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223A - 응축기 - Google Patents

응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223A
KR20190085223A KR1020180003081A KR20180003081A KR20190085223A KR 20190085223 A KR20190085223 A KR 20190085223A KR 1020180003081 A KR1020180003081 A KR 1020180003081A KR 20180003081 A KR20180003081 A KR 20180003081A KR 20190085223 A KR20190085223 A KR 20190085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
tube
condenser
flow hol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5006B1 (ko
Inventor
유기백
심봉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180003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006B1/ko
Publication of KR20190085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0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 F28F1/02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with multiple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0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 F28F1/04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polygonal, e.g. rectang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유체가 유동하는 핀; 및 상기 핀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핀으로 유동하는 냉각유체로 열을 전달하는 냉매가 흐르는 복수개의 제1유동홀이 형성된 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제1유동홀은, 냉매가 흐르는 방향으로 본 단면의 형상이, 상기 핀 측보다 상기 핀의 반대측이 더 길게 형성된 사다리꼴의 형상인 응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에 의하면, 튜브에 형성된 유동홀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튜브를 통해 흐르는 냉매의 표면장력에 의한 열전달 효율의 저하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에 의하면, 튜브의 핀 측 모서리가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핀과 튜브가 서로 전면(全面)에서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튜브로부터 핀으로 열전달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응축기{Condenser}
본 발명은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기상태의 냉매를 냉각유체를 이용하여 응축시키는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응축기란 증기상태의 냉매를 냉각유체를 이용하여 응축시키는 장치를 의미한다. 응축기는, 펌프, 터빈 및 증발기와 함께 동력사이클에 사용되거나, 압축기, 교축밸브 및 증발기와 함께 냉동사이클에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응축기는 냉각유체의 종류에 따라 수냉식, 공랭식, 증발식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통상 공기를 이용한 공랭식 응축기가 널리 사용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응축기와 관련된 것으로서, 대한민국 출원특허 제10-1997-0008598호에서는, 공/수냉식 겸용 응축기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응축기는, 적어도 1개이상의 냉매홀과 상기 냉매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수가 흐르는 다수개의 워터홀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일체형 튜브와, 상기 각 일체형 튜브 사이에 설치되어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액체 상태의 냉매로 액화시키는 냉각핀으로 구성되어져 상기 냉매를 냉각시킨다.
이때, 상기 종래의 응축기는, 상기 워터홀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의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워터홀의 내면에 액막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응축기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형성된 액막에 의해 냉각핀으로부터 튜브의 냉각수로 열전달이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응축기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냉각핀과 튜브가 서로 마주보는 면 중 튜브의 모서리 부분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응축기에 의하면, 상기 냉각핀과 튜브의 접촉면적이 작게 유지되어, 상기 냉각핀으로부터 튜브의 냉각수로 열전달이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튜브를 통해 흐르는 냉각수의 표면장력에 의한 열전달 효율의 저하문제를 해결하고, 핀과 튜브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 튜브로부터 핀으로 열전달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의 응축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냉각유체가 유동하는 핀; 및 상기 핀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핀으로 유동하는 냉각유체로 열을 전달하는 냉매가 흐르는 복수개의 제1유동홀이 형성된 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제1유동홀은, 냉매가 흐르는 방향으로 본 단면의 형상이, 상기 핀 측보다 상기 핀의 반대측이 더 길게 형성된 사다리꼴의 형상인 응축기를 제공한다.
상기 튜브는, 상기 복수개의 제1유동홀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핀 측보다 상기 핀의 반대측이 더 짧게 형성된 사다리꼴의 형상인 복수개의 제2유동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동홀과 제2유동홀은, 사다리꼴의 형상이 서로 한 번씩 번갈아가며 뒤집힌 패턴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튜브에 교번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튜브는, 상기 제1 및 제2유동홀의 각 내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과 튜브는, 냉매가 흐르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 서로 마주보는 각 모서리가 직각으로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각 면이 전면(全面)에서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에 의하면, 튜브에 형성된 유동홀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튜브를 통해 흐르는 냉매의 표면장력에 의한 열전달 효율의 저하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에 의하면, 튜브의 핀 측 모서리가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핀과 튜브가 서로 전면(全面)에서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튜브로부터 핀으로 열전달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돌기의 크기에 따른 방열량 및 저항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돌기의 크기에 따른 방열량 및 저항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100)는, 핀(110)과 튜브(120)를 포함한다. 상기 핀(110)은, 상기 튜브(120)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유체가 유동한다. 상기 핀(110)으로 유동하는 냉각유체는 냉각수, 공기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냉각유체의 종류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100)는 수냉식, 공랭식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튜브(120)는, 내부로 냉매가 유동한다. 동력사이클의 경우 터빈을 통과한 냉매가 상기 튜브(120)로 유입되며, 냉동사이클의 경우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튜브(120)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핀(110)과 튜브(120)는 서로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핀(110)으로 유동하는 냉각유체는, 상기 튜브(120)의 내부로 유동하는 냉매로부터 열을 빼앗아 이를 냉각시킨다. 한편, 상기 튜브(12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냉매가 상기 핀(110)으로 유동하는 냉각유체에 의해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튜브(12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핀(110)으로 유동하는 냉각유체의 유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튜브(120)에는, 복수개의 제1유동홀(121), 제2유동홀(122) 및 돌기(123)가 형성된다. 상기 제1유동홀(121)은, 냉매가 흐르는 방향으로 본 단면의 형상이, 상기 핀(110)측보다 상기 핀(110)의 반대측이 더 길게 형성된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동홀(121)의 상기 핀(110) 측이 상기 핀(110)의 반대측보다 짧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핀(110)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냉매의 액막의 두께(A)보다 상기 핀(110)측에 형성되는 액막의 두께(B)가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튜브(120)는, 상기 튜브(120)의 냉매로부터 상기 핀(110)으로 열이 보다 더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유동홀(121)이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유동홀(121)의 내면 중, 상기 핀(110) 측과 상기 핀(110)의 반대측을 연결하는 상기 제1유동홀(121)의 나머지 두 개의 내면이, 상기 핀(110) 측과 상기 핀(110)의 반대측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유동홀(121)과 인접하는 제2유동홀(122)과의 접촉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튜브(120)는, 상기 제2유동홀(122)의 냉매에서 제1유동홀(121)의 냉매로 보다 더 원활하게 열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유동홀(121)의 냉매로 전달된 열이 상기 핀(110)으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동홀(122)은, 인접하는 상기 제1유동홀(121)과 제1유동홀(121)의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유동홀(122)은, 냉매가 흐르는 방향으로 본 단면의 형상이, 상기 핀(110) 측보다 상기 핀(110)의 반대측이 더 짧게 형성된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유동홀(121)과 제2유동홀(122)은 사다리꼴의 형상이 서로 한 번씩 번갈아가며 뒤집힌 패턴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튜브(120)에 교번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유동홀(121)의 상기 제2유동홀(122) 측 내면과, 상기 제2유동홀(122)의 상기 제1유동홀(121) 측 내면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유동홀(122)의 냉매로부터 상기 제1유동홀(121)의 냉매로 유입된 열이 상기 핀(110)으로 보다 더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제1유동홀(121)의 냉매로부터 상기 제2유동홀(122)의 냉매로 유입된 열이 상기 핀(110)으로 보다 더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돌기(123)는, 상기 제1 및 제2유동홀(121,122)의 각 내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기(123)가 상기 제1 및 제2유동홀(121,122)의 내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유동홀(121,122)을 따라 유동하는 냉매가 상기 튜브(120)의 내부와 접촉하게 되는 면적이 커지게 되며, 상기 제1 및 제2유동홀(121,122)을 따라 유동하는 냉매의 저항은 커지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유동홀(121,122)의 냉매는, 인접하는 다른 제1 및 제2유동홀(121,122)로부터 보다 더 원활하게 열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돌기(123)의 크기는, 도 2에 도시된 그래프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그래프는 상기 돌기(123)의 크기(X축)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유동홀(121,122)의 방열량(Q) 및 상기 제1 및 제2유동홀(121,122)을 따라 유동하는 냉매의 저항(R)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123)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유동홀(121,122)의 방열량(Q)은 점점 커지다가 작아짐에 반해, 상기 제1 및 제2 유동홀(121,122)을 따라 유동하는 냉매의 저항(R)은 점점 작아지다가 커진다. 따라서 상기 돌기(123)의 크기는, 상기 방열량(Q)의 값이 최대가 될 때의 상기 돌기(123)의 크기를 선택하여, 상기 제1 및 제2유동홀(121,122)의 내면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핀(110)과 튜브(120)는, 냉매가 흐르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 서로 마주보는 각 모서리가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핀(110)과 튜브(120)는, 서로 마주보는 각 면의 전면(全面)이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상기 튜브(120)의 각 모서리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핀과 접촉되는 면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게 유지되어, 튜브로부터 핀으로 전달되는 열의 양을 최대화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100)와 같이, 상기 튜브(120)의 각 모서리가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핀(110)과 튜브(120)의 접촉면의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어, 상기 튜브(120)로부터 핀(110)으로 전달되는 열의 양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100)에 의하면, 튜브(120)에 형성된 유동홀(121,122)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튜브(120)의 내부로 흐르는 냉매의 표면장력에 의한 열전달 효율의 저하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100)에 의하면, 튜브(120)의 핀(110) 측 모서리가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핀(110)과 튜브(120)가 서로 전면(全面)에서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튜브(120)로부터 핀(110)으로 열전달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100 : 응축기 110 : 핀
120 : 튜브 121 : 제1유동홀
122 : 제2유동홀 123 : 돌기

Claims (5)

  1. 냉각유체가 유동하는 핀; 및
    상기 핀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핀으로 유동하는 냉각유체로 열을 전달하는 냉매가 흐르는 복수개의 제1유동홀이 형성된 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제1유동홀은, 냉매가 흐르는 방향으로 본 단면의 형상이, 상기 핀 측보다 상기 핀의 반대측이 더 길게 형성된 사다리꼴의 형상인 응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복수개의 제1유동홀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핀 측보다 상기 핀의 반대측이 더 짧게 형성된 사다리꼴의 형상인 복수개의 제2유동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동홀과 제2유동홀은, 사다리꼴의 형상이 서로 한 번씩 번갈아가며 뒤집힌 패턴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튜브에 교번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제1 및 제2유동홀의 각 내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과 튜브는, 냉매가 흐르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 서로 마주보는 각 모서리가 직각으로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각 면이 전면(全面)에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KR1020180003081A 2018-01-10 2018-01-10 응축기 KR102565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081A KR102565006B1 (ko) 2018-01-10 2018-01-10 응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081A KR102565006B1 (ko) 2018-01-10 2018-01-10 응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223A true KR20190085223A (ko) 2019-07-18
KR102565006B1 KR102565006B1 (ko) 2023-08-10

Family

ID=6746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081A KR102565006B1 (ko) 2018-01-10 2018-01-10 응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0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988A (ko) * 2003-09-05 2005-03-11 (주) 비에프티 급냉식 열교환기
JP2005083733A (ja) * 2003-09-04 2005-03-31 Lg Electronics Inc フラットチューブ型熱交換器
KR20090049178A (ko) * 2007-11-13 2009-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열교환기용 튜브 및 이를 이용한 열교환기
KR20150030201A (ko) * 2012-06-13 2015-03-19 가부시키가이샤 유에이씨제이 핀·앤드·튜브형 열 교환기용 전열관 및 그것을 사용한 핀·앤드·튜브형 열 교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3733A (ja) * 2003-09-04 2005-03-31 Lg Electronics Inc フラットチューブ型熱交換器
KR20050024988A (ko) * 2003-09-05 2005-03-11 (주) 비에프티 급냉식 열교환기
KR20090049178A (ko) * 2007-11-13 2009-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열교환기용 튜브 및 이를 이용한 열교환기
KR20150030201A (ko) * 2012-06-13 2015-03-19 가부시키가이샤 유에이씨제이 핀·앤드·튜브형 열 교환기용 전열관 및 그것을 사용한 핀·앤드·튜브형 열 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006B1 (ko) 2023-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8999A2 (en) Refrigeration cycle of refrigerator
EP2869000A1 (en) Refrigeration cycle of refrigerator
JPWO2014125566A1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7117093B2 (ja) 冷蔵庫
KR20140110492A (ko) 냉매 배관과, 이를 포함하는 핀형 열교환기 및 공기조화기
EP2918958B1 (en) Plate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provided with plate heat exchanger
KR20190085223A (ko) 응축기
JP2005090852A (ja) 熱輸送装置
US20210108864A1 (en)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unit,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CN215370320U (zh) 一种散热风扇结构
KR102069804B1 (ko) 열교환기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장치
JP6987227B2 (ja)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21050868A (ja) 熱交換器
JP2007333320A (ja) 熱交換器
CN215597674U (zh) 电控盒及空调室外机
JP2019184133A (ja) 熱交換器
US11976856B2 (en) Shell and plate heat exchanger for water-cooled chiller and water-cooled chiller including the same
JP7296264B2 (ja) 熱交換器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2222507B1 (ko) 열교환기
KR200169554Y1 (ko) 열교환기용 파이프
KR20180106224A (ko) 열교환기
JPS6252238B2 (ko)
WO2020012548A1 (ja) 熱交換器、熱交換器ユニット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3294384A (ja) 空気調和機用フィン付き熱交換器
US20220221232A1 (en) Heat exc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