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466A -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 및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 - Google Patents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 및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466A
KR20190084466A KR1020180002256A KR20180002256A KR20190084466A KR 20190084466 A KR20190084466 A KR 20190084466A KR 1020180002256 A KR1020180002256 A KR 1020180002256A KR 20180002256 A KR20180002256 A KR 20180002256A KR 20190084466 A KR20190084466 A KR 20190084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hift reaction
adjustment
lever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5648B1 (ko
Inventor
박진감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2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6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84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6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signals from the main clut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2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push butt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레버를 이용한 변속조작에 의해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제1클러치가 결속되는 속도에 관한 레버변속반응을 조절하는 제1조절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페달을 이용한 변속조작에 의해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제2클러치가 결속되는 속도에 관한 클러치변속반응을 조절하는 제2조절부; 변속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신호를 생성하는 조작부; 및 상기 클러치페달이 중립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가 조절되도록 조절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조절모드에 따라 상기 조절신호를 상기 제1조절부 및 상기 제2조절부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전달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 및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 및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Transmission Response of Agricultural Vehicle Transmission}
본 발명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농업용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작업차량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콤바인(Combine), 트랙터(Tractor) 등이 농업용 작업차량에 해당한다. 콤바인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작물을 예취하여 탈곡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농업용 작업차량은 작업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토크, 속도 등을 조절하기 위해 변속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변속장치는 복수개의 변속기어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클러치를 이용하여 변속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기호,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이 수행하는 작업의 특성 등에 따라 상기 클러치가 결속되는 속도에 관한 변속반응이 조절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는 변속반응 조절장치가 구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반응 조절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반응 조절장치(100)는 다이얼(110) 및 조절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다이얼(110)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운전석에 설치된다.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는, 상기 다이얼(110)이 회전하도록 조작함으로써 변속반응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120)는 클러치(130)에 대한 변속반응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클러치(130)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페달(미도시)이 이동함에 따라 변속기어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결속되는 것이다. 상기 클러치페달이 소정의 페달각도로 이동한 경우, 상기 조절부(120)는 해당 페달각도에서 상기 클러치(130)가 결속되는 속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클러치(130)에 대한 변속반응을 조절한다. 상기 조절부(120)는 상기 클러치(130)가 갖는 클러치밸브의 출력파형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클러치(130)에 대한 변속반응을 조절한다.
여기서, 최근에는 클러치페달을 이용한 변속조작에 추가로, 레버(Lever)를 이용한 변속조작도 가능한 농업용 작업차량이 개발되고 있다. 레버를 이용한 변속조작은 클러치페달을 밟지 않고 레버를 조작하여 변속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반응 조절장치(100)는 레버를 이용한 변속조작에 대해 변속반응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클러치페달을 이용한 변속조작 및 레버를 이용한 변속조작 각각에 대해 변속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 및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레버를 이용한 변속조작에 의해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제1클러치가 결속되는 속도에 관한 레버변속반응을 조절하는 제1조절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페달을 이용한 변속조작에 의해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제2클러치가 결속되는 속도에 관한 클러치변속반응을 조절하는 제2조절부; 변속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신호를 생성하는 조작부; 및 상기 클러치페달이 중립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가 조절되도록 조절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조절모드에 따라 상기 조절신호를 상기 제1조절부 및 상기 제2조절부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전달하는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은 변속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신호가 제공되면,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페달(Clutch Pedal)이 중립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클러치페달이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레버(Lever)를 이용한 변속조작에 의해 제1클러치가 결속되는 속도에 관한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페달을 이용한 변속조작에 의해 제2클러치가 결속되는 속도에 관한 클러치변속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가 조절되도록 조절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절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레버를 이용한 변속조작 및 클러치페달을 이용한 변속조작 각각에 대해 변속반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운전자의 기호 및 작업의 특성 등에 적합한 조작환경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농업용 작업차량을 이용한 작업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조작부를 이용하여 레버를 이용한 변속조작 및 클러치페달을 이용한 변속조작 각각에 대해 변속반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농업용 작업차량의 운전석에 위치한 조작패널을 간결하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버를 이용한 변속조작 및 클러치페달을 이용한 변속조작 각각에 대해 변속반응을 조절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반응 조절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1)는 트랙터, 콤바인 등과 같은 농업용 작업차량(미도시)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은 변속을 위한 제1클러치(210) 및 제2클러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러치(210)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레버(Lever)를 이용한 변속조작에 따라 변속을 수행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제1클러치(210)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이 주행하는 방향에 대한 전후진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러치(220)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페달(300)을 이용한 변속조작에 따라 변속을 수행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제2클러치(220)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이 주행하는 주행속도에 대한 주행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이 복수개의 클러치(Clutch)를 이용하여 주행속도를 다단으로 변속하는 경우, 상기 제2클러치(220)는 상기 클러치들의 선단에 배치된 메인클러치(Main Clutch)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1)는 레버변속반응 및 클러치변속반응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상기 레버변속반응은 상기 레버가 소정의 레버각도로 이동한 경우, 해당 레버각도에서 상기 제1클러치(210)가 결속되는 속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은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소정의 페달각도로 이동한 경우, 해당 페달각도에서 상기 제2클러치(220)가 결속되는 속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1)는 변속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신호를 생성하는 조작부(2), 상기 레버변속반응을 조절하는 제1조절부(3),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을 조절하는 제2조절부(4), 및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중립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가 조절되도록 조절모드를 설정하는 설정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부(5)는 설정된 조절모드에 따라 상기 조절신호를 상기 제1조절부(3) 및 상기 제2조절부(4)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전달한다.
예컨대,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중립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신호가 생성된 경우, 상기 설정부(5)는 상기 조절신호를 상기 제1조절부(3)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이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이격된 작동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신호가 생성된 경우, 상기 설정부(5)는 상기 조절신호를 상기 제2조절부(4)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1)는 하나의 조작부(2)가 생성한 조절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모두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기호,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이 수행하는 작업의 특성 등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모두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1)는 레버를 이용한 변속조작 및 상기 클러치페달(300)을 이용한 변속조작 각각에 대해 변속반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1)는 운전자의 기호 및 작업의 특성 등에 적합한 조작환경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을 이용한 작업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1)는 상기 조절신호가 생성될 때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중립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1)는 하나의 조작부(2)를 이용하여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모두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운전석에 위치한 조작패널을 간결하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버를 이용한 변속조작 및 상기 클러치페달(300)을 이용한 변속조작 각각에 대해 변속반응을 조절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조작부(2)는 상기 조절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운전자가 상기 조작부(2)를 조작하면, 상기 조작부(2)는 상기 조절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는 생성한 조절신호를 상기 설정부(5)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는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한 조절신호를 상기 설정부(5)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는 상기 변속반응을 증감시키기 위한 조절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운전자가 상기 변속반응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조작부(2)를 조작한 경우, 상기 조작부(2)는 제1조절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설정부(5)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변속반응을 증가시키는 것은, 상기 제1클러치(210) 또는 상기 제2클러치(220)가 결속되는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변속반응을 증가시키면, 상기 제1클러치(210) 또는 상기 제2클러치(220)가 결속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운전자가 상기 변속반응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조작부(2)를 조작한 경우, 상기 조작부(2)는 제2조절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설정부(5)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변속반응을 감소시키는 것은, 상기 제1클러치(210) 또는 상기 제2클러치(220)가 결속되는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변속반응을 감소시키면, 상기 제1클러치(210) 또는 상기 제2클러치(220)가 결속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는 제1버튼부재(21, 도 3에 도시됨) 및 제2버튼부재(22,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버튼부재(21)는 상기 변속반응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버튼부재(21)는 상기 운전석에 위치한 조작패널에 배치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제1버튼부재(21)를 누르면, 상기 조작부(2)는 상기 제1조절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설정부(5)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버튼부재(22)는 상기 변속반응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버튼부재(22)는 상기 운전석에 위치한 조작패널에 배치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제2버튼부재(22)를 누르면, 상기 조작부(2)는 상기 제2조절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설정부(5)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버튼부재(22)는 상기 제1버튼부재(2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1)는 상기 조작부(2)가 버튼 방식으로 상기 변속반응을 증감시키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1)는 다이얼(110, 도 1에 도시됨)을 통해 상기 변속반응을 조절하도록 구현된 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우선, 종래 기술과 같이 다이얼(110, 도 1에 도시됨)을 통해 상기 변속반응을 조절하도록 구현된 경우, 상기 다이얼(110, 도 1에 도시됨)을 원점을 기준으로 회전시킨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변속반응의 크기가 조절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변속반응을 조절된 크기로 유지시키려면, 상기 다이얼(110, 도 1에 도시됨)을 해당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에 위치시킨 상태로 유지시켜야 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같이 다이얼(110, 도 1에 도시됨)을 통해 상기 변속반응을 조절하도록 구현된 경우, 하나의 다이얼(110, 도 1에 도시됨)을 통해서는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이 서로 다른 크기로 조절되도록 구현하기 어렵다.
다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2)가 버튼 방식으로 상기 변속반응을 조절하도록 구현된 경우, 상기 조작부(2)는 상기 제1버튼부재(21) 및 상기 제2버튼부재(22)를 통해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각각을 현재 설정되어 있는 크기를 기준으로 증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1)는 하나의 조작부(2)를 통해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이 조절되도록 구현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결한 구조로 하나의 조작부(2)를 통해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이 조절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조절부(3)는 상기 레버변속반응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제1조절부(3)는 상기 설정부(5) 및 상기 제1클러치(210)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설정부(5)로부터 상기 조절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제1조절부(3)는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1클러치(2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부(3)는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제1클러치(210)가 갖는 제1클러치밸브의 제1출력파형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1클러치(21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레버변속반응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클러치밸브는 상기 제1조절부(3)로부터 제공된 제1제어신호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출력파형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부(3)는 상기 조절신호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출력파형을 조절한 후에, 조절된 제1출력파형을 상기 제1클러치밸브에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조절부(3)는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제어신호 또는 상기 제1출력파형을 상기 제1클러치(21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2조절부(4)는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제2조절부(4)는 상기 설정부(5) 및 상기 제2클러치(220)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설정부(5)로부터 상기 조절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제2조절부(4)는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2클러치(2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조절부(4)는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제2클러치(220)가 갖는 제2클러치밸브의 제2출력파형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2클러치(22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클러치밸브는 상기 제2조절부(4)로부터 제공된 제2제어신호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출력파형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조절부(4)는 상기 조절신호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출력파형을 조절한 후에, 조절된 제2출력파형을 상기 제2클러치밸브에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조절부(4)는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제어신호 또는 상기 제2출력파형을 상기 제2클러치(22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설정부(5)는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조절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조절모드에 따라 상기 조절신호를 상기 제1조절부(3) 및 상기 제2조절부(4)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전달하는 것이다. 운전자가 상기 변속반응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조작부(2)를 조작할 때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설정부(5)는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가 조절되도록 상기 조절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운전자는 상기 클러치페달(300)을 밟고 상기 조작부(2)를 조작하는지 또는 상기 클러치페달(300)을 밟지 않고 상기 조작부(2)를 조작하는지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 또는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1)는 운전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하나의 조작부(2)를 이용하여 상기 레버변속반응 또는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설정부(5)는 상기 조절모드가 설정되면, 설정된 조절모드에 따라 상기 조작부(2)로부터 제공된 조절신호를 상기 제1조절부(3) 및 상기 제2조절부(4)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로부터 제공된 조절신호가 상기 제1버튼부재(21)가 생성한 제1조절신호이면, 상기 설정부(5)는 설정된 조절모드에 따라 상기 제1조절신호를 상기 제1조절부(3) 및 상기 제2조절부(4)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로부터 제공된 조절신호가 상기 제2버튼부재(22)가 생성한 제2조절신호이면, 상기 설정부(5)는 설정된 조절모드에 따라 상기 제2조절신호를 상기 제1조절부(3) 및 상기 제2조절부(4)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설정부(5)는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설정된 조절모드에 따라 상기 조절신호를 상기 제1조절부(3) 및 상기 제2조절부(4)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설정부(5)는 확인모듈(51,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인모듈(51)은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에 관한 페달정보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조작부(2)로부터 상기 조절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확인모듈(51)은 상기 페달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모듈(51)은 수신모듈(52)을 통해 상기 조작부(2)로부터 상기 조절신호가 제공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수신모듈(52)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부(2)로부터 상기 조절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조절신호를 상기 확인모듈(51)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확인모듈(51)은 상기 조작부(2)로부터 직접 상기 조절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확인모듈(51)은 상기 클러치페달(300)을 통해 상기 페달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러치페달(300)은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한 경우 제1페달신호를 상기 확인모듈(51)에 제공하고, 상기 작동위치에 위치한 경우 제2페달신호를 상기 확인모듈(51)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페달(300)로부터 상기 제1페달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확인모듈(51)은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페달(300)로부터 상기 제2페달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확인모듈(51)은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상기 작동위치에 위치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페달(300)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페달신호 및 상기 제2페달신호를 상기 확인모듈(51)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설정부(5)는 설정모듈(53,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모듈(53)은 상기 조절모드를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 설정모듈(53)은 상기 확인모듈(51)로부터 제공된 페달정보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 중에서 어느 하나가 조절되도록 상기 조절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확인모듈(51)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페달정보를 상기 설정모듈(53)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설정모듈(53)는 상기 페달정보로부터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신호가 생성되었는지, 또는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상기 작동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신호가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설정모듈(53)은 상기 클러치페달(300)을 통해 직접 상기 페달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설정모듈(53)은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신호가 생성된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조절모드를 상기 레버변속반응이 조절되는 레버조절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모듈(53)은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상기 작동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신호가 생성된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조절모드를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이 조절되는 클러치조절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1)는 운전자가 상기 클러치페달(300)을 밟고 상기 조작부(2)를 조작하면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이 조절되고, 운전자가 상기 클러치페달(300)을 밟지 않고 상기 조작부(2)를 조작하면 상기 레버변속반응이 조절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1)는 서로 연관성이 있는 상기 클러치변속반응과 상기 클러치페달(300)을 매칭시킴으로써, 상기 조절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설정부(5)는 전달모듈(54,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모듈(54)은 상기 조절신호를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전달모듈(54)은 상기 설정모듈(53)이 설정한 조절모드에 따라 상기 조작부(2)로부터 제공된 조절신호를 상기 제1조절부(3) 및 상기 제2조절부(4)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설정모듈(53)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설정된 조절모드를 상기 전달모듈(54)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설정모듈(53)은 설정된 조절모드와 함께 상기 조절신호를 상기 전달모듈(54)에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조절신호는 상기 조작부(2)로부터 직접 상기 전달모듈(54)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조절신호는 상기 확인모듈(51) 및 상기 수신모듈(52)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거쳐 상기 전달모듈(54)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전달모듈(54)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설정된 조절모드에 따라 상기 조절신호를 상기 제1조절부(3) 및 상기 제2조절부(4)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달모듈(54)은 상기 조절모드가 상기 레버변속반응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1조절신호 또는 상기 제2조절신호를 상기 제1조절부(3)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부(3)는 상기 제1조절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레버변속반응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상기 제1클러치(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클러치(210)가 결속되는 속도가 증가함으로써, 상기 제1클러치(210)가 결속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부(3)는 상기 제2조절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레버변속반응의 크기가 감소하도록 상기 제1클러치(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클러치(210)가 결속되는 속도가 감소함으로써, 상기 제1클러치(210)가 결속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신호는 상기 제1버튼부재(21)에 의해 생성된 것이다.
상기 전달모듈(54)은 상기 조절모드가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1조절신호 또는 상기 제2조절신호를 상기 제2조절부(4)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조절부(4)는 상기 제1조절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상기 제2클러치(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클러치(220)가 결속되는 속도가 증가함으로써, 상기 제2클러치(220)가 결속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2조절부(4)는 상기 제2조절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의 크기가 감소하도록 상기 제2클러치(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클러치(220)가 결속되는 속도가 감소함으로써, 상기 제2클러치(220)가 결속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2조절신호는 상기 제2버튼부재(22)에 의해 생성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1)는 출력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6)는 상기 변속반응이 조절된 조절값을 출력하는 것이다. 운전자는 상기 출력부(6)를 통해 상기 조절값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조절값은 상기 변속반응의 크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출력부(6)는 상기 운전석에 위치한 계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6)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상기 조절값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조절값은 상기 설정부(5)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설정부(5)는 기존 변속반응의 크기에 상기 조작부(2)로부터 전달된 조절신호를 가감하여 상기 조절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조절값을 상기 출력부(6)에 제공할 수 있다. 기존 변속반응의 크기는 상기 설정부(5)에 저장된 것이다. 상기 설정부(5)는 산출된 조절값을 저장한 후에, 상기 조작부(2)로부터 새로운 조절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된 조절값을 기존 변속반응의 크기로 이용하여 새로운 조절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설정부(5)는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조절값을 상기 출력부(6)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설정부(5)는 출력모듈(55,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출력모듈(55)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조절값을 상기 출력부(6)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절값의 산출은 상기 설정모듈(53) 또는 상기 전달모듈(54)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출력모듈(55)은 상기 설정모듈(53) 또는 상기 전달모듈(54)로부터 제공된 조절값을 상기 출력부(6)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출력모듈(55)이 직접 상기 조절값의 산출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모듈(55)은 기존 변속반응의 크기에 상기 조작부(2)로부터 전달된 조절신호를 가감하여 상기 조절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조절값을 상기 출력부(6)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6)는 제1출력기구(61, 도 3에 도시됨) 및 제2출력기구(62,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출력기구(61)는 상기 레버변속반응이 조절된 조절값을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설정부(5)는 상기 설정모듈(53)에 의해 설정된 조절모드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이 조절된 조절값 또는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이 조절된 조절값을 산출한 후에 산출된 조절값을 상기 제1출력기구(61) 및 상기 제2출력기구(62)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설정모듈(53)이 상기 조절모드를 상기 레버조절모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설정부(5)는 기존 레버변속반응의 크기에 상기 조절신호를 가감하여 상기 레버변속반응에 대한 조절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조절값을 상기 제1출력기구(61)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출력기구(61)는 상기 설정부(5)로부터 전달된 조절값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레버변속반응에 대한 조절값의 산출은 상기 설정모듈(53), 상기 전달모듈(54), 및 상기 출력모듈(55) 중에서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레버변속반응에 대해 산출된 조절값은 상기 출력모듈(55)에 의해 상기 제1출력기구(61)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2출력기구(62)는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이 조절된 조절값을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설정모듈(53)이 상기 조절모드를 상기 클러치조절모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설정부(5)는 기존 클러치변속반응의 크기에 상기 조절신호를 가감하여 상기 조절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조절값을 상기 제2출력기구(62)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출력기구(62)는 상기 설정부(5)로부터 전달된 조절값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에 대한 조절값의 산출은 상기 설정모듈(53), 상기 전달모듈(54), 및 상기 출력모듈(55) 중에서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에 대해 산출된 조절값은 상기 출력모듈(55)에 의해 상기 제2출력기구(62)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값의 산출은 상기 출력부(6)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모듈(55)은 상기 조작부(2)로부터 전달된 조절신호를 상기 출력부(6)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6)는 기존 변속반응의 크기에 상기 출력모듈(55)로부터 전달된 조절신호를 가감하여 상기 조절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조절값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6)가 상기 제1출력기구(61) 및 상기 제2출력기구(62)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출력모듈(55)은 상기 설정모듈(53)에 의해 설정된 조절모드에 따라 상기 조절신호를 상기 제1출력기구(61) 및 상기 제2출력기구(62)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설정모듈(53)이 상기 조절모드를 상기 레버조절모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출력모듈(55)은 상기 조절신호를 상기 제1출력기구(61)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출력기구(61)는 기존 레버변속반응의 크기에 상기 조절신호를 가감하여 조절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조절값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설정모듈(53)이 상기 조절모드를 상기 클러치조절모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출력모듈(55)은 상기 조절신호를 상기 제2출력기구(62)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출력기구(62)는 기존 클러치변속반응의 크기에 상기 조절신호를 가감하여 조절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조절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구비된 상기 제1클러치(210) 및 상기 제2클러치(220) 각각에 대한 변속반응을 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0). 이러한 공정(S10)은 상기 조절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설정부(5)가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에 관한 페달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확인모듈(51)이 상기 페달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가 조절되도록 상기 조절모드를 설정한다(S20). 이러한 공정(S20)은, 상기 설정부(5)가 상기 페달정보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가 조절되도록 상기 조절모드를 설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설정모듈(53)이 상기 조절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조절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를 조절한다(S30). 이러한 공정(S30)은, 상기 설정부(5)가 설정된 조절모드에 따라 상기 조절신호를 상기 제1조절부(3) 또는 상기 제2조절부(4)에 전달하고, 상기 제1조절부(3) 또는 상기 제2조절부(4)가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 또는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달모듈(54)이 설정된 조절모드에 따라 상기 조절신호를 상기 제1조절부(3) 또는 상기 제2조절부(4)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기호,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이 수행하는 작업의 특성 등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모두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은 운전자의 기호 및 작업의 특성 등에 적합한 조작환경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을 이용한 작업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은 상기 조절신호가 제공될 때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중립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은 하나의 조작부(2)를 이용하여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모두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운전석에 위치한 조작패널이 간결하게 구현되는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버를 이용한 변속조작 및 상기 클러치페달(300)을 이용한 변속조작 각각에 대해 변속반응을 조절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조절모드를 설정하는 공정(S20)은, 상기 조절모드를 상기 레버조절모드로 설정하는 공정(S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S21)은, 상기 조절신호가 제공될 때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S10), 상기 설정부(5)가 상기 조절모드를 상기 레버조절모드로 설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설정모듈(53)이 상기 조절모드를 상기 레버조절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공정(S30)은,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을 조절하는 공정(S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S31)은, 상기 조절모드가 상기 레버조절모드로 설정되면(S21), 상기 설정부(5)가 상기 조절신호를 상기 제1조절부(3)로 전달하고, 상기 제1조절부(3)가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달모듈(54)이 상기 조절신호를 상기 제1조절부(3)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조절모드를 설정하는 공정(S20)은, 상기 조절모드를 상기 클러치조절모드로 설정하는 공정(S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S22)은, 상기 조절신호가 제공될 때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상기 작동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S10), 상기 설정부(5)가 상기 조절모드를 상기 클러치조절모드로 설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설정모듈(53)이 상기 조절모드를 상기 클러치조절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공정(S30)은,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을 조절하는 공정(S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S32)은, 상기 조절모드가 상기 클러치조절모드로 설정되면(S22), 상기 설정부(5)가 상기 조절신호를 상기 제2조절부(4)로 전달하고, 상기 제2조절부(4)가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달모듈(54)이 상기 조절신호를 상기 제2조절부(4)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은 조절값을 출력하는 공정(S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값을 출력하는 공정(S40)은,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공정(S30)이 이루어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조절값을 출력하는 공정(S40)은,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가 조절되면(S30), 상기 출력부(6)가 상기 조절값을 출력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절값을 출력하는 공정(S40)은, 레버변속반응의 크기를 출력하는 공정(S41) 및 클러치변속반응의 크기를 출력하는 공정(S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변속반응의 크기를 출력하는 공정(S41)은,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이 조절된 경우(S31), 상기 제1출력기구(61)가 조절된 레버변속반응의 크기를 출력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출력기구(61)는 상기 설정부(5)로부터 전달된 조절값을 이용하여 조절된 레버변속반응의 크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출력기구(61)는 상기 설정부(5)로부터 전달된 조절신호를 이용하여 조절값을 산출한 후에, 산출된 조절값을 이용하여 조절된 레버변속반응의 크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의 크기를 출력하는 공정(S42)은,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이 조절된 경우(S32), 상기 제2출력기구(62)가 조절된 클러치변속반응의 크기를 출력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출력기구(62)는 상기 설정부(5)로부터 전달된 조절값을 이용하여 조절된 클러치변속반응의 크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출력기구(62)는 상기 설정부(5)로부터 전달된 조절신호를 이용하여 조절값을 산출한 후에, 산출된 조절값을 이용하여 조절된 클러치변속반응의 크기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은 조절신호를 생성하는 공정(S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신호를 생성하는 공정(S50)은, 운전자가 상기 조작부(2)를 조작하면, 상기 조작부(2)가 상기 조절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작부(2)는 상기 조절신호를 생성한 후에, 생성된 조절신호를 상기 설정부(5)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절신호를 생성하는 공정(S50)은, 운전자가 상기 제1버튼부재(21)를 조작하면, 상기 제1버튼부재(21)가 상기 변속반응을 증가시키는 제1조절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절신호를 생성하는 공정(S50)은, 운전자가 상기 제2버튼부재(22)를 조작하면, 상기 제2버튼부재(22)가 상기 변속반응을 감소시키는 제2조절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 2 : 조작부
3 : 제1조절부 4 : 제2조절부
5 : 설정부 6 : 출력부
21 : 제1버튼부재 22 : 제2버튼부재
51 : 확인모듈 52 : 수신모듈
53 : 설정모듈 54 : 전달모듈
55 : 출력모듈 61 : 제1출력기구
62 : 제2출력기구 210 : 제1클러치
220 : 제2클러치 300 : 클러치페달

Claims (10)

  1. 변속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신호가 제공되면,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페달(Clutch Pedal)(300)이 중립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레버(Lever)를 이용한 변속조작에 의해 제1클러치(210)가 결속되는 속도에 관한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페달(300)을 이용한 변속조작에 의해 제2클러치(220)가 결속되는 속도에 관한 클러치변속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가 조절되도록 조절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절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조절모드를 상기 레버변속반응이 조절되는 레버조절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조절모드가 상기 레버조절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가 조절된 조절값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값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이 조절된 경우 조절된 레버변속반응의 크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이격된 작동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조절모드를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이 조절되는 클러치조절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조절모드가 상기 클러치조절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가 조절된 조절값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값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이 조절된 경우 조절된 클러치변속반응의 크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
  6. 농업용 작업차량의 레버를 이용한 변속조작에 의해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제1클러치(210)가 결속되는 속도에 관한 레버변속반응을 조절하는 제1조절부(3);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페달(300)을 이용한 변속조작에 의해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제2클러치(220)가 결속되는 속도에 관한 클러치변속반응을 조절하는 제2조절부(4);
    변속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신호를 생성하는 조작부(2); 및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중립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가 조절되도록 조절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조절모드에 따라 상기 조절신호를 상기 제1조절부(3) 및 상기 제2조절부(4)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전달하는 설정부(5)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5)는
    상기 조작부(2)로부터 상기 조절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하였는지 여부에 관한 페달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모듈(51);
    상기 확인모듈(51)로부터 제공된 페달정보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 및 상기 클러치변속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가 조절되도록 상기 조절모드를 설정하는 설정모듈(53); 및
    상기 설정모듈(53)이 설정한 조절모드에 따라 상기 조작부(2)로부터 제공된 조절신호를 상기 제1조절부(3) 및 상기 제2조절부(4)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전달하는 전달모듈(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2)는 변속반응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1버튼부재(21), 및 상기 변속반응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2버튼부재(22)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5)는 설정된 조절모드에 따라 상기 제1버튼부재(21) 또는 상기 제2버튼부재(22)로부터 제공된 조절신호를 상기 제1조절부(3) 및 상기 제2조절부(4)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전달하는 전달모듈(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이 조절된 조절값을 출력하는 제1출력기구(61), 및 상기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이 조절된 조절값을 출력하는 제2출력기구(62)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5)는 설정된 조절모드에 따라 상기 레버변속반응이 조절된 조절값 또는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이 조절된 조절값을 산출한 후에 산출된 조절값을 상기 제1출력기구(61) 또는 상기 제2출력기구(62)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5)는 상기 조절모드를 설정하는 설정모듈(53)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모듈(53)은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조절모드를 상기 레버변속반응이 조절되는 레버조절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클러치페달(300)이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이격된 작동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조절모드를 상기 클러치변속반응이 조절되는 클러치조절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
KR1020180002256A 2018-01-08 2018-01-08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 및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 KR102395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256A KR102395648B1 (ko) 2018-01-08 2018-01-08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 및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256A KR102395648B1 (ko) 2018-01-08 2018-01-08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 및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466A true KR20190084466A (ko) 2019-07-17
KR102395648B1 KR102395648B1 (ko) 2022-05-06

Family

ID=67512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256A KR102395648B1 (ko) 2018-01-08 2018-01-08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 및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6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0904A (ja) * 1998-12-10 2000-06-23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管理作業車
JP2000172356A (ja) * 1998-12-10 2000-06-23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管理作業車
KR20000056507A (ko) * 1999-02-23 2000-09-15 정몽규 차량용 반자동 변속기의 중립 제어방법
JP2006224008A (ja) * 2005-02-18 2006-08-31 Tex-Ray Industrial Co Ltd 微細化多孔性材料の汚染物或いは不純物を密閉容器中で高圧流体により洗浄除去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0904A (ja) * 1998-12-10 2000-06-23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管理作業車
JP2000172356A (ja) * 1998-12-10 2000-06-23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管理作業車
KR20000056507A (ko) * 1999-02-23 2000-09-15 정몽규 차량용 반자동 변속기의 중립 제어방법
JP2006224008A (ja) * 2005-02-18 2006-08-31 Tex-Ray Industrial Co Ltd 微細化多孔性材料の汚染物或いは不純物を密閉容器中で高圧流体により洗浄除去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5648B1 (ko)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8821B2 (en) Wireless management system for work vehicles and method for managing work vehicles in wireless management system
US6553302B2 (en) Work vehicle with operator selected load control and fuel economy control
US8676467B2 (en) Speed chang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US7285072B2 (en) Vehicle control system
JP6980001B2 (ja) 作業車協調システム
EP3351080B1 (en) Automatic traveling work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ork traveling for an automatic traveling work vehicle along a target travel route in a work field
KR20190084466A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장치 및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반응 조절방법
US10916145B2 (en) Work vehicle coordination system and work vehicle
US20220355812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pedals of a vehicle
JP2009040409A (ja) 作業車両における無段式変速装置の変速制御装置
US11378142B2 (en) Method and controller for operating a drivetrain of a vehicle
US8065062B2 (en) Mobile agricultural vehicle
US11904858B2 (en) Driving speed control device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 and driving speed control method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
US20200062266A1 (en) Operation support system for working machine and agriculture support system
US6712187B2 (en) Clutch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10024425B1 (en) Automatic transmission sport and manual mode external bump stimulation to support shift experience
EP3109515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huttle shifting in a vehicle
CN107018731A (zh) 插秧机
JP5808903B2 (ja) 田植機
KR100495440B1 (ko)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조작장치
US20210396308A1 (en) Control apparatus for transmission of agricultural work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ransmission of agricultural work vehicle
JP2023108938A (ja) 作業車両
KR101405637B1 (ko) 자동차의 무단 변속기용 유압 제어 시스템
JPH0319609A (ja) 移動農機の作業走行制御構造
JP2008220382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