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809A -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 - Google Patents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809A
KR20190083809A KR1020180001698A KR20180001698A KR20190083809A KR 20190083809 A KR20190083809 A KR 20190083809A KR 1020180001698 A KR1020180001698 A KR 1020180001698A KR 20180001698 A KR20180001698 A KR 20180001698A KR 20190083809 A KR20190083809 A KR 20190083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hot water
noodle
inlet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8048B1 (ko
Inventor
토모히코 오타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싱크로티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싱크로티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싱크로티이씨
Priority to KR1020180001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0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83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23L7/113Parboiled or instant past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 종류를 증숙시키기 위한 증기를 감온기를 이용하여 완전한 포화증기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면 종류에 대한 증숙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면류를 증숙시키기 위한 증기를 별도의 감온기를 이용하여 항상 완전한 포화증기 상태로 만들어서 면류에 가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면류의 표면 건조 및 단단해지는 현상 등을 방지하는 동시에 면류의 증숙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Apparatus for steaming noodles using thermostatic device}
본 발명은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면 종류를 증숙시키기 위한 증기를 감온기를 이용하여 완전한 포화증기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면 종류에 대한 증숙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류와 같은 가공식품의 증숙 공정은 가공된 면류가 컨베이어를 타고 연속적으로 지나갈 때 면류에 증기(steam)를 가하여 찌는 과정을 말한다.
대개, 상기 증기는 포화증기(Saturated Steam)와 과열증기(Super heat Steam)로 대별되며, 포화증기를 더 가열하거나 감압시키면 과열증기가 된다.
즉, 비등(沸騰)점에서의 물과 증기의 온도는 동일하고, 압력과 근본적인 관계(압력이 정해지면 온도가 정해짐)를 가지는 바, 이때의 온도를 포화온도라고 하고, 포화온도의 증기를 포화증기라고 하며, 포화증기를 더욱 가열하면 포화온도보다 온도가 높은 증기인 과열증기가 된다.
이러한 증기를 이용하여 면류 등을 증숙시킬 때, 면류의 표면은 건조해지는 동시에 단단해지거나 푸석푸석해지고, 면류의 중심부까지 증숙이 고르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의 원인은 면류에 가해지는 증기가 과열증기인 것에 기인한다.
상기 과열증기는 보유하고 있는 에너지량이 포화증기보다 많고, 그 이용효율도 높은 장점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증숙 가열용으로 적합하지 않으며 그 이유는 과열증기로부터 피가열물(예, 면류)의 표면에 접촉하여 이루어지는 열전도율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열증기를 이용하여 면류를 증숙시키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첫째, 면류에 대한 과열증기의 열전도율이 낮기 때문에 면류의 중심까지 열이 전달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그에 따라 면류의 증숙 공정에 적합하지 않다.
둘째, 과열증기의 온도(물의 증발온도 이상)가 높으므로, 과열증기와 접촉하는 면류의 표면이 쉽게 건조해지고, 단단해지거나 푸석푸석해짐으로써, 면류의 증숙 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셋째, 건조된 면의 표면층에 존재하는 수분이 매우 적어지게 되므로, 면 자체의 열전도율도 내려가게 되고, 결국 면류의 중심까지 고르게 증숙되지 못한다.
반면, 면류 증숙 공정 중 면류에 대하여 포화증기에 의한 가열을 실시할 경우, 포화증기는 피가열물의 표면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잠열을 방출하고 응축하게 되고, 더욱이 피가열물의 표면은 계속해서 새로운 포화증기와의 접촉에 의해 가열 및 응축을 반복하게 되어 높은 열전도율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포화증기가 면류와 접촉하는 온도조건(접촉면의 온도는 물의 증발온도 이하)에 의거 면류의 수분이 증발되지 않게 되고, 면류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결국 면류 등을 증숙할 때 사용하는 증기를 항상 포화증기로 만들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497498호(2005.06.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면류를 증숙시키기 위한 증기를 별도의 감온기(減溫器)를 이용하여 항상 완전한 포화증기 상태로 만들어서 면류에 가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면류의 표면 건조 및 단단해지는 현상 등을 방지하는 동시에 면류의 증숙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 증숙 전의 면류를 투입하는 면류 투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증숙 완료된 면류가 배출되는 면류 배출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면류의 왕복 순환을 위한 다단의 컨베이어가 내설된 증숙기;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면류에 증기를 가해주기 위하여 상기 증숙기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증기공급라인; 상기 증기공급라인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증숙기의 내부로 향하는 증기를 감온수 분사를 이용하여 포화증기로 만들어주는 감온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기공급라인은: 감온기의 입구에 연결되는 증기입구라인과, 감온기의 출구에 연결되는 증기배출라인과, 증기배출라인에 연결되는 증기분배관과, 증기분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증숙기의 내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증기분기라인과, 각 증기분기라인으로부터 연장되어 증숙기의 내부 바닥에 걸쳐 배열되는 복수의 증기분출라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증기분기라인은 증숙기의 외부로부터 중앙 위치의 내부 바닥쪽으로 들어가서 증숙기의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기분출라인은 한 쌍의 증기분기라인 중 하나의 증기분기라인으로부터 증숙기의 입구를 향하여 3열 이상으로 연장 배열되는 제1증기분출라인과, 다른 하나의 증기분기라인으로부터 증숙기의 출구를 향하여 3열 이상으로 연장 배열되는 제2증기분출라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기분출라인의 상면부에는 다단의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하는 면류가 존재하는 증숙기의 상부공간을 향하여 증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증기분사노즐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감온기는: 일측에 증기입구라인이 연결되는 증기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증기배출라인이 연결되는 증기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증기의 감온경로가 형성된 감온케이스; 증기유입구에 연통 가능하게 장착된 감온수 투입관; 및 감온수 투입관의 내측단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증기유입구의 내부에 배치되어, 증기유입구로 들어온 증기를 포화증기로 만들어주기 위하여 감온수를 감온경로를 향하여 분사하는 감온수 분사노즐;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온케이스의 바닥에는 증기를 포화증기로 만들어 준 후의 감온수를 드레인시키기 위한 드레인 밸브 및 드레인 트랩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온수 투입관과 감온수 분사노즐 사이에는 감온수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온케이스의 증기배출구에는 감온을 마친 증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기로 전송하는 온도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온수 투입관의 입구에는 감온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가 제어기의 제어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온케이스의 증기배출구에는 예비 온도계가 장착되는 예비 온도계 장착단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온케이스의 상부에는 아이볼트를 갖는 캡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이 캡의 저부에는 감온경로를 2개 이상의 연속된 공간으로 분리하는 동시에 감온케이스의 바닥과 이격되는 격막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막에는 감온수 케이스의 바닥으로 떨어지는 감온수를 머무르게 하여 증기와 물로 분리하는 기수(氣水) 분리 기능을 위한 다수의 선반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며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선반은 가로형 수평판체로서 다공홀이 관통 형성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격막에 부착되되, 상방향에서 하방향을 향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증숙기의 내부로 면류를 증숙시키기 위한 증기를 공급할 때, 별도의 감온기에서 과열증기를 완전한 포화증기 상태로 만들어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과열증기로 인한 면류의 표면 건조 및 단단해지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고, 포화증기에 의한 면류 증숙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감온기의 케이스 내부공간 즉, 증기와 감온수가 흐르는 감온경로내에 증기와 감온수를 분리하는 기수(氣水) 분리 기능의 선반을 배치하여, 감온된 상태의 포화증기가 감온수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건조도가 높은 완전한 포화증기를 만들어줄 수 있다.
셋째, 감온기에 의한 감온 작용에 의하여 만들어진 건조도가 높은 완전한 포화증기가 항상 증숙기 내로 공급 가능하여, 면류에 완전한 포화증기가 가해짐에 따른 면류 증숙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항상 일정한 면류 증숙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온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온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감온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감온기로부터 증숙기의 내부공간까지 연장 배열되는 증기공급라인의 구성 및 그 연결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감온기에서 포화증기가 만들어지는 작동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감온기에서 만들어진 포화증기가 증숙기로 공급되는 과정과, 증숙기에서 면류가 이송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작동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를 나타내며, 각 도면에서 도면부호 10은 증숙기를 지시한다.
상기 증숙기(10)는 밀가루 등을 반죽하여 소정의 두께 및 폭, 또는 소정의 직경으로 만들어진 면류에 증기를 가하여 쪄주는 등의 전반적인 증숙 과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증숙기(10)의 일측부에 증숙 전의 면류를 투입하는 면류 투입부(11)가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증숙 완료된 면류가 배출되는 면류 배출부(12)가 형성되며, 면류 튜입부(11)와 면류 배출부(12)를 제외한 증숙기(10)의 내부공간은 증기에 의한 면류 증숙 과정을 위하여 밀폐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증숙기(10)의 내부공간 즉, 면류 튜입부(11)와 면류 배출부(12) 사이의 내부공간에는 면류의 왕복 순환 이송을 위한 다단의 컨베이어(13)가 내설된다.
이에, 상기 면류 투입부(11)에 면류가 투입되면 면류가 다단의 컨베이어(13)에 의하여 전진 및 후진을 반복하며 이송되고, 컨베이어 상의 면류는 증숙기(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증기에 의하여 증숙 처리된 후, 면류 배출부(12)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증숙기(10)의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증기공급라인(20)이 증숙기(10)의 외부에서 내부로 배설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13)를 따라 이송되는 면류에 증기를 가해주기 위하여 증기공급라인(20)이 상기 증숙기(1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특히, 상기 증숙기(10)의 외부에 배치된 증기공급라인(20)의 소정 위치에는 증숙기(10)의 내부로 향하는 증기를 감온수(減溫水) 분사 기능을 이용하여 포화증기로 만들어주는 감온기(30)가 연결되고, 이 감온기(30)는 실질적으로 증숙기(10)의 상면부에 고정 장착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감온기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감온기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감온기(30)는 증숙기에 공급되는 증기(예, 과열증기)를 완전한 포화증기로 만들어주기 위한 것으로서, 증숙기(10)의 상면부에 고정 장착되는 감온케이스(33)를 골격체로 한다.
상기 감온케이스(33)는 일측에 증기공급라인(20)의 증기입구라인(21)이 연결되는 증기유입구(31)가 형성되고, 타측에 증기배출라인(22)이 연결되는 증기배출구(32)가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증기와 감온수 간의 접촉 반응에 따른 포화증기가 만들어지는 감온경로(34)가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감온케이스(33)의 증기유입구(31)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감온수 투입관(35)이 연통 가능하게 장착되고, 증기유입구(31)의 내부에는 감온수 투입관(35)의 내측단부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감온수 분사노즐(36)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감온수 투입관(35)의 외측단부에는 감온수 공급수단(미도시됨)이 연결되고, 상기 감온수 투입관(35)과 감온수 분사노즐(36) 사이에는 감온수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감온수 내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40)가 장착된다.
만일, 상기 필터(40)가 없다면 감온수와의 접촉 반응을 한 후 면류로 공급되는 증기에 이물질이 함유될 수 있으므로, 항상 깨끗한 증기를 면류에 가해주기 위하여 위와 같이 감온수 투입관(35)과 감온수 분사노즐(36) 사이에 필터(40)가 장착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증기유입구(31)로 증기가 들어올 때, 감온수 분사노즐(36)에서 감온경로(34)쪽으로 필터링된 깨끗한 감온수를 분사함으로써, 증기(예, 과열증기)가 감온수와 접촉하면서 온도가 하강되는 동시에 완전한 포화증기로 만들어지게 되고, 이때의 포화증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증숙기(10) 내로 들어가서 면류에 증숙을 위해 가해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온케이스(33)의 상부에는 아이볼트를 갖는 캡(37)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바, 이 캡(37)의 저부에는 감온케이스(33)의 내부 감온경로를 2개 이상의 연속된 공간으로 분리하는 격막(38)이 부착되며, 이 격막(38)의 하단부는 증기의 이송통로가 확보되도록 감온케이스(33)의 바닥과 소정 거리로 이격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감온케이스(33)의 격막(38)을 중심으로 좌측공간으로 들어와서 감온수와 접촉하는 증기가 하방향으로 이송된 후, 격막(38)의 우측공간으로 들어가서 상승한 다음, 증기배출구(32)를 통해 증기배출라인(22)으로 배출된다.
더욱이, 상기 격막(38)에는 감온수 케이스(33)의 바닥으로 낙하하는 감온수를 머무르게 하여 증기와 더 오랜 접촉을 유도하는 동시에 증기와 혼합된 감온수를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한 기수(氣水) 분리 기능을 하는 다수의 선반(39)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며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반(39)은 격막(38)과 수직을 이루는 가로형(수평형) 원판체 구조로서, 증기 및 감온수 통과를 위한 다수의 다공홀(미도시됨)이 관통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선반(39)은 감온케이스(33)의 내경보다 작은 원형의 수평판체 형상으로 구비되어 격막(38)에 부착되되, 상방향에서 하방향을 향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게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감온수 케이스(33)의 바닥으로 낙하하는 감온수를 더 머무르게 하여 증기와 더 오랜 접촉을 유도하는 동시에 증기로부터 감온수만을 용이하게 분리시키는 기수(氣水) 분리 기능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온케이스(33)의 바닥에는 증기를 포화증기로 만들어 준 후의 감온수 즉, 감온케이스(33)의 바닥으로 최종 낙하하여 모인 감온수를 감온케이스(33)의 외부로 드레인시키기 위한 드레인 밸브(41) 및 드레인 트랩(42)이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온케이스(33)의 바닥에 수위감지센서(미도시됨)를 장착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수위를 감지하면, 제어기(미도시됨)에서 드레인 밸브(41)를 자동으로 일시 열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감온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드레인 트랩(42)에 모일 수 있고, 트레인 트랩(42)에 감온수가 일정 수준 이상 모이면 넘침 동작에 의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온케이스(33)의 증기배출구(32)에는 감온을 마치고 배출되는 증기 즉, 포화증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기(미도시됨)로 전송하는 온도계(43)가 장착되고, 또한 상기 감온수 투입관(35)의 입구에는 감온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전자식 유량조절밸브(44)가 더 장착된다.
이에, 상기 온도계(43)의 감지 온도를 수신한 제어기에서 유량조절밸브(44)의 개폐도를 제어하여 감온수 투입량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계(43)에 감지한 포화증기의 온도가 거의 과열증기로 넘어가기 전 상태의 온도로 감지된 경우, 제어기에서 유량조절밸브(44)를 더 열어서 감온수 공급량을 늘려줌으로써, 감온수에 의한 증기 온도를 기준 온도까지 더 낮출 수 있다.
반면, 상기 온도계(43)에 감지한 포화증기의 온도가 기준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 제어기에서 유량조절밸브(44)를 더 닫아서 감온수 공급량을 줄여줌으로써, 감온수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온케이스(33)의 증기배출구(32)에는 상기 온도계(43)의 고정을 대비하여 예비 온도계가 장착되는 예비 온도계 장착단(45)을 더 형성함으로써, 고장난 온도계의 정비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포화증기 온도를 항상 정확하고도 연속적으로 계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감온기(30)에서 만들어진 포화증기는 감온기 이후의 증기공급라인(20)을 따라 증숙기(10)의 내부로 공급되어 면류에 증숙을 위해 가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증기공급라인(20)은 첨부한 도 7에서 보듯이 증기공급수단(미도시됨)으로부터 연장되어 감온기(30)의 증기유입구(31)에 연결되는 증기입구라인(21)과, 감온기의 증기배출구(32)에 연결되는 증기배출라인(22)을 포함하고, 더욱이 상기 증기배출라인(22)에 연결되는 증기분배관(23)과, 이 증기분배관(23)으로부터 분기되어 증숙기(10)의 내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증기분기라인(24)과, 각 증기분기라인(24)으로부터 더 연장되어 증숙기(10)의 내부 바닥에 걸쳐 배열되는 복수의 증기분출라인(2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증기분배관(23) 및 한 쌍의 증기분기라인(24)을 갖춘 이유는 증숙기 설비 자체가 좌우로 길다란 구조를 갖기 때문에 증기분기라인(24)으로부터 다시 분기 연장되는 증기분출라인(25)들을 최대한 짧은 길이로 적용하면서 증숙기(10)의 전체 내부 바닥에 고르게 배열시키기 위함에 있다.
이에, 상기 한 쌍의 증기분기라인(24)은 증숙기(10)의 좌우길이 방향에서 중앙 위치의 외부에서 중앙 위치의 내부 바닥쪽으로 들어가서 증숙기(10)의 폭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다.
또한, 상기 증기분출라인(25)은 한 쌍의 증기분기라인(24) 중 하나의 증기분기라인(24)으로부터 증숙기(10)의 입구를 향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이루면서 3열 이상으로 연장 배열되는 제1증기분출라인(25-1)과, 다른 하나의 증기분기라인(24)으로부터 증숙기(10)의 출구를 향하여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3열 이상으로 연장 배열되는 제2증기분출라인(25-2)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상기 한 쌍의 증기분기라인(24)이 증숙기(10)의 좌우길이 방향에서 중앙 위치의 내부 바닥에 배열됨에 따라, 상기 증기분출라인(25)을 하나의 긴 길이가 아닌 2개의 짧은 길이를 갖는 제1 및 제2증기분출라인(25-1,25-2)으로 구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증기분출라인의 증기분출경로를 최소화하면서 증숙기(10)의 전체 내부 바닥에 증기분출라인을 고르게 배열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증기분출라인(25)의 상면부 즉, 제1 및 제2증기분출라인(25-1,25-2)의 상면부에는 다수의 증기분사노즐(26)이 장착되는 바, 이 증기분사노즐(26)은 다단의 컨베이어(13)를 따라 이송하는 면류가 존재하는 증숙기의 상부공간을 향하여 증기를 최종적으로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증기공급라인(20)의 구성들은 하나의 실시예로 예시한 것일 뿐, 증숙기 설비의 설계 및 구조에 따라 그 경로가 가변될 수 있고, 또한 증숙기(10)의 외부에서 내부 바닥쪽으로 연장 배열되는 구조를 갖도록 여러가지 형태로 달리 설계 및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50은 증숙기 입출구에 배치된 증기배출덕트(50)로서, 증숙 설비가 설치된 작업장(공장) 내의 습증기 등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여, 작업장에 시야를 가리는 등의 불편함을 유발하는 증기가 고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에 대한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감온기에서 포화증기가 만들어지는 작동 과정을 나타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감온기에서 만들어진 포화증기가 증숙기로 공급되는 과정과 증숙기에서 면류가 이송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면류(예를 들어, 밀가루 등을 반죽하여 소정의 두께 및 폭, 또는 소정의 직경으로 만들어진 면류)를 증숙기(10)의 면류 배출부(12)를 통해 투입하면, 증숙기(10)의 내부에 설치된 다단의 컨베이어(13)를 따라 면류가 왕복 순환 이송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컨베이어(13)가 상하로 이격된 3단으로 배열된 경우, 1단의 컨베이어를 따라 정방향으로 이송한 후, 2단의 컨베이어로 낙하하여 역방향으로 이송되며, 다시 3단의 컨베이어로 낙하하여 정방향으로 이송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증기공급라인(20) 중 증기공급수단과 연결된 증기입구라인(21)으로부터 감온기(30)로 증기가 공급된다.
즉, 상기 감온케이스(33)의 증기유입구(31)로 증기가 유입된다.
이때, 상기 증기유입구(31)로 증기가 들어올 때, 감온수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감온수가 감온수 투입관(35)으로 공급되어 필터(40)에서 여과된 후, 감온수 분사노즐(36)을 통해 분사된다.
따라서, 상기 증기유입구(31)로 증기가 들어올 때, 감온수 분사노즐(36)에서 감온경로(34)쪽으로 필터링된 깨끗한 감온수가 분사됨으로써, 증기(예, 과열증기)가 감온수와 접촉하면서 온도가 하강되는 동시에 완전한 포화증기로 만들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증기유입구(31)로 증기가 들어올 때, 감온수 분사노즐(36)에서 감온경로(34)쪽으로 감온수를 분사하면, 증기와 감온수가 상호 접촉 혼합되면서 감온경로(34)에서 증기의 온도가 하강하여 완전한 포화증기로 전환된다.
바람직하게는, 첨부한 도 8에서 보듯이 상호 접촉 혼합되는 증기와 감온수가 상기 감온케이스(33)내의 격막(38)을 중심으로 좌측공간으로 들어와서 감온수와 접촉하는 증기가 하방향으로 이송된 후, 격막(38)의 우측공간으로 들어가서 상승한 다음, 증기배출구(32)를 통해 증기배출라인(22)으로 배출된다.
이와 함께, 상기 감온케이스(33) 내의 격막(38)에 부착된 다수의 선반(39)에 감온수가 접촉하여 더 머무르면서 증기와 지속적으로 열교환을 하게 되고, 증기로부터 감온수만을 선반(39)에 흡착 분리되는 동시에 증기는 각 선반(39)에 형성된 다공홀을 통과하여 원활하게 흐르게 되는 등 이러한 선반(39)의 기수(氣水) 분리 기능에 의하여 증기와 감온수가 용이하게 분리된다.
물론, 상기 감온수는 별도로 선반(39)의 표면을 따라 증기와 분리되게 흡착된 후, 다공홀을 통해 서서히 감온케이스 바닥으로 낙하하여 모이게 된다.
이때, 상기 감온케이스(33)의 바닥으로 낙하되어 모이는 감온수는 상기와 같이 제어기의 제어에 의한 드레인 밸브(41)의 열림 작동으로 드레인 트랩(42)에 모인 다음, 트레인 트랩(42)으로부터 넘침 흐름에 의거 외부로 자동 배출된다.
이어서, 상기 감온기(30)의 내부에서 만들어진 완전한 포화증기는 감온케이스(33)의 증기배출구(32)를 통해 증기공급라인(20)의 구성 중 증기배출라인(22)으로 배출된 후, 증숙기(10)의 내부로 공급되어 면류에 증숙을 위해 가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감온케이스(33)의 증기배출구(32)를 통해 배출된 포화증기는 증기배출라인(22)과 연결된 증기분배관(23)으로 들어간 후, 한 쌍의 증기분기라인(24)으로 분기된 다음, 연이어 증기분기라인(24)으로부터 더 연장되어 증숙기(10)의 내부 바닥에 걸쳐 배열되는 증기분출라인(25) 즉, 3열 이상의 제1증기분출라인(25-1) 및 제2증기분출라인(25-2)으로 고르게 공급된다.
연이어, 상기 제1 및 제2증기분출라인(25-1,25-2)으로 공급된 포화증기가 제1 및 제2증기분출라인(25-1,25-2)의 상면부에 장착된 다수의 증기분사노즐(26)을 통해 분사된다.
이때, 상기 증기분사노즐(26)들은 상방향을 향하여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다단의 컨베이어(13)를 따라 이송하는 면류가 존재하는 증숙기의 상부공간을 향하여 포화증기를 최종적으로 분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기분사노즐(26)을 통해 분사된 건조도가 높은 완전한 포화증기가 컨베이서 상에서 이송 중인 면류에 가해지면서 면류의 증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증숙기의 내부로 면류를 증숙시키기 위한 증기를 공급할 때, 감온기에서 과열증기를 완전한 포화증기로 만들어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과열증기로 인한 면류의 표면 건조 및 단단해지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고, 결국 면류에 완전한 포화증기가 가해짐에 따라 면류 증숙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10 : 증숙기
11 : 면류 투입부
12 : 면류 배출부
13 : 다단의 컨베이어
20 : 증기공급라인
21 : 증기입구라인
22 : 증기배출라인
23 : 증기분배관
24 : 증기분기라인
25 : 증기분출라인
25-1 : 제1증기분출라인
25-2 : 제2증기분출라인
26 : 증기분사노즐
30 : 감온기
31 : 증기유입구
32 : 증기배출구
33 : 감온케이스
34 : 감온경로
35 : 감온수 투입관
36 : 감온수 분사노즐
37 : 캡
38 : 격막
39 : 선반
40 : 필터
41 : 드레인 밸브
42 : 드레인 트랩
43 : 온도계
44 : 유량조절밸브
45 : 예비 온도계 장착단
50 : 증기배출덕트

Claims (14)

  1. 일측에 증숙 전의 면류를 투입하는 면류 투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증숙 완료된 면류가 배출되는 면류 배출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면류의 왕복 순환을 위한 다단의 컨베이어가 내설된 증숙기;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면류에 증기를 가해주기 위하여 상기 증숙기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증기공급라인; 및
    상기 증기공급라인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증숙기의 내부로 향하는 증기를 감온수 분사를 이용하여 포화증기로 만들어주는 감온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기공급라인은:
    감온기의 입구에 연결되는 증기입구라인과, 감온기의 출구에 연결되는 증기배출라인과, 증기배출라인에 연결되는 증기분배관과, 증기분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증숙기의 내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증기분기라인과, 각 증기분기라인으로부터 연장되어 증숙기의 내부 바닥에 걸쳐 배열되는 복수의 증기분출라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증기분기라인은 증숙기의 외부로부터 중앙 위치의 내부 바닥쪽으로 들어가서 증숙기의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증기분출라인은 한 쌍의 증기분기라인 중 하나의 증기분기라인으로부터 증숙기의 입구를 향하여 3열 이상으로 연장 배열되는 제1증기분출라인과, 다른 하나의 증기분기라인으로부터 증숙기의 출구를 향하여 3열 이상으로 연장 배열되는 제2증기분출라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증기분출라인의 상면부에는 다단의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하는 면류가 존재하는 증숙기의 상부공간을 향하여 증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증기분사노즐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온기는:
    일측에 증기입구라인이 연결되는 증기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증기배출라인이 연결되는 증기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증기의 감온경로가 형성된 감온케이스;
    증기유입구에 연통 가능하게 장착된 감온수 투입관; 및
    감온수 투입관의 내측단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증기유입구의 내부에 배치되어, 증기유입구로 들어온 증기를 포화증기로 만들어주기 위하여 감온수를 감온경로를 향하여 분사하는 감온수 분사노즐;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감온케이스의 바닥에는 증기를 포화증기로 만들어 준 후의 감온수를 드레인시키기 위한 드레인 밸브 및 드레인 트랩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감온수 투입관과 감온수 분사노즐 사이에는 감온수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감온케이스의 증기배출구에는 감온을 마친 증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기로 전송하는 온도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감온수 투입관의 입구에는 감온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가 제어기의 제어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감온케이스의 증기배출구에는 예비 온도계가 장착되는 예비 온도계 장착단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감온케이스의 상부에는 아이볼트를 갖는 캡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이 캡의 저부에는 감온경로를 2개 이상의 연속된 공간으로 분리하는 동시에 감온케이스의 바닥과 이격되는 격막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
  13.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격막에는 감온수 케이스의 바닥으로 떨어지는 감온수를 머무르게 하여 증기와 물로 분리하는 기수 분리 기능을 위한 다수의 선반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며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선반은 가로형 수평판체로서 다공홀이 관통 형성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격막에 부착되되, 상방향에서 하방향을 향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
KR1020180001698A 2018-01-05 2018-01-05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 KR102048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698A KR102048048B1 (ko) 2018-01-05 2018-01-05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698A KR102048048B1 (ko) 2018-01-05 2018-01-05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809A true KR20190083809A (ko) 2019-07-15
KR102048048B1 KR102048048B1 (ko) 2019-11-22

Family

ID=67257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698A KR102048048B1 (ko) 2018-01-05 2018-01-05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0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8114A (ja) * 2001-07-31 2003-02-12 Nippon Flour Mills Co Ltd 蒸し麺の製造方法と麺類
KR100497498B1 (ko) 2002-05-30 2005-07-01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가공식품용 증숙시스템
KR101689449B1 (ko) * 2012-02-20 2016-12-23 니신 쇼쿠힌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면발 증자 방법 및 면발 증자 장치
KR20170015344A (ko) * 2014-06-04 2017-02-08 니신 쇼쿠힌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다단식 증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8114A (ja) * 2001-07-31 2003-02-12 Nippon Flour Mills Co Ltd 蒸し麺の製造方法と麺類
KR100497498B1 (ko) 2002-05-30 2005-07-01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가공식품용 증숙시스템
KR101689449B1 (ko) * 2012-02-20 2016-12-23 니신 쇼쿠힌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면발 증자 방법 및 면발 증자 장치
KR20170015344A (ko) * 2014-06-04 2017-02-08 니신 쇼쿠힌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다단식 증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048B1 (ko) 2019-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429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пара
RU2401960C2 (ru) Нагревательная печь
US91137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king portioned food pieces in batches
US20100126358A1 (en) Heating cooker and tray therefor
CN104197656B (zh) 一种药品干燥机及药品干燥方法
MY126849A (en) Heating, cooking and sterilizing device
DE3821205C2 (de) Kombiniertes Dämpf- und Heißumluftgerät
CN107334441A (zh) 洗碗机
KR20190083809A (ko) 감온기를 갖는 면류 증숙 장치
CN207785107U (zh) 蒸汽发生装置及蒸汽发生系统及洗碗机
KR101737615B1 (ko) 스팀 컨벡션 오븐의 자동세척장치
CN207785105U (zh) 洗碗机
KR101808133B1 (ko) 나물 증숙 장치
US3037706A (en) Limitable steam shower assembly
EP2588286A1 (en) Apparatus for heating mats based on incoherent wood material
CN211802168U (zh) 一种涂布机烘箱热量回收利用装置
JP2004049255A (ja) 電気加熱式の業務用スチーマー
JP2515033Y2 (ja) 蒸気調理装置
US1528696A (en) Apparatus for drying and conditioning grain and similar granular substances
KR101233643B1 (ko) 떡찜장치의 증기생성기
JP2021025735A (ja) 加熱調理器
KR101509644B1 (ko)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건조장치
US1880668A (en) Apparatus for treating and cleaning pile fabric materials
JPH0440587Y2 (ko)
CN208395476U (zh) 一种蒸化机给湿系统喷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