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741A - 커버 - Google Patents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741A
KR20190083741A KR1020180001540A KR20180001540A KR20190083741A KR 20190083741 A KR20190083741 A KR 20190083741A KR 1020180001540 A KR1020180001540 A KR 1020180001540A KR 20180001540 A KR20180001540 A KR 20180001540A KR 20190083741 A KR20190083741 A KR 20190083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upling
coupled
auxiliary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4732B1 (ko
Inventor
이종원
박현영
정운섭
Original Assignee
이종원
정운섭
박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원, 정운섭, 박현영 filed Critical 이종원
Priority to KR1020180001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732B1/ko
Publication of KR20190083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커버는 동바리와 결합하여 동바리 또는 복수개의 동바리의 교차부위를 감싸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동바리가 상기 본체와 수평방향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한 쌍의 수평 결합홀과,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동바리가 상기 본체와 수직방향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한 쌍의 수직 결합홀과,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또 다른 상기 본체와 결합하도록 하는 제1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버{cover}
본 발명은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바리 또는 동바리의 결합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빌라, 아파트 등의 건축물을 신축하기 위해서는 신축되는 건축물의 외벽에서 작업자가 안전을 보장하며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보조구조물인 비계(飛階: 건설, 건축 등 산업현장에서 쓰이는 가설 발판이나 시설물 유지 관리를 위해 사람이나 장비, 자재 등을 올려 작업할 수 있도록 임시로 설치한 가시설물)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비계는 70mm 직경과 10 ~ 15m 길이의 동바리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하는데, 이러한 동바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건축 비계용 클램프로 동바리와 동바리의 교차부위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건축 비계용 클램프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힌지결합된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타측에 또 다른 힌지결합된 체결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볼트와 체결 너트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에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볼트를 안착시킨 후 체결너트를 나사방식으로 체결함으로 클램프를 동바리에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고정부재, 커버부재 및 체결부재는 모두 금속으로 제작되고 끝이 날카롭거나 두께가 얇은 형태로 구비된다. 이로 인해, 사람의 통행이 빈번한 인도 근처나 건물밀집 지역에 비계를 설치할 경우, 상기의 건축 비계용 클램프에 의해 통행자가 부딪히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클램프가 이탈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5857호(2013.05.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바리 또는 복수개의 동바리의 교차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동바리 또는 복수개의 동바리 교차부위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는 동바리와 결합하여 동바리 또는 복수개의 동바리의 교차부위를 감싸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동바리가 상기 본체와 수평방향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한 쌍의 수평 결합홀과,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동바리가 상기 본체와 수직방향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한 쌍의 수직 결합홀과,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또 다른 상기 본체와 결합하도록 하는 제1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제1돌기와, 또 다른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돌기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본체의 형태가 굴곡지도록 하는 굴곡홈이 형성되고, 상기 굴곡홈에는 상기 본체와 또 다른 상기 본체의 결합력을 높이는 결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부 및 하부에는 서로 결합 된 한 쌍의 상기 본체의 결합력을 높이는 결합구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구는 상기 수직 결합홀과 결합하는 동바리와 결합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본체와 결합할 시 상기 제1몸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제1이격돌기와, 상기 제1이격돌기에서 연장되어 상기 본체에 삽입되는 제1삽입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1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삽입돌기가 삽입된 후 일정각도로 회전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는 상기 제1몸체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또 다른 상기 제1몸체와 결합하도록 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몸체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제2돌기와, 또 다른 상기 제1몸체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돌기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하는 제3결합부를 구비하여 다수개의 동바리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분을 감싸는 보조본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본체의 상부 및 하부에는 보조결합구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결합구는 상기 수직 결합홀과 결합하는 동바리와 결합하고, 상기 제2결합부와 결합하는 제4결합부를 구비하는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보조본체와 결합할 시 상기 제2몸체가 상기 보조본체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제2이격돌기와, 상기 제2이격돌기에서 연장되어 상기 보조본체에 형성된 제2삽입부에 삽입되는 제2삽입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커버에 의하면, 동바리 또는 복수개의 동바리의 교차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동바리 또는 복수개의 동바리의 교차부위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가 설치된 모습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버의 사시도.
도 3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커버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제1몸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가 설치된 모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10)는 동바리(20)와 결합할 수 있다. 가시설물로 설치되는 동바리(20)는 클램프(미도시)를 통해 복수개가 서로 교차하게 되며, 커버(10)는 이 교차부위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10)는 본체(100), 수평 결합홀(200), 수직 결합홀(300) 및 제1결합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본체(100)는 수직방향으로 절단된 반구 형상으로 구비되며, 동바리(20)와 결합하여 동바리(20) 또는 복수개의 동바리(20)의 교차부위를 감쌀 수 있다. 반구 형상의 본체(100)는 또 다른 본체(100)와 결합할 수 있으며, 한 쌍의 본체(100)가 결합하여 완전한 구 형상으로 동바리(20) 또는 복수개의 동바리(20)의 교차부위를 감쌀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현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반구 형상의 본체(100) 하나만이 동바리(20)와 결합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의 수평 결합홀(200)은 본체(100)에 형성되어 동바리(20)가 상기 본체(100)와 수평방향으로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체(100)가 반구 형상으로 구비됨에 따라 수평 결합홀(200)도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한 쌍을 이루어 좌우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 결합홀(200)은 한 쌍의 본체(100)가 서로 결합함으로써 완전한 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수직 결합홀(300)은 본체(100)에 형성되어 동바리(20)가 상기 본체(100)와 수직방향으로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 결합홀(200)과 마찬가지로 수직 결합홀(300)도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한 쌍을 이루어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결합홀(300)은 한 쌍의 본체(100)가 서로 결합함으로써 완전한 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제1결합부(400)는 본체(100)의 내측면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본체(100)와 또 다른 본체(100)가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결합부(400)는 본체(100)와 또 다른 본체(100)가 결합하도록 하되 수평 결합홀(200) 및 수직 결합홀(300)을 통해 결합한 동바리(20)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체(100)의 내측면 모서리 부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의 제1결합부(400)는 제1돌기(410)와 제1삽입홈(4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제1돌기(410)는 본체(10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제1삽입홈(420)은 또 다른 본체(100)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돌기(410)와 제1삽입홈(420)은 서로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제1돌기(410)가 제1삽입홈(420)에 삽입됨으로써 본체(100)와 또 다른 본체(100)가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돌기(410)를 제1삽입홈(420)에 삽입하여 본체(100)와 또 다른 본체(100)가 결합하도록 하는 끼움 방식을 활용함으로써 커버(10)를 동바리(2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어 설치 및 해체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돌기(410)와 제1삽입홈(420)이 원기둥형상인 것을 보였으나, 상기의 제1돌기(410)와 제1삽입홈(420)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10)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버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10)는 동바리(20)와 결합하여 동바리(20) 또는 복수개의 동바리(20)의 교차부위를 감싸는 본체(100), 본체(100)에 형성되어 동바리(20)가 본체(100)와 수평방향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한 쌍의 수평 결합홀(200), 본체(100)에 형성되어 동바리(20)가 본체(100)와 수직방향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한 쌍의 수직 결합홀(300) 및 본체(100)의 내측면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또 다른 본체(100)와 결합하도록 하는 제1결합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본체(100)의 상단과 하단에는 본체(100)의 형태가 굴곡지도록 하는 굴곡홈(5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굴곡홈(500)은 반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수직 결합홀(300)의 외주면에 위치할 수 있다. 굴곡홈(500)이 구비됨에 따라 본체(100)의 구조적 강성이 높아져 외부의 충격에 의해 본체(100)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굴곡홈(500)에는 결합부재(600)가 구비되어 본체(100)와 또 다른 본체(100)의 결합력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결합부재(600)로는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나사 볼트결합으로 굴곡홈(500)에 고정되는 금속 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10)의 또 다른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커버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10)의 본체(10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결합구(70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결합구(700)는 서로 결합 된 한 쌍의 본체(1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의 본체(100)의 결합력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의 결합구(700)는 제1몸체(710), 제1이격돌기(720) 및 제1삽입돌기(7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제1몸체(710)는 본체(100)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여 본체(100)의 수직 결합홀(300)과 결합하는 동바리(20)와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몸체(710)의 내측면에는 또 다른 제1몸체(710)와 결합하도록 하는 제2결합부(7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제2결합부(711)는 제1몸체(71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제1몸체(710)와 또 다른 제1몸체(710)가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의 제2결합부(711)는 제2돌기(7111)와 제2삽입홈(711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제2돌기(7111)는 제1몸체(71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제2삽입홈(7112)은 또 다른 제1몸체(710)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돌기(7111)와 제2삽입홈(7112)은 서로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제2돌기(7111)가 제2삽입홈(7112)에 삽입됨으로써 제1몸체(710)와 또 다른 제1몸체(710)가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돌기(7111)를 제2삽입홈(7112)에 삽입하여 제1몸체(710)와 또 다른 제1몸체(710)가 결합하도록 하는 끼움 방식을 활용함으로써 한 쌍의 제1몸체(71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의 제1이격돌기(720)는 본체(100)와 맞대어지는 제1몸체(710)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연장되며, 반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이격돌기(720)는 결합구(700)가 본체(100)와 결합할 시 제1몸체(710)가 본체(1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0)와 결합구(700)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이 이격공간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의 결합부재(600)가 구비되어 한 쌍의 본체(10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의 제1삽입돌기(730)는 본체(100)와 맞대어지는 제1이격돌기(720)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삽입돌기(730)는 'ㄱ'자 형태로 제작되며, 제1이격돌기(720)로부터 돌출되어 본체(100)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0)에는 제1삽입돌기(730)가 삽입되기 위한 제1삽입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에는 제1삽입부(1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제1삽입돌기(730)가 삽입된 후 일정각도로 회전하도록 하는 가이드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가이드부(120)는 제1삽입부(110)보다 폭을 좁게 형성하여 제1삽입돌기(730)의 꺾인 부분이 가이드부(120)를 통해서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00)와 결합구(700)를 결합하기 위해 끼움 방식을 활용함으로써 결합구(700)를 본체(10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어 설치 및 해체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변형 예를 통해 커버(10)를 동바리(20)에 결합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한 쌍의 본체(100)를 동바리(20)에 결합한다. 그리고 본체(100)의 상부와 하부에서 한 쌍의 제2몸체(910)를 동바리(20)에 결합한 후 일체화하여 결합구(700)를 완성한다. 완성된 결합구(700)의 제1삽입돌기(730)를 본체(100)의 제1삽입부(110)에 삽입하고 제1삽입돌기(730)가 가이드부(120)에 위치하도록 결합구(70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구(700)를 본체(100)에 고정함으로써 커버(10)를 동바리(20)에 결합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10)의 또 다른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커버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10)의 본체(100)에는 보조본체(8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보조본체(800)는 본체(100)와 결합하여 다수개의 동바리(20)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분을 감싸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의 보조본체(800)는 본체(100)의 제1결합부(400)와 결합하는 제3결합부(810)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본체(800) 또한 제3결합부(810)를 구비하여 본체(100)와 끼움 방식을 통해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제3결합부(810)가 제1결합부(400)의 제1돌기(410)와 결합하는 것을 보였으나, 상기의 제3결합부(810)는 제1결합부(400)의 제1삽입홈(420)과도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보조본체(800)에는 상부 및 하부에 보조결합구(90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보조결합구(900)는 보조본체(800)와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의 결합구(700)와도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조결합구(900)는 제2몸체(910), 제2이격돌기(920) 및 제2삽입돌기(9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제2몸체(910)는 보조본체(800)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여 본체(100)의 수직 결합홀(300)과 결합하는 동바리(20)와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몸체(910)의 내측면에는 제1몸체(710)의 제2결합부(711)와 결합하는 제4결합부(911)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몸체(910) 또한 제4결합부(911)를 구비하여 결합구(700)와 끼움 방식을 통해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제4결합부(911)가 제2결합부(711)의 제2돌기(7111)와 결합하는 것을 보였으나, 상기의 제4결합부(911)는 제2결합부(711)의 제2삽입홈(7112)과도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제2이격돌기(920)는 보조본체(800)와 맞대어지는 제2몸체(910)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이격돌기(920)는 보조결합구(900)가 보조본체(800)와 결합할 시 제2몸체(910)가 보조본체(8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본체(800)와 보조결합구(900)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이 이격공간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의 결합부재(600)가 구비되어 본체(100)와 보조본체(800)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의 제2삽입돌기(930)는 보조본체(800)와 맞대어지는 제2이격돌기(920)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연장되어 보조본체(800)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본체(800)에는 제2삽입돌기(930)가 삽입되기 위한 제2삽입부(8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본체(800)와 보조결합구(900)를 결합하기 위해 끼움 방식을 활용함으로써 보조결합구(900)를 보조본체(80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어 설치 및 해체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변형 예를 통해 커버(10)를 동바리(20)에 결합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본체(100)와 보조본체(800)를 동바리(20)에 결합한 후 일체화한다. 그리고 본체(100) 및 보조본체(800)의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구(700)와 보조결합구(900)를 동바리(20)에 결합한 후 일체화한다. 일체화된 결합구(700)와 보조결합구(900)의 제1삽입돌기(730)와 제2삽입돌기(930)를 각각 제1삽입부(110)와 제2삽입부(820)에 삽입시킴으로써 커버(10)를 동바리(20)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을 통해 동바리(20) 또는 복수개의 동바리(20)가 교차하는 교차부위를 보호함으로써 동바리(20) 또는 복수개의 동바리(20) 교차부위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동바리(20) 또는 복수개의 동바리(20) 교차부위를 보호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커버 20: 동바리
100: 본체 110: 제1삽입부
120: 가이드부 200: 수평 결합홀
300: 수직 결합홀 400: 제1결합부
410: 제1돌기 420: 제1삽입홈
500: 굴곡홈 600: 결합부재
700: 결합구 710: 제1몸체
711: 제2결합부 7111: 제2돌기
7112: 제2삽입홈 720: 제1이격돌기
730: 제1삽입돌기 800: 보조본체
810: 제3결합부 820: 제2삽입부
900: 보조결합구 910: 제2몸체
911: 제4결합부 920: 제2이격돌기
930: 제2삽입돌기

Claims (10)

  1. 동바리와 결합하여 동바리 또는 복수개의 동바리의 교차부위를 감싸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동바리가 상기 본체와 수평방향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한 쌍의 수평 결합홀과,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동바리가 상기 본체와 수직방향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한 쌍의 수직 결합홀과,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또 다른 상기 본체와 결합하도록 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제1돌기와,
    또 다른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돌기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본체의 형태가 굴곡지도록 하는 굴곡홈이 형성되고,
    상기 굴곡홈에는 상기 본체와 또 다른 상기 본체의 결합력을 높이는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 및 하부에는 서로 결합 된 한 쌍의 상기 본체의 결합력을 높이는 결합구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상기 수직 결합홀과 결합하는 동바리와 결합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본체와 결합할 시 상기 제1몸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제1이격돌기와,
    상기 제1이격돌기에서 연장되어 상기 본체에 삽입되는 제1삽입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삽입돌기가 삽입된 후 일정각도로 회전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는 상기 제1몸체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또 다른 상기 제1몸체와 결합하도록 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몸체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제2돌기와,
    또 다른 상기 제1몸체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돌기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하는 제3결합부를 구비하여 다수개의 동바리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분을 감싸는 보조본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본체의 상부 및 하부에는 보조결합구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결합구는 상기 수직 결합홀과 결합하는 동바리와 결합하고, 상기 제2결합부와 결합하는 제4결합부를 구비하는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보조본체와 결합할 시 상기 제2몸체가 상기 보조본체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제2이격돌기와,
    상기 제2이격돌기에서 연장되어 상기 보조본체에 형성된 제2삽입부에 삽입되는 제2삽입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KR1020180001540A 2018-01-05 2018-01-05 커버 KR102074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540A KR102074732B1 (ko) 2018-01-05 2018-01-05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540A KR102074732B1 (ko) 2018-01-05 2018-01-05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741A true KR20190083741A (ko) 2019-07-15
KR102074732B1 KR102074732B1 (ko) 2020-02-07

Family

ID=67257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540A KR102074732B1 (ko) 2018-01-05 2018-01-05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7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1971A (en) * 1994-11-07 1997-12-30 Rchid; Abazid Amin Protective member for metal scaffold knots or joints
KR20050112960A (ko) * 2004-05-28 2005-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관 고정 장치
KR101265857B1 (ko) 2011-11-15 2013-05-20 심병섭 건축비계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1971A (en) * 1994-11-07 1997-12-30 Rchid; Abazid Amin Protective member for metal scaffold knots or joints
KR20050112960A (ko) * 2004-05-28 2005-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관 고정 장치
KR101265857B1 (ko) 2011-11-15 2013-05-20 심병섭 건축비계용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732B1 (ko) 202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461B1 (ko)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한 가설방음벽
KR200455433Y1 (ko) 안전핀을 구비한 원터치 파이프 클램프
KR20200127830A (ko) 무용접 방식으로 트러스를 연결하는 브라켓
KR20190083741A (ko) 커버
KR20140137598A (ko) 조적조 칸막이 벽의 내진보강방법
KR200480076Y1 (ko) 가설구조물용 길이조절식 수평재
GB2101187A (en) Temporary safety barriers
KR20170032555A (ko) 커버 고정 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JP6666677B2 (ja) 耐火被覆材及び耐火被覆材を備えた柱
KR200342272Y1 (ko)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JP7239292B2 (ja) 仮設足場の墜落防止構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隙間閉塞部材
JP3205920U (ja) 建物及び橋梁の免震補強装置
KR200251745Y1 (ko) 수평 방호망 장치
JP2005232750A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補強器具
RU2597650C1 (ru) Каркас щита опалубки
KR20190118900A (ko) 볼트 보호캡
JP3187838U (ja) 仮設足場のh鋼用連結固定具及び該h鋼用連結固定具を備える仮設足場
JP3206913U (ja) 支柱カバー
JP6716327B2 (ja) 天井耐震化部材及び天井システム
KR200415962Y1 (ko) 건축공사용 가설펜스
JP5221748B2 (ja) 埋込型柱脚のさや管
JP4674724B2 (ja) マンホールの連結金具及びこのマンホールの連結金具を使用したマンホール
JP2007039935A (ja) 基礎用型枠パネル構造体
JP6670099B2 (ja) 鋼管柱の接合構造
KR20190001422U (ko) 봉제용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