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857B1 - 건축비계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건축비계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857B1
KR101265857B1 KR1020110118767A KR20110118767A KR101265857B1 KR 101265857 B1 KR101265857 B1 KR 101265857B1 KR 1020110118767 A KR1020110118767 A KR 1020110118767A KR 20110118767 A KR20110118767 A KR 20110118767A KR 101265857 B1 KR101265857 B1 KR 101265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lamp
pipe
cover member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병섭
Original Assignee
심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병섭 filed Critical 심병섭
Priority to KR1020110118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24Couplings involving arrangement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subgroups E04G7/08, E04G7/12, E04G7/20, E04G7/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비계 공사시 파이프를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건축비계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에 파이프가 삽입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제1힌지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힌지공이 형성된 'L'자 형상의 고정부재와; 제2힌지공에 회동결합되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파이프를 감싸도록 만곡(彎曲) 형성된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부를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도록 제1힌지공에 구비된 결합부재로 이루어진 건축비계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둘레에 방사 방향으로 복수 개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단관 형상으로 상기 제1힌지공에 축결되는 중심축과; 반원통 형상의 조임판과 상기 조임판의 양측 단부에 회전판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는 상기 중심축이 축결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조임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재에 형성된 결합부는 커버부재의 일부가 절개되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심축과 조임판 사이에 안착되고, 상기 결합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결합부가 조임판에 밀착되어 조여짐으로써 결합되는 클램프와 같은 구조의 다른 클램프의 서로 같은 접촉부를 교차되게 결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비계용 클램프 제공함으로써, 고정부재의 일측에 구비된 결합부재의 1회전 만으로 커버부재가 파이프에 밀착되며 고정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견고한 작업을 위한 스패너 사용을 자제할 수 있으며, 건축비계를 설치하는 작업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축비계용 클램프{Clamp for architectural scaffold}
본 발명은 건축비계 공사시 파이프를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나사방식으로 체결해야 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고정부재의 일측에 구비된 결합부재의 1회전 만으로 커버부재가 파이프에 밀착되며 고정되게 함으로써 쉽고 간편하게 조작함에 따라 건축비계를 설치하는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건축비계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빌라, 아파트 등의 건축물을 신축하기 위해서는 신축되는 건축물의 외벽에서 작업자가 안전을 보장하며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보조구조물인 비계(飛階: 건설, 건축 등 산업현장에서 쓰이는 가설 발판이나 시설물 유지 관리를 위해 사람이나 장비, 자재 등을 올려 작업할 수 있도록 임시로 설치한 가시설물)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비계는 70mm 직경과 10 ~ 15m 길이의 파이프(일명, 중방이라고 함.)를 서로 연결시켜 설치하는데, 이러한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건축비계용 클램프로 파이프와 파이프의 교차부위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건축비계용 클램프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힌지결합된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타측에 또 다른 힌지결합된 체결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볼트와 체결너트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에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볼트를 안착시킨 후 체결너트를 나사방식으로 체결함으로 클램프를 파이프에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건축비계용 클램프는 파이프의 연결작업시 고정부재로부터 커버부재와 체결볼트를 벌려서 그 사이에 파이프를 결합한 다음 커버부재를 덥으면서 체결볼트를 체결홈에 결합한 후 체결너트를 조여서 연결고정 해야하는데 이러한 과정에 작업자의 양손이 모두 사용되며, 체결너트를 조이기 위해서는 스패너와 같은 공구로 여러번 반복하여 체결너트를 조여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은 비계설치시 반복되어 작업자가 쉬 피로해지고 작업능률이 저하되며,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등 작업환경의 개선이 시급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나사방식으로 체결해야 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고정부재의 일측에 구비된 결합부재의 1회전 만으로 커버부재가 파이프에 밀착되며 고정되게 함으로써 견고한 작업을 위한 스패너 사용을 자제할 수 있으며, 건축비계를 설치하는 작업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건축비계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에 파이프가 삽입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제1힌지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힌지공이 형성된 'L'자 형상의 고정부재와; 제2힌지공에 회동결합되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파이프를 감싸도록 만곡(彎曲) 형성된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부를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도록 제1힌지공에 구비된 결합부재로 이루어진 건축비계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둘레에 방사 방향으로 복수 개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단관 형상으로 상기 제1힌지공에 축결되는 중심축과; 반원통 형상의 조임판과 상기 조임판의 양측 단부에 회전판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는 상기 중심축이 축결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조임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재에 형성된 결합부는 커버부재의 일부가 절개되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심축과 조임판 사이에 안착되고, 상기 결합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결합부가 조임판에 밀착되어 조여짐으로써 결합되는 클램프와 같은 구조의 다른 클램프의 서로 같은 접촉부를 교차되게 결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비계용 클램프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건축비계용 클램프를 제공함으로써, 고정부재의 일측에 구비된 결합부재의 1회전 만으로 커버부재가 파이프에 밀착되며 고정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견고한 작업을 위한 스패너 사용을 자제할 수 있으며, 건축비계를 설치하는 작업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비계용 클램프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비계용 클램프의 분해상태도
도 3a, 3b, 3c, 3d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비계용 클램프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4는 도 3a, 3b, 3c, 3d에서 결합부와 조임판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비계용 클램프의 설치상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비계용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 건축비계용 클램프의 설치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은 내측에 파이프(20)가 삽입되는 안착부(110)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제1힌지공(12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힌지공(130)이 형성된 'L'자 형상의 고정부재(100)와; 제2힌지공(130)에 회동결합되며 상기 안착부(110)에 안착된 파이프(20)를 감싸도록 만곡(彎曲) 형성된 커버부재(200)와; 상기 커버부재(200)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부(210)를 상기 고정부재(100)에 결합되도록 제1힌지공(120)에 구비된 결합부재(300)로 이루어진 건축비계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00)는 둘레에 방사 방향으로 복수 개의 걸림돌기(311)가 돌출 형성된 단관 형상으로 상기 제1힌지공(120)에 축결되는 중심축(310)과; 반원통 형상의 조임판(321)과 상기 조임판(321)의 양측 단부에 회전판(323)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323)의 중심에는 상기 중심축(310)이 축결되는 결합공(32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24)에는 상기 걸림돌기(311)와 대응되는 걸림홈(324a)이 형성된 조임축(3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재(200)에 형성된 결합부(210)는 커버부재(200)의 일부가 절개되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심축(310)과 조임판(321) 사이에 안착되고, 상기 결합부재(30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결합부(210)가 조임판(321)에 밀착되어 조여지도록 구성된 클램프(10)와 상기 클램프(10)의 동일구조로 이루어진 다른 클램프(10')의 서로 대응되는 접촉부(11)를 교차되게 결합하여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임판(321)의 후측에 탄성결합부(327)를 형성하고, 상기 탄성결합부(327)에 결합되어 상기 조임판(321)에 의해 조여지는 결합부(210)를 더욱더 견고하게 지지해주는 탄성부재(3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330)는 상기 결합부(210)와 접촉되는 면에 다수의 접촉돌기(33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200)는 만곡부(220)를 따라 비드(221)이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220)의 양측 태두리를 따라 상기 파이프(20)의 외주연을 부분적으로 가압하는 절곡부(223)가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220)의 가운데에 상기 파이프(20)에 피스(5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피스공(224)이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10)와 같은 구조의 다른 클램프(10')가 결합되는 접촉부(11)에 회동결합수단(13)이 결합되어 클램프(10)와 다른 클램프(10')가 지유회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100)의 내측에 상기 파이프(20)의 길이방향 외측면을 가압하며, 파이프(20)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400)가 더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으로써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비계용 클램프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비계용 클램프의 분해상태도이며, 도 3a, 3b, 3c, 3d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비계용 클램프의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a, 3b, 3c, 3d에서 결합부와 조임판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비계용 클램프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비계용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 건축비계용 클램프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은 내측에 파이프(20)가 삽입되는 안착부(110)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제1힌지공(12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힌지공(130)이 형성된 'L'자 형상의 고정부재(100)와; 제2힌지공(130)에 회동결합되며 상기 안착부(110)에 안착된 파이프(20)를 감싸도록 만곡 형성된 커버부재(200)와; 상기 커버부재(200)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부(210)를 상기 고정부재(100)에 결합되도록 제1힌지공(120)에 구비된 결합부재(300)로 이루어진 건축비계용 클램프(1)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300)는 둘레에 방사 방향으로 복수 개의 걸림돌기(311)가 돌출 형성된 단관 형상으로 상기 제1힌지공(120)에 축결되는 중심축(310)이 구비되고;
상기 반원통 형상의 조임판(321)과 상기 조임판(321)의 양측 단부에 회전판(323)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323)의 중심에는 상기 중심축(310)이 축결되는 결합공(32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24)에는 상기 걸림돌기(311)와 대응되는 걸림홈(324a)이 형성된 조임축(320)이 상기 중심축(310)의 외주연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중심축(310)의 외주연에 조임축(320)이 상기 걸림돌기(311)와 걸림홈(324a)의 대응에 의해 상기 중심축(310)을 회전시키면 조임축(320) 또한 상기 중심축(310)과 동일하게 회전하게 된다.
상기 중심축(310)의 양단부를 관통하며, 6각 이상 다각형의 축공(313)이 형성되어 상기 축공(313)에 랜치 또는 치공구를 끼워 중심축(3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200)의 일측에는 상기 제2힌지공(130)에 축결합되는 힌지축(40)에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힌지부(23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일부를 절개하여 반원형상으로 만곡되어 결합부(210)를 형성하며, 이 결합부(210)는 상기 중심축(310)과 조임판(321) 사이에 안착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10)의 양단부가 내측 원주방향으로 결합편(211)이 연장 형성되고, 또한, 상기 조임판(321)의 양단부도 내측 원주방향으로 조임편(321a)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300)에 형성된 중심축(310)과 조임축(320) 사이에 결합부(210)가 안착된 상태에서 결합부재(300)를 회전시키면 조임편(321a)이 상기 결합편(211)을 감싸쥐면서 마찰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도 4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임판(321)은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달팽이 모양처럼 일정간격으로 직경이 확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300)가 회전함에 따라 조임판(321)이 결합부(210)에 밀착됨과 동시에 결합부(210)를 중심축(310) 방향으로 끌어당기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램프(10)와 상기 클램프(10)의 동일구조로 이루어진 다른 클램프(10')의 서로 대응되는 접촉부(11)를 서로 밀착시켜 리벳(15)으로 결합하여 건축비계용 클램프(1)를 구성한다.
상기 조임축(320)에 형성된 조임판(321)의 후측에 일부를 절개 또는 관통하여 탄성결합부(327)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부재(200) 및 결합부재(300)보다 탄성율이 높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일측은 상기 탄성결합부(327)에 고정결합하고 타측은 조임축(320)과 조임판(321) 사이에서 조임판(321) 측으로 밀착되도록 탄성편(331)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편(331)의 접촉면 측에는 다수의 접촉돌기(333)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200)는 만곡부(22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비드(221)이 형성하여 상기 커버부재(200)가 파손되거나 굽혀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5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상기 만곡부(220)의 양측 태두리를 따라 상기 파이프(20)의 외주연을 부분적으로 가압하는 절곡부(223)가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220)의 가운데에 상기 파이프(20)에 피스(5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피스공(22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부재(100)의 내측에는 상기 파이프(20)의 길이방향 외측면을 가압하며, 파이프(20)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4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6내지 도 7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건축비계용 클램프(1)에서 클램프(10)와 또 다른 클램프(10')가 결합되는 접촉부(11)에 리벳(15) 결합 대신 회동결합수단(13)을 장착하여 각각의 클램프(10)가 자유회동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건축비계용 클램프(1)를 첨부된 도 3a, 3b, 3c, 3d를 참고하여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3a에서 보시면, 고정부재(100), 커버부재(200) 및 결합부재(300)를 포함한 클램프(10)에서 고정부재(100)에 회동결합된 커버부재(200)를 벌려 고정부재(100)의 안착부(110)에 파이프(20)를 안착시키고, 도 3b에 의하며, 파이프(2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200)를 복귀시켜 파이프(20)를 감싸쥠과 동시에 커버부재(200)에 형성된 결합부(210)가 결합부재(300)에 안착되게 한다.
도 3c에 의하면, 상기 결합부(210)가 결합부재(300)에 안착된 상태에서 결합부재(300)를 회전시켜 상기 결합부(210)를 중심축(310)과 조임편(321a) 사이로 진입시킨다.
도 3d와 같이, 결합부(210)가 진입된 상태에서 결합부재(300)를 더 회전시켜 조임판(321)에 형성된 조임편(321a)이 결합부(210)에 형성된 결합편(211)을 감싸쥐면서 서로 마찰결합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330)에 형성된 접촉돌기(333)가 결합부(210)에 접촉되어 마찰결합을 더욱 증가시킨다.
또한, 중심축(310)에 결합되는 조임축(320) 또는 고정부재(100)의 제1힌지공(120)을 중심축(310)으로부터 미세하게 편심될 경우 결합편(211)와 조임편(321a) 및 탄성부재(330)의 마찰결합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400)는 단면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단부에 경사날(410)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며, 상기 파이프(20)의 길이방향 외측면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파이프(20)가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경사날(4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날(410)을 일정간격으로 분할하여 지그재그로 절곡하여 더욱더 견고하게 파이프(20)의 외주연을 지지해주어 파이프(20)가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건축비계용 클램프를 제공함으로써, 고정부재의 일측에 구비된 결합부재의 1회전 만으로 커버부재가 파이프에 밀착되며 고정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견고한 작업을 위한 스패너 사용을 자제할 수 있으며, 건축비계를 설치하는 작업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는 부분까지 권리에 포함한다.
1: 건축비계용 클램프 10,10': 클램프
11: 접촉부 13: 회동결합수단
15: 리벳 20: 파이프
30: 피스 100: 고정부재
110: 안착부 120: 제1힌지공
130: 제2힌지공 200: 커버부재
210: 결합부 220: 만곡부
221: 비드 223: 절곡부
224: 피스공 300: 결합부재
310: 중심축 311: 걸림돌기
320: 조임축 321: 조임판
323: 회전판 324: 결합공
324a: 걸림홈 327: 탄성결합부
330: 탄성부재 331: 탄성편
333: 접촉돌기 400: 스토퍼

Claims (8)

  1. 내측에 파이프(20)가 삽입되는 안착부(110)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제1힌지공(120)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2힌지공(130)이 형성된 'L'자 형상의 고정부재(100)와; 제2힌지공(130)에 회동결합되며 상기 안착부(110)에 안착된 파이프(20)를 감싸도록 만곡(彎曲) 형성된 커버부재(200)와; 상기 커버부재(200)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부(210)를 상기 고정부재(100)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제1힌지공(120)에 구비된 결합부재(300)로 구성된 클램프(10)와;
    상기 클램프(10)의 동일구조로 이루어진 다른 클램프(10')의 접촉부(11)를 서로 대응됨과 동시에 교차되게 결합하여 이루어진 건축비계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00)는 둘레에 방사 방향으로 복수 개의 걸림돌기(311)가 돌출 형성된 단관 형상으로 상기 제1힌지공(120)에 축결되는 중심축(310)과;
    상기 고정부재(100)에 내입됨과 동시에 상기 중심축(310)에 축결합되도록 반원통 형상의 조임판(321)과 상기 조임판(321)의 양측 단부에 회전판(323)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323)의 중심에는 상기 중심축(310)이 축결되는 결합공(32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24)에는 상기 걸림돌기(311)와 대응되도록 걸림홈(324a)을 형성하여 구성된 조임축(3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비계용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200)에 형성된 결합부(210)는 커버부재(200)의 일부가 절개되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심축(310)과 조임판(321) 사이에 안착되고, 상기 결합부재(30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조임판(321)이 결합부(210)에 밀착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비계용 클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판(321)은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달팽이 모양처럼 일정간격으로 직경이 확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300)가 회전함에 따라 조임판(321)이 결합부(210)에 밀착됨과 동시에 결합부(210)를 중심축(310) 방향으로 끌어당기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비계용 클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판(321)의 후측에는 상기 조임판(321)에 의해 조여지는 결합부(210)를 더욱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장공형상의 탄성결합부(327)를 형성하고, 상기 탄성결합부(327)에 결합되어 탄성지지 되는 탄성부재(3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비계용 클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30)는 상기 결합부(210)와 접촉되는 면에 다수의 접촉돌기(3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비계용 클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200)는 만곡부(220)를 따라 비드(221)이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220)의 양측 태두리를 따라 상기 파이프(20)의 외주연을 부분적으로 가압하는 절곡부(223)가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220)의 가운데에 상기 파이프(20)에 피스(5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피스공(2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비계용 클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클램프(10')가 결합되는 접촉부(11)에는 클램프(10)와 다른 클램프(10')가 서로 지유회동되도록 회동결합수단(13)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비계용 클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00)의 내측에는 상기 파이프(20)의 길이방향 외측면을 가압함과 동시에 파이프(20)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4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비계용 클램프.
KR1020110118767A 2011-11-15 2011-11-15 건축비계용 클램프 KR101265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767A KR101265857B1 (ko) 2011-11-15 2011-11-15 건축비계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767A KR101265857B1 (ko) 2011-11-15 2011-11-15 건축비계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857B1 true KR101265857B1 (ko) 2013-05-20

Family

ID=48666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767A KR101265857B1 (ko) 2011-11-15 2011-11-15 건축비계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85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2928A (ko) 2015-06-03 2016-12-14 (주)정주산업통상 시스템 비계
KR101712344B1 (ko) * 2015-08-28 2017-03-23 권운철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KR20190083741A (ko) 2018-01-05 2019-07-15 이종원 커버
KR20200046824A (ko) 2018-10-25 2020-05-07 강병길 클램프
KR102158224B1 (ko) * 2019-06-13 2020-09-21 이상건 비닐하우스용 패드 일체형 골조 고정장치
KR102260242B1 (ko) 2020-11-13 2021-06-03 김진오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
KR102420849B1 (ko) * 2021-08-10 2022-07-13 박세현 클램프 결합용 안전로프 고정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8302A (ja) 1999-12-28 2001-09-14 Kazue Omomo 棒体抱持金具及び足場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8302A (ja) 1999-12-28 2001-09-14 Kazue Omomo 棒体抱持金具及び足場形成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2928A (ko) 2015-06-03 2016-12-14 (주)정주산업통상 시스템 비계
KR101712344B1 (ko) * 2015-08-28 2017-03-23 권운철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KR20190083741A (ko) 2018-01-05 2019-07-15 이종원 커버
KR20200046824A (ko) 2018-10-25 2020-05-07 강병길 클램프
KR102158224B1 (ko) * 2019-06-13 2020-09-21 이상건 비닐하우스용 패드 일체형 골조 고정장치
KR102260242B1 (ko) 2020-11-13 2021-06-03 김진오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
KR102420849B1 (ko) * 2021-08-10 2022-07-13 박세현 클램프 결합용 안전로프 고정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857B1 (ko) 건축비계용 클램프
KR101456778B1 (ko) 파이프용 클램프
KR20090006003U (ko) 파이프 행거
KR20070056757A (ko) 비계용 클램프
KR101480823B1 (ko) 복수의 내경을 갖는 이경 클램프
KR20120029524A (ko) 비계용 클램프
JP2015031081A (ja) ブレース取付金具
KR102448019B1 (ko) 에이치빔 비계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KR102349388B1 (ko)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
JP2892349B1 (ja) 手摺り取付装置
CN211974320U (zh) 安装装置
CN210307643U (zh) 适用于狭小空间的螺栓紧固装置
JP2007262775A (ja) 水栓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KR101022435B1 (ko) 건축현장용 다기능 클램프
KR20210000526U (ko)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CN212104533U (zh) 一种工业厂房钢结构安装用可拆卸拼接组件
CN214946928U (zh) 一种管道支撑装置
CN213439349U (zh) 一种棘轮扳手
KR20090129235A (ko) 비계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KR20130038047A (ko) 갱폼 고정장치
CN219901941U (zh) 一种螺栓拆卸扳手
JP2019066118A (ja) 二重給排気筒の接続解除用工具および二重給排気筒の接続解除方法
KR20220075606A (ko) 강관용 클램프
KR101454975B1 (ko) 클램프 일체형 파이프
KR102185203B1 (ko) 건축용 안전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