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242B1 -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 - Google Patents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242B1
KR102260242B1 KR1020200151625A KR20200151625A KR102260242B1 KR 102260242 B1 KR102260242 B1 KR 102260242B1 KR 1020200151625 A KR1020200151625 A KR 1020200151625A KR 20200151625 A KR20200151625 A KR 20200151625A KR 102260242 B1 KR102260242 B1 KR 102260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fixing part
fastener
scaffold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오
Original Assignee
김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오 filed Critical 김진오
Priority to KR1020200151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24Couplings involving arrangement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subgroups E04G7/08, E04G7/12, E04G7/20, E04G7/22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을 구성하는 각각의 건축용 시스템 비계에 사용되는 파이프의 연결부위측에 설치되어 견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는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Clamp for architectural scaffold with the prevention of collapse of scaffolding and safety accidents}
본 발명은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을 구성하는 각각의 건축용 시스템 비계에 사용되는 파이프의 연결부위측에 설치되어 견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는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실외공사를 먼저 하고 난 뒤, 실내 공사를 하게 되는데 실외공사 수행시 건축물 외측에 비계를 고정하여 안전망을 설치한 상태로 건축물의 외벽공사를 시행하게 된다.
이때, 설치되는 비계는 파이프를 수평 및 수직으로 교차되어 배열시키고, 각 파이프간의 결합되는 위치에 파이프를 서로 견고하게 결합시키고자 비계용 클램프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비계용 클램프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72659호에 "건축비계용 파이프 클램프(이하, 선행기술 1)"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건축 비계공사에서 사용되는 파이프를 고정하는 파이프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여러 규격의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은 건축 비계용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파이프가 결합되는 위치에 결합고정이 되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하중이나 전단력 등이 가해지는 파이프 말단측에 구비되어 하나의 클램프만으로 한 쌍의 파이프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결합력이 낮아 파이프가 서로 분리될 우려가 존재한다.
또한, 다른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265857호에 "건축비계용 클램프(이하, 선행기술 2)"가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 2는 비계용 파이프의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교차부위에만 적용되어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파이프들은 별도의 클램프를 구비해야한다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즉,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파이프들은 하나의 파이프의 일측단부가 다른 파이프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연속적으로 결합되되, 결합부위에 타공을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는 구조인 바,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건축물의 시공과정에서 하중이나 외부환경에 의해 결합력이 약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을 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의 경우에는 단순히 파이프가 인입된 형태로만 설치되어 붕괴의 위험이 항상 존재한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72659호 "건축비계용 파이프 클램프"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5857호 "건축비계용 클램프"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을 구성하는 각각의 건축용 시스템 비계에 사용되는 파이프의 연결부위측에 설치되어 견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는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한 쌍의 클램프가 서로 이격되어 연결될 수 있어 동일 수평/수직선상의 파이프를 서로 연결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다양한 각도로 접해지는 한 쌍의 파이프 또한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제1 및 2 클램프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와 위치에 적용이 가능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킨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클램프 내부에 밀착부를 더하여 클램프와 비계용 파이프간의 밀착력을 더욱 향상시켜 클램프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1 및 2 클램프간의 결합력 또한 향상시켜 열변형 등으로 인한 클램프가 뒤틀리더라도 결합된 제1 및 2 클램프의 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비계용 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판재형상의 고정부(100);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면에 상호 이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클램프부(200);로 구성되고, 상기 클램프부(200)는 내측에 상기 비계용 파이프가 인입되어 안착되도록 내주면이 형성되며, 반구 형상을 가지고, 일측에 체결홈(211)이 함몰형성되는 제1 클램프(210); 반구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체결구(221)가 돌출형성되는 제2 클램프(220); 및 상기 제1 클램프(210)와 상기 제2 클램프(220)의 타측에 구비되어 힌지결합되는 힌지(230);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230)를 중심으로 상기 제1 클램프(210)와 상기 제2 클램프(220)가 회동되어 상기 내주면 측의 면이 밀착되어 합형되면 상기 체결구(221)가 상기 체결홈(211)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클램프(210)와 상기 제2 클램프(220)는 상기 힌지(230)와 결합된 반대측 말단에는 수직돌출된 돌출구(203);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211)은 상기 제1 클램프(210)에 형성된 돌출구(203a)에 함몰형성되며, 상기 체결구(221)는 상기 제2 클램프(220)에 형성된 돌출구(203b)에 결합되어 돌출형성되고, 상기 체결구(221)는 상기 제2 클램프(220)에 형성된 돌출구(203b)를 수평하게 관통고정된 체결구회동축(222) 중앙에 관통되고, 상기 체결구회동축(222) 외주면을 따라 회동되어 상기 제1 클램프(210)와 상기 제2 클램프(220) 합형시 상기 체결홈(211)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체결홈(211) 내측에 인입된다.
또한, 제1 클램프(210)와 상기 제2 클램프(220)는 내주면에 안착되는 파이프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밀착부(240);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240)는 내주면을 따라 중앙에 상기 내주면에 접선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평면밀착면(241); 및 상기 평면밀착면(241)을 중심으로 양측에 상기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내측방향으로 다수개의 톱니 형상이 돌출형성된 톱니밀착면(242);으로 구성된다.
또한, 한 쌍의 클램프부(200)를 상기 고정부(100)의 연장방향과 동일하게 관통하는 관통핀(110);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프부(200)는 상기 관통핀(110)이 내삽관통될 수 있는 핀 인입홀(250);이 동일선상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핀 인입홀(250)의 가장자리에는 자력을 갖는 자성부재(251)가 형성되고, 상기 핀 인입홀(250)을 내삽관통한 상기 관통핀(110)은 상기 자성부재(251)와 자성결합되어 상기 핀 인입홀(250)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100)의 일측면에는 상기 관통핀(110)이 내삽되어 보관될 수 있는 수납홈(120);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수납홈(120)의 내측 양말단에는 마그넷(121)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수납홈(120) 내측으로 인입된 상기 관통핀(110)은 상기 마그넷(121)과 자성결합되어 상기 고정부(100) 밖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고정부(100)는 중앙을 따라 절단되어 상단고정부(100a)와 하단고정부(100b)로 나뉘어지며, 상기 상단고정부(100a)와 상기 하단고정부(100b)에는 상기 클램프부(200)가 단일개로 각각 결합고정되고, 상기 상단고정부(100a)와 상기 하단고정부(100b)의 말단에는 힌지결합되는 각도조절구(130);가 구비되며, 상기 각도조절구(130)는 상기 상단고정부(100a)와 상기 하단고정부(100b)와 힌지결합되며 회전되는 회동축(131); 상기 회동축(131)의 말단에 구비되며 상기 각도조절구(130) 내측을 따라 수평이동하여 상기 회동축(131) 말단과 억지끼움결합되어 상기 회동축(131)의 회전을 방지하는 잠금구(132); 및 상기 잠금구(132)의 일측과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잠금구(132)를 수평이동시켜 상기 회동축(131) 말단과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잠금레버(13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을 구성하는 각각의 건축용 시스템 비계에 사용되는 파이프의 연결부위측에 설치되어 견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한 쌍의 클램프가 서로 이격되어 연결될 수 있어 동일 수평/수직선상의 파이프를 서로 연결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다양한 각도로 접해지는 한 쌍의 파이프 또한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한 쌍의 클램프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와 위치에 적용이 가능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킨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클램프 내부에 밀착부를 더하여 클램프와 비계용 파이프간의 밀착력을 더욱 향상시켜 클램프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1 및 2 클램프간의 결합력 또한 향상시켜 열변형 등으로 인한 클램프가 뒤틀리더라도 결합된 제1 및 2 클램프의 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의 적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의 펼침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의 적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구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의 회동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6a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의 회동각도에 따른 적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의 적용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의 펼침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의 적용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구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의 회동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6 및 6a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의 회동각도에 따른 적용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을 구성하는 각각의 건축용 시스템 비계에 사용되는 파이프의 연결부위측에 설치되어 견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는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1)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1)는 고정부(100) 및 클램프부(200)로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비계용 파이프(P)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하여 설치된 각도에 따라 수직파이프(P1), 수평파이프(P2) 및 각도파이프(P3)로 나누어 클램프(1)가 적용된 예를 설명함을 미리 밝힌다.
고정부(10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판재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체적으로는 직사각 형태의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00)의 일면에는 클램프부(200)가 고정부(100) 일면의 연장방향에 따라 이격되어 고정되어 지는데, 용접 방식을 통해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고정부(100)의 일면에 구비되는 클램프부(200)는 동일한 형상의 제1 클램프부(200a)와 제2 클램프부(200b)로 이루어지며, 제1 및 2 클램프부(200a,200b)는 고정된 고정부(100)의 일면의 연장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고정부(100)에 고정결합된다.
클램프부(200)는 내측에 파이프(P)가 인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주면이 형성된 제1 클램프(210)와 제2 클램프(220)로 구성되며, 제1 클램프(210)의 일측에는 체결홈(211)이 구비되고, 제2 클램프(220)는 제1 클램프(210)의 타측에 구비된 힌지(230)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체결홈(211)에 결합되기 위한 체결구(221)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1 클램프(210) 타측 외부측에는 힌지(230)가 구비되어 각각 제1 클램프(210) 및 제2 클램프(220)와 결합되고, 이러한 힌지(230)를 통해 제1 및 2 클램프(210,220)는 회동되어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2 클램프(210,220)에서 회동되어 밀착되는 면에는 파이프(P)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반호 형상의 파이프인입면(202)이 함몰형성되고, 제1 및 2 클램프(210,220)가 힌지(230), 체결홈(211) 및 체결구(221)를 통해 합형시 파이프인입면(202)의 말단부분이 서로 밀착되어 내측에 파이프(P)가 관통되어 안착될 수 있는 관통홀(201)이 형성되어진다.
상술된 파이프인입면(202)은 힌지(230)를 중심으로 제1 및 2 클램프(210,22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합형된 제1 및 2 클램프(210,220)를 파이프(P)가 관통한 형태로 내부에 인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체결홈(211)은 제1 클램프(210)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 클램프(210)를 중심으로 힌지(230)의 반대측면에 구비되며, 제1 클램프(210)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때, 체결홈(211)은 체결구(221)의 외측너비와 대응되는 내측너비를 가지며, 제1 클램프(210)와 제2 클램프(220)가 합형시 회동된 체결구(221)가 체결홈(211) 내측을 따라 삽입되면서 결합고정될 수 있다.
체결구(221)는 볼트 및 너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볼트의 경우에는 너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부에 별도의 스토퍼(도면에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구(221)의 말단에는 체결구회동축(222)이 체결구(221)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구회동축(222) 중앙에 체결구(221) 말단이 구비되도록 하고, 체결구회동축(222)의 말단은 제2 클램프(220)의 말단, 즉 제2 클램프(220)를 중심으로 힌지(230)의 반대측 말단에 결합고정되어 체결구(221)가 체결구회동축(222)에 관통된 상태로 체결구회동축(222)의 외주면을 따라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체결구(221)가 체결구회동축(222) 중앙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구회동축(222)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체결구(221)의 말단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된 체결홈(211) 및 체결구(221)가 반구 형상을 가지는 제1 클램프(210) 및 제2 클램프(220)의 각 측단에 함몰 또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경우 체결구(221)가 체결홈(211)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제1 및 2 클램프(210,220)의 관통홀(201)이 원형을 이루지 않고 제1 및 2 클램프(210,220)의 파이프인입면(202)과 대응되는 호와 체결구(221) 및 체결홈(211)간의 내부공간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및 2 클램프(210,220)의 내주면이 파이프(P) 외주면에 밀착되기 어려울 우려가 존재한다. 특히, 이러한 경우가 발생되면 파이프(P)에 클램프(1)가 완전히 고정되기 어려우며, 클램프(1)가 파이프(P)의 외주면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갈 우려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및 2 클램프(210,220)의 말단, 즉 힌지(230)를 중심으로 반대측 말단에는 수직돌출된 돌출구(20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술된 체결홈(211), 체결구(221) 및 체결구회동축(222)은 각각 제1 및 2 클램프(210,220)에 형성된 돌출구(203a,203b)에 각각 형성되고, 이를 통해 체결홈(211) 내측으로 체결구(221)가 인입되더라도 파이프인입면(202) 내측은 원형 형상의 내부를 가지기 때문에 파이프(P) 외주면에 제1 및 2 클램프(210,220) 내주면이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체결홈(211)과 체결구(221)는 단일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체결홈(211)의 양측, 즉 돌출구(203) 중앙에 함몰형성된 체결홈(211)의 양측에는 보조체결홈(212)이 체결홈(211)의 내측너비보다 작게 함몰형성될 수 있고, 체결구(221)의 양측, 즉 돌출구(203) 중앙에 체결구회동축(222)을 통해 결합된 체결구(221)의 양측에는 보조체결구(223)가 구비되어 체결구(221)와 동일하게 체결구회동축(222)의 외주면을 따라 보조체결구(223)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1 클램프(210)와 제2 클램프(220)의 내측에 파이프(P)를 구비한 상태로 제1 클램프(210)와 제2 클램프(220)가 합형되면 체결구(221) 및 한 쌍의 보조체결구(223)는 회동되어 체결되어 각각 체결홈(211)과 한 쌍의 보조체결홈(212)으로 인입되어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체결구회동축(222)과 관통결합된 체결구(221) 및 한 쌍의 보조체결구(223)의 말단측에는 상기 체결구(221) 및 한 쌍의 보조체결구(223)를 연결하여 일체형으로 체결구회동축(222)을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구연결부재(224)가 구비되도록 한다.
체결구연결부재(224)는 얇은 판 형상을 가지며 체결구(221)와 한 쌍의 보조체결구(223)의 외측너비와 대응되는 홀이 체결구(221) 및 한 쌍의 보조체결구(223)의 위치와 대응되게 타공되어 체결구연결부재(224)에 체결구(221)와 보조체결구(223)가 끼워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체결구(221) 및 보조체결구(223)는 동일하게 회동될 수 있고, 각 하중을 체결구연결부재(224)를 통해 분산하여 제1 및 2 클램프(210,220)간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힌지(230)는 각각 돌출구(203)가 형성된 제1 및 2 클램프(210,220)의 반대측 말단에 구비되어 제1 클램프(210)와 제2 클램프(220)가 힌지결합되도록 하고, 힌지(230)를 중심으로 제1 및 2 클램프(210,220)가 회동되어 파이프(P) 외주면에 파이프인입면(202)이 밀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1 및 2 클램프(210,220)의 내주면, 즉 파이프인입면(202)을 중심으로 제1 및 2 클램프(210,220)의 내측은 반구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파이프(P)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부분은 파이프인입면(202)이 되고, 제1 및 2 클램프(210,220)의 내주면측은 파이프(P)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밀착력 및 고정력이 저하될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제1 및 2 클램프(210,220)의 내주면에는 파이프인입면(202)이 위치한 측으로 돌출된 밀착부(240)가 형성되어 제1 및 2 클램프(210,220) 내측으로 인입된 파이프(P)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한다.
밀착부(240)는 제1 클램프(210) 및 제2 클램프(220)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제1 클램프(210)와 제2 클램프(220)가 결합될 파이프(P)에 합형되어 결합시 파이프(P)의 외측면에 밀착부(240)가 밀착되어 결합됨으로써 밀착력 및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밀착부(240)는 제1 및 2 클램프(210,220)의 내측면 중앙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되, 제1 및 2 클램프(210,220)의 굴곡된 내측면에 접선 형태로 구비되어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평면밀착면(241)과, 상기 평면밀착면(241)이 구비된 위치에서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제1 및 2 클램프(210,220)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내측방향으로 다수개의 톱니가 돌출형성된 톱니밀착면(242)으로 구성된다.
평면밀착면(241)은 도 1a 및 2a와 같이 파이프(P)와 밀착되는 면이 평면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파이프(P)와 밀착시 평면밀착면(241)은 파이프(P)의 외측면에 대하여 접선 형태로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톱니밀착면(242)은 평면밀착면(241)과는 다르게 제1 및 2 클램프(210,220)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합형된 제1 및 2 클램프(210,220)의 내부에 위치한 파이프(P)의 외측면을 따라 전부 밀착되어 평면밀착면(241)과 함께 파이프(P)와 클램프부(200)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밀착력 및 결합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밀착면적이 서로 다른 평면밀착면(241) 및 톱니밀착면(242)으로 구성된 밀착부(240)를 통해 클램프부(200) 내부에서 3중(중앙에 구비된 평면밀착면과 한 쌍의 톱니밀착면)으로 파이프(P)와 밀착됨으로써 파이프(P)와 클램프부(200)간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된 구성을 통해 한 쌍의 클램프부(200a,200b)가 결합될 비계용 파이프(P)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고정될 수 있는데 열변형이나 파이프(P)의 비틀림 등의 문제로 한 쌍의 클램프부(200a,200b)의 동일 수평/수직선상에 위치하지 않을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한 쌍의 클램프부(200a,200b)가 동일 수평/수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고, 고정부(100)와 같이 클램프부(200)간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클램프부(200a,200b)에는 핀 인입홀(250)이 고정부(100)의 연장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1 클램프부(200a)와 제2 클램프부(200b)의 동일 선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핀 인입홀(250)의 가장자리에 자성을 갖는 자성부재(251)가 구비되고, 이러한 핀 인입홀(250) 내측으로 관통하여 제1 클램프부(200a) 및 제2 클램프부(200b)를 고정부(100)와 평행선상에 위치하는 관통핀(110)이 구비된다.
관통핀(11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1 클램프부(200a)와 제2 클램프부(200b)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관통핀(110)은 동일 선상에 위치한 핀 인입홀(250) 내측을 따라 관통하며, 각 핀 인입홀(250)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자성부재(251)에 외측면이 자성결합되어 별도의 결합부재없이 관통핀(110)이 핀 인입홀(250) 내측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자성부재(251)는 관통핀(110)이 받는 중력보다 강한 자력을 가져 관통핀(110)이 핀 인입홀(250) 내측에 구비된 상태로 자성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통핀(110)이 하중에 의해 핀 인입홀(250) 내측을 따라 이탈하여 지면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낙하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관통핀(110)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핀 인입홀(250) 내측에는 관통핀(110)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을 통해 관통핀(110)이 핀 인입홀(250) 내측에 관통된 상태로 나사결합되어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고정부(100) 외에도 제1 클램프부(200a)와 제2 클램프부(200b)과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관통핀(110)이 고정시킴으로써 고정부(100)나 클램프부(200)가 열변형이나 주변 외력 등으로 인해 뒤틀려서 결합된 비계용 파이프(P)가 뒤틀리거나 결합위치를 벗어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정부(100)는 관통핀(110) 미사용시 이를 보관하기 위하여 클램프부(200)가 구비되는 면에서 수직하는 측면에 관통핀(110)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홈(120)이 함몰형성된다. 수납홈(120)은 관통핀(110)의 길이와 대응되며, 수납홈(120)의 직경보다 크게 함몰되어 내측에 보관된 관통핀(110)이 고정부(10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관통핀(110)이 수납홈(120) 내측에 인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수납홈 내측 양단에는 마그넷(121)이 구비되어 관통핀(110)이 수납홈(120) 내측에 인입됨과 동시에 마그넷(121)에 의해 자성결합되어 고정부(100)를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술된 자성부재(251)와 마찬가지로 마그넷(121)의 자력 또한 관통핀(110)의 중력보다 강한 자석을 사용함으로써 수납홈(120)에 관통핀(110)이 인입된 상태로 외부로 이탈하여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고정부(100) 및 클램프부(200)를 통해 동일선상에 위치한 수직파이프(P1) 또는 수평파이프(P2)를 서로 연결하거나 일정한 각도를 갖는 한 쌍의 각도파이프(P3) 또한 서로 연결하여 결합고정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반면, 수직파이프(P1)와 수평파이프(P2)가 결합되는 위치에는 두 파이프(P)가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서로 수직하여 맞닿기 때문에 형상이 고정된 고정부(100)로 인해 수직파이프(P1)와 수평파이프(P2)를 서로 결합시키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클램프부(200)와 연결되는 고정부(100) 또한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각 제1 클램프부(200a) 및 제2 클램프부(200b)와 결합고정되고, 한 쌍의 고정부(100)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구(13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고정부(100)는 중앙에 구비되는 제1 절단면(101)을 통해 한 쌍의 고정부(100a,100b)로 나뉘어질 수 있고, 이러한 한 쌍의 고정부(100a,100b)가 결합되는 위치에는 각도조절구(130)가 구비된다.
각도조절구(130)는 한 쌍의 고정부(100a,100b)의 말단, 즉 클램프부(200)에 형성되는 관통홀(201)이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시 하나의 상단고정부(100a)의 하단과 다른 하나의 하단고정부(100b) 상단에 결합고정되며, 각도조절구(130)를 중심으로 한 쌍의 고정부(100a,100b) 중 어느 하나가 회동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각도조절구(130) 내부에는 회동축(131)이 구비되고, 회동축(131)의 일측 말단 외측에는 회동축(131)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잠금구(132)가 끼워진 형태로 각도조절구(130)에 내장되고, 잠금구(132)를 중심으로 회동축(131)과 반대되는 측에는 잠금구(132)를 회동축(131)으로의 끼움정도를 달리하여 회동축(131)의 회전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잠금레버(133)가 구비된다.
회동축(131)은 각도조절구(130)의 본체 일부가 절개되어 회동축(131)과 각각의 고정부(100a,100b)와 힌지결합되어 회동축(131)의 회전에 따라 한 쌍의 고정부(100a,100b)가 각도조절구(13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잠금구(132)는 회동축(131)의 일측 말단, 즉 잠금레버(133)가 구비되는 곳에 구비되어 잠금레버(133)의 회전상태에 따라 회동축(131) 말단과 이격되거나 회동축(131) 말단에 잠금구(132) 내측이 억지끼움되어 회동축(131)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한 쌍의 고정부(100a,100b)가 회동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잠금구(132)의 내측은 회동축(131)측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경사를 가지며 내측으로 회동축(131)이 점차 인입되면 억지끼움상태가 되어 회동축(131)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잠금구(132)의 외측과 각도조절구(130) 내측면에는 스크류 형상을 가져 잠금구(132)의 외측면과 각도조절구(130) 내측면과 결합됨으로써 잠금구(132) 및 각도조절구(130)에 의해 회동축(131)이 결합고정되고, 이를 통해 회동축(131)이 잠금구(132)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레버(133)는 잠금구(132)의 말단과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회동축(131)의 잠금/잠금해제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잠금레버(133)는 각도조절구(130) 외측에 구비되어 설치자가 한 쌍의 고정부(100a,100b)를 원하는 각도로 구비되게 회동시킨 다음 각도조절구(130)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잠금구(132)가 회동축(131)으로 스크류이동을 하면서 회동축(131)이 고정되도록 하고(도 5의 (A) 참조), 다시 한 쌍의 고정부(100a,100b)의 각도조절을 위해 회동축(131)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면 잠금레버(133)를 다시 타측으로 회전시켜 잠금구(132)가 회동축(131)과 이격되며 스크류이동을 함으로써 회동축(131)이 다시 회동되어 상기 회동축(131)과 연결된 한 쌍의 고정부(100a,100b)가 설치자가 원하는 대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도 5의 (B) 참조).
따라서, 상술된 제1 절단면(101)에 의해 한 쌍의 고정부(100a,100b)로 나뉘어지고, 이와 힌지결합되는 각도조절구(130)를 통해 설치자는 도 6과 같이 수직파이프(P1)와 수평파이프(P2)의 교차되는 부분에도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1)를 이용할 수 있음으로써 수직파이프(P1)와 수평파이프(P2)를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6a와 같이 수직파이프(P1)/수평파이프(P2)와 일정한 각도를 갖는 각도파이프(P3)와의 연결 또한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한편, 고정부(10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제1 클램프부(200a)와 제2 클램프부(200b)간의 이격거리 또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자가 정확히 원하는 위치에 제1 클램프부(200a)와 제2 클램프부(200b)가 각각 형성되도록 설치하기는 다소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 절단면(101)의 내측에 길이조절판(140)을 추가로 구비하여 한 쌍의 고정부(100a,100b)간의 이격된 공간을 조절하여 한 쌍의 클램프부(200)간의 이격된 공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길이조절판(140)은 한 쌍의 고정부(100a,100b)에 양측 말단이 내장되며, 하측에 위치한 하단고정부(100b)에는 하측 말단이 내장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단에 위치한 상단고정부(100a)는 길이조절판(14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판 이동홀(103)이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판 이동홀(103)은 길이조절판(140)의 말단이 고정되지 않은 측의 고정부(100)에 구비되는 것으로, 길이조절판(140)과 결합된 상단의 상단고정부(100a)는 길이조절판(140) 측면에 톱니 형상으로 길이조절판(140)의 연장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출돌기(141)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를 통해 설치자는 길이조절판(140)의 길이까지 제1 클램프부(200a)와 제2 클램프부(200b)를 이격시킬 수 있다.
상단에 위치한 상단고정부(100a)는 상기 상단고정부(100a)가 길이조절판(14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구(150)가 상단고정부(100a) 외측에 형성되고, 이러한 조절구(150)의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단고정부(100a)에 내장됨과 동시에 판 이동홀(103) 내측에 구비되는 길이조절판(140)의 돌출돌기(141)와 맞물려 기어결합되는 내장기어(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된다.
따라서, 설치자는 조절구(150)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방향에 따라 내장기어가 돌출돌기(141)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단고정부(100a)가 길이조절판(14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판 이동홀(103)의 최상단에는 양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지고, 길이조절판(140)의 최상단 또한 양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단고정부(100a)가 길이조절판(140)의 최상단까지 이동하게 되면 판 이동홀(103) 최상단 내측에 길이조절판(140)의 최상단이 걸려져 더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방지함으로서 길이조절판(140)에서 상단고정부(100a)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길이조절판(140)이 내장된 상태로 고정된 하단 고정부(100)에는 길이조절판(140)의 하측에 제2 절단면(102)과 상기 제2 절단면(102)을 통해 분리된 하단고정부(100b)와 힌지결합되는 각도조절구(130)가 구비되어 길이조절판(140)에 의해 상단고정부(100a)와 하단고정부(100b)간의 이격거리가 조절됨과 동시에 하단고정부(100b)가 회동되어 수평파이프(P2)와 수직파이프(P1)의 교차점에도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구성을 갖는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1)를 통해 비계용 파이프(P)의 다양한 형태와 위치에 적용이 가능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킨 효과를 보유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
100: 고정부 100a: 상단고정부
100b: 하단고정부 101: 제1 절단면
102: 제2 절단면 103: 판 이동홀
110: 관통핀 120: 수납홈
121: 마그넷 130: 각도조절구
131: 회동축 132: 잠금구
133: 잠금레버 140: 길이조절판
141: 돌출돌기 150: 조절구
151: 내장기어 200: 클램프부
200a: 제1 클램프부 200b: 제2 클램프부
201: 관통홀 202: 파이프인입면
203: 돌출구 210: 제1 클램프
211: 체결홈 212: 보조체결홈
220: 제2 클램프 221: 체결구
222: 체결구회동축 223: 보조체결구
224: 체결구연결부재 230: 힌지
240: 밀착부 241: 평면밀착면
242: 톱니밀착면 250: 핀 인입홀
251: 자성부재
P: 비계용 파이프 P1: 수직파이프
P2: 수평파이프 P3: 각도파이프

Claims (5)

  1. 하나 이상의 비계용 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판재형상의 고정부(100);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면에 상호 이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클램프부(200);로 구성되고,
    상기 클램프부(200)는 내측에 상기 비계용 파이프가 인입되어 안착되도록 내주면이 형성되며,
    반구 형상을 가지고, 일측에 체결홈(211)이 함몰형성되는 제1 클램프(210);
    반구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체결구(221)가 돌출형성되는 제2 클램프(220); 및
    상기 제1 클램프(210)와 상기 제2 클램프(220)의 타측에 구비되어 힌지결합되는 힌지(230);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230)를 중심으로 상기 제1 클램프(210)와 상기 제2 클램프(220)가 회동되어 상기 내주면 측의 면이 밀착되어 합형되면 상기 체결구(221)가 상기 체결홈(211) 내측으로 인입되며,
    상기 한 쌍의 클램프부(200)를 상기 고정부(100)의 연장방향과 동일하게 관통하는 관통핀(110);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프부(200)는 상기 관통핀(110)이 내삽관통될 수 있는 핀 인입홀(250);이 동일선상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핀 인입홀(250)의 가장자리에는 자력을 갖는 자성부재(251)가 형성되고,
    상기 핀 인입홀(250)을 내삽관통한 상기 관통핀(110)은 상기 자성부재(251)와 자성결합되어 상기 핀 인입홀(250)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100)의 일측면에는 상기 관통핀(110)이 내삽되어 보관될 수 있는 수납홈(120);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수납홈(120)의 내측 양말단에는 마그넷(121)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수납홈(120) 내측으로 인입된 상기 관통핀(110)은 상기 마그넷(121)과 자성결합되어 상기 고정부(100) 밖으로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210)와 상기 제2 클램프(220)는 상기 힌지(230)와 결합된 반대측 말단에는 수직돌출된 돌출구(203);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211)은 상기 제1 클램프(210)에 형성된 돌출구(203a)에 함몰형성되며,
    상기 체결구(221)는 상기 제2 클램프(220)에 형성된 돌출구(203b)에 결합되어 돌출형성되고,
    상기 체결구(221)는 상기 제2 클램프(220)에 형성된 돌출구(203b)를 수평하게 관통고정된 체결구회동축(222) 중앙에 관통되고, 상기 체결구회동축(222) 외주면을 따라 회동되어 상기 제1 클램프(210)와 상기 제2 클램프(220) 합형시 상기 체결홈(211)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체결홈(211) 내측에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210)와 상기 제2 클램프(220)는 내주면에 안착되는 파이프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밀착부(240);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240)는 내주면을 따라 중앙에 상기 내주면에 접선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평면밀착면(241); 및
    상기 평면밀착면(241)을 중심으로 양측에 상기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내측방향으로 다수개의 톱니 형상이 돌출형성된 톱니밀착면(24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0)는 중앙을 따라 절단되어 상단고정부(100a)와 하단고정부(100b)로 나뉘어지며,
    상기 상단고정부(100a)와 상기 하단고정부(100b)에는 상기 클램프부(200)가 단일개로 각각 결합고정되고,
    상기 상단고정부(100a)와 상기 하단고정부(100b)의 말단에는 힌지결합되는 각도조절구(130);가 구비되며,
    상기 각도조절구(130)는,
    상기 상단고정부(100a)와 상기 하단고정부(100b)와 힌지결합되며 회전되는 회동축(131);
    상기 회동축(131)의 말단에 구비되며 상기 각도조절구(130) 내측을 따라 수평이동하여 상기 회동축(131) 말단과 억지끼움결합되어 상기 회동축(131)의 회전을 방지하는 잠금구(132); 및
    상기 잠금구(132)의 일측과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잠금구(132)를 수평이동시켜 상기 회동축(131) 말단과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잠금레버(1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
KR1020200151625A 2020-11-13 2020-11-13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 KR102260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625A KR102260242B1 (ko) 2020-11-13 2020-11-13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625A KR102260242B1 (ko) 2020-11-13 2020-11-13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242B1 true KR102260242B1 (ko) 2021-06-03

Family

ID=76396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625A KR102260242B1 (ko) 2020-11-13 2020-11-13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2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981B1 (ko) * 2021-07-30 2022-02-08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안전 그물망 파이프 설치용 체결브래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8604A (ja) * 1998-06-19 2000-01-11 Fumio Fujiki パイプ用クランプ及びクランプ装置
JP2004263789A (ja) * 2003-03-03 2004-09-24 Tokuo Kojima 単管パイプの伸縮ジョイント構造
KR200367265Y1 (ko) 2004-07-29 2004-11-10 이영섭 커터칼
KR101187602B1 (ko) * 2012-03-06 2012-10-08 (주)미래엔지니어링 파이프용 클램프
KR101265857B1 (ko) 2011-11-15 2013-05-20 심병섭 건축비계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8604A (ja) * 1998-06-19 2000-01-11 Fumio Fujiki パイプ用クランプ及びクランプ装置
JP2004263789A (ja) * 2003-03-03 2004-09-24 Tokuo Kojima 単管パイプの伸縮ジョイント構造
KR200367265Y1 (ko) 2004-07-29 2004-11-10 이영섭 커터칼
KR101265857B1 (ko) 2011-11-15 2013-05-20 심병섭 건축비계용 클램프
KR101187602B1 (ko) * 2012-03-06 2012-10-08 (주)미래엔지니어링 파이프용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981B1 (ko) * 2021-07-30 2022-02-08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안전 그물망 파이프 설치용 체결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17136A2 (en) Anchoring device for prefabricated concrete components
US11638984B2 (en) Seismic sway brace fitting
JP2001065645A (ja) ワイヤ引き寄せ金物とワイヤ装置
JPH03177608A (ja) 建築用のファスナー
US8726607B1 (en) Sway brace assembly and method of restraining pipe relative to a building structure
KR102260242B1 (ko)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
WO2011082228A1 (en) Recessed mount with stowed clamps
US20060198715A1 (en) Fastener receptacle
JPH0228003B2 (ko)
KR10186033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KR101738525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
JP5021687B2 (ja) エアコン室外機の設置台
KR200490234Y1 (ko) 결속력이 향상된 난간대 결합장치
JP4616060B2 (ja) 胴縁取付用ブラケ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建物の外壁構造
JP2017133354A (ja) ボルト軸用の連結金具
KR102619390B1 (ko) 유리 패널 고정 브라켓용 내진 볼트 어셈블리
KR100592714B1 (ko) 난간대용 지주장치
KR20220009591A (ko) 프로파일 다방향 체결장치
JP2018009652A (ja) 締結具
JPH05280514A (ja) パイプ接続具
JP3529315B2 (ja) 被固定物の壁材への固定具
KR200311721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부재
KR102196115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가설물용 연결구
KR102298878B1 (ko) 차양 연결구
JPS634649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