Therefore, the use time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dramatically increase.

또한, 제어부(1400)는 TTS(text to speech)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서 표시되는 컨텐츠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400)는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서 표시되는 컨텐츠를 소리의 형태로 출력하기 위하여 사운드 출력부(1600)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0 may include a text to speech (TTS) module to output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as a sound. The control unit 1400 may control the sound output unit 1600 to output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braille display 1100 in the form of sound.

또한, 제어부(1400)는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한 결과, 사용자가 특정 점자를 반복해서 판독하고자 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예를 들어,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특정 구간을 3회 이상 터치 하는 등) 상기 특정 점자를 TTS 모듈을 통해 소리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시각장애인이 오랜시간 연속해서 점자 디스플레이(1100)를 판독하는 경우 손에 통증에 의하여 점자를 판독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난해한 점자는 판독에 고도의 집중력을 요하여 사용자를 피곤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400)는 손가락 감지부(1300)의 사용자 손가락의 위치 감지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사용자가 판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점자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제어부(1400)는 상기 사용자가 판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점자를 소리의 형태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점자 판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If it is sensed that the user repeatedly reads a specific braille as a result of sensing the position of the user's finger in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for example, The user may touch the section three or more times, etc.), and the specific braille character can be output in the form of sound through the TTS module. When the blind person reads the braille display 1100 continuously for a long time, it may be difficult to read the braille by the pain in the hand, and the intricate braille may require a high concentration of the reading to tame the user.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400 can grasp the braille characters that the user is having difficulty in reading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position detection result of the user's finger of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Accordingly,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400 may output the braille characters having difficulty in reading by the user in the form of sounds to facilitate the user's reading of braille characters.

제어부(1400)는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점자 단말기(100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0 may control the braille terminal 1000 based on a result of sensing movement of one or more fingers of the user in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

제어부(1400)는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한 결과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표시된 점자를 모두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더 이상 문자가 없음을 알릴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표시된 점자를 모두 판독한 경우(예를 들어, 점자가 표시된 마지막 점자 셀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하는 것이 감지된 경우 등)에 제어부(1400)는 소리, 진동 등으로 사용자에게 표시된 점자의 판독이 끝났음을 알리도록 점자 단말기(100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s finger has read all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as a result of sensing the position of the user's finger in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It may decide to inform the user that there are no more characters on the basis. For example, when the user's finger reads all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e.g.,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ser's finger is located in the last braille cell displayed with braille), the controller 1400 Can control the braille terminal 1000 to notify the user that the reading of the braille displayed by the user is finished by sound, vibration, or the like.

제어부(1400)는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한 결과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표시된 점자의 적어도 일부를 반복해서 판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반복해서 판독하고자 하는 점자를 소리로 출력할 것을 결정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가 반복해서 판독하고자 하는 점자에 대한 해설을 제공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특정 점자를 반복해서 판독하고자 하거나, 반복해서 특정 점자를 손가락으로 터치하거나, 특정 점자를 문지르는 경우(예를 들어, 3 회 이상 반복 터치), 손가락 감지부(1300)는 사용자의 이러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400)는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사용자의 이러한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점자를 반복해서 판독하고자 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400)는 상기 점자를 소리로 출력하거나, 상기 점자의 뜻을 점자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거나, 상기 점자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finger repeatedly reads at least a part of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as a result of sensing the position of the user's finger in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e user can decide to output the braille to be repeatedly read out or to provide an explanation about the braille the user repeatedly wants to read. For example, when the user repeatedly reads a specific braille or repeatedly touches a specific braille with a finger or rubs a specific braille (e.g., repeatedly touches three times or more),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This movement of the user can be detected. The controller 1400 can determine that the user desires to repeatedly read the specific braille when the user's movement is detected by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400 may output the braille by sound, output the meaning of the braille to the braille display, or provide a search result for the braille.

제어부(1400)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때(예를 들어, 문서 편집 등),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사용자의 둘 이상의 손가락의 핀치 아웃 동작을 감지하는 경우, 탭 동작 또는 들여쓰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문서 편집 중 한 손가락을 점자 디스플레이에 시작점에 위치하게 하고 다른 손가락을 상기 한 손가락에서 멀어지도록 동작하는 핀치 아웃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손가락 감지부(1300)는 이러한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제어부(1400)는 편집 중인 문서에서 들여쓰기 동작 또는 탭(tap)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user senses pinch-out operation of two or more fingers of a user in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when the user performs a user input (e.g., document editing, etc.), the control unit 1400 performs a tap operation or an indent operation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when the user performs a pinch-out operation in which one finger is positioned at the start point of the braille display and the other finger is moved away from the one finger,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detects the finger And the controller 1400 may perform an indent operation or a tap operation on the document being edited.

또한, 제어부(1400)는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상기 사용자의 두 개의 손가락의 거리가 서로 가까워지는 핀치 인 동작을 감지한 경우,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0 can turn off the power of the braille display 1100 when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senses an operation that is a pinch approach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fingers of the user.

또한, 제어부(1400)는 사용자의 두개의 손가락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근접함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1400)는 상기 두 개의 손가락 사이에 포함된 점자를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점자에 대한 해설을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controller 1400 detects that the user's two fingers are close to the braille display 1100, the controller 1400 controls the controller 1400 to display the braille included between the two fingers , Or can provide an explanation on the Braille characters.

또한, 제어부(1400)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때(예를 들어, 문서 편집 등), 사용자의 두개의 손가락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근접함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상기 두 개의 손가락 사이에 포함된 점자를 블록 지정하거나, 복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문서 편집 중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표시되는 점자를 직관적으로 블록 지정하거나 복사하여 문서 편집에 활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performs a user input (e.g., document editing, etc.) and the two fingers of the user are close to the braille display 1100, the control unit 1400 detects that the finger is in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 The braille contained between the two fingers can be blocked or copied. 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block or copy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while editing the document and utilize the braille to edit the document.

제어부(1400)는 사용자의 복수의 손가락이 모여서 복수회 점자 디스플레이(1100)를 터치하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의 수에 기초하여 메뉴를 open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0 may determine to open the menu based on the number of fingers of the user when a plurality of fingers of the user are gathered and an operation of touching the multiple-braille display 1100 is detected by the finger detecting unit 1300 have.

제어부(1400)는 사용자의 두 개의 손가락(2002)이 모여서 복수 회(예를 들어, 2 회) 점자 디스플레이(1100)를 터치하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점자 단말기의 메뉴를 open 하도록 결정하여, 상기 점자 단말기의 메뉴를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detects that the user's two fingers 2002 are gathered and touches the braille display 1100 a plurality of times (for example, twice), the controller 1400 displays the menu So that the menu of the braille terminal can b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제어부(1400)는 사용자의 3 개의 손가락(2003)이 모여서 점자 디스플레이(1100)를 복수 회(예를 들어, 2회) 터치하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점자 단말기의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메뉴(예를 들어, 현재 사용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메뉴 등)를 open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raille display 1100 when the user's three fingers 2003 are gathered and the operation of touching the braille display 1100 a plurality of times (for example, twice) It may decide to open a menu corresponding to the context (e.g., the menu of the application currently being used).

제어부(1400)는 사용자의 4 개의 손가락(2004)에 모여서 점자 디스플레이(1100)를 복수 회(예를 들어, 2 회) 터치하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도구 메뉴(예를 들어, 현재 word 어플리케이션을 사용 중인 경우 글꼴에 관한 도구 메뉴 등)를 open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raille display 1100 when the operation of touching the braille display 1100 a plurality of times (for example, twice) is detected by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For example, if you are currently using a word application, you can decide to open a menu of fonts, etc.).

제어부(1400)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를 터치한 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이동 방향 및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수에 따라서 스크롤 동작을 수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손가락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터치한 상태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일정 구간 이상을 빠르게 이동한 다음 손가락을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서 떼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0)는 다음 항목으로 이동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손가락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터치한 상태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일정 구간 이상(예를 들어,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절반 이상 등)을 빠르게(예를 들어, 500ms 이하 등) 이동한 다음 손가락을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서 떼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0)는 이전 항목으로 이동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0 control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one or more fingers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one or more fingers when the operation of moving the user's one or more fingers to the left or right after touching the braille display 1100 is detected by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 It may be determined to perform the scroll oper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For example, when one finger touches the braille display 1100, an operation of quickly moving a predetermined section or more from left to right and then releasing the finger from the braille display 1100 is detected by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The control unit 1400 can decide to move to the next item. In addition, with one finger touched to the braille display 1100, it is possible to quickly (for example, less than 500 ms) more than a certain period from right to left (for example, more than half of the Braille display 1100) If an operation of releasing the finger from the braille display 1100 after the movement is detected by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the control unit 1400 may determine to move to the previous item.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손가락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터치한 상태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일정 구간 이상을 빠르게 이동한 다음 손가락들을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서 떼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0)는 다음 앱으로 이동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3개 이상의 손가락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터치한 상태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일정 구간 이상을 빠르게 이동한 다음 손가락들을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서 떼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0)는 이전 앱으로 이동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ree or more fingers touch the braille display 1100, the operation for quickly moving the finger from the braille display 1100 to the left or right for a long period of time is performed by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If detected, control unit 1400 may decide to move to the next app. When three or more fingers touch the braille display 1100 and move faster than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right to left and then move the fingers off the braille display 1100 is detected by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The control unit 1400 can decide to move to the previous app.

예를 들어, 2개의 손가락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터치한 상태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일정 구간 이상을 빠르게 이동한 다음 손가락들을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서 떼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0)는 다음 페이지 또는 슬라이드로 이동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손가락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터치한 상태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일정 구간 이상을 빠르게 이동한 다음 손가락들을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서 떼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0)는 이전 페이지 또는 슬라이드로 이동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wo fingers touch the braille display 1100, the user quickly moves from left to right over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n an operation of releasing the fingers from the braille display 1100 is detected by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The control unit 1400 may decide to move to the next page or slide. For example, when two fingers touch the braille display 1100, an operation of rapidly moving a predetermined section or more from right to left is performed, and then an operation of releasing the fingers from the braille display 1100 is detected by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The control unit 1400 may decide to move to the previous page or slide.

제어부(1400)는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사용자의 두 개의 손가락의 거리가 서로 가까워지는 핀치 인 동작을 감지한 경우, 현재 실행중인 앱을 종료하거나, 열린 창을 close 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When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senses an operation that is a pinch approach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fingers of the user, the control unit 1400 may decide to close the currently executing app or close the open window.

제어부(1400)는 하나의 손가락(2000)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터치한 상태로, 다른 손가락(2001)이 상기 하나의 손가락의 오른쪽에서 복수회(예를 들어 3회) 연속 터치한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점자에 대하여 블록(block) 지정을 시작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나의 손가락(2000)이 위치한 점자 셀에 표시된 점자에서 블록이 시작될 수 있다. 제어부(1400)는 하나의 손가락(2000)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터치한 상태로, 다른 손가락(2001)이 상기 하나의 손가락의 왼쪽에서 복수회(예를 들어 3회) 연속 터치한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점자에 대한 블록 지정을 종료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0 may perform the operation of touching the other finger 2001 for a plurality of times (for example, three times) from the right side of the one finger while the one finger 2000 touches the braille display 1100 If it is detected by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it may decide to start block designation for braille characters. At this time, the block may be started at the braille displayed in the braille cell where the one finger 2000 is located. The control unit 1400 may perform the operation of touching the other finger 2001 continuously a plurality of times (for example, three times) from the left side of the one finger while the one finger 2000 touches the braille display 1100 If it is detected by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it can be determined to end block designation for braille.

제어부(14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점자 셀을 터치한 상태로, 사용자의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손가락이 다른 점자 셀을 적어도 두번 터치하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손가락이 터치한 점자 셀의 위치와 다른 손가락이 터치한 다른 점자 셀의 상대적인 위치, 다른 손가락의 수 및 다른 손가락의 터치 횟수에 기초하여 점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내용을 사전 결정된 만큼 스크롤 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When the user's finger touches the braille cell and at least two other fingers of the user touch the other braille cell at least twice, when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detects that the finger touches the braille cell, It may be determined to scroll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by a predetermined amoun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braille cell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other braille cells touched by the other finger, the number of different fingers, and the number of touches of the other finger.

예를 들어, 사용자의 한 손가락이 점자 셀을 터치한 상태로 상기 점자 셀의 오른쪽으로 두 개의 손가락이 두번 연속 탭하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0)는 다음 문단으로 스크롤 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한 손가락이 점자 셀을 터치한 상태로 상기 점자 셀의 왼쪽으로 두 개의 손가락이 두번 연속 탭하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0)는 이전 문단으로 스크롤 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senses an operation that two fingers are tapped to the right of the braille cell twice consecutively with one finger of the user touching the braille cell, ≪ / RTI > In addition, when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detects that the two fingers are tapped to the left of the braille cell twice consecutively with one finger of the user touching the braille cell, the controller 1400 scrolls to the previous paragraph You can decide to do it.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의 한 손가락이 점자 셀을 터치한 상태로 상기 점자 셀의 오른쪽으로 새 개의 손가락이 두번 연속 탭하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0)는 다음 챕터로 스크롤 할 것을 결정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한 손가락이 점자 셀을 터치한 상태로 상기 점자 셀의 왼쪽으로 새 개의 손가락이 두번 연속 탭하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0)는 이전 챕터로 스크롤 할 것을 결정 할 수 있다. Further, for example, when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detects an operation that the new finger is touched to the right of the braille cell twice consecutively with one finger of the user touching the braille cell, You can decide to scroll to the chapter. If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detects that the new finger is touched twice to the left of the braille cell twice with one finger of the user touching the braille cell, the controller 1400 scrolls to the previous chapter Can be determined.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40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a processor,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In some cases, The embodiments described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1400 itself.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씌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어부(14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of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in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is stored in a memory and can b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400. [

네트워크 연결부(1500)는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유/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유선 인터넷 기술로는 X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s to the home),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연결부(16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점자 단말기(1000)와 비교적 근거리에 위치하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network connection unit 1500 may include a wired / wireless Internet module for network connection.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Wired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XDSL (Digital Subscriber Line), FTTH (Fiber to the home), and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network connection unit 16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which is located relatively close to the braille terminal 1000 and includes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점자 단말기(1000)는 네트워크 연결부(1500)를 구비하여 시각장애인들이 편리하게 인터넷 상의 정보에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The Braille terminal 1000 may include a network connection unit 1500 to allow the visually impaired to conveniently access information on the Internet.

사운드 출력부(1600)는 상기 제어부(1400)의 TTS 모듈에 의하여 점자 디스플레이(1100)상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소리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시각장애인이 오랜시간 연속하여 점자 디스플레이를 판독하는 경우, 손가락에 통증이 있을 수 있거나, 감각이 둔해져 판독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난해한 점자는 판독하기에 어려울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소리 출력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점자가 의미하는 컨텐츠를 파악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unit 1600 can output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in the form of sound by the TTS module of the controller 1400. [ When a blind person reads a braille display for a long time consecutively, the finger may be painful, or the sensation may become dull and the accuracy of the reading may deteriorate. In addition, difficult Braille characters can be difficult to read. At this time, the user can grasp the content indicated by the braille using the sound output function.

상기 사운드 출력부(1600)는 스피커를 포함하거나, 다른 소리 출력 장치(이어폰, 외부 스피커 등)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unit 1600 may include a speaker or a connection jack capable of connecting another sound output apparatus (earphone, external speaker, etc.).

도 2 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의 전개도이다. 2 is an exploded view of a Brail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 에 도시된 점자 단말기의 전개도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는 도 2 에 도시된 컴포넌트의 일부만을 포함하거나,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점자 단말기는 도 2 에 도시된 컴포넌트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가능한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eveloped view of the braille terminal shown in Fig. 2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brail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only a part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or may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The brail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nd may include possible variations.

점자 단말기(1000)의 상판은 사용자 입력부(1200), 점자 디스플레이(1100), 스크롤 버튼(1240), 손가락 감지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표시된 점자를 모두 판독한 경우, 자동으로 다음 점자를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표시하는 스크롤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스크롤 버튼(1240)은 생략될 수 있다. The top board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may include a user input unit 1200, a braille display 1100, a scroll button 1240, and a finger sensing unit 1300. The brail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enses the position of the user's finger and displays a next braille character on the braille display 1100 automatically when the user has read all of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 The scroll button 1240 may be omitted.

사용자 입력부(1200)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보드는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상판의 점자 디스플레이의 상부(도 2 기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키보드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복수의 버튼의 조합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0)의 키보드는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각 손가락에 대응되는 8개의 버튼 및 상기 사용자가 엄지로 작동시킬 수 있는 중앙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user input unit 1200 may include a keyboard. The keyboard may be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raille display of the upper plate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reference to FIG. 2). The keyboard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and the user input may be configured by a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buttons. The keyboard of the user input unit 1200 may include, for example, eight buttons corresponding to each finger of the user and a center button that the user can operate with the thumb,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점자 디스플레이(1100)는 예를 들어 32개의 점자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점자 디스플레이(1100)는 예를 들어,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상판의 키보드 하부(도 2 기준)에 위치할 수 있다. The braille display 1100 may include, for example, 32 braille cells. The braille display 1100 may be located, for example, at the keyboard bottom of the top board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FIG. 2).

스크롤 버튼(1240)은 사용자가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점자를 모두 판독하고 용이하게 스크롤 버튼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10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점자를 모두 판독한 것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스크롤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크롤 버튼은 생략될 수 있다. The scroll button 1240 may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braille display 1100 so that the user can read all the braille of the braille display 1100 and easily operate the scroll button. The braille terminal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automatically scroll by sensing that the user's finger has read all the braille characters of the braille display 1100, so that the scroll button can be omitted.

손가락 감지부(1300)는 도 2에서는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하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의 상단 또는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와 중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의 점자 셀에 각각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손가락 감지부(1300)는 광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는 상기 점자 셀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lthough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is shown at the lower end of the braille display 1100 in FIG. 2,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be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braille display or superimposed on the braille display, .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and the proximity sensor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braille cells of the braille display.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include an optical sensor or an ultrasonic sensor. Accordingly,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s finger is close to each of the braille cells.

점자 단말기(1000)의 좌측 측판(도 2 의 좌측)은 전원 잭(1050), USB 포트(1630), 충전 USB 포트(1640) 및 오디오 잭(161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eft side panel (left side of FIG. 2)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may include a power jack 1050, a USB port 1630, a charging USB port 1640, and an audio jack 1610.

전원 잭(1050)은 직류 또는 교류 전원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전원 잭(1050)은 DC전류를 입력 받아 점자 단말기(1000)가 동작하도록 하거나, 베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The power jack 1050 may receive a DC or AC power input. For example, the power jack 1050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may receive the DC current to operate the braille terminal 1000 or charge the battery.

점자 단말기(1000)는 하나 이상의 USB 포트(1630)를 포함할 수 있다. USB 포트(1630)를 통해 점자 단말기(1000)는 외부 컴퓨팅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에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을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USB 포트(1630)와 연결하여,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컨텐츠 저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USB 포트(1630)에 키보드, 마우스 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USB 포트(1630)는 USB 2.0, 및 USB 3.0 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1000)는 USB 포트뿐만 아니라 선더볼트 등의 인터페이스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SB 포트는 마이크로 USB, 미니 USB 등의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raille terminal 1000 may include one or more USB ports 1630. [ Through the USB port 1630, the braille terminal 1000 can receive data from the external computing device. The user can perform firmware upgrade, content storage, and the like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by connecting a data cabl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mputing device to the USB port 1630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In addition, a user may connect a keyboard, a mouse, and the like to the USB port 1630. Also, the USB port 1630 may support USB 2.0, and USB 3.0. In addition, the braille terminal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n interface such as a thumb bolt as well as a USB port. In addition, the USB port may include various interfaces such as micro USB and mini USB

또한 점자 단말기(1000)에 포함된 USB 포트 중 적어도 하나는 충전 USB 포트일 수 있다. 충전 USB 포트(1640)는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전원이 OFF 된 상태에서도 동작하며, 사용자는 상기 충전 USB 포트(1640)에 외부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스마트폰)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충전 USB 포트(1640)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베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Also, at least one of the USB ports included in the braille terminal 1000 may be a charging USB port. The charging USB port 1640 operates even when the power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is turned off and the user can use external devices (e.g., a smart phone) by connecting the charging USB port 1640 to the charging USB port 1640 have. The charging USB port 1640 allows the user to charge the batteries of the external devices (e.g., a smartphone).

오디오 잭(1610)은 예를 들어, 3.5 파이 또는 2.5 파이의 이어폰을 연결할 수 있는 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잭(1610)은 마이크를 연결할 수 있는 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오디오 잭(1610)에 마이크 및 이어폰을 연결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어폰을 통해 점자 컨텐츠를 음성으로 들을 수 있으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점자 단말기(1000)에 음성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Audio jack 1610 may include, for example, a jack capable of connecting an earphone of 3.5 pie or 2.5 pie. Also, the audio jack 1610 may include a jack to which a microphone can be connected. The user can connect a microphone and an earphone to the audio jack 1610. [ The user can listen to the braille content through the earphone by voice and input the voice signal to the braille terminal 1000 through the microphone.

점자 단말기(1000)의 상측 측판(도 2 기준 상측)은 잠금 장치(1010), 네트워크 연결 포트(1510), 화면 출력 포트(1620), 외장 메모리 슬롯(slot)(1020), 베터리 슬롯(103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side panel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includes a locking device 1010, a network connection port 1510, a screen output port 1620, an external memory slot 1020, a battery slot 1030, . ≪ / RTI >

잠금 장치(1010)는 켄싱턴 락(Kensington lock)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잠금 장치(1010)에 잠금 케이블을 연결하여 의자, 테이블 등에 잠금 케이블을 감는 것으로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저시력자, 시각장애인이며, 상기 점자 단말기(1000)는 상기 사용자의 집 이외의 외부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점자 단말기(1000)는 도난에 취약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1000)는 전술한 잠금 장치(1010)를 포함하여,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The locking device 1010 may include a Kensington lock. The user can prevent the braille terminal 1000 from being stolen by connecting a locking cable to the locking device 1010 and winding a lock cable on a chair or a table. The user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is generally a low vision person, a blind person, and the braille terminal 1000 can be used outside the user's home. Therefore, the Braille terminal 1000 used by the blind can be vulnerable to theft. However, the braille terminal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locking device 1010 to prevent the braille terminal 1000 from being stolen.

네트워크 연결 포트(1510)는 유선랜을 꽂을 수 있는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 포트(1510)에 랜선을 연결하여, 상기 점자 단말기(1000)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1000)는 이러한 유선 연결뿐만 아니라, Wifi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인터넷에 접속할 수도 있다. The network connection port 1510 may include a port through which a wired LAN can be plugged. The user can connect the LAN to the network connection port 1510 and use the Internet using the braille terminal 1000. However, the braille terminal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using a wireless network such as Wifi as well as such a wired connection.

화면 출력 포트(1620)는 예를 들어, HDMI 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화면 출력 포트(1620)는 RGB, DP port 등의 다양한 영상, 음향 출력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점자는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 이외의 사람이 알기 어려우며, 시각장애인은 상기 점자 단말기(1000)를 점자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할 수는 있으나, 공학적 지식이 뒷받침 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유지 관리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1000)는 화면 출력 포트(1620)를 포함하여, 상기 점자 단말기(1000)에서 출력되는 것을 일반인이 시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인이 상기 점자 단말기(1000)를 용이하게 유지관리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점자에서 표시되는 컨텐츠를 화면 출력 포트(1620)에 연결된 모니터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일반인도 시각장애인이 향유하는 컨텐츠를 같이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display output port 16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or example, an HDMI port. In addition, the screen output port 1620 may include various video and audio output ports such as RGB and DP ports. Braille is generally difficult for a person other than the visually impaired to understand, and a blind person can use the braille terminal 1000 through the braille display. However, if the knowledge is not supported by the braille terminal, This can be. Accordingly, the Braille terminal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creen output port 1620, allowing the general person to check what is output from the Braille terminal 1000 through the time, (1000) can be easily managed. In addition, contents displayed in braille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can be visually expressed through a monitor connected to the screen output port 1620, so that the public can share and enjoy the contents enjoyed by the visually impaired.

외장 메모리 슬롯(1020)은 마이크로 SD 카드, SD 카드 등의 확장 메모리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사용자는 상기 외장 메모리 슬롯(1020)을 통해 용이하게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저장 용량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external memory slot 1020 may include a slot capable of accommodating an expansion memory card such as a micro SD card, an SD card, or the like. The user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can easily expand the storage capacity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through the external memory slot 1020. [

베터리 슬롯(1030)은 베터리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점자 단말기(1000)는 DC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으나, 베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사용자는 집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상기 점자 단말기(1000)를 사용할 수 있다. The battery slot 1030 may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a battery. The braille terminal 1000 may receive power from a DC power source, but may receive power through a battery. Accordingly, the user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can use the Braille terminal 1000 both at home and outside.

점자 단말기(1000)의 우측 측판(도 2 의 우측)은 키보드 락 스위치(1230), USB 포트(1630), 전원 스위치(10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ight side panel (right side of FIG. 2)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may include a keyboard lock switch 1230, a USB port 1630, and a power switch 1040.

키보드 락 스위치(1230)는 슬라이딩 스위치 또는 푸시 버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키보드 락 스위치(1230)가 on 인 경우 상기 점자 단말기(1000)는 키보드 입력을 무시할 수 있다. 상기 점자 단말기(1000)는 소형으로 사용자가 가방 등에 넣어서 다닐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점자 단말기(1000)를 가방에 넣어 다닐 때 키보드 락 스위치를 on으로 하여 상기 점자 단말기(1000)에 잘못된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keyboard lock switch 123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liding switch or a push button. When the keyboard lock switch 1230 is on, the braille terminal 1000 can ignore keyboard input. The braille terminal 1000 is compact and can be carried by a user in a bag or the like. The user can turn on the keyboard lock switch when the user moves the braille terminal 1000 into the bag,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performing an erroneous user input.

점자 단말기(1000)는 하나 이상의 USB 포트(1630)를 포함할 수 있다. USB 포트(1630)를 통해 점자 단말기(1000)는 외부 컴퓨팅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에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을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USB 포트(1630)와 연결하여,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컨텐츠 저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USB 포트(1630)에 키보드, 마우스 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USB 포트(1630)는 USB 2.0, 및 USB 3.0 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1000)는 USB 포트뿐만 아니라 선더볼트 등의 인터페이스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SB 포트는 마이크로 USB, 미니 USB 등의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aille terminal 1000 may include one or more USB ports 1630. [ Through the USB port 1630, the braille terminal 1000 can receive data from the external computing device. The user can perform firmware upgrade, content storage, and the like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by connecting a data cabl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mputing device to the USB port 1630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In addition, a user may connect a keyboard, a mouse, and the like to the USB port 1630. Also, the USB port 1630 may support USB 2.0, and USB 3.0. In addition, the braille terminal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n interface such as a thumb bolt as well as a USB port. In addition, the USB port may include various interfaces such as micro USB and mini USB

전원 스위치(1040)는 슬라이딩 스위치 또는 푸시 버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전원 스위치(1040)를 통해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The power switch 104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liding switch or a push button. The user can control the power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through the power switch 1040.

점자 단말기(1000)의 하측 측판(도 2 기준 하측)은 모드 스위치(1210), 기능 버튼(12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side plate (lower reference side in FIG. 2)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may include a mode switch 1210 and a function button 1220.

모드 스위치(1210)는 슬라이딩 스위치로 구성되어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동작 모드 전환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상기 모드 스위치(1210)를 이용하여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드는 예를 들어, FM 라디오 모드, APP 구동 모드, MP3 플레이어 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mode switch 1210 is configured as a sliding switch to perform an operation mode switching function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The user can switch the operation mode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using the mode switch 1210. [ The operation mode may be, for example, an FM radio mode, an APP drive mode, an MP3 player mode, and the like,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기능 버튼(1220)은 자주 사용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전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임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점자 단말기(1000)는 입력의 편의성을 위하여 완벽한 키보드를 포함하지 않고, 키보드의 하나 이상의 버튼들의 조합을 통해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사용자는 버튼들의 조합의 기능을 모두 암기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다. 그러나 상기 기능 버튼(1220)은 상기 사용자가 버튼들의 조합의 기능을 모두 암기하기 이전에도, 상기 기능 버튼을 사용하여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 버튼은 사용자의 상기 점자 단말기(1000)에의 적응을 도울 수 있다. 상기 기능 버튼은 푸시버튼, 슬라이딩 버튼 또는 터치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function button 1220 may be preset to perform a frequently used function, or may be set to perform a certain function by the user. The braille terminal 1000 includes a user input unit for performing functions through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buttons of the keyboard without including a complete keyboard for convenience of input. Therefore, the user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is burdened to memorize all the functions of the combination of the buttons. However, the function button 1220 may allow the user to use frequently used functions by using the function button even before the user memorizes all the functions of the combination of buttons. Accordingly, these function buttons can help the user adapt to the braille terminal 1000. The function button may be configured as a push button, a sliding button, or a touch button,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도 3 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a brail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enses and operates a user's finger.

점자 단말기(1000)는 손가락 감지부(1300)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손가락(2000)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점자 셀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점자 단말기(1000)의 손가락 감지부(1300)는 점자 셀을 판독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점자 셀에 손가락(2000)을 위치시키는 것을 상기 손가락(2000)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 근접하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가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하단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검지손가락으로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를 판독하는 경우, 상기 검지손가락의 끝마디는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는 상기 검지손가락의 두번째 마디가 근접함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는 검지손가락의 두번째 마디가 근접함을 감지함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가락(2000)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braille terminal 1000 may detect that the user's finger 2000 is located in the braille cell of the braille display 1100 by including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senses that the user places the finger 2000 in the braille cell to read the braille cell as the finger 2000 approaches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 For example, when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braille display 1100 and the user reads the braille display 1100 with the index finger, the index word of the index finger is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sense that the second node of the index finger is approaching. In this case,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determine that the user's finger 2000 is position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based on sensing that the second node of the index finger is approaching.

제어부(1400)는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2000)을 감지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액츄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0)는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2000)의 위치를 감지한 결과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2000)이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표시된 점자를 모두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판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를 스크롤 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0 may control the actuator of the braille display 1100 based on a result of sensing the finger 2000 of the user by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The controller 14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s finger 2000 has read all of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as a result of sensing the position of the user's finger 2000 in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And may decide to scroll the braille display 1100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determination.

점자 디스플레이(1100)는 한정된 숫자의 점자 셀을 포함하며, 한정된 숫자의 점자를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음 점자를 읽기 위해서는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다음 점자가 표시되도록 스크롤(scroll)하여야 한다. 종래의 점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점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스크롤 버튼을 눌러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점자 디스플레이의 양측 또는 일측에 스크롤을 위한 스크롤 버튼이 포함되어야 하여, 크기를 줄일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시각장애인은 촉각이 매우 발달하여 점자의 돌출부의 재질, 형상 등도 느낄 수 있으며 점자 오랜시간 연속해서 판독하는 경우 촉각이 고통 받게 된다. 그러한 시각장애인이 스크롤을 위한 버튼을 또 누르게 되는 경우에 예민해진 촉각 때문에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고, 스크롤 버튼과 점자 셀의 촉감 차이 때문에 점자를 오독할 수 도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1000)는 사용자가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표시된 점자를 모두 판독한 경우에 제어부(1400)가 별도 스크롤 버튼의 입력 없이도 점자 디스플레이(1100)가 다음 점자들을 표시하도록 스크롤 할 수 있어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The braille display 1100 includes a limited number of braille cells and can represent a limited number of braille characters. Accordingly, the user must scroll to display the next braille on the braille display 1100 to read the next brail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has to press the scroll button and the scroll button for scrolling must be included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braille display so that the size can not be reduced. In addition, the visually impaired can develop the tactile sense and feel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braille, and when the braille is read continuously for a long time, the tactile sense is suffered. When such a blind person presses again the button for scrolling, it may feel uncomfortable due to the tactile sense which is sensitive, and the braille may be misread by the difference in touch of the scroll button and the braille cell. However, in the braille terminal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user has read all of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the controller 1400 displays the braille display 1100 as the next braille So that the above-described problem can be solved.

또한, 제어부(1400)는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상기 사용자 손가락(2000)의 위치를 감지한 결과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2000)이 판독하고 있는 점자 셀만 액츄에이터가 돌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0)는 사용자 입력부(1200)에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2000)이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점자 단말기(1000)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점자 셀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0 can control the actuator to protrude only the braille cells read by the user's finger 2000 as a result of sensing the position of the user's finger 2000 in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The control unit 1400 receives the user's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1200 and detects that the finger 2000 of the user is not located in the braille display 1100 in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The power of the braille cell of the braille display 1100 may be cut off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

점자 셀의 액츄에이터를 돌출시기키 위해서는 200V에 가까운 전압이 필요하며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는 많은 전력을 소모한다. 점자 단말기는 베터리를 포함하여 모바일 단말로 구성될 수 있다. 점자 단말기(1000)의 사용시간은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움직임이 많을수록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00)는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사용자가 판독하고자 하는 점자만을 돌출하게 하거나, 사용자가 키보드를 입력중인 경우는 점자 판독을 할 수 없으므로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1000)의 사용시간은 비약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A voltage close to 200V is required to protrude the actuator of the braille cell and the braille display 1100 consumes a lot of power. The Braille terminal may be configured as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battery. The use time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decreases as the movement of the braille display 1100 increase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raille display 1100, the control unit 1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allow the user to protrude only the braille to be read, or to perform braille reading when the user is inputting the keyboar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wer of the Braille display 1100 to be turned off. Therefore, the use time of the braille terminal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dramatically increase.

제어부(1400)는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한 결과, 사용자가 특정 점자를 반복해서 판독하고자 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특정 점자를 TTS 모듈을 통해 소리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특정 점자 셀을 2~3회 반복해서 판독하고자 하는 것을 손가락 감지부(1300)가 감지하면 제어부(1400)는 해당 점자의 내용을 소리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If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repeatedly reads the specific braille as a result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user's finger in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the control unit 1400 outputs the specific braille in the form of a sound through the TTS module . For example, when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senses that the user desires to read a specific braille cell two to three times repeatedly, the control unit 1400 outputs the content of the braille to the user.

또한, 제어부(1400)는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사용자의 손가락(2000)의 위치를 감지한 결과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에 따른 제스쳐 입력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양손을 이용하여 점자 셀을 판독하는 경우, 음성으로 듣고자 하는 컨텐츠의 시작 부분에 해당하는 점자 셀에 한 손가락을 위치하고, 다른 손가락으로 음성으로 듣고자 하는 컨텐츠를 드레그 하면, 제어부(1400)는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한 손가락의 위치에 기초하여 해당 부분을 음성으로 출력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0 may receive and process a gesture inpu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s finger as a result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user's finger 2000 in the finger sense unit 1300. For example, when the user reads the braille cell using both hands, if one finger is positioned in the braille cell corresponding to the beginning of the content to be audibly heard and the content to be audibly heard is dragged with the other finger, The control unit 1400 can determine to output the corresponding part by voic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finger sensed by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

도 4a 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 4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rail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ensing and operating a user's finger. FIG.

손가락 감지부(13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점자 셀을 터치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점자 셀을 터치 드래그 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may sense that the user's finger touches the braille cell and the user's finger touches and dragges the braille cell.

제어부(1400)는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한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점자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점자 셀의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예를 들어, 왼쪽 끝 점자 셀에서 오른쪽 끝 점자 셀 또는 점자가 표시된 가장 오른쪽의 점자 셀)까지 움직이는 것을 손가락 감지부(1300)가 감지한 경우, 사용자가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표시된 내용을 모두 판독한 것으로 판단하여,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표시된 내용을 스크롤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0 can control the braille terminal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sensed by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 The control unit 1400 determines that the finger of the user moves from one end of the braille cell to the other end (for example, from the left end braille cell to the right end braille cell or the rightmost braille cell whose braille is displayed) It is judged that the user has read all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and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can be scrolled.

하나의 손가락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터치한 상태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일정 구간 이상을 빠르게 이동한 다음 손가락을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서 떼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0)는 다음 항목으로 이동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손가락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터치한 상태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일정 구간 이상(예를 들어,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절반 이상 등)을 빠르게(예를 들어, 500ms 이하 등) 이동한 다음 손가락을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서 떼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0)는 이전 항목으로 이동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When one finger is moved from left to righ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r more while the finger is touched to the braille display 1100 and then an operation of releasing the finger from the braille display 1100 is detected by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1400) may decide to move to the next item. In addition, with one finger touched to the braille display 1100, it is possible to quickly (for example, less than 500 ms) more than a certain period from right to left (for example, more than half of the Braille display 1100) If an operation of releasing the finger from the braille display 1100 after the movement is detected by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the control unit 1400 may determine to move to the previous item.

도 4b 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 4B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braille terminal by sensing the user's fi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제어부(1400)는 사용자의 복수의 손가락이 모여서 복수회 점자 디스플레이(1100)를 터치하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의 수에 기초하여 메뉴를 open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0 may determine to open the menu based on the number of fingers of the user when a plurality of fingers of the user are gathered and an operation of touching the multiple-braille display 1100 is detected by the finger detecting unit 1300 have.

제어부(1400)는 사용자의 두 개의 손가락(2002)이 모여서 복수 회(예를 들어, 2 회) 점자 디스플레이(1100)를 터치하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점자 단말기의 메뉴를 open 하도록 결정하여, 상기 점자 단말기의 메뉴를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detects that the user's two fingers 2002 are gathered and touches the braille display 1100 a plurality of times (for example, twice), the controller 1400 displays the menu So that the menu of the braille terminal can b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제어부(1400)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를 터치한 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이동 방향 및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수에 따라서 사전결정된 동작을 수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0 control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one or more fingers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one or more fingers when the operation of moving the user's one or more fingers to the left or right after touching the braille display 1100 is detected by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 It may be determined to perform the predetermined oper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예를 들어, 2개의 손가락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터치한 상태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일정 구간 이상을 빠르게 이동한 다음 손가락들을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서 떼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0)는 다음 페이지 또는 슬라이드로 이동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손가락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터치한 상태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일정 구간 이상을 빠르게 이동한 다음 손가락들을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서 떼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0)는 이전 페이지 또는 슬라이드로 이동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wo fingers touch the braille display 1100, the user quickly moves from left to right over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n an operation of releasing the fingers from the braille display 1100 is detected by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The control unit 1400 may decide to move to the next page or slide. For example, when two fingers touch the braille display 1100, an operation of rapidly moving a predetermined section or more from right to left is performed, and then an operation of releasing the fingers from the braille display 1100 is detected by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The control unit 1400 may decide to move to the previous page or slide.

도 4c 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4C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braille terminal by sensing the user's fi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손가락 감지부(1300)는 상기 사용자의 둘 이상의 손가락의 핀치 인(pinch in)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핀치 인 동작은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두 손가락을 대고 오므리는 동작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sense a pinching operation of two or more fingers of the user. Herein, the pinch-in operation means that two-finger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제어부(1400)는 사용자의 핀치 인 동작이 감지된 경우,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열린 창을 닫거나 또는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핀치 인 동작은 닫는 제스쳐를 표현하는 것으로서, 제어부(1400)는 핀치 인 동작이 감지된 경우, 점자 단말기(1000)에서 임의의 동작의 종료 등을 수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0 may determine that the braille display 1100 is turned off, the open window is closed, or the application in use is terminated when a pinch-in operation of the user is detected. The pinch-in operation represents a closing gesture, and when the pinch-in operation is sensed, the controller 1400 can determine to perform the termination of any operation in the braille terminal 1000 and the like.

또한, 제어부(1400)는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상기 사용자의 두 개의 손가락(2000, 2001)의 거리가 서로 가까워지는 핀치 인 동작을 감지한 경우,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0 can cut off the power of the braille display 1100 when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senses an operation that is a pinch approaching the two fingers 2000 and 2001 of the user .

사용자는 점자 디스플레이(1100)의 사용을 종료하고자 할 때, 핀치 인 제스쳐를 통해 점자 디스플레이(1100)를 셧다운 시킬 수 있다. The user can shut down the braille display 1100 via a pinch-in gesture when attempting to end the use of the braille display 1100. [

도 4d 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 4D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at a brail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tects and operates a user's finger. FIG.

손가락 감지부(1300)는 사용자의 두 개의 손가락이 하나 이상의 점자 셀을 사이에 두고 점자 셀을 터치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sense that the user's two fingers touch the braille cell with one or more braille cells therebetween.

또한, 제어부(1400)는 사용자의 두개의 손가락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근접함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1400)는 상기 두 개의 손가락 사이에 포함된 점자를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점자에 대한 해설을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controller 1400 detects that the user's two fingers are close to the braille display 1100, the controller 1400 controls the controller 1400 to display the braille included between the two fingers , Or can provide an explanation on the Braille characters.

또한, 제어부(1400)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때(예를 들어, 문서 편집 등), 사용자의 두개의 손가락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근접함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상기 두 개의 손가락 사이에 포함된 점자를 블록 지정하거나, 복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문서 편집 중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표시되는 점자를 직관적으로 블록 지정하거나 복사하여 문서 편집에 활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performs a user input (e.g., document editing, etc.) and the two fingers of the user are close to the braille display 1100, the control unit 1400 detects that the finger is in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 The braille contained between the two fingers can be blocked or copied. 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block or copy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while editing the document and utilize the braille to edit the document.

사용자는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표시된 점자의 일부를 포함하도록 두 손가락을 터치하는 제스쳐를 통해 점자의 뜻을 찾거나, 문서 편집시 직관적으로 해당 점자 부분을 복사할 수 있다. The user can find the meaning of the braille through a gesture touching two fingers so as to include a part of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or intuitively copy the braille part when editing a document.

제어부(1400)는 하나의 손가락(2000)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터치한 상태로, 다른 손가락(2001)이 상기 하나의 손가락의 오른쪽에서 복수회(예를 들어 3회) 연속 터치한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점자에 대하여 블록(block) 지정을 시작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나의 손가락(2000)이 위치한 점자 셀에 표시된 점자에서 블록이 시작될 수 있다. 제어부(1400)는 하나의 손가락(2000)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터치한 상태로, 다른 손가락(2001)이 상기 하나의 손가락의 왼쪽에서 복수회(예를 들어 3회) 연속 터치한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점자에 대한 블록 지정을 종료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0 may perform the operation of touching the other finger 2001 for a plurality of times (for example, three times) from the right side of the one finger while the one finger 2000 touches the braille display 1100 If it is detected by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it may decide to start block designation for braille characters. At this time, the block may be started at the braille displayed in the braille cell where the one finger 2000 is located. The control unit 1400 may perform the operation of touching the other finger 2001 continuously a plurality of times (for example, three times) from the left side of the one finger while the one finger 2000 touches the braille display 1100 If it is detected by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it can be determined to end block designation for braille.

전술한 상기 제스쳐 기능들은 사용자 입력, 기능버튼, 사용자 설정을 통해 손쉽게 on/off 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의 점자 단말기 사용 편의성에 기여할 수 있다.The gesture functions described above can be easily turned on / off through user input, function buttons, and user setting, thereby contributing to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braille terminal of the visually impaired.

도 4e 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 4E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a brail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enses and operates a user's finger. FIG.

제어부(1400)는 사용자의 복수의 손가락이 모여서 복수회 점자 디스플레이(1100)를 터치하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의 수에 기초하여 메뉴를 open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0 may determine to open the menu based on the number of fingers of the user when a plurality of fingers of the user are gathered and an operation of touching the multiple-braille display 1100 is detected by the finger detecting unit 1300 have.

제어부(1400)는 사용자의 3 개의 손가락(2003)이 모여서 점자 디스플레이(1100)를 복수 회(예를 들어, 2회) 터치하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점자 단말기의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메뉴(예를 들어, 현재 사용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메뉴 등)를 open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raille display 1100 when the user's three fingers 2003 are gathered and the operation of touching the braille display 1100 a plurality of times (for example, twice) It may decide to open a menu corresponding to the context (e.g., the menu of the application currently being used).

제어부(1400)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를 터치한 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이동 방향 및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수에 따라서 사전결정된 동작을 수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0 control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one or more fingers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one or more fingers when the operation of moving the user's one or more fingers to the left or right after touching the braille display 1100 is detected by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 It may be determined to perform the predetermined oper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손가락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터치한 상태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일정 구간 이상을 빠르게 이동한 다음 손가락들을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서 떼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0)는 다음 앱으로 이동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3개 이상의 손가락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터치한 상태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일정 구간 이상을 빠르게 이동한 다음 손가락들을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서 떼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0)는 이전 앱으로 이동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ree or more fingers touch the braille display 1100, the operation for quickly moving the finger from the braille display 1100 to the left or right for a long period of time is performed by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If detected, control unit 1400 may decide to move to the next app. When three or more fingers touch the braille display 1100 and move faster than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right to left and then move the fingers off the braille display 1100 is detected by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The control unit 1400 can decide to move to the previous app.

도 4f 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 4F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brail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enses and operates the user's finger.

제어부(1400)는 사용자의 복수의 손가락이 모여서 복수회 점자 디스플레이(1100)를 터치하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의 수에 기초하여 메뉴를 open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0 may determine to open the menu based on the number of fingers of the user when a plurality of fingers of the user are gathered and an operation of touching the multiple-braille display 1100 is detected by the finger detecting unit 1300 have.

제어부(1400)는 사용자의 4 개의 손가락(2004)에 모여서 점자 디스플레이(1100)를 복수 회(예를 들어, 2 회) 터치하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도구 메뉴(예를 들어, 현재 word 어플리케이션을 사용 중인 경우 글꼴에 관한 도구 메뉴 등)를 open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raille display 1100 when the operation of touching the braille display 1100 a plurality of times (for example, twice) is detected by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For example, if you are currently using a word application, you can decide to open a menu of fonts, etc.).

제어부(1400)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를 터치한 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이동 방향 및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수에 따라서 사전결정된 동작을 수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0 control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one or more fingers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one or more fingers when the operation of moving the user's one or more fingers to the left or right after touching the braille display 1100 is detected by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 It may be determined to perform the predetermined oper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예를 들어, 4개의 손가락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터치한 상태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일정 구간 이상을 빠르게 이동한 다음 손가락들을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서 떼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0)는 2개 또는 3 개의 손가락이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 경우보다 큰 범위(예를 들어, 손가락 3 개의 동작의 경우(앱 스크롤) 보다 큰 범위의 디스크 스크롤 등)의 스크롤 동작을 수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four fingers are touched to the braille display 1100, an operation of rapidly moving a predetermined section or more from left to right and then releasing the fingers from the braille display 1100 is detected by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The control unit 1400 controls the scroll operation of a larger range (for example, a disk scrolling range larger than the case of three fingers (app scroll)) when two or three fingers perform the same operation Can be determined.

도 4g 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 4G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brail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enses and operates the user's finger.

손가락 감지부(1300)는 점자 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손가락 감지부(1300)는 사용자의 손가락(2000)이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표시된 점자의 적어도 일부에 반복해서 근접함을 감지하거나, 사용자의 손가락(2000)이 상기 점자를 문지르는 동작을 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may detect movement of one or more fingers of a user located in the braille cell.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detects that the user's finger 2000 repeatedly approaches at least a part of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or detects that the user's finger 2000 performs an operation of rubbing the braille can do.

제어부(1400)는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한 결과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표시된 점자의 적어도 일부를 반복해서 판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반복해서 판독하고자 하는 점자를 소리로 출력할 것을 결정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가 반복해서 판독하고자 하는 점자에 대한 해설을 제공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특정 점자를 반복해서 판독하고자 하거나, 반복해서 특정 점자를 손가락으로 터치하거나, 특정 점자를 문지르는 경우, 손가락 감지부(1300)는 사용자의 이러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400)는 상기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사용자의 이러한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점자를 반복해서 판독하고자 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400)는 상기 점자를 소리로 출력하거나, 상기 점자의 뜻을 점자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점자의 뜻은 내장된 사전을 이용하거나, 네트워크 연결부(1500)를 통해 인터넷 검색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finger repeatedly reads at least a part of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as a result of sensing the position of the user's finger in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e user can decide to output the braille to be repeatedly read out or to provide an explanation about the braille the user repeatedly wants to read. For example, when the user repeatedly reads a specific braille, repeatedly touches a specific braille with a finger, or rubs a specific braille,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can sense the user's movement. The controller 1400 can determine that the user desires to repeatedly read the specific braille when the user's movement is detected by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400 may output the braille by sound or output the meaning of the braille to the braille display. The meaning of the braille may be provided through a built-in dictionary or through an Internet search through the network connection unit 1500.

도 4h 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4H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brail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enses and operates the user's finger.

손가락 감지부(1300)는 상기 사용자의 둘 이상의 손가락의 핀치 아웃(pinch out)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핀치 아웃(pinch out)동작은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두 손가락을 대고 펴서 넓히는 동작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may sense a pinch-out operation of the user's two or more fingers. Here, the pinch-out operation means that two-finger spread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braille display 1100.

제어부(1400)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때(예를 들어, 문서 편집 등),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사용자의 둘 이상의 손가락의 핀치 아웃 동작을 감지하는 경우, 탭 동작 또는 들여쓰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문서 편집 중 한 손가락(2001)을 점자 디스플레이에 시작점에 위치하게 하고 다른 손가락(2000)을 상기 한 손가락(2001)에서 멀어지도록 동작하는 핀치 아웃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손가락 감지부(1300)는 이러한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제어부(1400)는 편집 중인 문서에서 들여쓰기 동작 또는 탭(tap)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user senses pinch-out operation of two or more fingers of a user in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when the user performs a user input (e.g., document editing, etc.), the control unit 1400 performs a tap operation or an indent operation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when the user performs a pinch-out operation in which one finger (2001) is positioned at the starting point in the braille display and the other finger 2000 is moved away from the one (2001) The controller 1300 may detect the movement of the finger of the user, and the controller 1400 may perform an indent operation or a tap operation in the document being edited.

사용자는 문서 편집등에 있어서, 들여쓰기, 탭 등을 쉽게 수행하기 위하여 점자 디스플레이(1100)에 핀치 아웃하는 제스쳐(gesture)로 상기 들여쓰기, 탭 입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The user can perform the indentation, tab input, and the like with a gesture that pinches out to the braille display 1100 in order to easily perform indentation, tab, etc. in document editing and the like.

도 4i 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 4I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at a brail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enses and operates a user's finger. FIG.

제어부(14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점자 셀을 터치한 상태로, 사용자의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손가락이 다른 점자 셀을 적어도 두번 터치하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손가락이 터치한 점자 셀의 위치와 다른 손가락이 터치한 다른 점자 셀의 상대적인 위치, 다른 손가락의 수 및 다른 손가락의 터치 횟수에 기초하여 점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내용을 사전 결정된 만큼 스크롤 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When the user's finger touches the braille cell and at least two other fingers of the user touch the other braille cell at least twice, when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detects that the finger touches the braille cell, It may be determined to scroll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by a predetermined amoun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braille cell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other braille cells touched by the other finger, the number of different fingers, and the number of touches of the other finger.

예를 들어, 사용자의 한 손가락이 점자 셀을 터치한 상태로 상기 점자 셀의 오른쪽으로 두 개의 손가락이 두번 연속 탭하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0)는 다음 문단으로 스크롤 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한 손가락이 점자 셀을 터치한 상태로 상기 점자 셀의 왼쪽으로 두 개의 손가락이 두번 연속 탭하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0)는 이전 문단으로 스크롤 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senses an operation that two fingers are tapped to the right of the braille cell twice consecutively with one finger of the user touching the braille cell, ≪ / RTI > In addition, when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detects that the two fingers are tapped to the left of the braille cell twice consecutively with one finger of the user touching the braille cell, the controller 1400 scrolls to the previous paragraph You can decide to do it.

도 4j 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4J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brail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enses and operates the user's finger.

제어부(14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점자 셀을 터치한 상태로, 사용자의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손가락이 다른 점자 셀을 적어도 두번 터치하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손가락이 터치한 점자 셀의 위치와 다른 손가락이 터치한 다른 점자 셀의 상대적인 위치, 다른 손가락의 수 및 다른 손가락의 터치 횟수에 기초하여 점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내용을 사전 결정된 만큼 스크롤 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When the user's finger touches the braille cell and at least two other fingers of the user touch the other braille cell at least twice, when the finger detection unit 1300 detects that the finger touches the braille cell, It may be determined to scroll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by a predetermined amoun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braille cell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other braille cells touched by the other finger, the number of different fingers, and the number of touches of the other finger.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의 한 손가락이 점자 셀을 터치한 상태로 상기 점자 셀의 오른쪽으로 새 개의 손가락이 두번 연속 탭하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0)는 다음 챕터로 스크롤 할 것을 결정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한 손가락이 점자 셀을 터치한 상태로 상기 점자 셀의 왼쪽으로 새 개의 손가락이 두번 연속 탭하는 동작이 손가락 감지부(1300)에서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0)는 이전 챕터로 스크롤 할 것을 결정 할 수 있다. Further, for example, when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detects an operation that the new finger is touched to the right of the braille cell twice consecutively with one finger of the user touching the braille cell, You can decide to scroll to the chapter. If the finger sensing unit 1300 detects that the new finger is touched twice to the left of the braille cell twice with one finger of the user touching the braille cell, the controller 1400 scrolls to the previous chapter Can be determined.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에서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information and signals may be represented using any of a variety of different technologies and techniques. For example, data, instructions, commands, information, signals, bits, symbols, and chips that may be referenced in the above description may include voltages, currents, electromagnetic waves, magnetic fields or particles, Particles or particles, or any combination thereof.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various illustrative logical blocks, modules, processors, means, circuits, and algorithm step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or performed with a specific purpose, (Which may be referred to herein as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To clearly illustrate this interchangeability of hardware and software, various illustrative components, blocks, modules, circuits, and steps have been described above generally in terms of their functionality. Whether such functionality is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depends on the design constraints imposed on the particular application and the overall system.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implement the described functions in various ways for each particular application, but such implementation decision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용어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various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 method, apparatus, or article of manufacture using standard programming and / or engineering techniques. The term "article of manufacture" includes a computer program, carrier, or media accessible from any computer-readable device. For example, the computer-readable medium can be a magnetic storage device (e.g., a hard disk, a floppy disk, a magnetic strip, etc.), an optical disk (e.g., CD, DVD, etc.), a smart card, But are not limited to, devices (e. G., EEPROM, cards, sticks, key drives, etc.). The various storage media presented herein also include one or more devices and / or other machine-readable media for storing information. The term "machine-readable medium"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a wireless channel and various other media capable of storing, holding, and / or transferring instruction (s) and / or data.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articular order or hierarchy of steps in the presented processes is an example of exemplary approache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based on design priorities, a particular order or hierarchy of steps in the processes may be rearranged within the scope of this disclosure. The appended method claims provide elements of the various steps in a sample order, but are not mean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order or hierarchy presented.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disclosur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us,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Claims (16)

점자 단말기로서,
점자를 표현하기 위해 돌출 가능한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점자 셀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점자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을 터치하는지 여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손가락 감지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을 터치하는지 여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손가락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의 한 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이동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점자를 모두 판독하였다고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를 스크롤 할 것을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점자 단말기.
As a braille terminal,
A braille display including at least one braille cell including a plurality of actuators protrudable to represent braille;
A finger detection unit detecting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a user's one or more fingers touch the braille cell and the movement of the one or more fingers; An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nger detection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the one or more fingers touch the braille cell and the movement of the one or more fingers, the user's finger is moved from one end of the braille display to the other e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that the user's finger has read all of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and determining to scroll the braille display based on the determination;
/ RTI >
Braille termina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가락 감지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한 결과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점자의 적어도 일부를 반복해서 판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반복해서 판독하고자 하는 점자를 소리로 출력할 것을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가 반복해서 판독하고자 하는 점자에 대한 해설을 제공할 것을 결정하는,
점자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Determining whether the user's finger repeatedly reads at least a part of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as a result of the finger detection unit detecting the user's finger, Determining whether to output a braille to the user or to provide an explanation for the braille the user wishes to repeatedly read,
Braille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를 반복해서 터치함을 감지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를 문지르는 동작을 감지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점자의 적어도 일부를 반복해서 판독하는지 여부를, 상기 손가락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점자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nger detecting unit comprises:
The user's finger repeatedly touches the braille, or the finger of the user senses an operation of rubbing the braille,
Wherein,
And a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s finger repeatedly reads at least a part of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nger detection unit.
Brail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때, 상기 사용자의 둘 이상의 손가락의 핀치 아웃(pinch out) 동작―상기 핀치 아웃 동작에서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은 점자 디스플레이의 시작점에 위치함―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핀치 아웃 동작이 감지된 경우, 탭(TAP) 동작을 수행 할 것을 결정하는
점자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user input for receiving user input,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finger detecting unit comprises:
Pinch-out operation of the user's two or more fingers when the user performs a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unit, wherein at least one finger of the user in the pinch-out operation is located at a starting point of the braille display, Lt; / RTI >
Wherein,
When the pinch-out operation of the user is sensed, it is determined to perform a tap operation
Brail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둘 이상의 손가락의 핀치 인(pinch in)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핀치 인 동작이 감지된 경우, 점자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열린 창을 닫거나 또는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것을 결정하는,
점자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ger detecting unit comprises:
Detecting a pinching operation of the user's two or more fingers,
Wherein,
Determining whether to turn off the braille display, close the open window, or close the application in use when pinch-in operation of the user is detected;
Brail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감지부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감지되는 상기 점자 셀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개수를 결정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을 터치함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감지되는 점자 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감지되는 상기 점자 셀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점자 셀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점자 셀에서의 위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수, 상기 사용자의 복수의 손가락의 상대적인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점자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ger detecting unit comprises: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s that the user's finger touches the braille cell and determines the number of braille cells in which the user's finger is sensed, Information about the cell to the control unit,
Wherein,
At least one of a position in the braille cell of the user's finger touching the braille cell, a number of the user's fingers, and a relativ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fingers of the user, based on the number of braille cells in which the user's finger is sensed Lt; / RTI >
Brail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을 터치한 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이동 방향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수에 따라서 스크롤 동작을 수행할 것을 결정하는,
점자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ger detecting unit comprises:
Detecting that the at least one finger of the user moves to the left or right after touching the braille cell,
Wherein,
Determining to perform a scroll operation according to a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ne or more fingers of the user and a number of the one or more fingers,
Brail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을 터치한 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다음 항목 또는 이전 항목으로 이동할 것을 결정하는,
점자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ger detecting unit comprises:
Detects that the user's finger moves to the left or right after touching the braille cell,
Wherein,
Determining whether to move to a next item or a previous item according to a moving direction of the user's finger,
Brail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2 개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을 터치한 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2 개의 손가락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다음 페이지 또는 이전 페이지로 이동할 것을 결정하는,
점자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ger detecting unit comprises:
Wherein at least two fingers of the user touch the braille cell to detect that the braille cell is moved to the left or right,
Wherein,
Determining to move to a next page or a previous page in accordance with a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at least two fingers of the user,
Brail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3개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을 터치한 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함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3 개의 손가락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다음 앱 또는 이전 앱을 실행시킬 것을 결정하는,
점자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ger detecting unit comprises:
A touch of the at least three fingers of the user touching the braille cell and sensing movement to the left or right,
Wherein,
Determining to execute the next or previous app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at least three fingers of the user,
Brail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을 터치하며, 상기 사용자의 다른 손가락이 다른 점자 셀을 적어도 한번 터치함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가락이 터치한 상기 점자 셀의 위치와 상기 다른 손가락이 터치한 상기 다른 점자 셀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기 다른 점자 셀의 터치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점자 단말기를 제어하는,
점자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rein the finger detecting unit comprises:
The finger of the user touches the braille cell and detects that another finger of the user touches another braille cell at least once,
Wherein,
And controlling the braille terminal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braille cell touched by the finger,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other braille cell touched by the other finger, and the number of touches of the other braille cell.
Braille termina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점자 셀이 상기 점자 셀의 오른쪽에 위치하고, 상기 다른 손가락이 상기 다른 점자 셀을 두번 터치한 경우,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링크를 열(open)것을 결정하는,
점자 단말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Determining that the other braille cell is located to the right of the braille cell and opens the link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when the other finger touches the other braille cell twice.
Braille termina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점자 셀이 상기 점자 셀의 오른쪽에 위치하고, 상기 다른 손가락이 상기 다른 점자 셀을 세번 터치한 경우,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점자에 대하여 블록(block) 지정을 시작할 것을 결정하는,
점자 단말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Determining to start a block designation for the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when the other braille cell is located to the right of the braille cell and the other finger touches the other braille cell three times,
Braille termina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점자 셀이 상기 점자 셀의 왼쪽에 위치하고, 상기 다른 손가락이 상기 다른 점자 셀을 세번 터치한 경우,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점자에 대한 블록 지정을 종료할 것을 결정하는,
점자 단말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Determining to end the block designation for braille displayed on the braille display when the other braille cell is located to the left of the braille cell and the other finger touches the other braille cell three times,
Brail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점자 셀을 터치하며,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손가락이 다른 점자 셀을 적어도 두번 터치함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가락이 터치한 상기 점자 셀의 위치와 상기 다른 손가락이 터치한 상기 다른 점자 셀의 상대적인 위치, 상기 다른 손가락의 수, 및 상기 다른 손가락의 터치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점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내용을 사전결정된 만큼 스크롤 할 것을 결정하는,
점자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ger detecting unit comprises:
Wherein the user's finger touches the braille cell and detects that at least two other fingers of the user touch another braille cell at least twice,
Wherein,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braille cell touched by the finger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other braille cell touched by the other finger, the number of the other fingers, and the number of touches of the other finger, As long as you decide to scroll,
Braille terminal.
KR1020160101705A 2015-11-18 2016-08-10 Braille terminal KR10184652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61799 2015-11-18
KR1020150161799 2015-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252A KR20170058252A (en) 2017-05-26
KR101846526B1 true KR101846526B1 (en) 2018-04-06

Family

ID=5905189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705A KR101846526B1 (en) 2015-11-18 2016-08-10 Braille terminal
KR1020160104432A KR101850684B1 (en) 2015-11-18 2016-08-17 Braille terminal
KR1020160108947A KR101860470B1 (en) 2015-11-18 2016-08-26 Braille terminal
KR1020160109751A KR101821137B1 (en) 2015-11-18 2016-08-29 Braille terminal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432A KR101850684B1 (en) 2015-11-18 2016-08-17 Braille terminal
KR1020160108947A KR101860470B1 (en) 2015-11-18 2016-08-26 Braille terminal
KR1020160109751A KR101821137B1 (en) 2015-11-18 2016-08-29 Brail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184652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9748A (en) 2021-11-12 2023-05-19 곽기택 Braille and letter input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477B1 (en) 2018-04-26 2023-08-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relay
KR102098799B1 (en) 2018-09-28 2020-04-08 (주)오버플로우 Braille slate
US11436942B2 (en) * 2018-10-16 2022-09-06 Fm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braille display
KR102466488B1 (en) * 2020-07-31 2022-11-15 주식회사 닷 Protruding based smart tablet
KR102454604B1 (en) * 2021-01-06 2022-10-14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Method and apparatus for gesture commends of touch-sensitive braille display device
KR102523368B1 (en) 2022-11-25 2023-04-19 구민수 A touch-based wearable braille device in the form of a wrist-watch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2210A (en) * 2004-06-11 2005-12-22 Ask:Kk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97126T3 (en) 2012-02-28 2019-01-22 Freedom Scientific Inc Braille presentation device and construction proced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2210A (en) * 2004-06-11 2005-12-22 Ask:Kk Display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9748A (en) 2021-11-12 2023-05-19 곽기택 Braille and letter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1137B1 (en) 2018-01-23
KR20170058254A (en) 2017-05-26
KR20170058256A (en) 2017-05-26
KR101860470B1 (en) 2018-05-23
KR101850684B1 (en) 2018-04-20
KR20170058252A (en) 2017-05-26
KR20170058257A (en) 201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6526B1 (en) Braille terminal
US1060640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peration input method and operation input program
WO2018157662A1 (en) Display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KR102116840B1 (en)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KR101156610B1 (en) Method for input controlling by using touch typ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controlling program using touch type
KR20140148490A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ed use of force sensing touch panels
KR102138913B1 (en) Method for processing input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11475063B (en) Shortcut key setting method for reading terminal, terminal and computer storage medium
TW201601048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US20140210729A1 (en) Gesture based user interface for use in an eyes-free mode
CN1038099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rtual screen
US20140215339A1 (en) Content navigation and selection in an eyes-free mode
KR20170072622A (en) Braille terminal
CN105117151B (en) A kind of operating method and terminal of display interface
KR102283360B1 (en) Method, apparatus and recovering medium for guiding of text edit position
JP6220429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ouch panel sensitivit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9329685B1 (en)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using force sensors
US11221757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40080814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using magnetic field, means and user terminal for the same
KR20200007526A (en) Mobile electric device of easily to operate
KR20160059079A (en) Applic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ing touch pressure
KR20150099888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