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697A - 하도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하도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697A
KR20190084697A KR1020180002761A KR20180002761A KR20190084697A KR 20190084697 A KR20190084697 A KR 20190084697A KR 1020180002761 A KR1020180002761 A KR 1020180002761A KR 20180002761 A KR20180002761 A KR 20180002761A KR 20190084697 A KR20190084697 A KR 20190084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resin
parts
weight
coating film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세준
김준용
조익재
김동건
양영만
박순종
박순규
장명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80002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4697A/ko
Publication of KR20190084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69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가 크롬이 도금된 도금면에 도장되는 하도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도 도료 조성물{PRIMER COAT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3가 크롬 도금면 상에 도장되는 하도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 부품(예를 들어, 라디에이터 그릴, 도어 손잡이, 핸들, 센터페시아, 기어박스 등)에는 수려한 외관이 부여되도록 6가 크롬(Cr)이 도금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6가 크롬은 암을 유발시키는 RoHS(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rance)의 6대 규제물질에 포함되며 부식성 문제가 유발되고 있어, 3가 크롬 도금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3가 크롬 도금은 6가 크롬 도금보다 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자동차 부품에 고급스러우면서도 어두운(dark) 거울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3가 크롬이 도금된 도금면의 보호 및 그 외관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하도 도료를 이용한 도장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3가 크롬이 도금된 도금면에 종래의 하도 도료로 도장 시 도막의 부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도막의 내수성, 내후성, 고압세차성, 내치핑성 등도 열악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3가 크롬 도금면 상에 도장되면서 부착성, 내수성, 내후성, 고압세차성, 내치핑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하도 도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13093호
본 발명은 부착성, 내수성, 내후성, 고압세차성, 내치핑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하도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가지형(branch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 선형(linear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 안료 및 용제를 포함하는 하도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가지형(branch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는 수평균분자량이 8,000 내지 12,000이고,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60 ℃일 수 있다.
상기 선형(linear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는 수평균분자량이 15,000 내지 25,000이고,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50 ℃일 수 있다.
상기 선형(linear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는 수평균분자량이 15,000 내지 20,000이고, 유리전이온도가 10 내지 30 ℃일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아로마틱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 또는 에테르계 용제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하도 도료 조성물은 분산제, 증점제 및 경화촉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도 도료 조성물은 구조가 상이한 2종의 폴리에스터 수지를 포함함에 따라 이를 3가 크롬의 도금면 상에 도장 시 부착성, 내수성, 내후성, 고압세차성, 내치핑성 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도 도료 조성물은 가지형(branch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 선형(linear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 안료 및 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도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지형(branch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는 하도 도료 조성물로 형성되는 도막의 부착성, 고압세차성 및 내치핑성 등을 높이는 역할을 하다. 이러한 가지형(branch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로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분자 내 가지형(branch type) 구조를 갖는 폴리에스터,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에스터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우레탄, 탄화수소 폴리우레탄, 지방족 폴리우레탄, 방향족 폴리우레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지형(branch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는 유기산과 알코올계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데, 유기산 또는 알코올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는 관능기가 3개 이상이다.
상기 가지형(branch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는 수평균분자량(Mn)이 8,000 내지 12,000이고, 유리전이온도(Tg)가 40 내지 6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수평균분자량과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가지형(branch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포함하는 하도 도료 조성물은 도막의 부착성, 고압세차성 및 내치핑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가지형(branch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의 함량은 하도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내지 3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가지형(branch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도막의 부착성, 고압세차성 및 내치핑성 등이 저하될 수 있고,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막의 내수성이 저하되거나 도막의 박리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도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선형(linear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는 하도 도료 조성물로 형성되는 도막의 내수성 및 외관 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선형(linear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로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분자 내 선형(linear) 구조를 갖는 폴리에스터,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에스터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우레탄, 탄화수소 폴리우레탄, 지방족 폴리우레탄, 방향족 폴리우레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선형(linear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는 유기산과 알코올계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데, 유기산과 알코올계 화합물의 관능기는 1개 또는 2개이다.
상기 선형(linear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는 수평균분자량(Mn)이 15,000 내지 25,000이고, 유리전이온도(Tg)가 0 내지 50 ℃일 수 있고, 또는 예를 들어 수평균분자량(Mn)이 15,000 내지 20,000이고, 유리전이온도가 10 내지 3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수평균분자량과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선형(linear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포함하는 하도 도료 조성물은 도막의 내수성 및 외관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선형(linear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의 함량은 하도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내지 3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선형(linear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도막의 내수성이 저하되거나 외관이 불량해질 수 있고, 3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막의 고압세차성이 저하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도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안료는 도막에 색상을 부여하거나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료는 예를 들어 흑색 안료, 백색 안료, 체질 안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도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흑색 안료는 도막에 색상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흑색 안료로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성분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카본 블랙, 흑연, 산화철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흑색 안료의 함량은 하도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3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흑색 안료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도막에 요구되는 색상을 부여하기 어려울 수 있고, 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막의 외관이 불량해지거나 필요 이상으로 사용되어 하도 도료 조성물의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도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백색 안료는 도막에 색상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백색 안료로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성분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산화티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백색 안료의 함량은 하도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백색 안료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도막에 요구되는 색상을 부여하기 어렵거나 도막의 내수성이 저하될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막의 내치핑성 및 고압세차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도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체질 안료는 도막의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체질 안료로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성분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탈크, 탄산칼슘, 황산바륨, 칼슘실리케이트, 실리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체질 안료의 함량은 하도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체질 안료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도막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막의 내치핑성 및 고압세차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안료의 함량은 하도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1 내지 23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안료의 함량이 1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도막의 외관이 불량해지거나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2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막의 내치핑성 및 고압세차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도막의 내수성을 고려할 때, 바인더 수지(상기 가지형(branch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와 상기 선형(linear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 대비 25 내지 40 부피%(고형분 기준)로 하도 도료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도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제는 하도 도료 조성물의 점도 및 분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용제는 예를 들어 아로마틱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 또는 에테르계 용제일 수 있다.
상기 아로마틱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는 예를 들어 자일렌, 톨루엔 코코졸100,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상기 에테르계 용제는 예를 들어 디-n-부틸에테르, 디-이소부틸에테르, 디-sec-부틸에테르, 디-n-펜틸에테르, 디이소펜틸에테르, 디-sec-펜틸에테르, 디-tert-아밀에테르, 디-n-헥실에테르, 메틸시클로펜틸에테르, 메틸시클로헥실에테르, 메틸페닐에테르, 메틸벤질에테르, 에틸시클로펜틸에테르, 에틸시클로헥실에테르, 에틸페닐에테르, 에틸벤질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용제의 함량은 하도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5 내지 4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용제의 함량이 2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하도 도료 조성물의 점도 제어가 어렵거나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고,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막의 외관이 불량해지거나 도막의 형성에 장시간이 소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하도 도료 조성물은 그 물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분산제, 증점제 및 경화촉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도 도료 조성물에 더 포함되는 분산제는 하도 도료 조성물의 분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분산제로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성분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변성 폴리우레탄(Modified Polyurethane), 폴리카르복실산 폴리에스터입, 알킬암모늄염 화합물, 아크릴계 화합물,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산제의 함량은 하도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분산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하도 도료 조성물의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고, 2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막의 고압세차성, 내치핑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도 도료 조성물에 더 포함되는 증점제는 하도 도료 조성물의 점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증점제로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성분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흄드 실리카(Fumed silica), 기점토(organo clay), 실리카, 왁스, 우레아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증점제의 함량은 하도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증점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하도 도료 조성물의 점도 제어가 어려울 수 있고, 2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하도 도료 조성물의 고점도화로 인해 도장 작업성이 떨어지거나 도막의 외관이 불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도 도료 조성물에 더 포함되는 경화촉진제는 하도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지형(branch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와 선형(linear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의 경화반응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경화촉진제로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성분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디옥틸틴 디라우레이트, 디부틸틴 비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디부틸틴 옥사이드, 디부틸틴 말레이트, 디부틸틴 옥토에이트, 디부틸틴 디말레에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화촉진제의 함량은 하도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경화촉진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경화 반응성을 높이는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화 반응성이 과도하게 높아져 도장 작업성 및 가사시간의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하도 도료 조성물은 도장 과정에서 경화제와 혼합되고, 기재 대상에 도포 및 경화하는 과정을 거쳐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화제로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성분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경화 시 우레탄 결합이 일어나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하도 도료 조성물은 경화 시 3가 크롬이 도금된 도금면과의 높은 부착성을 나타내며, 내수성, 내치핑성, 고압세차성 등의 우수한 물성을 갖는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도 도료 조성물은 3가 크롬이 도금된 자동차 부품(예를 들어, 라디에이터 그릴, 도어 손잡이, 핸들, 센터페시아, 기어박스 등)을 도장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내지 13]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하도 도료 조성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터계 수지, 백색안료, 흑색안료, 체질안료, 분산제, 증점제를 용기에 넣고 교반기를 사용하여 저속으로 혼합한 후, 링밀분산기를 이용하여 분산입도가 10 ㎛이 될 때까지 분산시켰다. 이후, 분산입도가 10 ㎛이 되면 이를 다른 용기에 옮겨 담고, 경화촉진제 및 용제를 투입하여 30 분 동안 교반시키는 과정을 거쳐 하도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폴리에스터 수지1 21.5 23 27 - - - - - - - 21.5
폴리에스터 수지2 21.5 - - 22 26 - - - - 28 21.5
폴리에스터 수지3 - - - 21.5 - 25 28 - - -
폴리에스터 수지4 - 20 - - - 27 - 23 - -
폴리에스터 수지5 - - - - 21 - - 22 28 -
폴리에스터 수지6 - - 20 - - - 26 - 24 -
폴리에스터 수지7 - - - - - - - - - 21
폴리에스터 수지8 21.5 21.5
폴리에스터 수지9 21.5 21.5
흑색안료 1 1 1 1.5 1 1 1 1 1 1 1 1 1
백색안료 6 6 5 6 7 5.5 6 6 6 5 6 6 6
체질안료 6 6 5 5 6 5 6 6 6 8 6 6 6
분산제 1 1 1 1 1 1 0.5 1 1 1 1 1 1
증점제 1.5 1.5 1.5 1.5 1 0.5 1 1.5 1.5 1 1.5 1.5 1.5
경화촉진제 1.5 1.5 1.5 1.5 2 3 1.5 1.5 1.5 1 1.5 1.5 1.5
용제1 20 20 20 20 18 16 15 18 15 17 20 20 20
용제2 20 20 18 20 17 16 15 20 16 17 20 20 20
총합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폴리에스터 수지1 - 선형 구조, Mn: 17,000 Tg: 15℃ AV: 3 NV: 45
폴리에스터 수지2 - 가지형 구조, Mn 10,000 Tg: 50℃ AV: 6 NV: 50
폴리에스터 수지3 - 선형 구조, Mn: 20,000 Tg: 20℃ AV: 1 NV: 45
폴리에스터 수지4 - 가지형 구조, Mn 12,000 Tg: 43℃ AV: 2 NV: 50
폴리에스터 수지5 - 선형 구조, Mn: 15,000 Tg: 10℃ AV: 5 NV: 45
폴리에스터 수지6 - 가지형 구조, Mn 8,000 Tg: 58℃ AV: 8 NV: 50
폴리에스터 수지7 - 선형 구조, Mn: 25,000 Tg: 30℃ AV: 1 NV: 45
폴리에스터 수지8- 선형 구조, Mn: 10,000 Tg: 8℃ AV: 1 NV: 45
폴리에스터 수지9- 가지형 구조, Mn 5,000 Tg: 35℃ AV: 5 NV: 50
흑색안료 - Carbon Black
백색안료 - TiO2
체질안료 - Micro Talc(EVONIK 사, AEROSIL R-972)
분산제 - Modified Poly urethane, 비중: 1 g/㎤, NV 45, 인화점: 24 °C
증점제 - Fumed silica
경화촉진제 - Dibutyltin Dilaurate
용제1: 자일렌
용제2: 톨루엔
[ 비교예 1 내지 4]
하기 표 2의 조성을 갖는 하도 도료 조성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터 수지, 백색안료, 흑색안료, 체질안료, 분산제, 증점제를 용기에 넣고 교반기를 사용하여 저속으로 혼합한 후, 링밀분산기를 이용하여 분산입도가 10 ㎛이 될 때까지 분산시켰다. 이후, 분산입도가 10 ㎛이 되면 이를 다른 용기에 옮겨 담고, 경화촉진제 및 용제를 투입하여 30 분 동안 교반시키는 과정을 거쳐 하도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2 3 4
폴리에스터 수지1 21.5 - 35 -
폴리에스터 수지2 - 21.5 - 30
폴리에스터 수지3 21.5 - - -
폴리에스터 수지4 - 21.5 - -
흑색안료 1 1 2 3
백색안료 6 6 8 9
체질안료 6 6 9 10
분산제 1 1 2 1.5
증점제 1.5 1.5 1.5 2
경화촉진제 1.5 1.5 2.5 4.5
용제1 20 20 20 20
용제2 20 20 20 20
총합 100 100 100 100
폴리에스터 수지1 - 선형구조, Mn: 17,000 Tg: 15℃ AV: 3 NV: 45
폴리에스터 수지2 - 가지형 구조, Mn 10,000 Tg: 50℃ AV: 6 NV: 50
폴리에스터 수지3 - 선형구조, Mn: 20,000 Tg: 20℃ AV: 1 NV: 45
폴리에스터 수지4 - 가지형 구조, Mn 12,000 Tg: 43℃ AV: 2 NV: 50
흑색안료 - Carbon Black
백색안료 - TiO2
체질안료 - Micro Talc(EVONIK 사, AEROSIL R-972)
분산제 - Modified Poly urethane
증점제 - Fumed silica
경화촉진제 - Dibutyltin Dilaurate
용제1: 자일렌
용제2: 톨루엔
[ 실험예 ]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제조된 하도 도료 조성물(주제)을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HDI Buiret 타입)와 20:1(주제:경화제)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희석 신너로 희석하여 점도가 13-14sec (Fordcup#4)인 하도 도료를 제조하였다.
다음, 3가 크롬이 도금된 도금면(도금 대상: 라디에이터그릴) 상에 제조된 하도 도료를 도장하여(건조도막두께: 10-15 ㎛) 10 분 동안 상온에서 건조하여 하도 도막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 폴리에스터/아크릴 수지를 기반으로 한 베이스 도료를 하도 도막 상에 도장하고(건조도막두께: 20-30 ㎛) 10 분 동안 상온에서 건조 후, 아크릴수지/폴리에스터를 기반으로 한 반광 클리어 도료를 추가로 도장하고(건조도막두께: 28-38 ㎛) 70 ℃에서 30 분 동안 경화시켜 최종도막을 형성하였다.
각 도장과정에 따른 도막의 물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표 4에 각각 나타내었다.
1) 외관: 하도 도료만 도장하여 70 ℃에서 30 분 동안 건조시킨 후 표면의 기포, 이물, 반점, 홈 및 오렌지필의 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우수: 기포, 이물, 반점, 홈이 없고 육안상 오렌지필이 없음
양호: 기포, 이물, 반점, 홈이 없고 육안상 오렌지필이 없음
보통: 기포, 이물, 반점, 홈이 약간 있고 육안상 오렌지필이 조금 있음
불량: 기포, 이물, 반점, 홈이 있고 육안상 오렌지필이 많음
2) 부착성: 하도 도료, 베이스 도료, 클리어 도료를 모두 도장하여 건조시킨 후 ASTM D3359 테이프 부착성 시험 방법에 의거하여 1㎜x1㎜ 눈금 100개 중에서 박리된 부분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우수: M 1.0 이상
양호: M 1.5 이상
보통: M.2.5 이상
불량: M 2.5-M 6.0
3) 내수성: 40℃ 항온조에 최종도막을 10 일 동안 침적 후 상기 부착성 및 외관의 평가를 진행하였다.
우수: M 1.0 이상, 외관 이상 없음(육안)
양호: M 1.5 이상, 외관 이상 없음(육안)
보통: M.2.5 이상, 외관 이상 없음(육안)
불량: M 2.5-M 6.0, 외관 불량 발생(블리스터, 변색 발생)
4) 내열성: 80℃ 오븐에 최종도막을 300 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기 부착성 및 외관의 평가를 진행하였다.
우수: M 1.0 이상, 외관 이상 없음(육안)
양호: M 1.5 이상, 외관 이상 없음(육안)
보통: M.2.5 이상, 외관 이상 없음(육안)
불량: M 2.5-M 6.0, 외관 불량 발생(블리스터, 변색 발생)
5) 고압세차성: 규정된 고압세차 시험기로 10 cm 거리에서 70 kgf 압력으로 고압의 물을 최종도막에 분사하여 도막의 박리 정도를 평가하였다.
우수: M 1.0이상
양호: M 1.5이상
보통: M 2.5이상
불량: M 2.5-M 6.0
6) 내치핑성: 시험 시편에 거리 100 mm, 각도 45 도, 압력 4.0 kgf, 온도 실온, 비석 50 g을 발사하여 자국의 발생정도를 평가하였다.
우수: 2 mm 이상 자국이 0개 이하로 발생
양호: 2 mm 이상 자국이 1개 이하로 발생
보통: 2 mm 이상 자국이 2개 이하로 발생
불량: 2 mm 이상 자국이 2개 이상 발생
성분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외관 O O
부착성 O O O O O O O O
내수성 O O O O O O O
내열성 O O
고압세차성 O O
내치핑성 O O
  비교예
1 2 3 4
외관 X O X
부착성 X X O
내수성 X O X
내열성 O O
고압세차성 X X O
내치핑성 X X O
상기 표 3 및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도막을 형성한 실시예 1 내지 13의 경우, 전반적인 물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가지형(branch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 또는 선형(linear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포함하는 하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도막을 형성한 비교예 1 내지 4의 경우, 물성(특히, 내수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가지형(branch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
    선형(linear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
    안료 및
    용제를 포함하는 하도 도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지형(branch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는 수평균분자량이 8,000 내지 12,000이고,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60 ℃인 하도 도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형(linear type) 폴리에스터계 수지는 수평균분자량이 15,000 내지 25,000이고,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50 ℃인 하도 도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제가 아로마틱 하이드로 카본계 용제 또는 에테르계 용제인 하도 도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분산제, 증점제 및 경화촉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하도 도료 조성물.
KR1020180002761A 2018-01-09 2018-01-09 하도 도료 조성물 KR201900846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761A KR20190084697A (ko) 2018-01-09 2018-01-09 하도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761A KR20190084697A (ko) 2018-01-09 2018-01-09 하도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697A true KR20190084697A (ko) 2019-07-17

Family

ID=67512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761A KR20190084697A (ko) 2018-01-09 2018-01-09 하도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46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744A (ko) * 2019-09-26 2021-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크롬 도금 코팅용 하도 도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3093A (ko) 2011-08-18 2014-02-04 후지쿠라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크롬 박막 피복용 도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3093A (ko) 2011-08-18 2014-02-04 후지쿠라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크롬 박막 피복용 도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744A (ko) * 2019-09-26 2021-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크롬 도금 코팅용 하도 도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384B1 (ko) 난연성 도료 조성물
KR102042801B1 (ko) 무용제형 에폭시 도료 조성물
CN108431153B (zh) 聚氨酯涂料组合物
JPS61275343A (ja) 硬化性樹脂組成物
KR102322663B1 (ko) 수용성 도료 조성물
JP4553581B2 (ja) 無溶剤型ウレタン系組成物
JP6198801B2 (ja) 構造物の塗装方法
KR20190084697A (ko) 하도 도료 조성물
JP2017145361A (ja) 塗料組成物、塗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305026A (ja) ポリエステルポリオール二液硬化型ウレタン塗料組成物
KR20190081351A (ko) 세라믹수지를 이용한 피씨엠 도료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갈바륨 컬러강판
KR102153334B1 (ko) 차열성 도료 조성물
KR20180035397A (ko) 우레탄 도료 조성물
KR20160081370A (ko) 고탄성 중도 도료 조성물
EP3507333B1 (en) Curable film-forming compositions demonstrating increased wet-edge time
US2302583A (en) Plastic composition
EP3365401B1 (en) Coating compositions with improved durabilities, coating layers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KR102310666B1 (ko) 하도 도료 조성물
KR100987187B1 (ko) 자외선 경화형 분체도료 조성물
KR20210034353A (ko) 하도 도료 조성물
KR102310381B1 (ko) 크롬 도금 코팅용 하도 도료 조성물
US11999867B2 (en) Coating composition and coated substrate
KR102285155B1 (ko) 도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하이브리드 나노 도막
KR20100042523A (ko) 라디에이터 그릴 크롬도금용 프라이머 조성물
KR102548852B1 (ko) 수용성 우레탄 도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