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816A -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84816A KR20190084816A KR1020180002988A KR20180002988A KR20190084816A KR 20190084816 A KR20190084816 A KR 20190084816A KR 1020180002988 A KR1020180002988 A KR 1020180002988A KR 20180002988 A KR20180002988 A KR 20180002988A KR 20190084816 A KR20190084816 A KR 201900848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ge
- chamfer
- movement guide
- holder
- p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25—Orientation of the art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케이지와 접촉하면서 케이지의 특정 테두리에의 챔퍼 형상 유무를 판별하는 챔퍼 형상 판별부; 상면에 케이지가 거치되고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거치된 케이지를 일측 혹은 타측으로 낙하시키는 케이지 거치대; 상기 케이지 거치대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케이지 거치대로부터 낙하한 케이지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 상기 챔퍼 형상 판별부에 의하여 챔퍼가 케이지의 특정 테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와 특정 테두리에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도 모두 케이지가 상기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에 동일한 배치상태로 수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지 거치대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을 제공하여, 각 케이지 가공 수행시, 기준면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케이지 가공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에 의하면, 케이지 거치대의 회전만으로 챔퍼가 형성된 면이 일정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케이지를 정렬하므로 공정투자비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공정에 걸리는 시간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에 의하면, 케이지 거치대의 회전만으로 챔퍼가 형성된 면이 일정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케이지를 정렬하므로 공정투자비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공정에 걸리는 시간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지 상측에 챔퍼형상의 유무를 판단하여 챔퍼형상이 존재하는 기준면이 이동통로 내에서 항상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케이지를 정렬하는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인트는 회전축의 각도가 서로 다른 회전축에 회전동력(토크)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력전달각도가 작은 추진축의 경우에는 후크 조인트, 플렉시블 조인트 등이 사용되고, 동력전달 각도가 큰 전륜 구동차의 구동축의 경우에는 등속 조인트가 사용된다.
상기 등속 조인트는 구동축과 피동축의 교차각이 큰 경우에도 등속으로 원활하게 동력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독립 현가 방식의 전륜 구동차의 액슬축에 주로 사용되며, 샤프트를 중심으로 엔진측(인보드측)은 트라이포드 타입 조인트로 이루어지고, 샤프트를 중심으로 타이어측(아웃보드측)은 볼타입 조인트로 이루어진다.
샤프트를 중심으로 바퀴측(아웃보드측)에 설치되어 있는 볼타입 조인트의 구성은, 한국 공개특허 10-2011-012510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트라이포드 타입 조인트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되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일단에 연결 설치되는 내륜과, 상기 내륜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륜과, 외륜에 전달하기 위한 다수개의 볼과, 볼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지와, 외륜의 외부에 설치되는 센서링과, 상기 샤프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외륜에 일단이 연결되는 부트와, 상기 부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핑 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이와 같은 등속조인트에 사용되는 케이지는, 조립의 용이성을 위하여 일측의 테두리에 경사면을 갖는데 이를 챔퍼라고 한다.
도 1은 케이지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지(C)는 일측의 테두리의 내측면에 챔퍼(P)를 구비한다.
다른 한편으로, 일측에 챔퍼(P)를 구비하는 다수의 케이지(C)는 후속 공정(예, 기계 가공 공정)을 위하여, 챔퍼(P)가 구비된 면이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해당면이 기준면이 되도록 정렬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챔퍼(P)가 형성된 면이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자동으로 정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한국 등록특허 제10-1670900호(2016.10.25)를 통해 제시한 바 있다.
상기 한국 등록특허 제10-1670900호에서 제시한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챔퍼 형상 판별부에서 케이지 상측에 챔퍼 형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케이지 이동부를 이용하여 케이지를 이동 안내통로로 낙하시키고, 챔퍼 형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케이지 이동부 및 받침대를 이용하여 케이지를 반대편으로 이동시킨 후에 케이지를 이동 안내통로로 낙하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케이지 이동부와 받침대를 각각 병진운동하도록 해야하기 때문에 실린더가 2개가 필요하고, 챔퍼 형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케이지를 반대편으로 이동시킨 후에 케이지를 이동 안내통로로 낙하시키기 때문에 공정에 시간이 걸릴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공정투자비 및 공정에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및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지의 상측에 챔퍼가 형성되어 있는지 판별하되, 케이지 챔퍼의 위치 상태와 무관하게 케이지의 챔퍼가 이동 통로 내부에서 항상 동일한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하되, 공정투자비 및 공정에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케이지 기준면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는, 케이지와 접촉하면서 케이지의 특정 테두리에의 챔퍼 형상 유무를 판별하는 챔퍼 형상 판별부; 상면에 케이지가 거치되고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거치된 케이지를 일측 혹은 타측으로 낙하시키는 케이지 거치대; 상기 케이지 거치대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케이지 거치대로부터 낙하한 케이지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 상기 챔퍼 형상 판별부에 의하여 챔퍼가 케이지의 특정 테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와 특정 테두리에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도 모두 케이지가 상기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에 동일한 배치상태로 수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지 거치대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챔퍼 형상 판별부에 의하여 챔퍼가 케이지의 특정 테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지 거치대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 중 어느 하나의 제1이동안내통로로 낙하하도록 하고, 챔퍼가 케이지의 특정테두리에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지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 중 다른 하나의 제1이동안내통로로 낙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는, 상기 케이지 거치대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케이지 거치대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에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케이지 거치대의 일측에 형성되는 링크, 상기 링크에 연결되어 상하이동함으로써 상기 케이지 거치대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린더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케이지 거치대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에서, 상기 챔퍼 형상 판별부는,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케이지의 테두리 내측과 접촉하는 경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경사면이 케이지의 테두리 내측과 접촉하는 높이에 따라 케이지의 챔퍼형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는, 상기 케이지 거치대의 회전에 의해 케이지가 상기 이동 안내 통로로 하강하면, 다른 하나의 케이지를 상기 케이지 거치대의 상면에 거치시키는 케이지 공급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는, 복수의 케이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지 공급통로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케이지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케이지 공급통로로 공급하는 케이지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는, 상기 한 쌍의 이동안내통로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를 지나온 케이지들이 일렬로 정렬되도록하는 제2이동안내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에서, 상기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는, 낙하한 케이지가 굴러서 이동가능하도록 바닥의 수직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구름 안내부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은, 챔퍼가 형성된 케이지를 케이지 거치대로 이동시킨는 케이지 준비단계; 챔퍼 형상 판별부에 의해 케이지 상측의 챔퍼 형상 유무를 판단하는 챔퍼 형상 유무 판단단계; 및 상기 챔퍼 형상 유무 판단단계에서 케이지 상측에 챔퍼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케이지 거치대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 중 어느 하나의 제1이동안내통로로 낙하시키거나, 상기 챔퍼 형상 유무 판단단게에서 케이지 상측에 챔퍼가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케이지 거치대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 중 다른 하나의 제1이동안내통로로 낙하시키는 케이지 낙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은, 상기 케이지 낙하단계이후, 상기 케이지 거치대를 타방향 또는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케이지 거치대를 수평상태가 되도록 하는 케이지 거치대 원위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에 의하면, 케이지의 상측에 챔퍼가 있는 경우에는 일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케이지를 낙하시키고, 케이지의 상측에 챔퍼가 없는 경우에는 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케이지를 낙하시킴으로써, 챔퍼가 형성된 면이 일정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챔퍼가 있는 면이 기계적 가공의 기준면이 되는 경우, 각 케이지 가공 수행시, 기준면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케이지 가공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에 의하면, 케이지 거치대의 회전만으로 챔퍼가 형성된 면이 일정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케이지를 정렬하므로 공정투자비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공정에 걸리는 시간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케이지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의 개략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의 개략 정면도.
도 5는 도 3의 A-A'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6의 (a) 및 (b)는 챔퍼 형상 판별부 의해 케이지의 상측에 챔퍼가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케이지 거치대로부터 케이지가 제1이동안내통로로 낙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의 개략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의 개략 정면도.
도 5는 도 3의 A-A'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6의 (a) 및 (b)는 챔퍼 형상 판별부 의해 케이지의 상측에 챔퍼가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케이지 거치대로부터 케이지가 제1이동안내통로로 낙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의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100)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100)의 개략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100)의 개략 정면도, 도 5는 도 3의 A-A'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 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100)는 케이지(C)의 특정 테두리에서의 챔퍼(C) 형상 유무를 판별하는 챔퍼 형상 판별부(110), 상면에 케이지(C)가 거치되는 케이지 거치대(120),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130),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140), 상기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140)가 각각 연결되어 합쳐지는 제2이동안내통로(150),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로 케이지(C)를 공급하는 케이지 공급통로(160), 및 다수의 케이지(C)를 저장하고 상기 케이지 공급통로(160)로 케이지(C)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케이지 저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챔퍼 형상판별부(110) 및 상기 회전수단(130)을 움직이는 액츄에이터들과 연결되어, 케이지(C)의 상측에 챔퍼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챔퍼 형상 판별부(110)는 하부에 환형(環形)으로 형성되어 케이지(C)의 테두리 내측과 접촉하는 경사면(111)을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챔퍼 형상 판별부(110)는 상하로 이동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면(111)이 케이지(C)의 테두리 내측과 접촉하는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챔퍼 형상 판별부(110)는 케이지(C)의 상측에 챔퍼(P)가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도 6의 (a) 및 (b)는 챔퍼 형상 판별부(110)에 의해 케이지(C)의 상측에 챔퍼(P)가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의(a)는 케이지(C)의 상측에 챔퍼(P)가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도 5의(a)를 참조하면, 챔퍼 형상 판별부9110)에 형성된 경사면(111)이 케이지(C)의 내측 테두리에 형성된 챔퍼(P)에 맞닿게 된다.
이때에, 상기 챔퍼 형상 판별부(110)의 경사면(111)이 케이지(C)의 내측 테두리에 접촉할 때의 높이는 H로 측정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b)는 케이지(C)의 상측에 챔퍼(P)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다시 말하면 케이지(C)의 하측에 챔퍼(P)가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에, 도 5의(b)를 참조하면, 상기 챔퍼 형상 판별부(110)에 형성된 경사면(111)은 케이지(C)의 내측 테두리의 모서리부분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경사면(111)이 케이지(C)의 내측 테두리에 접촉할 때의 높이는 H'로 측정될 수 있으며, H'는 H보다 큰 수치를 나타내게 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챔퍼 형상 판별부(110)는, 상기 경사면(111)이 케이지(C)의 내측 테두리에 접촉할 때의 높이가 H이면 챔퍼(P)가 케이지(C)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경사면(111)이 케이지(C)의 내측 테두리에 접촉할 때의 높이가 H'이면 챔퍼(P)가 케이지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
다시 말해서, 상기 챔퍼 형상 판별부(110)는 측정된 높이가 H이면 케이지(C)의 상측에 챔퍼(P)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하고, 측정된 높이가 H'이면 케이지(C)의 하측에 챔퍼(P)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케이지 거치대(120)는 상면에 케이지(C)가 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의 상면에 케이지(C)가 올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는 하부 중앙에 회전샤프트(121)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샤프트(121)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는 상면에 놓여진 케이지(C)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회전수단(130)은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회전수단(130)은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의 일측에 형성되는 링크(132)와 상기 링크(132)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실린더(131)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실린더(131)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링크(132)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의 일측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는 상기 회전샤프트(121)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실린더(131)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링크(132)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의 일측이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는 상기 회전샤프트(121)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140)는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의 하부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140)는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의 일측 하부에 어느 하나의 제1이동안내통로(140b)가 위치하고,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의 타측 하부에 다른 하나의 제1이동안내통로(140b)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140)는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로부터 낙하한 케이지(C)가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7은 케이지 거치대(120)로부터 케이지(C)가 제1이동안내통로(140)로 낙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실린더(131)가 상승하여 링크(132)가 형성된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의 일측을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면,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의 상면에 위치해 있던 케이지(C)는 상기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140) 중 타측에 위치한 제1이동안내통로(140a)로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제1이동안내통로(140a, 140b)는 낙하한 케이지(C)가 굴러서 이동하도록 바닥면의 수직단면이 원호형상으로 라운드 형성된 구름안내부(141)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이동안내통로(140a, 140b)는 상기 구름안내부(141)를 구비함으로써, 낙하한 케이지(C)가 상기 구름안내부(141)를 따라 중력에 의해 굴러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b)를 참조하면, 실린더(131)가 하강하여 링크(132)가 형성된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의 일측을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면,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의 상면에 위치해 있던 케이지(C)는 상기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140) 중 일측에 위치한 제1이동안내통로(140b)로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로 낙하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챔퍼 형상 판별부(110)에 의해 챔퍼(P)가 케이지(C)의 특정테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상기 실린더(131)가 상승하도록 하고, 챔퍼(P)가 케이지(C)의 특정테두리에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상기 실린더(131)가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챔퍼 형상 판별부(110)에 의해 상기 케이지(C)의 상부 테두리에 챔퍼(P)가 형성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도 7의 (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131)를 하강시켜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를 일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케이지(C)를 상기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140) 중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제1이동안내통로(140b)로 낙하시켜 케이지(C)에 형성된 챔퍼(P)가 일측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챔퍼 형상 판별부(110)에 의해 상기 케이지(C)의 상부 테두리에 챔퍼(P)가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도 7의 (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131)를 상승시켜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를 타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케이지(C)를 상기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140) 중 타측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제1이동안내통로(140a)로 낙하시켜 케이지(C)에 형성된 챔퍼(P)가 일측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챔퍼 형상 판별부에 의하여 챔퍼(P)가 케이지(C)의 특정 테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와 특정 테두리에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도 모두 케이지(C)가 상기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에 챔퍼(P)가 동일한 방향으로 향한 상태로 수용되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제2이동안내통로(150)는 상기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140)가 하나로 합쳐지는 이동안내통로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2이동안내통로(150)는 상기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를 지나온 케이지들이 일렬로 정렬되도록 하나로 합쳐진 안내통로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챔퍼(P)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케이지(C)들이 일렬로 정렬되어 하나식 차례차례로 후속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케이지 공급통로(170)는,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의 상면에 있던 케이지(C)가 상기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140) 중 어느 하나의 제1이동안내통로(140a, 140b)로 낙하하면, 다른 하나의 케이지(C)를 다시 수평상태가 된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의 상면에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지 공급통로(170)는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의 상면에 지속적으로 케이지(C)를 공급할 수 있다.
케이지 저장부(170)는, 복수의 케이지(C)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지 공급통로(160)와 연결되어, 복수의 케이지(C)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케이지 공급통로(160)로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S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S100)의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S100)은, 케이지 준비단계(S110), 챔퍼 형상 유무 판단단계(S120), 케이지 낙하단계(S130), 및 케이지 거치대 원위치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지 준비단계(S110)는 케이지(C)를 케이지 거치대(120)의 상면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케이지 준비단계(S110)는 케이지(C)를 챔퍼 형상 판별부(110)의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챔퍼 형상 판별부(110)가 하강하여 케이지(C)의 상측에 챔퍼(P)가 형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단계일 수 있다.
챔퍼 형상 유무 판단단계(S120)는, 챔퍼 형상 판별부(110)를 하강시켜 경사면(111)을 케이지(C)의 테두리 내측에 접촉시켜, 챔퍼(P)가 형성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챔퍼 형상 유무 판단단계(S120)는 챔퍼 형상 판별부(110)에 구비된 경사면(111)이 케이지(C)의 테두리 내측에 닿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으면 챔퍼(P)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경사면(111)이 케이지(C)의 테두리 내측에 닿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으면 챔퍼(P)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케이지 낙하단계(S130)는 케이지 거치대(120)를 회전시켜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140) 중 어느 하나의 제1이동안내통로(140a, 140b)로 낙하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지 낙하단계(S130)는 상기 챔퍼 형상 유무 판단단계(S120)에서 케이지(C) 상측에 챔퍼(P)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한 쌍의 이동안내통로(140) 중 어느 하나의 제1이동안내통로(140b)로 낙하시키거나, 케이지(C) 상측에 챔퍼(P)가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140) 중 다른 하나의 제1이동안내통로(140a)로 낙하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케이지(C)의 챔퍼(P)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140)에 케이지(C)가 배치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케이지 거치대 원위치 단계(S140)는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를 타방향 또는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를 수평상태로 되돌리는 단계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이후 다른 케이지(C)가 상기 케이지 거치대(120)의 상면에 올려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며으이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100) 및 이를 이용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S100)에 의하면, 케이지(C)의 상측에 챔퍼(P)가 형성된 경우에는 케이지 거치대(120)를 일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케이지(C)가 일방향(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140) 중 어느 하나의 제1이동안내통로(140b)로 낙하하도록 하고, 케이지(C)의 상측에 챔퍼(P)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케이지 거치대(120)를 타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케이지(C)가 타방향(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한 상의 제1이동안내통로(140) 중 다른 하나의 제1이동안내통로(140a)로 낙하하도록 함으로써, 챔퍼(P)가 형성된 면이 우측, 즉 일정한 방향을 향하도록 케이지(C)를 정렬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100) 및 이를 이용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S100)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좌측, 우측 등의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사용자의 보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임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케이지(C)의 상측에 챔퍼(P)가 형성된 경우에 케이지 거치대(120)를 일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케이지(C)의 상측에 챔퍼(P)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케이지 거치대(120)를 일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110: 챔퍼 형상 판별부 111: 경사면
120: 케이지 거치대 121: 회전샤프트
130: 회전수단 131: 실린더
132: 링크 140: 제1이동안내통로
150: 제2이동안내통로 160: 케이지 공급통로
170: 케이지 저장부
110: 챔퍼 형상 판별부 111: 경사면
120: 케이지 거치대 121: 회전샤프트
130: 회전수단 131: 실린더
132: 링크 140: 제1이동안내통로
150: 제2이동안내통로 160: 케이지 공급통로
170: 케이지 저장부
Claims (11)
- 케이지와 접촉하면서 케이지의 특정 테두리에의 챔퍼 형상 유무를 판별하는 챔퍼 형상 판별부;
상면에 케이지가 거치되고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거치된 케이지를 일측 혹은 타측으로 낙하시키는 케이지 거치대;
상기 케이지 거치대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케이지 거치대로부터 낙하한 케이지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
상기 챔퍼 형상 판별부에 의하여 챔퍼가 케이지의 특정 테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와 특정 테두리에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도 모두 케이지가 상기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에 동일한 배치상태로 수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지 거치대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챔퍼 형상 판별부에 의하여 챔퍼가 케이지의 특정 테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지 거치대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 중 어느 하나의 제1이동안내통로로 낙하하도록 하고, 챔퍼가 케이지의 특정테두리에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지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 중 다른 하나의 제1이동안내통로로 낙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거치대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케이지 거치대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케이지 거치대의 일측에 형성되는 링크, 상기 링크에 연결되어 상하이동함으로써 상기 케이지 거치대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린더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케이지 거치대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 형상 판별부는,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케이지의 테두리 내측과 접촉하는 경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경사면이 케이지의 테두리 내측과 접촉하는 높이에 따라 케이지의 챔퍼형상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거치대의 회전에 의해 케이지가 상기 이동 안내 통로로 하강하면, 다른 하나의 케이지를 상기 케이지 거치대의 상면에 거치시키는 케이지 공급통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케이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지 공급통로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케이지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케이지 공급통로로 공급하는 케이지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동안내통로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를 지나온 케이지들이 일렬로 정렬되도록하는 제2이동안내통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는, 낙하한 케이지가 굴러서 이동가능하도록 바닥의 수직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구름 안내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 챔퍼가 형성된 케이지를 케이지 거치대로 이동시킨는 케이지 준비단계;
챔퍼 형상 판별부에 의해 케이지 상측의 챔퍼 형상 유무를 판단하는 챔퍼 형상 유무 판단단계; 및
상기 챔퍼 형상 유무 판단단계에서 케이지 상측에 챔퍼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케이지 거치대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 중 어느 하나의 제1이동안내통로로 낙하시키거나,
상기 챔퍼 형상 유무 판단단게에서 케이지 상측에 챔퍼가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케이지 거치대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한 쌍의 제1이동안내통로 중 다른 하나의 제1이동안내통로로 낙하시키는 케이지 낙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낙하단계이후, 상기 케이지 거치대를 타방향 또는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케이지 거치대를 수평상태가 되도록 하는 케이지 거치대 원위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2988A KR102051659B1 (ko) | 2018-01-09 | 2018-01-09 |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2988A KR102051659B1 (ko) | 2018-01-09 | 2018-01-09 |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4816A true KR20190084816A (ko) | 2019-07-17 |
KR102051659B1 KR102051659B1 (ko) | 2020-01-08 |
Family
ID=67512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2988A KR102051659B1 (ko) | 2018-01-09 | 2018-01-09 |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1659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71736A (ja) * | 1992-12-10 | 1994-06-21 | Riso Kagaku Corp | 部品整列装置 |
JP2001130725A (ja) * | 1999-10-29 | 2001-05-15 | Omine Kogyo Kk | コンベアの排出シュート |
JP3823261B2 (ja) * | 1995-12-28 | 2006-09-20 | カゴメ株式会社 | 人参等の選別及び整列方法とその装置 |
KR101670900B1 (ko) | 2016-08-22 | 2016-10-31 |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 |
-
2018
- 2018-01-09 KR KR1020180002988A patent/KR10205165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71736A (ja) * | 1992-12-10 | 1994-06-21 | Riso Kagaku Corp | 部品整列装置 |
JP3823261B2 (ja) * | 1995-12-28 | 2006-09-20 | カゴメ株式会社 | 人参等の選別及び整列方法とその装置 |
JP2001130725A (ja) * | 1999-10-29 | 2001-05-15 | Omine Kogyo Kk | コンベアの排出シュート |
KR101670900B1 (ko) | 2016-08-22 | 2016-10-31 |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51659B1 (ko) | 2020-01-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698383B (zh) | 物品搬送設備 | |
KR100217870B1 (ko) | 웨이퍼 연마 방법 및 장치 | |
KR101209608B1 (ko) | 변속기용 기어 조립 시스템 | |
EP1612182B1 (en) | Overhead travelling carriage | |
US6652216B1 (en) | 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a semiconductor wafer position | |
CN106132678A (zh) | 卸载系统和用于卸载轮胎胎面承载件的方法 | |
US20130270759A1 (en) | Device for blocking eyeglass lenses | |
CN104551902A (zh) | 基板处理装置及基板处理方法 | |
KR101670900B1 (ko) |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 | |
KR100485439B1 (ko) | 현수 반송설비와 그 학습장치 | |
JP2006310709A (ja) | 半導体ウェハ保持装置及び方法 | |
KR102416323B1 (ko) | 액체류 넘침방지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음식물 운송기구 | |
KR20200007897A (ko) | 처리 기구 및 그 처리 방법 | |
KR20190084816A (ko) |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지 기준면 위치 조정방법 | |
CN106558521A (zh) | 传送单元、用于处理衬底的装置和用于处理衬底的方法 | |
CN105983987A (zh) | 微控制保护膜切割装置 | |
EP0911114B1 (en) | Polishing apparatus | |
JP2006242676A (ja) | 外径測定装置、及び測定子 | |
JP5150003B1 (ja) | ロール体取扱システム、ロール体供給方法およびロール体搬送装置 | |
KR200367334Y1 (ko) | 렌즈 조립 장치 | |
KR102411231B1 (ko) | 기판이송장치의 가이드롤러 | |
JP2022184395A (ja) | 加工装置 | |
JP5379199B2 (ja) | ロール体搬送装置 | |
JP4053275B2 (ja) | 無人搬送車 | |
KR100756916B1 (ko) | 티피엠에스 밸브 자동 체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